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35212A - 센서와 카메라를 이용한 인체의 자세 측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측정 방법 - Google Patents

센서와 카메라를 이용한 인체의 자세 측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측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35212A
KR20160035212A KR1020140126289A KR20140126289A KR20160035212A KR 20160035212 A KR20160035212 A KR 20160035212A KR 1020140126289 A KR1020140126289 A KR 1020140126289A KR 20140126289 A KR20140126289 A KR 20140126289A KR 20160035212 A KR20160035212 A KR 201600352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uman body
information
posture
camera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262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양수
문상준
Original Assignee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1262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35212A/ko
Publication of KR201600352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521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5For evaluating or diagnosing the musculoskeletal system or teeth
    • A61B5/4538Evaluating a particular part of the muscoloskeletal system or a particular medical condition
    • A61B5/4561Evaluating static posture, e.g. undesirable back curva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16Determining posture tran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26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using a particular sensing technique
    • A61B5/1128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using a particular sensing technique using image analy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a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Physiolog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Market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Rheumatology (AREA)
  • Studio Devices (AREA)
  • Length Measuring Devices By Optical Means (AREA)
  • Image Proces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센서와 카메라를 이용한 인체의 자세 측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측정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기구비된 카메라로부터 인체의 영상 정보를 입력받는 영상 입력부(100) 및 상기 영상 입력부(100)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영상 정보를 이용하여, 인체의 자세 정보를 판단하는 통합 관리부(20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통합 관리부(200)는 기구비된 센서로부터 상기 영상 입력부(100)의 카메라의 기울임 정도를 판단하는 센서부(21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와 카메라를 이용한 인체의 자세 측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센서와 카메라를 이용한 인체의 자세 측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측정 방법 {Device and method for measuring posture of human using sensor and camera}
본 발명은 센서와 카메라를 이용한 인체의 자세 측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측정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인체의 자세 기울기 정보를 획득하여 자세 이상의 정도를 판단하고, 이를 이용하여 자세 교정 등의 치료에 응용할 수 있는 센서와 카메라를 이용한 인체의 자세 측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측정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체의 자세가 잘못되면 보기에 좋지 않을 뿐 아니라, 만성 통증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일반인 및 의사들이 관심을 가지고 자세를 판단하고 측정하고 있다.
인체의 자세를 간단하게 측정하기 위해서 추가 달린 끈을 주로 사용하고 있으며, 이는 끈을 사람의 신체 특정 부위와 겹치게 하여 다른 신체 부위와 어떤 위치에 있는지를 확인함으로써 자세의 이상 여부를 측정한다.
그 외에 광학식 모션 캡쳐(Optical Motion Capture) 방식이나 마그네틱 모션 캡쳐(Magnetic Motion Capture) 방식이 사용되고 있으나 이는 별도의 고가의 장비가 필요하다.
이러한 종래의 인체의 자세 측정 장치의 경우, 반드시 별도의 측정 수단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비용이 많이 들어갈 뿐만 아니라, 마커 또는, 센서를 구비하는 과정이 복잡하여 전문 기관에 가서 측정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국내 공개 특허 제2010-0060622호("인체 자세 판별 시스템 및 그 방법", 이하 선행문헌 1)에서는 여러 위치에서 측정한 영상 정보들로부터 인체의 정보들을 추출하여 인체의 자세를 판별하고, 그 판별 결과를 이용하여 다양한 분야에 응용할 수 있도록 하는 인체 자세 판별 시스템 및 그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국내 공개 특허 제10-2010-0060622호 (공개일자 2010.06.07.)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인체의 자세 기울기 정보를 획득하여 자세 이상의 정도를 판단하고, 이를 이용하여 자세 교정 등의 치료에 응용할 수 있는 센서와 카메라를 이용한 인체의 자세 측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측정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와 카메라를 이용한 인체의 자세 측정 장치는, 기구비된 카메라로부터 인체의 영상 정보를 입력받는 영상 입력부(100) 및 상기 영상 입력부(100)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영상 정보를 이용하여, 인체의 자세 정보를 판단하는 통합 관리부(20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통합 관리부(200)는 기구비된 센서로부터 상기 영상 입력부(100)의 카메라의 기울임 정도를 판단하는 센서부(21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불어, 상기 통합 관리부(200)는 상기 센서부(210)에서 판단한 카메라의 기울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영상 입력부(100)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영상 정보를 보정하는 보정부(220) 및 상기 영상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인체의 자세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영상 정보 내에 인체의 자세 정보와 기설정된 인체의 자세 정보를 비교하여, 인체의 현재 자세 정보를 판단하는 판단부(23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센서부(210)는 하나 이상의 지점에서 중력 방향에 대해 측정된 기울기 값을 획득하고, 상기 측정된 기울기 값을 이용하여 상기 카메라의 기울임 정보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센서와 카메라를 이용한 인체의 자세 측정 장치는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관리하는 네트워크 관리부(300) 및 상기 네트워크 관리부(300)에 의해 상기 센서와 카메라를 이용한 인체의 자세 측정 장치와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며, 상기 통합 관리부(200)의 판단부(230)에서 판단한 인체의 현재 자세 정보를 전달받아 출력하는 외부 출력 장치(4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와 카메라를 이용한 인체의 자세 측정 장치를 이용한 자세 측정 방법은, 영상 입력부로부터 인체의 영상 정보를 입력받는 영상 입력 단계(S100), 통합 관리부에서 상기 영상 입력부에 구비되어 있는 카메라의 기울기 정도를 판단하는 기울기 판단 단계(S200), 상기 기울기 판단 단계(S200)에서 판단한 카메라의 기울기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영상 정보의 기울기 보정을 수행하는 영상 보정 단계(S300) 및 상기 영상 보정 단계(S300)에서 기울기 보정을 수행한 영상 정보에서 인체의 자세 정보를 추출하고, 기설정되어 있는 인체의 자세 정보와 추출한 인체의 자세 정보를 비교하여 인체의 현재 자세 정보를 판단하는 인체 자세 판단 단계(S40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불어, 상기 센서와 카메라를 이용한 인체의 자세 측정 방법은 상기 인체 자세 판단 단계(S400)를 수행하고 난 뒤, 판단한 인체의 현재 자세 정보를 연결되어 있는 외부 출력 장치로 전달하여 출력하는 정보 전달 단계(S500)를 더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 나아가, 본 발명에 의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카메라 및 센서를 포함한 스마트폰에 설치되면, 청구항 제4항 또는 제5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상기 스마트폰이 수행하도록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센서와 카메라를 이용한 인체의 자세 측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측정 방법은 측정자가 소지하고 있는 단말기에 포함되어 있는 카메라와 센서들을 이용하여 피측정자의 인체의 자세 기울기 정보를 신속하게 측정하고,
이에 따른 자세 이상의 정도를 팡가하고, 이를 이용하여 자세 교정 등의 치료에 응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의 센서와 카메라를 이용한 인체의 자세 측정 방법을 구현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카메라 및 센서를 포함한 스마트폰에 설치될 경우, 종래의 별도의 센서와 카메라가 필요치 않아 측정자가 소지하고 있는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신속하게 피측정자의 자세를 측정하고 그 결과값을 곧바로 확인할 수 있으며, 측정을 위한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와 카메라를 이용한 인체의 자세 측정 장치를 나타낸 간략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와 카메라를 이용한 인체의 자세 측정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3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와 카메라를 이용한 인체의 자세 측정 방법에 따른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센서와 카메라를 이용한 인체의 자세 측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측정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도면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제시되는 도면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또한,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이 때,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지며, 하기의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와 카메라를 이용한 인체의 자세 측정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와 카메라를 이용한 인체의 자세 측정 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센서와 카메라를 이용한 인체의 자세 측정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영상 입력부(100) 및 상기 영상 입력부(100)로부터 영상 정보를 입력받아 인체의 자세 정보를 판단하는 통합 관리부(2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센서와 카메라를 이용한 인체의 자세 측정 장치는 측정자가 소지하고 있는 스마트폰, 태블릿 등의 단말기를 의미하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와 카메라를 이용한 인체의 자세 측정 장치는 피측정자(환자)의 인체의 자세 정보를 측정하기 위해서 별도의 측정 수단 또는, 기준 수단이 필요치 아니하고,
측정자(의사)가 소지하고 있는 단말기에 포함되어 있는 카메라와 센서를 이용하여 피측정자의 자세 정보를 판단하여 측정할 수 있는 센서와 카메라를 이용한 인체의 자세 측정 장치이다.
각 구성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자면,
상기 영상 입력부(100)는 미리 구비되어 있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인체, 즉, 피측정자의 인체에 대한 영상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이 때 측정자(의사)는 상기 영상 입력부(100)로부터 전달받은 영상 정보를 확인하고 모니터링을 통한 카메라의 기울어짐에 대한 정보를 판단하여 카메라가 미리 설정된 최적 위치(바닥과 수직이 되는 위치)가 되도록 조절한 후, 상기 영상 입력부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다시 한번 측정자의 인체에 대한 영상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상기 통합 관리부(200)는 상기 영상 입력부(100)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영상 정보를 이용하여, 인체의 자세 정보를 좀 더 명확하게 판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통합 관리부(2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부(210), 보정부(220) 및 판단부(2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센서부(210)는 미리 구비된 센서, 즉, 중력 센서, 기울기 센서 또는, 지자기 센서를 이용하여 하나 이상의 지점에서 중력 방향에 대해 측정된 기울기 값을 획득하고, 상기 측정된 기울기 값을 이용하여 상기 영상 입력부(100)의 상기 카메라의 기울임 정보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센서부(210)는 중력 방향을 감지하는 중력 센서, 중력 방향이 이루는 각도를 측정하는 기울기 센서 또는, 지자기의 방향을 검출하는 지자기 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중력 센서, 기울기 센서 또는, 지자기 센서는 측정자가 소지하고 있는 단말기에 미리 포함될 수 있어, 측정자가 용이하게 피측정자의 자세를 측정 및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센서부(210)는 상기 센서들 중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이용하여 카메라의 기울기 정보를 판단할 수 있으나, 카메라의 기울기 정보 판단에 대한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중력 센서, 기울기 센서 및 지자기 센서 모두를 이용할 수 도 있다.
이를 통해서, 상기 통합 관리부(200)는 기울어져 있는 카메라를 통해서 측정된 인체의 영상 정보를 보정하여 인체의 현재 자세 정보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보정부(22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센서부(210)에서 판단한 상기 카메라의 기울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영상 입력부(100)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영상 정보를 보정할 수 있다.
즉, 상기 보정부(220)는 상기 카메라가 기울어져 있는 정보를 이용하여, 기울어져 있는 카메라를 통해 측정된 인체의 영상 정보를 기울임이 없는 상태로 보정할 수 있다. 다시 말하자면, 인체의 영상 정보를 (바닥과) 수직으로 촬영된 사진처럼 회전하여 보정할 수 있다.
상기 판단부(230)는 상기 영상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인체의 자세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영상 정보 내에 인체의 자세 정보와, 미리 설정된 인체의 자세 정보를 비교하여 인체의 현재 자세 정보를 판단할 수 있다.
다시 말하자면, 상기 판단부(230)는 상기 영상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인체의 자세 정보를 추출할 수 있으며, 이는 미리 설정되어 있는 추출 기준을 이용하여, 즉, 상기 영상 정보에서 머리, 손, 다리 등을 인체의 자세 정보 추출을 위한 기준으로 설정하고 이를 통해서 영상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인체의 자세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수직선과 수평선, 미리 설정된 관심 영역의 연결선(일 예를 들자면 양쪽 어깨를 연결하는 선 등)을 설정하고 영상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인체의 자세 정보를 정량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
또는, 인체의 영상 정보를 수직으로 촬영된 사진처럼 회전하는 보정을 수행하지 않고, 최초 획득한 상태의 영상 정보를 이용하여 중력선과 수직, 수평을 이루는 선을 설정하고, 이 선들과 평행한 선, 미리 설정된 관심 영역의 연결선을 이용하여 인체의 영상 정보가 얼마나 기울어져 있는지 판단하거나, 중심에서 얼마나 벗어나 있는지 판단하여 인체의 자세 정보를 정량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
즉, 상기 판단부(230)는 영상 정보에서 추출한 인체의 자세 정보와 미리 설정된 인체의 자세 정보를 비교하여 인체의 현재 자세 정보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미리 설정된 인체의 자세 정보란 도 3 및 도 4와 같이, 인체가 바른 자세를 취하고 있을 때의 기준 자세를 의미하며, 상기 판단부(230)는 영상 정보에서 추출한 인체의 자세 정보와 미리 설정된 인체의 자세 정보와의 비교를 통해서, 인체의 현재 자세 정보가 인체가 바른 자세를 취하고 있을 때의 기준 자세에 비교하여, 전체적으로 얼마나 기울어져 있는지의 기울임 정도, 신체 각 부위가 얼마나 기울어져 있는지의 기울임 정보 등을 판단하여 인체의 현재 자세 정보를 판단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통합 관리부(200)는 데이터베이스부(미도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피측정자별로 영상 정보에 포함된 인체의 자세 정보와 추출한 인체의 현재 자세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미리 설정된 기간마다 피측정자의 인체의 현재 자세 정보를 이용하여 자세 보정 변화 정보를 신속하게 판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센서와 카메라를 이용한 인체의 자세 측정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와의 통신을 관리하는 네트워크 관리부(3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네트워크 관리부(300)에 의해 상기 센서와 카메라를 이용한 인체의 자세 측정 장치와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며 상기 인체의 현재 자세 정보를 출력하는 외부 출력 장치(4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외부 출력 장치(400)는 상기 통합 관리부(200)의 판단부(230)에서 판단한 인체의 현재 자세 정보를 전달받아, 측정자와 피측정자가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출력할 수 있다.
이 때, 출력 정보는 도 5 내지 도 8과 같이, 기울임 정보를 그래프 형태, 기울어진 각도, 거리 등을 수치화하여 숫자 형태로 보여주거나 그래픽 형태로 보여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와 카메라를 이용한 인체의 자세 측정 방법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 입력 단계(S100), 기울기 판단 단계(S200), 영상 보정 단계(S300), 인체 자세 판단 단계(S400) 및 정보 전달 단계(S500)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각 단계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자면,
상기 영상 입력 단계(S100)는 상기 영상 입력부(100)에 포함되어 있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획득한 인체(피측정자)의 영상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상기 영상 정보로는 상기 검사 영상은 카메라로부터 입력된 영상의 캡쳐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의 한 개의 프레임을 의미한다.
상기 기울기 판단 단계(S200)는 상기 통합 관리부(200)의 센서부(210)에서 상기 영상 입력부(100)에 구비되어 있는 카메라의 기울기 정보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기울기 판단 단계(S200)는 상기 통합 관리부(200)의 센서부(210)에 미리 구비된 센서, 즉, 중력 센서, 기울기 센서 또는, 지자기 센서를 이용하여 하나 이상의 지점에서 중력 방향에 대해 측정된 기울기 값을 획득하고, 상기 측정된 기울기 값을 이용하여 상기 영상 입력부(100)의 상기 카메라의 기울임 정보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센서부(210)는 중력 방향을 감지하는 중력 센서, 중력 방향이 이루는 각도를 측정하는 기울기 센서 또는, 지자기의 방향을 검출하는 지자기 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센서들 중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이용하여 카메라의 기울기 정보를 판단할 수 있으나, 카메라의 기울기 정보 판단에 대한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중력 센서, 기울기 센서 및 지자기 센서 모두를 이용할 수도 있다.
상기 영상 보정 단계(S300)는 상기 기울기 판단 단계(S200)에서 판단한 상기 영상 입력부(100)의 상기 카메라의 기울기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영상 정보의 기울기 보정을 수행할 수 있다.
다시 말하자면, 기울어져 있는 영상 입력부(100)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인체의 영상 정보를 측정하였기 때문에, 카메라의 기울기 정도를 판단하여 이를 보정함으로써, 인체의 영상 정보를 기울기 정도가 0ㅀ로 다시 보정할 수 있다.
상기 인체 자세 판단 단계(S400)는 상기 영상 보정 단계(S300)에서 기울기 보정을 수행한 인체의 영상 정보에서 인체의 자세 정보를 추출하고,
미리 설정된 인체의 자세 정보와 추출한 인체의 자세 정보를 비교하여 인체의 현재 자세 정보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미리 설정된 인체의 자세 정보란 인체가 바른 자세를 취하고 있을 때의 기준 자세를 의미하며,
상기 인체 자세 판단 단계(S400)는 영상 정보에서 추출한 인체의 자세 정보와 미리 설정된 인체의 자세 정보와의 비교를 통해서, 인체의 현재 자세 정보가 인체가 바른 자세를 취하고 있을 때의 기준 자세에 비교하여, 전체적으로 얼마나 기울어져 있는지의 기울임 정도, 신체 각 부위가 얼마나 기울어져 있는지의 기울임 정보 등을 판단하여 인체의 현재 자세 정보를 판단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인체 자세 판단 단계(S400)는 미리 설정되어 있는 추출 기준을 이용하여, 즉, 상기 영상 정보에서 머리, 손, 다리 등을 인체의 자세 정보 추출을 위한 기준으로 설정하고 이를 통해서 영상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인체의 자세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상기 정보 전달 단계(S500)는 상기 인체 자세 측정 단계(S400)를 수행하고 난 뒤, 판단한 인체의 현재 자세 정보를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연결되어 있는 상기 외부 출력 장치(400)로 전달하여 피측정자 또는, 측정자가 인체의 현재 자세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즉, 다시 말하자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와 카메라를 이용한 인체의 자세 측정 장치 및 그 측정 방법은, 측정자가 소지하고 있는 단말기에 포함되어 있는 카메라 및 센서들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피측정자의 인체 자세 측정 정보를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와 카메라를 이용한 인체의 자세 측정 장치는 상술한 바와 같이, 측정자가 소지하고 있는 단말기, 즉 카메라, 중력 센서, 기울기 센서 또는 자이로 센서가 미리 포함되어 있는 스마트폰 등을 의미하며,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단말기에서 센서와 카메라를 이용한 인체의 자세 측정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소자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 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일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 청구 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 청구 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 영상 입력부
200 : 통합 관리부
210 : 센서부 220 : 보정부
230 : 판단부
300 : 네트워크 관리부
400 : 외부 출력 장치

Claims (6)

  1. 기구비된 카메라로부터 인체의 영상 정보를 입력받는 영상 입력부(100); 및
    상기 영상 입력부(100)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영상 정보를 이용하여, 인체의 자세 정보를 판단하는 통합 관리부(200);
    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통합 관리부(200)는
    기구비된 센서로부터 상기 영상 입력부(100)의 카메라의 기울임 정도를 판단하는 센서부(21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와 카메라를 이용한 인체의 자세 측정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관리부(200)는
    상기 센서부(210)에서 판단한 카메라의 기울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영상 입력부(100)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영상 정보를 보정하는 보정부(220); 및
    상기 영상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인체의 자세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영상 정보 내에 인체의 자세 정보와 기설정된 인체의 자세 정보를 비교하여, 인체의 현재 자세 정보를 판단하는 판단부(230);
    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센서부(210)는
    하나 이상의 지점에서 중력 방향에 대해 측정된 기울기 값을 획득하고, 상기 측정된 기울기 값을 이용하여 상기 카메라의 기울임 정보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와 카메라를 이용한 인체의 자세 측정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와 카메라를 이용한 인체의 자세 측정 장치는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관리하는 네트워크 관리부(300); 및
    상기 네트워크 관리부(300)에 의해 상기 센서와 카메라를 이용한 인체의 자세 측정 장치와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며,
    상기 통합 관리부(200)의 판단부(230)에서 판단한 인체의 현재 자세 정보를 전달받아 출력하는 외부 출력 장치(400);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와 카메라를 이용한 인체의 자세 측정 장치.
  4. 영상 입력부로부터 인체의 영상 정보를 입력받는 영상 입력 단계(S100);
    통합 관리부에서 상기 영상 입력부에 구비되어 있는 카메라의 기울기 정도를 판단하는 기울기 판단 단계(S200);
    상기 기울기 판단 단계(S200)에서 판단한 카메라의 기울기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영상 정보의 기울기 보정을 수행하는 영상 보정 단계(S300); 및
    상기 영상 보정 단계(S300)에서 기울기 보정을 수행한 영상 정보에서 인체의 자세 정보를 추출하고, 기설정되어 있는 인체의 자세 정보와 추출한 인체의 자세 정보를 비교하여 인체의 현재 자세 정보를 판단하는 인체 자세 판단 단계(S400);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와 카메라를 이용한 인체의 자세 측정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와 카메라를 이용한 인체의 자세 측정 방법은
    상기 인체 자세 판단 단계(S400)를 수행하고 난 뒤,
    판단한 인체의 현재 자세 정보를 연결되어 있는 외부 출력 장치로 전달하여 출력하는 정보 전달 단계(S500);
    더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와 카메라를 이용한 인체의 자세 측정 방법.
  6. 카메라 및 센서를 포함한 스마트폰에 설치되면, 청구항 제4항 또는 제5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상기 스마트폰이 수행하도록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140126289A 2014-09-23 2014-09-23 센서와 카메라를 이용한 인체의 자세 측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측정 방법 KR2016003521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6289A KR20160035212A (ko) 2014-09-23 2014-09-23 센서와 카메라를 이용한 인체의 자세 측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측정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6289A KR20160035212A (ko) 2014-09-23 2014-09-23 센서와 카메라를 이용한 인체의 자세 측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측정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5212A true KR20160035212A (ko) 2016-03-31

Family

ID=556519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6289A KR20160035212A (ko) 2014-09-23 2014-09-23 센서와 카메라를 이용한 인체의 자세 측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측정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35212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30643A1 (ko) * 2016-08-10 2018-02-15 한국과학기술원 헤모다이나믹스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20190065859A (ko) * 2017-12-04 2019-06-1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인체 자세 및 행동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KR20200049175A (ko) * 2018-10-31 2020-05-08 황정우 체형 분석 시스템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컴퓨팅 장치
US10757331B2 (en) 2018-06-11 2020-08-25 Semes Co., Ltd. Camera posture estimation method and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KR20210058025A (ko) * 2019-11-13 2021-05-24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자세교정 시스템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30643A1 (ko) * 2016-08-10 2018-02-15 한국과학기술원 헤모다이나믹스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US11672438B2 (en) 2016-08-10 2023-06-13 Korea Advanced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Hemodynamics monitoring method, system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KR20190065859A (ko) * 2017-12-04 2019-06-1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인체 자세 및 행동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US10757331B2 (en) 2018-06-11 2020-08-25 Semes Co., Ltd. Camera posture estimation method and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KR20200049175A (ko) * 2018-10-31 2020-05-08 황정우 체형 분석 시스템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컴퓨팅 장치
KR20210058025A (ko) * 2019-11-13 2021-05-24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자세교정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000551A1 (en) Tracking system and tracking method using same
JP7188527B2 (ja) 魚体長さ測定システム、魚体長さ測定方法および魚体長さ測定プログラム
KR20160035212A (ko) 센서와 카메라를 이용한 인체의 자세 측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측정 방법
US9146106B2 (en) Laser receiver using a smart device
JP2018116692A5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システム
KR101316451B1 (ko) 콘크리트 표면 균열 측정장치, 측정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설치된 스마트 폰 및 컴퓨터
US10198796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control method of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non-transitory storage medium storing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IL300597A (en) Systems and methods for eye examination
US20170171465A1 (en) Image capture system and image capture method
US20160110614A1 (en) Person detection system,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US20160091359A1 (en) System and method for measuring segment parameters of a human body for recording a body mass index
US20170014051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KR20130101922A (ko) 열화상 내에서 특정부위 추적이 가능한 열상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특정부위의 추적방법
KR20210074259A (ko) 체온검출장치 및 그 방법
US20170135571A1 (en) Method for determining visual acuity
KR20210033076A (ko) 스마트 체중계를 이용한 어린이의 성장 상태 측정 시스템
JP2017527145A (ja) 認識されたオブジェクトを用いてセンサのキャリブレーションを行うための方法およびシステム
JP2016136112A5 (ja) 距離測定装置
JP2022054521A (ja) 巡視点検作業評価システム、巡視点検作業評価装置、操作端末、位置検出端末、及び巡視点検作業評価方法
KR20190071310A (ko) 레이더 측정 거리를 이용한 열영상 체온 보정 시스템 및 방법
JP5652882B2 (ja) 側弯症スクリーニングシステム、これに使用する側弯症判定プログラム,及び端末装置
JP2016004354A (ja) 身体の姿勢の判定方法
JP2021177157A5 (ko)
KR20210074008A (ko) 이미지 분석을 이용한 사시 진단 시스템 및 방법
US10796449B2 (en) Measurement device, measurement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