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57325A - 긴급 분리 가능한 커플링 - Google Patents

긴급 분리 가능한 커플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57325A
KR20200057325A KR1020180141575A KR20180141575A KR20200057325A KR 20200057325 A KR20200057325 A KR 20200057325A KR 1020180141575 A KR1020180141575 A KR 1020180141575A KR 20180141575 A KR20180141575 A KR 20180141575A KR 20200057325 A KR20200057325 A KR 202000573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coupler
blocking
locking pin
block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15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상배
김정
박태윤
신상명
전준환
정성훈
최봉균
최정인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415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57325A/ko
Publication of KR202000573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732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2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with fluid cut-off means
    • F16L37/3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with fluid cut-off means with fluid cut-off means in each of two pipe-end fitt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16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pivoted closure-members
    • F16K1/18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pivoted closure-members with pivoted discs or flaps
    • F16K1/2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pivoted closure-members with pivoted discs or flaps with axis of rotation arranged externally of valve member
    • F16K1/2014Shaping of the valve me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32Details
    • F16K1/34Cutting-off parts, e.g. valve members, seats
    • F16K1/36Valve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Abstract

비상상황 발생 시 서로 연결된 관 또는 호스를 빠르게 분리하는 동시에 유체가 유동하는 내부를 차단할 수 있는 긴급 분리 가능한 커플링이 제공된다. 원통형 관형상으로 형성되고 서로 접하여 연통되며, 유체가 이동하는 두 배관 사이를 연결하는 한 쌍의 커플러와, 일단부가 힌지 결합되어 링 형상을 이루며, 한 쌍의 커플러의 접합면을 둘러싸 고정하는 클램프와, 커플러 내측에 힌지 결합되어 배관 사이를 유동하는 유체를 개폐하는 차단판과, 차단판에 탄성력을 가하여 커플러 내부를 폐쇄하는 제1 탄성부재와, 접합면을 관통하여 차단판의 힌지부에 삽입되어 차단판의 회전을 제한하는 잠금핀과, 잠금핀과 커플러 사이에 개재되어 잠금핀을 접합면 외부로 돌출시키는 제2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차단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긴급 분리 가능한 커플링{Emergency release coupling}
본 발명은 긴급 분리 가능한 커플링에 관한 것으로서, 비상상황 발생 시 서로 연결된 관 또는 호스를 빠르게 분리하는 동시에 유체가 유동하는 내부를 차단할 수 있는 긴급 분리 가능한 커플링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오일, 가스, 석유화학 등의 화물은 액체 또는 기체 형태로 선박의 저장탱크에 저장되어 수요지역이나 다른 지역으로 운송된다. 탱크에 저장된 화물을 선적 및 하역하기 위해 프렉시블 호스(flexible hose) 또는 로딩 암(rigid loading arm)의 두 개의 라인이 서로 결합되며, 이를 위해 커플링이 사용된다. 커플링은 화물을 하역하기 위한 호스 또는 관을 연결하며, 커플링에 과도한 하중, 견인력 및 인장력이 발생하거나 비상 상황의 발생 시 호스 또는 관을 분리하여 장비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호스 또는 관을 연결하기 위한 커플링은 풀보어 볼밸브(full bore ball valve), 플리플랩밸브(flip flap valve), 셔틀 밸브(shuttle valve) 크게 세가지로 구분된다. 풀보어 볼밸브는 압력 강하(pressure drop)가 낮은 장점이 있으나, 밸브 열리는 속도가 느리고 무겁고 큰 크기로 인해 다루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토크가 상대적으로 큰 문제가 있다. 이와 반대로, 플리플랩밸브는 밸브 열리는 속도가 빠르고, 가볍고 작아 다루기 편한 장점이 있으나, 압력강하가 높은 단점이 있다. 아울러, 셔틀밸브는 응답속도가 빠르고 구조가 단순하여 유지보수가 유리하며 실링에 유리한 장점이 있으나, 이 또한 압력 강하가 높은 단점이 있다. 이에, 기존 타입 밸브의 단점을 보완하고 장점을 살릴 수 있도록, 압력강하가 낮고, 작고 가벼운 구조로 이루어지며 응답속도가 빨라 호스 또는 관을 빠르게 분리하면서 장비가 파손되는 현상을 방지하고, 화물이 누수되는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커플링의 구조를 필요로 하였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49796호, (2016.09.26.)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비상상황 발생 시 서로 연결된 관 또는 호스를 빠르게 분리하는 동시에 유체가 유동하는 내부를 차단할 수 있는 긴급 분리 가능한 커플링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에 의한 긴급 분리 가능한 커플링은, 원통형 관형상으로 형성되고 서로 접하여 연통되며, 유체가 이동하는 두 배관 사이를 연결하는 한 쌍의 커플러와, 일단부가 힌지 결합되어 링 형상을 이루며, 한 쌍의 상기 커플러의 접합면을 둘러싸 고정하는 클램프와, 상기 커플러 내측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배관 사이를 유동하는 유체를 개폐하는 차단판과, 상기 차단판에 탄성력을 가하여 상기 커플러 내부를 폐쇄하는 제1 탄성부재와, 상기 접합면을 관통하여 상기 차단판의 힌지부에 삽입되어 상기 차단판의 회전을 제한하는 잠금핀과, 상기 잠금핀과 상기 커플러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잠금핀을 상기 접합면 외부로 돌출시키는 제2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차단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커플러는 원통면에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힌지부가 상기 관통공 내부에 힌지결합되며 상기 잠금핀이 상기 접합면을 통하여 상기 원통면을 관통하여 상기 힌지부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차단판은, 상기 힌지부에 연결되어 회동하는 회동판과, 상기 회동판의 양측면에 각각 펼침 가능하게 결합된 날개판을 포함하되, 상기 제1 탄성부재는 상기 회동판과 상기 날개판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날개판을 펼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전달할 수 있다.
상기 날개판은 상기 회동판과 일체로 형성되고 접히는 방향으로 일면에 노치부가 형성되고 접히는 방향 반대면인 타면에 상기 제1 탄성부재가 결합되어 인장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회동판과 상기 날개판은 지름이 상기 커플러의 내경과 일치하는 원반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날개판은 상기 회동판의 일측면에 중첩배치되고 상기 회동판과 상기 커플러 사이에 개재되어 마주하는 상기 커플러의 내주면에 의해 회동이 제한되며, 상기 회동판의 회동과 동시에 펼쳐져 상기 회동판의 양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클램프는, 상기 커플러에 고정하는 고정부가 분리되면 상기 커플러로부터 완전히 이탈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긴급 분리 가능한 커플링은, 호스 또는 관을 연결하여 화물을 하역할 수 있으며, 화물의 하역 시 인장력이나 과도한 하중의 작용할 경우 호스 또는 관을 빠르게 분리하여 2차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호스 또는 관을 분리하는 동시에 내부를 차단하여 장비의 파손을 방지하고 화물이 누수되는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긴급 분리 가능한 커플링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긴급 분리 가능한 커플링의 일부분을 분해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차단판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를 B-B선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를 A-A선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4의 일부분을 확대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3의 차단판의 작동과정을 도시한 작동도이다.
도 8은 도 1의 긴급 분리 가능한 커플링의 작동과정을 도시한 작동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기 위한 방법들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단지 청구항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긴급 분리 가능한 커플링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긴급 분리 가능한 커플링(1)은 내부에 유체의 유동이 가능하여 화물을 하역할 수 있는 호스 또는 관을 연결 및 분리하기 위한 연결장치이다. 본 발명의 긴급 분리 가능한 커플링(1)은 구조가 단순하여 호스 또는 관을 손쉽고 빠르게 연결 및 분리 가능하여 긴급상황 발생 시, 빠르게 대처 가능하여 사고의 발생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호스 또는 관을 빠르기 분리하는 동시에 내부 유로를 차단할 수 있어 화물이 누수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긴급 분리 가능한 커플링에 대해 전반적으로 설명하고,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차단부재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 후에,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긴급 분리 가능한 커플링의 전체적인 작동과정과 관련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긴급 분리 가능한 커플링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긴급 분리 가능한 커플링(1)은 서로 분리된 배관(11)에 각각 연결되는 한 쌍의 커플러(10a, 10b)와, 한 쌍의 커플러(10)의 접합면(21)을 연결 및 분리하는 클램프(20)와, 커플러(10a, 10b)의 내측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유로를 개폐하는 차단부재(도 3의 30참조)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커플러(10)는 유체가 이동하는 서로 분리된 두 배관(11) 사이를 연결하는 것으로, 양단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된 원통형 관 형상으로 형성된다. 커플러(10)는 한 쌍이 일단부가 서로 연통하여 접하도록 배치되고 타단부에는 배관(11a, 11b)이 각각 결합되어 서로 분리된 한 쌍의 배관(11a, 11b)을 연결할 수 있다. 커플러(10)는 서로 마주하여 접하는 일단부에 접합면(도 4의 21참조)이 형성되며, 한 쌍이 접합면(21)이 서로 접하거나 분리되어 한 쌍의 배관(11a, 11b)을 연결 및 분리할 수 있다. 커플러(10)는 일단부 외주면을 감싸도록 배치되는 클램프(20)에 의해 완전하게 결합 및 분리될 수 있다.
클램프(20)는 한 쌍의 커플러(10a, 10b)를 완전하게 고정 및 분리시키기 위한 결합부재로, 반원형상의 한 쌍의 일단부가 서로 힌지결합되어 링 형상을 이루어 힌지축(35)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형성된다. 클램프(20)는 커플러(10)의 접합면(21)을 둘러싸도록 배치되고 일단부가 서로 결합되어 한 쌍의 커플러(10a, 10b)의 일단부를 연결시킬 수 있다. 이때, 클램프(20)는 고정부(400)의 작동에 의해 연결 및 분리될 수 있으며, 고정부(400)의 작동에 의해 힌지축(35)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접합면(21)으로부터 이탈하여 한 쌍의 커플러(10a, 10b)를 분리할 수 있다. 고정부(400)는 클램프(20)의 일단부를 결합 및 분리시키기 위한 다양한 구동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한편,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커플러(10)는 한 쌍의 배관(11)에 각각 결합되고, 접합면(21)이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되며 클램프(20)에 의해 한 쌍의 배관(11)을 서로 연결하거나 분리될 수 있다. 이에, 커플링(1)은 긴급 상황 발생시에 한 쌍의 커플러(10)를 빠르게 분리하여 미연의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커플러(10)가 분리될 때, 배관(11)과 커플러(10)의 내부를 유동하는 유체의 누수를 방지하도록, 커플러(10)의 내측에 유체의 누수를 차단하기 위한 차단부재(30)가 배치된다.
차단부재(30)는 커플러(10)의 내부 공간을 개방 및 폐쇄하여 배관(11)의 내부를 유동하는 유체의 유로를 차단한다. 차단부재(30)는 한 쌍의 커플러(10)의 내측에 각각 설치되며, 이에 대해서는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 도 2 및 도 7을 참조하여 긴급 분리 가능한 커플링에 대해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긴급 분리 가능한 커플링의 일부분을 분해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차단판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를 B-B선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2를 A-A선으로 절단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4의 일부분을 확대 도시한 부분 확대 단면도이며, 도 7은 도 3의 차단판의 작동과정을 도시한 작동도이다.
먼저, 도 2를 참조하면, 커플러(10)는 내측에 각각 차단부재(30)가 배치된다. 차단부재(30)는 유체가 유동하는 유로를 개방 및 차단하는 것으로, 커플러(10)의 내측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차단판(31), 제1 탄성부재(32), 잠금핀(33) 및 제2 탄성부재(34)를 포함한다.
차단판(31)은 배관(11) 사이를 유동하는 유체의 유로를 개폐하기 위한 것으로, 얇은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어 커플러(10)의 내측에 회동 가능하게 힌지결합된다. 차단판(31)은 커플러(10)의 내측을 배치되되, 커플러(10)의 내측에 서 유동하는 유체가 받는 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회동축(35)에 의해 회동 가능하도록 힌지결합된다. 특히, 차단판(31)은 한 쌍의 커플링이 분리되는 동시에 회동축(35)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유로를 차단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차단판(31)에 대해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차단판(31)은 원형의 굴곡진 얇은 판상으로 형성되며, 일단부에 커플러(10)의 관통공(102)에 결합될 수 있는 힌지부(314)가 형성된다. 커플러(10)는 원통면(101)의 적어도 일부에 관통공(102)이 형성되고, 힌지부(314)가 관통공(102)의 내측에 삽입 배치되어 회동축(35)에 의해 관통공(102)에 힌지결합된다. 차단판(31)은 힌지부(314)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서로 결합 가능하도록 분리 형성될 수 있다. 계속해서, 차단판(31)은 힌지부(314)에 의해 커플러(10)의 내측에 결합되어 회동축(35)을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다. 차단판(31)은 회동판(311)과, 회동판(311)의 양단부에 형성되는 날개판(312)을 포함한다.
회동판(311)은 굴곡진 얇은 판상을 이루며, 적어도 일측면에 힌지부(314)를 형성할 수 있다. 회동판(311)은 일단부에 힌지부(314)가 형성되고, 힌지부(314)가 관통공(102)에 삽입되어 회동축(35)과 결합된다. 회동판(311)은 힌지부(314)가 회동축(35)을 중심으로 회전할 경우, 힌지부(314)와 함께 회전할 수 있다. 특히, 회동판(311)은 양측면에 각각 펼침 가능하게 형성되는 날개판(312)이 결합될 수 있다. 날개판(312)은 회동판(311)의 양측면에 접이 가능한 형태로 결합될 수 있다. 날개판(312)은 차단판(31)의 일부를 형성하며, 일방향으로 접을 수 있어 회동판(311)의 일측면과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날개판(312)과 회동판(311)이 접하는 연결부에는 제1 탄성부재(32)의 양단부가 각각 고정되어, 제1 탄성부재(32)가 날개판(312)이 펼쳐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할 수 있다. 한편, 제1 탄성부재(32)는 차단판(31)을 구동하는 동력원이며, 차단판(31)을 현성하지 않고 힌지부(314)에 직접 결합되거나 커플러(10)의 내측에 직접 결합 가능하며, 탄성력을 이용하여 커플러(10)의 내측을 폐쇄할 수도 있다.
계속해서, 차단판(31)을 구성하는 회동판(311)과 날개판(312)은 원형 형상을 이루도록 일체로 형성되고, 원형 판의 일측면에 노치부(313)가 형성되어 노치부(313)를 중심으로 회동판(311)과 날개판(312)을 구획할 수 있다. 노치부(313)는 날개판(312)이 접히는 일면에 한 쌍이 이격 형성되고, 이를 기준으로 날개판(312)의 중심부가 회동판(311)이루고 회동판(311)의 양측이 날개판(312)을 형성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날개판(312)은 회동판(311)과 일체로 형성되고 접히는 방향으로 일면에 노치부(313)가 형성되며, 접히는 반대면인 타면에 제1 탄성부재(32)가 결합되어 인장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제1 탄성부재(32)는 노치부(313)의 반대면에 형성되어, 날개판(312)이 펼쳐지는 방향을 향하여 탄성력을 가하여 날개판(312)이 접히더라도 제1 탄성부재(32)에 의해 펼쳐질 수 있다. 이와 같은 차단판(31)은 날개판(312)이 회동판(311)의 일측면에 중첩되도록 접힌 상태에서 날개판(312)이 회동판(311)과 커플러(10) 사이에 개재되도록 배치될 수 있으나, 이와 같이 배치된 상태에서 차단판(31)이 회동축(35)을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기에, 회동축(35)에 잠금핀(33)이 결합될 수 있다.
계속해서,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차단판(31)은 날개판(312)이 회동판(311)의 일측면에 중첩되도록 접힌 상태에서 날개판(312)이 회동판(311)과 원통면(101) 사이에 개재되도록 커플러(10)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차단판(31)은 커플러(10)의 내측에 배치되되 커플러(10)와 이격된 간격을 최소화할 수 있을 정도의 굴곡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차단판(31)은 커플러(10)의 내측을 배치되어 회동 시에 커플러(10)의 내주면과 접촉하지 않을 정도의 굴곡을 가지고 형성되어, 커플러(10)의 내주면과 최소한의 간격을 가지도록 이격되어 힌지결합된다. 이에, 차단판(31)은 커플러(10)의 내측에 배치되더라도 내부를 유동하는 유체가 받는 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다. 차단판(31)은 위와 같이 배치된 상태에서 회동축(35)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날개판(312)이 펼쳐질 수 있기에, 잠금핀(33)이 힌지부(314)에 결합되어 회동이 제한될 수 있다.
잠금핀(33)은 차단판(31)의 회전을 제한하기 위한 막대바로, 힌지부(314)의 적어도 일부와 접하여 차단판(31)의 회동을 제한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잠금핀(33)은 얇고 긴 막대로 형성되고 한 쌍의 커플러(10)가 서로 접하고 있는 접합면(21)을 통하여 원통면(101)을 관통하여 힌지부(314)에 삽입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잠금핀(33)은 접합면(21)을 관통하여 커플러(10)의 길이방향으로 삽입되어 원통면(101)에 배치될 수 있으며, 일단부가 관통공(102)으로 노출되어 힌지부(314)에 삽입될 수 있다. 잠금핀(33)은 힌지부(314)의 적어도 일부와 접하여 차단판(31)의 회동을 제한하거나, 힌지부(314)로부터 분리되어 차단판(31)을 회동시킬 있다. 특히, 잠금핀(33)은 제2 탄성부재(34)에 의해 원통면(101)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힌지부(314)에 삽입되거나 접합면(21) 외부로 돌출되어 힌지부(314)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
제2 탄성부재(34)는 잠금핀(33)을 원통면(101)의 내측에서 슬라이딩 이동시켜 힌지부(314)와 접촉 및 분리시키기 위한 일종의 스프링으로, 잠금핀(33)과 커플러(10) 사이에 개재되어 잠금핀(33)에 의해 압축 및 복원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도 6의 확대 도시된 도면에서와 같이, 제2 탄성부재(34)는 원통면(101)에 삽입되는 잠금핀(33)에 노출될 수 있도록 원통면(101)의 내측에 설치되며, 잠금핀(33)이 커플러(1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압축 및 복원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잠금핀(33)이 접합면(21)에 삽입되어 일단부가 힌지부(314)에 삽입되고 타단부가 원통면(101)에 완전하게 삽입되어 배치될 경우, 제2 탄성부재(34)가 압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때, 잠금핀(33)의 타단부에 가하는 힘을 제거하게 될 경우, 제2 탄성부재(34)는 복원하면서 잠금핀(33)의 타단부가 접합면(21)으로부터 이탈되고 일단부가 힌지부(314)로부터 분리된다. 다시 말해, 잠금핀(33)은 원통면(101)에 삽입되어 힌지부(314)를 누르고 있으며, 한 쌍의 커플러(10a, 10b)가 분리되면서 힌지부(314)로부터 분리된다. 잠금핀(33)이 힌지부(314)를 누르고 있는 힘이 제거되면서 차단판(31)이 회동축(35)을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다.
잠금핀(33)이 힌지부(314)로부터 분리될 경우, 차단판(31)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하여 회동축(35)을 중심으로 회동하게 된다. 차단판(31)이 회동축(35)을 중심으로 회동하면서 날개판(312)은 원통면(101)의 내측면과 멀어지면서 펼쳐질 수 있다. 즉, 차단판(31)은 잠금핀(33)이 힌지부(314)와 분리되고, 회동하는 동시에 날개판(314)이 펼쳐지면서 회동판(311)의 양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화동판(311)과 날개판(312)은 지름이 커플러(10)의 내경과 일치하는 원반형으로 형성되어 힌지부(314)가 회동할 경우, 커플러(10)의 내주면을 완전하게 차단할 수 있다.
이하, 도 8을 참조하여 긴급 분리 가능한 커플링의 작동과정에 대해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커플러(10)가 분리되고, 커플러(10) 내부 유로가 차단판(31)에 의해 폐쇄된 도면을 도시하고 있다. 먼저, 본 발명은 커플러(10) 또는 호스의 적어도 일부에 과도한 하중이 작용하거나 비상 상황이 발생하게 될 경우, 고정부(400)가 한 쌍의 커플러(10)의 외주면을 감싸고 있는 클램프(20)의 잠금을 해제하여 클램프(20)는 커플러(10)로부터 분리된다. 한 쌍의 커플러(10)는 클램프(20)가 외주면으로부터 이탈되어 서로 분리되게 된다. 원통면(101)의 내측에 삽입되어 있던 잠금핀(33)은 커플러(10)가 분리됨에 따라 누르는 힘이 사라지게 되고, 이에 제2 탄성부재(34)가 복원되면서 접합면(21)의 외측으로 돌출 배치되거나, 외부로 이탈되게 된다. 잠금핀(33)이 접합면(21)의 외부로 돌출되면서 일단부가 힌지부(314)로부터 분리되고, 힌지부(314)는 회동을 제한하고 있던 잠금핀(33)이 일부로부터 분리되어 회동축(35)을 중심으로 회동하게 된다. 힌지부(314)가 회동하면서 힌지부(314)와 연결된 차단판(31)이 회동축(35)을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으며, 회동판(311)이 커플러(10)의 내측면으로부터 점점 이격되면서 날개판(312)은 제1 탄성부재(32)의 탄성에 의해 펼쳐질 수 있다. 다시 말해, 회동판(311)은 힌지부(314)가 회동축(35)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동시에 회동축(35)을 중심으로 회동하고, 이와 동시에 날개판(312)이 펼쳐지면서 내부 유로를 차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긴급 분리 가능한 커플링(1)은 한 쌍의 커플러(10)를 빠르게 분리하고 커플러(10)가 분리됨과 동시에 차단판(31)이 회동하여 내부 유로를 폐쇄하여, 사고를 방지하며 액화가스의 누수를 방지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 긴급 분리 가능한 커플링
10: 커플러 11: 배관
12: 덮개부 20: 클램프
21: 접합면 30: 차단부재
31: 차단판 32: 제1 탄성부재
33: 잠금핀 34: 제2 탄성부재
35: 힌지축 101: 원통면
102: 관통공 311: 회동판
312: 날개판 313: 노치부
314: 힌지부 400: 고정부

Claims (7)

  1. 원통형 관형상으로 형성되고 서로 접하여 연통되며, 유체가 이동하는 두 배관 사이를 연결하는 한 쌍의 커플러;
    일단부가 힌지 결합되어 링 형상을 이루며, 한 쌍의 상기 커플러의 접합면을 둘러싸 고정하는 클램프; 및
    상기 커플러 내측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배관 사이를 유동하는 유체를 개폐하는 차단판과, 상기 차단판에 탄성력을 가하여 상기 커플러 내부를 폐쇄하는 제1 탄성부재와, 상기 접합면을 관통하여 상기 차단판의 힌지부에 삽입되어 상기 차단판의 회전을 제한하는 잠금핀과, 상기 잠금핀과 상기 커플러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잠금핀을 상기 접합면 외부로 돌출시키는 제2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차단부재를 포함하는 긴급 분리 가능한 커플링.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러는 원통면에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힌지부가 상기 관통공 내부에 힌지결합되며 상기 잠금핀이 상기 접합면을 통하여 상기 원통면을 관통하여 상기 힌지부에 삽입되는 긴급 분리 가능한 커플링.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판은, 상기 힌지부에 연결되어 회동하는 회동판과, 상기 회동판의 양측면에 각각 펼침 가능하게 결합된 날개판을 포함하되,
    상기 제1 탄성부재는 상기 회동판과 상기 날개판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날개판을 펼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전달하는 긴급 분리 가능한 커플링.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판은 상기 회동판과 일체로 형성되고 접히는 방향으로 일면에 노치부가 형성되고 접히는 방향 반대면인 타면에 상기 제1 탄성부재가 결합되어 인장력을 발생시키는 긴급 분리 가능한 커플링.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판과 상기 날개판은 지름이 상기 커플러의 내경과 일치하는 원반형으로 형성된 긴급 분리 가능한 커플링.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판은 상기 회동판의 일측면에 중첩배치되고 상기 회동판과 상기 커플러 사이에 개재되어 마주하는 상기 커플러의 내주면에 의해 회동이 제한되며, 상기 회동판의 회동과 동시에 펼쳐져 상기 회동판의 양측에 배치되는 긴급 분리 가능한 커플링.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는, 상기 커플러에 고정하는 고정부가 분리되면 상기 커플러로부터 완전히 이탈되는 긴급 분리 가능한 커플링.
KR1020180141575A 2018-11-16 2018-11-16 긴급 분리 가능한 커플링 KR2020005732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1575A KR20200057325A (ko) 2018-11-16 2018-11-16 긴급 분리 가능한 커플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1575A KR20200057325A (ko) 2018-11-16 2018-11-16 긴급 분리 가능한 커플링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7325A true KR20200057325A (ko) 2020-05-26

Family

ID=709150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1575A KR20200057325A (ko) 2018-11-16 2018-11-16 긴급 분리 가능한 커플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5732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388930A1 (en) * 2020-06-11 2021-12-16 Colder Products Company Single-use disconnect fluid coupling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9796B1 (ko) 2014-09-26 2016-08-30 제일기술산업(주) 유체하역시스템의 긴급분리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9796B1 (ko) 2014-09-26 2016-08-30 제일기술산업(주) 유체하역시스템의 긴급분리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388930A1 (en) * 2020-06-11 2021-12-16 Colder Products Company Single-use disconnect fluid couplings
US11480281B2 (en) * 2020-06-11 2022-10-25 Colder Products Company Single-use disconnect fluid couplings
US11898679B2 (en) 2020-06-11 2024-02-13 Colder Products Company Single-use disconnect fluid coupling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82455B2 (ja) 流体導通ライン同士を接続するカップリング
US4007909A (en) Full flow valved fitting
EP1613888B1 (en) Coupling assembly
US9695968B1 (en) Double cam levers and safety lock for cam lock fitting
US8360103B2 (en) Split valve
AU2008333268B2 (en) Connector with an integrated quick/connect disconnect and emergency release system
US10962161B2 (en) Rotating female portion and safety lock for cam lock fitting
JPS6252196B2 (ko)
KR101649796B1 (ko) 유체하역시스템의 긴급분리장치
KR20200057325A (ko) 긴급 분리 가능한 커플링
EP0228763B1 (en) Emergency release valve apparatus
JPH11153282A (ja) 迅速開放用結合手段を備えたパイプ結合装置
WO2014167343A1 (en) Couplings and valves
KR20200107378A (ko) 긴급 분리 가능한 커플링
KR102546235B1 (ko) 밸브의 안전장치
JPS6230357B2 (ko)
JPS6244228Y2 (ko)
JPH0210039B2 (ko)
US1055477A (en) Hose-coupling.
US1278020A (en) Hose-coupling.
US20180363820A1 (en) Camlock fitting safety device and method
CN104285090B (zh) 用于将引导流体的管路彼此接合的快速接合器
JP4949705B2 (ja) 緊急離脱接続装置
JP2020506335A (ja) カムロック継手用のダブルカムレバーおよび安全ロッ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