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37039A - 동적 tdd 설정을 고려한 단말간 통신의 자원 설정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장치 - Google Patents

동적 tdd 설정을 고려한 단말간 통신의 자원 설정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37039A
KR20160037039A KR1020140129611A KR20140129611A KR20160037039A KR 20160037039 A KR20160037039 A KR 20160037039A KR 1020140129611 A KR1020140129611 A KR 1020140129611A KR 20140129611 A KR20140129611 A KR 20140129611A KR 20160037039 A KR20160037039 A KR 201600370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ource pool
terminal
eimta
communication
td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296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동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티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티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티엘
Priority to KR10201401296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37039A/ko
Publication of KR201600370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703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14Two-way operation using the same type of signal, i.e. duplex
    • H04L5/1469Two-way operation using the same type of signal, i.e. duplex using time-sha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46Resources in time domain, e.g. slots or fram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5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between terminals via a wireless link, e.g. sidelin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4Direct-mode setu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적 TDD 설정을 고려한 단말간 통신의 자원 설정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명세서는 D2D 자원풀을 구성하는데 필요한 제어정보를 포함하는 D2D 자원풀 구성정보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D2D 스케줄링 할당(scheduling assignment: SA)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D2D 스케줄링 할당에 기반하여 인접 단말과 D2D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D2D 통신은 상기 단말과 상기 인접 단말 중 적어도 하나가 eIMTA(enhanced Interference Management and Traffic Adaptation) 셀을 사용하는 경우 상기 2 이상의 단말들에 동일하게 적용되는 특별한 D2D 자원풀에 의해 수행된다.

Description

동적 TDD 설정을 고려한 단말간 통신의 자원 설정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장치{METHOD OF CONFIGURING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RESOURCE CONSIDERING DYNAMIC TDD CONFIGURATION AND APPARATUS IMPLEMENTING THEREOF}
본 발명은 무선통신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동적 TDD 설정을 고려한 단말간 통신의 자원 설정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단말간 직접통신(device to device : 이하 D2D 통신이라 함)은 지리적으로 서로 근접한 단말들이 무선 통신 시스템의 주파수 대역 또는 그 이외의 대역에서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의 송수신 기술을 이용하되 기지국과 같은 인프라를 거치지 않고 직접적으로 데이터를 주고 받는 통신을 의미한다. 이는 단말이 무선통신 인프라가 구축된 지역 이외에서 무선 통신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무선 통신 시스템의 망 부하를 줄이는 장점을 제공한다.
네트워크가 D2D 통신에 사용되는 자원을 제어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기지국이 D2D 자원을 제어하되(이를 '제1 모드'라 함), 기지국과 단말간의 무선환경에 따라 각 단말은 D2D 자원을 자체적으로 선택하는 모드(이를 '제2 모드'라 함)로 변경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무선환경 변화에 의해 기지국이 단말을 제어할 수 없는 경우, 단말이 자체적으로 자원을 선택하여 D2D 데이터 전송을 할 수 있는 제2 모드로의 변경이 허용된다.
한편, 최근에는 TDD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기지국간의 간섭 제어 및 적응적인 트래픽 제어를 위한 기법으로 eIMTA(enhanced Interference Management and Traffic Adaptation) 기법이 고려되고 있다. eIMTA 기법은 트래픽 환경에 따라서 TDD UL-DL 설정의 다이나믹(dynamic)한 변경을 지원해야 한다. eIMTA 기법을 적용한 셀을 eIMTA 셀이라 한다.
eIMTA 셀을 사용하여 제1 단말이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제1 단말의 TDD UL-DL 설정이 동적으로 변경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제1 단말의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이 동적으로 변경되고, D2D 자원풀 또한 동적으로 변경된다. 이 경우 상기 제1 단말과 D2D 통신을 수행하는 제2 단말은 상기 제1 단말을 위한 D2D 자원풀을 명확히 파악할 수 없어 D2D 통신을 신뢰성있게 수행할 수 없는 문제가 생긴다. 따라서, eIMTA 셀을 지원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D2D 통신을 문제없이 수행할 수 있는 방법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동적 TDD 설정을 고려한 단말간 통신의 자원 설정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단말간(device to device: 이하 "D2D") 통신을 지원하는 시스템에서 단말이 D2D를 위한 자원(이하 "D2D 자원풀(resource pool)")을 설정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D2D 자원풀을 구성하는데 필요한 제어정보를 포함하는 D2D 자원풀 구성정보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D2D 스케줄링 할당(scheduling assignment: SA)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D2D 스케줄링 할당에 기반하여 인접 단말과 D2D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D2D 통신은 특별한(special) D2D 자원풀에 포함된 자원을 사용하여 수행되며, 상기 특별한 D2D 자원풀은 상기 단말과 상기 인접 단말 중 적어도 하나가 eIMTA(enhanced Interference Management and Traffic Adaptation) 셀을 사용하는 경우 상기 2 이상의 단말들에 동일하게 적용되는 D2D 자원풀일 수 있다.
일례로서, 상기 특별한 D2D 자원풀은 고정된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으로 규격화된 것일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특별한 D2D 자원풀은 상기 기지국에 의해 시그널링되는 기준(reference) TDD(time duplex division) UL-DL 설정을 기반으로 정의되며, 상기 특별한 D2D 자원풀은 상기 기준 TDD UL-DL 설정에 따른 상향링크 서브프레임들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D2D 통신은 상기 특별한 D2D 자원풀에 포함된 자원 및 기준 T-RPT(Time-Resource Pattern for Transmission) 비트맵을 사용하여 수행되며, 상기 기준 T-RPT 비트맵은 상기 특별한 D2D 자원풀에 포함된 상향링크 서브프레임들 중에서 실제 D2D 데이터 전송이 발생하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을 지시하고, 상기 기준 T-RPT 비트맵은 상기 단말과 상기 인접 단말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단말간(device to device: 이하 "D2D") 통신을 지원하는 시스템에서 D2D를 위한 자원(이하 "D2D 자원풀(resource pool)")을 설정하는 단말을 제공한다.
상기 단말은 D2D 자원풀을 구성하는데 필요한 제어정보를 포함하는 D2D 자원풀 구성정보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고, D2D 스케줄링 할당(scheduling assignment: SA)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RF부, 상기 D2D 스케줄링 할당에 기반하여 인접 단말과 D2D 통신을 수행하는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와 연결되어, 상기 프로세서를 구동하기 위한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프로세서는 특별한(special) D2D 자원풀에 포함된 자원을 사용하여 상기 D2D 통신을 수행하며, 상기 특별한 D2D 자원풀은 상기 단말과 상기 인접 단말 중 적어도 하나가 eIMTA(enhanced Interference Management and Traffic Adaptation) 셀을 사용하는 경우 상기 2 이상의 단말들에 동일하게 적용되는 D2D 자원풀일 수 있다.
일례로서, 상기 특별한 D2D 자원풀은 고정된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으로 규격화된 것일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특별한 D2D 자원풀은 상기 기지국에 의해 시그널링되는 기준(reference) TDD(time duplex division) UL-DL 설정을 기반으로 정의되며, 상기 특별한 D2D 자원풀은 상기 기준 TDD UL-DL 설정에 따른 상향링크 서브프레임들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특별한 D2D 자원풀에 포함된 자원 및 기준 T-RPT(Time-Resource Pattern for Transmission) 비트맵을 사용하여 상기 D2D 통신을 수행하며, 상기 기준 T-RPT 비트맵은 상기 특별한 D2D 자원풀에 포함된 상향링크 서브프레임들 중에서 실제 D2D 데이터 전송이 발생하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을 지시하고, 상기 기준 T-RPT 비트맵은 상기 단말과 상기 인접 단말에 동일하게 적용되는 것일 수 있다.
단말 관점에서는 제한된 단말의 성능(예를 들어 단일 송수신 체인)으로 D2D 통신을 수행할 때 기존 LTE가 지원되고 있는 밴드 및 셀 상에서 LTE 신호와 함께 더 큰 RF 성능의 요구사항 없이 다중할 수 있다. 한편, 시스템 관점에서는 네트워크가 관할하는 셀내에 더 많은 D2D 단말들을 수용하면서도 RF 성능과 기존 LTE 신호의 큰 품질 저하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시장관점에서도 D2D 통신의 조속한 구현이 가능해지고 기존 LTE 시장의 규모를 증가시킬 수 있다.
도 1은 무선 통신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셀룰러 망 기반 D2D 통신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무선프레임 구조의 일 예이다. 이는 TDD 무선 프레임 구조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eIMTA 배치 시나리오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라 T-RPT를 적용하는 예시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eIMTA 환경에서 정의되는 D2D 자원풀의 모습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D2D 자원 설정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8a 및 도 8b는 일 실시예에 따라 특별한 D2D 자원풀을 사용하여 D2D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a 및 도 9b는 다른 실시예에 따라 특별한 D2D 자원풀을 사용하여 D2D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D2D 자원 설정 방법을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11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D2D 자원 설정 방법을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12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D2D 자원 설정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3은 일 실시예에 따라 D2D 자원풀이 시간축 상에서 배치되는 모습은 도시한 것이다.
도 14는 도 12의 상황에서 제4 실시예에 따라 결정되는 특별한 D2D 자원풀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15는 도 12의 상황에서 제5 실시예에 따라 결정되는 특별한 D2D 자원풀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16은 일 실시예에 따른 D2D 단말과 기지국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본 발명과 관련된 내용을 본 발명의 내용과 함께 예시적인 도면과 실시 예를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대상으로 설명하며,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이루어지는 작업은 해당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관할하는 시스템(예를 들어 기지국)에서 네트워크를 제어하고 데이터를 송신하는 과정에서 이루어지거나, 해당 무선 네트워크에 포함된 단말에서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은 무선 통신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이는 E-UMTS(Evolved- 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의 망 구조일 수 있다. E-UMTS 시스템은 LTE(Long Term Evolution) 또는 LTE-A(advanced)시스템이라고 할 수도 있다. 무선 통신 시스템은 음성, 패킷 데이터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널리 배치된다. 또한, 무선 통신 시스템은 단말과 단말 사이의 단말간(D2D: device to device) 통신을 지원할 수도 있다. D2D 통신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한편, 무선통신 시스템에 적용되는 다중 접속 기법에는 제한이 없다.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SC- FDMA(Single Carrier- FDMA), OFDM-FDMA, OFDM-TDMA, OFDM-CDMA와 같은 다양한 다중 접속 기법을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상향링크 전송 및 하향링크 전송은 서로 다른 시간을 사용하여 전송되는 TDD(Time Division Duplex) 방식이 사용될 수 있고, 또는 서로 다른 주파수를 사용하여 전송되는 FDD(Frequency Division Duplex)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E-UTRAN은 단말에 제어 평면(control plane)과 사용자 평면(user plane)을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20; Base Station, BS)을 포함한다. 단말(10; User Equipment, UE)은 고정되거나 이동성을 가질 수 있으며, MS(Mobile station), AMS(Advanced MS), UT(User Terminal), SS(Subscriber Station), 무선기기(Wireless Device) 등 다른 용어로 불릴 수 있다.
기지국(20)은 일반적으로 단말(10)과 통신하는 지점(station)을 말하며, eNodeB(evolved-NodeB), BTS(Base Transceiver System),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펨토 기지국(femto-eNB), 피코 기지국(pico-eNB), 홈기지국(Home eNB), 릴레이(relay) 등 다른 용어로 불릴 수 있다. 기지국(20)은 적어도 하나의 셀을 단말에 제공할 수 있다. 셀은 기지국(20)이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지리적 영역을 의미할 수도 있고, 특정 주파수 대역을 의미할 수도 있다. 셀은 하향링크 주파수 자원과 상향링크 주파수 자원을 의미할 수 있다. 또는 셀은 하향링크 주파수 자원과 선택적인(optional) 상향링크 주파수 자원의 조합(combination)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반송파 집성(carrier aggregation: CA)를 고려하지 않은 경우, 하나의 셀(cell)은 상향 및 하향링크 주파수 자원이 항상 쌍(pair)으로 존재한다.
기지국(20)간에는 사용자 트래픽 혹은 제어 트래픽 전송을 위한 인터페이스가 사용될 수도 있다. 소스 기지국(Source BS, 21)은 현재 단말(10)과 무선 베어러가 설정된 기지국을 의미하고, 타겟 기지국(Target BS, 22)은 단말(10)이 소스 기지국(21)과의 무선 베어러를 끊고 새롭게 무선 베어러를 설정하기 위해 핸드오버를 하려는 기지국을 의미한다.
기지국(20)들은 X2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서로 연결될 수 있는데, X2 인터페이스는 기지국(20)간의 메시지를 주고받는데 사용된다. 기지국(20)은 S1 인터페이스를 통해 EPS(Evolved Packet System), 보다 상세하게는 MME(Mobility Management Entity)/S-GW(Serving Gateway, 30)와 연결된다. S1 인터페이스는 기지국(20)과 MME/S-GW(30) 간에 다수-대-다수 관계(many-to-many-relation)를 지원한다. MME/S-GW(30)로의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PDN-GW(40)이 사용된다. PDN-GW(40)는 통신의 목적이나 서비스에 따라 달라지며, 특정 서비스를 지원하는 PDN-GW(40)는 APN(Access Point Name) 정보를 이용하여 찾을 수 있다.
E-UTRAN 내(Inter E-UTRAN) 핸드오버(handover)는 E-UTRAN 접속망간의 핸드오버시에 사용되는 기본적인 핸드오버 메커니즘으로서, X2 기반의 핸드오버와 S1 기반의 핸드오버로 구성되어 있다. X2 기반의 핸드오버는 UE가 X2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소스 기지국(source BS, 21)에서 타겟 기지국(target BS, 22)로 핸드오버하고자 할 때 사용되며 이때 MME/S-GW(30)는 변경되지 않는다.
S1 기반의 핸드오버에 의해, P-GW(40), MME/S-GW(30), 소스 기지국(21) 및 단말(10)간에 설정되어 있던 제1 베어러가 해제(release)되고, P-GW(40), MME/S-GW(30), 타겟 기지국(22) 및 단말(10)간에 새로운 제2 베어러가 설정된다.
이하에서 하향링크(downlink)는 기지국(20)에서 단말(10)로의 통신을 의미하며, 상향링크(uplink)는 단말(10)에서 기지국(20)으로의 통신을 의미한다. 하향링크는 순방향 링크(forward link)라고도 하며, 상향링크는 역방향 링크(reverse link)라고도 한다. 하향링크에서 송신기는 기지국(20)의 일부분일 수 있고, 수신기는 단말(10)의 일부분일 수 있다. 상향링크에서 송신기는 단말(10)의 일부분일 수 있고, 수신기는 기지국(20)의 일부분일 수 있다.
한편 무선통신 시스템은 사용자 평면(user plane)에 대한 무선 프로토콜 구조(radio protocol architecture) 및 제어 평면(control plane)에 대한 무선 프로토콜 구조로 구분될 수 있다. 데이터 평면은 사용자 데이터 전송을 위한 프로토콜 스택(protocol stack)이고, 제어 평면은 제어신호 전송을 위한 프로토콜 스택이다.
물리계층(PHY(physical) layer)은 물리채널(physical channel)을 이용하여 상위 계층에게 정보 전송 서비스(information transfer service)를 제공한다. 물리계층은 상위 계층인 매체접근제어(Medium Access Control: MAC) 계층과는 전송채널(transport channel)을 통해 연결되어 있다. 전송채널을 통해 MAC 계층과 물리계층 사이로 데이터가 이동한다. 전송채널은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데이터가 어떻게 어떤 특징으로 전송되는가에 따라 분류된다. 그리고 서로 다른 물리계층 사이, 즉 송신기와 수신기의 물리계층 사이는 물리채널을 통해 데이터가 이동한다. 몇몇 물리 제어채널들이 있다.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는 단말에게 PCH(paging channel)와 DL-SCH(downlink shared channel)의 자원 할당 및 DL-SCH와 관련된 HARQ(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정보를 알려준다. PDCCH는 단말에게 상향링크 전송의 자원 할당을 알려주는 상향링크 스케줄링 그랜트를 나를 수 있다. PCFICH(physical control format indicator channel)는 단말에게 PDCCH들에 사용되는 OFDM 심벌의 수를 알려주고, 매 서브프레임마다 전송된다. PHICH(physical Hybrid ARQ Indicator Channel)는 상향링크 전송의 응답으로 HARQ ACK/NAK 신호를 나른다. PUCCH(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은 하향링크 전송에 대한 HARQ ACK/NAK, 스케줄링 요청 및 CQI와 같은 상향링크 제어 정보를 나른다. 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은 UL-SCH(uplink shared channel)을 나른다.
MAC 계층의 기능은 논리채널과 전송채널간의 맵핑 및 논리채널에 속하는 MAC SDU(service data unit)의 전송채널 상으로 물리채널로 제공되는 전송블록(transport block)으로의 다중화/역다중화를 포함한다. MAC 계층은 논리채널을 통해 RLC(Radio Link Control) 계층에게 서비스를 제공한다. 논리채널은 제어 영역 정보의 전달을 위한 제어채널과 사용자 영역 정보의 전달을 위한 트래픽 채널로 나눌 수 있다.
RLC 계층의 기능은 RLC SDU의 연결(concatenation), 분할(segmentation) 및 재결합(reassembly)를 포함한다. 무선베어러(Radio Bearer; RB)가 요구하는 다양한 QoS(Quality of Service)를 보장하기 위해, RLC 계층은 투명모드(Transparent Mode, TM), 비확인 모드(Unacknowledged Mode, UM) 및 확인모드(Acknowledged Mode, AM)의 세 가지의 동작모드를 제공한다. AM RLC는 ARQ(automatic repeat request)를 통해 오류 정정을 제공한다.
사용자 평면에서의 PDCP(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계층의 기능은 사용자 데이터의 전달, 헤더 압축(header compression) 및 암호화(ciphering)를 포함한다. 사용자 평면에서의 PDCP(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계층의 기능은 제어 평면 데이터의 전달 및 암호화/무결정 보호(integrity protection)를 포함한다.
RRC 계층은 무선 베어러들의 설정(configuration), 재설정(re-configuration) 및 해제(release)와 관련되어 논리채널, 전송채널 및 물리채널들의 제어를 담당한다. RB는 단말과 네트워크간의 데이터 전달을 위해 제1 계층(PHY 계층) 및 제2 계층(MAC 계층, RLC 계층, PDCP 계층)에 의해 제공되는 논리적 경로를 의미한다. RB가 설정된다는 것은 특정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무선 프로토콜 계층 및 채널의 특성을 규정하고, 각각의 구체적인 파라미터 및 동작 방법을 설정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RB는 다시 SRB (Signaling RB), DRB (Data RB), MRB(MBMS PTM RB)로 구분될 수 있다. SRB는 제어 평면에서 RRC 메시지를 전송하는 통로로 사용되며, DRB는 사용자 평면에서 사용자 데이터를 전송하는 통로로 사용된다. MRB는 MBMS 데이터를 전송하는 통로로 사용된다.
RRC 계층 상위에 위치하는 NAS(Non-Access Stratum) 계층은 연결관리(Session Management)와 이동성 관리(Mobility Management)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최근에는 공공 안전(public safety) 등의 목적으로 네트워크 커버리지 내(in-coverage) 또는 커버리지 외(out-of-coverage)에 있는 디바이스 간에 발견(discovery) 및 직접 통신(direct communication)을 수행하는 방안이 연구되고 있다. D2D 통신에 기반하여 신호를 전송하는 단말을 전송 단말(Tx UE)이라 하고, D2D 통신에 기반하여 신호를 수신하는 단말을 수신 단말(Rx UE)이라 정의할 수 있다. 전송 단말은 디스커버리 신호(discovery signal)를 전송하고, 수신 단말은 디스커버리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전송 단말과 수신 단말은 각자의 역할이 바뀔 수도 있다. 한편, 전송 단말에 의해 전송된 신호는 둘 이상의 수신 단말에 의해 수신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단말은 D2D 통신을 지원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D2D 통신을 지원하는 단말은 상기 단말의 사용자가 사용자 인터페이스(UI: User Interface)의 조작을 통해 상기 단말이 D2D 통신이 가능하도록(enable) 설정하는 경우(switch off -> on) D2D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는 단말의 특성(예를 들어, 공공목적으로 제작된 단말기) 또는 가입자 정책(예를 들어, 공공안전 요금제 등) 등에 따라 언제나 D2D 통신이 가능한 설정으로 고정되어 있을 수도 있다.
또는, 네트워크(예를 들어, D2D 통신을 사용하는 단말의 ProSe(Proximity Services) ID 및 ProSe 응용(Application) ID를 관리하는 D2D 서버, 해당 단말의 서빙 기지국 등)가 단말의 사용자가 D2D 통신이 가능하도록 설정한 단말의 D2D 통신 가능 여부를 최종적으로 결정할 수도 있다. 즉, 상기 단말은 상기 단말의 사용자에 의해 D2D 통신이 가능하도록 설정되더라도 네트워크에 의해 D2D 통신이 허가되는 경우에 한해 D2D 통신을 수행할 수도 있다. D2D 통신이 가능한지 여부에 대한 정보는 단말의 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
D2D 통신을 위한 자원은 D2D 통신 시 D2D 통신을 위한 자원을 할당하는 역할을 맡는 단말(이하, 클러스터 헤드) 또는 기지국에 의해 할당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은 D2D 통신을 수행 시 상기 기지국 또는 상기 클러스터 헤드로 D2D 데이터에 대한 BSR을 전송해야 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기지국 및 상기 클러스터 헤드를 통칭하여 기지국이라 한다.
셀룰러 시스템에서 근접한 거리의 단말들이 D2D 통신을 수행하면 기지국의 부하는 분산될 수 있다. 또한, 인접한 단말들이 D2D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 단말들은 상대적으로 짧은 거리로 데이터를 전송하게 되므로 단말의 송신 전력의 소모 및 전송 지연(latency)이 감소될 수 있다. 이뿐만 아니라 전체 시스템 관점에서는 기존의 셀룰러 기반의 통신과 D2D 통신은 동일한 자원을 사용하기 때문에 주파수 이용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D2D 통신은 네트워크 커버리지(기지국 커버리지) 내(In-coverage)에 위치한 단말의 통신 방법과 네트워크 커버리지 밖(Out-of-coverage)에 위치한 단말의 통신 방법으로 구분될 수 있다. 또한, D2D는 근접 기반 서비스 (Proximity based Service, ProSe) 또는 ProSe-D2D 또는 ProSe 라는 표현으로 대치될 수 있다. D2D를 위한 상기 ProSe라는 용어의 사용은, 단말 간에 직접적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기술이라는 의미가 변경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단말간 통신이라는 의미에 근접 기반 서비스의 의미가 부가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셀룰러 망 기반 D2D 통신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 셀에 위치한 제1 단말(210)과 제2 셀에 위치한 제2 단말(220) 간의 통신, 제1 셀에 위치한 제3 단말(230)과 제1 클러스터에 위치한 제4 단말(240) 간의 통신은 네트워크 커버리지 내에서의 D2D 통신일 수 있다. 제1 클러스터에 위치한 제4 단말(240)과 제1 클러스터에 위치한 제5 단말(250) 사이의 통신은 네트워크 커버리지 밖에서의 D2D 통신일 수 있다. 여기서, 제5 단말(250)은 제1 클러스터의 클러스터 헤드(CH: Cluster Head)로서 동작할 수 있다. 여기서, 클러스터 헤드란 자원을 할당하는 역할을 맡은 단말을 의미한다. 상기 클러스터 헤더는, Out-of-coverage 단말의 동기화를 위한 ISS(independent synchronization source)를 포함할 수 있다.
D2D 통신을 수행하는 하나의 실시예로서 기지국(200)은 제1 단말(210)로 D2D 스케줄링 할당(scheduling assignment: SA)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제1 단말(210)은 기지국(200)의 커버리지 내에 위치한 단말이다. D2D SA정보는 제1 단말(210)과 다른 단말(예를 들어, 제2 단말(220))의 D2D 통신을 위해 사용할 수 있는 송신 자원 및/또는 수신 자원에 대한 할당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기지국으로부터 D2D SA 정보를 수신한 제1 단말(210)은 제2 단말(220)로 D2D SA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제2 단말(220)은 기지국(200)의 커버리지 밖에 위치한 단말일 수 있다. 제1 단말(210)과 제2 단말(220)은 D2D SA 정보를 기반으로 D2D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단말(220)은 제1 단말(210)의 D2D 데이터가 전송되는 자원을 지시하는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제2 단말(220)은 제1 단말(210)의 D2D 데이터가 전송되는 자원을 지시하는 정보를 통해 제1 단말(210)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D2D 통신에서 단말은 물리계층 제어 데이터를 다른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그러나, D2D 통신에서 물리계층 제어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별도의 채널(예를 들어, PUCCH(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은 정의되지 않을 수 있다. D2D 통신에서 물리계층 제어 채널이 정의되지 않은 경우, 단말은 D2D 통신을 위한 제어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다양한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D2D 통신에서 동기화를 위한 물리계층 제어 데이터는 동기화채널을 통해 전송되는 정보를 포함하며, 일 예로, PD2DSCH(Physical D2D Synchronization CHannel) 채널을 통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통신을 위한 물리계층 제어 데이터는 스케줄링 할당(SA: Scheduling Assignment) 정보를 포함하며, D2D통신을 위한 PUSCH 포맷과 유사한 ProSe 전용 물리채널 또는 상기 PUSCH 포맷과 동일하나 파라미터가 WAN (Wide Area Network) 전송을 위한 물리채널과 상이한 채널을 통해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D2D 통신에서 물리계층 제어 데이터와 구분되는 실제적인 트래픽 데이터는 D2D 데이터라는 용어로 표현될 수 있다.
D2D 통신 시 단말은 제1 모드 및 제2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제1 모드는 단말이 기지국으로부터 D2D 통신을 위한 자원을 할당받은 경우에만 D2D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모드로서, 기지국은 D2D 그랜트를 전송 단말에게 전송한다. 상기 D2D 그랜트는 D2D 통신 시 수신 단말에서 D2D 데이터 수신을 위해 확보해야 할 제어정보인 SA(Scheduling Assignment) 정보 중 기지국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는 파라미터 정보, 상기 SA에 대한 자원할당 정보 및 상기 SA에 의해 지시되는 데이터에 대한 자원할당 정보를 전송 단말로 전송한다. 상기 기지국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는 파라미터 정보로는 상기 SA에 의해 지시되는 데이터에 대한 자원할당 정보 등이 있다. 상기 D2D 그랜트는 하향링크 제어정보(DCI: Downlink Control Information)를 통해 전송 단말에게 전달되며, PDCCH 또는 EPDCCH를 통해 전달될 수 있다. 상기 D2D 그랜트는 상향링크 그랜트나 각 단말마다 할당된 D2D-RNTI를 통해 D2D 용도임이 구분되는 제어정보이다. 상기 D2D 그랜트는 SA/데이터 그랜트라고 표현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무선프레임 구조의 일 예이다. 이는 TDD 무선 프레임 구조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하나의 무선 프레임(radio frame)은 10개의 서브프레임(subframe)을 포함하고, 하나의 서브프레임은 2개의 연속적인(consecutive) 슬롯(slot)을 포함한다. TDD에서 하나의 셀을 기준으로 상향링크 전송과 하향링크 전송이 항상 시간적으로 구분된다. 동일한 반송파가 상향링크 전송과 하향링크 전송에 사용되므로, 기지국과 단말은 송신 모드와 수신 모드 사이에서 전환을 반복하게 된다. TDD의 경우, 특별 서브프레임(Special Subframe)을 두어 송신과 수신 사이의 모드 전환을 위한 보호 구간(guard time)을 제공할 수 있다. 특수 서브프레임은 도시된 바와 같이, 하향링크 부분(DwPTS), 보호 주기(GP), 상향링크 부분(UpPTS)으로 구성될 수 있다.
표 1은 무선 프레임의 상향링크-하향링크 설정(UL-DL configuration)의 일 예를 나타낸다. 상향링크-하향링크 설정은 상향링크 전송을 위해 예약된(reserved) 서브프레임 및 하향링크 전송을 위해 예약된 서브프레임을 정의한다. 즉, 상향링크-하향링크 설정은 하나의 무선프레임내의 모든 서브프레임에 상향링크와 하향링크가 어떠한 규칙에 의해 할당(또는 예약)되는지를 알려준다.
Figure pat00001
표 1에서 D는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을 나타내고, U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을 나타내며, S는 특별 서브프레임을 각각 나타낸다. 표 1에서 볼 수 있듯이 서브프레임 0과 5는 항상 하향링크 전송에 할당되며, 서브프레임 2는 항상 상향링크 전송에 할당된다. 표 1과 같이 각 상향링크-하향링크 설정마다 하나의 무선 프레임내의 하향링크 서브프레임과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의 배치(position) 및 개수가 서로 다르다.
한편, 최근에는 TDD 시스템에서의 기지국간의 간섭 제어 및 적응적인 트래픽 제어를 위한 기법으로 eIMTA(enhanced Interference Management and Traffic Adaptation) 기법이 고려되고 있다. eIMTA 기법은 TDD UL-DL 설정의 동적인(dynamic) 변경이 필요한 트래픽 환경에 지원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매크로 셀들과 스몰 셀(예를 들어 피코 셀 또는 페펨토 셀)들이 서로 동일한(same) 주파수 또는 서로 인접한(adjacent) 주파수를 가지고 인접하여 배치된 경우, 간섭 및 트래픽 제어를 위하여 eIMTA 기법이 적용될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eIMTA 배치 시나리오이다.
도 4를 참조하면, UE1과 UE2는 eIMTA 동작을 지원하지 않는 단말이고, UE3과 UE4는 eIMTA 동작을 지원하고 그것을 수행하여 통신을 수행하도록 설정된 단말이다. eIMTA 동작을 지원하지 않는 (no capable)단말 (즉 UE1과 UE2)은 eIMTA 동작을 지원할 수 없는 레가시 단말(legacy UE)일 수 있다. 또는 eIMTA 동작을 지원하지 않는 단말 (즉 UE1과 UE2)은 eIMTA 동작이 가능하지만 eIMTA 관련 지시자 또는 eIMTA 관련 설정정보를 기지국(400)으로부터 수신하지 않은 단말이거나, eIMTA가 비활성화된(disabled) 단말을 의미할 수도 있다. 반면 eIMTA 셀을 사용하는 단말(즉 UE3과 UE4)은 eIMTA 성능을 지원하며, eIMTA 관련 지시자 또는 eIMTA 관련 설정정보를 기지국(400)으로부터 수신하였거나, eIMTA가 인에이블된(enabled) 단말을 의미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eIMTA 셀을 사용하지 않는 단말인 UE1과 UE2를 non-eIMTA 단말이라 지칭하고, eIMTA 셀을 사용하는 단말인 UE3과 UE4를 eIMTA 단말이라 지칭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non-eIMTA 단말이든 eIMTA 단말이든 모두 D2D통신이 가능하도록 설정된 단말이라 지칭한다.
기지국(400)은 매크로 셀에 적용되는 TDD UL-DL 설정 0을 지시하는 정보를 SIB(system information block) 1을 통해 전송하며, non-eIMTA 단말인 UE1과 UE2가 SIB1을 수신한다. 그리고 UE1과 UE2는 TDD UL-DL 설정 0에 기반하여 기지국(400)과 통신을 수행하지만 매크로 셀이 eIMTA 셀인 경우에서는 실제 TDD UL-DL 설정은 SIB 1을 통해서 전송한 그것과 다를 수 있다. 한편, 기지국(400)은 eIMTA 셀에 적용되는 실제(actual) TDD UL-DL 설정 2를 지시하는 정보를 동적인 시그널링을 통해 전송하며, eIMTA 단말인 UE3과 UE4가 상기 동적인 시그널링(e.g. (E)PDCCH scrambled by eIMTA-RNTI)을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UE3과 UE4는 TDD UL-DL 설정 2에 기반하여 기지국(400)과 통신을 수행한다.
UE1과 UE4간에 제1 모드의 D2D 통신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먼저 D2D 자원풀(resource pool)이 정의되어야 한다. D2D 자원풀이란 D2D 스케줄링 할당(scheduling assignment: SA)의 전송을 위한 자원(D2D 수신 단말의 관점에서는 "D2D SA의 수신을 위한 자원"), D2D 데이터의 송수신을 위한 자원, 발견 신호의 전송을 위한 자원(D2D 수신 단말의 관점에서는 "발견 신호의 수신을 위한 자원") 등 D2D 통신에 사용되는 제어신호나 데이터의 전송과 수신을 위해 필요한 자원의 집합을 지칭한다. D2D 통신은 기본적으로 단말이 전송을 수행할 수 있는 기회가 주어지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을 활용한다. 따라서, FDD 시스템에서는 모든 서브프레임이 D2D 자원풀의 후보가 될 수 있으며 TDD 시스템에서는 TDD UL-DL 설정에 따른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이 D2D 자원풀의 후보가 될 수 있다.
일례로서, D2D 자원풀은 특정한 패턴으로 선택되는 서브프레임들로서 정의되고, 상기 특정한 패턴은 오프셋(offset), 주기(period), 주파수 자원지시(PRB 지시자), 서브프레임 비트맵 및 서브프레임비트맵 반복횟수(발견신호 자원풀)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예를 들어 D2D SA용 자원, 제2 모드의 D2D 데이터용 자원, 및 발견 신호용 자원 등). 그리고 기지국(400)은 위의 파라미터들을 셀 특정하게(cell-specifically) SIB를 통해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D2D SA 자원풀, 제2모드 D2D 데이터 자원풀 및 발견신호 자원풀은 각각 복수 개의 예를 들면 서빙셀을 위해 최대 4개까지의 자원풀을 각각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D2D 자원풀은 기지국(400)에 의한 별도의 지시 또는 시그널링없이 정해질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단순하게 상향링크 서브프레임들로서 정의될 수 있다(예를 들어 제1 모드의 D2D 데이터용 자원). 이 경우 기지국(400)은 적절한 PDCCH 또는 EPDCCH (D2D 그랜트)를 이용하여 D2D SA 전송 및 데이터 전송을 위한 특정D2D 자원을 D2D 전송 단말에게 직접 지시한다. 즉, 기지국(400)은 모드 2와 다르게 D2D 자원풀에 대한 시그널링 없이 특정 D2D SA/데이터용 자원을 단말 특정하게(UE-specifically) D2D 그랜트 ((E)PDCCH)를 통해서 D2D송신 단말에게 지시할 수 있다(scheduling).
D2D 자원풀 내에 속한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이라 하더라도, 트래픽 양이나 채널 상황에 따라 실제 D2D 데이터의 송수신을 위해 사용되는 서브프레임(이하 D2D 전송 서브프레임)도 있고, 그렇지 않은 D2D 서브프레임도 있다. D2D 자원풀 내의 D2D 서브프레임들내에서 D2D 전송 서브프레임을 즉, D2D데이터 송신을 수행하는 서브프레임을 패턴화한 것을 T-RPT(Time-Resource Pattern for Transmission)라고 한다.
T-RPT의 인덱스(패턴)는 그 값이 예를 들어 128개까지 존재할 수 있으며, 각 T-RPT 인덱스 값은 하나의 T-RPT 종류에 맵핑된다. 그리고 상기 하나의 T-RPT 종류는 길이 N의 비트맵를 가진다. 상기 비트맵은 T-RPT 비트맵이라 불릴 수 있다. T-RPT 비트맵은 N개의 상향링크 서브프레임들이 D2D 전송 서브프레임인지 아닌지를 1 또는 0로써 알려주는 정보이다. 여기서 T-RPT 비트맵에서 1은 D2D전송을 수행하는 서브프레임을 나타내고 0은 D2D수신을 수행하는 서브프레임을 나타낸다. 또한 T-RPT 비트맵에 의해 지시되는 D2D 전송 서브프레임의 개수를 k라 한다. k는 T-RPT 비트맵 내에서 1의 개수와 같다. T-RPT 비트맵의 길이 N은 하기 표와 같이 듀플렉스 모드, TDD UL-DL 설정에 의해 결정된다.
제1 모드 제2 모드
FDD N=8
k={1, 2, 4, N}
N=8
k={1, 2, 4}
TDD UL-DL 설정 0 N=7
k={1, 2, 4, N} 또는 {1, 2, 3, 4, 5, 6, N}
N=7
k={1, 2, 4} 또는 {1, 2, 3, 4, 5, 6, N}
TDD UL-DL 설정1, 2, 4, 5 N=8
k={1, 2, 4, N}
N=8
k={1, 2, 4}
TDD UL-DL 설정3, 6 N=6
k={1, 2, 4, N} 또는 {1, 2, 3, 4, 5, 6, N}
N=6
k={1, 2, 4} 또는 {1, 2, 3, 4, 5, 6, N}
표 2를 참조하면, D2D 단말에 적용된 TDD UL-DL 설정이 0일 경우, N=7이다. 여기서, D2D 전송 모드가 제1 모드이면 k={1, 2, 4, N} 또는 {1, 2, 3, 4, 5, 6, N}을 가질 수 있고, D2D 전송 모드가 제2 모드이면 k={1, 2, 4} 또는 {1, 2, 3, 4, 5, 6, N}을 가질 수 있다. D2D 단말은 TDD UL-DL 설정과 D2D 전송 모드를 알고 있으므로, 이를 기초로 T-RPT의 포맷을 형성하는 N과 k를 도출할 수 있다. 그리고 T-RPT 인덱스 정보(7bits)를 포함하는 D2D 그랜트(by (E)PDCCH)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면, D2D 단말은 T-RPT 인덱스를 상기 N과 k에 의해 정해지는 T-RPT 비트맵에 맵핑함으로써, D2D 전송 서브프레임을 확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와 같이 제2 모드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D2D 자원풀이 '1'로 표시된 서브프레임들로 정의되었다고 하자. 제2 모드의 D2D 데이터 자원풀의 정보를 지시하기 위해 서브프레임 비트맵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첫번째 프레임 내의 서브프레임 2, 5번, 두번째 프레임 내의 서브프레임 0, 3, 8번, 세번째 프레임 내의 서브프레임 1, 6, 9번 이렇게 총 8개의 서브프레임들이 '1'로 표시되었으므로, 제2 모드의 D2D 데이터 자원풀에 포함된다. N=8이고 k=4이고 T-RPT 비트맵이 '10101010'인 경우, T-RPT 비트맵은 길이 8로서 상기 제2 모드의 D2D 데이터 자원풀로써 지시된 8개의 서브프레임들에 맵핑된다. 그리고 '10101010' 내에서 1로 표시된 4개의 비트에 맵핑되는 서브프레임들이 D2D 전송 서브프레임들 즉, 실제 제2 모드의 D2D 데이터 전송이 수행되는 서브프레임이다.
한편, 전술된 바와 같이 제1 모드의 D2D 데이터 자원풀은 서브프레임 비트맵 지시자에 의해 설정되는 제2모드 데이터 자원풀과는 달리 연속적인(contiguous)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으로 연관된다. 따라서, 제1 모드의 D2D 데이터 통신을 위해 T-RPT 비트맵은 상기 연속적인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에 대해 적용된다.
하지만 위의 모드 1에서의 D2D데이터 자원에 대한 정의와 (TDD UL-DL 설정내의 연속적인 UL 서브프레임들) eIMTA 동작이 설정된 셀 내에서의 TDD UL-DL 설정이 동적으로 바뀌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을 구체적으로 도 4의 eIMTA 배치에 적용할 때, 제1 모드의 D2D 데이터 자원들이 어떻게 eIMTA 동작에 의해서 non-eIMTA 모드1 D2D 단말과 eIMTA 모드1 D2D단말이 고려될 수 있는지 볼 수 있다. 이는 제1 모드의 D2D 통신을 기준으로 설명된다.
도 6을 참조하면, 상단에는 UE1(즉 non-eIMTA 단말)을 위해 SIB 1에 의해 제공되는 TDD UL-DL 설정 0에 따른 TDD 서브프레임이 도시되어 있고, 하단에는 UE4(즉 eIMTA 단말)을 위해 제공되는 TDD UL-DL 설정 2에 따른 TDD 서브프레임이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실제 eIMTA가 수행되는 기지국 관점에서는 당연히 eIMTA 동작을 위해 설정된 TDD UL-DL 설정2를 기반으로 통신을 수행한다. 서로 인접한 UE1과 UE4는 서로 다른 TDD UL-DL 설정에 따라 동작하고 있으며, 표 1에 따르면 UE1이 가정하는 TDD UL-DL 설정은 TDD UL-DL 설정0인 "DSUUUDSUUU"이고, UE4가 가정하는 TDD UL-DL 설정은 TDD UL-DL 설정2인 "DSUDDDSUDD"이다. (도4 참조)
제1 모드의 D2D 데이터 전송시, D2D 자원풀은 연속적인(contiguous)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으로 정의될 수 있으므로, UE1을 위한 TDD 서브프레임 구조에서는 매 프레임내에서 서브프레임 2, 3, 4, 7, 8, 9번이 D2D모드 1데이터 자원풀에 해당한다. 즉, UE1은 서브프레임 2, 3, 4, 7, 8, 9번이 D2D모드1데이터 자원풀에 해당하는 것으로 예상한다(expect). 그러나, UE4를 위한 TDD 서브프레임 구조에서는 매 프레임내에서 서브프레임 2, 7번만이 제1 모드의 D2D 데이터 자원풀에 해당한다. 따라서 UE4는 서브프레임 2, 7번이 제1 모드의 D2D 데이터 자원풀에 해당하는 것으로 예상한다. 결과적으로 UE1과 UE4는 서로 다른 제1 모드의 D2D 데이터 자원풀을 예상한다.
여기서, N=7인 T-RPT 비트맵이 서로 다른 단말(즉, eIMTA 단말과 non-eIMTA 단말) 사이의 제1 모드의 D2D 데이터 자원풀에 적용된다고 하자. UE1은 SIB 1에 의해 지시된 TDD UL-DL 설정 0을 기준으로 정해진 D2D 자원풀 내에, 7개의 상향링크 서브프레임 단위로 T-RPT 비트맵이 적용되며, 이러한 T-RPT 비트맵 적용이 하나의 주기내에서 반복된다. 반면, eIMTA 동작이 실행되도록 설정된 UE4는 동적 시그널링에 의해 지시된 TDD UL-DL 설정 2를 기준으로 정해진 D2D 자원풀 내에, 7개의 상향링크 서브프레임 단위로 T-RPT 비트맵이 적용된다. 동일한 하나의 T-RPT 비트맵이라도, UE1에 대해서는 짧은 시간에 적용되지만 UE4에 대해서는 긴 시간동안 적용된다. 서로 다른 제1 모드의 D2D데이터 자원풀의 고려로 인해 D2D모드 1 데이터 송수신이 서로 불가능하다. 즉, 각각의 단말들이 고려하고 있는D2D자원에 대해 서로 다른 가정으로 인해서 이러한 문제가 발생한다.
이와 같이, non-eIMTA 단말인 UE1이, eIMTA 단말인 UE4를 위한 TDD UL-DL 설정이 동적으로 변경됨을 알지 못한 채 D2D 통신을 수행하면, UE1과 UE4는 제1 모드의 D2D 자원풀 및 실제 D2D 데이터 송수신이 일어나는 자원을 달리 인식하기 때문에 정상적이고 신뢰성있는 D2D 통신이 어려워질 수 있다.
이러한 eIMTA 셀 환경에서도 D2D 통신이 문제없이 수행되기 위해서는 제1 모드의 D2D 데이터 자원풀의 설정 방법에 eIMTA 셀 환경을 고려한 수정 내지는 새로운 정의가 필요하다. eIMTA TDD 환경에서 TDD UL-DL 설정이 동적인 시그널링(예를 들어 공용 검색 공간내에서 eIMTA-RNTI에 의해 스크램블된 PDCCH)에 의해 지시되더라도, non-eIMTA D2D단말과 eIMTA D2D단말 모두를 포함한 D2D 단말들 상호간에 제1 모드의 D2D 데이터자원풀이 동일하도록 정의되어야 한다. 또한 단말이 eIMTA 내에서 정의된 폴백(fallback) 동작을 수행하였을 때에도, D2D모드1 자원풀을 잘못 인식하는 오류를 없애기 위한 추가적인 방안도 고려될 필요가 있다. 또한 non-eIMTA UE가 서빙셀이 eIMTA 동작이 enabling 되었는지 아닌지에 대한 정보 부재로 인한 모호함 이슈 또한 고려될 필요가 있다. 그리고 더욱이 inter-cell D2D 환경을 고려한다면 non-eIMTA cell과 eIMTA cell내에 속하는 단말들 간의D2D통신을 지원하는 방안도 고려되어야 한다.
이하에서, D2D 통신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eIMTA와 같은 동적 TDD UL-DL 설정을 고려한 D2D 자원 설정 방법, T-RPT 적용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장치에 대해 설명된다.
<제1 모드의 D2D 통신을 위한 D2D 자원 설정 방법>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D2D 자원 설정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기지국은 D2D 자원풀을 구성하는데 필요한 제어정보(이하 'D2D 자원풀 구성정보'라 함)를 제1 D2D 단말과 제2 D2D 단말로 전송한다(S700). 여기서, 제1 D2D 단말과 제2 D2D 단말 중 적어도 하나는 eIMTA 단말이며, 본 실시예에서는 제2 D2D 단말이 eIMTA 단말이며 제1 D2D 단말이 non-eIMTA 단말인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한다. 아울러 제1 D2D 단말과 제2 D2D 단말을 위해 TDD UL-DL 설정 0이 SIB1 시그널링에 의해 제공되었다고 가정한다. 제1 D2D 단말과 제2 D2D 단말은 모두 D2D 전송 단말이 될 수도 있고, D2D 수신 단말이 될 수도 있다. 그런데 제1 모드의 D2D 전송 단말(Tx UE)의 경우, 데이터 전송을 위한 SA와 데이터 전송을 위한 D2D 자원을 기지국으로부터 직접 지시받기 때문에(D2D 그랜트 이용, D2D그랜트는 DCI format 0와 동일한 사이즈를 가지며D2D mode 1송신 단말에게D2D SA/데이터 전송을 위해 기지국으로 부터 (E)PDCCH 시그널링 형태로 지시되는 정보) D2D데이터 송수신자원풀과 D2D송신 자원풀의 구성정보가 필요하지 않을 수 있다. 즉, 단계 S700이 생략될 수도 있다. 그러나, D2D 수신 단말(Rx UE)은 D2D SA가 어느 서브프레임 또는 PRB를 통해 전송되는지를 적어도 알고 있어야(즉, D2D SA 수신을 위한 자원풀을 알고 있어야) D2D 전송 단말로부터 D2D SA를 수신할 수 있으므로, 단계 S700는 D2D 수신 단말에게 필요한 절차라고도 볼 수 있다.
기지국은 eIMTA 단말인 제2 D2D 단말의 TDD UL-DL 설정을 예를 들어 2번으로 변경하는 동적 시그널링(PDCCH 또는 EPDCCH)을 제2 D2D 단말로 전송한다(S705). 동적 시그널링을 수신하면, 제2 D2D 단말은 TDD UL-DL 설정을 0번에서 2번으로 변경한다(S710). 단계 S705과 S710은 단계 S700 이후에 반드시 수행되는 단계는 아니며, 단지 eIMTA 환경에서 TDD UL-DL 설정이 동적으로 변경될 수 있음을 설명하기 위해 삽입된 절차이다.
단계 S710까지 수행되면, 제1 D2D 단말은 기존의 SIB1 시그널링에 의해 정해진 TDD UL-DL 설정 0에 기반하여 동작하고, 제2 D2D 단말은 동적 시그널링에 의해 정해진 TDD UL-DL 설정 2에 기반하여 동작한다.
이제 제1 D2D 단말과 제2 D2D 단말이 제1 모드 D2D 통신을 원한다고 가정하자. 기지국은 제1 D2D 단말로 D2D 그랜트(grant)를 전송한다(S715). D2D 그랜트는 DCI format 0와 동일한 사이즈를 가지며 PDCCH 또는 EPDCCH상으로 전송될 수 있다. D2D SA는 연속적인 상향링크 서브프레임들(또는 제1 모드의 D2D 자원풀) 중에서, D2D 데이터 송수신이 실제 발생하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을 지시하는 T-RPT 인덱스를 포함한다.
D2D 그랜트를 수신한 제1 D2D 단말은 특별한(special) D2D 자원풀 및 기준(reference) T-RPT 비트맵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여 제2 D2D 단말과 제1 모드의 D2D 통신을 수행한다(S720). 예를 들어, 단계 S720에 따른 제1 모드의 D2D 통신은 제1 D2D 단말이 특별한 D2D 자원풀을 사용하여 D2D SA를 제2 D2D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특별한 D2D 자원풀 내에서 T-RPT 인덱스와 기준 T-RPT 비트맵에 의해 결정된 D2D 전송 서브프레임을 이용하여 제2 D2D 단말과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특별한 D2D 자원풀은 특별히 eIMTA 셀 내에 있는 단말들끼리 D2D모드1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데 사용하도록 마련된 D2D 자원풀을 의미할 수 있다. 특별한 D2D 자원풀은 D2D 단말들이 동일한 D2D 자원풀을 사용하도록 인위적으로 강제한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특별한 D2D 자원풀은 도 6과 같이 TDD UL-DL 설정 0과 2에 의존적으로 결정되는 D2D 자원풀은 아니며, 예외적으로 적용되는 D2D 자원풀이라 할 수 있다.
기존 통신 시스템에서의 D2D 통신은 eIMTA 셀 환경을 고려하고 있지 않고 있기 때문에 이를 고려한 특별한 D2D 자원풀을 사용하면 더 많은 서비스 제공자들에게 eIMTA가 동작하는 셀에서도 D2D 통신을 문제 없이 수행할 수 있는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다.
1) 특별한 D2D 자원풀의 실시예
- 제1 실시예에 따르면, D2D 단말들이 서로 제1 모드의 D2D 통신을 수행하고, 상기 D2D 단말들 중 적어도 하나의 단말이 eIMTA 단말인 경우, 특별한 D2D 자원풀은 고정된 상향링크 서브프레임(들)만을 포함하도록 규격화될 수 있다. 여기서, 고정된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은 한 프레임을 구성하는 10개의 서브프레임들 중 특정 위치의 적어도 하나의 서브프레임일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고정된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은 현재 변경 가능한 7개의 TDD UL-DL 설정들 내에서 변화할 수 없는 서브프레임들로서 정해질 수 있다.
일례로서, 상기 고정된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은 2번 서브프레임일 수 있다. 즉, 특별한 D2D 자원풀은 2번 서브프레임만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고정된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은 2번과 7번 서브프레임일 수 있다. 즉, 특별한 D2D 자원풀은 2번과 7번 서브프레임만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특별한 D2D 자원풀이 2번 서브프레임만을 포함하는 제1 설정과, 특별한 D2D 자원풀이 2번과 7번 서브프레임만을 포함하는 제2 설정 중에 어느 하나로서 특별한 D2D 자원풀이 결정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 설정과 제2 설정간에 스위칭이 가능하다. 또한 제1 설정 또는 제2 설정을 지시하는 시그널링이 기지국에서 D2D 단말로 전송될 수 있다.
이처럼 eIMTA 환경에서 동적인 시그널링으로 인한 실제 TDD UL-DL 설정의 변화에 상관없이, 고정된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을 기준으로 하향링크/상향링크 데이터 스케줄링을 수행하면, non-eIMTA 단말과 eIMTA 단말은 동일한 D2D 자원풀을 예상할 수 있고 이와 더불어 동일한 T-RPT 적용을 할 수 있기 때문에 eIMTA 단말과의 간섭이슈를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 제2 실시예에 따르면 D2D 단말들이 서로 제1 모드의 D2D 통신을 수행하고, 상기 D2D 단말들 중 적어도 하나의 단말이 eIMTA 단말인 경우, 특별한 D2D 자원풀은 기지국의 지시에 의해 정해진 상향링크 서브프레임(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기지국은 셀 특정한 상위계층 시그널링(예를 들어 SIB)을 통해서 특별한 D2D 자원풀이 어떤 상향링크 서브프레임들을 포함하는지를 eIMTA 셀 내의 모든 D2D 단말들(eIMTA 단말과 non-eIMTA 단말 모두 포함)에게 지시한다. 기지국은 단계 S700의 D2D 자원풀 구성정보에 상기 셀 특정한 상위계층 시그널링을 포함하여 전송할 수도 있고, D2D 자원풀 구성정보와는 별도의 메시지로써 D2D 단말로 전송할 수도 있다.
일례로서, 셀 특정한 상위계층 시그널링은 제1 모드인 D2D 통신에 관한 기준(reference) TDD UL-DL 설정정보를 포함한다. 그리고 기준 TDD UL-DL 설정정보는 TDD UL-DL 설정 0~6 중 어느 하나를 지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a 및 도 8b와 같이 non-eIMTA 단말에 적용되는 SIB1의 TDD UL-DL 설정은 0이고, eIMTA 단말에 적용되는 동적인 TDD UL-DL 설정은 6 -> 1로 변경되는 상황에서, 기지국은 기준 TDD UL-DL 설정정보를 상기 non-eIMTA 단말과 eIMTA 단말로 전송한다. 만약 기준 TDD UL-DL 설정정보가 TDD UL-DL 설정 1을 지시하면, TDD UL-DL 설정 1이 제공하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2, 3, 7, 8번)들이 특별한 D2D 자원풀에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D2D 단말들은 상기 특별한 D2D 자원풀을 사용하여 D2D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eIMTA가 설정된 단말에게 DL HARQ 타이밍을 지시하기 위해서 설정되는 하향링크-기준 UL-DL 설정 내의 상향링크 서브프레임들을 특별한 D2D 자원풀에 포함시킬 수도 있다.
이러한 제2 실시예는 eIMTA 셀 내의 모든 D2D 단말들이(eIMTA 단말이든 non-eIMTA 단말이든 상관없이)은 동일한 제1 모드 D2D 데이터 서브프레임(또는 데이터 자원)을 예측 또는 가정할 수 있다. 제2 실시예는 제1 실시예에 비해 더 많은 유연성(flexibility)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더 많은 상향링크 서브프레임들을 제1 모드 D2D 데이터 자원으로 고려할 수 있다. 이로써 eIMTA 셀 내에서의 D2D 성능 저하에 대한 영향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 제3 실시예에 따르면, D2D 단말들이 서로 제1 모드의 D2D 통신을 수행하고, 상기 D2D 단말들 중 적어도 하나의 단말이 eIMTA 단말인 경우, 특별한 D2D 자원풀은 제2 모드의 D2D 자원풀의 설정을 위해 사용되는 D2D 자원풀 구성정보에 기반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이때 D2D 자원풀 구성정보는 가능한 TDD UL-DL 설정을 제한함으로써 D2D 자원풀을 구성할 수 있다. D2D 자원풀 구성정보는 TDD UL-DL 설정 0~6에 따라 차이가 발생하는데, 본 실시예의 D2D 자원풀 구성정보는 TDD UL-DL 설정을 특정하게 한정함으로써 통일성있는 D2D 자원풀을 발생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은 TDD UL-DL 설정 0 또는 SIB1에 의한 TDD UL-DL 설정에 기반하여 D2D 자원풀 구성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기본적으로 eIMTA 셀 내에서 전송 모드의 구분없이 제1 모드 D2D 통신에 대해서도 D2D 자원풀 구성정보를 요구하여 D2D 자원풀의 통일성을 꾀할 수 있다.
2) 기준 T-RPT 비트맵의 실시예
D2D 단말들이 서로 제1 모드의 D2D 통신을 수행하고, 상기 D2D 단말들 중 적어도 하나의 단말이 eIMTA 단말인 경우, D2D 전송 서브프레임들은 기준 T-RPT 비트맵에 따라 정해질 수 있다. 기준 T-RPT 비트맵은 기준 UL-DL 설정(또는 상향링크-기준 UL-DL 설정)을 고려한 T-RPT 비트맵으로서, 각 D2D 단말별 TDD UL-DL 설정을 고려하여 정해지는 것은 아니다. 특별한 D2D 자원풀에 의해 D2D 단말간에 동일한 D2D 자원풀을 인지하고 있다 하더라도, D2D 전송 서브프레임을 서로 다르게 인식하면 신뢰성있는 D2D 통신은 여전히 수행될 수 없다. 이러한 문제는 D2D 전송 서브프레임은 T-RPT에 의해 정해지고, T-RPT는 TDD UL-DL 설정에 의존하여 가변적으로 결정되기 때문에 발생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eIMTA 환경에서 SIB1 또는 동적 시그널링에 의한 TDD UL-DL 설정과는 무관하게 제공되는 기준 UL-DL 설정과 그에 따른 기준 T-RPT 비트맵을 정의한다.
상향링크-기준 UL-DL 설정은 상향링크 HARQ 동작을 수행함에 있어서 동적으로 변경되는 TDD UL-DL 설정(즉, eIMTA 동작)에 영향을 받지 않기 위해서 SIB1에서 지시한 TDD UL-DL 설정을 기반으로 상향링크 HARQ를 수행하기 위해 도입된 개념이다. 그렇다면 기준 UL-DL 설정이 무엇인지가 문제되는데, 이는 다음의 예시들에 의해 정해질 수 있다.
일례로서, 기준 UL-DL 설정은 기지국이 SIB1 시그널링으로 전송한 TDD UL-DL 설정을 포함한다. 따라서, 기준 T-RPT 비트맵의 N과 k의 집합은 SIB1 시그널링에 의한 TDD UL-DL 설정에 맞게 상기 표 2와 같이 정해질 수 있다.
다른 예로서, 기준 UL-DL 설정은 규격에 의해 고정된 TDD UL-DL 설정을 포함한다. 여기서, 고정된 TDD UL-DL 설정은 예를 들어 TDD UL-DL 설정 1, 2, 4, 5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따라서, 기준 T-RBT 비트맵의 N과 k의 집합은 상기 고정된 TDD UL-DL 설정에 맞게 상기 표 2와 같이 제1 모드, N=8, k={1, 2, 4, N} 또는 {1, 2, 3, 4, 5, 6, 7, N}으로 정해질 수 있다.
전술된 특별한 D2D 자원풀의 예시들 중 어느 하나와, 기준 T-RPT 비트맵의 예시들 중 어느 하나의 조합이 제1 D2D 단말과 제2 D2D 단말간의 제1 모드 D2D 통신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a 및 도 9b와 같이 특별한 D2D 자원풀이 2번과 7번 서브프레임으로 고정되어 있고, 기준 UL-DL 설정은 SIB1 시그널링에 의한 TDD UL-DL 설정 0이라 하자. eIMTA 단말에 관한 TDD UL-DL 설정이 2->5로 동적으로 변경된다 하더라도, 기준 UL-DL 설정인 TDD UL-DL 설정 0에 따라 N=7, k={1,2,3,4,5,6,N} 또는 k={1,2,4,N}으로 기준 T-RPT 비트맵이 정해진다. D2D 단말은 T-RPT 인덱스를 상기 N과 k에 의해 정해지는 기준 T-RPT 비트맵에 맵핑함으로써, D2D 전송 서브프레임을 확정할 수 있다.
여기서, eIMTA 단말과 기지국은 WAN 상향링크 데이터 스케줄링을 위한 상향링크 HARQ/스케줄링 타이밍 방법은 SIB1에서 지시한 TDD UL-DL 설정에 해당하는 상향링크 HARQ/스케줄링 타이밍을 기반으로 한다. 따라서 도 9에서 eIMTA 단말의 상향링크 HARQ/스케줄링 동작은 실제 TDD UL-DL 설정과는 상관없이, SIB 1에서 지시한 TDD UL-DL 설정 0의 상향링크 HARQ 타이밍을 기반으로 수행될 수 있다.
non-eIMTA 단말과 eIMTA 단말은 같은 D2D 자원풀에 대한 정의와 그것에 연관된 T-RPT 포맷(N과 k값들의 집합)을 공유함으로써 단말들 간의 제1 모드의 D2D 통신이 eIMTA 셀 내에서 가능해질 수 있다. 또한 셀간(inter-cell) D2D 통신을 고려한다면 위와 같이 고정된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에 대한 D2D 자원풀이 표준으로 공유되기 때문에 단말들간에 추가적인 시그널링이 필요하지 않을 수 있다.
도 10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D2D 자원 설정 방법을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eIMTA 셀을 제공하는 기지국(1000)은 non-eIMTA 단말인 UE1과 UE2로 eIMTA 셀 지시자를 전송한다(S1010). eIMTA 셀 지시자는 서빙셀이eIMTA로 인에이블된 것인지를 지시하는 정보로서, SIB 시그널링에 의해 전송될 수 있다. eIMTA 셀 지시자를 수신한 non-eIMTA 단말은 자신이 eIMTA 셀의 커버리지(1005)에 있음을 알 수 있다. 다시 말해, non-eIMTA 단말은 해당 셀이 eIMTA가 설정된 셀임을 인식할 수 있다. eIMTA 셀 지시자는 UE1, UE2와 같이 제1 모드의 D2D로 동작하는 non-eIMTA 단말들에게 특별한 D2D 자원풀 및 기준 T-RPT 비트맵을 적용해야 함을 암시할 수도 있다. 이는 non-eIMTA 단말인 UE1, UE2가 자신이 D2D모드1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 eIMTA cell에서 고려하는 특별한 D2D 자원풀과 일반 셀에서 고려하는 제1 모드의 D2D 자원풀 중 어느 자원풀을 따라야 하는지에 대한 모호한 문제를 기지국으로 부터의 해당 시그널링을 모든D2D단말들에게 제공함으로써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물론, eIMTA 모드1 D2D단말은 그렇지 않은 위의 단말과 다르게 해당 셀이 eIMTA 셀인지 알 수 있기 때문에 (eIMTA 설정 및 시그널링을 해석할 수 있는 능력 보유) 위의 시그널링 정보는 non-eIMTA D2D모드 1단말들에게 유용한 정보가 될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특별한 D2D 자원풀(고정된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을 고려할 때, eIMTA 셀 지시자를 수신한 non-eIMTA 제1 모드의 D2D 단말인 UE1은 기존의 SIB1에 의한 TDD UL-DL 설정에 따라 D2D 자원풀을 사용하지 않고, 상향링크 서브프레임 2번만을 포함하는 특별한 D2D 자원풀을 사용하여 UE4와 제1 모드의 D2D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일례로서, 기지국(1000)은 서빙셀과이웃셀 각각에 대하여 개별적으로 정의된 eIMTA 셀 지시자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1000)은 서빙셀에 대한 제1 eIMTA 셀 지시자와이웃셀에 대한 제2 eIMTA 셀 지시자를 함께 또는 각각 UE1과 UE2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서빙셀과이웃셀의 확인을 위해 셀 ID 정보가 eIMTA 셀 지시자와 함께 전송될 수 있다. 이로써 non-eIMTA 단말인 UE1과 UE2는 서빙셀 뿐만 아니라 이웃셀이eIMTA 셀인지 아닌지에 대한 정보도 제공받을 수 있다. 본 예시에 따라 서빙셀별로 전송되는 정보를 간단히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For a Serving cell:
eIMTA cell indicator
For neighboring cells:
eIMTA cell indicator
다른 예로서, 기지국(1000)은 eIMTA 셀 지시자와 기준 TDD UL-DL 설정을 지시하는 셀 특정한 상위계층 시그널링(예를 들어 SIB)를 함께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기준 TDD UL-DL 설정은 전술된 바와 같이 특별한 D2D 자원풀의 구성에 기초가 되는 TDD UL-DL 설정이며, 기지국(1000)이 직접 지시한다. 이로써 non-eIMTA 단말인 UE1과 UE2는 이웃셀이 eIMTA 셀인지 아닌지에 대한 정보뿐만 아니라 이웃셀에 적용되는 기준 TDD UL-DL 설정도 제공받을 수 있다. 본 예시에 따라 서빙셀별로 전송되는 정보를 간단히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For a Serving cell:
eIMTA cell indicator
기준 TDD UL-DL 설정정보
For a neighboring cells:
eIMTA cell indicator
기준 TDD UL-DL 설정정보
상기 예시에 따라 eIMTA 셀 지시자를 수신한 UE1, UE2는 도 7의 단계 S720에서와 설명된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특별한 D2D 자원풀을 구성하고, 특별한 D2D 자원풀 및 기준 T-RPT 비트맵을 기반으로 D2D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1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D2D 자원 설정 방법을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기지국(1100)은 eIMTA 셀(1105)을 제공하며 eIMTA셀(1105) 내에는 UE1, UE3, UE4가 위치하고 있다. UE2는 이웃셀인 non-eIMTA 셀(1110)에 속한다. eIMTA 셀(1105)에 있는 UE4와 non-eIMTA 셀(1110)에 있는 UE2가 제1 모드의 D2D 통신을 수행한다고 하자.
eIMTA 셀(1105)의 이웃셀이 non-eIMTA 셀(1110)인 경우에는 두 개의 셀에서의 제1 모드의 D2D 자원풀에 대한 정보가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eIMTA 셀(1105)에서는 고정된 상향링크 서브프레임 2와 7이 D2D 자원풀로 정의될 수 있고, 이웃셀인 non-eIMTA 셀(1110)에서는 그 셀의 SIB1에 의한 TDD UL-DL 설정을 기반으로 연속적인 상향링크 서브프레임들이 D2D 자원풀로 정의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non-eIMTA 셀(1110)에 있는 UE2는 eIMTA 셀(1105)내의 D2D 자원풀에 관한 정보를 알 수 가 없고, UE4와 UE2간에 제1 모드의 D2D 통신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질 수 없다.
따라서 non-eIMTA 셀(1110)내에 있는 제1 모드의 D2D 수신 단말(Rx UE)은 eIMTA 셀(1105)내에 있는 제1 모드의 D2D 전송 단말(Tx UE)에 관한 D2D 자원풀에 대한 정보를 알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UE4(D2D Tx UE)는 eIMTA 셀(1105)에서의 D2D 자원풀에 대한 정보를 UE2(D2D Rx UE)로 전송한다(S1120). 여기서, eIMTA 셀(1105)에서의 D2D 자원풀에 대한 정보는 PD2DSCH(D2D 동기 채널)상으로 전송될 수 있다. 그리고 eIMTA 셀(1105)에서의 D2D 자원풀에 대한 정보는 eIMTA 셀 지시자 및 eIMTA 셀(1105)에 적용되는 기준 TDD UL-DL 설정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이 예시는 eIMTA cell내에서 제1 모드의 D2D 자원풀을 정의하는 방법으로 기준 TDD UL-DL 설정정보를 지시하는 방법을 기반하였지만 다른 방법들을 기반으로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된 서브프레임에 의해 특별한 D2D 자원풀이 결정되는 실시예에 대해서는 추가적인 시그널링이 없기 때문에 eIMTA 셀 지시자만 전송되면 된다. 반면 특별한 D2D 자원풀의 결정을 위해 추가적인 시그널링이 필요한 실시예에 대해서는 제1 모드의 D2D 자원풀에 대한 정보가 시그널링된다. 이러한 본 예시에 따른 D2D 자원풀에 대한 정보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For a Serving cell:
eIMTA cell indicator
또는
For a Serving cell:
eIMTA cell indicator
제1 모드의 D2D 자원풀에 대한 정보
상기 예시에 따라 eIMTA 셀 지시자 및/또는 기준 TDD UL-DL 설정정보를 수신한 UE2는 도 7의 단계 S720에서와 설명된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특별한 D2D 자원풀을 구성하고, 특별한 D2D 자원풀 및 기준 T-RPT 비트맵을 기반으로 UE4와 D2D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제2 모드의 D2D 통신을 위한 D2D 자원 설정 방법>
도 12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D2D 자원 설정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기지국은 D2D 자원풀 구성정보를 제1 D2D 단말과 제2 D2D 단말로 전송한다(S1200). 여기서, 제1 D2D 단말과 제2 D2D 단말 중 적어도 하나는 eIMTA 단말이며, 본 실시예에서는 제2 D2D 단말이 eIMTA 단말이며 제1 D2D 단말이 non-eIMTA 단말인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한다. 아울러 제1 D2D 단말과 제2 D2D 단말을 위해 TDD UL-DL 설정 0이 SIB1 시그널링에 의해 제공되었다고 가정한다. 제1 모드의 D2D 통신과 달리, 제2 모드의 D2D 통신의 경우 D2D 자원풀에 대한 설정은 기지국에 의해 지시되며, D2D 자원풀 구성정보의 전송은 필수적이다.
D2D 자원풀 구성정보는 주파수축 구성정보와 시간축 구성정보를 포함하며, 이로서 D2D 자원풀이 일정한 패턴으로 구성될 수 있다. D2D 자원풀 구성정보는 상위계층 시그널링으로서, SIB1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이하에서 기지국이 D2D 자원풀을 구성하는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주파수축 구성정보는 물리적 자원블록(physical resource block: PRB)내에서 D2D 할당의 길이를 지시하는 PRB 길이정보(prbLength), PRB 할당이 시작되는 최저점의 PRB의 인덱스를 지시하는 PRB 시작정보(startPRB) 및 PRB 할당이 끝나는 최고점의 PRB의 인덱스를 지시하는 PRB 종료정보(endPRB)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시간축 구성정보는 D2D 자원풀에 포함되는 서브프레임들이 일정한 패턴에 따라 선택되도록 서브프레임 비트맵, 오프셋(offset), 주기(Period), 서브프레임 비트맵 반복횟수(number of repetition of subframebitmap within a period for only discovery)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서브프레임 비트맵에서 특정 서브프레임에 대응하는 비트가 1이면 상기 특정 서브프레임은 D2D 자원을 가진 것임을 나타낸다. 즉, 상기 특정 서브프레임은 D2D 자원풀에 속한다. 반면 서브프레임 비트맵에서 특정 서브프레임에 대응하는 비트가 0이면 상기 특정 서브프레임은 D2D 자원이 아님을 나타낸다. 즉, 모드2자원풀을 지시하기 위한 서브프레임 비트맵에서 비트 값이0에 해당하는 상기 특정 서브프레임은 D2D 자원풀에 속하지 않는다. 오프셋은 D2D 자원풀의 시작위치를 결정하는데 사용되는 지시자이다. 오프셋은 SFN(subframe number) 0에서부터의 오프셋이며, 1 서브프레임의 그래뉼러리티(granularity) 또는 수십 ms 또는 서브프레임 비트맵의 길이에 해당하는 시간(e.g. FDD 40bit map=40ms offset 그래뉼러리티)를 가질 수 있고 오프셋의 수는 2개가 될 수 있다. 오프셋은 D2D 자원풀의 시작위치를 결정하는 제1 오프셋과, D2D 데이터 송수신용 자원의 시작위치를 결정하는 제2 오프셋을 포함할 수 있다. 이렇게 시간축 구성정보에 의해 D2D SA와 D2D 데이터 등을 위한 D2D 자원풀이 시간축 상에서 배치되는 모습은 도 13과 같다.
다시 도 12에서, 서브프레임 비트맵은 프레임의 구조에 따라 그 길이가 가변적으로 정의된다. 이는 표 6과 같다.
프레임 구조 서브프레임 비트맵 길이
FDD 40
TDD UL-DL 설정1 16
TDD UL-DL 설정2 8
TDD UL-DL 설정3 12
TDD UL-DL 설정4 8
TDD UL-DL 설정5 4
TDD UL-DL 설정6 30
TDD UL-DL 설정0 42
표 6을 참조하면, 프레임 구조에 따라 서브프레임 비트맵이 가변적인 길이로서 정의된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와 같이 제1 D2D 단말과 제2 D2D 단말을 위한 프레임 구조가 TDD UL-DL 설정 0인 경우, 기지국은 길이 42의 서브프레임 비트맵을 포함하는 D2D 자원풀 구성정보를 생성한다. 즉, 기지국은 TDD UL-DL 설정에 따라 다른 규격의 D2D 자원풀 구성정보를 생성하며, 하나의 서브프레임 비트맵이 적용되는 구간과 D2D SA/제2 모드의 주기는 TDD UL-DL 설정에 따라 아래의 표와 같이 정해질 수 있다.
TDD UL-DL 설정 D2D 자원풀을 위한 서브프레임 비트맵 길이 하나의 서브프레임 비트맵이 적용되는 구간(ms) D2D SA/제2 모드 주기(ms)
0 42 70 80, 160, 320
1 16 40 40, 80, 160, 320
2 8 40 40, 80, 160, 320
3 12 40 40, 80, 160, 320
4 8 40 40, 80, 160, 320
5 4 40 40, 80, 160, 320
6 30 60 80, 160, 320
다음으로, 기지국은 eIMTA 단말인 제2 D2D 단말의 TDD UL-DL 설정을 예를 들어 2번으로 변경하는 동적 시그널링(PDCCH 또는 EPDCCH)을 제2 D2D 단말로 전송한다(S1205). 동적 시그널링을 수신하면, 제2 D2D 단말은 TDD UL-DL 설정을 0번에서 2번으로 변경한다(S1210). 단계 S1205과 S1210은 단계 S1200 이후에 반드시 수행되는 단계는 아니며, 단지 eIMTA 환경에서 TDD UL-DL 설정이 동적으로 변경될 수 있음을 설명하기 위해 삽입된 절차이다.
이제 제1 D2D 단말과 제2 D2D 단말이 제2 모드 D2D 통신을 원한다고 가정하자. 그런데, 제1 D2D 단말은 기존의 SIB1 시그널링에 의해 정해진 TDD UL-DL 설정 0에 기반하여 동작하고, 제2 D2D 단말은 동적 시그널링에 의해 정해진 TDD UL-DL 설정 2에 기반하여 동작한다. 이렇게 각 D2D 단말에 적용되는 TDD UL-DL 설정이 서로 달라지면, D2D 자원풀 구성정보 또한 표 7과 같이 TDD UL-DL 설정에 의존하여 달라질 수 있고, 그로 인해 D2D 단말들이 이해하는 D2D 자원풀간에 차이가 발생한다. 이는 결국 신뢰성있는 D2D 통신을 기대하기 어렵게 만들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D2D 단말과 제2 D2D 단말은 특별한 D2D 자원풀 및 기준(reference) T-RPT 비트맵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여 제2 D2D 단말과 제2 모드의 D2D 통신을 수행한다(S1220). 예를 들어, 단계 S1220에 따른 제2 모드의 D2D 통신은 제1 D2D 단말이 특별한 D2D 자원풀을 사용하여 D2D SA를 제2 D2D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특별한 D2D 자원풀 내에서 T-RPT 인덱스와 기준 T-RPT 비트맵에 의해 결정된 D2D 전송 서브프레임을 이용하여 제2 D2D 단말과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1) 특별한 D2D 자원풀의 실시예
- 제4 실시예에 따르면, D2D 단말들이 서로 제2 모드의 D2D 통신을 수행하고, 상기 D2D 단말들 중 적어도 하나의 단말이 eIMTA 단말인 경우, 특별한 D2D 자원풀은 기준 TDD UL-DL 설정을 기반으로 결정된다. 그리고 D2D 자원풀 구성정보에 포함되는 서브프레임 비트맵은 그 길이가 상기 기준 TDD UL-DL 설정에 대응하도록 규격화된다. 즉, 기지국은 기준 TDD UL-DL 설정에 맞는 길이의 서브프레임 비트맵을 포함하는 D2D 자원풀 구성정보를 생성하고 D2D 단말로 전송한다.
일례로서, 상기 기준 TDD UL-DL 설정은 주어진 TDD UL-DL 설정 0~6 중에서 특정한 하나의 설정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기준 TDD UL-DL 설정은 가장 많은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을 포함하는 TDD UL-DL 설정 0일 수 있다. 그에 따라 42비트의 서브프레임 비트맵을 포함하는 D2D 자원풀 구성정보가 기지국에서 D2D 단말로 전송된다. 그리고 42비트의 서브프레임 비트맵에 기반하여 특별한 D2D 자원풀이 결정된다. 이에 따르면 제1 D2D 단말에 실제 적용되고 있는 TDD UL-DL 설정(SIB1) 0과 제2 D2D 단말에 실제 적용되고 있는 TDD UL-DL 설정(동적 시그널링) 2와 무관하게 특별한 D2D 자원풀을 구성하기 위한 기준 TDD UL-DL 설정이 정의되는 것이다.
다른 예로서, 상기 기준 TDD UL-DL 설정은 SIB1에 의해 지시된 TDD UL-DL 설정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SIB1에 의해 지시된 TDD UL-DL 설정이 2인 경우, 상기 기준 TDD UL-DL 설정은 TDD UL-DL 설정 2가 된다. 그에 따라 8비트의 서브프레임 비트맵을 포함하는 D2D 자원풀 구성정보가 기지국에서 D2D 단말로 전송된다. 그리고 8비트의 서브프레임 비트맵에 기반하여 특별한 D2D 자원풀이 결정된다.
이에 따르면 적절한 서브프레임 비트맵 시그널링을 통해 eIMTA 셀 내에 제2 모드 D2D 데이터의 송수신, D2D SA의 전송, 발견 신호의 전송을 위한 특별한 D2D 자원풀이 구성될 수 있고, 이로써 eIMTA 단말과 non-eIMTA 단말들이 신뢰성있는 D2D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4는 도 12의 상황에서 제4 실시예에 따라 결정되는 특별한 D2D 자원풀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기준 TDD UL-DL 설정이 0이므로 그에 따라 정해진 42비트의 서브프레임 비트맵이 특별한 D2D 자원풀을 형성한다. 도 14에서 서브프레임 비트맵이 "100100100100100100100100100100100100100100"이며, 1에 대응되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만이 특별한 D2D 자원풀에 포함된다. 그리고 이러한 특별한 D2D 자원풀은 non-eIMTA 단말과 eIMTA 단말에 동일하게 적용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실제 SIB1 TDD UL-DL 설정을 기반으로 하는 특별한 D2D 자원풀은 때때로 하향링크 서브프레임들과 연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4에서 eIMTA 단말을 위한 첫번째 프레임의 서브프레임 3번, 4번, 5번 모두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인데, 굳이 서브프레임 비트맵을 할애한 후 해당 비트를 0으로 설정하는 것은 효율적이지 못하고 불필요한 시그널링 오버헤드가 될 수도 있다.
또한 eIMTA 셀내의 SIB내의 복수개의 제2 모드 데이터(mode 2 data)를 위한 D2D 자원풀, 제2 모드의 SA(mode 2 SA)를 위한 D2D 자원풀, 그리고 발견 신호(discovery)를 위한 D2D 자원풀이 존재하며, 그 외에도 이웃셀들과의 D2D를 위한 수신 D2D 자원풀(mode 2 SA Rx pools, mode 2 discovery Rx pools), 반송파간(inter-carrier)/PLMN간(inter-PLMN) 발견 신호가 존재한다. 이들 D2D 자원풀들을 모두 고려할 때, 시그널링 오버헤드는 더욱더 상당하게 증가될 수 있고 그것은 eIMTA 셀내에 해당 정보들을 전달하는 SIB 검출에 상당한 성능 열하를 야기할 수 있다. 왜냐하면 동일한 전송파워 대비 더 많은 정보가 전송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도 14의 경우 42bits * (4(mode 2 data) + 4(mode 2 SA) + 4(discovery) + 15(mode 2 SA Rx pools) + 15(mode 2 data Rx pools) + 15(mode 2 discovery Rx pools) + j(inter-PLMN discovery Rx pools=2)) = 약 2478 bits로서 상당히 많은 수의 비트가 필요하는 것으로 분석된다.
이러한 결과는 SIB내에서 시그널링될 수 있는 극단적인 예일 수 있지만 eIMTA 셀이 아닌 정적인 TDD UL-DL 설정 0이 적용된 셀에서는 발생할 수도 있다. 그러나 eIMTA 셀에서는 TDD UL-DL 설정의 잠재적 변화 가능성이 존재하고 다수의 상향링크 서브프레임들이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으로 사용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효율적인 mode 2 data, SA, discovery resource pool 설정을 위한 시그널링 방법이 eIMTA 동작의 고려와 함께 적용될 수 있다.
- 제5 실시예에 따르면, 제4 실시예에 따른 단점을 보완한 것으로서, eIMTA 셀 내에서 특별한 D2D 자원풀(제2 모드 데이터용 D2D 자원풀, SA용 D2D 자원풀, 발견신호용 D2D 자원풀 등을 포함)을 위한 시그널링 방법을 제공한다.
본 실시예는 상기 표 7에서 서브프레임 비트맵과 주기를 결정함에 있어서 별도의 상위계층 시그널링에 의해 지시된 기준 TDD UL-DL 설정에 따르며, 제4 실시예와 같이 SIB 1에 의한 TDD UL-DL 설정에 따르는 것은 아니다.
도 15는 도 12의 상황에서 제5 실시예에 따라 결정되는 특별한 D2D 자원풀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기지국이 기준 TDD UL-DL 설정을 지시하는 시그널링을 D2D 단말로 전송한다. 본 예시에서 기준 TDD UL-DL 설정을 TDD UL-DL 설정 2로 정해졌다고 가정하면, 그에 따라 정해진 8비트의 서브프레임 비트맵이 특별한 D2D 자원풀이 할당된다. 도 15에서 서브프레임 비트맵이 "11111111"이며, TDD UL-DL 설정 2의 상향링크 서브프레임들 중1에 대응되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만이 특별한 D2D 자원풀에 포함된다. 그리고 이러한 특별한 D2D 자원풀은 non-eIMTA 단말과 eIMTA 단말에 동일하게 적용된다. 제5 실시예를 제4 실시예와 비교할 때, (42-8)bits * (4(mode 2 data) + 4(mode 2 SA) + 4(discovery) + 15(mode 2 SA Rx pools) + 15(mode 2 data Rx pools) + 15(mode 2 discovery Rx pools) + j=2 (inter-PLMN discovery Rx pools)) = 2006 bits의 비트만큼 오버헤드가 감소할 수 있다.
<특수한 케이스 1 : 제1 모드에서 eIMTA 단말이 폴백(fallback)한 경우>
eIMTA 단말은 유효한 TDD UL-DL 설정을 위한 시그널링을 성공적으로 검출하지 못하는 모든 경우에서 SIB 1에 의해서 지시된 TDD UL-DL 설정으로 폴백(fallback)한다. eIMTA 단말은 eIMTA 폴백을 통해서 불명확한 서브프레임 정보상에서의 송수신 동작을 피하고 고정된 상향/하향링크 서브프레임 등 확실한 서브프레임 상에서 기지국으로부터 스케줄링을 기대한다. 그리고 폴백한 eIMTA 단말은 RRC로 설정된 하향링크-기준 UL-DL 설정 및 상향링크-기준 UL-DL 설정을 기반으로 DL HARQ 동작과 UL HARQ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eIMTA 설정에서 폴백된 단말은 SIB1에 의한 TDD UL-DL 설정내에서 non-DRX 하향링크 서브프레임과 특별 서브프레임상에서 PDCCH(또는 EPDCCH)를 모니터링 해야한다.
eIMTA 단말이 eIMTA 폴백을 수행한 특수한 경우, 새로운 제1 모드의 D2D 자원풀을 어떻게 정의하고, 그에 대해 T-RPT를 어떻게 적용할 것인지가 문제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eIMTA 단말이 eIMTA 폴백을 수행한 경우, 상기 eIMTA 단말은 전술된 실시예와 같이 특별한 D2D 자원풀을 사용함으로써 제1 모드의 D2D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eIMTA 폴백이 발생한 단말의 경우에서도 마찬가지로 유효한 TDD UL-DL 설정 정보의 부재가 있더라도 제1 모드의 D2D 자원풀에 대한 정확한 자원설정을 어떠한 혼란없이 적용할 수 있다.
도 16은 일 실시예에 따른 D2D 단말과 기지국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D2D 단말(1600)은 eIMTA 단말일 수도 있고, non-eIMTA 단말일 수도 있다.
D2D 단말(1600)은 프로세서(processor, 1610), RF부(RF(radio frequency) unit, 1620) 및 메모리(memory, 1625)를 포함한다. 메모리(1625)는 프로세서(1610)와 연결되어, 프로세서(1610)를 구동하기 위한 다양한 정보를 저장한다. RF부(1620)는 프로세서(1610)와 연결되어, 무선 신호를 송신 및/또는 수신한다. 예를 들어, RF부(1620)는 기지국(1650)으로 SIB1 시그널링, PDCCH, EPCCH, 상위계층 시그널링, D2D 자원풀 구성정보, eIMTA 셀 지시자, 기준 TDD UL-DL 설정정보 등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RF부(1620)는 다른 D2D 단말로 eIMTA 셀 지시자 및 D2D 자원풀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RF부(1620)는 다른 D2D 단말과 D2D 통신을 위한 제어신호와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다.
프로세서(1610)는 본 명세서에서 제안된 기능, 과정 및/또는 방법을 구현한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610)는 본 명세서에서 게시된 도 7 내지 도 15까지의 D2D 단말의 모든 동작 및, 제1 실시예 내지 제5 실시예에 따라 특별한 D2D 자원풀을 확인, 인지, 생성하는 절차와, 특별한 D2D 자원풀 내의 자원을 사용하여 D2D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기지국(1650)은 메모리(1655), 프로세서(1660) 및 RF부(RF(radio frequency) unit, 1665)를 포함한다. 메모리(1655)는 프로세서(1660)와 연결되어, 프로세서(1660)를 구동하기 위한 다양한 정보를 저장한다. RF부(1665)는 프로세서(1660)와 연결되어, 무선 신호를 송신 및/또는 수신한다. 구체적으로 RF부(1665)는 SIB1 시그널링, PDCCH, EPCCH, 상위계층 시그널링, D2D 자원풀 구성정보, eIMTA 셀 지시자, 기준 TDD UL-DL 설정정보 등을 D2D 단말(16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RF부(1665)는 프로세서(1660)로부터 받은 제어정보를 PDCCH 또는 EPDCCH를 통해 전송할 수 있다.
프로세서(1660)는 본 명세서에서 제안된 기능, 과정 및/또는 방법을 구현한다. 본 명세서에 게시된 모든 실시예에서 기지국(1650)의 동작은 프로세서(166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660)는 도 7 내지 도 15까지의 기지국의 모든 동작 및, 제1 실시예 내지 제5 실시예에 따라 특별한 D2D 자원풀을 할당하고, 특별한 D2D 자원풀에 대한 정보를 단말에 알려주기 위한 시그널링과 제어정보를 생성하는 모든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예시적인 시스템에서, 방법들은 일련의 단계 또는 블록으로써 순서도를 기초로 설명되고 있지만, 본 발명은 단계들의 순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어떤 단계는 상술한 바와 다른 단계와 다른 순서로 또는 동시에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당업자라면 순서도에 나타낸 단계들이 배타적이지 않고, 다른 단계가 포함되거나 순서도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단계가 본 발명의 범위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삭제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실시예들은 다양한 양태의 예시들을 포함한다. 다양한 양태들을 나타내기 위한 모든 가능한 조합을 기술할 수는 없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다른 조합이 가능함을 인식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의 특허청구범위 내에 속하는 모든 다른 교체, 수정 및 변경을 포함한다고 할 것이다.

Claims (8)

  1. 단말간(device to device: 이하 "D2D") 통신을 지원하는 시스템에서 단말이 D2D를 위한 자원(이하 "D2D 자원풀(resource pool)")을 설정하는 방법으로서,
    D2D 자원풀을 구성하는데 필요한 제어정보를 포함하는 D2D 자원풀 구성정보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D2D 스케줄링 할당(scheduling assignment: SA)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D2D 스케줄링 할당에 기반하여 인접 단말과 D2D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D2D 통신은 특별한(special) D2D 자원풀에 포함된 자원을 사용하여 수행되며, 상기 특별한 D2D 자원풀은 상기 단말과 상기 인접 단말 중 적어도 하나가 eIMTA(enhanced Interference Management and Traffic Adaptation) 셀을 사용하는 경우 상기 2 이상의 단말들에 동일하게 적용되는 D2D 자원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특별한 D2D 자원풀은 고정된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으로 규격화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특별한 D2D 자원풀은 상기 기지국에 의해 시그널링되는 기준(reference) TDD(time duplex division) UL-DL 설정을 기반으로 정의되며,
    상기 특별한 D2D 자원풀은 상기 기준 TDD UL-DL 설정에 따른 상향링크 서브프레임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D2D 통신은 상기 특별한 D2D 자원풀에 포함된 자원 및 기준 T-RPT(Time-Resource Pattern for Transmission) 비트맵을 사용하여 수행되며,
    상기 기준 T-RPT 비트맵은 상기 특별한 D2D 자원풀에 포함된 상향링크 서브프레임들 중에서 실제 D2D 데이터 전송이 발생하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을 지시하고,
    상기 기준 T-RPT 비트맵은 상기 단말과 상기 인접 단말에 동일하게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단말간(device to device: 이하 "D2D") 통신을 지원하는 시스템에서 D2D를 위한 자원(이하 "D2D 자원풀(resource pool)")을 설정하는 단말로서,
    D2D 자원풀을 구성하는데 필요한 제어정보를 포함하는 D2D 자원풀 구성정보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고, D2D 스케줄링 할당(scheduling assignment: SA)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RF부;
    상기 D2D 스케줄링 할당에 기반하여 인접 단말과 D2D 통신을 수행하는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와 연결되어, 상기 프로세서를 구동하기 위한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특별한(special) D2D 자원풀에 포함된 자원을 사용하여 상기 D2D 통신을 수행하며, 상기 특별한 D2D 자원풀은 상기 단말과 상기 인접 단말 중 적어도 하나가 eIMTA(enhanced Interference Management and Traffic Adaptation) 셀을 사용하는 경우 상기 2 이상의 단말들에 동일하게 적용되는 D2D 자원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특별한 D2D 자원풀은 고정된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으로 규격화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특별한 D2D 자원풀은 상기 기지국에 의해 시그널링되는 기준(reference) TDD(time duplex division) UL-DL 설정을 기반으로 정의되며,
    상기 특별한 D2D 자원풀은 상기 기준 TDD UL-DL 설정에 따른 상향링크 서브프레임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특별한 D2D 자원풀에 포함된 자원 및 기준 T-RPT(Time-Resource Pattern for Transmission) 비트맵을 사용하여 상기 D2D 통신을 수행하며,
    상기 기준 T-RPT 비트맵은 상기 특별한 D2D 자원풀에 포함된 상향링크 서브프레임들 중에서 실제 D2D 데이터 전송이 발생하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을 지시하고,
    상기 기준 T-RPT 비트맵은 상기 단말과 상기 인접 단말에 동일하게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KR1020140129611A 2014-09-26 2014-09-26 동적 tdd 설정을 고려한 단말간 통신의 자원 설정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장치 KR2016003703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9611A KR20160037039A (ko) 2014-09-26 2014-09-26 동적 tdd 설정을 고려한 단말간 통신의 자원 설정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9611A KR20160037039A (ko) 2014-09-26 2014-09-26 동적 tdd 설정을 고려한 단말간 통신의 자원 설정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7039A true KR20160037039A (ko) 2016-04-05

Family

ID=558002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9611A KR20160037039A (ko) 2014-09-26 2014-09-26 동적 tdd 설정을 고려한 단말간 통신의 자원 설정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3703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373810A (zh) * 2017-09-11 2020-07-03 瑞典爱立信有限公司 用于无线电接入网络中的控制信令的资源选择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373810A (zh) * 2017-09-11 2020-07-03 瑞典爱立信有限公司 用于无线电接入网络中的控制信令的资源选择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9797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activation/deactivation of serving cel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dual connectivity
EP317976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buffer state report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
KR102103343B1 (ko) 이종 네트워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전송 장치 및 방법
US8644834B2 (en) Resource allocation
US984395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data transmiss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6038880B2 (ja) キャリアアグリゲーションをサポートする無線通信システムで複数個のタイミングアドバンスグループを管理する方法及び装置
KR102124889B1 (ko) 단말간 통신을 지원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매체접근제어 정보 전송 방법 및 장치
JP6963026B2 (ja) 複数の搬送波が設定された端末の電力割当方法及び上記方法を利用する端末
KR102258443B1 (ko) 다수의 캐리어를 가지는 단말이 TTI (transmission time interval) 번들링을 설정하는 방법 및 그 장치
JP6259125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D2D(device−to−device)資源に関する情報を転送する方法及び装置
KR20190123787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v2x 통신을 위한 단말의 신호 전송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이용하는 단말
JP6843901B2 (ja) 無線セルラー通信システムでd2d通信遂行のための電力制御及び多重化方法及び装置
KR20140135331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동적 시분할 복식 시스템 운영 방법 및 장치
US11051216B2 (en) Method for reporting measurement result and device supporting the same
US1053683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D2D oper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2279022B1 (ko) 이중연결 방식을 이용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물리제어채널 구성 방법 및 장치
KR20210056294A (ko) 단말간 통신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
KR20160037039A (ko) 동적 tdd 설정을 고려한 단말간 통신의 자원 설정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장치
KR20170067727A (ko) D2d 동기 신호의 송신 방법 및 이를 위한 단말
KR20160019330A (ko) 단말간 통신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
CN112930694A (zh) 用于执行车辆通信的方法和装置
KR20140080389A (ko) D2d 통신에서 ack/nack 송수신 방법 및 장치
KR20190015665A (ko) Cu-du 기지국 분리 구조에서 캐리어 병합 구성 제어 방법 및 장치
WO2023013744A1 (ja) 通信装置、基地局及び通信方法
WO2023013750A1 (ja) 通信装置及び通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