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34680A - 식물식재용 플랜트설비 및 그 설치방법 - Google Patents

식물식재용 플랜트설비 및 그 설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34680A
KR20160034680A KR1020140125950A KR20140125950A KR20160034680A KR 20160034680 A KR20160034680 A KR 20160034680A KR 1020140125950 A KR1020140125950 A KR 1020140125950A KR 20140125950 A KR20140125950 A KR 20140125950A KR 20160034680 A KR20160034680 A KR 201600346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nt
planting
vertical support
water
pipe memb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259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88552B1 (ko
Inventor
박서형
Original Assignee
박서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서형 filed Critical 박서형
Priority to KR10201401259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8552B1/ko
Publication of KR201600346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46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85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85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1/00Soilless cultivation, e.g. hydroponics
    • A01G31/02Special apparatus therefor
    • A01G31/06Hydroponic culture on racks or in stacked contain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1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with intermittent water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5Reservoirs connected to flower-pots through condui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8Component parts, e.g. dispensing fittings, level indicato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9Receptacles for seedlings
    • A01G9/0297Grids for supporting several recepta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플랜트설비 설치공간(RM)의 바닥면(BO)에 일정거리만큼 이격되게 놓여지는 한쌍의 잭서포트(130); 상기 각각의 잭서포트(130)에 하단부가 놓여지고, 상단부는 상기 플랜트설비 설치공간(RM)의 천정면(RO)에 각각 가압된 상태에서 지지되는 제1 수직서포트(110a)와 제2 수직서포트(110b); 및 상기 제1 수직서포트(110a)와 제2 수직서포트(110b)에 각각 상ㆍ하방향으로 결합되며, 일측단부는 캡부재(150C)에 의하여 막음처리되고, 타측단부에는 배수용 파이프부재(170)가 연결되며, 내측에는 원예용 배합토(160)가 채워지는 다수개의 식재용 파이프부재(15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식재용 플랜트 설비(100)가 제공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식물식재용 플랜트 설비(100) 및 그 설치방법에 따르면, 각각 잭서포트(130)에 지지된 상태에서 천정면(RO)과 바닥면(BO) 사이에 설치되는 한쌍의 수직서포트(110a,110b)를 가로질러, 상하방향으로 결합되는 다수개의 식재용 파이프부재(150)에 대하여, 그 내부공간 각각에 원예용 배합토(160)를 담고, 상기 담겨진 원예용 배합토(160)를 활용하여 식재용 파이프부재(150)에 다양한 식물을 상ㆍ하방향으로 다단으로 구성함으로써, 한쌍의 수직서포트(110a,110b)가 이격되어 설치될 수 있는 곳이라면, 어디에나 이동ㆍ설치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분해조립에 의한 유지ㆍ보수가 수월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식물식재용 플랜트설비 및 그 설치방법{PLANT FACILITY FOR PLANTING AND MOUNTING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식물식재용 플랜트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관상용 식물을 심거나 텃밭용으로 다양한 작물을 식재함에 있어서, 일정한 토양 위에 고정되어 식물을 식재할 수 밖에 없었고, 장기간에 걸쳐 식물을 식재함에 있어서 물주기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인테리어 효과까지 발휘할 수는 없던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시키기 위하여 제안된 식물식재용 플랜트설비 및 그 설치방법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플랜트설비 설치공간의 천정면과 바닥면사이에 마주하여 연직방향으로 배치되는 한쌍의 수직서포트를 이용하되, 이들 한쌍의 수직서포트사이에 직각되게 가로질러 결합되는 다수개의 식재용 파이프부재의 내부공간 각각에 원예용 배합토를 담고, 상기 담겨진 원예용 배합토를 활용하여 식재용 파이프부재에 다양한 식물을 상하방향으로 다단으로 구성하여, 이동설치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분해조립에 의한 유지ㆍ보수가 수월한 식물식재용 플랜트설비 및 그 설치방법에 관한 것이다.
그리고, 이들 한쌍의 수직서포트사이에 직각되게 가로질러 다수개의 식재용 파이프부재가 결합되는 것에 더하여, 상기 각각의 식재용 파이프부재 내측의 원예용 배합토에 토출될 수 있도록 점적관수관부재를 설치하여, 식재된 식물에 지속적으로 급수가 될 수 있도록 하는 식물식재용 플랜트설비 및 그 설치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식재된 식물에 급수가 될 수 있도록 원예용 배합토에 점적 관수관부재를 설치하는 것에 더하여, 상기 다수개의 식재용 파이프부재 내측에는 부직포필터 뿐만 아니라, 철재 방근부재와 물막이용 필름부재를 추가로 구비시켜, 식재된 식물의 뿌리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면서도 과다하게 공급된 물을 적정수준으로 유지시킬 수 있는 식물식재용 플랜트설비 및 그 설치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이, 기왕에 식재되어 있는 식물을 교체하거나, 과도하게 성장이 이루어진 해당 식재용 파이프부재에 대하여서는 별도로 뿌리를 솎아내는 등의 분갈이 효과를 구현할 수 있는 식물식재용 플랜트설비 및 그 설치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이상 기후변화에 따른 도시열섬현상을 해소하기 위하여, 고층 대형건축물에 대한 옥상녹지 조성을 각 지자체에서 적극적으로 장려하는 추세에 있다.
한편, 건강한 먹거리 또는 건강과 자녀들의 학습적 효과를 기대하며, 텃밭을 가꾸는 가정들도 점점 늘고 있다.
그리고, 건축물의 녹화용 식물식재 유닛과 관련하여,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58027호에서는, "건축물의 옥상면에 설치되며, 식물을 식재할 수 있는 식물식재 유닛(1)으로서, 기둥형태로 이루어져 4개의 모서리 부분에 수직하게 설치되는 수직 마운트부재(10)와; 상기 수직 마운트부재(10)에 의해 지지되며, 상부는 개방되어 있고 식물이 식재되도록 토사가 담겨지는 오목한 내부 공간(S)이 형성되어 있는 식물식재 패널(3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식재 유닛이 제공되며, 이러한 식물식재 유닛과 보행 유닛을 이용한 옥상면 녹화구조"가 제안되었다.
또한, 교체식 식재모듈을 가지는 식물 재배기와 관련하여,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371128에서는, "본체에 식물이 식재되기 위한 식재부가 마련되고, 상기 본체의 상부에 상기 식재부에 식재된 식물에 광을 조사하도록 광원이 설치되며, 상기 본체의 상부에 상기 식재부에 식재된 식물에 물을 분사하는 물분사부가 설치되고, 상기 식재부는, 상기 본체에 상방으로 개방되도록 마련되는 장착부; 및 상기 장착부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고, 식물의 식재를 위한 식재공간이 마련되는 식재모듈을 포함하도록 한 교체식 식재모듈을 가지는 식물재배기"도 제안되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들에도 불구하고, 관상용 식물을 심거나 텃밭용으로 다양한 작물을 식재함에 있어서, 일정한 토양 위에 고정되어 식물을 식재할 수 밖에 없었고, 장기간에 걸쳐 식물을 식재함에 있어서 물주기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인테리어 효과까지 발휘할 수는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선행기술문헌]
1.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58027호 (2012년01월06일 등록)
2.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71128호 (2014년02월28일 등록)
3.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03353호 (2013년08월28일 등록)
4.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98019호 (2012년10월31일 등록)
본 발명은, 플랜트설비 설치공간의 천정면과 바닥면사이에 마주하여 연직방향으로 배치되는 한쌍의 수직서포트를 이용하되, 이들 한쌍의 수직서포트사이에 직각되게 가로질러 결합되는 다수개의 식재용 파이프부재의 내부공간 각각에 원예용 배합토를 담고, 상기 담겨진 원예용 배합토를 활용하여 식재용 파이프부재에 다양한 식물을 상하방향으로 다단으로 구성하여, 이동설치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분해조립에 의한 유지ㆍ보수가 수월한 식물식재용 플랜트설비 및 그 설치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각각의 식재용 파이프부재 내측의 원예용 배합토에 토출될 수 있도록 점적관수관부재를 설치하여, 식재된 식물에 지속적으로 급수가 될 수 있도록 하는 식물식재용 플랜트설비 및 그 설치방법을 제공함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다수개의 식재용 파이프부재 내측에는 부직포필터 뿐만 아니라, 철재 방근부재와 물막이용 필름부재를 추가로 구비시켜, 식재된 식물의 뿌리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면서도, 과다하게 공급된 물을 적정수준으로 유지시킬 수 있는 식물식재용 플랜트설비 및 그 설치방법을 제공함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은, 기왕에 식재되어 있는 식물을 교체하거나, 과도하게 성장이 이루어진 해당 식재용 파이프부재에 대하여서는, 별도로 뿌리를 솎아내는 등의 분갈이 효과를 구현할 수 있는 식물식재용 플랜트설비 및 그 설치방법을 제공함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르면, 플랜트설비 설치공간(RM)의 바닥면(BO)에 일정거리만큼 이격되게 놓여지는 한쌍의 잭서포트(130); 상기 각각의 잭서포트(130)에 하단부가 놓여지고, 상단부는 상기 플랜트설비 설치공간(RM)의 천정면(RO)에 각각 가압된 상태에서 지지되는 제1 수직서포트(110a)와 제2 수직서포트(110b); 및 상기 제1 수직서포트(110a)와 제2 수직서포트(110b)에 각각 상ㆍ하방향으로 결합되며, 일측단부는 캡부재(150C)에 의하여 막음처리되고, 타측단부에는 배수용 파이프부재(170)가 연결되며, 내측에는 원예용 배합토(160)가 채워지는 다수개의 식재용 파이프부재(15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식재용 플랜트 설비(100)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한쌍의 잭서포트(130)는, 바닥면(BO)에 놓여지는 하부 받침패널(120b) 상측면에 각각 적층되어 놓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제1 수직서포트(110a)와 제2 수직서포트(110b)는, 상단부가 상부 받침패널(120a)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다수개의 식재용 파이프부재(150)는, 육각스텐볼트부재(B)와 스텐새들부재(140)에 의해서, 상기 제1 수직서포트(110a)와 제2 수직서포트(110b)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다수개의 식재용 파이프부재(150)는, 상측방향으로 형성되는 개구부(150P)가 구비되어, 상기 개구부(150P)를 통하여 원예용 배합토(160)가 채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다수개의 식재용 파이프부재(150)는, 내측에 부직포필터(Ff)/철재 방근부재(Fm)/물막이용 필름부재(Fw)가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원예용 배합토(160)가 채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원예용 배합토(160)에 토출되도록 설치되는 점적관수관부재(W);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이, 상기 점적관수관부재(W)을 통하여 공급된 급수용 물은, 물막이용 필름부재(Fw)에 의하여 그 수위가 제한되고, 초과하여 공급되는 급수용 물은 상기 배수용 파이프부재(170)를 통하여 밖으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식물식재용 플랜트 설비(100)는, 베란다 또는 옥상 정원 등과 같은 플랜트설비 설치공간(RM)의 바닥면(BO)에 한쌍의 잭서포트(130)가 이격되게 배치되는 단계(S110); 상기 배치된 한쌍의 잭서포트(130) 상측에 각각 제1 수직서포트(110a) 및 제2 수직서포트(110b)를 적층되게 배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제1 수직서포트(110a) 및 제2 수직서포트(110b)가 각각 천정면(RO)에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상기 한쌍의 잭서포트(130)가 상측방향으로 길이가 신장되는 단계(S120); 스텐새들부재(140) 및 육각스텐볼트부재(B)를 활용하여, 바닥면(BO)과 천정면(RO) 사이에 고정ㆍ설치된 제1 수직서포트(110a) 및 제2 수직서포트(110b)에 다수개의 식재용 파이프부재(150)를 고정시키는 단계(S130); 고정ㆍ설치된 상기 다수개의 식재용 파이프부재(150)의 개구부(150P)를 통하여, 내측에 부직포필터(Ff)/철재 방근부재(Fm)/물막이용 필름부재(Fw)가 배치되는 단계(S140); 부직포필터(Ff)/철재 방근부재(Fm)/물막이용 필름부재(Fw)가 배치된 다수개의 식재용 파이프부재(150)의 일측에는 배수용 파이프부재(170)가 연결되고, 타측에는 캡부재(150C)가 막음처리되는 단계(S150); 캡부재(150C)가 막음처리된, 상기 다수개의 식재용 파이프부재(150)에 원예용 배합토(160)가 채워지는 단계(S160); 원예용 배합토(160)가 채워진 상기 다수개의 식재용 파이프부재(150)에 식재된 식물(P)이 배치되는 단계(S170); 및 식재된 식물(P)이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점적관수관부재(W)를 통하여 급수용 물이 급수되는 단계(S180);를 포함하여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식물식재용 플랜트설비 및 그 설치방법에 따르면, 천정면과 바닥면사이에 설치되는 한쌍의 수직서포트에 상하방향으로 결합되는 다수개의 식재용 파이프부재에 대하여, 그 내부공간 각각에 원예용 배합토를 담고, 식재용 파이프부재에 다양한 식물을 상하방향으로 다단으로 구성함으로써, 한쌍의 수직서포트가 이격되어 설치될 수 있는 곳이라면, 어디에나 이동ㆍ설치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분해조립에 의한 유지ㆍ보수가 수월한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식물식재용 플랜트설비 및 그 설치방법에 따르면, 상기 원예용 배합토에 골고루 토출될 수 있도록 점적관수관부재를 설치함으로써, 식재된 식물에 자동으로 그리고 지속적으로 급수가 될 수 있도록 하는 특유의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식물식재용 플랜트설비 및 그 설치방법에 따르면, 상기 다수개의 식재용 파이프부재 내측에 부직포필터/철재 방근부재/물막이용 필름부재를 추가로 구비시킴으로써, 각각의 식재용 파이프부재 내측에 식재된 식물의 뿌리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면서도, 과다하게 공급된 물을 별도로 배수시킬 수 있어, 급수되는 물의 양이 항상 적정수준으로 유지될 수 있어, 식재된 실물의 뿌리가 상하지 않도록 하는 또 다른 효과가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의 식물식재용 플랜트설비 및 그 설치방법에 따르면, 생육된 식물을 새로운 식물로 변경ㆍ교체하거나, 과도하게 성장이 이루어진 해당 식물에 대하여서는, 들어내어 별도로 뿌리 또는 잎ㆍ줄기 등을 솎은 다음, 다시 식재하여 지속적으로 관리할 수 있어, 분갈이 효과를 구현할 수 있는 또 다른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식물식재용 플랜트설비 및 그 설치방법에 따르면, 한쌍의 수직서포트의 높낮이를 필요에 맞게 증감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수개의 식재용 파이프부재 각각의 폭도 필요에 맞게 가감시킬 수 있어, 구현하고자 하는 식물식재용 플랜트설비에 언제나 자유자재로 대응할 수 있는 또 다른 효과가 있다.
도 1은 식물이 식재되기 이전에, 본 발명의 식물식재용 플랜트 설비가 천정면과 바닥면 사이에 지지된 상태를 나타낸 외형도이다.
도 2는 식재된 식물이 배치되기 이전에, 도 1에 도시된 바의 본 발명의 식물식재용 플랜트 설비가 천정면과 바닥면 사이에 지지된 상태를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식물식재용 플랜트 설비에 있어서, 원예용 배합토가 채워지기 이전의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식물식재용 플랜트 설비에, 원예용 배합토가 채워진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식물식재용 플랜트 설비에 있어서, 각각의 식재용 파이프부재를 제1/제2 수직서포트에 고정시키는 스텐새들부재 및 육각스텐볼트부재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바, 각각의 식재용 파이프부재가 스텐새들부재 및 육각스텐볼트부재에 의하여 제1/제2 수직서포트에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바, 각각의 식재용 파이프부재 내측에는 원예용 배합토가 채워진 다음에, 일측에는 점적관수관부재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8은 각각의 식재용 파이프부재 내측에 원예용 배합토가 채워지고, 일측에는 점적관수관부재가 설치된 이후, 각각의 식재용 파이프부재 일단부에 캡부재가 장착되고, 다양한 식재된 식물이 배치된 것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식물식재용 플랜트 설비에 있어서, 각각의 식재용 파이프부재에 부직포필터/철재 방근부재/물막이용 필름부재가 설치된 것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0은 천정면과 바닥면 사이에 제1 수직서포트/제2 수직서포트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11은 천정면과 바닥면 사이에 제1 수직서포트/제2 수직서포트가 설치되고, 측방에 배수용 파이프부재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12는 각각의 식재용 파이프부재 내측에 다양한 식재된 식물이 배치되기 이전의 상태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13은 다양한 식재된 식물이 각각의 식재용 파이프부재에 배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를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식물이 식재되기 이전에, 본 발명의 식물식재용 플랜트 설비가 천정면과 바닥면 사이에 지지된 상태를 나타낸 외형도이고, 도 12는 각각의 식재용 파이프부재 내측에 다양한 식재된 식물이 배치되기 이전의 상태를 나타낸 사진이며, 도 13은 다양한 식재된 식물이 각각의 식재용 파이프부재에 배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1 그리고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식물식재용 플랜트 설비(100)는, 베란다 또는 옥상 정원 등과 같은 플랜트설비 설치공간(RM)의 바닥면(BO)에 한쌍의 잭서포트(130)가 이격되게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배치된 한쌍의 잭서포트(130) 상측에 각각 제1 수직서포트(110a) 및 제2 수직서포트(110b)를 적층되게 배치시키고, 스텐새들부재(140) 및 육각스텐볼트부재(B)를 활용하여, 바닥면(BO)과 천정면(RO) 사이에 고정ㆍ설치된 제1 수직서포트(110a) 및 제2 수직서포트(110b)에 다수개의 식재용 파이프부재(150)를 고정시킨 상태에서, 상기 다수개의 식재용 파이프부재(150) 내측에 담겨진 원예용 배합토(160)에 식재된 식물(P)이 배치되어 이루어진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식물식재용 플랜트 설비(100)에 있어서, 상기 원예용 배합토(160)는, 물빠짐이 우수하며, 내부에 식물 생장에 필요로 하는 영양소가 고르게 배합되어 있어, 상기 다수개의 식재용 파이프부재(150)에 담겨진 상태에서, 식재된 식물(P)이 배치되는 것으로써, 별도의 비료 등을 추가로 공급해 줄 필요가 없는 것이다.
그리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상측에 수평으로 배치되는 식재용 파이프부재(150)는 대략 기역(ㄱ)자 형상으로 구성되는 엘보우부재(E)가 일측 단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배수용 파이프부재(170)에 연결된다.
도 2는 식재된 식물이 배치되기 이전에, 도 1에 도시된 바의 본 발명의 식물식재용 플랜트 설비가 천정면과 바닥면 사이에 지지된 상태를 나타낸 확대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식물식재용 플랜트 설비에 있어서, 원예용 배합토가 채워지기 이전의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식물식재용 플랜트 설비(100)는, 플랜트설비 설치공간(RM)의 바닥면(BO)에 일정거리만큼 이격되게 놓여지는 한쌍의 하부 받침패널(120b) 상측에 각각 적층되어 놓여지는 잭서포트(130); 상기 각각의 잭서포트(130)에 하단부가 놓여지고, 상단부는 상부 받침패널(120a)에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플랜트설비 설치공간(RM)의 천정면(RO)에 각각 안정적으로 고정되는 제1 수직서포트(110a)와 제2 수직서포트(110b); 육각스텐볼트부재(B)와 스텐새들부재(140)에 의해서, 상기 제1 수직서포트(110a)와 제2 수직서포트(110b)에 각각 상하방향으로 결합되며, 일측단부는 캡부재(150C)에 의하여 막음처리되고, 타측단부에는 배수용 파이프부재(170)가 연결되며, 내부공간에는 부직포필터(Ff)/철재 방근부재(Fm)/물막이용 필름부재(Fw)가 배치되며, 내측에는 원예용 배합토(160)가 채워지는 다수개의 식재용 파이프부재(150); 및 상기 원예용 배합토(160)에 급수되도록 상기 다수개의 식재용 파이프부재(150) 각각에 설치되는 점적관수관부재(W);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식물식재용 플랜트 설비에, 원예용 배합토가 채워진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식물식재용 플랜트 설비에 있어서, 각각의 식재용 파이프부재를 제1/제2 수직서포트에 고정시키는 스텐새들부재 및 육각스텐볼트부재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바, 각각의 식재용 파이프부재가 스텐새들부재 및 육각스텐볼트부재에 의하여 제1/제2 수직서포트에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바, 각각의 식재용 파이프부재 내측에는 원예용 배합토가 채워진 다음에, 일측에는 점적관수관부재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한쌍의 잭서포트(130)는 바닥면(BO)에 놓여지는 하부 받침패널(120b) 상측면에 각각 적층되어 놓여지고, 상기 제1 수직서포트(110a)와 제2 수직서포트(110b)는 상단부가 상부 받침패널(120a)에 지지되며, 상기 다수개의 식재용 파이프부재(150)는 육각스텐볼트부재(B)와 스텐새들부재(140)에 의해서, 상기 제1 수직서포트(110a)와 제2 수직서포트(110b)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육각스텐볼트부재(B)를 활용하기 위하여서는, 육각스텐볼트부재(B)와 스텐새들부재(140)에 의해서, 상기 제1 수직서포트(110a)와 제2 수직서포트(110b)에 결합되기 이전에, 상기 제1 수직서포트(110a)와 제2 수직서포트(110b)에는 상기 육각스텐볼트부재(B)가 삽입될 수 있도록 다수개의 관통공(도시하진 않음)이 미리 관통ㆍ형성되어 있어야 한다.
또한, 도 4 그리고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다수개의 식재용 파이프부재(150)는 상측방향으로 형성되는 개구부(150P)가 구비되어, 상기 개구부(150P)를 통하여 원예용 배합토(160)가 채워지게 된다.
또한, 도 4 그리고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다수개의 식재용 파이프부재(150) 내측에는 각각 점적관수관부재(W)가 길이방향으로 설치되고, 설치된 각각의 상기 점적관수관부재(W)로부터 토출되는 급수용 물은 상기 원예용 배합토(160)에 배치되어 있는 식재된 식물(P)에 공급된다.
더욱이, 상기 점적관수관부재(W)을 통하여 공급된 급수용 물은, 물막이용 필름부재(Fw)에 의하여 그 수위가 제한되고, 초과하여 공급되는 급수용 물은 상기 배수용 파이프부재(170)를 통하여 밖으로 배출되도록 구성됨에, 본 발명의 식물식재용 플랜트 설비(100)의 기술적 특징이 있다.
도 8은 각각의 식재용 파이프부재 내측에 원예용 배합토가 채워지고, 일측에는 점적관수관부재가 설치된 이후, 각각의 식재용 파이프부재 일단부에 캡부재가 장착되고, 다양한 식재된 식물이 배치된 것을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식물식재용 플랜트 설비에 있어서, 각각의 식재용 파이프부재에 부직포필터/철재 방근부재/물막이용 필름부재가 설치된 것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식물식재용 플랜트 설비(100)는, 상기 다수개의 식재용 파이프부재(150) 내측에 부직포필터(Ff)/철재 방근부재(Fm)/물막이용 필름부재(Fw)가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원예용 배합토(160)가 채워지는 것을 그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와 같이 상기 다수개의 식재용 파이프부재(150) 내측에 부직포필터(Ff)/철재 방근부재(Fm)/물막이용 필름부재(Fw)가 배치됨에 따라, 상기 원예용 배합토(160)에 배치되어 있는 식재된 식물(P)가 생육됨에 따라, 상기 식재된 식물(P)로부터 뿌리가 점점 자라더라도, 상기 철재 방근부재(Fm)에 가로막혀 상기 식재용 파이프부재(150) 밖으로는 돌출되지 않는다.
특히, 상기와 같이 다수개의 식재용 파이프부재(150) 내측에 부직포필터(Ff)가 배치됨에 따라, 상기 다수개의 식재용 파이프부재(150)에 채워져 있는 다량의 원예용 배합토(160)가, 점적관수관부재(W)로부터 급수되는 물에 의하여 유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0은 천정면과 바닥면 사이에 제1 수직서포트/제2 수직서포트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확대도이고, 도 11은 천정면과 바닥면 사이에 제1 수직서포트/제2 수직서포트가 설치되고, 측방에 배수용 파이프부재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확대도이며, 도 12는 각각의 식재용 파이프부재 내측에 다양한 식재된 식물이 배치되기 이전의 상태를 나타낸 사진이고, 도 13은 다양한 식재된 식물이 각각의 식재용 파이프부재에 배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10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식물식재용 플랜트 설비(100)는, 베란다 또는 옥상 정원 등과 같은 플랜트설비 설치공간(RM)의 바닥면(BO)에 한쌍의 잭서포트(130)가 이격되게 배치되는 단계(S110); 상기 배치된 한쌍의 잭서포트(130) 상측에 각각 제1 수직서포트(110a) 및 제2 수직서포트(110b)를 적층되게 배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제1 수직서포트(110a) 및 제2 수직서포트(110b)가 각각 천정면(RO)에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상기 한쌍의 잭서포트(130)가 상측방향으로 길이가 신장되는 단계(S120); 스텐새들부재(140) 및 육각스텐볼트부재(B)를 활용하여, 바닥면(BO)과 천정면(RO) 사이에 고정ㆍ설치된 제1 수직서포트(110a) 및 제2 수직서포트(110b)에 다수개의 식재용 파이프부재(150)를 고정시키는 단계(S130); 고정ㆍ설치된 상기 다수개의 식재용 파이프부재(150)의 개구부(150P)를 통하여, 내측에 부직포필터(Ff)/철재 방근부재(Fm)/물막이용 필름부재(Fw)가 배치되는 단계(S140); 부직포필터(Ff)/철재 방근부재(Fm)/물막이용 필름부재(Fw)가 배치된 다수개의 식재용 파이프부재(150)의 일측에는 배수용 파이프부재(170)가 연결되고, 타측에는 캡부재(150C)가 막음처리되는 단계(S150); 캡부재(150C)가 막음처리된, 상기 다수개의 식재용 파이프부재(150)에 원예용 배합토(160)가 채워지는 단계(S160); 원예용 배합토(160)가 채워진 상기 다수개의 식재용 파이프부재(150)에 식재된 식물(P)이 배치되는 단계(S170); 및 식재된 식물(P)이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점적관수관부재(W)를 통하여 급수용 물이 급수되는 단계(S180);를 포함하여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식물식재용 플랜트 설비(100) 및 그 설치방법에 따르면, 각각 잭서포트(130)에 지지된 상태에서 천정면(RO)과 바닥면(BO) 사이에 설치되는 한쌍의 수직서포트(110a,110b)를 가로질러, 상하방향으로 결합되는 다수개의 식재용 파이프부재(150)에 대하여, 그 내부공간 각각에 원예용 배합토(160)를 담고, 상기 담겨진 원예용 배합토(160)를 활용하여 식재용 파이프부재(150)에 다양한 식물을 상ㆍ하방향으로 다단으로 구성함으로써, 한쌍의 수직서포트(110a,110b)가 이격되어 설치될 수 있는 곳이라면, 어디에나 이동ㆍ설치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분해조립에 의한 유지ㆍ보수가 수월한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식물식재용 플랜트 설비(100) 및 그 설치방법에 따르면, 상기 각각의 식재용 파이프부재(150)의 내측에 원예용 배합토(160)를 채운상태에서, 상기 원예용 배합토(160)에 골고루 급수될 수 있도록 점적관수관부재(W)를 설치함으로써, 식재된 식물(P)에 자동으로 그리고 지속적으로 급수가 될 수 있도록 하는 특유의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식물식재용 플랜트 설비(100) 및 그 설치방법에 따르면, 상기 다수개의 식재용 파이프부재(150) 내측에 부직포필터(Ff)를 배치시킬 뿐만 아니라, 철재 방근부재(Fm)와 물막이용 필름부재(Fw)도 추가로 구비시킴으로써, 각각의 식재용 파이프부재(150) 내측의 식재된 식물(P)의 뿌리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면서도, 과다하게 공급된 물을 별도로 배수시킬 수 있어, 급수되는 물의 양이 항상 적정수준으로 유지될 수 있어, 상기 식재된 식물(P)의 뿌리가 상하지 않도록 하는 또 다른 효과가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의 식물식재용 플랜트 설비(100) 및 그 설치방법에 따르면, 충분한 물공급과 적절한 채광에 의하여 생육된 식물을 새로운 식물로 변경ㆍ교체하거나, 과도하게 성장이 이루어진 해당 식물에 대하여서는, 들어내어 별도로 뿌리 또는 잎ㆍ줄기 등을 솎은 다음, 다시 식재하여 지속적으로 관리할 수 있어, 분갈이 효과를 구현할 수 있는 또 다른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식물식재용 플랜트 설비(100) 및 그 설치방법에 따르면, 각각 잭서포트(130)에 지지된 상태에서, 천정면(RO)과 바닥면(BO) 사이에 설치되는 한쌍의 수직서포트(110a,110b)의 높낮이를 필요에 맞게 증ㆍ감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한쌍의 수직서포트(110a,110b)를 가로질러 상ㆍ하방향으로 결합되는 다수개의 식재용 파이프부재(150) 각각의 폭을 필요에 맞게 가ㆍ감시킬 수 있어, 구현하고자 하는 식물식재용 플랜트 설비(100)에 언제나 자유자재로 대응할 수 있는 또 다른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식물식재용 플랜트 설비
110 : 수직서포트 110a : 제1 수직서포트
110b : 제2 수직서포트 120a : 상부 받침패널
120b : 하부 받침패널 130 : 잭서포트
140 : 스텐새들부재 150 : 식재용 파이프부재
150C : 캡부재 150P : 개구부
160 : 원예용 배합토 170 : 배수용 파이프부재
B : 육각스텐볼트부재 BO : 바닥면
D : 방부목데크 E : 엘보우부재
Ff : 부직포필터 Fm : 철재 방근부재
Fw : 물막이용 필름부재 P : 식재된 식물
RO : 천정면 RM : 플랜트설비 설치공간
W : 점적관수관부재

Claims (9)

  1. 플랜트설비 설치공간(RM)의 바닥면(BO)에 일정거리만큼 이격되게 놓여지는 한쌍의 잭서포트(130);
    상기 각각의 잭서포트(130)에 하단부가 놓여지고, 상단부는 상기 플랜트설비 설치공간(RM)의 천정면(RO)에 각각 가압된 상태에서 지지되는 제1 수직서포트(110a)와 제2 수직서포트(110b); 및
    상기 제1 수직서포트(110a)와 제2 수직서포트(110b)에 각각 상ㆍ하방향으로 결합되며, 일측단부는 캡부재(150C)에 의하여 막음처리되고, 타측단부에는 배수용 파이프부재(170)가 연결되며, 내측에는 원예용 배합토(160)가 채워지는 다수개의 식재용 파이프부재(15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식재용 플랜트 설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잭서포트(130)는,
    바닥면(BO)에 놓여지는 하부 받침패널(120b) 상측면에 각각 적층되어 놓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식재용 플랜트 설비.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직서포트(110a)와 제2 수직서포트(110b)는,
    상단부가 상부 받침패널(120a)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식재용 플랜트 설비.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개의 식재용 파이프부재(150)는,
    육각스텐볼트부재(B)와 스텐새들부재(140)에 의해서, 상기 제1 수직서포트(110a)와 제2 수직서포트(110b)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식재용 플랜트 설비.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개의 식재용 파이프부재(150)는,
    상측방향으로 형성되는 개구부(150P)가 구비되어, 상기 개구부(150P)를 통하여 원예용 배합토(160)가 채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식재용 플랜트 설비.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개의 식재용 파이프부재(150)는,
    내측에 부직포필터(Ff)/철재 방근부재(Fm)/물막이용 필름부재(Fw)가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원예용 배합토(160)가 채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식재용 플랜트 설비.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원예용 배합토(160)에 토출되도록 설치되는 점적관수관부재(W);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식재용 플랜트 설비.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점적관수관부재(W)을 통하여 공급된 급수용 물은, 물막이용 필름부재(Fw)에 의하여 그 수위가 제한되고, 초과하여 공급되는 급수용 물은 상기 배수용 파이프부재(170)를 통하여 밖으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식재용 플랜트 설비.
  9. 베란다 또는 옥상 정원 등과 같은 플랜트설비 설치공간(RM)의 바닥면(BO)에 한쌍의 잭서포트(130)가 이격되게 배치되는 단계(S110);
    상기 배치된 한쌍의 잭서포트(130) 상측에 각각 제1 수직서포트(110a) 및 제2 수직서포트(110b)를 적층되게 배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제1 수직서포트(110a) 및 제2 수직서포트(110b)가 각각 천정면(RO)에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상기 한쌍의 잭서포트(130)가 상측방향으로 길이가 신장되는 단계(S120);
    스텐새들부재(140) 및 육각스텐볼트부재(B)를 활용하여, 바닥면(BO)과 천정면(RO) 사이에 고정ㆍ설치된 제1 수직서포트(110a) 및 제2 수직서포트(110b)에 다수개의 식재용 파이프부재(150)를 고정시키는 단계(S130);
    고정ㆍ설치된 상기 다수개의 식재용 파이프부재(150)의 개구부(150P)를 통하여, 내측에 부직포필터(Ff)/철재 방근부재(Fm)/물막이용 필름부재(Fw)가 배치되는 단계(S140);
    부직포필터(Ff)/철재 방근부재(Fm)/물막이용 필름부재(Fw)가 배치된 다수개의 식재용 파이프부재(150)의 일측에는 배수용 파이프부재(170)가 연결되고, 타측에는 캡부재(150C)가 막음처리되는 단계(S150);
    캡부재(150C)가 막음처리된, 상기 다수개의 식재용 파이프부재(150)에 원예용 배합토(160)가 채워지는 단계(S160);
    원예용 배합토(160)가 채워진 상기 다수개의 식재용 파이프부재(150)에 식재된 식물(P)이 배치되는 단계(S170); 및
    식재된 식물(P)이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점적관수관부재(W)를 통하여 급수용 물이 급수되는 단계(S180);
    를 포함하여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식재용 플랜트 설비의 설치방법.
KR1020140125950A 2014-09-22 2014-09-22 식물식재용 플랜트설비 및 그 설치방법 KR1016885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5950A KR101688552B1 (ko) 2014-09-22 2014-09-22 식물식재용 플랜트설비 및 그 설치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5950A KR101688552B1 (ko) 2014-09-22 2014-09-22 식물식재용 플랜트설비 및 그 설치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4680A true KR20160034680A (ko) 2016-03-30
KR101688552B1 KR101688552B1 (ko) 2016-12-21

Family

ID=556602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5950A KR101688552B1 (ko) 2014-09-22 2014-09-22 식물식재용 플랜트설비 및 그 설치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855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954486A (zh) * 2017-04-24 2017-07-18 曹俊 高楼外墙垂直绿化装置
KR20210157822A (ko) * 2020-06-22 2021-12-29 삼성물산 주식회사 식물을 이용한 공기 정화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58159A (ko) * 2008-11-24 2010-06-03 이기섭 창문 설치용 화분 진열선반
KR20120128526A (ko) * 2011-05-17 2012-11-27 조정현 기둥구조 걸이식 다층 수경 재배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58159A (ko) * 2008-11-24 2010-06-03 이기섭 창문 설치용 화분 진열선반
KR20120128526A (ko) * 2011-05-17 2012-11-27 조정현 기둥구조 걸이식 다층 수경 재배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954486A (zh) * 2017-04-24 2017-07-18 曹俊 高楼外墙垂直绿化装置
KR20210157822A (ko) * 2020-06-22 2021-12-29 삼성물산 주식회사 식물을 이용한 공기 정화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88552B1 (ko) 2016-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10258925A1 (en) Vertical planter
US20140298723A1 (en) Self-infiltration irrigation, assemblable, obliquely inserted modular multifunctional wall greening apparatus
JP2016518120A (ja) 垂直ガーデンシステム
CN106105841A (zh) 一种蔬菜种植架
JP2009528827A (ja) 縦型植栽システム
US20080209805A1 (en) Wall Planted with Vegetation and Constituent Elements
CN111492837A (zh) 一种伸缩式立体种植装置
KR101688552B1 (ko) 식물식재용 플랜트설비 및 그 설치방법
EP3648575B1 (de) Gebäudeflächen-pflanzsystem
JP6190797B2 (ja) 壁面緑化パネル及び壁面緑化設備
DE102018119631B4 (de) Pflanzvorrichtung
WO1986002523A1 (en) Plant arrangement
DE202004000438U1 (de) Anordnung zur Fassadenbegrünung
DE102007025922B3 (de) Bewässerungsanlage für Pflanzgefäße zur unterflurigen Bewässerung der Pflanzerde
DE102011053311A1 (de) Vorrichtung zur Präsentation und Pflege von Pflanzen
DE102010024555B4 (de) Fassadenbegrünungselement und Fassadenbegrünungssystem
KR200475509Y1 (ko) 식재용 상자 조립체
JP6981084B2 (ja) 壁面緑化用プランター
JP4657683B2 (ja) 壁面緑化設備
KR101402744B1 (ko) 무벤치 저면매트를 이용한 원예작물 수경 재배 장치 및 그 방법
CN205082315U (zh) 一种方便移动的景观花坛
WO2019020212A1 (de) Pflanzenbehälter mit wasserspeicher
CN210406371U (zh) 一种用于湿地保护的植物种植箱
CN213095109U (zh) 一种中药种植用育苗装置
CN204948892U (zh) 一种景观花坛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