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35331A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동적 시분할 복식 시스템 운영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동적 시분할 복식 시스템 운영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35331A
KR20140135331A KR1020130055285A KR20130055285A KR20140135331A KR 20140135331 A KR20140135331 A KR 20140135331A KR 1020130055285 A KR1020130055285 A KR 1020130055285A KR 20130055285 A KR20130055285 A KR 20130055285A KR 20140135331 A KR20140135331 A KR 201401353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figuration information
downlink
uplink
base station
transmiss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Withdrawn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52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형주
최승훈
김영범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552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35331A/ko
Priority to US14/276,456 priority patent/US9698966B2/en
Priority to EP14797709.4A priority patent/EP2997672A4/en
Priority to CN201480028490.4A priority patent/CN105210312A/zh
Priority to PCT/KR2014/004270 priority patent/WO2014185689A1/en
Publication of KR201401353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5331A/ko
Withdrawn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04W72/231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the control data signalling from the layers above the physical layer, e.g. RRC or MAC-CE signal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14Two-way operation using the same type of signal, i.e. duplex
    • H04L5/1469Two-way operation using the same type of signal, i.e. duplex using time-sha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22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using time-division multiplex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46Resources in time domain, e.g. slots or fram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H04L5/0055Physical resource allocation for ACK/NA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H04L5/0057Physical resource allocation for CQI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시분할 복신(Time Division Duplex, TDD) 시스템의 단말에서 신호 송수신 방법은 기지국으로부터 상향링크 및 하향링크 전송과 관련된 제1구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향링크 전송과 관련된 제2구성 정보 및 하향링크 전송과 관련된 제3구성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2구성 정보 및 상기 제3구성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기지국과 신호를 송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의 실시 예에 따르면, 기지국은 상향링크 전송/재전송 타이밍을 위한 구성(설정)과 하향링크 전송/재전송 타이밍을 위한 구성을 별도로 운영함으로 상향링크 전송에 무관하게 하향링크에 사용되는 자원에 양을 조절할 수 있으며 동시에 반대의 경우도 가능하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동적 시분할 복식 시스템 운영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OF OPERATION FOR DYNAMIC TIME DIVISION DUPLEX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본 명세서의 실시 예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TDD(Time division duplex) 시스템 운영방식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기지국이 상향링크와 하향링크의 자원양을 조절할 수 있는 다수의 구성(설정)정보를 동적으로 변경하는 경우, 기지국과 단말의 상향링크 및 하향링크 전송/재전송 타이밍을 제어하고 이를 위한 구성 정보를 지시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의 실시 예는 상향링크와 하향링크 전송/재전송의 기준 구성 정보를 위한 조합을 미리 구성하고 이를 지시함으로 손실 없는 전송/재전송을 보장하며, 상향링크를 위한 제1구성정보와 하향링크를 위한 제2구성 정보를 별로의 시점에 전송하거나 다른 채널을 통해 전송함으로 자원의 양을 동적으로 변경하는 것과 관련된 기술이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시스템은 사용자의 이동성을 확보하면서 통신을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개발되었다. 이러한 이동통신 시스템은 기술의 비약적인 발전에 힘입어 음성 통신은 물론 고속의 데이터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단계에 이르렀다.
근래에는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 중 하나로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에서 LTE(Long Term Evolution) 시스템에 대한 규격 작업이 진행 중이다. LTE 시스템은 2010년 정도를 상용화 목표로 해서, 현재 제공되고 있는 데이터 전송률보다 높은 최대 100 Mbps 정도의 전송 속도를 가지는 고속 패킷(packet) 기반 통신을 구현하는 기술이며 현재 규격화가 거의 완료되었다. LTE 규격 완료에 발맞춰 최근 LTE 통신 시스템에 여러 가지 신기술을 접목해서 전송 속도를 보다 향상시키는 진화된 LTE 시스템(LTE-Advanced, LTE-A)에 대한 논의가 본격화되고 있다. 이하 LTE 시스템이라 함은 기존의 LTE 시스템과 LTE-A 시스템을 포함하는 의미로 이해하기로 한다.
기존의 기지국은 하향링크와 상향링크가 사용하는 시간 자원과 주파수 차원의 전송 방향 (하향링크 혹은 상향링크가)가 기지국간에 동일하다. 다시 말하며, 어떤 시간/주파수 자원을 사용하는 기지국이 하향링크 전송을 하는 경우 인접한 기지국도 해당 시간/주파수 자원을 하향링크 전송에 사용한다. 이 경우 단말은 인접 기지국으로부터 하향링크 자원에서는 항상 인접 기지국으로부터 하향링크 신호가 간섭으로 작용하고 상향링크 자원에서는 항상 인접 기지국의 단말로부터 상향링크 간섭이 발생한다. 그리고 만약 인접한 기지국이 사용하는 시간/주파수 자원이 서로 다른 방향의 전송을 하는 경우에는 이전과는 다른 간섭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어떤 기지국이 시간/주파수 자원을 하향링크로 사용하는 동안 인접 기지국은 하향링크 간섭과 상향링크 간섭이 모두 발생할 수 있으며, 따라서 기존의 시스템은 동적으로 시간/주파수 자원의 전송 방향을 변경하는 것을 고려하지 않았다. 그러나 진화된 시스템은 이러한 간섭 문제를 해결하고 동적인 자원 전송 방향을 변경을 지원할 수 있다. 이러한 변경은 기존의 시스템이 전송 방향이 한번 결정되는 바뀌지 않는 것을 가정했기 때문에 기지국의 하향링크 전송이나 단말의 상향링크 전송이 시스템 정보에 따라 일정한 규칙으로 동작하는데 동적인 변경으로 구성(설정) 정보가 계속 변경하게 되면 기존에 설정된 기지국의 하향링크 전송 타이밍이나 상향링크 전송 타이밍이 변하게 되며 데이터 송수신이 어렵게 된다. 따라서 구성 정보가 변경되어도 기지국의 전송/재전송 혹은 단말의 전송/재전송을 위한 타이밍을 문제 없이 지원해야 한다.
상술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시분할 복신(Time Division Duplex, TDD) 시스템의 단말에서 신호 송수신 방법은 기지국으로부터 상향링크 및 하향링크 전송과 관련된 제1구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향링크 전송과 관련된 제2구성 정보 및 하향링크 전송과 관련된 제3구성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2구성 정보 및 상기 제3구성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기지국과 신호를 송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는 시분할 복신(Time Division Duplex, TDD) 시스템의 기지국에서 신호 송수신 방법은 단말로 상향링크 및 하향링크 전송과 관련된 제1구성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단말로 상향링크 전송과 관련된 제2구성 정보 및 하향링크 전송과 관련된 제3구성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2구성 정보 및 상기 제3구성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단말과 신호를 송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는 시분할 복신(Time Division Duplex, TDD) 시스템의 단말은 기지국과 신호를 송수신하는 송수신부; 및 상기 송수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향링크 및 하향링크 전송과 관련된 제1구성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향링크 전송과 관련된 제2구성 정보 및 하향링크 전송과 관련된 제3구성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고, 상기 제2구성 정보 및 상기 제3구성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기지국과 신호를 송수신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는 시분할 복신(Time Division Duplex, TDD) 시스템의 기지국은 단말과 신호를 송수신하는 송수신부; 및 상기 송수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단말로 상향링크 및 하향링크 전송과 관련된 제1구성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단말로 상향링크 전송과 관련된 제2구성 정보 및 하향링크 전송과 관련된 제3구성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전송하고, 상기 제2구성 정보 및 상기 제3구성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단말과 신호를 송수신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의 실시 예에 따르면, 기지국은 상향링크 전송/재전송 타이밍을 위한 구성(설정)과 하향링크 전송/재전송 타이밍을 위한 구성을 별도로 운영함으로 상향링크 전송에 무관하게 하향링크에 사용되는 자원에 양을 조절할 수 있으며 동시에 반대의 경우도 가능하다. 따라서 구성된 두 개의 구성 정보를 기반으로 동적으로 상향링크와 하향링크 자원의 양을 추가의 시스템 정보 변경 없이 운영할 수 있다. 또한 상향링크를 위한 구성 정보와 하향링크를 위한 구성 정보에서 단말 전용 제어 채널을 통해 자원의 양을 조절할 수 있으며 이러한 운영을 위해 두 가지 구성 정보에 가능한 조합을 미리 구성하여 시그널링 오버헤드를 감소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LTE 시스템의 TDD 대역폭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LTE 시스템의 TDD 라디오프레임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LTE 시스템 정보 전송을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이 제안하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동적 TDD 운영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이 제안하는 제 2 실시예에 따른 동적 TDD 운영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
도 6는 본 발명이 제안하는 제 3 실시예에 따른 동적 TDD 운영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이 제안하는 제 4실시로 본 발명이 제안하는 제한된 제 2구성과 제 3구성집합에 따른 변경 지시 방법을 도시한 도면,
도 8는 본 발명이 제안하는 제 4 실시예에 따른 동적 TDD 운영에 따른 재전송 운영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
도 9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 동작을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동작을 도시한 도면,
도 11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12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명세서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또는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였다.
실시 예에서 구성(설정) 정보는 TDD(Time Division Duplex) 송수신에 따른 상향링크 및 하향링크 할당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시분할 복식 무선 통신 시스템을 운영하기 위한 기술로서 동적으로 시분할 복수기 시스템의 구성을 변경하는 경우에 있어서 상향링크 (재)전송 타이밍과 하향링크 (재)전송 타이밍을 결정하기 위한 시그널링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발명은 제 1구성 정보로 동기화된 시스템에서 시스템 정보로 전송되는 제2 구성 정보와 단말 공통 제어 채널을 이용하여 전송되는 제3구성 정보 이용하여 동적으로 변경되는 서브프레임 구성을 인지하고 상향링크 (재)전송 타이밍은 제 2구성 정보를 기반으로 하향링크 (재)전송은 제 3구성 정보를 기반으로 결정하며 단말 전용 제어 채널의 CRC pass에 따라 제 2구성 정보와 제 3구성 정보를 따를지를 결정하여 동적으로 변경되는 서브프레임을 운영하는 방법이다. 본 발명은 동일한 서브프레임을 상향링크와 하향링크 자원으로 자유롭게 변경 가능하다/실시 예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동적 시분할 복식 시스템 운영 방법 및 장치 에서는 기지국 동작으로 제1구성 정보를 이용하여 기지국 간에 동기가 되어 있는 경우, 상기 기지국은 시스템 정보 혹은 상위 시그널링으로 제2구성 정보를 단말에 전송하여 단말 공통 제어 채널을 통해 제3구성 정보를 상기 단말에 지시하며 단말의 상향링크 전송/재전송 타이밍은 제 2구성정보를 기반으로 운영하고 단말의 하향링크 전송/재전송 타이밍은 제 3구성정보를 기반으로 운영하고 제 2구성 정보와 제 3구성 정보가 서로 다른 방향으로 지시하는 flexible 서브프레임은 단말 전용 제어 채널의 CRC pass 여부에 의해서 제 2구성 정보의 타이밍을 따를지 제 3구성 정보의 타이밍을 따를지 결정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의 기지국 동작으로 시스템 정보 혹은 상위 시그널링으로 제1구성 정보를 단말에 전송하고 단말 공통 제어 채널을 통해 제2구성 정보와 제3구성 정보의 집합을 단말에 지시하며 단말의 상향링크 전송/재전송 타이밍은 제2구성정보를 기반으로 운영하고 단말의 하향링크 전송/재전송 타이밍은 제3구성정보를 기반으로 운영하고 제2구성 정보와 제3구성 정보가 서로 다른 방향으로 지시하는 flexible 서브프레임은 단말 전용 제어 채널의 CRC pass 여부에 의해서 제1구성 정보의 타이밍을 따를지 제2구성 정보의 타이밍을 따를지 결정하는 방법이다.
또한 본 명세서의 실시 예에서, 기지국 동작으로 시스템 정보 혹은 상위 시그널링으로 제1구성 정보를 단말에 전송하며 단말 공통 제어 채널을 통해 제2구성 정보를 단말에 지시하며 단말 공통 제어 채널을 통해 제3구성 정보를 단말에 지시한다. 제2구성 정보를 전송하는 공통 제어 채널과 제3구정 정보를 전송하는 공통 제어 채널은 동시에 하나의 서브프레임에서 전송하지 않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단말의 상향링크 전송/재전송 타이밍은 제2구성정보를 기반으로 운영하고 단말의 하향링크 전송/재전송 타이밍은 제3구성정보를 기반으로 운영하고 제2구성 정보와 제3구성 정보가 서로 다른 방향으로 지시하는 flexible 서브프레임은 단말 전용 제어 채널의 CRC pass 여부에 의해서 제2구성 정보의 타이밍을 따를지 제3구성 정보의 타이밍을 따를지 결정하는 방법이다. 제2구성 정보나 제3구성 정보를 지시하기 이전에는 상향링크와 하향링크 전송은 모두 제1구성 정보를 이용하며 제2구성 정보는 지시했으나 제3구성정보를 지시하기 이전에는 상향링크와 하향링크 전송 모두 제2구성 정보를 이용한다. 제2구성 정보와 제3구정 정보가 나가는 시점은 상위에서 미리 구성하여 혼돈이 없도록 운영하는 방법이다.
또한 본 명세서의 실시 예에서 기지국 동작으로 기지국은 상향링크 운영을 위한 제2구성정보와 하향링크 운영을 위한 제3구성 정보의 집합을 미리 구성하고 기지국은 새로운 구성 정보의 집합을 지시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구성 집합의 제2 구성정보는 이전 구정 정보 집합의 제3구성정보와 같도록 지시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실시 예에서 단말의 동작으로 단말은 시스템 정보 혹은 상위 시그널링으로 제2구성 정보와 제3구성 정보를 수신하며, 제2구성 정보를 기반으로 상향링크 전송/재전송 타이밍을 결정하며 제3구성 정보를 기반으로 하향링크 전송/재전송 타이밍을 결정하며, 제2구성 정보와 제3구성 정보가 서로 다른 방향으로 지시하는 서브프레임의 집합을 flexible 서브프레임으로 인지하며, 해당 서브프레임에 제 2구성 정보를 기반으로 링크된 하향링크에서 단말 전영 제어 채널 중에서 상향링크 전송을 위한 제어 채널의 CRC pass가 된 경우에는 해당 서브프레임은 제2구성 정보의 타이밍을 따르며, 만약 제2구성 정보를 기반으로 링크된 하향링크에서 단말 전영 제어 채널 중에서 상향링크 전송을 위한 제어 채널의 CRC fail인 경우에는 flexible 서브프레임에서 하향링크 제어 채널 및 데이터 채널 수신을 시도하며, 수신이 성공한 경우 하향링크에 대한 타이밍은 제3구성 정보의 타이밍을 따른다.
또한 본 명세서의 단말 동작으로 단말은 시스템 정보 혹은 상위 시그널링으로 제1구성 정보를 수신하며 단말 공통 제어 채널에서 제2구성 정보와 제3구성 정보의 pair를 수신하며 수신한 제2구정 정보를 기반으로 상향링크 전송/재전송 타이밍을 결정하며 제3구성 정보를 기반으로 하향링크 전송/재전송 타이밍을 결정하며, 제2구성 정보와 제3구성 정보가 서로 다른 방향으로 지시하는 서브프레임의 집합을 flexible 서브프레임으로 인지하며, 해당 서브프레임에 제2구성 정보를 기반으로 링크된 하향링크에서 단말 전영 제어 채널 중에서 상향링크 전송을 위한 제어 채널의 CRC pass가 된 경우에는 해당 서브프레임은 제2구성 정보의 타이밍을 따르며, 만약 제2구성 정보를 기반으로 링크된 하향링크에서 단말 전용 제어 채널 중에서 상향링크 전송을 위한 제어 채널의 CRC fail인 경우에는 flexible 서브프레임에서 하향링크 제어 채널 및 데이터 채널 수신을 시도하며, 수신이 성공한 경우 하향링크에 대한 타이밍은 제3구성 정보의 타이밍을 따른다.
또한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서, 단말 동작으로 단말은 시스템 정보 혹은 상위 시그널링으로 제1구성 정보를 수신하며 제1구성 정보가 지시한 특정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에서 전송되는 단말 공통 제어 채널에서 제1구성 정보를 수신하며 제1구성 정보가 지시한 특정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에서 전송되는 단말 공통 제어 채널에서 제3구성 정보를 수신한다. 단말은 제2구정 정보를 전송하는 공통 제어 채널과 제3구성 정보를 전송하는 공통 제어 채널을 동일한 서브프레임에 수신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단말은 수신한 제2구정 정보를 기반으로 상향링크 전송/재전송 타이밍을 결정하며 제3구성 정보를 기반으로 하향링크 전송/재전송 타이밍을 결정하며, 제2구성 정보와 제3구성 정보가 서로 다른 방향으로 지시하는 서브프레임의 집합을 flexible 서브프레임으로 인지하며, 해당 서브프레임에 제2구성 정보를 기반으로 링크된 하향링크에서 단말 전영 제어 채널 중에서 상향링크 전송을 위한 제어 채널의 CRC pass가 된 경우에는 해당 서브프레임은 제2구성 정보의 타이밍을 따르며, 만약 제2구성 정보를 기반으로 링크된 하향링크에서 단말 전영 제어 채널 중에서 상향링크 전송을 위한 제어 채널의 CRC fail인 경우에는 flexible 서브프레임에서 하향링크 제어 채널 및 데이터 채널 수신을 시도하며, 수신이 성공한 경우 하향링크에 대한 타이밍은 제3구성 정보의 타이밍을 따른다.
실시 예에서 단말 공통 제어 채널은 하향링크 공통 정보(Downlink Common Information, DCI) 제어 채널과 동일한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시분할복식(TDD) 시스템은 하향링크(downlink)와 상향링크(uplink)에 다른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주파수분할 복식(FDD)와 달리 하향링크와 상향링크가 동일한 주파수 대역을 사용한다.
도 1은 TDD 시스템의 주파수 대역을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참조번호 101은 하향링크의 주파수 대역을 도시한 것이고 참조번호 114은 상향링크의 주파수 대역을 도시한 것이다. 참조번호 103의 하향링크와 참조번호 111의 상향링크는 동일한 주파수 대역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서 참조번호 103의 하향링크와 참조번호 111의 상향링크는 서로 동시에 발생하지 않으며, 시분할 되어 서도 다른 시간에 운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TDD 시스템이 참조번호 103과 같이 하향링크 운영되는 경우에는 참조번호 105과 같이 하향링크의 중심 주파수 1.4MHz 대역에 참조번호 109와 참조번호 107과 같이 PBCH (physical broadcast channel)와 PSS (Primary synchronization signal), SSS(Secondary synchronization signal)의 동기 신호가 전송될 수 있으며, 상기 동기 신호는 하향링크로 운영되는 시간 중에서 정해진 일부 시간에 단말에 전송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하향링크와 상향링크에 실제로 사용되는 트래픽의 양은 일반적으로 서로 다른 양을 사용하게 된다. 즉, 실제로 존재하는 단말의 수와 상기 각 단말이 요구하는 트래픽에 따라서 어떤 시점에는 하향링크의 트래픽 양이 증가하고 또 어떤 시점에는 상향링크의 트래픽 양이 증가할 수 있다.
FDD (Frequency division duplex) 시스템의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상향링크와 하향링크에 사용되는 대역폭이 동일하기 때문에 실제 상향링크와 하향링크 트래픽 양에 무관하게 항상 일정한 주파수 자원을 사용하도록 하며, 따라서 일 방향의 전송 트래픽이 타 방향의 트래픽 보다 많은 경우 송수신 자원의 일시적인 낭비가 발생할 수 있다. TDD 시스템은 하나의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고 시간적으로 하향링크와 상향링크가 사용하는 시간의 양을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문제를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실제 운영을 위해서는 이러한 동적인 하향링크와 상향링크의 시간의 양을 조절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이와 같이 동적인 하향링크와 상향링크의 시간의 양을 조절하기 어려운 이유 중, 대표적인 이유는 전송되는 셀의 신호에 대한 인접 셀의 간섭에 의한 영향을 포함할 수 있다. FDD 시스템의 경우에는 하향링크로 단말에 수신되는 신호는 인접 셀의 하향링크의 신호의 간섭만 받으며 상향링크로 송신되는 신호는 인접 단말의 상향링크 신호의 간섭을 받는다. 하향링크의 경우에는 정지한 기지국이 일정한 전력을 사용하기 때문에 최대로 발생하는 간섭의 양을 예측할 수 있고 따라서 해당 간섭을 조절할 수 있다. 상향링크의 경우에는 인접한 단말이 사용하는 대역이 부분적이며 또한 간섭을 발생하는 요소의 전송 전력이 작기 때문에 상향링크 전력 제어를 통해서 극복이 가능하다. 그러나 만약 인접 셀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전송하는 경우에는 즉, 기지국 1은 상향링크를 사용하고 상기 기지국 1과 인접한 기지국 2는 하향링크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기지국 1은 상향링크로 수신되는 단말의 전송 전력에 상기 인접 기지국 2의 전송 전력이 간섭으로 발생할 수 있다.
단말과 달리 기지국의 송신 전력 단말의 약 100배가 넘기 때문에 상기 기지국 1로 수신되는 단말의 신호는 상기 인접 기지국 2가 송신하는 신호에 따른 간섭에 의해 더 이상 수신이 불가능할 수 있다.
반면, 상기 기지국 1이 하향링크로 송신하고 상기 기지국 2에 있는 단말이 상향링크로 전송하는 경우에 상기 기지국 1에 있는 단말과 상기 기지국 2에 있는 단말의 위치가 가까우면 상대적으로 상기 기지국 1에서 하향링크를 수신하는 단말은 상기 기지국 2의 단말이 전송하는 송신 전력이 매우 크게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상호 간섭에 의해서 기지국 간에 서로 다른 전송 방향으로 운영하는 것은 송신 전력이 매우 큰 대형 기지국에서는 불가능하다. 따라서 LTE 시스템 같이 TDD와 FDD를 모두 지원하는 시스템에서는 도 2와 같이 TDD의 경우 기지국 간에 장시간의 트래픽을 고려하여 다양한 구조를 TDD 구성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특징을 기반으로 기지국과 단말의 상향링크와 하향링크 전송과 재전송을 위한 타이밍 역시 도 2의 구성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 운영된다. 따라서 만약 기지국이 TDD 구성 정보를 지속적으로 변경하는 경우 단말은 실제로 운영해야 하는 전송 타이밍을 인지하지 못해 시스템을 운영할 수 없다.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LTE 시스템의 TDD 라디오프레임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도 2는 TDD 시스템에서 사용 가능한 라디오프레임 구성 정보를 도시한 것이다. 식별변호 215는 10개의 서브프레임(223)을 단위로 하는 총 7의 라디오프레임 구성 정보가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식별변호 201에서 식별변호213의 7가지 구성 정보(201 내지 213)가 그것인데, 상기 7가지 구성 정보는 각각이 서로 다른 양의 하향링크 전송 시간과 상향링크 전송 시간을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 식별변호 201의 구성 정보의 경우에는 상향링크의 자원을 가장 많이 보유하고 있는 구성 정보로 식별변호 201과 같이 서브프레임 #2, 3, 4, 7, 8, 9에서 총 6개의 서브프레임에서 상향링크(217)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서브프레임 #0, 5 에서 총 2개의 서브프레임에서 하향링크(221)을 전송할 수 있다. 서브프레임 #1과 #6은 스페셜 서브프레임(special subframe)(219)이라고 불리는 서브프레임으로 서브프레임의 전반부 심볼을 하향링크 전송이 가능하며 후반부 심볼에는 상향링크 전송이 가능한 서브프레임이다. 하향링크와 상향링크 전송 사이에는 보호 영역이 존재하여 단말이 하향링크로 수신하고 상향링크 전송을 하기 위한 시간을 확보할 수 있다. 이러한 스페셜 서브프레임은 하향링크에서 상향링크로 전환하기 위함이고 스페셜 서브프레임에서는 데이터 채널은 하향링크만 가능하고 상향링크는 초기 접속을 위한 프리엠블(preamble)이나 채널 추정을 위한 프리엠블 전송에 가능하다.
TDD 라디오프레임 구성에서 하향링크를 가장 많이 전송 가능한 구성은 식별변호 211의 구성이며 식별변호 211과 같이 서브프레임 #0, 3, 4, 5, 6, 7, 8 및 9의 서브프레임에서 하향링크 전송이 가능하고 서브프레임 #2에서만 상향링크 전송이 가능하다. 서브프레임 #2은 스페셜 서브프레임으로 사용한다. 미리 구성된 TDD 라디오프레임 구성(215)은 모든 기지국이 동일한 구성을 사용하게 되며 이러한 구성의 결정은 장기적인 트래픽의 영향으로 결정할 수 있다. 반면 트래픽의 상황이 변하게 되어 이러한 구성을 변경해야 하는 경우에는 현재는 전체 시스템을 일시 중단하고 해당 라디오프레임 구성을 모든 셀이 변경한 다음에 다시 모든 단말을 다시 접속 시키는 비효율적이 방법을 사용해야 하며 따라서 실제로 구성을 변경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 또한 이와 같이 전체 통신 시스템을 일시 중단하고 라디오 프레임 구성을 변경한 뒤 시스템을 다시 시작하는 경우에는, 각 단말이 변경된 구성을 적용하는데 걸리는 시간이 가변적일 수 있는 바, 시스템 운용 중 해당 구성을 변경하는 것은 많은 부작용을 가지고 올 수 있다.
도 3은 시스템 정보를 기반으로 시스템의 구성 정보를 변경하고 단말에 지시하는 동작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식별번호 301은 현재 기지국이 구성한 TDD 구성 정보이다. 상기 TDD구성정보를 포함한 메시지를 식별번호 303과 같이 시스템 정보(SIB1, System information block1)를 통해 단말에 전달한다.
상기 단말은 식별번호 303의 정보를 수신함으로 시스템 정보의 변경을 인지하는데 만약 식별번호 303의 시스템 정보에 식별번호 305와 같이 TDD 구성(UL-DL configuration)이 A로 지시된 경우 단말은 자신의 상향링크와 하향링크 전송을 위한 타이밍을 TDD 구성 A를 기반으로 결정한다.
반면 상기 단말은 시스템 정보의 갱신 여부를 지속적으로 관찰하다가 변경이 감지되면 식별번호 307과 같이 다시 시스템 정보를 수신하여 새로 구성된 TDD 구성 B를 인지하고 이를 기반으로 상향링크와 하향링크의 전송/재전송 타이밍을 결정할 수 있다. 그러나 만약 상기 단말이 기존의 TDD 구성(305)을 기반으로 전송을 하는 도중에 식별번호 307의 구성으로 변경되는 경우 상기 단말은 사기 기지국이 송수신하는 구성 정보를 변경한 이후에 변경 여부를 인지하기 때문에 식별번호 305에서 식별번호 307로 변경되는 일정 시간 동안 자신이 사용해야 하는 타이밍에 대한 모호성으로 더 이상 데이터를 송수신하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이 UL-DL 구성을 변경할 경우, 상기 단말은 일정 시간이 지난 후에 송수신이 가능하게 되는데 동적으로 자원의 양을 변경하는 시스템에서 이러한 동작을 전체 시스템의 용량을 매우 떨어뜨리며 따라서 이러한 중단 없이 변경하는 기술이 필요하다.
도 4는 본 명세서에서 제안하는 제1실시 예에 따른 동적 TDD 시스템 운영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제안하는 제1실시 예는 상향링크 전송 타이밍을 위한 제2구성 정보를 시스템 정보 혹은 상위 시그널링으로 단말에 전송하고, 하향링크 전송 타이밍을 위한 기준 구성 정보인 제3구성 정보는 단말 공통 제어 채널을 통해 지시하며, 단말은 지시된 제 2구성과 제 3구성을 비교하여 동적 서브프레임 집합을 인지하며 단말 전용 제어 채널의 수신 성공 유무를 통해 해당 서브프레임에서 제2구성 정보가 지시하는 타이밍을 따를지 제3구성 정보가 지시하는 타이밍을 따를지 결정하는 방법이다.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기지국은 식별번호 401과 같이 제1구성 정보를 이용하여 기지국 간에 동기가 되어 있으며 해당 셀에 접속하는 모든 단말은 우선적으로 제1구성 정보를 통해 시스템에 접속할 수 있다.
이에 상기 기지국은 동적 TDD 운영을 위한 제2구성정보(401)를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상기 기지국은 시스템 정보(예. SIB1) 혹은 상위 시그널링(405)으로 제2구성 정보(401)를 상기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1구성 정보 및 제2구성 정보는 동일한 구성 정보일 수 있으며, 실시 예에 따라 각각 다른 별도의 구성정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지국은 단말 공통 제어 채널(407)을 통해 제3구성 정보(403)를 단말에 지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기지국은 제2구성 정보(401)를 제1구성 정보(401)와 동일하게 사용하는 것을 포함한다. 제3구성 정보(403)을 수신한 상기 단말의 상향링크 전송/재전송 타이밍은 제2구성정보(401)에 기반으로 운영하고, 상기 단말의 하향링크 전송/재전송 타이밍은 제3구성정보(403)를 기반으로 운영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2구성 정보(401)와 제3구성 정보(403)가 지시하는 서브프레임의 방향이 식별번호 413와 같이 다른 경우 해당 서브프레임의 집합을 flexible 서브프레임으로 인지할 수 있다. 식별번호 413와 같이 제2구성 정보(401)와 제3구성 정보(403)가 서로 다른 방향으로 지시하는 flexible 서브프레임(413)에 대해서 상기 단말은 각 단말에 전송되는 단말 전용 제어 채널의 전송 여부 혹은 CRC pass 여부에 의해서 제2구성 정보(401)의 타이밍을 따를지 제3구성 정보(403)의 타이밍을 따를지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해당 서브프레임(415)에 제2구성 정보(401)를 기반으로 링크된 하향링크에서 단말 전용 제어 채널 중에서 상향링크 전송을 위한 제어 채널의 CRC pass(409)가 된 경우에는 해당 서브프레임은 제2구성 정보(401)의 타이밍을 따르며, 만약 제2구성 정보를 기반으로 링크된 하향링크(417)에서 단말 전용 제어 채널 중에서 상향링크 전송을 위한 제어 채널의 CRC fail(419)인 경우에는 flexible 서브프레임(417)에서 하향링크 제어 채널 및 데이터 채널 수신을 시도하며, 상기 flexible 서브프레임(417)에서 수신이 성공(411)한 경우 하향링크에 대한 타이밍은 제3구성 정보(403)의 타이밍을 따른다.
본 실시 예에서 제2구성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시스템 정보 전송 방법과 상위 시그널링 방법은 SIB을 이용한 전송, RRC message를 이용한 전송 및 MAC control element을 이용한 전송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또한, flexible 서브프레임(413)이 아닌 서브프레임에서 전송되는 상향링크 전송에 대한 타이밍은 제2구성 정보를 따르지만 flexible 서브프레임(413)에서 지시되는 상향링크에 대한 전송은 제3구성 정보를 따른다. 여기서 flexible 서브프레임(413)에서 지시되는 상향링크에 대한 전송은 flexible 서브프레임(413)이 하향링크로 사용되고 해당 서브프레임에 하향링크 제어 채널 내에 CSI report에 대한 요구가 있는 경우이며, 이 경우 단말은 flexible 서브프레임 하향링크 사용된 경우에 측정된 CSI 정보를 전송하며, 이 때 전송은 제3구성 정보에서 정해진 ACK/NACK 전송 타이밍을 따를 수 있다. 이는 상향링크 전송을 지시하는 제2구성 정보에는 flexible 서브프레임이 하향링크로 사용될 때, 상기 하향링크로 사용되는 해당 서브프레임의 상향링크 타이밍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이다. 이와 관련된 설명은 도 8에서 후술한다.
Figure pat00001
*(A,B)=(First UL-DL configuration, Second UL-DL configuration)
또한, 본 발명에서 시스템이 운영 가능한 제2구성과 제3구성은 표 1과 의 구성의 조합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제안하는 표 1은 (제2구성, 제3구성)으로 표기되며, 1집합과 2집합으로 나누어 진다. 제1집합은 LTE가 지원하는 총 7개의 기준 구성을 기준으로 10msec RTT을 보장하면서 UL subset을 유지하는 집합이다.
상기 1집합의 경우에는 제2구성 정보와 제3구성 정보가 지시하는 각각 모든 서브프레임에서 데이터 스케줄링이 가능한 구성이다.
상기 2집합은 10msec RTT를 보장하지 않거나 UL subset을 유지하지 못하는 구성으로 2 집합에서는 제2구성 정보와 제3구성 정보가 지시하는 모든 서브프레임에서 스케줄링이 가능한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의 실시 예의 바람직한 실시는 기지국이 지시하는 제2구성과 제3구성이 표 1의 구성을 따른 조합을 사용하는 것이며 이 경우 보다 높은 자원 활용이 가능하다. 그러나 표 1의 구성이 아닌 임의의 구성의 집합을 사용하는 경우를 제한하지는 않는다.
제안하는 제1실시에 따르면 기지국은 느린 속도로 제2구성 정보로 충분한 상향링크 자원과 이에 따른 전송 타이밍을 확보하지만 공통 제어 채널을 통해 제2구성 정보가 지시한 상향링크에서 하향링크로 사용 가능한 자원을 변경할 수 있으며 실제 사용은 단말의 스케줄링 정보에 기반으로 운영함으로 동적으로 상향링크와 하향링크의 자원의 양을 조절할 수 있으며, 구성 정보 변경을 위한 overhead를 크게 증가하지 않는다.
또한, 실시 예에 따르면 단말이 인접 셀이 해당 flexible 서브프레임이 하향링크로 사용하는 경우에 상기 단말이 측정한 CSI 정보를 인접 셀이 상향링크인 경우에도 기지국에 전달할 수 있는 효과이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제 2실시에 따른 동적 TDD 시스템 운영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제안하는 제2실시 예는 상향링크 전송 타이밍을 위한 제2구성 정보와 하향링크 전송 타이밍을 위한 기준 구성 정보인 제3구성 정보를 단말 공통 제어 채널을 통해 동시에 지시하며, 상기 단말은 지시된 제2구성과 제3구성을 비교하여 동적 서브프레임 집합을 인지할 수 있다. 또한 제2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단말은 단말 전용 제어 채널의 수신 성공 여부를 기반으로 해당 서브프레임에서 제2구성 정보가 지시하는 타이밍을 따를지 제3 구성 정보가 지시하는 타이밍을 따를지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제2실시는 상향링크 구성을 지시하는 제2구성 정보도 동적으로 변경가능하고 단말 공통 제어 채널로 전송함으로 셀 내의 모든 단말이 판단의 모호함 없이 어떤 상향링크 타이밍을 따를지 판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제1실시 예에서, 상위 시그널링을 통해 UL-DL의 구성을 전송하는 것은, 단말 입장에서 셀 내의 모든 단말이 해당 구성의 변경을 인지하는 시점이 다를 수 있기 때문에 운영에 모호함이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공통 제어 채널을 통해 UL-DL의 구성을 전송할 경우 셀 내의 단말이 동일한 타이밍에 UL-DL 구성의 변경을 인식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기지국은 식별번호 501과 같이 제1구성 정보를 이용하여 기지국 간에 동기가 되어 있다. 상기 기지국이 형성하는 해당 셀에 접속하는 모든 단말은 우선적으로 제1구성 정보에 따라 기지국과 통신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단말들은 제1구성 정보를 포함하는 시스템 정보(505)를 수신함으로 상기 기지국과 신호를 송수신 할 수 있다.
이에 상기 기지국은 동적 TDD 운영을 위해 공통 제어 채널(507)을 통해 제2구성 정보와 제3구성 정보(503)를 상기 단말에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제2구성 정보와 제3구성 정보는(503) 실시 예에 따라 동시에 상기 단말에 전달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기지국은 제1구성 정보(501)와 동일한 구성의 제2구성 정보를 상기 단말에 전달할 수 있으나, 다른 구성 정보를 전달할 수도 있다. 제2구성 정보와 제3구성 정보(503)를 수신한 상기 단말의 상향링크 전송/재전송 타이밍은 제2구성정보(503)에 기반으로 운영하고 단말의 하향링크 전송/재전송 타이밍은 제3구성정보(503)를 기반으로 운영될 수 있다.
제2구성 정보(503)와 제3구성 정보(503)가 지시하는 서브프레임의 송수신방향이 식별번호 515와 같이 다른 경우, 상기 단말은 해당 서브프레임의 집합을 flexible 서브프레임(519)으로 인지한다.
식별번호 519와 같이 제2구성 정보(523)와제 3구성 정보(525)가 서로 다른 방향으로 지시하는 flexible 서브프레임(519)에 대해서, 상기 단말은 각 단말에 전송되는 단말 전용 제어 채널의 전송 여부 혹은 CRC pass 여부에 의해서 제2구성 정보의 타이밍을 따를지 제3구성 정보의 타이밍을 따를지 결정한다.
따라서, 상기 단말은 해당 서브프레임(515)에서 제2구성 정보를 기반으로 링크된 하향링크에서 단말 전용 제어 채널 중에서 상향링크 전송을 위한 제어 채널의 CRC pass(509)가 된 경우에는 해당 서브프레임은 제2구성 정보의 타이밍을 따른다. 만약 상기 단말이 제2구성 정보를 기반으로 링크된 하향링크(517)에서 단말 전용 제어 채널 중에서 상향링크 전송을 위한 제어 채널의 CRC fail(511)한 경우에는 flexible 서브프레임(517)에서 하향링크 제어 채널 및 데이터 채널 수신을 시도하며, 수신이 성공(513)한 경우 하향링크에 대한 타이밍은 제 3구성 정보(503)의 타이밍을 따른다.
또한, 상기 실시 예에서 단말이 UL-DL 구성을 기반으로 신호를 수신 할 때, flexible 서브프레임이 아닌 서브프레임에서 전송되는 상향링크 전송에 대한 타이밍은 제2구성 정보를 따르지만, flexible 서브프레임에서 지시되는 상향링크에 대한 전송은 제3구성 정보를 따를 수 있다. 여기서 flexible 서브프레임에서 지시되는 상향링크에 대한 전송은 flexible 서브프레임(517)이 하향링크로 사용되고 해당 서브프레임에 하향링크 제어 채널 내에 CSI report에 대한 요구가 있는 경우이며, 이 경우 상기 단말은 flexible 서브프레임 하향링크 사용된 경우에 측정된 CSI 정보를 상기 기지국에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단말은 상기 CSI 정보를 전송하는 타이밍을 결정 할 때, 제3구성 정보에서 정해진 ACK/NACK 전송 타이밍을 따를 수 있다. 이는 상향링크 전송을 지시하는 제2구성 정보에는 flexible 서브프레임이 하향링크로 사용될 때 해당 서브프레임의 상향링크 타이밍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이다.
또한, 실시 예에서 공통 제어 채널을 통해 전송되는 제2구성과 제3구성의 조합은 표 2에 나타난 조합 중 하나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제안하는 표 2은 (제2구성, 제3구성)으로 표기되며, 각 구성은 제1집합과 제2집합으로 나누어 질 수 있다. 제1집합은 통상의 LTE가 지원하는 총7개의 기준 구성을 기준으로 10msec RTT을 보장하면서 UL subset을 유지하는 집합이다.
상기 제1집합의 경우에는 제2구성 정보와 제3구성 정보가 지시하는 각각 모든 서브프레임에서 데이터 스케줄링이 가능한 구성이다.
상기 제2집합은 10msec RTT를 보장하지 않거나 UL subset을 유지하지 못하는 구성으로 제2집합에서는 제2구성 정보와 제3구성 정보가 지시하는 모든 서브프레임에서 스케줄링이 가능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 예에서 바람직한 실시는 상기 기지국이 지시하는 제2구성과 제3구성이 표 1 또는 표 2의 구성을 따른 조합을 사용하는 것이며 이 경우 보다 높은 자원 활용이 가능하며, 임의의 집합을 사용하는 경우를 제한하지 않는다.
도 6는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제3실시예에 따른 동적 TDD 시스템 운영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제안하는 제 3실시 예에서, 기지국은 단말에게 상향링크 전송 타이밍을 위한 제2구성 정보와 하향링크 전송 타이밍을 위한 기준 구성 정보인 제3구성 정보를 단말 공통 제어 채널을 통해 별도로 지시할 수 있다. 상기 단말은 지시된 제2구성과 제3구성을 비교하여 동적 서브프레임 집합을 인지하며, 또한 상기 단말은 단말 전용 제어 채널의 수신 성공 유무를 통해 해당 서브프레임에서 제2구성 정보가 지시하는 타이밍을 따를지 제3구성 정보가 지시하는 타이밍을 따를지 결정할 수 있다.
제3실시 예에서 제2구성정보와 제3구성 정보는 동일한 공통 제어 채널을 이용하여 전송될 수 있으며, 동일 서브프레임에 제2구성 정보와 제3구성 정보가 동시에 전송되지 않는 것이 특징이다.
실시 예에서 제2구성 정보와 제3구성 정보가 전송되는 전송 서브프레임은 미리 정해진 규칙을 통해 결정되거나, 상위 시그널링을 통해 전송되는 서브프레임 후보를 단말에 지시하는 방법으로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제 3실시 예에서 제3구성 정보가 제2구성 정보보다 더 빠른 주기로 전송 될 수 있으나, 상기 주기는 실시 예에 따라 가변적일 수 있다.
제3실시 예는 상향링크 구성을 지시하는 제2구성 정보와 하향링크 구성을 지시하는 제3구성 정보를 동적으로 변경가능하고, 상기 기지국이 상기 구성 정보들을 단말 공통 제어 채널로 각각 셀 내의 단말들에게 전송함으로써, 상기 셀 내의 모든 단말이 판단의 모호함 없이 어떤 상향링크 또는 하향링크 타이밍을 따를지 판단할 수 있다. 제3실시 예를 제2실시 예와 비교하면, 실시 예에서 제2구성 정보는 비교적 적은 주기로 단말에 알려주는 것이 유리하기 때문에 제3실시 예와 같이 별도의 주기로 전송하는 경우 추가적인 시그널링 오버헤드 감소가 있다.
도 6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기지국은 식별번호 601과 같이 제1구성 정보를 이용하여 셀을 형성하는 기지국 간에 동기를 이룰 수 있다. 해당 셀에 접속하는 모든 단말은 우선적으로 제1구성 정보를 기반으로 기지국과 데이터를 송수신 할 수 있으며, 상기 제1구성 정보는 시스템 정보(607)를 통해 수신할 수 있다.
상기 기지국은 동적 TDD 운영을 위해 공통 제어 채널(609)으로 제2구성 정보와 제3구성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셀 내의 단말에 전달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상기 기지국은 제2구성 정보(603)를 제1구성 정보(601)와 동일한 UL-DL 구성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기지국이 제2구성 정보(603)를 상기 단말에 전달하는 주기가 상기 기지국이 제3구성 정보(605)를 상기 단말에 전달하는 주기보다 길게 설정될 수 있다.
상기 기지국이 전송한 신호를 수신한 단말은 상기 단말의 상향링크 전송/재전송 타이밍의 경우 제2구성정보(603)에 기반으로 운영하고, 상기 단말의 하향링크 전송/재전송 타이밍은 제3구성정보(605)를 기반으로 운영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2구성 정보(603)와 제3구성 정보(605)가 지시하는 서브프레임의 방향이 식별번호 619와 같이 서로 다른 경우, 상기 단말은 해당 서브프레임의 집합을 flexible 서브프레임(621)으로 인지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619와 같이 제2구성 정보(603)와 제3구성 정보(605)가 서로 다른 방향으로 지시하는 flexible 서브프레임(621)에 대해서 상기 단말은 각 단말에 전송되는 단말 전용 제어 채널의 전송 여부 혹은 CRC pass 여부를 기반으로 상기 기지국과의 신호 송수신에서 제2구성 정보(603)의 타이밍을 따를지 제3구성 정보(605)의 타이밍을 따를지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해당 서브프레임(619)에 제2구성 정보(603)를 기반으로 링크된 하향링크에서 단말 전용 제어 채널 중에서 상향링크 전송을 위한 제어 채널의 CRC pass(613)가 된 경우에, 상기 단말은 해당 서브프레임은 제2구성 정보(603)의 타이밍을 따를 수 있다. 또한 만약 제 2구성 정보(603)를 기반으로 링크된 하향링크(619)에서 단말 전용 제어 채널 중에서 상향링크 전송을 위한 제어 채널의 CRC fail(615)인 경우에 상기 단말은 flexible 서브프레임(619)에서 하향링크 제어 채널 및 데이터 채널 수신을 시도하며, 수신이 성공(617)한 경우 하향링크에 대한 타이밍은 제3구성 정보(605)의 타이밍을 따를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말은 flexible 서브프레임이 아닌 서브프레임에서 전송되는 상향링크 전송에 대한 타이밍의 경우 제2구성 정보(603)를 따르지만, flexible 서브프레임(621)에서 지시되는 상향링크에 대한 전송의 경우 제3구성 정보(605)에서 정한 타이밍을 따를 수 있다. 여기서 flexible 서브프레임에서 지시되는 상향링크에 대한 전송은 flexible 서브프레임(619)이 하향링크로 사용되고 해당 서브프레임에 하향링크 제어 채널 내에 CSI report에 대한 요구가 있는 경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단말은 flexible 서브프레임 하향링크 사용된 경우에 측정된 CSI 정보를 기지국으로 전송하며 이 때 상기 단말은 상기 CSI의 전송을 제3구성 정보(605)에서 정해진 ACK/NACK 전송 타이밍에 따라 전송할 수 있다. 이는 상향링크 전송을 지시하는 제2구성 정보에는 flexible 서브프레임이 하향링크로 사용될 때 해당 서브프레임의 상향링크 타이밍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공통 제어 채널을 통해 전송되는 제2구성과 제3구성은 표 2의 구성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제1공통 제어 채널(609)은 제2구성 정보를 포함하며, 이는 표 2의 common 1에 해당한다.
제2공통 제어 채널(611)은 표 2의 common2와 같이 정해진 제2구성과 제3구성의 조합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러한 조합은 표 1에 기반한 것이며, (제2구성, 제3구성)으로 표기되며, 제1집합과 제2집합으로 나누어 진다.
제1집합은 LTE가 지원하는 총7개의 기준 구성을 기준으로 10msec RTT을 보장하면서 UL subset을 유지하는 집합이다. 제1집합의 경우 제2구성 정보와 제3구성 정보가 지시하는 각각 모든 서브프레임에서 데이터 스케줄링이 가능한 구성이다.
제2집합은 10msec RTT를 보장하지 않거나 UL subset을 유지하지 못하는 구성으로 제2집합에서는 제2구성 정보와 제3구성 정보가 지시하는 모든 서브프레임에서 스케줄링이 가능하지 않을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바람직한 실시는 상기 기지국이 지시하는 제2구성과 제3구성이 표 1 또는 표 2의 구성을 따른 조합을 사용하는 것이다. 이 경우 보다 높은 자원 활용이 가능하나 실시 예에서 상기 표 1 또는 표 2의 구성을 제외한 임의의 집합을 사용할 수도 있다.
Figure pat00002
도 7은 본 발명이 제안하는 제 4실시로 본 발명이 제안하는 제한된 제 2구성과 제 3구성집합에 따른 변경 지시 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참조하여 설명하면, 단말이 본 명세서의 실시 예에서 제안하는 제2구성(701)과 제3구성(703)의 집합을 이용하는 경우, 상향링크 전송을 위한 제 2구성 정보가 동적으로 변경되기 위해서는 제안하는 방법으로 운영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향링크 전송이 끊김 없이 지속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가령, 기지국이 현재 지시한 제2구성과 제3구성의 조합이 식별번호 705와 같이(2,1)이고 이후에 식별번호 707와 같이 (1,5)로 변경하려고 하는 경우, 상향링크를 위한 구성인 제2구성 정보를 2에서 1로 변경하는 경우에 상기 제2 구성 정보를 2에서 1로 전환하는 동안 서로 타이밍이 혼란이 발생한다.
이것이 하향링크를 위한 제3구성 역시 동적으로 변경되기 때문에 단말은 실제로 사용 가능한 서브프레임이 모호해질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경우 기지국은 현재의 구성 정보를 고려하여 (2,1)로 운영되는 구성을 식별 번호 711과 같이 (1,1)로 변경하여 상향링크의 변경이 하향링크의 자원에 영향이 없도록 하며, 이후 식별번호 707과 같이 (1,5)로 변경하여 단말이 flexible 서브프레임이 어떤 것인지 불명확한 상황을 미리 방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하여, 상기 기지국은 UL-DL 구성을 조합을 변경할 때 변겨오디는 시점에서 단말 및 기지국이 데이터를 용이하게 송수신 할 수 있도록 다른 조합을 거쳐서 UL-DL 구성을 변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을 통해 상향링크 또는 항향링크 전송이 끊김 없이 지속될 수 있다.
도 8은 실시 예가 제안하는 제2구성과 제3구성에 따른 상향링크와 하향링크 타이밍 운영 방안을 도시한 예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8은 제2구성과 제3구성 정보에 따른 상향링크 전송/재전송 동작과 하향링크 전송/재전송 동작, 그리고 CSI request가 존재하는 경우 변경된 타이밍에 대한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현재 기지국은 단말에 식별번호 801와 식별번호 803과 같이 제2구성 정보는 도 2의 설정 0(201)로 지시하고 제 3구성 정보는 도 2의 설정 5(211)로 지시한 경우이다. 이 경우 상기 단말은 자신의 상향링크 전송/재전송, 즉,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을 위한 상향링크 제어 채널과 이에 따르는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 전송 그리고 상기 기지국이 상기 단말이 보낸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에 대한 응답 채널 전송 타이밍은 기지국이 지시한 제2구성 정보(801)를 따를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말은 하향링크 전송/재전송, 즉, 하향링크 데이터 채널을 위한 하향링크 제어 채널과 이에 따르는 하향링크 데이터 채널 전송 그리고 단말이 기지국에 보내는 응답 채널에 대한 타이밍은 기지국이 지시한 제3구성 정보(803)를 따를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말은 제2구성 정보와 제3구성 정보를 기반으로 flexible 서브프레임의 집합을 인지할 수 있는데 만약 식별번호 801와 803과 같이 제2구성 정보와 제3구성 정보를 인지한 경우, 상기 단말은 해당 서브프레임 위치를 비교하여 동일 서브프레임에서 상향링크와 하향링크가 서로 다르게 지시되는 서브프레임을 도 5의 식별번호 517과 같이 flexible 서브프레임으로 인지한다. 따라서 상기 단말은 flexible 서브프레임이 아닌 서브프레임에 대한 전송의 경우 상향링크는 제2구성 정보를 기반으로 운영하고, 하향링크는 제3구성 정보를 기반으로 운영할 수 있다. Flexible 서브프레임(817)의 경우 기지국은 해당 서브프레임을 상향링크나 하향링크 모두 운영할 수 있는데 이를 위해서 상기 기지국은 해당 서브프레임의 전송을 위한 단말 전용 제어 채널을 이용한다.
만약 식별번호 807과 같이 해당 서브프레임을 하향링크로 운영하는 경우에는 기지국은 식별번호 807에 하향링크 제어 채널을 상기 단말에 보내고, 상기 단말은 해당 하향링크 전송에 대한 응답 채널을 제3구성에 기반하여 식별번호 830의 타이밍에 상향링크 제어 채널로 상기 기지국에 전송한다.
반면 상기 단말이 식별번호 811과 같이 flexible 서브프레임을 상향링크로 이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기지국은 제2구성 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서브프레임의 상향링크 제어 채널 전송 타이밍에 해당하는 하향링크(809)에서 상향링크 스케줄링 제어 채널을 전송하며, 이를 수신한 단말은 상기 제2구성 정보에 정의된 타이밍을 기반으로 식별번호 811에서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을 전송하고 해당 서브프레임에서 하향링크 제어 채널을 전송하지 않을 수 있다. 만약 flexible 서브프레임을 상향링크로 사용한 데이터 채널이 NACK 발생하여 재전송이 필요한 경우에는 식별번호 813과 같이 제 2구성 정보를 기반으로 재전송을 지시하여 해당 flexible 서브프레임이 계속 상향링크(817)로 사용할 수 있다.
반면 ACK이 발생한 경우는 식별번호 815와 같이 재전송 요구가 발생하지 않으며 따라서 기지국은 식별번호 819의 flexible 서브프레임에 하향링크 전송이 가능하다.
CSI request의 경우 CSI request는 flexible 서브프레임과 flexible 서브프레임이 아닌 곳에서 모두 발생할 수 있다. flexible 서브프레임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해당 단말은 flexible 서브프레임이 하향링크로 사용된 경우를 가정한 CSI를 피드백 할 수 있고, 그러지 않은 경우 해당 단말은 flexible 서브프레임이 아닌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에 대한 CSI를 피드백 할 수 있다.
CSI 피드백은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을 통해 전송되는데, 제2구성정보를 기반으로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을 사용하는 단말은 flexible 서브프레임이 제2구성정보를 기반으로는 상향링크 이기 때문에 해당 서브프레임이 하향링크로 운영되는 경우 전송을 위한 타이밍이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단말은 flexible 서브프레임에서 CSI request가 전송되는 경우에는 해당 정보는 제3구성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하향링크 전송에 대한 상향링크 응답 채널 타이밍(821)을 기반으로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에 전송할 수 있다.
만약 식별번호 823과 같이 flexible 서브프레임이 아닌 하향링크에 CSI request가 발생한 경우, 상기 단말은 제2구성 정보에 따른 타이밍의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에서 상기 기지국에 피드백을 한다. 이러한 운영 방법은 실제로 기지국이 식별번호 801와 식별번호 803과 같이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의 비중이 4개 와 1개인 구성을 지시했지만 실제로 운영되는 비중은 식별번호 805와 같이 4개에서 1개 그리고 2개로 동적으로 변경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변경은 UL-DL 구성 정보 변경관 관련된 정보가 단말 전용 제어 채널을 이용하여 전송되어서 적용되기 때문이며, 따라서 본 실시 예에서 기지국은 제2구성 정보와 제3구성 정보는 비중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지국은 제2구성 정보와 제3구성 정보의 최대와 최소 값을 결정 할 수 있으며, 이를 동적으로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기지국은 추가로 단말 전용 제어 채널 내에서 보다 정확한 트래픽 변화에 따른 UL-DL 구성을 변경하는 조절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 9는 본 발명이 제안하는 간섭 제어를 위한 기지국 동작 순서를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도 9을 참조하며 설명하면, 단계 901에서 기지국은 상위 시그널링을 통해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 전송 및 재전송을 위한 타이밍을 위해 제2구성 정보를 제안할 수 있다. 상기 제2구성 정보는 실시에 따라 상위 시그널링 혹은 시스템 정보 혹은 단말 공통 제어 채널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단계 903에서 상기 기지국은 하향링크 데이터 채널 전송 및 재전송을 위한 타이밍을 위해 제3구성 정보를 단말 공통 제어 채널을 통해 단말에 전송한다.
이후 단계 905에서 상기 기지국은 flexible 서브프레임이 상향링크로 사용되는지 판단할 수 있다.
만약 상향링크로 사용되는 경우 단계 907에서 상기 기지국은 기준 구성 정보 2를 이용하여 연결된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에 상향링크 grant 제어 채널 전송할 수 있다.
만약 flexible 서브프레임이 하향링크로 사용되는 경우 단계 909과 같이 제2구성 정보를 이용하여 연결된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에 상향링크 grant 제어 채널 전송하지 않고 제2구성 정보를 이용하여 flexible 서브프레임에서 하향링크 제어 채널 전송을 전송하고 이에 대한 타이밍은 제2구성 정보를 따른다.
이와 같은 기지국의 동작은 실시 예 1 내지 4에서 일부 공통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이 제안하는 단말의 동작 순서를 도시하는 순서도 이다.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단계 1001에서 상기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상향링크 전송을 위한 제2구성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단말은 상기 제2구성 정보를 상위 시그널링 혹은 공통 제어 채널을 통해 획득할 수 있다.
상기 단말은 단계 1003에서 하향링크 전송을 위한 제3구성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단말은 공통 제어 채널을 통해 하향링크 전송을 위한 제 3구성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단계 1005에서 상기 단말은 상기 획득한 제2구성 정보와 제3구성 정보를 기반으로 flexible 서브프레임을 판단한다.
단계 1007에서 상기 단말은 제2구성 정보를 이용하여 연결된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에 상향링크 grant 제어 채널 수신이 성공하였는지 판단할 수 있다.(CRC SUCCESS/fail)
제2구성 정보를 이용하여 연결된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에 상향링크 grant 제어 채널 수신 성공 (CRC success)인 경우, 단계 1009에서 상기 단말은 flexible 서브프레임을 상향링크로 사용된다는 것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만약 CSI request가 있는 경우 기준 구성 정보 2의 타이밍에 따라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에 CSI를 피드백 한다.
만약 제2구성 정보를 이용하여 연결된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에 상향링크 grant 제어 채널 수신 실패(CRC fail)하면, 단계 1011에서 제2구성 정보를 이용하여 flexible 서브프레임에서 하향링크 제어 채널 수신(CRC success)인 경우 flexible 서브프레임에서 하향링크 데이터 채널 수신하며 해당 제어 채널에 CSI request가 있는 경우 해당 제3구성 정보를 기반한 하향링크의 ACK/NACK 타이밍에 CSI를 피드백한다. 또한 상기 단말은 만약 전송하는 하향링크의 ACK/NACK 타이밍이 제2구성 정보 기준으로 상향링크가 아닌 경우에는 전송하지 않을 수 있다.
이와 같은 단말의 동작은 실시 예 1 내지 4에서 일부 공통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이 제안하는 셀 간 간섭 제어를 위한 기지국 장치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기지국 컨트롤러 (1111)는 서로 다른 구성 정보를 기반으로 하향링크 스케줄러(1113)와 상향링크 스케줄러(1109)을 운영하고 제2구성 정보를 상향링크 스케줄링에 제3구성 정보를 하향링크 스케줄링에 사용 한다. 하향링크 스케줄러(1113)는 제어 채널 송신기(1110)와 데이터 채널 송신기(1112), 제어 채널 수신기(1108)을 통해 단말에 스케줄링 정보와 데이터 채널을 전송하는데 flexible 서브프레임을 하향링크로 운영 하는 경우 하향링크 스케줄러(1113)는 해당 서브프레임에 하향링크 스케줄링 정보를 전송하고 데이터 채널을 전송하며 해당 데이터 채널에 대한 응답 채널을 제어 채널 수신기(1108)을 통해 수신하며 수신 시점은 제3구성 정보를 따른다. 상향링크 스케줄러(1109)는 단말의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을 수신하는 데에 있어서 제어 채널 발생기(1110), 데이터 채널 수신기(1107)를 통해 상향링크 전송을 관리하며 해당 전송 타이밍은 제 2구성 정보를 기반으로 송수신을 지시한다. 기지국 컨틀롤러(1111)는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은 기지국의 RF 장비(1101)로부터 제 2구성 정보를 기반으로 듀플렉서(1103)를 수신 동작으로 전환하여 수신장치(1105)를 동작 시키며 해당 듀플렉스를 동작하며, 하향링크에 대한 수신은 기지국의 RF(1101)로부터 제 3구성 정보를 기반으로 듀플렉서(1103)를 송신 동작으로 전환하여 송신장치(1106)를 동작시키고 이 때 발생한 제어 채널과 데이터 채널을 단말에 전송한다.
도 12는 본 발명이 제안하는 단말 장치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단말 컨트롤러(1209)는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제 2구성 정보와 제 3구성 정보를 이용하여 상향링크 데이터 송신을 위해서는 컨트롤러(1209)는 RF(1201)를 전송장치(1206)가 동작하도록 듀플렉서(1203)를 송신 동작으로 변경하며 이 때 전송하는 제어 채널과 데이터 채널은 제어 채널 발생기(1213)와 데이터 채널 발생기(1214)를 전송하며 이 때 제어 채널 전송은 제 3 구성 정보를 따르며 사향링크 데이터 채널 전송은 제 2구성 정보의 타이밍을 따른다. 단말 컨트롤러(1209)는 하향링크 데이터 수신을 위해서는 컨트롤러(1209)는 RF(1201)를 수신장치(1205)가 동작하도록 듀플렉서(1203)를 수신 동작으로 변경하며 이 때 수신하는 제어 채널과 데이터 채널은 제어 채널 수신기(1207)와 데이터 채널 수신기(1211)을 통해 수신하며 이 때 하향링크 제어 채널 수신은 제 3 구성 정보를 따르며 상향링크 제어 채널 수신은 제 2구성 정보를 따르며 하향링크 데이터 채널 수신은 제 3구성 정보의 타이밍을 따른다.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Claims (20)

  1. 시분할 복신(Time Division Duplex, TDD) 시스템의 단말에서 신호 송수신 방법에 있어서,
    기지국으로부터 상향링크 및 하향링크 전송과 관련된 제1구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향링크 전송과 관련된 제2구성 정보 및 하향링크 전송과 관련된 제3구성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2구성 정보 및 상기 제3구성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기지국과 신호를 송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신호 송수신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구성 정보 및 제3구성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2구성 정보 및 상기 제3구성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하향링크 공통 제어 채널을 통해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송수신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특정 서브프레임에서 상기 제2구성 정보 및 상기 제3구성 정보가 지정하는 링크의 방향이 상이한 경우, 상기 특정 서브 프레임에서 상향링크 전송을 위한 제어 채널을 성공적으로 수신하였는지 여부를 기반으로 상기 제2구성 정보 또는 상기 제3구성 정보를 적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송수신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서브프레임에서 하향링크 신호를 수신한 경우, 상기 수신한 하향링크에 대한 수신 성공 여부를 포함하는 정보를 상기 제3구성 정보에 따라 상기 기지국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송수신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구성 정보 및 제3구성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3구성 정보를 상기 제2구성 정보보다 빠른 주기로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송수신 방법.
  6. 시분할 복신(Time Division Duplex, TDD) 시스템의 기지국에서 신호 송수신 방법에 있어서,
    단말로 상향링크 및 하향링크 전송과 관련된 제1구성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단말로 상향링크 전송과 관련된 제2구성 정보 및 하향링크 전송과 관련된 제3구성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2구성 정보 및 상기 제3구성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단말과 신호를 송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신호 송수신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구성 정보 및 제3구성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제2구성 정보 및 상기 제3구성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하향링크 공통 제어 채널을 통해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송수신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특정 서브프레임에서 상기 제2구성 정보 및 상기 제3구성 정보가 지정하는 링크의 방향이 상이한 경우, 상기 특정 서브 프레임에서 상향링크 전송을 위한 제어 채널을 성공적으로 수신하였는지 여부를 기반으로 상기 제2구성 정보 또는 상기 제3구성 정보를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송수신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이 상기 특정 서브프레임에서 하향링크 신호를 수신한 경우, 상기 단말이 수신한 하향링크에 대한 수신 성공 여부를 포함하는 정보를 상기 제3구성 정보에 따라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송수신 방법.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구성 정보 및 제3구성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제3구성 정보를 상기 제2구성 정보보다 빠른 주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송수신 방법.
  11. 시분할 복신(Time Division Duplex, TDD) 시스템의 단말에 있어서,
    기지국과 신호를 송수신하는 송수신부; 및
    상기 송수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향링크 및 하향링크 전송과 관련된 제1구성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향링크 전송과 관련된 제2구성 정보 및 하향링크 전송과 관련된 제3구성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고, 상기 제2구성 정보 및 상기 제3구성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기지국과 신호를 송수신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단말.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구성 정보 및 상기 제3구성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하향링크 공통 제어 채널을 통해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특정 서브프레임에서 상기 제2구성 정보 및 상기 제3구성 정보가 지정하는 링크의 방향이 상이한 경우, 상기 특정 서브 프레임에서 상향링크 전송을 위한 제어 채널을 성공적으로 수신하였는지 여부를 기반으로 상기 제2구성 정보 또는 상기 제3구성 정보를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특정 서브프레임에서 하향링크 신호를 수신한 경우, 상기 수신한 하향링크에 대한 수신 성공 여부를 포함하는 정보를 상기 제3구성 정보에 따라 상기 기지국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3구성 정보를 상기 제2구성 정보보다 빠른 주기로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6. 시분할 복신(Time Division Duplex, TDD) 시스템의 기지국에 있어서,
    단말과 신호를 송수신하는 송수신부; 및
    상기 송수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단말로 상향링크 및 하향링크 전송과 관련된 제1구성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단말로 상향링크 전송과 관련된 제2구성 정보 및 하향링크 전송과 관련된 제3구성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전송하고, 상기 제2구성 정보 및 상기 제3구성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단말과 신호를 송수신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기지국.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구성 정보 및 상기 제3구성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하향링크 공통 제어 채널을 통해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특정 서브프레임에서 상기 제2구성 정보 및 상기 제3구성 정보가 지정하는 링크의 방향이 상이한 경우, 상기 특정 서브 프레임에서 상향링크 전송을 위한 제어 채널을 성공적으로 수신하였는지 여부를 기반으로 상기 제2구성 정보 또는 상기 제3구성 정보를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단말이 상기 특정 서브프레임에서 하향링크 신호를 수신한 경우, 상기 단말이 수신한 하향링크에 대한 수신 성공 여부를 포함하는 정보를 상기 제3구성 정보에 따라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2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3구성 정보를 상기 제2구성 정보보다 빠른 주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KR1020130055285A 2013-05-15 2013-05-15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동적 시분할 복식 시스템 운영 방법 및 장치 Withdrawn KR20140135331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5285A KR20140135331A (ko) 2013-05-15 2013-05-15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동적 시분할 복식 시스템 운영 방법 및 장치
US14/276,456 US9698966B2 (en) 2013-05-15 2014-05-13 Dynamic TDD ope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us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14797709.4A EP2997672A4 (en) 2013-05-15 2014-05-13 Method for dynamic TDD operation and apparatus for us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201480028490.4A CN105210312A (zh) 2013-05-15 2014-05-13 用于无线通信系统的动态时分复用的操作方法和设备
PCT/KR2014/004270 WO2014185689A1 (en) 2013-05-15 2014-05-13 Dynamic tdd ope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us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5285A KR20140135331A (ko) 2013-05-15 2013-05-15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동적 시분할 복식 시스템 운영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5331A true KR20140135331A (ko) 2014-11-26

Family

ID=518957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5285A Withdrawn KR20140135331A (ko) 2013-05-15 2013-05-15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동적 시분할 복식 시스템 운영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698966B2 (ko)
EP (1) EP2997672A4 (ko)
KR (1) KR20140135331A (ko)
CN (1) CN105210312A (ko)
WO (1) WO201418568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326562B2 (en) 2013-11-13 2019-06-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power headroom report and hybrid automatic retransmission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936519B2 (en) 2015-03-15 2018-04-03 Qualcomm Incorporated Self-contained time division duplex (TDD) subframe structure for wireless communications
US10342012B2 (en) 2015-03-15 2019-07-02 Qualcomm Incorporated Self-contained time division duplex (TDD) subframe structure
US10075970B2 (en) 2015-03-15 2018-09-11 Qualcomm Incorporated Mission critical data support in self-contained time division duplex (TDD) subframe structure
US9814058B2 (en) 2015-05-15 2017-11-07 Qualcomm Incorporated Scaled symbols for a self-contained time division duplex (TDD) subframe structure
US9992790B2 (en) * 2015-07-20 2018-06-05 Qualcomm Incorporated Time division duplex (TDD) subframe structure supporting single and multiple interlace modes
US10536942B2 (en) * 2015-10-18 2020-01-14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device for communicating using wireless frame in TDD-base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1336584B2 (en) * 2016-12-07 2022-05-17 Fuji Corporation Communication control device that varies data partitions based on a status of connected nodes
WO2018223349A1 (en) 2017-06-08 2018-12-13 Qualcomm Incorporated Collision handling mechanisms for dynamic tdd systems
CN109152022B (zh) * 2017-06-16 2023-05-09 中国移动通信有限公司研究院 一种定时关系的指示、接收方法、网络侧设备及终端
EP3695538A1 (en) 2017-10-11 2020-08-19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Acknowledgement signaling processes for radio access networks
US10707915B2 (en) * 2017-12-04 2020-07-07 Qualcomm Incorporated Narrowband frequency hopping mechanisms to overcome bandwidth restrictions in the unlicensed frequency spectrum
US10784999B2 (en) * 2017-12-08 2020-09-22 Qualcomm Incorporated Narrowband physical broadcast channel design on multiple anchor channels
WO2019126975A1 (zh) * 2017-12-26 2019-07-04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传输方向的确定方法及装置、计算机存储介质
CN111726864B (zh) * 2019-03-21 2023-07-18 华为技术有限公司 通信方法、装置
CN114339713B (zh) * 2020-09-29 2023-07-14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传输处理方法、终端及网络侧设备

Family Cites Families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971241B2 (en) * 2008-09-30 2015-03-03 Qualcolmm Incorporated Techniques for supporting relay oper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US8341481B2 (en) * 2009-02-19 2012-12-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performing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operation in a wireles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N101925110B (zh) * 2009-06-16 2013-08-07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中继链路上行反馈信息的传输方法、中继站及基站
CN102036398B (zh) * 2009-09-29 2015-06-03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中继节点及其传输数据的方法
US8559343B2 (en) * 2009-12-23 2013-10-15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Flexible subframes
KR101750371B1 (ko) * 2009-12-24 2017-07-03 삼성전자 주식회사 크로스 캐리어 스케쥴링을 지원하는 tdd 통신시스템에서 물리채널의 송수신 타이밍을 정의하는 방법
KR101077778B1 (ko) 2010-09-29 2011-10-28 주식회사 이노와이어리스 Lte-tdd 신호에서의 ul/dl 컨피규레이션 자동 검출 장치 및 방법
KR101549763B1 (ko) * 2011-02-10 2015-09-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반송파 집성 시스템에서 스케줄링 방법 및 장치
KR101530800B1 (ko) * 2011-02-10 2015-06-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수신확인 전송 방법 및 장치
EP3413479B1 (en) * 2011-04-05 2020-12-02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cheduling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9300424B2 (en) * 2011-04-08 2016-03-29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receiving signals with a terminal in TD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8934350B2 (en) * 2011-05-23 2015-01-13 Qualcomm Incorporated Channel state information feedback for carrier aggregation with flexible carrier configurations
US20140122957A1 (en) * 2011-05-30 2014-05-01 Broadcom Corporation Method, an Apparatus and a Network Element for Dynamical TDD Configuration
EP2719217A4 (en) * 2011-06-09 2015-09-02 Broadcom Corp INTERFERENCE CONTROL IN TIME-DIVISION DUPLEX COMMUNICATION
CN103636149B (zh) 2011-06-28 2016-12-07 Lg电子株式会社 无线通信系统中用户设备收发信号的方法
KR20130004846A (ko) * 2011-07-04 2013-01-14 주식회사 팬택 다중 요소반송파를 이용하는 tdd시스템에서의 제어정보의 전송방법 및 처리방법, 그 기지국, 그 단말
US8891402B2 (en) 2011-09-30 2014-11-18 Sharp Kabushiki Kaisha Devices for reporting uplink information
EP2775641B1 (en) * 2011-11-02 2018-07-18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ceiving preamble in wireless access system and apparatus for same
CN103891341B (zh) * 2011-11-07 2018-06-08 松下电器(美国)知识产权公司 基站装置和发送方法
KR20130059694A (ko) * 2011-11-29 2013-06-07 주식회사 팬택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에서 셀 선택적 신호 송수신 장치 및 방법
KR20130069284A (ko) * 2011-12-16 2013-06-26 주식회사 팬택 송수신 포인트, 송수신 포인트의 타이밍 설정 방법, 단말, 및 단말의 pdsch a/n 전송 방법
WO2013095041A1 (ko) * 2011-12-23 2013-06-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자원 동적 변경에 기반한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8953478B2 (en) * 2012-01-27 2015-02-10 Intel Corporation Evolved node B and method for coherent coordinated multipoint transmission with per CSI-RS feedback
US9439189B2 (en) * 2012-02-20 2016-09-06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ACK/NACK in carrier aggregating system
US9143984B2 (en) * 2012-04-13 2015-09-22 Intel Corporation Mapping of enhanced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US9521669B2 (en) * 2012-04-16 2016-12-13 Blackberry Limited HARQ for dynamic change of the TDD UL/DL configuration in LTE TDD systems
WO2013165160A1 (ko) * 2012-04-30 2013-11-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자원의 동적 할당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N103391159B (zh) * 2012-05-11 2016-06-01 上海贝尔股份有限公司 处理tdd中harq冲突和pusch重传冲突的方法
WO2014027942A1 (en) * 2012-08-13 2014-02-20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Enhancing positioning with transmit-timing adjustment information
CN104662818B (zh) * 2012-09-21 2018-02-09 Lg电子株式会社 用于在无线通信系统中发送和接收下行信号的方法和装置
US9692582B2 (en) * 2013-05-09 2017-06-27 Sharp Kabushiki Kaisha Systems and methods for signaling reference configurations
EP2995106B1 (en) * 2013-05-09 2020-07-01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for wireless communication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326562B2 (en) 2013-11-13 2019-06-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power headroom report and hybrid automatic retransmission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10880052B2 (en) 2013-11-13 2020-12-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power headroom report and hybrid automatic retransmission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210312A (zh) 2015-12-30
EP2997672A4 (en) 2016-12-14
WO2014185689A1 (en) 2014-11-20
US9698966B2 (en) 2017-07-04
US20140341091A1 (en) 2014-11-20
EP2997672A1 (en) 2016-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405911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基地局
US1128434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component carrier-specific reconfiguration
KR20140135331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동적 시분할 복식 시스템 운영 방법 및 장치
US1121889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1082979B2 (en)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 for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for same
US979481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6038880B2 (ja) キャリアアグリゲーションをサポートする無線通信システムで複数個のタイミングアドバンスグループを管理する方法及び装置
KR102141114B1 (ko) 단말 대 단말 통신에서 시간 동기화 방법 및 장치
CN118354452A (zh) 通信系统及通信终端装置
JP2025061367A (ja) ユーザ装置、基地局および通信システム
US20160269982A1 (en) RRC Diversity
JP2025081499A (ja) 通信端末、基地局および通信システム
JP2019071648A (ja) 方法、ue及び基地局
EP3131336A1 (en) Handover method and device of terminal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20140129911A (ko)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장치
EP459812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ltm (l1/l2 triggered mobility) in nr-dc scenario
WO2023013750A1 (ja) 通信装置及び通信方法
WO2023013744A1 (ja) 通信装置、基地局及び通信方法
KR20160037039A (ko) 동적 tdd 설정을 고려한 단말간 통신의 자원 설정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장치
KR20150143135A (ko) 무선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자원 할당 정보 송수신 방법 및 장치
HK1241190B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component carrier-specific reconfiguration
HK124119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component carrier-specific reconfiguration
KR20150005813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515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