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2836B1 - 지압용 발판 - Google Patents

지압용 발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2836B1
KR101512836B1 KR1020130050725A KR20130050725A KR101512836B1 KR 101512836 B1 KR101512836 B1 KR 101512836B1 KR 1020130050725 A KR1020130050725 A KR 1020130050725A KR 20130050725 A KR20130050725 A KR 20130050725A KR 101512836 B1 KR101512836 B1 KR 1015128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plate
pressure
region
foot
h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07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31742A (ko
Inventor
송승근
Original Assignee
송승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승근 filed Critical 송승근
Priority to KR10201300507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2836B1/ko
Publication of KR201401317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17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28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28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4Devices for pressing such points, e.g. Shiatsu or Acupress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3/00Clay-wares
    • C04B33/02Preparing or treating the raw materials individually or as batches
    • C04B33/04Clay; Kaolin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3/00Clay-wares
    • C04B33/32Burning meth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2Driving means
    • A61H2201/1253Driving means driven by a human being, e.g. hand drive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12Feet
    • A61H2205/125Foot reflex zon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Finger-Pressure Mass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을 지압하기 위한 지압용 발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서로 다른 높이를 갖는 적어도 두 종류 이상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상에 소정패턴으로 설치되는 지압봉들;을 구비하고, 상기 지압봉들은 제 1 높이를 갖는 제 1 지압봉들과, 상기 제 1 높이보다 낮은 제 2 높이를 갖는 제 2 지압봉들과, 상기 제 2 높이보다 낮은 제 3 높이를 갖는 제 3 지압봉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지압용 발판은 서로 다른 높이를 갖는 다수의 지압봉들을 규칙적으로 배치하여 발바닥의 장심 부위 또는 발바닥에 분포되어 있는 반사구를 효율적으로 자극 및 지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지압용 발판은 베이스플레이트를 지지하는 지지프레임에 설치되는 미끄럼방지부재를 통해 설치대상지역에 견고하게 지지시킬 수 있고, 지지프레임을 서로 연결시키는 연결부재를 통하여 크기의 확장 및 축소가 용이하며, 확장이 용이함에 따라 다수의 사용자가 이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지압용 발판은 반 영구적인 도자기를 만드는 소재를 이용하여 이루어져 있어 형상의 변형이 작고, 내구성이 높아 유지보수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지압용 발판{Foot pressure mat}
본 발명은 지압용 발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지압용 발판을 구성함에 서로 다른 높이를 갖는 지압봉들을 발바닥에 분포되어 있는 반사구를 효율적으로 자극함과 더불어 편안한 지압이 이루어지게 하는 지압용 발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체의 모든 장기는 발바닥 또는 손바닥을 자극하는 지압 등을 통하여 촉진을 유도하고 있으며, 이러한 지압자극을 위하여 매우 다양한 고안이 제안된 바 있다. 특히 발의 경우, 하나의 발은 28개의 뼈와 33개의 관절, 94개의 근육과, 많은 수의 혈관, 연결하면 그 길이가 수 킬로미터에 달하는 모세혈관들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발은 심장에서 가장 멀리 떨어져 있어서 혈액순환 장애를 비롯하여 여러가지 부조화를 일으키기 쉬운 신체적 특성이 있는데, 특히, 발끝까지 내려온 혈액이 정맥을 통하여 심장으로 되돌아갈 때는 심장의 힘만으로는 어렵게 된다.
이로 인해 노폐물이 축적되기 쉽고, 그 결과로 혈액순환이 순조롭지 못하게 될 뿐만 아니라 심장에 큰 부담을 주게 되어 전체적으로 온몸의 혈액순환이 원활하지 못하게 되는 악순환이 거듭 되는 것이다.
발 지압은 이와 같은 노폐물 배설을 촉진시켜 순환장애를 획기적으로 개선시켜 줌으로써 건강을 개선 시키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효과를 발휘하기 위하여 발바닥을 지압하는 장치들이 다양하게 소개되어 사용되고 있는데, 최근에는 원적외선 또는 음이온을 방사하여 지압과 동시에 다양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도록 한 제품들이 출시되어 판매되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발바닥을 지압하기 위한 장치의 일 예로, 국내 등록실용신안 제20-0269523호에는 본체와, 지압돌기가 마련된 지압판, 쿠션판 및 밀판을 구비하는 지압용 발판이 게시되어 있고, 국내 등록실용신안 제20-0306953호에는 보드와, 지압부와 받침대로 구성된 발판이 게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발바닥 지압용 장치들은 지압판에 마련된 지압돌기의 길이가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어 발바닥의 장심(掌心) 부위 또는 발바닥에 분포되어 있는 반사구를 효율적으로 지압하기가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의 발바닥 지압용 장치들은 지압을 할 수 있는 지압부의 크기가 한정되어 있어 다수의 사용자가 동시에 사용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종래에는 야외 공원과 같이 넓은 지역에 걸쳐 자갈 등을 이용하여 발바닥을 지압할 수 있는 지압판을 제공하고 있으나, 종래의 야외에 설치된 지압판의 경우에는 자갈등과 같은 지압부재를 콘크리트로 고정하고 있어 장시간 사용시 지압부재가 빠지는 문제가 발생할 뿐만 아니라 지압판을 확장하기 어려운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발바닥의 장심 부위 또는 발바닥에 분포되어 있는 반사구를 효율적으로 자극 및 지압할 수 있는 지압용 발판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다수의 사용자가 동시에 이용할 수 있으면서, 거실, 욕실, 주방, 수영장, 사우나, 목욕탕 등과 같은 실내뿐만 아니라 체육공원과 같은 야외에 설치가 용이하며, 크기의 확장 및 축소가 용이한 지압용 발판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지압용 발판은 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상에 소정패턴으로 설치되며, 서로 다른 높이를 갖는 적어도 두 종류 이상의 지압봉들;을 구비한다.
상기 지압봉들은 제 1 높이를 갖는 제 1 지압봉들과, 상기 제 1 높이보다 낮은 제 2 높이를 갖는 제 2 지압봉들과, 상기 제 2 높이보다 낮은 제 3 높이를 갖는 제 3 지압봉들을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를 상하방향으로 분할하는 수직기준분할선과,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를 좌우방향으로 분할하는 수평기준분할선에 의해 서로 동일한 면적 및 형상을 갖는 제 1 영역 내지 제 4 영역으로 각각 구획되고, 상기 지압봉들은 상기 수직기준분할선을 기준으로 대칭되게 배치되고, 상기 수평기준분할선을 기준으로 대칭되게 배치된다.
상기 제 1 영역은 상기 제 1 영역과 상기 제 3 영역을 각각 좌우로 분할하는 제 1 수직분할선과, 상기 제 1 영역과 상기 제 2 영역을 각각 상하로 분할하는 제 1 수평분할선에 의해 서로 동일한 면적 및 형상을 갖는 제 1 - 1 영역 내지 제 1 - 4 영역으로 각각 구획되고, 상기 제 2 영역은 상기 제 2 영역과 상기 제 4 영역을 각각 좌우로 분할하는 제 2 수직분할선과, 상기 제 1 수평분할선에 의해 서로 동일한 면적 및 형상을 갖는 제 2 - 1 영역 내지 제 2 - 4 영역으로 각각 구획되며, 상기 제 3 영역은 상기 제 1 수직분할선과, 상기 제 3 영역과 상기 제 4 영역을 각각 상하로 분할하는 제 2 수평분할선에 의해 서로 동일한 면적 및 형상을 갖는 제 3 - 1 영역 내지 제 3 - 4 영역으로 각각 구획되고, 상기 제 4 영역은 상기 제 2 수직분할선과, 상기 제 2 수평분할선에 의해 서로 동일한 면적 및 형상을 갖는 제 4 - 1 영역 내지 제 4 - 4 영역으로 각각 구획되며, 상기 지압봉들은 상기 제 1 - 1 영역 내지 상기 제 1 - 4 영역에 상기 제 1 수직분할선과 상기 제 1 수평분할선을 기준으로 각각 대칭되게 배치되고, 상기 제 2 - 1 영역 내지 제 2 - 4 영역에 상기 제 2 수직분할선과 상기 제 1 수평분할선을 기준으로 각각 대칭되게 배치되며, 상기 제 3 - 1 영역 내지 제 3 - 4 영역에 상기 제 1 수직분할선과 상기 제 2 수평분할선을 기준으로 각각 대칭되게 배치되고, 상기 제 4 - 1 영역 내지 제 4 - 4 영역에 상기 제 2 수직분할선과 상기 제 2 수평분할선을 기준으로 각각 대칭되게 배치된다.
상기 제 1 - 1 영역에는 가로방향을 따라 제 1 지압봉, 제 2 지압봉, 제 3 지압봉이 순차적으로 나타나는 제 1 어레이와, 상기 제 1 어레이의 하부에 상기 제 1 어레이와 나란한 방향을 따라 제 2 지압봉과, 제 3 지압봉과, 제 2 지압봉이 순차적으로 나타나는 제 2 어레이와, 상기 제 2 어레이의 하부에 상기 제 2 어레이와 나란한 방향으로 제 3 지압봉과, 제 2 지압봉과, 제 3 지압봉이 순차적으로 나타나는 제 3 어레이가 배치된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작용하는 외력에 의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저면과 측면을 감싸도록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가 삽입 및 안착되는 안착홈이 마련된 지지프레임;을 더 구비한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지지프레임의 하부에 결합되는 미끄럼방지부재;를 더 구비한다.
상기 미끄럼방지부재는 상기 지지프레임의 저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소정깊이 인입된 장착홈에 삽입되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의 하단으로부터 하방으로 경사지게 방사상으로 연장되며 저면에는 상방으로 소정 깊이 인입된 공간이 마련된 흡착부를 구비한다.
상기 지지프레임 다수를 상호 인접되게 배치 및 연결하도록 상기 지지프레임의 하부에 설치되는 연결부재;를 더 구비한다.
상기 지압봉들을 배치를 선택적으로 변경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지압봉에 형성된 결합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를 상하호 관통하도록 형성되며 상호 이격되게 형성된 다수의 결합구멍들과, 상기 지압봉들의 하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결합구멍에 삽입되는 결합돌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지압용 발판은 서로 다른 높이를 갖는 다수의 지압봉들을 규칙적으로 배치하여 발바닥에 분포되어 있는 반사구를 효율적으로 자극 및 지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지압용 발판은 베이스플레이트를 지지하는 지지프레임에 설치되는 미끄럼방지부재를 통해 설치대상지역에 견고하게 지지시킬 수 있고, 지지프레임을 서로 연결시키는 연결부재를 통하여 크기의 확장 및 축소가 용이하며, 확장이 용이함에 따라 다수의 사용자가 이용할 수 있으며, 크기의 확장이 가능함에 따라 이동하면서 지압을 받을 수 있어 기존의 제자리걸음에 의한 지압보다 효과적인 지압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지압용 발판은 반 영구적인 도자기를 만드는 소재를 이용하여 이루어져 있어 형상의 변형이 작고, 내구성이 높아 유지보수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그리고, 본원 발명에 따른 지압용 발판은 욕실이나 목욕탕 등의 바닥에 설치되는 타일 등과 같은 바닥재로도 사용이 가능하여 지압 효과뿐만 아니라 미끄럼방지 및 미관을 증진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지압용 발판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지압용 발판의 A-A`단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지압용 발판의 B-B`단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지압용 발판의 제 1 지압봉 내지 제 3 지압봉의 배치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지압용 발판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다른 지압용 발판의 분리사시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지압용 발판의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에 따른 지압용 발판의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 예에 따른 지압용 발판의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 예에 따른 지압용 발판의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 7 실시 예에 따른 지압용 발판의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지압용 발판에 대하여 상세하세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에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지압용 발판(1)이 도시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지압용 발판(1)은 베이스플레이트(10)와, 베이스플레이트(10) 상에 설치되는 다수의 지압봉(20)들을 구비한다.
베이스플레이트(10)는 소정 면적을 갖는 정사각형의 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소정의 두께를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는 점토, 규석, 장석, 도석, 석회석, 납석, 마그네시아를 소정의 비율로 혼합한 혼합물로 형성되며, 고온에서 소성하여 형성된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의 한 변의 길이는 일 예로 40cm로 형성할 수 있다.
지압봉(20)들은 서로 다른 높이를 갖는 적어도 두 종류 이상이 베이스플레이트(10) 상에 소정의 패턴으로 상호 이격되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설정된 제 1 높이를 갖는 복수의 제 1 지압봉(21)들과, 제 1 높이보다 낮은 제 2 높이를 갖는 복수의 제 2 지압봉(22)들과, 제 2 높이보다 낮은 제 3 높이를 갖는 복수의 제 3 지압봉(23)들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 1 지압봉(21)들 내지 제 3 지압봉(23)들은 하부가 평탄하고 상부는 볼록하며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도록 테이퍼진 원뿔 모양으로 형성되며, 상단 부분은 곡면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 1 지압봉(21)들 내지 제 3 지압봉(23)들은 서로 다른 높이를 갖도록 형성되지만, 저면은 모두 동일한 직경를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일 예로, 제 1 지압봉(21)들 내지 제 3 지압봉(23)들의 높이는 각각 7mm, 5mm, 3mm로 형성할 수 있다.
제 1 지압봉(21)들 내지 제 3 지압봉(23)들은 베이스플레이트(10)와 같이 점토, 규석, 장석, 도석, 석회석, 납석, 마그네시아를 소정의 비율로 혼합한 혼합물로 형성되며, 혼합물을 고온에서 소성하여 형성된다.
제 1 지압봉(21)들 내지 제 3 지압봉(23)들은 상술한 바와 같은 소재를 혼합하고, 혼합물을 가압하여 원뿔 모양의 성형물을 제조하고, 성형물을 건조시킨 후, 건조된 성형물을 800℃ 내외의 온도에서 1차 소성하며, 소성된 성형물의 외주면에 유약을 도포한 뒤 1250℃ 내외의 온도에서 2차 소성하여 제조할 수 있다.
베이스플레이트(10)는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플레이트(10)를 상하방향으로 분할하는 수직기준분할선(11)과 베이스플레이트(10)를 좌우방향으로 분할하는 수평기준분할선(15)에 의해 서로 동일한 면적 및 형상을 갖는 제 1 영역(10a)과, 제 2 영역(10b)과, 제 3 영역(10c)과 제 4 영역(10d)으로 각각 구획할 수 있으며, 제 1 지압봉(21)들 내지 제 3 지압봉(23)들은 수직기준분할선(11)과 수평기준분할선(15)에 의해 구획된 제 1 영역(10a) 내지 제 4 영역(10d)에 규칙적으로 배치되되, 수직기준분할선(11)과 수평기준분할선(15)을 기준으로 대칭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상기에서 언급된 수직기준분할선(11)과 수평기준분할선(15)은 베이스플레이트(10)의 전 영역을 실제로 분할하여 분리하는 절개선이 아니고 베이스플레이트(10)의 전 영역을 구분할 수 있도록 설정된 가상의 선이다.
상기의 제 1 영역(10a) 내지 제 4 영역(10d)은 각각 베이스플레이트(10)의 전 영역을 4개로 가상구획한 영역으로서 베이스플레이트(10)의 상단 좌측 부분, 상단 우측 부분, 하단 좌측 부분, 하단 우측 부분을 지칭하며, 베이스플레이트(10) 상에 2개의 행과 2개의 열을 갖는 2×2 행렬과 같은 구조를 이룬다.
제 1 영역(10a)은 제 1 영역(10a)과 제 3 영역(10c)을 각각 좌우로 분할하는 제 1 수직분할선(12)과, 제 1 영역(10a)과 베이스플레이트(10)의 상단 우측에 위치하는 제 2 영역(10b)을 각각 상하로 분할하는 제 1 수평분할선(16)에 의해 서로 동일한 면적 및 형상을 갖는 제 1 - 1 영역 내지 제 1 - 4 영역으로 각각 구획되며, 제 1 - 1 영역, 제 1 - 2 영역, 제 1 - 3 영역 및 제 1 - 4 영역은 제 1 영역(10a) 내지 제 4 영역(10d)의 배열 패턴과 대응하는 패턴을 이룬다.
제 1 - 1 영역 내지 제 1 - 4 영역에는 각각 제 1 지압봉(21)들 내지 제 3 지압봉(23)들이 3×3 행렬을 이루도록 배치되되,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 1 영역과 제 1 - 2 영역, 제 1 - 2 영역과 제 1 - 4 영역, 제 1 - 1 영역과 제 1 - 3 영역, 그리고 제 1 - 3 영역과 제 1 - 4 영역에 배치되는 제 1 지압봉(21)들 내지 제 3 지압봉(23)들이 제 1 수직분할선(12)과 제 1 수평분할선(16)을 기준으로 대칭되게 배치되어 있다.
일 예로, 상기의 제 1 - 1 영역에는 도면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영역(10a)의 가로방향을 따라 제 1 지압봉(21), 제 2 지압봉(22), 제 3 지압봉(23)을 순차적으로 배치한 제 1 어레이와, 제 1 어레이의 하부에 제 1 어레이와 나란한 방향을 따라 제 2 지압봉(22)과, 제 3 지압봉(23)과, 제 2 지압봉(22)이 순차적으로 배치한 제 2 어레이와, 제 2 어레이의 하부에 제 2 어레이와 나란한 방향으로 제 3 지압봉(23)과, 제 2 지압봉(22)과, 제 3 지압봉(23)을 순차적으로 배치한 제 3 어레이를 형성할 수 있다.
제 2 영역(10b)은 제 2 영역(10b)과 제 4 영역(10d)을 각각 좌우로 분할하는 제 2 수직분할선(13)과, 제 1 수평분할선(16)에 의해 서로 동일한 면적 및 형상을 갖는 제 2 - 1 영역 내지 제 2 - 4 영역으로 각각 구획된다.
제 3 영역(10c)은 제 1 수직분할선(12)과, 제 3 영역(10c)과 제 4 영역(10d)을 각각 상하로 분할하는 제 2 수평분할선(17)에 의해 서로 동일한 면적 및 형상을 갖는 제 3 - 1 영역 내지 제 3 - 4 영역으로 각각 구획된다.
제 4 영역(10d)은 상기 제 2 수직분할선(13)과, 상기 제 2 수평분할선(17)에 의해 서로 동일한 면적 및 형상을 갖는 제 4 - 1 영역 내지 제 4 - 4 영역으로 각각 구획된다.
상기의 제 2 - 1 영역 내지 제 2 - 4 영역, 제 3 - 1 영역 내지 제 3 - 4 영역, 그리고 제 4 - 1 영역 내지 제 4 - 1 영역에도 제 1 지압봉(21)들 내지 제 3 지압봉(23)들이 배치되며, 제 1 - 1 내지 제 1 - 4 영역에 배치되는 제 1 지압봉(21)들 내지 제 3 지압봉(23)들의 배치구조와 대응하는 구조로 배치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제 2 - 1 영역 내지 제 2 - 4 영역에 제 2 수직분할선(13)과 제 1 수평분할선(16)을 기준으로 각각 대칭되게 배치되며, 제 3 - 1 영역 내지 제 3 - 4 영역에 제 1 수직분할선(12)과 제 2 수평분할선(17)을 기준으로 각각 대칭되게 배치되고, 제 4 - 1 영역 내지 제 4 - 4 영역에 제 2 수직분할선(13)과 제 2 수평분할선(17)을 기준으로 각각 대칭되게 배치되어 있다.
즉, 베이스플레이트(10)에 배치되는 제 1 지압봉(21) 내지 제 3 지압봉(23)들은 제 1 영역(10a) 내지 제 4 영역(10d)에 각각 동일한 패턴으로 배치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수직기준분할선(11)과 수평기준분할선(15)을 기준으로 각각 대칭되게 배치되어 있다.
상기에서 언급된 제 1 수직분할선(12)과 제 2 수직분할선(13)은 각각 수직기준분할선(11)을 기준으로 좌측과 우측에 위치하고, 제 1 수평분할선(16)과 제 2 수평분할선(17)은 각각 수평기준분할선(15)을 기준으로 상측과 하측에 위치하며, 상기 제 1 수직분할선(12)과 제 2 수직분할선(13) 및 상기 제 1 수평분할선(16)과 제 2 수평분할선(17)은 상기의 수직기준분할선(11)과 수평기준분할선(15)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가상의 선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지압용 발판(1)에 의하면, 지압봉(20)들과 베이스플레이트(10)가 도자기를 만드는 소재를 소성하여 이루어져 있어 형상의 변형이 작고, 내구성이 높아 유지보수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지압용 발판은 서로 다른 높이를 갖는 다수의 지압봉(20)들을 규칙적으로 배치하여 발바닥의 장심 부위 또는 발바닥에 분포되어 있는 반사구를 효율적으로 자극 및 지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도 5에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지압용 발판(2)이 도시되어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지압용 발판(2)은 중량을 줄이도록 베이스플레이트(10)의 저면에 상방으로 소정깊이 인입된 다수의 인입홈(25)들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인입홈(25)들은 베이스플레이트(10)의 상면에 배치되어 있는 지압봉(20)들의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으며, 베이스플레이트(10)의 저면에서 지압봉(20)들의 하부 일부를 점유하도록 소정 높이로 인입되어 있다.
상기 인입홈(25)들은 각각 해당 위치에 배치된 지압봉의 높이와 대응하는 깊이만큼 또는 그보다 작은 깊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도 6 및 도 7에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지압용 발판(3)이 도시되어 있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지압용 발판(3)은 베이스플레이트(10)와; 베이스플레이트(10) 상에 설치되는 다수의 지압봉(20)들과; 베이스플레이트(10)를 지지하는 지지프레임(30);을 구비한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베이스플레이트(10)와 지압봉(20)들은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지압용 발판(1)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 있는 바와 동일한 것을 적용하였으며, 중복설명은 생략한다.
지지프레임(30)은 베이스플레이트(10)에 작용하는 외력에 의해 베이스플레이트(10)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베이스플레이트(10)의 하부에 형성된 것으로 베이스플레이트(10)의 저면과 측면을 감싸도록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가 삽입 및 안착되는 안착홈(31)이 내측에 마련되어 있다. 지지프레임(30)의 바닥에는 상하를 관통하는 다수의 홈부(3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홈부(32)에 의해 지지프레임(30)의 바닥이 메시(mesh) 구조를 형성한다.
지지프레임(30)에 마련된 메시구조는 베이스플레이트(10)에 압축, 인장, 튀틀림, 굽힘, 전단 등과 같은 외력이 작용할 때, 베이스플레이트(10)가 외력에 의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저항력을 갖는다.
본 실시 예에서 설명된 지지프레임(30)은 베이스플레이트(10)와 분리된 것처럼 도시되어 있으나, 지지프레임(30)과 베이스플레이트(10)는 일체로 형성된다.
한편, 도 8에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에 따른 지압용 발판(4)이 도시되어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지압용 발판(4)은 베이스플레이트(10)와; 베이스플레이트(10) 상에 설치되는 다수의 지압봉(20)들과; 베이스플레이트(10)를 지지하는 지지프레임(30)과; 지지프레임(30)에 설치되는 미끄럼방지부재(40);를 구비한다.
상기의 지지프레임(30)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구조를 적용하며 중복설명은 생략한다.
미끄럼방지부재(40)는 베이스플레이트(10)가 설치대상면에 대하여 미끄러져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지지프레임(30)의 하부에 결합된다.
상기 미끄럼방지부재(40)는 지지프레임(30)의 하부에 결합시킬 수 있도록 지지프레임(30)의 저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소정깊이 인입된 장착홈에 삽입되는 삽입부(41)와, 삽입부(41)의 하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며, 삽입부(41)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확장된 확장부(42)를 포함한다.
상기 미끄럼방지부재(40)는 설치 대상면과의 마찰력을 높임과 동시에 베이스플레이트(10)에 하중이 작용할 때,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탄성을 갖는 고무소재로 이루어지며, 베이스플레이트(10)의 하중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압축되어 탄성 변형되는 것을 감안하여 확장부(42)의 상하 높이는 지지프레임(30)의 바닥보다 높게 형성하거나 적어도 바닥의 높이와 동일하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미끄럼방지부재(40)의 하부 즉, 확장부(42)의 저면에는 설치 대상면과의 마찰력을 높일 수 있도록 요철부(미도시)가 더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도 9에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 예에 따른 지압용 발판(5)이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 예는 도 8에 도시된 미끄럼방지부재(40)의 또 다른 실시 예로서, 도 9를 참조하면, 미끄럼방지부재(140)는 지지프레임(30)의 하부에 결합시킬 수 있도록 지지프레임(30)의 저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소정깊이 인입된 장착홈에 삽입되는 삽입부(141)와, 삽입부(141)의 하단으로부터 하방으로 경사지게 방사상으로 연장되며 저면에는 상방으로 소정 깊이 인입된 공간이 마련된 흡착부(14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의 미끄럼방지부재(140)는 베이스플레이트(10)에 하중이 작용할 때, 흡착부(142)의 하단이 설치 대상면에 점진적으로 밀착되는 면적이 증가하면서 흡착부(142)에 마련된 공간의 공기가 배출되며, 이때 흡착부(142)의 공간에는 흡입력이 발생하게 된다.
한편, 도 10에는 본 발명의 제 6 실시 예에 따른 지압용 발판(6)이 도시되어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지압용 발판(6)은 베이스플레이트(10)와, 베이스플레이트(10) 상에 설치되는 다수의 지압봉(20)들과; 베이스플레이트(10)를 지지하는 지지프레임(30)과; 지지프레임(30)에 설치되는 미끄럼방지부재(40); 및 지지프레임(30) 다수를 상호 인접되게 배치 및 연결하도록 지지프레임(30)의 하부에 설치되는 연결부재(50);를 구비한다.
연결부재(5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플레이트(10)가 안착된 상태의 지지프레임(30)을 서로 인접하게 배치할 때, 지지프레임(30) 상호 간을 결합시켜 지지프레임(30)들이 서로 이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가장자리가 서로 밀착되게 배치되는 지지프레임(30)들의 경계 하부에 배치되는 받침부(53)와, 받침부(53)의 양단으로부터 일 측 지지프레임(30)의 가장자리 측 홈부(32)에 삽입되도록 상방으로 돌출된 제 1 걸림부(51)와, 타 측 지지프레임(30)의 가장자리 측 홈부(32)에 삽입되도록 상방으로 돌출되는 제 2 걸림부(5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도 11에는 본 발명의 제 7 실시 예에 따른 지압용 발판(7)이 도시되어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지압용 발판(7)은 베이스플레이트(10)와, 베이스플레이트(10) 상에 설치되는 다수의 지압봉(20)들을 구비하고, 베이스플레이트(10)와 지압봉을 서로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부를 더 구비한다.
결합부는 지압봉(20)들의 배치를 선택적으로 변경하기 위한 것으로서, 베이스플레이트(10)에 상하를 관통하도록 형성되고 상호 이격되게 형성된 다수의 결합구멍(61)들과, 지압봉(20)들의 하방으로 연장되고 결합구멍에 삽입되는 결합돌기(6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지압봉(20)들의 결합 및 분리가 자유로운 본 실시 예에 따른 지압용 발판(7)은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지압봉(20)들의 배치를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어, 사용자의 발바닥 형상 및 지압하고자 하는 부분을 집중적이면서 효과적으로 자극 및 지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상기 결합구멍(61)의 내주면과 결합돌기(62)의 외주면에는 베이스플레이트(10)에 삽입 결합된 지압봉(20)들이 결합구멍(61)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나사산을 형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결합돌기(62)를 회전시켜 결함구멍(61)에 나사결합시킴으로써 견고한 결합력을 유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지압용 발판은 베이스플레이트(10) 상에 지압봉(20)들이 배치 및 고정된 것으로 즉, 각 구성요소가 독립적으로 형성된 것을 적용하였으나, 제조의 편의상 지압용 발판의 상부 표면 형상을 갖는 금형에 점토, 규석, 장석, 도석, 석회석, 납석, 마그네시아를 소정의 비율로 혼합한 혼합물을 넣고 압축 성형하여 일체로 형성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지압용 발판은 도면에 도시된 일 예를 참고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지압용 발판은 욕실, 목욕탕 등의 바닥에 설치하여 지압용 뿐만 아니라 미끄럼 방지 및 장식 효과를 갖는 타일재로도 이용할 수 있다.
1 : 지압용 발판
10 : 베이스플레이트
10a : 제 1 영역
10b : 제 2 영역
10c : 제 3 영역
10d : 제 4 영역
11 : 수직기준분할선
15 : 수평기준분할선
20 : 지압봉
21 : 제 1 지압봉
22 : 제 2 지압봉
23 : 제 3 지압봉
25 : 인입홈
30 : 지지프레임
40 : 미끄럼방지부재
50 : 연결부

Claims (10)

  1. 점토, 규석, 장석, 도석, 석회석, 납석, 마그네시아를 포함하는 혼합물로 형성되며, 고온에서 소성하여 판 형상으로 형성되는 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상에 소정패턴으로 설치되며, 설정된 제 1 높이를 갖는 제 1 지압봉들과, 상기 제 1 높이보다 낮은 제 2 높이를 갖는 제 2 지압봉들과, 상기 제 2 높이보다 낮은 제 3 높이를 갖는 제 3 지압봉들을 포함하고, 점토, 규석, 장석, 도석, 석회석, 납석, 마그네시아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고온에서 소성하여 형성되는 지압봉들과;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작용하는 외력에 의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저면과 측면을 감싸도록 형성되고, 내측에 상기 베이스플레이트가 삽입 및 안착되는 안착홈이 마련되며, 바닥에는 다수의 홈부가 형성된 지지프레임과;
    상기 베이스플레이트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지지프레임의 하부에 결합되는 미끄럼방지부재와;
    상기 지압봉들의 배치를 선택적으로 변경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지압봉에 형성된 결합부와;
    상기 지지프레임들을 상호 인접되게 배치 및 연결하도록 상기 지지프레임의 하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가장자리가 서로 밀착되게 배치되는 지지프레임들의 경계 하부에 배치되는 받침부와, 상기 받침부의 양단으로부터 일 측 지지프레임의 가장자리 측 홈부에 삽입되도록 상방으로 돌출된 제 1 걸림부와, 타 측 지지프레임의 가장자리 측 홈부에 삽입되도록 상방으로 돌출된 제 2 걸림부를 포함하는 연결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를 상하방향으로 분할하는 수직기준분할선과,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를 좌우방향으로 분할하는 수평기준분할선에 의해 서로 동일한 면적 및 형상을 갖는 제 1 영역 내지 제 4 영역으로 각각 구획되고,
    상기 지압봉들은 상기 수직기준분할선을 기준으로 대칭되게 배치되고, 상기 수평기준분할선을 기준으로 대칭되게 배치되며,
    상기 미끄럼방지부재는 상기 지지프레임의 저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소정깊이 인입된 장착홈에 삽입되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의 하단으로부터 하방으로 경사지게 방사상으로 연장되며 저면에는 상방으로 소정 깊이 인입된 공간이 마련된 흡착부를 구비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를 상하로 관통하도록 형성되고 상호 이격되게 형성되며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다수의 결합구멍들과, 상기 지압봉들의 하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결합구멍에 삽입되며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결합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영역은 상기 제 1 영역과 상기 제 3 영역을 각각 좌우로 분할하는 제 1 수직분할선과, 상기 제 1 영역과 상기 제 2 영역을 각각 상하로 분할하는 제 1 수평분할선에 의해 서로 동일한 면적 및 형상을 갖는 제 1 - 1 영역 내지 제 1 - 4 영역으로 각각 구획되고,
    상기 지압봉들은 상기 제 1 - 1 영역 내지 상기 제 1 - 4 영역에 상기 제 1 수직분할선과 상기 제 1 수평분할선을 기준으로 각각 대칭되게 배치되고,
    상기 제 1 - 1 영역에는 가로방향을 따라 제 1 지압봉, 제 2 지압봉, 제 3 지압봉이 순차적으로 나타나는 제 1 어레이와, 상기 제 1 어레이의 하부에 상기 제 1 어레이와 나란한 방향을 따라 제 2 지압봉과, 제 3 지압봉과, 제 2 지압봉이 순차적으로 나타나는 제 2 어레이와, 상기 제 2 어레이의 하부에 상기 제 2 어레이와 나란한 방향으로 제 3 지압봉과, 제 2 지압봉과, 제 3 지압봉이 순차적으로 나타나는 제 3 어레이가 배치되며,
    상기 제 1 지압봉 내지 제 3 지압봉들은 상기 혼합물을 가압하여 성형물을 제조하고, 상기 성형물을 건조시킨 후 건조된 성형물을 지압봉들은 800℃ 내외의 온도에서 1차 소성하며, 소성된 성형물에 유약을 도포한 뒤 1250℃ 내외의 온도에서 2차 소성하여 제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압용 발판.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30050725A 2013-05-06 2013-05-06 지압용 발판 KR1015128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0725A KR101512836B1 (ko) 2013-05-06 2013-05-06 지압용 발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0725A KR101512836B1 (ko) 2013-05-06 2013-05-06 지압용 발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1742A KR20140131742A (ko) 2014-11-14
KR101512836B1 true KR101512836B1 (ko) 2015-04-17

Family

ID=524530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0725A KR101512836B1 (ko) 2013-05-06 2013-05-06 지압용 발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283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4890Y1 (ko) * 2020-02-21 2022-01-18 박경민 소변기 밀착 유도 발판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6953Y1 (ko) * 2002-12-02 2003-03-11 (주)대현 발판의 미끄럼 방지구조
KR200313766Y1 (ko) * 2003-02-14 2003-05-22 김기석 조립식 발마사지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6953Y1 (ko) * 2002-12-02 2003-03-11 (주)대현 발판의 미끄럼 방지구조
KR200313766Y1 (ko) * 2003-02-14 2003-05-22 김기석 조립식 발마사지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1742A (ko) 2014-1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20573A (en) Body contour massage device and method
AU739690B2 (en) Floor mat
US3434715A (en) Stress reducing floor surface
US7117552B2 (en) Portable infant playground
KR101512836B1 (ko) 지압용 발판
KR100919373B1 (ko) 다목적 마사지 기구
KR101627759B1 (ko) 지압용 발매트
CA2288383C (en) Self-supporting building cards and method
KR200371322Y1 (ko) 매트
KR200431732Y1 (ko) 대나무판재 요철판을 이용한 건강지압판
WO2010141978A1 (en) An acupressure mat or the like
KR200407578Y1 (ko) 웰빙 지압매트
JP3077472U (ja) 踏み台
KR200313134Y1 (ko) 지압용의 조립식 매트블록
CN217339345U (zh) 一种新型指压板
CN102908033A (zh) 一种防滑脚垫
KR200404871Y1 (ko) 웰빙 지압매트
KR200306953Y1 (ko) 발판의 미끄럼 방지구조
JPH0212939Y2 (ko)
JPH0219162Y2 (ko)
CN2531781Y (zh) 橡塑健身毯
KR200431731Y1 (ko) 대나무 및 원적외선 광석의 건강지압판
JP3165880U (ja) 昇降運動用踏台
KR101042830B1 (ko) 지압 패턴을 쉽게 조절할 수 있는 지압 침가구
JP2005198811A (ja) 健康マ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