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38167A - 지압용 발매트 - Google Patents

지압용 발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38167A
KR20160038167A KR1020140130276A KR20140130276A KR20160038167A KR 20160038167 A KR20160038167 A KR 20160038167A KR 1020140130276 A KR1020140130276 A KR 1020140130276A KR 20140130276 A KR20140130276 A KR 20140130276A KR 20160038167 A KR20160038167 A KR 201600381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upressure
base plate
foot
convex portion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302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27759B1 (ko
Inventor
이춘우
정옥규
이현주
오혜옥
Original Assignee
(주)코모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코모텍 filed Critical (주)코모텍
Priority to KR10201401302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7759B1/ko
Publication of KR201600381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81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77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77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4Devices for pressing such points, e.g. Shiatsu or Acu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83Surface of interface
    • A61H2201/169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surface, e.g. material, relief, texture or indicia
    • A61H2201/1695Enhanced pressure effect, e.g. substantially sharp projections, needles or pyram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12Fee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Finger-Pressure Mass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압용 발매트에 관한 것으로, 특히 베이스판 상부면에 복수의 지압체를 배열시키고, 각 지압체를 내부 볼록부와 내부 볼록부로 구성시키며, 내부 볼록부와 외부 볼록부 상에 지압 돌기를 복수개 형성시킴으로써, 발바닥의 지압 효과를 향상시키고, 각각의 지압체가 연결 지지부에 의하여 연결되도록 구성하여, 사용자가 지압용 발매트에 올라간 경우에, 각각의 지압체가 서로 수평 방향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지압 효과를 더욱더 증대시키며, 지압용 발매트가 연결 고리에 의하여 상호 연결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다양한 크기로 확장할 수 있는 지압용 발매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인 지압용 발매트를 이루는 구성수단은 상부면의 외곽을 따라 돌출 형성되는 테두리부에 의하여 구획되는 오목부가 상부면에 형성되는 베이스판, 상기 베이스판의 오목부에 서로 인접하여 배열 형성되되, 상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복수개의 지압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지압용 발매트{FOOT MAT FOR CHIROPRACTIC TREATMENT}
본 발명은 지압용 발매트에 관한 것으로, 특히 베이스판 상부면에 복수의 지압체를 배열시키고, 각 지압체를 내부 볼록부와 내부 볼록부로 구성시키며, 내부 볼록부와 외부 볼록부 상에 지압 돌기를 복수개 형성시킴으로써, 발바닥의 지압 효과를 향상시키고, 각각의 지압체가 연결 지지부에 의하여 연결되도록 구성하여, 사용자가 지압용 발매트에 올라간 경우에, 각각의 지압체가 서로 수평 방향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지압 효과를 더욱더 증대시키며, 지압용 발매트가 연결 고리에 의하여 상호 연결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다양한 크기로 확장할 수 있는 지압용 발매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압용 발매트는 매트에 배치된 지압돌기를 발바닥으로 밟아줌으로써 건강을 유지 및 증진시켜주는 건강 보조기구로 널리 사용되는 것이다.
인체의 발바닥에는 인체 내의 각종 장기와 경혈이 일치되는 상응지점에 해당하는 반사구가 집중적으로 분포되어 있는데, 발바닥으로 지압돌기를 밟아줌으로써 발바닥의 반사구에 인체의 하중에 따른 지압력이 작용하게 된다.
이와 같은 지압력의 자극(일명 "지압"이라함)에 의하여 발바닥에 있는 자율신경을 통해 몸속의 내분비계에 영향을 미치며 생체유지 및 건강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
기존 지압용 발매트에 관련된 선행기술은 실용신안등록 제20-0399751호에 "지압매트"로 제시되고 있다. 이 선행기술에 기술된 지압매트는 상면에 지압돌기가 구비되는 매트부와, 상기 매트부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는 다수의 외부프레임과, 상기 매트부의 모서리에서 상기 외부프레임의 끝단을 상호 연결하도록 끼움턱이 형성되는 모서리연결구를 포함한다.
상기 매트부는 그 상면에 지압돌기가 설치된 상태로 실내의 평평한 바닥면에 깔아서 설치하는 것으로, 유연한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된다. 상기 지압돌기는 다양한 형상을 갖고 다수개가 매트부의 상면에 장착되는 것으로, 사용자가 발바닥으로 밟아 지압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외부프레임은 매트부의 둘레를 따라 모서리연결구에 의해 상호 조립되어 배치되는 것으로, 상기 매트부의 둘레를 장식하여 지압매트의 심미감을 증대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종래의 지압매트는 단순 구조의 지압 돌기에 의해서만 지압 효과를 가져오고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필요 이상의 통증을 느낄 수 있고, 발바닥 전체에 걸쳐 지압 효과를 거둘 수 없다.
또한, 욕실 또는 거실에 배치하는 경우, 다양한 크기로 확장할 수 없고, 특히 욕실에 배치하는 경우, 지압 매트의 하부면을 따라 배수가 이루어지지 않고, 결과적으로 욕실의 청결에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베이스판 상부면에 복수의 지압체를 배열시키고, 각 지압체를 내부 볼록부와 내부 볼록부로 구성시키며, 내부 볼록부와 외부 볼록부 상에 지압 돌기를 복수개 형성시킴으로써, 발바닥의 지압 효과를 향상시키고, 각각의 지압체가 연결 지지부에 의하여 연결되도록 구성하여, 사용자가 지압용 발매트에 올라간 경우에, 각각의 지압체가 서로 수평 방향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지압 효과를 더욱더 증대시키며, 지압용 발매트가 연결 고리에 의하여 상호 연결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다양한 크기로 확장할 수 있는 지압용 발매트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본 발명인 지압용 발매트를 이루는 구성수단은 상부면의 외곽을 따라 돌출 형성되는 테두리부에 의하여 구획되는 오목부가 상부면에 형성되는 베이스판, 상기 베이스판의 오목부에 서로 인접하여 배열 형성되되, 상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복수개의 지압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지압체 각각은 상기 오목부 상에 돌출 형성되되, 원형 또는 다각 형상을 가지는 외부 볼록부와, 상기 외부 볼록부에 의하여 구획되는 상기 오목부 상에 돌출 형성되되, 상기 외부 볼록부와 이격된 상태로 형성되는 내부 볼록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외부 볼록부와 내부 볼록부 상에는 복수개의 지압 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각각의 지압체를 구성하는 외부 볼록부의 측면은 각각의 지압체에 인접하는 지압체를 구성하는 외부 볼록부의 측면과 연결 지지부에 의하여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베이스판의 하부면에는 일측에서 타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수로홈이 서로 이격되어 복수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베이스판이 복수의 변을 가지는 다각형인 경우, 적어도 하나의 변에는 상기 베이스판의 하부면 테두리부에 상기 지압용 발매트를 서로 연결하기 위한 연결고리가 삽입될 수 있는 연결고리 장착부가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연결고리 장착부가 형성되는 상기 베이스판의 하부면 테두리부에 대응되는 상기 베이스판 상부면의 테두리부는 돌출형성되지 않고, 상기 오목부가 확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 및 해결수단을 가지는 본 발명인 지압용 발매트에 의하면, 베이스판 상부면에 복수의 지압체를 배열시키고, 각 지압체를 내부 볼록부와 내부 볼록부로 구성시키며, 내부 볼록부와 외부 볼록부 상에 지압 돌기를 복수개 형성시키기 때문에, 발바닥의 지압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각각의 지압체가 연결 지지부에 의하여 연결되도록 구성하여, 사용자가 지압용 발매트에 올라간 경우에, 각각의 지압체가 서로 수평 방향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하기 때문에, 지압 효과를 더욱더 증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지압용 발매트가 연결 고리에 의하여 상호 연결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크기로 확장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원하는 공간에 다양한 면적으로 지압용 발매트를 배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지압용 발매트의 하부면에 수로홈이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욕실 등 물이 흐르는 곳에 배치하더라도, 물의 배수가 용이하게 이루어지고, 물의 고임이 발생하지 않아 청결을 유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압용 발매트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압용 발매트의 저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압용 발매트의 상방향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압용 발매트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압용 발매트의 하방향 사시도이다.
도 6은 인접하는 두개의 변에 연결 고리가 장착된 지압용 발매트의 사시도이다.
도 7은 인접하는 세개의 변에 연결 고리가 장착된 지압용 발매트의 사시도이다.
도 8은 서로 마주보는 두개의 변에 연결 고리가 장착된 지압용 발매트의 사시도이다.
도 9는 하나의 변에 연결 고리가 장착된 지압용 발매트의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와 같은 과제, 해결수단 및 효과를 가지는 본 발명인 지압용 발매트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압용 발매트의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압용 발매트의 저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압용 발매트의 상방향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압용 발매트의 부분 확대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압용 발매트의 하방향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압용 발매트는 베이스판(10)과 상기 베이스판(10) 상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지압체(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판(10)은 하나의 지압용 발매트를 구성하는 몸체에 해당되고, 그 형상은 원형 또는 사각형을 포함하는 다각형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1 내지 도 5에서는 상기 베이스판(10)이 사각 형상을 가지는 것을 예시하고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지압용 발매트는 원형 또는 다각 형상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이하에서는 사각 형상을 가지는 지압용 발매트를 예시하여 설명한다.
상기 베이스판(10)은 상부면의 외곽을 따라 돌출 형성되는 테두리부(11)와 상기 테두리부(11)에 의하여 구획되는 공간에 해당되고, 상기 테두리부(11)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된 오목부(1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베이스판(10)은 상부면의 외곽을 따라 돌출 형성되는 테두리부(11)에 의하여 구획되는 오목부(13)가 상부면에 형성되는 구조를 가진다.
여기서 상기 테두리부(11)는 일부만 돌출 형성되고, 일부는 상기 오목부(13)가 확장 형성되어 돌출되지 않은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베이스판(10)이 네 변을 가지는 사각 형상인 경우, 세 변에 대응하는 테두리부만 돌출 형성되고, 하나의 변에 대응되는 테두리부는 돌출형성되지 않고, 상기 오목부가 확장형성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겠다.
상기 테두리부(11)에 의하여 구획되는 내부 공간에 해당하는 오목부(13)에는 상기 지압체(30)가 복수개 형성된다. 상기 복수개의 지압체(30)는 서로 인접되어 나란하게 배열된다. 즉, 상기 복수개의 지압체(30)는 상기 베이스판(10)의 오목부(13)에 서로 인접하여 배열 형성되되,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도 1 내지 도 5에서, 상기 복수개의 지압체(30)는 가로 세로 방향으로 연속해서 인접 배열되는 구조를 보여준다.
상기 베이스판(10) 및 상기 복수개의 지압체(30)를 포함한 지압용 발매트는 유연한 합성수지 또는 합성 고무의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베이스판(10)의 오목부(13)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지압체(30)는 지압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지압체(30) 각각은 상기 오목부(13) 상에서 상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그 형상은 원형 또는 다각 형상을 가지는 외부 볼록부(31)와 상기 외부 볼록부(31)에 의하여 구획되는 공간에 해당하는 상기 오목부(13) 상에 형성되고, 상기 외부 볼록부(31)와 이격된 상태로 상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내부 볼록부(3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외부 볼록부(31)와 내부 볼록부(33)가 상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지압 효과가 나타날 수 있지만, 지압 효과를 더욱 더 향상시키기 위하여, 상기 외부 볼록부(31) 상에는 외부 볼록부(31)의 지압 돌기(31a)가 형성되고, 상기 내부 볼록부(33) 상에는 내부 볼록부(33)의 지압 돌기(33a, 33b)가 형성된다.
상기 외부 볼록부(31)의 지압 돌기(31a)는 복수개가 형성되되, 상기 외부 볼록부(31)의 상단을 따라 서로 소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상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내부 볼록부(33)의 지압 돌기는 상기 내부 볼록부(33)의 상단 가운데 부분에 배치되어 상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내부 볼록부(33)의 중심 지압 돌기(33b)와 상기 내부 볼록부의 중심 지압 돌기(33b)의 주변을 따라 소정 간격 이격 배치되는 내부 볼록부(33)의 외곽 지압 돌기(33a)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상기 지압체는 상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외부 볼록부(31)와 내부 볼록부(33)로 구성되고, 상기 외부 볼록부(31)와 내부 볼록부(33) 상에 다양한 배치 방법으로 지압 돌기가 형성되기 때문에, 발바닥의 다양한 지점에 대하여 지압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고, 더 나아가 발바닥의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상기 지압체는 사용자의 발바닥에 대하여 지압효과를 부가할 뿐만 아니라, 욕실 등에 사용되는 경우, 물에 의하여 사용자의 발바닥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안전 사고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을 준다.
정리하면, 상기 지압체(30) 각각은 상기 오목부(13) 상에 돌출 형성되되, 원형 또는 다각 형상을 가지는 외부 볼록부(31)와, 상기 외부 볼록부(31)에 의하여 구획되는 상기 오목부(13) 상에 돌출 형성되되, 상기 외부 볼록부(31)와 이격된 상태로 형성되는 내부 볼록부(33)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외부 볼록부(31)와 내부 볼록부(33) 상에는 복수개의 지압 돌기(31a, 33a, 33b)가 형성됨으로써, 사용자의 발바닥에 지압 효과를 부가할 뿐만 아니라, 발바닥의 미끄러짐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발생시킨다.
한편, 상기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지압체(30)는 유연한 합성 수지 또는 합성 고무 재질로 형성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지압용 발매트에 올라가면, 상기 지압체(30)는 하방향으로 가라앉음과 동시에 수평 방향으로 밀리는 상태가 발생한다.
상기 사용자가 지압용 발매트에 올라갔을 때, 상기 지압체(30)가 수평 방향으로 밀리면, 사용자의 발바닥에 주는 지압 효과가 감소될 수 있고, 더 나아가 사용자의 발바닥이 미끄러질 수 있는 가능성이 커진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복수개의 지압체(30)는 서로 지지될 수 있는 구조로 연결된다.
즉,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복수개의 지압체(30)는 서로 연결 지지부(50)에 의하여 연결됨으로써, 서로 지지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결과적으로, 상기 지압용 발매트에 사용자가 올라간 경우, 상기 지압체(30)는 수평 방향으로 밀리는 효과가 감소되고, 하방향으로 가라앉는 정도가 감소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지압체(30)에 의한 지압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고, 상기 지압체(30)의 수평 방향으로의 쓰러짐으로 인하여 발바닥의 미끄러짐 가능성을 감소시킬 수 있는 장점을 발생시킨다.
구체적으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각각의 지압체(30)를 구성하는 외부 볼록부(31)의 측면은 각각의 지압체(30)에 인접하는 지압체(30)를 구성하는 외부 볼록부(31)의 측면과 연결 지지부(50)에 의하여 연결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사용자가 지압용 발매트에 올라간 경우, 상기 지압체의 하방향 가라앉음과 수평방향의 밀리는 현상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사용자의 발바닥에 대한 지압 효과를 상승시킬 수 있고, 더 나아가 발바닥의 미끄러짐 현상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지압용 발매트는 욕실 등 물이 있는 곳에 배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지압용 발매트의 하부면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물이 배수될 수 있는 수로홈(70)이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지압용 발매트를 구성하는 상기 베이스판(11)의 하부면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에서 타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수로홈(70)이 서로 이격되어 복수개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지압용 발매트가 욕실 등 물이 흐르는 곳에 배치되는 경우, 상기 수로홈(70)을 따라 상기 물이 배수될 수 있기 때문에, 욕실 등에 물이 고이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배수가 되지 않을 때 발생하는 청결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베이스판(11)의 하부면에 형성되는 상기 수로홈(70)은 베이스판(11)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길게 오목하게 형성되되, 일방향으로만 형성될 수도 있고, 서로 직교되도록 양 방향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로홈(70)은 상기 베이스판(11)의 하부면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복수개의 제1 방향 수로홈(70a)과 상기 제1 방향 수로홈(70a)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상기 베이스판(11)의 하부면 일측에서 타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복수개의 제2 방향 수로홈(70b)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상기 수로홈(70)이 서로 직교되도록 형성되는 제1 방향 수로홈(70a)과 제2 방향 수로홈(70b)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상기 지압용 발매트가 욕실 등 물이 흐르는 곳에 사용되는 경우에, 다양한 방향으로 배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결과적으로 물이 고이거나, 고인 물과 함께 이물질이 고착되거나, 또는 이물질에 의하여 더러워지는 문제점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수로홈(70)을 구성하는 제1 방향 수로홈(70a)과 제2 방향 수로홈(70b)이 직교하여 만나는 지점에는 교점 수로홈(71)이 형성된다. 상기 교점 수로홈(71)은 상기 제1 방향 수로홈(70a)과 제2 방향 수로홈(70b)보다 너비가 더 큰 공간을 가질 수 있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1 방향 수로홈(70a) 또는 제2 방향 수로홈(70b)을 따라 배수되는 물은 상기 교점 수로홈(71)을 경유하여 상기 제2 방향 수로홈(70b) 또는 제1 방향 수로홈(70a)으로 방향을 틀어서 배수될 수도 있고,다양한 지점에서 다양한 방향으로 배수될 수 있다.
따라서, 욕실이 평평하지 않고 경사진 상태라도, 상기 제1 방향 수로홈(70a)과 제2 방향 수로홈(70b) 및 교점 수로홈(71)을 통하여 배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교점 수로홈(71)은 상기 제1 방향 수로홈(70a)과 제2 방향 수로홈(70b)보다 더 너비가 큰 공간을 가지기 때문에, 배수가 이루어질 수 있는 통로를 확보한 상태에서 상기 교점 수로홈(71)의 가운데 부분에 미끄럼 방지 돌기(73)을 형성시킬 수 있다.
즉, 상기 교점 수로홈(71)의 중앙 부분에는 하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욕실 또는 거실 등, 상기 지압용 발매트가 설치되는 바닥면에 접촉될 수 있는 미끄럼 방지 돌기(73)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교점 수로홈(71)에 미끄럼 방지 돌기(73)를 형성시킴으로써, 바닥면과 접촉되는 부분을 증대시킬 수 있고, 결과적으로 지압용 발매트의 유동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지압용 발매트는 서로 연결하여 면적이 더 큰 확장 지압용 발매트를 구성할 수 있다. 즉, 복수개의 지압용 발매트를 서로 연결하여 다양한 면적을 가지는 설치 장소에 배치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지압용 발매트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판(10)의 하부면 테두리부에는 상기 지압용 발매트를 서로 연결하기 위한 연결고리(90)가 삽입될 수 있는 연결고리 장착부(80)가 서로 이격되어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연결고리 장착부(80)는 상기 지압용 발매트를 구성하는 베이스판(10)의 하부면의 테두리부에 형성되되, 서로 이격되어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지압용 발매트를 연결하여 확장할 수 있도록 한다. 도 5는 각 테두리(변)에 두개의 연결고리 장착부(80)가 형성되는 것을 예시하고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베이스판(10)이 복수의 변을 가지는 다각형인 경우, 적어도 하나의 변에는 상기 베이스판(10)의 하부면 테두리부에 상기 지압용 발매트를 서로 연결하기 위한 연결고리(90)가 삽입될 수 있는 연결고리 장착부(80)가 서로 이격되어 형성된다.
즉, 상기 베이스판(10)이 네개의 변을 가지는 사각 형상인 경우, 하나의 변 또는 두개의 변 또는 세개의 변 또는 네개의 변 모두을 구성하는 각 베이스판(10) 하부면 테두리부에 연결고리 장착부(8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고리 장착부(80)는 상기 베이스판(11)의 하부면의 테두리 부분에서, 깊이 방향으로 함몰되어 형성되는 장착홈(80a)과 상기 장착홈(80a) 상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판(11)의 하부면과 동일 수평면을 유지하는 걸림 돌기(80b)로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장착홈(80a)는 상기 베이스판(11)의 하부면의 테두리 부분에서 깊이 방향으로 함몰 형성되되, "ㄷ"자 형상을 가지고, "ㄷ"자의 개방 부분이 베이스판(11)의 바깥쪽 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걸림 돌기(80b)는 상기 "ㄷ"자 형상의 장착홈(80a)을 형성시킴으로써, 잔존하게 되는 베이스판(11)의 일부분에 해당한다.
상기와 같은 형상으로 이루어진 연결고리 장착부(80)에는 인접하는 지압용 발매트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 고리(90)가 삽입 장착된다. 상기 연결고리(9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운데 부분이 뚫린 형태의 판 형상을 가진다.
구체적으로, 상기 연결고리(90)는 가운데 부분이 뚫려 형성되는 걸림 틀(90a)과 상기 걸림 틀(90a) 내부에 뚫린 부분에 해당하는 걸림 홀(90b)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형상을 가지는 연결고리(90)는 상기 연결고리 장착부(80)에 삽입 장착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연결고리(90)는 상기 걸림 홀(90b)이 상기 연결고리 장착부(80)의 걸림 돌기(80b)에 끼워지고, 상기 걸림 틀(90a)이 상기 연결고리 장착부(80)의 장착홈(80a)에 삽입 안착될 수 있도록 장착된다.
이와 같이, 상기 연결고리(90)가 상기 연결고리 장착부(80)에 삽입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걸림 돌기(80b)는 상기 걸림 홀(90b)의 내부 공간 중, 한 쪽 절반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걸림 홀(90b)의 내부 공간 중, 나머지 절반에 해당하는 공간에는 다른 지압용 발매트의 걸림 돌기(80b)가 끼워져서 삽입된다. 이를 통하여 인접하는 지압용 발매트를 서로 연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인접하는 지압용 발매트를 서로 연결하고자 할 때, 상기 연결고리를 인접하는 각각의 지압용 발매트에 형성되는 각 걸림 돌기(80b)에 끼우는 과정을 거친다. 즉, 하나의 연결고리의 걸림 홀(90b)에는 인접하는 지압용 발매트에 형성된 걸림 돌기(80b)가 함께 삽입되고, 이를 통하여 복수개의 지압용 발매트를 서로 인접 연결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지압용 발매트는 서로 복수개가 인접 연결되어, 면적을 확장할 수 있고, 다양한 배치 공간에 해당 크기로 설치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상기 연결고리 장착부(80)가 형성되는 베이스판(10)의 하부면 테두리의 반대쪽 부분, 즉 베이스판(10)의 상부면 테두리부(11)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 형성되는 구조를 가질 수도 있지만, 도 6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 형성되지 않고, 베이스판(10)의 오목부(13)가 확장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연결고리 장착부(80)가 형성되는 상기 베이스판(10)의 하부면 테두리부에 대응되는 상기 베이스판(10) 상부면의 테두리부(11)는 돌출형성되지 않고, 상기 오목부(13)가 확장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연결고리 장착부(80)가 형성되는 베이스판(10)의 하부면 테두리의 반대쪽 부분, 즉 베이스판(10)의 상부면 테두리부(11)가 돌출형성되지 않고 오목부(13)가 확장 형성되는 이유는 복수개의 지압용 발매트가 연결고리(90)에 의하여 서로 연결되어 확장되는 경우, 상기 지압체(30)가 형성되는 확장된 지압용 발매트 내부, 즉 오목부에는 돌출형성된 테두리부가 존재하지 않고, 지압체(30)만이 돌출 형성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 베이스판 11 : 베이스판의 테두리부
13 : 베이스판의 오목부 30 : 지압체
31 : 외부 볼록부 31a : 외부 볼록부의 지압 돌기
33 : 내부 볼록부 33a : 내부 볼록부의 외곽 지압 돌기
33b : 내부 볼록부의 중심 지압 돌기 50 : 연결 지지부
70 : 수로홈 70a : 제1 방향 수로홈
70b : 제2 방향 수로홈 71 : 교점 수로홈
73 : 미끄럼 방지 돌기 80 : 연결고리 장착부
80a : 장착홈 80b : 걸림 돌기
90 : 연결고리 90a : 걸림 틀
90b : 걸림 홀

Claims (6)

  1. 상부면의 외곽을 따라 돌출 형성되는 테두리부에 의하여 구획되는 오목부가 상부면에 형성되는 베이스판;
    상기 베이스판의 오목부에 서로 인접하여 배열 형성되되, 상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복수개의 지압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압용 발매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압체 각각은 상기 오목부 상에 돌출 형성되되, 원형 또는 다각 형상을 가지는 외부 볼록부와, 상기 외부 볼록부에 의하여 구획되는 상기 오목부 상에 돌출 형성되되, 상기 외부 볼록부와 이격된 상태로 형성되는 내부 볼록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외부 볼록부와 내부 볼록부 상에는 복수개의 지압 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압용 발매트.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지압체를 구성하는 외부 볼록부의 측면은 각각의 지압체에 인접하는 지압체를 구성하는 외부 볼록부의 측면과 연결 지지부에 의하여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압용 발매트.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판의 하부면에는 일측에서 타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수로홈이 서로 이격되어 복수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압용 발매트.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판이 복수의 변을 가지는 다각형인 경우, 적어도 하나의 변에는 상기 베이스판의 하부면 테두리부에 상기 지압용 발매트를 서로 연결하기 위한 연결고리가 삽입될 수 있는 연결고리 장착부가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압용 발매트.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연결고리 장착부가 형성되는 상기 베이스판의 하부면 테두리부에 대응되는 상기 베이스판 상부면의 테두리부는 돌출형성되지 않고, 상기 오목부가 확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압용 발매트.
KR1020140130276A 2014-09-29 2014-09-29 지압용 발매트 KR1016277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0276A KR101627759B1 (ko) 2014-09-29 2014-09-29 지압용 발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0276A KR101627759B1 (ko) 2014-09-29 2014-09-29 지압용 발매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8167A true KR20160038167A (ko) 2016-04-07
KR101627759B1 KR101627759B1 (ko) 2016-06-08

Family

ID=557894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0276A KR101627759B1 (ko) 2014-09-29 2014-09-29 지압용 발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775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7722Y1 (ko) * 2018-04-04 2018-10-25 김한영 바닥매트
KR102609970B1 (ko) * 2022-07-14 2023-12-04 소성환 설치가 편리한 매트용 바닥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1913Y1 (ko) * 2018-06-28 2020-07-01 주식회사 샤인 공기순환 구조를 갖는 조립식 안전매트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9572Y1 (ko) * 2001-01-05 2001-07-19 임상명 미끄럼방지용 매트
KR200407578Y1 (ko) * 2005-11-22 2006-01-31 이용길 웰빙 지압매트
KR200409989Y1 (ko) * 2005-12-15 2006-03-03 고대석 지압용 매트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9572Y1 (ko) * 2001-01-05 2001-07-19 임상명 미끄럼방지용 매트
KR200407578Y1 (ko) * 2005-11-22 2006-01-31 이용길 웰빙 지압매트
KR200409989Y1 (ko) * 2005-12-15 2006-03-03 고대석 지압용 매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7722Y1 (ko) * 2018-04-04 2018-10-25 김한영 바닥매트
KR102609970B1 (ko) * 2022-07-14 2023-12-04 소성환 설치가 편리한 매트용 바닥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27759B1 (ko) 2016-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7759B1 (ko) 지압용 발매트
US20020151829A1 (en) Combination massaging pad
USD916374S1 (en) Wall-mountable back scrubbing or massaging mat
JP2587665Y2 (ja) ジョイント・ヘルス・マット
KR200441831Y1 (ko) 자성체를 구비한 족부 지압판
JP3083681U (ja) 足つぼ健康器
KR200366894Y1 (ko) 통풍 슬리퍼
KR200198754Y1 (ko) 지압을 겸한 실내용 매트블록
JPH0519058Y2 (ko)
KR200320414Y1 (ko) 배수구를 갖는 욕실용 미끄럼 방지판
TWI474789B (zh) 按摩鞋墊
KR101512836B1 (ko) 지압용 발판
JPH0212939Y2 (ko)
CN210250545U (zh) 高分子足疗盆底的按摩草坪
CN213490467U (zh) 一种多功能站立垫
KR102129693B1 (ko) 수면용 슬립핑지지대
CN211796067U (zh) 一种用于洗脚和按摩的淋浴垫
JPH03295501A (ja) 足支持部を備えたインソール
KR200337763Y1 (ko) 발 매트
KR100955308B1 (ko) 지압매트
KR200168857Y1 (ko) 발받침대
JP3043103U (ja) 指圧マット
KR200224319Y1 (ko) 접착식 지압타일
KR200313134Y1 (ko) 지압용의 조립식 매트블록
JP3008700U (ja) 健康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