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39254A - 송신 노드 및 버퍼 상태 보고 방법 - Google Patents

송신 노드 및 버퍼 상태 보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39254A
KR20160039254A KR1020167005130A KR20167005130A KR20160039254A KR 20160039254 A KR20160039254 A KR 20160039254A KR 1020167005130 A KR1020167005130 A KR 1020167005130A KR 20167005130 A KR20167005130 A KR 20167005130A KR 20160039254 A KR20160039254 A KR 201600392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lc
entity
buffer
entities
rlc ent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051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69114B1 (ko
Inventor
타오 장
보 린
Original Assignee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600392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92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91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91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278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using buffer status repo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1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up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th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25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per individual bearer or channel
    • H04W72/1284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송신 노드 및 버퍼 상태 보고방법이 서술된다. 상기 방법은: 송신 노드에 포함되어 있는 적어도 2개의 RLC 엔티티를 적어도 하나의 제1 RLC 엔티티 및 하나의 제2 RLC 엔티티로서 분류하는 단계 - 모든 RLC 엔티티는 송신 노드에 포함되어 있는 PDCP 엔티티와 연관되어 있음 - ; 상기 제1 RLC 엔티티의 버퍼가 송신될 데이터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1 RLC 엔티티의 버퍼 내의 송신될 데이터의 크기에 기초해서 제1 버퍼 상태 보고(buffer status report, BSR)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BSR을 상기 제1 RLC 엔티티에 대응하는 수신 노드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1 RLC 엔티티 및 제2 RLC 엔티티의 분류에 의해, 제2 RLC 엔티티는 PDCP 엔티티의 버퍼 상태 보고와 배타적으로 연관된다. 본 발명에 따른 송신 노드 및 버퍼 상태 보고 방법에서, PDCP 엔티티의 버퍼 내에 송신될 데이터가 존재할 때, 대응하는 송신 자원을 상기 송신될 데이터에 할당하도록 하나의 수신 노드만이 촉발되며, 이에 의해 송신 노드와 수신 노드가 일대다 대응관계에 있는 무선 네트워크상에서 송신 자원의 낭비를 효과적으로 회피한다.

Description

전송 노드 및 전송 노드의 버퍼 상태 보고 방법{TRANSMISSION NODE AND METHOD FOR REPORTING BUFFER STATUS THEREOF}
본 발명은 무선 네트워크에 관한 것이며, 특히 무선 네트워크 내의 송신 노드 및 버퍼 상태 보고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무선 네트워크에서는 송신 노드가 수신 노드와 일대일 대응관계(one-to-one correspondence)에 있으며, 즉 하나의 송신 노드가 하나의 수신 노드에만 데이터를 송신한다. 또한, 송신될 데이터는 송신 노드 안의 버퍼에 저장되어 있는데, 예를 들어, 패킷 데이터 컨버전스 프로토콜(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PDCP) 엔티티의 버퍼 및 무선 링크 제어(Radio Link Control, RLC) 엔티티의 버퍼에 저장되어 있으며, 여기서 RLC 엔티티는 RPCP 엔티티와 연관되어 있다.
무선 네트워크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송신 노드 및 수신 노드는 일대다 대응관계(one-to-many correspondence)에 있을 수 있게 되었는데, 즉 송신 노드가 2 이상의 수신 노드에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송신 노드는 일반적으로 2 이상의 수신 노드와 각각 대응하는 2 이상의 RLC 엔티티를 포함하고, 2 이상의 RLC 엔티티는 모두 RPCP 엔티티와 연관되어 있다.
예를 들어, 송신 노드가 수신 노드에 데이터를 송신하는 경우, 송신 노드는 수신 노드 A 및 B에 각각 대응하는 RLC 엔티티 A 및 B를 포함하고, RLC 엔티티 A 및 B는 모두 PDCP 엔티티와 연관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데이터를 송신하기 전에, 송신 노드는 수신 노드에 버퍼 상태를 보고하여 송신 자원을 할당하도록 수신 노드에 요구해야 하며, 여기서 버퍼 상태는 송신될 데이터의 크기를 나타낸다. 종래기술에서는, 송신 노드와 수신 노드가 일대다 대응관계에 있는 경우, 모든 RLC 엔티티는 PDCP 엔티티와 연관되어 있기 때문에, PDCP 엔티티의 버퍼 내에 송신될 데이터가 있으면 모든 수신 노드에 대한 버퍼 상태 보고(Buffer Status Report, BSR)가 촉발되며, 그 결과, 모든 수신 노드가 데이터의 이 부분에 대해 송신 요구를 할당하며, 이에 의해 자원이 낭비하게 된다.
예를 들어, 송신 노드가 수신 노드 A 및 B에 데이터를 송신하는 경우, PDCP 엔티티 내에 송신될 데이터가 존재하면, 송신 노드는 BSR A 및 B를 촉발한다. PDCP 엔티티의 버퍼 및 RLC 엔티티 A의 버퍼 내의 송신될 데이터의 크기에 기초하여, 수신 노드 A에 버퍼 상태를 보고하는 데 BSR A를 사용한다. PDCP 엔티티의 버퍼 및 RLC 엔티티 B의 버퍼 내의 송신될 데이터의 크기에 기초하여, 수신 노드 B에 버퍼 상태를 보고하는 데 BSR B를 사용한다.
BSR A 및 B 모두는 PDCP 엔티티의 버퍼 내의 송신될 데이터의 크기를 계산하기 때문에, 수신 노드 A 및 B 모두는 PDCP 엔티티의 버퍼 내의 송신될 데이터에 송신 자원을 할당하며, 이것은 당연히 낭비를 초래한다.
이를 감안하여,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문제는 송신 노드와 수신 노드가 일대다 대응관계에 있는 경우에 송신 자원의 낭비를 어떻게 피할 수 있느냐이다.
전술한 기술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1 관점에 따라, 버퍼 상태 보고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버퍼 상태 보고 방법은 패킷 데이터 컨버전스 프로토콜(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PDCP) 엔티티 및 적어도 2개의 무선 링크 제어(Radio Link Control, RLC) 엔티티를 포함하는 송신 노드에 적용되고, 상기 적어도 2개의 RLC 엔티티는 모두 상기 PDCP 엔티티와 연관되어 있다. 상기 버퍼 상태 보고 방법은: 상기 적어도 2개의 RLC 엔티티를 적어도 하나의 제1 RLC 엔티티 및 하나의 제2 RLC 엔티티로서 분류하는 단계; 상기 제1 RLC 엔티티의 버퍼가 송신될 데이터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1 RLC 엔티티의 버퍼 내의 송신될 데이터의 크기에 기초해서 제1 버퍼 상태 보고(buffer status report, BSR)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BSR을 상기 제1 RLC 엔티티에 대응하는 수신 노드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전술한 버퍼 상태 보고 방법에 있어서,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상기 버퍼 상태 보고 방법은: 상기 PDCP 엔티티 및/또는 제2 RLC 엔티티의 버퍼가 송신될 데이터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PDCP 엔티티의 버퍼 및 상기 제2 RLC 엔티티의 버퍼 내의 송신될 데이터의 크기에 기초해서 제2 BSR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BSR을 상기 제2 RLC 엔티티에 대응하는 수신 노드에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전술한 버퍼 상태 보고 방법에 있어서, 제1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상기 적어도 2개의 RLC 엔티티를 적어도 하나의 제1 RLC 엔티티 및 하나의 제2 RLC 엔티티로서 분류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버퍼 상태 보고 방법은: 수신 노드로부터 제1 지시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지시는 상기 적어도 2개의 RLC 엔티티 중에서 제어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protocol data unit, PDU)을 송신하는 데만 사용되는 RLC 엔티티를 지정하는 데 사용되며, 그리고 상기 적어도 2개의 RLC 엔티티를 적어도 하나의 제1 RLC 엔티티 및 하나의 제2 RLC 엔티티로서 분류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지시에 의해 지정된 RLC 엔티티를 상기 제1 RLC 엔티티로서 분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전술한 버퍼 상태 보고 방법에 있어서, 제1 가능하나 실시 방식에서, 상기 적어도 2개의 RLC 엔티티를 적어도 하나의 제1 RLC 엔티티 및 하나의 제2 RLC 엔티티로서 분류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버퍼 상태 보고 방법은: 수신 노드로부터 제2 지시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지시는 상기 적어도 2개의 RLC 엔티티 중에서 상기 PDCP 엔티티에 의해 교부된 PDU를 송신하는 데 사용되는 RLC 엔티티를 지정하는 데 사용되며, 그리고 상기 적어도 2개의 RLC 엔티티를 적어도 하나의 제1 RLC 엔티티 및 하나의 제2 RLC 엔티티로서 분류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지시에 의해 지정된 RLC 엔티티를 상기 제2 RLC 엔티티로서 분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전술한 버퍼 상태 보고 방법에 있어서, 제1 가능하나 실시 방식에서, 상기 적어도 2개의 RLC 엔티티는 모두 동일한 베어러 상에서 상기 PDCP 엔티티와 연관되어 있다.
전술한 버퍼 상태 보고 방법에 있어서, 제1 가능하나 실시 방식에서, 상기 적어도 2개의 RLC 엔티티는 모두 응신 모드(acknowledged mode: AM)에 있거나, 모두 비응신 모드(unacknowledged mode: UM)에 있거나; 또는 상기 적어도 2개의 RLC 엔티티 중 일부는 AM에 있고 상기 적어도 2개의 RLC 엔티티 중 다른 일부는 UM에 있다.
전술한 버퍼 상태 보고 방법에 있어서, 제1 가능하나 실시 방식에서, 상기 송신 노드는 단말, 기지국, 또는 액세스 포인트이다.
전술한 기술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2 관점에 따라, 송신 노드가 제공된다. 상기 송신 노드는 패킷 데이터 컨버전스 프로토콜(PDCP) 엔티티 및 적어도 2개의 무선 링크 제어(RLC) 엔티티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2개의 RLC 엔티티는 모두 상기 PDCP 엔티티와 연관되어 있다. 상기 송신 노드는: 상기 적어도 2개의 RLC 엔티티를 적어도 하나의 제1 RLC 엔티티 및 하나의 제2 RLC 엔티티로서 분류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구성 유닛; 상기 구성 유닛에 접속되어 있으며, 상기 제1 RLC 엔티티의 버퍼가 송신될 데이터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1 RLC 엔티티의 버퍼 내의 송신될 데이터의 크기에 기초해서 제1 BSR을 생성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생성 유닛; 및 상기 생성 유닛에 접속되어 있고, 상기 제1 BSR을 상기 제1 RLC 엔티티에 대응하는 수신 노드에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송신 유닛을 더 포함한다.
전술한 송신 노드에 있어서, 제1 가능하나 실시 방식에서, 상기 구성 유닛은, 상기 PDCP 엔티티 및/또는 제2 RLC 엔티티의 버퍼가 송신될 데이터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PDCP 엔티티의 버퍼 및 상기 제2 RLC 엔티티의 버퍼 내의 송신될 데이터의 크기에 기초해서 제2 BSR을 생성하도록 추가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송신 유닛은 상기 제2 BSR을 상기 제2 RLC 엔티티에 대응하는 수신 노드에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전술한 송신 노드에 있어서, 제1 가능하나 실시 방식에서, 상기 구성 유닛에 접속되어 있는 제1 수신 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수신 유닛은 수신 노드로부터 제1 지시를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지시는 상기 적어도 2개의 RLC 엔티티 중에서 제어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PDU)을 송신하는 데만 사용되는 RLC 엔티티를 지정하는 데 사용되며, 그리고 상기 구성 유닛은 상기 제1 지시에 의해 지정된 RLC 엔티티를 상기 제1 RLC 엔티티로서 분류하도록 추가로 구성되어 있다.
전술한 송신 노드에 있어서, 제1 가능하나 실시 방식에서, 상기 구성 유닛에 접속되어 있는 제2 수신 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수신 유닛은 수신 노드로부터 제2 지시를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 지시는 상기 적어도 2개의 RLC 엔티티 중에서 상기 PDCP 엔티티에 의해 교부된 PDU를 송신하는 데 사용되는 RLC 엔티티를 지정하는 데 사용되며, 그리고 상기 구성 유닛은 상기 제2 지시에 의해 지정된 RLC 엔티티를 상기 제2 RLC 엔티티로서 분류하도록 추가로 구성되어 있다.
전술한 송신 노드에 있어서, 제1 가능하나 실시 방식에서, 상기 적어도 2개의 RLC 엔티티는 모두 동일한 베어러 상에서 상기 PDCP 엔티티와 연관되어 있다.
전술한 송신 노드에 있어서, 제1 가능하나 실시 방식에서, 상기 적어도 2개의 RLC 엔티티는 모두 응신 모드(AM)에 있거나, 모두 비응신 모드(UM)에 있거나; 또는 상기 적어도 2개의 RLC 엔티티 중 일부는 AM에 있고 상기 적어도 2개의 RLC 엔티티 중 다른 일부는 UM에 있다.
전술한 송신 노드에 있어서, 제1 가능하나 실시 방식에서, 상기 송신 노드는 단말, 기지국, 또는 액세스 포인트이다.
본 발명의 제1 관점 및 제1 관점에 따르면, 송신 노드와 수신 노드가 일대다 대응관계에 있는 경우, 즉 송신 노드가 PDCP 엔티티 및 적어도 2개의 RLC 엔티티를 포함하는 경우, 송신 노드의 모든 RLC 엔티티를 적어도 하나의 제1 RLC 엔티티 및 하나의 제2 RLC 엔티티로서 분류함으로써, 여기서 제2 RLC 엔티티는 PDCP 엔티티의 버퍼 상태 보고와 연관되어 있는 단지 하나의 RLC 엔티티이고, 하나의 수신 노드만이 PDCP 엔티티의 버퍼 내의 송신될 데이터에 송신 자원을 할당하고, 이에 의해 송신 자원의 낭비를 효과적으로 회피할 수 있다.
전술한 기술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3 관점에 따라, 버퍼 상태 보고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버퍼 상태 보고 방법은 패킷 데이터 컨버전스 프로토콜(PDCP) 엔티티 및 적어도 2개의 무선 링크 제어(RLC) 엔티티를 포함하는 송신 노드에 적용되고, 상기 적어도 2개의 RLC 엔티티는 모두 상기 PDCP 엔티티와 연관되어 있다. 상기 버퍼 상태 보고 방법은: 상기 RLC 엔티티 중 어느 하나 또는 상기 PDCP 엔티티의 버퍼가 송신될 데이터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적어도 2개의 RLC 엔티티의 버퍼 및 상기 PDCP 엔티티의 버퍼 내의 송신될 데이터의 크기에 기초해서 제1 버퍼 상태 보고(buffer status report, BSR)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BSR을 상기 RLC 엔티티 중 어느 하나에 대응하는 수신 노드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전술한 버퍼 상태 보고 방법에 있어서,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상기 적어도 2개의 RLC 엔티티는 모두 동일한 베어러 상에서 상기 PDCP 엔티티와 연관되어 있다.
전술한 버퍼 상태 보고 방법에 있어서,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상기 적어도 2개의 RLC 엔티티는 모두 응신 모드(AM)에 있거나, 모두 비응신 모드(UM)에 있거나; 또는 상기 적어도 2개의 RLC 엔티티 중 일부는 AM에 있고 상기 적어도 2개의 RLC 엔티티 중 다른 일부는 UM에 있다.
전술한 버퍼 상태 보고 방법에 있어서,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상기 송신 노드는 단말, 기지국, 또는 액세스 포인트이다.
전술한 기술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4 관점에 따라, 송신 노드가 제공된다. 상기 송신 노드는 패킷 데이터 컨버전스 프로토콜(PDCP) 엔티티 및 적어도 2개의 무선 링크 제어(RLC) 엔티티를 포함하는 송신 노드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2개의 RLC 엔티티는 모두 상기 PDCP 엔티티와 연관되어 있다. 상기 송신 노드는: 상기 RLC 엔티티 중 어느 하나 또는 상기 PDCP 엔티티의 버퍼가 송신될 데이터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적어도 2개의 RLC 엔티티의 버퍼 및 상기 PDCP 엔티티의 버퍼 내의 송신될 데이터의 크기에 기초해서 제1 버퍼 상태 보고(buffer status report, BSR)를 생성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생성 유닛; 및 상기 제1 BSR을 상기 RLC 엔티티 중 어느 하나에 대응하는 수신 노드에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송신 유닛을 더 포함한다.
전술한 송신 노드에 있어서,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상기 송신 노드는 상기 적어도 2개의 RLC 엔티티는 모두 동일한 베어러 상에서 상기 PDCP 엔티티와 연관되어 있다.
전술한 버퍼 상태 보고 방법에 있어서,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상기 적어도 2개의 RLC 엔티티는 모두 응신 모드(AM)에 있거나, 모두 비응신 모드(UM)에 있거나; 또는 상기 적어도 2개의 RLC 엔티티 중 일부는 AM에 있고 상기 적어도 2개의 RLC 엔티티 중 다른 일부는 UM에 있다.
전술한 버퍼 상태 보고 방법에 있어서,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상기 송신 노드는 단말, 기지국, 또는 액세스 포인트이다.
본 발명의 제3 관점 및 제4 관점에 따르면, 송신 노드와 수신 노드가 일대다 대응관계에 있는 경우, 즉 송신 노드가 PDCP 엔티티 및 적어도 2개의 RLC 엔티티를 포함하는 경우, RLC 엔티티 또는 PDCP 엔티티 중 어느 하나의 버퍼 내에 송신될 데이터가 있을 때 촉발되는 BSR은 RLC 엔티티 및 PDCP 엔티티 모두의 버퍼 내에 송신될 데이터의 크기에 기초하여 생성되며, 그 생성된 BSR은 RLC 엔티티 중 어느 하나에 대응하는 수신 노드에 송신된다. 그러므로 하나의 수신 노드만이 PDCP 엔티티의 버퍼 내의 송신될 데이터에 송신 자원을 할당하고, 이에 의해 송신 자원의 낭비를 효과적으로 회피할 수 있다.
이하의 첨부 도면에서의 예시적 실시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에 따라,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관점이 더 명확하게 된다.
명세서와 함께 명세서의 일부의 형태로 포함되어 있는 첨부 도면은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 특징, 및 관점을 도시하며, 본 발명의 원리를 설명하는 데 사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버퍼 상태 보고 방법에 적용 가능한 시스템에 대한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신 노드에 대한 블록 구조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버퍼 상태 보고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송신 노드에 대한 블록 구조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송신 노드에 대한 블록 구조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버퍼 상태 보고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송신 노드에 대한 블록 구조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예시적 실시예, 특징, 및 관점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 도면 중의 동일한 참조부호는 기능이 동일한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다양한 관점이 첨부 도면에 도시되어 있으며, 달리 설명하지 않는 한 첨부 도면은 축척대로 도시되어 있지 않다.
여기서 배타적으로 사용되는 "예시적"이란 "예 또는 실시예로서 사용되는 또는 설명을 목적을 위한" 것임을 의미한다. "예시적" 목적을 위해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다른 실시예보다 우수하거나 더 낫다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을 더 잘 이해하기 위해, 이하의 특정한 실시 방식에서 많은 특정한 설명이 제공된다. 당업자라면 소정의 특정한 설명 없이도 본 발명이 실행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일부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당업자에게 잘 알려진 방법, 수단, 구성요소, 및 회로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요지를 명확하게 하기 위해 상세히 설명되지 않는다.
배경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송신 모드와 수신 모드가 일대다 대응관계에 있는 경우, 즉 송신 노드가 하나의 PDCP 엔티티 및 이 PDCP 엔티티와 모두 연관되어 있는 복수의 RLC 엔티티를 포함하는 경우, PDCP 엔티티의 버퍼 내에 송신될 데이터가 있을 때, 모든 수신 노드에 대한 BSR이 일반적으로 촉발되고, 그 결과, 모든 수신 노드가 데이터의 이 부분에 대해 송신 자원을 할당하며, 이에 의해 송신 자원의 낭비가 초래된다. 이러한 종류의 송신 자원의 낭비를 회피하기 위해, 발명자는 송신 노드에 포함되어 있는 모든 RLC 엔티티 중 하나의 RLC가 PDCP 엔티티의 버퍼 상태 보고와 배타적으로 연관되어 있는 제2 RLC 엔티티로서 지정될 수 있다는 것을 창조적으로 제안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버퍼 상태 보고 방법에 적용 가능한 시스템에 대한 개략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신 노드(100)가 N개의 수신 노드(200-1 내지 200-N)에 대응하는 경우, 송신 노드(100)는 PDCP 엔티티(110) 및 적어도 2개의 RLC 엔티티(120-1 내지 120-N)를 포함하고, 송신 노드(100) 내의 RLC 엔티티(120)는 하나의 제1 RLC 엔티티 및 하나의 제2 RLC 엔티티로 분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RLC 엔티티(120-2 내지 120-N)는 제1 RLC 엔티티로 분류되고, RLC 엔티티(120-1)는 제2 RLC 엔티티로 분류된다.
RLC 엔티티(120-1 내지 120-N)는 수신 노드(200-1 내지 200-N)에 각각 대응하고 N은 2보다 크거나 같은 양의 정수이다. 모든 RLC 엔티티(120-2 내지 120-N)는 PDCP 엔티티(110)와 연관되어 있다. 예를 들어, PDCP 엔티티(110)는 동일한 베어러 상의 모든 RLC 엔티티(120-2 내지 120-N)와 연관되어 있다. 또한, RLC 엔티티(120-2 내지 120-N)는 모두 응신 모드(Acknowledged Mode: AM)에 있을 수 있거나, 모두 비응신 모드(Unacknowledged Mode: UM)에 있을 수 있거나; 또는 심지어 RLC 엔티티(120-2 내지 120-N) 중 일부는 AM에 있을 수 있고 RLC 엔티티(120-2 내지 120-N) 중 다른 일부는 UM에 있다.
제1 RLC 엔티티 및 제2 RLC 엔티티의 분류에 의해, 제1 RLC 엔티티에 대응하는 수신 노드에 송신될 BSR(이하 제1 BSR이라 한다)의 촉발 조건은 PDCP 엔티티의 버퍼 상태와는 독립적으로 설정될 수 있고, 즉, 제1 BSR의 촉발 조건은 "제1 RLC 엔티티의 버퍼 내에 송신될 데이터가 존재한다"는 것으로 설정된다. 이 방법에서, 제1 RLC 엔티티의 버퍼가 송신될 데이터를 포함하는 경우에만, 제1 BSR은 제1 RLC 엔티티의 버퍼 내의 송신될 데이터의 크기에 기초하여 생성되며, 그 생성된 제1 BSR은 제1 RLC 엔티티에 대응하는 수신 노드에 송신된다. 즉, PDCP 엔티티의 버퍼가 송신될 데이터를 포함하는 경우, 제2 RLC 엔티티에 대응하는 수신 노드만이 대응하는 송신 자원을 할당하도록 촉발되며, 이에 의해 송신 자원의 낭비를 효과적으로 회피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신 노드에 대한 블록 구조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신 노드(100)는 하나의 PDCP 엔티티(110) 및 N개의 RLC 엔티티(120-1 내지 120-N)를 포함하며, N개의 수신 노드(200-1 내지 200-N)에 데이터를 송신하며, 여기서 N은 2보다 크거나 같은 양의 정수이다. 즉,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 따른 송신 노드(100)는 송신 노드와 수신 노드가 일대다 대응관계에 있는 무선 네트워크 아키텍처에 적용 가능하다.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송신 노드(100) 및 수신 노드(200)는 모두 단말, 기지국, 또는 액세스 포인트일 수 있다.
송신 자원의 할당 시에 자원의 낭비를 효과적으로 회피하기 위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신 노드(100)는 구성 유닛(130), 생성 유닛(140), 및 송신 유닛(1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성 유닛(130)은 PDCP 엔티티(110) 및 모든 RLC 엔티티(120-1 내지 120-N)에 접속되고, 모든 RLC 엔티티(120-1 내지 120-N)를 적어도 하나의 제1 RLC 엔티티(도 2에 120-2 내지 120-N으로 표시됨)로서 분류하도록 주로 구성되어 있으며, 여기서 제2 RLC 엔티티(120-1)는 PDCP 엔티티(110)의 버퍼 상태 보고와 연관되어 있는 유일한 RLC 엔티티이다. 생성 유닛(140)은 구성 유닛(130) 및 제1 RLC 엔티티(120-2 내지 120-N)에 접속되고, 제1 RLC 엔티티(120-2 내지 120-N)의 버퍼가 송신될 데이터를 포함하는 경우, 제1 RLC 엔티티(120-2 내지 120-N)의 버퍼 내의 송신될 데이터에 크기에 기초하여 제1 BSR을 생성하도록 주로 구성되어 있다. 송신 유닛(150)은 생성 유닛(140) 및 수신 노드(200-2 내지 200-N)에 접속되고, 생성 유닛(140)에 의해 생성된 제1 BSR을 제1 RLC 엔티티(120-2 내지 120-N)에 대응하는 수신 노드(200-2 내지 200-N)에 송신하도록 주로 구성되어 있다.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생성 유닛(140)은 PDCP 엔티티(110) 및 제2 RLC 엔티티(120-1)에 추가로 접속될 수 있으며, PDCP 엔티티(110) 및 제2 RLC 엔티티(120-1)의 버퍼가 송신될 데이터를 포함하는 경우, PDCP 엔티티(110) 및 제2 RLC 엔티티(120-1)의 버퍼 내의 송신될 데이터의 크기에 기초하여 제2 BSR을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실시 방식에서, 송신 유닛(150)은 생성 유닛(140)에 의해 생성된 제2 BSR을 제2 RLC 엔티티(120-1)에 대응하는 수신 노드(200-1)에 송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특정한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송신 노드(100)는 구성 유닛(130)에 접속되어 있는 제1 수신 유닛(도면의 간략화를 위해 도 2에 도시되어 있지 않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지시는 제어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Protocol Data Unit, PDU)을 송신하는 데만 사용되는 RLC 엔티티를 지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이 특정한 실시 방식에서, 구성 유닛(130)은 제1 지시에 의해 지정된 RLC 엔티티를 제1 RLC 엔티티로서 분류하도록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다른 특정한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송신 노드(100)는 구성 유닛(130)에 접속되어 있는 제2 수신 유닛(도면의 간략화를 위해 도 2에 도시되어 있지 않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수신 유닛은 수신 노드(200-1 내지 200-N)로부터 제2 지시를 수신하도록 주로 구성되어 있다. 제2 지시는 PDCP 엔티티(110)에 의해 교부된 PDU를 송신하는 데 사용되는 RLC 엔티티를 지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이 특정한 실시 방식에서, 구성 유닛(130)은 제2 지시에 의해 지정된 RLC 엔티티를 제2 RLC 엔티티로서 분류하도록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이 방식에서, 구성 유닛을 사용함으로써, 내부에 복수 개 포함되어 있는 RLC 엔티티는: 하나의 RLC 엔티티만이 PDCP 엔티티의 버퍼 상태 보고와 연관되어 있는 것으로 구성된다. 그러므로 PDCP 엔티티의 버퍼 내에 송신될 수 데이터가 있을 때, 대응하는 송신 자원을 이 송신될 데이터에 할당하는 데 하나의 수신 노드만이 촉발된다. 이 실시예에 따라 송신 노드는 송신 노드와 수신 노드가 일대다 대응관계인 경우 송신 자원의 낭비를 효과적으로 회피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버퍼 상태 보고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에 따른 버퍼 상태 보고 방법은 송신 노드와 수신 노드가 일대다 대응관계에 있는, 즉 송신 노드가 하나의 PDCP 엔티티 및 복수의 RLC 엔티티를 포함하는 무선 네트워크 아키텍처에 주로 적용 가능하다. 복수의 RLC 엔티티 내의 각각의 RLC 엔티티는 하나의 수신 노드에 각각 대응한다. PDCP 엔티티는 복수의 RLC 엔티티와 연관되어 있다. 예를 들어, PDCP 엔티티는 동일한 베어러 상의 복수의 RLC 엔티티와 연관된다. 또한, 복수의 RLC 엔티티는 모두 AM에 있을 수 있거나 모두 UM에 있을 수 있거나, 또는 심지어 복수의 RLC 엔티티 중 일부가 AM에 있을 수 있고 복수의 RLC 중 다른 일부가 UM에 있다.
이하에서는 도 3에 도시된 버퍼 상태 보고 방법에 대해 도 2에 도시된 송신 노드(100)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퍼 상태 보고 방법은 주로 이하를 포함한다:
단계 S310: 송신 노드(100)(이것은 구체적으로 구성 유닛(130)일 수 있다)는 송신 노드(100) 내의 적어도 2개의 RLC 엔티티(120-1 내지 120-N)를 적어도 하나의 제1 RLC 엔티티 및 하나의 제2 RLC 엔티티로 분류하는데,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RLC 엔티티(120-2 내지 120-N) 및 제2 RLC 엔티티(120-1)로 분류하며, 여기서 제2 엔티티(120-1)는 PDCP 엔티티(100)의 버퍼 상태 보고와 연관되어 있는 유일한 RLDC 엔티티이다.
단계 S320: 송신 노드(100)(이것은 구체적으로 생성 유닛(140)일 수 있다), 제1 RLC 엔티티의 버퍼가 송신될 데이터를 포함하는 경우, 제1 RLC 엔티티의 버퍼 내의 송신될 데이터의 크기에 기초하여 제1 BSR을 생성하고, 제1 BSR을 제1 RLC 엔티티에 대응하는 수신 노드에 송신한다(이것은 송신 유닛(15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특정한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계 S320는 구체적으로 이하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321: 송신 노드(100)(이것은 구체적으로 생성 유닛(140)일 수 있다)는 제1 RLC 엔티티의 버퍼가 송신될 데이터를 포함하는지를 판정한다. 판정의 결과가 예인 경우 단계 S322로 진행한다.
단계 S322: 송신 노드(100)(이것은 구체적으로 생성 유닛(140)일 수 있다)는 제1 RLC 엔티티의 버퍼 내의 송신될 데이터의 크기에 기초하여 제1 BSR을 생성한다. 그런 다음 단계 S323으로 진행한다.
단계 S323: 송신 노드(100)(이것은 구체적으로 송신 유닛(150)일 수 있다)는 그 생성된 제1 BSR을 제1 RLC 엔티티에 대응하는 수신 노드에 송신한다.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퍼 상태 보고 방법은 이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330: 송신 노드(100)(이것은 구체적으로 생성 유닛(140)일 수 있다)는, 제2 RLC 엔티티의 버퍼가 송신될 데이터를 포함하는 경우, 제2 RLC 엔티티의 버퍼 및 PDCP 엔티티의 버퍼 내의 송신될 데이터의 크기에 기초하여 제 BSR을 생성하고, 제2 BSR을 제2 RLC 엔티티에 대응하는 수신 노드에 송신하며, 및/또는
단계 S340: 송신 노드(100)(이것은 구체적으로 생성 유닛(140)일 수 있다), PDCP 엔티티의 버퍼가 송신될 데이터를 포함하는 경우, 제2 RLC 엔티티의 버퍼 및 PDCP 엔티티 버퍼 내의 송신될 데이터의 크기에 기초하여 제2 BSR을 생성하고, 제2 BSR을 제2 RLC 엔티티에 대응하는 수신 노드에 송신한다(이것은 송신 유닛(15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계 S330은 구체적으로 이하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331: 송신 노드(100)(이것은 구체적으로 생성 유닛(140)일 수 있다)는 제2 RLC 엔티티의 버퍼가 송신될 데이터를 포함하는지를 판정한다. 판정의 결과가 예인 경우 단계 S332로 진행한다.
단계 S332: 송신 노드(100)(이것은 구체적으로 생성 유닛(140)일 수 있다)는 제2 RLC 엔티티의 버퍼 및 PDCP 엔티티의 버퍼 내의 송신될 데이터의 크기에 기초하여 제2 BSR을 생성한다. 그런 다음 단계 S333으로 진행한다.
단계 S333: 송신 노드(100)(이것은 구체적으로 송신 유닛(150)일 수 있다)는 그 생성된 제2 BSR을 제2 RLC 엔티티에 대응하는 수신 노드에 송신한다.
또한, 특정한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계 S340은 구체적으로 이하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341: 송신 노드(100)(이것은 구체적으로 생성 유닛(140)일 수 있다)는 PDCP 엔티티의 버퍼가 송신될 데이터를 포함하는지를 판정한다. 판정의 결과가 예인 경우 단계 S342로 진행한다.
단계 S342: 송신 노드(100)(이것은 구체적으로 생성 유닛(140)일 수 있다)는 제2 RLC 엔티티의 버퍼 및 PDCP 엔티티의 버퍼 내의 송신될 데이터의 크기에 기초하여 제2 BSR을 생성한다. 그런 다음 단계 S343으로 진행한다.
단계 S343: 송신 노드(100)(이것은 구체적으로 송신 유닛(150)일 수 있다)는 그 생성된 제2 BSR을 제2 RLC 엔티티에 대응하는 수신 노드에 송신한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송신 노드에 포함되어 있는 복수의 RLC 엔티티 중 하나의 RLC 엔티티만이 PDCP 엔티티의 버퍼 상태 보고와 연관되도록 지정되며, 이에 따라 PDCP 엔티티의 버퍼 내에 송신될 데이터가 있을 때, 대응하는 송신 자원을 그 송신될 데이터에 할당하는 데 하나의 수신 노드만이 촉발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실시예에 따른 전술한 버퍼 상태 보고 방법은 송신 노드와 수신 노드가 일대다 대응관계에 있는 경우에 송신 자원의 낭비를 효과적으로 회피할 수 있다.
도 3은 단계 S320, S330, 및 S340이 순서대로 실행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당업자라면 실제의 실행 순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예를 들어, 단계 S320는 단계 S330 및 단계 S340 후에 실행될 수도 있고, 단계 S330 및 단계 S340과 동시에 실행될 수도 있다. 단계 S330에서의 단계 S332는 단계 S340에서의 단계 S342와도 결합할 수도 있으며, 단계 S330에서의 단계 S333는 단계 S340에서의 단계 S343와도 결합할 수도 있다. 실제로, 단계 S310이 제1 RLC 엔티티 및 제2 RLC 엔티티의 분류를 수행하도록 실행된 후, 단계 S320, S330, 및 S340이 실행되는지는 PDCP 엔티티, 제1 RLC 엔티티, 및 제2 RLC 엔티티의 버퍼 상태의 버퍼 상태에 주로 의존하고, 다른 단계가 이미 실행되었는지는 독립적이다.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송신 노드(100)는 제1 RLC 엔티티 및 제2 RLC 엔티티의 분류를 임의로 수행할 수 있으며, 즉 RLC 엔티티(120-1 내지 120-N) 중 어느 RLC 엔티티를 제2 RLC 엔티티로서 임의로 지정할 수 있고 다른 RLC 엔티티를 제1 RLC 엔티티로서 지정할 수 있다.
다른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송신 노드(100)는 미리 정해진 규칙에 따라 제1 RLC 엔티티 및 제2 RLC 엔티티의 분류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송신 노드(100)는 번호에 따라, RLC 엔티티(120-1 내지 120-N) 중 가장 작은 번호를 가지는 RLC 엔티티를 제2 RLC 엔티티로서 지정할 수 있고, 다른 RLC 엔티티를 제1 RLC 엔티티로서 지정한다. 대안으로, 송신 노드(100)는 버퍼 용량에 따라, RLC 엔티티(120-1 내지 120-N) 중 최대 버퍼 용량을 가지는 RLC 엔티티를 제2 RLC 엔티티로서 지정할 수 있고, 다른 RLC 엔티티를 제1 RLC 엔티티로서 지정한다.
또 다른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송신 노드(100)는 수신 노드(200-1 내지 200-N의 지식에 따라 제1 RLC 엔티티 및 제2 RLC 엔티티의 분류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송신 노드(100)는 수신 노드(200-1 내지 200-N)로부터 제1 지시를 수신할 수 있고, 여기서 제1 지시는 제어 PDU를 송신하는 데만 사용되는 RLC 엔티티를 지정하는 데 사용된다. 이 경우, 단계 S310에서, 송신 노드(이것은 구체적으로 구성 유닛(130)일 수 있다)는 제1 지시에 의해 지정된 RLC 엔티티를 제1 RLC 엔티티로서 분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송신 노드(100)는 수신 노드(200-1 내지 200-N)로부터 제2 지시를 수신할 수 있으며, 여기서 제2 지시는 PDCP 엔티티에 의해 교부된 PDU를 송신하는 데 사용되는 RLC 엔티티를 지정하는 데 사용된다. 이 경우, 단계 S310에서, 송신 노드(100)(이것은 구체적으로 구성 유닛(130)일 수 있다)는 제2 지시에 의해 지정된 RLC 엔티티를 제2 RLC 엔티티로서 분류하고, 다른 RLC 엔티티를 제1 RLC 엔티티로서 분류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송신 노드에 대한 블록 구조도이다. 송신 노드 장치(400)는 계산 능력이 있는 호스트 서버, 퍼스널 컴퓨터 PC, 포터블 컴퓨터, 단말 등이 될 수 있다. 송신 노드 장치의 특정한 실행은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송신 노드 장치(400)는 프로세서(processor)(410), 통신 인터페이스(Communications Interface)(420), 메모리(memory)(430), 및 버스(440)를 포함한다. 프로세서(410), 통신 버스(420), 및 메모리(430)는 버스(440)를 사용하여 서로 통신한다.
통신 버스(420)는 네트워크 장치와 통신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여기서 네트워크 장치는 예를 들어 가상 머신 관리 센터 또는 공유 메모리를 포함한다.
프로세서(410)는 프로그램을 실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프로세서(410)는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또는 주문형 집적회로(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또는 본 발명의 이 실시예를 실행하도록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집적회로일 수 있다.
메모리(430)는 파일을 저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메모리(430)는 고속 RAM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고, 비휘발성 메모리(non-volatile memory),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디스크 스토리지를 포함할 수도 있다. 메모리(430)는 또한 메모리 어레이일 수도 있다. 메모리(430)는 또한 블록들로 분할될 수 있으며, 블록들은 특정한 규칙에 따라 가상의 볼륨을 형성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특정한 실시 방식에서, 메모리(430)에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은 컴퓨터 연산 명령을 포함하는 프로그램 코드일 수 있다. 프로세서(410)는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구체적으로 이하의 단계: 송신 노드에 포함되어 있는 적어도 2개의 RLC 엔티티를 적어도 하나의 제1 RLC 엔티티 및 하나의 제2 RLC 엔티티로서 분류하는 단계 - 여기서 적어도 2개의 RLC 엔티티는 모두 송신 노드에 포함되어 있는 PDCP 엔티티와 연관되어 있음 - ; 제1 RLC 엔티티의 버퍼가 송신될 데이터를 포함하는 경우, 제1 RLC 엔티티의 버퍼 내의 송신될 데이터의 크기에 기초하여 제1 버퍼 상태 보고(BSR)를 생성하는 단계; 및 제1 RLC 엔티티에 대응하는 수신 노드에 제1 BSR을 송신하는 단계를 실행할 수 있다.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프로세스(410)는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이하의 단계: PDCP 엔티티의 버퍼 및/또는 제2 RLC 엔티티의 버퍼가 송신될 데이터를 포함하는 경우, PDCP 엔티티의 버퍼 및/또는 제2 RLC 엔티티의 버퍼 내의 송신될 데이터의 크기에 기초하여 제2 BSR을 생성하는 단계; 및 제2 BSR을 제2 RLC 엔티티에 대응하는 수신 노드에 송신하는 단계를 추가로 실행할 수 있다.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프로세서(410)는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이하의 단계: 수신 노드로부터 제1 지시를 수신하는 단계; 및 제1 지시에 의해 지정된 RLC 엔티티를 제1 RLC 엔티티로 분류하는 단계를 추가로 실행할 수 있다. 제1 지시는 적어도 2개의 RLC 엔티티 중에서 제어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PDU)을 송신하는 데만 사용되는 RLC 엔티티를 지정하는 데 사용된다.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프로세서(410)는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이하의 단계: 수신 노드로부터 제2 지시를 수신하는 단계; 및 제2 지시에 의해 지정된 RLC 엔티티를 제2 RLC 엔티티로서 분류하는 단계를 추가로 실행할 수 있다. 제2 지시는 적어도 2개의 RLC 엔티티 중에서 PDCP 엔티티에 의해 교부된 PDU를 송신하는 데 사용되는 RLC 엔티티를 지정하는 데 사용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송신 노드에 대한 블록 구조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신 노드(500)는 하나의 PDCP 엔티티(510) 및 N개의 RLC 엔티티(520-1 내지 520-N)를 포함하여, N개의 수신 노드(200-1 내지 200-N)에 데이터를 송신하며, 여기서 N은 2보다 크거나 같은 양의 정수이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송신 노드(500)는 송신 노드와 수신 노드가 일대다 대응관계에 있는 무선 네트워크 아키텍처에 적용 가능하다.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송신 노드(500) 및 수신 노드(200)는 모두 단말, 기지국, 또는 액세스 포인트일 수 있다.
송신 자원의 할당 시에 자원의 낭비를 효과적으로 회피하기 위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신 노드(500)는 생성 유닛(530) 및 송신 유닛(5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송신 유닛(530)은 임의의 RLC 엔티티(520-i)(1≤i≤N) 또는 PDCP 엔티티(510)의 버퍼가 송신될 데이터를 포함하는 경우, 모든 RLC 엔티티(520-1 내지 520-N) 또는 PDCP 엔티티(510)의 버퍼 내의 송신될 데이터의 크기에 기초하여 버퍼 상태 보고(BSR)를 생성한다. 송신 유닛(540)은 생성 유닛(530)에 접속되고 생성 유닛(530)에 의해 생성된 BSR을 임의의 RLC 엔티티(520-j)(1=j≤N)에 대응하는 수신 노드(200-j)에 송신하도록 주로 구성되어 있다.
이 방법에서, 임의의 RLC 엔티티 또는 PDCP 엔티티의 버퍼 내에 송신될 데이터가 있을 때 촉발되는 BSR은 생성 유닛을 사용함으로써 모든 RLC 엔티티 및 PDCP 엔티티의 버퍼 내의 송신될 데이터의 크기에 기초하여 생성되며, 그 생성된 BSR은 송신 유닛을 사용함으로써 RLC 엔티티에 대응하는 수신 노드에 송신되며, 이에 따라 PDCP 엔티티의 버퍼 내에 송신될 데이터가 있을 때, 대응하는 송신 자원을 송신될 데이터에 할당하는 데 하나의 수신 노드만이 촉발된다. 이 실시예에 따른 송신 노드는 송신 노드와 수신 노드가 일대다 대응관계에 있는 경우 송신 자원의 낭비를 효과적으로 회피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버퍼 상태 보고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에 따른 버퍼 상태 보고 방법은 송신 노드와 수신 노드가 일대다 대응관계에 있는, 즉 송신 노드가 하나의 PDCP 엔티티 및 복수의 RLC 엔티티를 포함하는 무선 네트워크 아키텍처에 주로 적용 가능하다. 복수의 RLC 엔티티 내의 각각의 RLC 엔티티는 하나의 수신 노드에 각각 대응한다. PDCP 엔티티는 복수의 RLC 엔티티와 연관되어 있다. 예를 들어, PDCP 엔티티는 동일한 베어러 상의 복수의 RLC 엔티티와 연관되어 있다. 또한, 복수의 RLC 엔티티는 모두 AM에 있을 수 있거나 모두 UM에 있을 수 있거나, 또는 심지어 복수의 RLC 엔티티 중 일부가 AM에 있을 수 있고 복수의 RLC 중 다른 일부가 UM에 있다.
이하에서는 도 6에 도시된 버퍼 상태 보고 방법에 대해 도 5에 도시된 송신 노드(500)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퍼 상태 보고 방법은 주로 이하를 포함한다:
단계 S610: 임의의 RLC 엔티티(520-i)(1≤i≤N) 또는 PDCP 엔티티(510)의 버퍼가 송신될 데이터를 포함하는지를 판정하고, 판정의 결과가 예인 경우 단계 S620으로 진행한다.
단계 S620: 모든 RLC 엔티티(520-1 내지 520-N) 및 PDCP 엔티티(510)의 버퍼 내의 송신될 데이터의 크기에 기초하여 버퍼 상태 보고(BSR)를 생성하고, 그런 다음 단계 S630으로 진행한다.
단계 S630: 생성된 BSR을 임의의 RLC 엔티티(520-j)(1≤j≤N)에 대응하는 수신 노드(200-j)에 송신한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임의의 RLC 엔티티 또는 PDCP 엔티티의 버퍼 내에 송신될 데이터가 있을 때 촉발되는 BSR은 모든 RLC 엔티티 및 PDCP 엔티티의 버퍼 내의 송신될 데이터의 크기에 기초하여 생성되며, 그 생성된 BSR은 PDCP 엔티티의 버퍼 내에 송신될 데이터가 있을 때, 대응하는 송신 자원을 송신될 데이터에 할당하는 데 하나의 수신 노드만이 촉발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실시예에 따른 버퍼 상태 보고 방법은 송신 노드와 수신 노드가 일대다 대응관계에 있는 경우 송신 자원의 낭비를 효과적으로 회피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송신 노드에 대한 블록 구조도이다. 송신 노드 장치(700)는 계산 능력이 있는 호스트 서버, 퍼스널 컴퓨터 PC, 포터블 컴퓨터, 단말 등이 될 수 있다. 송신 노드 장치의 특정한 실행은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송신 노드 장치(400)는 프로세서(processor)(710), 통신 인터페이스(Communications Interface)(720), 메모리(memory)(730), 및 버스(740)를 포함한다. 프로세서(710), 통신 버스(720), 및 메모리(730)는 버스(740)를 사용하여 서로 통신한다.
통신 버스(720)는 네트워크 장치와 통신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여기서 네트워크 장치는 예를 들어 가상 머신 관리 센터 또는 공유 메모리를 포함한다.
프로세서(710)는 프로그램을 실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프로세서(710)는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또는 주문형 집적회로(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또는 본 발명의 이 실시예를 실행하도록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집적회로일 수 있다.
메모리(730)는 파일을 저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메모리(730)는 고속 RAM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고, 비휘발성 메모리(non-volatile memory),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디스크 스토리지를 포함할 수도 있다. 메모리(730)는 또한 메모리 어레이일 수도 있다. 메모리(730)는 또한 블록들로 분할될 수 있으며, 블록들은 특정한 규칙에 따라 가상의 볼륨을 형성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특정한 실시 방식에서, 메모리(730)에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은 컴퓨터 연산 명령을 포함하는 프로그램 코드일 수 있다. 프로세서(710)는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구체적으로 이하의 단계: 송신 노드에 포함되어 있는 임의의 RLC 엔티티 또는 PDCP 엔티티의 버퍼가 송신될 데이터를 포함하는 경우, 모든 RLC 엔티티 및 PDCP 엔티티의 버퍼 내의 송신될 데이터의 크기에 기초하여 버퍼 상태 보고(BSR)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BSR을 임의의 RLC 엔티티에 대응하는 수신 노드에 송신하는 단계 - 상기 RLC 엔티티는 모두 PDCP 엔티티와 연관되어 있음 - 를 실행할 수 있다.
당업자라면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에서의 각각의 예시적 유닛 및 알고리즘 단계는 전자식 하드웨어, 또는 컴퓨터 소프트웨어와 전자식 하드웨어의 결합으로 실현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하고 있을 것이다. 이러한 기능들이 하드웨어의 방식으로 또는 소프트웨어의 방식으로 수행되느냐 하는 것은 기술적 솔루션의 특정한 애플리케이션 및 설계상의 제약에 달려 있다. 당업자라면 상이한 방법을 사용하여 각각의 특정한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설명된 기능을 실행할 수 있을 것이지만, 이러한 실행이 본 발명의 범주를 넘는 것으로 파악되어서는 안 된다.
이러한 기능들이 컴퓨터 소프트웨어의 형태로 실현되거나 독립 제품으로 시판되거나 사용되면, 발명의 기술적 솔루션 중 일부 또는 전부가 컴퓨터 소프트웨어 제품의 형태로 실현될 수 있다는 것까지도 고려될 수 있다. 컴퓨터 소프트웨어 제품은 일반적으로 컴퓨터 판독 가능형 저장 매체에 저장되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제공하는 방법의 단계 중 일부 또는 전부를 수행하도록 컴퓨터 장치(이것은 퍼스널 컴퓨터, 서버, 또는 네트워크 장치 등이 될 수 있다)에 명령하는 수개의 명령어를 포함한다. 전술한 저장 매체는: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할 수 있는 임의의 저장 매체, 예를 들어, U-디스크, 휴대형 하드디스크, 리드-온리 메모리(Read-Only Memory, ROM),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 자기디스크 또는 광디스크를 포함한다.
전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솔루션을 설명하기 위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것이 아님에 유의해야 한다. 본 발명에서 설명된 기술 솔루션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도출된 모든 변경 또는 대체는 본 발명의 보호 범위 내에 있게 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청구범위의 보호 범위에 해당되어야 한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공되는 송신 노드 및 버퍼 상태 보고 방법은 무선 네트워크 필드에 적용될 수 있으며, 특히 송신 노드와 수신 노드가 일대다 대응관계에 있는 시나리오에 적용될 수 있으며, 이것은 송신 노드에 의해 보고되는 버퍼 상태 보고에 응답해서 수신 노드에 의해 수행되는 송신 자원의 할당 시에 송신 자원의 낭비를 효과적으로 회피할 수 있다.

Claims (22)

  1. 패킷 데이터 컨버전스 프로토콜(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PDCP) 엔티티 및 적어도 2개의 무선 링크 제어(Radio Link Control, RLC) 엔티티를 포함하는 송신 노드에 적용되는 버퍼 상태 보고 방법으로서,
    상기 적어도 2개의 RLC 엔티티는 모두 상기 PDCP 엔티티와 연관되어 있으며, 상기 버퍼 상태 보고 방법은,
    상기 적어도 2개의 RLC 엔티티를 적어도 하나의 제1 RLC 엔티티 및 하나의 제2 RLC 엔티티로서 분류하는 단계;
    상기 제1 RLC 엔티티의 버퍼가 송신될 데이터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1 RLC 엔티티의 버퍼 내의 송신될 데이터의 크기에 기초해서 제1 버퍼 상태 보고(buffer status report, BSR)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BSR을 상기 제1 RLC 엔티티에 대응하는 수신 노드에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버퍼 상태 보고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PDCP 엔티티 및/또는 제2 RLC 엔티티의 버퍼가 송신될 데이터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PDCP 엔티티의 버퍼 및 상기 제2 RLC 엔티티의 버퍼 내의 송신될 데이터의 크기에 기초해서 제2 BSR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BSR을 상기 제2 RLC 엔티티에 대응하는 수신 노드에 송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버퍼 상태 보고 방법.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2개의 RLC 엔티티를 적어도 하나의 제1 RLC 엔티티 및 하나의 제2 RLC 엔티티로서 분류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버퍼 상태 보고 방법은,
    수신 노드로부터 제1 지시를 수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지시는 상기 적어도 2개의 RLC 엔티티 중에서 제어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protocol data unit, PDU)을 송신하는 데만 사용되는 RLC 엔티티를 지정하는 데 사용되며, 그리고
    상기 적어도 2개의 RLC 엔티티를 적어도 하나의 제1 RLC 엔티티 및 하나의 제2 RLC 엔티티로서 분류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지시에 의해 지정된 RLC 엔티티를 상기 제1 RLC 엔티티로서 분류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버퍼 상태 보고 방법.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2개의 RLC 엔티티를 적어도 하나의 제1 RLC 엔티티 및 하나의 제2 RLC 엔티티로서 분류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버퍼 상태 보고 방법은,
    수신 노드로부터 제2 지시를 수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지시는 상기 적어도 2개의 RLC 엔티티 중에서 상기 PDCP 엔티티에 의해 교부된 PDU를 송신하는 데 사용되는 RLC 엔티티를 지정하는 데 사용되며, 그리고
    상기 적어도 2개의 RLC 엔티티를 적어도 하나의 제1 RLC 엔티티 및 하나의 제2 RLC 엔티티로서 분류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지시에 의해 지정된 RLC 엔티티를 상기 제2 RLC 엔티티로서 분류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버퍼 상태 보고 방법.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2개의 RLC 엔티티는 모두 동일한 베어러 상에서 상기 PDCP 엔티티와 연관되어 있는, 버퍼 상태 보고 방법.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2개의 RLC 엔티티는 모두 응신 모드(acknowledged mode: AM)에 있거나, 모두 비응신 모드(unacknowledged mode: UM)에 있거나; 또는 상기 적어도 2개의 RLC 엔티티 중 일부는 AM에 있고 상기 적어도 2개의 RLC 엔티티 중 다른 일부는 UM에 있는, 버퍼 상태 보고 방법.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노드는 단말, 기지국, 또는 액세스 포인트인, 버퍼 상태 보고 방법.
  8. 패킷 데이터 컨버전스 프로토콜(PDCP) 엔티티 및 적어도 2개의 무선 링크 제어(RLC) 엔티티를 포함하는 송신 노드로서,
    상기 적어도 2개의 RLC 엔티티는 모두 상기 PDCP 엔티티와 연관되어 있으며, 상기 송신 노드는,
    상기 적어도 2개의 RLC 엔티티를 적어도 하나의 제1 RLC 엔티티 및 하나의 제2 RLC 엔티티로서 분류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구성 유닛;
    상기 구성 유닛에 접속되어 있으며, 상기 제1 RLC 엔티티의 버퍼가 송신될 데이터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1 RLC 엔티티의 버퍼 내의 송신될 데이터의 크기에 기초해서 제1 BSR을 생성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생성 유닛; 및
    상기 생성 유닛에 접속되어 있고, 상기 제1 BSR을 상기 제1 RLC 엔티티에 대응하는 수신 노드에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송신 유닛
    을 더 포함하는 송신 노드.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생성 유닛은, 상기 PDCP 엔티티 및/또는 제2 RLC 엔티티의 버퍼가 송신될 데이터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PDCP 엔티티의 버퍼 및 상기 제2 RLC 엔티티의 버퍼 내의 송신될 데이터의 크기에 기초해서 제2 BSR을 생성하도록 추가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송신 유닛은 상기 제2 BSR을 상기 제2 RLC 엔티티에 대응하는 수신 노드에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송신 노드.
  10. 청구항 8 또는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구성 유닛에 접속되어 있는 제1 수신 유닛
    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수신 유닛은 수신 노드로부터 제1 지시를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지시는 상기 적어도 2개의 RLC 엔티티 중에서 제어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PDU)을 송신하는 데만 사용되는 RLC 엔티티를 지정하는 데 사용되며, 그리고
    상기 구성 유닛은 상기 제1 지시에 의해 지정된 RLC 엔티티를 상기 제1 RLC 엔티티로서 분류하도록 추가로 구성되어 있는, 송신 노드.
  11. 청구항 8 내지 청구항 10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 유닛에 접속되어 있는 제2 수신 유닛
    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수신 유닛은 수신 노드로부터 제2 지시를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 지시는 상기 적어도 2개의 RLC 엔티티 중에서 상기 PDCP 엔티티에 의해 교부된 PDU를 송신하는 데 사용되는 RLC 엔티티를 지정하는 데 사용되며, 그리고
    상기 구성 유닛은 상기 제2 지시에 의해 지정된 RLC 엔티티를 상기 제2 RLC 엔티티로서 분류하도록 추가로 구성되어 있는, 송신 노드.
  12. 청구항 8 내지 청구항 11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2개의 RLC 엔티티는 모두 동일한 베어러 상에서 상기 PDCP 엔티티와 연관되어 있는, 송신 노드.
  13. 청구항 8 내지 청구항 1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2개의 RLC 엔티티는 모두 응신 모드(AM)에 있거나, 모두 비응신 모드(UM)에 있거나; 또는 상기 적어도 2개의 RLC 엔티티 중 일부는 AM에 있고 상기 적어도 2개의 RLC 엔티티 중 다른 일부는 UM에 있는, 송신 노드.
  14. 청구항 8 내지 청구항 1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노드는 단말, 기지국, 또는 액세스 포인트인, 송신 노드.
  15. 패킷 데이터 컨버전스 프로토콜(PDCP) 엔티티 및 적어도 2개의 무선 링크 제어(RLC) 엔티티를 포함하는 송신 노드에 적용되는 버퍼 상태 보고 방법으로서,
    상기 적어도 2개의 RLC 엔티티는 모두 상기 PDCP 엔티티와 연관되어 있으며, 상기 버퍼 상태 보고 방법은,
    상기 RLC 엔티티 중 어느 하나 또는 상기 PDCP 엔티티의 버퍼가 송신될 데이터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적어도 2개의 RLC 엔티티의 버퍼 및 상기 PDCP 엔티티의 버퍼 내의 송신될 데이터의 크기에 기초해서 제1 버퍼 상태 보고(buffer status report, BSR)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BSR을 상기 RLC 엔티티 중 어느 하나에 대응하는 수신 노드에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버퍼 상태 보고 방법.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2개의 RLC 엔티티는 모두 동일한 베어러 상에서 상기 PDCP 엔티티와 연관되어 있는, 버퍼 상태 보고 방법.
  17. 청구항 15 또는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2개의 RLC 엔티티는 모두 응신 모드(AM)에 있거나, 모두 비응신 모드(UM)에 있거나; 또는 상기 적어도 2개의 RLC 엔티티 중 일부는 AM에 있고 상기 적어도 2개의 RLC 엔티티 중 다른 일부는 UM에 있는, 버퍼 상태 보고 방법.
  18. 청구항 15 내지 청구항 1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노드는 단말, 기지국, 또는 액세스 포인트인, 버퍼 상태 보고 방법.
  19. 패킷 데이터 컨버전스 프로토콜(PDCP) 엔티티 및 적어도 2개의 무선 링크 제어(RLC) 엔티티를 포함하는 송신 노드로서,
    상기 적어도 2개의 RLC 엔티티는 모두 상기 PDCP 엔티티와 연관되어 있으며, 상기 송신 노드는,
    상기 RLC 엔티티 중 어느 하나 또는 상기 PDCP 엔티티의 버퍼가 송신될 데이터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적어도 2개의 RLC 엔티티의 버퍼 및 상기 PDCP 엔티티의 버퍼 내의 송신될 데이터의 크기에 기초해서 제1 버퍼 상태 보고(buffer status report, BSR)를 생성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생성 유닛; 및
    상기 제1 BSR을 상기 RLC 엔티티 중 어느 하나에 대응하는 수신 노드에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송신 유닛
    을 더 포함하는 송신 노드.
  20.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2개의 RLC 엔티티는 모두 동일한 베어러 상에서 상기 PDCP 엔티티와 연관되어 있는, 송신 노드.
  21. 청구항 19 또는 청구항 20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2개의 RLC 엔티티는 모두 응신 모드(AM)에 있거나, 모두 비응신 모드(UM)에 있거나; 또는 상기 적어도 2개의 RLC 엔티티 중 일부는 AM에 있고 상기 적어도 2개의 RLC 엔티티 중 다른 일부는 UM에 있는, 송신 노드.
  22. 청구항 19 내지 청구항 21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노드는 단말, 기지국, 또는 액세스 포인트인, 송신 노드.
KR1020167005130A 2013-10-31 2013-10-31 송신 노드 및 버퍼 상태 보고 방법 KR10176911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13/086316 WO2015062021A1 (zh) 2013-10-31 2013-10-31 发送节点及其缓存状态上报方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22449A Division KR20170096062A (ko) 2013-10-31 2013-10-31 송신 노드 및 버퍼 상태 보고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9254A true KR20160039254A (ko) 2016-04-08
KR101769114B1 KR101769114B1 (ko) 2017-08-17

Family

ID=5299533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22449A KR20170096062A (ko) 2013-10-31 2013-10-31 송신 노드 및 버퍼 상태 보고 방법
KR1020167005130A KR101769114B1 (ko) 2013-10-31 2013-10-31 송신 노드 및 버퍼 상태 보고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22449A KR20170096062A (ko) 2013-10-31 2013-10-31 송신 노드 및 버퍼 상태 보고 방법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9801204B2 (ko)
EP (1) EP3018924B1 (ko)
JP (1) JP2016529846A (ko)
KR (2) KR20170096062A (ko)
CN (1) CN105264930B (ko)
BR (1) BR112015016146A2 (ko)
MX (1) MX347605B (ko)
RU (1) RU2610250C2 (ko)
WO (1) WO2015062021A1 (ko)
ZA (1) ZA20150341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635655B2 (en) * 2014-02-24 2017-04-25 Intel Corporation Enhancement to the buffer status report for coordinated uplink grant allocation in dual connectivity in an LTE network
US10412619B2 (en) * 2014-11-14 2019-09-10 Qualcomm Incorporated Buffer status report for eDCS
WO2016159528A1 (en) * 2015-03-30 2016-10-06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performing a buffer status reporting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device therefor
US10097484B2 (en) * 2015-10-21 2018-10-0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Using send buffers and receive buffers for sending messages among nodes in a network
CN107094299B (zh) * 2016-02-18 2021-03-12 中国移动通信集团公司 自适应于接入网架构的数据处理方法及接入网架构
US11172402B2 (en) * 2016-09-29 2021-11-09 Lg Electronics Inc. Restricting PDCP control PDUs on specific link
CN110506436B (zh) 2017-04-14 2023-11-14 富士通株式会社 无线通信装置、无线通信方法及无线通信系统
AU2017425323A1 (en) 2017-07-28 2020-01-16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Data transmission method, terminal device and network device
US11350483B2 (en) * 2018-05-04 2022-05-31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signals by prioritizing RLC entitie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21000323A1 (zh) * 2019-07-04 2021-01-07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缓存状态报告发送方法和装置
CN110581778A (zh) * 2019-08-13 2019-12-17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路由方法、bsr的生成方法、装置和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093211B (zh) 2007-11-05 2018-12-07 蜂窝通信设备有限责任公司 缓冲器状态报告系统和方法
RU2447489C1 (ru) * 2008-02-20 2012-04-10 ЭлДжи ЭЛЕКТРОНИКС ИНК.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конструирования единицы данных, которая включает в себя информацию состояния буфера
KR100939722B1 (ko) * 2008-08-11 2010-02-01 엘지전자 주식회사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이를 위한 사용자 기기
US8254333B2 (en) * 2008-09-22 2012-08-28 Htc Corporation Method for improving buffer status triggering mechanism in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and related communication device
EP2484146B1 (en) * 2009-10-01 2017-12-06 LG Electronics Inc. Method of controlling data flow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02111751B (zh) * 2009-12-28 2013-08-14 电信科学技术研究院 缓存状态报告上报方法和设备
CN102783234B (zh) * 2010-05-03 2015-11-25 上海贝尔股份有限公司 无线网络中用于发送缓冲状态报告的方法和装置
US8989004B2 (en) * 2010-11-08 2015-03-24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multi-point HSDPA communication utilizing a multi-link PDCP sublayer
CN103369509B (zh) * 2012-03-29 2018-02-27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缓存状态上报方法及终端设备
US8913518B2 (en) * 2012-08-03 2014-12-16 Intel Corporation Enhanced node B, user equipment and methods for discontinuous reception in inter-ENB carrier aggregation
CN104584633B (zh) * 2012-08-23 2018-12-18 交互数字专利控股公司 在无线系统中采用多个调度器进行操作
EP3030040B1 (en) * 2012-10-19 2017-08-30 Fujitsu Limited Wireless communication in multi-rat system
US11356216B2 (en) * 2013-01-10 2022-06-07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dual connectivity oper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JP6097882B2 (ja) * 2013-05-15 2017-03-15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無線通信システムでアップリンク資源を割り当てるための方法及びこのための装置
JP6211845B2 (ja) * 2013-07-31 2017-10-11 株式会社Nttドコモ 移動局及び移動通信システム
EP2854444A1 (en) * 2013-09-27 2015-04-01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Efficient uplink scheduling mechanism for dual connectivity
US9924405B2 (en) * 2013-10-04 2018-03-20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Method for buffer status report in dual connectivity
US9572171B2 (en) * 2013-10-31 2017-02-14 Intel IP Corporation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efficient device-to-device channel conten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062021A1 (zh) 2015-05-07
US9801204B2 (en) 2017-10-24
MX2015008752A (es) 2015-11-13
US20150117245A1 (en) 2015-04-30
MX347605B (es) 2017-05-04
CN105264930A (zh) 2016-01-20
EP3018924B1 (en) 2017-12-06
ZA201503414B (en) 2017-07-26
CN105264930B (zh) 2019-01-18
RU2015126877A (ru) 2017-01-12
RU2610250C2 (ru) 2017-02-08
JP2016529846A (ja) 2016-09-23
KR20170096062A (ko) 2017-08-23
BR112015016146A2 (pt) 2017-07-11
EP3018924A4 (en) 2016-09-14
EP3018924A1 (en) 2016-05-11
KR101769114B1 (ko) 2017-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9114B1 (ko) 송신 노드 및 버퍼 상태 보고 방법
KR101981334B1 (ko) 분산형 데이터 패킷 처리가 적용된 이동통신 시스템 및 방법
CN113115331B (zh) 控制方法及通信装置
JP2022501929A (ja) データ伝送方法及び装置
CN114071560B (zh) 网络优化方法、装置及存储介质
CN113271623B (zh) 通信方法及装置
US20230112127A1 (en) Electronic device for deploying application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US20150319069A1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Identifying Abnormal IP Data Stream
CN109526032B (zh) 修改网络切片实例的方法及装置
CN114071547B (zh) QoE测量配置方法、装置及存储介质
JP7331943B2 (ja) 無線フレーム推定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10830279B (zh) 管理服务的管理方法及装置
WO2020063521A1 (zh) 能力上报方法及装置
WO2020057316A1 (zh) 数据校验方法、装置及存储介质
CN114503467A (zh) 一种数据传输方法以及装置
CN114071683B (zh) 一种数据传输方法、装置和电子设备
CN113535504B (zh) 数据抽稀方法及装置
CN116208992B (zh) 一种运行状态的稳定性评估方法及装置
US20240048460A1 (en) Service providing method and apparatus
CN114071546A (zh) 一种数据传输方法、装置及电子设备
WO2022228293A1 (zh) 一种发送报文的方法、处理报文的方法及设备
WO2024099175A1 (zh) 一种算法管理方法和装置
WO2022089003A1 (zh) 一种业务报文发送方法及装置
WO2024060303A1 (en) Technologies for congestion detection in wireless networks
CN114071569A (zh) 一种数据传输方法、装置和电子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