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36576A - 산소 및 수소 방출이 있는, 음료수를 사용하는 발전기 - Google Patents

산소 및 수소 방출이 있는, 음료수를 사용하는 발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36576A
KR20160036576A KR1020167004035A KR20167004035A KR20160036576A KR 20160036576 A KR20160036576 A KR 20160036576A KR 1020167004035 A KR1020167004035 A KR 1020167004035A KR 20167004035 A KR20167004035 A KR 20167004035A KR 20160036576 A KR20160036576 A KR 201600365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nerator
electrodes
oxygen
beverage
agricul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040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울리우 이오네스쿠
Original Assignee
이울리우 이오네스쿠
토르다이, 알렉산드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울리우 이오네스쿠, 토르다이, 알렉산드루 filed Critical 이울리우 이오네스쿠
Publication of KR201600365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657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6/00Prim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6/04Cells with aqueous electrolyte
    • H01M6/045Cells with 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aqueous electrolyte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1/00Electrolytic production of inorganic compounds or non-metals
    • C25B1/01Products
    • C25B1/02Hydrogen or oxygen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1/00Electrolytic production of inorganic compounds or non-metals
    • C25B1/01Products
    • C25B1/02Hydrogen or oxygen
    • C25B1/04Hydrogen or oxygen by electrolysis of 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11/00Electrodes; Manufacture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25B11/04Electrodes; Manufacture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15/00Operating or servicing cell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5/00Electrogenerative processes, i.e. processes for producing compounds in which electricity is generated simultaneously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9/00Cells or assemblies of cells; Constructional parts of cells; Assemblies of constructional parts, e.g. electrode-diaphragm assemblies; Process-related cell features
    • C25B9/70Assemblies comprising two or more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6/00Structural combinations of different types of electrochemical generators
    • H01M16/003Structural combinations of different types of electrochemical generators of fuel cells with other electrochemical devices, e.g. capacitors, electrolys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3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elements or alloy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3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elements or alloys
    • H01M4/46Alloys based on magnesium or aluminium
    • H01M4/463Aluminium bas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6/00Prim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6/42Grouping of primary cells into batteries
    • H01M6/44Grouping of primary cells into batteries of tubular or cup-shaped cel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N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2N11/00Generators or motors not provided for elsewhere; Alleged perpetua mobilia obtained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H02N11/002Gener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10Batteries in stationary systems, e.g. emergency power source in pla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30Batteries in portable systems, e.g. mobile phone, lapto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300/00Electrolytes
    • H01M2300/0002Aqueous electrolyt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36Hydrogen production from non-carbon containing sources, e.g. by water electrolysis
    • Y02E60/366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20/00Technologies relating to chemical industry
    • Y02P20/10Process efficiency
    • Y02P20/133Renewable energy sources, e.g. sunligh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lectrolytic Production Of Non-Metals, Compounds, Apparatuses Therefor (AREA)
  • Water Treatment By Electricity Or Magnetism (AREA)
  • Hybrid Cells (AREA)
  • Primary Cells (AREA)
  • Battery Electrode And Active Subsutance (AREA)
  • Electrodes For Compound Or Non-Metal Manufa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학원소(化學元素)들의 다른 전기 음성도(電器陰性度) 현상에 근거하여 산소 및 수소를 방출하는, 음료수를 갖는 발전기로 구성되며, 이것은 전기적인 부하들을 전달하기 위해 음료수를 사용한다. 다른 물질들로 만들어진, 특별한 물리적 구조들을 갖는 전극들을 사용하고, 콘덴서, 대체적인 임펄스 발생기, 유용한 배전압기(doubler) 또는 전압 증배기(voltage multiplier)를 부가함으로써, 더욱 강력한 전력이 성취되었다는 점에서 신규성이 있다. 이러한 과정에서 물의 전기분해가 또한 부수적으로 발생하며, 기포가 상기 2개의 전극들에 발생한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알루미늄 전극인 경우에는, 산소가 양극으로 방출되고, 구리 전극인 경우에는 수소가 음극으로 방출된다. 더욱 큰 발전기에서, 이러한 기체들은 수집될 수도 있으며 열 에너지를 발생시키기 위해 산업, 농업, 의학 등에서 사용될 수도 있다. 그것은 산업, 농업, 의학, 가전제품의 임의의 분야에서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산소 및 수소 방출이 있는, 음료수를 사용하는 발전기{ELECTRIC POWER GENER ATOR USING POTABLE WATER, WITH OXYGEN AND HYDROGEN RELEASE}
본 발명은 산소 및 수소 방출이 있는, 음료수를 사용하는 발전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화학원소(化學元素)들의 다른 전기 음성도(電器陰性度) 현상에 근거하여 산소 및 수소를 방출하는, 음료수를 갖는 발전기로 구성되며, 이것은 전기적인 부하들을 전달하기 위해 음료수를 사용한다.
격실들 사이에서 공기 차단된 몇개의 격실들로 분할된 절연 컨테이너를 포함하며, 각각의 격실은 음료수로 채워지며 높은 전기 음성도(電器陰性度) 차(差)를 갖는 다른 금속들 또는 금속 합금들로 만들어진 적어도 1쌍의 동심 전극들을 내부에 갖고, 상기 전극들은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되며, 상기 컨테이너의 출구점에서 전해 콘덴서 및 임펄스 발생기 또는 발진기가 연결되고, 상기 컨테이너의 출구에서배전압기 또는 전압 증배기가 연결되는 음료수를 갖는 발전기.
도 1은 발전기 소자들이다.
도 2는 전극들이다.
도 3a-몇개의 층들상의 동심의 나선형 전극들.
도 3b-지그재그 판 또는 롤과 같은 형상의 철망으로 만들어진 몇개의 층들상의 전극들.
도 3c-몇개의 층들상의 지그재그 판 또는 동심의 철망 전극들.
도 4에서 지그재그 판 또는 철망과 같은 형태의 전극들이 사용될 수 있다.
도 5에서 발생된 기체는 콜렉터들을 사용함으로써 수집될 수 있다.
예시를 위해, 각각 그 내부에 1쌍의 나선형 전극들, 구리로 만들어진 1개 및 알루미늄으로 만들어진 1개, 을 갖는 6개의 발전기 소자들-플라스틱 파이프들 또는 절연기(도 1)이 사용되었다. 어떤 플라스틱 분극기들(plastic splitters) 또는 다른 절연기가 전극들의 상호 접촉을 방지하기 위해 전극들 사이에 있어야 한다. 상기 소자들은, 밧데리들과 같은, 도체들을 상호 연결함으로써 직렬로 연결된다. 상기 소자들의 케이싱(casing)은 절연물질로 만들어질 수 있거나 전극일 수도 있다.
알루미늄 전극과 구리 전극 사이의 약 0.5V의 전위차가 모든 소자에 생성된다. 만일 더욱 높은 전기 음성도(電器陰性度) 차(差)를 갖는 물질들이 사용될 것이면, 상기 전위는 더욱 높을 것이다. 6개의 소자들을 직렬로 연결함으로써, 3V 직류의 전위차가 아주 낮은 세기-마이크로 암페어(microamperes)로 측정된 로 생성된다.
다른 물질들로 만들어진, 특별한 물리적 구조들을 갖는 전극들을 사용하고, 콘덴서, 대체적인 임펄스 발생기, 유용한 배전압기(doubler) 또는 전압 증배기(vo ltage multiplier)를 부가함으로써, 더욱 강력한 전력이 성취되었다는 점에서 신규성이 있다.
상기 전극들은 철사(wire), 3 mm의 직경 또는 두께를 갖는 막대들 또는 판들로 만들어질 수도 있다. 다른 더 작은 또는 더 큰 크기들이 역시 그들의 범위에 의존하여 선택될 수도 있다. 효율적이기 위해서, 상기 전극들은 상기 전극의 물질로부터의 철망으로부터, 또는 지그재그 판으로부터 나선형으로 형성되어야 한다(도 2 a, b, c). 상기 전극 구조는 발전기의 전력을 몇배 만큼 향상시킨다.
음극 및 양극 사이의 거리는 음극 및 양극 사이의 분극기들 또는 다른 절연기를 위치시키는 1 내지 5mm 에서 선택될 수 있다.
나선형 철사, 지그재그의 철망 또는 파형(派形)판으로 만들어지는, 상기 전극들은 몇개의 층들상에서 동심일 수 있다(양극내의 음극 또는 그 반대):
도 3a-몇개의 층들상의 동심의 나선형 전극들.
도 3b-지그재그 판 또는 롤과 같은 형상의 철망으로 만들어진 몇개의 층들상의 전극들.
도 3c-몇개의 층들상의 지그재그 판 또는 동심의 철망 전극들.
소자들의 케이싱조차도 상기 전극들중 하나, 양극 또는 음극, 를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소자들은, 원하는 에너지에 의존하여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된, 원하는 만큼의 수일 수 있다.
유용해지기 위해, 이 에너지는 세기에서 그리고 전압의 개념으로 증폭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는 전자 어셈블리가 부가되어, 10cm 길이 및 2cm 직경의 파이프들로 형성된 6개의 소자들을 갖는 1개의 발전기가 손으로 만든 원형(原型)으로 6개의 LED들을 밝힐 수 있다.
물론, 공장 생산에서, 출력은 손으로 만든 원형(原型)과 비교하여 아주 양호할 수 있다.
전자회로는 발전기의 단자들에 연결된 전해 콘덴서, 대체 임펄스 발생기 및 배전압기(doubler) 또는 전압 증배기(voltage multiplier)로 구성된다.
상기 콘덴서의 역할은 임펄스들 사이의 전류의 세기를 향상시키는 것이다. 상기 대체 임펄스 발생기는 상기 발전기에서의 에너지 출력에 대한 자극적인 효과, 또한 그 세기를 향상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상기 배전압기(또는 전압 증배기)는 전압을 향상시키는 기능을 갖는다. 이러한 결합은 발전기의 전력을 수배만큼 증가시킨다.
이러한 과정에서 물의 전기분해가 또한 부수적으로 발생하며, 기포가 상기 2개의 전극들에 발생한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알루미늄 전극인 경우에는, 산소가 양극으로 방출되고, 구리 전극인 경우에는 수소가 음극으로 방출된다.
더욱 큰 발전기에 대해, 지그재그 판 또는 철망과 같은 형태의 전극들이 사용될 수 있다(도 4). 상기 발생된 기체는 콜렉터들을 사용함으로써 수집될 수 있고(도 5-측면도) 산업, 농업, 의학 등에서 에너지를 발생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물 소비는 낮다. 물의 변화는 필요 없고, 단지 첨가만을 필요로 한다. 첨가되는 물의 개산수량(槪算數量)은 월당 10%이며, 최대 용량에서 사용되어야 한다.
수년 내에, 양극(알루미늄 전극)은 악화될 수도 있으므로, 교체를 필요로 한다. 이것은 물 및 전극의 구성에 의존한다. 이것은 상기 발전기가 최대 용량으로 영구적으로 사용되는 경우에서만이다. 만일 그것이 영구적으로 사용되지 않거나 만일 그것이 최대 용량으로 사용되지 않는다면, 상기 양극의 전극들은 더 길게 지속될 수 있다. 상기 발전기의 사용범위들 사이의 휴지기간에서, 그것은 악화되지 않으며, 수십년 또는 심지어 수백년후에도 그 사용을 재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된 정상적인 섬광이 수십년 또는 심지어 수백년 동안 문제없이 지속될 수도 있다.
물은 마실 수 있기 때문에, 음극상의 전위는 대수롭지 않으며 공정의 수행을 방해하지 않는다.
상기 전극들은 음극과 양극 사이의 더욱 높은 전기 음성도(電器陰性度) 차(差)를 갖는 다른 물질들로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전극들은 또한 합금들, 처리된 금속들 또는 도금(鍍金)(metal plating), 반도체들로 만들어질 수 있으므로, 상기 전극들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고 동시에 발전기의 전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임의의 물질들 및/또는 "부동액"과 같은 물질들이 전극의 수명을 연장시키기 위해 물에 첨가되어, 발전기가 0℃ 이하에서도 기능할 수도 있다.
상기 발전기는 산업, 농업, 의학, 가전제품 등의 분야에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발전기는 더욱 짧은 시간의 주기 동안 더욱 높은 전력을 발생할 축전지들을 적재할 수 있다.
다른 에너지원들과는 대조적으로, 상기 발전기는 다음의 장점들을 갖는다:
1. 상기 발전기는 해, 낮 시간 또는 밤 시간에 의존하지 않는다.
2. 상기 발전기는 바람에 의존하지 않는다.
3. 상기 발전기는 대기를 오염시키지 않는다.
4. 상기 발전기는 일정한 양의 에너지를 발생시킨다.
5. 태양열 발전 또는 풍력 발전과 비교하여, 분해 없이도 운반 가능하다.
6. 상기 발전기는, 제조된 이후에, 용이하게 그리고 현실적으로 위치될 수 있고 에너지를 즉시 발생시킨다.
7. 상기 발전기는, 축전지들과 달리, 비동작 기간 동안 악화되지 않는다.
8. 상기 발전기는 많은 공간을 차지하지 않는 지하(저수기(貯水器)마저도)에 매립될 수 있고 태양 전지판과 같이 지면을 덮지는 않는다. 그러므로, 0℃ 이상의 온도가 물의 첨가 없이도 겨울에 보장된다.
9. 상기 발전기는 산(acids)이나 염(salts)을 포함하지 않는다; 결과적으로, 상기 발전기는 위험하지 않다. 상기 발전기는 또한 아무런 문제없이 농업에 사용될 수 있다.
10. 상기 발전기는, 태양열 발전이나 풍력 발전에서는 불가능할 수 있는, 아파트에서도 사용될 수 있다. 벽장, 복도 등에 설치된 1 입방미터의 체적이 충분하다.
11. 상기 발전기의 체적 및 필요에 의존하여, 상기 발전기는 자체로 필요한 에너지를 보장한다.
12. 다른 발전기들이 충분치 않을 때(태양, 바람 등), 에너지의 일시적인 부족을 보충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13. 더욱 많은 에너지가 필요할 때, 예기치 않은 어려움으로 이끌지 않는 1개의 안전한, 신뢰성 있는 에너지원이 다른 에너지원들로서 영원히 보충될 수 있다.
14. 수년 동안(그리고 광범위한 사용시에) 양극의 전극들의 변화를 단지 한번만 필요로 할 것이라는 사실에 유념해 볼 때, 상기 발전기는 높은 비용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15. 상기 발전기는 어떤 전기적인 회로망이 구현될 수 없거나, 태양열 또는 풍력 에너지를 사용하지 않는 지역들에서만 사용될 수 있다.
16. 상기 발전기는, 지하, 수중 및 심지어 우주에서와 같은, 일정한 에너지가 수년 동안 필요하고 축전지의 빈번한 교체가 어려운 액세스 지역들이 어려운 경우에 유용하다.

Claims (5)

  1. 격실들 사이에서 공기 차단된 몇개의 격실들로 분할된 절연 컨테이너를 포함하며, 각각의 격실은 음료수로 채워지며 높은 전기 음성도(電器陰性度) 차(差)를 갖는 다른 금속들 또는 금속 합금들로 만들어진 적어도 1쌍의 동심 전극들을 내부에 갖고, 상기 전극들은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되며, 상기 컨테이너의 출구점에서 전해 콘덴서 및 임펄스 발생기 또는 발진기가 연결되고, 상기 컨테이너의 출구에서배전압기 또는 전압 증배기가 연결되는 음료수를 갖는 발전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전기는 6쌍의 금속 전극들을 포함하며, 각 쌍은 알루미늄(Al)으로 만들어진 전극 및 구리(Cu)로 만들어진 전극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수를 갖는 발전기.
  3. 제1항에 있어서,
    롤 또는 동심원들과 같은 형태로 형성된 지그재그 판 또는 철망으로 만들어진 전극들은 적어도 1쌍의 금속으로 몇개의 층들 상에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수를 갖는 발전기.
  4.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의 밀봉된 격실들 내부의 상기 음료수에는 염들(salts), 산들(acids) 또는 유기물질들이 첨가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수를 갖는 발전기.
  5.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의 밀봉된 격실들 내부의 상기 음료수는 부동액과 같은 용액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수를 갖는 발전기.



KR1020167004035A 2013-07-26 2014-07-28 산소 및 수소 방출이 있는, 음료수를 사용하는 발전기 KR2016003657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ROU201300029 2013-07-26
ROU201300029U RO201300029U1 (ro) 2013-07-26 2013-07-26 Generator energie electrică cu apă potabilă, cu degajare de oxigen şi hidrogen
PCT/RO2014/000021 WO2015057093A2 (en) 2013-07-26 2014-07-28 Electric power generator using potable water, with oxygen and hydrogen releas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6576A true KR20160036576A (ko) 2016-04-04

Family

ID=505526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04035A KR20160036576A (ko) 2013-07-26 2014-07-28 산소 및 수소 방출이 있는, 음료수를 사용하는 발전기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20160164107A1 (ko)
EP (1) EP3039172B1 (ko)
JP (1) JP2016532258A (ko)
KR (1) KR20160036576A (ko)
CN (1) CN105980605A (ko)
CA (1) CA2918627C (ko)
HU (1) HUE047389T2 (ko)
IL (1) IL243773B (ko)
RO (1) RO201300029U1 (ko)
SG (1) SG11201600452UA (ko)
WO (1) WO2015057093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460101B1 (en) * 2017-09-21 2020-04-22 Hymeth ApS Electrode for an electrolysis process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844174Y1 (ko) * 1970-01-22 1973-12-20
GB1447614A (en) * 1972-06-02 1976-08-25 Blue A H Propulsion of motor vehicles
US4053685A (en) * 1974-05-15 1977-10-11 Lockheed Missiles & Space Company Inc. End-reacting electrochemical battery
JPS5236729A (en) * 1975-09-17 1977-03-22 Boeicho Gijutsu Kenkyu Honbuch Water activated primary cell
JPS57123660A (en) * 1981-01-23 1982-08-02 Yohei Fujii Generation of electrical energy with water
JPH0217005Y2 (ko) * 1987-03-08 1990-05-11
US5153365A (en) * 1991-09-03 1992-10-06 Chang Kun Ming Belt-type electric shock device
CN1102275A (zh) * 1993-10-27 1995-05-03 杨麟辉 金属—水电池发电方法及装置
CN2220685Y (zh) * 1995-05-17 1996-02-21 柳中权 化学发电装置
JP2707491B2 (ja) * 1995-09-11 1998-01-28 春日電機株式会社 携帯型帯電器
JP2000199090A (ja) * 1999-01-06 2000-07-18 Tadao Nagase 水素ガス製造方法及び装置
CN1254962A (zh) * 1999-07-11 2000-05-31 叶孙础 水电池装置
DE60034870T2 (de) * 1999-09-16 2008-01-17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Kadoma Abgedichtete zylindrische nickel-wasserstoffspeicherbatterie
JP3943822B2 (ja) * 2000-10-26 2007-07-11 功 松本 電池用渦巻状電極群及び電池
RU2005116437A (ru) * 2005-05-30 2006-12-10 Иван Иванович Сташевский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асщепления воды
US7585397B2 (en) * 2006-04-30 2009-09-08 Farwest Corrosion Control Company Automatic potential control cathodic protection system for storage tanks
JP3132910U (ja) * 2007-04-13 2007-06-21 ジェット・Neko株式会社 水電池式電子機器
CN101383420A (zh) * 2007-09-06 2009-03-11 罗士武 水伏电池
CN202308178U (zh) * 2011-03-21 2012-07-04 陈锦忠 一种新型电池
CN202454139U (zh) * 2012-02-22 2012-09-26 上海富学科学仪器有限公司 水电池实验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039172A2 (en) 2016-07-06
WO2015057093A2 (en) 2015-04-23
WO2015057093A4 (en) 2015-09-17
CA2918627A1 (en) 2015-04-23
JP2016532258A (ja) 2016-10-13
SG11201600452UA (en) 2016-02-26
CA2918627C (en) 2021-06-29
IL243773B (en) 2019-05-30
IL243773A0 (en) 2016-04-21
HUE047389T2 (hu) 2020-04-28
WO2015057093A3 (en) 2015-07-30
EP3039172A4 (en) 2017-03-08
EP3039172B1 (en) 2019-09-04
RO201300029U1 (ro) 2014-04-30
US20160164107A1 (en) 2016-06-09
CN105980605A (zh) 2016-09-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Halls et al. Empowering the smart grid: can redox batteries be matched to renewable energy systems for energy storage?
RU2013111960A (ru) Аккумулятор на основе ионов щелочного металла с биметаллическим электродом
KR100994817B1 (ko) 전력 절감장치
Revo et al. Electrode material for supercapacitors based on nanostructured carbon
RU2012103741A (ru) Система преобразования энергии с усиленным электрическим полем
AU2016274851B2 (en) Air battery and building including the same
KR20160036576A (ko) 산소 및 수소 방출이 있는, 음료수를 사용하는 발전기
Ying et al. Modelling of the electricity generation from living plants
KR101468350B1 (ko) 열적으로 향상된 고체 제너레이터
KR101696339B1 (ko) 전자밀도 증가를 통한 에너지 효율 개선 장치
BR102016010357A2 (pt) Generator of electrical power with the use of drinking water, with oxygen and hydrogen release
RU2649647C2 (ru) Сетевая система, устойчивая к неблагоприятным событиям
Guo et al. Introduction to Electrochemical Energy Storage
RU2731258C1 (ru) Модуль энергосберегающего устройства для генерации электрической энергии, способ его изготовления и энергосберега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KR102117414B1 (ko) 열전 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열전 유리창
WO2015000051A1 (en) Copper manganese based secondary cell
WO2012018276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генерации электрической энергии
JP2013145633A (ja) 自然電解電池
Peplow Cheap battery stores energy for a rainy day
RU2580510C2 (ru) Линейный модуль накопления и хранения энергии для автономного электропитания электротехнических устройств и оборудования
WO2017108066A2 (es) Producción de energía alterna electrónicamente emancipada e ionizada
RU67375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ыработки постоянного тока
RU73146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ыработки постоянного тока
WO2014045153A1 (en) Generating power by guiding heated sea water in the primary battery
Ono Internally Self‐Sustaining Electric Power Gener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