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36987A - 유체하역시스템의 긴급분리장치 - Google Patents

유체하역시스템의 긴급분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36987A
KR20160036987A KR1020140129437A KR20140129437A KR20160036987A KR 20160036987 A KR20160036987 A KR 20160036987A KR 1020140129437 A KR1020140129437 A KR 1020140129437A KR 20140129437 A KR20140129437 A KR 20140129437A KR 20160036987 A KR20160036987 A KR 201600369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er
strut
support
locking bar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294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49796B1 (ko
Inventor
박동화
이정
심승환
김동현
Original Assignee
제일기술산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일기술산업(주) filed Critical 제일기술산업(주)
Priority to KR10201401294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9796B1/ko
Publication of KR201600369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69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97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97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9/00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when loading or unloading ships
    • B67D9/02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when loading or unloading ships using articulated pi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7/00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from bulk storage containers or reservoirs into vehicles or into portable containers, e.g. for retail sale purposes
    • B67D7/06Details or accessories
    • B67D7/32Arrangements of safety or warning devices; Mean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delivery of liquid
    • B67D7/3218Arrangements of safety or warning devices; Mean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delivery of liquid relating to emergency shut-off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2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with fluid cut-off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두 등에 설치되어 탱커와 육상의 유체 수용 설비 사이에 액화석유가스 등의 유체를 하역하는 유체하역장치가 작동시 이상이 발생되면 볼밸브를 닫고 연결부분을 분리하는 유체하역시스템의 긴급분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유체하역시스템의 연결배관에 연결된 제1커플러(10)와 제2커플러(20)를 연결하는 연결수단(100)과, 상기 연결수단(100)에 설치되어 제1커플러(10)와 제2커플러(20)를 연결시키고 분리하기 위해 연결수단(100)을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분리수단(200)과, 상기 제1커플러(10)와 제2커플러(20)에 연결되면서 제1커플러(10)와 제2커플러(20)가 연결된 상태에서 유체의 이송에 이상 발생 시 분리수단(200)에 충격이 가해지면서 연결수단(100)의 작동으로 제1커플러(10)와 제2커플러(20)가 분리될 수 있도록 가이드되는 가이드수단(300)과, 상기 제1커플러(10)와 제2커플러(20) 내의 볼밸브(30)에 연결되고 가이드수단(300)의 측부에 설치되어 가이드수단(300)의 가이드에 따라 회전되면서 볼밸브(30)가 제1커플러(10)와 제2커플러(20) 내부를 개폐시킬 수 있도록 하는 밸브개폐수단(400)을 포함하게 된다.

Description

유체하역시스템의 긴급분리장치{EMERGENCY SEPARATION APPARATUS FOR FLUID LOADING SYSTEM}
본 발명은 유체하역시스템의 긴급분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부두 등에 설치되어 탱커와 육상의 유체 수용 설비 사이에 액화석유가스 등의 유체를 하역하는 유체하역장치가 작동시 이상이 발생되면 볼밸브를 닫고 연결부분을 분리하는 유체하역시스템의 긴급분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유체하역장치의 긴급분리장치로서 일본 특개2007-154962호에서와 같이 개폐밸브가 설치되어 서로 접속 플랜지 같은 종류를 맞대어 연결되는 한 쌍의 커플러와 복수의 클램프부재가 경첩으로 연결되어 맞댄 상태의 각 접속 플랜지의 외주부에 환형에 장착되어 양단부에 위치하는 단부 클램프부재끼리를 연결기구에 의해 분리 가능하게 연결함으로써 상기 한 쌍의 커플러와 같은 종류를 연결하는 클램퍼와 한 쌍의 커플러의 각 개폐밸브의 개폐 동작을 연동시키는 연동기구와 한 편의 커플러의 개폐밸브의 밸브축을 회전 조작해 각 개폐밸브를 폐변시킨 후에 상기 클램퍼의 연결기구를 조작해 상기 단부 클램프부재끼리의 연결을 해제하는 조작기구를 구비한 것이 알려져 있다.
이 유체하역장치의 긴급분리장치에 있어서의 상기의 조작기구에는, 제1실린더장치와 한 편의 커플러의 개폐밸브의 밸브축에 고정되고 있어 제1실린더장치의 로드의 첨단이 당접하는 것으로 밸브축을 폐변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캠과 해캠에 의한 밸브축의 회전이 정지된 후에 로드에 의해 압압 이동되어 연결기구를 조작하는 푸셔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긴급시에는, 제1실린더장치가 신장 응어리질 수 있는 것에 의해 캠이 회전되면서 커플러의 개폐밸브를 폐변해 나간다.
이때, 연동기구에 의해 한편의 커플러의 개폐밸브도 이와 같이 폐변된다
그리고, 폐변 후에는, 로드의 압압에 의해 푸셔가 작동되어 연결기구에 의한 클램프부재의 연결이 해제되어 커플러가 분리되게 되어 있다.
덧붙여 분리된 커플러를 연결해 유체하역장치를 하역 가능한 상태에 복귀시키는 경우에는, 커플러와 같은 종류를 맞대어 클램퍼로 연결하는 동시에, 제1실린더와는 따로 설치된 제2실린더의 신장에 의해 밸브축을 상기와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개폐밸브를 개변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유체하역장치의 긴급분리장치에 있어서는, 제1실린더장치가 신장해 캠에 당접해 압압함으로써 해캠을 일방향(폐변 방향)에 회전시키는 구성으로 되어 상기 제1실린더장치에서는 캠을 역방향으로 회전할 수 없다.
즉, 상기 제1실린더는 개폐밸브를 폐변시키는 동작밖에는 할 수 없기 때문에, 복귀할 때에 개폐밸브를 개변시키기 위한 제2실린더장치를 별개로 마련할 필요가 있었다.
또한, 이와 같이 두 개의 제1,2실린더장치를 설치한 경우에는, 양자는 개변과 폐변과의 대가되는 동작을 하기 위한, 예를 들면 제1실린더장치가 신장해 개변 동작이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제2실린더는 수축 가능한 상태가 될 필요가 있어, 이들 실린더장치를 작동시키는 유압 회로가 복잡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게다가 실린더 장치의 로드에 의하기만 하는 캠의 회전 동작을 한편의 캠에 전달하기 위하여 로드와는 별도로 연동기구를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장치의 구조가 복잡하게 되어 컴팩트화를 도모하는 것이 곤란한 문제가 있었다.
일본 특개2007-154962호(2007.06.21.공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유체하역장치를 통해 유체를 이송시 외적 요인으로 인해 유체하역장치에 이상 발생 시 각 연결기구를 연결하는 커플러 내의 밸브를 닫으면서 양쪽의 커플러를 분리시켜 장치의 파손을 방지하면서 유체의 누수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유체하역시스템의 긴급분리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유체하역시스템의 연결배관에 한 쌍의 커플러가 연결되며 커플러에 설치되어 유체가 이송되어질 때 이상 발생 시 제1커플러와 제2커플러를 분리하는 유체하역시스템의 긴급분리장치로서, 상기 제1커플러와 제2커플러를 연결하는 연결수단과, 상기 연결수단에 설치되어 제1커플러와 제2커플러를 연결시키고 분리하기 위해 연결수단을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분리수단과, 상기 제1커플러와 제2커플러에 연결되면서 제1커플러와 제2커플러가 연결된 상태에서 유체의 이송에 이상 발생 시 분리수단에 충격이 가해지면서 연결수단의 작동으로 제1커플러와 제2커플러가 분리될 수 있도록 가이드되는 가이드수단과, 상기 제1커플러와 제2커플러 내의 볼밸브에 연결되고 가이드수단의 측부에 설치되어 가이드수단의 가이드에 따라 회전되면서 볼밸브가 제1커플러와 제2커플러 내부를 개폐시킬 수 있도록 하는 밸브개폐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결수단은, 상기 제1커플러와 제2커플러를 연결시키고 분리시킬 수 있도록 제1커플러와 제2커플러의 양쪽에 설치되는 좌,우측스플린트와, 상기 제2커플러의 측면부에 설치되는 거치대와, 상기 거치대의 상부에 설치되면서 좌,우측스플린트와 힌지로 연결되어 힌지를 축으로 좌,우측스플린트가 벌어지도록 하는 연결구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좌,우측스플린트의 내측면에는 연결구에 힌지로 연결되는 좌,우측스플린트가 제1커플러와 제2커플러의 양측으로 밀착되면서 제1커플러와 제2커플러가 서로 분리되지 않도록 고정시킬 수 있게 제1커플러와 제2커플러의 측면이 삽입되는 고정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리수단은, 상기 우측스플린트의 내측 끝단부에 핀으로 연결되는 록킹바와, 상기 록킹바의 끝단에 형성되는 패드와, 상기 록킹바가 좌측스플린트의 끝단에 끼워지면서 록킹바를 받쳐줄 수 있도록 좌측스플린트에 결합되는 안전핀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안전핀은 좌측스플린트에 결합되되 상기 록킹바가 안전핀의 상부에 위치하면서 평상시 록킹바가 좌측스플린트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수단은, 상기 제1커플러에 설치되는 제1지지대와, 상기 제2커플러에 설치되는 제2지지대와, 상기 제1지지대의 일측면에 설치되면서 실린더와 연결되는 제1스트럿트와, 상기 제2지지대의 일측면에 설치되면서 상기 제1스트럿트와 연결핀으로 연결되는 제2스트럿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1지지대는, 상부에 실린더가 설치될 수 있도록 지지판이 구성되며, 일측 상부에 상기 제1지지대가 제1커플러에 안정적으로 받쳐질 수 있도록 받침판이 구성되고, 타측부에 제1스트럿트가 끼워지면서 유동되지 않도록 제1유동방지부재가 구성되어진다.
또한, 상기 제1유동방지부재의 외측면에는 제1스트럿트가 제1유동방지부재 내에 끼워지면서 이탈되지 않도록 제1마감판이 볼트로 고정되어진다.
한편, 상기 제1지지대는 제1커플러의 측부에 볼트로 고정되어진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2지지대는, 측면에 제1스트럿트와 연결부재로 연결되는제2스트럿트가 끼워지면서 유동되지 않도록 제2유동방지부재가 구성되어진다.
이때, 상기 제2유동방지부재는 제2스트럿트가 유동 없이 원활하게 가이드될 수 있도록 상,하에 복수로 형성되어진다.
또한, 상기 제2유동방지부재의 외측면에는 제2스트럿트가 제2유동방지부재 내에 끼워지면서 이탈되지 않도록 제2마감판이 볼트로 고정되어진다.
한편, 상기 제2지지대는 제2커플러의 측부에 볼트로 고정되어진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1스트럿트는, 실린더의 로드와 연결되며, 측면부에 실린더의 작동에 따라 제1스트럿트가 가이드되면서 제1커플러의 내부를 밀폐시킬 수 있도록 밸브개폐수단을 작동시키는 제1걸림턱이 형성되어진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2스트럿트는, 정면 상부에 제1스트럿트가 가이드되면서 제1커플러 내부를 밀폐시킨 다음 좌,우측스플린트를 벌려서 제1커플러와 제2커플러가 서로 분리될 수 있도록 분리수단을 작동시키는 제2걸림턱이 형성되어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밸브개폐수단은, 상기 제1커플러의 볼밸브에 설치되어 제1스트럿트의 가이드에 따라 회전되면서 볼밸브를 회전시켜 제1커플러 내부를 밀폐시키는 제1캠과, 상기 제2커플러의 볼밸브에 설치되어 제2커플러 내부를 밀폐시키는 제2캠을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유체하역시스템의 긴급분리장치에 따른 효과를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첫째, 유체하역시스템의 연결배관을 연결하는 제1커플러와 제2커플러가 긴급분리장치로 고정되면서 유체 이송시 외적 요인으로 인해 충격 등 이상이 발생되면 긴급분리장치가 제1커플러와 제2커플러의 고정상태를 해제할 수 있어 유체하역시스템의 손상을 방지하고 유체의 누수를 방지할 수 있다.
둘째, 유체하역시스템의 유체 이송 이상 발생 시 제1,2스트럿트의 가이드에 따라 제1,2캠의 회전되면서 볼밸브를 회전시켜 유체 이송을 막을 수 있도록 제1커플러와 제2커플러를 밀폐시킨 다음 제1커플러와 제2커플러를 연결하는 좌,우측 스플린트를 바깥쪽으로 벌려 제1커플러와 제2커플러를 분리하게 됨으로써 작동이 간편하여 작동 효율을 최대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체하역시스템의 긴급분리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체하역시스템의 긴급분리장치를 도시한 결합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유체하역시스템의 긴급분리장치를 도시한 정면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유체하역시스템의 긴급분리장치를 도시한 측면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유체하역시스템의 긴급분리장치를 도시한 평면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유체하역시스템의 긴급분리장치에 따른 연결수단 및 분리수단의 연결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유체하역시스템의 긴급분리장치에 따른 가이드수단 및 밸브개폐수단의 연결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유체하역시스템의 긴급분리장치의 유체 이송에 이상 발생 시 가이드수단이 작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유체하역시스템의 긴급분리장치의 유체 이송에 이상 발생 시 가이드수단이 가이드되면서 분리수단이 분리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유체하역시스템의 긴급분리장치의 유체 이송에 이상 발생 시 가이드수단 및 분리수단이 작동되면서 연결수단이 작동되어 제1커플러와 제2커플러가 분리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체하역시스템의 긴급분리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체하역시스템의 긴급분리장치를 도시한 결합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유체하역시스템의 긴급분리장치를 도시한 정면예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유체하역시스템의 긴급분리장치를 도시한 측면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유체하역시스템의 긴급분리장치를 도시한 평면예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유체하역시스템의 긴급분리장치에 따른 연결수단 및 분리수단의 연결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유체하역시스템의 긴급분리장치에 따른 가이드수단 및 밸브개폐수단의 연결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유체하역시스템의 긴급분리장치의 유체 이송에 이상 발생 시 가이드수단이 작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유체하역시스템의 긴급분리장치의 유체 이송에 이상 발생 시 가이드수단이 가이드되면서 분리수단이 분리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유체하역시스템의 긴급분리장치의 유체 이송에 이상 발생 시 가이드수단 및 분리수단이 작동되면서 연결수단이 작동되어 제1커플러와 제2커플러가 분리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유체하역시스템의 연결배관(도시하지 않음)에 한 쌍의 제1커플러(10)와 제2커플러(20)가 연결되며, 상기 제1커플러(10)와 제2커플러(20)에 설치되어 유체 이송에 이상 발생 시 제1커플러(10)와 제2커플러(20)를 긴급하게 분리하는 유체하역시스템의 긴급분리장치로서, 상기 유체하역시스템의 긴급분리장치는 연결수단(100), 분리수단(200), 가이드수단(300), 밸브개폐수단(400)을 포함하게 된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결수단(100)은, 상기 제2커플러(20)의 측면부에 설치되는 거치대(110)와, 상기 거치대(110)의 상부에 설치되는 연결구(120)와, 상기 연결구(120)의 양쪽에 힌지(150)로 연결되면서 제1커플러(10)와 제2커플러(20)를 연결시키고 분리시키는 좌측스플린트(130)와 우측스플린트(130a)를 포함하게 된다.
또한, 상기 좌,우측스플린트(130,130a)의 내측면에는 상기 연결구(120)에 힌지(150)로 연결되는 좌,우측스플린트(130,130a)가 제1커플러(10)와 제2커플러(20)의 양측면으로 밀착되면서 제1커플러(10)와 제2커플러(20)가 서로 분리되지 않도록 고정시킬 수 있게 제1커플러(10)와 제2커플러(20)의 측면이 삽입되는 고정부(131)가 형성되어진다.
즉, 상기 거치대(110)의 상부에 연결구(120)가 설치되고 상기 연결구(120)의 양쪽에 좌측스플린트(130)와 우측스플린트(130a)가 힌지(150)로 연결되면서 고정부(131)에 제1커플러(10)와 제2커플러(20)의 측면이 삽입되어 좌측스플린트(130)와 우측스플린트(130a)가 제1커플러(10)와 제2커플러(20)를 연결시킨 상태에서 분리수단(200)의 작동에 따라 좌측스플린트(130)와 우측스플린트(130a)가 힌지(150)를 축으로 바깥쪽으로 벌어지면서 제1커플러(10)와 제2커플러(20)를 서로 분리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리수단(200)은, 상기 우측스플린트(130a)의 내측 끝단에 설치되는 록킹바(210)와, 상기 록킹바(210)가 좌측스플린트(130)의 끝단에 끼워지면서 록킹바(210)가 이탈되지 않도록 받쳐주게 되는 안전핀(220)을 포함하게 된다.
본 실시예의 록킹바(210)는 상기 우측스플린트(130a)의 내측 끝단에 핀(240)으로 연결되어 핀(240)을 축으로 회전되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록킹바(210)의 끝단에는 록킹바(210)가 좌측스플린트(130)에 끼워질 때 좌,우측스플린트(130,130a)가 록킹바(210)에 의해 고정될 수 있도록 패드(211)가 형성되어진다.
이때, 상기 패드(211)는 좌측스플린트(130)의 바깥쪽으로 위치함이 바람직한 것이다.
본 실시예의 안전핀(220)은 좌측스플린트(130)에 결합되되 상기 좌측스플린트(130)에 끼워지는 록킹바(210)의 하부에 위치하면서 평상시에는 록킹바(210)가 좌측스플린트(130)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하여 좌,우측스플린트(130,130a)가 제1커플러(10)와 제2커플러(20)를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우측스플린트(130a)에 핀(240)으로 록킹바(210)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패드(211)가 좌측스플린트(130)의 바깥쪽으로 위치되면서 록킹바(210)가 좌측스플린트(130)에 끼워진 상태에서 좌측스플린트(130)에 안전핀(220)이 록킹바(210)의 하부로 하여 끼워져 록킹바(210)가 좌,우측스플린트(130,130a)에 연결되면서 좌측스플린트(130)와 우측스플린트(130a)가 벌어지지 않고 오므려져 상기 좌,우측스플린트(130,130a)가 제1커플러(10)와 제2커플러(20)를 서로 분리되지 않게 고정되어진다.
한편, 유체하역시스템으로 유체 이송 시 외적 요인으로 이상이 발생되면 상기 가이드수단(300)의 작동에 따라 상기 록킹바(210)가 좌측스플린트(130)에서 분리되면서 상기 좌측스플린트(130)와 우측스플린트(130a)가 힌지(150)를 축으로 서로 벌어지게 되어 상기 좌,우측스플린트(130,130a)가 제1커플러(10)와 제2커플러(20)에서 떨어져 상기 제1커플러(10)와 제2커플러(20)가 분리되어지게 된다.
도 1 내지 도 5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수단(300)은, 상기 제1커플러(10)의 측부에 설치되는 제1지지대(310)와, 상기 제2커플러(20)의 측부에 설치되는 제2지지대(320)와, 상기 제1지지대(310)의 외측에 설치되면서 가이드되는 제1스트럿트(330)와, 상기 제2지지대(320)의 외측에 설치되면서 상기 제1스트럿트(330)와 연결되어 제1스트럿트(330)의 가이드에 따라 가이드되는 제2스트럿트(340)를 포함하게 된다,
본 실시예의 제1지지대(310)는 상부에 실린더(3530)가 설치되는 지지판(311)이 형성되며, 일측 상부에 제1지지대(310)가 제1커플러(10)에 안정적으로 받쳐질 수 있도록 받침판(312)이 형성되고 타측부에 제1스트럿트(330)가 끼워지면서 유동되지 않도록 제1유동방지부재(313)가 형성되어진다.
이때, 상기 지지판(311)의 상부에는 실린더(350)가 볼트(B)로 고정되면서 상기 실린더(350)의 로드(351)에 제1스트럿트(330)가 고정되어 실린더(350)의 작동에 따라 제1스트럿트(330)가 가이드되어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유동방지부재(313)의 외측면에는 상기 제1스트럿트(330)가 제1유동방지부재(313) 내에 끼워져 이탈되지 않도록 제1마감판(314)이 밀착되면서 볼트(B)로 고정되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제1유동방지부재(313)의 내측에는 상기 제1스트럿트(330)가 끼워지면서 실린더(350)의 작동에 따라 가이드될 수 있도록 제1가이드부(313a)가 형성되어진다.
한편, 상기 제1지지대(310)는 제1커플러(10)의 측부에 볼트(B)로 고정되어지게 된다.
본 실시예의 제2지지대(320)는 외측면에 상기 제1스트럿트(330)와 연결되는 제2스트럿트(340)가 끼워지면서 유동되지 않도록 제2유동방지부재(321,321a)가 형성되어진다.
이때, 상기 제2유동방지부재(321,321a)는 상기 제2스트럿트(340)가 유동 없이 원활하게 가이드될 수 있도록 상,하에 복수로 형성되어진다.
그리고 상기 제2유동방지부재(321,321a)의 외측면에는 상기 제2스트럿트(340)가 제2유동방지부재(321,321a) 내에 끼워져 이탈되지 않도록 제2마감판(323,323a)이 밀착되면서 볼트(B)로 고정되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제2유동방지부재(321,321a)의 내측에는 상기 제2스트럿트(340)가 끼워지면서 제1스트럿트(330)의 가이드에 따라 가이드될 수 있도록 제2가이드부(322,322a)가 형성되어지게 된다.
한편, 상기 제2지지대(320)는 제2커플러(20)의 측부에 볼트(B)로 고정되어지게 된다.
즉, 본 실시예는 상기 제1지지대(310)가 제1커플러(10)에 고정되고 상기 제2지지대(320)가 제2커플러(20)에 고정되어 상기 제1지지대(310)와 제2지지대(320)가 동일선상에 위치하면서 상기 제1지지대(310)에 제1스트럿트(330)가 설치되고 제2지지대(320)에 제2스트럿트(340)가 설치되면서 상기 제1스트럿트(330)와 제2스트럿트(340)가 서로 연결되어지게 된다.
본 실시예의 제1스트럿트(330)는 상기 지지판(311)의 상부에 고정되는 실린더(350)의 로드(351)와 연결되며, 측면부에 실린더(350)의 작동에 따라 가이드되면서 제1커플러(10)의 내부를 밀폐시킬 수 있게 제1커플러(10)에 설치되는 볼밸브(30)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밸브개폐수단(400)을 작동시키는 제1걸림턱(331)이 형성되어진다.
이때, 상기 제1스트럿트(330)는 제1유동방지부재(313)의 제1가이드부(313a)에 끼워지면서 제1가이드부(313a)를 따라 가이드되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제1스트럿트(330)는 제1유동방지부재(313)의 제1가이드부(313a)에 끼워지면서 제1유동방지부재(313)에 제1마감판(314)이 볼트(B)로 고정되어 상기 제1스트럿트(330)가 제1가이드부(313a)에 끼워진 상태에서 흔들리거나 빠지지 않고 원활하게 가이드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의 제2스트럿트(340)는 제1지지대(310)에 설치되는 제1스트럿트(330)와 맞닿으면서 상기 제1스트럿트(330)와 연결핀(360)으로 연결되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제2스트럿트(340)는 정면 상부에 제1스트럿트(330)와 제2스트럿트(340)가 가이드되면서 제1커플러(10)와 제2커플러(20) 내부를 밀폐시킨 다음 연결수단(100)을 작동시켜 제1커플러(10)와 제2커플러(20)가 서로 분리될 수 있도록 하는 분리수단(200)을 작동시키게 되는 제2걸림턱(341)이 형성되어진다.
이때, 상기 제2스트럿트(340)는 제2유동방지부재(321,321a)의 제2가이드부(322,322a)에 끼워지면서 제2가이드부(322,322a)를 따라 가이드되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제2스트럿트(340)는 제2유동방지부재(321,321a)의 제2가이드부(322,322a)에 끼워지면서 제2유동방지부재(321,321a)에 제2마감판(323,323a)이 볼트(B)로 고정되어 상기 제2스트럿트(340)가 제2가이드부(322,322a)에 끼워진 상태에서 흔들리거나 빠지지 않고 원활하게 가이드될 수 있게 된다.
도 1 내지 도 5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밸브개폐수단(400)은, 상기 제1커플러(10)의 볼밸브(30)에 설치되어 제1스트럿트(330)의 가이드에 따라 회전되면서 볼밸브(30)를 회전시켜 제1커플러(10) 내부를 밀폐시키는 제1캠(410)과, 상기 제2커플러(20)의 볼밸브(30)에 설치되어 제2커플러(20) 내부를 밀폐시키는 제2캠(420)을 포함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제1캠(410)은 제1커플러(10)의 볼밸브(30)에 설치되면서 상기 제1스트럿트(330)의 제1걸림턱(331) 하부에 위치되어 상기 제1스트럿트(330)의 가이드에 따라 제1걸림턱(331)이 제1캠(410)을 밀면서 제1캠(410)이 회전되고 상기 제1캠(410)의 회전으로 볼밸브(30)가 제1커플러(10) 내부를 밀폐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체하역시스템의 긴급분리장치는 상기 제1커플러(10)와 제2커플러(20)에 설치되면서 상기 제1커플러(10)와 제2커플러(20)를 서로 연결시켜 고정한 상태에서 유체하역시스템의 유체 이송시 외적인 요인에 의해 유체 이송에 이상이 발생되어지면 상기 실린더(350)가 작동되면서 로드(351)가 제1스트럿트(330)를 밀어주어 상기 제1스트럿트(330)가 제1가이드부(313a)를 따라 가이드되고 상기 제1스트럿트(330)가 가이드되면서 제1걸림턱(331)이 제1캠(410)을 밀어서 회전시키며 상기 제1캠(410)의 회전으로 볼밸브(30)가 회전되어 제1커플러(10) 내부를 밀폐시켜 유체의 흐름을 막아주게 된다.(도면 도 8 참조)
또한, 상기 제1스트럿트(330)와 제2스트럿트(340)의 가이드에 따라 제1캠(410)이 회전되면서 제1커플러(10) 내부를 밀폐시켜 유체의 흐름을 차단하게 되면 상기 제2스트럿트(340)가 가이드되면서 상기 제2걸림턱(341)이 록킹바(210)에 닿으면서 록킹바(210)를 밀게 되면 상기 록킹바(210)를 지지하기 위해 좌측스플린트(130)에 끼워지는 안전핀(220)이 부러지는 등 좌측스플린트(130)로부터 이탈되어 상기 좌측스플린트(130)와 우측스플린트(130a)를 연결하는 록킹바(210)의 한 쪽이 좌측스플린트(130)로부터 빠지면서 상기 좌측스플린트(130)와 우측스플린트(130a)가 분리되어지게 된다.(도면 도 9 참조)
이와 함께, 상기 록킹바(210)가 좌측스플린트(130)로부터 빠짐에 따라 상기 좌측스플린트(130)와 우측스플린트(130a)가 힌지(150)를 축으로 바깥쪽으로 벌어지게 된다.
그리하여, 상기 좌측스플린트(130)와 우측스플린트(130a)가 벌어짐에 따라 상기 좌,우측스플린트(130,130a)로 고정되어 있던 상기 제1커플러(10)와 제2커플러(20)가 서로 분리되어 유체 이송 작업을 정지시키게 되며 상기 제1커플러(10)와 제2커플러(20)가 밀폐되면서 분리됨으로써 유체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고 유체하역시스템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도면 도 10 참조)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 : 제1커플러 20 : 제2커플러
30 : 볼밸브 100 : 연결수단
110 : 거치대 120 : 연결구
130 : 좌측스플린트 130a : 우측스플린트
131 : 고정부 150 : 힌지
200 : 분리수단 210 : 록킹바
211 : 패드 220 : 안전핀
240 : 핀 300 : 가이드수단
310 : 제1지지대 311 : 지지판
312 : 받침판 313 : 제1유동방지부재
313a : 제1가이드부 314 : 제1마감판
320 : 제2지지대 321,321a : 제2유동방지부재
322,322a : 제2가이드부 323,323a : 제2마감판
330 : 제1스트럿트 331 : 제1걸림턱
340 : 제2스트럿트 341 : 제2걸림턱
350 : 실린더 351 : 로드
360 : 연결부재 400 : 밸브개폐수단
410 : 제1캠 420 : 제2캠
B : 볼트

Claims (17)

  1. 유체하역시스템의 연결배관에 한 쌍의 제1커플러와 제2커플러가 연결되며 제1커플러와 제2커플러에 설치되어 유체가 이송되어질 때 이상 발생 시 제1커플러와 제2커플러를 분리하는 긴급분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커플러와 제2커플러를 연결하는 연결수단;
    상기 연결수단에 설치되어 제1커플러와 제2커플러를 연결하고 분리하는 연결수단을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분리수단;
    상기 제1커플러와 제2커플러에 연결되며 유체의 이송에 이상 발생 시 분리수단에 충격을 가하게 되어 연결수단의 작동으로 제1커플러와 제2커플러가 분리될 수 있도록 가이드되면서 분리수단을 작동시키는 가이드수단;
    상기 제1커플러와 제2커플러 내의 볼밸브에 설치되고 가이드수단의 측부에 설치되어 가이드수단이 가이드되면서 회전시켜 볼밸브가 제1커플러와 제2커플러 내부를 밀폐시킬 수 있도록 하는 밸브개폐수단을 포함하는 유체하역시스템의 긴급분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은,
    상기 제2커플러의 측면부에 설치되는 거치대;
    상기 거치대의 상부에 설치되는 연결구; 및
    상기 연결구의 양쪽에 힌지로 연결되면서 분리수단의 작동에 따라 제1커플러와 제2커플러를 연결시키고 분리시키는 좌측스플린트와 우측스플린트를 포함하는 유체하역시스템의 긴급분리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스플린트와 우측스플린트의 내측면에는 연결구의 힌지로 연결되는 좌측스플린트와 우측스플린트가 제1커플러와 제2커플러의 양측으로 밀착되면서 제1커플러와 제2커플러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제1커플러와 제2커플러의 측면이 삽입되는 고정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하역시스템의 긴급분리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수단은,
    상기 연결수단의 우측스플린트 내측 끝단에 설치되는 록킹바; 및
    상기 록킹바가 연결수단의 좌측스플린트의 끝단에 끼워지면서 록킹바가 이탈되지 않도록 받쳐주는 안전핀을 포함하는 유체하역시스템의 긴급분리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바는 우측스플린트의 내측 끝단에 핀으로 연결되어 핀을 축으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하역시스템의 긴급분리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바의 끝단에는 좌측스플린트의 바깥쪽으로 위치되어 록킹바가 좌측스플린트에 끼워질 때 좌측스플린트와 우측스플린트가 록킹바에 의해 벌어지지 않고 고정될 수 있도록 패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하역시스템의 긴급분리장치.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핀은 좌측스플린트에 결합되되 좌측스플린트에 끼워지는 록킹바의 하부에 위치하면서 평상시에는 록킹바가 좌측스플린트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하여 좌측스플린트와 우측스플린트가 제1커플러와 제2커플러를 고정시키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유체하역시스템의 긴급분리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수단은,
    상기 제1커플러의 측부에 볼트로 고정되는 제1지지대;
    상기 제2커플러의 측부에 볼트로 고정되는 제2지지대;
    상기 제1지지대의 일측면에 설치되면서 실린더와 연결되어 실린더의 작동으로 가이드되어 밸브개폐수단을 작동시키는 제1스트럿트; 및
    상기 제2지지대의 일측면에 설치되면서 상기 제1스트럿트와 연결핀으로 연결되어 제1스트럿트의 가이드에 따라 가이드되어 밸브개폐수단을 작동시키고 연결수단을 작동시킬 수 있도록 분리수단을 작동시키는 제2스트럿트를 포함하는 유체하역시스템의 긴급분리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대는 상부에 실린더가 볼트로 고정될 수 있도록 지지판이 구비되며, 일측 상부에 제1지지대가 제1커플러에 안정적으로 받쳐질 수 있도록 받침판이 구비되고 타측부에 제1스트럿트가 끼워지면서 유동되지 않도록 제1유동방지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하역시스템의 긴급분리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유동방지부재의 외측면에는 제1스트럿트가 제1유동방지부재 내에 끼워지면서 이탈되지 않도록 제1마감판이 볼트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하역시스템의 긴급분리장치.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유동방지부재의 내측에는 제1스트럿트가 끼워지면서 실린더의 작동에 따라 가이드될 수 있도록 제1가이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하역시스템의 긴급분리장치.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지지대는 측면에 제1스트럿트와 연결부재로 연결되는 제2스트럿트가 끼워지면서 유동되지 않도록 제2유동방지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하역시스템의 긴급분리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유동방지부재는 제2스트럿트가 유동 없이 원활하게 가이드될 수 있도록 상,하에 복수로 구비되며, 각각의 제2유동방지부재 외측면에는 제2스트럿트가 제2유동방지부재 내에 끼워지면서 이탈되지 않도록 제2마감판이 볼트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하역시스템의 긴급분리장치.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유동방지부재의 내측에는 상기 제2스트럿트가 끼워지면서 제1스트럿트의 가이드에 따라 가이드될 수 있도록 제2가이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하역시스템의 긴급분리장치.
  15.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스트럿트는 실린더의 로드와 연결되며, 측부에 실린더의 작동에 따라 제1스트럿트가 가이드되면서 제1커플러의 내부를 밀폐시킬수 있도록 밸브개폐수단을 작동시키는 제1걸림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하역시스템의 긴급분리장치.
  16.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스트럿트는 정면 상부에 제1스트럿트가 가이드되면서 제1커플러 내부를 밀폐시킨 다음 연결수단을 작동시켜 제1커플러와 제2커플러를 서로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하는 분리수단을 작동시키는 제2걸림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하역시스템의 긴급분리장치.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개폐수단은,
    상기 제1커플러의 볼밸브에 설치되어 가이드수단의 가이드에 따라 회전되면서 볼밸브를 회전시켜 제1커플러 내부를 밀폐시키는 제1캠; 및
    상기 제2커플러의 볼밸브에 설치되어 제2커플러 내부를 밀폐시키는 제2캠을 포함하는 유체하역시스템의 긴급분리장치.
KR1020140129437A 2014-09-26 2014-09-26 유체하역시스템의 긴급분리장치 KR1016497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9437A KR101649796B1 (ko) 2014-09-26 2014-09-26 유체하역시스템의 긴급분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9437A KR101649796B1 (ko) 2014-09-26 2014-09-26 유체하역시스템의 긴급분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6987A true KR20160036987A (ko) 2016-04-05
KR101649796B1 KR101649796B1 (ko) 2016-08-30

Family

ID=558002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9437A KR101649796B1 (ko) 2014-09-26 2014-09-26 유체하역시스템의 긴급분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979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2061U (ko) * 2016-12-28 2018-07-06 한국가스공사 하역암 스토퍼 핀
CN109642691A (zh) * 2016-07-05 2019-04-16 曼泰克尼克股份公司 动力紧急释放联接器控制与监视系统
CN114183579A (zh) * 2021-12-02 2022-03-15 连云港杰瑞自动化有限公司 一种lng输送与转驳系统用紧急脱离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296218A3 (en) * 2018-09-14 2024-02-21 Emco Wheaton GmbH Emergency release system and method of releasing thereof
KR20200057325A (ko) 2018-11-16 2020-05-2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긴급 분리 가능한 커플링
KR20200107378A (ko) 2019-03-07 2020-09-1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긴급 분리 가능한 커플링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5352Y1 (ko) * 2003-09-03 2003-12-06 김효만 파이프 이음장치
JP2007154962A (ja) 2005-12-02 2007-06-21 Niigata Loading Systems Ltd 流体荷役装置における緊急切り離し装置
JP2009185881A (ja) * 2008-02-05 2009-08-20 Niigata Loading Systems Ltd 流体荷役装置における緊急切り離し装置
KR20130026452A (ko) * 2010-05-12 2013-03-13 게르그 스프링맨 인더스트리-운드 베르그바우테크닉 게엠베하 파이프 및 튜브 커플링
JP2013160350A (ja) * 2012-02-07 2013-08-19 Niigata Loading Systems Ltd 流体荷役装置における緊急離脱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5352Y1 (ko) * 2003-09-03 2003-12-06 김효만 파이프 이음장치
JP2007154962A (ja) 2005-12-02 2007-06-21 Niigata Loading Systems Ltd 流体荷役装置における緊急切り離し装置
JP2009185881A (ja) * 2008-02-05 2009-08-20 Niigata Loading Systems Ltd 流体荷役装置における緊急切り離し装置
KR20130026452A (ko) * 2010-05-12 2013-03-13 게르그 스프링맨 인더스트리-운드 베르그바우테크닉 게엠베하 파이프 및 튜브 커플링
JP2013160350A (ja) * 2012-02-07 2013-08-19 Niigata Loading Systems Ltd 流体荷役装置における緊急離脱装置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42691A (zh) * 2016-07-05 2019-04-16 曼泰克尼克股份公司 动力紧急释放联接器控制与监视系统
US10935177B2 (en) 2016-07-05 2021-03-02 Mann Teknik Ab Powered emergency released coupling control and monitoring system
US11306858B2 (en) 2016-07-05 2022-04-19 Mann Teknik Ab Powered emergency released coupling control and monitoring system
KR20180002061U (ko) * 2016-12-28 2018-07-06 한국가스공사 하역암 스토퍼 핀
CN114183579A (zh) * 2021-12-02 2022-03-15 连云港杰瑞自动化有限公司 一种lng输送与转驳系统用紧急脱离装置
CN114183579B (zh) * 2021-12-02 2024-02-13 连云港杰瑞自动化有限公司 一种lng输送与转驳系统用紧急脱离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9796B1 (ko) 2016-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49796B1 (ko) 유체하역시스템의 긴급분리장치
DK2632790T3 (en) Connecting device with locking modules which can be released
RU2551826C2 (ru) Линия перекачки текучей среды со стопорными модулями
US20090289453A1 (en) Pipe coupling
US5342098A (en) Multiple coupling device
US9534716B2 (en) Structural connector diverting loads away from the cool connector
JP2007085552A (ja) 締付けアセンブリおよびそれを備える油圧式結合装置
BR112012028862B1 (pt) "Dispositivo para formar uma conexão desengatável entre extremidades livres de tubo ou cano e linha de cano ou tubo".
EP1836428B1 (en) Device for the coupling and release of a pipe fitting to a flanged pipe
US4142740A (en) Quick disconnect coupler
US11906098B2 (en) Dual control emergency release system
CN106061832B (zh) 用于将液化天然气从一船只输送至一设施的系统
KR102161183B1 (ko) 폭 가변 클램프 및 이를 구비하는 케미컬 공급 호스 고정 장치
KR101262647B1 (ko) 천연가스 하이드레이트 적재 장치
JPH0223600Y2 (ko)
US341365A (en) Hose-clamp
KR20200057325A (ko) 긴급 분리 가능한 커플링
US10208883B2 (en) Pressure control apparatus
JP6348924B2 (ja) 流体荷役装置における緊急離脱装置
KR102161182B1 (ko) 케미컬 공급 호스와 건물측 커플러 유닛 간의 연결/분리 시스템
RU2813001C1 (ru) Муфта аварийного разъединения
JPH0646880Y2 (ja) 流体荷役装置における緊急離脱装置
KR102161184B1 (ko) 유동가능한 케미컬 공급 호스 고정 장치
BRPI0514634A2 (pt) dispositivo de conexço de mangueira
US9746099B2 (en) Safety lock for a gate valv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