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35894A - 홈네트워크 시스템의 사용패턴 수치화를 통한 패턴지수 산출 방법 - Google Patents

홈네트워크 시스템의 사용패턴 수치화를 통한 패턴지수 산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35894A
KR20160035894A KR1020140127823A KR20140127823A KR20160035894A KR 20160035894 A KR20160035894 A KR 20160035894A KR 1020140127823 A KR1020140127823 A KR 1020140127823A KR 20140127823 A KR20140127823 A KR 20140127823A KR 20160035894 A KR20160035894 A KR 201600358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ue
home network
network system
pattern
ho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278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종길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278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35894A/ko
Publication of KR201600358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589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23Reporting information sensed by appliance or service execution status of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04L12/2827Reporting to a device within the home network; wherein the reception of the information reported automatically triggers the execution of a home appliance functionality
    • H04L12/2829Reporting to a device within the home network; wherein the reception of the information reported automatically triggers the execution of a home appliance functionality involving user profiles according to which the execution of a home appliance functionality is automatically trigger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홈네트워크 시스템의 사용패턴 수치화를 통한 패턴지수 산출 방법을 개시한 것으로, 이러한 본 발명은 홈네트워크에 설치된 장치들의 사용패턴에 임의값을 부여하여 수치화한 후 이를 일정기간동안 합산하고 평균화하여 홈네트워크의 특정 장치에 대한 패턴지수를 각각 산출하는 한편, 산출된 패턴지수와 일정기간동안 합산되어 평균화된 값, 그리고 기설정된 기준값을 비교 연산하도록 구성한 것이며, 이에따라 이벤트 발생을 위한 임계값을 산출하고, 산출된 임계값을 통해 기 등록된 프로그램의 시나리오에 따라 홈네트워크 시스템이 가동되도록 하여 사용자에게 가장 적합한 홈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는 한편, 홈네트워크 시스템의 장치들에 대한 보안성을 높인 것이다.

Description

홈네트워크 시스템의 사용패턴 수치화를 통한 패턴지수 산출 방법{Pattern index calculation method through use pattern figuring of home network system}
본 발명은 홈네트워크 장치들에 대한 사용패턴을 분석하여 사용자에 맞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홈네트워크에 설치된 장치들의 사용패턴에 임의값을 부여하여 수치화한 후 이를 기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하여 이벤트 발생을 위한 임계값을 산출하고, 산출된 임계값을 통해 사용자에게 가장 적합한 홈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홈네트워크 시스템의 사용패턴 수치화를 통한 패턴지수 산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홈네트워크 시스템(Homenetwork system)은 가정에 있는 2개 이상의 장치가 서로 통신하는 것을 의미하며, 현재 가정에서 사용되는 홈네트워크는 PC를 중심으로 여러 주변 장치들을 연결하고 인터넷 사용을 공유하는 PC 네트워크와 비디오, TV 등과 같은 AV 제품간의 멀티미디어 데이터 전송을 위한 AV 네트워크, 세탁기, 냉장고, 에어컨 등의 백색 가전과 전력, 수도와 같은 에너지를 자동으로 제어하기 위한 리빙 네트워크, 그리고 첨부된 도 1에서와 같이 앱이 설치된 단말기(예; IP TV 또는 스마트폰)(100)로 클라우드 기반의 홈포털(200)을 통해 댁내 보안장치(예; 센서종류로서 기울기 감지기, 문열림 감지기, 움직임 감지기, 이동형 감지기 등, 제어종류로서 도어록, 스마트 버튼, 스마트 콘센트, 가스밸브 등)(301)(302)들을 시간 및 공간 제약없이 원격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무선 홈 솔루션이 있다.
여기서, 일반적인 홈네트워크 시스템은 블루투스, HomeRF 등을 포함하는 무선 네트워크 기술 및 전화선, 전력선, IEEE 1394 등의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유선 네트워크 기술을 사용하여 댁내 장치(예; TV, 세탁기 등)를 월패드(wall pad)나 홈패드와 같은 원격제어기기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한 것이고, 상기 무선 홈 솔루션은 댁내 보안장치(301)(302)들을 댁내에 설치된 원격제어기기인 IHD(400)와 무선(Zigbee)으로 연결하고, 상기 IHD(400)는 유선 또는 무선(WiFi)으로 퍼블릭 인터넷망(Public Internet)의 홈포털(200)과 연동되도록 구성하여 댁내 보안장치(301)(302)들을 원격 제어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 댁내 장치들을 제어시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여러가지의 프로그램 시나리오를 제공하게 되며, 이러한 프로그램 시나리오별 실행에 따라 댁내 장치들의 동작 상태를 제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일예로, 사용자가 귀가하는 중 휴대 전화를 사용하여 귀가모드를 실행시키면, 귀가모드 실행에 따라 방안의 조명이 점등되고, 냉방기가 작동되며, 출입문의 잠금 상태가 해제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종래 홈네트워크 시스템은 하나의 프로그램 시나리오를 설정시 해당 프로그램의 시나리오에 대한 장치들의 동작상태를 사용자가 직접 설정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일예로, 사용자가 자신의 귀가 시간대에 맞추어 귀가모드를 설정시, 원격제어기기를 사용하여 방안의 조명 점등 여부 또는 냉방기 작동 여부 등을 수동으로 설정해야 하는 것이다.
이에, 종래에는 패턴 인식 프로그램 및 디지털 정보 기기에 대한 조작 패턴 정보 테이블이 저장되는 메모리부와, 상기 패턴 인식 프로그램에 따라 홈네트워크 시스템의 댁내 장치에서 전송된 조작 정보 데이터를 처리하여 조작 패턴 정보 테이블을 생성하고, 상기 조작 패턴 정보 테이블의 내용을 패턴모드로 설정함으로써, 패턴모드 실행시 테이블의 내용에 따라 홈네트워크 시스템의 댁내 장치를 제어하는 사용자의 생활패턴 인식 방법에 대한 선행기술이 개시되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선행기술의 홈네트워크 시스템은 사용자의 사용패턴을 분석하여 테이블 형태로 미리 홈네트워크 시스템에 등록 설정하면 그 설정된 상황에 맞게 홈네트워크 시스템의 댁내 장치를 제어하는 것으로, 이는 전체 홈네트워크 시스템에 연결된 댁내 장치들의 사용패턴을 대상으로 표준화 수치를 산출한 것이며, 이에따라 홈네트워크 시스템의 댁내 특정 장치에 대한 사용패턴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공개특허공보 제 10-2006-0066980 호(공개일 2006.06.18)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홈네트워크에 설치된 장치들의 사용패턴에 임의값을 부여하여 수치화한 후 이를 일정기간동안 합산하고 평균화하여 홈네트워크의 특정 장치에 대한 패턴지수를 각각 산출하는 한편, 산출된 패턴지수와 일정기간동안 합산되어 평균화된 값, 그리고 기설정된 기준값을 비교 연산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이벤트 발생을 위한 임계값을 산출하고, 산출된 임계값을 통해 기 등록된 프로그램의 시나리오에 따라 홈네트워크 시스템이 가동되도록 하여 사용자에게 가장 적합한 홈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는 한편, 홈네트워크 시스템의 장치들에 대한 보안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홈네트워크 시스템의 사용패턴 수치화를 통한 패턴지수 산출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 홈네트워크 시스템의 사용패턴 수치화를 통한 패턴지수 산출 방법은, 원격제어기기는 유저가 홈네트워크 시스템의 댁내 장치를 사용시, 장치의 사용 내역에 사전 정의된 임의 수치값을 실시간 부여하고 저장하는 제 1 단계; 원격제어기기는 상기 제 1 단계로부터 댁내 장치의 사용내역에 따라 실시간 부여된 임의 수치값을 특정주기별로 합산한 후 이를 각각 제 1 값(Y)으로 저장하는 제 2 단계; 원격제어기기는 상기 제 2 단계로부터 특정주기별로 합산하여 저장되는 제 1 값(Y)들의 평균을 일정기간이 경과된 시점에서 연산하여 패턴지수의 제 2 값(X)을 산출하는 제 3 단계; 원격제어기기는 상기 제 3 단계로부터 산출된 제 2 값(X)과 상기 제 2 단계로부터 합산 저장한 제 1 값(Y), 그리고 기 설정된 기준값(Z)을 비교 연산하여 이벤트 발생의 임계값을 추출하는 제 4 단계; 및, 원격제어기기는 상기 제 4 단계로부터 추출된 임계값으로부터 댁내 장치 사용시에 따른 이벤트 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결과 이벤트 발생이면 기 등록된 프로그램 시나리오에 따라 댁내 장치를 제어하면서 그 제어상태를 원격단말기에 통보하는 제 5 단계; 를 포함하여 진행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 1 단계로부터 사전 정의된 임의 수치값은 합산 또는 평균값에 대한 연산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소수점이 없는 자연수이고, 상기 자연수는 원격제어기기내 메모리에 댁내 장치들별로 테이블화되어 저장된 것이다.
또한, 상기 임의 수치값은 홈네트워크 시스템내의 댁내 장치들 중에서 안전 또는 보안을 위해 동작하는 장치들(예; 도어, 가스밸브 등)에 더 가중치를 부여한 것이다.
또한, 상기 패턴지수의 제 2 값(X)은 특정주기별로 이전에 합산된 제 1 값(Y)에 다음 합산이 이루어진 제 1 값(Y)을 반영하면서 업데이트 산출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 특정주기는 댁내 장치들에 대한 일단위의 사용주기인 것이다.
또한, 상기 일정기간은 댁내 장치들에 대한 주단위 또는 월단위의 사용주기인 것이다.
또한, 상기 제 3 단계로부터 패턴지수의 제 2 값(X)은 특정주기별로 댁내 장치의 사용내역을 합산한 제 1 값(Y)과 원격제어기내 메모리에 기 설정하여둔 기준값(Z)과의 상관관계를 통해 이벤트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인자값으로 사용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 패턴지수의 제 2 값(X)에 따른 이벤트 발생의 판단은
Figure pat00001
의 상관관계로부터 결정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원격제어기기는 IHD인 것이다.
또한, 상기 원격단말기는 클라이드기반의 홈포털 서버, 유저의 스마트폰, 경비실내에 설치된 통신 가능한 단말기, 경찰서내에 설치된 통신 가능한 단말기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로 설정한 것이다.
또한, 상기 댁내 장치는 기울기 감지기, 문열림 감지기, 움직임 감지기, 이동형 감지기를 포함하는 센서 기기들인 것이다.
또한, 상기 댁내 장치는 도어록, 스마트버튼, 스마트 콘센트, 가스밸브를 포함하는 제어 기기들인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홈네트워크에 설치된 장치들의 사용패턴에 임의값을 부여하여 수치화한 후 이를 일정기간동안 합산하고 평균화하여 홈네트워크의 특정 장치에 대한 패턴지수를 각각 산출하는 한편, 산출된 패턴지수와 일정기간동안 합산되어 평균화된 값, 그리고 기설정된 기준값을 비교 연산하도록 구성한 것으로, 이를 통해 이벤트 발생을 위한 임계값을 산출하고, 산출된 임계값을 통해 기 등록된 프로그램의 시나리오에 따라 홈네트워크 시스템이 가동되도록 하여 사용자에게 가장 적합한 홈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는 한편, 홈네트워크 시스템의 장치들에 대한 보안성을 높이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홈네트워크 시스템의 무선 홈 솔루션에 대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홈네트워크 시스템의 사용패턴 수치화를 통한 패턴지수 산출 방법을 보인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댁내 장치들의 사용시 임의 수치값을 실시간 부여하는 예시 도표.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댁내 장치들의 사용으로 임의 수치값이 부여될 때 이를 특정주기별(일단위)로 합산한 제 1 값을 저장하는 예시 도표.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댁내 자?의 사용에 따라 실시간으로 임의 수치값이 특정주기별로 부여될 때 그 특정주기별 부여된 임의 수치값의 합산값에 대한 평균을 연산하여 패턴지수인 제 2 값을 산출하는 예시 도표.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특정주기별로 제 1 값을 순차적으로 합산시 패턴지수인 제 2 값을 업데이트하는 상태의 예시 도표.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홈네트워크 시스템의 사용패턴 수치화를 통한 패턴지수 산출 방법을 보인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홈네트워크 시스템의 사용패턴 수치화를 통한 패턴지수 산출 방법은 도 1에 도시된 홈네트워크 시스템의 무선 홈 솔루션에 대한 구성도를 통해 설명되는 것으로, 원격제어기기인 IHD(400)에 탑재된 제어프로그램에 따라 제 1 내지 제 5 단계로 진행되는 것이다.
상기 제 1 단계는 유저가 홈네트워크 시스템의 댁내 장치(301)(302)를 사용시, 첨부된 도 3에서와 같이 장치(301)(302)의 사용 내역에 사전 정의된 임의 수치값을 실시간 부여하고 저장하도록 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임의 수치값은 홈네트워크 시스템내의 댁내 장치(301)(302)들 중에서 안전 또는 보안을 위해 동작하는 장치들(예; 도어, 가스밸브 등)에 더 가중치를 부여하도록 하였다.
일예로, 첨부된 도 3에서와 같이, 보안을 위해 동작하는 도어락에 대한 열림/닫힘의 사용내역 또는 안전을 위해 동작하는 가스밸브의 온/오프 사용내역인 경우에는 그 사용내역에 대하여 사전 정의된 임의 수치값 "100" 을 부여하고, 문열림 감지의 사용내역인 경우에는 그 사용내역에 대하여 임의 수치값 "70" 을 부여하며, 전등에 대한 온/오프의 사용내역에는 그 사용내역에 대하여 임의 수치값 "50" 을 부여하고, 기울기 감지나 움직임 감지의 사용내역인 경우에는 그 사용내역에 대하여 각각 임의 수치값 "30", "10" 을 부여하도록 한 것이며, 상기 임의 수치값은 합산 또는 평균값에 대한 연산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소수점이 없는 자연수이고, 상기 자연수는 원격제어기기인 IHD(400)의 내장형 메모리에 댁내 장치(301)(302)들별로 테이블화되어 저장하여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댁내 장치(301)는 기울기 감지기, 문열림 감지기, 움직임 감지기, 이동형 감지기를 포함하는 센서 기기들인 것이고, 또 다른 댁내 장치(302)는 도어록, 스마트버튼, 스마트 콘센트, 가스밸브를 포함하는 제어 기기들인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제 2 단계는 상기 댁내 장치(301)(302)의 사용내역에 따라 실시간 부여된 임의 수치값을 특정주기별로 합산한 후 이를 첨부된 도 4에서와 같이 각각 IHD(400)의 내장형 메모리에 제 1 값(Y)으로 저장하여 두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특정주기는 댁내 장치(301)(302)들에 대한 일단위의 사용주기이며, 일단위로 여러 장치들을 사용할 경우 그 장치들의 사용내역들에 각각 사전 정의된 임의 수치값을 부여하고, 상기와 같이 부여된 사전 정의된 임의 수치값들을 합산한 후 이를 일단위로 저장하여 관리하게 되는 것이다.
즉, 댁내 장치(301)(302)들에 사용이 이루어질 때 그 사용내역을 날짜별로 각각 합산한 후 이를 저장하도록 한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제 3 단계는 특정주기별로 합산하여 각각 저장시킨 제 1 값(Y)들의 평균을 첨부된 도 5에서와 같이 일정기간이 경과된 시점에서 연산하여 패턴지수의 제 2 값(X)을 산출하도록 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일정기간은 댁내 장치(301)(302)들에 대한 주단위 또는 월단위의 사용주기를 설명하는 것으로, 상기 패턴지수의 제 2 값(X)은 댁내 장치(301)(302)들에 대한 개별적인 사용패턴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인 것이다.
이때, 첨부된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패턴지수의 제 2 값(X)은 특정주기별로 이전에 합산된 제 1 값(Y)에 다음 합산이 이루어진 제 1 값(Y)을 반영하면서 업데이트 산출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일단위로 댁내 장치(301)(302)들에 대한 사용내역에 임의 수치값이 부여된 후 이를 합산한 제 1 값(Y)이 저장될때마다 그 저장된 제 1 값(Y)들의 평균을 구하여 패턴지수인 제 2 값(X)을 산출하면서, 상기 패턴지수인 제 2 값(X)을 지속적으로 갱신하도록 한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제 4 단계는 산출된 상기 제 2 값(X)과 상기 제 2 단계로부터 합산 저장한 제 1 값(Y), 그리고 상기 원격제어기기인 IHD(400)에 기 설정되어 저장된 기준값(Z)을 비교 연산하여 이벤트 발생의 임계값을 추출하도록 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패턴지수의 제 2 값(X)은 이벤트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인자값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상기 IHD(400)는 상기 패턴지수의 제 2 값(X), 특정주기별로 댁내 장치(301)(302)의 사용내역을 합산한 제 1 값(Y), 그리고 기 설정하여 저장한 상기 기준값(Z)의 상관관계를 통해 임계값을 추출하게 되는데, 상기 패턴지수의 제 2 값(X)에 따른 이벤트 발생의 임계값 추출은
Figure pat00002
의 상관관계로부터 결정되도록 하였다.
다음으로, 상기 제 5 단계는 추출된 임계값으로부터 댁내 장치(301)(302)의 사용에 따른 이벤트 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결과 이벤트 발생이면 기 등록된 프로그램 시나리오에 따라 댁내 장치(301)(302)를 제어하면서 그 제어상태를 클라이드기반의 홈포털 서버, 유저의 스마트폰, 경비실내에 설치된 통신 가능한 단말기, 경찰서내에 설치된 통신 가능한 단말기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로 설정하여둔 원격단말기(미도시)에 통보하도록 한 것이다.
즉, 상기 IHD(400)는 제 2 값(X)과 제 1 값(Y)의 연산에 따른 절대값이 기 설정된 기준값(Z)보다 크거나 같은 임계값이 추출되면 이벤트 발생으로 판단하여 기 등록된 프로그램의 시나리오에 따라 홈네트워크 시스템이 가동되도록 하여 사용자에게 가장 적합한 홈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고, 제 2 값(X)과 제 1 값(Y)의 연산에 따른 절대값이 기 설정된 기준값(Z)보다 작은 임계값이 추출되면 이벤트 발생이 없는 것으로 판단하여 기 등록된 프로그램의 시나리오에 따른 홈네트워크 시스템의 가동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한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홈네트워크 시스템의 사용패턴 수치화를 통한 패턴지수 산출 방법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
100; 단말기 200; 홈포털
301,302; 댁내 장치 400; IHD

Claims (12)

  1. 원격제어기기는 유저가 홈네트워크 시스템의 댁내 장치를 사용시, 장치의 사용 내역에 사전 정의된 임의 수치값을 실시간 부여하고 저장하는 제 1 단계;
    원격제어기기는 상기 제 1 단계로부터 댁내 장치의 사용내역에 따라 실시간 부여된 임의 수치값을 특정주기별로 합산한 후 이를 각각 제 1 값(Y)으로 저장하는 제 2 단계;
    원격제어기기는 상기 제 2 단계로부터 특정주기별로 합산하여 저장되는 제 1 값(Y)들의 평균을 일정기간이 경과된 시점에서 연산하여 패턴지수의 제 2 값(X)을 산출하는 제 3 단계;
    원격제어기기는 상기 제 3 단계로부터 산출된 제 2 값(X)과 상기 제 2 단계로부터 합산 저장한 제 1 값(Y), 그리고 기 설정된 기준값(Z)을 비교 연산하여 이벤트 발생의 임계값을 추출하는 제 4 단계; 및,
    원격제어기기는 상기 제 4 단계로부터 추출된 임계값으로부터 댁내 장치 사용시에 따른 이벤트 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결과 이벤트 발생이면 기 등록된 프로그램 시나리오에 따라 댁내 장치를 제어하면서 그 제어상태를 원격단말기에 통보하는 제 5 단계; 를 포함하여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네트워크 시스템의 사용패턴 수치화를 통한 패턴지수 산출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계로부터 사전 정의된 임의 수치값은 합산 또는 평균값에 대한 연산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소수점이 없는 자연수이고, 상기 자연수는 원격제어기기내 메모리에 댁내 장치들별로 테이블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네트워크 시스템의 사용패턴 수치화를 통한 패턴지수 산출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임의 수치값은 홈네트워크 시스템내의 댁내 장치들 중에서 안전 또는 보안을 위해 동작하는 장치들에 더 가중치를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네트워크 시스템의 사용패턴 수치화를 통한 패턴지수 산출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지수의 제 2 값(X)은 특정주기별로 이전에 합산된 제 1 값(Y)에 다음 합산이 이루어진 제 1 값(Y)을 반영하면서 업데이트 산출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네트워크 시스템의 사용패턴 수치화를 통한 패턴지수 산출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주기는 댁내 장치들에 대한 일단위의 사용주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네트워크 시스템의 사용패턴 수치화를 통한 패턴지수 산출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일정기간은 댁내 장치들에 대한 주단위 또는 월단위의 사용주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네트워크 시스템의 사용패턴 수치화를 통한 패턴지수 산출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단계로부터 패턴지수의 제 2 값(X)은 특정주기별로 댁내 장치의 사용내역을 합산한 제 1 값(Y)과 원격제어기내 메모리에 기 설정하여둔 기준값(Z)과의 상관관계를 통해 이벤트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인자값으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네트워크 시스템의 사용패턴 수치화를 통한 패턴지수 산출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지수의 제 2 값(X)에 따른 이벤트 발생의 판단은
    Figure pat00003
    의 상관관계로부터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네트워크 시스템의 사용패턴 수치화를 통한 패턴지수 산출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제어기기는 IHD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네트워크 시스템의 사용패턴 수치화를 통한 패턴지수 산출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단말기는 클라이드기반의 홈포털 서버, 유저의 스마트폰, 경비실내에 설치된 통신 가능한 단말기, 경찰서내에 설치된 통신 가능한 단말기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로 설정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네트워크 시스템의 사용패턴 수치화를 통한 패턴지수 산출 방법.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댁내 장치는 기울기 감지기, 문열림 감지기, 움직임 감지기, 이동형 감지기를 포함하는 센서 기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네트워크 시스템의 사용패턴 수치화를 통한 패턴지수 산출 방법.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댁내 장치는 도어록, 스마트버튼, 스마트 콘센트, 가스밸브를 포함하는 제어 기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네트워크 시스템의 사용패턴 수치화를 통한 패턴지수 산출 방법.
KR1020140127823A 2014-09-24 2014-09-24 홈네트워크 시스템의 사용패턴 수치화를 통한 패턴지수 산출 방법 KR2016003589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7823A KR20160035894A (ko) 2014-09-24 2014-09-24 홈네트워크 시스템의 사용패턴 수치화를 통한 패턴지수 산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7823A KR20160035894A (ko) 2014-09-24 2014-09-24 홈네트워크 시스템의 사용패턴 수치화를 통한 패턴지수 산출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5894A true KR20160035894A (ko) 2016-04-01

Family

ID=557992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7823A KR20160035894A (ko) 2014-09-24 2014-09-24 홈네트워크 시스템의 사용패턴 수치화를 통한 패턴지수 산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3589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32358A (ko) * 2016-09-22 2018-03-30 (주)아씨오 홈 서비스 시스템
KR20180133155A (ko) * 2017-06-05 2018-12-13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커머스 서비스서버 및 그 동작 방법, 그리고 사용자단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32358A (ko) * 2016-09-22 2018-03-30 (주)아씨오 홈 서비스 시스템
KR20180133155A (ko) * 2017-06-05 2018-12-13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커머스 서비스서버 및 그 동작 방법, 그리고 사용자단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14721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smart spaces
KR102277752B1 (ko)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한 홈 디바이스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
US10584892B2 (en) Air-conditioning control method, air-conditioning control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US10147308B2 (en) Method and system for consolidating events across sensors
EP2748973B1 (en) Synergistic interface system for a building network
US9602172B2 (en) User identification and location determination in control applications
RU2617330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рекомендации режима сценария для интеллектуального устройства
US9437060B2 (en) Initiating remote control using near field communications
CN106557831B (zh) 在不在预测方法和在不在预测装置
Wang et al. Anycontrol--iot based home appliances monitoring and controlling
CN109752960A (zh) 一种智能家居联动控制方法及装置
KR102331946B1 (ko) 재실 추론 확률에 기반한 홈 IoT 제어 시스템 및 홈 IoT 제어 방법
Bhat et al. Implementation of IoT in smart homes
KR20170104953A (ko) 시스템을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
US9915930B2 (en) Smart-home control platform having morphable locus of machine intelligence based on characteristics of participating smart-home devices
KR20170115648A (ko)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US10652040B2 (en) Common social interface for system controls
WO2015143099A2 (en) Home automation systems, methods, and computer-readable media
JP2017092794A (ja) 機器制御システム、機器制御装置および機器制御プログラム
KR20160035894A (ko) 홈네트워크 시스템의 사용패턴 수치화를 통한 패턴지수 산출 방법
Saravanan et al. Smart real-time meeting room
KR101834066B1 (ko) 공유기를 이용한 머신 소셜라이제이션 기반 기기간 협업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N110989430A (zh) 一种智能家居联动方法、系统和可读存储介质
EP3926965A1 (en) Automation and recommendation based on device control protocols
CN103973472A (zh) 用于确定建筑物中的人员的存在情况的方法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