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8816B1 - 주기적 채널상태정보 보고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주기적 채널상태정보 보고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58816B1 KR102058816B1 KR1020190048230A KR20190048230A KR102058816B1 KR 102058816 B1 KR102058816 B1 KR 102058816B1 KR 1020190048230 A KR1020190048230 A KR 1020190048230A KR 20190048230 A KR20190048230 A KR 20190048230A KR 102058816 B1 KR102058816 B1 KR 10205881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erving cell
- tdd
- cqi
- pmi
- fdd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10—Scheduling measurement reports ; Arrangements for measurement report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9—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using feedback from receiving side
- H04B7/0621—Feedback content
- H04B7/0626—Channel coefficients, e.g. channel state information [CSI]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9—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using feedback from receiving side
- H04B7/0621—Feedback content
- H04B7/0632—Channel quality parameters, e.g. channel quality indicator [CQI]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9—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using feedback from receiving side
- H04B7/0636—Feedback format
- H04B7/0639—Using selective indices, e.g. of a codebook, e.g. pre-distortion matrix index [PMI] or for beam selection
-
- H04W72/042—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TDD-FDD 결합 동작을 지원하는 시스템에서 사용가능한 주기적(periodic) CSI 보고(reporting)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단말은 상기 FDD 기반의 제1 서빙셀 및 TDD 기반의 제2 서빙셀의 CA를 위한 TDD-FDD CA 설정 정보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제1 서빙셀 또는 상기 제2 서빙셀의 주기적 CQI/PMI 보고 시점에 관한 파라미터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TDD-FDD CA 설정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1 서빙셀과 상기 제2 서빙셀을 단말에 CA 설정하고, 상기 주기적 CQI/PMI 보고 시점에 관한 파라미터를 기반으로 상기 제1 서빙셀 또는 상기 제2 서빙셀의 주기적 CQI/PMI 보고를 위한 주기 및 오프셋을 검출하는 RRC 처리부, 및 상기 검출된 주기 및 오프셋을 기반으로 주기적 CQI/PMI 보고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경우, 단말에 TDD-FDD 반송파 집성(또는 이중 연결)이 설정된 경우에, 부서빙셀에 대하여 효과적인 주기적 CSI 보고를 위한 주기 값 설정을 통하여 단말과 기지국 간 원활한 데이터 송수신이 지원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무선 통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TDD(Time Division Duplex)-FDD(Frequency Division Duplex) 결합 동작(joint operation)을 지원하는 시스템에서 사용가능한 주기적(periodic) 채널상태정보(channel state information) 보고(reporting)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무선통신 시스템은 FDD(Frequency Division Duplex)와 TDD(Time Division Duplex)를 지원할 수 있다. FDD의 경우에는 상향링크(uplink: UL) 전송에 이용되는 반송파와 하향링크(downlink DL) 전송에 이용되는 반송파 주파수가 각각 존재하여, 셀 내에서 상향링크 전송과 하향링크 전송이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TDD의 경우, 하나의 셀을 기준으로 상향링크 전송과 하향링크 전송이 항상 시간적으로 구분된다. TDD의 경우 동일한 반송파가 상향링크 전송과 하향링크 전송에 사용되므로, 기지국과 단말은 송신 모드와 수신 모드 사이에서 전환을 반복하게 된다. TDD의 경우, 특별 서브프레임(Special Subframe)을 두어 송신과 수신 사이의 모드 전환을 위한 보호 구간(guard time)을 제공할 수 있다. 특수 서브프레임은 하향링크 부분(DwPTS), 보호 주기(GP), 상향링크 부분(UpPTS)으로 구성될 수 있다. TDD의 경우 다양한 상향링크(UL)-하향링크(DL) 설정을 통하여 상향링크와 하향링크 전송에 할당되는 자원의 양을 비대칭적으로 줄 수 있다.
주파수 자원은 현재를 기준으로 포화 상태이며 다양한 기술들이 광범위한 주파수 대역의 부분에서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이유로 보다 높은 데이터 전송율 요구량을 충족시키기 위하여 광대역 대역폭을 확보하기 위한 방안으로 산재해 있는 대역들 각각이 독립적인 시스템을 동작할 수 있는 기본적인 요구사항을 만족하도록 설계하고, 다수의 대역들을 하나의 시스템으로 묶는 개념인 반송파 집성(carrier aggregation, CA)을 도입하고 있다. 이 때 각각의 독립적인 운용이 가능한 대역 또는 반송파를 요소 반송파(component carrier, CC)라고 정의한다.
한편, 무선통신 시스템은 주어진 채널 용량(channel capacity)를 최대한 활용하기 위하여 링크 적응(link adaptation)을 사용하여, 주어진 채널에 따라 MCS(modulation and coding scheme)와 전송 전력(Transmission Power)를 조절한다. 여기서 링크 적응이란 무선 링크의 상황에 맞게 변조와 채널코딩 방식을 변화시켜 최적의 통신 성능을 내도록 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링크 적응을 기지국에서 수행하기 위하여는 주기적으로 단말의 채널 상태 정보 피드백이 필요하며, 이를 위하여 단말은 주기적 채널상태 보고를 수행한다.
최근에는 FDD 대역 또는 반송파와 TDD 대역 또는 반송파의 CA 및/또는 이중 연결(dual connectivity)을 지원하는 TDD-FDD 결합 동작(joint operation) 기법이 고려되고 있다. TDD-FDD 결합 동작을 지원하는 단말은 TDD 서빙셀과 FDD 서빙셀이 동시에 설정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주기적 채널 상태 보고 방법은 단말에 단일 서빙셀이 설정된 경우나, FDD 또는 TDD 타입의 서빙셀들이 설정된 경우에 대한 주기적 채널 상태 보고만을 가정하였으며, TDD 서빙셀과 FDD 서빙셀이 단말에 설정된 경우를 고려하지 않고 있다. 따라서, TDD-FDD 결합 동작이 설정된 단말을 위한 주기적 채널 상태 보고 방법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주기적 CSI 전송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과제는 TDD-FDD 결합 동작이 설정된 단말을 위한 주기적 CSI 보고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TDD-FDD 결합 동작이 단말에 설정된 경우 서빙셀에 대한 주기적 CSI 보고를 위한 주기 값을 설정하는 방안을 제공함에 있다.
FDD(Frequency Division Duplex) 기반의 제1 서빙셀과 TDD(Time Division Duplex) 기반의 제2 서빙셀의 반송파 집성(carrier aggregation: CA)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주기적 CQI(Channel Quality Indicator)/PMI(precoding matrix index) 보고를 지원하는 단말을 제공한다. 상기 단말은 상기 제1 서빙셀 및 상기 제2 서빙셀의 CA를 위한 TDD-FDD CA 설정 정보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제1 서빙셀 또는 상기 제2 서빙셀의 주기적 CQI/PMI 보고 시점에 관한 파라미터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TDD-FDD CA 설정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1 서빙셀과 상기 제2 서빙셀을 단말에 CA 설정하고, 상기 주기적 CQI/PMI 보고 시점에 관한 파라미터를 기반으로 상기 제1 서빙셀 또는 상기 제2 서빙셀의 주기적 CQI/PMI 보고를 위한 주기 및 오프셋(offset)을 검출하는 RRC 처리부, 및 상기 검출된 주기 및 오프셋을 기반으로 주기적 CQI/PMI 보고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양태에 따르면 FDD 기반의 제1 서빙셀과 TDD 기반의 제2 서빙셀의 CA를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주기적 CQI/PMI 보고를 지원하는 기지국을 제공한다. 상기 기지국은 상기 제1 서빙셀 및 상기 제2 서빙셀의 CA를 위한 TDD-FDD CA 설정 정보를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제1 서빙셀 또는 상기 제2 서빙셀의 주기적 CQI/PMI 보고 시점에 관한 파라미터를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전송부, 상기 주기적 CQI/PMI 보고 시점에 관한 파라미터를 기반으로 상기 제1 서빙셀 또는 상기 제2 서빙셀의 주기적 CQI/PMI 보고를 위한 주기 및 오프셋을 검출하는 RRC 처리부, 및 상기 결정된 주기 및 오프셋을 기반으로 주기적 CQI/PMI 보고를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수신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양태에 따르면, FDD 기반의 제1 서빙셀과 TDD 기반의 제2 서빙셀의 CA를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에 의한 주기적 CQI/PMI 보고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서빙셀 및 상기 제2 서빙셀의 CA를 위한 TDD-FDD CA 설정 정보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TDD-FDD CA 설정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1 서빙셀과 제2 서빙셀을 단말에 CA 설정하는 단계, 상기 제1 서빙셀 또는 상기 제2 서빙셀의 주기적 CQI/PMI 보고 시점에 관한 파라미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주기적 CQI/PMI 보고 시점에 관한 파라미터를 기반으로 상기 제1 서빙셀 또는 상기 제2 서빙셀의 주기적 CQI/PMI 보고를 위한 주기 및 오프셋을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검출된 주기 및 오프셋을 기반으로 주기적 CQI/PMI 보고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경우, 단말에 TDD-FDD 반송파 집성(또는 이중 연결)이 설정된 경우에, 부서빙셀에 대하여 효과적인 주기적 CSI 보고를 위한 주기 값 설정을 통하여 단말과 기지국 간 원활한 데이터 송수신이 지원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무선통신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다중 반송파 시스템을 지원하기 위한 프로토콜 구조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무선프레임 구조의 일 예이다. 이는 FDD 무선 프레임 구조 및 TDD 무선 프레임 구조이다.
도 4는 eIMTA가 적용되는 배치(deployment) 시나리오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FDD-TDD 결합 동작 기법이 적용되는 일 예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TDD-FDD 결합 동작을 위한 단말 능력들의 예들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단말과 기지국간의 CQI/PMI 보고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단말과 기지국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다중 반송파 시스템을 지원하기 위한 프로토콜 구조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무선프레임 구조의 일 예이다. 이는 FDD 무선 프레임 구조 및 TDD 무선 프레임 구조이다.
도 4는 eIMTA가 적용되는 배치(deployment) 시나리오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FDD-TDD 결합 동작 기법이 적용되는 일 예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TDD-FDD 결합 동작을 위한 단말 능력들의 예들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단말과 기지국간의 CQI/PMI 보고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단말과 기지국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대상으로 설명하며,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이루어지는 작업은 해당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관할하는 시스템(예를 들어 기지국)에서 네트워크를 제어하고 데이터를 송신하는 과정에서 이루어지거나, 해당 무선 네트워크에 결합한 단말에서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무선통신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무선통신 시스템(10)은 음성, 패킷 데이터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널리 배치된다. 무선통신 시스템(10)은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11; Base Station, BS)을 포함한다. 각 기지국(11)은 특정한 셀(cell)(15a, 15b, 15c)에 대해 통신 서비스를 제공한다. 셀은 다시 다수의 영역(섹터라고 함)으로 나누어질 수 있다.
단말(12; mobile station, MS)은 고정되거나 이동성을 가질 수 있으며, UE(user equipment), MT(mobile terminal), UT(user terminal), SS(subscriber station), 무선기기(wireless device),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무선 모뎀(wireless modem), 휴대기기(handheld device) 등 다른 용어로 불릴 수 있다. 기지국(11)은 eNB(evolved-NodeB), BTS(Base Transceiver System),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펨토(femto) 기지국, 가내 기지국(Home nodeB), 릴레이(relay) 등 다른 용어로 불릴 수 있다. 셀은 메가셀, 매크로셀, 마이크로셀, 피코셀, 펨토셀 등 다양한 커버리지 영역을 모두 포괄하는 의미이다.
이하에서 하향링크(downlink)는 기지국(11)에서 단말(12)로의 통신을 의미하며, 상향링크(uplink)는 단말(12)에서 기지국(11)으로의 통신을 의미한다. 하향링크에서 송신기는 기지국(11)의 일부분일 수 있고, 수신기는 단말(12)의 일부분일 수 있다. 상향링크에서 송신기는 단말(12)의 일부분일 수 있고, 수신기는 기지국(11)의 일부분일 수 있다. 무선통신 시스템에 적용되는 다중 접속 기법에는 제한이 없다.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SC-FDMA(Single Carrier-FDMA), OFDM-FDMA, OFDM-TDMA, OFDM-CDMA와 같은 다양한 다중 접속 기법을 사용할 수 있다. 상향링크 전송 및 하향링크 전송은 서로 다른 시간을 사용하여 전송되는 TDD(Time Division Duplex) 방식이 사용될 수 있고, 또는 서로 다른 주파수를 사용하여 전송되는 FDD(Frequency Division Duplex)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반송파 집성(carrier aggregation; CA)은 복수의 반송파를 지원하는 것으로서, 스펙트럼 집성 또는 대역폭 집성(bandwidth aggregation)이라고도 한다. 반송파 집성에 의해 묶이는 개별적인 단위 반송파를 요소 반송파(component carrier; CC)라고 한다. 각 요소 반송파는 대역폭과 중심 주파수로 정의된다. 반송파 집성은 증가되는 수율(throughput)을 지원하고, 광대역 RF(radio frequency) 소자의 도입으로 인한 비용 증가를 방지하고, 기존 시스템과의 호환성을 보장하기 위해 도입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20MHz 대역폭을 갖는 반송파 단위의 그래뉼래리티(granularity)로서 5개의 요소 반송파가 할당된다면, 최대 100Mhz의 대역폭을 지원할 수 있는 것이다.
반송파 집성은 주파수 영역에서 연속적인 요소 반송파들 사이에서 이루어지는 인접(contiguous) 반송파 집성과 불연속적인 요소 반송파들 사이에 이루어지는 비인접(non-contiguous) 반송파 집성으로 나눌 수 있다. 하향링크와 상향링크 간에 집성되는 반송파들의 수는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하향링크 요소 반송파 수와 상향링크 요소 반송파 수가 동일한 경우를 대칭적(symmetric) 집성이라고 하고, 그 수가 다른 경우를 비대칭적(asymmetric) 집성이라고 한다.
요소 반송파들의 크기(즉 대역폭)는 서로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70MHz 대역의 구성을 위해 5개의 요소 반송파들이 사용된다고 할 때, 5MHz 요소 반송파(carrier #0) + 20MHz 요소 반송파(carrier #1) + 20MHz 요소 반송파(carrier #2) + 20MHz 요소 반송파(carrier #3) + 5MHz 요소 반송파(carrier #4)과 같이 구성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 다중 반송파(multiple carrier) 시스템이라 함은 반송파 집성(CA)을 지원하는 시스템을 포함한다. 다중 반송파 시스템에서 인접 반송파 집성 및/또는 비인접 반송파 집성이 사용될 수 있으며, 또한 대칭적 집성 또는 비대칭적 집성 어느 것이나 사용될 수 있다. 서빙셀(serving cell)은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multiple component carrier system)에 기반하여 반송파 집성(carrier aggregation)에 의해 집성될 수 있는 요소 주파수 대역으로서 정의될 수 있다. 서빙셀에는 주서빙셀(primary serving cell: PCell)과 부서빙셀(secondary serving cell: SCell)이 있다. 주서빙셀은 RRC(Radio Resource Control) 연결(establishment) 또는 재연결(re-establishment) 상태에서, 보안입력(security input)과 NAS(Non-Access Stratum) 이동 정보(mobility information)을 제공하는 하나의 서빙셀을 의미한다. 단말의 성능(capabilities)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셀이 주서빙셀과 함께 서빙셀의 집합을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셀을 부서빙셀(secondary serving cell)이라 한다. 하나의 단말에 대해 설정된 서빙셀의 집합은 하나의 주서빙셀만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하나의 주서빙셀과 적어도 하나의 부서빙셀로 구성될 수 있다.
주서빙셀에 대응하는 하향링크 요소 반송파를 하향링크 주요소 반송파(DL PCC)라 하고, 주서빙셀에 대응하는 상향링크 요소 반송파를 상향링크 주요소 반송파(UL PCC)라 한다. 또한, 하향링크에서, 부서빙셀에 대응하는 요소 반송파를 하향링크 부요소 반송파(DL SCC)라 하고, 상향링크에서, 부서빙셀에 대응하는 요소 반송파를 상향링크 부요소 반송파(UL SCC)라 한다. 하나의 서빙셀에는 하향링크 요소 반송파만이 대응할 수도 있고, DL CC와 UL CC가 함께 대응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다중 반송파 시스템을 지원하기 위한 프로토콜 구조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2를 참조하면, 공용 MAC(Medium Access Control) 개체(210)는 복수의 반송파를 이용하는 물리(physical) 계층(220)을 관리한다. 특정 반송파로 전송되는 MAC 관리 메시지는 다른 반송파에게 적용될 수 있다. 즉, 상기 MAC 관리 메시지는 상기 특정 반송파를 포함하여 다른 반송파들을 제어할 수 있는 메시지이다. 물리계층(220)은 TDD(Time Division Duplex) 및/또는 FDD(Frequency Division Duplex)로 동작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무선프레임 구조의 일 예이다. 이는 FDD 무선 프레임 구조 및 TDD 무선 프레임 구조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하나의 무선 프레임(radio frame)은 10개의 서브프레임(subframe)을 포함하고, 하나의 서브프레임은 2개의 연속적인(consecutive) 슬롯(slot)을 포함한다.
FDD의 경우에는 상향링크 전송에 이용되는 반송파와 하향링크 전송에 이용되는 반송파가 각각 존재하며, 하나의 셀 내에서 상향링크 전송과 하향링크 전송이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TDD의 경우, 하나의 셀을 기준으로 상향링크 전송과 하향링크 전송이 항상 시간적으로 구분된다. 동일한 반송파가 상향링크 전송과 하향링크 전송에 사용되므로, 기지국과 단말은 송신 모드와 수신 모드 사이에서 전환을 반복하게 된다. TDD의 경우, 특수 서브프레임(Special Subframe)을 두어 송신과 수신 사이의 모드 전환을 위한 보호 구간(guard time)을 제공할 수 있다. 특수 서브프레임은 도시된 바와 같이, 하향링크 부분(DwPTS), 보호 주기(GP), 상향링크 부분(UpPTS)으로 구성될 수 있다. DwPTS는 단말에서의 초기 셀 탐색, 동기화 또는 채널 추정에 사용된다. UpPTS는 기지국에서의 채널 추정과 단말의 상향링크 전송 동기를 맞추는 데 사용된다. 보호 주기는 상향링크와 하향링크 사이의 간섭을 피하기 위해 필요한 것으로서, 보호 주기 동안에는 상향링크 전송도 하향링크 전송도 이루어지지 않는다.
표 1은 TDD 무선 프레임의 상향링크-하향링크 설정(UL/DL configuration)의 일 예를 나타낸다. 상향링크-하향링크 설정은 상향링크 전송을 위해 예약된(reserved) 서브프레임 및 하향링크 전송을 위해 예약된 서브프레임을 정의한다. 즉, 상향링크-하향링크 설정은 하나의 무선프레임내의 모든 서브프레임에 상향링크와 하향링크가 어떠한 규칙에 의해 할당(또는 예약)되는지를 알려준다.
표 1에서 D는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을 나타내고, U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을 나타내며, S는 특수 서브프레임을 각각 나타낸다. 표 2에서 볼 수 있듯이 서브프레임 0과 5는 항상 하향링크 전송에 할당되며, 서브프레임 2는 항상 상향링크 전송에 할당된다. 표 2와 같이 각 상향링크-하향링크 설정마다 하나의 무선 프레임내의 하향링크 서브프레임과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의 배치(position) 및 개수가 서로 다르다. 다양한 상향링크-하향링크 설정을 통하여 상향링크와 하향링크 전송에 할당되는 자원의 양을 비대칭적으로 줄 수 있다. 셀들 사이에서 하향링크와 상향링크간 심한 간섭을 피하기 위하여 이웃하는 셀들은 일반적으로 동일한 상향링크-하향링크 설정을 갖는다.
하향링크에서 상향링크로 변경되는 시점 또는 상향링크에서 하향링크로 전환되는 시점을 전환시점(switching point)이라 한다. 전환시점의 주기성(Switch-point periodicity)은 상향링크 서브프레임과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이 전환되는 양상이 동일하게 반복되는 주기를 의미하며, 5ms 또는 10ms 이다. 예를 들어, 상향/하향 설정 0에서 보면, 0번째부터 4번째 서브프레임까지 D->S->U->U->U로 전환되고, 5번째부터 9번째 서브프레임까지 이전과 동일하게 D->S->U->U->U로 전환된다. 하나의 서브프레임이 1ms이므로, 전환시점의 주기성은 5ms이다. 즉, 전환시점의 주기성은 하나의 무선 프레임 길이(10ms)보다 적으며, 무선 프레임내에서 전환되는 양상이 1회 반복된다.
상기 표 1의 상향링크-하향링크 설정은 시스템 정보를 통해 기지국으로부터 단말로 전송될 수 있다. 기지국은 상향링크-하향링크 설정이 바뀔 때마다 상향링크-하향링크 설정의 인덱스만을 전송함으로써 무선 프레임의 상향링크-하향링크 할당상태의 변경을 단말에 알려줄 수 있다. 또는 상향링크-하향링크 설정은 방송정보로서 브로드캐스트 채널(broadcast channel)을 통해 셀내의 모든 단말에 공통으로 전송되는 제어정보일 수 있다.
한편, 물리계층에서 사용되는 몇몇 물리채널들이 있다.
먼저, 하향링크 물리채널로서,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는 단말에게 PCH(Paging Channel)와 DL-SCH(Downlink Shared Channel)의 자원 할당 및 DL-SCH와 관련된 HARQ(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정보를 알려준다. PDCCH는 단말에게 상향링크 전송의 자원 할당을 알려주는 상향링크 그랜트(uplink grant)를 나를 수 있다. 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에는 DL-SCH가 맵핑된다. PCFICH(Physical Control Format Indicator Channel)는 단말에게 PDCCH들에 사용되는 OFDM 심벌의 수를 알려주고, 매 서브프레임마다 전송된다. PHICH(Physical Hybrid ARQ Indicator Channel)는 하향링크 채널로서, 상향링크 전송의 응답인 HARQ ACK/NACK 신호를 나른다.
다음으로 상향링크 물리채널로서, PUCCH(Physical Upnlink Control Channel)는 HARQ(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ACK(Acknowledgement)/NACK(Non-acknowledgement), 하향링크 채널 상태를 나타내는 채널 상태 정보(channel status information, CSI) 예컨대, CQI(Channel Quality Indicator), PMI(precoding matrix index), PTI(precoding type indicator), RI(rank indication) 등과 같은 상향링크 제어 정보를 나른다. 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은 UL-SCH(Uplink Shared Channel)을 나른다. PRACH(Physical Random Access Channel)는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을 나른다.
CQI는 주어진 시간에 대하여 단말이 지원할 수 있는 링크 적응적 파라미터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CQI는 단말 수신기의 특성 및 SINR(signal to interference plus noise ratio) 등을 고려하여 하향링크 채널에 의해 지원될 수 있는 데이터율(data rate)을 지시할 수 있다. 기지국은 CQI를 이용하여 하향링크 채널에 적용될 변조(QPSK, 16-QAM, 64-QAM 등) 및 코딩 율을 결정할 수 있다. CQI는 여러 가지 방법으로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채널상태를 그대로 양자화하여서 피드백하는 방법, SINR(signal to interference plus noise ratio)을 계산하여 피드백하는 방법, MCS(Modulation Coding Scheme)와 같이 채널에 실제 적용되는 상태를 알려주는 방법 등이 있다. CQI가 MCS를 기반으로 하여 생성되는 경우, MCS는 변조방식과 부호화 방식 및 이에 따른 부호화율(coding rate)등을 포함하게 된다.
PMI는 코드북 베이스의 프리코딩에서 프리코딩 행렬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PMI는 MIMO(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와 관련된다. MIMO에서 PMI가 피드백되는 것을 폐루프 MIMO(closed loop MIMO)라 칭한다.
RI는 단말이 추천하는 랭크(rank)(즉, 레이어(layer)의 개수)에 대한 정보이다. 즉, RI는 공간 다중화에 사용되는 독립적인 스트림의 수를 나타낸다. RI는 단말이 공간 다중화를 사용하는 MIMO 모드에서 동작하는 경우에만 피드백된다. RI는 항상 하나 이상의 CQI 피드백과 관련된다. 즉, 피드백되는 CQI는 특정한 RI 값을 가정하고 계산된다. 채널의 랭크(rank)는 일반적으로 CQI보다 느리게 변화하기 때문에 RI는 CQI보다 적은 횟수로 피드백된다. RI의 전송 주기는 CQI/PMI 전송 주기의 배수일 수 있다. RI는 전체 시스템 대역에 대해 주어지며 주파수 선택적인 RI 피드백은 지원되지 않는다.
CSI는 상위 계층에서 정한 주기에 따라 주기적으로 PUCCH를 통해 전송될 수 있다. 단말은 PUCCH를 통해 주기적으로 다른(different) CSI 요소들(CQI,PMI,RI)를 피드백하도록 상위 계층 신호에 의해 반 정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 때, 단말은 다음 표와 같이 정의된 CSI 모드들에 따라 해당 CSI를 전송된다.
한편, 각 전송 모드 별로 다음과 같은 PUCCH에서의 주기적 CSI 리포팅 모드가 지원된다.
전송 모드 (transmission mode) |
PUCCH CSI 보고(reporting) 모드(modes) |
전송 모드 1 | Modes 1-0, 2-0 |
전송 모드 2 | Modes 1-0, 2-0 |
전송 모드 3 | Modes 1-0, 2-0 |
전송 모드 4 | Modes 1-1, 2-1 |
전송 모드 5 | Modes 1-1, 2-1 |
전송 모드 6 | Modes 1-1, 2-1 |
전송 모드 7 | Modes 1-0, 2-0 |
전송 모드 8 | Modes 1-1, 2-1 단말이 PMI/RI 보고와 구성된 경우; modes 1-0, 2-0 단말이 PMI/RI 보고와 구성되지 않은 경우 |
전송 모드 9 | Modes 1-1, 2-1 단말이 PMI/RI 보고와 구성되고 CSI-RS 포트의 개수가 1보다 큰 경우; modes 1-0, 2-0 단말이 PMI/RI 보고와 구성되지 않거나 CSI-RS 포트의 개수가 1인 경우 |
전송 모드 10 | Modes 1-1, 2-1 단말이 PMI/RI 보고와 구성되고 CSI-RS 포트의 개수가 1보다 큰 경우; modes 1-0, 2-0 단말이 PMI/RI 보고와 구성되지 않거나 CSI-RS 포트의 개수가 1인 경우 |
전송 모드 1-9에 구성된 단말을 위하여, 각 서빙셀마다 하나의 주기적 CSI 보고 모드가 상위 계층 시그널링에 의하여 구성된다. 전송 모드 10에 구성된 단말을 위하여, 각 서빙셀마다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주기적 CSI 보고 모드들이 상위 계층 시그널링에 의하여 구성된다.
PUCCH를 통한 CSI 리포트는 CQI/PMI/RI의 전송 조합에 따라 다음과 같이 다양한 리포트 타입이 존재할 수 있으며 각 리포트 타입(이하 CSI 타입 또는 타입으로 약칭할 수 있음)에 따라 구분되는 주기 및 오프셋 값이 지원된다.
타입 1: 단말이 선택한 서브밴드(subband)에 대한 CQI 피드백을 지원한다.
타입 1a: 서브밴드 CQI 및 제2 PMI 피드백을 지원한다.
타입 2, 2b, 2c: 광대역 CQI와 PMI 피드백을 지원한다.
타입 2a: 광대역 PMI 피드백을 지원한다.
타입 3: RI 피드백을 지원한다.
타입 4: 광대역 CQI를 전송한다.
타입 5: RI와 광대역 PMI 피드백을 지원한다.
타입 6: RI와 PTI 피드백을 지원한다.
CQI/PMI 보고를 위한 주기 Npd 및 오프셋 NOFFSET,CQI은 파라미터 cqi-pmi-ConfigIndex(ICQI/PMI)에 기반하여 결정된다(determined). 이는 FDD의 경우 다음 표 4와 같이 정의되고, TDD의 경우 다음 표 5과 같이 정의된다.
cqi-pmi-ConfigIndex(ICQI/PMI)는 RRC 시그널링과 같은 상위 계층 신호에 의해 설정된다.
TDD를 위한 주기적 CQI/PMI 보고의 경우, 서빙셀 c에 적용되는 보고 주기(Npd) 값은 주서빙셀(Primary cell: Pcell)의 TDD UL/DL 설정에 의존한다(depending on).
일 예로, 하나의 무선 프레임(radio frame) 내에서 주서빙셀의 모든 UL 서브프레임들이 CQI/PMI 보고를 위하여 사용되고, 주서빙셀의 TDD UL/DL 설정이 {0, 1, 3, 4, 6}에 속하는(belongs to) 경우에만(only if), 서빙셀 c을 위하여 Npd=1의 보고 주기가 적용가능(applicable)하다.
다른 예로, 주서빙셀의 TDD UL/DL 설정이 {0, 1, 2, 6}에 속하는 경우에만, 서빙셀 c를 위하여 Npd=5의 보고 주기가 적용가능하다.
또 다른 예로, 주서빙셀의 어느(any) TDD UL/DL 설정에 대하여, 서빙셀 c를 위하여 Npd={10, 20, 40, 80, 160}의 보고 주기가 적용가능하다.
한편, TDD 시스템에서의 기지국간의 간섭 제어 및 적응적인 트래픽 제어를 위한 기법으로 eIMTA(enhanced Interference Management and Traffic Adaptation) 기법이 있다. eIMTA 기법에 따르면 트래픽 또는 간섭 환경 등에 따라 TDD UL/DL 설정의 타임 도메인에서의 다이나믹한(dynamic) 변경을 지원한다. 예를 들어, eIMTA가 설정된 단말의 경우 eIMTA-RNTI가 마스킹된 PDCCH의 수신을 기반으로 서브프레임 단위로 TDD UL/DL 설정을 다이나믹하게 변경할 수 있다.
도 4는 eIMTA가 적용되는 배치(deployment) 시나리오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4를 참조하면, 다수의 매크로 셀들과 스몰 셀(예를 들어 피코 셀 또는 페펨토 셀)들이 서로 동일한(same) 주파수 또는 서로 인접한(adjacent) 주파수를 가지고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a)는 다수의 아웃도어(outdoor) 스몰 셀들이 매크로 셀들의 주파수 대역과 동일한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배치 시나리오이다. (b)는 다수의 스몰 셀들이 서로 동일한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고, 매크로 셀들은 스몰 셀들이 사용하는 주파수 대역의 인접한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고, 모든 매크로 셀들은 동일한 UL/DL 설정을 가지며, 스몰 셀들은 UL/DL 설정을 조절(adjust)할 수 있는 배치 시나리오이다.
상기와 같은 시나리오들에서 매크로 셀을 제외한 스몰 셀들(예를 들어 피코 셀들 또는 펨토 셀들)은 간섭 또는 트래픽 제어를 위하여 TDD UL/DL 설정의 다이나믹한 변경(change)이 지원될 수 있다.
이와 같이 TDD UL/DL 설정의 다이나믹한 변경을 지원하는 경우, DL HARQ를 위한 DL HARQ 참조 설정(즉, DL 참조 UL/DL 설정)은 TDD UL/DL 설정 {2, 4, 5}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은 DL HARQ 참조 설정에서 UL 서브프레임 또는 특수 서브프레임으로 설정되는 임의의 서브프레임은 DL 서브프레임으로 다이나믹하게 사용된다고 기대(expect)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최근에는 FDD 대역 또는 반송파와 TDD 대역 또는 반송파의 CA 및/또는 이중 연결을 지원하는 TDD-FDD 결합 동작(joint operation) 기법이 고려되고 있다.
도 5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FDD-TDD CA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5를 참조하면, 레거시 TDD 단말(520)의 경우 TDD 밴드를 통하여만 무선 통신 서비스를 받을 수 있으며, 레거시 FDD 단말(540)의 경우 FDD 밴드를 통하여만 무선 통신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반면에 FDD-TDD CA 가능(capable) 단말(UE, 500)의 경우 FDD 밴드 및 TDD 밴드를 통하여 무선 통신 서비스를 받을 수 있으며, TDD 밴드 반송파와 FDD 밴드 반송파를 통하여 동시에 CA 기반 무선 통신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위와 같은 TDD-FDD CA를 위하여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배치(deployment) 시나리오들이 고려될 수 있다.
일 예로, FDD 기지국과 TDD 기지국이 동일 장소에 배치(co-located)되는 경우(예를 들어 CA 시나리오 1 내지 3), FDD 기지국과 TDD 기지국이 동일 장소에 배치되지 않았으나 이상적인 백홀(ideal backhaul)로 연결된 경우(예를 들어 CA 시나리오 4).
다른 예로, FDD 기지국과 TDD 기지국이 동일 장소에 배치되지 않았고, 비-이상적인 백홀(non-ideal backhaul)로 연결된 경우(예를 들어 스몰 셀 시나리오 2a, 2b, 및 매크로-매크로 시나리오).
다만, TDD-FDD CA를 위하여 TDD 기지국과 FDD 기지국은 이상적인 백홀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TDD 셀과 FDD 셀은 동기화되어(synchronized) 동작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TDD-FDD CA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전제 조건(prerequisite)이 고려될 수 있다.
첫째, FDD-TDD CA를 지원하는 단말들은 레거시 FDD 단일(single) 모드 반송파 및 레거시 TDD 단일 모드 반송파에 접속할(access) 수 있다.
둘째, 레거시 FDD 단말들 및 TDD-FDD CA를 지원하는 단말들은 상기 결합 동작하는 FDD/TDD 네트워크의 일부분인(part of) FDD 반송파에 캠프온(camp on) 및 연결(connect)할 수 있다.
셋째, 레거시 TDD 단말들 및 TDD-FDD CA를 지원하는 단말들은 상기 결합 동작하는 FDD/TDD 네트워크의 일부분인 TDD 반송파에 캠프온 및 연결할 수 있다.
넷째, FDD-TDD CA를 가능하게(facilitate) 하기 위한 네트워크 아키텍처 향상(network architecture enhancement), 예를 들어 비-이상적인 백홀 등에 대한,이 고려될 수 있다. 다만, 최소한의 네트워크 아키텍처 변화(change)를 유지하는 것(keeping)은 여전히 오퍼레이터의 관점에서 주요하므로 고려되어야 한다.
또한, 단말이 TDD-FDD CA를 지원함에 있어, 다음과 같은 단말 능력들이 고려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TDD-FDD CA를 위한 단말 능력들의 예들이다. 도 6은 TDD-FDD 반송파 집성(CA)에 대한 예들이다.
도 6을 참조하면, (a)는 단말이 TDD 반송파와 FDD 반송파 간 반송파 집성을 지원함을 나타내고, (b)는 단말이 TDD 반송파와 FDD 하향링크 반송파 간 반송파 집성을 지원함을 나타내며, (c)는 단말이 TDD 반송파의 하향링크 서브프레임과 FDD 반송파 간 반송파 집성을 지원함을 나타낸다.
상기와 같이 단말은 여러 가지 타입의 TDD-FDD CA를 지원할 수 있으며, 또한, FDD 및 TDD 반송파들에서 동시 수신(simultaneous reception)(즉, DL 집성)을 수행할 수 있고, 둘째, FDD 및 TDD 반송파들에서 동시 전송(simultaneous transmission)(즉, UL 집성)을 수행할 수 있으며, 셋째, FDD 및 TDD 반송파들에서 동시 전송 및 수신(즉, 풀 듀플렉스(full duplex))을 수행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TDD-FDD CA에 있어, 최대 지원되는 집성 요소 반송파(CC) 수는 예를 들어 5일 수 있다. 또한, 서로 다른 밴드(bands)의 TDD 반송파들을 위한 서로 다른 UL/DL 설정들의 집성이 지원될 수 있다.
이 경우, FDD-TDD CA 가능(capable) 단말은 TDD-FDD DL CA를 지원할 수 있으며, TDD-FDD UL CA는 지원하지 않을 수 있다. FDD-TDD CA 가능 단말은 적어도 TDD-FDD DL CA를 지원하나, TDD-FDD UL CA는 지원할 수도 또는 지원하지 않을 수도 있다.
한편, 단말은 적어도 하나의 서빙셀을 구성하는 기지국들 중 둘 이상의 기지국을 통하여 이중 연결(dual connectivity)을 설정할 수 있다. 이중 연결은 무선 자원 제어 연결(RRC_CONNECTED) 모드에서 적어도 두 개의 서로 다른 네트워크 포인트(예, 매크로 기지국 및 스몰 기지국)에 의해 제공되는 무선 자원들을 해당 단말이 소비하는 동작(operation)이다. 이 경우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서로 다른 네트워크 포인트는 비이상적인 백홀(non-ideal backhaul)로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적어도 두개의 서로 다른 네트워크 포인트 중 하나는 매크로 기지국(또는 마스터 기지국 또는 앵커 기지국)이라 불릴 수 있고, 나머지는 스몰 기지국(또는 세컨더리 기지국 또는 어시스팅 기지국 또는 슬레이브 기지국)들이라 불릴 수 있다.
단말은 상기와 같이 단말에 반송파 집성(CA) 및/또는 이중 연결이 설정된 경우에 TDD-FDD 결합 동작을 지원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주기적 채널 상태 보고 방법은 단말에 단일 서빙셀이 설정된 경우나, FDD 또는 TDD 타입의 서빙셀들이 설정된 경우에 대한 주기적 채널 상태 보고만을 가정하였으며, TDD 서빙셀과 FDD 서빙셀이 단말에 설정된 경우를 고려하지 않고 있다. 따라서, TDD-FDD 결합 동작이 설정된 단말을 위한 주기적 채널 상태 보고 방법이 요구된다. 이하, 단말에 CA가 설정된 경우를 기준으로 본 발명을 설명하나, 단말에 이중 연결이 설정된 경우에도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다.
기존의 Rel-11까지 CA가 설정된 단말은 항상 주서빙셀(Pcell)상의 PUCCH를 통해서 상향링크 제어 정보(Uplink Control Inforamtion: UCI)를 전송할 수 있었다. 하지만 최근 스몰 셀 성능향상(small cell enhancedent) 및 TDD-FDD CA에 대한 요구 등에 따라 부서빙셀(Secondary serving cell: Scell) 상에서의 PUCCH 전송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주기적 CSI 보고를 나르는 PUCCH 전송은 Pcell 뿐 아니라 Scell에서도 수행될 수 있다. 즉 TDD-FDD CA가 설정된 경우에 주기적 CSI 보고를 위한 PUCCH 전송은 Pcell 또는 Scell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으며, PUCCH가 전송되는 서빙셀은 "PUCCH 전송 서빙셀"이라 불릴 수 있다. 이하 PUCCH 전송 서빙셀이 Pcell인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하나, 본 발명은 PUCCH 전송 서빙셀이 Scell인 경우를 포함한다.
Case 1. FDD(Pcell)-TDD(Scell) CA
Case 1은 PUCCH 전송 서빙셀인 Pcell이 FDD로, Scell이 TDD로 단말에 CA 설정된 경우이다. 현재 표준에서는 상기와 같이 Pcell이 FDD로 설정된 경우, TDD 기반의 Scell의 주기적 CSI 보고를 위한 주기(Npd) 값을 결정하는 방법이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TDD-FDD CA를 지원하기 위해서는 TDD Scell의 주기적 CSI 보고를 위한 주기 값 결정 방법이 필요하며, 이는 다음과 같은 방법을 따를 수 있다. 여기서 주기적 CSI 보고를 위한 Scell 또는 Pcell은 서빙셀 c라고 불릴 수 있다.
제1 실시예
제1 실시예에서는 Pcell에 무관하게 서빙셀 c(ex. Scell)을 위한 주기값을 해당 서빙셀 c의 FDD 설정 또는 TDD UL/DL 설정을 기반으로 적용한다. 이는 다음 표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If a UE is configured with more than one serving cells and a primary cell (i.e. PUCCH serving cell) is FDD(frame structure type 1), for periodic CQI/PMI reporting in a serving cell c which has the frame structure type 2(TDD), the following periodicity values apply for the serving cell c: o The reporting period of Npd=1 is applicable for the serving cell c only if TDD UL/DL configuration of the serving cell c belongs to {0, 1, 3, 4, 6}, and where subframes of the primary cell in UL(i.e. PUCCH serving cell) which are corresponding to UL subframes of the serving cell c in a radio frame are used for CQI/PMI reporting. o The reporting period of Npd=5 is applicable for the serving cell c only if TDD UL/DL configuration of the serving cell c belongs to {0, 1, 2, 6}. o The reporting periods of Npd={10, 20, 40, 80, 160} are applicable for the serving cell c for any TDD UL/DL configuration of the serving cell c. |
표 6을 참조하면, 단말에 복수의 서빙셀들이 설정되고, Pcell이 FDD인 경우, 주기적 CQI/PMI를 위한 TDD 서빙셀 c에 대한 보고 주기값은 다음과 같다. 일 예로, 하나의 무선 프레임 내에서 서빙셀 c의 UL 서브프레임들에 대응하는 주서빙셀의 서브프레임들이 CQI/PMI 보고를 위하여 사용되고, 서빙셀 c의 TDD UL/DL 설정이 {0, 1, 3, 4, 6}에 속하는(belongs to) 경우에만(only if), 서빙셀 c을 위하여 Npd=1의 보고 주기가 적용가능(applicable)하다. 다른 예로, 서빙셀 c의 TDD UL/DL 설정이 {0, 1, 2, 6}에 속하는 경우에만, 서빙셀 c를 위하여 Npd=5의 보고 주기가 적용가능하다. 또 다른 예로, 서빙셀 c의 어느(any) TDD UL/DL 설정에 대하여, 서빙셀 c를 위하여 Npd={10, 20, 40, 80, 160}의 보고 주기가 적용가능하다.
한편, 서빙셀 c가 eIMTA가 가능하도록(enabled) 설정된 경우, 상기 Scell의 TDD UL/DL 설정은 RRC 시그널링을 통하여 설정된 참조 UL/DL 설정 값으로 대체(replaced) 또는 불릴(refered to) 수 있다.
제2 실시예
제2 실시예에서는 Pcell이 FDD이므로, 서빙셀 c(ex. Scell)을 위한 주기값은FDD를 위한 ICQI/PMI 와 Npd 및 오프셋 Noffset,CQI 의 맵핑 관계를 나타내는 상술한 표 4를 기반한다. 즉, TDD 기반의 서빙셀 c의 주기적 CSI 보고를 위한 주기 값은 FDD를 위하여 정의해 놓은 상술한 표 4를 활용하여 결정할 수 있다. 이는 다음 표 7 또는 표 8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If a UE is configured with more than one serving cells and a primary cell (i.e. PUCCH serving cell) is FDD(frame structure type 1), for periodic CQI/PMI reporting in a serving cell c (FDD or TDD), the following periodicity values apply for the serving cell c : o The periodicity Npd is determined based on the parameter cqi-pmi-ConfigIndex (ICQI/PMI) given in Table 4 (Parameter from FDD) |
For a UE configured in transmission mode 1-9 and for each serving cell, or for a UE configured in transmission mode 10 and for each CSI process in each serving cell, the periodicity Npd(in subframes) and offset Noffset,CQI(in subframes) for CQI/PMI reporting are determined based on the parameter cqi-pmi-ConfigIndex (ICQI/PMI) given in Table 4 if the primary cell is FDD. |
표 7 내지 표 8을 참조하면, 단말에 복수의 서빙셀들이 설정되고, Pcell이 FDD인 경우, 주기적 CQI/PMI를 위한 TDD 또는 FDD 서빙셀 c에 대한 보고 주기값은 cqi-pmi-ConfigIndex(ICQI/PMI) 값 및 상술한 표 4 또는 표 5를 기반하여 결정된다.
Case 2. TDD(Pcell)-FDD(Scell) CA
Case 2는 PUCCH 전송 서빙셀인 Pcell이 TDD로, Scell이 FDD로 단말에 CA 설정된 경우이다. 현재 표준에서는 상기와 같이 Pcell이 TDD로 설정된 경우, FDD 기반의 Scell의 주기적 CSI 보고를 위한 주기(Npd) 값을 결정하는 방법이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TDD-FDD CA를 지원하기 위해서는 FDD Scell의 주기적 CSI 보고를 위한 주기 값 결정 방법이 필요하며, 이는 다음과 같은 방법을 따를 수 있다. 여기서 주기적 CSI 보고를 위한 Scell 또는 Pcell은 서빙셀 c라고 불릴 수 있다.
본 방법에서는 Pcell의 TDD UL/DL 설정을 기반으로, 서빙셀 c(ex. FDD Scell)을 위한 주기값을 적용한다. 서빙셀 c를 위한 주기값은 다음 표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이는 서빙셀 c가 FDD 또는 TDD인 경우 모두를 포함한다.
If a UE is configured with more than one serving cells and a primary cell (i.e. PUCCH serving cell) is TDD(frame structure type 1), for periodic CQI/PMI reporting in a serving cell c (FDD or TDD), the following periodicity values apply for the serving cell c depending on the TDD UL/DL configuration of the primary cell: o The reporting period of Npd=1 is applicable for the serving cell c only if TDD UL/DL configuration of the primary cell belongs to {0, 1, 3, 4, 6}, and where all UL subframes of the primary cell in a radio frame are used for CQI/PMI reporting. o The reporting period of Npd=5 is applicable for the serving cell c only if TDD UL/DL configuration of the primary cell belongs to {0, 1, 2, 6}. o The reporting periods of Npd={10, 20, 40, 80, 160} are applicable for the serving cell c for any TDD UL/DL configuration of the primary cell. |
표 9를 참조하면, 단말에 복수의 서빙셀들이 설정되고, Pcell이 TDD인 경우, 주기적 CQI/PMI를 위한 서빙셀 c(FDD 또는 TDD)에 대한 보고 주기값은 다음과 같다. 일 예로, 하나의 무선 프레임 내에서 Pcell셀의 모든 서브프레임들이 CQI/PMI 보고를 위하여 사용되고, Pcell의 TDD UL/DL 설정이 {0, 1, 3, 4, 6}에 속하는(belongs to) 경우에만(only if), 서빙셀 c을 위하여 Npd=1의 보고 주기가 적용가능(applicable)하다. 다른 예로, Pcell의 TDD UL/DL 설정이 {0, 1, 2, 6}에 속하는 경우에만, 서빙셀 c를 위하여 Npd=5의 보고 주기가 적용가능하다. 또 다른 예로, Pcell의 어느(any) TDD UL/DL 설정에 대하여, 서빙셀 c를 위하여 Npd={10, 20, 40, 80, 160}의 보고 주기가 적용가능하다.
한편, Pcell이 eIMTA가 가능하도록(enabled) 설정된 경우, 상기 Pcell의 TDD UL/DL 설정은 RRC 시그널링을 통하여 설정된 참조 UL/DL 설정 값으로 대체(replaced)되거나 불릴(refered to)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단말과 기지국간의 CQI/PMI 보고 흐름도이다. 도 7에서는 단말이 TDD 기반의 서빙셀 및 FDD 기반의 서빙셀과 반송파 집성(CA)이 설정된 경우를 기반으로 설명하며, 상술한 바와 같이 CA 뿐 아니라 이중 연결이 설정된 경우에도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기지국은 FDD 기반의 제1 서빙셀 및 TDD 기반의 제2 서빙셀과 반송파 집성을 지시하는 TDD-FDD CA 설정 정보를 단말로 전송한다(S700). 상기 TDD-FDD CA 설정 정보는 상기 TDD 기반의 제2 서빙셀의 TDD UL/DL 설정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기지국은 단말로 RRC 시그널링을 통하여 상기 TDD-FDD CA 설정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단말은 상기 TDD-FDD CA 설정 정보를 기반으로 FDD 기반의 제1 서빙셀 및 TDD 기반의 제2 서빙셀의 반송파 집성을 적용한다(S710). 이 경우 상기 제1 서빙셀은 주서빙셀(Pcell)일 수 있고, 상기 제2 서빙셀은 부서빙셀(Scell)일 수 있다. 또는 상기 제1 서빙셀은 부서빙셀일 수 있고, 상기 제2 서빙셀은 주서빙셀일 수 있다.
기지국은 상기 제1 서빙셀 또는 상기 제2 서빙셀의 주기적 CQI/PMI 보고 시점에 관한 파라미터를 단말로 전송한다(S720). 상기 주기적 CQI/PMI 보고 시점에 관한 파라미터는 주기적 CQI/PMI 보고 설정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전술한 'cqi-pmi-ConfigIndex'(ICQI/PMI)를 포함할 수 있다. 기지국은 RRC 시그널링과 같은 상위 계층 시그널링을 통하여 상기 파라미터를 수신할 수 있다. 비록 도 7에서 S720은 S700 이후에 수행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S720은 S700과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다.
단말은 상기 주기적 CQI/PMI 보고 시점에 관한 파라미터를 기반으로 상기 제1 서빙셀 또는 상기 제2 서빙셀의 주기적 CQI/PMI 보고를 위한 주기 및 오프셋을 결정한다(S730). 이 경우 단말은 상기 파라미터(ex. ICQI/PMI)와 상기 표 4 내지 표 5를 기반으로 상기 주기 값 및 상기 오프셋 값을 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주기 값을 결정함에 있어 표 6 내지 9에서 상술한 기준에 기반할 수 있다.
일 예로, 주서빙셀이 FDD이고, 부서빙셀이 TDD인 경우 부서빙셀의 주기적 CQI/PMI 보고를 위한 주기 값은 해당 부서빙셀의 TDD UL/DL 설정에 의존할(depending on) 수 있다. 이 경우 주기 값은 TDD를 위한 ICQI/PMI 와 Npd 및 오프셋 Noffset,CQI 의 맵핑 관계를 나타내는 상술한 표 5를 기반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주서빙셀이 FDD이고, 부서빙셀이 TDD인 경우 부서빙셀의 주기적 CQI/PMI 보고를 위한 주기 값은 FDD를 위한 ICQI/PMI 와 Npd 및 오프셋 Noffset,CQI 의 맵핑 관계를 나타내는 상술한 표 4를 기반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주서빙셀이 TDD이고, 부서빙셀이 FDD인 경우 주서빙셀 또는 부서빙셀의 주기적 CQI 보고를 위한 주기 값은 주서빙셀의 TDD UL/DL 설정에 의존할 수 있다.
단말은 상기 결정된 주기 및 오프셋을 기반하여 기지국으로 주기적 CQI/PMI 보고를 수행한다(S740). 상기 주기적 CQI/PMI 보고는 PUCCH에 맵핑되어 상기 제1 서빙셀 또는 상기 제2 서빙셀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1 서빙셀이 주서빙셀인 경우 상기 제1 서빙셀 또는 상기 제2 서빙셀의 상기 주기적 CQI/PMI 보고는 상기 제1 서빙셀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제2 서빙셀이 부서빙셀이고, PUCCH 전송을 지원하는 경우, 상기 제1 서빙셀 또는 상기 제2 서빙셀의 상기 주기적 CQI/PMI 보고는 상기 제2 서빙셀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경우, 단말에 TDD-FDD 반송파 집성(또는 이중 연결)이 설정된 경우에, 즉, 주서빙셀과 부서빙셀의 TDD/FDD 설정이 다른 경우에도 부서빙셀에 대하여 효과적인 주기적 CSI 보고를 위한 주기 값 설정을 통하여 단말과 기지국 간 원활한 데이터 송수신이 지원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단말과 기지국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8를 참조하면, 단말(800)은 단말 수신부(805), 단말 프로세서(810) 및 단말 전송부(820)를 포함한다. 단말 프로세서(810)는 또한 RRC 처리부(811) 및 CSI 처리부(812)를 포함한다.
단말 수신부(805)는 FDD 기반의 제1 서빙셀 및 TDD 기반의 제2 서빙셀과 반송파 집성을 지시하는 TDD-FDD CA 설정 정보를 기지국(850)으로부터 수신하고, 이를 RRC 처리부(811)로 전달한다. 상기 TDD-FDD CA 설정 정보는 제2 서빙셀의 TDD UL/DL 설정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단말 수신부(805)는 상기 제1 서빙셀 또는 상기 제2 서빙셀의 주기적 CQI/PMI 보고 시점에 관한 파라미터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다. 이 경우 단말 수신부(805)는 상기 TDD-FDD CA 설정 정보 및/또는 상기 주기적 CQI/PMI 보고 시점에 관한 파라미터를 RRC 시그널링을 통하여 주서빙셀(Pcell) 상에서 기지국(850)으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RRC 처리부(811)는 상기 TDD-FDD CA 설정 정보를 기반으로 단말(800)에 FDD 기반의 제1 서빙셀 및 TDD 기반의 제2 서빙셀의 CA 설정을 적용한다. 이 경우 RRC 처리부(811)는 상기 TDD-FDD CA 설정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1 서빙셀을 주서빙셀(Pcell)로, 상기 제2 서빙셀을 부서빙셀(Scell)로 단말(800)에 설정할 수 있다. 또는 RRC 처리부(811)는 상기 TDD-FDD CA 설정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1 서빙셀을 부서빙셀로, 상기 제2 서빙셀을 주서빙셀로 단말에 설정할 수도 있다.
RRC 처리부(811)는 상기 주기적 CQI/PMI 보고 시점에 관한 파라미터를 기반으로, 상기 제1 서빙셀 또는 상기 제2 서빙셀의 주기적 CQI/PMI 보고를 위한 주기값 및 오프셋 값을 검출하여 CSI 보고 처리부(812)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주기적 CQI/PMI 보고 시점에 관한 파라미터는 'cqi-pmi-ConfigIndex'(ICQI/PMI)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RRC 처리부(811)는 상기 파라미터(ex. ICQI/PMI)와 상기 표 4 내지 표 5를 기반으로 상기 주기 값 및 상기 오프셋 값을 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주기 값을 결정함에 있어 단말(800)과 기지국(850) 간 미리 정의된 표 6 내지 9에서 상술한 기준에 기반할 수 있다.
또한, RRC 처리부(811)는 상기 주기적 CQI/PMI 보고 시점에 관한 파라미터를 기반으로, 상기 1 서빙셀 또는 상기 제2 서빙셀의 주기적 CQI/PMI 보고를 단말(800)에 설정할 수 있다.
CSI 처리부(812)는 상기 제1 서빙셀 또는 상기 제2 서빙셀의 CQI/PMI를 생성하고, 상기 결정(또는 검출)된 주기 및 오프셋 값에 기반하여 단말 전송부(820)를 통하여 주기적 CQI/PMI 보고를 수행한다. 이 경우 단말 전송부(820)는 상기 주기적 CQI/PMI 보고를 PUCCH에 맵핑하여 주서빙셀 또는 부서빙셀 상에서 기지국(850)으로 전송할 수 있다.
기지국(850)은 기지국 전송부(855), 기지국 수신부(860) 및 기지국 프로세서(870)를 포함한다. 기지국 프로세서(870)는 또한 RRC 처리부(871) 및 CSI 처리부(872)를 포함한다.
RRC 처리부(871)는 상기 TDD-FDD CA 설정 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기지국 전송부(855)로 전달한다. 또한 RRC 처리부(871)는 상기 제1 서빙셀 또는 상기 제2 서빙셀의 주기적 CQI/PMI 보고 시점에 관한 파라미터를 생성하고, 이를 기지국 전송부(855)로 전달한다. RRC 처리부(871)는 상기 주기적 CQI/PMI 보고 시점에 관한 파라미터 생성을 위한 정보를 CSI 처리부(872)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RRC 처리부(871)는 상기 파라미터(ex. ICQI/PMI)와 상기 표 3 내지 표 4를 기반으로 상기 주기 값 및 상기 오프셋 값을 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주기 값을 결정함에 있어 단말(800)과 기지국(850) 간 미리 정의된 표 6 내지 9에서 상술한 기준에 기반할 수 있다.
기지국 전송부(855)는 상기 TDD-FDD CA 설정 정보를 단말(800)로 전송한다. 또한, 기지국 전송부(855)는 상기 제1 서빙셀 또는 상기 제2 서빙셀의 주기적 CQI/PMI 보고 시점에 관한 파라미터를 상기 단말(800)로 전송한다. 이 경우 기지국 전송부(855)는 상기 TDD-FDD CA 설정 정보 및/또는 상기 주기적 CQI/PMI 보고 시점에 관한 파라미터를 RRC 시그널링을 통하여 주서빙셀(Pcell) 상에서 단말(8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RRC 시그널링은 RRC 연결 재구성 메시지(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 message)가 될 수 있다.
기지국 수신부(860)는 상기 제2 서빙셀을 위한 DL HARQ 타이밍에, 제1 서빙셀의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에서 ACK/NACK 신호를 단말(800)로부터 수신한다. 상기 ACK/NACK 신호는 제1 서빙셀의 PUCCH에 맵핑되어 수신될 수 있다.
CSI 처리부(872)는 상기 주기적 CQI/PMI 보고 시점에 관한 파라미터를 설정한다.
또한 CSI 처리부(872)는 기지국 수신부(860)에 의해 수신된 제1 서빙셀 또는 제2 서빙셀의 주기적 CQI/PMI 보고를 기반으로 링크 적응(link adaptation)을 수행할 수 있고, 주어진 채널에 따라 MCS(modulation and coding scheme)와 전송 전력(Transmission Power) 등을 조절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8)
-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채널 상태를 전송하는 단말에 있어서,
TDD(Time Division Duplex)를 지원하는 제1 서빙셀을 통해 기지국과 RRC(Radio Resource Control) 연결을 수립하는 프로세서;
상기 제1 서빙셀을 통해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RRC 메시지를 수신하는 수신기; 및
송신기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CA(carrier aggregation) 구성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RRC 메시지를 결정하고,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파라미터(cqi-pmi-ConfigIndex)를 기준으로 주기성(Npd) 및 오프셋(NOFFSET,CQI)을 결정하되,
상기 CA 구성 정보는 FDD(Frequency Division Duplex)를 지원하는 제2 서빙셀의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파라미터(cqi-pmi-ConfigIndex)는 숫자 파라미터이고,
상기 주기성(Npd)은 상기 제2 서빙셀에 대한 CQI(Channel Quality Indicator) 및 PMI(Precoding Matrix Indicator) 중 적어도 하나를 보고하는 주기를 나타내고, 상기 오프셋(NOFFSET,CQI)은 상기 CQI 및 PMI 중 적어도 하나를 보고하는 주기에 대한 오프셋이고, 상기 주기성(Npd)은 상기 제1 서빙셀의 TDD UL(Uplink)/DL(Downlink) 설정(configuration)에 따라 결정되고,
상기 송신기는 상기 주기성(Npd) 및 오프셋(NOFFSET,CQI)에 따라 상기 제1 서빙셀을 통하여 상기 기지국에 상기 CQI 및 PMI 중 적어도 하나를 주기적으로 전송하고,
상기 제1 서빙셀은 eIMTA(enhanced Interference Management and Traffic Adaptation)로 설정되고, 상기 제1 서빙셀에 대한 상기 TDD UL/DL 설정은 상기 eIMTA에 따른 정보에 따라 결정되고,
상기 파라미터(cqi-pmi-ConfigIndex, ICQI/PMI)가 1 ~ 5 사이의 값이고, 상기 제1 서빙셀의 TDD UL/DL 설정이 0, 1, 2 및 6 중 어는 하나인 경우 상기 주기성(Npd)의 값은 5이고, 상기 오프셋(NOFFSET,CQI)의 값은 상기 파라미터의 값 -1인 채널 상태를 전송하는 단말. - 삭제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기는 상기 제1 서빙셀에 대한 eIMTA(enhanced Interference Management and Traffic Adaptation)을 구성하기 위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서빙 셀의 DL 참조(reference) UL/DL 구성(configuration)을 확인하고,
상기 수신기는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파라미터(cqi-pmi-ConfigIndex)를 수신하는 채널 상태를 전송하는 단말.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이 TDD를 지원하는 상기 제1 서빙셀에 대한 eIMTA를 구성하는 경우, 상기 제1 서빙셀의 TDD UL/DL 구성은 DL 참조 UL/DL 구성에 대응하는 채널 상태를 전송하는 단말.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이 TDD를 지원하는 상기 제1 서빙셀에 대한 eIMTA를 구성하는 경우, 상기 프로세서는 TDD UL/DL 설정 2, 4 및 5 중에서 DL HARQ를 위한 상기 제1 서빙셀의 DL 참조 UL/DL 구성을 선택하는 채널 상태를 전송하는 단말.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기가 상기 제2 서빙셀에 대한 채널 상태 정보를 나타내는 상기 CQI 및 PMI를 송신하고,
상기 CQI 및 PMI가 PUCCH(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에 포함되는 채널 상태를 전송하는 단말. - 삭제
- 삭제
-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채널 상태를 수신하는 기지국에 있어서,
TDD(Time Division Duplex) 또는 FDD(Frequency Division Duplex)를 지원하는 제1 서빙셀을 통해 단말과 RRC(Radio Resource Control) 연결을 수립하는 프로세서;
상기 제1 서빙셀을 통해 상기 단말에 RRC 메시지를 전송하는 송신기를 포함하되,
상기 RRC 메시지는 FDD 또는 TDD를 지원하는 제2 서빙셀의 정보를 포함하는 CA(carrier aggregation) 구성 정보 및 파라미터(cqi-pmi-ConfigIndex)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서빙셀과 상기 제2 서빙셀은 TDD-FDD CA 또는 FDD-TDD CA를 구성하고;
상기 제2 서빙셀에 대한 CQI(Channel Quality Indicator) 및 PMI(Precoding Matrix Indicator)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단말로부터 주기적으로 수신하는 수신기를 포함하되,
상기 CQI 및 PMI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1 서빙셀을 통해 수신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파라미터(cqi-pmi-ConfigIndex)를 기준으로 주기성(Npd) 및 오프셋(NOFFSET,CQI)을 결정하고,
상기 cqi-pmi-ConfigIndex는 숫자 파라미터이고, 상기 주기성(Npd)은 상기 제2 서빙셀에 대한 CQI(Channel Quality Indicator) 및 PMI(Precoding Matrix Indicator) 중 적어도 하나를 보고하는 주기를 나타내고, 상기 오프셋(NOFFSET,CQI)은 상기 CQI 및 PMI 중 적어도 하나를 보고하는 주기에 대한 오프셋이고,
상기 제1 서빙셀이 TDD 지원하고, 상기 제2 서빙셀이 FDD 지원하는 경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서빙셀의 TDD UL(Uplink)/DL(Downlink) 설정(configuration)을 이용하여 상기 주기성(Npd)을 결정하고,
상기 제1 서빙셀은 eIMTA(enhanced Interference Management and Traffic Adaptation)로 설정되고, 상기 제1 서빙셀에 대한 상기 TDD UL/DL 설정은 상기 eIMTA에 따른 정보에 따라 결정되고,
상기 파라미터(cqi-pmi-ConfigIndex, ICQI/PMI)가 1 ~ 5 사이의 값이고, 상기 제1 서빙셀의 TDD UL/DL 설정이 0, 1, 2 및 6 중 어는 하나인 경우 상기 주기성(Npd)의 값은 5이고, 상기 오프셋(NOFFSET,CQI)의 값은 상기 파라미터의 값 -1인 채널 상태 수신하는 기지국. - 삭제
- 삭제
- 삭제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기는 상기 제1 서빙셀을 위한 eIMTA(enhanced Interference Management and Traffic Adaptation)을 구성하기 위한 정보를 전송하는 채널 상태 수신하는 기지국.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이 TDD를 지원하는 상기 제1 서빙셀에 대한 eIMTA를 구성하는 경우, 상기 제1 서빙셀의 TDD UL/DL 구성은 DL 참조 UL/DL 구성에 대응하는 채널 상태 수신하는 기지국.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기는 상기 제2 서빙셀에 대한 채널 상태 정보를 나타내는 상기 CQI 및 PMI를 수신하고, 상기 CQI 및 PMI가 PUCCH(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에 포함되고,
상기 수신기는 상기 제1 서빙셀 또는 상기 제2 서빙셀을 통해 상기 PUCCH를 수신하는 채널 상태 수신하는 기지국.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48230A KR102058816B1 (ko) | 2019-04-25 | 2019-04-25 | 주기적 채널상태정보 보고 방법 및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48230A KR102058816B1 (ko) | 2019-04-25 | 2019-04-25 | 주기적 채널상태정보 보고 방법 및 장치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132101A Division KR102023671B1 (ko) | 2013-11-01 | 2013-11-01 | 주기적 채널상태정보 보고 방법 및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51912A KR20190051912A (ko) | 2019-05-15 |
KR102058816B1 true KR102058816B1 (ko) | 2020-02-07 |
Family
ID=665795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48230A KR102058816B1 (ko) | 2019-04-25 | 2019-04-25 | 주기적 채널상태정보 보고 방법 및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58816B1 (ko)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20257524A1 (en) * | 2011-04-11 | 2012-10-11 | Qualcomm Incorporated | Csi reporting for multiple carriers with different system configurations |
US20130039327A1 (en) | 2010-04-30 | 2013-02-14 | Nokia Corporation | Aperiodic cqi/pmi request in carrier aggregation |
US20130114554A1 (en) | 2010-07-16 | 2013-05-09 | Lg Electronics Inc. | Method for transmitting control information and apparatus for same |
WO2013141595A1 (ko) | 2012-03-22 | 2013-09-26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상향링크 신호 전송 또는 수신 방법 |
-
2019
- 2019-04-25 KR KR1020190048230A patent/KR102058816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30039327A1 (en) | 2010-04-30 | 2013-02-14 | Nokia Corporation | Aperiodic cqi/pmi request in carrier aggregation |
US20130114554A1 (en) | 2010-07-16 | 2013-05-09 | Lg Electronics Inc. | Method for transmitting control information and apparatus for same |
US20120257524A1 (en) * | 2011-04-11 | 2012-10-11 | Qualcomm Incorporated | Csi reporting for multiple carriers with different system configurations |
WO2013141595A1 (ko) | 2012-03-22 | 2013-09-26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상향링크 신호 전송 또는 수신 방법 |
Non-Patent Citations (3)
Title |
---|
3GPP R1-134601* |
3GPP TS 36.213 V11.4.0* |
3GPP TS 36.331 V11.5.0*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51912A (ko) | 2019-05-1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023671B1 (ko) | 주기적 채널상태정보 보고 방법 및 장치 | |
US10609709B2 (en) | Method and apparatus of uplink scheduling and HARQ timing | |
JP6750133B2 (ja) |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いて上りリンク信号を送信する方法及びそのための装置 | |
US9699668B2 (en) | Methods for measuring and transmitting downlink signals and apparatuses therefor | |
US9819433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wireless communication | |
US10080220B2 (en) | Method and apparatus of controlling downlink HARQ timing | |
US9590791B2 (en) | Uplink transmission for carrier aggregation via multiple nodes | |
US9461802B2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HARQ ACK/NACK | |
KR102163635B1 (ko) | Tdd-fdd ca를 고려한 tpc 명령 타이밍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 |
KR20150051063A (ko) | 하향링크 harq-ack와 sr동시 전송 방법 및 장치 | |
KR102157618B1 (ko) | 서빙셀별로 듀플렉스 방식을 달리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을 수행하는 장치 및 그 방법 | |
KR20150040149A (ko) | 상향링크 스케줄링 및 harq 타이밍 제어 방법 및 장치 | |
US20230283358A1 (en) | Transmission timing for repeaters | |
KR102058816B1 (ko) | 주기적 채널상태정보 보고 방법 및 장치 | |
KR102058817B1 (ko) | 주기적 채널상태정보 보고 방법 및 장치 | |
KR102314101B1 (ko) | 상향링크 스케줄링 및 harq 타이밍 제어 방법 및 장치 | |
KR102251123B1 (ko) | 상향링크 스케줄링 및 harq 타이밍 제어 방법 및 장치 | |
KR20150060114A (ko) | 하향링크 harq 타이밍 제어 방법 및 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