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37274A - 초발수 입자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 Google Patents

초발수 입자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37274A
KR20160037274A KR1020140128930A KR20140128930A KR20160037274A KR 20160037274 A KR20160037274 A KR 20160037274A KR 1020140128930 A KR1020140128930 A KR 1020140128930A KR 20140128930 A KR20140128930 A KR 20140128930A KR 20160037274 A KR20160037274 A KR 201600372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water
particles
repellent
gro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289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03483B1 (ko
Inventor
주상현
Original Assignee
경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기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1289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3483B1/ko
Publication of KR201600372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72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34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34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3/00Material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3/18Materials not provided for elsewhere for application to surfaces to minimize adherence of ice, mist or water thereto; Thawing or antifreeze materials for application to surfa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0/00Use of materials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C04B14/00 - C04B18/00 and characterised by shape or grain distribution; Treatment of material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groups C04B14/00 - C04B18/00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xpanding or defibrillating materials
    • C04B20/10Coating or impregnating
    • C04B20/1018Coating or impregnating with organic materials
    • C04B20/1022Non-macromolecular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6/00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only organic binders, e.g. polymer or resin concrete
    • C04B26/02Macromolecular compounds
    • C04B26/26Bituminous materials, e.g. tar, pitch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03/00Function or property of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2103/60Agents for protection against chemical, physical or biological attack
    • C04B2103/65Water proofers or repella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aterials Applied To Surfaces To Minimize Adherence Of Mist Or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베이스 입자 및 발수성을 가지며 상기 베이스 입자의 표면에 층을 포함하며, 상기 발수층이 CF(탄화불소)기 또는 CH(탄화수소)기를 포함하는 실란계 화합물 또는 CF(탄화불소)기 또는 CH(탄화수소)기를 포함하는 인산계 화합물로 형성되는 초발수 입자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개시한다.

Description

초발수 입자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Super-Hydrophobic Particle and Composite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초발수 입자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다양한 제품들은 제품의 보호를 위하여 대부분 표면에 발수성과 같은 기능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표면 처리층이 형성된다. 상기 표면 처리층은 제품의 표면에 표면 처리제를 코팅 또는 패터닝하는 방식으로 형성된다. 상기 표면 처리층은 발수성과 같은 기능성을 부여할 수 있지만, 지속적인 마찰, 마모, 자외선, 수분, 충격등의 외부 자극에 의하여 벗겨지거나 깨지게 되어 그 기능이 손상된다. 상기 표면 처리층은 손상되면 원상 회복을 위하여 재처리가 필요하지만 사용 중인 제품에 재처리를 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게 된다. 한편, 제품의 표면이 손상된 경우에 표면 처리층도 함께 손상되므로, 표면 처리층은 그 기능을 더 이상하지 못하게 되며, 제품을 더 이상 보호할 수 없게 된다.
예를 들면, 자동차 도로의 콘크리트층은 도로 표면의 물이 신속하게 제거되도록 하기 위하여 표면에 발수성을 갖는 표면 처리층이 형성되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상기 표면 처리층은 시간이 경과되면서 마모되거나, 도로의 균열에 따라 함께 균열되면서 손상되어 기능을 상실하게 된다. 더욱이, 도로에 균열이 발생되는 경우에, 표면 처리층을 다시 형성하는 것이 어렵게 된다.
또한, 합성 섬유는 발수성을 부여하는 것이 필요한 경우에 일반적으로 합성 섬유의 표면에 발수성을 갖는 코팅 조성물을 코팅하여 발수성을 부여한다. 그러나, 상기 코팅 조성물은 합성 섬유가 직물로 직조되는 과정과 직물이 사용되는 과정에서 섬유의 표면으로부터 떨어져 나게 되어 합성 섬유는 발수성을 상실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합성 섬유는 직물의 사용 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발수성이 저하된다.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2009-0078930호(2009.07.21 공개)
본 발명의 목적은 조성물에 혼합되어 조성물에 지속적으로 발수성을 부여할 수 있는 초발수 입자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초발수 입자는 베이스 입자 및 발수성을 가지며 상기 베이스 입자의 표면에 형성되는 발수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베이스 입자는 TixOy, FexOy , AlxOy, SixOy, SnxOy, ZnxOy, InxOy, CexOy 및 ZrxOy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산화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수층은 CF(탄화불소)기 또는 CH(탄화수소)기를 포함하는 하기의 구조식(1)로 표시되는 실란계 화합물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구조식(1)
Figure pat00001
또는
Figure pat00002
(여기서, n은 4 ~ 25이다.)
또한, 상기 발수층은 실란계 화합물의 실란기가 베이스 입자의 표면에 형성되는 금속기(-M) 또는 산소 이온기(-O)와 자기 결합에 의하여 결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수층은 CF(탄화불소)기 또는 CH(탄화수소)기를 포함하는 하기의 구조식(2)로 표시되는 인산계 화합물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구조식(2)
Figure pat00003
혹은
Figure pat00004
(여기서, n은 4 ~ 25이다.)
또한, 상기 발수층은 인산계 화합물의 인산기가 베이스 입자의 표면에 형성되는 금속기(-M) 또는 산소 이온기(-O)와 자기 결합에 의하여 결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수층은 HDF-S, OD-PA 또는 HDF-PA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 입자는 플라즈마 처리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성물은 조성물 원료와 상기와 같은 초발수 입자가 전체적으로 혼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조성물은 아스팔트 조성물, 콘크리트 조성물, 모르타르 조성물, 수지 조성물 또는 합성 섬유 조성물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성물은 아스팔트 조성물, 콘크리트 조성물, 모르타르 조성물 또는 수지 조성물이며, 초발수 입자는 상기 조성물의 전체 중량 대비 5중량% 내지 40중량%로 혼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성물은 합성 섬유 조성물이며, 상기 초발수 입자가 상기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1중량% 내지 10중량%로 혼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초발수 입자는 각각의 입자의 표면에 발수층이 형성되어 조성물의 표면과 내부에 전체적으로 분포하게 되므로 조성물에 지속적으로 발수성을 부여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초발수 입자를 포함하는 조성물은 사용 과정에서 마모되거나 균열이 발생하여도 발수성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초발수 입자는 입자 상태로 조성물에 혼합되므로 조성물의 강도 감소를 최소화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초발수 입자가 입자 상태로 혼합되므로 초발수 입자의 함량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허용되는 강도 감소 범위를 고려하여 요구되는 발수성을 만족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발수 입자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르타르 조성물에 의하여 모르타르 블록을 제조하는 몰드에 대한 사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르타르 블록에 대한 발수 특성을 평가한 사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르타르 블록에 대한 발수 특성을 평가한 사진이다.
도 5는 종래의 모르타르 블록에 대한 발수 특성을 평가한 사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르타르 블록에 대한 흡수율을 평가한 그래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르타르 블록에 대한 압축 강도를 평가한 그래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합성 섬유를 구성하는 모노 필라멘트 표면에 대한 광학현미경 사진이다.
이하에서 실시예와 첨부된 도면을 통하여 본 발명의 초발수 입자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초발수 입자(100)는, 도 1을 참조하면, 베이스 입자(110) 및 발수층(120)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 초발수 입자(100)는 조성물에 혼합되어 조성물에 발수성을 부여한다. 특히, 상기 초발수 입자(100)는 조성물의 표면과 내부에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분포되므로, 조성물로 형성되는 조성물 제품은 사용에 따라 표면이 마모되거나 손상되어도 발수성이 저하되지 않는다. 상기 초발수 입자(100)는 아스팔트 조성물, 콘크리트 조성물, 모르타르 조성물, 수지 조성물 또는 합성 섬유 조성물과 같은 조성물에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조성물은 각각 조성물 제품을 형성하는 원료 물질을 의미한다. 예를 들면, 상기 아스팔트 조성물은 아스팔트를 형성하기 위하여 초발수 입자를 포함한 필요한 원료들이 혼합된 상태의 물질을 의미한다. 한편, 상기 발수성은 방수 특성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입자(110)는 산화물 입자로 형성된다. 예를 들면, 상기 베이스 입자(110)는 TixOy, FexOy , AlxOy, SixOy, SnxOy, ZnxOy, InxOy, CexOy 및 ZrxOy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산화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 입자(110)는 그래핀 또는 그래핀옥사이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 입자(110)는 내부식성이 있는 니켈, 알루미늄, 스테인레스 스틸과 같은 금속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베이스 입자(110)는 내부식성이 있는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베이스 입자(110)는 유기물 입자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입자(110)는 수 내지 수십 마이크로미터 크기 또는 수 내지 수백 나노미터 크기의 입자로 형성된다. 상기 베이스 입자(110)는 사용되는 조성물의 특성과 종류에 따라 적정한 크기로 형성된다. 예를 들면, 상기 베이스 입자(110)는 조성물이 아스팔트 또는 콘크리트 조성물인 경우에 상대적으로 큰 크기인 마이크로 미터 크기의 입자로 형성되며, 섬유 원료 조성물인 경우에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인 나노 크기의 입자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 입자(110)는 구형, 각형 또는 판형과 같은 입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구형 입자로 형성된다.
상기 베이스 입자(110)는 플라즈마 처리를 통하여 표면에 금속기(-M) 또는 산소기(-O)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베이스 입자(110)는 표면에 금속기(-M) 또는 산소기(-O)가 존재하는 경우에 별도의 플라즈마 처리를 진행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발수층(120)은, 도 1을 참조하면, 베이스 입자(110)의 표면에 전체적으로코팅되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발수층(120)은 베이스 입자(110)의 표면에 부분적으로 코팅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발수층(120)은 CF(탄화불소)기 또는 CH(탄화수소)기를 포함하는 실란계 화합물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 발수층(120)은 전체가 실란계 화합물로 형성되거나, 일부가 실란계 화합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발수층(120)은 베이스 입자(110)의 특성 또는 요구되는 발수성의 정도에 따라 실란계 화합물과 다른 화합물과 혼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발수층(120)은 실란계 화합물이 무수톨루엔과 같은 용매에 용해되어 베이스 입자(110)의 표면에 코팅되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발수층(120)은 실란계 화합물이 용해되어 있는 용액에 베이스 입자(110)가 디핑되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실란계 화합물은 0.1 ∼ 10mM의 농도로 용매에 용해되며, 바람직하게는 1 ~ 3mM의 농도로 용매에 용해된다. 상기 실란계 화합물의 농도가 너무 낮으면 충분한 두께의 발수층(120)이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실란계 화합물의 농도가 너무 높으면 발수층(120)의 두께가 불필요하게 두꺼워지거나 두께 조절이 어려울 수 있다. 상기 실란계 화합물은 하기 구조식(1)로 표시되는 화합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수층(120)은 삼염화실란 자기결합 단분자막(trichlorosilane SAM)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삼염화실란 자기결합 단분자막은 (heptadecafluoro-1,1,2,2-tetrahydrodecyl) trichlorosilane (HDF-S)일 수 있다.
구조식(1)
Figure pat00005
또는
Figure pat00006
(여기서, n은 4 ~25이다.)
한편, 상기 실란계 화합물의 실란기는 대기중에서 반응이 빠르게 진행되므로, 바람직하게는 반응 속도를 제어하기 위하여 발수층(120)을 형성하는 코팅 공정이 질소 분위기에서 진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수층(120)은 CF(탄화불소) 또는 CH(탄화수소)를 포함하는 인산계 화합물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발수층(120)은 전체가 인산계 화합물로 형성되거나, 일부가 인산계 화합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발수층(120)은 인산계 화합물이 에탄올과 같은 알콜 용매에 용해되어 베이스 입자(110)의 표면에 코팅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인산계 화합물은 0.1 ~ 10mM의 농도로 용매에 용해되며, 바람직하게는 바람직하게는 1 ~ 3mM의 농도로 용매에 용해된다. 상기 인산계 화합물의 농도가 너무 낮으면 충분한 두께의 발수층(120)이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산계 화합물의 농도가 너무 높으면 발수층(120)의 두께가 불필요하게 두꺼워지거나 두께 조절이 어려울 수 있다. 상기 인산계 화합물은 하기 구조식(2)로 표시되는 인산계 화합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수층(120)은 포스폰산 자기결합 단분자막(phosphonic acid SAMs)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포스폰산 자기결합 단분자막은 Octadecylphosphonic acid(OD-PA) 또는 (1H,1H,2H,2H-heptadecafluorodec-1-yl) phosphonic acid(HDF-PA)일 수 있다.
구조식(2)
Figure pat00007
또는
Figure pat00008
(여기서, n은 4 ~ 25이다.)
한편, 상기 인산계 화합물의 인산기는 대기중에서 안정한 상태를 유지하므로 실란계 화합물과 달리 대기중에서 발수층(120)을 형성하는 코팅 공정이 진행될 수 있다.
상기 발수층(120)은 실란계 화합물 또는 인산계 화합물이 베이스 입자(110)의 표면에 존재하는 금속기(-M) 또는 산소 이온기(-M)와 자기 조립(self-assembly) 반응에 의하여 결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발수층(120)은 실란계 화합물의 실란기가 베이스 입자(110)의 금속기(-M) 또는 산소 이온기(-O)와 자기 결합을 통하여 배위결합되는 자기결합 단분자막(self-assembled monolayer)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수층(120)은 인산계 화합물의 인산기가 베이스 입자(110)의 금속기(-M) 또는 산소 이온기(-O)와 자기 결합을 통하여 배위결합되는 자기결합 단분자막(self-assembled monolayer)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발수층(120)은 베이스 입자(110)의 표면에 존재하는 금속기 또는 산소 이온기와 공유 결합으로 결합되므로, 결합력이 양호하게 된다.
다음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발수 입자를 포함하는 조성물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조성물은 조성물을 형성하는 조성물 원료와 초발수 입자(100)가 혼합되어 형성된다. 즉, 상기 조성물은 초발수 입자(100)가 조성물 원료와 전체적으로 혼합되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초발수 입자는 조성물의 내부 및 표면에 전체적으로 존재한다. 상기 조성물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아스팔트 조성물, 콘크리트 조성물, 모르타르 조성물, 수지 조성물 또는 합성 섬유 조성물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성물은 초발수 입자(100)와 고상의 조성물 원료가 혼합된 고상 물질인 상태 또는 초발수 입자(100)와 액상의 조성물 원료가 혼합된 액상 물질인 상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콘크리트 조성물은 콘크리트 물질과 초발수 입자가 혼합된 고상 물질인 상태이며, 수지 조성물은 플라스틱과 같은 수지 물질과 초발수 입자가 혼합된 액상 상태이며, 합성 섬유 원료 조성물은 합성 섬유 수지와 초발수 입자가 혼합된 액상 물질인 상태일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다양한 제조 공정을 통하여 조성물 제품으로 형성된다. 예를 들면, 상기 아스팔트 조성물은 도로에 도포되어 조성물 제품인 아스팔트 층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콘크리트 조성물은 양생을 통하여 콘크리트 벽체, 콘크리트 벽돌과 같은 조성물 제품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모르타르 조성물은 모르타르 벽돌과 같은 조성물 제품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수지 조성물은 사용되는 수지에 따라 플라스틱과 같은 조성물 제품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합성 섬유 조성물은 직물 또는 니트를 직조하는데 사용되는 합성 섬유와 같은 조성물 제품을 형성한다.
상기 조성물 원료는 분말, 덩어리 또는 괴와 같은 고상 물질 또는 액상 물질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성물 원료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물질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콘크리트 조성물에 사용되는 조성물 원료는 콘크리트를 구성하는 모래, 시멘트, 자갈과 같은 분말 또는 덩어리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합성 섬유 조성물에 사용되는 조성물 원료는 액상의 합성 섬유 수지 또는 고상의 합성 섬유 수지 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콘크리트 물질과 합성 섬유 수지 또는 합성 섬유 수지 칩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다양한 콘크리트 물질과 합성 섬유 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초발수 입자(100)가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소정 중량%의 함량으로 혼합된다. 여기서, 상기 조성물 전체 중량은 조성물 원료의 중량과 초발수 입자의 중량을 합한 중량을 의미한다. 상기 조성물은 조성물의 종류와 조성물로 형성되는 조성물 제품이 요구하는 물성에 따라 초발수 입자(100)의 함량이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초발수 입자(100)는 함량이 증가되는 조성물 제품의 발수성을 증가시킨다. 한편으로는, 상기 초발수 입자(100)는 함량에 따라 조성물 제품의 기계적 물성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초발수 입자(100)는 조성물 제품의 기계적 강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즉, 상기 초발수 입자(100)의 함량이 증가하면, 조성물 제품은 기계적 강도가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초발수 입자(100)는 조성물 원료보다 가격이 고가이므로 함량이 증가되면 조성물 제품의 가격이 상승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초발수 입자(100)는 바람직하게는 조성물 제품이 요구하는 발수성과 허용되는 기계적 강도 범위를 고려하여 함량이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아스팔트 조성물과 콘크리트 조성물과 모르타르 조성물 및 수지 조성물은 초발수 입자(100)가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5중량% 내지 40중량%로 혼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합성 섬유 조성물은 초발수 입자(100)가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1중량% 내지 10중량%로 혼합될 수 있다.
다음은 본 발명이 실시예에 따른 초발수 입자를 포함하는 모르타르 조성물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르타르 조성물에 의하여 모르타르 블록을 제조하는 몰드에 대한 사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르타르 블록에 대한 발수 특성을 평가한 사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르타르 블록에 대한 발수 특성을 평가한 사진이다. 도 5는 종래의 모르타르 블록에 대한 발수성을 평가한 사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르타르 블록에 대한 흡수율을 평가한 그래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르타르 블록에 대한 압축 강도를 평가한 그래프이다.
먼저, 베이스 입자인 알루미나와 발수층을 형성하는 물질인 HDF-S를 IPA 용제에 혼합하여 반응시키고 용제를 증발시켜 초발수 처리된 초발수 입자를 제조하였다. 이때, 상기 HDF-S는 용제에 2mM로 혼합되었다.
상기 초발수 입자를 시멘트와 모래 및 물과 혼합하여 제조된 모르타르 원료와 혼합하여 모르타르 조성물로 제조하였다. 이때, 상기 초발수 입자는 모르타르 조성물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10중량%로 혼합하였다. 또한, 다른 실시예로 상기 초발수 입자를 30중량%로 혼합하였다. 상기 모르타르 조성물은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몰드에 충진한 후에 양생 과정을 통하여 모르타르 블록으로 제조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르타르 블록과 비교하기 위하여 초발수 입자가 포함되지 않은 종래의 모르타르 블록을 제조하였다.
상기 모르타르 블록들은 표면에 물을 부어서 발수성을 평가하였다. 또한 비교를 위하여 종래의 모르타르 블록도 함께 평가하였다. 도 3 및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르타르 블록은 표면에 부어지는 물을 흘러내리는 것을 볼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르타르 블록은 초발수 입자의 함량이 많을수록 물이 모르타르 블록의 내부로 스며드는 깊이가 감소하는 것을 볼 수 있다. 한편, 종래의 모르타르 블록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내부로 물이 스며드는 깊이가 큰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르타르 블록은 초발수 입자의 작용에 의하여 물이 내부로 스며들지 못하고 흘러내리게 된다.
다음은 모르타르 블록에 대한 흡수율을 평가하였다. 상기 흡수율은 KS 에 규정된 콘크리트 벽돌의 흡수율 측정 방법에 따라 평가하였다. 상기 모르타르 블록은, 도 6을 참조하면, 초발수 입자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흡수율이 감소하였다. 즉, 상기 초발수 입자가 10중량%로 포함된 모르타르 블록은 흡수율이 8%정도이고, 초발수 입자가 30 중량%로 포함된 모르타르 블록은 흡수율이 4% 정도로 측정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상기의 시험 결과와 일치하는 것이다. 상기 초발수 입자는 모르타르 블록의 내부로 물이 스며드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다음은 모르타르 블록에 대한 압축 강도를 평가하였다. 상기 압축 강도는 KS에 규정된 콘크리트 벽돌의 압축 강도 측정 방법에 따라 평가하였다. 상기 모르타르 블록은, 도 7을 참조하면, 초발수 입자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압축 강도가 감소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즉, 상기 초발수 입자가 10중량%로 포함된 모르타르 블록은 압축 강도가 25MPa정도이고, 초발수 입자가 30 중량%로 포함된 모르타르 블록은 압축 강도가 15MPa정도로 측정되었다. 흡수율이 4% 정도이다. 이는 상기 초발수 입자가 모르타르 블록의 내부에서 모르타르 조성물과 결합되지 않은 상태로 존재하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다음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초발수 입자를 포함하는 합성 섬유에 대하여 대한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합성 섬유를 구성하는 모노 필라멘트 표면에 대한 광학현미경 사진이다.
먼저, 수십 나노 크기의 알루미나 입자의 표면에 발수층을 코팅하여 초발수 입자를 제조하였다. 이때, 상기 발수층은 HDF-S를 IPA 용제에 혼합하여 반응시키고 알루미나 입자와 혼합한 후 용제를 증발시켜 형성하였다. 상기에서와 같이 제조된 초발수 입자를 합성 섬유의 주 재료인 폴리에스테르 칩과 혼합하여 방사 원액을 만든 후에 방사하여 모노 필라멘트를 제조하고 연신 및 합사하여 합성 섬유를 제조하였다. 상기에서 구체적으로 기재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합성 섬유는 초발수 입자가 섬유 제조용 칩인 폴리에스테르 칩과 혼합되는 점을 제외하고는 일반적인 합성 섬유 제조 방법에 의하여 제조되었다. 또한, 상기 초발수 입자는 조성물인 방사 원액 전체 중량 대비 5중량%로 혼합하였다.
상기 합성 섬유는,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표면에 초발수 입자가 노출되어 분포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도 8에서 상대적으로 검게 보이는 원형 형상이 초발수성 입자이다. 상기 합성 섬유를 사용하여 직조된 직물은 표면에 물을 부어서 발수성을 평가한 결과에 따르면 표면에 부어지는 물이 직물 내부로 흡수되지 않고 흘러내리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 합성 섬유는 동일한 폴리에스테르 재질이며 초발수 입자를 포함하지 않는 합성 섬유와 비교하여 인장 특성과 신도가 유사하게 평가되었다. 즉, 상기 합성 섬유는 1.5 그램/데니어의 인장 특성과 13%정도의 신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측정되었다.
100: 초발수 입자
110: 베이스 입자 120: 발수층

Claims (12)

  1. 베이스 입자 및
    발수성을 가지며 상기 베이스 입자의 표면에 형성되는 발수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발수 입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입자는 TixOy, FexOy , AlxOy, SixOy, SnxOy, ZnxOy, InxOy, CexOy 및 ZrxOy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산화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발수 입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수층은 CF(탄화불소)기 또는 CH(탄화수소)기를 포함하는 하기의 구조식(1)로 표시되는 실란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발수 입자.
    구조식(1)
    Figure pat00009
    또는
    Figure pat00010

    (여기서, n은 4 ~ 25이다.)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발수층은 상기 실란계 화합물의 실란기가 상기 베이스 입자의 표면에 형성되는 금속기(-M) 또는 산소 이온기(-O)와 자기 결합에 의하여 결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발수 입자.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수층은 CF(탄화불소)기 또는 CH(탄화수소)기를 포함하는 하기의 구조식(2)로 표시되는 인산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발수 입자.
    구조식(2)
    Figure pat00011
    혹은
    Figure pat00012

    (여기서, n은 4 ~ 25이다.)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발수층은 상기 인산계 화합물의 인산기가 상기 베이스 입자의 표면에 형성되는 금속기(-M) 또는 산소 이온기(-O)와 자기 결합에 의하여 결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발수 입자.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수층은 HDF-S, OD-PA 또는 HDF-PA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발수 입자.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입자는 플라즈마 처리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발수 입자.
  9. 조성물 원료와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따른 초발수 입자가 상기 조성물 원료와 전체적으로 혼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아스팔트 조성물, 콘크리트 조성물, 모르타르 조성물, 수지 조성물 또는 합성 섬유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아스팔트 조성물, 콘크리트 조성물, 모르타르 조성물 또는 수지 조성물이며, 상기 초발수 입자는 상기 조성물의 전체 중량 대비 5중량% 내지 40중량%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합성 섬유 조성물이며, 상기 초발수 입자는 상기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1중량% 내지 10중량%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KR1020140128930A 2014-09-26 2014-09-26 초발수 입자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KR1019034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8930A KR101903483B1 (ko) 2014-09-26 2014-09-26 초발수 입자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8930A KR101903483B1 (ko) 2014-09-26 2014-09-26 초발수 입자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0792A Division KR101912605B1 (ko) 2017-03-10 2017-03-10 초발수 입자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7274A true KR20160037274A (ko) 2016-04-06
KR101903483B1 KR101903483B1 (ko) 2018-10-04

Family

ID=557902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8930A KR101903483B1 (ko) 2014-09-26 2014-09-26 초발수 입자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3483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29780A (zh) * 2019-06-12 2019-08-16 华东交通大学 一种超疏水镁合金表面制备方法
CN110551971A (zh) * 2018-06-01 2019-12-10 京畿大学校产学协力团 用于制造有机发光二极管面板的精细金属掩模
KR20200000951A (ko) * 2018-06-26 2020-01-06 경기대학교 산학협력단 카테터 및 이를 포함하는 인공 호흡기
KR20200077272A (ko) * 2018-12-20 2020-06-30 전자부품연구원 발수 발유 코팅액 및 그의 제조 방법
WO2020171382A1 (ko) * 2019-02-18 2020-08-27 주식회사 로드씰 고기능성 아스팔트 개질재를 포함하는 개질아스팔트 침투식 마카담 포장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마카담 포장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2353B1 (ko) * 2012-12-20 2014-06-02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초발수 및 발유 초발수 및 발유 성능을 갖는 유무기 복합입자 및 그 제조 방법.
KR101439210B1 (ko) 2013-07-30 2014-09-12 주식회사 에코인프라홀딩스 발수 및 불연성 단열소재 조성물, 미장용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51971A (zh) * 2018-06-01 2019-12-10 京畿大学校产学协力团 用于制造有机发光二极管面板的精细金属掩模
KR20200000951A (ko) * 2018-06-26 2020-01-06 경기대학교 산학협력단 카테터 및 이를 포함하는 인공 호흡기
KR20200077272A (ko) * 2018-12-20 2020-06-30 전자부품연구원 발수 발유 코팅액 및 그의 제조 방법
WO2020171382A1 (ko) * 2019-02-18 2020-08-27 주식회사 로드씰 고기능성 아스팔트 개질재를 포함하는 개질아스팔트 침투식 마카담 포장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마카담 포장 방법
CN110129780A (zh) * 2019-06-12 2019-08-16 华东交通大学 一种超疏水镁合金表面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03483B1 (ko) 2018-10-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97430B2 (ja) ボンディングエレメント、ボンディングマトリックス及びボンディングエレメントを有する複合材料並びにそれらの製造の方法
Alshaaer et al. Fabrication, microstructural and mechanical characterization of Luffa Cylindrical Fibre-Reinforced geopolymer composite
Gupta et al. Use of biochar-coated polypropylene fibers for carbon sequestration and physical improvement of mortar
Ranjbar et al. Mechanisms of interfacial bond in steel and polypropylene fiber reinforced geopolymer composites
KR20160037274A (ko) 초발수 입자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Tian et al. Research on the microstructure formation of polyacrylate latex modified mortars
Zhou et al. Understanding the toughening mechanism of silane coupling agents in the interfacial bonding in steel fiber-reinforced cementitious composites
JP5557747B2 (ja) コンクリート混合物
KR101387291B1 (ko) 새로운 콘크리트 조성물
Luo et al. Characterization of TEOS/PDMS/HA nanocomposites for application as consolidant/hydrophobic products on sandstones
ES2938733T3 (es) Hormigón reforzado con grafeno
US20130273319A1 (en) Method for treating a concrete surface to provide a photocatalytic coating
US20210087110A1 (en) Fiber-reinforced brittle matrix composite
Pasupathy et al. Effect of hydrophobic surface-modified fine aggregates on efflorescence control in geopolymer
EP3403818A1 (de) Wärmedämmender formkörper enthaltend ein poröses substrat
JP5681205B2 (ja) 高いマグネシウム表面濃度のナノカルサイト複合材料
KR101912605B1 (ko) 초발수 입자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US20200031714A1 (en) Compressed salt objects
JPWO2014045583A1 (ja) 撥水砂の混合物及び撥水砂構造体
Saleem et al. Investigations of graphene oxides and cement on strength performance of soil
DE102005040965B4 (de) Oberflächenbehandlungsstoffsystem zur Oberflächenvergütung mineralischer Stoffe und von Stoffen mit mineralischen Zuschlägen, bestehend aus einem Vorbehandlungsstoff, einem Zweitbehandlungsstoff und Porenfüllstoffen, und ein Verfahren zur Oberflächenvergütung mineralischer Stoffe und von Stoffen mit mineralischen Zuschlägen mittels des Oberflächenbehandlungsstoffsysstems
Sidhu et al. Comprehensive review on hydrophobic modification of concrete: Progress and perspectives
Mahmoud In vitro compatibility of hydroxyapatite nanoparticles (HAp-NPs) for restoration purposes of archaeological lime-based plasters
Aldoasri et al. Performance of Clay, SiO2, Ca (OH) 2 and CaCO3-polymeric nanocomposites for conservation and preservation of limestone artworks
CN108218306A (zh) 一种海工混凝土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