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35827A - 도자판 - Google Patents

도자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35827A
KR20160035827A KR1020140127630A KR20140127630A KR20160035827A KR 20160035827 A KR20160035827 A KR 20160035827A KR 1020140127630 A KR1020140127630 A KR 1020140127630A KR 20140127630 A KR20140127630 A KR 20140127630A KR 20160035827 A KR20160035827 A KR 201600358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cuate surface
plate
extending
weight
f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276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26670B1 (ko
Inventor
염종만
Original Assignee
염종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염종만 filed Critical 염종만
Priority to KR10201401276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6670B1/ko
Publication of KR201600358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58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66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66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 E04C2/0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of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of asbestos cement; of cement and other mineral fibr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14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ceramics concrete; of glass or with an outer layer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or glass
    • E04F13/142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ceramics concrete; of glass or with an outer layer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or glass with an outer layer of ceramics or clay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01/00Joining sheets or plates or panels
    • E04F2201/02Non-undercut connections, e.g.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 E04F2201/027Non-undercut connections, e.g.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connected by tongues and grooves, the centerline of the connection being inclined to the top surfac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03/00Specially structured or shap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03/02Specially structured or shap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having particular shapes, other than square or rectangular, e.g. triangular, hexagonal, circular, irregul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Finishing Wall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자판이 개시되는 것으로, 판상의 몸체(10)와; 상기 판상의 몸체(10) 측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돌출부(20)와; 상기 판상의 몸체(10) 측면에 대해 요입되고 상기 돌출부(20)에 대응되는 요입부(30)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인 도자판 제조방법은, 장석 10중량부, 규석 10중량부, 석회석 10중량부, 점토 20중량부, 아루미나(alumina) 10중량부, 사질(砂質) 10중량부, 몰탈 5중량부, 내화물(耐火物) 5중량부, 카오링(kaolin) 5중량부를 혼합 반죽하여 반죽물을 구비하는 제1공정(S1); 상기 제1공정(S1)에 의해 반죽된 반죽물을 성형틀에 넣어 돌출부와 요입부를 갖는 성형물을 찍어내는 제2공정(S2); 제2공정(S2)에 의해 성형된 성형물을 1200℃ ~ 1300℃의 온도로 12시간 초벌소성하는 제3공정(S3); 제3공정(S3)에 의해 초벌소성된 성형물에 그림을 그리는 제4공정(S4); 제4공정(S4) 후 1200℃ ~ 1300℃ 온도로 18시간 재벌소성하는 제5공정(S5)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도자판 및 도자판 제조방법{ceramic plate and manufacture method of ceramic plate}
본 발명은 도자판 및 도자판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장석과 규석, 석회석, 점토는 물론 아루미나(alumina)와 모래성분으로 되어 있는 토질인 사질과 몰타르와 내화물 및 카올린을 혼합하여 반죽한 반죽물을 이용하여 도자판을 제조함에 따라 내구성 및 견고성이 크게 향상되도록 하고 도자판에 연결돌부와 연결홈부를 구비하여 도자판들이 서로 연결됨으로써 하나의 인테리어 효과를 연출할 수 있도록 한 도자판 및 도자판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자판이라 함은 도자기 기법으로 만들어진 판상의 판넬을 말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타일이 이에 속하는 것이며, 주택을 포함한 건축물은 주거 및 사무공간으로서의 기능에 더하여 문화공간으로서의 개념이 가미되기 시작했으며, 이러한 노력의 일환으로 건축물에예술성을 부여하고, 또한 주위환경과의 조화를 통해 인간적인 공간을 제공하는 새로운 개념의 건축문화를 탄생시키게 되었다.
이와 같은 노력에 의해 건축문화는 장족의 발전을 거듭하게 되었고, 이에 따라 건축마감재용 내ㅇ외장재 산업 또한 건축문화의 발전에 발맞추어 발전하게 되었다.
이러한 건축마감재는 내장재, 외장재 및 바닥재로 대별할 수 있는데, 건축마감재로써 가장 많이 사용되는 것은 목재, 석재(대리석), 금속재 및 타일을 들 수 있으며, 특히, 석재와 타일은 건축물 내ㅇ외장의 가장 보편화된 건축마감재라 할 수 있다.
종래 타일을 제조하는 방법을 간략적으로 설명하면, 타일의 주원료인 고령토와 점토를 혼합하고 혼합된 혼합물을 롤러크러셔에 공급한 후, 혼합물을 미세하게 분쇄한 다음, 미세하게 분쇄된 혼합물을 다시 혼수 및 혼련공정을 거쳐 수분을 공급하면서 혼합 분쇄물을 혼합하고 진공토련성형한 다음 절단하여 건조시키고 건조된 타일을 소성공정을 거쳐 소성시킴으로써 타일을 제조하고 있다.
이와 같이 제조된 타일은 대개 건축공사나 인테리어 공사의 벽면 마감용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도자기 기법으로 만들어진 판상의 판넬인 도자판은, 대개 건축용으로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대개의 도자판이 점토와 고령토만을 이용하여 제조되기 때문에 견고성은 물론 내구성이 크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즉, 공업적으로 생산된 타일의 경우는 다양한 무늬를 통해 내부 인테리어의 개성화, 장식화를 가능하게 하고, 또한 뛰어난 평활성, 경량성 및 다량으로 생산이 가능하고 경제적인 가격이라는 특징적인 요소를 지니고 있기는 하나, 그 재질의 특성 및 제조방법상의 문제로 인하여 다른 건축마감재에 비해 취약하기 때문에 다른 건축마감재에 비해 파손의 우려가 많다.
이에 따라, 예컨대 타일을 벽면에 부착하는 과정이나 또는 타일의 운반과정에서 타일이 떨어질 경우 타일이 깨지거나 훼손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되고 있다.
한편, 어린아이들의 학습을 위해 도자기 체험을 하고 있는 바, 대개의 도자기 체험이 점토에 의해 만들어진 반죽물을 이용하여 어린아이들이 자신이 원하는 모양이나 형상을 갖는 그릇이나 병 등의 형상물을 빚으면, 빚어진 형상물을 도자기 기법의 소성과정을 거쳐 다시 어린아이들에게 전달해주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도자기 체험에 사용되는 반죽물 역시 점토를 이용하고 있음에 따라 내구성은 물론 견고성이 크게 떨어지기 때문에 완성된 완성품이 쉽게 깨지거나 하여 어린아이들로 하여금 실망감을 갖게 하는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대개의 도자기 체험의 경우 주로 한 학급 단위로 이루어지고 있는 바, 한 학급의 학생들이 서로 다른 형상이나 모양을 만들어 냄에 따라 학급 전체에 대한 단결성이나 결속성을 갖도록 하기에는 역부족이다.
종래 기술을 살펴보면, 공개특허 10-1999-026670호인 생활용 가구문의 장식용 도자기판이 안출된 바 있으며, 이는 얇은 두께로 성형한 도자기판에 유약을 발라 가마에서 구워주고 전사지를 붙여 다시 구워 문양을 넣고 다시 유약을 이중 도포하여 재차 구워서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 기술은, 장식장 또는 장롱, 싱크대 등에 다목적으로 이용될 수 있고 장기간의 사용에도 색상이 변색되지 않으며, 습기나 물 또는 공기오염 등으로 인하여 변형이나 부식이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오랜 기간의 사용에도 항상 깨끗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기술 역시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내구성 및 견고성을 크게 향상시키지는 못하고 있으며, 또한 제조공정이 복잡하기 때문에 특히 어린아이들이 도자판 체험학습을 하기에는 많은 어려움이 있다.
대한민국공개특허 10-1999-026670(1999.04.15 공개) 대한민국등록특허 10-0215359호(1999.05.24 등록)
본 발명은 어린아이들이 쉽게 도자판 체험학습을 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제조된 도자판들을 서로 연결하면 하나의 인테리어 효과를 연출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어린아이들의 단결성 및 결속성을 갖을 수 있도록 하고 도자판의 내구성 및 견고성을 크게 향상시켜 줌에 따라 떨어지더라도 깨지거나 훼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도자판 및 도자판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인 도자판은, 판상의 몸체와; 상기 판상의 몸체 측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돌출부와; 상기 판상의 몸체 측면에 대해 요입되고 상기 돌출부에 대응되는 요입부로 이루어진다.
나아가, 상기 돌출부의 상단에는 끼워짐이 용이하도록 테이퍼진 제1가공면이 더 구비되고, 상기 요입부의 상단에는 끼워짐이 용이하도록 테이퍼진 제2가공면이 더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나아가, 상기 돌출부는, 제1돌출부와 제2돌출부 및 제3돌출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요입부는 제1요입부와 제2요입부 및 제3요입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판상의 몸체는, 상기 제1돌출부의 양측으로 각각 연장되는 제1호형면 및 제2호형면과 상기 제1호형면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1요입부의 일측과 연결되는 제3호형면 및 상기 제2호형면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3요입부의 일측과 연결되는 제4호형면을 갖는 제1판부와; 상기 제1판부의 제3호형면이 연결되는 제1요입부의 타측으로부터 연장되는 제5호형면과 상기 제5호형면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2돌출부의 일측과 연결되는 제6호형면과 상기 제2돌출부의 타측으로부터 연장되는 제6호형면과 상기 제6호형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제7호형면과 상기 제7호형면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2요입부의 일측과 연결되는 제8호형면을 갖는 제2판부와; 상기 제2판부의 제8호형면이 연결되는 제2요입부의 타측으로부터 연장되는 제9호형면과 상기 제9호형면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3돌출부의 일측과 연결되는 제10호형면과 상기 제3돌출부의 타측으로부터 연장되는 제11호형면과 상기 제11호형면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3요입부의 타측과 연결되는 제3판부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나아가, 상기 제1돌출부가 끼워지는 제1끼움부와; 상기 제2돌출부가 끼워지는 제2끼움부와; 상기 제3돌출부가 끼워지는 제3끼움부와; 상기 제1끼움부와 제2끼움부 및 제3끼움부를 각각 연결하고, 상기 제1돌출부와 제2돌출부 및 제3돌출부가 상기 제1끼움부와 제2끼움부 및 제3끼움부에 각각 끼워지는 것에 의해 상기 제1호형면과 제2호형면, 제6호형면, 제7호형면, 제10호형면, 제11호형면이 각각 밀착되는 밀착면들을 갖는 연결도자판이 더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나아가, 상기 판상의 몸체는, 제1측면과 이 제1측면으로부터 경사지게 연결되는 제2측면과 상기 제2측면과 상기 제1측면을 연결하는 제3측면에 의해 삼각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인 도자판 제조방법은, 장석 10중량부, 규석 10중량부, 석회석 10중량부, 점토 20중량부, 아루미나(alumina) 10중량부, 사질(砂質) 10중량부, 몰탈 5중량부, 내화물(耐火物) 5중량부, 카오링(kaolin) 5중량부를 혼합 반죽하여 반죽물을 구비하는 제1공정; 상기 제1공정에 의해 반죽된 반죽물을 성형틀에 넣어 돌출부와 요입부를 갖는 성형물을 찍어내는 제2공정; 제2공정에 의해 성형된 성형물을 800℃ ~ 1000℃의 온도로 12시간 초벌소성하는 제3공정; 제3공정에 의해 초벌소성된 성형물에 그림을 그리는 제4공정; 제4공정 후 1200℃ ~ 1300℃ 온도로 18시간 재벌소성하는 제5공정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장석과 규석, 석회석, 점토는 물론 아루미나(alumina)와 모래성분으로 되어 있는 토질인 사질과 몰타르와 내화물 및 카올린을 혼합하여 반죽한 반죽물을 이용하여 도자판을 제조함에 따라 내구성 및 견고성이 크게 향상되도록 하고 도자판에 서로 대응되게 끼워지는 돌출부와 요입부를 구비하여 도자판들이 서로 연결되어 하나의 인테리어 효과를 연출할 수 있도록 하여 어린아이들의 체험학습시에 서로에 대한 단결성 및 결속성을 얻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도자판의 일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인 도자판의 다른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인 도자판의 연결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인 도자판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인 도자판의 또 다른 연결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인 도자판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인 도자판의 또 다른 연결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인 도자판의 제조공정을 나타낸 공정도이다.
이하, 상기 목적 외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히 드러나게 될 것이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자판 및 도자판 제조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도자판은, 판상의 몸체(10)와, 상기 판상의 몸체(10) 측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돌출부(20)와, 상기 판상의 몸체(10) 측면에 대해 요입되고 상기 돌출부(20)에 대응되는 요입부(30)로 이루어진다.
상기 몸체(10)는, 판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몸체(10)의 두께는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돌출부(20)는 상기 몸체(10)의 측면으로부터 몸체(10)와 일체로 연장되어 돌출되는 것이고, 상기 요입부(30)는 상기 몸체(10)의 측면에 대해 요입되는 것으로, 본 발명인 도자판과 또 다른 본 발명의 도자판을 연결할 때 상기 돌출부(20)와 요입부(30)를 서로 끼움결합함으로써 여러 개의 도자판들을 연결할 수 있으며, 여러 개의 도자판들이 서로 연결되어 또 다른 하나의 인테리어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이 몸체(10)에 돌출부(20)와 요입부(30)가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인 도자판을 이용하여 어린아이들이 체험학습을 할 때 자신이 그림을 그린 하나의 도자판을 다른 친구들이 그림을 그린 친구들의 도자판과 서로 연결하여 끼워 맞춤으로써 하나의 인테리어 작품을 연출할 수 있기 때문에 어린아이들에게 서로에 대한 결속성 및 단결성을 부각시킬 수 있다.
상기 돌출부(20)의 상단에는 끼워짐이 용이하도록 테이퍼진 제1가공면(20a)이 더 구비되고, 상기 요입부(30)의 상단에는 끼워짐이 용이하도록 테이퍼진 제2가공면(30a)이 더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돌출부(20)에 제1가공면(20a)이 더 구비되고 요입부(30)에 제2가공면(30a)이 더 구비되며 또한 제1가공면(20a)과 제2가공면(30a)이 모두 테이퍼지게 구비됨으로써 서로에 대해 대응되는 돌출부(20)와 요입부(30)의 끼움결합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즉, 본 발명의 도자판은 본 발명의 도자판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것으로, 이에 따라 돌출부(20)와 요입부(30)가 거칠어질 수 있는 바, 예컨대 돌출부(20)와 요입부(30)가 거칠어지면 이들 돌출부(20)와 요입부(30)가 서로에 대해 끼움결합됨이 용이하지 않게 되지만, 상기와 같이 테이퍼진 제1가공면(20a)과 제2가공면(30a)이 더 구비됨으로써 돌출부(20)와 요입부(30)의 용이한 끼움결합이 가능하다.
상기 돌출부(20)는, 제1돌출부(21)와 제2돌출부(22) 및 제3돌출부(23)로 이루어지고, 상기 요입부(30)는 제1요입부(31)와 제2요입부(32) 및 제3요입부(33)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판상의 몸체(10)는, 상기 제1돌출부(21)의 양측으로 각각 연장되는 제1호형면(111) 및 제2호형면(112)과 상기 제1호형면(111)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1요입부(31)의 일측과 연결되는 제3호형면(113) 및 상기 제2호형면(112)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3요입부(33)의 일측과 연결되는 제4호형면(114)을 갖는 제1판부(110)와, 상기 제1판부(110)의 제3호형면(113)이 연결되는 제1요입부(31)의 타측으로부터 연장되는 제5호형면(121)과 상기 제5호형면(121)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2돌출부(22)의 일측과 연결되는 제6호형면(122)과 상기 제2돌출부(22)의 타측으로부터 연장되는 제6호형면(122)과 상기 제6호형면(122)으로부터 연장되는 제7호형면(123)과 상기 제7호형면(123)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2요입부(32)의 일측과 연결되는 제8호형면(124)을 갖는 제2판부(120)와, 상기 제2판부(120)의 제8호형면(124)이 연결되는 제2요입부(32)의 타측으로부터 연장되는 제9호형면(131)과 상기 제9호형면(131)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3돌출부(23)의 일측과 연결되는 제10호형면(132)과 상기 제3돌출부(23)의 타측으로부터 연장되는 제11호형면(133)과 상기 제11호형면(133)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3요입부(33)의 타측과 연결되는 제12호형면(134)를 갖는 제3판부(130)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구비된 판상의 몸체(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에 대해 대응되는 각각의 돌출부 및 요입부들이 서로 끼워져 연결되어 결합되는 것으로, 이 때 상기 각각의 돌출부 및 요입부들이 각각의 호형면들에 의해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서로에 대해 대응되는 각각의 돌출부 및 요입부들이 서로 끼워질 때 서로 대응되는 각각의 호형면들이 서로 밀착됨으로써 연결성 향상은 물론 판상의 몸체(10)들 사이의 공간이 발생되지 않는다.
뿐만 아니라, 서로에 대해 대응되는 각각의 호형면들이 서로 밀착되기 때문에 대응되는 돌출부와 요입부들의 끼움결합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판상의 몸체(10)들간의 결속성 및 지지성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도자판은, 상기 제1돌출부(21)가 끼워지는 제1끼움부(41)와, 상기 제2돌출부(22)가 끼워지는 제2끼움부(42)와, 상기 제3돌출부(23)가 끼워지는 제3끼움부(43)와, 상기 제1끼움부(41)와 제2끼움부(42) 및 제3끼움부(43)를 각각 연결하고, 상기 제1돌출부(21)와 제2돌출부(22) 및 제3돌출부(23)가 상기 제1끼움부(41)와 제2끼움부(42) 및 제3끼움부(43)에 각각 끼워지는 것에 의해 상기 제1호형면(111)과 제2호형면(112), 제6호형면(122), 제7호형면(123), 제10호형면(132), 제11호형면(133)이 각각 밀착되는 밀착면(44)들을 갖는 연결도자판(40)이 더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연결도자판(40)은 판상의 몸체(10)에 구비되는 돌출부가 구비되지 않는 것으로, 판상의 몸체(10)들을 연결하거나 또는 판상의 몸체(10)들의 제1돌출부(21)와 제2돌출부(22) 및 제3돌출부(23)가 상기 제1끼움부(41)와 제2끼움부(42) 및 제3끼움부(43)에 각각 끼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1끼움부(41)와 제2끼움부(42) 및 제3끼움부(43)에 상기 제1돌출부(21)와 제2돌출부(22) 및 제3돌출부(23)가 끼움 결합되는 판상의 몸체(10)에 구비되는 제1요입부(31)와 제2요입부(32) 및 제3요입부(33)들에 의해 공간이 형성되기 때문에 이 형성된 공간에 또 다른 포인트 도자판(미도시)을 예컨대, 판상의 몸체(10)와는 다른 색상을 갖는 포인트 도자판을 끼워 또 다른 인테리어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 판상의 몸체(10)는, 제1측면(140)과 이 제1측면(140)으로부터 경사지게 연결되는 제2측면(150)과 상기 제2측면(150)과 상기 제1측면(140)을 연결하는 제3측면(160)에 의해 삼각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제1측면(140)과 이 제1측면(140)으로부터 경사지게 연결되는 제2측면(150)과 상기 제2측면(150)과 상기 제1측면(140)을 연결하는 제3측면(160)에 의해 삼각형상으로 이루어지는 4개의 판상의 몸체(10)들을 서로에 대해 대응되는 돌출부(20)와 요입부(30)를 이용하여 끼움결합하면 사각형 형상을 갖는 또 다른 도자판을 얻을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인테리어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 때, 상기 경사지게 연결되는 제2측면(150)의 경사각도는 바람직하게는 45도 각도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인 도자판 제조방법은 본 발명인 도자판을 제조하는 방법으로, 장석 10중량부, 규석 10중량부, 석회석 10중량부, 점토 20중량부, 아루미나(alumina) 10중량부, 사질(砂質) 10중량부, 몰탈 5중량부, 내화물(耐火物) 5중량부, 카오링(kaolin) 5중량부를 혼합 반죽하여 반죽물을 구비하는 제1공정(S1)과, 상기 제1공정(S1)에 의해 반죽된 반죽물을 성형틀에 넣어 돌출부와 요입부를 갖는 성형물을 찍어내는 제2공정(S2)과, 제2공정(S2)에 의해 성형된 성형물을 800℃ ~ 1000℃의 온도로 12시간 초벌소성하는 제3공정(S3)과, 제3공정(S3)에 의해 초벌소성된 성형물에 그림을 그리는 제4공정(S4)과, 제4공정(S4) 후 1200℃ ~ 1300℃ 온도로 18시간 재벌소성하는 제5공정(S5)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장석은 규산, 알루미늄 등으로 구성된 화성암의 주성분으로 도자기의 원료로 사용됨이 가능하고, 상기 규석은 규소의 성분을 주로 한 규질암을 통틀어 이르는 것으로 도자기 등의 원료로 사용됨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석회석은 탄산칼슘을 주성분으로 하는 퇴적암을 말하는 것으로 시멘트의 원료로 사용되며 석회석을 본 발명인 도자판 제조방법에 적용함으로써 각각의 구성요소들에 대한 결집력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아루미나(alumina)는 산화알루미늄을 의미하는 것으로 강성이 뛰어나 연마제로 사용되기도 하며 본 발명의 제1공정(S1)에서 아루미나를 혼합함으로써 내구성 및 견고성을 크게 향상시킨다.
상기 사질(砂質)은, 모래성분으로 되어 있는 토질을 말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제1공정(S1)에서 사질을 혼합함으로써 제조된 도자판에 부드러운 느낌을 갖도록 한다.
상기 내화물은 점토질을 주원료로 하여 만든 산성 내화물인 점토질내화물을 말하는 것으로 높은 온도에도 잘 견디기 때문에 본 발명으로 제조되는 도자판의 내화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카오링(kaolin)은 중국의 카오링에서 많이 생산되는 백색의 질흙을 말하는 것으로 부드러운 점토인 카오링에 의해 본 발명의 제1공정(S1)에서의 반죽물을 혼합 반죽할 때 반죽성이 용이하고 본 발명의 제2공정(S2)에서의 성형물을 찍어낼 때 성형물에 대한 성형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상기 제2공정(S2)은, 반죽물을 성형틀에 넣은 후 성형물을 찍어내어 성형하는 것으로 이 때 성형틀의 내부에 본 발명인 도자판에 구비되는 돌출부(20)가 성형되는 홈부와 요입부(30)가 성형되는 돌부가 구비되어 있음은 당연하다.
상기 제3공정(S3)은, 제2공정(S2)에 의해 성형된 성형물을 800℃ ~ 1000℃의 온도로 12시간 초벌 소성하는 것으로, 성형물을 일반적인 도자기 초벌온도인 550℃ ~ 750℃가 아닌 800℃ ~ 1000℃의 온도로 초벌소성하는 이유는, 초벌소성 후의 성형물이 깨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기 위함이며, 일반적인 도자기의 경우에는 주로 점토만을 주원료로 하기 때문에 본 발명과 같이 800℃ ~ 1000℃의 고온으로 초벌할 경우 초벌과정에서 균열이 생기게 되지만, 본 발명은 장석 10중량부, 규석 10중량부, 석회석 10중량부, 점토 20중량부, 아루미나(alumina) 10중량부, 사질(砂質) 10중량부, 몰탈 5중량부, 내화물(耐火物) 5중량부, 카오링(kaolin) 5중량부를 혼합 반죽하여 성형물을 얻기 때문에 800℃ ~ 1000℃의 고온으로 초벌소성하여도 된다.
상기 제4공정(S4)은, 상기 제3공정(S3)에 의해 초벌소성된 성형물에 체험학습을 하는 어린아이들이 직접 자신이 원하는 그림을 그리는 공정이다.
또한, 제4공정(S4)에 의해 그림을 다 그린 후에는 그림이 그려진 성형물을 다시 상기 제5공정(S5)에 의해 역시 1200℃ ~ 1300℃의 고온에서 18시간 재벌소성하는 것으로, 이 때 18시간 동안 재벌소성하는 이유는 제5공정(S5) 후 제조된 도자판의 내구성 및 견고성이 더욱 향상되도록 하기 위함이며, 18시간을 초과할 경우에는 오히려 재벌소성하는 과정에서 성형물이 깨지는 현상이 발생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 몸체 20 : 돌출부
20a : 제1가공면 21 : 제1돌출부
22 : 제2돌출부 23 : 제3돌출부
30 : 요입부 30a : 제2가공면
31 : 제1요입부 32 : 제2요입부
33 : 제3요입부 40 : 연결도자판
41 : 제1끼움부 42 : 제2끼움부
43 : 제3끼움부 44 : 밀착면
110 : 제1판부 111 : 제1호형면
112 : 제2호형면 113 : 제3호형면
114 : 제4호형면 120 : 제2판부
121 : 제5호형면 122 : 제6호형면
123 : 제7호형면 124 : 제8호형면
130 : 제3판부 131 : 제9호형면
132 : 제10호형면 133 : 제11호형면
134 : 제12호형면 140 : 제1측면
150 : 제2측면 160 : 제3측면
S1 : 제1공정 S2 : 제2공정
S3 : 제3공정 S4 : 제4공정
S5 : 제5공정

Claims (6)

  1. 판상의 몸체(10)와;
    상기 판상의 몸체(10) 측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돌출부(20)와;
    상기 판상의 몸체(10) 측면에 대해 요입되고 상기 돌출부(20)에 대응되는 요입부(3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자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20)의 상단에는 끼워짐이 용이하도록 테이퍼진 제1가공면(20a)이 더 구비되고,
    상기 요입부(30)의 상단에는 끼워짐이 용이하도록 테이퍼진 제2가공면(30a)이 더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자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20)는,
    제1돌출부(21)와 제2돌출부(22) 및 제3돌출부(23)로 이루어지고,
    상기 요입부(30)는 제1요입부(31)와 제2요입부(32) 및 제3요입부(33)로 이루어지며,
    상기 판상의 몸체(10)는,
    상기 제1돌출부(21)의 양측으로 각각 연장되는 제1호형면(111) 및 제2호형면(112)과 상기 제1호형면(111)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1요입부(31)의 일측과 연결되는 제3호형면(113) 및 상기 제2호형면(112)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3요입부(33)의 일측과 연결되는 제4호형면(114)을 갖는 제1판부(110)와;
    상기 제1판부(110)의 제3호형면(113)이 연결되는 제1요입부(31)의 타측으로부터 연장되는 제5호형면(121)과 상기 제5호형면(121)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2돌출부(22)의 일측과 연결되는 제6호형면(122)과 상기 제2돌출부(22)의 타측으로부터 연장되는 제6호형면(122)과 상기 제6호형면(122)으로부터 연장되는 제7호형면(123)과 상기 제7호형면(123)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2요입부(32)의 일측과 연결되는 제8호형면(124)을 갖는 제2판부(120)와;
    상기 제2판부(120)의 제8호형면(124)이 연결되는 제2요입부(32)의 타측으로부터 연장되는 제9호형면(131)과 상기 제9호형면(131)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3돌출부(23)의 일측과 연결되는 제10호형면(132)과 상기 제3돌출부(23)의 타측으로부터 연장되는 제11호형면(133)과 상기 제11호형면(133)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3요입부(33)의 타측과 연결되는 제12호형면(134)를 갖는 제3판부(130)로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자판.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돌출부(21)가 끼워지는 제1끼움부(41)와;
    상기 제2돌출부(22)가 끼워지는 제2끼움부(42)와;
    상기 제3돌출부(23)가 끼워지는 제3끼움부(43)와;
    상기 제1끼움부(41)와 제2끼움부(42) 및 제3끼움부(43)를 각각 연결하고,
    상기 제1돌출부(21)와 제2돌출부(22) 및 제3돌출부(23)가 상기 제1끼움부(41)와 제2끼움부(42) 및 제3끼움부(43)에 각각 끼워지는 것에 의해 상기 제1호형면(111)과 제2호형면(112), 제6호형면(122), 제7호형면(123), 제10호형면(132), 제11호형면(133)이 각각 밀착되는 밀착면(44)들을 갖는 연결도자판(40)이 더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자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상의 몸체(10)는,
    제1측면(140)과 이 제1측면(140)으로부터 경사지게 연결되는 제2측면(150)과 상기 제2측면(150)과 상기 제1측면(140)을 연결하는 제3측면(160)에 의해 삼각형상으로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자판.
  6. 장석 10중량부, 규석 10중량부, 석회석 10중량부, 점토 20중량부, 아루미나(alumina) 10중량부, 사질(砂質) 10중량부, 몰탈 5중량부, 내화물(耐火物) 5중량부, 카오링(kaolin) 5중량부를 혼합 반죽하여 반죽물을 구비하는 제1공정(S1);
    상기 제1공정(S1)에 의해 반죽된 반죽물을 성형틀에 넣어 돌출부와 요입부를 갖는 성형물을 찍어내는 제2공정(S2);
    제2공정(S2)에 의해 성형된 성형물을 800℃ ~ 1000℃의 온도로 12시간 초벌소성하는 제3공정(S3);
    제3공정(S3)에 의해 초벌소성된 성형물에 그림을 그리는 제4공정(S4);
    제4공정(S4) 후 1200℃ ~ 1300℃ 온도로 18시간 재벌소성하는 제5공정(S5)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자판 제조방법.
KR1020140127630A 2014-09-24 2014-09-24 도자판 KR1016266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7630A KR101626670B1 (ko) 2014-09-24 2014-09-24 도자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7630A KR101626670B1 (ko) 2014-09-24 2014-09-24 도자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5827A true KR20160035827A (ko) 2016-04-01
KR101626670B1 KR101626670B1 (ko) 2016-06-01

Family

ID=557991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7630A KR101626670B1 (ko) 2014-09-24 2014-09-24 도자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667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85895A (ja) * 1995-09-25 1997-03-31 Riboole:Kk 軽量調湿パネル
KR19990026670A (ko) 1997-09-26 1999-04-15 김재연 생활용 가구문의 장식용 도자기판
KR100215359B1 (ko) 1997-04-18 1999-08-16 심재경 타일제조방법 및 장치와, 상기 방법 및 장치에 의하여 제조되는 타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85895A (ja) * 1995-09-25 1997-03-31 Riboole:Kk 軽量調湿パネル
KR100215359B1 (ko) 1997-04-18 1999-08-16 심재경 타일제조방법 및 장치와, 상기 방법 및 장치에 의하여 제조되는 타일
KR19990026670A (ko) 1997-09-26 1999-04-15 김재연 생활용 가구문의 장식용 도자기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26670B1 (ko) 2016-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R200502114A2 (tr) Antik çini özelliğinde dekoratif malzeme üretim yöntemi.
CN106045577A (zh) 中温雪花釉陶瓷制品及其的制作方法
WO2020234676A1 (en) Producing composite glaze ceramic tiles
CN1108935C (zh) 用于制造用作终饰建筑材料的陶瓷板的方法
US20080276562A1 (en) Engineered brick
Tursunovna et al.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CERAMIC AND CERAMIC MATERIALS
KR20180049759A (ko) 자석이 붙는 기능성 타일
EP315034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bricks for applications in building, and brick and wall obtained thereby
CN204510659U (zh) 一种适用于墙体阳角的陶瓷砖组合
KR20160035827A (ko) 도자판
CN102102419A (zh) 建筑垃圾(或煤矸石)彩瓷面节能墙体砌块
KR101730631B1 (ko) 타일 인쇄용 기능성 잉크 조성물을 이용한 장식용 타일 및 그 제조방법
CN207794505U (zh) 一种仿古墙面瓷砖
CN2531004Y (zh) 一种系列外墙保温装饰砌块砖
KR101947729B1 (ko) 자개가 부착된 건축용 마감재 및 이들의 제조방법
KR100588458B1 (ko) 환경도자블록의 제조방법
US20060101751A1 (en) Metal tile for interior and exterior decoration of building
CN202492962U (zh) 免砌砖
CN104695655A (zh) 一种适用于墙体阳角的陶瓷砖组合及其制备方法
KR900005472B1 (ko) 건축용 미장 벽돌
Durbin Nineteenth-century tiles: industrial mass production and construction methods of interior tile schemes in the nineteenth and early twentieth centuries
KR101686810B1 (ko) 2가지 색상이 구현되는 타일 제조 방법
Danilenko et al. PAST, FUTURE AND UP-TO-DATE TECHNOLOGIES IN BRICK CONSTRUCTION
ES2257938B1 (es) Formacion de una masa compuesta de cemento, perlita y mica, denominada "cpm", para la utilizacion de la misma como materia prima en la fabricacion de ladrillos, baldosas y otros elementos constructivos.
CN102725457B (z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