KR101852612B1 - 선별망 조절장치를 가지는 음식물 파쇄기 - Google Patents

선별망 조절장치를 가지는 음식물 파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2612B1
KR101852612B1 KR1020170069276A KR20170069276A KR101852612B1 KR 101852612 B1 KR101852612 B1 KR 101852612B1 KR 1020170069276 A KR1020170069276 A KR 1020170069276A KR 20170069276 A KR20170069276 A KR 20170069276A KR 101852612 B1 KR101852612 B1 KR 1018526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screening net
main body
screening
fo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92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성현
Original Assignee
남성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성현 filed Critical 남성현
Priority to KR10201700692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261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26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26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3/00Auxiliary methods o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crushing or disintegrating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groups or not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covered by a single preceding group
    • B02C23/08Separating or sorting of material, associated with crushing or disintegr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6Details
    • B02C18/18Knives; Mounting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6Details
    • B02C18/22Feed or discharge means
    • B02C18/2216Discharge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6Details
    • B02C18/24Dr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18Drum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46Constructional details of screens in general; Cleaning or heating of screens
    • B07B1/4609Constructional details of screens in general; Cleaning or heating of screens constructional details of screening surfaces or mesh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 Combined Means For Separation Of Soli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별망 조절장치를 가지는 음식물 파쇄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음식물 쓰레기 수분등이 배출되는 선별망 타공부의 배출공간을 조절하여 파쇄기로부터 낙하되는 음식물의 배출량을 조절할 수 있음과 함께 파쇄되는 쓰레기의 종류에 따라 배출공간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선별망 조절장치를 가지는 음식물 파쇄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선별망 조절장치를 가지는 음식물 파쇄기{Food shredder with sorting net control device}
본 발명은 선별망 조절장치를 가지는 음식물 파쇄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음식물 쓰레기 수분등이 배출되는 선별망 타공부의 배출공간을 조절하여 파쇄기로부터 낙하되는 음식물의 배출량을 조절할 수 있음과 함께 파쇄되는 쓰레기의 종류에 따라 배출공간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선별망 조절장치를 가지는 음식물 파쇄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육류나 엽채류 등 식품으로 공급되는 농축 수산물의 대략 20% 정도가 음식물 쓰레기로 배출된다.
종래 이들 음식물 쓰레기의 처리를 소각이나 매립에 의존함으로써 매립지의 부족과 부지 확보의 어려움이 사회 문제로 대두 되고 있고, 소각처리의 경우 막대한 에너지 소비와 다이옥신 등의 유해물질 방출 등이 문제가 되어 음식물 쓰레기의 감량화와 자원화가 당면과제가 되고 있다.
음식물 쓰레기의 자원화는 음식물 쓰레기를 퇴비로 처리하거나 사료로 처리하거나 또는 혐기성 소화에 의한 메탄 발효 등으로 이용함으로써 음식물 쓰레기의 소각이나 매립 시 파생되는 제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일부 집단 급식소나 대형 음식점 등에서 발생하는 음식쓰레기는 수거, 운반 및 저장 전 과정에서 신선도를 유지하고, 병원균에 오염되지 않게 잘 잘 관리함으로써 고 품질의 복합사료로 활용할 수 있고, 공동주택이나 시장등에서 수거한 경우에도 최소한 유기질 성분이 풍부한 퇴비나 부상토 등의 소재로 활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음식물 쓰레기의 자원화는 음식물 쓰레기를 분리 수거하고, 수거한 음식물 쓰레기를 이용목적에 맞게 전처리 과정을 거쳐 이용 목적대로 최종 생산물로 가공하는 공정으로 구성된다.
음식물 쓰레기의 자원화를 위한 전처리 공정은 음식물에 포함된 이물질을 분리 제거하고, 덩치가 큰 고형물질을 이용목적에 맞는 크기로 파쇄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진다.
음식물 쓰레기에는 이쑤시개, 뼈, 동물 사체, 비닐, 옷가지, 수저나 금속류 등 많은 종류의 이물질이 포함되어 있고, 이들 이물질은 최종 생산품의 품질을 떨어뜨리거나 새로운 문제를 야기하기 때문에 전처리 과정에서 충분히 분리 선별되어 제거되어야 한다.
또한, 음식물 쓰레기에는 과일, 껍질이나 육류에 포함된 뼈 등 덩어리와 고형물질이 다량으로 포함되어 있어 이들 또한 적절한 크기로 파쇄하는 전처리 공정이 요구된다.
종래 이물질제거는 음식물 투입과정에서 자석선별기를 통과시키는 방법으로 철 등의 금속류를 걸러내고, 스크린이나 인력에 의해 과도한 크기의 이물질을 걸러 낸 상태에서 블로어 등을 사용하여 비닐 등의 협잡물을 제거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덩어리나 고형물질은 파쇄기를 사용하여 파쇄한 후 선별하는 방법이 적용되고 있다.
한편, 파쇄기는 공급구와 배출구를 갖고, 원주내면에 돌기를 가진 원통형 스크린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며, 원통형 스크린 내부에 파쇄판을 구비한 주축을 회동가능하게 지지하고, 파쇄판의 외주는 돌기 내주보다 적은 치수로 선택되어
상대 회전시에 공간을 가지며, 원통형 스크린과 주축을 동일모터에 의하여 회전시키는 구동장치로 구성된다.
이런 종래의 파쇄기는 공급구로 도시 쓰레기가 투입되면 쓰레기가 투입된 원통형 스크린 내부에서 주축이 회동되어 주축에 복수개 형성된 파쇄판은 큰 회동력으로 도시 쓰레기를 때려 파쇄시키고, 이렇게 파쇄된 도시 쓰레기는 다시 원통형 스크린과 파쇄판 선단사이에서 더욱 작게 파쇄되어 배출구로 배출된다.
그러나, 이런 종래의 파쇄기는 비교적 대형으로 도시 쓰레기의 파쇄시 선별기능이 없어 먼지나 쓰레기 가루가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지 못하였고, 파쇄시 음식물 쓰레기를 쇠붙이나 유리 등과 선별할 수 없어 소음발생 및 고장의 원인이 되어 파쇄기의 수명을 짧게 했으며, 도시 쓰레기 파쇄후 도시 쓰레기는 이송장치로 이송하여 중간 저장탱크에 저장하는 공정을 거쳐야 되기 때문에 제작비용이 비싸고 제작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나아가 상기 종래의 파쇄기는 도시 쓰레기 중 수분 등 무게가 있는 성분이 함유된 음식물 쓰레기 등이 하부로 가라앉아 파쇄기의 성능을 현격하게 떨어뜨림으로서 결국 도시쓰레기 중 반건식 쓰레기만을 처리할 수 있고 음식물 쓰레기와 같은 습식 쓰레기는 처리할 수 없는 한계가 있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음식물 쓰레기 수분등은 선별망을 통하여 파쇄기 바닥으로 낙하되어 원심분리기로 공급된다.
여기서, 음식물 쓰레기 수분등이 배출되는 선별망의 타공부는 일정한 형태로 배열되어 있다.
여기서, 선별망의 타공부에는 별도의 조절기능이 없어 파쇄기로부터 낙하되는 음식물 수분등이 바로 배출되는 구조라 배출량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제20-0228785호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 수분등이 배출되는 선별망 타공부의 배출공간을 조절하여 파쇄기로부터 낙하되는 음식물의 배출량을 조절할 수 있음과 함께 파쇄되는 쓰레기의 종류에 따라 배출공간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선별망 조절장치를 가지는 음식물 파쇄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의 상면에 배치되어, 본체 내부로 쓰레기를 투입하는 투입호퍼(1); 상기 본체 내부에 수용되되, 상기 투입호퍼(1)의 하측에 배치되어 투입된 쓰레기를 파쇄하는 복수의 고정칼날(2); 상기 고정칼날(2)이 조립 고정되는 주축(3); 상기 주축(3)을 회전시키는 모터(4); 상기 본체 내부에 수용되되, 상기 복수의 고정칼날(2)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복수의 고정칼날(2)에 의해 분쇄된 음식물이 배출되는 타공부(7)를 갖는 선별망(5); 상기 선별망(5)의 하측에 밀착되도록 배치되되, 상기 선별망(5)의 타공부(7)와 대응하는 타공부(11)를 갖는 조절 선별망(10); 상기 본체의 하측에 배치되되, 상면이 상기 본체의 하면과 연통되어 쓰레기 입자가 빠져나가는 배출구(6); 상기 조절 선별망(10)의 타공부(11)와 선별망(5)의 타공부(7)는 밀착됨과 함께 상기 조절 선별망(10)의 전후진 작동에 의해 상기 선별망(5)의 타공부(7) 공간 틈새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조절 선별망(10)의 전후진 작동은 조절 선별망(10)에 조립된 브래킷(21)에 나사 결합된 조절나사(22)의 작용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조절나사(22)는 지지 플레이트(20)에 형성된 너트(25)와 조립구(24)를 관통한 후 브래킷(21)의 고정구(23)에 조립되어 작동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선별망(5)의 좌우측에 가이드 부재(30)가 형성되되, 상기 가이드 부재(30)는 받침부재(31)와 일체로 조립되어 조절 선별망(10)을 지지하면서 이동시 가이드 기능을 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상기 선별망(5) 및 조절 선별망(10)은 반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선별망(5)의 좌우 양단이 상기 본체의 좌우 내면에 밀착되고, 상기 조절 선별망(10)의 양단이 상기 가이드부재(30) 및 받침부재(31) 사이 배치되어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배출구(6)는 하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좁아지는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은 음식물쓰레기와 같이 냄새가 나거나 사람이 직접 다루기 꺼리는 재료를 자원화하기 위하여 가공시 발생하는 가루와 냄새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였고, 공정을 단순화하면서 위생적으로 효율성 있게 쓰레기의 이물질 선별 및 음식물 쓰레기 파쇄가 동시에 이루어져 작업시간이 단축되고 안정성이 높을 뿐만 아니라 운전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그리고, 음식물 쓰레기 수분등이 배출되는 선별망 타공부의 배출공간을 조절하여 파쇄기로부터 낙하되는 음식물의 배출량을 조절할 수 있음과 함께 파쇄되는 쓰레기의 종류에 따라 배출공간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요부인 선별망을 발췌하여 확대한 상태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요부를 발췌하여 확대한 상태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요부인 조절 선별망이 조립된 상태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요부인 조절 선별망이 작동되는 상태의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요부가 조립된 상태의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요부가 조립된 상태의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먼저, 본 발명은 도 5 및 도 6과 같이 상부로 개방되어 쓰레기가 투입되는 투입호퍼(1)와; 상기 투입호퍼(1) 하단에 형성되어 투입된 쓰레기를 파쇄하는 다수개의 고정칼날(2)과, 상기 고정칼날(2)이 조립 고정되는 주축(3)과, 상기 주축(3)을 회전시키는 모터(4)와; 상기 고정칼날(2)에 의해 분쇄된 음식물 수분이 배출되는 타공부(7)를 갖는 선별망(5)과, 상기 선별망(5)의 타공부(7)을 통하여 배출되는 쓰레기 입자가 쌓여 빠져나가는 배출구(6)가 형성되는 음식물 파쇄기(100)이다.
한편, 상기 선별망(5)의 하측에는 타공부(11)를 갖는 조절 선별망(10)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조절 선별망(10)의 타공부(11)와 선별망(5)의 타공부(7)는 밀착됨과 함께 상기 조절 선별망(10)의 전후진 작동에 의해 상기 선별망(5)의 타공부(7) 공간을 조절할 수 있는 구성이다.
여기서, 상기 선별망(5)의 좌우측에 가이드 부재(30)가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 부재(30)의 내부에는 조절 선별망(10)의 받침부재(31)가 수용되어 조절 선별망(10)을 지지하면서 이동시 가이드 기능을 할 수 있는 구성이다.
그리고, 조절 선별망(11)의 전후진 작동은 조절 선별망(10)에 조립된 브래킷(21)과 나사 결합된 조절나사(22)의 작용으로 이루어진다.
즉, 조절나사(22)를 회전시키는 경우 조절 선별망(10)은 전진 및 후진되면서 선별망(5)의 타공부(11) 공간을 밀폐 또는 개방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조절나사(22)는 지지 플레이트(20)에 형성된 너트(25)와 조립구(24)를 관통한 후 브래킷(21)의 고정구(23)에 나사 결합될 수 있는 구성이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용을 도면과 같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은 본 발명의 요부인 선별망을 발췌하여 확대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여기서, 선별망(5)의 좌우측에 가이드 부재(30)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가이드 부재(30)의 내부에는 조절 선별망(10)의 받침부재(31)가 수용되는 구성이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부재(30) 내부에 수용되어진 받침부재(31)는 전진 및 후진하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요부를 발췌하여 확대한 상태의 측면도이다.
여기서, 가이드 부재(30)는 조절 선별망(10)에 형성된 받침부재(31)를 지지하면서 조절 선별망(10) 이동시 가이드 기능을 하게 된다.
이때, 조절 선별망(10)에 형성된 타공부(11)는 이동하면서 선별망(5)에 형성된 타공부(7)의 공간 틈새를 조절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요부인 조절 선별망이 조립된 상태의 정면도이다.
여기서, 조절나사(22)는 지지 플레이트(20)에 형성된 너트(25)와 조립구(24)를 관통한 후 브래킷(21)의 고정구(23)에 나사 결합된다.
즉, 조절나사(22)를 작동시키면 브래킷(21)과 일체로 고정된 조절 선별망(10)은 전진 또는 후진 되면서 타공부(11)를 움직일 수 있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요부인 조절 선별망이 작동되는 상태의 정면도이다.
여기서, 조절 선별망(10)의 타공부(11)와 선별망(5)의 타공부(7)는 밀착됨과 함께 상기 조절 선별망(11)의 전후진 작동에 의해 상기 선별망(5)의 타공부(7) 공간 틈새를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조절 선별망(11)의 전후진 작동은 조절 선별망(10)에 조립된 브래킷(21)과 일체로 고정된 조절나사(22)의 작용으로 이루어진다.
도 5는 본 발명의 요부가 조립된 상태의 정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요부가 조립된 상태의 측면도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음식물 파쇄기(100)는 쓰레기가 투입되는 투입호퍼(1)와; 상기 투입호퍼(1) 하단에 형성되어 투입된 쓰레기를 파쇄하는 다수개의 고정칼날(2)과, 상기 고정칼날(2)이 조립 고정되는 주축(3)과, 상기 주축(3)을 회전시키는 모터(4)와; 상기 고정칼날(2)에 의해 분쇄된 음식물 수분이 배출되는 타공부(7)를 갖는 선별망(5)과, 상기 선별망(5)의 타공부(7)을 통하여 배출되는 쓰레기 입자가 쌓여 빠져나가는 배출구(6)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선별망(5)의 하측에는 타공부(11)를 갖는 조절 선별망(10)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조절 선별망(10)의 타공부(11)와 선별망(5)의 타공부(7)는 밀착됨과 함께 상기 조절 선별망(10)의 전후진 작동에 의해 상기 선별망(5)의 타공부(7) 공간 틈새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여기서, 상기 선별망(5)의 하측에 타공부(11)를 갖는 조절 선별망(10)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조절 선별망(10)의 타공부(11)와 선별망(5)의 타공부(7)는 밀착됨과 함께 상기 조절 선별망(10)의 전후진 작동에 의해 상기 선별망(5)의 타공부(7) 공간 틈새를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선별망(5)의 가이드 부재(30)와 조절 선별망(10)의 받침부재(31) 없이도 본 발명은 작동이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음식물쓰레기와 같이 냄새가 나거나 사람이 직접 다루기 꺼리는 재료를 자원화하기 위하여 가공시 발생하는 가루와 냄새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였고, 공정을 단순화하면서 위생적으로 효율성 있게 쓰레기의 이물질 선별 및 음식물 쓰레기 파쇄가 동시에 이루어져 작업시간이 단축되고 안정성이 높을 뿐만 아니라 운전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그리고, 음식물 쓰레기 수분등이 배출되는 선별망 타공부의 배출공간을 조절하여 파쇄기로부터 낙하되는 음식물의 배출량을 조절할 수 있음과 함께 파쇄되는 쓰레기의 종류에 따라 배출공간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요소들도 결합 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 되어야 한다.
1. 투입호퍼 2. 고정칼날
3. 주축 4. 모터
5. 선별망 6. 배출구
7. 타공부
10. 조절 선별망 11. 타공부
20. 지지 플레이트 21. 브래킷
22. 조절나사 23. 고정구
24. 조립구 25. 너트
30. 가이드 부재 31. 받침부재
100. 음식물 파쇄기

Claims (4)

  1.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의 상면에 배치되어, 본체 내부로 쓰레기를 투입하는 투입호퍼(1);
    상기 본체 내부에 수용되되, 상기 투입호퍼(1)의 하측에 배치되어 투입된 쓰레기를 파쇄하는 복수의 고정칼날(2);
    상기 고정칼날(2)이 조립 고정되는 주축(3);
    상기 주축(3)을 회전시키는 모터(4);
    상기 본체 내부에 수용되되, 상기 복수의 고정칼날(2)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복수의 고정칼날(2)에 의해 분쇄된 음식물이 배출되는 타공부(7)를 갖는 선별망(5);
    상기 선별망(5)의 하측에 밀착되도록 배치되되, 상기 선별망(5)의 타공부(7)와 대응하는 타공부(11)를 갖는 조절 선별망(10);
    상기 본체의 하측에 배치되되, 상면이 상기 본체의 하면과 연통되어 쓰레기 입자가 빠져나가는 배출구(6);
    상기 조절 선별망(10)의 타공부(11)와 선별망(5)의 타공부(7)는 밀착됨과 함께 상기 조절 선별망(10)의 전후진 작동에 의해 상기 선별망(5)의 타공부(7) 공간 틈새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조절 선별망(10)의 전후진 작동은 조절 선별망(10)에 조립된 브래킷(21)에 나사 결합된 조절나사(22)의 작용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조절나사(22)는 지지 플레이트(20)에 형성된 너트(25)와 조립구(24)를 관통한 후 브래킷(21)의 고정구(23)에 조립되어 작동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선별망(5)의 좌우측에 가이드 부재(30)가 형성되되, 상기 가이드 부재(30)는 받침부재(31)와 일체로 조립되어 조절 선별망(10)을 지지하면서 이동시 가이드 기능을 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상기 선별망(5) 및 조절 선별망(10)은 반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선별망(5)의 좌우 양단이 상기 본체의 좌우 내면에 밀착되고, 상기 조절 선별망(10)의 양단이 상기 가이드부재(30) 및 받침부재(31) 사이 배치되어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배출구(6)는 하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좁아지는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별망 조절장치를 가지는 음식물 파쇄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70069276A 2017-06-02 2017-06-02 선별망 조절장치를 가지는 음식물 파쇄기 KR1018526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9276A KR101852612B1 (ko) 2017-06-02 2017-06-02 선별망 조절장치를 가지는 음식물 파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9276A KR101852612B1 (ko) 2017-06-02 2017-06-02 선별망 조절장치를 가지는 음식물 파쇄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2612B1 true KR101852612B1 (ko) 2018-04-27

Family

ID=620816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9276A KR101852612B1 (ko) 2017-06-02 2017-06-02 선별망 조절장치를 가지는 음식물 파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261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772549A (zh) * 2023-08-22 2023-09-19 科泰(山东)健康营养有限公司 一种粉状食品加工用干燥设备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26736A (ja) * 1998-10-28 2000-05-09 Seirei Ind Co Ltd 生ゴミ処理機の発酵槽
JP2006061821A (ja) * 2004-08-26 2006-03-09 Yanmar Co Ltd 有機性廃棄物の処理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26736A (ja) * 1998-10-28 2000-05-09 Seirei Ind Co Ltd 生ゴミ処理機の発酵槽
JP2006061821A (ja) * 2004-08-26 2006-03-09 Yanmar Co Ltd 有機性廃棄物の処理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772549A (zh) * 2023-08-22 2023-09-19 科泰(山东)健康营养有限公司 一种粉状食品加工用干燥设备
CN116772549B (zh) * 2023-08-22 2023-10-13 科泰(山东)健康营养有限公司 一种粉状食品加工用干燥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8146643U (zh) 一种有机垃圾集中处理设备
CN110538860B (zh) 一种环保工程用垃圾处理装置
KR101438024B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20170133452A (ko) 재활용 기기
KR100523873B1 (ko) 음식물 쓰레기의 자원화 설비장치와 방법
KR101852612B1 (ko) 선별망 조절장치를 가지는 음식물 파쇄기
KR20160043283A (ko) 음식물 쓰레기용 분쇄기 및 이를 포함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290002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0811437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853881B1 (ko) 무폐수, 무악취의 음식물쓰레기 처리방법 및 그 처리시스템
KR20110004867U (ko) 야채 쓰레기 처리장치
KR20150045710A (ko) 가연성 폐기물을 이용한 srf 제조방법
CN210585152U (zh) 一种餐厨垃圾筛分装置
KR100729956B1 (ko) 음식쓰레기 일괄 처리장치
KR100343095B1 (ko) 음식물쓰레기의 감량 사료화 처리장치 및 그 처리방법
US11890656B2 (en) Process for recovering organics from material recovery facility fines
KR100202428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097170B1 (ko) 차량이동식 음식물 쓰레기 연료화 장치
JP2005058923A (ja) プラスチックごみの分離回収方法
CN210410955U (zh) 一种餐余垃圾滚筛破碎分离装置
KR101494101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0426977B1 (ko) 음식물쓰레기처리장치
CN203091040U (zh) 城市生活垃圾分选处理设备
KR101114315B1 (ko) 음식물 쓰레기 재활용 방법
KR102381139B1 (ko) 음식물쓰레기의 협잡물 파쇄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