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59694A -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에서 셀 선택적 신호 송수신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에서 셀 선택적 신호 송수신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59694A
KR20130059694A KR1020110125806A KR20110125806A KR20130059694A KR 20130059694 A KR20130059694 A KR 20130059694A KR 1020110125806 A KR1020110125806 A KR 1020110125806A KR 20110125806 A KR20110125806 A KR 20110125806A KR 20130059694 A KR20130059694 A KR 201300596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ing cell
mute
subframe
downlink
b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58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동현
권기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to KR10201101258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59694A/ko
Priority to US14/361,298 priority patent/US20140348039A1/en
Priority to PCT/KR2012/010185 priority patent/WO2013081377A1/ko
Publication of KR201300596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969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 H04L5/0007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04B7/2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 H04B7/2643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using time-division multiple access [TDMA]
    • H04B7/265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using time-division multiple access [TDMA] for structure of frame, bur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 H04L5/0007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 H04L5/001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the frequencies being arranged in component carr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14Two-way operation using the same type of signal, i.e. duplex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14Two-way operation using the same type of signal, i.e. duplex
    • H04L5/16Half-duplex systems; Simplex/duplex switching; Transmission of break signals non-automatically inverting the direction of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22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using time-division multiplex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에서 셀 선택적 신호 송수신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명세서는 제1 밴드에 속하는 부서빙셀을 단말에 구성하는 단계, 상기 부서빙셀의 제1 TDD 상향링크/하향링크 구성이, 상기 제1 밴드와는 다른 제2 밴드에 속하는 주서빙셀의 제2 TDD 상향링크/하향링크 구성과 다르게 되는 불일치 서브프레임에서, 상기 부서빙셀과 상기 주서빙셀 중 하나를 뮤트 서빙셀로, 다른 하나를 유효 서빙셀로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설정된 유효 서빙셀상으로 스케줄된 신호의 송수신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셀 선택적 신호 송수신 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TDD 시스템에서 밴드간 반송파 집성이 이루어질 때, 단말과 기지국은 뮤트 서빙셀 정보와 뮤트 서빙셀 선택 규칙을 이용함으로써 불일치 서브프레임상에서도 안정적인 동작을 구현할 수 있다.

Description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에서 셀 선택적 신호 송수신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CELL SELECTIVE SIGNAL IN MULTIPLE COMPONENT CARRIER SYSTEM}
본 발명은 무선통신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에서 셀 선택적 신호 송수신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무선통신에 사용되는 무선자원(radio resource)은 일반적으로 주파수 영역(frequency domain), 시간 영역 및 코드영역에서 정의된다. 무선통신에서는 단말(user equipment: UE)과 기지국(base station: BS)이 각각 주어진 무선자원을 이용하여야 한다. 단말이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무선경로를 상향링크(uplink)라 하며, 기지국이 단말로 전송하는 무선경로를 하향링크(downlink)라 한다. 한편, 하향링크 전송에 사용되는 무선자원과, 상향링크 전송에 사용되는 무선자원이 겹치지 않도록 구분하는 방식이 필요한데, 이러한 방식을 듀플렉스(duplex)라고 한다.
서로 다른 사용자를 구분하기 위한 다중접속기술(multiple access scheme)에서와 마찬가지로 상향링크와 하향링크의 구분은 주파수, 시간 및 코드 영역에서 가능하다. 듀플렉스 방식은 크게 상향링크와 하향링크를 주파수로 구분하는 FDD(Frequency Division Duplex)방식과 상향링크와 하향링크를 시간으로 구분하는 TDD(Time Division Duplex)방식으로 나뉜다. TDD는 단방향(uni-directional) 통신만이 허용되는 반-듀플렉스(half-duplex) 방식 중 하나이다.
FDD 방식에서는 주파수 영역에서 상향링크와 하향링크가 구분되므로, 기지국과 단말간의 데이터의 전송이 각 링크에서 시간영역에서 연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FDD방식은 상향링크와 하향링크에 같은 크기의 주파수를 대칭적으로 할당하고 있어, 음성통화와 같은 대칭형 서비스(symmetric service)에 적절하여 많이 사용되었으나, 최근들어 인터넷 서비스와 같은 비대칭형 서비스(asymmetric service)에는 TDD 방식이 적합하여 이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TDD방식은 상향링크, 하향링크에 서로 다른 비율의 시간 슬롯을 할당할 수 있기 때문에, 비대칭형 서비스에 적합하다는 이점이 있다. TDD 방식의 또 다른 장점으로는 상향링크와 하향링크가 동일 주파수 대역에서 송수신되므로 상향링크와 하향링크의 채널 상태가 거의 일치한다. 따라서 신호를 수신하면 바로 채널상태를 추정할 수 있어 어레이 안테나(Array Antenna) 기술등에 적합하다. TDD방식은 전체 주파수 대역을 상향링크 또는 하향링크로 사용하되, 시간영역에서 상향링크와 하향링크를 구분하고 있으므로, 일정 시간 동안은 상향링크로 사용하고, 또 다른 일정 시간 동안은 하향링크로 사용하므로 기지국과 단말간에 데이터 송수신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없다.
다중 요소 반송파(multiple component carrier) 시스템은 주파수 영역에서 구별되는 다수의 요소 반송파(component carrier: CC)들을 지원한다. 서로 다른 밴드(inter-band)간 요소 반송파들이 집성(aggregation)되는 경우, 각 요소 반송파들에는 서로 다른 TDD 상향링크/하향링크 구성(uplink/downlink configuration)이 할당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임의의 서브프레임이 제1 요소 반송파에 대해서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일 수 있으나, 제2 요소 반송파에 대해서는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일 수 있다. 반-듀플렉스 방식에 따를 때 상기 임의의 서브프레임은 단방향의 서브프레임으로만 동작하여야 한다. 그런데 만약 제1 요소 반송파상의 송신과 제2 요소 반송파상의 수신 또는 제1 요소 반송파상의 수신과 제2 요소 반송파상의 송신이 충돌하게 되면, 시스템의 불안정한 동작을 야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에서 셀 선택적 신호 송수신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과제는 반-듀플렉스 모드를 지원하는 시스템의 불일치 서브프레임에서 서빙셀 선택적으로 신호를 송수신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반-듀플렉스 모드를 지원하는 시스템의 불일치 서브프레임에서 뮤트 서빙셀을 선택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반-듀플렉스 모드를 지원하는 시스템의 불일치 서브프레임에서 서빙셀을 선택하는데 사용되는 뮤트 서빙셀 정보를 전송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반-듀플렉스 모드를 지원하는 시스템의 불일치 서브프레임에서 서빙셀을 선택하는데 사용되는 서브프레임 지시자를 전송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서브프레임 단위로 상향링크(uplink)와 하향링크(downlink)가 시분할 듀플렉스(time division duplex)된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에서 단말에 의한 셀 선택적 신호 송수신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제1 밴드에 속하는 부서빙셀(secondary serving cell)을 단말에 구성하는 단계, 상기 부서빙셀의 제1 TDD 상향링크/하향링크 구성이, 상기 제1 밴드와는 다른 제2 밴드에 속하는 주서빙셀(primary serving cell)의 제2 TDD 상향링크/하향링크 구성과 다르게 되는 불일치 서브프레임에서, 상기 부서빙셀과 상기 주서빙셀 중 하나를 뮤트(muted) 서빙셀로, 다른 하나를 유효 서빙셀로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설정된 유효 서빙셀상으로 스케줄된 신호의 송수신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서브프레임 단위로 상향링크와 하향링크가 시분할 듀플렉스된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에서 기지국에 의한 셀 선택적 신호 송수신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제1 밴드에 속하는 부서빙셀을 단말에 구성하는 RRC 메시지를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부서빙셀의 제1 TDD 상향링크/하향링크 구성이, 상기 제1 밴드와는 다른 제2 밴드에 속하는 주서빙셀의 제2 TDD 상향링크/하향링크 구성과 다르게 되는 불일치 서브프레임에서, 상기 부서빙셀과 상기 주서빙셀 중 하나를 뮤트 서빙셀로, 다른 하나를 유효 서빙셀로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유효 서빙셀상으로 스케줄된 신호의 송수신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TDD 시스템에서 밴드간 반송파 집성이 이루어질 때, 단말과 기지국은 뮤트 서빙셀 정보와 뮤트 서빙셀 선택 규칙을 이용함으로써 불일치 서브프레임상에서도 안정적인 동작을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무선통신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무선프레임 구조의 다른 예이다. 이는 TDD 무선 프레임 구조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에서 단말에 구성되는 서빙셀들의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에서 TDD 상향링크/하향링크 구성을 적용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에서 TDD 상향링크/하향링크 구성을 적용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불일치 서브프레임에서 셀 선택적 신호 송수신을 수행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뮤트 서빙셀 선택규칙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뮤트 서빙셀 선택규칙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에 따른 뮤트 서빙셀 선택규칙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에 따른 뮤트 서빙셀 선택규칙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에 따른 뮤트 서빙셀 선택규칙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12a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밴드의 TDD 상향링크/하향링크 구성을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12b는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밴드의 TDD 상향링크/하향링크 구성을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뮤팅 개시 시점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뮤팅 개시 시점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에 따른 뮤트 서빙셀 선택규칙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에 따른 뮤트 서빙셀 선택규칙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단말과 기지국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대상으로 설명하며,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이루어지는 작업은 해당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관할하는 시스템(예를 들어 기지국)에서 네트워크를 제어하고 데이터를 송신하는 과정에서 이루어지거나, 해당 무선 네트워크에 결합한 단말에서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어 채널을 전송한다'라는 의미는 특정 채널을 통해 제어 정보가 전송되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여기서, 제어 채널은 일례로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혹은 PUCCH(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가 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무선통신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무선통신 시스템(10)은 음성, 패킷 데이터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널리 배치된다. 무선통신 시스템(10)은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11; Base Station, BS)을 포함한다. 각 기지국(11)은 특정한 셀(cell)(15a, 15b, 15c)에 대해 통신 서비스를 제공한다. 셀은 다시 다수의 영역(섹터라고 함)으로 나누어질 수 있다. 기지국(11)은 eNB(evolved-NodeB), BTS(Base Transceiver System),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펨토(femto) 기지국, 가내 기지국(Home nodeB), 릴레이(relay) 등 다른 용어로 불릴 수 있다. 셀은 메가셀, 매크로셀, 마이크로셀, 피코셀, 펨토셀 등 다양한 커버리지 영역을 모두 포괄하는 의미이다.
단말(12; user equipment, UE)은 고정되거나 이동성을 가질 수 있으며, MS(mobile station), MT(mobile terminal), UT(user terminal), SS(subscriber station), 무선기기(wireless device),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무선 모뎀(wireless modem), 휴대기기(handheld device) 등 다른 용어로 불릴 수 있다.
이하에서 하향링크(downlink)는 기지국(11)에서 단말(12) 방향의 전송링크(transmission link)를 의미하며, 상향링크(uplink)는 단말(12)에서 기지국(11) 방향으로의 전송링크를 의미한다. 하향링크에서 송신기는 기지국(11)의 일부분일 수 있고, 수신기는 단말(12)의 일부분일 수 있다. 상향링크에서 송신기는 단말(12)의 일부분일 수 있고, 수신기는 기지국(11)의 일부분일 수 있다. 무선통신 시스템에 적용되는 다중 접속 기법에는 제한이 없다.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SC-FDMA(Single Carrier-FDMA), OFDM-FDMA, OFDM-TDMA, OFDM-CDMA와 같은 다양한 다중 접속 기법을 사용할 수 있다. 상향링크 전송 및 하향링크 전송은 서로 다른 시간을 사용하여 전송되는 TDD(Time Division Duplex) 방식이 사용될 수 있고, 또는 서로 다른 주파수를 사용하여 전송되는 FDD(Frequency Division Duplex)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반송파 집성(carrier aggregation; CA)은 복수의 반송파가 지원되는 통신방식으로서, 스펙트럼 집성 또는 대역폭 집성(bandwidth aggregation)이라고도 한다. 반송파 집성에 의해 묶이는 개별적인 단위 반송파를 요소 반송파(component carrier; CC)라고 한다. 각 요소 반송파는 대역폭과 중심 주파수로 정의된다. 반송파 집성은 증가되는 수율(throughput)을 지원하고, 광대역 RF(radio frequency) 소자의 도입으로 인한 비용 증가를 방지하고, 기존 시스템과의 호환성을 보장하기 위해 도입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20MHz 대역폭을 갖는 반송파 단위의 그래뉼래리티(granularity)로서 5개의 요소 반송파가 할당된다면, 최대 100MHz의 대역폭을 지원할 수 있는 것이다.
반송파 집성은 주파수 영역에서 연속적인 요소 반송파들 사이에서 이루어지는 인접(contiguous) 반송파 집성과 불연속적인 요소 반송파들 사이에 이루어지는 비인접(non-contiguous) 반송파 집성으로 나눌 수 있다. 하향링크와 상향링크 간에 집성되는 반송파들의 수는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하향링크 요소 반송파 수와 상향링크 요소 반송파 수가 동일한 경우를 대칭적(symmetric) 집성이라고 하고, 그 수가 다른 경우를 비대칭적(asymmetric) 집성이라고 한다.
요소 반송파들의 크기(즉 대역폭)는 서로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70MHz 대역의 구성을 위해 5개의 요소 반송파들이 사용된다고 할 때, 5MHz 요소 반송파(carrier #0) + 20MHz 요소 반송파(carrier #1) + 20MHz 요소 반송파(carrier #2) + 20MHz 요소 반송파(carrier #3) + 5MHz 요소 반송파(carrier #4)과 같이 구성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 다중 반송파(multiple carrier) 시스템이라 함은 반송파 집성을 지원하는 시스템을 말한다. 다중 반송파 시스템에서 인접 반송파 집성 및/또는 비인접 반송파 집성이 사용될 수 있으며, 또한 대칭적 집성 또는 비대칭적 집성 어느 것이나 사용될 수 있다. 서빙셀(serving cell)은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multiple component carrier system)에 기반하여 반송파 집성에 의해 집성될 수 있는 요소 주파수 대역으로서 정의될 수 있다. 서빙셀에는 주서빙셀(primary serving cell: PCell)과 부서빙셀(secondary serving cell: SCell)이 있다. 주서빙셀은 RRC 연결(establishment) 또는 재연결(re-establishment) 상태에서, 보안입력(security input)과 NAS 이동 정보(mobility information)을 제공하는 하나의 서빙셀을 의미한다. 단말의 성능(capabilities)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셀이 주서빙셀과 함께 서빙셀의 집합을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셀을 부서빙셀(secondary serving cell)이라 한다. 하나의 단말에 대해 설정된 서빙셀의 집합은 하나의 주서빙셀만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하나의 주서빙셀과 적어도 하나의 부서빙셀로 구성될 수 있다.
주서빙셀에 대응하는 하향링크 요소 반송파를 하향링크 주요소 반송파(DL PCC)라 하고, 주서빙셀에 대응하는 상향링크 요소 반송파를 상향링크 주요소 반송파(UL PCC)라 한다. 또한, 하향링크에서, 부서빙셀에 대응하는 요소 반송파를 하향링크 부요소 반송파(DL SCC)라 하고, 상향링크에서, 부서빙셀에 대응하는 요소 반송파를 상향링크 부요소 반송파(UL SCC)라 한다. 하나의 서빙셀에는 하향링크 요소 반송파만이 대응할 수도 있고, DL CC와 UL CC가 함께 대응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무선프레임 구조의 다른 예이다. 이는 TDD 무선 프레임 구조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무선 프레임(radio frame)은 두 개의 하프프레임(half-frame)을 포함한다. 각 하프프레임의 구조는 동일하다. 하프프레임은 5개의 서브프레임(subframe)과 3개의 필드(field) DwPTS(Downlink Pilot Time Slot: DwPTS), 보호구간(Guard Period) 및 UpPTS(Uplink Pilot Time Slot)을 포함한다. DwPTS는 단말에서의 초기 셀 탐색, 동기화 또는 채널 추정에 사용된다. UpPTS는 기지국에서의 채널 추정과 단말의 상향 전송 동기를 맞추는 데 사용된다. 보호구간은 상향링크와 하향링크 사이에 하향링크 신호의 다중경로 지연으로 인해 상향링크에서 생기는 간섭을 제거하기 위한 구간이다.
표 1은 무선 프레임의 TDD 상향링크/하향링크 구성(UL/DL configuration)의 일 예를 나타낸다. TDD 상향링크/하향링크 구성은 하나의 무선 프레임내에서 상향링크 전송을 위해 예약된(reserved) 서브프레임 및 하향링크 전송을 위해 예약된 서브프레임을 정의한다. 즉, TDD 상향링크/하향링크 구성은 하나의 무선프레임내의 모든 서브프레임에 상향링크와 하향링크가 어떠한 규칙에 의해 할당(또는 예약)되는지를 알려준다.
상향링크/하향링크 구성 전환시점 주기
서브프레임 번호
0 1 2 3 4 5 6 7 8 9
0 5 ms D S U U U D S U U U
1 5 ms D S U U D D S U U D
2 5 ms D S U D D D S U D D
3 10 ms D S U U U D D D D D
4 10 ms D S U U D D D D D D
5 10 ms D S U D D D D D D D
6 5 ms D S U U U D S U U D
표 1을 참조하면, 'D'는 서브프레임이 하향링크 전송을 위해 사용되는 것임을 나타내고, 'U'는 서브프레임이 상향링크 전송을 위해 사용되는 것임을 나타낸다. 'S'는 서브프레임이 특별한 용도로 쓰임을 나타내며, 프레임 동기(sync)를 맞추거나, 또는 하향링크 전송을 위해 사용되는 것임을 나타낸다. 이하에서 하향링크 전송을 위해 사용되는 서브프레임을 간단히 하향링크 서브프레임(downlink subframe)이라 하고, 상향링크 전송을 위해 사용되는 서브프레임을 간단히 상향링크 서브프레임(downlink subframe)이라 한다. 각 TDD 상향링크/하향링크 구성마다 하나의 무선 프레임내의 하향링크 서브프레임과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의 배치(position) 및 개수가 서로 다르다.
하향링크에서 상향링크로 변경되는 시점 또는 상향링크에서 하향링크로 전환되는 시점을 전환시점(switching point)이라 한다. 전환시점의 주기성(Switch-point periodicity)은 상향링크 서브프레임과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이 전환되는 양상이 동일하게 반복되는 주기를 의미하며, 5ms 또는 10ms 이다. 예를 들어, TDD 상향링크/하향링크 구성 0에서 보면, 0번째부터 4번째 서브프레임까지 D->S->U->U->U로 전환되고, 5번째부터 9번째 서브프레임까지 이전과 동일하게 D->S->U->U->U로 전환된다. 하나의 서브프레임이 1ms이므로, 전환시점의 주기성은 5ms이다. 즉, 전환시점의 주기성은 하나의 무선 프레임 길이(10ms)보다 적으며, 무선 프레임내에서 전환되는 양상이 1회 반복된다.
상기 표 1의 TDD 상향링크/하향링크 구성은 시스템 정보를 통해 기지국으로부터 단말로 전송될 수 있다. 기지국은 TDD 상향링크/하향링크 구성이 바뀔 때마다 TDD 상향링크/하향링크 구성의 인덱스만을 전송함으로써 무선 프레임의 상향링크-하향링크 할당상태의 변경을 단말에 알려줄 수 있다. 또는 TDD 상향링크/하향링크 구성은 방송정보로서 브로드캐스트 채널(broadcast channel)을 통해 셀내의 모든 단말에 공통으로 전송되는 제어정보일 수 있다.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은 주서빙셀 및/또는 부서빙셀등과 같은 복수의 서빙셀들을 운용한다. 따라서 반-듀플렉스 모드에서는 단말에 설정된 복수의 서빙셀들이 각기 독립적으로 TDD 상향링크/하향링크 구성을 취할 수 있다. 주서빙셀의 TDD 상향링크/하향링크 구성은 주서빙셀의 상향링크 전송을 위해 예약된 상향링크 서브프레임 및 주서빙셀의 하향링크 전송을 위해 예약된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을 정의한다. 부서빙셀의 TDD 상향링크/하향링크 구성은 부서빙셀의 상향링크 전송을 위해 예약된 상향링크 서브프레임 및 부서빙셀의 하향링크 전송을 위해 예약된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을 정의한다. 예를 들어 상기 표 1에서 주서빙셀의 TDD 상향링크/하향링크 구성은 2번이고, 부서빙셀의 TDD 상향링크/하향링크 구성은 5번이라 하자. 이때 7번 서브프레임은 주서빙셀에 대해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이나, 부서빙셀에 대하여는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에서 단말에 구성되는 서빙셀들의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시스템 대역폭은 밴드(band) A와 B를 포함하고, 밴드 A는 주서빙셀(PCell) 및 제1 부서빙셀(SCell 1)을 포함하며, 밴드 B는 제2 부서빙셀(SCell 2) 및 제3 부서빙셀(SCell 3)을 포함한다. 주서빙셀과 제1 부서빙셀의 반송파 집성은 A 밴드 내(intra-band) 집성이다. 마찬가지로 제2 부서빙셀과 제3 부서빙셀의 반송파 집성은 B 밴드 내 집성이다. 반면, 제1 부서빙셀과 제2 부서빙셀의 반송파 집성은 밴드 간(inter-band) 집성이다. 밴드 내 집성시, 동일 밴드내의 서빙셀들은 모두 동일한 TDD 상향링크/하향링크 구성을 가져야 하나, 밴드 간 반송파 집성시에는 서로 다른 밴드내의 서빙셀간에 서로 다른 TDD 상향링크/하향링크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전체-듀플렉스(full-duplex) 모드인 경우에는 문제가 없으나, 반-듀플렉스 모드인 경우 문제가 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반-듀플렉스 모드에서의 밴드간 반송파 집성시 서빙셀들간에 TDD 상향링크/하향링크 구성의 차이를 보여주는 설명도이다. 이는 도 3에 기초하여 설명된다.
도 4를 참조하면, 동일 밴드에 포함되는 서빙셀들간에는 동일한 TDD 상향링크/하향링크 구성이 적용되고, 서로 다른 밴드간에는 서로 독립적으로 TDD 상향링크/하향링크 구성이 적용된다. 이러한 TDD 상향링크/하향링크 구성을 밴드 특정(band-specific) TDD 상향링크/하향링크 구성이라고도 한다. 예를 들어 밴드 A에 포함되는 주서빙셀과 제1 부서빙셀에는 모두 TDD 상향링크/하향링크 구성 0번이 적용되고, 밴드 B에 포함되는 제2 부서빙셀 및 제3 부서빙셀에는 모두 TDD 상향링크/하향링크 구성 1번이 적용된다.
제1 부서빙셀과 제2 부서빙셀간에 반송파 집성이 이루어지면, 밴드간 반송파 집성이 된다. 제1 부서빙셀과 제2 부서빙셀의 TDD 상향링크/하향링크 구성을 살펴보면, 다른 서브프레임은 일치하나, 제1 부서빙셀의 4번과 9번 서브프레임은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인데 반해 제2 부서빙셀의 4번과 9번 서브프레임은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이다. 즉 반-듀플렉스 모드의 관점에서 볼 때, TDD 상향링크/하향링크 구성상 서브프레임 4번과 9번에서 서브프레임 불일치(subframe inconsistency)가 발생한다. 서브프레임 불일치는 비교되는 2개 이상의 서빙셀에서의 서브프레임 전송방향이 다른 상황을 의미하며, 상기 4번과 9번 서브프레임은 불일치 서브프레임(inconsistent subframe)이라 불릴 수 있다.
듀플렉스 모드에 따라 서브프레임 불일치에 대한 단말의 동작이 다르다. 예를 들어, 전체-듀플렉스 모드인 경우 단말은 4번과 9번 서브프레임에서 제1 부서빙셀상으로 상향링크 전송을 수행함과 동시에, 제2 부서빙셀상으로 하향링크 수신을 수행할 수 있다. 반면, 반-듀플렉스 모드인 경우에는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만 통신이 가능하므로, 단말은 4번 서브프레임에서 제1 부서빙셀과 제2 부서빙셀 중 어느 하나만을 선택하고, 선택된 부서빙셀을 통해 기지국과 통신을 수행한다. 마찬가지로, 단말은 9번 서브프레임에서도 제1 부서빙셀과 제2 부서빙셀 중 어느 하나만을 선택하고, 선택된 부서빙셀을 통해 기지국과 통신을 수행한다. 4번과 9번 서브프레임을 제외한 나머지 서브프레임들은 동일한 방향으로 구성되므로, 단말은 어느 하나의 서빙셀을 선택할 필요가 없이 모든 부서빙셀을 통해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4번 또는 9번 서브프레임에서 어느 하나의 부서빙셀이 유효한 것으로 선택되면, 유효한 부서빙셀상에서만 스케줄된(scheduled) 통신이 수행된다. 반면 유효한 것으로 선택되지 않은 부서빙셀상에서는 스케줄된 통신이 수행되지 않는데, 이를 뮤트(mute) 또는 드롭(drop)이라 한다. 이하에서 유효한 것으로 선택되는 서빙셀을 유효 서빙셀, 유효한 것으로 선택되지 않는 서빙셀을 뮤트 서빙셀(muted SCell)이라 한다. 유효 서빙셀과 뮤트 서빙셀은 서로 다른 밴드에 포함되고, 밴드간 반송파 집성으로 운영되며, 불일치 서브프레임에서 구별의 의미가 있다.
먼저, 단말 또는 기지국이 유효 서빙셀과 뮤트 서빙셀을 선택하는 원칙에 관하여 상세히 개시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반-듀플렉스 모드에서 밴드간 반송파 집성시 단말과 기지국간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기지국은 단말로 뮤트 서빙셀 정보(muted SCell infor)를 전송한다(S500). 여기서, 단말에는 적어도 하나의 서빙셀이 구성된 상태이다. 뮤트 서빙셀 정보는 불일치 서브프레임에서의 뮤트 서빙셀을 단말에 알려준다.
일 예로서, 뮤트 서빙셀 정보는 단말 특정(UE-specific)하게 전송되는 정보로서, 무선자원제어(radio resource control: RRC) 메시지에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RRC 메시지는 부서빙셀의 추가(addition), 제거(removal)등과 같이 부서빙셀을 재구성(reconfiguration)하는 절차에서 사용되는 RRC 연결 재구성 메시지일 수도 있고, 부서빙셀이 추가되는 상황이 아닌, 각 단말에게 전용하게(dedicatedly) 전송되는 RRC 메시지일 수도 있다. 어떠한 경우이든, 상기 RRC 메시지는 표 2와 같이 무선자원구성 공통부서빙셀 정보요소(RadioResourceConfigCommonSCell information element)일 수 있다.
RadioResourceConfigCommonSCell-r10 ::= SEQUENCE {
-- DL configuration as well as configuration applicable for DL and UL
nonUL-Configuration-r10 SEQUENCE {
-- 1: Cell characteristics
dl-Bandwidth-r10 ENUMERATED {n6, n15, n25, n50, n75, n100},
-- 2: Physical configuration, general
antennaInfoCommon-r10 AntennaInfoCommon,
mbsfn-SubframeConfigList-r10 MBSFN-SubframeConfigList OPTIONAL, -- Need OR
-- 3: Physical configuration, control
phich-Config-r10 PHICH-Config,
-- 4: Physical configuration, physical channels
pdsch-ConfigCommon-r10 PDSCH-ConfigCommon,
tdd-Config-r10 TDD-Config OPTIONAL -- Cond TDDSCell
},
-- UL configuration
ul-Configuration-r10 SEQUENCE {
ul-FreqInfo-r10 SEQUENCE {
ul-CarrierFreq-r10 ARFCN-ValueEUTRA OPTIONAL, -- Need OP
ul-Bandwidth-r10 ENUMERATED {n6, n15, n25, n50, n75, n100} OPTIONAL, -- Need OP
additionalSpectrumEmissionSCell-r10 AdditionalSpectrumEmission
},
p-Max-r10 P-Max OPTIONAL, -- Need OP
uplinkPowerControlCommonSCell-r10 UplinkPowerControlCommonSCell-r10,
-- A special version of IE UplinkPowerControlCommon may be introduced
-- 3: Physical configuration, control
soundingRS-UL-ConfigCommon-r10 SoundingRS-UL-ConfigCommon,
ul-CyclicPrefixLength-r10 UL-CyclicPrefixLength,
-- 4: Physical configuration, physical channels
prach-ConfigSCell-r10 PRACH-ConfigSCell-r10 OPTIONAL, -- Cond TDD-OR
pusch-ConfigCommon-r10 PUSCH-ConfigCommon } OPTIONAL, -- Need OR
...
}
표 2를 참조하면, 무선자원구성 공통부서빙셀 정보요소는 TDD 구성정보 요소(tdd-config IE)를 포함한다. TDD 구성정보 요소는 TDD에 특정한 물리 채널 구성을 명시하는데 사용되며, 특히 뮤트 서빙셀 정보(MutedSCellHalfDuplex)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뮤트 서빙셀 정보는 주서빙셀상으로 시스템 정보(system information: SI)에 포함될 수 있다. 이 경우, 뮤트 서빙셀 정보는 셀 특정(cell-specific)하게 전송되는 정보이다. 상기 시스템 정보는 예를 들어 표 3과 같이 주서빙셀상으로 전송되는 시스템 정보 블록1(system information block1: SIB1)일 수 있다.
-- ASN1START
SystemInformationBlockType1 ::= SEQUENCE {
cellAccessRelatedInfo SEQUENCE {
plmn-IdentityList PLMN-IdentityList,
trackingAreaCode TrackingAreaCode,
cellIdentity CellIdentity,
cellBarred ENUMERATED {barred, notBarred},
intraFreqReselection ENUMERATED{allowed, notAllowed},
csg-Indication BOOLEAN,
csg-Identity CSG-Identity OPTIONAL -- Need OR
},
cellSelectionInfo SEQUENCE {
q-RxLevMin Q-RxLevMin,
q-RxLevMinOffset INTEGER (1..8) OPTIONAL -- Need OP
},
p-Max P-Max OPTIONAL, -- Need OP
freqBandIndicator INTEGER (1..64),
schedulingInfoList SchedulingInfoList,
tdd-Config TDD-Config OPTIONAL, -- Cond TDD
si-WindowLength ENUMERATED {
ms1, ms2, ms5, ms10, ms15, ms20,
ms40},
systemInfoValueTag INTEGER (0..31),
nonCriticalExtension SystemInformationBlockType1-v890-IEs OPTIONAL
}
-- ASN1STOP
표 3을 참조하면, 시스템 정보 블록1은 TDD 구성정보 요소(tdd-config IE)를 포함한다. TDD 구성정보 요소는 TDD에 특정한 물리 채널 구성을 명시하는데 사용되며, 특히 뮤트 서빙셀 정보(MutedSCellHalfDuplex)를 포함할 수 있다. 기지국이 주서빙셀상에서 뮤트 서빙셀 정보를 단말로 전송해줌으로써, 불일치 서브프레임에서 다른 밴드의 부서빙셀이 뮤트 서빙셀인지 여부를 묵시적으로 지시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뮤트 서빙셀 정보는 물리 하향링크 채널(physical downlink channel)에 맵핑되는 하향링크 제어정보(downlink control information: DCI)에 포함될 수 있다. 피코 셀(pico cell)이나 가내 기지국(home eNB) 또는 펨토셀(femto cell)에 연결되어 있는 단말의 수는 매크로 기지국(macro eNB)에 연결된 단말들의 수에 비해 크게 적을 것이다. 따라서 피코 셀이나 가내 기지국의 커버리지(coverage)내의 데이터 트래픽(data traffic)은 편차가 심할 수 있다. 이러한 트래픽 환경에서는 적응적인 데이터 송수신 환경을 만드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불일치 서브프레임에서 반-듀플렉스 모드로 동작하는 단말들에게 물리채널을 이용한 동적(dynamic)인 TDD 상향링크/하향링크 구성 변경을 통하여 적응적인 데이터 송수신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기지국이 지시하는 뮤트 서빙셀 정보를 수신하면, 단말은 반송파 집성된 2 이상의 서빙셀들 중에서, 단말과 기지국간에 미리 정해진 선택규칙(selection rule)에 따라 어느 하나의 서빙셀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서빙셀을 뮤트 서빙셀로 설정한다(S505). 상기 선택규칙은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하며, 이에 관하여 후술한다.
뮤트 서빙셀이 설정되면, 단말은 매 불일치 서브프레임마다 뮤트 서빙셀상에서 스케줄된 송수신을 수행하지 않고, 유효 서빙셀상에서 스케줄된 송수신만을 수행한다. 즉, 서빙셀 선택적 신호 송수신(cell selective signal transmission and reception)을 수행한다(S510). 예를 들어, 제1 부서빙셀이 뮤트 서빙셀이면 단말은 도 6과 같이 불일치 서브프레임인 4번과 9번 서브프레임에서, 제1 부서빙셀상으로 스케줄된 상향링크 전송을 수행하지 않고, 유효 서빙셀인 제2 부서빙셀상에서만 스케줄된 하향링크 수신을 수행한다. 다만, 뮤트 서빙셀로 설정되더라도, 불일치 서브프레임을 제외한 나머지 서브프레임에서는 뮤트 서빙셀상에서도 단말이 스케줄된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에서, 뮤트 서빙셀을 선택하는 선택규칙에 관하여 상세히 개시된다.
제1 실시예 - 밴드에 특정한 뮤트 서빙셀 선택규칙
도 7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뮤트 서빙셀 선택규칙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서로 다른 밴드 A와 밴드 B에 속하는 주서빙셀(PCell)과 부서빙셀(SCell)이 반송파 집성에 의해 단말에 구성되어 있고, 주서빙셀에는 표 1에서의 TDD 상향링크/하향링크 구성 1이 적용되며, 부서빙셀에는 표 1에서의 TDD 상향링크/하향링크 구성 3이 적용된다고 하자. 불일치 서브프레임은 매 무선 프레임의 4번, 7번, 8번 서브프레임이다.
기지국의 지시에 의해 밴드 B가 뮤팅 밴드(muting band)로 설정되고, 밴드 A는 묵시적으로 비뮤팅(non-muting) 밴드로 설정된다. 단말은 주서빙셀과 부서빙셀 중 어느 것이 뮤팅 밴드에 포함되는지 판단한다. 부서빙셀이 뮤팅 밴드에 포함되므로, 단말은 부서빙셀을 뮤트 서빙셀로 선택한다. 그리고 주서빙셀은 비뮤팅 밴드에 포함되므로, 단말은 주서빙셀을 유효 서빙셀로 선택한다.
이로써, 단말은 매 4번 서브프레임에서 부서빙셀상으로는 스케줄된 상향링크 전송을 수행하지 않고(즉, 부서빙셀을 뮤팅함), 주서빙셀상에서 스케줄된 하향링크 수신만을 수행한다. 그리고 단말은 매 7번, 8번 서브프레임에서 부서빙셀상으로는 스케줄된 하향링크 수신을 수행하지 않고(즉, 부서빙셀을 뮤팅함), 주서빙셀상에서 스케줄된 상향링크 전송만을 수행한다. 기지국의 입장에서 설명하면, 기지국은 매 4번 서브프레임에서 부서빙셀상으로는 스케줄된 상향링크 수신을 수행하지 않고, 주서빙셀상에서 스케줄된 하향링크 전송만을 수행한다. 그리고 기지국은 하나의 단말을 기준으로 매 7번, 8번 서브프레임에서 부서빙셀상으로는 스케줄된 하향링크 전송을 수행하지 않고, 주서빙셀상에서 스케줄된 상향링크 수신만을 수행한다.
이와 같이 뮤트 서빙셀은 서빙셀이 속하는 밴드가 뮤팅 밴드인지 아닌지에 따라 종속적으로 결정된다. 즉, 뮤트 서빙셀은 밴드에 특정하게 결정된다. 이는, 표 1과 같은 TDD 상향링크/하향링크 구성이 밴드에 특정하게 결정되기 때문이다. 즉 동일 밴드내에서는 동일한 TDD 상향링크/하향링크 구성이 적용되고, 다른 밴드간에는 TDD 상향링크/하향링크 구성이 개별적으로 적용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뮤트 서빙셀 선택규칙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도 7과 달리 기지국에 의해 밴드 A가 뮤팅 밴드로 설정되는 경우이다. 이에 따르면 단말은 매 4번 서브프레임에서 주서빙셀상으로는 스케줄된 하향링크 수신을 수행하지 않고(즉, 주서빙셀을 뮤팅함), 부서빙셀상에서 스케줄된 상향링크 전송만을 수행한다. 그리고 단말은 매 7번, 8번 서브프레임에서 주서빙셀상으로는 스케줄된 상향링크 전송을 수행하지 않고(즉, 주서빙셀을 뮤팅함), 부서빙셀상으로 스케줄된 하향링크 수신만을 수행한다. 기지국의 입장에서 설명하면, 기지국은 매 4번 서브프레임에서 주서빙셀상으로는 스케줄된 하향링크 전송을 수행하지 않고, 부서빙셀상에서 스케줄된 상향링크 수신만을 수행한다. 그리고 기지국은 매 7번, 8번 서브프레임에서 부서빙셀상으로는 스케줄된 상향링크 수신을 수행하지 않고, 부서빙셀상에서 스케줄된 하향링크 전송만을 수행한다.
도 7과 도 8에서는 단말에 2개의 서빙셀만이 구성되는 시나리오에 한정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는 예시일 뿐이고 밴드에 특정한 뮤트 서빙셀 선택규칙은 3개 이상의 서빙셀이 단말에 구성되는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에 2개의 서빙셀이 구성된 상태에서, 1개의 서빙셀이 추가적으로 구성되는 상황이 있다. 이 때에는 어떠한 서빙셀을 기준으로 뮤트 서빙셀을 결정할지가 문제될 수 있다. 일 예로서, 단말은 새롭게 추가되는 부서빙셀을 기준으로 뮤트 서빙셀을 선택할 수 있다. 상기 기준이 되는 뮤트 서빙셀을 기준 뮤트 서빙셀이라 한다. 다른 예로서, 단말은 특정한 인덱스를 갖는 서빙셀의 뮤트 서빙셀 정보에 따라 기준 뮤트 서빙셀을 선택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서빙셀은 가장 낮은 인덱스의 서빙셀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써, 상기 서빙셀은 가장 낮은 인덱스의 부서빙셀일 수도 있다.
각 서빙셀들간에 TDD 상향링크/하향링크 구성이 모두 동일하지 않는 경우에, 3개의 서빙셀들에 관해 적어도 하나의 불일치 서브프레임이 존재할 수 있다. 3개의 서빙셀이 각각 서로 다른 밴드에 속하는 경우, 기준 뮤트 서빙셀의 밴드가 뮤팅 밴드로 설정되면, 나머지 2개의 밴드들은 기준 뮤트 서빙셀의 서브프레임이 상향링크인지 하향링크인지에 따라 같은 방향의 서브프레임이면 뮤팅 밴드, 다른 방향의 서브프레임이면 비뮤팅 밴드로 묵시적으로 설정된다. 반대로 기준 뮤트 서빙셀의 밴드가 비뮤팅 밴드로 설정 될 때도, 방향에 따라 묵시적으로 설정된다. 이로써 불일치 서브프레임에서의 서빙셀들간 송수신 방향을 하나로 선택하여 반-듀플렉스 모드로 해당 단말기는 불일치 서브프레임상에서 동작할 수 있다.
제1 실시예에 따른 선택규칙에 따라 단말이 뮤트 서빙셀 또는 유효 서빙셀을 선택함에 있어서, 기지국의 시그널링이 요구된다. 기지국은 표 3의 TDD 정보요소를 포함하는 RRC 메시지(예를 들어 표 2) 또는 시스템 정보 블록1(예를 들어 표 3)을 단말로 전송하며, 표 4의 TDD 구성 정보요소는 뮤트 서빙셀 정보를 포함한다.
-- ASN1START
TDD-Config ::= SEQUENCE {
subframeAssignment ENUMERATED { sa0, sa1, sa2, sa3, sa4, sa5, sa6},
specialSubframePatterns ENUMERATED {
ssp0, ssp1, ssp2, ssp3, ssp4,ssp5, ssp6, ssp7, ssp8},

MutedSCellHalfDuplex BOOLEAN -- OPTIONAL,
}
-- ASN1STOP
표 4를 참조하면, TDD 구성 정보요소는 뮤트 서빙셀 정보(MutedSCellHalfDuplex)를 포함한다. 뮤트 서빙셀 정보는 TDD 구성을 제어하는데 사용된다. 그러나 필드 값의 내용에 따라서 묵시적으로(implicitly) 주서빙셀의 TDD 구성을 제어할 수도 있다.
뮤트 서빙셀 정보는 반-듀플렉스 모드를 지원하는 단말 또는 전체-듀플렉스 모드를 지원하는 단말이지만 시그널링에 의해 반-듀플렉스 모드로 동작가능한 단말에 의해 취급될 수 있다. 뮤트 서빙셀 정보는 단말에 관한 뮤트 서빙셀 또는 유효 서빙셀을 설정해준다. 뮤트 서빙셀 정보는 부울린(boolean) 값에 의해 정의된다. 즉, 뮤트 서빙셀 정보는 '참(true)' 또는 '거짓(false)'을 지시한다.
다만 뮤트 서빙셀 정보는 '참(true)' 또는 '거짓(false)' 이렇게 2개의 상태로서 뮤팅 밴드 또는 비뮤팅 밴드만을 구분할 뿐, 어느 밴드가 뮤팅 밴드인지에 관한 정보까지는 포함하지 않는다. 각 비트가 뮤팅 또는 비뮤팅을 지시하는 밴드는 TDD 구성정보 요소가 어떠한 메시지에 포함되어 있는지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일 예로서, 표 2와 같은 RRC 메시지가 뮤트 서빙셀 정보의 전송에 사용되는 경우, 뮤트 서빙셀 정보가 '참'이면, 이는 RRC 재구성에 의해 변경 또는 추가되는 부서빙셀에 속하는 밴드가 비뮤팅 밴드임을 지시한다. 반면, 뮤트 서빙셀 정보가 '거짓'이면, 이는 RRC 재구성에 의해 변경 또는 추가되는 부서빙셀에 속하는 밴드가 뮤팅 밴드임을 지시한다.
다른 예로서, 표 3과 같은 시스템 정보 블록1이 뮤트 서빙셀 정보의 전송에 사용되는 경우, 뮤트 서빙셀 정보가 '참'이면, 이는 주서빙셀에 속하는 밴드가 비뮤팅 밴드임을 지시한다. 반면, 뮤트 서빙셀 정보가 '거짓'이면, 이는 주서빙셀에 속하는 밴드가 뮤팅 밴드임을 지시한다.
뮤팅 밴드와 비뮤팅 밴드가 분류되면, 서빙셀은 어느 밴드에 속하는지에 따라 뮤트 서빙셀 또는 유효 서빙셀로 선택된다. 다시 말하면, 뮤팅 밴드에 속하는 서빙셀들은 모두 뮤트 서빙셀로 선택되고, 비뮤팅 밴드에 속하는 서빙셀들은 모두 유효 서빙셀로 선택된다. 이는 실시예1이 뮤트 서빙셀이 밴드에 특정하게 선택되는 규칙을 따르기 때문이다. 한편, 다른 서빙셀에 속하는 밴드는 뮤팅 밴드로 분류되어, 상기 뮤팅 밴드에 속하는 서빙셀들은 모두 뮤트 서빙셀로 분류된다.
이와 같이 단말은 뮤트 서빙셀 정보에 기반하여 뮤팅 밴드와 비뮤팅 밴드를 구분할 수 있고, 뮤트 서빙셀과 유효 서빙셀도 구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단말은 매 불일치 서브프레임마다 뮤트 서빙셀상에서 스케줄된 송수신을 포기(abandon)하고, 유효 서빙셀상에서 스케줄된 송수신을 수행한다.
제2 실시예 - 전송 링크(link)에 특정한 뮤트 서빙셀 선택규칙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에 따른 뮤트 서빙셀 선택규칙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서로 다른 밴드 A와 밴드 B에 속하는 주서빙셀(PCell)과 부서빙셀(SCell)이 반송파 집성에 의해 단말에 구성되어 있고, 주서빙셀에는 표 1에서의 TDD 상향링크/하향링크 구성 1이 적용되며, 부서빙셀에는 표 1에서의 TDD 상향링크/하향링크 구성 3이 적용된다고 하자. 불일치 서브프레임은 매 무선 프레임의 4번, 7번, 8번 서브프레임이다.
기지국의 지시에 의해 상향링크가 뮤팅 링크(muting link)로 설정되고, 하향링크는 묵시적으로 비뮤팅(non-muting) 링크로 설정된다. 즉, 스케줄된 송수신의 허용(allowance) 측면에서, 하향링크가 상향링크에 우선한다.
단말은 불일치 서브프레임에서, 주서빙셀과 부서빙셀 중 어느 서빙셀의 전송링크가 스케줄된 송수신이 불허되는 뮤팅 링크인지 확인한다. 매 4번 서브프레임은 부서빙셀에 대해서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이므로, 뮤팅 링크에 해당한다. 따라서, 단말은 4번 서브프레임에서 부서빙셀을 뮤트 서빙셀로 선택한다. 반면, 4번 서브프레임은 주서빙셀에 대해서는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이므로 비뮤팅 링크에 해당한다. 따라서, 단말은 4번 서브프레임에서 주서빙셀을 유효 서빙셀로 선택한다.
한편, 7번, 8번 서브프레임은 주서빙셀에 대해서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이므로, 뮤팅 링크에 해당한다. 따라서, 단말은 7번, 8번 서브프레임에서 주서빙셀을 뮤트 서빙셀로 선택한다. 반면, 7번, 8번 서브프레임은 부서빙셀에 대해서는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이므로 비뮤팅 링크에 해당한다. 따라서, 단말은 7번, 8번 서브프레임에서 부서빙셀을 유효 서빙셀로 선택한다.
이로써, 매 불일치 서브프레임마다 단말에서는 상향링크 전송만이 수행되며, 상향링크 전송이 수행되는 서빙셀은 각 불일치 서브프레임마다 다를 수 있다. 이 방법을 통해 기지국은 단말의 트래픽(traffic) 요구량에 따라서 단말에 선호되는 전송링크를 결정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에 따른 뮤트 서빙셀 선택규칙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도 9와 달리 기지국의 지시에 의해 하향링크가 뮤팅 링크(muting link)로 설정되고, 상향링크는 묵시적으로 비뮤팅(non-muting) 링크로 설정되는 경우이다. 불일치 서브프레임은 매 4번, 7번, 8번 서브프레임이다.
단말은 불일치 서브프레임에서, 주서빙셀과 부서빙셀 중 어느 서빙셀이 스케줄된 송수신을 뮤팅 링크로 수행하는지 확인한다. 매 4번 서브프레임은 주서빙셀에 대해서는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이므로, 뮤팅 링크에 해당한다. 따라서, 단말은 4번 서브프레임에서 주서빙셀을 뮤트 서빙셀로 선택한다. 반면, 매 4번 서브프레임은 부서빙셀에 대해서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이므로 비뮤팅 링크에 해당한다. 따라서, 단말은 4번 서브프레임에서 부서빙셀을 유효 서빙셀로 선택한다.
한편, 매 7번, 8번 서브프레임은 부서빙셀에 대해서는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이므로, 뮤팅 링크에 해당한다. 따라서, 단말은 7번, 8번 서브프레임에서 부서빙셀을 뮤트 서빙셀로 선택한다. 반면, 매 7번, 8번 서브프레임은 주서빙셀에 대해서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이므로 비뮤팅 링크에 해당한다. 따라서, 단말은 7번, 8번 서브프레임에서 주서빙셀을 유효 서빙셀로 선택한다.
이로써, 매 불일치 서브프레임마다 단말에서는 상향링크 전송만이 수행되며, 상향링크 전송이 수행되는 서빙셀은 각 불일치 서브프레임마다 다를 수 있다. 이 방법을 통해 기지국은 단말의 트래픽(traffic) 요구량에 따라서 단말에 선호되는 전송링크를 결정할 수 있다.
제2 실시예에 따른 선택규칙에 따라 단말이 뮤트 서빙셀 또는 유효 서빙셀을 선택하는데 필요한 기지국의 시그널링이 요구된다. 기지국은 표 4의 TDD 정보요소를 포함하는 RRC 메시지(예를 들어 표 2) 또는 시스템 정보 블록1(예를 들어 표 3)를 단말로 전송하며, 표 5의 TDD 구성 정보요소는 뮤트 서빙셀 정보를 포함한다.
-- ASN1START

TDD-Config ::= SEQUENCE {
subframeAssignment ENUMERATED {
sa0, sa1, sa2, sa3, sa4, sa5, sa6},
specialSubframePatterns ENUMERATED {
ssp0, ssp1, ssp2, ssp3, ssp4,ssp5, ssp6, ssp7, ssp8},

MutedSCellHalfDuplex BOOLEAN -- OPTIONAL,
}
-- ASN1STOP
}
표 5를 참조하면, TDD 구성 정보요소는 뮤트 서빙셀 정보(MutedSCellHalfDuplex)를 포함한다. 뮤트 서빙셀 정보는 TDD 구성을 제어하는데 사용된다. 그러나 필드 값의 내용에 따라서 묵시적으로(implicitly) 주서빙셀의 TDD 구성을 제어할 수도 있다.
뮤트 서빙셀 정보는 반-듀플렉스 모드를 지원하는 단말 또는 전체-듀플렉스 모드를 지원하는 단말이지만 시그널링에 의해 반-듀플렉스 모드로 동작가능한 단말에 의해 취급될 수 있다. 뮤트 서빙셀 정보는 단말에 관한 뮤트 서빙셀 또는 유효 서빙셀을 설정해준다. 뮤트 서빙셀 정보는 부울린(boolean) 값에 의해 정의된다. 즉, 뮤트 서빙셀 정보는 '참(true)' 또는 '거짓(false)'을 지시한다.
예를 들어, 표 2와 같은 뮤트 서빙셀 정보가 '참'이면, 하향링크가 뮤팅 링크(muting link)로 설정됨을 지시한다. 그에 따라, 상향링크는 묵시적으로 비뮤팅(non-muting) 링크로 설정된다. 반면, 뮤트 서빙셀 정보가 '거짓'이면, 상향링크가 뮤팅 링크로 설정됨을 지시한다. 그에 따라, 하향링크는 묵시적으로 비뮤팅 링크로 설정된다.
이로써 매 불일치 서브프레임마다 상기 비뮤팅 링크로 스케줄된 송수신을 수행하는 서빙셀들은 모두 뮤트 서빙셀로 분류된다. 이는 실시예1이 뮤트 서빙셀이 링크에 특정하게 선택되는 규칙을 따르기 때문이다. 한편, 다른 서빙셀에 속하는 밴드는 뮤팅 밴드로 분류되어, 상기 뮤팅 밴드에 속하는 서빙셀들은 모두 뮤트 서빙셀로 분류된다.
단말은 불일치 서브프레임에서, 주서빙셀과 부서빙셀 중 어느 서빙셀이 스케줄된 송수신을 뮤팅 링크로 수행하는지 확인한다. 그리고 뮤팅 링크에 해당하는 서빙셀을 뮤트 서빙셀로 선택한다. 반면 단말은 비뮤팅 링크에 해당하는 서빙셀을 유효 서빙셀로 선택하여, 상기 유효 서빙셀에서만 스케줄된 송수신을 수행한다.
한편, 기지국이 뮤팅 링크를 변경하고자 할 때, 사용되는 메시지는 표 2와는 다른 형태의 RRC 메시지가 사용될 수도 있다.
제3 실시예 - 비트맵에 기반한 뮤트 서빙셀 직접 선택규칙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에 따른 뮤트 서빙셀 선택규칙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서로 다른 밴드 A와 밴드 B에 속하는 주서빙셀(PCell)과 부서빙셀(SCell)이 반송파 집성에 의해 단말에 구성되어 있고, 주서빙셀에는 표 1에서의 TDD 상향링크/하향링크 구성 1이 적용되며, 부서빙셀에는 표 1에서의 TDD 상향링크/하향링크 구성 3이 적용된다고 하자. 불일치 서브프레임은 매 무선 프레임의 4번, 7번, 8번 서브프레임이다.
기지국은 4번 서브프레임에서 밴드 B를 뮤팅 밴드로 설정하고, 7번 서브프레임에서 밴드 A를 뮤팅 밴드로 설정하며, 8번 서브프레임에서 다시 밴드 B를 뮤팅 밴드로 설정한다. 그리고 기지국은 단말이 상기 설정된 뮤팅 밴드를 기반으로 뮤트 서빙셀을 선택할 수 있도록 기지국은 TDD 구성정보 요소를 포함하는 RRC 메시지(예를 들어 표 2) 또는 시스템 정보 블록1(예를 들어 표 3)를 단말로 전송해준다. 일 예로서, TDD 구성정보 요소는 표 6과 같이 정의될 수 있다.
-- ASN1START

TDD-Config ::= SEQUENCE {
subframeAssignment ENUMERATED {
sa0, sa1, sa2, sa3, sa4, sa5, sa6},
specialSubframePatterns ENUMERATED {
ssp0, ssp1, ssp2, ssp3, ssp4,ssp5, ssp6, ssp7, ssp8},

MutedSCellHalfDuplex BITSTRING(SIZE (10)) -- '0000000100' (subframe 0, 1, 2, 3, 4, 5, 6, 7, 8, 9)
}
-- ASN1STOP
표 6을 참조하면, TDD 구성정보 요소는 뮤트 서빙셀 정보(MutedSCellHalfDuplex)를 포함한다. 뮤트 서빙셀 정보는 비트맵(bitmap)으로 정의될 수 있다. 여기서, 비트맵은 무선 프레임내의 서브프레임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의 비트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무선 프레임은 10개의 서브프레임을 포함하므로, 비트맵의 길이는 10비트이다. 그리고 비트맵의 비트들은 10개의 서브프레임에 1:1로 대응한다. 예를 들어, 비트맵이 'abcdefghij'라 하면, a, b, c, d, e, f, g, h, i, j는 각각 0번, 1번, 2번, 3번, 4번, 5번, 6번, 7번, 8번, 9번 서브프레임에 대응한다.
각 비트는 대응하는 서브프레임에서의 뮤팅 밴드를 지시한다. 비트맵은 불일치 서브프레임뿐만 아니라 일치 서브프레임(consistent subframe)에도 대응한다. 불일치 서브프레임에 대응하는 비트들은 뮤팅 밴드 또는 비뮤팅 밴드를 지시한다. 각 비트는 0 또는 1로서 단순히 뮤팅 밴드 또는 비뮤팅 밴드만을 구분할 뿐, 어느 밴드가 뮤팅 밴드인지에 관한 정보까지는 포함하지 않는다. 각 비트가 뮤팅 또는 비뮤팅을 지시하는 밴드는 TDD 구성정보 요소가 어떠한 메시지에 포함되어 있는지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일 예로서, 표 2와 같은 RRC 메시지가 뮤트 서빙셀 정보의 전송에 사용되는 경우, 불일치 서브프레임에 대응하는 비트의 값이 1이면, 이는 RRC 재구성에 의해 변경 또는 추가되는 부서빙셀에 속하는 밴드가 비뮤팅 밴드임을 지시한다. 반면, 불일치 서브프레임에 대응하는 비트의 값이 0이면, 이는 RRC 재구성에 의해 변경 또는 추가되는 부서빙셀에 속하는 밴드가 뮤팅 밴드임을 지시한다.
다른 예로서, 표 3과 같은 시스템 정보 블록1이 뮤트 서빙셀 정보의 전송에 사용되는 경우, 불일치 서브프레임에 대응하는 비트의 값이 1이면, 이는 주서빙셀에 속하는 밴드가 비뮤팅 밴드임을 지시한다. 반면, 불일치 서브프레임에 대응하는 비트의 값이 0이면, 이는 주서빙셀에 속하는 밴드가 뮤팅 밴드임을 지시한다.
도 11의 경우, 부서빙셀이 RRC 재구성에 의해 추가되므므로, 부서빙셀을 포함하는 밴드 B가 비트값에 따라 뮤팅 밴드 또는 비뮤팅 밴드로 분류될 수 있다.
여기서, 일치 서브프레임에 대응하는 비트들은 어떠한 값을 가지든지 무관하다. 이는 일치 서브프레임에서는 모든 서빙셀들이 동일한 전송링크를 가지기 때문에 뮤트 서빙셀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이다. 상기 예에서는 일치 서브프레임에 대응하는 비트들이 모두 0으로 설정되어 있으나, 이는 예시일 뿐 어떠한 값을 가져도 무방하다.
단말의 입장에서 볼 때, 단말은 뮤트 서빙셀 정보에 기반하여 기지국에 의해 정의된 매 불일치 서브프레임별 뮤팅 밴드를 확인할 수 있다. 비트맵이 '0000000100'일 경우, 불일치 서브프레임인 4번과 8번 서브프레임에 대응하는 비트값은 모두 0이므로 밴드 B가 뮤팅 밴드이다. 따라서, 단말은 4번과 8번 서브프레임에서 뮤팅 밴드인 밴드 B에 속하는 부서빙셀을 뮤트 서빙셀로 선택하고, 비뮤팅 밴드에 속하는 주서빙셀을 유효 서빙셀로 선택한다. 한편, 불일치 서브프레임인 7번 서브프레임에서, 비트값은 1이므로 밴드 A가 뮤팅 밴드이다. 따라서, 단말은 7번 서브프레임에서 주서빙셀을 뮤트 서빙셀로 선택하며, 부서빙셀을 유효 서빙셀로 선택한다.
다른 예로서, TDD 구성정보 요소는 표 7과 같이 정의될 수 있다.
-- ASN1START
TDD-Config ::= SEQUENCE {
subframeAssignment ENUMERATED {
sa0, sa1, sa2, sa3, sa4, sa5, sa6},
specialSubframePatterns ENUMERATED {
ssp0, ssp1, ssp2, ssp3, ssp4,ssp5, ssp6, ssp7, ssp8},

MutedSCellHalfDuplex BITSTRING(SIZE (5)) -- '01010' (3, 4, 7, 8, 9번 서브프레임 중 4, 7, 8번 서브프레임이 불일치 서브프레임)
}
-- ASN1STOP
표 7을 참조하면, TDD 구성정보 요소는 뮤트 서빙셀 정보(MutedSCellHalfDuplex)를 포함한다. 뮤트 서빙셀 정보는 비트맵으로 정의될 수 있다. 여기서, 비트맵은 무선 프레임내에서 TDD 상향링크/하향링크 구성상 잠재적인 모든 불일치 서브프레임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의 비트를 포함한다. 여기서 잠재적인 모든 불일치 서브프레임은 TDD 상향링크/하향링크 구성에서 불일치 서브프레임이 될 수 있는 모든 서브프레임을 뜻한다. 예를 들어, 모든 TDD 상향링크/하향링크 구성들간에 가능한 모든 불일치 서브프레임이 3, 4, 7, 8, 9번 서브프레임이라 할 때, 잠재적인 불일치 서브프레임들은 5개이므로 비트맵의 길이는 5비트이다. 그리고 비트맵의 비트들은 5개의 잠재적 불일치 서브프레임에 1:1로 대응한다. 예를 들어, 비트맵이 'abcde'라 하면, a, b, c, d, e는 각각 3번, 4번, 7번, 8번, 9번 서브프레임에 대응한다.
각 비트는 그 대응하는 불일치 서브프레임에서의 뮤팅 밴드를 지시한다.
일 예로서, 표 2와 같은 RRC 메시지가 뮤트 서빙셀 정보의 전송에 사용되는 경우, 불일치 서브프레임에 대응하는 비트의 값이 1이면, 이는 해당 불일치 서브프레임에서 RRC 재구성에 의해 변경 또는 추가되는 부서빙셀에 속하는 밴드가 비뮤팅 밴드임을 지시한다. 반면, 불일치 서브프레임에 대응하는 비트의 값이 0이면, 이는 해당 불일치 서브프레임에서 RRC 재구성에 의해 변경 또는 추가되는 부서빙셀에 속하는 밴드가 뮤팅 밴드임을 지시한다.
다른 예로서, 표 3과 같은 시스템 정보 블록1이 뮤트 서빙셀 정보의 전송에 사용되는 경우, 불일치 서브프레임에 대응하는 비트의 값이 1이면, 이는 해당 불일치 서브프레임에서 주서빙셀에 속하는 밴드가 비뮤팅 밴드임을 지시한다. 반면, 불일치 서브프레임에 대응하는 비트의 값이 0이면, 이는 해당 불일치 서브프레임에서 주서빙셀에 속하는 밴드가 뮤팅 밴드임을 지시한다.
단말의 입장에서 볼 때, 단말은 뮤트 서빙셀 정보에 기반하여 기지국에 의해 정의된 매 불일치 서브프레임별 뮤팅 밴드를 확인할 수 있다. 비트맵이 '00100'일 경우, 실제 TDD 상향링크/하향링크 구성상 실제 불일치 서브프레임에 대응하는 비트만이 의미있는 정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5개의 잠재적 불일치 서브프레임들 중에서 4, 7, 8번이 실제 불일치 서브프레임이라 할 때, 3번과 9번 서브프레임에 대응하는 비트의 값은 0이나, 특별한 의미를 가지지는 않는다. 한편, 실제 불일치 서브프레임인 4번과 8번 서브프레임에 대응하는 비트값은 모두 0이므로 밴드 B가 뮤팅 밴드이다. 따라서, 단말은 4번과 8번 서브프레임에서 뮤팅 밴드인 밴드 B에 속하는 부서빙셀을 뮤트 서빙셀로 선택하고, 비뮤팅 밴드에 속하는 주서빙셀을 유효 서빙셀로 선택한다. 한편, 실제 불일치 서브프레임인 7번 서브프레임에서, 비트값은 1이므로 밴드 A가 뮤팅 밴드이다. 따라서, 단말은 7번 서브프레임에서 주서빙셀을 뮤트 서빙셀로 선택하며, 부서빙셀을 유효 서빙셀로 선택한다.
도 12a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밴드의 TDD 상향링크/하향링크 구성을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12a를 참조하면, Case1에서, 주서빙셀을 포함하는 밴드 A에는 TDD 상향링크/하향링크 구성(UL/DL config) 0이 적용되고, 부서빙셀을 포함하는 밴드 B에는 TDD 상향링크/하향링크 구성 1이 적용된다. 이런 상태에서 밴드 B가 뮤팅 밴드여서 부서빙셀이 뮤트 서빙셀로 선택되면, 단말은 불일치 서브프레임인 4번과 9번 서브프레임에서는 주서빙셀상에서 스케줄된 상향링크 전송만을 수행하고, 부서빙셀상에서는 스케줄된 하향링크 수신을 할 수 없다. 이는 부서빙셀의 자원을 낭비하는 것이다. 즉 반-듀플렉스 모드를 따를 때, 불일치 서브프레임에서는 불가피하게 어느 하나의 서빙셀만이 생존하여 스케줄된 송수신을 할 수 있고, 나머지 서빙셀에서의 스케줄된 송수신은 버려진다. 불일치 서브프레임이 발생하는 원인은 밴드간에 서로 다른 TDD 상향링크/하향링크 구성이 적용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경우 Case2와 같이 뮤팅 밴드의 TDD 상향링크/하향링크 구성을 비뮤팅 밴드의 TDD 상향링크/하향링크 구성과 동일하게 해주면 부서빙셀상에서 낭비되는 자원을 줄이고, 불일치 서브프레임을 제거하여 상향링크 전송에 자원을 집중시킬 수 있다. 따라서, Case1에서 불일치 서브프레임이었던 4번, 9번 서브프레임은 더 이상 불일치 서브프레임이 아니고, 주서빙셀과 부서빙셀상에서 모두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으로 구성된다.
이와 반대로, 밴드 A의 TDD 상향링크/하향링크 구성을 밴드 B의 TDD 상향링크/하향링크 구성 0과 동일하게 변경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4번, 9번 서브프레임은 주서빙셀과 부서빙셀에서 모두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이 된다.
다른 밴드들의 TDD 상향링크/하향링크 구성을 동일하게 하기 위해, 기지국은 우선순위 밴드 A에 적용되는 TDD 상향링크/하향링크 구성을 밴드 B에 적용하게 하는 RRC 메시지를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또는 단말은 밴드 A와 밴드 B에 처음부터 동일한 TDD 상향링크/하향링크 구성이 적용되도록 RRC 메시지를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도 12b는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밴드의 TDD 상향링크/하향링크 구성을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12b를 참조하면, Case1에서, 주서빙셀을 포함하는 밴드 A에는 TDD 상향링크/하향링크 구성 0이 적용되고, 부서빙셀을 포함하는 밴드 B에는 TDD 상향링크/하향링크 구성 1이 적용된다. 불일치 서브프레임은 4번과 9번이다. 여기서, 기지국은 단말의 선호를 고려하여 각 불일치 서브프레임에서의 전송링크의 방향을 선택하는데 사용되는 뮤트 서빙셀 정보를 단말로 전송해줄 수 있다. 뮤트 서빙셀 정보는, 특정한 서브프레임의 링크가 단말이 선호하는 방향으로 설정되어 있는 TDD 상향링크/하향링크 구성을 지시한다. 여기서, 특정한 서브프레임은 현재 불일치 서브프레임의 번호에 대응하는 서브프레임을 의미할 수 있다. 이때의 TDD 상향링크/하향링크 구성은 효과적(effective) TDD 상향링크/하향링크 구성이라 명명될 수 있다.
일 예로서 뮤트 서빙셀 정보는 RRC 메시지에 포함된다.
다른 예로서, 뮤트 서빙셀 정보는 새로운 포맷의 DCI에 포함된다. 상기 새로운 포맷의 DCI는 동적 적응(dynamic adaptation)을 지원하는 반-듀플렉스 모드의 단말이 인지할 수 있는 정보이다. 상기 새로운 포맷의 DCI는 PDCCH에 맵핑되어 단말로 전송되므로, 동적인 뮤트 서빙셀 설정이 가능하다. 새로운 포맷의 DCI는 뮤트 서빙셀 정보를 나타내는데 n비트를 할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n=3이면, 뮤트 서빙셀 정보는 3비트로서, 23=8가지의 효과적 TDD 상향링크/하향링크 구성을 지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4번 서브프레임에서는 단말이 상향링크 전송을 선호하고, 9번 서브프레임에서는 하향링크 수신을 선호한다고 하면, 이러한 단말의 선호를 반영하는 하나의 TDD 상향링크/하향링크 구성은 DSUUUDSUUD이며, 이는 표 1에서의 TDD 상향링크/하향링크 구성 6과 동일하다. TDD 상향링크/하향링크 구성 6에 따르면, 4번 서브프레임은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이고, 9번 서브프레임은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이다.
뮤트 서빙셀 정보를 수신하면, 단말은 상향링크/하향링크 구성 6에서 불일치 서브프레임에 대응하는 4번과 9번 서브프레임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각 서브프레임에서의 링크방향을 비뮤팅 링크로 결정한다. 예를 들어, 4번 서브프레임은 RRC로 시그널링된 뮤트 서빙셀 정보의 링크 방향이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이므로, 4번 불일치 서브프레임에서는 상향링크가 비뮤팅 링크가 된다. 한편, 9번 서브프레임은 RRC로 시그널링된 뮤트 서빙셀 정보의 링크 방향이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이므로, 9번 불일치 서브프레임에서는 하향링크가 비뮤팅 링크가 된다.
이러한 경우 Case2와 같이 기존에 불일치 서브프레임인 4번 서브프레임은 상향링크가 비뮤팅 링크이므로, 단말은 4번 서브프레임이 상향링크인 주서빙셀을 유효 서빙셀로 선택한다. 반대로 말하면, 단말은 4번 서브프레임이 하향링크인 부서빙셀을 뮤트 서빙셀로 선택한다. 한편, 기존에 불일치 서브프레임인 9번 서브프레임은 하향링크가 비뮤팅 링크이므로, 단말은 9번 서브프레임이 하향링크인 부서빙셀을 유효 서빙셀로 선택한다. 반대로 말하면, 단말은 9번 서브프레임이 상향링크인 주서빙셀을 뮤트 서빙셀로 선택한다.
본 발명에 따라 뮤트 서빙셀이 선택되면, 뮤트 서빙셀에서는 더 이상 스케줄된 송수신이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뮤트 서빙셀에서 스케줄된 송수신이 중단되는 시점(이하, 뮤팅 개시 시점(muting start time)이라 한다)에 관하여 명확하게 규정되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뮤팅 개시 시점에 관하여 상세히 개시된다.
일 예로서, 뮤팅 개시 시점은 단말에 부서빙셀의 구성이 완료된 때일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뮤팅 개시 시점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단말은 셀 검색 절차(cell search procedure)를 통해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되는 시스템 정보를 수신한다(S1300).
단말은 시스템 정보에 기반하여, 기지국과 RRC 연결 설정 절차를 수행한다(S1305). RRC 연결 설정 절차는 단말이 RRC 연결 요청 메시지를 기지국으로 전송하고, 기지국이 RRC 연결 설정(connection setup)을 단말로 전송하며, 단말이 RRC 연결설정완료 메시지를 기지국으로 전송함으로써 수행된다. RRC 연결 설정 절차는 SRB1의 설정을 포함한다. 단말에 주서빙셀만이 구성된 경우, 즉 단말이 단일 반송파로 동작하는 경우, 반송파 집성 상태가 아니므로 TDD 구성정보 요소는 사용되지 않는다.
단말은 필요에 따라 주서빙셀이 속하는 밴드와 다른 밴드에 속하는 부서빙셀을 추가적으로 구성하거나, 이미 구성된 부서빙셀의 설정을 변경하는 RRC 연결 재구성 절차를 기지국과 수행한다(S1310). RRC 연결 재구성 절차는 기지국이 단말로 RRC 연결 재구성 메시지를 전송하고, 단말이 RRC 연결 재구성 완료 메시지를 기지국으로 전송함으로써 수행된다. 단계 S1310의 RRC 연결 재구성 절차에서 사용되는 RRC 메시지는 예를 들어 표 2에서의 TDD 구성정보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이로써, 주서빙셀과 부서빙셀간에 반송파 집성이 이루어지는데, 주서빙셀과 부서빙셀은 서로 다른 밴드에 속하므로, 이들에 적용되는 TDD 상향링크/하향링크 구성은 서로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차이로 인해, 불일치 서브프레임이 생겨나고, 단말은 TDD 구성정보 요소의 뮤트 서빙셀 정보를 읽고, 불일치 서브프레임에서 뮤트 서빙셀을 선택한다(도면 미도시).
단말의 RRC 연결 재구성 절차는 시작시점으로부터 △t 시점이 경과하면 완료되는데, 이때가 뮤팅 개시 시점이 된다. 따라서, 이때부터 단말은 서빙셀 선택적 신호 송수신을 수행한다(S1315). 즉, 단말은 매 불일치 서브프레임마다 선택된 뮤트 서빙셀상에서 스케줄된 송수신을 수행하지 않고, 유효 서빙셀상에서만 스케줄된 송수신을 수행한다.
다른 예로서, 뮤팅 개시 시점은 단말에 구성된 부서빙셀이 활성화된 때일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뮤팅 개시 시점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단말은 셀 검색 절차(cell search procedure)를 통해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되는 시스템 정보를 수신한다(S1400).
단말은 시스템 정보에 기반하여, 기지국과 RRC 연결 설정 절차를 수행한다(S1405). RRC 연결 설정 절차는 단말이 RRC 연결 요청 메시지를 기지국으로 전송하고, 기지국이 RRC 연결 설정을 단말로 전송하며, 단말이 RRC 연결설정완료 메시지를 기지국으로 전송함으로써 수행된다. RRC 연결 설정 절차는 SRB1의 설정을 포함한다. 단말에 주서빙셀만이 구성된 경우, 즉 단말이 단일 반송파로 동작하는 경우, 반송파 집성 상태가 아니므로 TDD 구성정보 요소는 사용되지 않는다.
단말은 필요에 따라 주서빙셀이 속하는 밴드와 다른 밴드에 속하는 부서빙셀을 추가적으로 구성하거나, 이미 구성된 부서빙셀의 설정을 변경하는 RRC 연결 재구성 절차를 기지국과 수행한다(S1410). RRC 연결 재구성 절차는 기지국이 단말로 RRC 연결 재구성 메시지를 전송하고, 단말이 RRC 연결 재구성 완료 메시지를 기지국으로 전송함으로써 수행된다. 단계 S1410의 RRC 연결 재구성 절차에서 사용되는 RRC 메시지는 예를 들어 표 2에서의 TDD 구성정보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이로써, 주서빙셀과 부서빙셀간에 반송파 집성이 이루어지는데, 주서빙셀과 부서빙셀은 서로 다른 밴드에 속하므로, 이들에 적용되는 TDD 상향링크/하향링크 구성은 서로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차이로 인해, 불일치 서브프레임이 생겨나고, 단말은 TDD 구성정보 요소의 뮤트 서빙셀 정보를 읽고, 불일치 서브프레임에서 뮤트 서빙셀을 선택한다(도면 미도시).
단말의 RRC 연결 재구성 절차가 완료된 후, 기지국은 단말에 추가로 구성된 부서빙셀의 활성화를 명령하는 활성화 지시자를 단말로 전송한다(S1415). 단말에 부서빙셀이 구성되어 있더라도 비활성화되어 있으면 유효한 데이터의 송수신이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트래픽이 많아지면 기지국은 부서빙셀의 활성화를 지시할 수 있다.
부서빙셀 활성화 지시자를 수신하더라도, 부서빙셀이 실질적으로 활성화되는 시점은 활성화 지시자를 수신한 서브프레임 이후로도 소정의 시간 △t'이 경과되어야 한다. △t'는 예를 들어 4 서브프레임(또는 4ms)일 수 있다.
부서빙셀의 활성화가 시작되는 때가 뮤팅 개시 시점이 된다. 따라서, 이때부터 단말은 서빙셀 선택적 신호 송수신을 수행한다(S1420). 즉, 단말은 매 불일치 서브프레임마다 선택된 뮤트 서빙셀상에서 스케줄된 송수신을 수행하지 않고, 유효 서빙셀상에서만 스케줄된 송수신을 수행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TDD 시스템에서 밴드간 반송파 집성이 이루어질 때, 단말과 기지국은 뮤트 서빙셀 정보와 뮤트 서빙셀 선택 규칙을 이용함으로써 불일치 서브프레임상에서도 안정적인 동작을 구현할 수 있다.
제4 실시예 - 동적인 뮤트 서빙셀 선택규칙
제1 실시예 내지 제3 실시예는 기지국이 RRC 메시지나 시스템 정보 블록을 통해 뮤트 서빙셀 정보를 전송하므로, 뮤트 서빙셀을 변경(또는 TDD 상향링크/하향링크 구성)을 변경하기 위해서는 기지국은 새로운 뮤트 서빙셀 정보를 포함하는 새로운 RRC 메시지나 시스템 정보 블록을 전송하여야 한다. 그런데, 이러한 상위계층 시그널링에 의한 뮤트 서빙셀 정보의 갱신은 하위계층 시그널링에 비해 시간이 오래 소요된다.
따라서, 제4 실시예에서는 뮤트 서빙셀이 동적으로 선택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한다. 기지국은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스케줄링 요청(scheduling request: SR)과 PUSCH내의 버퍼상태보고(Buffer State Report: BSR)를 바탕으로, 트래픽 환경에 따라 불일치 서브프레임에서 단말에 적합한 TDD 상향링크/하향링크 구성을 가진 유효 서빙셀과 그렇지 않은 뮤트 서빙셀을 구별하고, 뮤트 서빙셀 정보를 PDCCH를 이용하여 동적으로 단말에 알려줄 수 있다. 이러한 동적인 뮤트 서빙셀 선택규칙은 뮤트 서빙셀이 PDCCH와 같은 동적인 시그널링에 의해 이루어지는 특징을 가진다. 뮤트 서빙셀 정보는 새로운 포맷의 하향링크 제어정보(DCI)에 포함되고, DCI는 물리채널인 PDCCH에 맵핑된다.
그런데, 뮤트 서빙셀 정보가 동적 시그널링으로 전송되기 때문에, 단말이 뮤트 서빙셀 정보가 전송되는 서브프레임을 알 수 없다면, 단말은 매 서브프레임마다 PDCCH를 블라인드 디코딩(blind decoding)하여 뮤트 서빙셀 정보를 획득하여야 하는 부담이 있다. 그러나, 이는 불필요한 동작일 수 있으며, PDCCH의 손실(missing)을 통해 HARQ 버퍼 손상(corruption)이 발생할 수 있고, 채널상태정보(channel state information: CSI) 측정을 위한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의 미확실성이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불일치 서브프레임에서의 특정 서빙셀에 관한 하향링크 채널의 모니터링(monitoring)은 다른 서빙셀에 관한 상향링크 채널, 예컨대 PUSCH 전송 여부에 따라 그 수행여부가 결정될 수 있으므로, 이러한 동작은 시스템의 불확실성을 야기할 수 있다.
따라서, 보다 안정적인 불일치 서브프레임에서 뮤트 서빙셀 선택동작을 보다 안정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단말이 예측할 수 있는 서브프레임에서 뮤트 서빙셀 정보가 전송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단말이 예측된 지점의 서브프레임에서 수신된 뮤트 서빙셀 정보를 이용하여 뮤트 서빙셀을 선택하면, 실제 뮤팅 개시 시점이 언제인지를 명확히 규정할 필요가 있다.
먼저, 뮤트 서빙셀 정보가 전송되는 서브프레임에 관하여 개시한다.
뮤트 서빙셀 정보는 기지국이 단말로 전송하는 정보이므로,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을 통해 전송되어야 한다. 표 1을 예로 들면, 모든 TDD 상향링크/하향링크 구성들은 0번, 1번, 5번, 6번 서브프레임을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으로 가진다. 적어도 이들 4개의 서브프레임들은 불일치 서브프레임이 아니고, 뮤트 서빙셀도 생기지 않는다. 따라서 이들 4개의 서브프레임에서 뮤트 서빙셀 정보가 전송되면, 단말이 뮤트 서빙셀 정보를 수신하지 못하는 상황은 발생하지 않는다.
다만, 비효율적인 블라인드 디코딩의 방지를 위해, 기지국은 상기 4개의 서브프레임들 중에서 어떤 서브프레임을 통해 뮤트 서빙셀 정보가 전송되는지를 서브프레임 지시자로써 사전에 단말에 알려준다. 서브프레임 지시자는 기지국이 단말로 전송하는 상위계층 시그널링, 예컨대 RRC 메시지에 포함될 수 있다. 서브프레임 지시자는 2비트로서 0번, 1번, 5번, 6번 서브프레임 중 어느 하나의 서브프레임을 지시할 수 있다. 또는 서브프레임 지시자는 주기와 오프셋(offset)을 가질 수 있다. 또는 서브프레임 지시자는 매 무선 프레임에서 적어도 하나의 서브프레임을 비트맵 형식으로 지시할 수도 있다.
서브프레임 지시자는 갱신될 수 있다. 다만 갱신된 서브프레임 지시자가 새로이 전송되기 전까지 기존 서브프레임 지시자가 지시하는 서브프레임에서만 뮤트 서빙셀 정보가 전송된다. 예를 들어, 10번 프레임에서 서브프레임 지시자는 0번 서브프레임을 지시하였는데, 50번 프레임부터는 6번 서브프레임을 지시하는 새로운 서브프레임 지시자가 전송될 수 있다. 이 경우 10번~49번 프레임까지는 0번 서브프레임에서 뮤트 서빙셀 정보가 전송되다가, 50번 프레임부터는 6번 서브프레임에서 뮤트 서빙셀 정보가 전송된다. 한편, RRC 연결 재구성에 의해 단말에 부서빙셀이 추가되고 단말이 서브프레임 지시자를 수신하지 못한 상태에서는 디폴트 설정(default setting)에 의해 상기 4개의 서브프레임들 중 어느 하나에서 뮤트 서빙셀 정보가 전송되는 것으로 미리 지정될 수 있다.
여기서는 뮤트 서빙셀 정보가 전송되는 서브프레임의 후보군을 0번, 1번, 5번, 6번 서브프레임으로 설명하였으나, 오직 0번, 1번, 5번, 6번 서브프레임에만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다른 서브프레임에서도 전송이 가능하도록 RRC 설정이 가능하다.
전술된 바와 같이 뮤트 서빙셀 정보는 새로운 포맷의 DCI에서 정의되고, 상기 새로운 포맷의 DCI는 서브프레임 지시자가 지시하는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의 PDCCH에 맵핑된다. 이때, 뮤트 서빙셀 정보는 1비트일 수 있다. 뮤트 서빙셀 정보를 포함하는 DCI는 예를 들어 다음의 표와 같을 수 있다.
- 반송파 지시자(carrier indicator) : 0 또는 3비트
- HARQ 프로세스 번호 : 3비트(FDD), 4비트(TDD)
- PUCCH를 위한 전송전력제어(TPC) 명령 : 2비트
- 하향링크 할당 인덱스(downlink assignment index) : 2비트
- 각 전송블록마다
- 변조 및 코딩 방식 : 5비트
- 신규 데이터 지시자 : 1비트
- 중복 버젼(redundancy version) : 2비트
- 국부적/분산적 VRB 할당 플래그 : 1비트
- 자원블록 할당
- 국부적 자원할당 :
Figure pat00001
비트
- 분산적 자원할당 :
Figure pat00002
또는
Figure pat00003
비트
- 뮤트 서빙셀 정보 : 1비트
표 8을 참조하면, 새로운 포맷의 DCI는 여러가지 필드를 포함하는데 특히 1비트의 뮤트 서빙셀 정보를 포함하며, 뮤트 서빙셀 정보가 지시하는 바는 다음과 같다.
일 예로서, 뮤트 서빙셀 정보가 0이면 기존 뮤트 서빙셀이 계속 유지됨을 의미한다. 반면 뮤트 서빙셀 정보가 1이면, 뮤트 서빙셀 정보가 전송된 PDCCH에 관한 HARQ 프로세스가 끝난 무선 프레임의 다음 무선 프레임에서 뮤트 서빙셀이 변경(또는 토글(toggle))됨을 의미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뮤트 서빙셀 정보가 0이면 주서빙셀이 위치한 밴드가 비뮤팅 밴드임을 지시한다. 반면 뮤트 서빙셀 정보가 1이면 주서빙셀이 위치한 밴드가 뮤팅 밴드임을 지시한다(제1 실시예 기반).
또 다른 예로서, 뮤트 서빙셀 정보가 0이면 상향링크가 뮤팅 링크임을 지시한다. 반면 뮤트 서빙셀 정보가 1이면 하향링크가 뮤팅 링크임을 지시한다(제2 실시예 기반).
뮤트 서빙셀 정보는 주서빙셀상으로 전송될 수도 있고, 단말에 추가 구성된 부서빙셀상으로 전송될 수도 있다. 뮤트 서빙셀 정보가 n비트이면, 단말은 서브프레임 지시자가 지시하는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에서는 n비트가 추가된 새로운 포맷의 DCI가 전송되는 것으로 가정하고 PDCCH의 블라인드 디코딩을 수행한다. 이로써, 블라인드 디코딩의 횟수를 줄이고, 나아가 서브프레임 지시자가 지시하는 서브프레임에서만 새로운 포맷의 DCI가 전송되므로, DCI 크기가 모든 서브프레임에 대해 일률적으로 증가하지 않아도 된다. 따라서 PDCCH의 수신 신뢰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뮤트 서빙셀 정보에 따라 동적으로 선택된 뮤트 서빙셀에서, 스케줄된 송수신이 중단되는 뮤팅 개시 시점에 관하여 설명된다. 한편, 뮤팅 개시 시점은 단말이 갱신된 뮤트 서빙셀 정보의 수신한 후에 이를 실질적으로 적용하는 시점으로 정의될 수도 있다.
일 예로서, 단말이 하향링크 그랜트(downlink grant) 또는 상향링크 그랜트(uplink grant)에 대한 ACK 신호를 기지국으로 전송하고, 기지국이 ACK임을 인지한 서브프레임이 뮤팅 개시 시점이 된다. 즉, 기지국이 전송한 PDCCH가 단말에 성공적으로 전송되었음을 확인한 때가 뮤팅 개시 시점이 된다.
다른 예로서, 뮤트 서빙셀 정보 포함된 PDCCH로 지시되는 HARQ 프로세스가 완료된 서브프레임이 속하는 무선 프레임의 다음 무선 프레임이 뮤팅 개시 시점이 된다.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에 따른 뮤트 서빙셀 선택규칙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이는 제1 실시예와 제4 실시예를 혼합한 방식으로 뮤트 서빙셀을 선택하는 규칙이다. 즉, 뮤트 서빙셀 정보가 동적으로 변경될 때마다 밴드 특정하게 뮤트 서빙셀이 변경된다.
도 15를 참조하면, 서로 다른 밴드 A와 밴드 B에 속하는 주서빙셀(PCell)과 부서빙셀(SCell)이 반송파 집성에 의해 단말에 구성되어 있고, 주서빙셀에는 표 1에서의 TDD 상향링크/하향링크 구성 1이 적용되며, 부서빙셀에는 표 1에서의 TDD 상향링크/하향링크 구성 3이 적용된다고 하자. 불일치 서브프레임은 매 무선 프레임의 4번, 7번, 8번 서브프레임이다. 그리고 서브프레임 지시자에 의해 뮤트 서빙셀 정보가 전송되는 서브프레임이 매 0번 서브프레임으로 지정된 상태이다.
무선 프레임1은, 기지국이 밴드 B를 뮤팅 밴드로 설정한 상태이다. 따라서 무선 프레임1에 속하는 4번, 7번, 8번 서브프레임에서, 부서빙셀이 뮤트 서빙셀이 된다. 무선 프레임1의 0번 서브프레임의 PDCCH상으로 제1 뮤트 서빙셀 정보가 전송되며, 그 값은 1이다. 따라서, 뮤트 서빙셀이 뮤팅 개시 시점부터 변경된다. 0번 서브프레임의 PDCCH에 관한 HARQ 프로세스는 무선 프레임1에서 종료되므로, 뮤팅 개시 시점은 무선 프레임2이다. 따라서 단말은 제1 뮤트 서빙셀 정보를 읽고 무선 프레임2부터 뮤트 서빙셀을 주서빙셀로 선택할 수 있다. 그러나 무선 프레임1에서는 단말은 여전히 뮤트 서빙셀을 부서빙셀로 선택한 상태로 유지한다.
한편, 무선 프레임2는, 뮤트 서빙셀의 변경으로 인해 기지국이 밴드 A를 뮤팅 밴드로 설정한 상태이고, 단말은 주서빙셀을 뮤트 서빙셀로 선택한다. 즉, 무선 프레임2에 속하는 4번, 7번, 8번 서브프레임에서, 주서빙셀이 뮤트 서빙셀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에 따른 뮤트 서빙셀 선택규칙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이는 제2 실시예와 제4 실시예를 혼합한 방식으로 뮤트 서빙셀을 선택하는 규칙이다. 즉, 뮤트 서빙셀 정보가 동적으로 변경될 때마다 전송 링크에 특정하게 뮤트 서빙셀이 변경된다.
도 16을 참조하면, 서로 다른 밴드 A와 밴드 B에 속하는 주서빙셀(PCell)과 부서빙셀(SCell)이 반송파 집성에 의해 단말에 구성되어 있고, 주서빙셀에는 표 1에서의 TDD 상향링크/하향링크 구성 1이 적용되며, 부서빙셀에는 표 1에서의 TDD 상향링크/하향링크 구성 3이 적용된다고 하자. 불일치 서브프레임은 매 무선 프레임의 4번, 7번, 8번 서브프레임이다. 그리고 서브프레임 지시자에 의해 뮤트 서빙셀 정보가 전송되는 서브프레임이 매 0번 서브프레임으로 지정된 상태이다.
무선 프레임1에서, 기지국은 상향링크를 뮤팅 링크로 설정한 상태이다. 따라서 4번 서브프레임은 부서빙셀에 대해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으로 구성되므로 부서빙셀이 뮤트 서빙셀이 된다. 7번, 8번 서브프레임은 주서빙셀에 대해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으로 구성되므로, 주서빙셀이 뮤트 서빙셀이 된다. 무선 프레임1의 0번 서브프레임의 PDCCH상으로 제1 뮤트 서빙셀 정보가 전송되며, 그 값은 1이다. 따라서, 뮤트 서빙셀이 뮤팅 개시 시점부터 변경된다. 0번 서브프레임의 PDCCH에 관한 HARQ 프로세스는 무선 프레임1에서 종료되므로, 뮤팅 개시 시점은 무선 프레임2이다.
한편, 무선 프레임2에서, 뮤트 서빙셀의 변경으로 인해 기지국은 하향링크를 뮤팅 링크로 설정한 상태이다. 따라서, 4번 서브프레임은 주서빙셀에 대해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으로 구성되므로 주서빙셀이 뮤트 서빙셀이 된다. 7번, 8번 서브프레임은 부서빙셀에 대해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으로 구성되므로, 부서빙셀이 뮤트 서빙셀이 된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단말과 기지국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단말(1700)은 수신부(1705), 단말 프로세서(1710) 및 전송부(1720)를 포함한다. 그리고 단말 프로세서(1710)은 다시 뮤팅 제어부(1711)와 송수신 제어부(1712)를 포함한다.
수신부(1705)는 기지국(1770)으로부터 뮤트 서빙셀 정보 또는 서브프레임 지시자를 수신한다. 또한, 수신부(1705)는 RRC 연결 설정 절차나 RRC 연결 재구성 절차에서 사용되는 RRC 메시지를 기지국(1770)으로부터 수신한다. 그리고 수신부(1705)는 상기 뮤트 서빙셀 정보 또는 서브프레임 지시자 또는 RRC 메시지를 복조 및 복호화하는 등 뮤팅 제어부(1711)가 인지할 수 있는 정보로 변환한 뒤 변환된 정보를 뮤팅 제어부(1711)로 전달한다.
뮤팅 제어부(1711)는 수신부(1705)로부터 받은 변환된 정보를 읽고, 제1 실시예, 제2 실시예, 제3 실시예 또는 제4 실시예에 따라 뮤트 서빙셀 정보를 해석함으로써 뮤트 서빙셀을 선택한다. 뮤팅 제어부(1711)는 단말(1700)에 구성된 다수의 서빙셀들에 적용되는 TDD 상향링크/하향링크 구성을 분석하고, 불일치 서브프레임을 분류한다.
그리고 뮤팅 제어부(1711)는 불일치 서브프레임에서 뮤트 서빙셀의 동작, 즉 스케줄된 송수신의 중단(또는 보류 또는 드롭)을 개시할 뮤팅 개시 시점을 계산하고, 뮤팅 개시 시점부터 매 불일치 서브프레임마다 수신부(1705)나 전송부(1720)가 서빙셀 선택적 신호 수신 또는 전송을 수행하도록 수신부(1705)와 전송부(1720)를 제어한다. 예를 들어, 뮤팅 제어부(1711)는 뮤트 서빙셀에서 스케줄된 수신을 수행하지 않도록 수신부(1705)를 제어하고, 뮤트 서빙셀에서 스케줄된 전송을 수행하지 않도록 전송부(1720)를 제어한다.
데이터 생성부(1712)는 스케줄된 데이터를 생성하여 전송부(1720)로 전달한다.
전송부(1720)는 데이터 생성부(1712)로부터 받은 스케줄된 데이터를 변조 및 부호화하는 등 신호처리를 수행하여 전송가능한 신호로 변환한 뒤, 변환된 신호를 기지국(1750)으로 전송한다.
기지국(1750)은 전송부(1755), 수신부(1760) 및 기지국 프로세서(1770)를 포함한다. 기지국 프로세서(1770)는 다시 제어정보 생성부(1771) 및 송수신 제어부(1772)를 포함한다.
전송부(1755)는 제어정보 생성부(1771)로부터 전달받은 스케줄된 데이터 또는 뮤트 서빙셀 정보 또는 서브프레임 지시자를 변조 및 부호화하는 등 신호처리를 수행하여 전송가능한 신호로 변환한 뒤, 변환된 신호를 단말(1700)로 전송한다.
수신부(1760)는 단말(1700)로부터 스케줄된 신호를 수신하고, 기지국 프로세서(1770)가 처리할 수 있는 정보로 변환하기 위해 상기 스케줄된 신호를 복조 및 복호화하는 역신호 처리를 수행한다.
제어정보 생성부(1771)는 뮤트 서빙셀 정보를 생성하여 전송부(1755)와 송수신 제어부(1772)로 보낸다.
일 예로서, 제어정보 생성부(1771)는 뮤트 서빙셀 정보를 TDD 구성정보 요소에 포함시킬 수 있다. TDD 구성정보 요소는 예를 들어 표 4 내지 표 7 중 어느 하나의 포맷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제어정보 생성부(1771)는 뮤트 서빙셀 정보를 포함하는 TDD 구성정보 요소를 표 2와 같은 RRC 연결 재구성에 사용되는 RRC 메시지나 표 3과 같은 시스템 정보 블록1에 포함시킬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제어정보 생성부(1771)는 뮤트 서빙셀 정보를 새로운 포맷의 DCI에 포함시킬 수 있다. 새로운 포맷의 DCI는 예를 들어 표 8과 같이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제어정보 생성부(1771)는 서브프레임 지시자를 생성한다. 제어정보 생성부(1771)는 상위계층 시그널링, 예컨대 RRC 메시지에 서브프레임 지시자를 포함시킬 수 있다. 서브프레임 지시자는 2비트로서 0번, 1번, 5번, 6번 서브프레임 중 어느 하나의 서브프레임을 지시할 수 있다. 또는 서브프레임 지시자는 주기와 오프셋(offset)을 가질 수 있다. 또는 서브프레임 지시자는 매 무선 프레임에서 적어도 하나의 서브프레임을 비트맵 형식으로 지시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제어정보 생성부(1771)는 서브프레임 지시자를 갱신할 수 있다.
송수신 제어부(1772)는 제어정보 생성부(1771)로부터 받은 뮤트 서빙셀 정보를 제1 실시예, 제2 실시예, 제3 실시예 또는 제4 실시예에 따라 해석함으로써 뮤트 서빙셀을 선택한다. 송수신 제어부(1772)는 단말(1700)에 구성된 다수의 서빙셀들에 적용되는 TDD 상향링크/하향링크 구성을 분석하고, 불일치 서브프레임을 분류한다. 그리고 송수신 제어부(1772)는 불일치 서브프레임에서 뮤트 서빙셀의 동작, 즉 스케줄된 송수신의 중단(또는 보류 또는 드롭)을 개시할 뮤팅 개시 시점을 계산하고, 뮤팅 개시 시점부터 매 불일치 서브프레임마다 수신부(1755)나 전송부(1760)가 서빙셀 선택적 수신 또는 전송을 수행하도록 수신부(1755)와 전송부(1760)를 제어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3)

  1. 서브프레임 단위로 상향링크(uplink)와 하향링크(downlink)가 시분할 듀플렉스(time division duplex: TDD)된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에서 단말에 의한 셀 선택적 신호 송수신 방법에 있어서,
    제1 밴드에 속하는 부서빙셀(secondary serving cell)을 구성하는 단계;
    상기 부서빙셀의 제1 TDD 상향링크/하향링크 구성이, 상기 제1 밴드와는 다른 제2 밴드에 속하는 주서빙셀(primary serving cell)의 제2 TDD 상향링크/하향링크 구성과 다르게 되는 불일치 서브프레임에서, 상기 부서빙셀과 상기 주서빙셀 중 하나를 뮤트(muted) 서빙셀로, 다른 하나를 유효 서빙셀로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설정된 유효 서빙셀상으로 신호 송수신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셀 선택적 신호 송수신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서빙셀을 상기 단말에 구성하도록 하는 무선자원제어(radio resource control: RRC) 메시지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RRC 메시지는 상기 제1 밴드가 상기 뮤트 또는 유효 서빙셀을 포함함을 지시하는 뮤트 서빙셀 정보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셀 선택적 신호 송수신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서빙셀을 상기 단말에 구성하도록 하는 RRC 메시지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RRC 메시지는 특정 방향의 전송링크를 지시하는 뮤트 서빙셀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유효 서빙셀을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부서빙셀과 상기 주서빙셀 중 상기 불일치 서브프레임에서 상기 특정 방향의 전송링크인 것을 상기 유효 서빙셀로 설정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셀 선택적 신호 송수신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서빙셀을 상기 단말에 구성하도록 하는 RRC 메시지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RRC 메시지는 각 불일치 서브프레임별로 뮤트 서빙셀을 명시적으로 지시하는 비트맵 정보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셀 선택적 신호 송수신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뮤트 서빙셀의 유지 또는 변경을 지시하는 뮤트 서빙셀 정보를 포함하는 하향링크 제어정보를 물리 하향링크 제어채널(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DCCH)을 통해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셀 선택적 신호 송수신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뮤트 서빙셀 정보는 1비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 선택적 신호 송수신 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뮤트 서빙셀 정보는 상기 불일치 서브프레임 이전에 미리 지정된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에서 수신됨을 특징으로 하는, 셀 선택적 신호 송수신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은 RRC 메시지에 의해 미리 지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셀 선택적 신호 송수신 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지정된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은 상기 제1 TDD 상향링크/하향링크 구성과 상기 제2 TDD 상향링크/하향링크 구성에서 공통적으로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으로 정의된 위치의 서브프레임들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 선택적 신호 송수신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제3 TDD 상향링크/하향링크 구성을 지시하는 뮤트 서빙셀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유효 서빙셀을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부서빙셀과 상기 주서빙셀 중 상기 불일치 서브프레임에서 상기 제3 상향링크/하향링크 구성과 동일한 방향의 전송링크인 것을 유효 서빙셀로 설정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셀 선택적 신호 송수신 방법.
  11.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뮤트 서빙셀 정보는 RRC 메시지에 포함되어 전송됨을 특징으로 하는, 셀 선택적 신호 송수신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뮤트 서빙셀 정보는 물리 하향링크 제어채널상으로 전송됨을 특징으로 하는, 셀 선택적 신호 송수신 방법.
  13. 서브프레임 단위로 상향링크와 하향링크가 시분할 듀플렉스된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에서 기지국에 의한 셀 선택적 송수신 방법에 있어서,
    제1 밴드에 속하는 부서빙셀을 단말에 구성하는 RRC 메시지를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부서빙셀의 제1 TDD 상향링크/하향링크 구성이, 상기 제1 밴드와는 다른 제2 밴드에 속하는 주서빙셀의 제2 TDD 상향링크/하향링크 구성과 다르게 되는 불일치 서브프레임에서, 상기 부서빙셀과 상기 주서빙셀 중 하나를 뮤트 서빙셀로, 다른 하나를 유효 서빙셀로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유효 서빙셀상으로 스케줄된 신호의 송수신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셀 선택적 신호 송수신 방법.
KR1020110125806A 2011-11-29 2011-11-29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에서 셀 선택적 신호 송수신 장치 및 방법 KR20130059694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5806A KR20130059694A (ko) 2011-11-29 2011-11-29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에서 셀 선택적 신호 송수신 장치 및 방법
US14/361,298 US20140348039A1 (en) 2011-11-29 2012-11-28 Method and device for transreceiving cell-selective signals in multicomponent carrier system
PCT/KR2012/010185 WO2013081377A1 (ko) 2011-11-29 2012-11-28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에서 셀 선택적 신호 송수신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5806A KR20130059694A (ko) 2011-11-29 2011-11-29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에서 셀 선택적 신호 송수신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9694A true KR20130059694A (ko) 2013-06-07

Family

ID=485357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5806A KR20130059694A (ko) 2011-11-29 2011-11-29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에서 셀 선택적 신호 송수신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40348039A1 (ko)
KR (1) KR20130059694A (ko)
WO (1) WO201308137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35331A (ko) * 2013-05-15 2014-11-26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동적 시분할 복식 시스템 운영 방법 및 장치
CN105359603B (zh) 2013-06-18 2019-03-08 Lg电子株式会社 用于选择上行链路小区的方法和设备
US9814037B2 (en) 2013-06-28 2017-11-07 Intel Corporation Method for efficient channel estimation and beamforming in FDD system by exploiting uplink-downlink correspondence
US9794870B2 (en) 2013-06-28 2017-10-17 Intel Corporation User equipment and method for user equipment feedback of flow-to-rat mapping preferences
EP3641213B1 (en) * 2013-07-29 2021-05-26 Sun Patent Trust Dynamic tdd ul/dl configuration in heterogeneous networks
EP3358896A4 (en) * 2015-09-30 2019-05-01 Fujitsu Limited DEVICE FOR DETERMINING PROGRAMMING INFORMATION AND DEVICE, METHOD, AND PROGRAMMING SYSTEM
US20210336756A1 (en) * 2020-04-24 2021-10-28 Hyukjin Chae Sidelink Resource Pool Configuration for Sidelink Communications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36073A1 (en) * 2009-05-29 2010-12-02 Nokia Siemens Networks Oy Communication network and method
MY164925A (en) * 2009-06-18 2018-02-15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Operating in a discontinuous reception mode employing carrier aggregation
KR101785997B1 (ko) * 2009-10-30 2017-10-17 주식회사 골드피크이노베이션즈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요소 반송파 집합 정보 전송방법 및 그 기지국, 단말의 수신방법
CN102668669B (zh) * 2009-11-19 2015-11-25 交互数字专利控股公司 多载波系统中的分量载波激活/去激活
KR101752502B1 (ko) * 2010-01-07 2017-06-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요소 반송파 관리 방법 및 장치
CN102714877B (zh) * 2010-01-08 2016-05-04 交互数字专利控股公司 执行用于多载波/多小区操作的不连续接收和/或不连续传输的方法和设备
EP2360864A1 (en) * 2010-02-12 2011-08-24 Panasonic Corporation Component carrier (de)activation in communication systems using carrier aggregation
US9331824B2 (en) * 2011-11-23 2016-05-03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Scheduling a transmission of dat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081377A1 (ko) 2013-06-06
US20140348039A1 (en) 2014-1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49289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enabling further L1 enhancements in LTE heterogeneous networks
US1059446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uplink channel
JP6750133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いて上りリンク信号を送信する方法及びそのための装置
JP2020099057A (ja) Srs切り替え、送信及び拡張の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CN109328481B (zh) 在下一代无线接入网络中发送或接收数据的方法和设备
JP5719087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いてリソースを割り当てる方法及びそのための装置
KR102023671B1 (ko) 주기적 채널상태정보 보고 방법 및 장치
KR102123233B1 (ko) 차세대 무선 액세스 망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그 장치
KR20130113514A (ko) 반송파 집성 시스템에서 스케줄링 방법 및 장치
KR20130032798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정보를 동적으로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30059694A (ko)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에서 셀 선택적 신호 송수신 장치 및 방법
US9036574B2 (en) Method for expansively transmitting channel estimation reference signal and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channel estimation reference signal using same
KR20150050891A (ko) 하향링크 harq 타이밍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2222396B1 (ko) 차세대 무선망을 위한 컴포넌트 캐리어에 대한 주파수 자원을 구성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157618B1 (ko) 서빙셀별로 듀플렉스 방식을 달리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을 수행하는 장치 및 그 방법
KR20110114753A (ko) 제어 신호의 비주기적 전송을 제어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제어 신호의 송수신 방법 및 장치
KR20130008781A (k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제어채널의 전송장치 및 방법
KR102246988B1 (ko) 차세대 무선망을 위한 상향 링크 제어채널 자원 할당 방법 및 장치
KR20130125005A (ko)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에서 불연속 수신 장치 및 방법
KR102085195B1 (ko) 커버리지 확장을 위한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 송수신 방법 및 장치
KR20130078137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정보의 전송 장치 및 방법
KR102058816B1 (ko) 주기적 채널상태정보 보고 방법 및 장치
KR102058817B1 (ko) 주기적 채널상태정보 보고 방법 및 장치
KR20240109927A (ko) 전이중통신에서 하향링크 제어 채널을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KR20240044374A (ko) 중계기를 이용하여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