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38354A - 가습 공기청정기용 저수조 - Google Patents

가습 공기청정기용 저수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38354A
KR20160038354A KR1020140131194A KR20140131194A KR20160038354A KR 20160038354 A KR20160038354 A KR 20160038354A KR 1020140131194 A KR1020140131194 A KR 1020140131194A KR 20140131194 A KR20140131194 A KR 20140131194A KR 20160038354 A KR20160038354 A KR 201600383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tank
plate
insertion hole
hole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311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86690B1 (ko
Inventor
양승대
오영진
최현진
양현봉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유위니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유위니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유위니아
Priority to KR10201401311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6690B1/ko
Publication of KR201600383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83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66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66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32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venting human errors during the installation, use or maintenance, e.g. goofy pro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Humidification (AREA)

Abstract

가습 공기청정기용 저수조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가습 공기청정기용 저수조는, 제1수조와, 제1수조에 일체로 형성되는 제2수조를 갖는 본체와, 제1수조와 제2수조의 저면을 덮는 베이스부와, 베이스부와 제1수조 또는 제2수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결합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가습 공기청정기용 저수조{RESERVOIR FOR AIR WASHER}
본 발명은 가습 공기청정기용 저수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본체를 이중 구조로 제작하여 베이스부로 결합하므로 제작비를 절감하고, 본체와 베이스부를 결합부를 이용하여 견고하게 조립할 수 있는 가습 공기청정기용 저수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습 공기청정기는 팬의 작동에 의해 흡입구를 통해 공기를 흡입하여 걸러주고, 개끗해진 공기를 가습장치를 통과시켜 수분을 적절하게 함유하여 토출구로 배출하므로 가습기능과 청정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기기이다.
가습 공기청정기는 물을 수용하여 저장하고, 디스크조립체의 회전을 지지하는 수조와, 수조를 덮어주고, 구동장치가 구비되는 덮개와, 덮개의 내측에 설치되어 공기를 흡입하고 토출하는 팬을 포함한다.
기존의 수조는 보온을 수행하기 위해 내부수조와 외부수조를 갖는 이중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내부수조와 외부수조는 별개로 제작된 후, 초음파 융착을 통해 일체로 결합된다. 이럴 경우, 내부수조와 외부수조를 별도로 제작하므로 금형이 복잡하여 제조단가가 증가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에 대한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8-0062509호(발명의 명칭: 저수조, 공개일: 2008.07.03)가 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본체를 이중 구조로 제작하여 베이스부로 결합하므로 제작비를 절감할 수 있는 가습 공기청정기용용 저수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본체와 베이스부를 결합부를 이용하여 결합하므로 견고하게 조립할 수 있는 가습 공기청정기용 저수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위치결정부를 이용하여 접지판의 조립 위치가 바뀌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가습 공기청정기용 저수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습 공기청정기용 저수조는, 제1수조와, 제1수조에 일체로 형성되는 제2수조를 갖는 본체; 상기 제1수조와 상기 제2수조의 저면을 덮는 베이스부; 및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제1수조 또는 제2수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결합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제1수조 사이에는 접지선과 연결되는 접지판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접지판은 위치결정부에 의해 조립 위치가 바뀌는 것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위치결정부는, 상기 접지판의 중심을 벗어난 위치에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제1삽입공; 상기 접지판의 중심을 벗어나고, 상기 제1삽입공과 다른 위치에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제2삽입공; 상기 제1삽입공에 삽입되도록 상기 제1수조의 저면 또는 상기 베이스부의 상면에 형성되는 제1삽입돌기; 및 상기 제2삽입공에 삽입되도록 상기 제1수조의 저면 또는 상기 베이스부의 상면에 형성되는 제2삽입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접지판의 중심에서 상기 제1삽입공이 형성되는 거리와, 상기 접지판의 중심에서 상기 제2삽입공이 형성되는 거리가 상호 다르게 형성되므로 상기 접지판의 조립 위치가 바뀌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삽입공과 상기 제2삽입공의 크기가 서로 다르게 형성되므로 상기 접지판의 조립 위치가 바뀌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결합부는, 상기 베이스부에 관통 형성되는 관통공; 상기 제1수조의 저면에 형성되는 나사공; 및 상기 관통공을 통해 삽입되어 상기 나사공에 체결되는 나사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나사공은 하측으로 돌출된 돌출보스에 형성되고, 상기 돌출보스는 상기 제1수조의 저면에서 함몰되는 함몰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수조의 저면으로부터 돌출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베이스부의 저면에는 상측으로 함몰된 손잡이부가 한 쌍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베이스부의 상측으로 돌출된 끼움부에 형성되고, 상기 끼움부는 상기 제1수조의 저면에 형성된 요홈부에 끼워져 보강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수조의 내측에는 기둥 형태로 돌출된 설치부가 구비되고, 상기 설치부에는 고수위와 저수위를 각각 감지하는 한 쌍의 수위감지플레이트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위감지플레이트는, 상기 설치부의 내측면에 배치되는 내측플레이트; 및 상기 내측플레이트의 상측 가장자리에서 절곡되어 상기 설치부의 상측에 배치되는 상측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내측플레이트와 상기 상측플레이트는 상기 설치부에 형성된 설치홈부에 매립 설치되고, 상기 수위감지플레이트는 상기 상측플레이트와 상기 설치부에 체결되는 체결부재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습 공기청정기용 저수조는, 본체를 이중 구조로 제작하고, 베이스부로 결합하므로 제작비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본체와 베이스부를 결합부를 이용하여 결합하므로 견고하게 조립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위치결정부를 이용하여 접지판의 조립 위치가 바뀌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베이스부에 저면에 복수 개의 손잡이부를 형성하므로 저수조의 이동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베이스부의 상측으로 돌출된 끼움부를 본체에 형성된 요홈부에 삽입하므로 베이스부를 본체에서 보강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수위감지플레이트를 본체의 일면에 함몰된 설치홈부에 매립 설치하므로 수위감지플레이트의 설치작업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 공기청정기용 저수조의 상측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 공기청정기용 저수조의 하측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 공기청정기용 저수조의 조립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 공기청정기용 저수조의 단면 분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 공기청정기용 저수조의 조립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끼움부와 삽입부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위감지플레이트의 확대 분해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 공기청정기용 저수조를 설명하도록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 공기청정기용 저수조의 상측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 공기청정기용 저수조의 하측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 공기청정기용 저수조의 조립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 공기청정기용 저수조의 단면 분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 공기청정기용 저수조의 조립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끼움부와 삽입부의 확대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위감지플레이트의 확대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 공기청징기용 저수조(100)는, 본체(10), 베이스부(20), 결합부(50)를 포함한다.
본체(10)는 제1수조(12)와, 제1수조(12)에 일체로 형성되는 제2수조(1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체(10)의 상측에는 하우징 덮개가 덮여지고, 본체(10)에는 디스크조립체(미도시)가 안착되어 회전하면서 가습을 수행하게 된다.
제1수조(12)에는 물이 설정량 저장되어 팬에 의해 흡입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디스크조립체의 디스크에 물혀진 물에 의해 가습되고 정화되어 토출구로 토출된다.
제2수조(14)는 제1수조(12)의 상측 가장자리에서 외측으로 절곡되면서 저면에 공간을 갖도록 일체로 성형되어 구성된다. 즉, 본체(10)는 상형과 하형 등의 금형을 이용하여 제1,제2수조(12,14)를 동시에 몰딩하여 본체(10)를 일체로 형성하도록 한다.
한편, 본체(10)는 제1,제2수조(12,14)의 하측 개방부위를 차단하기 위해 베이스부(20)가 필요하다.
베이스부(20)는 제1수조(12)와 제2수조(14)의 저면을 덮어주는 구성이다. 베이스부(20)는 판체 형태로 이루어져 나사 결합등과 같이 다양한 방법으로 본체(10)의 저면에 조립된다.
베이스부(20)의 저면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수조(100)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이동바퀴 등이 구비될 수 있다.
결합부(30)는 베이스부(20)와 제1수조(12) 또는 제2수조(14)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결합할수 있다. 결합부(30)는 나사방식을 도시하지만, 후크방식등과 같이 다양한 다른 방식을 적용할 수도 있다.
베이스부(20)와 제1수조(12) 사이에는 접지선(32)과 연결되어 접지를 수행하는 접지판(30)이 구비될 수 있다. 접지판(30)는 알루미늄판 또는 구리판 등과 같이 전도성이 우수한 금속재를 사용한다.
접지판(30)은 위치결정부(40)에 의해 조립 위치가 바뀌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위치결정부(40)는 접지판(30)의 중심을 벗어난 위치에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제1삽입공(42)과, 접지판(30)의 중심을 벗어나고, 제1삽입공(42)과 다른 위치에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제2삽입공(44)과, 제1삽입공(42)에 삽입되도록 제1수조(12)의 저면 또는 베이스부(20)의 상면에 형성되는 제1삽입돌기(46)와, 제2삽입공(44)에 삽입되도록 제1수조(12)의 저면 또는 베이스부(20)의 상면에 형성되는 제2삽입돌기(48)를 포함한다.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접지판(30)의 중심에서 제1삽입공(42)이 형성되는 거리와, 접지판(30)의 중심에서 제2삽입공(44)이 형성되는 거리가 상호 다르게 형성되므로 접지판(30)의 조립 위치가 바뀌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접지판(30)이 반대로 삽입되는 경우, 제1삽입공(42)에 삽입되던 제1삽입돌기(46)가 제1삽입공(42)과 중심 간 거리가 다른 제2삽입공(44)에 삽입되지 못하므로 접지판(30)의 조립 위치가 바뀌었다는 것을 알 수 있어 오조립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제1삽입공과 상기 제2삽입공의 크기가 서로 다르게 형성되므로 접지판(30)의 조립 위치가 바뀌는 것을 방지할수 있다. 즉, 접지판(30)이 반대로 삽입되는 경우, 제1삽입공(42)에 삽입되던 제1삽입돌기(46)가 크기가 다른 제2삽입공(44)에 삽입되지 못하므로 접지판(30)의 조립 위치가 바뀌었다는 것을 알 수 있어 오조립을 방지할 수 있다.
결합부(50)는 베이스부(20)에 관통 형성되는 관통공(52)과, 제1수조(12)의 저면에 형성되는 나사공(54)과, 관통공(52)을 통해 삽입되어 나사공(54)에 체결되는 나사부재(56)를 포함한다.
나사부재(56)는 나사 또는 볼트일 수 있다.
나사공(54)은 하측으로 돌출된 돌출보스(55)에 형성될 수 있다. 관통공(52)은 상측으로 돌출된 관통보스(53)에 형성될 수 있다.
관통보스(53)는 돌출보스(55)에 비해 더 크게 형성된다. 물론, 돌출보스(55)가 관통보스(53) 보다 더 크게 형성될 수도 있다. 관통보스(53)와 돌출보스(55)는 원형기둥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베이스부(20)의 저면에는 내측으로 함몰된 손잡이부(22)가 한 쌍 형성될 수 있다. 손잡이부(22)는 저수조(100)의 상측에 덮인 덮개(미도시)를 분리하고, 저수조(100)를 이동하여 물을 담는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기존의 저수조는 저수조를 들고 이동하기 편리하게 해주는 손잡이 구성이 없어 저수조가 손에서 미끄러져 물이 흐르는 문제점이 있다. 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저수조(100)는 손잡이부(22)가 베이스부(20)의 내측으로 함몰되어 손가락이 삽입되므로 저수조(100)를 안정적으로 잡을 수 있어 물 흐르는 것을 줄일 수 있다.
손잡이부(22)는 베이스부(20)의 상측으로 돌출된 끼움부(24)에 형성죌 수 있다. 끼움부(24)는 제1수조(12)의 저면에 형성된 요홈부(26)에 끼워져 보강 결합될 수 있다.
베이스부(20)를 본체(10)의 저면에 결합할 때, 끼움부(24)가 제1수조(12)의 요홈부(26)에 가 조립상태로 삽입되어 베이스부(20)와 제1수조(12)의 조립 위치가 미리 맞추어지므로 나사부재(56)가 관통공(52)을 통해 나사공(54)에 바로 체결되도록 해준다.
또한, 나사부재(56)가 나사공(54)에 체결되어 베이스부(20)가 본체(10)의 저면에 결합된 후, 나사부재(56)와는 별도로 끼움부(24)가 제1수조(12)의 요홈부(26)에 삽입되므로 베이스부(20)의 회전이 방지되는 등 베이스부(20)의 본체(10)에 대한 보강 지지력을 증진시킬 수 있다.
제1수조(12)의 내측에는 기둥 형태로 돌출된 설치부(60)가 구비될 수 있다. 설치부(60)는 제1수조(12)의 상측 가장자리에서 내측으로 돌출되어 바닥까지 연장 형성된다.
설치부(60)는 사각형상의 기둥 형태로 형성된다.
설치부(60)에는 고수위와 저수위를 각각 감지하는 한 쌍의 수위감지플레이트(70)가 구비될 수 있다. 수위감지플레이트(70)는 길이가 짧은 고수위 감지용 수위감지플레이트와, 길이가 긴 저수위 감지용 수위감지플레이트로 이루어진다.
수위감지플레이트(70) 각각은, 설치부(60)의 내측면에 배치되는 내측플레이트(72)와, 내측플레이트(72)의 상측 가장자리에서 절곡되어 설치부(60)의 상측에 배치되는 상측플레이트(74)를 포함한다.
내측플레이트(72)와 상측플레이트(74)는 설치부(60)에 형성된 설치홈부(76)에 매립 설치될 수 있다.
내측플레이트(72)와 상측플레이트(74)의 두께는 설치홈부(76))의 깊이에 비해 같거나 작게 형성된다.
본 발명의 도면에서는 내측플레이트(72)와 상측플레이트(74)의 두께가 설치홈부(76)의 깊이와 같은 것으로 도시한다. 이와 같이, 내측플레이트(72) 각각의 하단부는 제1수조(12)에 담기는 물이 저수위와 고수위가 될 때 접촉되어 저수위와 고수위를 감지하게 된다.
수위감지플레이트(70)는 상측플레이트(74)를 관통하여 설치부(60)에 체결되는 체결부재(78)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체결부재(78)는 나사 또는 볼트일 수 있다.
내측플레이트(72)의 양측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는 설치홈부(76)의 걸림턱부(77)에 걸리기 위한 걸림돌부(73)가 형성될 수 있다.
걸림돌부(73)는 수위감지플레이트(70)의 내측플레이트(72)와 상측플레이트(74)를 설치홈부(76)에 삽입하여 안착시킬 때, 설치홈부(76)의 걸림턱부(77)에 걸려지므로 체결부재(78)가 결합되지 않은 가조립 상태에서도 수위감지플레이트(70)가 설치홈부(76)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수위감지플레이트(70) 각각은 덮개(미도시)의 저면에 형성된 연결플레이트(미도시)의 각각에 접촉되어 감지된 신호를 제어부로 전달하고, 디스플레이부에서 고수위와 저수뤼를 표시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가습 공기청정기용 저수조(100)는, 본체(10)를 이중 구조로 제작하고, 베이스부(20)로 결합하므로 제작비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본체(10)와 베이스부(20)를 나사 또는 볼트 등의 결합부(50)를 이용하여 결합하므로 견고하게 조립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위치결정부(40)를 이용하여 접지판(30)의 조립 위치가 바뀌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베이스부(20)에 저면에 복수 개의 손잡이부(22)를 형성하므로 저수조의 이동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베이스부(20)의 상측으로 돌출된 끼움부(24)를 본체(10)의 제1수조(12)에 형성된 요홈부(26)에 삽입하므로 베이스부(20)를 본체910)에서 보강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수위감지플레이트(70)를 본체(10)의 제1수조(12)의 일면에 함몰된 설치홈부(76)에 매립 설치하므로 수위감지플레이트(70)의 설치작업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본체 12 : 제1수조
14 : 제2수조 20 : 베이스부
22 : 손잡이부 24 : 끼움부
26 : 요홈부 30 : 접지판
32 : 접지선 40 : 위치결정부
42 : 제1삽입공 44 : 제2삽입공
46 : 제1삽입돌기 48 ; 제2삽입돌기
50 : 결합부 52 : 관통공
52 : 관통보스 54 : 나사공
55 : 돌출보스 56 : 나사부재
58 : 함몰부 60 : 설치부
70 : 수위감지플레이트 72 : 내측플레이트
73 : 걸림돌부 74 : 상측플레이트
76 : 설치홈부 77 : 걸림턱부
78 : 체결부재 100 : 저수조

Claims (13)

  1. 제1수조와, 제1수조에 일체로 형성되는 제2수조를 갖는 본체;
    상기 제1수조와 상기 제2수조의 저면을 덮는 베이스부; 및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제1수조 또는 상기 제2수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결합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 공기청정기용 저수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제1수조 사이에는 접지선과 연결되는 접지판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 공기청정기용 저수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판은 위치결정부에 의해 조립 위치가 바뀌는 것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 공기청정기용 저수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결정부는,
    상기 접지판의 중심을 벗어난 위치에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제1삽입공;
    상기 접지판의 중심을 벗어나고, 상기 제1삽입공과 다른 위치에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제2삽입공;
    상기 제1삽입공에 삽입되도록 상기 제1수조의 저면 또는 상기 베이스부의 상면에 형성되는 제1삽입돌기; 및
    상기 제2삽입공에 삽입되도록 상기 제1수조의 저면 또는 상기 베이스부의 상면에 형성되는 제2삽입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 공기청정기용 저수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판의 중심에서 상기 제1삽입공이 형성되는 거리와,
    상기 접지판의 중심에서 상기 제2삽입공이 형성되는 거리가 상호 다르게 형성되므로 상기 접지판의 조립 위치가 바뀌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 공기청정기용 저수조.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삽입공과 상기 제2삽입공의 크기가 서로 다르게 형성되므로 상기 접지판의 조립 위치가 바뀌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 공기청정기용 저수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베이스부에 관통 형성되는 관통공;
    상기 제1수조의 저면에 형성되는 나사공; 및
    상기 관통공을 통해 삽입되어 상기 나사공에 체결되는 나사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 공기청정기용 저수조.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공은 하측으로 돌출된 돌출보스에 형성되고,
    상기 돌출보스는 상기 제1수조의 저면에서 함몰되는 함몰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수조의 저면으로부터 돌출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 공기청정기용 저수조.
  9. 제 1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의 저면에는 상측으로 함몰된 손잡이부가 한 쌍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 공기청정기용 저수조.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베이스부의 상측으로 돌출된 끼움부에 형성되고,
    상기 끼움부는 상기 제1수조의 저면에 형성된 요홈부에 끼워져 보강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 공기청정기용 저수조.
  11. 제 1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조의 내측에는 기둥 형태로 돌출된 설치부가 구비되고,
    상기 설치부에는 고수위와 저수위를 각각 감지하는 한 쌍의 수위감지플레이트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 공기청정기용 저수조.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수위감지플레이트는,
    상기 설치부의 내측면에 배치되는 내측플레이트; 및
    상기 내측플레이트의 상측 가장자리에서 절곡되어 상기 설치부의 상측에 배치되는 상측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 공기청정기용 저수조.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플레이트와 상기 상측플레이트는 상기 설치부에 형성된 설치홈부에 매립 설치되고,
    상기 수위감지플레이트는 상기 상측플레이트와 상기 설치부에 체결되는 체결부재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 공기청정기용 저수조.
KR1020140131194A 2014-09-30 2014-09-30 가습 공기청정기용 저수조 KR1022866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1194A KR102286690B1 (ko) 2014-09-30 2014-09-30 가습 공기청정기용 저수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1194A KR102286690B1 (ko) 2014-09-30 2014-09-30 가습 공기청정기용 저수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8354A true KR20160038354A (ko) 2016-04-07
KR102286690B1 KR102286690B1 (ko) 2021-08-09

Family

ID=557895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1194A KR102286690B1 (ko) 2014-09-30 2014-09-30 가습 공기청정기용 저수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669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51263A (ko) * 2015-10-30 2017-05-11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US10359204B2 (en) 2015-10-30 2019-07-23 Lg Electronics Inc. Air condition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9352Y1 (ko) * 2001-03-23 2001-10-26 김동현 가습기능을 갖는 공기 정화기의 집진장치
JP2003056871A (ja) * 2001-08-10 2003-02-26 Sanyo Electric Co Ltd 加湿機
KR20060026126A (ko) * 2004-09-14 2006-03-23 주식회사 넵스 초음파 진동자를 갖는 기기의 수위 감지 장치
KR100845595B1 (ko) * 2007-06-29 2008-07-10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가습공기청정기의 하부하우징 구조
KR20090081868A (ko) * 2008-01-25 2009-07-29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수위감지형 습식 공기청정기
KR20110022222A (ko) * 2009-08-27 2011-03-07 삼성전자주식회사 가습장치 및 가습장치용 디스크 어셈블리
KR20120136136A (ko) * 2011-06-08 2012-12-18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가습 공기청정기의 저수조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9352Y1 (ko) * 2001-03-23 2001-10-26 김동현 가습기능을 갖는 공기 정화기의 집진장치
JP2003056871A (ja) * 2001-08-10 2003-02-26 Sanyo Electric Co Ltd 加湿機
KR20060026126A (ko) * 2004-09-14 2006-03-23 주식회사 넵스 초음파 진동자를 갖는 기기의 수위 감지 장치
KR100845595B1 (ko) * 2007-06-29 2008-07-10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가습공기청정기의 하부하우징 구조
KR20090081868A (ko) * 2008-01-25 2009-07-29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수위감지형 습식 공기청정기
KR20110022222A (ko) * 2009-08-27 2011-03-07 삼성전자주식회사 가습장치 및 가습장치용 디스크 어셈블리
KR20120136136A (ko) * 2011-06-08 2012-12-18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가습 공기청정기의 저수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51263A (ko) * 2015-10-30 2017-05-11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US10359204B2 (en) 2015-10-30 2019-07-23 Lg Electronics Inc. Air condition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86690B1 (ko) 2021-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588172S1 (en) Handle for refrigerator
KR100683074B1 (ko) 로봇청소기
CN107660996B (zh) 压力锅
JP5633385B2 (ja) 天井埋込形換気扇
US20120286113A1 (en) Temporary bracket
WO2006054850A3 (en) Wet type air cleaner
USD591310S1 (en) Diaphragm pump with motor
KR20160038354A (ko) 가습 공기청정기용 저수조
US20190186178A1 (en) Vehicle door handle mounting structure
WO2015024189A1 (zh) 一种风扇
USD598729S1 (en) Inside door handle for motor vehicle
JP3121097U (ja) ディスペンサーカバー
US10258908B2 (en) Filter module with window type clear bowl
KR101353694B1 (ko) 진공용기용 밸브장치
CN204027151U (zh) 冰箱
CN211796318U (zh) 一种控制面板及洗碗机
CN203893537U (zh) 用于冰箱的风道组件和具有其的冰箱
CN106388688B (zh) 擦窗机器人
CN107713950B (zh) 洗碗机及洗碗机的加盐盖
JP5874370B2 (ja) 液体容器
CN104110929A (zh) 冰箱
CN103615852B (zh) 冰箱
US20160122064A1 (en) Slim water bottle
US9228777B2 (en) Cooling device comprising a dispenser
JP2541856Y2 (ja) 電動式噴霧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