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15665A - Cu-du 기지국 분리 구조에서 캐리어 병합 구성 제어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Cu-du 기지국 분리 구조에서 캐리어 병합 구성 제어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15665A
KR20190015665A KR1020170098731A KR20170098731A KR20190015665A KR 20190015665 A KR20190015665 A KR 20190015665A KR 1020170098731 A KR1020170098731 A KR 1020170098731A KR 20170098731 A KR20170098731 A KR 20170098731A KR 20190015665 A KR20190015665 A KR 201900156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ll
information
mac entity
base station
ma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87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성표
최우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1700987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15665A/ko
Publication of KR201900156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566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53Resources in frequency domain, e.g. a carrier in FDM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5Access point devices with remote compon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상위 계층 기능 분리구조(CU와 DU로 분리된)로 구성되는 차세대 무선 액세스망 또는 LTE에서 단말에 캐리어 병합을 구성하고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 예로, 캐리어 병합을 통해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단말이 서로 다른 DU를 통해 제공되는 무선자원을 구성하는 단계 및 상기 서로 다른 DU를 통해 제공되는 무선자원을 이용하여 캐리어 병합을 수행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CU-DU 기지국 분리 구조에서 캐리어 병합 구성 제어 방법 및 장치{Methods for controlling carrier aggregation configuration in a CU-DU base station separation structure.}
상위 계층 기능 분리구조(CU와 DU로 분리된)로 구성되는 차세대 무선 액세스망 또는 LTE에서 단말에 캐리어 병합을 구성하고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는 캐리어 병합을 통해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단말이 서로 다른 DU를 통해 제공되는 무선자원을 구성하는 단계 및 상기 서로 다른 DU를 통해 제공되는 무선자원을 이용하여 캐리어 병합을 수행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도 1은 NG-RAN 구조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2는 제2 DU 추가 프로시져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프로토콜 구조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프로토콜 구조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프로토콜 구조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프로토콜 구조의 두 가지 다른 예를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프로토콜 구조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프로토콜 구조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9는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기지국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을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사용자 단말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 무선 통신 시스템은 음성, 패킷 데이터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을 의미한다. 무선 통신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User Equipment, UE) 및 기지국(Base Station, BS)을 포함한다.
사용자 단말은 무선 통신에서의 단말을 의미하는 포괄적 개념으로서, WCDMA, LTE, HSPA 및 IMT-2020(5G 또는 New Radio) 등에서의 UE(User Equipment)는 물론, GSM에서의 MS(Mobile Station), UT(User Terminal), SS(Subscriber Station), 무선 기기(wireless device) 등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기지국 또는 셀(Cell)은 일반적으로 사용자 단말과 통신하는 지점(station)을 말하며, 노드-B(Node-B), eNB(evolved Node-B), gNB(gNode-B), LPN(Low Power Node), 섹터(Sector), 싸이트(Site), 다양한 형태의 안테나, BTS(Base Transceiver System),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포인트(예를 들어, 송신포인트, 수신포인트, 송수신포인트), 릴레이 노드(Relay Node), 메가 셀, 매크로 셀, 마이크로 셀, 피코 셀, 펨토 셀, RRH(Remote Radio Head), RU(Radio Unit), 스몰 셀(small cell) 등 다양한 커버리지 영역을 모두 포괄하는 의미이다.
앞서 나열된 다양한 셀은 각 셀을 제어하는 기지국이 존재하므로 기지국은 두 가지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1) 무선 영역과 관련하여 메가 셀, 매크로 셀, 마이크로 셀, 피코 셀, 펨토 셀, 스몰 셀(small cell)을 제공하는 장치 그 자체이거나, 2) 무선 영역 그 자체를 지시할 수 있다. 1)에서 소정의 무선 영역을 제공하는 장치들이 동일한 개체에 의해 제어되거나 무선 영역을 협업으로 구성하도록 상호 작용하는 모든 장치들을 모두 기지국으로 지시한다. 무선 영역의 구성 방식에 따라 포인트, 송수신 포인트, 송신 포인트, 수신 포인트 등은 기지국의 일 실시예가 된다. 2)에서 사용자 단말의 관점 또는 이웃하는 기지국의 입장에서 신호를 수신하거나 송신하게 되는 무선 영역 그 자체를 기지국으로 지시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셀(Cell)은 송수신 포인트로부터 전송되는 신호의 커버리지 또는 송수신 포인트(transmission point 또는 transmission/reception point)로부터 전송되는 신호의 커버리지를 가지는 요소 반송파(component carrier), 그 송수신 포인트 자체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자 단말과 기지국은, 본 발명에서 기술되는 기술 또는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데 사용되는 두 가지(Uplink 또는 Downlink) 송수신 주체로 포괄적인 의미로 사용되며 특정하게 지칭되는 용어 또는 단어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여기서, 상향링크(Uplink, UL, 또는 업링크)는 사용자 단말에 의해 기지국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식을 의미하며, 하향링크(Downlink, DL, 또는 다운링크)는 기지국에 의해 사용자 단말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식을 의미한다.
상향링크 전송 및 하향링크 전송은 서로 다른 시간을 사용하여 전송되는 TDD(Time Division Duplex) 방식이 사용될 수 있고, 서로 다른 주파수를 사용하여 전송되는 FDD(Frequency Division Duplex) 방식, TDD 방식과 FDD 방식의 혼용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는 하나의 반송파 또는 반송파 쌍을 기준으로 상향링크와 하향링크를 구성하여 규격을 구성한다.
상향링크와 하향링크는,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UCCH(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등과 같은 제어 채널을 통하여 제어 정보를 전송하고, 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등과 같은 데이터 채널로 구성되어 데이터를 전송한다.
하향링크(downlink)는 다중 송수신 포인트에서 단말로의 통신 또는 통신 경로를 의미할 수 있으며, 상향링크(uplink)는 단말에서 다중 송수신 포인트로의 통신 또는 통신 경로를 의미할 수 있다. 이때, 하향링크에서 송신기는 다중 송수신 포인트의 일부분일 수 있고, 수신기는 단말의 일부분일 수 있다. 또한, 상향링크에서 송신기는 단말의 일부분일 수 있고, 수신기는 다중 송수신 포인트의 일부분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PUCCH, PUSCH, PDCCH 및 PDSCH 등과 같은 채널을 통해 신호가 송수신되는 상황을 'PUCCH, PUSCH, PDCCH 및 PDSCH를 전송, 수신한다'는 형태로 표기하기도 한다.
한편, 이하에서 기재하는 상위계층 시그널링(High Layer Signaling)은 RRC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RRC 정보를 전송하는 RRC 시그널링을 포함한다.
기지국은 단말들로 하향링크 전송을 수행한다. 기지국은 유니캐스트 전송(unicast transmission)을 위한 주 물리 채널인 하향링크 데이터 채널의 수신에 필요한 스케줄링 등의 하향링크 제어 정보 및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에서의 전송을 위한 스케줄링 승인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물리 하향링크 제어 채널을 전송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각 채널을 통해 신호가 송수신 되는 것을 해당 채널이 송수신되는 형태로 기재하기로 한다.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적용되는 다중 접속 기법에는 제한이 없다.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NOMA(Non-Orthogonal Multiple Access), OFDM-TDMA, OFDM-FDMA, OFDM-CDMA와 같은 다양한 다중 접속 기법을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NOMA는 SCMA(Sparse Code Multiple Access)와 LDS(Low Density Spreading)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GSM, WCDMA, HSPA를 거쳐 LTE/LTE-Advanced, IMT-2020으로 진화하는 비동기 무선 통신과, CDMA, CDMA-2000 및 UMB로 진화하는 동기식 무선 통신 분야 등의 자원 할당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MTC(Machine Type Communication) 단말은 low cost(또는 low complexity)를 지원하는 단말 또는 coverage enhancement를 지원하는 단말 등을 의미할 수 있다. 또는 본 명세서에서 MTC 단말은 low cost(또는 low complexity) 및/또는 coverage enhancement를 지원하기 위한 특정 카테고리로 정의된 단말을 의미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본 명세서에서 MTC 단말은 LTE 기반의 MTC 관련 동작을 수행하는 새롭게 정의된 3GPP Release-13 low cost(또는 low complexity) UE category/type을 의미할 수 있다. 또는 본 명세서에서 MTC 단말은 기존의 LTE coverage 대비 향상된 coverage를 지원하거나, 혹은 저전력 소모를 지원하는 기존의 3GPP Release-12 이하에서 정의된 UE category/type, 혹은 새롭게 정의된 Release-13 low cost(또는 low complexity) UE category/type을 의미할 수 있다. 또는, Release-14에서 정의된 further Enhanced MTC 단말을 의미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NB-IoT(NarrowBand Internet of Things) 단말은 셀룰러 IoT를 위한 무선 액세스를 지원하는 단말을 의미한다. NB-IoT 기술의 목적은 향상된 인도어(Indoor) 커버리지, 대규모의 저속 단말에 대한 지원, 저지연민감도, 초저가 단말 비용, 낮은 전력 소모, 그리고 최적화된 네트워크 구조를 포함한다.
3GPP에서 최근 논의 중인 NR(New Radio)에서 대표적인 사용 시나리오(usage scenario)로서, eMBB(enhanced Mobile BroadBand), mMTC(massive Machine Type Communication), URLLC(Ultra Reliable and Low Latency Communication)가 제기되고 있다.
본 명세서에서 NR(New Radio)과 관련한 주파수, 프레임, 서브프레임, 자원, 자원블럭, 영역(region), 밴드, 서브밴드, 제어채널, 데이터채널, 동기신호, 각종 참조신호, 각종 신호, 각종 메시지는 과거 또는 현재 사용되는 의미 또는 장래 사용되는 다양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상위 계층 기능 분리 구조(High layer functional split)
차세대 무선 액세스망(이하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NR 또는 5G 또는 NG-RAN으로 표기)은 효율적인 망구축을 지원하기 위해 집중노드(이하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CU로 표기)와 분산노드(이하에서 편의를 위해 DU로 표기)로 분리되어 제공될 수 있다.
CU는 RRC, SDAP 그리고 PDCP 프로토콜을 호스팅하는 논리적인 노드다.(또는 CU는 RRC와 상위 계층 L2 프로토콜(PDCP)을 호스팅하는 논리적인 노드다.) CU는 하나 또는 이상의 DU의 오퍼레이션을 제어한다. CU는 DU와 연결된 F1 인터페이스를 터미네이트 한다.(gNB Central Unit (gNB-CU): a logical node hosting RRC, SDAP and PDCP protocols, and controls the operation of one or more gNB-DUs. The gNB-CU also terminates F1 interface connected with the gNB-DU.)
DU는 RLC, MAC 그리고 PHY 계층을 호스팅하는 논리적인 노드다. DU의 오퍼레이션은 CU에 의해 부분적으로 제어된다. 하나의 DU는 하나 또는 복수의 셀들을 지원한다. 하나의 셀은 단 하나의 DU에 의해 지원된다. DU는 CU와 연결된 F1 인터페이스를 터미네이트 한다(gNB Distributed Unit (gNB-DU): a logical node hosting RLC, MAC and PHY layers, and its operation is partly controlled by gNB-CU. One gNB-DU supports one or multiple cells. One cell is supported by only one gNB-DU. The gNB-DU terminates F1 interface connected with the gNB-CU.)
도 1은 NG-RAN 구조의 일 예를 나타낸다.
NG-RAN은 NG 인터페이스를 통해 5GC에 연결되는 한 셋의 기지국(gNB)로 구성된다.(The NG-RAN consists of a set of gNBs connected to the 5GC through the NG.)
기지국들은 Xn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호연결될 수 있다.(gNBs can be interconnected through the Xn.)
기지국은 하나의 CU그리고 DU들로 구성될 수 있다.(A gNB may consist of a gNB-CU and gNB-DUs).
CU와 DU는 F1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된다.(A gNB-CU and a gNB-DU is connected via F1 logical interface.)
하나의 DU는 단 하나의 CU에만 연결된다.(One gNB-DU is connected to only one gNB-CU).
CU와 DU로 구성되는 하나의 기지국에 대한 NG 인터페이스 그리고 Xn-C 인터페이스는 CU에서터미네이트 된다.(For NG-RAN, the NG and Xn-C interfaces for a gNB consisting of a gNB-CU and gNB-DUs, terminate in the gNB-CU.)
EN-DC에 대해 CU와 DU로 구성되는 하나의 기지국에 대한 S1-U 인터페이스 그리고 X2-C 인터페이스는 CU에서 터미네이트 된다.(For EN-DC, the S1-U and X2-C interfaces for a gNB consisting of a gNB-CU and gNB-DUs, terminate in the gNB-CU. )
CU와 연결된 DU는 다른 기지국들과 5GC에게 하나의 기지국으로만 보인다(The gNB-CU and connected gNB-DUs are only visible to other gNBs and the 5GC as a gNB).
전술한 바와 같이 하나의 DU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셀들을 지원한다.
단말이 하나 이상의 셀을 가진 하나의 DU에 의해 제공되는 복수의 셀에 중첩되는 커버리지에 있을 때, CU는 하나 이상의 셀을 가진 하나의 DU에 의해 제공되는 셀/셀그룹을 통해 단말에 캐리어 병합(CA)을 구성하고자 할 수 있다.
일 예로 하나의 CU가 하나 이상의 셀을 가진 하나의 DU를 통해 제공되는 하나 이상의 셀을 통해 단말에 캐리어 병합(CA)를 제공/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특정 PDU 세션/플로우/플로우 그룹/트래픽 유형/무선베어러에 대해 단말은 하나의 DU를 통해 제공되는 하나 이상의 셀(설명의 편의를 위해 단말에 대해 하나의 DU를 통해 제공되는 셀/셀그룹, 하나의 DU를 통해 사용되는 셀/셀그룹, 하나의 DU에 연계된 셀/셀그룹을 DU를 통해 제공되는 셀로 표기한다.)을 통해 데이터를 송신/수신 할 수 있다. DU는 특정 PDU 세션/플로우/플로우 그룹/트래픽 유형에 매핑되는 특정 무선베어러(예를들어 DRB)를 처리하기 위한 하나의 RLC 엔티티와 하나의 MAC 엔티티를 포함하기 때문에 종래 기술의 CA를 그대로 이용하여 복수의 캐리어를 통한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다.
반면 단말이 하나 이상의 DU를 통해 제공되는 셀에 중첩되는 커버리지에 있을 때, CU는 종래의CA 기술을 그대로 이용해서는 하나 이상의 셀을 가진 복수의 DU에 의해 제공되는 셀/셀그룹을 통한 CA를 구성 할 수 없었다. 각각의 DU는 특정 무선베어러를 처리하기 위한 각각의 RLC 엔티티와 MAC 엔티티를 가지기 때문에 단말에 하나의 노드/기지국에 의해 캐리어를 병합해 제공하는 CA를 적용할 수 없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 CA기술은 상위 계층 기능 분리(CU와 DU로 분리된)를 통해 구축되는 무선 액세스망에서 하나 이상의 DU를 통해 제공되는 셀들을 병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은 상위 계층 기능 분리(CU와 DU로 분리된)를 통해 구축되는 무선 액세스망에서 단말에 하나 이상의 DU를 통해 제공되는 셀들을 병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단말에 서로 다른 DU를 통해 제공되는 무선자원을 구성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는 프로시져 관점, 유저플레인 프로토콜 관점 그리고 RRC 구성 상의 관점에서 구성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하에서 NR을 기준으로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한다. 하지만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 LTE 또는 또 다른 임의의 무선 액세스 망에 대해서도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으며 이는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된다.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일부 정보 요소는 RRC 규격인 TS 36.331에서 명시된 정보요소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 상에 해당 정보 요소에 대한 세부 정의와 관련된 규격 내용이 포함되지 않더라도 해당 정의와 관련된 규격 내용이 본 발명에 포함되어 사용되거나 청구항으로 기재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 각각의 DU와 CU 간 인터페이스는 특정 수준 이하의 지연 성능을 제공하는 이상적(ideal) 백홀을 통해 연결되는 것을 가정한다. 하지만 각각의 DU와 CU 간 인터페이스가 특정 수준 이상의 지연 성능을 제공하는 비이상적(non-ideal) 백홀을 통해 연결되는 경우도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하에서 하나의 CU가 두 개의 DU를 통해 단말에 캐리어 병합을 제공하는 경우를 가정해 설명한다.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 하나의 CU가 두 개 이상의 DU를 통해 단말에 캐리어 병합을 제공하는 것도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된다.
이에 더해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하에서 하나의 DU가 두 개의 셀을 제공하는 경우를 가정해 설명한다.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 하나의 DU가 두 개 이상의 셀을 제공하는 것도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하에서 하나의 CU가 두 개의 DU를 통해 단말에 캐리어 병합을 제공하는 것을 두 개의 DU를 통한 CA 또는 inter-DU CA로 표기한다. 하지만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 임의의 다른 기능 명칭(inter DU CA, Single connectivity CA, Dual connectivity CA, Dual DU CA, Dual DU connectivity, intra CU dual connectivity, inter DU dual connectivity 등)으로 대체될 수 있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각각의 방법은 개별적으로 또는 결합하여 제공될 수 있다.
먼저, 이하에서는 도2를 기반으로 Inter DU carrier aggregation를 위한 DU 추가 프로시져에 대해 설명한다.
일 예를 들어 CU는 단말이 RRC 연결을 설정(establish/setup)한 DU를 통해 제공되는 하나 또는 이상의 셀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RRC 연결을 설정한 DU를 제 1 DU(DU1)로 표기한다.
0) 단말은 DU1과 CU를 통해 RRC 연결을 설정한다. CU는 DU1을 통해 단말에 측정 구성을 지시하고 단말은 RRC 측정리포트를 CU로 보낸다. CU는 특정한 무선 플로우에 대한 또는 특정 PDU 세션에 대한 또는 코어망베어러(또는 E-RAB, 또는 특정 무선 플로우 그룹)에 대한 DU2(또는 DU2에 연계된 셀 또는 DU2를 통해 제공되는 하나 또는 이상의 셀)를 통한 무선자원 할당(무선자원할당 요청/오프로딩)을 결정한다.
1) 일 예로 CU(또는 CU-CP)는 단말 컨택스트를 생성한다. CU는 DU2로 F1AP 컨택스트 셋업 요청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해당 F1AP 컨택스트 셋업 요청메시지는 특정한 무선 플로우에 대한 또는 특정 PDU 세션에 대한 또는 특정 무선베어러(또는 E-RAB/코어망베어러, 또는 특정 무선 플로우 그룹)에 대한 단말 컨택스트와 CU UL TEID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 컨택스트는 UE aggregated maximum bit rate, DU2에서 처리할 UE Aggregate maximum bit rate, 설정할 무선베어러 정보 또는 QoS 플로우 특성정보(flow ID, 플로우 레벨 QoS 파라메터, PDU 세션 레벨 정보, 무선베어러 ID, 무선베어러 레벨 QoS 파라메터, RRC 컨택스트 중 하나 이상의 정보), QoS flows와 DRB간 매핑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RRC 컨택스트는 특정한 무선 플로우에 대한 또는 특정 PDU 세션에 대한 또는 특정 무선베어러(또는 E-RAB/코어망베어러, 또는 특정 무선 플로우 그룹)에 대한 RRC 구성 정보(예를 들어 RLC 구성정보, MAC 구성정보, 논리채널구성정보, 셀구성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RRC 구성정보는 단말의 구성정보 또는 DU2가 해당 단말에 대해 단말과 데이터 통신을 구성하기 위한 DU2 엔티티(RLC, MAC, 논리채널, 셀)의 구성정보를 지시하기 위한 정보를 나타낼 수 있다.
일 예로 전술한 논리채널 구성정보는 특정 무선베어러와 논리채널식별자(logical channel ID)간의 매핑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전술한 셀구성정보는 특정 무선베어러와 셀구성정보와의 매핑정보 또는 특정 논리채널식별자와 셀구성정보와의 매핑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특정한 무선 플로우에 대한 또는 특정 PDU 세션에 대한 또는 특정 무선베어러(또는 E-RAB/코어망베어러, 또는 특정 무선 플로우 그룹)에 대한 무선베어러 식별정보는 CU가 결정한다. 전술한 특정한 무선 플로우에 대한 또는 특정 PDU 세션에 대한 또는 특정 무선베어러(또는 E-RAB/코어망베어러, 또는 특정 무선 플로우 그룹)에 대한 DU2의 MAC에서 사용할 논리채널 식별정보는 CU가 결정한다.
전술한 특정한 무선 플로우에 대한 또는 특정 PDU 세션에 대한 또는 특정 무선베어러(또는 E-RAB/코어망베어러, 또는 특정 무선 플로우 그룹)에 대한 무선베어러 식별정보와 해당 무선베어러 식별정보에 매핑되는 DU2의 MAC에서 사용할 논리채널 식별정보는 CU가 결정한다.
다른 예로 CU가 보내는 메시지는 DU2가 단말에 구성할 셀을 선택하고 구성하기 위한 최근 측정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텝 2에서 DU2는 단말에 구성할 셀 또는 단말에 구성할 스페셜 셀(예를 들어 PUCCH 구성 셀, 항상 활성화할 셀) 또는 단말에 비활성화된 상태로 구성할 세컨더리 셀 정보를 포함해서 이를 CU로 전송하고 스텝 3에서 CU는 이 정보를 DU1을 통해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예로 CU가 보내는 메시지는 CU가 선택한 DU2 상의 활성화된 셀을 통해 DU2(또는DU2의 MAC 엔티티)가 초기에 또 다른 셀을 활성화하기 위한 도움정보로 최근 측정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DU2는 CU로부터 데이터 수신 및/또는 CU로부터 특정 셀을 구성/활성화하도록 하는 지시정보를 수신하면 해당 셀을 구성/활성화 할 수 있다.
다른 예로 CU(또는 CU-CP)는 DU2로 제2 DU 추가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제2 DU 추가 요청 메시지는 전술한 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CU가 F1AP 메시지를 통해 전송하는 무선 품질 정보(또는 측정결과 정보 또는 세컨더리 셀/셀/셀그룹의 활성화/비활성화 결정을 위한 도움정보)는 단말식별정보, 측정결과서브주파수(measResultsServFreq), 세컨더리 셀의 서브셀인덱스, 셀 식별정보(Cell ID), 물리셀식별정보, 서브 주파수 ID, SCell 측정결과정보(rsrpResultSCell, rsrqResultSCell, measResultBestNeighCell), cgi-info(cellGlobalId, trackingAreaCode, plmn-Ientitylist, 주파수밴드지시정보, 랜기반 페이징 영역/코드 정보), RSRP 결과, RSRQ 결과, RSRP-range, RSSI, CSI-RS 측정결과, NR SS 측정결과, NR CSI-RS 측정결과, 측정 이벤트(예를 들어, A1, A2, A3, A4, A5, A6 측정 이벤트) 만족여부, 또는 세컨더리 셀/셀/셀그룹의 활성화/비활성화 결정을 위한 임계값, 셀별 임계값 만족여부, 셀별 셀품질 우선순위 정보(예를 들어 활성화할 셀의 셀별 우선순위 정보, 셀별 셀품질 상태 정보(예를 들어 상/중/하, 활성화 가능/양호/우수를 표시하기 위한 정보), 셀별 측정결과 코드화/abstraction한 정보, 셀별 품질/측정결과 범위(range/scale/code), 활성화 가능 세컨더리 셀 셋/리스트, 최선측정결과SCell/Cell/주파수 정보(best 측정결과 셀정보 또는 특정 수 이상의 best 측정결과 셀정보), best 측정결과 셀의 측정결과(rsrpResult, rsrqResult, rs-sinr-Result, best beam ID,) 또는 특정 수 이상의 best 측정결과(rsrpResult, rsrqResult, rs-sinr-Result, 특정 수 이상의 best beam ID/best beam 측정결과, NR SS 측정결과, NR CSI-RS 측정결과), 이웃셀/다른 DU의 세컨더리 셀에 대해 전술한 무선품질 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 식별정보는 C-RNTI, CU UE F1AP ID, DU UE F1AP ID 중 하나 이상의 정보가 될 수 있다. CU UE F1AP ID 는 CU 그리고 연계된 DU 내에서 F1 인터페이스 상에 단말 연계를 유일하게 식별할 수 있는 ID를 나타낸다. DU UE F1AP ID 는 DU 내에서 F1 인터페이스 상에 단말 연계를 유일하게 식별할 수 있는 ID를 나타낸다. 셀식별정보는 서브셀인덱스, SCellIndex, Cell ID 중 하나의 정보가 될 수 있다. 활성화/비활성화 지시정보는 해당 셀이 활성화 되면 1로, 비활성화되면 0으로 세팅할 수 있다.
DU는 CU가 제공한 무선품질 정보 중의 하나 이상의 정보를 이용하여 또는 CU가 제공한 활성화 도움정보 또는 CU가 제공한 활성화 세컨더리 셀 우선순위/셋/리스트에 따라 비활성화된 세컨더리 셀의 활성화를 결정하여 단말로 MAC CE를 통해 활성화/비활성화 지시를 전송할 수 있다.
2) DU2는 수락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DU2는 하위 계층(PHY/MAC/RLC 중 하나 이상의 계층)을 구성할 수 있다. DU2는 수신한 단말 컨택스트를 저장할 수 있다. DU2는 자체(local) 단말 컨택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DU2는 CU를 통해 수신한 RRC 컨택스트를 통해 DU2 하위 계층 개체를 구성할 수 있다. 또는 DU2는 CU를 통해 수신한 RRC 컨택스트/단말 컨택스트를 저장할 수 있다.
일 예로 DU2는 CU로 하위 계층 구성(또는 해당 계층에서 생성하는 일부 정보 요소) 그리고 특정한 무선 플로우에 대한 또는 특정 PDU 세션에 대한 또는 특정 무선베어러(또는 E-RAB/코어망베어러, 또는 특정 무선 플로우 그룹)에 대한 DU DL TEID를 포함하는 F1AP 컨택스트 셋업 응답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예로 DU2가 CU로 보내는 메시지는 DU2 셀에 랜덤액세스를 위한 구성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를 들어 전용 RACH 프리앰블, RACH 자원/프리앰블과 SS 블락간의 연계정보, RACH 자원/프리앰블과 CSI-RS간의 연계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DU2는 CU로 제2 DU 추가 요청 확인/응답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제2 DU 추가 요청 확인/응답 메시지는 전술한 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만약 DU2에서 수락제어가 필요하지 않을 수 있다. 또는 DU2에서 수락제어가 필요하더라도 CU-DU간 딜레이가 작기 때문에 미리 스텝1과 스텝2 동작을 스텝 3에 선행해서 할 필요가 없을 수 있다.
CU는 스텝1과 스텝3의 메시지 전송을 동시에 개시할 수 있다. 또는 스텝3 메시지를 먼저 개시하고 스텝 1 메시지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3) CU는 DU1을 통해 단말에 RRC 연결 재구성 메시지를 보낸다.
일 예로 CU가 DU1으로 전송하는 F1AP 메시지는 CU가 생성한 RRC 연결 재구성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RRC 연결 재구성 메시지는 DU2로부터 수신한 메시지에 포함된 DU2 셀에 랜덤액세스를 위한 구성정보를 RRC연결 재구성 메시지에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CU는 자체적으로 관리하는 DU2 셀에 랜덤액세스를 위한 구성정보를 RRC연결 재구성 메시지에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를 들어 랜덤액세스를 위한 구성정보는 전용 RACH 프리앰블, RACH 자원/프리앰블과 SS 블락간의 연계정보, RACH 자원/프리앰블과 CSI-RS간의 연계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CU가 생성한 RRC 연결 재구성 메시지는 DU2를 통해 제공되는 RRC 구성정보를 결정해 이를 DU1을 통해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CU는 DU2의 무선자원에 대한 구성정보를 스스로 결정해 생성할 수 있다. 이에 포함되는 정보는 특정한 무선 플로우에 대해 또는 특정 PDU 세션에 대해 또는 특정 무선베어러(또는 E-RAB/코어망베어러, 또는 특정 무선 플로우 그룹)에 대해 DU2를 통해 전송되는 RLC 구성정보, MAC 구성정보(만약 단일 MAC으로 단말에 구성되는 경우 이는 필요하지 않을 수 있다.), 논리채널구성정보, 셀구성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CU는 DU1의 무선자원에 대한 구성정보를 스스로 결정해 생성할 수 있다. 이에 포함되는 정보는 특정한 무선 플로우에 대해 또는 특정 PDU 세션에 대해 또는 특정 무선베어러(또는 E-RAB/코어망베어러, 또는 특정 무선 플로우 그룹)에 대해 DU1를 통해 전송되는 RLC 구성정보, MAC 구성정보, 논리채널구성정보, 셀구성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CU는 특정한 무선 플로우에 대해 또는 특정 PDU 세션에 대해 또는 특정 무선베어러(또는 E-RAB/코어망베어러, 또는 특정 무선 플로우 그룹)에 대해 DU1과 DU2의 무선자원을 동시에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무선 베어러에 대한 무선베어러 식별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CU는 해당 무선베어러에 연계된 각각의 DU를 통해 제공되는 각각의 논리채널 식별정보(logical channel id), 논리채널 구성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예로 (CU가 DU1을 통해 단말로 전송하는) RRC 연결 재구성 메시지에 포함되는 DU2를 통해 전송되는 RLC 구성정보, MAC 구성정보(만약 단일 MAC으로 단말에 구성되는 경우 이는 필요하지 않을 수 있다.), 논리채널구성정보, 셀구성정보 또는 전술한 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는 하나의 컨테이너를 통해 전송될 수 있다. 해당 컨테이너는 종래 DC를 통해 정의된 scg-configuration과 구분되는 컨테이너일 수 있다. CU(예를 들어 CU1)는 해당 CU와 구분되는 다른 CU(예를 들어 CU2)와 각각의 CU가 연결된 하나의 DU를 통해 연결될 때, CU1에 연결된 DU 무선자원과 CU2에 연결된 DU무선자원을 동시에 이용하는 듀얼커넥티비티를 구성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하나의 CU를 통해 연결된 두 개의 구성 DU를 통한 병합을 제공하는 컨테이너와 scg-configuration는 구분되는 정보/컨테이너로 단말에 지시되어야 한다.
다른 예로 (CU가 DU1을 통해 단말로 전송하는) RRC 연결 재구성 메시지에 포함되는 DU2를 통해 전송되는 RLC 구성정보, MAC 구성정보(만약 단일 MAC으로 단말에 구성되는 경우 이는 필요하지 않을 수 있다.), 논리채널구성정보, 셀구성정보 또는 전술한 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는 DU1를 통해 전송되는 RLC 구성정보, MAC 구성정보, 논리채널구성정보, 셀구성정보 또는 전술한 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와 동일한 컨테이너를 통해 전송될 수 있다. 해당 컨테이너는 종래 DC를 통해 정의된 scg-configuration과 구분되는 컨테이너일 수 있다. 해당 컨테이너는 CU(또는 기지국 또는 MCG) 무선자원 구성정보/무선베어러 구성정보/셀 구성정보/셀그룹구성정보를 포함하는 컨테이너 내에 포함될 수 있다. 해당 컨테이너는 CU(또는 기지국 또는 MCG) DU1을 통한 무선자원 구성정보/무선베어러 구성정보/셀 구성정보/셀그룹구성정보를 포함하는 컨테이너 내에 포함될 수 있다.
4) 단말은 새로운 구성을 적용한다 그리고 RRC 연결 재구성 완료 메시지를 DU1을 통해 CU로 전송한다.
5) 단말은 랜덤엑세스 프리앰블을 DU2로 보내고 DU2는 단말에 랜덤액세스 응답을 전송할 수 있다.
다음으로 하나의 CU가 단말에 두 개의 셀을 각각 제공하는 두 개의 DU를 통해 캐리어 병합을 제공할 때, 기지국의 프로토콜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두 개의 독립적인 스케줄러를 가지는 하나의 기지국(또는 노드)으로 모델링
하나의 CU가 단말에 두 개의 셀을 각각 제공하는 두 개의 DU를 통해 캐리어 병합을 제공하는 구조는 일 예로 도3와 같이 두 개의 독립적인 스케줄러를 가지는 하나의 기지국(또는 노드)으로 모델링 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하나의 기지국(또는 노드)는 특정 PDU 세션/플로우/플로우 그룹/트래픽 유형/무선베어러에 대해 두 개의 RLC 엔티티와 두 개의 MAC 엔티티(또는 두 개의 논리채널)을 가지도록 모델링 될 수 있다.
각각의 MAC 엔티티는 해당 MAC 엔티티에 연계된 셀/셀그룹을 통한 무선자원을 할당/제어/지시하고 이를 통해 단말과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일 예로 여기서 DU는 물리적으로/논리적으로는 두 개의 MAC 엔티티를 가지지만 실제로는 하나의 CU를 통해 또는 두 개의 DU MAC 간에 밀결합/coordination에 따라 하나의 스케줄러처럼 협력하여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 MAC 엔티티에서 각각의 DU를 통해 전송할 데이터를 구분하기 위해 특정 PDU 세션/플로우/플로우 그룹/트래픽 유형/무선베어러에 대해 각각의 DU를 통해 처리할 두 개의 논리채널을 구성할 수 있다.
일 예를 들어 두 개의 DU는 각각의 독립적으로 동작하는 MAC 엔티티를 가질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두 개의 DU는 각각의 MAC 엔티티를 가질 수 있다. 하지만 각각의 DU와 CU는 동일한 장소에 위치하거나(co-sited) 또는 이상적인 백홀을 통해서 연결되어 두 개의 MAC 엔티티간의 연결/연계/고정세선연결/인터페이스 연결을 통해 하나의 스케줄러에서 스케줄링을 하는 것처럼 협력을 통해 스케줄링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이는 각각의 DU가 CU를 통해 또는 CU로부터 coordination을 통해 또는 DU간 인터페이스 또는 DU 간 coordination을 통해 제공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일 예로 실제 두 개의 MAC 엔티티 또는 두 개의 논리채널이 각각의 DU에 구성되더라도, 각각의 MAC 엔티티 또는 각각의 논리채널은 각각의 DU에 연계된 셀 및/또는 inter-DU CA를 통해 병합된 다른 DU에 연계된 셀의 무선 자원을 스케줄링하도록 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실제 두 개의 MAC 엔티티가 각각의 DU에 구성되더라도, 각각의 MAC 엔티티는 제 1 DU에 연계된 셀 및/또는 제 2 DU에 연계된 셀의 무선 자원에 대한 크로스 캐리어 스케줄링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한 일 예로 CU는 (RRC 메시지를 통해) 두 개의 DU에 연계된 셀/셀그룹에 대한 크로스 캐리어 스케줄링을 구성할 수 있다. 일 예로 제 1 DU(또는 제1 DU의 MAC 엔티티 또는 논리채널)에 연계된 셀을 스케줄링 셀로 구성하고 해당 셀을 통해 제2 DU(또는 제2 DU의 MAC 엔티티 또는 논리채널)에 연계된 셀/셀그룹에 대한 스케줄링을 지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CU는 DU2에 DU2 추가를 위한 요청 메시지를 송신할 때 해당 메시지 내에 제2 DU(또는 제2 DU의 MAC 엔티티)에 연계된 셀/셀그룹에 대한 스케줄링을 구성할 수 있는 제 1 DU 후보 셀/셀리스트/셀그룹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DU2가 CU로 전송하는 메시지 또는 CU가 DU1으로 전송하는 메시지는 제2 DU(또는 제2 DU의 MAC 엔티티)에 연계된 셀/셀그룹에 대한 또는 제2 DU(또는 제2 DU의 MAC 엔티티)에 연계된 셀별로 해당 셀에 대한 스케줄링을 구성할 수 있는 제 1 DU 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셀 정보는 전술한 셀의 식별정보는 물리셀식별자, 글로벌 셀식별자, 셀인덱스, SCellindex, Servcellindex, 셀지시필드(정수값으로 구성), carrier indicator field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사용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 2 DU(또는 제2 DU의 MAC 엔티티)에 연계된 셀을 스케줄링 셀로 구성하고 해당 셀을 통해 제1 DU(또는 제1 DU의 MAC 엔티티)에 연계된 셀/셀그룹에 대한 스케줄링을 지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CU는 DU2에 DU2 추가를 위한 요청 메시지를 송신할 때 해당 메시지 내에 크로스캐리어 스케줄링 구성을 요청하기 위한 제1 DU(또는 제1 DU의 MAC 엔티티)에 연계된 후보 셀/셀리스트/셀그룹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DU2가 CU로 전송하는 메시지 또는 CU가 DU1으로 전송하는 메시지는 해당하는 제1 DU(또는 제1 DU의 MAC 엔티티)에 연계된 셀/셀그룹에 대한 또는 해당하는 제1 DU(또는 제1 DU의 MAC 엔티티)에 연계된 셀별로 해당 셀에 대한 스케줄링을 구성할 수 있는 제 2 DU 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셀 정보는 전술한 셀의 식별정보는 물리셀식별자, 글로벌 셀식별자, 셀인덱스, SCellindex, Servcellindex, 셀지시필드(정수값으로 구성), carrier indicator field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사용할 수 있다.
다른 예로 CU는 (RRC 메시지를 통해) 서로 다른 DU에 연계된 셀/셀그룹에 대한 CQI/PMI/RI/PTI/CRI 를 특정 DU에 연계된 셀을 통해 리포트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일 예를 들어 제 2 DU(또는 제2 DU의 MAC 엔티티)에 연계된 셀의 CQI/PMI/RI/PTI/CRI 리포팅 또는 PUCCH 구성 또는 물리계층 품질정보 리포팅을 제 1 DU의 특정 셀을 통해 (리포팅하도록/구성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 1 DU(또는 제1 DU의 MAC 엔티티 또는 제 1 DU의 논리채널)에 연계된 셀의 CQI/PMI/RI/PTI/CRI 리포팅 또는 PUCCH 구성 또는 물리계층 품질정보 리포팅을 제 2 DU의 특정 셀을 통해 구성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종래의 듀얼 커넥티비티와 동일하게 독립적인 스케줄러로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
하나의 스케줄러를 가지는 하나의 기지국(또는 노드)으로 모델링
하나의 CU가 단말에 두 개의 셀을 각각 제공하는 두 개의 DU를 통해 캐리어 병합을 제공하는 구조는 일 예로 도4과 같이 하나의 스케줄러를 가지는 하나의 기지국(또는 노드)으로 모델링 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하나의 기지국(또는 노드)는 특정 PDU 세션/플로우/플로우 그룹/트래픽 유형/무선베어러에 대해 두 개의 RLC 엔티티와 하나의 MAC 엔티티를 가지는 것으로 모델링 될 수 있다.
일 예로 여기서 DU는 물리적으로/논리적으로는 두 개의 MAC 엔티티를 가지지만 실제로는 하나의 CU를 통해 또는 두 개의 DU MAC 간에 밀결합/coordination에 따라 하나의 스케줄러처럼 협력하여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 MAC 엔티티에서 각각의 DU를 통해 전송할 데이터를 구분하기 위해 특정 PDU 세션/플로우/플로우 그룹/트래픽 유형/무선베어러에 대해 각각의 DU를 통해 처리할 두 개의 논리채널을 구성할 수 있다.
일 예를 들어 두 개의 DU는 각각의 MAC 엔티티를 가질 수 있다. 하지만 각각의 DU와 CU는 동일한 장소에 위치하거나(co-sited) 또는 이상적인 백홀을 통해서 연결되어 두 개의 MAC 엔티티간의 연결/연계/고정세선연결/인터페이스 연결을 통해 하나의 스케줄러에서 스케줄링을 하는 것처럼 협력을 통해 스케줄링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이는 각각의 DU가 CU를 통해 또는 CU로부터 coordination을 통해 또는 DU간 인터페이스 또는 DU 간 coordination을 통해 제공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일 예로 실제 두 개의 MAC 엔티티 또는 두 개의 논리채널이 각각의 DU에 구성되더라도, 각각의 MAC 엔티티 또는 각각의 논리채널은 각각의 DU에 연계된 셀 및/또는 inter-DU CA를 통해 병합된 다른 DU에 연계된 셀의 무선 자원을 스케줄링하도록 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실제 두 개의 MAC 엔티티가 각각의 DU에 구성되더라도, 각각의 MAC 엔티티는 제 1 DU에 연계된 셀 및/또는 제 2 DU에 연계된 셀의 무선 자원에 대한 크로스 캐리어 스케줄링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한 일 예로 CU는 (RRC 메시지를 통해) 두 개의 DU에 연계된 셀/셀그룹에 대한 크로스 캐리어 스케줄링을 구성할 수 있다. 일 예로 제 1 DU(또는 제1 DU의 MAC 엔티티 또는 논리채널)에 연계된 셀을 스케줄링 셀로 구성하고 해당 셀을 통해 제2 DU(또는 제2 DU의 MAC 엔티티 또는 논리채널)에 연계된 셀/셀그룹에 대한 스케줄링을 지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CU는 DU2에 DU2 추가를 위한 요청 메시지를 송신할 때 해당 메시지 내에 제2 DU(또는 제2 DU의 MAC 엔티티)에 연계된 셀/셀그룹에 대한 스케줄링을 구성할 수 있는 제 1 DU 후보 셀/셀리스트/셀그룹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DU2가 CU로 전송하는 메시지 또는 CU가 DU1으로 전송하는 메시지는 제2 DU(또는 제2 DU의 MAC 엔티티)에 연계된 셀/셀그룹에 대한 또는 제2 DU(또는 제2 DU의 MAC 엔티티)에 연계된 셀별로 해당 셀에 대한 스케줄링을 구성할 수 있는 제 1 DU 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셀 정보는 전술한 셀의 식별정보는 물리셀식별자, 글로벌 셀식별자, 셀인덱스, SCellindex, Servcellindex, 셀지시필드(정수값으로 구성), carrier indicator field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사용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 2 DU(또는 제2 DU의 MAC 엔티티)에 연계된 셀을 스케줄링 셀로 구성하고 해당 셀을 통해 제1 DU(또는 제1 DU의 MAC 엔티티)에 연계된 셀/셀그룹에 대한 스케줄링을 지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CU는 DU2에 DU2 추가를 위한 요청 메시지를 송신할 때 해당 메시지 내에 크로스캐리어 스케줄링 구성을 요청하기 위한 제1 DU(또는 제1 DU의 MAC 엔티티)에 연계된 후보 셀/셀리스트/셀그룹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DU2가 CU로 전송하는 메시지 또는 CU가 DU1으로 전송하는 메시지는 해당하는 제1 DU(또는 제1 DU의 MAC 엔티티)에 연계된 셀/셀그룹에 대한 또는 해당하는 제1 DU(또는 제1 DU의 MAC 엔티티)에 연계된 셀별로 해당 셀에 대한 스케줄링을 구성할 수 있는 제 2 DU 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셀 정보는 전술한 셀의 식별정보는 물리셀식별자, 글로벌 셀식별자, 셀인덱스, SCellindex, Servcellindex, 셀지시필드(정수값으로 구성), carrier indicator field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사용할 수 있다.
다른 예로 CU는 (RRC 메시지를 통해) 서로 다른 DU에 연계된 셀/셀그룹에 대한 CQI/PMI/RI/PTI/CRI 를 특정 DU에 연계된 셀을 통해 리포트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일 예를 들어 제 2 DU(또는 제2 DU의 MAC 엔티티)에 연계된 셀의 CQI/PMI/RI/PTI/CRI 리포팅 또는 PUCCH 구성 또는 물리계층 품질정보 리포팅을 제 1 DU의 특정 셀을 통해 (리포팅하도록/구성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 1 DU(또는 제1 DU의 MAC 엔티티 또는 제 1 DU의 논리채널)에 연계된 셀의 CQI/PMI/RI/PTI/CRI 리포팅 또는 PUCCH 구성 또는 물리계층 품질정보 리포팅을 제 2 DU의 특정 셀을 통해 구성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실제 두 개의 MAC 엔티티가 각각의 DU에 구성되더라도, 마치 하나의 MAC 엔티티처럼 각각의 MAC 엔티티는 해당 MAC 엔티티 또는 논리채널을 포함하는 각각의 DU에 연계된 셀 및/또는 inter-DU CA를 통해 병합된 다른 DU에 연계된 셀의 무선 자원을 스케줄링해 단말로 이를 지시하도록 할 수 있다.
각각의 MAC 엔티티 또는 임의의 MAC 엔티티가 각각의 DU를 통해 전송할 논리채널에 대해서는 해당하는 DU를 통해 제공되는 셀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도록 스케줄링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단말에서 논리채널 우선순위 프로시져(Logical channel prioritization)를 수행할 때, 단말은 DU를 구분할 수 있는 정보를 통해 DU별로 LCP를 구분해 수행할 수 있다. 일 예로 기지국은 단말이 특정 DU를 통해 제공되는 논리채널들에 대해 논리채널 우선순위 프로시져를 수행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정보를 RRC 시그널링을 통해 단말로 지시할 수 있다.
두 개의 스케줄러를 가지는 두 개의 기지국(또는 노드)으로 모델링
하나의 CU가 단말에 두 개의 셀을 각각 제공하는 두 개의 DU를 통해 캐리어 병합을 제공하는 구조는 일 예로 도5와 같이 두 개의 독립적인 스케줄러를 가지는 두 개의 기지국(또는 노드)으로 모델링 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두 개의 기지국(또는 노드)는 특정 PDU 세션/플로우/플로우 그룹/트래픽 유형/무선베어러에 대해 두 개의 RLC 엔티티와 두 개 MAC 엔티티(또는 각각의 MAC 엔티티에 각각 하나의 논리채널)를 가지는 것으로 모델링 될 수 있다. 이전 모델링 구조에서 설명한 전술한 기능들은 이 모델링 구조에서 사용될 수 있다.
기타 가능한 모델링 방법
하나의 CU가 단말에 두 개의 셀을 각각 제공하는 두 개의 DU를 통해 캐리어 병합을 제공하는 구조는 일 예로 도6와 같은 구조를 사용할 수 있다. 이전 모델링 구조에서 설명한 전술한 기능들은 이 모델링 구조에서 사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하나의 CU가 단말에 두 개의 셀을 각각 제공하는 두 개의 DU를 통해 캐리어 병합을 제공할 때, 단말의 프로토콜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두 개의 MAC 엔티티와 두 개의 RLC 엔티티를 통해 데이터 송수신
단말에 두 개의 DU를 통해 제공되는 CA가 구성되어 두 개의 DU를 통해 제공되는 각각의 무선 자원을 동시에 사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한 일 예로 도 7과 같이 단말은 특정 PDU 세션/플로우/플로우 그룹/트래픽 유형/무선베어러에 대해 두 개의 RLC 엔티티와 두 개의 MAC 엔티티(또는 두개의 논리채널)를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단말은 사용자 데이터를 두 개의 DU를 통해 전송하기 위해, 사용자 데이터를 두 개의 DU로 구분/분리해 송수신 할 수 있다. 이를 위한 일 예로 기지국은 단말에 두 개의 MAC 엔티티를 구성할 수 있다.
단말에 구성된 첫 번째 MAC 엔티티는 단말이 기지국과 RRC 연결 설정을 수행할 때 구성된 DU(제 1 DU)의 MAC 엔티티를 나타낸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하에서 단말이 기지국과 RRC 연결 설정을 수행할 때 구성되는 첫 번째 MAC 엔티티를 제 1 MAC 엔티티로 표기한다. 제 1 MAC 엔티티는 PCell(또는 DU1에 연계된 셀/셀그룹)을 포함하는 MAC 엔티티이다. 일 예로 제 1 MAC 엔티티는 제 1DU에 포함된 스케줄러(또는 MAC 엔티티)를 통해 무선자원을 할당/지시받는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하에서 단말이 기지국(DU와 CU를 통해 구성되는 기지국)과 RRC 연결 설정을 수행할 때 이를 처리하는 (첫번째) DU를 제1 DU로 표기한다. 그리고 제 1 DU에 추가해서 해당 단말에 추가적인 무선 자원을 구성/할당/지시하기 위한 DU를 제 2 DU로 표기한다.
두 번째 MAC 엔티티는 제 1 MAC 엔티티에 추가해서 제 2 DU를 통해 제공되는 하나 또는 이상의 셀/셀그룹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MAC 계층 동작을 제공하기 위한 MAC엔티티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하에서 이를 제 2 MAC으로 표시한다.
일 예를 들어 단말의 제 1 MAC 엔티티와 제1 DU 간에는 하나 또는 이상의 셀이 구성될 수 있다. 단말의 제 2 MAC 엔티티와 제2 DU 간에는 하나 또는 이상의 셀이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제 1 MAC 엔티티는 제 1 DU에 포함된 스케줄러(제1 MAC 엔티티)를 통해 무선자원을 할당/지시 받아 해당 MAC 엔티티에 연계된 셀/셀그룹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 2 MAC 엔티티는 제 2 DU에 포함된 스케줄러(제2 MAC 엔티티)를 통해 무선자원을 할당/지시 받아 해당 MAC 엔티티에 연계된 셀/셀그룹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단말의 제 1 MAC 엔티티는 제1 DU 그리고/또는 제 2 DU를 통해 제공되는 하나 또는 이상의 셀이 구성될 수 있다. 단말의 제 2 MAC 엔티티는 제1 DU 그리고/또는 제 2 DU를 통해 제공되는 하나 또는 이상의 셀이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제 1 MAC 엔티티는 제 1 DU 그리고/또는 제 2 DU에를 통해 무선자원을 할당/지시 받아 제 1 DU 그리고/또는 제 2 DU에 연계된 셀/셀그룹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 2 MAC 엔티티는 제 1 DU 그리고/또는 제 2 DU에를 통해 무선자원을 할당/지시 받아 제 1 DU 그리고/또는 제 2 DU에 연계된 셀/셀그룹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기지국(또는 CU)은 단말 내에 구성되는 제 1 MAC 엔티티와 제 1 DU를 통해 제공되는 하나 또는 이상의 셀/셀그룹을 연계해 단말에 구성할 수 있다. 제 1 MAC 엔티티와 제 1 DU를 통해 제공되는 하나 또는 이상의 셀/셀그룹에 대한 매핑을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해 단말에 구성할 수 있다.
기지국은 제 1 DU의 셀/셀그룹에 연계된 제 1 MAC 엔티티, 제 1 DU의 셀/셀그룹에 연계된 제 1 RLC 엔티티, 제1 RLC 엔티티에 연계된 논리채널식별정보/논리채널구성정보를 단말에 구성할 수 있다.
일 예로 이는 MCG(master cell group) MAC entity, MCG RLC entity, MCG logical channel이 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이는 MCG(master cell group) MAC 엔티티, MCG RLC 엔티티, MCG logical channel와 구분되는 MCG 내 제 1 셀그룹 MAC 엔티티, MCG 내 제 1 셀그룹 RLC 엔티티, MCG 내 제 1 셀그룹 logical channel 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이는 SCG(master cell group) MAC 엔티티, SCG RLC 엔티티, SCG logical channel와 구분되는 MCG 내 제 1 셀그룹 MAC 엔티티, MCG 내 제 1 셀그룹 RLC 엔티티, MCG 내 제 1 셀그룹 logical channel 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만약 서로 다른 두 개의 기지국 또는 두 개의 CU를 통해 단말에 듀얼 커넥티비티를 구성하는 경우에도 MCG 내에서 두 개의 DU를 통한 제 1 셀그룹과 제 2 셀그룹을 구분해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두 개의 CU(CU1과 CU2)가 존재하고 CU1이 두 개의 DU(DU1과 DU2)에 그리고 CU2가 DU3에 연결된 구조를 생각해 보자.
이 때 기지국은 단말에 하나의 PDU 세션/플로우/플로우 그룹/트래픽 유형/무선베어러에 대해 마스터 기지국은 CU1-DU1로 구성되고 세컨더리 기지국은 CU2-DU3로 구성되는 듀얼커넥티비를 단말에 구성할 수 있다. 기지국은 단말에 (또다른) 하나의 PDU 세션/플로우/플로우 그룹/트래픽 유형/무선베어러에 대해 CU1이 DU1과 DU2에 연결된 두 개의 DU를 통해 구성되는 캐리어 병합을 구성할 수 있다.
하나의 PDU 세션/플로우/플로우 그룹/트래픽 유형/무선베어러에 대해 CU1이 DU1과 DU2에 연결된 두 개의 DU를 통해 구성되는 캐리어 병합을 구성하는 것은 (두개의 CU 또는 하나의 CU와 하나의 또다른 gNB를 통한 듀얼커넥티비티를 구성하지 않는 경우에만 적용하도록 한정할 수 있다.
또는 하나의 PDU 세션/플로우/플로우 그룹/트래픽 유형/무선베어러에 대해 CU1이 DU1과 DU2에 연결된 두 개의 DU를 통해 구성되는 캐리어 병합을 구성하는 것은 MCG 베어러 또는 SCG 베어러에 대해서만 적용하도록 한정할 수 있다. 즉 MCG split 베어러 또는 SCG split 베어러에 대해서는 적용을 배제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만약 서로 다른 두 개의 기지국 또는 두 개의 CU를 통해 단말에 듀얼 커넥티비티를 구성하는 경우에도 SCG 내에서 두 개의 DU를 통한 제 1 셀그룹과 제 2 셀그룹을 구분해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두 개의 CU(CU1과 CU2)가 존재하고 CU1이 하나의 DU(DU1)에 그리고 CU2가 두 개의 DU(DU3와 DU4)에 연결된 구조를 생각해 보자.
이 때 일 예로 기지국은 단말에 마스터 기지국은 CU1-DU1로 구성되고 세컨더리 기지국은 CU2-DU3/DU4로 구성되는 듀얼커넥티비를 단말에 구성할 수 있다. 다른 예로 기지국은 단말에 (또다른) 하나의 PDU 세션/플로우/플로우 그룹/트래픽 유형/무선베어러에 대해 CU2이 DU3과 DU4에 연결된 두 개의 DU를 통해 구성되는 캐리어 병합을 구성할 수 있다.
하나의 PDU 세션/플로우/플로우 그룹/트래픽 유형/무선베어러에 대해 CU2이 DU3과 DU4에 연결된 두 개의 DU를 통해 구성되는 캐리어 병합을 구성하는 경우는 CU1과 CU2를 통한 분리 베어러를 구성하지 않는 경우에만 적용하도록 한정할 수 있다.
또는 하나의 PDU 세션/플로우/플로우 그룹/트래픽 유형/무선베어러에 대해 CU2이 DU3과 DU4에 연결된 두 개의 DU를 통해 구성되는 캐리어 병합을 구성하는 경우는 세컨더리 기지국(CU2-DU3/DU4)를 통해 제공되는 SCG 베어러에 대해서만 적용하도록 한정할 수 있다. 즉 MCG split 베어러 또는 SCG split 베어러에 대해서는 적용을 배제할 수 있다.
기지국은 단말 내에 구성되는 제 2 MAC 엔티티와 제 2 DU를 통해 제공되는 하나 또는 이상의 셀/셀그룹을 연계해 단말에 구성할 수 있다.
기지국은 제 2 DU의 셀/셀그룹에 연계된 제 2 MAC 엔티티, 제 2 DU의 셀/셀그룹에 연계된 제 2 RLC 엔티티, 제2 RLC 엔티티에 연계된 논리채널식별정보/논리채널구성정보를 단말에 구성할 수 있다.
일 예로 이는 SCG(secondary cell group) MAC entity, SCG RLC entity, SCG logical channel이 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이는 SCG(master cell group) MAC 엔티티, SCG RLC 엔티티, SCG logical channel와 구분되는 MCG 내 제 2 셀그룹 MAC 엔티티, MCG 내 제 2 셀그룹 RLC 엔티티, MCG 내 제 2 셀그룹 logical channel 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만약 두 개의 기지국 또는 두 개의 CU를 통해 단말에 듀얼 커넥티비티를 구성하는 경우에도 MCG 내에서 두 개의 DU를 통한 제 1 셀그룹과 제 2 셀그룹을 구분해 구성할 수 있으며, SCG 내에서 두 개의 DU를 통한 제 1 셀그룹과 제 2 셀그룹을 구분해 구성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하에서 MCG 내 제 1 셀그룹 또는 SCG 내 제 1 셀그룹은 제 1 DU의 셀/셀그룹으로 표기될 수 있다. 또한 MCG 내 제 2 셀그룹 또는 SCG 내 제 2 셀그룹은 제 2 DU의 셀/셀그룹으로 표기될 수 있다.
기지국은 제 1 DU의 셀/셀그룹에 연계된 제 1 RLC 엔티티, 제1 RLC 엔티티에 연계된 논리채널식별정보/논리채널구성정보를 해당 무선 베어러의 PDCP 엔티티와 연계해 단말에 구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한 일 예로 기지국은 제 1 DU의 셀/셀그룹에 연계된 제 1 RLC 엔티티, 제1 RLC 엔티티에 연계된 논리채널식별정보/논리채널구성정보를 포함하는 추가DRB 구성정보에 포함되는 DRB 식별정보와 PDCP 구성정보에 포함되는 DRB 식별정보를 동일한 값으로 세팅하여 연계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한 다른 예로 기지국은 추가DRB 구성정보에 DRB 식별정보, 제 1 DU의 셀/셀그룹에 연계된 제 1 RLC 엔티티, 제1 RLC 엔티티에 연계된 논리채널식별정보/논리채널구성정보, PDCP 구성정보를 포함하여 연계시킬 수 있다.
기지국은 특정 무선 베어러에 대해 해당 무선 베어러에 연계된 제 2 DU의 무선자원 구성을 추가할 수 있다. 이를 위한 일 예로 기지국은 제 2 DU의 셀/셀그룹에 연계된 제 2 RLC 엔티티, 제2 RLC 엔티티에 연계된 논리채널식별정보/논리채널구성정보를 포함하는 추가DRB 구성정보에 포함되는 DRB 식별정보와 PDCP 구성정보에 포함되는 DRB 식별정보를 동일한 값으로 세팅하여 연계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한 다른 예로 기지국은 제 2 DU의 셀/셀그룹에 연계된 제 2 RLC 엔티티, 제2 RLC 엔티티에 연계된 논리채널식별정보/논리채널구성정보를 포함하는 추가DRB 구성정보에 포함되는 DRB 식별정보와 해당 무선 베어러에 대한 제 1 DU의 셀/셀그룹에 연계된 제 1 RLC 엔티티, 제1 RLC 엔티티에 연계된 논리채널식별정보/논리채널구성정보를 포함하는 포함되는 DRB 식별정보를 동일한 값으로 세팅하여 연계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한 다른 예로 기지국은 추가 (DU) DRB 구성정보에 DRB 식별정보, 제 2 DU의 셀/셀그룹에 연계된 제 2 RLC 엔티티, 제2 RLC 엔티티에 연계된 논리채널식별정보/논리채널구성정보, PDCP 구성정보를 포함하여 연계시킬 수 있다.
기지국은 전술한 구성을 위한 하나 이상의 구성정보들을 RRC 시그널링 메시지에 포함하여 단말에 지시할 수 있다.
마스터 기지국과 세컨더리 기지국이 비이상적인 백홀을 통해 연결되는 종래의 듀얼 커넥티비티 기술에서는 두 개의 기지국의 스케줄러 간에 전송 지연으로 의해, 단말 내 구성되는 MAC 엔티티의 MAC 프로시져를 완전하게 독립적으로 동작하도록 구성할 수 밖에 없었다. 하지만 상위 계층 분리 구조로 하나의 CU와 두 개의 DU를 통해 제공되는 셀을 병합해 이용할 경우 두 DU 내 MAC 엔티티 간에 빠른 coordination이 가능하기 때문에 단말 내에 두 개의 MAC 엔티티를 구성하는 경우 CU의 제어 또는 두 DU 간 협력을 통해 두 MAC 엔티티에 대한 세부 구성 파라메터 정보를 공통으로 제공하거나 각각의 구성 파라메터 정보 간에 관계를 가지고 각각 세팅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일 예로 제 1 MAC 엔티티와 제 2 MAC 엔티티의 일부 구성 파라메터를 공통 파라메터로 하여 구성할 수 있다. 공통 파라메터로 구성할 수 있는 정보는 ul-SCH-Config에 포함되는 maxHARQ-Tx(Maximum number of transmissions for UL HARQ), periodicBSR-Timer, retxBSR-Timer, drx-Config에 포함되는 onDurationTimer, drx-InactivityTimer, drx-RetransmissionTimer, longDRX-CycleStartOffset, shortDRX-Cycle, drxShortCycleTimer, drx-ULRetransmissionTimer, logicalChannelSR-Config, phr-Config에 포함되는 periodicPHR-Timer, prohibitPHR-Timer, dl-PathlossChange, sr-ProhibitTimer, timeAlignmentTimerSTAG 중 하나 이상의 파라메터가 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 1 MAC 엔티티와 제 2 MAC 엔티티의 일부 구성 파라메터 간에 특정한 관계를 가지고 각각 세팅하여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MAC 엔티티의 파라메터는 제 2 MAC 엔티티의 파라메터의 n배 또는 1/n 배, n은 자연수(예를 들어 n=1,2,…) 로 구성할 수 있다. 특정한 관계를 가지고 각각 세팅하여 구성할 수 있는 정보는 ul-SCH-Config에 포함되는 maxHARQ-Tx(Maximum number of transmissions for UL HARQ), periodicBSR-Timer, retxBSR-Timer, drx-Config에 포함되는 onDurationTimer, drx-InactivityTimer, drx-RetransmissionTimer, longDRX-CycleStartOffset, shortDRX-Cycle, drxShortCycleTimer, drx-ULRetransmissionTimer, logicalChannelSR-Config, phr-Config에 포함되는 periodicPHR-Timer, prohibitPHR-Timer, dl-PathlossChange, sr-ProhibitTimer, timeAlignmentTimerSTAG 중 하나 이상의 파라메터가 될 수 있다. 일 예로 제 1 MAC 엔티티의 longDRX 사이클을 제 2 MAC 엔티티의 longDRX 사이클의 n배로 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 1 MAC 엔티티의 shortDRX-Cycle 을 제 2 MAC 엔티티의 shortDRX-Cycle 의 n배로 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 1 MAC 엔티티와 제 2 MAC 엔티티의 일부 구성 파라메터는 각각의 MAC 엔티티가 독립적으로 구성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 정보는 ul-SCH-Config에 포함되는 maxHARQ-Tx(Maximum number of transmissions for UL HARQ), periodicBSR-Timer, retxBSR-Timer, drx-Config에 포함되는 onDurationTimer, drx-InactivityTimer, drx-RetransmissionTimer, longDRX-CycleStartOffset, shortDRX-Cycle, drxShortCycleTimer, drx-ULRetransmissionTimer, logicalChannelSR-Config, phr-Config에 포함되는 periodicPHR-Timer, prohibitPHR-Timer, dl-PathlossChange, sr-ProhibitTimer, timeAlignmentTimerSTAG 중 하나 이상의 파라메터가 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두 개의 MAC 엔티티는 독립적으로 MAC 프로시져를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제 2 MAC 엔티티는 효율성보다는 신뢰성 있는 중복전송을 위해 사용되는 것이기 때문에 MAC 프로시 져 일부 또는 전부에 대해 제 2 MAC 엔티티를 제 1 MAC 엔티티와 독립적으로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MAC 프로시져는 BSR, SR, LCP, PHR, DRX 중 하나 이상의 프로시져가 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 1 MAC 엔티티와 제 2 MAC 엔티티가 coordination을 통해 하나의 MAC 프로시져를 통해 두 개의 DU(또는 두 개의 MAC 엔티티)에 연계된 셀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필요한 MAC 프로시져를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일 예로 제 1 MAC 엔티티는 제 1 DU에 연계된 셀/셀그룹을 통해 전송할 논리채널/논리채널그룹의 버퍼상태와 제 2 DU에 연계된 셀/셀그룹을 통해 전송할 논리채널/논리채널그룹의 버퍼상태를 모두 포함하여 버퍼상태 리포트를 전송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BSR에 대해서만 설명하였지만, 이러한 MAC 프로시져는 BSR, SR, LCP, PHR 중 하나 이상의 프로시져가 될 수 있으며 이는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된다.
하나의 MAC 엔티티와 두 개의 RLC 엔티티를 통해 데이터 송수신
단말에 두 개의 DU를 통해 제공되는 CA가 구성되어 두 개의 DU를 통해 제공되는 각각의 무선 자원을 동시에 사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한 일 예로 도 8과 같이 단말은 특정 PDU 세션/플로우/플로우 그룹/트래픽 유형/무선베어러에 대해 두 개의 RLC 엔티티와 하나의 MAC를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단말은 사용자 데이터를 두 개의 DU를 통해 전송하기 위해, 사용자 데이터를 두 개의 DU로 구분/분리해 송수신 할 수 있다.
이를 위한 일 예로 기지국은 단말에 하나의 MAC 엔티티에 하나의 논리채널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일 예를 들어 하나의 MAC 엔티티와 하나의 RLC 엔티티만 구성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도 있다. 단말의 RLC 엔티티는 RLC 헤더 상에 DU1을 위한 RLC 엔티티와 DU2를 위한 RLC 엔티티로 데이터를 구분해서 처리할 수 있는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RLC 엔티티는 DU1을 위한 RLC SDUs/PDUs에 대해 SN(Sequence number)와 DU2를 위한 RLC SDUs/PDUs에 대해 SN(Sequence number)를 구분해서 할당할 수 있다. DU1을 위한 RLC SDUs/PDUs에 대해 SN(Sequence number)와 DU2를 위한 RLC SDUs/PDUs에 대해 SN(Sequence number)는 독립적으로 할당될 수 있다. 단말은 DU1을 위한 RLC SDUs/PDUs에 대해 DU1을 통해 제공되는 셀/셀그룹을 통해 송수신할 할 수 있다. 단말은 DU2를 위한 RLC SDUs/PDUs에 대해 DU2를 통해 제공되는 셀/셀그룹을 통해 송수신할 할 수 있다. 이는 하나의 논리채널을 통해 제공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이는 두 개의 논리채널을 통해 제공될 수 있다. 이 때 단말은 DU1을 위한 RLC SDUs/PDUs는 제 1 논리채널(DU1을 통해 제공되는 셀에 매핑되는 논리채널)로 매핑될 수 있다. 단말은 DU2를 위한 RLC SDUs/PDUs는 제 2 논리채널(DU2를 통해 제공되는 셀에 매핑되는 논리채널)로 매핑될 수 있다.
다른 예로 하나의 MAC 엔티티와 하나의 RLC 엔티티만 구성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도 있다.
이 때 다른 예를 들어 도 8과 같이 두 개의 RLC 엔티티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도 있다.
단말은 해당 논리채널에 대해 DU1에 의해 스케줄된 지시에 대해 해당 무선자원 할당이 지시하는 정보에 따라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만약 DU1이 DU1을 통해 제공되는 셀/셀그룹을 통한 무선자원 할당을 지시하면, 단말은 DU1을 통해 제공되는 셀/셀그룹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만약 DU1이 DU2를 통해 제공되는 셀/셀그룹을 통한 무선자원 할당을 지시하면, 단말은 DU2를 통해 제공되는 셀/셀그룹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만약 DU2가 DU2를 통해 제공되는 셀/셀그룹을 통한 무선자원 할당을 지시하면, 단말은 DU2를 통해 제공되는 셀/셀그룹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만약 DU2가 DU1을 통해 제공되는 셀/셀그룹을 통한 무선자원 할당을 지시하면, 단말은 DU1을 통해 제공되는 셀/셀그룹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한 다른 예로 기지국은 단말에 하나의 MAC 엔티티에 두 개의 논리채널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단말은 사용자 데이터를 두 개의 DU를 통해 전송하기 위해, 사용자 데이터를 두 개의 DU로 구분/분리해 송수신 할 수 있다. 이를 위한 일 예로 단말은 하나의 MAC 엔티티를 구성할 수 있다. 해당 MAC 엔티티는 제 1 DU에 포함된 스케줄러(또는 MAC 엔티티) 및/또는 제 1 DU에 포함된 스케줄러(또는 MAC 엔티티)를 통해 무선자원 할당/지시를 받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한 다른 예로 단말은 하나의 MAC 엔티티를 구성할 수 있다. 해당 MAC 엔티티는 제 1 DU및 제 2 DU에 의해 밀결합된 하나의 스케줄러(또는 MAC 엔티티)를 통해 무선자원 할당/지시를 받도록 할 수 있다.
단말과 제1 DU 간에는 하나 또는 이상의 셀이 구성될 수 있다. 단말과 제2 DU 간에는 하나 또는 이상의 셀이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단말의 MAC 엔티티는 제 1 DU에 포함된 스케줄러(제1 MAC 엔티티)를 통해 무선자원 할당/지시를 받아 해당 MAC 엔티티에 연계된 셀/셀그룹을 통해 또는 (예를 들어 DCI에 의해 또는 RRC에 의해 구성된) 지시된 셀/셀그룹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단말의 MAC 엔티티는 제 2 DU에 포함된 스케줄러(제2 MAC 엔티티)를 통해 무선자원 할당/지시를 받아 해당 MAC 엔티티에 연계된 셀/셀그룹 또는 (예를 들어 DCI에 의해 또는 RRC에 의해 구성된) 지시된 셀/셀그룹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단말의 MAC 엔티티는 제 1 DU및 제 2 DU에 의해 밀결합된 하나의 스케줄러(또는 MAC 엔티티)를 통해 무선자원 할당/지시를 받아 해당 MAC 엔티티에 연계된 셀/셀그룹을 통해 또는 (예를 들어 DCI에 의해 또는 RRC에 의해 구성된) 지시된 셀/셀그룹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기지국은 단말 내에 구성되는 MAC 엔티티와 제 1 DU를 통해 제공되는 하나 또는 이상의 셀/셀그룹을 연계해 단말에 구성할 수 있다.
기지국은 특정 무선 베어러에 대한 제 1 DU의 셀/셀그룹에 연계된 논리채널식별정보/논리채널구성정보와 제 1 DU의 셀/셀그룹에 연계된 제 1 RLC 엔티티를 연계하여 단말에 구성할 수 있다.
기지국은 단말 내에 구성되는 MAC 엔티티와 제 2 DU를 통해 제공되는 하나 또는 이상의 셀/셀그룹을 연계해 단말에 구성할 수 있다.
기지국은 특정 무선 베어러에 대한 제 2 DU의 셀/셀그룹에 연계된 논리채널식별정보/논리채널구성정보와 제 2DU의 셀/셀그룹에 연계된 제 2 RLC 엔티티를 연계하여 단말에 구성할 수 있다.
기지국은 제 1 DU의 셀/셀그룹에 연계된 제 1 RLC 엔티티, 제1 RLC 엔티티에 연계된 논리채널식별정보/논리채널구성정보를 해당 무선 베어러의 PDCP 엔티티와 연계해 단말에 구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한 일 예로 기지국은 제 1 DU의 셀/셀그룹에 연계된 제 1 RLC 엔티티, 제1 RLC 엔티티에 연계된 논리채널식별정보/논리채널구성정보를 포함하는 추가DRB 구성정보에 포함되는 DRB 식별정보와 PDCP 구성정보에 포함되는 DRB 식별정보를 동일한 값으로 세팅하여 연계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한 다른 예로 기지국은 추가DRB 구성정보에 DRB 식별정보, 제 1 DU의 셀/셀그룹에 연계된 제 1 RLC 엔티티, 제1 RLC 엔티티에 연계된 논리채널식별정보/논리채널구성정보, PDCP 구성정보를 포함하여 연계시킬 수 있다.
기지국은 특정 무선 베어러에 대해 해당 무선 베어러에 연계된 제 2 DU의 무선자원 구성을 추가할 수 있다. 이를 위한 일 예로 기지국은 제 2 DU의 셀/셀그룹에 연계된 제 2 RLC 엔티티, 제2 RLC 엔티티에 연계된 논리채널식별정보/논리채널구성정보를 포함하는 추가DRB 구성정보에 포함되는 DRB 식별정보와 PDCP 구성정보에 포함되는 DRB 식별정보를 동일한 값으로 세팅하여 연계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한 다른 예로 기지국은 제 2 DU의 셀/셀그룹에 연계된 제 2 RLC 엔티티, 제2 RLC 엔티티에 연계된 논리채널식별정보/논리채널구성정보를 포함하는 추가DRB 구성정보에 포함되는 DRB 식별정보와 해당 무선 베어러에 대한 제 1 DU의 셀/셀그룹에 연계된 제 1 RLC 엔티티, 제1 RLC 엔티티에 연계된 논리채널식별정보/논리채널구성정보를 포함하는 포함되는 DRB 식별정보를 동일한 값으로 세팅하여 연계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한 다른 예로 기지국은 추가DRB 구성정보에 DRB 식별정보, 제 2 DU의 셀/셀그룹에 연계된 제 2 RLC 엔티티, 제2 RLC 엔티티에 연계된 논리채널식별정보/논리채널구성정보, PDCP 구성정보를 포함하여 연계시킬 수 있다.
기지국은 전술한 구성을 위한 하나 이상의 구성정보들을 RRC 시그널링 메시지에 포함하여 단말에 지시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위 계층 분리 구조를 통해 제공되는 무선 액세스망에서 두 개의 DU를 통해 제공되는 캐리어를 효과적으로 병합하여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9는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기지국(1000)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기지국(1000)은 제어부(1010)과 송신부(1020), 수신부(1030)를 포함한다.
제어부(1010)는 전술한 본 발명을 수행하기에 필요한 상위 계층 기능 분리(CU와 DU로 분리된)를 통해 구축되는 무선 액세스망에서 단말에 하나 이상의 DU를 통해 제공되는 셀들을 병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따른 전반적인 기지국(1000)의 동작을 제어한다.
송신부(1020)와 수신부(1030)는 전술한 본 발명을 수행하기에 필요한 신호나 메시지, 데이터를 단말과 송수신하는데 사용된다.
도 10은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사용자 단말(1100)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사용자 단말(1100)은 수신부(1110) 및 제어부(1120), 송신부(1130)를 포함한다.
수신부(1110)는 기지국으로부터 하향링크 제어 정보 및 데이터, 메시지를 해당 채널을 통해 수신한다.
또한 제어부(1120)는 전술한 본 발명을 수행하기에 필요한 상위 계층 기능 분리(CU와 DU로 분리된)를 통해 구축되는 무선 액세스망에서 단말에 하나 이상의 DU를 통해 제공되는 셀들을 병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따른 전반적인 사용자 단말(1100)의 동작을 제어한다.
송신부(1130)는 기지국에 상향링크 제어 정보 및 데이터, 메시지를 해당 채널을 통해 전송한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언급한 표준내용 또는 표준문서들은 명세서의 설명을 간략하게 하기 위해 생략한 것으로 본 명세서의 일부를 구성한다. 따라서, 위 표준내용 및 표준문서들의 일부의 내용을 본 명세서에 추가하거나 청구범위에 기재하는 것은 본 발명의 범위에 해당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

  1. 캐리어 병합을 통해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단말이 서로 다른 DU를 통해 제공되는 무선자원을 구성하는 단계; 및
    상기 서로 다른 DU를 통해 제공되는 무선자원을 이용하여 캐리어 병합을 수행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
KR1020170098731A 2017-08-03 2017-08-03 Cu-du 기지국 분리 구조에서 캐리어 병합 구성 제어 방법 및 장치 KR2019001566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8731A KR20190015665A (ko) 2017-08-03 2017-08-03 Cu-du 기지국 분리 구조에서 캐리어 병합 구성 제어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8731A KR20190015665A (ko) 2017-08-03 2017-08-03 Cu-du 기지국 분리 구조에서 캐리어 병합 구성 제어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5665A true KR20190015665A (ko) 2019-02-14

Family

ID=653662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8731A KR20190015665A (ko) 2017-08-03 2017-08-03 Cu-du 기지국 분리 구조에서 캐리어 병합 구성 제어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1566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43622A1 (en) * 2021-09-15 2023-03-23 Commscope Technologies Llc Multi-cell scheduling with carrier aggregatio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43622A1 (en) * 2021-09-15 2023-03-23 Commscope Technologies Llc Multi-cell scheduling with carrier aggreg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937587B (zh) 缓冲区状态报告传输方法及其设备
KR101655699B1 (ko) 복수의 서빙 셀에서 상향 링크 제어 정보의 전송을 제어하는 방법 및 그 장치
US11832125B2 (en) Method for transmitting buffer status report of terminal in small cell environment and device therefor
US984395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data transmiss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9497666B2 (en) Method for handover in environment connected to multiple base stations and apparatus therefor
KR101611825B1 (ko) 상향링크 전송 전력을 제어하는 방법과 그 장치
CN110383876B (zh) 用于重复接收控制消息的方法及其设备
KR101588172B1 (ko) 통신 시스템
JP2015518667A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サブフレームの動的な構成
KR102065137B1 (ko) 버퍼 상태 리포트 전송 방법 및 그 장치
KR20150018300A (ko) 이종 네트워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전송 장치 및 방법
KR20170114244A (ko) 업링크 데이터 처리 방법 및 그 장치
US20240089793A1 (en) Method for transmitting buffer status report of terminal in small cell environment and device therefor
KR102077784B1 (ko) 차세대 이동통신을 위한 버퍼 상태 보고 처리 방법 및 그 장치
KR102065432B1 (ko) 공유 복조 기준 신호 기반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 설정 방법 및 그 장치
KR101672120B1 (ko) 상향링크 채널 및 신호의 전송전력 제어방법 및 그 장치
US11096091B2 (en) Method for interworking between heterogeneous radio access networks and apparatus therefor
KR20190015665A (ko) Cu-du 기지국 분리 구조에서 캐리어 병합 구성 제어 방법 및 장치
KR20140106365A (ko) 캐리어 병합을 수행하는 방법 및 그 장치
KR20150035673A (ko) Tdd-fdd 조인트 오퍼레이션에서의 제어채널 타이밍 설정 방법 및 그 장치
KR102085195B1 (ko) 커버리지 확장을 위한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 송수신 방법 및 장치
WO2023013750A1 (ja) 通信装置及び通信方法
WO2023013744A1 (ja) 通信装置、基地局及び通信方法
KR101674791B1 (ko) 상향링크 신호 전송전력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KR20190008114A (ko) 차세대 무선네트워크를 위한 캐리어 병합 제어 방법 및 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