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4066B1 - 공유기를 이용한 머신 소셜라이제이션 기반 기기간 협업 관리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공유기를 이용한 머신 소셜라이제이션 기반 기기간 협업 관리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4066B1
KR101834066B1 KR1020160034219A KR20160034219A KR101834066B1 KR 101834066 B1 KR101834066 B1 KR 101834066B1 KR 1020160034219 A KR1020160034219 A KR 1020160034219A KR 20160034219 A KR20160034219 A KR 20160034219A KR 101834066 B1 KR101834066 B1 KR 1018340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laborative
event
devices
task
collabo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42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09954A (ko
Inventor
정회경
김웅준
류승한
Original Assignee
배재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재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배재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0342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4066B1/ko
Publication of KR201701099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99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40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40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3/00Testing or monitoring of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 G05B23/02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 G06Q50/30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Computer And Data Communic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른 기종의 기기들간 원활한 소통이 가능한 머신 소셜라이제이션 환경을 구현하기 위해 유무선 공유기를 이용하여 기기들간 관계를 맺고 협업을 관리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다른 기종의 기기들에 대한 기기(device) 정보, 작업(Task) 정보, 기기간 관계(relation) 정보를 정의하여 XML문서에 저장하고 작업에 대한 이벤트가 발생되면 해당 작업에 관계하는 기기들에게 작업 명령을 내리는 기기 협업 관리 서버를 제공하되, 기기 협업 관리 서버를 유무선 공유기 내에 구현하여 저전력으로 네트워크를 통해 여러 기기들의 협업을 관리할 수 있는, 공유기를 이용한 머신 소셜라이제이션 기반 기기간 협업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공유기를 이용한 머신 소셜라이제이션 기반 기기간 협업 관리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COLLABORATION BETWEEN THE DEVICES BASED ON MACHINE SOCIALIZATION USING ACCESS POINT}
본 발명은 다른 기종의 기기들간 원활한 소통이 가능한 머신 소셜라이제이션 환경을 구현하기 위해 유무선 공유기를 이용하여 기기들간 관계를 맺고 협업을 관리하는, 공유기를 이용한 머신 소셜라이제이션 기반 기기간 협업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 이하 IoT)은 기존에 인간이 기기에게 명령을 내리는 방식이 아닌, 기기와 기기들이 서로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시스템을 의미한다.
최근, 사물인터넷 기술이 스마트 홈, 스마트 농장, 스마트 카, 가전제품, 원격 검침, 헬스 케어, 원격 진료 등 다양한 분야에 보급됨에 따라 서비스를 받는 사용자는 좀 더 편한 생활을 누릴 수 있게 되었다.
이에 따라 시대의 흐름에 맞게 기기를 이용한 다양한 가전제품 및 전자기기를 제어하는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며, IoT 관련 제품 및 플랫폼들이 많이 출시되고 있다.
그런데, 자사의 시스템과 플랫폼, 기기들 간의 소통만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타사 기기와는 호환이 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사물인터넷 이전의 아날로그 제품들은 이러한 스마트 시스템에 적용되지 못하는 문제점도 있다.
이에 본 출원인은 기기 정보, 작업 정보, 관계 정보를 나타내는 스키마와 이벤트를 받아 기기들에게 작업 명령을 내리는 시스템을 제안하게 되었으며, 이와 관련된 선행기술문헌으로는 한국등록특허 제10-1027009호(발명의 명칭: 클라이언트 단말 장치, 협업 서비스 장치, 실시간 스트리밍 장치, 협업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등록일: 2011.03.29.)가 있다.
본 발명은 서로 다른 플랫폼을 탑재한 다른 기종의 기기들 간 호환이 가능하도록 기기(device) 정보, 작업(Task) 정보, 기기간 관계(relation) 정보를 정의하여 저장하고 작업에 대한 이벤트가 발생되면 해당 작업에 관계하는 기기들에게 작업 명령을 내리는 기기 협업 관리 서버를 제공하되, 기기 협업 관리 서버를 유무선 공유기 내에 구현함으로써 저전력으로 네트워크를 통해 여러 기기들의 협업을 관리할 수 있는 공유기를 이용한 머신 소셜라이제이션 기반 기기간 협업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네트워크 통신이 가능한 마이크로 컨트롤러가 마련되는 다수의 협업 기기; 상기 다수의 협업 기기들이 협업하여 원하는 작업(task)을 수행하도록 이벤트를 발생시키는 이벤트 발생 기기; 및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를 통해 상기 다수의 협업 기기와 통신이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다수의 협업 기기에 대한 기기 정보(Device_info), 작업 정보(Task_info), 협업 관계 정보(Relation_info)를 정의하여 XML 스키마에 저장하며, 상기 이벤트 발생 기기로부터 이벤트가 발생되면 상기 XML 스키마에 저장되어 있는 협업 기기들을 탐색하여 상기 이벤트에 대응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주변의 협업 기기들에게 작업 명령을 전달하는 유무선 공유기;를 포함하는 공유기를 이용한 머신 소셜라이제이션 기반 기기간 협업 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유무선 공유기는, 상기 주변의 협업 기기들에 신호를 전달하여 기기를 탐색하고 상기 탐색을 통해 상기 이벤트에 대응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협업 기기들과 연결하며, 상기 작업 명령을 전달한 협업 기기의 동작이 완료되면 상기 협업 기기로부터 완료 신호(Result code)를 피드백받고 상기 기기 정보에 협업기기의 상태를 저장하도록 상기 XML 스키마로 전달한다.
상기 유무선 공유기는, 상기 이벤트 발생 기기로부터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이벤트에 대응되는 작업 정보를 인식하는 이벤트 발생 인식모듈; 상기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XML 스키마에 저장되어 있는 모든 기기들을 탐색하고 상기 XML 스키마에 저장된 기기 정보 및 작업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이벤트에 대응되는 작업 정보와 매칭되는 주변 협업 기기를 탐색하는 주변 기기 탐색 모듈; 및 상기 탐색된 협업 기기 중에서 해당 작업을 우선적으로 수행할 협업 기기를 추출하고 추출된 협업 기기에게 작업 명령을 전달하여 기기의 동작을 실행하는 작업 실행 모듈;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유무선 공유기는, 상기 주변 기기 탐색 모듈을 통해 탐색된 협업 기기에 대하여 기기 상태를 체크하여 현재 동작이 가능한 상태인지를 확인하고, 상기 기기 상태가 "busy"이면 해당 협업 기기의 동작이 완료될 때까지 대기 상태로 처리하는 협업기기 모니터링 모듈;을 더 포함한다.
상기 작업 실행 모듈은, 상기 탐색된 협업 기기 중에서 해당 작업을 우선적으로 수행할 1순위 협업 기기를 추출하여 작업 명령을 전달하고, 상기 1순위 협업 기기의 실행이 완료되면 상기 XML 스키마에 저장된 협업 관계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실행이 완료된 협업 기기 외 나머지 동작 가능한 협업 기기들에서 해당 작업을 우선적으로 수행할 차기 협업 기기를 탐색하고 작업 명령을 전달한다.
상기 작업 실행 모듈은, 상기 차기 협업 기기에게 작업 명령을 전달하기 전에, 상기 협업기기 모니터링 모듈을 통해 상기 기기의 상태를 체크한 후 동작이 가능한 상태인 경우 상기 작업 명령을 전달한다.
또한, 상기 유무선 공유기는, 상기 다수의 협업 기기에 대한 기기 정보(Device_info), 작업 정보(Task_info), 협업 관계 정보(Relation_info)를 각각 정의하고 기계적인 정보 처리가 가능하도록 XML 문서로 작성하며 상기 XML 문서에 포함된 정보의 수정 및 갱신이 가능한 XML 스키마;를 더 포함한다.
상기 이벤트 발생 인식모듈은, 사용자 단말로부터 작업에 관한 이벤트 버튼의 신호를 수신하거나, 센서 또는 임의 기기로부터 측정된 센싱값을 수신하여 이벤트 발생 여부를 감지하되, 상기 센싱값이 수신되는 경우 상기 센싱값을 기 설정된 기준치와 비교하여 작업이 필요한 경우에만 상기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다.
여기서, 상기 모듈들은 USB 메모리에 탑재되고, 상기 USB 메모리를 공유기 내 마운팅하여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작업 실행 모듈은, 상기 이벤트에 대하여 작업을 두 개 이상 병행하여 수행할 수 있으며, 상기 두 개 이상의 작업 간 우선순위를 설정하고 상기 두 개 이상의 작업에 중복되는 협업 기기에 대해서는 설정된 작업 간 우선순위에 따라 작업을 실행하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유무선 공유기를 이용하여 다수의 협업 기기간 통신이 가능하게 연결된 시스템에서의 기기 간 협업 관리 방법으로서, 상기 유무선 공유기가 상기 다수의 협업 기기에 대한 기기 정보(Device_info), 작업 정보(Task_info), 협업 관계 정보(Relation_info)를 정의하여 XML 스키마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다수의 협업 기기들이 협업하여 원하는 작업(task)을 수행하도록 이벤트 발생 기기로부터 이벤트가 발생되는 단계; 및 상기 유무선 공유기가 상기 이벤트 발생 기기로부터 이벤트가 발생되면 상기 XML 스키마에 저장되어 있는 협업 기기들을 탐색하고, 상기 이벤트에 대응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주변의 협업 기기들에게 작업 명령을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공유기를 이용한 머신 소셜라이제이션 기반 기기 간 협업 관리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작업 명령을 전달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유무선 공유기의 이벤트 발생 인식모듈이, 상기 이벤트 발생 기기로부터 발생된 이벤트와 대응되는 작업 정보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유무선 공유기의 주변 기기 탐색 모듈이, 상기 XML 스키마에 저장되어 있는 모든 기기들을 탐색하고 상기 XML 스키마에 저장된 기기 정보 및 작업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이벤트에 대응되는 작업 정보와 매칭되는 주변 협업 기기를 탐색하는 단계; 상기 유무선 공유기의 작업 실행 모듈이 상기 탐색된 협업 기기 중에서 해당 작업을 우선적으로 수행할 1순위 협업 기기를 추출하여 작업 명령을 전달하고, 상기 1순위 협업 기기의 실행이 완료되면 상기 XML 스키마에 저장된 협업 관계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실행이 완료된 협업 기기 외 나머지 동작 가능한 협업 기기들에서 해당 작업을 우선적으로 수행할 차기 협업 기기를 탐색하고 작업 명령을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이벤트와 대응되는 작업 정보를 인식하는 단계는, 상기 이벤트 발생 인식모듈이, 사용자 단말로부터 작업에 관한 이벤트 버튼의 신호를 수신하거나, 센서 또는 임의 기기로부터 측정된 센싱값을 수신하여 이벤트 발생 여부를 감지하되, 상기 센싱값이 수신되는 경우 상기 센싱값을 기 설정된 기준치와 비교하여 작업이 필요한 경우에만 상기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작업 명령을 전달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이벤트에 대하여 작업을 두 개 이상 병행하여 수행하는 경우, 상기 작업 실행 모듈이 상기 두 개 이상의 작업 간 우선순위를 설정하고 상기 두 개 이상의 작업에 중복되는 협업 기기에 대해서는 설정된 작업 간 우선순위에 따라 작업을 실행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기(device) 정보, 작업(Task) 정보, 기기간 관계(relation) 정보를 정의하여 저장하고 작업에 대한 이벤트가 발생되면 해당 작업에 관계하는 협업 기기들에게 작업 명령을 내리는 머신 소셜라이제이션 환경을 제공함으로써 서로 다른 플랫폼을 갖는 다른 기종의 기기들 간 호환이 가능한 사물인터넷을 구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머신 소셜라이제이션 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기기 협업 관리 서버를 유무선 공유기에 구현함으로써 저전력으로 네트워크를 통해 여러 기기들의 협업을 관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시스템은 외부에서 가정 내 기기 제어 뿐만 아니라 센서와 시간 등 기기 자체가 상황을 인지하여 작업을 동작시킬 수 있는 능력을 부여함으로써 효과적으로 기기간 협업을 관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품의 플랫폼 종류에 상관없이 서버 내의 스키마 규격에 알맞은 정보를 갖추고 있으면 언제든 시스템에 접목될 수 있으므로 기존 아날로그 제품에도 활용이 가능하고, 나아가 사물인터넷을 활성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머신 소셜라이제이션 기반 기기 간 협업 관리 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의 유무선 공유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유무선 공유기의 상세도이다.
도 4는 유무선 공유기에서 센서로부터 생성된 데이터의 전달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에 기초하여 두 개의 작업을 협업하여 수행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유기를 이용하여 기기 간 협업을 관리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전체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에서 이벤트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명세서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시뮬레이션 시스템 구성을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다른 기종 기기의 플랫폼을 동일화 시키고 다른 기종의 기기 간에 데이터 교환 및 효과적인 처리가 가능하도록 웹 표준 언어 XML 기반으로 한 스키마를 제안하고자 한다.
최근 무수히 많은 사물인터넷 규격과 시스템이 출시되었지만, 보통 자사의 시스템과 플랫폼, 기기들 간의 소통만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타사 기기와는 호환이 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무엇보다 기존 기기와 타 기기 간 즉, 다른 플랫폼을 탑재한 기종의 기기간에 협업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표준규격과 서버 구축이 필요한데, 본 발명의 실시예는 표준규격화를 위해 기기 정보, 작업 정보, 기기간 관계 정보를 정의하여 XML 기반으로 저장한 스키마 구조를 제안하고, 서버는 항시 네트워크에 연결이 되어 있어야 하므로 가정이나 건물 내에 흔히 사용되는 네트워크에 연결된 기기인 공유기를 활용하여 서버를 구축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머신 소셜라이제이션 기반 기기 간 협업 관리 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기 간 협업 관리 시스템은 유무선 공유기(100)와, 유무선 공유기(100)를 통해 네트워크 통신이 가능한 다수의 협업 기기(300-1, 300-2 내지 300-k; 이하 300으로 통칭함), 및 이벤트 발생 기기(200)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다수의 협업 기기(300)는 가정의 경우 컴퓨터(300-1), 세탁기(300-2), 전기밥솥, 창문, 청소기(300-k) 등이 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가전제품, 사무용품, 센서, 스마트폰과 같은 스마트기기 등의 모든 사물을 포함한다.
다수의 협업 기기(300)에는 유무선 공유기(100)에 접속하여 네트워크 통신이 가능한 마이크로 컨트롤러가 마련된다. 마이크로 컨트롤러는 펌웨어 업데이트가 쉽고 오픈소스를 사용하며, 최근 사물인터넷에서 각광받고 있는 아두이노(Arduino)를 적용할 수 있다. 따라서, 다수의 협업 기기(300)에 마련된 마이크로 컨트롤러는 와이파이 쉴드(WiFi shield)와 연결되어 유무선 공유기(100)와 데이터를 주고받으며 기기 간 협업을 진행할 수 있도록 제공한다.
이처럼, 다수의 협업 기기(300)는 기존의 전자기기 등에 유무선 공유기(100)에 접속할 수 있는 마이크로 컨트롤러를 탑재함으로써 기존 아날로그 기기에도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벤트 발생 기기(200)는 다수의 협업 기기(300)들이 협업하여 원하는 작업(task)을 수행하도록 이벤트를 발생시킨다.
이벤트는 사용자의 직접적인 명령, 기기나 센서에서 발생되는 값 등이 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의 직접적인 명령은 거실의 온도를 조절하라는 이벤트 버튼 또는 청소를 시작하는 이벤트 버튼 등이 될 수 있다. 이는 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고 항상 휴대할 수 있는 네트워크 연결이 가능한 스마트폰인 사용자 단말(210)에서 발생될 수 있다. 또한, 기기나 센서에서 발생되는 값은 타이머(230), 가정 내 기기에 부착된 온도, 습도, 조도 등의 센서(240), SNS(Social Network Service; 220) 등에서 발생될 수 있다.
유무선 공유기(100)는 이벤트 발생 기기(200) 및 다수의 협업 기기(300)와 연결되어, 센서나 사용자로부터 오는 이벤트에 따라 다수의 협업 기기(300)들을 관리한다. 이때, 유무선 공유기(100)는 다수의 협업 기기(300) 간 관계를 참조하여 이벤트에 따른 시나리오 즉, 기기들의 작업 스케줄을 정의해 두고, 발생되는 이벤트에 따라 해당 시나리오를 실행하여 기기 간 협업 작업을 관리한다.
이를 위한 유무선 공유기(100)는 구체적으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된다.
유무선 공유기(100)에는 작업이 시작되기 위한 이벤트 처리와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XML 스키마(120), 데이터베이스(130), 기기 협업 작업을 총괄하는 기기 관리부(110)로 구성된다.
그리고, 이러한 구성에 기초하여 동작하기 위해 유무선 공유기(100)는 OpenWrt의 운영체제를 설치하고, 공유기 내에 서버를 구축한 뒤 IP를 할당하여 PHP로 구성된 기기관리부(110), XML 스키마(120), 데이터베이스(130)를 내재하는 형식으로 설계된다. 서버에는 기기 각각의 정보와, 등록된 기기들이 수행해야 할 작업의 정보, 기기의 기능과 기능간의 관계 정보를 담고 있어야 한다. 또한 이벤트를 받아 기기끼리 협업을 하기 위해서는 기기 각각의 기능과 상호간의 관계를 알아야 시나리오를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중앙 집중형 처리 방식으로 유무선 공유기(100)를 사용하여 서버를 구현한다.
그런데, 서버를 구현하기엔 유무선 공유기(100) 저장 공간이 부족할 수 있으므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USB 메모리를 유무선 공유기(100)에 마운트(mount)하여 저장 공간을 확충할 수 있다.
XML 스키마(120)는 기기 스키마(121), 작업 스키마(122), 협업 관계 스키마(123)로 구성된다.
기기 스키마(121)는 다수의 협업 기기에 대한 기기의 정보(Device_info)를 정의하여 기계적인 정보 처리가 가능하도록 XML 문서에 저장한다. XML 문서는 모든 기기를 구분 및 분류할 수 있는 고유 정보를 관리하는 스키마이다. 기기의 정보(Device_info)는 기기의 고유번호, 기기의 기능, 모델명, 네트워크, 메인보드, 제조업체 등의 정보를 포함한다.
작업 스키마(122)는 기기가 수행할 작업 정보(Task_info)를 정의하여 기계적인 정보 처리가 가능하도록 XML 문서에 저장한다. 작업 정보(Task_info)는 작업 고유번호, 기기가 수행할 작업에 대한 설명, 우선순위, 해당 작업에 대한 기기의 순서 결정 및 기기들의 그룹화를 진행하는 정보 등을 포함한다.
협업관계 스키마(123)는 기기들간 유동적인 관계 즉, 협업을 위한 관계 정보(Relation_info)를 정의하여 기계적인 정보 처리가 가능하도록 XML 문서에 저장한다. 협업을 위한 관계 정보(Relation_info)는 기기들의 관계 고유번호, 해당 협업관계가 정의된 기기들, 기기들 간의 협업관계를 나타내는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기기 관리부(110)는 XML 스키마(120) 및 데이터베이스(130)와 상호 연동하여 기기 협업 작업을 총괄한다. 즉, 기기 관리부(110)는 이벤트 발생 기기로부터 수신된 센싱값, 리턴값을 데이터베이스(130)로 보낸 뒤 데이터베이스(130)에서 다시 값을 불러들여서 XML 스키마(120)에 다시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 XML 스키마(120)에 바로 저장하지 않고 데이터베이스(130)를 거쳐 저장하는 것은 XML을 저장할 때 아두이노인 와이파이 쉴드(113)와 기기 관리부(110)간 연결에 문제가 발생하기에 데이터베이스(130)를 거치는 방식을 적용한 것이다. 그러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데이터베이스(130)를 거치지 않고 XML 스키마(120)에 바로 저장하는 것도 가능하다.
기기 관리부(110)는 XML 스키마(120)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를 바탕으로 이벤트에 따른 시나리오, 기기 선택, 작업 선택 등의 작업을 실행한다. 이를 테면, 기기 관리부(110)는 사용자단말(도 1의 210)이나 센서(240), 타이머(230), SNS(220)에 의해 전달된 이벤트로부터 대응되는 작업 정보를 선정하고 작업 정보와 매칭되는 협업 기기를 탐색하여 해당 협업 기기들에게 작업 명령을 전달하여 작업을 실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기기 관리부(110)는 이벤트 발생 인식모듈(111), 주변 기기 탐색 모듈(112), 협업기기 모니터링 모듈(113), 작업 실행 모듈(114)을 포함한다.
이벤트 발생 인식모듈(111)은 이벤트 발생 기기(도 1의 200)으로부터 임의 이벤트가 발생하면 이벤트에 대응되는 작업 정보를 인식한다. 이벤트가 사용자의 직접적인 명령인 경우에는 작업 정보를 바로 인식할 수 있지만, 센서나 타이머, SNS로부터 발생되는 신호의 경우에는 발생된 신호를 기 저장된 기준치와 비교하여 기준치에 벗어나거나 기준치를 만족하는지 등에 따라 작업이 필요한지를 판단함으로써 이벤트 발생 여부를 판단한다.
이벤트는 기기들이 수행할 작업과 관계하는 것으로 시나리오 즉, 기기들의 작업 스케줄을 결정하게 된다. 예컨대, '온도조절' 작업 버튼을 실행하면 '온도조절'이라는 이벤트가 발생하게 되고 실내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작업 시나리오를 작업 정보(Task_info)에서 불러온다. 또한, 센서로부터 현재 온도값이 수신되고 수신된 현재 온도값이 기준치보다 높은 경우 '온도조절'이라는 이벤트가 발생하게 되며 실내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작업 시나리오가 결정된다.
이벤트 발생 인식모듈(111)은 이벤트에 대응되는 작업 정보로서 작업의 고유번호(Task_num)를 불러올 수 있다.
주변 기기 탐색 모듈(112)은 임의 이벤트가 발생하면 XML 스키마(120)에 의해 저장되어 있는 모든 기기들에 대한 정보를 탐색하고, 이벤트 발생 인식모듈(111)로부터 이벤트에 대응되는 작업 정보를 전달받으면 해당 작업 정보와 관계하는 즉, 해당 작업에 동작해야 할 주변의 협업 기기를 탐색한다. 이를 테면,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작업 정보와 대응되는 온도 센서, 창문, 에어컨, 선풍기 등을 탐색하게 된다.
협업기기 모니터링 모듈(113)은 주변 기기 탐색 모듈(112)을 통해 탐색된 협업기기에 대하여 기기의 상태를 체크하여 현재 동작이 가능한 상태인지를 확인한다. 확인 결과, 탐색된 협업 기기가 이미 동작 중이어서 "busy"한 상태이면 대기 상태로 전환하여 해당 기기의 작업이 끝날 때까지 기다리도록 설정할 수 있다.
작업 실행 모듈(114)은 협업기기 모니터링 모듈(113)에서 현재 동작이 가능한 상태로 확인되는 협업 기기 중에서 해당 작업을 우선적으로 수행할 1순위 협업 기기를 추출하고, 추출된 1순위 협업기기에 작업 명령을 전달하여 기기의 동작을 실행한다.
또한, 작업 실행 모듈(114)은 1순위 협업기기의 실행이 완료되면 XML 스키마(120)에 저장되어 있는 협업 관계 정보(Relation_info)를 참조하여, 나머지 동작 가능한 협업 기기들에서 해당 작업을 우선적으로 수행할 차기 협업 기기를 탐색한다. 그리고, 탐색된 차기 협업 기기에게 작업 명령을 전달하여 기기의 동작을 실행한다. 이때, 작업 실행 모듈(114)은 나머지 동작 가능한 협업 기기들에 대하여 작업 우선순위에 따라 정렬하고, 정렬된 순서에 따라 기기의 동작을 순차적으로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작업 실행 모듈(114)은 차기 협업 기기에게 작업 명령을 전달하기 전에, 협업기기 모니터링 모듈(113)을 통해 해당 기기의 상태를 체크한 후 차기 협업 기기가 동작이 가능한 상태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 차기 협업 기기가 동작이 가능한 상태이면 차기 협업 기기에게 작업 명령을 전달한다.
또한, 작업 실행 모듈(114)은 작업 명령을 전달한 협업기기의 동작이 완료되면 해당 협업기기로부터 완료 신호(result code)를 피드백받고 기기 정보에 협업기기의 상태를 저장하도록 XML 스키마(120)로 전달한다.
또한, 작업 실행 모듈(114)은 하나의 이벤트에 대하여 두 개 이상의 시나리오가 수행될 수 있는데 이 경우 각각의 시나리오에 대하여 우선순위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작업 실행 모듈(114)은 임의 작업이 진행되는 도중 다른 작업이 끼어들거나 두 개 이상의 작업이 병행하여 실행될 때 작업에 우선권을 줄 수 있다. 따라서, 여러 작업이 중복 실행될 때 작업 실행 모듈(114)은 작업 스키마(122)에서 작업끼리의 우선순위를 비교하여 우선순위가 높은 작업부터 진행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설정된 시간에 자동으로 집안을 청소하는 제1 시나리오(Task1)와 작업의 스케줄을 집안의 온도를 사용자가 선호하는 온도로 조절하는 제2 시나리오(Task2)로 나누었고, 2개의 시나리오가 창문(Window)에서 겹쳐지도록 설계하였다.
제2 시나리오에서, 센서에서 받아진 온도값은 기기관리부를 통해 기기 정보(device_info)에 저장이 되고 저장된 온도값을 보고 온도 조절 작업에 대한 이벤트가 발생한다. 제1 시나리오의 청소 작업은 적정 시간이 되면 실행되도록 하고 두 작업 간 우선순위는 청소 작업을 더 높게 설정한다. 각각의 기기들은 실행이 완료된 Result code를 반환하고 이를 보고 다음 작업으로 진행된다. 도 5의 흐름도는 처음 유무선 공유기에서 주변의 모든 기기에서 신호를 전달하여 기기를 탐색한 후 탐색된 기기와 유무선 공유기가 연결된다. 그리고 제1 시나리오의 이벤트가 발생되고 유무선 공유기에서 데이터를 요청하여 작업이 시작된다. 탐색된 기기 중 해당 작업을 우선적으로 수행할 1순위 기기의 상태를 체크하여 동작을 시작하게 되고 끝남과 동시에 관계를 맺어 다음 작업할 기기를 선정하게 된다. 선정된 기기 또한 상태를 체크하여 동작 여부를 결정하여 하나의 이벤트를 끝마치게 된다. 이때, 제2 시나리오는 집안의 온도가 올라가면 창문이 닫히고 에어컨이 가동되면서 선풍기가 동작되고, 제1 시나리오는 특정 시간을 설정하고 해당 시간이 되면 창문이 열리고 오디오가 동작한 후 청소기가 동작하도록 정의되어 있는데, 창문 작업에서 중복 실행되는 경우, 제1 시나리오에 따른 창문 작업과 제2 시나리오에 따른 창문 작업은 상반된다. 따라서, 유무선 공유기는 작업 스키마(122)에 저장된 작업의 우선순위를 비교하여 우선순위가 높은 작업부터 진행한다.
도 4는 유무선 공유기에서 센서로부터 생성된 데이터의 전달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이벤트 발생 기기 중 하나인 센서에서 읽어들인 값이나 기기 동작이 끝난 후 발생되는 결과값을 통해 작업이 시작된다. 센서를 통해 감지된 값은 유무선 공유기의 아두이노 보드에 전달되어 변수 형태로 저장되고, 유무선 공유기 내 와이파이 쉴드를 통해 기기 관리부(110)에 Get 방식으로 보내진다. 데이터를 전달받은 기기 관리부(110)는 XML 스키마(120)에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해 먼저 데이터베이스(130)로 전달한다. 데이터베이스(130)에 업데이트 형식으로 저장된 데이터는 다시 기기 관리부(110)에 의해 호출되고 XML 스키마(120)에 저장된다. 기기 동작이 끝나면 생성되는 완료 신호(result code) 역시 위와 같은 방법으로 생성 및 저장된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구성에 기초하여 기기 간 협업을 관리하는 방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유기를 이용하여 기기 간 협업을 관리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전체 흐름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에서 이벤트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먼저 도 6을 참조하면, S100 단계 이전에 준비 단계로서, 본 발명의 시스템은 유무선 공유기에, 다수의 협업 기기에 대하여 기본 정보(Device_info), 기기들에 대한 작업 정보(Task_info), 기기들 간 협업 관계 정보(Relation_info)를 각각 정의하여 XML 스키마에 저장한다.
예컨대, '청소(Task1)' 및 '온도조절(Task2)'에 대한 이벤트를 정의하고, 청소(Task1) 이벤트에 대하여 동작할 기기들로서 전자시계, 창문, 오디오, 로봇청소기 등의 기기 정보를 정의한다. 이와 마찬가지로 온도조절(Task2) 이벤트에 대하여 동작할 기기들로 온도 센서, 창문, 에어컨, 선풍기 등의 기기 정보를 정의한다. 또한, 각 이벤트에 대한 기기들에 작업 정보 및 이들간 우선순위 관련 협업 관계 정보를 정의할 수 있다. 온도조절(Task2) 이벤트의 경우, 온도 센서를 1순위로 실행하고 센싱된 온도에 따라 창문을 닫고(2순위), 에어컨을 가동하거나(3순위), 선풍기를 부가적으로 동작시키는(4순위) 순서로 시나리오를 정의할 수 있다.
이처럼 XML 스키마의 구축이 완료되면, S100 단계와 같이, 이벤트 발생 기기에서 다수의 협업 기기들이 협업하여 원하는 작업을 수행하도록 이벤트를 발생하고, 유무선 공유기의 이벤트 발생 인식모듈이 사용자단말 또는 센서, SNS 등을 포함한 이벤트 발생 기기로부터 이벤트에 관한 신호를 수신하여 이벤트의 발생을 감지한다.
이벤트 발생 감지는 도 7에 도시한 것처럼, 사용자단말에 의한 직접적인 명령, 센서 또는 임의 기기로부터 측정된 센싱값을 이용할 수 있다.
S111 단계와 같이, 이벤트 발생 인식모듈이 사용자단말로부터 작업 ID에 대응하는 버튼 선택으로 작업 지시 신호를 수신하고, 이로 인해 S115 단계와 같이 이벤트 발생 여부를 감지한다.
또, S112 단계와 같이, 이벤트 발생 인식모듈이 센서 또는 임의 기기(SNS, 타이머 등)으로부터 측정된 센싱값을 수신하면, S113 및 S114 단계와 같이 센싱값을 저장된 기준치와 비교하여 기준치를 초과하거나 벗어나는 경우 또는 기준치를 만족하는지에 따라 작업이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한다.
작업이 필요하면 S115 단계와 같이 이벤트를 발생시킨다.
다음 S110 단계에서, 유무선 공유기의 이벤트 발생 인식모듈이, 발생된 이벤트와 대응되는 작업 정보를 검색하여 인식한다. 작업 정보는 이벤트에 대응되는 작업의 고유번호(Task_num)가 될 수 있다. 예컨대, '온도조절' 버튼 이벤트가 발생되면 Task1 이라는 작업 고유번호가 주변 기기 탐색 모듈로 전달된다.
다음 S120 단계에서, 유무선 공유기의 주변 기기 탐색 모듈이, 이벤트 발생에 의해 XML 스키마에 저장되어 있는 모든 기기들을 탐색하고, 탐색 목록에서 기기 정보와 이벤트와 대응되는 작업정보를 비교하여 해당 작업에 동작해야 할 주변의 협업 기기를 탐색한다.
탐색을 통해, 유무선 공유기의 작업 실행 모듈이 탐색된 협업 기기에게 작업 명령을 전달하여 기기의 동작을 실행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S130 단계와 같이, 유무선 공유기의 작업 실행 모듈이 탐색된 협업 기기 중 해당 작업을 우선적으로 실행할 1순위 기기를 선택한다.
다음 S140 단계와 같이, 유무선 공유기의 협업기기 모니터링 모듈이, XML 스키마에 저장되어 있는 기기 스키마를 참조하여 주변 기기 탐색 모듈을 통해 탐색된 협업 기기의 상태를 체크할 수 있다. 체크를 통해 탐색된 협업 기기가 현재 동작이 가능한 상태인지를 확인한다.
기기의 상태가 'busy' 상태이면 이전 단계로 돌아가거나, 대기 상태로 전환하여 해당 기기의 작업이 끝날 때까지 기다린다.
기기의 상태가 'no busy' 상태이면, S150 와 같이, 유무선 공유기가 해당 협업 기기로 연결하여 조인한다.
다음 S160 단계와 같이, 유무선 공유기의 작업 실행 모듈이 해당 협업 기기로 작업 명령을 전달하여 기기의 동작을 실행한다.
기기의 실행이 완료되면, 해당 협업 기기는 결과값을 반환하고, 유무선 공유기는 해당 협업 기기로부터 완료 신호(result code)를 수신한다.
다음 S170 단계에서, 유무선 공유기는 완료 신호의 수신을 기점으로 XML 스키마의 협업 관계 스키마를 참조하여 다음 실행할 협업기기를 조회한다. 조회 결과 다음 실행할 협업기기에 대하여 상태와 우선순위를 확인하고 작업을 이어 진행한다. 임의 작업이 진행되는 도중 다른 작업이 끼어들게 되면 작업 스키마에서 작업끼리의 우선순위를 비교하여 우선순위가 높은 작업부터 진행하도록 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해석 되어야 하며, 그와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해야 할 것이다.
100: 유무선 공유기(AP) 200: 이벤트 발생 기기
210: 사용자단말 220: SNS
230: 타이머(시간) 240: 센서
300: 다수의 협업기기 110: 기기 관리부
120: XML 스키마 130: 데이터베이스
111: 이벤트 발생 인식모듈 112: 주변 기기 탐색 모듈
113: 협업기기 모니터링 모듈 114: 작업 실행 모듈
121: 기기 스키마 122: 작업 스키마
123: 협업 관계 스키마

Claims (14)

  1. 네트워크 통신이 가능한 마이크로 컨트롤러가 마련되는 다수의 협업 기기;
    상기 다수의 협업 기기들이 협업하여 원하는 작업(task)을 수행하도록 이벤트를 발생시키는 이벤트 발생 기기; 및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를 통해 상기 다수의 협업 기기와 통신이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다수의 협업 기기에 대한 기기 정보(Device_info), 작업 정보(Task_info), 협업 관계 정보(Relation_info)를 정의하여 XML 스키마에 저장하며, 상기 이벤트 발생 기기로부터 이벤트가 발생되면 상기 XML 스키마에 저장되어 있는 협업 기기들을 탐색하여 상기 이벤트에 대응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주변의 협업 기기들에게 작업 명령을 전달하며, 상기 작업 명령을 전달한 협업 기기의 동작이 완료되면 상기 협업 기기로부터 완료 신호(Result code)를 피드백받고 상기 기기 정보에 협업기기의 상태를 저장하도록 상기 XML 스키마로 전달하는 유무선 공유기;
    를 포함하고,
    상기 유무선 공유기의 기기 관리부는
    상기 이벤트 발생 기기로부터 수신된 센싱값 또는 리턴값을 상기 XML 스키마에 바로 저장하지 않고 데이터베이스로 전달하여 저장한 후, 상기 센싱값 또는 상기 리턴값을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다시 불러들여서 상기 XML 스키마에 다시 저장하며,
    상기 완료 신호 및 상기 센싱값 또는 리턴값은
    상기 유무선 공유기의 아두이노 보드에 전달되어 변수 형태로 저장되고, 상기 유무선 공유기 내 와이파이 쉴드를 통해 상기 기기 관리부에 겟(Get) 방식으로 전달되는 공유기를 이용한 머신 소셜라이제이션 기반 기기간 협업 관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무선 공유기는,
    상기 주변의 협업 기기들에 신호를 전달하여 기기를 탐색하고 상기 탐색을 통해 상기 이벤트에 대응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협업 기기들과 연결하는 공유기를 이용한 머신 소셜라이제이션 기반 기기간 협업 관리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무선 공유기는,
    상기 이벤트 발생 기기로부터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이벤트에 대응되는 작업 정보를 인식하는 이벤트 발생 인식모듈;
    상기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XML 스키마에 저장되어 있는 모든 기기들을 탐색하고 상기 XML 스키마에 저장된 기기 정보 및 작업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이벤트에 대응되는 작업 정보와 매칭되는 주변 협업 기기를 탐색하는 주변 기기 탐색 모듈; 및
    상기 탐색된 협업 기기 중에서 해당 작업을 우선적으로 수행할 협업 기기를 추출하고 추출된 협업 기기에게 작업 명령을 전달하여 기기의 동작을 실행하는 작업 실행 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유기를 이용한 머신 소셜라이제이션 기반 기기간 협업 관리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유무선 공유기는,
    상기 주변 기기 탐색 모듈을 통해 탐색된 협업 기기에 대하여 기기 상태를 체크하여 현재 동작이 가능한 상태인지를 확인하고, 상기 기기 상태가 "busy"이면 해당 협업 기기의 동작이 완료될 때까지 대기 상태로 처리하는 협업기기 모니터링 모듈;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유기를 이용한 머신 소셜라이제이션 기반 기기간 협업 관리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 실행 모듈은,
    상기 탐색된 협업 기기 중에서 해당 작업을 우선적으로 수행할 1순위 협업 기기를 추출하여 작업 명령을 전달하고, 상기 1순위 협업 기기의 실행이 완료되면 상기 XML 스키마에 저장된 협업 관계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실행이 완료된 협업 기기 외 나머지 동작 가능한 협업 기기들에서 해당 작업을 우선적으로 수행할 차기 협업 기기를 탐색하고 작업 명령을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유기를 이용한 머신 소셜라이제이션 기반 기기간 협업 관리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 실행 모듈은,
    상기 차기 협업 기기에게 작업 명령을 전달하기 전에, 상기 협업기기 모니터링 모듈을 통해 상기 기기의 상태를 체크한 후 동작이 가능한 상태인 경우 상기 작업 명령을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유기를 이용한 머신 소셜라이제이션 기반 기기간 협업 관리 시스템.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유무선 공유기는,
    상기 다수의 협업 기기에 대한 기기 정보(Device_info), 작업 정보(Task_info), 협업 관계 정보(Relation_info)를 각각 정의하고 기계적인 정보 처리가 가능하도록 XML 문서로 작성하며 상기 XML 문서에 포함된 정보의 수정 및 갱신이 가능한 XML 스키마;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유기를 이용한 머신 소셜라이제이션 기반 기기간 협업 관리 시스템.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 발생 인식모듈은,
    사용자 단말로부터 작업에 관한 이벤트 버튼의 신호를 수신하거나, 센서 또는 임의 기기로부터 측정된 센싱값을 수신하여 이벤트 발생 여부를 감지하되,
    상기 센싱값이 수신되는 경우 상기 센싱값을 기 설정된 기준치와 비교하여 상기 이벤트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유기를 이용한 머신 소셜라이제이션 기반 기기간 협업 관리 시스템.
  9. 제3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들은 USB 메모리에 탑재되고,
    상기 USB 메모리를 공유기 내 마운팅하여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유기를 이용한 머신 소셜라이제이션 기반 기기간 협업 관리 시스템.
  1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 실행 모듈은,
    상기 이벤트에 대하여 작업을 두 개 이상 병행하여 수행할 수 있으며,
    상기 두 개 이상의 작업 간 우선순위를 설정하고 상기 두 개 이상의 작업에 중복되는 협업 기기에 대해서는 설정된 작업 간 우선순위에 따라 작업을 실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유기를 이용한 머신 소셜라이제이션 기반 기기간 협업 관리 시스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KR1020160034219A 2016-03-22 2016-03-22 공유기를 이용한 머신 소셜라이제이션 기반 기기간 협업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8340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4219A KR101834066B1 (ko) 2016-03-22 2016-03-22 공유기를 이용한 머신 소셜라이제이션 기반 기기간 협업 관리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4219A KR101834066B1 (ko) 2016-03-22 2016-03-22 공유기를 이용한 머신 소셜라이제이션 기반 기기간 협업 관리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9954A KR20170109954A (ko) 2017-10-10
KR101834066B1 true KR101834066B1 (ko) 2018-03-02

Family

ID=601900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4219A KR101834066B1 (ko) 2016-03-22 2016-03-22 공유기를 이용한 머신 소셜라이제이션 기반 기기간 협업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406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62732A1 (ko) * 2019-06-27 2020-12-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2044B1 (ko) * 2017-10-19 2022-05-26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의 서비스 제공 방법
CN110018677A (zh) * 2019-05-14 2019-07-16 中国联合网络通信集团有限公司 一种物联网设备管理系统及方法
US11477198B2 (en) 2020-05-29 2022-10-1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istributed computing on the edg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9712B1 (ko) * 2014-01-24 2015-10-14 모다정보통신 주식회사 자율적인 소셜 협업 그룹의 형성에 기초한 지능형 사물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9712B1 (ko) * 2014-01-24 2015-10-14 모다정보통신 주식회사 자율적인 소셜 협업 그룹의 형성에 기초한 지능형 사물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62732A1 (ko) * 2019-06-27 2020-12-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US11735094B2 (en) 2019-06-27 2023-08-22 Lg Electronics Inc. Displa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9954A (ko) 2017-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612521B (zh) 经由单独的客户端设备的自动化助理接口的智能设备配置指导
US9818061B1 (en) Collaboration of audio sensors for geo-location and continuous tracking of multiple users in a device-independent artificial intelligence (AI) environment
US20180006840A1 (en) Wearable devic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and system for controlling smart home
CN104885406B (zh) 用于在家庭网络系统中远程控制家庭设备的方法和设备
KR101834066B1 (ko) 공유기를 이용한 머신 소셜라이제이션 기반 기기간 협업 관리 시스템 및 방법
US10250712B2 (en) Method and server of configuring scenario mode for smart devices
CN111262761B (zh) 一种电子设备和用于操作电子设备的方法
CN105357245B (zh) 一种基于云服务及ZigBee技术的智能家居系统及其设计方法
EP3532927B1 (e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providing sensor data collection and sensor configuration
US10560279B2 (en) Method and server for controlling smart devices based on predefined scenario mode
US20140129006A1 (en) Smart gateway, smart home system and smart controlling method thereof
WO2018010533A1 (zh) 设备控制系统、方法、装置及网关
US20190028290A1 (en) Home automation control system using face recognition, and method therefor
WO2014119255A1 (ja) 情報管理方法、制御システム及び表示機器の制御方法
CN111478832B (zh) 智能终端设备的控制方法、联动方法、辅助方法及装置
CN108924806A (zh) 一种采用ble技术的家庭物联网数据通信方法及系统
US9710753B1 (en) Collaboration of audio sensors for geo-location of events in an artificial intelligence (AI) environment
Saravanan et al. Smart real-time meeting room
CN107409241A (zh) 用于聚合和分析系统状态的系统和方法
US8958788B2 (en) Home electronic apparatus control system, home electronic control apparatus, and wireless home electronic apparatus control terminal
JP6802354B2 (ja) 通信試験装置、通信試験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2075381B1 (ko) 사물 협업 서비스 시스템, 방법 및 그 모델링 도구
KR101975537B1 (ko) 시리얼-로라 통신 변환 장치
JP6815978B2 (ja) 遠隔監視システムおよび監視対象設備の初期設定方法
KR102402044B1 (ko) 전자 장치 및 그의 서비스 제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