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5813A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5813A
KR20150005813A KR20130078974A KR20130078974A KR20150005813A KR 20150005813 A KR20150005813 A KR 20150005813A KR 20130078974 A KR20130078974 A KR 20130078974A KR 20130078974 A KR20130078974 A KR 20130078974A KR 20150005813 A KR20150005813 A KR 201500058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dd
control signal
configuration
dci
control chan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789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형주
김윤선
이효진
김영범
최승훈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300789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05813A/ko
Publication of KR201500058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581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04B7/2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 H04B7/2628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using code-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or spread spectrum multiple access [SSMA]
    • H04B7/2637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using code-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or spread spectrum multiple access [SSMA] for logical channel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22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using time-division multiplex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명세서는 제어 정보 송수신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단말의 제어 신호 수신 방법은,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통해 시분할복식(TDD; Time Division Duplex) 재설정(reconfiguration)을 지시하는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TDD 업링크-다운링크(UL-DL) 구성(configuration)을 갱신하는 단계 및 상기 갱신된 TDD UL-DL 구성에 따라 스케줄링 제어 신호를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다르면 효과적으로 TDD UL-DL 구성갱신을 수행할 수 있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장치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CONTROL SIG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본 명세서의 일부 실시 예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TDD(Time division duplex) 제어 정보 전송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시스템은 사용자의 이동성을 확보하면서 통신을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개발되었다. 이러한 이동통신 시스템은 기술의 비약적인 발전에 힘입어 음성 통신은 물론 고속의 데이터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단계에 이르렀다.
근래에는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 중 하나로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에서 LTE(Long Term Evolution) 시스템에 대한 규격 작업이 진행 중이다. LTE 시스템은 2010년 정도를 상용화 목표로 해서, 현재 제공되고 있는 데이터 전송률보다 높은 최대 100 Mbps 정도의 전송 속도를 가지는 고속 패킷(packet) 기반 통신을 구현하는 기술이며 현재 규격화가 거의 완료되었다. LTE 규격 완료에 발맞춰 최근 LTE 통신 시스템에 여러 가지 신기술을 접목해서 전송 속도를 보다 향상시키는 진화된 LTE 시스템(LTE-Advanced, LTE-A)에 대한 논의가 본격화되고 있다. 이하 LTE 시스템이라 함은 기존의 LTE 시스템과 LTE-A 시스템을 포함하는 의미로 이해하기로 한다.
기존의 기지국은 하향링크와 상향링크가 사용하는 시간 자원과 주파수 차원의 전송 방향 (하향링크 혹은 상향링크가)가 기지국간에 동일하다. 다시 말하면, 어떤 시간/주파수 자원을 사용하는 기지국이 하향링크 전송을 하는 경우 인접한 기지국도 해당 시간/주파수 자원을 하향링크 전송에 사용한다. 이 경우 단말에 대해서 하향링크 자원에서는 항상 인접 기지국으로부터의 하향링크 신호가 간섭으로 작용하고 상향링크 자원에서는 항상 인접 기지국의 단말로부터의 상향링크 간섭이 발생한다.
그리고 만약 인접한 기지국이 사용하는 시간/주파수 자원이 서로 다른 방향의 전송을 하는 경우에는 이전과는 다른 간섭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어떤 기지국이 시간/주파수 자원을 하향링크로 사용하는 동안 인접 기지국은 하향링크 간섭과 상향링크 간섭이 모두 발생할 수 있으며, 따라서 기존의 시스템은 동적으로 시간/주파수 자원의 전송 방향을 변경하는 것을 고려하지 않았다.
그러나 진화된 시스템은 이러한 간섭 문제를 해결하고 동적인 자원 전송 방향을 변경을 지원할 수 있다. 이러한 변경은 기존의 시스템이 전송 방향이 한번 결정되는 바뀌지 않는 것을 가정했기 때문에 기지국의 하향링크 전송이나 단말의 상향링크 전송이 시스템 정보에 따라 일정한 규칙으로 동작하는데 동적인 변경으로 구성(설정) 정보가 계속 변경하게 되면 이에 따르는 간섭 제어 정보를 동적으로 전달해야 하며 또한 다중 기지국 전송 상태의 있는 경우 다수의 기지국이 각자의 정보를 전달하게 되는데 이 경우 단말은 다수의 정보를 수신하게 되고 이를 단말은 현재 전송에 어떠한 정보를 사용하여 전송해야 하는지 알 수가 없기 된다.
본 명세서의 일부 실시 예는 동적으로 시분할복식 구성 (업링크-다운링크 설정)이 변경되는 경우에 이에 대한 정보를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것이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단말의 제어 신호 수신 방법은,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통해 시분할복식(TDD; Time Division Duplex) 재설정(reconfiguration)을 지시하는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TDD 업링크-다운링크(UL-DL) 구성(configuration)을 갱신하는 단계 및 상기 갱신된 TDD UL-DL 구성에 따라 스케줄링 제어 신호를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기지국의 제어 신호 송신 방법은, 단말에 대한 시분할복식(TDD; Time Division Duplex) 업링크-다운링크 구성(UL-DL configuration)을 갱신하는 단계 상기 갱신된 TDD UL-DL 구성에 따라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통해 TDD 재설정(reconfiguration)을 지시하는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갱신된 TDD UL-DL 구성에 따라 상기 단말에 대한 스케줄링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부 실시 예에 따르면 동적으로 업링크-다운링크 설정이 변경되는 경우에 이에 대한 정보를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도 1은 TDD(Time division duplex, 이하 'TDD') 시스템(system)의 라디오프레임(이하 'radioframe' 또는 라디오프레임)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명세서의 적어도 일부의 실시 예가 적용되는 동적 TDD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간섭 상황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명세서의 적어도 일 실시 예가 적용되는 동적 TDD 시스템의 운영 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명세서의 적어도 일부의 실시 예가 적용되는 물리 제어 채널의 전송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명세서의 적어도 일부의 실시 예가 적용되는 물리 제어 채널의 수신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명세서의 일부 실시 예에 따르는 TDD 재설정 DCI를 전송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명세서의 제4 실시 예에 따르는 TDD 재설정 DCI 수신 과정의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명세서의 제3 실시 예에 따르는 TDD 재설정 DCI 수신 과정의 순서도이다.
도 9는 본 명세서의 제6 실시 예에 따르는 TDD 재설정 DCI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명세서의 제6 실시 예에 따르는 폴백 DCI TDD 재설정 DCI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명세서의 일부 실시 예에 따르는 셀 간 간섭 제어를 위한 기지국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12는 본 명세서의 일부 실시 예에 따르는 단말 장치의 블록도이다.
하기에서 본 명세서의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의 일부 실시 예는 기지국이 상향링크와 하향링크의 자원양을 조절할 수 있는 다수의 구성(설정)정보를 동적으로 변경하는 경우, 기지국과 단말간에 동적으로 변경되는 제어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의 일부 실시 예는 다수의 기지국으로부터 동적으로 변경되는 제어 정보를 하나 이상의 검색 영역을 통하여 전송하도록 구성하고 각각의 상향링크와 하향링크 스케줄링 정보가 어떠한 제어 정보를 사용하는 전송하는 지를 지시함으로 다중 기지국 전송을 보장하며, 동적으로 다수의 기지국으로부터 전력 정보를 수신하여 전송할 수 있는 기술이다. 본 발명은 기지국에서 단말로 하향링크 신호를 전송하고 단말에서 기지국으로 상향링크 신호를 전송하는 통신 시스템을 위한 것이다.
도 1은 TDD(Time division duplex, 이하 'TDD') 시스템(system)의 라디오프레임(이하 'radioframe' 또는 라디오프레임)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TDD 시스템은 하나의 TDD 시스템 대역폭(101)에서 상향링크와 하향링크 전송을 모두 수행하며 상향 링크와 하향 링크의 구분을 시간 분할에 따라 구분하는 시스템이다. TDD 시스템의 라디오프레임 (103)은 시간 축으로는 10밀리초의 길이를 가지며 총 10개의 서브프레임(subframe, 105)으로 구성된다. 하나의 서브프레임은 1밀리초의 길이를 가지며, 하나의 서브프레임은 0.5밀리초 길이의 슬롯(slot, 106) 두 개로 구성된다. 하나의 슬롯(106)은 종종 7개의 심볼로 구성된다.
TDD 시스템의 전체 대역폭(101)에 대해서는 주파수 축으로 연속된 12개의 서브캐리어(subcarrier)(혹은 부반송파)를 연접하여 하나의 단위로 구성하고 시간 축에서의 슬롯(106)과 함께 하나의 PRB(physical resource block)를 구성한다. 서브프레임(105)에는 두 개의 슬롯에 걸쳐 PRB 쌍(pair)이 자원할당의 기본 단위로 사용된다. 하나의 서브프레임(105)은 시간 심볼을 기준으로 분리되어 제어 채널 영역(107)과 데이터 채널 영역(109)으로 분리된다.
제어 채널 영역(107)에서는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가 전송되고 데이터 채널 영역(109)에서는 EPDCCH(Enhanced PDCCH)와 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이 전송된다. PDCCH는 서브프레임에 우선 전송되는 일부 심볼과 전체 대역폭에 걸쳐서 전송되는 제어 채널이다. EPDCCH는 서브프레임 중에서 데이터 채널 영역의 일부 PRB 쌍에만 국지적으로 전송되는 제어 채널이다.
TDD 시스템의 서브프레임은 하향링크 전송(111)이나 상향링크 전송(113)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어떤 서브프레임이 상향링크 전송(113)을 위해 사용되는 경우에는 전체 대역은 주파수를 기준으로 분리되고, 분리된 영역 중 상향링크 제어 채널 영역(117)에서는 PUCCH(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이 전송되고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 영역(115)에서는 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이 전송된다. 하나의 기지국에서는 하향링크 전송과 상향링크 전송이 동시에 발생할 수 없다. TDD 시스템에서 동기 신호와 시스템 정보는 PSS(Primary Synchronization Signal, 118). SSS(Secondary Synchronization Signal(119) 등과 같이 라디오프레임(103) 내에서 특정 서브프레임 위치에서 주기적으로 전송된다.
대표적인 TDD 시스템인 LTE-TDD 시스템은 라디오프레임 중 서브프레임의 전송 방향에 대해서 아래 표 1과 같이 정해진 구성을 이용하고 있다. 이를 이하 TDD UL-DL 구성(TDD Uplink-Downlink configuration)이라고 한다. 표 1은 TDD UL-DL 구성을 나타낸다.
Uplink-downlink
configuration
Downlink-to-Uplink
Switch-point periodicity
Subframe number
0 1 2 3 4 5 6 7 8 9
0 5 ms D S U U U D S U U U
1 5 ms D S U U D D S U U D
2 5 ms D S U D D D S U D D
3 10 ms D S U U U D D D D D
4 10 ms D S U U D D D D D D
5 10 ms D S U D D D D D D D
6 5 ms D S U U U D S U U D
표 1과 같이 총 7개의 TDD UL-DL 구성이 가능하다. 각 TDD UL-DL 구성에 대해 각각의 서브프레임의 전송 방향이 정의되어 있다. 'D'로 표시된 서브프레임은 하향링크 전송 서브프레임을 의미하여 'U'로 표시된 서브프레임은 상향링크 전송 서브프레임을 의미하고, 'S'로 표시된 서브프레임은 특수(special) 서브프레임을 의미한다. 특수 서브프레임의 일부 심볼은 하향링크로 사용되고 또한 일부 심볼은 상향링크로 사용된다. 'S'가 발생하는 주기에 따라 각 구성의 스위칭(switching) 주기가 결정된다. 매 라디오프레임마다 'S'가 1번 발생하는 경우 스위칭 주기는 10밀리초가 되고 매 라디오프레임마다 'S'가 2번 발생하는 경우 스위칭 주기는 5밀리초가 된다.
일반적인 TDD 시스템의 경우에는 표 1에 정의된 구성 정보를 시스템이 임의로 변경할 수 없다. 변경이 곤란한 이유는 그러한 변경이 인접 기지국에 간섭을 발생(변경)시키기 때문이고 이러한 간섭을 해결하지 못하면 결국 어떤 단말과의 관계에서 정확한 송수신이 어렵게 된다. 그러나 TDD 시스템은 상향링크와 하향링크 자원을 동적으로 변경하는 경우에 성능이 가장 우수하며 이러한 장점을 얻기 위해서는 기지국은 임의로 자신의 로드 상황에 따라 TDD UL-DL 구성을 변경하는 것이 필요하다.
도 2는 본 명세서의 적어도 일부의 실시 예가 적용되는 동적 TDD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간섭 상황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 시스템(213)은 모든 기지국이 하향링크를 전송하는 상황이고 제2 시스템(223)은 모든 기지국이 상향링크를 운영하는 상황을 도시한 것이다.
제1 시스템(213)과 같이 모든 기지국이 하향링크를 전송하는 상황에서 단말의 수신 신호 대 간섭비(이하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SIR')은 수학식 1에 따라 계산 및/또는 추정될 수 있다. 제1 시스템(213)에서 신호(211)와 간섭(210, 212)이 존재한다.
Figure pat00001
PeNB 는 기지국의 전송 전력이고 PUE는 단말의 전송 전력이다. PL1, PL2, PL3는 각 기지국에 대한 경로 손실(Path Loss)이다. 또한 PLue2, PLue3은 각 단말에 대한 경로 손실이다. 이하 수학식 2 내지 수학식 4에 대해서 동일하게 적용된다.
제2 시스템(223)과 같이 모든 기지국이 상향링크를 운영하는 상황에서 단말의 상향링크 SIR은 수학식 2에 따라 계산 및/또는 추정될 수 있다. 제2 시스템(223)에서 신호(221)와 간섭(220, 222)이 존재한다.
Figure pat00002
제3 시스템(233)과 같이 특정 송신기 하향링크 전송하고 다른 송신기는 상향링크로 운영하는 경우에는 단말의 수신 신호 대 간섭비는 수학식 3에 따라 계산 및/또는 추정될 수 있다. 제3 시스템(233)에서 신호(232)와 간섭(230, 231)이 존재한다.
Figure pat00003
여기서, 수학식 2와 수학식 3을 비교하여 설명한다. 단말은 자신이 접속한 기지국으로부터 계속 동일한 상향링크 전송을 스케줄링 받지만 인접 기지국이 계속 동일하게 상향링크로 운영하는 경우는 수학식 2과 같이 간섭을 측정하고 단말에 피드벡 함으로써 상향링크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다. 그에 반해, 만약 일부 기지국이 하향링크 전송을 하는 경우에는 수학식 3과 같이 SIR의 오차가 발생한다. 특히 PeNB≫PUE 인 경우에는 SIR의 오차가 매우 커지고, 이 때 기지국은 단말에 대한 송신 전력을 증가시키거나 요구 SIR를 감소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지국의 전송 전력이 단말의 전송 전력과 유사한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간섭을 주는 단말의 위치가 기지국보다 가깝기 때문에 PL2≫PL1 이 되어 단말이 예측한 간섭 추정값이 더 작아진다. 이를 보상하지 않는 경우에는 이러한 오차가 시스템 성능을 저해하는 요소로 작용할 수 있다.
제4 시스템(243)과 같이 단말이 기지국으로부터 하향링크 전송을 수신하고, 일부 기지국이 상향링크 전송하는 하는 경우에는 수학식 4에 따라 SIR을 계산 및/또는 추정할 수 있다. 제4 시스템(243)에서 신호(242)와 간섭(240, 241)이 존재한다.
Figure pat00004
이 경우 일반적으로 인접 기지국에서 상향링크를 전송하는 단말은 하향링크로 기지국이 간섭을 주는 경우보다 인접 단말에 더 가깝기 때문에 PL2≫PL1 가 되어 SIR이 감소한다. 따라서 이러한 간섭 상황을 정확하게 인지하지 못하는 경우 간섭에 의한 성능 저하가 증가한다. 특히 단말이 다수의 기지국으로부터 데이터 수신 및 송신이 가능 하는 다중 기지국 전송(CoMP; Coordinated and multi point transmission) 기술이 적용되는 경우에는 이러한 간섭이 더 중요하게 작용한다.
도 3은 본 명세서의 적어도 일 실시 예가 적용되는 동적 TDD 시스템의 운영 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기지국 관점에서 볼 때 동적 TDD 시스템은 각 라디오프레임에 대해 서로 다른 TDD UL-DL 구성을 적용할 수 있다. 이 경우 현재 라디오프레임(301)이 구성된 경우 현재 라디오프레임(301) 중 하향링크 영역(303, 307)을 확인할 수 있으며 또한 상향링크 영역(305)을 확인할 수 있다. 이 때 시점(time point)(306)에서 다음 라디오프레임(309)의 구성에 대한 정보가 전송되는 경우 단말이 해당 정보를 통해 다음 라디오프레임(309)이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 경우 하향링크 영역(311, 315)이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되고 다음 라디오프레임(309)의 상향링크 영역은 현재 라디오프레임(301)의 상향링크 영역(305) 대비 감소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영역(313)은 상향링크와 하향링크가 변하는 영역임을 알 수 있다. 표 1을 참조하여 상술한 LTE 시스템의 구조상, 서브프레임 3, 4, 8, 9에 해당하는 서브프레임이 상향링크와 하향링크가 스위치될 수 있는 서브프레임이고 나머지 서브프레임에서는 스위치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기지국이 단말에 전송하는 제어 정보는 두 가지 방법을 통해서 전송될 수 있는데, 그 중 하나의 방법은 상위 시그널링이고 다른 하나의 방법은 물리 제어 채널을 이용하여 전송하는 방법이다. 상위 시그널링을 통해 제어 정보가 전송되는 경우에는 데이터 채널을 통해서 상위 정보로 단말에게 지시된다. 현재 LTE 시스템에서는 TDD 시스템을 운영하기 위하여 기지국은 시스템 정보 중에서 SIB1(System Information Block 1)을 통하여 현재 TDD UL-DL 구성을 전송하고 데이터 채널 송수신을 위한 정보를 RRC 시그널링을 통하여 단말에게 전송한다. 기지국은 물리 제어 채널을 통해서는 단말에게 하향링크와 상향링크 스케줄링 정보를 전송한다.
도 4는 본 명세서의 적어도 일부의 실시 예가 적용되는 물리 제어 채널의 전송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명세서의 적어도 일부의 실시 예가 적용되는 물리 제어 채널의 수신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물리 제어 채널은 PDCCH 및 EPDCCH를 통해 전송할 수 있으며 그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물리 제어 채널의 전송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운링크 제어 정보(401, DCI: downlink control information)는 채널 코딩(403)을 통해서 코딩되고, 기지국은 제어 정보를 전달하고 싶은 단말이 수신할 수 있도록 CRC(405)에 RNTI(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fier)(407)를 스크램블링하여 코딩된 DCI에 연접한다. 만약 제어 정보를 하나의 단말에게만 전송하는 경우에는 그에 해당하는 고유의 RNTI를 이용하고, 만약 다수의 단말에게 동일한 제어 정보를 전달하는 경우에는 다수의 단말이 인지하는 RNTI를 이용할 수 있다.
이후 레이트 매칭(409)을 통해 가용한 자원에 맞게 전송 양이 조절된다. 제어 채널의 경우에는 전송 양을 집적 레벨(aggregation level)의 개념을 통하여 조절할 수 있다. 집적 레벨이 증가하는 경우 더 많은 자원을 통해서 동일한 제어 정보를 전송하기 때문에 비트레이트(bit rate)를 감소시키고 대신 채널이 더 나쁜 단말이 제어 정보를 문제 없이 수신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집적 레벨에 관한 정보는 단말에게 전달되지 않기 때문에 단말은 가능한 모든 집적 레벨에 대해서 복조를 수행하고, 복조가 성공하는 경우에만 제어 정보를 습득할 수 있다. 이러한 복조 방법을 블라인드 검색(blind search)라고 하는데 제어 채널의 블라인드 검색은 집적 레벨과 더불어 실제 전송되는 위치도 검색한다. 상자(411)에서 기지국과 단말 사이에서 정해진 규칙에 따라 전체 제어 채널 전송 영역 중에서 특정 영역을 제어 채널 전송 가능 영역으로 결정한다. 전송 가능 영역(검색 공간; search space) 내에서 실제로 제어 채널이 전송되는 위치는 알려주지 않기 때문에 단말은 집적 레벨과 더불어 실제 제어 채널이 전송되는 위치 또한 검색 공간 내에서 검출해야 한다. 기지국은 각 단말의 검색 영역 내에서 제어 채널을 임의의 위치에 할당하고 이후 전체 제어 채널을 변조기(413)를 통해 변조하여 전송한다.
도 5는 제어 채널의 수신 동작을 도시한 것이다.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우선 단말은 제어 채널 영역을 서브프레임으로부터 분리하고 각 복조(501)를 수행한다. 상기 설명한 것과 같이 블라인드 검색(503) 과정을 통해서 제어 채널 영역에서 수신 가능한 위치 및 집적 레벨로 정의된 비트레이트를 판단하고, 디코더(505)를 이용하여 디코딩을 수행한다. 단말은 디코딩된 신호에 대해 자신이 검색 가능한 RNTI(509)를 이용하여 CRC 체크(507)를 수행한다. 만약 CRC 체크가 성공한 경우에는 다운링크 제어 정보(511)가 습득된다. 만약 CRC 체크가 실패한 경우에는 단말이 상자들(503, 505)의 동작을 다른 전송 가능한 위치와 집적 레벨에 대하여 수행한다.
제어 채널은 두 가지 검색 영역에서 전송될 수 있는데, 그 중 하나는 공통 검색 영역(Common search space, 이하 'CSS')이고 다른 하나는 단말 전용 검색 영역(UE-specific search space, 이하 'UESS')이다. CSS는 모든 단말이 해당 영역을 검색하는 영역이고 UESS는 단말 별로 고유의 영역을 검색하도록 구성한 영역이다. 예를 들어, 모든 단말은 공통의 CSS를 검색하지만, 각 단말은 각기 다르게 설정된 UESS를 검색한다.
또한, 제어 채널은 두 가지 물리 채널을 통해서 전송될 수 있으며 그 중 하나는 PDCCH이고 다른 하나는 EPDCCH이다. PDCCH 내에는 CSS와 UESS가 위치하고 EPDCCH 내에는 UESS만이 위치한다. 단말은 상위 시그널링을 통해 어떤 특정 서브프레임에서 PDCCH의 UESS를 검색하여야 하는지, 및/혹은 EPDCCH의 UESS를 검색하여야 하는지 미리 지시 받는다. 따라서 단말은 모든 서브프레임에 대해서, PDCCH 내에서 CSS를 검색하며 PDCCH 내에서 또는 EPDCCH 내에서 UESS를 검색하며 동일한 서브프레임에서 PDCCH의 UESS와 EPDCCH의 UESS를 동시에 검색할 수는 없다. EPDCCH는 최대 두 개의 세트를 단말에게 지시할 수 있다. 각각의 세트는 서로 다른 자원을 통해 전송이 가능하며, 단말은 구성된 두 세트 내에 각각 UESS를 가질 수 있다. 각 세트는 서로 다른 VCID(virtual cell ID)를 부여 받을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동적 TDD 시스템을 운영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이하 TDD 재설정(reconfiguration) DCI이라 한다. 하지만 본 명세서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이름을 가지는 제어 신호 또는 제어 정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6은 본 명세서의 일부 실시 예에 따르는 TDD 재설정 DCI를 전송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제1 실시 예
본 명세서의 제1 실시 예는 TDD 재설정 DCI를 검색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제1 실시 예에 따르면 단말은 임의의 검색 영역에서만 TDD 재설정 DCI 검색이 가능하다. 기지국은 미리 상위 정보를 통해 단말에게 PDCCH의 CSS 혹은 EPDCCH 세트 #1의 UESS 혹은 EPDCCH 세트 #2의 UESS 중에 하나의 세트에서 TDD 재설정 DCI를 검색하도록 구성한다.
만약 PDCCH(603)의 CSS에서 TDD 재설정 DCI를 검색하도록 구성된 경우에 단말은 TDD 재설정 DCI의 복조(605) 수행 시 포맷 1C의 DCI의 크기(607)를 가정하고 수행한다. 만약 EPDCCH(613)의 UESS에서 TDD 재설정 DCI를 검색하도록 구성된 경우에 단말은 TDD 재설정 DCI의 복조(611) 수행 시 포맷 1A의 DCI의 크기(612)를 가정하고 수행한다. 이 때 CRC 체크(609, 615)에 대하여 기지국은 TDD 재설정 DCI를 단말에 공통으로 혹은 검색 영역에 대해 공통으로 지시하여 CRC 체크를 수행한다.
기지국은 이를 위해 만약 PDCCH(603)의 CSS에서 TDD 재설정 DCI를 검색하도록 단말을 구성한 경우에 TDD 재설정 DCI를 구성할 때 포맷 1C의 DCI의 크기(607)를 가정하고 정보를 구성 및 전송한다. 만약 EPDCCH(613)의 UESS에서 TDD 재설정 DCI를 검색(611)하도록 단말이 구성된 경우에 기지국은 TDD 재설정 DCI를 구성할 때 포맷 1A의 DCI의 크기(612)를 가정하고 구성 및 전송한다.
또한, 만약 단말이 PDCCH의 CSS에서 TDD 재설정 DCI를 검색하도록 구성된 경우에 단말은 TDD 재설정 DCI를 복조할 때 포맷 1C의 DCI의 크기(607)를 가정하고 복조하여 TDD 재설정 DCI에 포함된 정보를 인지한다. 이후 정해진 시간 이후에 단말은 어떤 DL/UL 전송을 위한 스케줄링 DCI에 대해서는 DCI가 검색된 제어 채널 영역 및 종류에 무관하게 인지된 TDD 재설정 DCI의 정보에 따른다.
또한, 만약 단말이 EPDCCH의 UESS에서 TDD 재설정 DCI를 검색하도록 구성된 경우에 단말은 TDD 재설정 DCI를 복조할 때 포맷 1A의 DCI의 크기를 가정하고 복조하여 TDD 재설정 DCI에 포함된 정보를 인지한다. 이후 정해진 시간 이후에 단말은 어떤 DL/UL 전송을 위한 스케줄링 DCI에 대해서는 DCI가 검색된 제어 채널 영역 및 종류에 무관하게 인지된 TDD 재설정 DCI의 정보에 따른다.
본 명세서의 제1 실시 예에 따르면, 단말이 스케줄링 DCI가 전송되는 검색 영역에 무관하게 미리 정해진 검색 영역에서만 TDD 재설정 DCI를 수신한다. 본 실시 예는 단말 자신에게 스케줄링을 전송할 수 있는 모든 기지국들이 동일한 TDD UL-DL 구성을 이용하는 경우에 유용한 기술이며, 따라서 본 실시 예는 단말이 스케줄링 받을 수 있는 기지국이 매우 근접하게 위치한 경우에 사용될 수 있다. 기지국들이 근접한 경우, 기지국 간의 간섭과 다른 단말에 의한 간섭이 매우 크기 때문에 기지국들은 모두 동일한 TDD UL-DL 구성을 사용하게 된다. 이 경우 기지국 컨트롤러는 더 멀리 있는 기지국에 대한 간섭을 제어하기 위해서 근접한 모든 기지국은 하나의 간섭원으로 가정하고 운영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제2 실시 예
본 명세서의 제2 실시 예는 TDD 재설정 DCI를 검색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제2 실시 예에 따르면 단말은 임의의 검색 영역에서만 TDD 재설정 DCI 검색을 수행할 수 있다. 단말은 미리 구성된 상위 정보에 따라 EPDCCH(613) 세트 #1의 UESS와EPDCCH 세트 #2의 UESS에서 TDD 재설정 DCI를 검색하도록 구성된다. 단말은 TDD 재설정 DCI를 복조할 때 각각의 EPDCCH(613) 세트에서 포맷 1A의 DCI의 크기(612)를 가정하고 복조를 수행한다. 기지국은 이를 위해 TDD 재설정 DCI를 전송할 때 포맷 1A의 DCI의 크기(612)를 가정하고 구성 및 전송한다.
또한, 만약 TDD 재설정 DCI를 두 개의 EPDCCH 세트의 UESS에서 모두 검색하도록 구성된 경우에 단말은 TDD 재설정 DCI의 복조를 포맷 1A의 DCI(612)의 크기를 가정하고 복수의 TDD 재설정 DCI를 복조하여 각각의 TDD 재설정 DCI에 포함된 정보를 인지한다. 이후 정해진 시간 이후에 단말은 어떤 DL/UL 전송을 위한 스케줄링 DCI에 대해서는 해당 DCI가 검색된 EPDCCH 세트에서 습득한 TDD 재설정 DCI의 정보를 따른다.
이 경우 PDCCH의 영역에서 전달되는 DL/UL 전송을 위한 스케줄링 DCI에 대해서는 다음의 세 가지 방법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적용될 수 있다. 첫 번째 방법은 PDCCH의 영역에서 습득한 스케줄링 DCI은 SIB1이 지시하는 TDD 구성 정보를 따르는 방법이다. 두 번째 방법은 PDCCH의 영역의 DCI에 대해 상위 시그널링을 통해 미리 어떤 EPDCCH 세트에서 지시된 TDD 재설정 정보를 적용할지 지시하는 방법이다. 세 번째 방법은 PDCCH의 영역의 DCI에 대해 가장 낮은(lowest) EPDCCH 세트 인덱스에서 지시된 TDD 재설정 정보를 따르는 방법이다.
제2 실시 예의 방법은 EPDCCH를 통한 TDD 재설정 DCI 전달 방법으로, 각 세트에서 습득한 TDD 재설정 정보를 해당 세트의 스케줄링 DCI를 적용하기 위한 TDD 정보로서 적용하는 방법이다. 또한 추가로, PDCCH의 영역에서의 스케줄링이 있는 경우에는 첫 번째 방법(SIB1이 지시하는 TDD 구성 정보를 따르는 방법)은 단말의 폴백(fallback)을 보장하기 위한 수단으로 활용될 수 있으며 이는 단말이 TDD 재설정 DCI 수신을 실패한 경우에도 끊김 없는 송수신을 보장하기 위한 것이다. 두 번째 방법과 세 번째 방법에 따르면 두 개의 기지국으로부터 신호를 사실상 동시에 수신하는 경우 PDCCH와 하나의 EPDCCH 세트는 하나의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고 다른 하나의 EPDCCH 세트는 다른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할 수 있도록 보장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두 개의 기지국으로부터의 다중 기지국 전송을 지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제3 실시 예
본 명세서의 제3 실시 예는 TDD 재설정 DCI를 검색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제3 실시 예에 따르면 단말은 모든 제어 채널 검색 영역에서 TDD 재설정 DCI를 검색할 수 있다. 단말은 PDCCH의 CSS와 EPDCCH 세트#1의 UESS, EPDCCH 세트#2의 UESS에서 모두 TDD 재설정 DCI를 검색한다. 단말은 TDD 재설정 DCI를 복조할 때 PDCCH로부터 복조하는 경우에는 포맷 1C의 DCI 크기(607)를 가정하고 복조하고 EPDCCH로부터 복조하는 경우에는 포맷 1A의 DCI의 크기(612)를 가정한다. 이때 기지국은 이를 위해 TDD 재설정 DCI를 전송할 때 PDCCH를 통해 전송되는 경우에는 포맷 1C의 DCI 크기를 가정하고 구성 및 전송한다. 기지국은 EPDCCH을 통해 TDD 재설정 DCI를 전송할 때에는 포맷 1A의 DCI의 크기를 가정하고 구성 및 전송을 수행한다. 따라서, 단말은 상기 기술한 것과 같이 구성된 최대 3개의 검색 영역에서 제어 채널을 수신할 수 있으며 따라서 최대 3개의 TDD 재설정 DCI를 습득할 수 있다.
도 8은 본 명세서의 제3 실시 예에 따르는 TDD 재설정 DCI 수신 과정의 순서도이다.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수신된 TDD 재설정 DCI들이 서로 다른 TDD 재설정 DCI인지 여부는 미리 구성된 QCL (quasi co-located) 정보를 기반으로 판단된다. QCL은 현재 수신되는 제어 채널이 어떤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되는지 지시하는 상위 시그널링 정보이다.
단계 801에서 단말은 상위 시그널링을 통해 시스템 정보를 수신한다. 이 때 최대 3개의 서로 다른 QCL이 구성됐다고 가정한다. 단계 803에서 단말은 상위 시그널링을 통해 서로 다른 제어 채널 영역에 정의된 각 검색 공간들의 QCL을 수신한다. 단계 805에서 단말은 서로 다른 제어 채널 영역의 검색 공간에서 감지되는 TDD 재설정 DCI를 수신한다. 단말은 수신된 TDD 재설정 DCI가 해당 TDD 재설정 DCI가 위치하는 검색 영역에 대응되는, 또는 해당 TDD 재설정 DCI이 지시한 QCL에 대응되는 TDD 재설정 DCI라고 판단한다. 이후 단계 807에서 단말은 이후의 재설정 타이밍에 각 검색 영역에서 각각의 QCL에 대한 TDD 재설정 정보를 갱신한다. 이 후 특정 검색 영역에서 스케줄링을 위한 DCI가 수신되는 경우 단계 809에서 단말은 해당 스케줄링 DCI의 QCL에 상응하는 TDD 재설정 정보에 따라 처리한다.
가령, 단말이 PDCCH의 CSS에서 하나의 TDD 재설정 DCI를 복조하고, EPDCCH 세트#1 및 EPDCCH 세트#2에서 TDD 재설정 DCI를 복조하여 총 3개의 TDD 재설정 정보를 인지한 경우를 가정한다. 이 경우 단말은 PDCCH CSS에서 인지한 TDD 재설정 정보는 단말이 접속한 셀의 PCI(Physical Cell Identity)를 사용하여 전송하는 기지국의 제1 TDD 재설정에 대한 정보로 판단한다. 단말은 이후 스케줄링 DCI가 전송되는 경우 해당 스케줄링 DCI가 PCI를 사용하여 전송하는 기지국의 제1 QCL을 기반으로 혹은 기본 QCL을 기반으로 전송됨을 인지하고 제1 TDD 재설정 정보를 사용하여 송수신한다. EPDCCH 세트#1의 UESS에서 인지한 정보는 단말이 미리 상위 시그널링으로 지시받은 EPDCCH 세트#1의 제2 QCL에 대응하는 기지국의 제2 TDD 재설정에 대한 정보로 판단하고 이후 스케줄링 DCI가 해당 제2 QCL을 기반으로 전송되는 경우 해당 스케줄링 DCI는 수신된 제2 TDD 재설정 정보를 사용하는 기지국을 기반으로 전송됨을 인지한다. 만약 EPDCCH 세트#2의 UESS에서 인지한 정보는 단말이 미리 상위 시그널링으로 지시받은 EPDCCH 세트#2의 제3 QCL에 대응하는 기지국의 제3 TDD 재설정에 대한 정보로 판단하고 이후 스케줄링 DCI가 해당 제3 QCL을 기반으로 전송되는 경우 단말은 해당 스케줄링 DCI가 수신된 제3 TDD 재설정 정보를 사용하는 기지국을 기반으로 전송됨을 인지한다. 만약 스케줄링 DCI에 QCL 정보가 없는 경우에는 단말은 PDCCH에서 지시한 제1 TDD 재설정 정보 혹은 상위 정보에서 지정한 TDD 재설정 정보를 따른다.
제3 실시 예에 따르면 시스템은 각 검색 영역에 QCL를 할당하여 각 검색 영역 별로 다른 기지국이 전송할 수 있도록 한다, 기지국들은 각 검색 영역에서 서로 다른 TDD 재설정 DCI를 전송하여 지속적으로 갱신하며 어떤 검색 영역에서든 스케줄링 DCI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각 스케줄링 DCI에 포함된 QCL 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TDD 재설정 정보를 따르도록 한다. 이 방법에 따르면 단말은 최대 3개의 기지국으로부터 서로 다른 TDD 재설정 정보를 습득할 수 있어 다중 기지국 송수신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제4 실시 예
본 명세서의 제4 실시 예는 TDD 재설정 DCI를 검색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제4 실시 예에 따르면 단말은 모든 제어 채널 검색 영역에서 TDD 재설정 DCI를 검색할 수 있다. 단말은 PDCCH의 CSS와 EPDCCH 세트#1의 UESS, EPDCCH 세트#2의 UESS에서 모두 TDD 재설정 DCI를 검색한다. 단말은 TDD 재설정 DCI를 복조할 때 PDCCH에서 TDD 재설정 DCI를 복조하는 경우에는 포맷 1C의 DCI 크기를 가정하여 복조하고 EPDCCH에서 TDD 재설정 DCI를 복조하는 경우에는 포맷 1A의 DCI의 크기를 가정하여 복조한다. 이때 기지국은 이를 위해 TDD 재설정 DCI를 전송할 때 PDCCH에서 TDD 재설정 DCI가 전송되는 경우에는 포맷 1C의 DCI 크기를 가정하여 구성 및 전송하며, EPDCCH에서 TDD 재설정 DCI가 전송되는 경우에는 포맷 1A의 DCI의 크기를 가정하여 구성 및 전송한다.
따라서, 단말은 상기 기술한 것과 같이 구성된 최대 3개의 검색 영역에서 제어 채널을 수신할 수 있으며 따라서 최대 3개의 TDD 재설정 DCI를 습득할 수 있다. 각각이 서로 다른 TDD 재설정 DCI임을 구별하는 것은 미리 구성된 검색 영역 정보를 기반으로 판단한다.
도 7은 본 명세서의 제4 실시 예에 따르는 TDD 재설정 DCI 수신 과정의 순서도이다.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단계 701에서 단말은 상위 시그널링으로 시스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최대 3개의 서로 다른 QCL이 각각의 검색 영역에 구성될 수 있다. 단계 703에서 단말은 각각의 검색 영역에서 인지한 TDD 재설정 DCI가 해당 TDD 재설정 DCI가 위치한 검색 영역에 대응되는, 혹은 TDD 재설정 DCI에서 지시한 QCL에 대응하는 정보임을 판단한다. 705 단계에서 단말은 이후의 TDD 재설정 타이밍에, 단계 703에서 수신한 TDD 재설정 DCI에 따라 TDD 구성을 갱신한다.이후 707 단계에서 각각의 스케줄링 DCI는 각각의 검색 영역에서 전송된다. 단말은 이 때 스케줄링 DCI를 스케줄링할 때 해당 스케줄링 DCI가 검색된 자원 영역에서 인지한 TDD 재설정의 정보를 기반으로 스케줄링한다.
제3 실시예와 제4 실시 예의 차이는 제3 실시 예에 따르면는 단말은 스케줄링 DCI가 전달된 DCI 검색 영역에 무관하게 DCI 내의 QCL 정보를 이용하여 TDD DL-UL 구성을 판단하고 제4 실시 예에 따르면 단말은 QCL 정보를 이용하지 않고 해당 스케줄링 DCI가 검색된 검색 영역에 해당하는 TDD DL-UL 구성을 이용하는 점이다. 각각의 TDD 재설정 정보는 이후 지속적으로 각 검색 영역을 통해 갱신될 수 있다.
가령, 단말이 PDCCH의 CSS로부터 하나의 TDD 재설정 DCI를 복조하고, 각각의 EPDCCH 세트로부터 TDD 재설정 DCI를 하나씩 복조하여 총 3개의 TDD 재설정 정보를 인지한 경우를 가정한다. 이 경우 단말은 PDCCH CSS로부터 인지한 정보가 단말이 접속한 셀의 PCI를 사용하여 전송하는 기지국의 제1 TDD 재설정에 대한 정보로 판단한다. 이후 스케줄링 DCI가 PDCCH에서 전송되는 경우 단말은 해당 스케줄링 DCI가 PCI를 사용하여 전송하는 기지국의 제1 QCL을 기반으로 전송됨을 인지하고 제1 QCL에 상응하는 제1 TDD 재설정 정보를 사용하여 송수신한다. 단말은 EPDCCH 세트#1의 UESS에서 인지한 정보가 기지국으로부터 미리 상위 시그널링을 통해 지시받은 EPDCCH 세트#1의 제2 QCL에 대응하는 기지국의 제2 TDD 재설정에 대한 정보인 것으로 판단하고 이후 스케줄링 DCI가 EPDCCH 세트#1에서 전송되는 경우 해당 DCI는 수신된 제2 TDD 재설정 정보를 사용하는 기지국을 기반으로 전송됨을 인지한다. 단말은 EPDCCH 세트#2의 UESS에서 인지한 정보가 기지국으로부터 미리 상위 시그널링으로 지시받은 EPDCCH 세트#2의 제3 QCL에 대응하는 기지국의 제3 TDD 재설정에 대한 정보로 판단하고 이후 스케줄링 DCI가 EPDCCH 세트#2에서 전송되는 경우 해당 스케줄링 DCI는 수신된 제3 TDD 재설정 정보를 사용하는 기지국을 기반으로 전송됨을 인지한다.
상기 기술한 제3 실시 예와 제4 실시 예를 적용함에 있어서 DL/UL 스케줄링 DCI에 대해 모두 제4 실시 예를 적용하는 방식을 고려할 수 있다. 또한 DL 스케줄링 DCI에 대해서는 제3 실시 예를 적용하고 UL 스케줄링 DCI에 대해서는 제4 실시 예를 적용하는 방식도 고려할 수 있다. 후자의 방식은 DL 스케줄링 DCI에서는 QCL 정보가 포함되며 UL 스케줄링 DCI에서는 QCL 정보가 포함되지 않기 때문에 고려되는 것이다. 또한 일부 DL 스케줄링 DCI에는 전송 모드에 따라 QCL이 포함되지 않으며 이 경우에도 UL 스케줄링과 동일하게 제4 실시 예를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QCL이 포함되지 않는 스케줄링 DCI에 대해서는 제4 실시 예를 적용하고 QCL이 포함된 스케줄링 DCI에 대해서는 제3 실시 예를 적용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제4 실시 예에 따르면 각 검색 영역에 QCL가 할당되면 각 검색 영역을 통해 서로 다른 각 기지국이 전송할 수 있도록 하며, 각각의 검색 영역에서 서로 다른 TDD 재설정 DCI를 전송하여 지속적으로 갱신을 할 수 있으며 어떤 검색 영역에서든 스케줄링 DCI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각 DCI를 수신한 검색 영역을 기반으로 상응하는 해당 TDD 재설정 정보에 따른다. 이 실시 예에 따르면 최대 3개의 기지국으로부터 서로 다른 TDD 재설정 정보를 습득할 수 있으며 QCL 정보가 포함되지 않는 전송 모드에서도 다중 기지국 송수신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제5 실시 예
본 명세서의 제5 실시 예는 TDD 재설정 DCI의 전송 주기를 결정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제5 실시 예에 따르면 기지국은 단말을 향한 TDD 재설정 DCI 전송의 전송 주기를 결정할 수 있으며 추가로 변경 주기를 결정하여 지시할 수 있다. 만약 제1 실시 예 및/또는 제2 실시 예와 같이 특정 검색 영역에서 TDD 재설정 DCI를 수신하는 경우에는 해당 DCI가 전송되는 서브프레임 인덱스를 추가로 지시할 수 있다.
전송 주기는 상위 10밀리초, 20밀리초, 40밀리초 중에서 선택될 수 있으며 변경 주기는 구성된 전송 주기의 배수로 구성할 수 있다. TDD 재설정 DCI가 전송되는 서브프레임 인덱스는 전송 주기 내의 하나의 서브프레임을 하나의 비트맵으로 표현하는 방법을 이용해 전송될 수 있다. TDD 재설정 DCI가 전송되는 서브프레임에 상응하는 비트가 '1'로 표시되고 나머지 서브프레임에 상응하는 비트가 '0'으로 표시되거나, 혹은 그 반대의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다른 방식에 따르면 서브프레임 0, 1, 5, 6 중에서 하나를 지시하는 지시자를 통해 서브프레임 인덱스가 전송될 수 있다. 해당 지시자가 가리키는 서브프레임에서 TDD 재설정 DCI가 전송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제3 실시 예 및/또는 제4 실시 예와 같이 서로 다른 여러 검색 영역에서 둘 이상의 TDD 재설정 DCI들을 수신할 수 있는 경우 전송 주기와 변경 주기 및 검색 주기는 각각의 검색 영역에 대해 별도로 하나씩 구성이 가능하다. 혹은 PDCCH에 대한 변경 주기 및 검색 주기를 설정하고 EPDCCH에 대한 변경 주기 및 검색 주기를 별도로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6 실시 예
본 명세서의 제6 실시 예는 TDD 재설정 DCI를 구성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9는 본 명세서의 제6 실시 예에 따르는 TDD 재설정 DCI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제6 실시 예에 따르면, TDD 재설정 DCI(901)의 정보는 해당 송신기와의 통신에 대해 다음 라디오프레임 혹은 미리 정해진 시간 이후에 사용하게 되는 TDD UL-DL 구성(903)에 대한 정보 필드를 포함한다. 또한 TDD 재설정 DCI(901)는 상향링크 전력 제어를 위한 정보 필드를 포함한다. 상향 링크 전력 제어를 위한 정보필드는 개방형 전력 제어를 위한 두 가지 필드를 포함할 수 있으며 두 가지 필드는 기준 전력을 위한 P0 필드(905)와 송신감쇄를 보상하기 위한 값(alpha) 필드(907)를 포함한다. 또한, TDD 재설정 DCI(901)는 하향링크 전력 제어를 위한 정보 필드(909)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하향링크 전력 제어를 위한 정보 필드(909)는 하향링크 전력 오프셋(offset) 값 필드(909)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상향링크 전력 제어 값과 하향링크 전력 제어 값에 대한 후보를 상위 시그널링을 통해 수신하며 TDD 재설정 DCI 및/또는 TDD 재설정 DCI에 포함된 필드는 이 후보 중에서 실제로 사용하게 될 값을 지시할 수 있다.
기지국은 라디오프레임을 상위 시그널링을 통해 두 개의 서브프레임 세트로 구분하여 단말에 지시할 수 있으며 그러한 구분에 따라 서브프레임들은 제1 세트와 제2 세트로 구분될 수 있다. 이 경우 기지국은 기존의 상위 시그널링을 통해 단말에 P0와 송신감쇄 보상 값을 전달하고 이 값은 제1 세트에 해당하는 하향링크 전송 혹은 상향링크 전송에 사용된다.
여기에 기지국이 추가로 제2 세트를 위한 정보를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에 P0={-90, -85, -80, -75}를 기준 전력 정보 후보로, 송신감쇄 보상 후보로 {0, 0.5, 0.7, 0.9}로 4개의 정보를 구성하고 하향링크 전력 오프셋의 후보로 {-3, -6}로 두 개의 정보를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기지국은 TDD 재설정 DCI를 통해 구성된 상기 후보들 중에서 실제로 사용하는 정보를 지시하는 필드 값을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P0 후보 중 하나를 지시하기 위해 2비트, 송신감쇄 보상 후보 중 하나를 지시하기 위해 2비트, 하향링크 전력 오프셋 후보 중 하나를 가리키기 위해 1비트가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필드들과 함께 TDD UL-DL 구성을 지시하는 3비트의 필드가 TDD 재설정 DCI를 구성할 수 있다. TDD 재설정 DCI가 지시하는 정보는 제2 세트에 속하는 서브프레임들의 하향링크 수신과 상향링크 전송을 위해서 사용된다. 상향링크 전력 정보 필드 값은 제2 세트의 상향링크 전송 전력을 결정하는 데에 사용되며, 하향링크 전력 정보 필드 값은 제1 세트를 위한 하향링크 전송 전력 값에 대비하여 제2 세트를 위한 하향 링크 전송 전력 값의 상대적인 값을 지시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다. 변형 예에 따르면 상향 링크 전력 정보 필드가 제1 세트를 위한 상향링크 전송 전력 값에 대비하여 제2 세트를 위한 상향 링크 전송 전력 값의 상대적인 값을 지시하는 데에 사용될 수도 있다. 하향링크 전송 전력 필드 값은 필요한 경우에만 전송될 수도 있고, 필요 없는 경우에는 전송되지 않거나 무시될 수 있다.
상기 기술한 서브프레임의 세트는 하향링크에 대해 두 개의 세트와 상향링크 에 대해 별도로 두 개의 세트를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하향링크를 위한 세트1와 세트2, 그리고 상향링크 위한 세트1과 세트2가 구성된 경우에도 상기 기술한 방식은 동일하게 적용 가능하다. TDD 재설정 DCI에 포함된 정보는 하향링크를 위한 세트2와 상향링크를 위한 세트2에 적용되며 상위 시그널링을 통해 미리 지시된 정보는 하향링크를 위한 세트1과 상향링크를 위한 세트1에 적용된다. 제안하는 방법은 총 8비트의 TDD 재설정 DCI 정보를 구성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또한 3비트의 TDD UL-DL 구성 정보 필드 값은 그 값에 해당하는 TDD UL-DL 구성을 의미하며 TDD UL-DL 구성 정보 필드를 이용해 총 7개의 TDD UL-DL 구성을 지시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명세서의 제6 실시 예에 따르는 폴백 DCI TDD 재설정 DCI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특히 TDD UL-DL 구성 정보 필드(1001)가 2진수 111(또는 기타 미리 설정된 다른 숫자)로 설정되는 경우에는 TDD UL-DL 구성 필드 3비트를 제외한 모든 필드(1003, 1005, 1007, 1009)는 다른 용도로 전용되거나 보존(reserve)된 필드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TDD UL-DL 구성 필드 3비트가 2진수 111로 설정된 경우 단말은 SIB1이 지시하는 TDD UL-DL 구성으로 폴백(fallback)하여 더 이상 TDD 재설정 DCI를 모니터링하지 않을 수 있다.
표 2는 본 명세서의 제6 실시 예에 따르는 TDD 재설정 DCI의 구성의 예시이다.
field size value description
TDD UL-DL configuration 3bit 000 TDD UL-DL configuration #0
001 TDD UL-DL configuration #1
010 TDD UL-DL configuration #2
011 TDD UL-DL configuration #3
100 TDD UL-DL configuration #4
101 TDD UL-DL configuration #5
110 TDD UL-DL configuration #6
111 SIB1 configured TDD UL-DL configuration
P0 2bit 00 The 1st P0 value configured by the higher layer
01 The 2nd P0 value configured by the higher layer
10 The 3rd P0 value configured by the higher layer
11 The 4th P0 value configured by the higher layer
Alpha 2bit 00 The 1st alpha value configured by the higher layer
01 The 2nd alpha value configured by the higher layer
10 The 3rd alpha value configured by the higher layer
11 The 4th alpha value configured by the higher layer
offset 1bit 0 The 1st offset value configured by the higher layer
1 The 2nd offset value configured by the higher layer
표 3은 폴백을 위한 TDD 재설정 DCI의 구성을 나타낸다.
field size Value
TDD UL-DL configuration (1001) 3bit 111
P0 (1003) 2bit N/A
Alpha (1005) 2bit N/A
offset (1007) 1bit N/A
제7 실시 예
본 명세서의 제7 실시 예는 단말이 TDD 재설정 DCI 수신에 실패한 경우의 동작에 관한 것이다.
단말이 특정 서브프레임에서 TDD 재설정 DCI 수신을 하도록 구성/지시된 경우 단말은 반드시 해당 서브프레임에서 TDD 재설정 DCI가 전달될 것을 기대하게 되며, 만약 해당 제어 채널의 복조가 실패한 경우에는 단말은 TDD 재설정 DCI가 적용 되어야 하는 시점에서 SIB1이 지시하는 TDD UL-DL 구성을 이용하여 동작하며, 다음 TDD 재설정 DCI 수신 시점에서 다시 복조를 수행할 수 있다.
제 8 실시예
본 명세서의 제8 실시 예는 단말이 EPDCCH로부터 TDD 재설정 DCI가 전송되도록 구성되는 경우 수신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이다. 제8 실시 예에 따르면 EPDCCH로부터 TDD 재설정 DCI가 전송되는 경우에 대해, 해당 EPDCCH 세트가 디스트리뷰티드(distributed)로 구성된 경우는 단말은 집적 레벨(aggregation level) 8 혹은 16으로만 복조하며, EPDCCH 세트가 로컬라이즈드(localized)인 경우에는 집적 레벨(aggregation level) 4와 8만 이용하여 복조한다.
도 11은 본 명세서의 일부 실시 예에 따르는 셀 간 간섭 제어를 위한 기지국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기지국 컨트롤러(1111)는 제어 정보를 기반으로 하향링크 스케줄러(1113)와 상향링크 스케줄러(1109)을 운영하고 제어 정보를 이용하여 제어 채널을 구성하고 사용한다. 하향링크 스케줄러(1113)는 제어 채널 송신기(1110)와 데이터 채널 송신기(1112), 제어 채널 수신기(1108)을 통해 단말에 스케줄링 정보와 데이터 채널을 전송하는데 서브프레임을 하향링크로 운영하는 경우 하향링크 스케줄러(1113)는 해당 서브프레임에 하향링크 스케줄링 정보를 전송하고 데이터 채널을 전송하며 해당 데이터 채널에 대한 응답 채널을 제어 채널 수신기(1108)을 통해 수신한다. 상향링크 스케줄러(1109)는 단말의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을 수신하는 데에 있어서 제어 채널 발생기(1110), 데이터 채널 수신기(1107)를 통해 상향링크 전송을 관리하며 TDD 제어 정보를 기반으로 송수신을 지시한다. 기지국 컨트롤러(1111)는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은 기지국의 RF 장비(1101)로부터 듀플렉서(1103)를 수신 동작으로 전환하여 수신장치(1105)를 동작 시키며 해당 듀플렉스를 동작하며, 하향링크에 대한 수신은 기지국의 RF(1101)로부터 듀플렉서(1103)를 송신 동작으로 전환하여 송신장치(1106)를 동작시키고 이 때 발생한 제어 채널과 데이터 채널을 단말에게 전송한다.
기지국의 각 구성부는 기지국이 상술한 실시 예들 중 어느 하나 이상에 따라 동작하도록 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신호 송수신에 관련된 구성부를 통틀어 통신부라고 칭하며, 통신부는 상술한 실시 예들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수행을 위해 필요한 신호의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는 기지국의 각 구성부가 상술한 실시 예들 중 어느 하나 이상을 구현할 수 있도록 각 구성부를 제어한다.
도 12는 본 명세서의 일부 실시 예에 따르는 단말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단말 컨트롤러(1209)는 기지국으로부터 제어 정보를 이용하여 상향링크 데이터 송신을 위해서는 컨트롤러(1209)는 RF(1201)를 전송장치(1206)가 동작하도록 듀플렉서(1203)를 송신 동작으로 변경하며 이 때 전송하는 제어 채널과 데이터 채널은 제어 채널 발생기(1213)와 데이터 채널 발생기(1214)를 통해 전송한다. 단말 컨트롤러(1209)는 하향링크 데이터 수신을 위해서는 RF(1201)를 수신장치(1205)가 동작하도록 듀플렉서(1203)를 수신 동작으로 변경하며 이 때 수신하는 제어 채널과 데이터 채널은 제어 채널 수신기(1207)와 데이터 채널 수신기(1211)을 통해 수신한다.
단말의 각 구성부는 단말이 상술한 실시 예들 중 어느 하나 이상에 따라 동작하도록 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신호 송수신에 관련된 구성부를 통틀어 통신부라고 칭하며, 통신부는 상술한 실시 예들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수행을 위해 필요한 신호의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는 단말의 각 구성부가 상술한 실시 예들 중 어느 하나 이상을 구현할 수 있도록 각 구성부를 제어한다.
본 명세서의 일부 실시 예들에 따르면 단말은 상위 시그널링으로 적어도 제어 정보 수신을 위한 검색 영역 및 제어 정보 전송구성 주기, 제어 정보 변경 주기, 제어 정보 전송 서브프레임 정보를 수신하는 동작, 제어 정보 수신을 위한 검색 영역 정보를 수신하는 동작, 다수의 검색 영역에서 한 개 이상의 제어 정보를 수신하는 동작, 수신된 제어 정보를 기반으로 제1 세트와 제2 세트에서 상향링크와 하향링크 전력 제어를 별도로 수행하는 동작, 제어 정보를 통해 동적 제어를 중지하는 동작, 제어 정보를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에 시스템 정보를 기반으로 복귀하는 동작, 제어 정보를 수신한 후에 수신된 상향링크 및 하향링크 스케줄링 정보에 사용되는 제어 정보를 선택하는 동작 중 적어도 일부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부 실시 예에 따르면 기지국은 상위 시그널링으로 단말에 적어도 제어 정보 수신을 위한 검색 영역 및 제어 정보 전송 구성 주기, 제어 정보 변경 주기, 제어 정보 전송 서브프레임 정보를 전송하는 동작, 검색 영역에 제어 정보를 송신하는 동작, 각각의 검색 영역에 서로 다른 기지국의 제어 정보를 전송하는 동작, 제 1 세트와 제2 세트를 구성하여 단말에 전송하고 제어 정보를 기반으로 상향링크와 하향링크 전력 제어를 별도로 명령하는 동작, 동적 제어를 중지를 위해 제어 정보를 전달하는 동작, 제어 정보를 수신하지 못하는 단말이 지속적으로 시스템에 연결하기 위해 단말을 복귀 시키는 동작 중 적어도 일부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부 실시 예에 따르면, 단말 장치는, 제어 정보 수신 및 상향링크/하향링크 신호를 송수신 하기 위한 단말 컨트롤러, 제어 정보를 인지하는 제어 채널 수신기, 제어 신호를 기반으로 동작하는 듀플렉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부 실시 예에 따르면, 기지국 장치는, 제어 정보를 구성하고 이를 제어 채널 영역에 전송하는 기지국 컨트롤러, 제어 채널 신호를 구성하는 제어 채널 발생기, 제어 정보를 기반으로 상향링크와 하향링크 자원을 변경하는 듀플렉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 예들 중 일부에 따르면, 단말은 하나의 송신기로부터 접속한 상태로 다수의 송신기로부터 전송하는 서로 다른 종류의 제어 신호를 습득할 수 있으며 이를 기반으로 각 송신기의 상향링크와 하향링크 전송 시점을 동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이를 기반으로 하나의 기지국은 상향링크와 하향링크 자원을 동적으로 운영할 수 있으며 동시에 단말은 다수의 송신기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단말은 다수의 송신기가 전송한 제어 정보를 기반으로 간섭을 효과적으로 예측하고 이를 피드벡하여 단말의 채널 성능을 향상할 수 있다.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명세서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명세서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명세서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명세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명세서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명세서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명세서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 외에도 본 명세서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명세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Claims (14)

  1. 단말의 제어 신호 수신 방법에 있어서,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통해 시분할복식(TDD; Time Division Duplex) 재설정(reconfiguration)을 지시하는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TDD 업링크-다운링크(UL-DL) 구성(configuration)을 갱신하는 단계; 및
    상기 갱신된 TDD UL-DL 구성에 따라 스케줄링 제어 신호를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말의 제어 신호 수신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통해 TDD 재설정을 지시하는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는,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EPDCCH(Enhanced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세트 1 및 EPDCCH 세트 2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제어 채널 영역을 통해 상기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TDD UL-DL 구성을 갱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 신호가 수신된 제어 채널 영역에 대한 TDD UL-DL 구성을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말의 제어 신호 수신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갱신된 TDD UL-DL 구성에 따라 스케줄링 제어 신호를 처리하는 단계는,
    상기 스케줄링 제어 신호가 수신된 제어 채널 영역에 대한 TDD UL-DL 구성에 따라 상기 스케줄링 제어 신호를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신호 수신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통해 TDD 재설정을 지시하는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는,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EPDCCH(Enhanced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세트 1 및 EPDCCH 세트 2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제어 채널 영역을 통해 상기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TDD UL-DL 구성을 갱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 신호의 QCL(quasi co-located)에 연관된 TDD UL-DL 구성을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말의 제어 신호 수신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갱신된 TDD UL-DL 구성에 따라 스케줄링 제어 신호를 처리하는 단계는,
    상기 스케줄링 제어 신호의 QCL에 연관된 TDD UL-DL 구성에 따라 상기 스케줄링 제어 신호를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신호 수신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통해 TDD 재설정을 지시하는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는,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을 통해 상기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제어신호의 DCI(Downlink Control Information) 크기가 DCI 포맷 1C의 크기인 것으로 가정하고 수신 시도하는 단계; 및
    EPDCCH(Enhanced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을 통해 상기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제어신호의 DCI 크기가 DCI 포맷 1A의 크기인 것으로 가정하고 수신 시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신호 수신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신호는 갱신될 TDD UL-DL 구성을 지시하는 필드 및 업링크 송신 전력에 대한 지시자를 포함하는 필드를 포함하는 제어 신호 수신 방법.
  8. 기지국의 제어 신호 송신 방법에 있어서,
    단말에 대한 시분할복식(TDD; Time Division Duplex) 업링크-다운링크(UL-DL) 구성(configuration)을 갱신하는 단계;
    상기 갱신된 TDD UL-DL 구성에 따라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통해 TDD 재설정(reconfiguration)을 지시하는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갱신된 TDD UL-DL 구성에 따라 상기 단말에 대한 스케줄링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지국의 제어 신호 송신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단말에 대한 TDD UL-DL 구성을 갱신하는 단계는,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EPDCCH(Enhanced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세트 1 및 EPDCCH 세트 2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제어 채널 영역에 연관된 TDD UL-DL 구성을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통해 TDD 재설정을 지시하는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갱신된 TDD UL-DL 구성에 연관된 제어 채널 영역을 통해 상기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지국의 제어 신호 송신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갱신된 TDD UL-DL 구성에 따라 상기 단말에 대한 스케줄링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갱신된 TDD UL-DL 구성에 따라 상기 갱신된 TDD UL-DL 구성에 연관된 제어 채널 영역을 통해 상기 스케줄링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신호 송신 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단말에 대한 TDD UL-DL 구성을 갱신하는 단계는, QCL(quasi co-located)에 연관된 TDD UL-DL 구성을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통해 TDD 재설정을 지시하는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갱신된 TDD UL-DL 구성에 연관된 QCL을 포함하는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지국의 제어 신호 송신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갱신된 TDD UL-DL 구성에 따라 상기 단말에 대한 스케줄링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갱신된 TDD UL-DL 구성에 따라 상기 갱신된 TDD UL-DL 구성에 연관된 QCL을 포함하는 상기 스케줄링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신호 송신 방법.
  13. 제8항에 있어서,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통해 TDD 재설정을 지시하는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는,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을 통해 상기 제어신호의 DCI(Downlink Control Information)를 DCI 포맷 1C의 크기로 생성하여 송신하는 단계; 및
    EPDCCH(Enhanced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을 통해 상기 제어 신호의 DCI를 DCI 포맷 1A의 크기로 생성하여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신호 송신 방법.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신호는 갱신될 TDD UL-DL 구성을 지시하는 필드 및 업링크 송신 전력에 대한 지시자를 포함하는 필드를 포함하는 제어 신호 수신 방법.
KR20130078974A 2013-07-05 2013-07-05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장치 KR2015000581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78974A KR20150005813A (ko) 2013-07-05 2013-07-05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78974A KR20150005813A (ko) 2013-07-05 2013-07-05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5813A true KR20150005813A (ko) 2015-01-15

Family

ID=524773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78974A KR20150005813A (ko) 2013-07-05 2013-07-05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0581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44674B2 (en) Uplink transmissions for dual connectivity
US10841882B2 (en) Radio communication base st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ransmission power of sounding reference signal
KR102210453B1 (ko) 다수의 검색 공간에 대해 블라인드 디코딩을 수행하는 순서를 결정하는 방법 및 단말
US952605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ell switching
EP2943002B1 (en) Method for monitoring downlink control channe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device for same
CN114401075B (zh) 无线通信系统中收发设备对设备通信终端的信号的方法和装置
KR102052377B1 (ko) 협력적 다중 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셀간 간섭을 저감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EP3542493A1 (en) Optimization of search space and sounding reference signal placement for improved decoding timeline
AU2015205047A1 (en) Uplink transmissions for dual connectivity
CN106576251B (zh) 无线通信系统中支持无定形小区的方法和设备
US9826544B2 (en) Method for use i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reporting ACK/NACK in dynamic TDD configurations,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computer-readable product
KR20140135331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동적 시분할 복식 시스템 운영 방법 및 장치
US20160174245A1 (en) Method for use in bs (re)configuring ue to switch from fixed ul-dl tdd configuration to flexible ul-dl tdd configuration, and bs
KR20130078137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정보의 전송 장치 및 방법
KR20150005813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장치
KR20150143135A (ko) 무선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자원 할당 정보 송수신 방법 및 장치
KR102233094B1 (ko) 주파수 집적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자원 할당 방법 및 장치
KR20200114976A (k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자원 풀 구성 방법 및 장치
KR20140126228A (ko) 하향링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그 장치
KR20140091437A (ko) 하향링크 캐리어의 타입을 식별하는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