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36895A - Apparatus for carrying pallet and pallet used therefor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carrying pallet and pallet used theref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36895A
KR20160036895A KR1020140129129A KR20140129129A KR20160036895A KR 20160036895 A KR20160036895 A KR 20160036895A KR 1020140129129 A KR1020140129129 A KR 1020140129129A KR 20140129129 A KR20140129129 A KR 20140129129A KR 20160036895 A KR20160036895 A KR 201600368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llet
module
moving
clamper
pedes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2912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624721B1 (en
Inventor
하동수
박정훈
김광일
이종웅
Original Assignee
빛기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빛기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빛기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291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4721B1/en
Publication of KR201600368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689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47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472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9/00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5/00Conveyors comprising a cyclically-moving, e.g. reciprocating, carrier or impeller which is disengaged from the load during the return part of its movement
    • B65G25/02Conveyors comprising a cyclically-moving, e.g. reciprocating, carrier or impeller which is disengaged from the load during the return part of its movement the carrier or impeller having different forward and return paths of movement, e.g. walking beam convey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c Assembly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allet transfer device which comprises: a support block configured to support a pallet; a lifting unit having a driving body moved in the crossing direction crossing the lifting direction of the support block, and a driven body pushed up along the lifting direction with at least a portion of the support block together by movement of the driving body; and a base disposed on a lower side of the driven body and guiding the driving body in the crossing direction.

Description

파렛트 이송 장치 및 그가 이송하는 파렛트{APPARATUS FOR CARRYING PALLET AND PALLET USED THEREFOR}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allet transfer apparatus and a pallet for transferring the pallet,

본 발명은 대상물을 지지하는 파렛트를 이송하기 위한 장치 및 그에 사용되는 파렛트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for transporting a pallet for supporting an object and a pallet used therein.

일반적으로, 카메라 렌즈는 복수 개로서 경통(대상물) 내에 차례로 적층 된다. 이들 간에는 정확한 정렬 및 간격의 유지가 필수적이다. 이를 위해, 복수의 렌즈를 차례로 집어서 적층하는 장치의 신뢰성이 요구된다.Generally, a plurality of camera lenses are sequentially stacked in a barrel (object). It is essential to maintain accurate alignment and spacing between them. To this end, reliability of an apparatus for picking up and stacking a plurality of lenses in order is required.

그에 더하여, 대상물을 지지하는 파렛트를 이송하고 지지하는 장치 역시 정확한 수평 정렬 및 파렛트에 대한 견고한 지지가 요구된다. In addition, a device for transporting and supporting pallets for supporting objects also requires accurate horizontal alignment and rigid support for the pallet.

그러나, 위의 이송 장치는 높이 방향의 이송에 있어서 자중이나 불안정한 클램핑 구조에 의해 파렛트를 설정된 위치에서 견고하게 지지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하곤 한다.
Howeve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above conveying apparatus can not firmly support the pallet at the set position due to its own weight or unstable clamping structure in the heightwise conveyance.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승강 이동 후에 파렛트가 승강 방향으로 유격을 갖지 않도록 하는, 파렛트 이송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allet transporting apparatus that does not have a clearance in a lifting direction after a lifting movement.

본 발명의 다른 일 목적은, 대상물에 따라 교체가 용이한, 파렛트 이송 장치가 이송하는 파렛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allet to which the pallet transporting device is transported, the pallet being easy to replace in accordance with the object.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측면과 관련된 파렛트 이송 장치는, 파렛트를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지지 블록; 상기 지지 볼록의 승강 방향에 교차하는 교차 방향으로 이동되는 구동체와, 상기 구동체의 이동에 의해 상기 지지 블록의 적어도 일부와 함께 상기 승강 방향을 따라 밀어 올려지는 피동체를 구비하는 승강 유닛; 및 상기 피동체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구동체를 상기 교차 방향을 따라 안내하는 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A pallet transpor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realizing the above-mentioned problems includes a support block configured to support a pallet; An elevating unit including a driving body which is moved in an intersecting direction crossing the lifting direction of the supporting convexes and a driven body which is pushed up along the lifting direction together with at least a part of the supporting block by the movement of the driving body; And a base disposed below the driven body and guiding the driven body along the crossing direction.

여기서, 상기 구동체는, 일 단부에서 타 단부를 향해 갈수록 높이가 높아지는 경사면을 가지는 구동 캠을 포함하고, 상기 피동체는, 상기 승강 유닛의 적어도 일부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 캠의 경사면에 대응하는 피동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driving body may include a driving cam having an inclined surface that increases in height from one end to the other end, and the driven body may be provided on at least a part of the elevating unit, And may include a driven roller.

여기서, 상기 지지 블록은, 상기 베이스에 고정되는 고정 모듈; 및 상기 고정 모듈에 대해 상기 승강 방향으로 상대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이동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supporting block includes a fixing module fixed to the base; And a moving module that is connected to the fixed module so as to be relatively movable in the lifting direction.

여기서, 상기 승강 유닛은, 상기 고정 모듈에 연결되고, 상기 승강 방향을 따라 배치된 승강 레일; 및 상기 이동 모듈에 연결되고, 상기 승강 레일과 슬라이딩 가능하게 맞물린 슬라이더를 더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elevating unit includes: a lifting rail connected to the fixing module and disposed along the lifting direction; And a slider connected to the movement module and slidably engaged with the lift rail.

여기서, 상기 승강 유닛은, 양단부가 각각 상기 고정 모듈과 상기 이동 모듈에 연결되어, 상기 이동 모듈을 상기 고정 모듈을 향해 탄성적으로 편향시키는 편향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elevating unit may further include a biasing member that has both ends connected to the fixing module and the moving module, respectively, to elastically deflect the moving module toward the fixing module.

여기서, 상기 승강 유닛은, 상기 이동 모듈이 상기 고정 모듈에 대해 상승하는 높이를 제한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토퍼는, 상기 이동 모듈에 설치되며, 상기 승강 방향을 따라 연장된 제한홀을 구비하는 브라켓; 및 상기 고정 모듈에서 설치되고, 상기 제한홀 내에 위치하는 제한핀을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elevating unit may further include a stopper for restricting a height at which the moving module is elevated with respect to the fixing module, and the stopper is provided to the moving module and has a restriction hole extending along the moving direction Brackets; And a restriction pin installed in the fixing module and located in the restriction hole.

여기서, 상기 이동 모듈은, 상기 파렛트가 놓여지고, 중앙에 개구홀이 형성된 받침대; 상기 받침대의 일 측에 설치되는 기준 클램퍼와, 상기 기준 클램퍼에 대응하여 상기 받침대의 타 측에 설치되는 가변 클램퍼를 구비하는 클램핑 유닛; 및 상기 개구홀에 배치되어, 상기 가변 클램퍼를 상기 기준 클램퍼를 향해 이동시키는 이동 실린더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moving module may include: a pedestal on which the pallet is placed and an opening hole is formed in the center; A clamping unit having a reference clamper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pedestal and a variable clamper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pedestal corresponding to the reference clamper; And a moving cylinder disposed in the opening hole for moving the variable clamper toward the reference clamper.

여기서, 상기 이동 모듈은, 상기 받침대의 나사홈에 삽입되어, 상기 받침대가 상기 이동 모듈의 나머지 부분에 대해 레벨 조절되게 하는 레벨링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레벨링 유닛은, 다각 돌기와, 상기 다각 돌기 내부를 관통하는 볼트홈을 구비하는 상부 너트; 상기 다각 돌기를 수용하는 하부 너트; 및 상기 볼트홈을 통해 상기 상부 너트를 상기 하부 너트에 대해 압착시키는 압착 볼트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moving module may further include a leveling unit inserted in a threaded groove of the pedestal so that the pedestal is level-regulated with respect to the remaining part of the moving module, and the leveling unit includes a polygonal projection, An upper nut having a bolt groove passing through the upper nut; A lower nut receiving the polygonal projection; And a compression bolt for compressing the upper nut against the lower nut through the bolt groove.

여기서, 상기 파렛트에 하향 경사면을 가지는 수용홈이 형성된 경우, 상기 기준 클램퍼 및 상기 가변 클램퍼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하향 경사면에 대응하는 상향 경사면을 가지는 가압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At least one of the reference clamper and the variable clamper may include a pushing protrusion having an upward sloping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downward sloping surface when the receiving groove having the downward sloping surface is formed on the pallet.

여기서, 상기 베이스는, 상기 지지 블록을 지지하는 베이스 플레이트;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설치되고, 상기 구동체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맞물리는 안내 레일을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base includes: a base plate for supporting the support block; And a guide rail installed on the base plate and slidably engaged with the driving body.

여기서, 상기 교차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를 지지하여 상기 교차 방향으로 반송하도록 구성되는 반송 유닛이 더 구비될 수 있다.Here, it is possible to further include a transfer unit extending along the cross direction and configured to support the base and to transfer the crosswise direction.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파렛트 이송 장치가 이송하는 파렛트로서, 위의 파렛트 이송 장치의 지지 블록에 의해 지지되는 파렛트로서, 상기 지지 블록의 정렬핀에 대응하는 정렬홀을 구비하는 하부 플레이트; 및 상기 하부 플레이트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렌즈 하우징이 안착되는 안착홈을 구비하는 상부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A pallet carried by a pallet transpor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allet being supported by a support block of the upper pallet transporting apparatus, the pallet comprising: a lower plate having alignment holes corresponding to the alignment pins of the support block; And an upper plate detachably coupled to the lower plate and having a seating groove on which the lens housing is seated.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관련된 파렛트 이송 장치에 의하면, 승강 이동 후에 파렛트가 승강 방향으로 유격을 갖지 않게 되어, 파렛트가 정확한 자세의 정렬 및 대상물에 대한 제 위치에서의 견고한 지지를 달성할 수 있게 된다. According to the pallet transport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constructed as described above, after the pallet is moved up and down, the pallet does not have a clearance in the ascending and descending direction, so that the pallet can achieve the accurate posture alignment and stable support in place do.

본 발명에 관련된 파렛트에 의하면, 대상물의 사이즈에 따라 교체가 용이하여, 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al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easy to replace the pallet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object, and the efficiency of the work can be increas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렛트 이송 장치(100)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지지 블록(110), 승강 유닛(130), 및 베이스(150)를 일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지지 블록(110), 승강 유닛(130), 및 베이스(150)를 도 2와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4는 파렛트(200)가 지지 블록(110)에 안착된 상태를 보인 요부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레벨링 유닛(125)을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레벨링 유닛(125)이 받침대(117)에 체결된 상태를 보이는 보인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1의 파렛트(200)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llet transport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upport block 110, the elevation unit 130, and the base 150 of FIG. 1 viewed from one direction.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upport block 110, the elevation unit 130, and the base 150 shown in Fig. 1 in a direction different from that of Fig.
4 is a side view of a recessed portion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allet 200 is seated on the support block 110. Fig.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leveling unit 125 of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eveling unit 125 of FIG. 5 is fastened to the pedestal 117. FIG.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pallet 200 of FIG.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파렛트 이송 장치 및 그가 이송하는 파렛트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a pallet transporting apparatu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pallet for transporting the pallet transporting apparatu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same or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given to different embodiments in the same or similar configuration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렛트 이송 장치(100)를 보인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llet transport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도면을 참조하면, 파렛트 이송 장치(100)는, 지지 블록(110), 승강 유닛(130), 베이스(150), 및 반송 유닛(170)을 가질 수 있다.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pallet transporting apparatus 100 may have a support block 110, an elevating unit 130, a base 150, and a transporting unit 170.

지지 블록(110)은 파렛트(200)를 지지하기 위한 구성이다. The support block 110 is a structure for supporting the pallet 200.

승강 유닛(130)은 지지 블록(110)의 적어도 일부를 나머지에 대해 승강 방향(E)을 따라 승강시키는 구성이다. 지지 블록(110)의 적어도 일부는 파렛트(200)를 지지하는 부분이 될 수 있다. The elevating unit 130 is configured to elevate at least a part of the supporting block 110 along the elevation direction E with respect to the rest. At least a portion of the support block 110 may be a portion that supports the pallet 200.

승강 유닛(130)은 구동체(131)와, 피동체(133)를 가질 수 있다. 구동체(131)는 승강 방향(E)에 대해 교차하는 교차 방향(C)을 따라 이동되게 구성된다. 피동체(133)는 구동체(131)의 이동에 의해 승강 방향(E)을 따라 밀어 올려지게 구성된다. 피동체(133)는 지지 블록(110)의 적어도 일부에 연결되어, 그와 함께 승강되도록 구성된다. The elevating unit 130 may have a driving body 131 and a moving body 133. [ The driving body 131 is configured to be moved along the crossing direction C that crosses the up and down direction E. The driven body 133 is configured to be pushed up along the lifting direction E by the movement of the driving body 131. [ The driven body 133 is connected to at least a part of the support block 110 and is configured to be moved up and down with it.

베이스(150)는 피동체(133)의 하측에 배치되고, 구동체(131)를 교차 방향(C)을 따라 안내하는 구성이다. 베이스(150)는 또한 지지 블록(110)의 일 부분을 지지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The base 150 is disposed below the driven member 133 and guides the driving member 131 along the crossing direction C. [ The base 150 may also be arranged to support a portion of the support block 110.

반송 유닛(170)은 교차 방향(C)을 따라 연장하도록 형성되어, 베이스(150)를 교차 방향(C)을 따라 반송하는 구성이다.The conveying unit 170 is formed to extend along the crossing direction C and conveys the base 150 along the crossing direction C.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지지 블록(110)과 승강 유닛(130) 및 베이스(150)는 반송 유닛(170)에 의해 교차 방향(C)을 따라 반송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the support block 110, the elevation unit 130, and the base 150 can be transported along the crossing direction C by the transport unit 170.

지지 블록(110) 등은 반송된 위치에 멈추고, 지지 블록(110)은 그의 적어도 일부가 승강 유닛(130)에 의해 승강 방향(E)을 따라 승강될 수 있다.The support block 110 and the like are stopped at the transported position and at least a part of the support block 110 can be lifted and lowered by the lifting unit 130 along the lifting direction E. [

이러한 승강 중 상승은, 구동체(131)가 교차 방향(C)을 따라 이동함에 의해, 구동체(131)에 맞물린 피동체(133)가 승강 방향(E)으로 밀어 올려짐에 의해 달성된다. 그에 의해, 파렛트(200)는 승강 방향(E)을 따라 설정된 높이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피동체(133)는 승강 방향(E)과 교차하는 교차 방향(C)을 따라서 이동된 구동체(131)에 의해 받쳐짐에 의해, 승강된 위치에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다.This rise during the ascending and descending is achieved by moving the driven body 131 engaged with the driving body 131 in the ascending and descending direction E by moving the driving body 131 along the crossing direction C. Thereby, the pallet 200 can be located at a height set along the lifting direction E. The driven body 133 is supported by the driving body 131 moved along the crossing direction C intersecting with the up-and-down direction E, so that the driven body 133 can be firmly held at the elevated position.

또한 하강은, 구동체(131)가 교차 방향(C)을 따라 앞서와 다른 방향으로 이동함에 의해, 피동체(133) 및 지지 블록(110)의 일부가 자중에 의해 내려옴에 의해 달성된다. 이때도 구동체(131)가 피동체(133)를 지지하므로, 피동체(133) 등은 점진적으로 하강하게 된다.The lowering is achieved by a part of the moving body 133 and the supporting block 110 being lowered by their own weight as the driving body 131 moves in a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preceding and the other direction along the crossing direction C. At this time as well, since the driven body 131 supports the driven body 133, the driven body 133 and the like gradually descend.

이상의 지지 블록(110), 승강 유닛(130), 및 베이스(150)에 대해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The supporting block 110, the elevating unit 130, and the base 15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and 3. Fig.

도 2는 도 1의 지지 블록(110), 승강 유닛(130), 및 베이스(150)를 일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3은 그들을 도 2와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upport block 110, the elevation unit 130, and the base 150 of FIG. 1 viewed from one direction, and FIG. 3 is a perspective view thereof as viewed from a direction different from FIG.

본 도면들을 참조하면, 지지 블록(110)은 고정 모듈(111)과, 이동 모듈(116)을 가질 수 있다. Referring to these drawings, the support block 110 may have a fixing module 111 and a moving module 116.

고정 모듈(111)은 베이스(150)에 고정되는 부분이다. 고정 모듈(111)은 대체로 베이스(150)에 대해 수직하게 배열될 수 있다.The fixing module 111 is a portion fixed to the base 150. The securing module 111 may be arranged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base 150.

이동 모듈(116)은 고정 모듈(111)에 대해 승강 방향(E)을 따라 상대 이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를 위해, 이동 모듈(116)은 고정 모듈(111)을 마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동 모듈(116) 역시 베이스(150)에 대해 대체로 수직하게 배열될 수 있다. The moving module 116 is relatively movably connected to the fixing module 111 along the lifting direction E thereof. To this end, the transfer module 116 may be arranged to face the securing module 111. The transfer module 116 may also be arranged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base 150.

이동 모듈(116)은, 받침대(117), 클램핑 유닛(119 및 120), 이동 실린더(121), 그리고 레벨링 유닛(125)을 가질 수 있다. The transfer module 116 may have a pedestal 117, clamping units 119 and 120, a moving cylinder 121, and a leveling unit 125.

받침대(117)는 파렛트(200)를 지지하기 위한 구성이다. 받침대(117)는 승강 방향(E)에 수직한 평면을 이룰 수 있다. 받침대(117)는 중앙에 개구홀(118)이 형성된 것일 수 있다.The pedestal 117 is a structure for supporting the pallet 200. The pedestal 117 can be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elevation direction E. The pedestal 117 may have an opening hole 118 formed at the center thereof.

클램핑 유닛(119 및 120)은 받침대(117)에 놓이는 파렛트(200)를 클램핑하기 위한 구성이다. 클램핑 유닛(119 및 120)은, 기준 클램퍼(119)와, 가변 클램퍼(120)를 가질 수 있다. 기준 클램퍼(119)는 받침대(117)의 일 측에 설치되며, 받침대(117)에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반해, 가변 클램퍼(120)는 받침대(117)의 타 측에 기준 클램퍼(119)와 대응하여 설치된다. 또한, 가변 클램퍼(120)는 기준 클램퍼(119)에 대해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도록 위치가 가변되게 형성된다. The clamping units 119 and 120 are for clamping the pallet 200 placed on the pedestal 117. The clamping units 119 and 120 may have a reference clamper 119 and a variable clamper 120. The reference clamper 119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pedestal 117 and can be fixed to the pedestal 117. On the other hand, the variable clamper 120 is installed on the other side of the pedestal 117 in correspondence with the reference clamper 119. Further, the variable clamper 120 is formed so as to be displaced so as to be closer to or away from the reference clamper 119.

이동 실린더(121)는 가변 클램퍼(120)를 기준 클램퍼(119)를 향해 또는 그로부터 멀어지게 이동시키는 구성이다. 이동 실린더(121)는 공압 실린더를 채용할 수 있다. 또한, 이동 실린더(121)는 받침대(117)의 개구홀(118)에 설치될 수 있다. The moving cylinder 121 is configured to move the variable clamper 120 toward or away from the reference clamper 119. The moving cylinder 121 may employ a pneumatic cylinder. Further, the moving cylinder 121 can be installed in the opening hole 118 of the pedestal 117.

레벨링 유닛(125)은 받침대(117)를 이동 모듈(116)의 나머지 부분에 대해 레벨을 조정하여 고정할 수 있게 하는 구성이다. 이에 대해서는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The leveling unit 125 is a configuration that allows the pedestal 117 to be fixed by adjusting the level with respect to the rest of the moving module 116. [ Thi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5 and 6. Fig.

다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승강 유닛(130)은, 앞서 설명한 바대로, 구동체(131)와 피동체(133)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구동체(131)는 일 단부에서 타 단부를 향해 갈수록 높이가 높아지는 경사면(132)을 가지는 구동 캠일 수 있다. 피동체(133)는 구동 캠의 경사면(132)에 대응하는 피동 롤러일 수 있다. 여기서, 구동체(131)가 교차 방향(C)으로 이동하는 것은, 구동체(131)와 연결된 구동 실린더(135)의 작동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2 and 3, the lifting unit 130 can have the driving body 131 and the driven body 133 as described above. Here, the driving body 131 may be a driving cam having an inclined face 132 whose height increases from one end to the other end. The driven member 133 may be a driven roller corresponding to the inclined surface 132 of the drive cam. Here, the driving body 131 is moved in the cross direction C by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cylinder 135 connected to the driving body 131.

승강 유닛(130)은, 또한 승강 레일(137)과, 슬라이더(138), 편향 부재(139), 및 스토퍼(140)를 더 가질 수 있다.The lifting unit 130 may further have a lifting rail 137, a slider 138, a biasing member 139, and a stopper 140.

승강 레일(137)은 지지 블록(110)의 고정 모듈(111)에 연결된다. 승강 유닛(130)은 승강 방향(E)을 따라 배열된다. The lifting rails 137 are connected to the fixing module 111 of the support block 110. The lifting unit 130 is arranged along the lifting direction E.

슬라이더(138)는 지지 블록(110)의 이동 모듈(116)에 연결되며, 승강 레일(137)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맞물린다. The slider 138 is connected to the movement module 116 of the support block 110 and is slidably engaged with the lift rail 137.

편향 부재(139)는 이동 모듈(116)을 고정 모듈(111)을 향해 탄성적으로 편향시키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 편향 부재(139)는 그 양단부가 각각 고정 모듈(111)과 이동 모듈(116)에 연결된 탄성체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편향 부재(139)는 본 실시예에서 승강 방향(E)을 따르도록 배치된 코일 스프링으로 예시되어 있다.The biasing member 139 resiliently biases the moving module 116 toward the securing module 111. To this end, the biasing member 139 may be an elastic body having opposite ends connected to the fixing module 111 and the moving module 116, respectively. Specifically, the biasing member 139 is illustrated as a coil spring arranged in the elevation direction E in this embodiment.

스토퍼(140)는 이동 모듈(116)이 고정 모듈(111)에 대해 상승하는 높이를 제한하기 위한 구성이다. 스토퍼(140)는 브라켓(141)과, 제한핀(142)을 가질 수 있다. 브라켓(141)은 일 측이 이동 모듈(116)에 연결되고 타 측이 고정 모듈(111) 쪽으로 연장되게 배치된다. 브라켓(141)의 타 측에는 제한홀(141a)이 형성된다. 제한홀(141a)은 승강 방향(E)을 따라 연장된 형태의 장홀일 수 있다.제한핀(142)은 고정 모듈(111)에서 돌출 형성되며, 제한홀(141a)에 삽입되는 구성이다. The stopper 140 is a structure for restricting the height at which the movement module 116 ascends with respect to the fixed module 111. [ The stopper 140 may have a bracket 141 and a restricting pin 142. The bracket 141 is disposed so that one side is connected to the moving module 116 and the other side is extended toward the fixing module 111 side. On the other side of the bracket 141, a limiting hole 141a is formed. The restriction hole 141a may be a long hole extending in the elevation direction E. The restriction pin 142 is protruded from the fixing module 111 and inserted into the restriction hole 141a.

베이스(150)는 베이스 플레이트(151)와, 안내 레일(153)을 가질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151)는 대체로 판재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안내 레일(153)은 베이스 플레이트(151) 상에 교차 방향(C)을 따라 배열된다. 안내 레일(153)은 구동체(131)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맞물린다.The base 150 may have a base plate 151 and a guide rail 153. The base plate 151 may have a generally plate-like shape. The guide rails (153) are arranged on the base plate (151) along the cross direction (C). The guide rail 153 is slidably engaged with the driving body 131.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구동 실린더(135)의 작동에 의해 구동체(131)는 교차 방향(C)으로, 안내 레일(153)의 안내를 받으며 이동할 수 있다. 구동체(131)의 이동에 의해, 피동체(133)는 경사면(132)의 낮은 부분에 의해 지지되다가 점차로 높은 부분에 의해 지지되므로 승강 방향(E)으로 상승하게 된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the driving body 131 can be moved in the cross direction C by being guided by the guide rail 153 by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cylinder 135. The moving body 133 is supported by the lower portion of the inclined surface 132 and is gradually supported by the higher portion due to the movement of the driving body 131,

피동체(133)의 상승에 의해, 피동체(133)가 연결된 이동 모듈(116) 또한 상승하게 된다. 이때, 고정 모듈(111)에 대한 이동 모듈(116)의 상승은, 승강 레일(137)과 슬라이더(138)의 상대 슬라이딩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고정 모듈(111)에 대한 이동 모듈(116)의 상승은 스토퍼(140)에 의해 제한되기도 한다. 나아가, 고정 모듈(111)에 대해 상승된 이동 모듈(116)을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해, 편향 부재(139)가 작동하게 된다. With the lifting of the moving body 133, the moving module 116 to which the moving body 133 is connected is also raised. At this time, the elevation of the moving module 116 relative to the fixing module 111 is achieved by the relative sliding of the lifting rail 137 and the slider 138. In addition, the movement of the moving module 116 relative to the fixing module 111 may be limited by the stopper 140. [ Further, in order to return the elevated moving module 116 to the original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fixing module 111, the biasing member 139 is operated.

다음으로, 지지 블록(110), 구체적으로는 받침대(117)가 파렛트(200)를 클램핑하는 구성에 대해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Next, the structure in which the support block 110, and in particular the pedestal 117, clamps the pallet 20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4는 파렛트(200)가 지지 블록(110)에 안착된 상태를 보인 요부의 측면도이다.4 is a side view of a recessed portion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allet 200 is seated on the support block 110. Fig.

본 도면을 참조하면, 먼저 파렛트(200)의 측면에는 수용홈(215)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수용홈(215)은 대체로 브이(V)자와 같은 형태로서, 하향 경사면을 가질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a receiving groove 215 may be formed on a side surface of the pallet 200. The receiving groove 215 is substantially in the form of a V (V), and may have a downward sloped surface.

이러한 파렛트(200)에 대응하여, 기준 클램퍼(119)와 가변 클램퍼(120)는 수용홈(215)에 맞물려서 파렛트(200)를 클램핑하게 된다. 이때, 기준 클램퍼(119)와 가변 클램퍼(120)는 수용홈(215)에 대응하여 가압 돌기(119, 120)를 가진다. In response to the pallet 200, the reference clamper 119 and the variable clamper 120 are engaged with the receiving recess 215 to clamp the pallet 200. At this time, the reference clamper 119 and the variable clamper 120 have pressing protrusions 119, 120 corresponding to the receiving recesses 215.

가압 돌기(119, 120)에는 경사면(119a,120a)이 형성된다. 이러한 경사면(119a,120a)은 수용홈(215)의 경사면에 맞물리도록, 상향 경사면일 수 있다.The pressing protrusions 119 and 120 are formed with inclined surfaces 119a and 120a. The inclined surfaces 119a and 120a may be an upward inclined surface so as to be engaged with the inclined surfaces of the receiving recesses 215. [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가압 돌기(119, 120)가 수용홈(215)을 통해 파렛트(200)에 가하는 힘은, 수평 방향의 힘뿐만 아니라 수직 방향의 힘까지 포함하게 된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the force applied to the pallet 200 by the press protrusions 119 and 120 through the receiving recess 215 includes a force in the vertical direction as well as a forc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그에 의해, 파렛트(200)가 수평 방향에서의 제 위치에 유지되는 것뿐만 아니라, 수직 방향에서도 지지 블록(110)에 강하게 밀착되어 유격 없이 지지될 수 있게 된다.As a result, not only the pallet 200 is held in the horizontal position, but also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pallet 200 can be strongly adhered to the support block 110 and supported without a gap.

다음으로, 앞서의 레벨링 유닛(125)에 대해 설명한다.Next, the leveling unit 125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도 5는 도 2의 레벨링 유닛(125)을 보인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레벨링 유닛(125)이 받침대(117)에 체결된 상태를 보이는 보인 단면도이다.FIG.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leveling unit 125 of FIG. 2, and FIG. 6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where the leveling unit 125 of FIG. 5 is fastened to the pedestal 117.

본 도면들을 참조하면, 레벨링 유닛(125)은, 상부 너트(126)와, 하부 너트(127), 그리고 압착 볼트(128)를 가질 수 있다. Referring to these figures, the leveling unit 125 may have an upper nut 126, a lower nut 127, and a crimp bolt 128.

상부 너트(126)는, 렌치홈(126a), 볼트홈(126b), 나사산(126c), 그리고 다각 돌기(126d)를 가질 수 있다. 렌치홈(126a)은 렌치를 수용하기 위한 구성이다. 볼트홈(126b)은 렌치홈(126a)과 연통되며, 다각 돌기(126d)까지 관통되는 구성이다. 나사산(126c)은 외면에 형성되어, 받침대(117)의 나사홈(117a)의 나사산과 체결되는 구성이다.The upper nut 126 may have a wrench groove 126a, a bolt groove 126b, a screw thread 126c, and a polygonal protrusion 126d. The wrench groove 126a is a structure for accommodating the wrench. The bolt groove 126b is communicated with the wrench groove 126a and penetrates to the polygonal protrusion 126d. The thread 126c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and is fastened to the thread of the thread groove 117a of the pedestal 117.

하부 너트(127)는 상부 너트(126)의 다각 돌기(126d)를 수용하는 돌기홈(127a)을 가질 수 있다. 이때, 돌기홈(127a)의 내면은 다각 돌기(126d)에 대응하는 다각형 단면을 가지게 된다. 하부 너트(127)는 그의 외면에 드러나는 나사산(127b)을 가진다. 나사산(127b)는 나사홈(117a)의 나사산에 나사 결합된다.The lower nut 127 may have a projection groove 127a for receiving the polygonal projection 126d of the upper nut 126. [ At this time, the inner surface of the projection groove 127a has a polygonal section corresponding to the polygonal projection 126d. The lower nut 127 has threads 127b exposed on its outer surface. The thread 127b is screwed into the thread of the thread groove 117a.

압착 볼트(128)는 볼트홈(126b)에 삽입되는 구성이다.And the compression bolt 128 is inserted into the bolt groove 126b.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부 너트(126)는 그의 다각 돌기(126d)가 하부 너트(127)의 돌기홈(127a)에 끼워진 채로, 하부 너트(127)와 연결된다. 그 상태에서, 받침대(117)의 나사홈(117a)에 끼워진다.The upper nut 126 is connected to the lower nut 127 while the polygonal projection 126d of the upper nut 126 is fitted in the projection groove 127a of the lower nut 127. [ In this state, it is fitted into the screw groove 117a of the pedestal 117.

이때, 렌치홈(126a)에 렌치를 넣어서 돌리면, 상부 너트(126)와 하부 너트(127)가 함께 회전하면서 나사홈(117a)에 삽입된다. 그 과정에서, 상부 너트(126)와 하부 너트(127) 각각의 나사산(126c 및 127b)이 서로에 대해 이격된 것이 압착 볼트(128)의 압박에 의해 제거되어, 상부 너트(126)와 하부 너트(127)가 완전 밀착하게 된다.At this time, when a wrench is inserted into the wrench groove 126a and turned, the upper nut 126 and the lower nut 127 are rotated together to be inserted into the screw groove 117a. In the process, the threads 126c and 127b of the upper nut 126 and the lower nut 127, respectively, which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re removed by the compression of the compression bolt 128, (127) are brought into complete contact with each other.

다시 말하면, 압착 볼트(128)의 조임 정도에 따라 상부 너트(126)와 하부 너트(127)이 밀착의 정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그에 의해, 받침대(117)의 네 코너에 위치한 레벨링 유닛(125)을 조작하여, 받침대(117)의 수평을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In other words, the degree of tightness of the upper and lower nuts 126 and 127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tightness of the compression bolt 128. Thereby, the leveling unit 125 located at the four corners of the pedestal 117 can be operated to adjust the level of the pedestal 117.

다음으로, 이상의 파렛트 이송 장치(100)에 의해 이송되는 파렛트(200)의 구성에 대해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Next, the structure of the pallet 200 transported by the pallet transporting apparatus 100 or mor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7은 도 1의 파렛트(200)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pallet 200 of FIG.

본 도면을 참조하면, 파렛트(200)는 경통(LH)을 지지하는 구성이다. 파렛트(200)는 하부 플레이트(210)와, 상부 플레이트(230)를 가질 수 있다. Referring to this figure, the pallet 200 supports the lens barrel LH. The pallet 200 may have a lower plate 210 and an upper plate 230.

하부 플레이트(210)는, 몸체(211)와, 장착부(213)와, 수용홈(215)과, 정렬홀(217)을 가질 수 있다.The lower plate 210 may have a body 211, a mounting portion 213, a receiving groove 215, and an alignment hole 217.

몸체(211)는 대체로 사각형인 판재의 형태를 가진다. 장착부(213)는 몸체(211)의 중앙에서 돌출한 부분이다. 수용홈(215)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서, 몸체(211)의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정렬홀(217)은 받침대(117)의 정렬핀(123, 도 2)에 대응하여, 정렬핀(123)을 수용하도록 개구된 것이다.The body 211 has the form of a generally rectangular plate. The mounting portion 213 protrudes from the center of the body 211. The receiving groove 215 may be form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body 211 as described above. The alignment hole 217 corresponds to the alignment pin 123 (Fig. 2) of the pedestal 117, and is opened to receive the alignment pin 123.

상부 플레이트(230)는, 몸체(231)와, 안착홈(233)을 가질 수 있다.The upper plate 230 may have a body 231 and a seating groove 233.

몸체(231)는 대체로 사각형인 판재의 형태를 가진다. 몸체(231)는 하부 플레이트(210)의 장착부(213)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안착홈(233)은 경통(LH)이 안착되는 부분이다.The body 231 has the form of a generally rectangular plate. The body 231 may be detachably mounted on the mounting portion 213 of the lower plate 210. The seating groove 233 is a portion where the lens barrel LH is seated.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파렛트(200)는 앞서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받침대(117)에 견고하게 클램핑될 수 있다.With this arrangement, the pallet 200 can be firmly clamped to the pedestal 117,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또한, 경통(LH)의 사이즈 변화에 따라 다른 사이즈의 상부 플레이트(230)를 교환할 수 있다. 그에 의해, 파렛트(200)를 전체로 교체함에 따른 낭비를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upper plate 230 of different sizes can be exchanged according to the size change of the barrel LH. Thereby, it is possible to prevent waste due to replacement of the pallet 200 as a whole.

상기와 같은 파렛트 이송 장치 및 그가 이송하는 파렛트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작동 방식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 실시예들은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The pallet transporting apparatus and the pallet to which the pallet transporting apparatus and the pallet are transported are not limited to the construction and operation of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The embodiments may be configured so that all or some of the embodiments may be selectively combined so that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100: 파렛트 이송 장치 110: 지지 블록
130: 승강 유닛 150: 베이스
170: 반송 유닛 200: 파렛트
210: 하부 플레이트 230: 상부 플레이트
100: pallet transport device 110: support block
130: lift unit 150: base
170: transfer unit 200: pallet
210: lower plate 230: upper plate

Claims (12)

파렛트를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지지 블록;
상기 지지 볼록의 승강 방향에 교차하는 교차 방향으로 이동되는 구동체와, 상기 구동체의 이동에 의해 상기 지지 블록의 적어도 일부와 함께 상기 승강 방향을 따라 밀어 올려지는 피동체를 구비하는 승강 유닛; 및
상기 피동체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구동체를 상기 교차 방향을 따라 안내하는 베이스를 포함하는, 파렛트 이송 장치.
A support block configured to support the pallet;
An elevating unit including a driving body which is moved in an intersecting direction crossing the lifting direction of the supporting convexes and a driven body which is pushed up along the lifting direction together with at least a part of the supporting block by the movement of the driving body; And
And a base disposed below the driven member and guiding the driven member along the crossing direc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체는,
일 단부에서 타 단부를 향해 갈수록 높이가 높아지는 경사면을 가지는 구동 캠을 포함하고,
상기 피동체는,
상기 승강 유닛의 적어도 일부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 캠의 경사면에 대응하는 피동 롤러를 포함하는, 파렛트 이송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riving body comprises:
And a driving cam having an inclined surface whose height increases from one end toward the other end,
The moving body
And a driven roller provided at least in a part of the lift unit and corresponding to an inclined surface of the drive ca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블록은,
상기 베이스에 고정되는 고정 모듈; 및
상기 고정 모듈에 대해 상기 승강 방향으로 상대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이동 모듈을 포함하는, 파렛트 이송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upport block includes:
A fixing module fixed to the base; And
And a moving module that is connected to the fixed module in a relative movement in the lifting direction.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 유닛은,
상기 고정 모듈에 연결되고, 상기 승강 방향을 따라 배치된 승강 레일; 및
상기 이동 모듈에 연결되고, 상기 승강 레일과 슬라이딩 가능하게 맞물린 슬라이더를 더 포함하는, 파렛트 이송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The elevating unit includes:
A lifting rail connected to the fixing module and disposed along the lifting direction; And
Further comprising a slider connected to the moving module and slidably engaged with the lift rail.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 유닛은,
양단부가 각각 상기 고정 모듈과 상기 이동 모듈에 연결되어, 상기 이동 모듈을 상기 고정 모듈을 향해 탄성적으로 편향시키는 편향 부재를 더 포함하는, 파렛트 이송 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The elevating unit includes:
Further comprising a biasing member having opposite ends each connected to the fixed module and the moving module to elastically deflect the moving module toward the fixed modul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 유닛은,
상기 이동 모듈이 상기 고정 모듈에 대해 상승하는 높이를 제한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토퍼는,
상기 이동 모듈에 설치되며, 상기 승강 방향을 따라 연장된 제한홀을 구비하는 브라켓; 및
상기 고정 모듈에서 설치되고, 상기 제한홀 내에 위치하는 제한핀을 포함하는, 파렛트 이송 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The elevating unit includes:
Further comprising a stopper that limits the height at which the mobile module is raised relative to the stationary module,
The stopper
A bracket installed in the moving module and having a restriction hole extending along the lifting direction; And
And a restriction pin installed in the fixing module and located in the restriction hol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모듈은,
상기 파렛트가 놓여지고, 중앙에 개구홀이 형성된 받침대;
상기 받침대의 일 측에 설치되는 기준 클램퍼와, 상기 기준 클램퍼에 대응하여 상기 받침대의 타 측에 설치되는 가변 클램퍼를 구비하는 클램핑 유닛; 및
상기 개구홀에 배치되어, 상기 가변 클램퍼를 상기 기준 클램퍼를 향해 이동시키는 이동 실린더를 포함하는, 파렛트 이송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The mobile module comprises:
A pedestal on which the pallet is placed and formed with an opening hole at the center thereof;
A clamping unit having a reference clamper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pedestal and a variable clamper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pedestal corresponding to the reference clamper; And
And a moving cylinder disposed in the opening hole for moving the variable clamper toward the reference clamper.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파렛트에 하향 경사면을 가지는 수용홈이 형성된 경우,
상기 기준 클램퍼 및 상기 가변 클램퍼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하향 경사면에 대응하는 상향 경사면을 가지는 가압 돌기를 포함하는, 파렛트 이송 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When the receiving groove having the downward inclined surface is formed on the pallet,
Wherein at least one of the reference clamper and the variable clamper includes a pressing protrusion having an upward sloping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downward sloping surfac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모듈은,
상기 받침대의 나사홈에 삽입되어, 상기 받침대가 상기 이동 모듈의 나머지 부분에 대해 레벨 조절되게 하는 레벨링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레벨링 유닛은,
다각 돌기와, 상기 다각 돌기 내부를 관통하는 볼트홈을 구비하는 상부 너트;
상기 다각 돌기를 수용하는 하부 너트; 및
상기 볼트홈을 통해 상기 상부 너트를 상기 하부 너트에 대해 압착시키는 압착 볼트를 포함하는, 파렛트 이송 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The mobile module comprises:
Further comprising a leveling unit inserted into the threaded groove of the pedestal so that the pedestal is leveled with respect to the remainder of the moving module,
The leveling unit,
An upper nut having a polygonal projection and a bolt groove penetrating the polygonal projection;
A lower nut receiving the polygonal projection; And
And a compression bolt for compressing the upper nut to the lower nut through the bolt groov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상기 지지 블록을 지지하는 베이스 플레이트;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설치되고, 상기 구동체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맞물리는 안내 레일을 포함하는, 파렛트 이송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base includes:
A base plate for supporting the support block; And
And a guide rail provided on the base plate and slidably engaged with the driving bod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교차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를 지지하여 상기 교차 방향으로 반송하도록 구성되는 반송 유닛을 더 포함하는, 파렛트 이송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transport unit extending along the cross direction and configured to support the base and to transport the cross in the cross direction.
제1항의 파렛트 이송 장치의 지지 블록에 의해 지지되는 파렛트로서,
상기 지지 블록의 정렬핀에 대응하는 정렬홀을 구비하는 하부 플레이트; 및
상기 하부 플레이트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렌즈 하우징이 안착되는 안착홈을 구비하는 상부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파렛트 이송 장치가 이송하는 파렛트.
A pallet supported by a support block of the pallet transporting apparatus of claim 1,
A lower plate having alignment holes corresponding to the alignment pins of the support block; And
And an upper plate detachably coupled to the lower plate and having a seating groove on which the lens housing is seated.
KR1020140129129A 2014-09-26 2014-09-26 Apparatus for carrying pallet KR10162472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9129A KR101624721B1 (en) 2014-09-26 2014-09-26 Apparatus for carrying palle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9129A KR101624721B1 (en) 2014-09-26 2014-09-26 Apparatus for carrying palle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6895A true KR20160036895A (en) 2016-04-05
KR101624721B1 KR101624721B1 (en) 2016-06-07

Family

ID=558001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9129A KR101624721B1 (en) 2014-09-26 2014-09-26 Apparatus for carrying palle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4721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87604A (en) * 2008-02-13 2009-08-18 (주) 파워옵틱스 Jig for assebling lens barrel
JP2009203027A (en) * 2008-02-28 2009-09-10 Seiko Instruments Inc Pallet conveyance device
KR101222298B1 (en) * 2010-09-08 2013-01-15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Calibrating method of odometry error of 2-wheel mobile robot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87604A (en) * 2008-02-13 2009-08-18 (주) 파워옵틱스 Jig for assebling lens barrel
JP2009203027A (en) * 2008-02-28 2009-09-10 Seiko Instruments Inc Pallet conveyance device
KR101222298B1 (en) * 2010-09-08 2013-01-15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Calibrating method of odometry error of 2-wheel mobile robo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24721B1 (en) 2016-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23565B2 (en) Measuring device
TW201402264A (en) Palletizing mechanism
CN106870526B (en) Jig mechanism and pressure holding and micro-crystal plate pressurizer
KR20070005465A (en) Inline buffer apparatus
CN103730400A (en) Centring device for wafers of various sizes
US9145003B2 (en) Marking device
KR20090085743A (en) Stacker of handler
CN110538893A (en) Shaping device
WO2020034199A1 (en) Pcb fixture
TW201321126A (en) Transporting mechanism and punching machine using the same
KR101624721B1 (en) Apparatus for carrying pallet
CN109110476A (en) Conveying device
CN210790640U (en) Workpiece clamping and fixing mechanism
CN106584064A (en) Tray locating mechanism for intelligent assembly platform
CN111633455A (en) Press from both sides material equipment
CN111558948A (en) Square aluminum shell power battery manipulator
KR100748072B1 (en) Apparatus for Electric Inspecting of Display Panel
CN217376363U (en) Automatic detection device of integrated circuit chip translation type sorting machine
KR101850870B1 (en) Separation device of material
KR101739041B1 (en) Horizontal position and arrangement device for piston pallet of piston pin assembly system
CN212355537U (en) Work fixture
CN212470694U (en) Material clamping jig
KR20190014262A (en) Apparatus for Bending Flexible Substrate
TWI710047B (en) Electronic component bearing correction unit and job classification equipment for its application
US20200101707A1 (en) Lamination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