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34597A - 막대형 조명기구 - Google Patents

막대형 조명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34597A
KR20160034597A KR1020140125727A KR20140125727A KR20160034597A KR 20160034597 A KR20160034597 A KR 20160034597A KR 1020140125727 A KR1020140125727 A KR 1020140125727A KR 20140125727 A KR20140125727 A KR 20140125727A KR 20160034597 A KR20160034597 A KR 201600345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power supply
lighting device
rod
mounting memb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257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34623B1 (ko
Inventor
양경호
Original Assignee
(주)디케이라이텍
양경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55660225&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160034597(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주)디케이라이텍, 양경호 filed Critical (주)디케이라이텍
Priority to KR10201401257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4623B1/ko
Publication of KR201600345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45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46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46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02Wall, ceiling, or floor bases; Fixing pendants or arms to the ba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20Light sources comprising attachment means
    • F21K9/27Retrofit light sources for lighting devices with two fittings for each light source, e.g. for substitution of fluorescent tubes
    • F21K9/275Details of bases or housings, i.e. the parts between the light-generating element and the end caps; Arrangement of components within bases or hous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6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coupling devices, e.g. connectors

Abstract

본 발명은 막대형 조명기구에 관한 것으로,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이 공급되는 양측 전원공급단자가 서로 마주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양측 절연체가 일정간격이 유지되도록 대칭상태로 삽입 설치되어 있는 레일콘센트에 착탈가능하게 설치하도록 구성되는 막대형 조명기구에 있어서,
상기 막대형 조명기구는, 막대형 조명등이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조명등 지지구와, 상기 조명등 지지구의 상면에 결합되며 상기 막대형 조명등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구성요소가 구비되어 있는 전원공급 케이스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전원공급 케이스의 양단 각각에는 상기 레일콘센트의 양측 고정날개부에 착탈가능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양측 조명기구 설치부재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양측 조명기구 설치부재 각각의 상면에는 상기 레일콘센트에 형성된 양측 고정날개부의 사이로 삽입되어 상기 양측 고정날개부에 걸림되는 양측 걸림날개가 대칭상으로 돌출되어 있는 회전축이 90°각도로 회전가능하도록 각각 하나씩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양측 조명기구 설치부재 각각에 하나씩 설치되는 양측 회전축 중 어느 하나의 회전축에는 상기 레일콘센트에 서로 마주하게 설치되어 있는 양측 전원공급단자에 각각 접속 및 분리되는 양측 접속단자가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명이다.

Description

막대형 조명기구{Rod type lighting device}
본 발명은 막대형 조명기구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형광등, 할로겐램프, 냉음극형광램프 및 LED램프 등을 광원으로 하는 막대형 조명등이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콘크리트 건물의 슬라브 천장에 수직상으로 고정 설치되는 복수의 앵커에 매달린 상태로 설치되는 레일콘센트의 길이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착탈가능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막대형 조명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의 천정에 설치되는 조명기구는 대부분 단면이 원형으로 된 막대형 형광등을 광원으로 하고 있으며, 이러한 조명기구는 천정슬라브에 수직상으로 고정 설치되는 복수의 앵커에 매달린 상태로 설치되는 전등갓에 막대형 조명등이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천정에 수직상으로 고정 설치된 복수의 앵커에 매달린 상태로 설치되는 전등갓은 서로 인접하는 위치에 있는 2개의 앵커에 고정 부착된 채 일정간격으로 복수 곳에 설치되어 있으며, 이와 같이 복수 곳에 설치된 전등갓 각각에는 막대형 형광등이 장착된 복수의 조명기구가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데, 이때 복수 곳의 전등갓 각각에 설치되는 조명기구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서는 일정간격으로 떨어져 있는 복수의 전등갓을 전원공급선으로 연결을 하여야 하기 때문에 천정슬라브에는 복수의 전등갓을 연결하기 위한 전원공급선이 거미줄처럼 설치될 수밖에 없게 된다.
그런데, 종래에는 천정에 석고보드와 같은 천정마감재를 설치하고 있으므로 천정슬라브에 일정간격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앵커에 매달린 상태로 설치되는 복수의 전등갓을 연결하기 위한 전원공급선이 거미줄처럼 배설되어 있다 하더라도 천정에 설치되는 천정마감재에 의해 거미줄처럼 배설되는 전원공급선을 은폐시킬 수 있었지만, 요즈음에 와서는 콘크리트 다층건물의 경우 실내의 천정이 그리 높지 아니한 대략 4∼9m 정도의 높이로 건축되고 있는 추세이므로, 이러한 다층건물에 입주하는 업체에서는 천정에 석고보드와 같은 천정마감재를 설치하지 않고 천정슬라브에서 수직상으로 고정 설치되는 복수의 앵커에 일정길이의 레일콘센트를 일직선상으로 설치하거나 또는 레일콘센트를 ㄱ자형, ㄷ자형 및 ㅁ자형 등으로 설치한 다음, 이와 같이 설치된 레일콘센트에 막대형 형광등이 장착된 조명기구를 착탈가능하게 설치하는 구조를 채택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 일례로서, 본 발명의 출원인에 의해 제안된 특허 제10-1423495호의 레일콘센트용 막대형 조명기구를 들 수 있다.
상기한 선행특허는 조명기구의 일단에 레일콘센트에 착탈가능하도록 고정형 돌출부를 형성하는 구조로 구성되어 있는바, 상기한 고정형 돌출부에는 레일콘센트에 서로 마주하는 양측 고정날개부에 착탈가능하게 걸림되는 양측 걸림날개가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한 양측 걸림날개 각각에는 레일콘센트에 서로 마주하게 장착되어 (+)(-)전기가 흐르는 양 전원공급단자 각각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양 접속단자가 형성되어 있는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한 선행특허는 막대형 조명기구 자체가 레일콘센트에 대하여 직각을 이루도록 한 상태에서 막대형 조명기구의 돌출부가 레일콘센트의 양측 고정날개부 사이로 삽입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천정에 수직상으로 설치되는 앵커에 서로 평행하게 설치되는 양측 레일콘센트간의 이격 간격이 막대형 조명기구의 길이보다 짧은 경우에는 막대형 조명기구를 설치하고자 하는 레일콘센트에 대하여 직각을 이루도록 위치시킬 수 없게 되므로(이는 막대형 조명기구의 돌출부가 레일콘센트의 양측 고정날개부 사이에 삽입시킬 수 있는 정상적인 상태로 정확하게 위치시킬 수 없다는 것을 말함) 막대형 조명기구를 레일콘센트에 설치할 수 없게 되거나 또는 막대형 조명기구를 설치하는 작업이 자유롭지 못하다는 것이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으며, 또한 레일콘센트와 벽면 사이의 이격 간격이 막대형 조명기구의 길이보다 짧을 경우에도 막대형 조명기구를 레일콘센트에 설치하지 못하게 되거나 설치작업이 자유롭지 못하게 된다는 것도 문제점으로 나타나고 있다.
또한 상기한 선행특허는 막대형 조명기구의 일단에만 레일콘센트의 양측 고정날개부 사이로 삽입 설치되는 돌출부가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상기 막대형 조명기구의 일단에 형성된 돌출부가 레일콘센트의 양측 고정날개부 사이와 같은 방향으로 일치하도록 상기 레일콘센트에 대하여 막대형 조명기구가 직각을 이루도록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돌출부를 양측 고정날개 사이로 삽입시킨 다음 상기 막대형 조명기구를 90°각도로 회전시켜서 막대형 조명기구가 레일콘센트의 길이방향과 일치하도록 설치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레일콘센트의 양측 고정날개부에 지지되는 돌출부가 형성된 막대형 조명기구의 일단은 레일콘센트에 밀착되는 상태로 지지될 수 있지만, 상기 돌출부가 형성되지 아니한 막대형 조명기구의 타단은 자중에 의해 레일콘센트의 양측 고정날개부에 지지되지 못하고 밑으로 처지는 현상이 나타나 막대형 조명기구가 레일콘센트에 대하여 밑으로 삐딱하게 경사진 상태로 설치되어 보는 사람으로 하여금 막대형 조명기구가 떨어질 수 있다는 불안한 위험이 느끼게 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또 이러한 문제점은 레일콘센트의 양측 고정날개부에 지지되는 막대형 조명기구의 상면 일단에 돌출 형성된 양측 걸림날개 부분이 파손될 수 있어 레일콘센트에 설치할 수 없게 될 수도 있다는 것이 문제점으로 지적되어 왔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 나타나는 제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천정에 수직상으로 고정 설치되어 있는 복수의 앵커에 -자형, ㄱ자형, ㄷ자형, ㅁ자형 등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레일콘센트 각각에 설치하고자 하는 막대형 조명기구를 상기 레일콘센트의 길이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일치시키는 상태에서 설치 및 분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복수의 레일콘센트들이 서로 막대형 조명기구의 길이보다 짧은 간격으로 이격 설치되어 있거나 또는 상기 레일콘센트와 벽면과의 이격 간격이 막대형 조명기구의 길이보다 짧은 간격을 유지하고 있다고 하더라도 상기 막대형 조명기구를 복수의 레일콘센트 각각에 신속 정확하게 설치 및 분리할 수 있도록 하는 막대형 조명기구를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고 발명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이 공급되는 양측 전원공급단자가 서로 마주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양측 절연체가 일정간격이 유지되도록 대칭상태로 삽입 설치되어 있는 레일콘센트에 착탈가능하게 설치하도록 구성되는 막대형 조명기구에 있어서,
상기 막대형 조명기구는,
막대형 조명등이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조명등 지지구와, 상기 조명등 지지구의 상면에 결합되며 상기 막대형 조명등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구성요소가 구비되어 있는 전원공급 케이스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전원공급 케이스의 양단 각각에는 상기 레일콘센트의 양측 고정날개부에 착탈가능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양측 조명기구 설치부재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양측 조명기구 설치부재 각각의 상면에는 상기 레일콘센트에 형성된 양측 고정날개부의 사이로 삽입되어 상기 양측 고정날개부에 걸림되는 양측 걸림날개가 대칭상으로 돌출되어 있는 회전축이 90°각도로 회전가능하도록 각각 하나씩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양측 조명기구 설치부재 각각에 하나씩 설치되는 양측 회전축 중 어느 하나의 회전축에는 상기 레일콘센트에 서로 마주하게 설치되어 있는 양측 전원공급단자에 각각 접속 및 분리되는 양측 접속단자가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양측 조명기구 설치부재 각각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회전축은 양측 조명기구 설치부재 각각에 형성되어 있는 절개부를 통해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형성되는 회전손잡이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양측 조명기구 설치부재 각각에 형성되는 절개부는 회전손잡이를 90°각도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막대형 조명기구를 콘크리트 건물의 천정슬라브에 일정간격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천정앵커 하단에 매달린 상태로 설치되는 레일콘센트의 길이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일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막대형 조명기구를 레일콘센트에 설치할 수 있으므로 상기 복수의 천정앵커의 하단에 평행하게 설치되는 상기 레일콘센트들이 설치간격이 막대형 조명기구의 길이보다 짧은 경우에도 평행하게 설치된 양측 레일콘센트 각각에 막대형 조명기구를 신속 정확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상기 막대형 조명기구의 양단을 레일콘센트에 밀착시키는 상태로 설치할 수 있으므로 막대형 조명기구를 안전하게 설치할 수 있게 하는 효과와 함께 상기 막대형 조명기구의 사용수명을 현저하게 연장시키는 등의 장점이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막대형 조명기구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막대형 조명기구를 레일콘센트에 설치하기 위해 양측 조명기구 설치부재에 형성된 회전축의 양측 걸림날개를 길이방향으로 회전시킨 작동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의 막대형 조명기구를 레일콘센트에 고정시키기 위해 양측 조명기구 설치부재에 형성된 회전축의 양측 걸림날개를 길이방향에 대하여 직각상태가 되도록 회전시킨 작동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막대형 조명기구의 정면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도 4의 A-A선 단면도로 나타낸 막대형 조명기구를 레일콘센트에 설치하기 위해 양측 조명기구 설치부재의 회전축 및 양측 걸림날개의 작동상태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막대형 조명기구를 천정앵커에 설치된 레일콘센트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설치상태 저면도
본 발명에 의한 막대형 조명기구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부호 1은 막대형 조명기구를 나태는 것으로, 상기 막대형 조명기구(1)는 막대형 조명등(2)과, 상기 막대형 조명등(2)이 장착되는 조명등 지지구(3)와, 상기 조명등 지지구(3)의 상면에 결합된 상태로 형성되는 전원공급 케이스(4)와, 상기 전원공급 케이스(4)의 양단에는 대칭을 이루도록 설치되는 양측 조명기구 설치부재(5a)(5b)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 막대형 조명등(2)은 형광등, 냉음극형광램프, 할로겐램프, LED램프 등으로 구성되는 것이며, 상기 전원공급 케이스(4)에는 조명등(2)에 전원을 안정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전기회로, 안정기 등을 포함하여 전원을 공급하는 각종 구성요소가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전원공급 케이스(4)의 상부는 조립식으로 설치되는 덮개(41)에 의해 폐구되는 구조로 형성된다.
상기 전원공급 케이스(4)의 양단에 대칭상으로 설치되는 양측 조명기구 설치부재(5a)(5b) 각각은 콘크리트 건물의 천정슬라브에 수직상으로 고정 설치되는 복수의 천정앵커(6)의 하단에 매달린 상태로 설치되는 레일콘센트(7)에 착탈가능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을 구비하고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양측 조명기구 설치부재(5a)(5b) 각각에는 회전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51)이 하나씩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양측 조명기구 설치부재(5a)(5b) 각각에 하나씩 설치된 양측 회전축(51) 각각의 상단에는 서로 대칭하는 방향으로 수평하게 돌출되는 양측 걸림날개(52)(53)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양측 회전축(51) 중 어느 하나의 회전축 즉, 도면(도 1 내지 3 참조)의 도시를 기준하여 볼 때 일측(도면상 좌측) 조명기구 설치부재(5a)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51)에는 2개로 구성되는 양측 접속단자(54)(55)가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양측 접속단자(54)(55)에는 도 5 및 도 6의 도시와 같이 조명기구 설치부재(5a)의 내부에 형성되는 전원연결선(56)(57)이 납땜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전원연결선(56)(57)은 전원공급 케이스(4)의 전기회로에 연결되어 상기 양측 접속단자(54)(55)를 통해 공급되는 전원이 막대형 조명등(2)을 점등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조명기구 설치부재(5a)(5b) 각각에는 하나씩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회전축(51)을 일정각도 예를 들어, 90°각도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회전손잡이(58)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조명기구 설치부재(5a)(5b) 각각에는 상기 회전손잡이(58)를 일정각도(90°각도)로 회전시킬 수 있게 하는 절개부(59)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레일콘센트(7)에는 길이방향으로 서로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형성되는 양측 고정날개부(71)(72)와, 상기 양측 고정날개부(71)(72) 각각의 상측으로 삽입 설치되는 양측 절연체(73)(74)와, 상기 양측 절연체(73)(74) 각각에 서로 마주하는 상태로 노출되도록 고정 설치되는 양측 전원공급단자(75)(76)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양측 전원공급단자(75)(76)은 외부의 전원공급장치에 의해 (+)(-)전기가 공급되도록 구성되며, 또한 상기 레일콘센트(7)는 서로 이웃하는 것끼리 전원접속부재(8a)(8b)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전원접속부재(8a)(8b) 각각에는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선(8)이 연결된 구조로 되어 있다.(도 6 및 도 7 참조)
그리고, 도면에는 도시하지 아니하였지만 양측 조명기구 설치부재(5a)(5b) 각각에 하나씩 설치되어 있는 회전축(51)을 막대형 누름봉 등으로 회전축(51)을 일정각도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는 구조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막대형 조명기구(1)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막대형 조명기구(1)는 콘크리트 건물 등의 천정슬라브에 수직상으로 고정설치되는 복수의 천정앵커(6) 각각의 하단에 매달린 상태로 설치되는 레일콘센트(7)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막대형 조명기구(1)는 천정앵커(6)에 매달린 상태로 설치되는 레일콘센트(7)의 길이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착탈가능하게 설치할 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 레일콘센트(7)가 도 7 및 도 8의 도시와 같이 ㄱ자형, ㅁ자형으로 설치되어 있거나 또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자형, ㄷ자형, ㄹ자형 등으로 설치되어 있을 경우 서로 이웃하는 레일콘센트(7)들의 설치간격이 막대형 조명기구(1)의 길이보다 짧은 간격으로 설치되어 있다 하더라도 막대형 조명기구(1)를 설치하고자 하는 레일콘센트(7)의 주변에 설치되어 있는 다른 레일콘센트 또는 건물의 벽면 등과는 상관없이 막대형 조명기구(1)를 신속 정확하게 설치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상기 막대형 조명기구(1)를 레일콘센트(7)에 설치하고자 할 때에는 먼저 전원공급 케이스(4)의 양단에 형성되어 있는 양측 조명기구 설치부재(5a)(5b) 각각에 하나씩 설치되어 있는 회전축(51) 각각의 상단에 대칭상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는 양측 걸림날개(52)(53)가 막대형 조명기구(1)의 길이방향과 일치하는 상태로 있어야만 상기 양측 걸림날개(52)(53)를 레일콘센트(7)의 양측 고정날개부(71)(72) 사이로 삽입시킬 수 있게 되는데, 이때에는 상기 양측 조명기구 설치부재(5a)(5b) 각각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회전손잡이(58)를 회전시키는 방법으로 양측 걸림날개(52)(53)를 막대형 조명기구(1)의 길이방향으로 일치시킬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일측(도면상 좌측) 조명기구 설치부재(5a)에 형성된 회전손잡이(58)와 타측(도면상 우측) 조명기구 설치부재(5b) 각각에 형성되어 있는 회전손잡이(58) 각각을 시계방향(화살표 참조)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양측 조명기구 설치부재(5a)(5b) 각각에 설치되어 있는 회전축(51)이 일정각도(90°각도)로 회전하게 되므로, 이에 따라 상기 회전축(51)의 상단에 서로 대칭상태로 돌출되어 있는 양측 걸림날개(52)(53)이 막대형 조명기구(1)의 길이방향과 일치하는 상태가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양측 조명기구 설치부재(5a)(5b) 각각에 설치된 회전축(51)의 상단에 형성되어 있는 양측 걸림날개(52)(53)가 막대형 조명기구(1)의 길이방향과 일치하게 될 때에는 상기 양측 걸림날개(52)(53)를 레일콘센트(7)의 양측 고정날개부(71)(72) 사이로 삽입시킬 수 있게 되므로 도 6와 같이 레일콘센트(7)의 하측에 가상선 부분으로 도시되어 있는 막대형 조명기구(1)의 조명기구 설치부재(5a) 상면에 돌출되어 있는 회전축(51)의 상단에 형성된 양측 걸림날개(52)(53)를 상기 레일콘센트(7)의 양측 고정날개부(71)(72) 사이를 향해 하측에서 상측으로 삽입시키게 되면 도 6의 실선부분과 같이 조명기구 설치부재(5a)의 회전축(51) 상단부분이 레일콘센트(7)의 양측 고정날개부(71)(72) 사이로 삽입되는 것인데, 이때에는 타측 조명기구 설치부재(5b)의 회전축(51) 상단부분도 레일콘센트(7)의 양측 고정날개부(71)(72) 사이로 삽입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막대형 조명기구(1)의 양측 조명기구 설치부재(5a)(5b) 각각의 상면에 돌출되어 있는 회전축(51) 각각의 상단을 레일콘센트(7)의 양측 고정날개부(71)(72) 사이로 삽입시킨 다음, 이어서 양측 조명기구 설치부재(5a)(5b) 각각에 형성되어 있는 회전손잡이(58)를 도 3의 도시와 같이 반시계방향(화살표 참조)으로 90°각도로 회전시키게 되면 회전축(51)이 90°각도로 회전하게 되므로, 이에 따라 상기 회전축(51) 상단에 형성되어 있는 양측 걸림날개(52)(53)는 막대형 조명기구(1)의 길이방향과는 직각을 이루는 상태로 회전하게 되는데, 이때 양측 조명기구 설치부재(5a)(5b) 각각에 하나씩 설치되어 있는 회전축(51) 각각의 상단에 형성된 양측 걸림날개(52)(53)은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레일콘센트(7)의 양측 고정날개부(71)(72) 상측에 형성된 걸림공간(도면부호 생략)으로 삽입되면서 상기 양측 고정날개부(71)(72)에 걸림되는 상태가 되는 것이며, 또한 일측(도면상 좌측)의 조명기구 설치부재(5a)의 회전축(51)에 설치된 채 상기 양측 걸림날개(52)(53)와 같은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는 양측 접속단자(54)(55)는 레일콘센트(7)의 양측 고정날개부(71)(72) 상측에 삽입 설치되어 있는 양측 절연체(73)(74) 각각에 하나씩 장착되어 있는 양측 전원공급단자(75)(76)에 접속되는 것이므로, 외부에서 상기 양측 전원공급단자(75)(76)로 공급되는 전원은 이에 접속되는 양측 접속단자(54)(55)를 통해 전원공급 케이스(4)에 내장된 전기회로에 인가되어 막대형 조명등(2)을 점등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막대형 조명기구(1)는 천정앵커(6)에 설치되는 레일콘센트(7)에 설치하고자 할 때에는 상기 막대형 조명기구(1)를 레일콘센트(7)의 길이방향과 일치하도록 하여 양측 조명기구 설치부재(5a)(5b) 각각에 돌출되어 있는 회전손잡이(58)를 시계방향으로 90°각도 회전(도 2 참조)시켜 양측 걸림날개(52)(53)가 레일콘센트(7)의 길이방향과 일치되도록 작동시킨 상태에서 양측 조명기구 설치부재(5a)(5b)에 설치된 양측 회전축(51)의 상단부분을 레일콘센트(7)의 양측 고정날개(71)(72) 사이로 삽입시킨 다음, 이어서 곧바로 양측 회전손잡이(58)를 반시계방향 90°각도로 회전시키게 되면(도 3 참조) 상기 양측 걸림날개(52)(53)가 양측 고정날개(71)(72) 상측에 형성된 걸림공간으로 삽입되면서 상기 양측 고정날개부(71)(72)에 걸림되는 것이며, 이와 같이 레일콘센트(7)의 양측 고정날개부(71)(72)에 걸림되는 양측 걸림날개(52)(53)는 막대형 조명기구(1)의 전원공급 케이스(4) 양측에 형성된 양측 조명기구 설치부재(5a)(5b)에 각각 하나씩 설치되어 있는 양측 회전축(51) 상단에 각각 형성되어 있으므로 결국 상기 막대형 조명기구(1)의 양단은 레일콘센트(7)의 양측 고정날개부(71)(72)에 밀착되어 안정된 상태로 설치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막대형 조명기구(1)는 레일콘센트(7)의 길이방향과 일치시킨 상태에서 설치 및 분리하게 되므로 천정앵커(6)의 하단에 매달린 상태로 설치되는 복수의 레일콘센트(7)들 사이의 간격이 막대형 조명기구(1)의 길이보다 짧은 경우에도 상기 막대형 조명기구(1)를 복수의 레일콘센트(7)에 신속 정확하게 설치 및 분리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상기 레일콘센트(7)가 건물의 벽면과 가까운 위치에 설치되어 있더라도 막대형 조명기구(1)을 신손 정확하게 설치 및 분리할 수 있으므로 건물의 실내 천정에 복수의 레일콘센트(7)가 -자형, ∥자형, ㄱ자형, ㅁ자형 등으로 다양하게 설치되어 있게 되더라도 상기 복수의 레일콘센트(7)의 설치형태에 따라 복수의 막대형 조명기구(1)를 설계대로 안정하게 설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1 : 막대형 조명기구 2 : 막대형 조명등
3 : 조명등 지지구 4 : 전원공급 케이스
41 : 덮개 5a,5b : 조명기구 설치부재
51 : 회전축 52,53 : 걸림날개
54,55 : 접속단자 56,57 : 전원연결선
58 : 회전손잡이 59 : 절개부
6 : 천정앵커 7 : 레일콘센트
71,72 : 고정날개부 73,74 : 절연체
75,76 : 전원공급단자

Claims (2)

  1.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이 공급되는 양측 전원공급단자가 서로 마주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양측 절연체가 일정간격이 유지되도록 대칭상태로 삽입 설치되어 있는 레일콘센트에 착탈가능하게 설치하도록 구성되는 막대형 조명기구에 있어서,
    상기 막대형 조명기구는,
    막대형 조명등이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조명등 지지구와, 상기 조명등 지지구의 상면에 결합되며 상기 막대형 조명등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구성요소가 구비되어 있는 전원공급 케이스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전원공급 케이스의 양단 각각에는 상기 레일콘센트의 양측 고정날개부에 착탈가능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양측 조명기구 설치부재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양측 조명기구 설치부재 각각의 상면에는 상기 레일콘센트에 형성된 양측 고정날개부의 사이로 삽입되어 상기 양측 고정날개부에 걸림되는 양측 걸림날개가 대칭상으로 돌출되어 있는 회전축이 90°각도로 회전가능하도록 각각 하나씩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양측 조명기구 설치부재 각각에 하나씩 설치되는 양측 회전축 중 어느 하나의 회전축에는 상기 레일콘센트에 서로 마주하게 설치되어 있는 양측 전원공급단자에 각각 접속 및 분리되는 양측 접속단자가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막대형 조명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양측 조명기구 설치부재 각각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회전축은 양측 조명기구 설치부재 각각에 형성되어 있는 절개부를 통해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형성되는 회전손잡이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양측 조명기구 설치부재 각각에 형성되는 절개부는 회전손잡이를 90°각도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막대형 조명기구.

KR1020140125727A 2014-09-22 2014-09-22 막대형 조명기구 KR1016346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5727A KR101634623B1 (ko) 2014-09-22 2014-09-22 막대형 조명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5727A KR101634623B1 (ko) 2014-09-22 2014-09-22 막대형 조명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4597A true KR20160034597A (ko) 2016-03-30
KR101634623B1 KR101634623B1 (ko) 2016-06-29

Family

ID=556602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5727A KR101634623B1 (ko) 2014-09-22 2014-09-22 막대형 조명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462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8838A (ko) 2017-10-31 2019-05-09 조성희 전극 레일용 연결 어셈블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4663B1 (ko) 2019-04-03 2019-12-02 강회정 레일조명시스템용 led조명등
KR20230171118A (ko) 2022-06-13 2023-12-20 씨티오 주식회사 레일 조명등
KR20240045691A (ko) 2022-09-30 2024-04-08 주식회사 이보 막대형 조명기구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16828A (ja) * 2001-07-03 2003-01-17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照明器具
KR101423495B1 (ko) * 2013-01-17 2014-07-28 양경호 레일콘센트용 막대형 조명기구
JP5571841B1 (ja) * 2013-11-01 2014-08-13 アイリスオーヤマ株式会社 Led照明器具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16828A (ja) * 2001-07-03 2003-01-17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照明器具
KR101423495B1 (ko) * 2013-01-17 2014-07-28 양경호 레일콘센트용 막대형 조명기구
JP5571841B1 (ja) * 2013-11-01 2014-08-13 アイリスオーヤマ株式会社 Led照明器具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8838A (ko) 2017-10-31 2019-05-09 조성희 전극 레일용 연결 어셈블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34623B1 (ko) 2016-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4623B1 (ko) 막대형 조명기구
US9739460B2 (en) Interchangeable lighting fixtures for track and wall lighting system
US8820985B1 (en) Adjustable support for lamps
US7654834B1 (en) Track lighting assembly
WO2015106017A1 (en) Assembly systems for modular light fixtures
KR20170027570A (ko) 레일 조명등
KR20110073914A (ko) 슬라이딩 체결 및 접점구조를 갖는 천장용 조명등
KR20080113722A (ko) 레이스웨이 조명기구 및 그 설치방법
JP2009231085A (ja) 電気接続器および照明システム
US10527232B2 (en) LED bulb adapters and methods of retrofitting LED bulbs
JP6601665B2 (ja) 照明器具
CN104896429B (zh) 安装结构、包括该安装结构的照明装置及其安装方法
US20140078731A1 (en) Led socket adapter assembly
EP1906080B1 (en) Lighting unit
KR101898467B1 (ko) 전기기기용 어댑터
KR102149043B1 (ko) 레일용 엘이디 조명등
KR101713998B1 (ko) 결합 및 분리 구조가 개선된 조명등 소켓 어셈블리
KR101604195B1 (ko) 조명기구 설치구조가 형성되어 있는 레일콘센트
CN111140826A (zh) 立体轨道结构及立体轨道灯
KR20200132199A (ko) 천정형 조명기기의 회전 연결형 커넥터 장치
CN206890285U (zh) 一种凹槽灯具
RU2801429C1 (ru) Система освещения с гибким треком
KR102027234B1 (ko) 전극 레일용 연결 어셈블리
RU2718768C1 (ru) Осветительная система
JP2014017169A (ja) 直管型照明器具取付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7100001139;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170413

Effective date: 2018102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04

Year of fee payment: 4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2100001843;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220628

Effective date: 202401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