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9712B1 - 자율적인 소셜 협업 그룹의 형성에 기초한 지능형 사물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자율적인 소셜 협업 그룹의 형성에 기초한 지능형 사물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559712B1 KR101559712B1 KR1020140009251A KR20140009251A KR101559712B1 KR 101559712 B1 KR101559712 B1 KR 101559712B1 KR 1020140009251 A KR1020140009251 A KR 1020140009251A KR 20140009251 A KR20140009251 A KR 20140009251A KR 101559712 B1 KR101559712 B1 KR 10155971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objects
- collaboration group
- social collaboration
- service
- coordinator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2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1
- 238000012544 monitor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9000000470 constitu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9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2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1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187 sel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856 abnormal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545 inva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3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unstructured textual data
- G06F16/38—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3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unstructured textual data
- G06F16/33—Querying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자율적인 소셜 협업 그룹의 형성에 기초한 지능형 사물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개시한다. 본 실시예의 일 측면에 의하면, 지능형 사물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사물 간에 자율적으로 소셜 협업 그룹을 형성하고, 이를 기반으로 한 사물들 간의 협업을 통해 지능형 사물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개시한다.
Description
자율적인 소셜 협업 그룹(Social Collaboration Group)의 형성에 기초한 지능형 사물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지능형 사물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사물 간에 자율적으로 소셜 협업 그룹을 형성하고, 이를 기반으로 한 사물들 간의 협업을 통해 지능형 사물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종래의 사물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종래의 사물 서비스(M2M Service) 제공 시스템은 사물들이 서버로 정보를 전달하고, 서버는 정해진 규칙에 따라 사물들을 제어하는 형태로써 동작하는 수동적인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물 지역 네트워크(107; M2M Local Network)의 사물들(105)과 단독으로 존재하는 사물들(106)은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100)를 통해 사업자의 사물 서버(101)에 연결되어 사물 서버(101)에게 정보를 전달하고, 사물 서버(101)는 전달된 정보를 가공하여 서비스 대상(102, 103)에게 제공한다. 서비스 대상자(102, 103)가 제어 명령을 전달하면 사물 서버(101)는 제어 명령을 사물들(105, 106)이 처리할 수 있는 정보로 변환하여 사물들(105, 106)에게 전달한다. 사물들(105, 106)은 전달받은 제어 정보를 처리한다. 이와 같이, 종래의 사물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은 사물 대 사물 간의 서비스 네트워크 구성이 아니라 사물 대 서버 간의 네트워크로 구성이 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가진다.
첫째, 사물들이 위치한 환경이나 주변 상황이 변경됨에도 불구하고 서버가 요구하는 한정된 결과만을 서비스로 제공함으로써 서비스의 다양성을 반영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둘째, 다양한 환경 및 상황에서 발생하는 이벤트에 사물들이 서버의 처리를 기다림으로 인해 서비스의 실시간 처리에 문제가 있다. 셋째, 사물들이 서버에 의존적으로 동작함으로써 서버와 연결되는 네트워크 장애 및 서버의 과부하, 장애 발생시에 서비스 전체가 중단되는 문제가 있다. 넷째, 사물들의 서비스 수행단계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류 또는 장애에 대해 서버에서 사물의 상태를 진단하기 힘들며, 이러한 상황에 즉시 대처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다섯째, 사물들이 생산하는 개인의 정보를 서버에 전송 및 저장함으로써 발생하는 프라이버시 문제가 있다. 이외에도, 소규모 서비스를 구축하고자 하더라도 서버 및 상용 네트워크 비용이 소요됨으로써 경제성의 문제가 있으며, 다양한 상황에 대해서 사용자의 설정 및 처리를 요구하므로 서비스의 복잡성이 증대되는 문제가 있다.
본 실시예는, 지능형 사물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사물 간에 자율적으로 소셜 협업 그룹을 형성하고, 이를 기반으로 한 사물들 간의 협업을 통해 지능형 사물 서비스를 수행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데 주된 목적이 있다.
본 실시예의 일 측면에 의하면, 사물 네트워크(M2M Network) 상의 사물들 간에 형성된 오버레이 네트워크(Overlay Network)를 기반으로 협업 서비스(Collaboration Service)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오버레이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사물들의 프로파일(Profile)과 관한 메타데이터(Metadata)를 취득하는 과정과, 상기 메타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오버레이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사물들 중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소셜 협업 그룹(Social Collaboration Group)을 형성하는 과정과, 상기 메타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소셜 협업 그룹 내에서 중개자 또는 조정자 역할을 수행하는 코디네이터(Co-ordinator) 단말을 선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협업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메타데이터를 취득하는 과정에서는, 상기 오버레이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사물들에 대한 질의(Query)를 통해 상기 메타데이터를 취득하는 과정이거나, 상기 오버레이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사물들로부터의 광고(Advertisement)를 수신함으로써 상기 메타데이터를 취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코디네이터를 선정하는 과정에서는, 상기 메타데이터를 참조하여 각 사물들의 클래스(Class) 등급을 비교하고, 최상위 클래스 등급을 가진 사물을 상기 코디네이터로 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코디네이터는 관련된 소셜 협업 그룹 내 사물들 간의 서비스 우선순위 및 타 협업 그룹과의 서비스 우선순위를 조정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소셜 협업 그룹을 형성하는 과정에서는, 상기 오버레이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사물들 간에, 상기 협업 서비스 수행에 필요한 사물인지 여부를 기초로, 소셜 협업 그룹 참여 요청 및 수락 절차를 수행하는 것이 바람하다.
상기 협업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소셜 협업 그룹을 구성하는 사물들 간에, 자신의 사물정보를 서로 공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나아가 공유된 사물정보를 기초로 상기 협업 서비스를 수행하는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협업 서비스 제공 방법은, 공유된 타 사물들의 사물정보를 기초로, 타 단말의 장애(Fail) 발생 여부를 감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나아가, 어느 한 사물에 장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오버레이 네트워크 또는 상기 소셜 협업 그룹의 구성객체를 갱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소셜 협업 그룹의 구성객체를 갱신하는 과정은, 상기 오버레이 네트워크 상에서, 장애가 발생한 사물과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다른 사물을 검색하고, 검색된 사물에 대해 관련된 소셜 협업 그룹에 대한 참여를 요청하는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더불어, 소셜 협업 그룹의 구성객체를 갱신하는 과정은 상기 코디네이터에 의해 수행되며, 다른 사물들은 서비스 구성에 필요한 사물을 검색하여 코디네이터에게 참여를 추천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사물들이 서비스 수행을 위해 서버를 경유하지 않고, 사물 간에 협업관계를 구성하여 상호 간에 정보를 직접 교환하고 처리함으로써 서비스의 실시간 처리가 가능하다. 즉, 서버 집중형 사물이 제공하는 경우에 비해, 서비스 즉시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사물 간에 상호 감시 협업 체제를 구축하여, 상호 간의 오류/장애를 감시하고 진단함으로써 오류/장애 발생시에 즉각적으로 대처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서비스의 신뢰성과 안전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유사한 정보를 제공하는 사물들이 긴밀하게 상호간에 사물정보를 교환하고 분석함으로써 사물정보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사물들 간에 정보를 직접적으로 전송 및 활용하고 외부 유출을 하지 않음으로써 프라이버시 침해를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사물들이 자율적으로 소셜 관계를 구성하고, 지능적인 협업을 통해 사용자의 관여없이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서비스 구성 및 활용에 대한 복잡성이 낮아 다양한 사용자가 쉽게 서비스를 활용할 수 있다. 즉, 사람의 간섭을 최대한 줄임으로써 사물 서비스의 접근성, 친화력 증대할 수 있다.
또한, 외부 환경에 견고한 사물 서비스 실현할 수 있다. 예컨대, 공공 네트워크 또는 중앙 서비스 서버에 이상 발생시 전체 서비스가 셧다운되는 문제를 회피할 수 있다.
또한, 사물들 간에 자율적인 소셜 협업 관계를 구성하여 사물들이 서비스를 직접 처리하므로 서버가 필요없으며, 서비스 도메인 내에서 직접 정보를 교환함으로써 추가적인 네트워크 비용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경제성이 높다.
또한, 사물 서비스 구성 비용 획기적 절감할 수 있다. 예컨대, 사물 데이터를 공공 네트워크로 전달 시에 통신 요금 과다 발생 문제, 트래픽 문제, 서버의 안정성, 신뢰성을 위한 클라우드형 서버 지원 시 구축비, 유지비 과다 발생 등의 문제를 극복할 수 있다.
더불어, 극소규모의 홈내 사물 서비스, 소규모의 소호 사물 서비스 구축시 저렴한 비용으로 간단하게 구축할 수 있으며, 대규모 사물 서비스 네트워크 구축시에도 전체적인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사물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셜 협업 그룹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들 간의 자율적으로 소셜 협업 그룹을 형성하는 절차를 도식화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셜 협업 그룹 내에서 코디네이터를 선정하는 절차를 도식화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셜 협업 그룹 내에서 코디네이터를 선정하는 절차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셜 협업 그룹에 참여한 사물 간에 자율적인 정보 교류를 통해 사물들이 스스로 서비스를 수행하는 절차를 도식화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율적인 소셜 협업 그룹을 구성하기 위한 사물의 기능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이 소셜 협업 그룹을 생성하고 서비스를 처리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셜 협업 그룹 내에서 장애/오류가 발생할 사물을 인지하는 방법 및 소셜 협업 그룹을 갱신하는 방법을 도식화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셜 협업 그룹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들 간의 자율적으로 소셜 협업 그룹을 형성하는 절차를 도식화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셜 협업 그룹 내에서 코디네이터를 선정하는 절차를 도식화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셜 협업 그룹 내에서 코디네이터를 선정하는 절차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셜 협업 그룹에 참여한 사물 간에 자율적인 정보 교류를 통해 사물들이 스스로 서비스를 수행하는 절차를 도식화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율적인 소셜 협업 그룹을 구성하기 위한 사물의 기능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이 소셜 협업 그룹을 생성하고 서비스를 처리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셜 협업 그룹 내에서 장애/오류가 발생할 사물을 인지하는 방법 및 소셜 협업 그룹을 갱신하는 방법을 도식화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하에 개시될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며,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유일한 실시형태를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셜 협업 그룹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사물들은 M2M 인프라스트럭쳐(M2M Infrastructure) 상위에 오버레이 네트워크(Overlay Network)를 구성한다. 즉, 물리적인 네트워크/자원의 상위에 가상의 네트워크로서 동적인 오버레이 네트워크를 구성한다. 이러한 오버레이 네트워크는, 도 1에 예시된 종래의 M2M 시스템과는 달리, 서비스 서버와 같은 M2M 서버의 개입없이 자율적으로 형성되며, 사물이 네트워크에 자신을 광고하거나 네트워크 검색을 통해서 주변 사물 또는 코디네이터의 리스트를 확보함으로써 오버레이 네트워크를 구성한다.
오버레이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사물들은 이용자의 상황 변화 혹은 물리적/논리적 네트워크의 상황 변화에 따른 이벤트를 감지하여, 사물들 간에 자율적으로 소셜 협업 그룹을 형성하고 갱신한다. 도 2는 이격된 2개의 사물 지역 네트워크(204, 205)를 기반으로 각각 형성된 사물 오버레이 네트워크와, 이들 2개의 오버레이 네트워크 상에서 사물들이 하나의 소셜 협업 그룹(Social Collaboration Group; 203)을 형성할 수 있음을 예시하고 있다. 물론, 하나의 오버레이 네트워크에서 여러 개의 소셜 협업 그룹이 생성되는 것도 가능하며, 하나의 사물이 여러 개의 소셜 협업 그룹에 참여하는 것도 가능하다.
소셜 협업 그룹에 참여한 사물들은 상호 간의 프로파일(Device Profile) 교환함으로써 소셜 협업 그룹 내에서 코디네이터(Co-ordinator) 역할을 수행하는 사물을 선정한다. 코디네이터는 서버의 역할을 대행함으로써 지능형 사물 서비스를 제공한다. 예컨대, 코디네이터는 사물들 간의 서비스 우선순위 및 서비스 중복, 충돌 등의 다양한 상황에 대한 중재/조정 기능을 담당한다. 특히, 사물은 1개 이상의 서비스 소셜 협업 그룹에 참여하고 있는 경우가 있으므로, 코디네이터는 사물들이 참여하고 있는 소셜 협업 그룹의 정보를 요청하여 그룹간의 우선순위를 조정할 수 있다. 코디네이터 역할은 사물들 간에 자유롭게 이전이 가능하며, 따라서 사물의 장애나 오버레이 네트워크 내의 장애 발생시에도 서비스 유지가 가능하다.
이러한 소셜 협업 그룹 내에서 사물들은 자신의 서비스 수행에 필요한 정보 또는 기능을 가진 다른 사물들에게 사물정보를 직접 요청할 수 있으며, 사물들은 능동적으로 각자의 정보를 그룹 내에 공유함으로써 다른 사물들이 즉시 참조하여 서비스 수행에 활용하도록 한다. 사물들이 공유하는 사물정보는 서비스 수행에만 활용할 뿐만 아니라 해당 사물이 수행할 기능의 범위에서 벗어나는 동작을 하는지를 분석하는 오류 탐지 및 그 대응에도 사용될 수 있다. 소셜 협업 그룹을 구성하는 사물에 장애가 발생하면, 바로 오버레이 네트워크를 검색하여 대체 가능한 사물을 검색하여 그룹에 참여시킴으로써 서비스를 지속시킨다.
이와 같이, 소셜 협업 그룹은 서비스를 제공받는 사용자의 위치 변화 등과 같이 서비스 환경에 변경사항이 발생하거나, 새로운 서비스가 제시되면 능동적으로 생성, 변경, 해체된다. 즉, 사물들이 서비스 제공을 위한 소셜 협업 그룹을 자율적으로 구성하여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이용자를 둘러싼 환경 변화에 따라 현 시점에서 가장 적절한 서비스를 효율적인 자원관리를 통해 제공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들 간의 자율적으로 소셜 협업 그룹을 형성하는 절차를 도식화한 도면이다.
소셜 협업 그룹은 그룹 참여 요청 및 수락 절차를 거쳐 형성된다. 즉, (1) 소셜 협업 그룹 밖의 다른 사물이 소셜 협업 그룹 내의 사물에게 그룹 참여 승인 요청을 하고, 소셜 협업 그룹 내의 사물이 이를 승인하거나, (2) 반대로, 소셜 협업 그룹 내의 사물(예컨대, 코디네이터)이 소셜 협업 그룹 밖의 다른 사물에게 그룹 참여를 요청하고, 해당 사물이 참여 요청을 수락하는 과정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소셜 협업 그룹 밖의 다른 사물과 그룹 참여 요청 및 수락 절차를 수행하는 주체는 소셜 협업 그룹의 코디네이터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위 (1)의 방식에 따라 소셜 협업 그룹을 구성하는 절차를 설명하기로 한다. (2)의 방식도, 그룹 참여 요청 및 수락하는 주체가 바뀌는 점을 제외하고는 유사한 절차로 진행된다.
도 3에서 (a)는, 사물 1과 사물 2가 어떠한 소셜 협업 그룹에도 참여하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 상호 간에 소셜 협업 그룹을 생성하는 과정을 예시하고 있다. 사물 2는 오버레이 네트워크 상에서 다른 사물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색하고, 이에 대해 응답하는 사물 1로부터 프로파일(Profile)을 수신한다.
사물 2는 사물 1의 프로파일을 확인하여, 자신의 서비스 수행에 사물 1의 기능 혹은 생성정보 등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사물 1에게 자신의 프로파일과 함께 그룹 참여(생성)를 요청한다. 사물 1은 사물 2의 프로파일을 기초로 수락 여부에 대한 판단을 거쳐, 필요에 따라 그룹 참여(생성)를 수락한다. 이후, 사물 1 및 사물 2는 생성된 그룹의 코디네이터를 선정하는 절차를 거친다. 코디네이터를 선정하는 절차는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도 3에서 (b)는 소셜 협업 그룹에 참여하고 있지 않은 사물 3이 소셜 협업 그룹에 참여하는 과정을 예시하고 있다.
사물 3은 오버레이 네트워크 상에서 다른 사물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색한다. 이에 대한 응답으로, 오버레이 네트워크 상의 사물 1 및/또는 사물 2는 프로파일을 사물 3에 전송한다. 만일 사물 1이 소셜 협업 그룹의 코디네이터라고 가정하면, 사물 1은 자신의 프로파일과 함께 자신이 속한 소셜 협업 그룹에 관한 정보를 사물 3에게 전송한다. 소셜 협업 그룹에 관한 정보는 소셜 협업 그룹의 구성객체들에 관한 프로파일들을 포함할 수 있다.
사물 3은 사물 1 및/또는 사물 2의 프로파일을 확인하고, 자신의 서비스 수행에 사물 1 및/또는 사물 2의 기능 내지 사물정보 등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사물 1 및/또는 사물 2에게 자신의 프로파일의 전송과 함께 그룹 참여를 요청한다. 사물 1 및/또는 사물 2는 사물 3의 프로파일을 기초로 수락 여부에 대한 판단을 거쳐, 필요에 따라 그룹 참여를 수락한다. 이후 사물 3이 추가된 소셜 협업 그룹은 그룹의 코디네이터를 재선정하는 절차를 거친다.
한편, 도 3의 (b)에서, 소셜 협업 그룹에 대한 사물 3의 그룹 참여 요청에 대한 처리는 소셜 협업 그룹의 코디네이터인 사물 1이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일부 실시예에서, 코디네이터인 사물 1이 아닌 사물 2에 대한 그룹 참여 요청은 실질적으로 사물 2와 사물 3 간에 새로운 소셜 협업 그룹의 생성을 요청하는 것으로 취급된다. 즉, 도 3에서 (a)의 경우와 동일하게 취급된다.
소셜 협업 그룹의 형성 절차에서 사용된 사물 프로파일(Device Profile)은 사물이 가지고 있는 하드웨어적 또는 소프트웨어적인 성능 명세(예컨대, 성능, 메모리, 기능, Class 등)에 관한 정보를 말한다. 사물의 프로파일은 메타데이터(Metadata) 형태로 광고(Advertisement) 또는 질의(Query)를 통해, 능동적 또는 수동적으로 오버레이 네트워크 또는 소셜 협업 그룹 내에 공유된다. 여기서, 클래스(Class)라 함은 사물 네트워크로 연결된 기기의 능력에 따라 설정된 등급을 나타내는 정보를 의미하며, 코디네이터를 선정하는 정보로 활용될 수 있다. 이러한 클래스 등급은 사물의 제조 업체, 운용자 등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소셜 협업 그룹 내에서 코디네이터를 선정하는 절차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셜 협업 그룹 내에서 코디네이터를 선정하는 절차를 도식화한 도면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소셜 협업 그룹을 생성하는 과정에서 그룹의 구성객체들 간에는 서로 프로파일을 주고받는다. 따라서 각 구성객체들은 그룹 내의 다른 구성객체들의 프로파일을 공유하고 있다. 공유된 프로파일들을 기초로, 프로파일의 클래스 등급이 가장 높은 구성객체가 코디네이터로 선정된다. 즉, 최상위 클래스를 가진 사물이 코디네이터로서 동작한다. 선정 결과는 소셜 협업 그룹 내의 모든 구성객체들에게 통보된다.
한편, 오버레이 네트워크 상에는 복수 개의 소셜 협업 그룹이 형성될 수 있으며, 하나의 사물이 여러 개의 소셜 협업 그룹에 참여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어느 한 코디네이터가 2 이상의 소셜 협업 그룹에서 코디네이터로 선정될 가능성이 있다. 사물의 성능, 다른 구성객체들과의 물리적인 통신 방식이나 통신 거리 등을 고려할 때, 하나의 사물이 복수의 그룹에서 코디네이터로 기능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따라서, 일부 실시예들에서, 다른 구성객체들에 의해 코디네이터로 선정된 사물은 해당 그룹의 코디네이터 역할을 거부 혹은 포기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차상위 클래스 등급의 사물이 코디네이터로서 최종적으로 선정될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셜 협업 그룹 내에서 코디네이터를 선정하는 절차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소셜 협업 그룹 내의 구성객체들은 사전에 그룹 내의 다른 구성객체들의 프로파일을 공유하고 있다(S510). 각 구성객체들은 자신의 프로파일과 공유된 다른 구성객체들의 프로파일을 비교하여, 자신보다 상위 클래스 등급을 가진 구성객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520). 판단결과, 자신이 그룹 내에서 최상위 클래스 등급을 가진 구성객체라고 판단되면(S520의 '아니오'), 자신이 코디네이터 역할을 수행하겠다는 코디네이터 선정 메시지를 각 구성객체에 통보한다(S550).
S520 과정에서, 자신보다 상위 클래스 등급을 가진 구성객체가 존재한다고 판단되는 경우, 사물은 그 상위 클래스 등급을 가진 구성객체로부터 코디네이터 선정 메시지를 수신 대기한다(S530). 일정 시간 내에, 타 구성객체들로부터 코디네이터 선정 통보 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S540의 '예'), 코디네이터 선정 절차가 완료된다. 반면, 일정 시간이 경과 하도록 그 상위 클래스 등급을 가진 구성객체로부터 코디네이터 선정 통보 메시지를 수신하지 못한다면(S540의 '아니오'), 이는 그 상위 클래스 등급을 가진 구성객체가 해당 그룹의 코디네이터 역할을 거부 혹은 포기한 것으로 간주되고(S560), 코디네이터 후보 목록에서 그 구성객체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객체들만을 대상으로 코디네이터 선정 절차를 반복한다.
한편, 그룹 내에 최상위 클래스 등급을 가진 구성객체가 2 이상이라면, 코디네이터 선정 메시지가 경합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다양한 방식으로 코디네이터가 확정될 수 있으며, 예컨대, 코디네이터 선정 메시지를 먼저 통보한 구성객체가 코디네이터로 선정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셜 협업 그룹에 참여한 사물 간에 자율적인 정보 교류를 통해 사물들이 스스로 서비스를 수행하는 절차를 도식화한 도면이다.
소셜 협업 그룹 내의 각 구성객체들은 사물에서 생성/발생하는 정보를 그룹 내의 다른 구성객체들에게 공유하며, 공유된 정보를 이용하여 다른 사물들은 서비스를 수행한다. 서비스를 수행한 결과로서, 다른 정보가 재생산/발생되면 다시 그룹 내에 공유하여 다른 사물들이 활용될 수 있다.
예컨대, 도 6에 예시된 바와 같이, 사물 4가 생성한 정보(사물정보)는 소셜 협업 그룹 내의 다른 구성객체들(사물 1, 사물 2, 사물 3)에게 공유하고, 이를 수신한 구성객체들은 수신된 사물정보를 기초로 서비스를 수행한다. 서비스 수행 결과, 사물 2는 새로운 사물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사물정보는 다시 소셜 협업 그룹 내의 다른 구성객체들(사물 1, 사물 3, 사물 4)에게 공유한다. 사물 1은 재차 사물 2로부터 공유된 사물정보를 기초로 서비스를 수행하여 사물정보를 생성하게 된다. 특히, 사물 1과 사물 2가 유사한 정보를 제공하는 사물들인 경우, 사물 1과 사물 2는 상호간에 정보를 교환하고 분석함으로써 생성하는 사물정보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율적인 소셜 협업 그룹을 구성하기 위한 사물의 기능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전술한 소셜 협업 그룹을 자율적으로 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700)은 사물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논리적인 네트워크인 오버레이 네트워크 형성하고 관리하는 오버레이 네트워크 관리부(740)와, 오버레이 네트워크를 바탕으로 프로파일을 공유하고 소셜 협업 그룹을 형성하고 관리하는 소셜 협업 그룹 관리부(730)와, 코디네이터 선정, 소셜 협업 그룹 관리 등을 위해 프로파일을 분석하고, 그룹 내에서 공유되는 사물정보를 분석하는 지능형 정보 분석/처리부(720)를 포함하며, 이들을 이용하여 서비스를 처리하는 서비스 수행부(710)를 더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도 8을 참조하여, 사물이 소셜 협업 그룹을 생성하고 서비스를 처리하는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이 소셜 협업 그룹을 생성하고 서비스를 처리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먼저, 오버레이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사물은, 신규 서비스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오버레이 네트워크 상의 타 사물을 검색한다(S810~S815). 다음으로, 발견된 사물들의 프로파일을 분석하여, 발견된 사물들이 자신의 서비스 수행에 필요한 기기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820~S825). 판단 결과, 필요한 기기라고 판단된 사물들에게 소셜 협업 그룹으로의 참여를 요청한다(S830). 참요 요청을 받은 사물들이 이를 수락함으로써 소셜 협업 그룹의 새로운 구성객체가 된다(S835의 '예').
새로운 구성객체가 소셜 협업 그룹에 추가됨에 따라, 소셜 협업 그룹의 구성객체들은 코디네이터를 선정하는 절차를 거친다(S840). 도 5에서 예시한 바와 같이, 코디네이터의 선정은 각 구성객체 간에 프로파일을 공유함으로써 이루어진다. 구성객체들 중에서 가장 높은 클래스 등급을 가진 사물을 코디네이터로 선정하며, 선정 결과는 소셜 협업 그룹 내의 모든 구성원에게 공유된다. 각 구성객체들은 자신들이 생성한 생성정보를 소셜 협업 그룹 내에 공유한다(S845). 공유된 생성정보는 다른 구성객체들이 서비스를 수행하는데 사용된다.
도 8에서는 단순화를 위해 생략하였지만, 코디네이터는, 위 과정들을 수행하는 도중에, 구성객체를 추가 또는 배제하는 방식으로, 이용자의 상황 변화 혹은 물리적/논리적 네트워크의 상황 변화에 따라 소셜 협업 그룹을 자율적으로 갱신한다.
이하에서는 도 9를 참조하여, 소셜 협업 그룹 내에서 장애/오류가 발생할 사물을 인지하는 방법 및 소셜 협업 그룹을 갱신하는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셜 협업 그룹 내에서 장애/오류가 발생할 사물을 인지하는 방법 및 소셜 협업 그룹을 갱신하는 방법을 도식화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소셜 협업 그룹 내의 각 구성객체는 타 구성객체가 그룹 상에 공유한 생성정보를 기초로 타 구성객체에 장애 또는 오류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상호 감시한다.
도 9에 예시된 소셜 협업 그룹에는 사물 1 내지 사물 4가 참여하고 있으며, 사물 1이 코디네이터 역할을 수행하며, 사물 2 및 사물 4는 사물 3이 생성하여 공유하는 사물정보를 이용하여 서비스를 수행한다. 사물 3은 여러 종류의 사물정보를 생성할 수 있으며, 사물 2 및 사물 4는 사물 3이 생성하는 사물정보들 중에서 각기 다른 종류의 사물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도 9에 예시된 바와 같이, 사물 3에 장애가 발생하였다고 가정하면, 사물 2 및 사물 4는 사물 3의 사물정보를 기초로 사물 3의 장애발생을 인지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사물 2 및 사물 4가 인지하는 사물 3의 상태가 다를 수 있으며, 이는 사물 2 및 사물 4가 이용하는 사물 3의 사물정보가 서로 상이한 때문일 수도 있으며, 사물 2 또는 사물 4에 장애가 발생한 때문일 수도 있다.
사물 3의 장애를 인지한 구성객체들은 그 사실을 소셜 협업 그룹 내의 코디네이터에게 보고한다. 코디네이터는 각 구성객체로부터의 장애 인지에 대한 보고들을 취합하여, 사물 3의 장애 발생 여부에 대한 최종 판정을 내린다. 예컨대, 일부 실시예에서, 코디네이터는 사물 3의 사물정보를 이용하는 전체 구성객체들 중에서 사물 3의 장애를 보고한 객체들과 그렇지 않은 객체들의 비율 등에 의해, 최종 판정을 내리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일부 실시예에서, 코디네이터는 사물 3과 동일 또는 유사한 종류의 사물정보를 생성하는 소셜 협업 그룹 내의 다른 구성객체들이 생성한 사물정보를 취합하여, 이들 사물정보들을 사물 3의 사물정보와 비교함으로써 사물 3의 장애 발생 여부에 대한 최종 판정을 내리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사물 3에 장애가 발생한 것으로 판정된 경우, 코디네이터는 사물 3을 소셜 협업 그룹에서 제외시키는 한편,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다른(Another) 사물이 필요한 경우, 오버레이 네트워크 상에서 이러한 사물을 검색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사물 2 및 사물 4가 서비스 구성에 필요한 사물(예컨대, 도 9에서 사물 5)을 검색하여, 코디네이터에게 참여를 추천할 수도 있다. 발견된 사물(예컨대, 도 9에서 사물 5)은 참여 요청 및 수락 과정을 거쳐 소셜 협업 그룹의 새로운 구성객체로 포함된다.
도 9에서는 코디네이터가 장애 발생 여부의 최종 판정 및 소셜 협업 그룹의 갱신을 수행하는 주체로 설명하였지만, 다른 실시예에서는 사물 3의 장애를 1차적으로 인지하는 다른 구성객체, 즉, 사물 3의 사물정보를 이용하는 다른 구성객체들(도 9에서는 사물 2, 사물 4)이 직접 사물 3과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다른 사물(예컨대, 도 9에서 사물 5)을 오버레이 네트워크 상에서 검색하고, 검색된 단말과 소셜 협업 그룹으로의 참여 요청 및 수락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을 통해, 소셜 협업 그룹은 소셜 협업 그룹 내의 장애/오류가 발생한 사물을 인지하고, 소셜 협업 그룹의 구성객체를 갱신함으로써 서비스의 연속성을 유지한다. 결과적으로 서비스의 신뢰성, 안정성, 강건성 등을 보장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방법 내지 절차를 구성하는 각 단계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즉,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를 들면,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디스크 등),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시디롬, 디브이디 등) 및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면, 인터넷을 통한 전송)와 같은 저장매체를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2)
- 사물 네트워크(M2M Network) 상의 사물들 간에 형성된 오버레이 네트워크(Overlay Network)를 기반으로, 사물 네트워크 상의 사물이 협업 서비스(Collaboration Service)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오버레이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사물들의 프로파일(Profile)에 관한 메타데이터(Metadata)를 취득하는 과정;
상기 메타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오버레이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사물들 중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소셜 협업 그룹(Social Collaboration Group)을 형성하는 과정; 및
상기 메타데이터를 참조하여 각 사물들의 클래스(Class) 등급을 비교하고, 최상위 클래스 등급을 가진 사물을 상기 소셜 협업 그룹 내에서 중개자 또는 조정자 역할을 수행하는 코디네이터(Co-ordinator)로 선정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협업 서비스 제공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타데이터를 취득하는 과정은,
상기 오버레이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사물들에 대한 질의(Query)를 통해 상기 메타데이터를 취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협업 서비스 제공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타데이터를 취득하는 과정은,
상기 오버레이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사물들로부터의 광고(Advertisement)를 수신함으로써 상기 메타데이터를 취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협업 서비스 제공 방법.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디네이터는,
관련된 소셜 협업 그룹 내 사물들 간의 서비스 우선순위 및 타 협업 그룹과의 서비스 우선순위를 조정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협업 서비스 제공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셜 협업 그룹을 형성하는 과정은,
상기 오버레이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사물들 간에, 상기 협업 서비스 수행에 필요한 사물인지 여부를 기초로, 소셜 협업 그룹 참여 요청 및 수락 절차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협업 서비스 제공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셜 협업 그룹을 구성하는 사물들 간에, 자신의 사물정보를 서로 공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협업 서비스 제공 방법. - 제7항에 있어서,
공유된 사물정보를 기초로 상기 협업 서비스를 수행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협업 서비스 제공 방법. - 제7항에 있어서,
공유된 타 사물들의 사물정보를 기초로, 타 단말의 장애(Fail) 발생 여부를 감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협업 서비스 제공 방법. - 제9항에 있어서,
어느 한 사물에 장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오버레이 네트워크 또는 상기 소셜 협업 그룹의 구성객체를 갱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특징으로 하는 협업 서비스 제공 방법.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객체를 갱신하는 과정은,
상기 오버레이 네트워크 상에서, 장애가 발생한 사물과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다른 사물을 검색하는 과정; 및
검색된 사물에 대해, 소셜 협업 그룹에 대한 참여를 요청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협업 서비스 제공 방법.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객체를 갱신하는 과정은,
상기 코디네이터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협업 서비스 제공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09251A KR101559712B1 (ko) | 2014-01-24 | 2014-01-24 | 자율적인 소셜 협업 그룹의 형성에 기초한 지능형 사물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
PCT/KR2014/001222 WO2015111787A1 (ko) | 2014-01-24 | 2014-02-14 | 자율적인 소셜 협업 그룹의 형성에 기초한 지능형 사물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09251A KR101559712B1 (ko) | 2014-01-24 | 2014-01-24 | 자율적인 소셜 협업 그룹의 형성에 기초한 지능형 사물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88681A KR20150088681A (ko) | 2015-08-03 |
KR101559712B1 true KR101559712B1 (ko) | 2015-10-14 |
Family
ID=536815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009251A KR101559712B1 (ko) | 2014-01-24 | 2014-01-24 | 자율적인 소셜 협업 그룹의 형성에 기초한 지능형 사물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1559712B1 (ko) |
WO (1) | WO2015111787A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34066B1 (ko) * | 2016-03-22 | 2018-03-02 | 배재대학교 산학협력단 | 공유기를 이용한 머신 소셜라이제이션 기반 기기간 협업 관리 시스템 및 방법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52488B1 (ko) * | 2016-06-24 | 2017-07-11 | 주식회사 삼진엘앤디 | 사물 인터넷 환경에서 온톨로지 기반의 상황인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
KR20230115878A (ko) * | 2022-01-27 | 2023-08-03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M2m 시스템에서 장치 그룹을 캘리브레이션하는 방법 및 장치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70127429A1 (en) * | 2002-04-23 | 2007-06-07 | Bryan Roland F | Self coordinated machine network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93895B1 (ko) * | 2003-04-17 | 2005-06-10 | 삼성전자주식회사 | 협업 서비스를 위한 홈 네트워크 시스템 및 방법 |
KR20070100580A (ko) * | 2006-04-07 | 2007-10-11 | 엄동일 | 엠투엠 하드웨어를 이용한 신뢰성 기반의 쇼셜 네트웍콘텐츠 커뮤니티 형성장치 및 그 방법 |
KR101422213B1 (ko) * | 2007-11-23 | 2014-07-22 | 삼성전자 주식회사 | 단말의 능력을 기초로 역할을 설정하는 장치 및 그 방법 |
KR101438358B1 (ko) * | 2012-05-30 | 2014-11-03 | 모다정보통신 주식회사 | M2m 오버레이 네트워크 제공 방법과 그를 위한 시스템, 서버 및 게이트웨이 |
-
2014
- 2014-01-24 KR KR1020140009251A patent/KR101559712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4-02-14 WO PCT/KR2014/001222 patent/WO2015111787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70127429A1 (en) * | 2002-04-23 | 2007-06-07 | Bryan Roland F | Self coordinated machine network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34066B1 (ko) * | 2016-03-22 | 2018-03-02 | 배재대학교 산학협력단 | 공유기를 이용한 머신 소셜라이제이션 기반 기기간 협업 관리 시스템 및 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15111787A1 (ko) | 2015-07-30 |
KR20150088681A (ko) | 2015-08-0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200396119A1 (en) | Intelligent network | |
US9734447B1 (en) | Generating accurate reason codes with complex non-linear modeling and neural networks | |
JP5077104B2 (ja) | ネットワーク障害検知プログラム、システム、及び方法 | |
US7461130B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self-organizing node groups on a network | |
US8886128B2 (en) |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proximity-relationship group creation | |
Schlechtendahl et al. | Making existing production systems Industry 4.0-ready: Holistic approach to the integration of existing production systems in Industry 4.0 environments | |
KR101015311B1 (ko) | 위치 인식 오버레이 네트워크의 측정 기반 구성 | |
CN101133622B (zh) | 划分节点的工作负荷 | |
Baraglia et al. | A peer-to-peer recommender system for self-emerging user communities based on gossip overlays | |
JP5863942B2 (ja) | ウィットネスサービスの提供 | |
Liu et al. | Optimizing overlay topology by reducing cut vertices | |
US9295097B2 (en) | Temporary collaborative ad-hoc network of hardware nodes to perform function | |
JP2014228972A (ja) |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および学習プログラム | |
KR101559712B1 (ko) | 자율적인 소셜 협업 그룹의 형성에 기초한 지능형 사물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 |
US9813496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collaborating in a work environment | |
Azzedin et al. | Feedback behavior and its role in trust assessment for peer-to-peer systems | |
US20140059154A1 (en) | Leader Node Appointment | |
Briola et al. | A platform for P2P agent‐based collaborative applications | |
CN108173899A (zh) | 区块链的信息处理方法及装置 | |
CN109144919B (zh) | 一种接口转接方法及装置 | |
Messeguer et al. | Communication and coordination patterns to support mobile collaboration | |
KR102137798B1 (ko) | 시멘틱 웹 기반 IoT 기기의 기본 분산 소셜 그룹을 형성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IoT기기 | |
Alveirinho et al. | Flexible and efficient resource location in large-scale systems | |
Hegde et al. | A cognitive theory-based opportunistic resource-pooling scheme for Ad hoc networks | |
Shayeji et al. | Analysis and enhancements of leader elections algorithms in mobile ad hoc network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101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917 Year of fee payment: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