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4195B1 - 조명기구 설치구조가 형성되어 있는 레일콘센트 - Google Patents

조명기구 설치구조가 형성되어 있는 레일콘센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4195B1
KR101604195B1 KR1020140125683A KR20140125683A KR101604195B1 KR 101604195 B1 KR101604195 B1 KR 101604195B1 KR 1020140125683 A KR1020140125683 A KR 1020140125683A KR 20140125683 A KR20140125683 A KR 20140125683A KR 101604195 B1 KR101604195 B1 KR 1016041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upply
ceiling
supply unit
rail
sid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256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경호
Original Assignee
양경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경호 filed Critical 양경호
Priority to KR10201401256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419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41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41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5/00Coupling parts adapted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identical counterparts, e.g.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 H01R25/16Rails or bus-bar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discrete connecting locations for counter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02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with provision for adjust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명기구 설치구조가 형성되어 있는 레일콘센트에 관한 것으로, 실내의 천정슬라브에 일정간격으로 수직 설치되는 복수의 천정앵커 하단에 조명기구를 설치할 수 있게 하는 레일콘센트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기를 통전시키기 위한 양측 전원공급단자가 서로 마주하도록 설치되는 양측 절연체가 삽입 설치되는 전원공급부는 중앙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전원공급부의 상면에는 천정앵커의 하단에 나사체결된 나사조립체에 착탈가능하게 매달리는 상태 설치할 수 있도록 대칭상으로 마주하게 돌출 형성되어 있는 양측 걸림돌기와, 상기 전원공급부의 폭 방향 양측에는 살빼기공간부가 형성되어 있는 양측 보강날개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발명이다.

Description

조명기구 설치구조가 형성되어 있는 레일콘센트{Rail outlet having installing structure for lighting device}
본 발명은 조명기구 설치구조가 형성되어 있는 레일콘센트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건물의 천정앵커에 조명등을 직접 매달린 상태로 설치할 수 있도록 하면서 상기 조명등이 복수의 개수로 설치되더라도 그 복수의 막대형 조명등 하중을 충분히 지탱할 수 있도록 강도가 보강되고 조명기구를 안정적인 상태로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레일콘센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건물의 천정에는 내부를 밝게 조명하기 위한 조명등이 설치되고 있으며, 건물 내부의 천정에 조명등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천정슬라브에 일정 길이를 갖는 복수의 천정앵커를 일정간격이 유지되도록 수직상으로 고정 설치해 놓고 이를 이용하여 조명등을 설치하고 있다.
종래에는 도 10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천정슬라브에 수직상으로 고정 설치되는 앵커(100)의 하단에 나사조립되는 논트 등을 이용하여 앵커크립(101)을 고정 설치하고, 상기 앵커크립(101)에 캐링체널바(102)를 수평상으로 설치하여 고정시킨 다음, 상기 캐링체널바(102)에 일정간격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엠바크립(M-Bar Crip : 103)으로 엠바(M-Bar : 104)를 수평상으로 고정 설치하며, 상기 엠바(104)의 저부에 석고보드와 같은 천정마감재(200)를 연속적으로 밀착시키면서 나사못 등을 엠바(104)에 박아주는 구조로 천정을 천정마감재(200)로 마감처리하여 왔으며, 상기 천정마감재(200)로 마감처리된 천정에 조명등을 설치하고자 할 때에도 상기 엠바(104)에 조명등을 매달린 상태로 설치하는 방법을 채택하고 있다.
그런데, 최근에는 소규모 공장을 위해 콘크리트로 건축되는 다층건물에 많이 건설되고 있으며, 이러한 콘크리트 다층건물은 주거용 아파트의 실내 구조에 비하여 천정이 높게 건축되고 있기는 하지만, 단층으로 건축되는 공장 건물에 비하면 천정 높이가 매우 낮은 4∼9m 정도에 불과하기 때문에, 콘크리트 다층건물에 입주하는 소규모 공장 등에서는 실내의 천정이 낮은 관계로 석고보드와 같은 천정마감재를 설치하지 아니한 채 도 1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천정슬라브에 일정간격으로 수직 설치되어 있는 천정앵커(100)의 하단에 고정 설치되는 앵커크립(101)에 캐링체널바(102)를 수평상으로 설치하고, 상기 캐링체널바(102)에는 엠바크립(103)을 사용하여 엠바(104)를 고정 설치한 다음, 상기 엠바(104)에 조명등을 설치하게 되는데, 이때 조명등을 직접 엠바(104)에 부착시키는 상태로 설치하게 될 경우에는 상기 엠바(104)의 폭이 조명등의 폭보다 클 뿐 아니라 엠바(104)의 길이도 조명등보다 길기 때문에 천정에는 천정앵커(100)에 매달린 상태로 설치되어 있는 상기 엠바(104)가 노출될 수밖에 없으며, 또한 상기 엠바(104)를 붙잡아주기 위한 캐링체널바(102)도 노출될 수밖에 없게 되는 것인데, 이와 같이 천정에 엠바(104)와 캐링체널바(102)가 노출될 경우에는 이로 인해 천정의 미관을 해치게 된다는 것이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 1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천정앵커(100)에 매달린 상태로 설치되는 엠바(104)에 상기 엠바의 폭보다 큰 폭으로 된 각형파이프(300)를 부착시키고 상기 각형파이프(300)의 저부에 레일콘센트(400)를 부착시키는 방법으로 조명등을 설치할 경우에는 상기 각형파이프(300)가 엠바(104)를 은폐시킬 수는 있겠지만 상기 캐링체널바(102)를 은폐시키지는 못하게 되며, 또한 상기 레일콘센트(400)에 설치되는 조명등의 길이는 짧고 엠바(104) 및 레일콘센트(400)의 길이가 길 경우에는 상기 엠바(104)와 레일콘센트(400) 및 캐링체널바(102)가 천정에 노출되는 관계로 이 역시 천정의 미관을 해치게 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없게 되며, 무엇보다 천정에 조명등을 설치하기 위한 구조물의 설치구조가 복잡하고 부품이 많이 소요되는 관계로 조명등 설치비용 매우 비싸다는 것이 가장 큰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본 발명의 출원인은 특허 제10-1423495호의 레일콘센트용 막대형 조명기구를 제안한 바 있는데, 상기 선행특허는 레일콘센트에 막대형 조명기구를 직접 설치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 선행특허의 레일콘센트는 막대형 조명기구를 직접 설치할 수 있게 하는 장점은 있으나, 상기 레일콘센트는 천정앵커의 하단에 직접 설치할 수 있는 구조를 구비하고 있지 않을 뿐만 아니라 강도가 약하기 때문에 천정앵커의 하단에 직접 매달린 상태로 설치할 수 없기 때문에 상기 천정앵커에 매달린 상태로 설치되는 엠바에 나사못이나 볼트 등으로 직접 부착하여야 하는데, 이 경우 상기 레일콘센트는 상기 엠바의 폭보다 좁고 또 길이가 짧기 때문에 상기 엠바 및 엠바를 붙잡아주는 캐링체널바를 은폐하지 못하게 된다는 것이 단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 나타나는 제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실내의 천정에 설치하고자 하는 조명기구를 천정앵커에 직접 매달린 상태로 설치함에 있어 상기 천정앵커의 하단에 조립식으로 설치되는 레일콘센트의 강도를 보강하면서 천정앵커가 고정 부착되는 천정슬라브의 주변을 은폐시킬 수 있도록 상기 레일콘센트의 폭 방향 양측에 보강날개를 형성하며, 또한 상기 레일콘센트의 양측 보강날개에는 조명기구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하나의 레일콘센트에 2개의 조명기구를 평행하게 설치하여 실내를 더욱 밝게 조명할 수 있도록 하는 조명기구 설치구조가 형성되어 있는 레일콘센트를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고 발명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실내의 천정슬라브에 일정간격으로 수직 설치되는 복수의 천정앵커 하단에 조명기구를 설치할 수 있게 하는 레일콘센트에 있어서,
상기 레일콘센트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기를 통전시키기 위한 양측 전원공급단자가 서로 마주하도록 설치되는 양측 절연체가 삽입 설치되는 전원공급부는 중앙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전원공급부의 상면에는 천정앵커의 하단에 나사체결된 나사조립체에 착탈가능하게 매달리는 상태 설치할 수 있도록 대칭상으로 마주하게 돌출 형성되어 있는 양측 걸림돌기와, 상기 전원공급부의 폭 방향 양측에는 살빼기공간부가 형성되어 있는 양측 보강날개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레일콘센트는 천정앵커에 직접 매달린 상태로 설치할 수 있는 강도를 가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전원공급부 상단을 양측 보강날개의 두께보다 2배의 두꺼운 두께로 형성하는 구성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양측 보강날개 각각에는 조명등을 설치할 수 있도록 상기 레일콘센트의 길이방향으로 절개된 절개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절개부를 이용하여 조명기구를 착탈가능하게 붙잡아주는 조명등설치용 크립을 설치하기 위한 조명등 설치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실내의 천정에 설치하고자 하는 조명기구의 길이에 맞추어 절단가공된 레일콘센트를 천정에 고정 설치되어 있는 복수의 천정앵커에 직접 매달린 상태로 설치할 수 있으므로 설치작업이 간단하고 종래와 같이 캐링체널바 및 엠바 등을 설치하지 않도록 되므로 상기 레일콘센트의 설치비용을 많이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상기 레일콘센트는 강도가 우수하여 조명기구를 안정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와 함께 하나의 레일콘센트에 복수의 조명가구가 레일콘센트의 길이방향을 향해 평행하도록 설치할 수 있으므로 실내를 더욱 밝게 조명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을 가지고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레일콘센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레일콘센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레일콘센트에 조명기구 설치상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레일콘센트 설치상태를 나타낸 저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레일콘센트에 조명기구의 설치상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레일콘센트 설치상태 저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의 레일콘센트에 조명기구 설치상태 단면도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의 레일콘센트 설치상태 저면도
도 10 및 도 11은 종래 기술
본 발명에 의한 조명등 설치구조가 형성되어 있는 레일콘센트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부호 1a,1b,1c는 제1 내지 제3 실시예의 레일콘센트를 나타내는 것이다.
먼저, 제1 실시예의 레일콘센트(1a)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제1 실시예의 레일콘센트(1a)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단면이 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중심부분에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기를 통전시키기 위한 양측 전원공급단자(21)(22)가 각각 하나씩 설치되어 있는 양측 절연체(2a)(2b)가 대칭을 이루도록 조립식으로 삽입 설치되어 있는 전원공급부(3)와, 상기 전원공급부(3)의 상단에 형성되어 천정슬라브에 고정 설치되는 천정앵커(6)의 하단에 나사체결되어 있는 나사조립체(61)에 조립식으로 걸어줄 수 있도록 대칭상으로 돌출된 양측 걸림돌기(4)와, 상기 전원공급부(3)의 양측으로는 레일콘센트(1a)의 강도를 보강시켜주기 위한 양측 보강날개(5a)(5b)가 대칭상태로 수평하게 돌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 실시예의 레일콘센트(1a)는 전원공급부(3)의 상단(31) 상면에 대칭상으로 돌출되어 있는 양측 걸림돌기(4)가 레일콘센트(1a)의 자체 하중과 전원공급부(3)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조명기구(7)의 하중을 안정적으로 지탱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전원공급부(3)의 상단(31)을 양측 보강날개(5a)(5b)의 벽면 두께(t)보다 2배 이상으로 두꺼운 두께(T)로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레일콘센트(1a)의 폭 방향을 향해 전원공급부(3)의 양측으로 수평하게 돌출되어 있는 양측 보강날개(5a)(5b)는 레일콘센트(1)의 강도를 강하게 보강하는 작용을 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양측 보강날개(5a)(5b)는 전원공급부(3)의 폭보다 큰 넓은 폭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레일콘센트(1a)의 자체 무게를 줄여 줄 수 있도록 하면서 재료를 절감시키기 위한 살빼기공간부(51)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다음, 제2 실시예의 레일콘센트(1b)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제2 실시예의 레일콘센트(1b)는 전술한 제1 실시예의 레일콘센트(1a)와 같은 구성에 대하여서는 같은 명칭, 같은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제2 실시예의 레일콘센트(1b)는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전원공급부(3)의 좌,우 양측에는 양측 보강날개(5a)(5b)가 대칭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전원공급부(3)의 상단(31) 상방에는 걸림돌기(4)가 대칭상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2 실시예의 레일콘센트(1b)의 전원공급부(3)의 상단(31) 역시 전술한 실시예(도 1,2,3 참조)와 같이 양측 보강날개(5a)(5b)를 형성하는 벽면의 두께(t)보다 2배 이상으로 두꺼운 두께(T)로 형성되어 있는 한편, 상기 양측 보강날개(5a)(5b)는 전술한 실시예(도 1,2,3 참조)에 비하여 매우 좁은 폭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양측 보강날개(5a)(5b) 역시 살빼기공간부(51)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다음, 제3 실시예의 레일콘센트(1c)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제3 실시예의 레일콘센트(1c)는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중심에는 전원공급부(3)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전원공급부(3)의 양측에는 보강날개(5a)(5b)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레일콘센트(1c)의 상단(31)은 전술한 제1 및 제2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양측 보강날개(5a)(5b)의 벽면 두께(t)보다 2배 이상으로 두꺼운 두께(T)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레일콘센트(1c)에는 양측 보강날개(5a)(5b) 각각의 끝단에 조명등 설치부(8a)(8b)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조명등 설치부(8a)(8b) 각각의 저부에는 레일콘센트(1)의 길이방향으로 절개부(81)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절개부(81)를 통해서는 조명등설치용 크립(82)을 붙잡아주는 지지볼트(83)와 상기 지지볼트(83)에 나사조립되는 너트(84)가 삽입되어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조명등설치용 크립(82)의 양단에는 조명기구(7)가 착탈가능하도록 탄력적으로 설치된다.
또한 상기 레일콘센트(1c)의 전원공급부(3) 양측에 형성된 조명등 설치부(8a)(8b) 각각에 조명기구(7)를 설치하게 될 때에는 상기 전원공급부(3)에는 도 7의 도시와 같이 전원공급장치(9)를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설치한 다음, 상기 전원공급장치(9)에서 인출되는 전원연결선(91)(92) 각각의 끝단에 연결되어 있는 컨넥터 플러그(94)를 양측 조명등 설치부(8a)(8b) 각각에 설치되는 양측 조명기구(7) 각각에 형성된 연결잭(부호 생략)에 꽂아주게 되면 상기 전원공급부(3)에 삽입 설치되어 있는 양측 절연체(2a)(2b)에 형성된 양측 전원공급단자(71)(72)로 공급되는 전기가 양측 조명등 설치부(8a)(8b) 각각에 설치되어 있는 양측 조명기구(7)에 공급되어 양측 조명등(75)을 점등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인데, 상기한 전원공급장치(9)는 이 기술분야에서 많이 사용되는 제품을 이용하고 있으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제1 내지 제3 실시예 각각의 레일콘센트(1a,1b,1c : 대표적으로 설명할 때에는 부호 '1'로 설명한다)의 전원공급부(3)에는 조명등(7)이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데, 상기 조명기구(7)에는 전원공급부(3)의 내측에 서로 마주하도록 대칭설치되는 양측 절연체(2a)(2b) 각각에 장착되어 있는 양측 전원공급단자(21)(22)에 전기적으로 접속 및 분리되는 양측 접속단자(71)(72)와, 상기 전원공급부(3)의 저부에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있는 양측 고정날개(73)(74)의 사이로 삽입되어 상기 양측 고정날개(32)(33)에 걸림되는 양측 걸림날개(73)(74)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조명기구(7)에는 단면이 원형으로 된 조명등(75)이 착탈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조명기구(7)는 막대형태로 형성된 것이 사용되며,상기 조명기구(7)에 설치되는 조명등(75)은 막대형으로 된 형광등, 냉음극형광램프, 할로겐램프, LED램프 등이 사용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3 실시예의 레일콘센트(1 : 1a,1b,1c) 각각에 대한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상기 제1 실시예의 레일콘센트(1a)는 전원공급부(3)의 상단(31)에 상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는 양측 걸림돌기(4) 사이로 천정앵커(6)의 하단에 나사조립되어 있는 나사조립체(61)가 삽입되도록 하면 상기 양측 걸림돌기(4)는 천정앵커(6)의 하단에 고정된 나사조립체(61)에 매달린 상태로 설치되는 것이며, 상기 양측 걸림돌기(4)가 일체로 연결되어 있는 상단(31)은 두꺼운 두께(T)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레일콘센트(1a)의 자체 무게와 이에 설치되는 조명기구(7)의 무게를 충분히 지탱할 수 있게 되는 것이며, 또한 상기 전원공급부(3) 좌,우 양측에 수평상으로 돌출 형성된 양측 보강날개(5a)(5b)가 레일콘센트(1a)의 강도를 보강하게 되므로 상기 레일콘센트(1a)는 천정앵커(6)에 안정적으로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 제1 실시예의 레일콘센트(1a)는 실내의 천정슬라브에 수직상으로 고정 설치되는 천정앵커(6)의 하단에 매달린 상태로 설치되므로 실내의 바닥에서 천정을 바라볼 때에는 레일콘센트(1a)에 의해 천정앵커(6)가 은폐되어 보이지 않게 되는 것이며, 상기 레일콘센트(1a)를 도 4의 도시와 같이 서로 이웃하는 레일콘센트(1a)들이 서로 이격된 상태로 설치될 경우에는 어느 하나의 레일콘센트(1a)에 형성된 전원공급부(3)에 조명기구(7)를 설치함과 동시에 전원공급부(3)의 일측에 전원공급장치(9)를 설치하고 전원연결선(91)(92)으로 이웃하는 다른 레일콘센트에 설치된 조명기구(7)에 연결하여 서로 이격된 상태로 설치되는 복수의 조명기구(7) 각각에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것이다.
다음, 상기 제2 실시예의 레일콘센트(1b) 역시 천정앵커(6)의 하단에 매달린 상태로 설치할 수 있으며, 상기 천정앵커(6)에 매달린 상태로 설치되는 복수의 레일콘센트(1b) 각각에는 도 6의 도시와 같이 조명기구(7)를 하나씩 설치할 수 있으며, 또한 복수의 레일콘센트(1b) 각각에 설치된 조명기구(7)에는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연결선(91)이 연결되는 것이다.
다음, 상기 제3 실시예의 레일콘센트(1c)는 전원공급부(3)의 양측에 형성된 양측 보강날개(5a)(5b) 각각의 끝단에 형성되어 있는 양측 조명등 설치부(8a)(8b) 각각에는 복수의 조명기구(7)를 도 8 및 도 9의 도시와 같이 평행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상기 레일콘센트(1c) 각각의 전원공급부(3) 일측에 전원공급장치(9)를 설치한 다음, 상기 전원공급장치(9)에서 인출되는 전원연결선(91)(92)을 양측에 평행하게 설치되어 있는 복수의 조명기구(7)에 연결시키게 되면 상기 복수의 조명기구(7) 각각에 설치된 복수의 조명등(75)이 동시에 점등되어 실내를 조명하게 되므로 하나의 조명등(75)으로 실내를 조명하는 것보다 실내를 더욱 밝게 조명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레일콘센트(1 : 1a,1b,1c)는 건물의 실내 천정슬라브에 고정 설치되는 복수의 천정앵커(6) 하단에 상기 레일콘센트(1)를 직접 매달아주는 방법으로 설치할 수 있으므로 레일콘센트(1)를 설치하는데 사용되는 부속자재의 부품수를 줄일 수 있을 뿐 아니라 작업자 혼자서도 설치할 수 있게 되므로 레일콘센트(1)의 설치비용을 상당히 절감할 수 있게 하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1,1a,1b,1c : 레일콘센트 2a,2b : 절연체
21,22 : 전원공급단자 3 : 전원공급부
31 : 상단 32,33 : 고정날개
4 : 걸림돌기 5a,5b : 보강날개
51 : 살빼기공간부 6 : 천정앵커
61 : 나사조립체 7 : 조명기구
71,72 : 접속단자 73,74 : 걸림날개
75 : 조명등 8a,8b : 조명등 설치부
81 : 절개부 82 : 조명등설치용 크립
9 : 전원공급장치 91,92 : 전원연결선

Claims (3)

  1. 실내의 천정슬라브에 일정간격으로 수직 설치되는 복수의 천정앵커 하단에 조명기구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기를 통전시키기 위한 양측 전원공급단자(21)(22)가 서로 마주하도록 설치되는 양측 절연체(2a)(2b)가 삽입 설치되는 전원공급부(3)는 중앙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전원공급부(3)의 상면에는 천정앵커의 하단에 나사결합된 나사조립체(61)에 착탈가능하게 매달리는 상태로 설치할 수 있도록 대칭상으로 마주하게 돌출 형성되어 있는 양측 걸림돌기(4)와, 상기 전원공급부(3)의 폭 방향 양측에는 살빼기공간부(51)가 형성되어 있는 양측 보강날개(5a)(5b)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레일콘센트에 있어서,
    상기 양측 보강날개(5a)(5b) 각각에는 조명등(75)을 설치할 수 있도록 상기 레일콘센트의 길이방향으로 절개된 절개부(81)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절개부(81)를 이용하여 조명기구(7)를 착탈가능하게 붙잡아주는 조명등 설치용 크립(82)을 설치하기 위한 조명등 설치부(8a)(8b)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기구 설치구조가 형성되어 있는 레일콘센트.
  2. 삭제
  3. 삭제
KR1020140125683A 2014-09-22 2014-09-22 조명기구 설치구조가 형성되어 있는 레일콘센트 KR1016041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5683A KR101604195B1 (ko) 2014-09-22 2014-09-22 조명기구 설치구조가 형성되어 있는 레일콘센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5683A KR101604195B1 (ko) 2014-09-22 2014-09-22 조명기구 설치구조가 형성되어 있는 레일콘센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04195B1 true KR101604195B1 (ko) 2016-03-16

Family

ID=556499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5683A KR101604195B1 (ko) 2014-09-22 2014-09-22 조명기구 설치구조가 형성되어 있는 레일콘센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419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1062B1 (ko) * 2016-06-23 2018-04-20 주식회사 비엘케이 주차장용 유도등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3507Y1 (ko) 2006-04-17 2006-08-09 이상현 실내용 파워트랙 콘센트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3507Y1 (ko) 2006-04-17 2006-08-09 이상현 실내용 파워트랙 콘센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1062B1 (ko) * 2016-06-23 2018-04-20 주식회사 비엘케이 주차장용 유도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04718B2 (en) LED decorative illuminated trim system
EP3259525B1 (en) Power contact assembly for a track lighting system
US8955998B2 (en) Lighting assembly for ceiling board
CA2545106C (en) Hanger bar centering mechanism
RU2512061C2 (ru) Удлиненный светильник и способ прикрепления светильника к поверхности
US8206004B2 (en) Distributed lighting apparatus
US6220721B1 (en) Multi-lyte channel lighting system
EP3428360B1 (en) Multifunctional false ceiling system for the partitioning and lighting of a space
KR100920509B1 (ko) 레이스웨이 조명기구 및 그 설치방법
KR200407104Y1 (ko) 등기구가 일체로 구비된 레이스웨이
KR101604195B1 (ko) 조명기구 설치구조가 형성되어 있는 레일콘센트
KR101634623B1 (ko) 막대형 조명기구
US20060274536A1 (en) Adding a lighting apparatus to an existing recessed lighting can
US7845821B2 (en) Flourescent lighting fixture module for indirect lighting of interior spaces, and method
KR20100057396A (ko) 조립형 조명기구
US6409524B1 (en) Side-mounted tracklight system
KR102032908B1 (ko) 라이팅 부스웨이용 복합 커넥터
GB2490956A (en) Lighting unit with demountable lamp housing, fireproofing and removable waterproofing structure
KR20090078594A (ko) 조명등기구가 설치되는 배선 덕트
KR20120044705A (ko) 체결 구조체
KR102296224B1 (ko) 개선된 조립구조의 주차장용 엘이디 등기구
US11885127B2 (en) Mounting profile for lighting system of suspended ceiling
KR20210081122A (ko) 레일형 조명등기구의 레일 마감 접속구
US3488487A (en) Lighting fixture
US3094287A (en) Fluorescent tube fixture and hardwa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1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