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35979A - 광섬유 니들 - Google Patents

광섬유 니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35979A
KR20160035979A KR1020150129767A KR20150129767A KR20160035979A KR 20160035979 A KR20160035979 A KR 20160035979A KR 1020150129767 A KR1020150129767 A KR 1020150129767A KR 20150129767 A KR20150129767 A KR 20150129767A KR 20160035979 A KR20160035979 A KR 201600359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fiber
needle
skin
tub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97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철환
Original Assignee
김철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철환 filed Critical 김철환
Publication of KR201600359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597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03Needle locating or guid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30Devices for illuminating a surgical field, the devices having an interrelation with other surgical devices or with a surgical proced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58Needles for infusions; Accessories therefor, e.g. for inserting infusion needles, or for holding them on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ath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Anesthes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섬유 니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피부의 탄력 저하로 인해 원치않는 주름이나 피부의 처짐으로 안면에 발생하는 변화를 성형하기 위해 실 거상술을 시술할 때 피부 속에 삽입된 바늘 끝의 위치 및 깊이를 확인할 수 있도록 바늘이 삽입되는 광섬유 니들을 광섬유로 제작하여 광섬유에서 발광하는 빛에 의해 육안으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광섬유 니들{The fiberoptic needle}
본 발명은 원치않는 주름이나 피부의 처짐으로 안면에 발생하는 변화를 성형하기 위해 실 거상술을 주로 사용하며, 상기 실 거상술을 시술할 때 피부 속에 삽입된 바늘 끝의 위치 및 깊이를 확인할 수 있도록 바늘이 삽입되는 광섬유 니들 자체를 광섬유로 제작하여 광섬유 니들 자체에서 발광하는 빛에 의해 육안으로 바늘 끝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니들에 관한 것이다.
안면 거상술은 안면의 처진 피부나 주름을 잡아당기는 수술로써 절개 수술인 고전적 안면 거상술(Classic face lift )과 변형된 부분 거상술(MACS lift, S-lift)이 있다.
안면 주름제거의 원리는 늘어진 피부와 건막을 잡아당겨 절제하여 봉합하여 주는데, 특히 안면부의 건막은 표재성 건막층(혹은 천근막층)이라 하여 SMAS(Superficial musculo-aponeurotic system)로 일컬어 지며, 안면 거상술은 SMAS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
바람직하게는, 안면 거상술은 피부뿐만 아니라 SMAS를 최대한 잡아당겨야 거상술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종래의 거상술은 절개의 범위가 귀 상단부터 시작하여 귀 앞, 귀 뒤를 절개하므로 환자에게 침습적(invasive)이며, 흉터가 많이 남을 수 있는 단점이 있다.
이를 보완 하기 위해, 최근에 비침습적 혹은 덜 침습적인 거상술(non or less invasive face lifting surgery)이 다양하게 발전하여 시행되며, 대표적으로 는 실 거상술(Thread Lifting)이 있다.
실 거상술(Thread lifting)이란 프롤렌(prolene) 합성사에 미세한 가시(cog) 혹은 미늘(barb)을 형성하여 잡아당기는 방식으로 시술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실 거상술은 시술 부위에 실을 삽입하여 잡아당기기 위해서는 실 거상 바늘을 피부에 삽입한 다음 정확한 시술 부위에 바늘 끝이 깊이나 위치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없어 손가락으로 바늘이 삽입된 피부의 표면을 만지고 확인하는 과정을 거치므로 시술과정이 번거롭고 시술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수액을 주입하거나, 척추, 피부 조직 등에 치료할 목적으로 주사 바늘을 피부 속에 삽입할 때에도 손으로 피부를 만져 바늘 위치를 확인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대한민국 특허출원번호 제10-2011-82537 "피부조직 거상술용 수술도구"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피부 및 안면에 실 거상술을 시술하기 위해 바늘을 삽입하는 니들 자체를 광섬유 니들로 제작하고, 표면에 눈금을 표시한 광섬유 니들 속으로 바늘을 삽입한 다음 광섬유 니들을 피부에 삽입한 후 피부 표면에서 손가락으로 광섬유 니들 및 바늘 끝의 깊이 및 위치를 확인하기 위해 만지지 않고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수액을 주입하거나, 척추, 피부 조직 등에 치료할 목적으로 바늘을 피부 속에 삽입하는 경우에도 손으로 피부를 만지지않고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수단으로 본 발명 광섬유 니들은 바늘이 삽입되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의 일측에는 삽입된 바늘이 위치하도록 관체로 형성되고, 상기 관체는 광섬유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니들이 제공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바늘을 삽입하는 광섬유 니들을 광섬유 재질로 제작한 다음 광섬유에 빛을 공급하면 피부 속에 바늘과 함께 삽입된 광섬유가 발광하여 빛에 의해 바늘의 위치를 확인하고, 빛의 밝기에 따라 광섬유 니들 및 바늘 끝의 깊이를 확인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편리성을 제공하여 시술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광섬유 니들의 관체 표면에 눈금을 형성하여 피부속에 삽입된 광섬유 니들의 관체에서 일정간격으로 발광되고 안되는 부분을 통해 바늘의 깊이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실 거상시술뿐만 아니라 수액, 척추, 피부 조직 등에 치료할 목적으로 바늘을 피부 속에 삽입하는 경우에도 광섬유의 발광에 의해 바늘의 위치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광섬유 니들 전체 또는 일부가 발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 광섬유 니들을 도시해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광섬유 니들에 바늘을 도시해 보인 분리 사시도.
도 3a, b는 본 발명 광섬유 니들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해 보인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 광섬유 니들을 도시해 보인 단면도.
도 5a, b는 본 발명 광섬유 니들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해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 광섬유 니들의 관체 표면에 눈금을 형성한 것을 도시해 보인 정면도.
상기와 같은 목적 및 효과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 광섬유 니들을 도시해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광섬유 니들에 바늘을 도시해 보인 분리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 광섬유 니들을 도시해 보인 단면도이다.
본 발명 광섬유 니들(1)은 바늘(2)이 삽입되는 삽입부(4)와, 상기 삽입부(4)의 일측에는 삽입된 바늘(2)이 위치하도록 관체(6)로 형성되고, 상기 관체(6)는 광섬유 재질로 이루어져 발광한다.
상기 광섬유 니들(1)은 관 형상으로 형성된 관체(6)가 광섬유 재질로 제작된 상태에서 일측 단부는 광케이블(5)에 연결된다.
또한, 광케이블(5)의 타측 끝단에는 빛을 주입할 수 있는 인입 잭이 일체로 형성되어 빛을 발생하는 광원장치와 연결하여 광섬유로 빛을 공급하여 광섬유 니들(1)이 발광한다.
한편, 광섬유로 제작된 관체는 파이버(fiber) 또는 분말을 사용하여 성형한다.
따라서 본 발명 광섬유 니들(1)은 바늘(2)이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시술 부위의 피부 속으로 삽입하면 광섬유 니들((1))은 인입 잭을 통해 공급되는 빛은 광섬유(3)를 통해 광섬유 니들(1) 끝단으로 반사하여 피부 속에서 광섬유 니들(1) 이 발광하면 의사는 피부 밖에서 발광하는 빛의 위치 및 빛의 밝기에 따라 바늘(2) 끝의 위치를 손으로 피부를 만지지않아도 육안으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구성이다.
또한, 본 발명은 수액을 주입하거나 척추, 피부 조직 등에 치료할 목적으로바늘(2)을 피부 속에 삽입할 때에도 광섬유 니들(1)에 의해 바늘 위치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도 3a 본 발명 광섬유 니들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해 보인 정면도로서, 광섬유 니들(1)의 관체(6)는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반복되게 광섬유 재질로 이루어져 관체(6) 일부가 발광하여도 광섬유 니들(1) 및 바늘(2)의 위치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도 3b 본 발명 광섬유 니들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해 보인 정면도로서, 관체(6)는 선단 일부만 광섬유 재질로 이루어져도 광섬유 니들(1) 및 바늘(2)의 위치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즉, 도 3a, b는 인체에 무해한 합성수지(7)와 광섬유(3)를 금형에 의해 광섬유 니들(1)을 성형한 것으로서 관체(6) 일부는 광섬유(3)이고, 일부는 합성수지(7)를 사용하여 제작함으로써 광섬유(3)의 내구성을 보강하며, 발광할 수 있도록 한다.
도 5a, b는 본 발명 광섬유 니들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해 보인 사시도 이다.
본 발명 광섬유 니들(1)은 관체(6)와 연결된 삽입부(4)의 외주면에는 광케이블(5)이 연결된 커넥터(8)가 분리 및 결합되어 광섬유 니들(1)의 관체(6)에 빛을 공급한다.
상기 커넥터(8)는 삽입부(4)의 외주면과 대응하게 반원형상으로 형성되어 분리 및 결합이 용이하다.
도 6은 본 발명 광섬유 니들의 관체 표면에 눈금을 형성한 것을 도시해 보인 정면도이다.
본 발명은 관체(6) 표면에 일정간격으로 눈금(9)을 표시하여 피부 속에 광섬유 니들(1)이 삽입되었을 때 눈금(9)을 보고 광섬유 니들(1)의 깊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광섬유로 형성된 관체(6)에서 눈금(9) 부분이 발광하지못하도록 인체 무해한 안료로 인쇄하는 방법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의사는 피부 속에 삽입된 광섬유 니들(1)의 관체(6)에서 일정간격으로 발광하지않는 눈금을 보고 육안으로 깊이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1: 광섬유 니들 2: 바늘
3: 광섬유 4: 삽입부
5: 광케이블 6: 관체
7: 합성수지 8: 커넥터
9: 눈금

Claims (6)

  1. 바늘(2)이 삽입되는 삽입부(4)와, 상기 삽입부(4)의 일측에는 삽입된 바늘(2)이 위치하도록 관체(6)로 형성되고, 상기 관체(6)는 광섬유 재질로 이루어지고, 관체(6)에 빛을 공급할 수 있도록 삽입부(4)에 광케이블(5)이 연결된 것을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니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광섬유 니들(1)의 관체는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반복되게 광섬유 재질과 합성수지가 반복되게 이루어져 발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니들.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광섬유 니들(1)의 관체(6)는 선단 일부만 광섬유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니들.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광섬유는 파이버(fiber) 또는 분말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니들.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4)의 외주면에는 광케이블(5)이 커넥터(8)방식으로 분리 및 결합되어 광섬유 니들(1)의 관체(6)에 빛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니들.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관체(6)에는 일정간격으로 눈금(9)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니들.
KR1020150129767A 2014-09-24 2015-09-14 광섬유 니들 KR2016003597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7971 2014-09-24
KR20140127971 2014-09-2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5979A true KR20160035979A (ko) 2016-04-01

Family

ID=557992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9767A KR20160035979A (ko) 2014-09-24 2015-09-14 광섬유 니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35979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6807B1 (ko) * 2016-11-17 2018-07-10 임성빈 의료용 광역학 치료 장치
KR20190002616U (ko) * 2018-04-11 2019-10-21 백관호 리프팅 시술용 실 삽입장치
KR20210017713A (ko) * 2019-08-09 2021-02-17 김철환 광섬유사가 내장되어서 발광하는 혈관 및 피하용 카테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6807B1 (ko) * 2016-11-17 2018-07-10 임성빈 의료용 광역학 치료 장치
WO2018093097A3 (ko) * 2016-11-17 2018-08-09 임성빈 의료용 광역학 치료 장치
KR20190002616U (ko) * 2018-04-11 2019-10-21 백관호 리프팅 시술용 실 삽입장치
KR20210017713A (ko) * 2019-08-09 2021-02-17 김철환 광섬유사가 내장되어서 발광하는 혈관 및 피하용 카테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39441B2 (ja) 照明サクション装置
JP6571183B2 (ja) 心嚢内視鏡システム
EP3020430B1 (en) Cannula for catgut-embedding therapy
EP3227880B1 (en) Injection training tool emitting omnidirectional light
EP2248482A1 (en) Method for determining a position of an instrument within a body cavity
JP2018535807A5 (ko)
BRPI0705054A (pt) aparelho para sutura cirurgia com um membro sensor de espectro não visìvel
CN106028908B (zh) 制造铰接眼科手术探针
US20210023345A1 (en) Cannula with light-emitting optical fiber
KR101178871B1 (ko) 수술사가 장착된 성형용 주사바늘
MX2007003980A (es) Metodo para insercion de instrumento a traves de un orificio del cuerpo.
US9144433B2 (en) Endoscopic surgical blade and method of use thereof
GB201109620D0 (en) Injection apparatus
US10398508B2 (en) Protective sheath and method of using same for laser surgery
EP3185803B1 (en) Microsurgical instrument
KR20160035979A (ko) 광섬유 니들
ES2861930T3 (es) Dispositivo de inyección de producto inyectable que consta de una cánula que se desliza en una aguja y sistema que utiliza dicho dispositivo
KR101643904B1 (ko) 피부 주름 제거용 봉합사 삽입장치
US6013073A (en) Instrument intended to the location of veins by means of optical fibers and to the simultaneous ablation thereof
CN108495593A (zh) 医疗取出装置及相关的使用方法
KR20110027744A (ko) 주름제거용 수술사가 장착된 성형용 주사바늘
KR20210022737A (ko) 주입 기구 세트
TWI580393B (zh) 穿刺器材、穿刺設備及其訊號處理方法
JP3176102U (ja) 手術用照明装置
JP5517828B2 (ja) 中空導波路およびレーザ治療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