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35833A - 스테비아 잎 분말을 포함하는 두유 조성물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두유 - Google Patents

스테비아 잎 분말을 포함하는 두유 조성물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두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35833A
KR20160035833A KR1020140127643A KR20140127643A KR20160035833A KR 20160035833 A KR20160035833 A KR 20160035833A KR 1020140127643 A KR1020140127643 A KR 1020140127643A KR 20140127643 A KR20140127643 A KR 20140127643A KR 20160035833 A KR20160035833 A KR 201600358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via
weight
leaf powder
soy milk
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276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순남
주미경
Original Assignee
삼육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육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삼육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1276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35833A/ko
Publication of KR201600358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583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1/00Pulses, i.e. fruits of leguminous plants, for production of food; Products from legum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1/60Drinks from legumes, e.g. lupine drinks
    • A23L11/65Soy drink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CDAIRY PRODUCTS, e.g. MILK, BUTTER OR CHEESE; MILK OR CHEESE SUBSTITUTES; MAKING THEREOF
    • A23C11/00Milk substitutes, e.g. coffee whitener compositions
    • A23C11/02Milk substitutes, e.g. coffee whitener compositions containing at least one non-milk component as source of fats or proteins
    • A23C11/10Milk substitutes, e.g. coffee whitener compositions containing at least one non-milk component as source of fats or proteins containing or not lactose but no other milk components as source of fats, carbohydrates or proteins
    • A23C11/103Milk substitutes, e.g. coffee whitener compositions containing at least one non-milk component as source of fats or proteins containing or not lactose but no other milk components as source of fats, carbohydrates or proteins containing only proteins from pulses, oilseeds or nuts, e.g. nut milk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18Lipid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4Non-sugar sweeteners
    • A23V2250/258Rebaudiosid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4Non-sugar sweeteners
    • A23V2250/262Steviosid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Beans For Foods Or Fodder (AREA)
  • Dairy Products (AREA)

Abstract

대두물질, 스테비아 잎 분말, 유지 및 수분을 포함하고, 상기 스테비아 잎 분말은 두유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0.001 중량% 내지 2 중량%의 양으로 함유되는 것인, 스테비아 잎 분말을 포함하는 두유 조성물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두유 조성물로 제조된 두유는 종래 두유에 비해 관능 효과가 우수할 뿐만 아니라, 설탕 등의 당료물질과 지방의 첨가량을 줄일 수 있으므로 식품영양학적인 면에서도 웰빙건강대용 식품으로서 우수한 효과를 가질 수 있다.

Description

스테비아 잎 분말을 포함하는 두유 조성물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두유{SOYBEAN MILK COMPOSITION COMPRISING STEVIA LEAF POWDER AND SOYBEAN MILK PREPARED BY THE SAME}
본 발명은 스테비아 잎 분말을 포함하는 두유 조성물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두유에 관한 것이다.
스테비아(Stevia rebaudiana Bertoni)는 국화과 식물로 파라과이 북동부 고산지대에 자생하는 감미 식물이다. 감미 성분은 스테비오사이드로 감미도는 설탕의 약 250배이며(Kim MS 등 1997), 영어로는 스위트 허브(sweet herb) 또는 허니 리브(honey leaf)라고 한다(Noh MH 2005). 스테비아의 독성에 대해 광범위하게 연구되어 왔는데 발암성과 유전독성은 포유류에서 관찰되지 않는 것으로 알려졌으며(Koyama E 등 2003), 당대체 감미료로 해산물, 피클, 디저트, 과자류 등 여러 식품에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다(Lee IS 1997). 또한 저칼로리 무독성 자연식품 스테비아는 현대인들의 당뇨병, 비만, 고지혈증 및 충치 등의 예방에 도움을 주고(Toskulkao C 등 1997), 알러지 반응이 있는 사람에게도 좋은 치료효과가 있어 여러 가지 의학용으로 활용되고 있다. 또한 열에도 안정적이어서 120℃에서 1시간 가열 후에도 pH나 단맛을 그대로 유지하고 있어(Toskulkao C 등 1997) 당대체 감미료로 각종 가공식품에 다양하게 이용되고 있다(Kim HI와 Lee BM 1996).
천연감미료인 스테비아가 인공감미료 대신 대체되기 시작하면서 스테비아의 기능성 및 식품분야에의 이용 등 다양한 연구가 시작되었으며, 항균 및 항암성(Tomita 등 1997; Toyoda 등 1997), 항당뇨(Dyrskog 등 2005), 그리고 항비만 및 혈당조절 효과(Park 2007; Park 등 2010) 등의 기능성이 밝혀졌고, 녹차에 비하여 20배 이상의 높은 항산화 활성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Lee 2008). 식품과 관련해서는 절임배추김치(Kim 등 2004), 설기떡(Noh 2005), 쌀겨단무지(Kim 등 2007), 쌍화음료(Baek 2008), 머핀(Hong 2009), 스테비아 잎 분말 첨가 카스텔라(Choi 등 2013) 등의 연구가 수행된바 있다.
두유는 대두의 소화율과 단백질 이용률을 높인 대표적 대두가공제품으로(Jang 등 2008), 필수아미노산 및 필수지방산이 다량 함유되어 있고 철, 인, 칼륨 등의 무기질이 풍부하며(Kim 등 2002), 유당이 함유되어 있지 않아 고단백우유 대체식품으로써의 가치를 인정받고 있다(Shin 등 2004). 또한 최근 식품산업이 빠르게 발전하고 식생활의 서구화, 고령화로 인한 각종 질병, 비만 등의 위험성이 커지면서 소비자들이 건강에 대한 관심이 크게 증대되고 있으며, 기능성물질, 생리활성물질을 첨가한 건강기능 식품에 대한 소비도 증가하고 있다(Jeong 2012). 이러한 추세에 따라 건강식품의 하나인 두유에 대해서도 관심이 증대되고 있으며, 두유에 대한 최근 연구로는 안토시아닌 첨가 두유(Noh 2008), 쌀을 활용한 전두유(Park & Kim 2008), 두유요구르트(Lee 등 2009), 두유푸딩(Youn 2009), 두유마요네즈(Park & Lee 2009), 메밀싹 첨가 두유(Jeong 2012), 두유 첨가 베샤멜 소스(Cha 2012), 홍삼추출물 첨가 두유(Lee 2012), 두유젤리(Kim & Kang 2012) 등이 있다. 현재 시판되는 두유 제품은 전통적 순수 두유를 포함하여 검은콩 두유, 칼슘강화 두유, 검은깨 두유, 견과류 두유 등이 있고(Jeong 2012), 단맛에도 차이를 두어 '담백한 맛' 두유와 '달콤한 맛' 두유로 다양화, 세분화되는 추세이다. 그러나 소비자의 다양한 입맛에 부응하는 추세에 따라 단맛을 위해 인위적으로 첨가하는 당이 단맛을 선호하는 식태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본 발명자들은 스테비아 잎 분말을 이용하여 두유를 개발하고자 예의 노력하였으며, 스테비아 잎 분말을 포함하는 두유 조성물의 최적 배합비를 찾음으로써, 관능성면에 있어서도 종래의 두유와 비교하여 우수한 맛과 향을 가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외관면에서도 전혀 품질이 떨어지지 않는 다는 것을 규명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관능성면 뿐만 아니라 외관면에서도 우수한 스테비아 잎 분말을 포함하는 두유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두유 조성물은 대두물질, 스테비아 잎 분말, 유지, 식염 및 수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스테비아 잎 분말은 두유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0.001 중량% 내지 2 중량%의 양으로 함유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대두물질은 두유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1 중량% 내지 15 중량%의 양으로 함유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유지는 두유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0.1 중량% 내지 1.5 중량%의 양으로 함유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식염은 두유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0.01 중량% 내지 5 중량%의 양으로 함유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수분은 두유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60 중량% 내지 90 중량%의 양으로 함유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두유 조성물로 제조된 두유는 종래 두유에 비해 관능 효과가 우수할 뿐만 아니라, 설탕 등의 당료물질과 지방의 첨가량을 줄일 수 있으므로 식품영양학적인 면에서도 웰빙 건강대용 식품으로서 우수한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험예에 따른 두유의 외관을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 달리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사용된 모든 기술 및 과학 용어는 당업계에 통상의 기술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는 바와 같은 의미를 가진다. 본 명세서에 포함되는 용어를 포함하는 다양한 과학적 사전이 잘 알려져 있고, 당업계에서 이용 가능하다. 비록 본 명세서에 설명된 것과 유사 또는 등가인 임의의 방법 및 물질이 본원의 실행 또는 시험에 사용되는 것으로 발견되나, 몇몇 방법 및 물질이 설명되어 있다. 당업자가 사용하는 맥락에 따라, 다양하게 사용될 수 있기 때문에, 특정 방법학, 프로토콜 및 시약으로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단수형은 문맥이 명확하게 달리 지시하지 않으면 복수의 대상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또는"은 "및/또는"을 의미한다. 더욱이, 용어 "포함하는" 뿐만 아니라, 다른 형태, 예를 들어, "가지는", "이루어지는" 및 "구성되는"는 제한적이지 않다.
수치 범위는 상기 범위에 정의된 수치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걸쳐 주어진 모든 최대의 수치 제한은 낮은 수치 제한이 명확히 쓰여져 있는 것처럼 모든 더 낮은 수치 제한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걸쳐 주어진 모든 최소의 수치 제한은 더 높은 수치 제한이 명확히 쓰여져 있는 것처럼 모든 더 높은 수치 제한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걸쳐 주어진 모든 수치 제한은 더 좁은 수치 제한이 명확히 쓰여져 있는 것처럼, 더 넓은 수치 범위 내의 더 좋은 모든 수치 범위를 포함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 제공된 제목은 다양한 면 또는 전체적으로 명세서의 참조로서, 하기의 구현예를 제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은 대두물질, 스테비아 잎 분말, 유지 및 수분을 포함하는 두유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스테비아 잎 분말은 두유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0.001 중량% 내지 2 중량%의 양으로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두유(soybean milk)"는 대두를 수침, 마쇄, 증자, 냉각, 및 미분쇄 등의 일련의 공정을 수행하여 얻어진 단백질 함유 용액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대두물질"은 전체 분쇄 대두, 콩 농축물, 완전 지방 콩가루 또는 그릿(grits), 전체 대두분말, 전체 또는 부분 탈지 대두 플레이크 또는 분말, 탈지 대두분말, 전체 대두 플레이크, 탈지 대두 플레이크, 전체 콩가루, 탈피 대두가루 또는 탈지 콩가루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대두물질은 두유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1 중량% 내지 15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1 중량% 내지 10 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4 중량% 내지 8 중량%의 양으로 함유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스테비아"는 쌍떡잎식물 초롱꽃목 국화과 숙근(宿根) 다년초 여러해살이풀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스테비올 글리코시드(steviol glycoside)"는 스테비아의 잎에 존재하는 화합물로서 단맛을 내는 물질을 의미한다. 상기 스테비아 잎 내의 스테비올 글리코시드는 스테비오사이드(stevioside), 레바우디오사이드(rebaudioside), 레바우디오사이드 A, 레바우디오사이드 C, 둘코사이드(dulcoside) A 뿐만 아니라, 레바우디오사이드 B, D, E, F, 루부소사이드(rubuososide), 스테비올 비오사이드 및 스테비올 모노사이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하나 이상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스테비올 글리코시드의 화학구조는 하기와 같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2

상기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스테비아속은 스테비아 레바우디아나(Stevia rebaudiana), 스테비아 유파토리아(Stevia eupatoria), 스테비아 오바타(Stevia ovata), 스테비아 플루머라에(Stevia plummerae), 스테비아 살리시폴리아(Stevia salicifolia) 및 스테비아 세라타(Stevia serrata)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스테비아는 잎 부위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스테비아는 식물 그 자체 또는 분쇄물, 이의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스테비아 잎 분말은 두유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0.001 중량% 내지 2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 중량% 내지 1.5 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0.01 중량% 내지 1 중량%의 양으로 함유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두유는 두유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스테비아 잎 분말을 0.06 중량%로 함유할 때, 가장 우수한 색, 향 및 맛 기호도를 가질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유지"는 당업계에서 사용되는 임의의 유지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유지는 야자유 (coconut oil), 팜핵유 (palm kernel oil), 팜유 (palm oil), 채종유 (canola oil), 해바라기유 (sun flower oil), 대두유 (soy bean oil), 면실유 (cotton seed oil), 미강유, 옥배유, 올리브유, 쉬아지 (shea fat), 망고핵지(mango kernel fat), 일리페지 (Borneo tallow, Shorea stenoptera or Pentadema butyracea), 살지 (sal, Sherea robusta) 및 코쿰지 (kokum, Garcinia indica)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유지는 두유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0.1 중량% 내지 1.5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중량% 내지 1 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0.1 중량% 내지 0.5 중량%의 양으로 함유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두유 조성물은 상기 범위 내의 유지를 포함함으로써 두유의 제조시 요구되는 외관, 조직감뿐만 아니라 색, 향 및 맛이 우수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식염"은 식품 제조시 첨가물로 이용될 수 있는 짠맛을 나타내는 물질 또는 성분을 의미하는 것으로, 종래 두유의 제조시 시용되는 식염뿐만 아니라 식품업계에서 식품 첨가물로서 이용될 수 있는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식염은 천일염, 재제염, 정제염, 태움·용융염 및 가공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식염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천일염, 재제염 및 정제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식염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정제염일 수 있다.
상기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식염은 두유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0.01 중량% 내지 5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중량% 내지 3 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1 중량% 내지 2 중량%의 양으로 함유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두유 조성물은 최소의 식염을 포함함으로써 생산 원가 절감뿐만 아니라 과량의 식염 섭취로 인한 질환 및 질병을 예방할 수 있다.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수분"은 건조 성분을 배합하고 특성을 개발하기 위한 액체 성분으로서, 그 자체로서 또는 우유와 같은 다른 수성 액체의 성분으로서 첨가될 수 있다.
상기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수분은 두유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60 중량% 내지 90 중량%, 보다 바람직하기는 70 중량% 내지 80 중량%, 가장 바람직하기는 75 중량%의 양으로 함유될 수 있다.
상기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두유 조성물은 깨페이스트, 곡류분말, 너트류페이스트, 유화제, 안정제, 점증제, 향료, 당류, pH 조절제, 비타민, 토코페롤, 칼슘 및 이의 혼합물을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깨페이스트는 참깨 또는 흑깨를 포함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곡류분말은 보리, 조, 수수, 콩, 깨, 현미, 쌀, 흑미, 기장, 귀리, 밀, 율무 또는 메밀을 포함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너트류페이스트는 호두, 잣, 땅콩, 아몬드, 피스타치오 또는 케슈넛을 포함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유화제는 대두레시친, 슈가에스테르 또는 모노구리를 포함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안정제는 카라기난, 잔탄검, 아라비아검, 구아검 또는 젤란검을 포함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점증제는 펙틴, 한천, 젤라틴 또는 셀룰로오스를 포함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다양한 실시예를 제시한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실험 재료
스테비아 잎 분말(다그루바이오랩(주)), 시중에서 판매하는 달콤한 두유 B(삼육식품)와 두유원액(삼육식품)을 사용하였다. 스테비아 잎 분말의 성분을 한국식품연구원에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스테비아 잎 분말 100 g을 기준으로 열량 223.3 kcal, 수분 8.7%, 지방 3.3 g, 단백질 19.2 g, 탄수화물 57.5 g, 식이섬유 28.3 g, 당류 5.5 g, 불포화지방산인 리놀렌산은 597.3 mg, 비타민 E는 1.4mg, 칼슘과 마그네슘이 각각 476.4 mg, 317.1 mg이었고, 트랜스지방과 콜레스테롤은 함유되어 있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2) 재료의 배합 비율 및 제조 방법
스테비아 잎 분말의 함량이 두유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각각 0.02중량%(실시예 1), 0.04중량%(실시예 2), 0.06중량%(실시예 3) 및 0.08중량%(실시예 4)가 되도록 두유원액(삼육식품)과 혼합한 후, 살균한 저장병에 넣어 냉장고에 보관하면서 실험하였다. 한편, 비교예로서 달콤한 두유(삼육식품)을 사용하였다.
(3) 외관관찰
상기 제조된 각 두유를 투명한 200 ml 비커에 일정량씩 담아, 벽면에 나란히 놓고 디지털 카메라(DSC-P 150, Sony Co., Japan)로 플래시가 터지지 않도록 하여 촬영한 후 외관을 관찰하였다.
(4) 당도 및 pH 측정
상기 제조예에서 제조된 두유의 당도를 당도계(Pocket digital efractometer, Atago Co. Ltd, Tokyo, Japan)로 5회 반복 측정하여 평균값으로 나타내었다. pH는 두유를 상온에서 4시간 방치하여 각 시료의 온도를 21℃로 일정하게 한 후 pH meter(Cyber scan pH 6500)로 5회 반복 측정하여 평균값으로 나타내었다.
(5) 점도 측정
상기 제조된 두유들을 상온에서 4시간 방치하여 온도를 21℃로 일정하게 한 후 점도계(Brookfield, digital viscometer, LVDV-II+pro, Brookfield Engineering Laboratories Inc., U.S.A)로 측정하였다. 측정방법은 각 두유를 비커에 담고 spindle No. 63로 150 rpm으로 5초간 5회 반복 측정하여 평균값으로 나타내었다.
(6) 색도 측정
색도는 Hunter L, a, b color system을 가지고 있는 색차계(CM-3500, Minolta Inc., Japan)를 사용하여 L(명도), a(적색도), b(황색도) 값을 측정하였다. 표준백판(X=82.27, Y=83.82, Z=97.01)을 표준으로 하여, 상기 제조된 각 두유를 직경 25 mm 셀에 일정량 담아서 측정하였으며, 각 시료 당 5회 반복 측정하여 평균값으로 나타내었다.
(7) 관능평가
식품영양학과 학생 30명으로 패널을 구성하여 검사방법과 평가 특성을 설명한 후 상기 제조된 두유에 대한 관능검사를 실시하였다. 시료의 맛, 색, 향 및 선호도 평가는 5점 척도법(매우 좋다=5, 좋다=4, 보통=3, 싫다=2, 매우 싫다=1)을 사용하였다(Herbert & Juel 1993).
실험예 1: 두유의 외관 관찰
상기 실시예에서 제조된 두유의 외관 관찰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로부터 알 수 있듯이, 비교예는 농후한 황색을 나타내었으나, 스테비아 잎 분말 첨가 군은 스테비아 잎 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녹색이 점차 진해진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실험예 2: 두유의 당도 및 pH 측정
상기 실시예에서 제조된 두유의 당도와 pH를 측정한 결과를 하기의 표 1에 나타내었다.
[표 1]
Figure pat00003

상기 표 1로부터 알 수 있듯이, 비교예의 당도는 13.0%이었고, 스테비아 잎 분말 첨가군의 당도는 12.1 내지13.5%이었다. 한편, 제조 당일 비교예의 pH는 7.88, 스테비아 잎 분말 첨가군은 각각 7.90, 7.92, 7.96 및 7.98로, 스테비아 잎 분말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pH가 증가하였다(P<0.05).
실험예 3: 두유의 점도 측정
상기 실시예에서 제조된 두유의 점도를 측정한 결과를 하기의 표 2에 나타내었다.
[표 2]
Figure pat00004
상기 표 2으로부터 알 수 있듯이, 일반적으로 비교예에 비해 스테비아 잎 분말 첨가군에서 점도가 더 높았다(P<0.05). 저장 기간 중 점도의 변화를 살펴보면 비교예의 경우 제조 당일에는 11.09 cp이었고, 2일과 4일째는 10.82, 10.53 cp로 점차 감소하였으나 유의적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스테비아 잎 분말 첨가군의 경우 저장 일이 지남에 따라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나(P<0.05), 실시예 1 및 실시예 2의 두유의 경우 저장 일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내지 않았다.
실험예 4: 두유의 색도 측정
상기 실시예에서 제조된 두유의 색도를 측정한 결과를 하기의 표 3에 나타내었다.
[표 3]
Figure pat00005
상기 표 3로부터 알 수 있듯이, 스테비아 잎 분말의 함량이 증가할 수록 명도(L) 및 황색도(b)값은 일반적으로 감소하였으며(P<0.05), 적색도(a)는 증가하였다.
실험예 5: 두유의 관능검사
상기 실시예에서 제조된 두유의 관능검사를 수행한 결과를 하기의 표 4에 나타내었다.
[표 4]
Figure pat00006

상기 표 4로부터 알 수 있듯이, 스테비아 잎 분말 첨가군과 비교예의 색, 향, 맛 및 전체적인 기호도를 비교해 보면, 스테비아 잎 분말을 0.02 중량% 내지 0.08 중량%의 양으로 첨가한 실시예 1 내지 3이 비교예에 비해 대체적으로 우수한 점수를 받았다. 특히, 스테비아 잎 분말을 0.06 중량%의 양으로 첨가한 실시예 3의 경우, 색, 향, 맛 및 전체적인 기호도에서 모두 비교예에 비해 현저히 우수함이 확인되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2)

  1. 대두물질, 스테비아 잎 분말, 유지, 식염 및 수분을 포함하고,
    상기 스테비아 잎 분말은 두유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0.001 중량% 내지 2 중량%의 양으로 함유되는 것인, 스테비아 잎 분말을 포함하는 두유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비아 잎 분말은 두유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0.01 중량% 내지 1.5 중량%의 양으로 함유되는 것인, 스테비아 잎 분말을 포함하는 두유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비아 잎 분말은 두유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0.01 중량% 내지 1 중량%의 양으로 함유되는 것인, 스테비아 잎 분말을 포함하는 두유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비아 잎 분말은 스테비아 레바우디아나(Stevia rebaudiana), 스테비아 유파토리아(Stevia eupatoria), 스테비아 오바타(Stevia ovata), 스테비아 플루머라에(Stevia plummerae), 스테비아 살리시폴리아(Stevia salicifolia) 또는 스테비아 세라타(Stevia serrata)로부터 유래한 것인, 스테비아 잎 분말을 포함하는 두유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비아 잎 분말은 스테비올 글리코시드(steviol glycoside)를 포함하는 것인, 스테비아 잎 분말을 포함하는 두유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비올 글리코시드는 스테비오사이드(Stevioside), 레바우디오사이드(rebaudioside), 루부소사이드(rubusoside), 둘코사이드(dulcoside), 스테비올 비오사이드 또는 스테비올 모노사이드인 것인, 스테비아 잎 분말을 포함하는 두유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두물질은 두유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1 중량% 내지 15 중량%의 양으로 함유되는 것인, 스테비아 잎 분말을 포함하는 두유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는 두유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0.1 중량% 내지 0.5 중량%의 양으로 함유되는 것인, 스테비아 잎 분말을 포함하는 두유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는 야자유 (coconut oil), 팜핵유 (palm kernel oil), 팜유 (palm oil), 채종유 (canola oil), 해바라기유 (sun flower oil), 대두유 (soy bean oil), 면실유 (cotton seed oil), 미강유, 옥배유, 올리브유, 쉬아지 (shea fat), 망고핵지(mango kernel fat), 일리페지 (Borneo tallow, Shorea stenoptera or Pentadema butyracea), 살지 (sal, Sherea robusta) 및 코쿰지 (kokum, Garcinia indica)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인, 스테비아 잎 분말을 포함하는 두유 조성물.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염은 두유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0.01 중량% 내지 5 중량%의 양으로 함유되는 것인, 스테비아 잎 분말을 포함하는 두유 조성물.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분은 두유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60 중량% 내지 90 중량%의 양으로 함유되는 것인, 스테비아 잎 분말을 포함하는 두유 조성물.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두유 조성물로 제조되는 것인, 두유.
KR1020140127643A 2014-09-24 2014-09-24 스테비아 잎 분말을 포함하는 두유 조성물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두유 KR2016003583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7643A KR20160035833A (ko) 2014-09-24 2014-09-24 스테비아 잎 분말을 포함하는 두유 조성물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두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7643A KR20160035833A (ko) 2014-09-24 2014-09-24 스테비아 잎 분말을 포함하는 두유 조성물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두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5833A true KR20160035833A (ko) 2016-04-01

Family

ID=557991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7643A KR20160035833A (ko) 2014-09-24 2014-09-24 스테비아 잎 분말을 포함하는 두유 조성물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두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3583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5627A (ko) * 2016-10-26 2018-05-04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레바우디오사이드 c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WO2020004771A1 (ko) * 2018-06-28 2020-01-02 주식회사 삼양사 콩취가 감소된 저칼로리 두유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5627A (ko) * 2016-10-26 2018-05-04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레바우디오사이드 c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WO2020004771A1 (ko) * 2018-06-28 2020-01-02 주식회사 삼양사 콩취가 감소된 저칼로리 두유
KR20200001924A (ko) * 2018-06-28 2020-01-07 주식회사 삼양사 콩취가 감소된 저칼로리 두유
JP2021528981A (ja) * 2018-06-28 2021-10-28 サムヤン コーポレイション 豆臭が減少した低カロリー豆乳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Pasukamonset et al. Physicochemical, antioxidant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sponge cakes fortified with Clitoria ternatea extract
Nyam et al. Fibre from pumpkin (Cucurbita pepo L.) seeds and rinds: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tioxidant capacity and application as bakery product ingredients.
DE202009018158U1 (de) Chiasamen-Zusammensetzung
Wang Peanuts: processing technology and product development
Bobkov Biochemical and technological properties of buckwheat grains
González-Montemayor et al. Prosopis spp. functional activities and its applications in bakery products
Khiraoui et al. Stevia rebaudiana Bertoni (Honey Leaf): A magnificent natural bio-sweetener, biochemical composition, nutritional and therapeutic values
Hernández-Becerra et al. Nopal cladodes (Opuntia Ficus Indica): Nutritional properties and functional potential
WO2014156552A1 (ja) ソフトクッキー
Jdir et al. The rocket, Diplotaxis simplex, as a functional ingredient: LC-ESI-MS analysis and its effect on antioxidant and physical properties of bread
Nissen et al. Industrial hemp foods and beverages and product properties
KR20160035833A (ko) 스테비아 잎 분말을 포함하는 두유 조성물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두유
Wirawan et al. Consumers' perception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novel functional cookie enriched with medicinal plant Strobilanthes crispus
Dhawan et al. Exploration of the nourishing, antioxidant and product development potential of beetroot (Beta vulgaris) flour
KR20160006538A (ko) 오과다 죽 제조 방법
TW201922114A (zh) 包括阿洛酮糖之塗佈爆米花用粉劑及其製備方法
KR20160035832A (ko) 스테비아 잎 분말을 포함하는 빵 조성물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빵
Khalil et al. Preparation and properties of low fat ice cream supplemented with baked sweet potato puree.
JP6507724B2 (ja) ハードクッキーの製造方法
Kour et al. Evaluation and development of healthy pancake premix from pseudocereals amaranth and buckwheat
KR101962325B1 (ko) 홍삼 모나카 및 그 제조방법
Lim et al. Fagopyrum esculentum
Khalil et al. The use of Jambul fruit (Syzygium cumini) as a source of natural antioxidants in functional low fat ice cream making.
Wang et al. Overview of peanut processing quality
Aly et al. The use of corn flour, chia and quinoa powders in preparing gluten-free products for celiac patie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