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49175A - 체형 분석 시스템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컴퓨팅 장치 - Google Patents

체형 분석 시스템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컴퓨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49175A
KR20200049175A KR1020180132120A KR20180132120A KR20200049175A KR 20200049175 A KR20200049175 A KR 20200049175A KR 1020180132120 A KR1020180132120 A KR 1020180132120A KR 20180132120 A KR20180132120 A KR 20180132120A KR 20200049175 A KR20200049175 A KR 202000491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vertical line
analyzes
center
pa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21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05269B1 (ko
Inventor
황정우
Original Assignee
황정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정우 filed Critical 황정우
Priority to KR10201801321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5269B1/ko
Publication of KR202000491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91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52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52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07Measuring physical dimensions, e.g. size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1077Measuring of profi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07Measuring physical dimensions, e.g. size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1072Measuring physical dimensions, e.g. size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measuring distances on the body, e.g. measuring length, height or thickne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07Measuring physical dimensions, e.g. size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1079Measuring physical dimensions, e.g. size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using optical or photographic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nt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체형 분석 시스템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컴퓨팅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형 분석 시스템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컴퓨팅 장치 는 사용자에 대한 신체를 촬영하는 촬영부를 포함하는 스마트 기기; 및 상기 스마트 기기로부터 촬영된 신체 영상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신체 영상에서 상기 사용자의 신체 영역을 추출하며, 상기 추출된 신체 영역에 하나 이상의 수평선 및 하나 이상의 수직선 중 하나 이상을 생성하고, 상기 수평선 및 상기 수직선 중 하나 이상을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의 체형을 분석하여 제공하는 관리서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스마트 기기에서 촬영한 신체 영상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신체를 분석함으로써, 별도의 고가 장비 없이 스마트 기기로 가능하여, 비용의 절감 및 편리성을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체형 분석 시스템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컴퓨팅 장치{BODY ANALYSIS SYSTEM AND COMPUTING DEVICE FOR EXECUTING THE SYSTEM}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체형 분석 기술과 관련된다.
체형 분석기란 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된 체형 및 자세의 이미지 등 사용자의 신체 외형에 대한 이미지를 이용하여 체형을 분석하고, 운동이 가능한 범위를 분석하는 기기를 말한다. 체형 분석기는 개인마다 다른 신체의 특성을 고려하여 사용자의 현재 체형 상태를 파악하고, 분석된 사용자의 체형 상태에 따라 개인별 맞춤 운동법을 제안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일반적으로, 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한 후 분석하는 경우에는 경험이 많은 측정자의 기존 지식을 토대로 사용자의 체형을 육안으로 관찰하는 방법으로서, 국내외적으로 많은 병원에서 이용되고 있으나, 측정자의 경험과 조건에 따라 그 유용성이 크게 달라질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 10-2009-0011714호 (2009.02.13.)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특별한 장비 없이 누구나 손쉽게 체형을 분석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에 대한 신체를 촬영하는 촬영부를 포함하는 스마트 기기; 및 상기 스마트 기기로부터 촬영된 신체 영상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신체 영상에서 상기 사용자의 신체 영역을 추출하며, 상기 추출된 신체 영역에 하나 이상의 수평선 및 하나 이상의 수직선 중 하나 이상을 생성하고, 상기 수평선 및 상기 수직선 중 하나 이상을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의 체형을 분석하여 제공하는 관리서버를 포함하는 체형 분석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추출된 신체 영역에서 상기 사용자의 몸의 중심에 X선을 생성하고, 상기 사용자의 어깨 및 골반을 지나는 하나 이상의 수평선을 생성하며, 상기 사용자의 얼굴, 목, 골반 및 무릎을 지나는 하나 이상의 수직선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스마트 기기는 상기 사용자의 정면 신체 영상을 촬영하며,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사용자의 정면 신체 영역에서 상기 사용자의 어깨를 지나는 제1 수평선 및 골반을 지나는 제2 수평선을 생성하고, 상기 사용자의 얼굴 및 목의 중심을 지나는 제1 수직선, 상기 사용자의 왼쪽 무릎의 중심을 지나는 제2 수직선 및 상기 사용자의 오른쪽 무릎의 중심을 지나는 제3 수직선을 생성하며,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사용자의 정면 신체 영역에서 상기 제1 수평선으로부터 어깨높이를 분석하고, 상기 제2 수평선으로부터 팔길이를 분석하고, 상기 제1 수직선으로부터 얼굴기울기 및 다리형태를 분석하며, 상기 제2 수직선 및 상기 제3 수직선으로부터 무릎회전을 분석할 수 있다.
상기 스마트 기기는 상기 사용자의 후면 신체 영상을 촬영하며,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사용자의 후면 신체 영역에서 상기 사용자의 골반을 지나는 제2 수평선을 생성하고, 상기 사용자의 얼굴, 목의 중심을 지나는 제1 수직선, 상기 사용자의 왼쪽 무릎의 중심을 지나는 제2 수직선 및 상기 사용자의 오른쪽 무릎의 중심을 지나는 제3 수직선을 생성하며,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사용자의 후면 신체 영역에서 상기 제2 수평선으로부터 골반높이 및 골반전위을 분석하고, 상기 제1 수직선, 상기 제2 수직선 및 상기 제3 수직선으로부터 종골각을 분석할 수 있다.
상기 스마트 기기는 상기 사용자의 측면 신체 영상을 촬영하며,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사용자의 측면 신체 영역에서 상기 사용자의 골반을 지나는 제2 수평선을 생성하고, 상기 사용자의 목 및 무릎을 지나는 제4 수직선을 생성하며,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사용자의 측면 신체 영역에서 상기 제2 수평선으로부터 골반경사를 분석하고, 상기 제4 수직선으로부터 목기울기, 흉추만곡, 요추만곡 및 무릎기울기를 분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및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 의해 실행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구비한 컴퓨팅 장치로서, 스마트 기기로부터 촬영된 신체 영상을 수신하는 수신 모듈;과 상기 스마트 기기로부터 수신된 신체 영상에서 사용자의 신체 영역을 추출하며, 상기 추출된 신체 영역에 하나 이상의 수평선 및 하나 이상의 수직선 중 하나 이상을 생성하는 체형 추출 모듈;과 상기 체형 추출 모듈에서 생성된 상기 수평선 및 상기 수직선 중 하나 이상을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의 체형을 분석하는 체형 분석 모듈; 및 상기 체형 분석 모듈을 통하여 분석된 사용자의 체형 분석 정보를 제공하는 체형 분석 제공 모듈을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체형 추출 모듈은 상기 추출된 신체 영역에서 상기 사용자의 몸의 중심에 X선을 생성하고, 상기 사용자의 어깨 및 골반을 지나는 하나 이상의 수평선을 생성하며, 상기 사용자의 얼굴, 목, 골반 및 무릎을 지나는 하나 이상의 수직선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수신 모듈은 상기 스마트 기기로부터 촬영된 정면 신체 영상을 수신하고, 상기 체형 추출 모듈은 상기 사용자의 정면 신체 영역에서 상기 사용자의 어깨를 지나는 제1 수평선 및 골반을 지나는 제2 수평선을 생성하고, 상기 사용자의 얼굴 및 목의 중심을 지나는 제1 수직선, 상기 사용자의 왼쪽 무릎의 중심을 지나는 제2 수직선 및 상기 사용자의 오른쪽 무릎의 중심을 지나는 제3 수직선을 생성하며, 상기 체형 분석 모듈은 상기 사용자의 정면 신체 영역에서 상기 제1 수평선으로부터 어깨높이를 분석하고, 상기 제2 수평선으로부터 팔길이를 분석하고, 상기 제1 수직선으로부터 얼굴기울기 및 다리형태를 분석하며, 상기 제2 수직선 및 상기 제3 수직선으로부터 무릎회전을 분석할 수 있다.
상기 수신 모듈은 상기 스마트 기기로부터 촬영된 후면 신체 영상을 수신하고, 상기 체형 추출 모듈은 상기 사용자의 후면 신체 영역에서 상기 사용자의 골반을 지나는 제2 수평선을 생성하고, 상기 사용자의 얼굴, 목의 중심을 지나는 제1 수직선, 상기 사용자의 왼쪽 무릎의 중심을 지나는 제2 수직선 및 상기 사용자의 오른쪽 무릎의 중심을 지나는 제3 수직선을 생성하며, 상기 체형 분석 모듈은 상기 사용자의 후면 신체 영역에서 상기 제2 수평선으로부터 골반높이 및 골반전위을 분석하고, 상기 제1 수직선, 상기 제2 수직선 및 상기 제3 수직선으로부터 종골각을 분석할 수 있다.
상기 수신 모듈은 상기 스마트 기기로부터 촬영된 측면 신체 영상을 수신하고, 상기 체형 추출 모듈은 상기 사용자의 측면 신체 영역에서 상기 사용자의 골반을 지나는 제2 수평선을 생성하고, 상기 사용자의 목 및 무릎을 지나는 제4 수직선을 생성하며, 상기 체형 분석 모듈은 상기 사용자의 측면 신체 영역에서 상기 제2 수평선으로부터 골반경사를 분석하고, 상기 제4 수직선으로부터 목기울기, 흉추만곡, 요추만곡 및 무릎기울기를 분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스마트 기기에서 촬영한 신체 영상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신체를 분석함으로써, 별도의 고가 장비 없이 스마트 기기로 가능하여, 비용의 절감 및 편리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형 분석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형 분석 시스템의 스마트 기기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형 분석 시스템의 관리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형 분석 시스템을 이용한 체형 분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체형 분석 시스템을 이용한 체형 분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는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사용되기에 적합한 컴퓨팅 장치를 포함하는 컴퓨팅 환경을 예시하여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방법, 장치 및/또는 시스템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상세한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기술하기 위한 것이며, 결코 제한적이어서는 안 된다. 명확하게 달리 사용되지 않는 한, 단수 형태의 표현은 복수 형태의 의미를 포함한다. 본 설명에서, "포함" 또는 "구비"와 같은 표현은 어떤 특성들, 숫자들, 단계들, 동작들, 요소들,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을 가리키기 위한 것이며, 기술된 것 이외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성, 숫자, 단계, 동작, 요소,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의 존재 또는 가능성을 배제하도록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명세서에서 기술한 방법들을 컴퓨터상에서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및 상기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로컬 데이터 파일, 로컬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또는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 가능한 것일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와 같은 광 기록 매체, 및 롬, 램,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상기 프로그램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형 분석 시스템(10)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형 분석 시스템(10)의 스마트 기기(100)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형 분석 시스템(10)의 관리 서버(300)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형 분석 시스템(100)은 스마트 기기(100), 네트워크(200) 및 관리서버(300)를 포함할 수 있다.
스마트 기기(100)는 무선 통신을 사용할 수 있는 스마트 폰, 태블릿 PC 등으로서, 스마트 기기(100)는 촬영부(110), 전송부(120), 수신부(130) 및 디스플레이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촬영부(110)는 사용자에 대한 신체를 촬영할 수 있다. 촬영부(110)는 스마트 기기 등의 단말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촬영부(110)는 사용자의 정면, 후면 및 측면 중 적어도 하나의 신체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전송부(120)는 촬영된 신체 영상을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관리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수신부(130)는 관리 서버(300)로부터 촬영된 신체 영상에 기초하여 분석된 사용자의 체형 분석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40)는 사용자의 체형 분석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40)는 사용자의 체형 분석 정보를 스마트 기기(100) 상에서 출력할 수 있도록 가공하여 스마트 기기(100)의 화면을 통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이 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100)는 체형 분석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스마트 기기(100)의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스마트 기기(100)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의 소정의 집합을 포함한다. 상기 명령어는 스마트 기기(100)의 프로세서로 하여금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게 할 수 있다. 스마트 기기(100)의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는 스마트 기기(100) 상에서 상기 어플리케이션과 같은 명령어 집합을 실행하기 위한 운영 체제의 컴포넌트들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이러한 운영 체제는 애플(Apple) 사의 iOS 또는 구글(Google) 사의 Android 일 수 있다.
여기서, 체형 분석 서비스을 제공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은 체형 측정을 위한 입력 인터페이스(예를 들어, 다수의 메뉴 중 선택)를 제공할 수 있으며,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촬영된 신체 영상에 X선 또는 격자선을 입력 받을 수 있다.
여기서, 체형 분석 서비스을 제공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의 체형 분석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기 설정된 사용자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는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사용자 데이터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성명, 성별, 나이 및 스마트 기기 번호 등을 입력할 수 있는 입력 인터페이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체형 분석 서비스을 제공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은 이상에서 설명한 기능 외에도 다양한 분석 처리 및 정보 제공 동작을 수행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체형 분석 서비스을 제공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은 체형 분석 정보를 기 설정된 웹 서버(예를 들어, SNS 서버)로 업로드 또는 백업하거나, 기 설정된 웹 서버로부터 사용자의 정보에 매칭되는 기 등록된 체형 분석 정보를 획득하여 디스플레이부(140)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네트워크(200)는 3G, 4G, 5G, Wi-Fi, 인터넷, 하나 이상의 로컬 영역 네트워크(local area networks), 광역 네트워크(wire area networks), 셀룰러 네트워크, 모바일 네트워크, 그 밖에 다른 종류의 네트워크들, 또는 이러한 네트워크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관리 서버(300)는 수신 모듈(310), 저장 모듈(320), 체형 추출 모듈(330), 체형 분석 모듈(340) 및 체형 분석 제공 모듈(350)을 포함할 수 있다.
수신 모듈(310)은 스마트 기기(100)에서 촬영된 신체 영상을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수신할 수 있다. 수신 모듈(310)은 스마트 기기(100)에서 촬영된 사용자의 정면, 후면 및 측면 중 적어도 하나의 신체 영상을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수신할 수 있다.
저장 모듈(320)은 수신 모듈(310)을 통하여 수신된 신체 영상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 모듈(320)은 체형 분석 모듈(340)로부터 분석된 사용자의 체형 분석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체형 추출 모듈(330)은 수신 모듈(310)을 통하여 수신된 신체 영상으로부터 사용자의 신체 영역를 추출할 수 있다. 체형 추출 모듈(330)은 사용자의 정면, 후면 및 측면 중 적어도 하나의 신체 영상으로부터 사용자의 정면, 후면 또는 측면의 신체 영역을 추출할 수 있다. 체형 추출 모듈(330)은 사용자의 신체 영역의 윤곽(contour), 실루엣(silhouette), 골격(skeleton) 등을 이용하여 외곽선을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체형 추출 모듈(330)은 추출된 사용자의 신체 영역에 X선, 수평선 또는 수직선을 생성할 수 있다. 체형 추출 모듈(330)은 사용자의 정면, 후면 및 측면 중 적어도 하나의 신체 영상에 X선, 수평선 또는 수직선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체형 추출 모듈(330)은 추출된 사용자의 신체 영역에서 몸의 중심에 X선이 위치하도록 X선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체형 추출 모듈(330)은 추출된 사용자의 신체 영역에서 어깨 및 골반에 수평선이 위치하도록 수평선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체형 추출 모듈(330)은 추출된 사용자의 신체 영역에서 얼굴, 목, 골반 및 무릎에 수직선이 위치하도록 수직선을 생성할 수 있다.
한편, 여기서는 체형 추출 모듈(330)이 사용자의 신체 영역에서 특정 위치에 X선, 수평선 및 수직선이 위치하는 형태의 생성 방식을 개시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용자의 신체 영역에서 임의의 위치에 X선, 수평선 및 수직선을 생성할 수 있다.
체형 분석 모듈(340)은 추출된 사용자의 신체 영역을 기초로 사용자의 체형을 분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체형 분석 모듈(340)은 사용자의 정면, 후면 및 측면 중 적어도 하나의 추출된 신체 영역에 생성된 X선, 수평선 또는 수직선을 기초로 사용자의 체형을 분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면의 신체 영역으로부터 정면 얼굴기울기, 정면 어깨높이, 정면 팔길이, 정면 무릎회전, 정면 다리형태 등을 분석할 수 있다. 또한, 후면의 신체 영역으로부터 골반높이, 골반전위, 종골각 등을 분석할 수 있다. 또한, 측면의 신체 영역으로부터 목기울기, 흉추만곡, 요추만곡, 골반경사, 무릎기울기 등을 분석할 수 있다.
체형 분석 제공 모듈(350)은 체형 분석 모듈(340)을 통하여 분석된 사용자의 체형 분석 정보를 사용자의 스마트 기기(100)로 전송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스마트 기기(100)를 통하여 체형 분석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즉, 체형 분석 제공 모듈(350)은 사용자의 정면, 후면 및 측면 중 적어도 하나의 체형 분석 정보를 사용자의 스마트 기기(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체형 분석 정보는 정면 체형 분석 정보로부터 얼굴기울기, 어깨높이, 팔길이, 무릎회전, 다리형태 등을 분석한 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체형 분석 정보는 후면 체형 분석 정보로부터 골반높이, 골반전위, 종골각 등을 분석한 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체형 분석 정보는 측면 체형 분석 정보로부터 목기울기, 흉추만곡, 요추만곡, 골반경사, 무릎기울기 등을 분석한 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형 분석 시스템(10)은 추출된 사용자의 신체 영역에 생성된 X선, 수평선 또는 수직선을 기초로 사용자의 체형을 분석하는 방식을 개시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분석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즉, 체형 분석 시스템(10)은 외부 서버와의 통신을 통하여 정면, 후면 및 측면의 표준 자세 정보 또는 잘못된 자세 정보를 수신하고, 추출된 사용자의 신체 영역과 표준 자세 정보 또는 잘못된 자세 정보를 비교하여 사용자의 체형을 분석할 수 있다. 여기서, 표준 자세 정보는 국내 표준체형 정보일 수 있으며, 잘못된 자세 정보는 거북목, 척추측만증, 골반틀어짐 등의 체형 정보일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형 분석 시스템(10)을 이용한 체형 분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사용자의 정면, 후면 및 측면의 신체 영상으로부터 사용자의 정면 신체 영역(a), 후면 신체 영역(b) 및 측면 신체 영역(c)을 추출하고, 추출된 사용자의 신체 영역에 X선, 수평선 및 수직선을 생성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리 서버(300)는 다양한 이미지 분석 기술을 이용하여 이미지 분석 결과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리 서버(300)는 딥 러닝(deep learning) 방식 또는 머신 러닝(machine learning) 방식에 기초한 인식 알고리즘, 예를 들어 이미지 캡션(image caption)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이미지 분석 결과를 획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딥러닝(deep learning) 방식 또는 머신 러닝(machine learning) 방식에 기초하여, 이미지 캡션 알고리즘은 다수의 이미지를 분석함으로써 이미지내의 특정 오브젝트의 속성을 파악할 수 있으며, 파악된 속성을 학습을 통하여 업데이트함으로써 인식 에러를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리 서버(300)는 존재하는 다양한 인식 알고리즘을 통하여 이미지 분석 결과를 획득할 수 있으며, 이미지를 분석함으로써 이미지의 내용을 파악할 수 있는 인식 알고리즘이라면 제한이 없음을 당업자는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리 서버(300)는 인식 알고리즘을 저장할 수 있으며, 저장된 인식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이미지 분석 결과를 획득할 수 있다.
상술한 바에 따라, 관리 서버(300)는 신체 영상으로부터 사용자의 몸의 중심을 인식하여 X선을 생성할 수 있고, 사용자의 어깨 및 골반을 인식하여 수평선을 생성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얼굴, 목, 골반 및 무릎을 인식하여 수직선을 생성할 수 있다.
즉, 체형 추출 모듈(330)은 사용자의 정면 신체 영역(a)에서 사용자의 어깨를 지나는 제1 수평선 및 골반을 지나는 제2 수평선을 생성하고, 사용자의 얼굴, 목의 중심을 지나는 제1 수직선, 사용자의 왼쪽 무릎의 중심을 지나는 제2 수직선 및 사용자의 오른쪽 무릎의 중심을 지나는 제3 수직선을 생성한 상태이다.
또한, 체형 추출 모듈(330)은 사용자의 후면 신체 영역(b)에서 사용자의 골반을 지나는 제2 수평선을 생성하고, 사용자의 얼굴, 목의 중심을 지나는 제1 수직선, 사용자의 왼쪽 무릎의 중심을 지나는 제2 수직선 및 사용자의 오른쪽 무릎의 중심을 지나는 제3 수직선을 생성한 상태이다.
또한, 체형 추출 모듈(330)은 사용자의 측면 신체 영역(c)에서 사용자의 골반을 지나는 제2 수평선을 생성하고, 사용자의 목, 무릎을 지나는 제4 수직선을 생성한 상태이다.
또한, 체형 추출 모듈(330)은 사용자의 정면 신체 영역(a), 후면 신체 영역(b) 및 측면 신체 영역(c)에서 사용자의 몸의 중심에 X선이 위치하도록 생성한 상태이다.
체형 분석 모듈(340)은 사용자의 정면, 후면 및 측면에 생성된 수평선 및 수직선을 기초로 사용자의 체형을 분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체형 분석 모듈(340)은 사용자의 정면 신체 영역(a)에서 제1 수평선으로부터 어깨높이(정상, 좌측높음, 우측높음)를 분석하고, 제2 수평선으로부터 팔길이(정상, 좌측낮음, 우측낮음)를 분석하고, 제1 수직선으로부터 얼굴기울기(정상, 좌측기울어짐, 우측기울어짐) 및 다리형태(정상, O형, X형)를 분석하며, 제2 수직선 및 제3 수직선으로부터 무릎회전(정상, 좌측내회전, 좌측외회전, 우측내회전, 우측외회전)을 분석한다.
또한, 체형 분석 모듈(340)은 사용자의 후면 신체 영역(b)에서 제2 수평선으로부터 골반높이(정상, 좌측높음, 우측높음) 및 골반전위(정상, 좌측전위, 우측전위)을 분석하고, 제1 수직선, 제2 수직선 및 제3 수직선으로부터 종골각(정상, 내반, 외반, 좌측내반, 우측내반, 좌측외반, 우측외반)을 분석한다.
또한, 체형 분석 모듈(340)은 사용자의 측면 신체 영역(c)에서 제2 수평선으로부터 골반경사(정상, 전방경사, 후방경사, 전방전위)을 분석하고, 제4 수직선으로부터 목기울기(정상, 거북목, 일자목), 흉추만곡(정상, 과후만, 편평등), 요추만곡(정상, 과전만, 편평등) 및 무릎기울기(정상, 반장슬)를 분석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체형 분석 시스템을 이용한 체형 분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사용자의 정면, 후면 및 측면의 신체 영상으로부터 사용자의 정면 신체 영역(a), 후면 신체 영역(b) 및 측면 신체 영역(c)을 추출하고, 추출된 사용자의 신체 영역과 기 저장된 잘못된 자세 정보를 비교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관리 서버(300)는 추출된 사용자의 신체 영역과 기 저장된 잘못된 자세 정보를 비교하여 사용자의 체형을 분석할 수 있다.
한편, 도 5에는 추출된 사용자의 신체 영역과 기 저장된 잘못된 자세 정보를 비교하는 형태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관리 서버(300)는 추출된 사용자의 신체 영역과 기 저장된 국내 표준체형 정보와 비교하여 사용자의 체형을 분석할 수 있다.
도 6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사용되기에 적합한 컴퓨팅 장치를 포함하는 컴퓨팅 환경(20)을 예시하여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각 컴포넌트들은 이하에 기술된 것 이외에 상이한 기능 및 능력을 가질 수 있고, 이하에 기술된 것 이외에도 추가적인 컴포넌트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컴퓨팅 환경(20)은 컴퓨팅 장치(22)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컴퓨팅 장치(22)는 스마트 기기(100)일 수 있다. 또한, 컴퓨팅 장치(22)는 관리 서버(300)일 수 있다.
컴퓨팅 장치(22)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24),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26) 및 통신 버스(28)를 포함한다. 프로세서(24)는 컴퓨팅 장치(22)로 하여금 앞서 언급된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24)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26)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을 실행할 수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은 하나 이상의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어는 프로세서(24)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컴퓨팅 장치(22)로 하여금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26)는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어 내지 프로그램 코드, 프로그램 데이터 및/또는 다른 적합한 형태의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26)에 저장된 프로그램(30)은 프로세서(24)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의 집합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26)는 메모리(랜덤 액세스 메모리와 같은 휘발성 메모리, 비휘발성 메모리, 또는 이들의 적절한 조합), 하나 이상의 자기 디스크 저장 디바이스들, 광학 디스크 저장 디바이스들, 플래시 메모리 디바이스들, 그 밖에 컴퓨팅 장치(22)에 의해 액세스되고 원하는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다른 형태의 저장 매체, 또는 이들의 적합한 조합일 수 있다.
통신 버스(28)는 프로세서(24),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26)를 포함하여 컴퓨팅 장치(22)의 다른 다양한 컴포넌트들을 상호 연결한다.
컴퓨팅 장치(22)는 또한 하나 이상의 입출력 장치(34)를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입출력 인터페이스(32) 및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통신 인터페이스(36)를 포함할 수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32) 및 네트워크 통신 인터페이스(36)는 통신 버스(28)에 연결된다. 입출력 장치(34)는 입출력 인터페이스(32)를 통해 컴퓨팅 장치(22)의 다른 컴포넌트들에 연결될 수 있다. 예시적인 입출력 장치(34)는 포인팅 장치(마우스 또는 트랙패드 등), 키보드, 터치 입력 장치(터치패드 또는 터치스크린 등), 음성 또는 소리 입력 장치, 다양한 종류의 센서 장치 및/또는 촬영 장치와 같은 입력 장치, 및/또는 디스플레이 장치, 프린터, 스피커 및/또는 네트워크 카드와 같은 출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입출력 장치(34)는 컴퓨팅 장치(22)를 구성하는 일 컴포넌트로서 컴퓨팅 장치(22)의 내부에 포함될 수도 있고, 컴퓨팅 장치(22)와는 구별되는 별개의 장치로 컴퓨팅 장치(22)와 연결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스마트 기기
110: 촬영부
120: 전송부
130: 수신부
140: 디스플레이부
200: 네트워크
300: 관리 서버
310: 수신 모듈
320: 저장 모듈
330: 체형 추출 모듈
340: 체형 분석 모듈
350: 체형 분석 제공 모듈

Claims (10)

  1. 사용자에 대한 신체를 촬영하는 촬영부를 포함하는 스마트 기기; 및
    상기 스마트 기기로부터 촬영된 신체 영상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신체 영상에서 상기 사용자의 신체 영역을 추출하며, 상기 추출된 신체 영역에 하나 이상의 수평선 및 하나 이상의 수직선 중 하나 이상을 생성하고, 상기 수평선 및 상기 수직선 중 하나 이상을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의 체형을 분석하여 제공하는 관리서버를 포함하는, 체형 분석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추출된 신체 영역에서 상기 사용자의 몸의 중심에 X선을 생성하고, 상기 사용자의 어깨 및 골반을 지나는 하나 이상의 수평선을 생성하며, 상기 사용자의 얼굴, 목, 골반 및 무릎을 지나는 하나 이상의 수직선을 생성하는, 체형 분석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기기는, 상기 사용자의 정면 신체 영상을 촬영하며,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사용자의 정면 신체 영역에서 상기 사용자의 어깨를 지나는 제1 수평선 및 골반을 지나는 제2 수평선을 생성하고, 상기 사용자의 얼굴 및 목의 중심을 지나는 제1 수직선, 상기 사용자의 왼쪽 무릎의 중심을 지나는 제2 수직선 및 상기 사용자의 오른쪽 무릎의 중심을 지나는 제3 수직선을 생성하며,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사용자의 정면 신체 영역에서 상기 제1 수평선으로부터 어깨높이를 분석하고, 상기 제2 수평선으로부터 팔길이를 분석하고, 상기 제1 수직선으로부터 얼굴기울기 및 다리형태를 분석하며, 상기 제2 수직선 및 상기 제3 수직선으로부터 무릎회전을 분석하는, 체형 분석 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기기는, 상기 사용자의 후면 신체 영상을 촬영하며,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사용자의 후면 신체 영역에서 상기 사용자의 골반을 지나는 제2 수평선을 생성하고, 상기 사용자의 얼굴, 목의 중심을 지나는 제1 수직선, 상기 사용자의 왼쪽 무릎의 중심을 지나는 제2 수직선 및 상기 사용자의 오른쪽 무릎의 중심을 지나는 제3 수직선을 생성하며,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사용자의 후면 신체 영역에서 상기 제2 수평선으로부터 골반높이 및 골반전위을 분석하고, 상기 제1 수직선, 상기 제2 수직선 및 상기 제3 수직선으로부터 종골각을 분석하는, 체형 분석 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기기는, 상기 사용자의 측면 신체 영상을 촬영하며,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사용자의 측면 신체 영역에서 상기 사용자의 골반을 지나는 제2 수평선을 생성하고, 상기 사용자의 목 및 무릎을 지나는 제4 수직선을 생성하며,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사용자의 측면 신체 영역에서 상기 제2 수평선으로부터 골반경사를 분석하고, 상기 제4 수직선으로부터 목기울기, 흉추만곡, 요추만곡 및 무릎기울기를 분석하는, 체형 분석 시스템.
  6.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및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 의해 실행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구비한 컴퓨팅 장치로서,
    스마트 기기로부터 촬영된 신체 영상을 수신하는 수신 모듈;
    상기 스마트 기기로부터 수신된 신체 영상에서 사용자의 신체 영역을 추출하며, 상기 추출된 신체 영역에 하나 이상의 수평선 및 하나 이상의 수직선 중 하나 이상을 생성하는 체형 추출 모듈;
    상기 체형 추출 모듈에서 생성된 상기 수평선 및 상기 수직선 중 하나 이상을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의 체형을 분석하는 체형 분석 모듈; 및
    상기 체형 분석 모듈을 통하여 분석된 사용자의 체형 분석 정보를 제공하는 체형 분석 제공 모듈을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체형 추출 모듈은,
    상기 추출된 신체 영역에서 상기 사용자의 몸의 중심에 X선을 생성하고, 상기 사용자의 어깨 및 골반을 지나는 하나 이상의 수평선을 생성하며, 상기 사용자의 얼굴, 목, 골반 및 무릎을 지나는 하나 이상의 수직선을 생성하는, 컴퓨팅 장치.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수신 모듈은, 상기 스마트 기기로부터 촬영된 정면 신체 영상을 수신하고,
    상기 체형 추출 모듈은, 상기 사용자의 정면 신체 영역에서 상기 사용자의 어깨를 지나는 제1 수평선 및 골반을 지나는 제2 수평선을 생성하고, 상기 사용자의 얼굴 및 목의 중심을 지나는 제1 수직선, 상기 사용자의 왼쪽 무릎의 중심을 지나는 제2 수직선 및 상기 사용자의 오른쪽 무릎의 중심을 지나는 제3 수직선을 생성하며,
    상기 체형 분석 모듈은, 상기 사용자의 정면 신체 영역에서 상기 제1 수평선으로부터 어깨높이를 분석하고, 상기 제2 수평선으로부터 팔길이를 분석하고, 상기 제1 수직선으로부터 얼굴기울기 및 다리형태를 분석하며, 상기 제2 수직선 및 상기 제3 수직선으로부터 무릎회전을 분석하는, 컴퓨팅 장치.
  9.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수신 모듈은, 상기 스마트 기기로부터 촬영된 후면 신체 영상을 수신하고,
    상기 체형 추출 모듈은, 상기 사용자의 후면 신체 영역에서 상기 사용자의 골반을 지나는 제2 수평선을 생성하고, 상기 사용자의 얼굴, 목의 중심을 지나는 제1 수직선, 상기 사용자의 왼쪽 무릎의 중심을 지나는 제2 수직선 및 상기 사용자의 오른쪽 무릎의 중심을 지나는 제3 수직선을 생성하며,
    상기 체형 분석 모듈은, 상기 사용자의 후면 신체 영역에서 상기 제2 수평선으로부터 골반높이 및 골반전위을 분석하고, 상기 제1 수직선, 상기 제2 수직선 및 상기 제3 수직선으로부터 종골각을 분석하는, 컴퓨팅 장치.
  10.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수신 모듈은,
    상기 스마트 기기로부터 촬영된 측면 신체 영상을 수신하고,
    상기 체형 추출 모듈은, 상기 사용자의 측면 신체 영역에서 상기 사용자의 골반을 지나는 제2 수평선을 생성하고, 상기 사용자의 목 및 무릎을 지나는 제4 수직선을 생성하며,
    상기 체형 분석 모듈은, 상기 사용자의 측면 신체 영역에서 상기 제2 수평선으로부터 골반경사를 분석하고, 상기 제4 수직선으로부터 목기울기, 흉추만곡, 요추만곡 및 무릎기울기를 분석하는, 컴퓨팅 장치.

KR1020180132120A 2018-10-31 2018-10-31 체형 분석 시스템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컴퓨팅 장치 KR1022052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2120A KR102205269B1 (ko) 2018-10-31 2018-10-31 체형 분석 시스템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컴퓨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2120A KR102205269B1 (ko) 2018-10-31 2018-10-31 체형 분석 시스템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컴퓨팅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9175A true KR20200049175A (ko) 2020-05-08
KR102205269B1 KR102205269B1 (ko) 2021-01-19

Family

ID=706779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2120A KR102205269B1 (ko) 2018-10-31 2018-10-31 체형 분석 시스템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컴퓨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526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52037A (ko) * 2021-10-12 2023-04-19 주식회사 세자 체형분석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49307A (ja) * 2001-08-07 2003-02-21 Sunlit Sangyo Co Ltd 被服用身体寸法の測定方法及び測定システム
KR20090011714A (ko) 2007-07-27 2009-02-02 삼성코닝 주식회사 면광원 장치 및 백라이트 유닛
KR20100098063A (ko) * 2009-02-27 2010-09-06 주식회사 바이오스페이스 자세 평가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데이터가 기록된 기록매체
KR20160035212A (ko) * 2014-09-23 2016-03-31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센서와 카메라를 이용한 인체의 자세 측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측정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49307A (ja) * 2001-08-07 2003-02-21 Sunlit Sangyo Co Ltd 被服用身体寸法の測定方法及び測定システム
KR20090011714A (ko) 2007-07-27 2009-02-02 삼성코닝 주식회사 면광원 장치 및 백라이트 유닛
KR20100098063A (ko) * 2009-02-27 2010-09-06 주식회사 바이오스페이스 자세 평가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데이터가 기록된 기록매체
KR20160035212A (ko) * 2014-09-23 2016-03-31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센서와 카메라를 이용한 인체의 자세 측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측정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52037A (ko) * 2021-10-12 2023-04-19 주식회사 세자 체형분석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5269B1 (ko) 2021-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70510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full body measurements extraction using multiple deep learning networks for body feature measurements
CN108898186B (zh) 用于提取图像的方法和装置
US20220180521A1 (en) Image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and electronic device, storage medium and computer program
US20200279124A1 (en) Detection Apparatus and Method and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System
CN109887077B (zh) 用于生成三维模型的方法和装置
US20200242345A1 (en) Detection apparatus and method, and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system
CN111401318B (zh) 动作识别方法及装置
CN108229375B (zh) 用于检测人脸图像的方法和装置
US11170512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and image processing system
KR102205269B1 (ko) 체형 분석 시스템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컴퓨팅 장치
JP6195252B2 (ja) 金融書類トランザクションのための携帯デバイス
CN111145152A (zh) 图像检测方法、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US10325367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WO2018128138A1 (ja) 画像処理装置、映像監視システム、画像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を格納した記録媒体
KR102363435B1 (ko) 골프 스윙 동작 피드백 제공 장치 및 방법
CN112673396B (zh) 检测医学成像中的对象运动
KR101921988B1 (ko) 환자의 3차원 골격 모델을 생성하는 방법
WO2023007730A1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記録媒体
KR102289380B1 (ko) 음성 안내에 기반하는 자세 판단 장치 및 그 방법
KR102672531B1 (ko) 딥러닝 기반의 포즈 추정을 활용한 의료 영상에서의 척추 위치 자동 추정 방법 및 장치
KR20240033716A (ko) 자기 강조 기반 보행자 검색 장치 및 방법
US20210248778A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detection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WO2023189195A1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10265103B (zh) 数据输出方法、装置及电子设备
CN111767914A (zh) 目标物体检测装置和方法、图像处理系统及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