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36745A - 다시점 영상 표시 시스템 및 그 구동 방법 - Google Patents

다시점 영상 표시 시스템 및 그 구동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36745A
KR20160036745A KR1020140128504A KR20140128504A KR20160036745A KR 20160036745 A KR20160036745 A KR 20160036745A KR 1020140128504 A KR1020140128504 A KR 1020140128504A KR 20140128504 A KR20140128504 A KR 20140128504A KR 20160036745 A KR20160036745 A KR 201600367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es
shutter
panel
phase
polariz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285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강민
김선기
허세헌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285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36745A/ko
Priority to US14/666,421 priority patent/US9696559B2/en
Publication of KR201600367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674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G02B30/2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 G02B30/22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stereoscopic type
    • G02B30/24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stereoscopic type involving temporal multiplexing, e.g. using sequentially activated left and right shutt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G02B30/2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 G02B30/22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stereoscopic type
    • G02B30/25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stereoscopic type using polarisation techniqu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8Polarise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3Birefringent elements, e.g. for optical compens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02Image reproducers for viewing without the aid of special glasses, i.e. using autostereoscopic displays
    • H04N13/31Image reproducers for viewing without the aid of special glasses, i.e. using autostereoscopic displays using parallax barriers
    • H04N13/315Image reproducers for viewing without the aid of special glasses, i.e. using autostereoscopic displays using parallax barriers the parallax barriers being time-varia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32Displays for viewing with the aid of special glasses or head-mounted displays [HMD]
    • H04N13/337Displays for viewing with the aid of special glasses or head-mounted displays [HMD] using polarisation multiplex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32Displays for viewing with the aid of special glasses or head-mounted displays [HMD]
    • H04N13/341Displays for viewing with the aid of special glasses or head-mounted displays [HMD] using temporal multiplex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32Displays for viewing with the aid of special glasses or head-mounted displays [HMD]
    • H04N13/344Displays for viewing with the aid of special glasses or head-mounted displays [HMD] with head-mounted left-right display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3Birefringent elements, e.g. for optical compensation
    • G02F1/133638Waveplates, i.e. plates with a retardation value of lambda/n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7Arrangement of liquid crystal layers or cells in which the final condition of one light beam is achieved by the addition of the effects of two or more layers or cel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13/00Details of stereoscopic systems
    • H04N2213/008Aspects relating to glasses for viewing stereoscopic imag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시점 영상 표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안경을 사용하는 다시점 영상 표시 시스템 및 그 구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다시점 영상 표시 시스템은 서로 다른 시점에 대한 영상을 시분할로 표시하며 제1 편광자를 포함하는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 앞에 위치하고, 액티브 셔터 패널과 위상 지연판을 포함하는 셔터 패널, 그리고 상기 영상을 관찰하기 위한 안경을 포함하고, 상기 안경은 편광 안경 또는 셔터 안경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Description

다시점 영상 표시 시스템 및 그 구동 방법{MULTIVIEW IMAGE DISPLAY SYSTEM AND DRIV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다시점 영상 표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안경을 사용하는 다시점 영상 표시 시스템 및 그 구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표시 장치 기술의 발전에 따라서 3차원(3 dimensional, 3D) 영상 표시 장치가 관심을 끌고 있으며, 다양한 3차원 영상 표시 방법을 포함한 다시점 영상 표시 방법이 연구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3D 영상 표시 기술에서는 근거리에서 입체감을 인식하는 가장 큰 요인인 양안 시차(binocular parallax)를 이용하여 물체의 입체감을 표현한다. 즉, 왼쪽 눈(좌안)과 오른쪽 눈(우안)에는 각각 서로 다른 2차원 영상이 비춰지고, 좌안에 비춰지는 영상(이하, "좌안 영상(left eye image) "이라 함)과 우안에 비춰지는 영상(이하, "우안 영상(right eye image) "이라 함)이 뇌로 전달되면,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은 뇌에서 융합되어 깊이감(depth perception)을 갖는 3D 영상으로 인식된다.
3D 영상 표시 장치와 같은 다시점 영상 표시 장치는 서로 다른 시점에서의 시차를 이용하는 것으로, 안경식(stereoscopic) 방법과, 안경을 이용하지 않고 표시 장치에 렌티큘러 렌즈(lenticular lens), 패럴랙스 배리어(parallax barrier) 등을 배치하는 비안경식(autostereoscopic) 방법이 있다.
안경식 다시점 영상 표시 시스템은 셔터 안경(shutter glasses), 편광 안경(polarized glasses) 등의 안경을 이용하는 것으로 안경이 시점 별 영상을 구별하므로 영상의 해상도 저하가 없다는 장점이 있다.
편광 안경 방식은 표시 패널에서 표시된 영상을 시점에 따라 다르게 편광시킨 후 편광 안경의 편광자를 통해 좌안 및 우안에서 다른 영상을 인지하게 함으로써, 입체 영상이 표현되는 방법이다. 셔터 안경 방식은 표시 패널에서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이 분리되어 연속적으로 출력되고, 셔터 안경의 좌안 셔터(left eye shutter)와 우안 셔터(right eye shutter)가 선택적으로 개폐됨으로써 3D 영상 또는 서로 다른 영상이 인식되는 방법이다. 편광 안경과 셔터 안경은 각각의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편광 안경과 셔터 안경을 필요에 따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는 다시점 영상 표시 시스템 및 그 구동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다시점 영상 표시 시스템은 서로 다른 시점에 대한 영상을 시분할로 표시하며 제1 편광자를 포함하는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 앞에 위치하고, 액티브 셔터 패널과 위상 지연판을 포함하는 셔터 패널, 그리고 상기 영상을 관찰하기 위한 안경을 포함하고, 상기 안경은 편광 안경 또는 셔터 안경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상기 편광 안경이 선택될 때 상기 셔터 패널이 상기 표시 패널에 동기하여 0도의 위상차 및 반파장의 위상차를 교대로 구현하도록 전압을 인가하는 셔터 패널 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편광 안경은 제1안경 및 제2안경을 포함하고, 상기 제1안경 및 상기 제2안경은 각각 위상 지연자 및 편광자를 포함하고, 상기 위상 지연자는 사분파장판 또는 사분파장 필름을 포함하고, 상기 제1안경이 포함하는 상기 편광자의 투과축과 상기 제2안경이 포함하는 상기 편광자의 투과축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상기 제1안경이 포함하는 상기 위상 지연자의 광축과 상기 제2안경이 포함하는 상기 위상 지연자의 광축은 대략 90도를 이룰 수 있다.
상기 위상 지연판은 사분파장판을 포함하고, 상기 위상 지연판의 광축은 상기 제1안경이 포함하는 상기 위상 지연자의 광축 또는 상기 제2안경이 포함하는 상기 위상 지연자 중 어느 하나와 실질적으로 평행하고 나머지 하나와는 대략 90도를 이룰 수 있다.
상기 셔터 안경이 선택될 때 상기 셔터 패널이 실질적으로 0도의 위상차를 일정하게 구현하도록 전압을 인가하는 셔터 패널 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셔터 안경은 제1안경 및 제2안경을 포함하고, 상기 제1안경 및 상기 제2안경은 각각 위상 지연자, 셔터 및 편광자를 포함하고, 상기 위상 지연자는 사분파장판 또는 사분파장 필름을 포함하고, 상기 제1안경이 포함하는 상기 편광자의 투과축과 상기 제2안경이 포함하는 상기 편광자의 투과축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상기 제1안경이 포함하는 상기 위상 지연자의 광축과 상기 제2안경이 포함하는 상기 위상 지연자의 광축은 서로 대략 평행할 수 있다.
상기 셔터는 상기 표시 패널에 동기하여 온/오프되어 입사광에 서로 다른 위상차를 교대로 부여할 수 있다.
상기 위상 지연판은 사분파장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을 구동하는 표시 패널 구동부, 그리고 상기 표시 패널 구동부와 상기 셔터 패널 구동부를 제어하는 신호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신호 제어부는 상기 편광 안경 또는 상기 셔터 안경 중 어느 것을 선택할지에 대한 선택 신호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상기 셔터 안경이 선택될 때 상기 셔터 패널 구동부는 극성 반전되는 전압을 상기 셔터 패널에 인가할 수 있다.
상기 셔터 안경이 선택된 경우, 상기 셔터 패널 구동부가 인가하는 상기 전압이 극성 반전되는 시점에 오버 전압이 일정 시간 동안 상기 전압에 더해질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은 백라이트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셔터 패널 구동부가 인가하는 상기 전압의 극성 반전 시점은 상기 백라이트부의 오프 구간과 중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다시점 영상 표시 시스템의 구동 방법 은 표시 패널이 서로 다른 시점의 영상을 교대로 표시하는 단계, 상기 표시 패널 앞에 위치하는 셔터 패널에 극성 반전되는 전압을 인가하여 일정한 위상차를 생성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셔터 패널을 통과한 영상이 셔터 안경을 통과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셔터 안경은 제1안경 및 제2안경을 포함하고, 상기 제1안경 및 상기 제2안경은 각각 위상 지연자, 셔터 및 편광자를 포함하고, 상기 위상 지연자는 사분파장판 또는 사분파장 필름을 포함하고, 상기 제1안경이 포함하는 상기 편광자의 투과축과 상기 제2안경이 포함하는 상기 편광자의 투과축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상기 제1안경이 포함하는 상기 위상 지연자의 광축과 상기 제2안경이 포함하는 상기 위상 지연자의 광축은 대략 평행할 수 있다.
상기 셔터가 상기 표시 패널에 동기하여 온/오프되어 입사광에 서로 다른 위상차를 교대로 부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셔터 패널에 인가되는 상기 전압이 극성 반전되는 시점에 오버 전압이 일정 시간 동안 상기 전압에 더해질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은 백라이트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백라이트부는 온 상태와 오프 상태를 교대로 반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셔터 패널에 인가되는 상기 전압의 극성 반전 시점은 상기 백라이트부의 오프 구간과 중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편광 안경과 셔터 안경을 선택하여 다시점 영상을 관찰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다른 안경 방식으로 다시점 영상 표시 시스템을 사용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각각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다시점 영상 표시 시스템의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다시점 영상 표시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편광 안경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다시점 영상 표시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셔터 안경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다시점 영상 표시 시스템의 표시 패널에서 나온 빛의 편광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다시점 영상 표시 시스템의 셔터 패널에 입사된 빛의 편광 상태의 변화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 및 도 8은 각각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다시점 영상 표시 시스템의 편광 안경에 입사된 빛의 편광 상태의 변화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다시점 영상 표시 시스템의 셔터 패널에 입사된 빛의 편광 상태의 변화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0 및 도 11은 각각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다시점 영상 표시 시스템의 셔터 안경에 입사된 빛의 편광 상태의 변화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다시점 영상 표시 시스템의 블록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다시점 영상 표시 시스템에서 편광 안경 또는 셔터 안경을 사용할 때 구동 신호의 파형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다시점 영상 표시 시스템에서 셔터 안경을 사용할 때 셔터 패널에 인가되는 구동 전압 및 셔터 패널의 위상차를 나타낸 파형도이다.
그러면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여러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 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다고 할 때에는 중간에 다른 부분이 없는 것을 뜻한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다시점 영상 표시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각각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다시점 영상 표시 시스템의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다시점 영상 표시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편광 안경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다시점 영상 표시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셔터 안경의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다시점 영상 표시 시스템은 표시 패널(300)과 셔터 패널(400)을 포함한다.
표시 패널(300)은 영상을 표시한다. 표시 패널(300)이 표시하는 영상은 2D 영상일 수도 있고, 3D 영상을 표시할 수도 있고, 서로 다른 시점에 표시될 서로 다른 영상을 시간 분할로 표시할 수도 있다. 특히 3D 영상을 표시할 때 표시 패널(300)은 관찰자의 좌안에 입사될 좌안 영상과 우안에 입사될 우안 영상을 시간 분할로 표시할 수 있다.
표시 패널(300)은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복수의 전기 소자, 예를 들어 복수의 신호선과 이에 연결되어 있는 복수의 화소(PX)를 포함하는 액티브 기판(100), 그리고 액티브 기판(100)에 부착되어 있는 제1 편광자(22)를 포함한다. 제1 편광자(22)는 입사광을 투과축에 평행한 방향으로 선편광시킨다. 제1 편광자(22)는 액티브 기판(100)과 셔터 패널(400) 사이에 위치한다.
표시 패널(300)은 유기 발광 소자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패널 또는 액정층을 포함하는 액정 표시 패널 등 다양한 표시 패널일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300)이 액정 표시 패널인 경우 표시 패널(300)은 액티브 기판(100)의 양쪽 면에 각각 위치하는 제1 편광자(22) 및 제2 편광자(12)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액티브 기판(100)과 셔터 패널(400) 사이에 위치하는 편광자를 제1 편광자(22)라 한다. 두 편광자(12, 22)의 투과축은 직교할 수 있다.
표시 패널(300)은 액티브 기판(100)에 빛을 공급하는 백라이트부(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액정 표시 패널인 경우 표시 패널(300)의 액티브 기판(100)은 밀봉된 액정층(도시하지 않음)을 포함한다. 액정층은 유전율 이방성을 가질 수 있으며, 액정층에 입사된 빛의 편광 변화 정도를 제어하여 표시 패널(300)의 투과율을 제어할 수 있다.
셔터 패널(400)은 표시 패널(300)이 영상을 표시하는 쪽에 표시 패널(300)과 인접하여 위치한다.
셔터 패널(400)은 액티브 셔터 패널(410)과 위상 지연판(420)을 포함한다.
액티브 셔터 패널(410)은 표시 패널(300)과 인접하여 위치한다.
액티브 셔터 패널(410)은 인가되는 전압에 따라 통과하는 빛에 0도 또는 반파장(λ/2)의 위상차를 부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액티브 셔터 패널(410)은 안경 모드 선택에 따라 0도 및 반파장의 위상차를 교대로 부여하도록 스위칭 구동될 수도 있고, 일정 시간 동안 0도의 위상차를 일정하게 부여할 수도 있다. 액티브 셔터 패널(410)이 0도 및 반파장의 위상차를 교대로 부여하도록 스위칭 구동될 때 스위칭 타이밍은 표시 패널(300)이 표시하는 서로 다른 시점의 영상의 표시 타이밍과 동기되어 있을 수 있다.
액티브 셔터 패널(410)은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액정층(도시하지 않음) 및 이를 제어하는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액티브 셔터 패널(410)이 포함하는 액정층은 다양한 모드의 액정 분자를 포함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OCB 모드(optically compensated bend mode)의 액정 분자를 포함할 수 있다.
액티브 셔터 패널(410)이 오프될 때 반파장의 위상차를 생성하고 온될 때 0도의 위상차를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액티브 셔터 패널(410)이 지속적으로 0도의 위상차를 생성해야 하는 경우 액티브 셔터 패널(410)은 구동적으로 온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위상 지연판(phase retardation plate)(420)은 액티브 셔터 패널(410)의 바깥쪽 면, 즉 표시 패널(300)과 반대쪽 면에 위치한다.
위상 지연판(420)은 투과광에 1/4 파장의 위상 지연을 부여하는 사분파장판(quarter-wave plate)일 수 있다. 표시 패널(300)에서 표시된 영상이 액티브 셔터 패널(410)을 통과한 후 위상 지연판(420)을 통과하면 원편광되어 출사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다시점 영상 표시 시스템은 관찰자가 사용하는 안경을 더 포함한다. 안경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은 편광 안경(60) 또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은 셔터 안경(70)을 포함한다. 관찰자는 3D 영상을 관찰하기 위해 편광 안경(60)을 선택할지 셔터 안경(70)을 선택할지에 대한 안경 모드를 선택할 수 있고, 선택한 안경 모드에 따라 도 3에 도시한 편광 안경(60) 또는 도 4에 도시한 셔터 안경(70)을 선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다시점 영상 표시 시스템에 따르면 관찰자는 편광 안경(60)과 셔터 안경(70) 중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각 안경의 장점을 적절히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편광 안경(60)은 좌안경(60a)과 우안경(60b)을 포함한다.
좌안경(60a)은 위상 지연자(61a) 및 편광자(62a)를 포함하고, 우안경(60b)은 위상 지연자(61b) 및 편광자(62b)를 포함한다.
편광자(62a)가 관찰자의 좌안에 가까운 쪽에 위치하고, 위상 지연자(61a)는 편광자(62a)의 바깥쪽 면에 부착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편광자(62b)가 관찰자의 우안에 가까운 쪽에 위치하고, 위상 지연자(61b)는 편광자(62b)의 바깥쪽 면에 부착되어 있다.
위상 지연자(61a)와 위상 지연자(61b)는 각각 사분의일파장(λ/4)의 홀수 배의 위상 지연을 일으킬 수 있는 사분파장 필름 또는 사분파장판일 수 있다. 위상 지연자(61a)와 위상 지연자(61b)의 위상 지연값의 차이는 반파장(λ/2)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일한 투과축을 기준으로 위상 지연자(61a)의 위상 지연값이 사분의일파장(λ/4)일 때 위상 지연자(61b)의 위상 지연값은 사분의삼파장(3λ/4)이거나, 그 반대일 수 있다.
위상 지연자(61a)와 위상 지연자(61b)가 모두 사분파장 필름 또는 사분파장판일 때, 위상 지연자(61a)의 광축 또는 느린축(slow axis)은 어느 한 투과축을 기준으로 +45를 이루고 위상 지연자(61b)의 광축은 동일한 투과축을 기준으로 -45도(또는 +135도)를 이루거나, 그 반대일 수 있다. 즉 위상 지연자(61a)의 광축과 위상 지연자(61b)의 광축은 대략 90도를 이룰 수 있다.
편광자(62a)와 편광자(62b)의 투과축은 서로 동일하며, 그 투과축은 표시 패널(300)이 포함하는 제1 편광자(22)의 투과축에 평행하거나 수직일 수 있다.
편광 안경(60)은 셔터 기능은 없고, 편광 안경(60)에 입사되는 광의 편광 상태에 따라 좌안과 우안이 서로 다른 영상을 관찰할 수 있도록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셔터 안경(70)은 좌안경(70a)과 우안경(70b)을 포함한다.
좌안경(70a)은 위상 지연자(71a), 좌안 셔터(72a) 및 편광자(73a)를 포함하고, 우안경(70b)은 위상 지연자(71b), 우안 셔터(72b) 및 편광자(73b)를 포함하다.
편광자(73a)가 관찰자의 좌안에 가장 가까운 쪽에 위치하고, 위상 지연자(71a)는 좌안으로부터 가장 먼 쪽에 위치하고, 좌안 셔터(72a)는 위상 지연자(71a)와 편광자(73a) 사이에 위치한다.
마찬가지로 편광자(73b)가 관찰자의 우안에 가장 가까운 쪽에 위치하고, 위상 지연자(71b)는 우안으로부터 가장 먼 쪽에 위치하고, 우안 셔터(72b)는 위상 지연자(71b)와 편광자(73b) 사이에 위치한다
위상 지연자(71a)와 위상 지연자(71b)는 각각 사분의일파장(λ/4)의 홀수 배의 위상 지연을 일으킬 수 있는 사분파장 필름 또는 사분파장판일 수 있다. 위상 지연자(71a)와 위상 지연자(71b)의 위상 지연값의 차이는 0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일한 투과축을 기준으로 위상 지연자(71a)의 위상 지연값과 위상 지연자(71b)의 위상 지연값은 동일하게 사분의일파장(λ/4)이거나 사분의삼파장(3λ/4)일 수 있다.
이를 위해 위상 지연자(71a)의 광축과 위상 지연자(71b)의 광축은 모두 선편광 투과축을 기준으로 +45를 이루거나 -45도(또는 +135도)를 이룰 수 있다. 위상 지연자(71a)의 광축 및 위상 지연자(71b)의 광축은 셔터 패널(400)의 위상 지연판(420)의 광축과 대략 90도를 이룰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평행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위상 지연자(71a)의 광축 및 위상 지연자(71b)의 광축이 셔터 패널(400)의 위상 지연판(420)의 광축과 대략 90도를 이루는 예를 주로 설명한다.
좌안 셔터(72a)와 우안 셔터(72b)는 액티브 셔터로서 인가되는 전압에 따라 스위칭 온/오프될 수 있다. 좌안 셔터(72a) 또는 우안 셔터(72b)는 온될 때 입사광의 편광 방향을 바꿀 수 있고, 오프될 때에는 입사광의 편광 상태를 변화시키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좌안 셔터(72a) 또는 우안 셔터(72b)는 온될 때 반파장(λ/2)의 위상차를 부여하여 입사광의 편광 상태를 90도 변환시킬 수 있다.
셔터 안경(70)을 사용할 경우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다시점 영상 표시 시스템은 서로 다른 시점의 서로 다른 관찰자가 서로 다른 영상을 관찰하는 멀티뷰 표시 모드(multi view display mode)도 가능한데, 이 경우 좌안 셔터(72a)와 우안 셔터(72b)는 동시에 온/오프될 수 있다. 이와 달리 다시점 영상 표시 시스템이 3D 영상을 표시하는 경우 좌안 셔터(72a)와 우안 셔터(72b)는 교대로 온/오프될 수 있다.
좌안 셔터(72a)와 우안 셔터(72b)는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액정층(도시하지 않음) 및 이를 제어하는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편광자(73a) 및 편광자(73b)는 동일한 투과축을 가지며, 그 투과축은 제1 편광자(22)의 투과축과 평행하거나 수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다시점 영상 표시 시스템이 셔터 안경(70)을 사용할 경우 다시점 영상 표시 시스템은 셔터 안경(70)을 구동하기 위한 셔터 구동부(도시하지 않음), 배터리(battery), 신호 송수신기, 멀티뷰용 헤드셋 등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즉, 셔터 안경(70)을 사용할 경우 좀 더 다양한 표시 모드, 예를 들어 멀티뷰 표시 모드, 3D 영상 표시 모드 등으로 다시점 영상 표시 시스템을 활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러면 앞에서 설명한 도 1 내지 도 4와 함께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다시점 영상 표시 시스템이 편광 안경(60)을 이용할 경우 영상이 표시되는 원리에 대해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다시점 영상 표시 시스템의 표시 패널에서 나온 빛의 편광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다시점 영상 표시 시스템의 셔터 패널에 입사된 빛의 편광 상태의 변화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 및 도 8은 각각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다시점 영상 표시 시스템의 편광 안경에 입사된 빛의 편광 상태의 변화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후 설명에서, 서로 다른 시점에 표시되는 영상을 제1영상 및 제2영상으로 구분하며, 3D 영상 표시 모드의 경우 제1영상은 좌안 영상, 제2영상은 우안 영상, 또는 그 반대로 이해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표시 패널(300)은 제1영상 및 제2영상을 시분할로 표시할 수 있으며, 이해의 편의를 위해 제1영상과 제2영상이 교대로 표시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먼저 도 5를 참조하면, 표시 패널(300)이 제1영상 또는 제2영상을 표시하면 표시 패널(300)의 제1 편광자(22)에 의해 제1영상 또는 제2영상이 제1 편광자(22)의 투과축(TA1)에 평행한 방향으로 선편광된다. 본 설명에서는 제1 편광자(22)의 투과축(TA1)이 수평 방향(horizontal direction)인 0도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다음 도 6을 참조하면, 표시 패널(300)이 제1영상을 표시하는 구간에 동기하여 셔터 패널(400)의 액티브 셔터 패널(410)은 0도의 위상차를 생성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표시 패널(300)이 제2영상을 표시하는 구간에 동기하여 셔터 패널(400)의 액티브 셔터 패널(410)은 반파장(λ/2)의 위상차를 생성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 그러나 제1영상과 제2영상에 대해 이와 반대의 위상차가 부여되도록 액티브 셔터 패널(410)이 구동될 수도 있다.
제1영상의 표시 구간에서 액티브 셔터 패널(410)을 통과하는 빛의 위상 변화가 없으므로 0도의 편광 상태는 유지되고, 빛이 사분파장판인 위상 지연판(420)을 통과하면 원편광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위상 지연판(420)의 광축(SA1) 또는 느린축이 수평 방향을 기준으로 대략 135도(또는 -45도) 기울어진 예를 들어 설명한다. 따라서 위상 지연판(420)을 통과한 제1영상은 우원편광된다.
이와 반대로 표시 패널(300)이 제2영상을 표시하는 구간에 동기하여 셔터 패널(400)의 액티브 셔터 패널(410)은 반파장(λ/2)의 위상차를 생성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 이 경우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액티브 셔터 패널(410)의 광축(AA)은 수평 방향에 대해 대략 +45도를 이룰 수 있다.
제2영상의 표시 구간에서 액티브 셔터 패널(410)을 통과하는 빛의 위상 변화가 반파장(λ/2)이므로 액티브 셔터 패널(410)을 통과한 빛은 90도 방향으로 편광 방향이 변화되고, 빛이 사분파장판인 위상 지연판(420)을 통과하면 원편광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위상 지연판(420)의 광축(SA1) 또는 느린축이 수평 방향을 기준으로 대략 135도(또는 -45도) 기울어진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므로 위상 지연판(420)을 통과한 제2영상은 좌원편광된다.
다음 도 7을 참조하면, 셔터 패널(400)을 통과한 우원편광된 제1영상은 편광 안경(60)의 좌안경(60a)에 입사될 경우 사분파장 필름 또는 사분파장판인 위상 지연자(61a)를 거쳐 선편광된다. 위상 지연자(61a)의 광축(SA1a)이 수평 방향에 대해 +45도로 기울어져 있는 경우 빛은 0도 방향으로 선편광되고, 이는 편광자(62a)를 통과하여 관찰자의 좌안에 의해 시인될 수 있다. 이때 편광자(62a)의 투과축(TA2a)은 위상 지연자(61a)를 통과한 빛의 편광 방향과 동일하다.
이와 달리, 셔터 패널(400)을 통과한 우원편광된 제1영상이 편광 안경(60)의 우안경(60b)에 입사될 경우 사분파장 필름 또는 사분파장판인 위상 지연자(61b)를 거쳐 선편광되지만, 위상 지연자(61b)의 광축(SA1b)이 위상 지연자(61a)의 광축(SA1a)과 대략 90도를 이루므로 좌안경(60a)에 입사된 빛과 달리 90도 방향으로 선편광된다. 이 경우 위상 지연자(61b)의 광축(SA1b)은 수평 방향에 대해 +135도(또는 -45도)로 기울어져 있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선편광된 빛은 그 편광 방향이 편광자(62b)의 투과축(TA2b)과 수직이므로 편광자(62b)에서 차단되어 관찰자의 우안에 의해 시인되지 못한다.
따라서 관찰자는 제1영상이 좌안 영상인 경우 이를 좌안으로만 시인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셔터 패널(400)을 통과한 좌원편광된 제2영상은 편광 안경(60)의 좌안경(60a)에 입사될 경우 사분파장 필름 또는 사분파장판인 위상 지연자(61a)를 거쳐 선편광된다. 위상 지연자(61a)의 광축(SA1a)이 수평 방향에 대해 +45도로 기울어져 있는 경우 빛은 90도 방향으로 선편광된다. 이와 같이 선편광된 빛은 그 편광 방향이 편광자(62a)의 투과축(TA2a)과 수직이므로 편광자(62a)에서 차단되어 관찰자의 좌안에 의해 시인되지 못한다.
이와 달리, 셔터 패널(400)을 통과한 좌원편광된 제2영상이 편광 안경(60)의 우안경(60b)에 입사될 경우 사분파장 필름 또는 사분파장판인 위상 지연자(61b)를 거쳐 선편광되지만, 위상 지연자(61b)의 광축(SA1b)이 위상 지연자(61a)의 광축(SA1a)과 대략 90도를 이루므로 좌안경(60a)에 입사된 빛과 달리 0도 방향으로 선편광된다. 이와 같이 선편광된 빛은 편광자(62b)를 통과하여 관찰자의 우안에 의해 시인될 수 있다. 이때 편광자(62b)의 투과축(TA2b)은 위상 지연자(61b)를 통과한 빛의 편광 방향과 동일하다.
따라서 관찰자는 제2영상이 우안 영상인 경우 이를 우안으로만 시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관찰자는 우안으로는 우안 영상을 시인하고 좌안으로는 좌안 영상을 시인하여 영상의 입체감을 느낄 수 있다.
이제 앞에서 설명한 도 1 내지 도 4와 함께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다시점 영상 표시 시스템이 셔터 안경(70)을 이용할 경우 영상이 표시되는 원리에 대해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다시점 영상 표시 시스템의 셔터 패널에 입사된 빛의 편광 상태의 변화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0 및 도 11은 각각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다시점 영상 표시 시스템의 셔터 안경에 입사된 빛의 편광 상태의 변화를 나타낸 도면이다.
앞에서와 마찬가지로, 서로 다른 시점에 표시되는 영상을 제1영상 및 제2영상으로 구분하며, 3D 영상 표시 모드의 경우 제1영상은 좌안 영상, 제2영상은 우안 영상, 또는 그 반대로 이해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표시 패널(300)은 제1영상 및 제2영상을 시분할로 표시할 수 있으며, 이해의 편의를 위해 제1영상과 제2영상이 교대로 표시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도 9를 참조하면, 표시 패널(300)이 제1영상 또는 제2영상을 표시하면 표시 패널(300)의 제1 편광자(22)에 의해 제1영상 또는 제2영상이 제1 편광자(22)의 투과축(TA1)으로 선편광된다. 본 설명에서도 제1 편광자(22)의 투과축(TA1)이 수평 방향인 0도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셔터 안경(70)을 사용하는 경우 셔터 패널(400)의 액티브 셔터 패널(410)은 0도의 위상차를 일정하게 부여하도록 구동된다. 따라서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액티브 셔터 패널(410)을 통과한 제1영상 또는 제2영상의 편광 상태는 동일하게 유지된다.
액티브 셔터 패널(410)을 통과한 빛이 사분파장판인 위상 지연판(420)을 통과하면 원편광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위상 지연판(420)의 광축(SA1) 또는 느린축이 수평 방향을 기준으로 대략 135도(또는 -45도) 기울어진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므로 위상 지연판(420)을 통과한 제1영상 또는 제2영상은 우원편광된다.
도 10을 참조하면, 셔터 패널(400)을 통과한 우원편광된 제1영상이 셔터 안경(70)의 좌안경(70a)에 입사된다. 좌안경(70a)에 입사된 빛은 사분파장 필름 또는 사분파장판인 위상 지연자(71a)를 거쳐 선편광된다. 위상 지연자(71a)의 광축(SA3a)이 수평 방향에 대해 +45도로 기울어져 있는 경우 빛은 0도 방향으로 선편광되고 좌안 셔터(72a)로 입사한다.
표시 패널(300)이 제1영상을 표시하는 구간에 동기하여 좌안 셔터(72a)가 온될 경우 좌안 셔터(72a)을 통과하는 빛은 위상 지연을 일으키고, 그 위상 지연값이 반파장(λ/2)인 경우 좌안 셔터(72a)를 통과한 제1영상은 편광 방향을 바꿔 90도 방향으로 선편광된다. 이와 같이 선편광된 제1영상은 편광자(73a)를 통과하여 관찰자의 좌안에 의해 시인될 수 있다. 이때 편광자(73a)의 투과축(TA3a)은 좌안 셔터(72a)를 통과한 빛의 편광 방향과 동일하다.
이와 달리, 셔터 패널(400)을 통과한 우원편광된 제1영상이 셔터 안경(70)의 우안경(70b)에 입사될 경우 사분파장 필름 또는 사분파장판인 위상 지연자(71b)를 거쳐 선편광된다. 위상 지연자(71b)의 광축(SA3b)이 위상 지연자(71a)의 광축(SA3a)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좌안경(70a)에 입사된 빛과 동일하게 0도 방향으로 선편광되고 우안 셔터(72b)로 입사한다. 이 경우 위상 지연자(71b)의 광축(SA3b)도 수평 방향에 대해 +45도로 기울어져 있을 수 있다.
표시 패널(300)이 제1영상을 표시하는 구간에 동기하여 우안 셔터(72b)가 오프될 경우 우안 셔터(72b)을 통과하는 빛은 위상 지연을 일으키지 않으므로 우안 셔터(72b)를 통과한 제1영상의 편광 방향은 유지된다. 이와 같이 선편광된 제1영상은 편광자(73b)에 의해 차단되어 관찰자의 우안에 의해 시인되지 못한다. 이때 편광자(73b)의 투과축(TA3b)은 우안 셔터(72b)를 통과한 빛의 편광 방향에 수직이다.
따라서 표시 패널(300)이 제1영상을 표시하는 구간에 동기하여 셔터 안경(70)의 좌안경(70a)만 온되고, 관찰자는 제1영상이 좌안 영상인 경우 이를 좌안으로만 시인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제2영상이 표시되는 구간에서 셔터 패널(400)을 통과한 우원편광된 제2영상이 셔터 안경(70)의 좌안경(70a)에 입사된다. 좌안경(70a)에 입사된 빛은 사분파장 필름 또는 사분파장판인 위상 지연자(71a)를 거쳐 선편광된다. 위상 지연자(71a)의 광축(SA3a)이 수평 방향에 대해 +45도로 기울어져 있으므로 빛은 0도 방향으로 선편광되고 좌안 셔터(72a)로 입사한다.
표시 패널(300)이 제2영상을 표시하는 구간에 동기하여 좌안 셔터(72a)는 오프되므로 좌안 셔터(72a)을 통과하는 빛은 위상 지연을 일으키지 않고, 좌안 셔터(72a)를 통과한 제2영상의 편광 방향은 유지된다. 이와 같이 선편광된 제2영상은 편광자(73a)에 의해 차단되어 관찰자의 좌안에 의해 시인되지 못한다. 이때 편광자(73a)의 투과축(TA3a)은 좌안 셔터(72a)를 통과한 빛의 편광 방향에 수직이다.
이와 달리, 셔터 패널(400)을 통과한 우원편광된 제2영상이 셔터 안경(70)의 우안경(70b)에 입사될 경우 사분파장 필름 또는 사분파장판인 위상 지연자(71b)를 거쳐 선편광된다. 위상 지연자(71b)의 광축(SA3b)이 위상 지연자(71a)의 광축(SA3a)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좌안경(70a)에 입사된 빛과 동일하게 0도 방향으로 선편광되고 우안 셔터(72b)로 입사한다. 이 경우 위상 지연자(71b)의 광축(SA3b)도 수평 방향에 대해 +45도로 기울어져 있을 수 있다.
표시 패널(300)이 제2영상을 표시하는 구간에 동기하여 우안 셔터(72b)가 온될 경우 우안 셔터(72b)을 통과하는 빛은 위상 지연을 일으키고, 그 위상 지연값이 반파장(λ/2)인 경우 우안 셔터(72b)를 통과한 제2영상은 편광 방향을 바꿔 90도 방향으로 선편광된다. 이와 같이 선편광된 제2영상은 편광자(73b)를 통과하여 관찰자의 좌안에 의해 시인될 수 있다. 이때 편광자(73b)의 투과축(TA3b)은 우안 셔터(72b)를 통과한 빛의 편광 방향과 동일하다.
따라서 표시 패널(300)이 제2영상을 표시하는 구간에 동기하여 셔터 안경(70)의 우안경(70b)만 온되고, 관찰자는 제2영상이 우안 영상인 경우 이를 우안으로만 시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관찰자는 우안으로는 우안 영상을 시인하고 좌안으로는 좌안 영상을 시인하여 영상의 입체감을 느낄 수 있다.
특히 셔터 안경(70)을 사용할 경우 제1영상과 제2영상이 서로 다른 시점에서 관찰되는 서로 다른 영상인 경우 서로 다른 위치의 관찰자가 서로 다른 영상을 관찰할 수 있다. 이 경우 서로 다른 관찰자가 사용하는 셔터 안경(70)은 교대로 온/오프될 수 있고, 한 관찰자의 셔터 안경(70)의 좌안경(70a)과 우안경(70b)은 동시에 온/오프될 수 있다.
그러면 앞에서 설명한 도면들과 함께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다시점 영상 표시 시스템에 대해 설명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다시점 영상 표시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다시점 영상 표시 시스템은 표시 패널(300), 표시 패널 구동부(350), 셔터 패널(400), 셔터 패널 구동부(450), 신호 제어부(600), 통합 제어부(700), 그리고 송수신부(800)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 패널(300)과 셔터 패널(400)은 앞에서 설명한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설명은 생략한다.
송수신부(800)는 관찰자가 셔터 안경(70)을 사용하는 경우 다시점 영상 표시 시스템에 포함될 수 있으며, 관찰자의 입력 신호를 무선으로 통합 제어부(700)에 전달할 수 있다. 송수신부(800)는 셔터 안경(70)에 부착될 수도 있다.
통합 제어부(700)는 외부로부터 영상 정보를 입력 받아 입력 영상 신호(IDAT) 및 입력 제어 신호(ICON) 등을 생성하고, 이들을 신호 제어부(600)에 전달한다. 또한 통합 제어부(700)는 외부로부터의 안경 모드 선택 정보에 따른 모드 선택 신호(SEL)를 생성하여 신호 제어부(600) 및 셔터 패널 구동부(450)에 전달할 수 있다. 모드 선택 정보는 송수신부(800)로부터 입력될 수도 있다. 모드 선택 신호(SEL)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표시 모드, 예를 들어 2D 영상 표시 모드, 3D 영상 표시 모드, 멀티뷰 표시 모드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통합 제어부(700)는 동기 신호(Sync)를 생성하여 송수신부(800) 또는 셔터 안경(70), 그리고 신호 제어부(600) 등에 전달할 수 있다. 동기 신호(Sync)에 따라 셔터 안경(70)과 신호 제어부(600)가 서로 동기되어 동작할 수 있다. 도 12에 도시한 실시예에 따르면 신호 제어부(600)가 동기 신호(Sync)에 따라 표시 패널 구동부(350)와 셔터 패널 구동부(450)를 함께 제어하여 표시 패널 구동부(350)와 셔터 패널 구동부(450)가 서로 동기되어 동작할 수 있으나, 이와 달리 통합 제어부(700)에서 신호 제어부(600)와 셔터 패널 구동부(450)에 동기 신호(Sync)를 전달할 수도 있다.
신호 제어부(600)는 표시 패널 구동부(350)와 셔터 패널 구동부(450) 등을 제어할 수 있다. 신호 제어부(600)는 통합 제어부(700)로부터 입력 받은 모드 선택 신호(SEL)에 따라 동작하고, 입력 영상 신호(IDAT)와 입력 제어 신호(ICON)를 기초로 출력 영상 신호(DAT) 및 구동 제어 신호(CONT)를 생성하여 이들을 표시 패널 구동부(350)로 내보낼 수 있다.
표시 패널 구동부(350)는 신호 제어부(600)로부터 구동 제어 신호(CONT) 및 출력 영상 신호(DAT)에 따라 표시 패널(300)에 구동 신호를 인가하여 표시 패널(300)이 표시 모드에 따른 영상을 표시할 수 있도록 한다. 표시 패널 구동부(350)는 표시 패널(300)의 신호선에 구동 신호를 인가하는 구동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셔터 패널 구동부(450)는 신호 제어부(600)의 제어에 의해 표시 패널 구동부(350)에 동기하여 셔터 패널(400)에 셔터 제어 신호(CONT_S)를 전달한다. 셔터 패널(400)은 셔터 제어 신호(CONT_S)에 따라 구동되어 서로 다른 위상차를 교대로 생성하도록 스위칭되거나 일정한 위상차를 생성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
그러면 도 12와 함께 도 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다시점 영상 표시 시스템의 구체적인 구동 방법, 특히 셔터 패널(400)의 구동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다시점 영상 표시 시스템에서 편광 안경 또는 셔터 안경을 사용할 때 구동 신호의 파형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표시 패널(300)이 서로 다른 영상,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시점의 영상, 더 구체적으로 좌안 영상(L1, L2, …)과 우안 영상(R1, R2, …)을 교대로 표시할 수 있다. 좌안 영상(L1, L2, …)과 우안 영상(R1, R2, …)은 함께 3D 데이터(3D_Data)를 구성한다. 한 프레임의 좌안 영상(L1, L2, …) 또는 우안 영상(R1, R2, …)이 표시되는 주기(T1)는 대략 1/120초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르면, 셔터 패널(400)은 표시 패널(300)의 표시 동작에 동기하여 전압을 인가받아 동작할 수 있다.
도 13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편광 안경(60)을 선택할 경우, 표시 패널(300)이 서로 다른 시점의 영상, 즉 좌안 영상(L1, L2, …) 또는 우안 영상(R1, R2, …)을 새로 표시할 때마다 셔터 패널(400)은 온 상태와 오프 상태를 교대로 반복하여 0도의 위상차와 반파장의 위상차를 교대로 부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좌안 영상(L1, L2, …)을 표시하는 프레임에서 셔터 패널(400)은 온되어 발생하는 위상차는 대략 0도이고 우안 영상(R1, R2, …)을 표시하는 프레임에서는 셔터 패널(400)이 오프되어 발생하는 위상차는 대략 반파장일 수 있고, 이와 반대일 수도 있다.
셔터 패널(400)이 온(on)될 때 셔터 패널(400)에 인가되는 전압(Vs)은 공통 전압(Vcom)을 기준으로 정극성 온 전압(ΔVon)이거나 부극성 온 전압(-ΔVon)일 수 있다. 셔터 패널(400)이 오프(off)될 때 셔터 패널(400)에 인가되는 전압(Vs)은 공통 전압(Vcom)을 기준으로 정극성 오프 전압(ΔVoff)이거나 부극성 오프 전압(-ΔVoff)일 수 있다. 오프 전압(ΔVoff)의 크기는 0V 이상 셔터 패널(400)이 온되는 문턱 전압(Vth) 미만인 전압이다. 전압(Vs)이 공통 전압(Vcom)보다 클 경우 정극성이라 하고 공통 전압(Vcom)보다 작을 경우 부극성이라 한다.
이와 같이 셔터 패널(400)에 인가되는 전압(Vs)의 극성을 주기적으로 바꿈으로써 셔터 패널(400)의 열화를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셔터 패널(400)이 액정층을 포함하는 경우 극성 반전되는 전압(Vs)을 인가함으로써 액정층의 열화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3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셔터 안경(70)을 선택할 경우, 셔터 패널(400)은 항상 온 상태를 유지하여 0도의 위상차를 일정하게 부여할 수 있다. 이 경우 셔터 패널(400)에 인가되는 전압(Vs)은 공통 전압(Vcom)을 기준으로 온 전압(ΔVon)이거나 마이너스 온 전압(-ΔVon)일 수 있다. 특히 셔터 패널(400)의 열화를 방지하기 위해 전압(Vs)은 일정 주기로 극성 반전되며, 일정 주기는 한 프레임에 한정되지 않고 복수의 프레임일 수도 있다. 전압(Vs)의 극성 반전 주파수는 대략 60Hz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셔터 패널(400)의 소비 전력을 고려하여 30Hz, 15Hz 등으로 더욱 낮출 수도 있고, 필요에 따라서는 더 높일 수도 있다.
셔터 안경(70)은 도 13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셔터 패널(400)의 동작에 동기하여 동작한다. 좌안 영상(L1, L2, …)이 표시될 때 좌안경의 좌안 셔터(72a)가 온되어 열리고(open) 관찰자의 좌안은 좌안 영상(L1, L2, …)을 관찰할 수 있다. 이때 우안 셔터(72b)는 오프되어 닫힌다(close). 우안 영상(R1, R2, …)이 표시될 때 우안경의 우안 셔터(72b)가 온되어 열리고(open) 관찰자의 우안은 우안 영상(R1, R2, …)을 관찰할 수 있다. 이때 좌안 셔터(72a)는 오프되어 닫힌다.
다음 도 12 및 도 13과 함께 도 1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다시점 영상 표시 시스템이 셔터 안경을 사용하는 경우 셔터 패널(400)의 구동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다시점 영상 표시 시스템에서 셔터 안경을 사용할 때 셔터 패널에 인가되는 구동 전압 및 셔터 패널의 위상차를 나타낸 파형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300)은 수광형 표시 장치로서 빛을 공급하기 위한 백라이트부(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하며, 백라이트부(BLU)는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정 주기로 오프/온 상태를 반복할 수 있다. 온/오프 주기는 표시 패널(300)이 서로 다른 시점의 영상을 표시하는 주기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대략 한 프레임일 수 있다. 표시 패널(300)이 표시하는 영상이 바뀔 때 백라이트부(BLU)를 오프(off)시킴으로써 이웃한 프레임의 영상 간의 크로스토크(crosstalk)를 줄일 수 있다.
셔터 안경(70) 사용시, 도 13에 도시한 파형과 같이 극성 반전되는 전압(Vs)을 셔터 패널(400)에 인가하여도 셔터 패널(400)의 RC 지연에 의해 실제 도 14의 그래프(Ga)와 같이 셔터 패널(400)에 전압이 지연되어 인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셔터 패널(400)의 액정 분자의 응답 속도도 느려져 그래프(Ra)와 같이 셔터 패널(400)의 위상차가 0도를 구현하지 못하는 정도와 구간이 커진다. 특히 셔터 패널(400)의 사이즈가 커질수록 이러한 RC 지연에 의한 셔터 패널(400)의 반응 속도도 느려져 일정한 위상차 0도를 구현하기 힘들 수 있다.
그러나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셔터 패널(400)에 인가되는 전압(Vs)을 단순히 정극성 온 전압(ΔVon)과 부극성 온 전압(-ΔVon) 사이에서 극성 반전하지 않고, 극성 반전되는 시점에 정극성 온 전압(ΔVon)에 정극성 오버 전압(ΔVod)을 더해 인가하거나 부극성의 온 전압(-ΔVon)에 부극성 오버 전압(-ΔVod)을 더하여 인가함으로써 셔터 패널(400)을 극성 반전시 오버드라이빙(overdriving)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극성 반전 시점에 셔터 패널(400)을 오버드라이빙하면 도 14의 그래프(Gb)와 같이 셔터 패널(400)에 실제 전달되는 전압이 그래프(Ga)보다 빠르게 변화되어 셔터 패널(400)의 응답 속도를 높일 수 있다. 이에 따라 그래프(Rb)와 같이 셔터 패널(400)의 위상차가 0도를 구현하지 못하는 정도 및 구간이 상당히 작아져 실질적으로 일정한 위상차 0도를 유지할 수 있어 다시점 영상 표시 시스템을 통해 관찰되는 영상의 품질을 높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정극성 오버 전압(ΔVod) 또는 부극성 오버 전압(-ΔVod)의 크기와 오버드라이빙 구간의 시간(Δtod)은 셔터 패널(400)의 설계 조건에 따라 적절히 조정될 수 있으며, 특히 RC 지연이 최소가 되게 하는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오버드라이빙 구간의 시간(Δtod)은 한 시점의 영상을 표시하는 구간의 1/2보다 작을 수 있다.
전압(Vs)의 극성 반전 시점에 셔터 패널(400)의 위상차가 0도가 아닌 구간이 있을 경우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압(Vs)의 극성 반전 및/또는 오버드라이빙 구간이 백라이트부(BLU)의 오프 구간에 위치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22: 제1 편광자
60: 편광 안경
60a, 70a: 좌안경
60b, 70b: 우안경
61a, 61b, 71a, 71b: 위상 지연자
62a, 62b: 편광자
70: 셔터 안경
72a, 72b: 셔터
73a, 73b: 편광자
100: 액티브 기판
300: 표시 패널
350: 표시 패널 구동부
400: 셔터 패널
410: 액티브 셔터 패널
420: 위상 지연판
450: 셔터 패널 구동부
600: 신호 제어부
700: 통합 제어부
800: 송수신부

Claims (20)

  1. 서로 다른 시점에 대한 영상을 시분할로 표시하며 제1 편광자를 포함하는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 앞에 위치하고, 액티브 셔터 패널과 위상 지연판을 포함하는 셔터 패널, 그리고
    상기 영상을 관찰하기 위한 안경
    을 포함하고,
    상기 안경은 편광 안경 또는 셔터 안경 중에서 선택될 수 있는
    다시점 영상 표시 시스템.
  2. 제1항에서,
    상기 편광 안경이 선택될 때 상기 셔터 패널이 상기 표시 패널에 동기하여 0도의 위상차 및 반파장의 위상차를 교대로 구현하도록 전압을 인가하는 셔터 패널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다시점 영상 표시 시스템.
  3. 제2항에서,
    상기 편광 안경은 제1안경 및 제2안경을 포함하고,
    상기 제1안경 및 상기 제2안경은 각각 위상 지연자 및 편광자를 포함하고,
    상기 위상 지연자는 사분파장판 또는 사분파장 필름을 포함하고,
    상기 제1안경이 포함하는 상기 편광자의 투과축과 상기 제2안경이 포함하는 상기 편광자의 투과축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다시점 영상 표시 시스템.
  4. 제3항에서,
    상기 제1안경이 포함하는 상기 위상 지연자의 광축과 상기 제2안경이 포함하는 상기 위상 지연자의 광축은 대략 90도를 이루는 다시점 영상 표시 시스템.
  5. 제4항에서,
    상기 위상 지연판은 사분파장판을 포함하고,
    상기 위상 지연판의 광축은 상기 제1안경이 포함하는 상기 위상 지연자의 광축 또는 상기 제2안경이 포함하는 상기 위상 지연자 중 어느 하나와 실질적으로 평행하고 나머지 하나와는 대략 90도를 이루는
    다시점 영상 표시 시스템.
  6. 제1항에서,
    상기 셔터 안경이 선택될 때 상기 셔터 패널이 실질적으로 0도의 위상차를 일정하게 구현하도록 전압을 인가하는 셔터 패널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다시점 영상 표시 시스템.
  7. 제6항에서,
    상기 셔터 안경은 제1안경 및 제2안경을 포함하고,
    상기 제1안경 및 상기 제2안경은 각각 위상 지연자, 셔터 및 편광자를 포함하고,
    상기 위상 지연자는 사분파장판 또는 사분파장 필름을 포함하고,
    상기 제1안경이 포함하는 상기 편광자의 투과축과 상기 제2안경이 포함하는 상기 편광자의 투과축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다시점 영상 표시 시스템.
  8. 제7항에서,
    상기 제1안경이 포함하는 상기 위상 지연자의 광축과 상기 제2안경이 포함하는 상기 위상 지연자의 광축은 대략 평행한 다시점 영상 표시 시스템.
  9. 제8항에서,
    상기 셔터는 상기 표시 패널에 동기하여 온/오프되어 입사광에 서로 다른 위상차를 교대로 부여할 수 있는 다시점 영상 표시 시스템.
  10. 제9항에서,
    상기 위상 지연판은 사분파장판을 포함하는 다시점 영상 표시 시스템.
  11. 제1항에서,
    상기 표시 패널을 구동하는 표시 패널 구동부, 그리고
    상기 표시 패널 구동부와 상기 셔터 패널 구동부를 제어하는 신호 제어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신호 제어부는 상기 편광 안경 또는 상기 셔터 안경 중 어느 것을 선택할지에 대한 선택 신호에 따라 동작하는
    다시점 영상 표시 시스템.
  12. 제11항에서,
    상기 셔터 안경이 선택될 때 상기 셔터 패널 구동부는 극성 반전되는 전압을 상기 셔터 패널에 인가하는 다시점 영상 표시 시스템.
  13. 제12항에서,
    상기 셔터 안경이 선택된 경우, 상기 셔터 패널 구동부가 인가하는 상기 전압이 극성 반전되는 시점에 오버 전압이 일정 시간 동안 상기 전압에 더해지는 다시점 영상 표시 시스템.
  14. 제13항에서,
    상기 표시 패널은 백라이트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셔터 패널 구동부가 인가하는 상기 전압의 극성 반전 시점은 상기 백라이트부의 오프 구간과 중첩하는
    다시점 영상 표시 시스템.
  15. 표시 패널이 서로 다른 시점의 영상을 교대로 표시하는 단계,
    상기 표시 패널 앞에 위치하는 셔터 패널에 극성 반전되는 전압을 인가하여 일정한 위상차를 생성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셔터 패널을 통과한 영상이 셔터 안경을 통과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셔터 안경은 제1안경 및 제2안경을 포함하고,
    상기 제1안경 및 상기 제2안경은 각각 위상 지연자, 셔터 및 편광자를 포함하고,
    상기 위상 지연자는 사분파장판 또는 사분파장 필름을 포함하고,
    상기 제1안경이 포함하는 상기 편광자의 투과축과 상기 제2안경이 포함하는 상기 편광자의 투과축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다시점 영상 표시 시스템의 구동 방법.
  16. 제15항에서,
    상기 제1안경이 포함하는 상기 위상 지연자의 광축과 상기 제2안경이 포함하는 상기 위상 지연자의 광축은 서로 대략 평행한 다시점 영상 표시 시스템의 구동 방법.
  17. 제16항에서,
    상기 셔터가 상기 표시 패널에 동기하여 온/오프되어 입사광에 서로 다른 위상차를 교대로 부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다시점 영상 표시 시스템의 구동 방법.
  18. 제15항에서,
    상기 셔터 패널에 인가되는 상기 전압이 극성 반전되는 시점에 오버 전압이 일정 시간 동안 상기 전압에 더해지는 다시점 영상 표시 시스템의 구동 방법.
  19. 제18항에서,
    상기 표시 패널은 백라이트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백라이트부는 온 상태와 오프 상태를 교대로 반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다시점 영상 표시 시스템의 구동 방법.
  20. 제19항에서,
    상기 셔터 패널에 인가되는 상기 전압의 극성 반전 시점은 상기 백라이트부의 오프 구간과 중첩하는 다시점 영상 표시 시스템의 구동 방법.
KR1020140128504A 2014-09-25 2014-09-25 다시점 영상 표시 시스템 및 그 구동 방법 KR20160036745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8504A KR20160036745A (ko) 2014-09-25 2014-09-25 다시점 영상 표시 시스템 및 그 구동 방법
US14/666,421 US9696559B2 (en) 2014-09-25 2015-03-24 Multiview image display system and driv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8504A KR20160036745A (ko) 2014-09-25 2014-09-25 다시점 영상 표시 시스템 및 그 구동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6745A true KR20160036745A (ko) 2016-04-05

Family

ID=555842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8504A KR20160036745A (ko) 2014-09-25 2014-09-25 다시점 영상 표시 시스템 및 그 구동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696559B2 (ko)
KR (1) KR2016003674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23817B2 (en) 2018-11-12 2022-01-11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Dual stereoscopic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WO2023106667A1 (ko) * 2021-12-10 2023-06-15 한국기계연구원 체적형 디스플레이 및 이를 포함하는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742965B2 (en) * 2001-01-23 2020-08-11 Visual Effect Innovations, Llc Faster state transitioning for continuous adjustable 3Deeps filter spectacles using multi-layered variable tint materials
WO2010147311A2 (en) * 2009-06-16 2010-12-23 Lg Electronics Inc. 3d display device and selective image display method thereof
EP3504610A1 (en) * 2016-09-22 2019-07-03 Apple Inc. Postponing the state change of an information affecting the graphical user interface until during the conditon of inattentiveness
JP2018128641A (ja) * 2017-02-10 2018-08-16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及び調光装置
WO2020131277A1 (en) 2018-12-20 2020-06-25 Snap Inc. Flexible eyewear device with dual cameras for generating stereoscopic images
US10965931B1 (en) * 2019-12-06 2021-03-30 Snap Inc. Sensor misalignment compensation
CN112394565B (zh) * 2020-11-05 2023-07-25 惠州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显示装置及显示系统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43413B2 (ko) * 1973-10-31 1978-11-20
US5821989A (en) * 1990-06-11 1998-10-13 Vrex, Inc. Stereoscopic 3-D viewing system and glasses having electrooptical shutters controlled by control signals produced using horizontal pulse detection within the vertical synchronization pulse period of computer generated video signals
US6975345B1 (en) 1998-03-27 2005-12-13 Stereographics Corporation Polarizing modulator for an electronic stereoscopic display
US20070046861A1 (en) * 2005-08-29 2007-03-01 Fuji Photo Film Co., Ltd.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KR20100111082A (ko) 2009-04-06 2010-10-14 삼성전자주식회사 3차원 영상 표시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표시 장치
KR101594052B1 (ko) 2009-05-13 2016-02-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입체 영상 표시 장치
KR101668798B1 (ko) 2009-09-09 2016-10-2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방법
KR101660971B1 (ko) 2009-11-06 2016-09-2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입체 영상표시장치와 그 구동방법
KR20110107531A (ko) 2010-03-25 2011-10-04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입체화상시스템
US8922724B2 (en) * 2010-07-08 2014-12-30 Sharp Kabushiki Kaisha Active shutter glasses and three-dimensional image recognition unit
US8184215B2 (en) 2010-08-17 2012-05-22 Lc-Tec Displays Ab High-speed liquid crystal polarization modulator
JP5677902B2 (ja) * 2010-10-22 2015-02-25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立体画像認識装置
KR20130063367A (ko) * 2011-12-06 2013-06-1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편광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하는 입체 영상 표시 장치
KR20140003145A (ko) 2012-06-29 2014-01-0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입체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23817B2 (en) 2018-11-12 2022-01-11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Dual stereoscopic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WO2023106667A1 (ko) * 2021-12-10 2023-06-15 한국기계연구원 체적형 디스플레이 및 이를 포함하는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60091725A1 (en) 2016-03-31
US9696559B2 (en) 2017-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36745A (ko) 다시점 영상 표시 시스템 및 그 구동 방법
JP5944616B2 (ja) 光学ユニット及びこれを含む表示装置
KR20040103724A (ko) 2차원 영상과 3차원 영상 겸용 디스플레이 장치
GB2470622A (en) Stereoscopic display using electrically controlled birefringence liquid crystals and polarisation viewing glasses
WO2014198104A1 (zh) 双层结构液晶透镜及三维显示装置
US20080169997A1 (en) Multi-dimensional image selectable display device
US912488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tereoscopic image display
KR101782006B1 (ko) 3디 영상 시청용 편광안경 및 이를 구비한 3디 영상 구현 시스템
US10274755B2 (en) Beam modulator and display apparatus using the same
KR20120132190A (ko) 영상 표시 장치 및 이의 입체 영상 표시 시스템
KR20170089472A (ko) 3차원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101682680B1 (ko) 셔터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입체 영상 표시 장치
KR101188595B1 (ko) 투사형 입체 영상 시스템 및 입체 영상의 투사 방법
KR20150004028A (ko) 입체 영상 표시장치
KR20080051365A (ko) 영상표시장치 및 이의 구동방법
KR100811818B1 (ko) 2차원/3차원 영상 표시용 렌티큘러 액정셔터 및 이를 갖는디스플레이 장치
KR101387784B1 (ko) 서브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입체영상 표시장치
KR101854688B1 (ko) 영상 표시 장치 및 이를 적용한 입체 영상 표시 시스템
TWI435299B (zh) 偏光面板系統及立體影像系統
KR101836183B1 (ko) 입체영상 시청용 안경 및 이를 이용한 입체영상의 시청방법
KR20110090205A (ko) 3차원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KR20140055532A (ko) 3차원 영상 표시장치의 구동방법
KR101799935B1 (ko) 3디 영상 구현 시스템
KR20120068432A (ko) 입체영상표시장치와 이의 제조방법
KR20110135598A (ko) 액티브 리타더 및 이를 이용한 입체 표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