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45691A - 막대형 조명기구 - Google Patents

막대형 조명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45691A
KR20240045691A KR1020220125308A KR20220125308A KR20240045691A KR 20240045691 A KR20240045691 A KR 20240045691A KR 1020220125308 A KR1020220125308 A KR 1020220125308A KR 20220125308 A KR20220125308 A KR 20220125308A KR 20240045691 A KR20240045691 A KR 202400456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member
rotating shaft
base frame
rod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253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경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보
양경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보, 양경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보
Priority to KR10202201253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45691A/ko
Publication of KR202400456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4569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34Supporting elements displaceable along a guiding el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4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intended only for mounting on a ceiling or the like overhead structures
    • F21S8/06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intended only for mounting on a ceiling or the like overhead structures by suspension
    • F21S8/066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intended only for mounting on a ceiling or the like overhead structures by suspension from a light track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03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electronics drivers or controllers for operating the light source, e.g. for a LED arra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6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coupling devices, e.g. conne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Abstract

본 발명은 막대형 조명등과 레일콘센트 간에 유격이 거의 발생하지 않는 경우에도 막대형 조명등의 단자를 레일콘센트의 단자와 용이하게 접속하거나 분리할 수 있는 막대형 조명기구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막대형 조명기구는, 외부 전원공급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한 쌍의 전원공급단자가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대향되게 설치되어 있는 레일콘센트에 결합되는 베이스프레임;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하부에 설치되는 광원;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되는 관통공의 상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관통공을 통해서 전달되는 외력에 의해 회전축부재; 상기 회전축부재에 양측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회전축부재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레일콘센트의 전원공급단자와 접촉하거나 분리되는 2개 한 쌍의 접속단자; 및, 상기 접속단자와 광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원공급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막대형 조명기구{Illumination System of Bar Type}
본 발명은 조명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형광등, 할로겐램프, 냉음극형광램프 및 LED램프 등을 광원으로 하는 막대형 조명등이 천장이나 벽면, 또는 다른 건축 구조물에 설치되는 레일콘센트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면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막대형 조명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의 천정에 설치되는 조명기구는 대부분 단면이 원형으로 된 막대형 형광등을 광원으로 하고 있으며, 이러한 조명기구는 천정슬라브에 수직상으로 고정 설치되는 복수의 앵커에 매달린 상태로 설치되는 전등갓에 막대형 조명등이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천정에 수직상으로 고정 설치된 복수의 앵커에 매달린 상태로 설치되는 전등갓은 서로 인접하는 위치에 있는 2개의 앵커에 고정 부착된 채 일정간격으로 복수 곳에 설치되어 있으며, 이와 같이 복수 곳에 설치된 전등갓 각각에는 막대형 형광등이 장착된 복수의 조명기구가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데, 이 때 복수 곳의 전등갓 각각에 설치되는 조명기구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서는 일정간격으로 떨어져 있는 복수의 전등갓을 전원공급선으로 연결을 하여야 하기 때문에 천정슬라브에는 복수의 전등갓을 연결하기 위한 전원공급선이 거미줄처럼 설치될 수밖에 없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은 등록특허 제10-1634623호에 천정에 수직상으로 고정 설치되어 있는 복수의 레일콘센트 각각에 설치하고자 하는 막대형 조명기구를 상기 레일콘센트의 길이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일치시키는 상태에서 설치 및 분리할 수 있도록 한 막대형 조명기구를 제안한 바 있다.
상기한 등록특허는 콘크리트 건물의 천정슬라브에 일정간격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천정앵커 하단에 매달린 상태로 설치되는 레일콘센트의 길이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막대형 조명기구를 일치시킨 상태에서 전원공급 케이스를 레일콘센트의 하측으로 삽입하고, 양측 단부에 마련된 회전손잡이를 작업자가 손가락으로 잡고 돌려서 접속단자를 레일콘센트의 전원공급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시킴과 동시에 레일콘센트에 걸어서 결합할 수 있는 구성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등록특허의 막대형 조명기구를 비롯한 종래의 막대형 조명기구들은 광원이 설치된 막대형 조명등을 레일콘센트 내측으로 삽입한 상태에서 작업자가 막대형 조명등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레버나 버튼을 조작하여 막대형 조명등의 단자를 레일콘센트의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하며 결합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기 때문에, 막대형 조명등이 삽입되는 레일콘센트의 크기가 막대형 조명등의 크기와 유사할 경우 작업자가 손이나 공구를 이용하여 레버나 버튼을 조작하기가 매우 어려워 막대형 조명등을 레일콘센트에 결합하거나 분리하는 작업이 매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23495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34623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55270호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막대형 조명등과 레일콘센트 간에 유격이 거의 발생하지 않는 경우에도 막대형 조명등의 단자를 레일콘센트의 단자와 용이하게 접속하거나 분리할 수 있는 막대형 조명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막대형 조명기구는, 외부 전원공급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한 쌍의 전원공급단자가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대향되게 설치되어 있는 레일콘센트에 결합되는 베이스프레임;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설치되는 광원;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되는 관통공의 상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관통공을 통해서 전달되는 외력에 의해 회전축부재; 상기 회전축부재에 양측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회전축부재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레일콘센트의 전원공급단자와 접촉하거나 분리되는 2개 한 쌍의 접속단자; 및, 상기 접속단자와 광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원공급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회전축부재는 상기 관통공의 하측에서 관통공을 통해 삽입되는 공구 또는 손가락에 의해 회전할 수 있다.
상기 회전축부재의 하부에 상기 관통공을 통해 베이스프레임의 하부로 돌출되는 회전조작레버가 하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공구 또는 손가락으로 회전조작레버를 회전시키는 동작에 의해 회전축부재가 회전할 수 있다.
상기 관통공은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회전축부재에 대해 편심된 위치에서 원호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회전조작레버는 'L'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관통공의 안내를 받으면서 회전하여 회전축부재에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다.
상기 관통공은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양측에 원호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회전조작레버는 2개가 상기 2개의 관통공을 통해 하측으로 돌출되어, 2개의 회전조작레버가 관통공의 안내를 받으면서 동시에 회전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상부면에 상기 회전축부재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마운트부재가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막대형 조명기구는, 상기 회전축부재에 상기 접속단자와 나란하게 형성되어, 회전축부재의 회전방향에 따라 레일프레임의 양측에 형성된 고정날개부에 걸려서 결합되거나 분리되는 2개 한 쌍으로 된 결합편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광원이 설치된 베이스프레임에 형성된 관통공을 통해서 회전축부재에 회전력을 전달함으로써 회전축부재에 구비된 접속단자를 레일콘센트의 전원공급단자와 접촉시켜 전기적으로 연결함과 더불어 결합편을 레일콘센트의 고정날개부 상에 걸림 결합시켜 막대형 조명기구를 레일콘센트에 착탈시킬 수 있다.
따라서 레일콘센트와 막대형 조명기구 사이에 틈새가 거의 발생하지 않는 경우에도 막대형 조명기구를 레일콘센트에 용이하게 결합하거나 분리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막대형 조명기구가 천장에 설치된 레일콘센트에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막대형 조명기구의 일부 구성을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막대형 조명기구의 작동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막대형 조명기구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막대형 조명기구의 일부분을 나타낸 저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한 막대형 조명기구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막대형 조명기구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막대형 조명기구의 단면도이다.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막대형 조명기구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막대형 조명기구(100)는 건물의 천장이나 콘크리트 슬래브 또는 벽면 등의 구조물에 고정되는 레일콘센트(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면서 레일콘센트(10) 내부의 전원공급단자(11)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베이스프레임(110)과 광원(130), 회전축부재(122)와 접속단자(123) 및 결합편(124)을 포함하는 접속유닛(120), 전원공급유닛을 포함한다.
레일콘센트(10)는 알루미늄이나 철, 스테인레스스틸 등의 금속 재질 또는 FRP 등의 고강도 수지 재질로 된 긴 레일 형태로 되어 구조물에 '-', 또는 'ㄱ', 'ㅁ' 형태 등으로 설치될 수 있다. 레일콘센트(10)의 하단부에는 2개의 고정날개부(13)가 길이방향으로 서로 일정간격으로 이격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고정날개부(13)의 상측에 대략 'C'형 또는 'ㄷ'형 단면을 갖는 절연성 수지 재질의 2개의 절연체(12)가 레일콘센트(10)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게 형성되고, 각각의 절연체(12) 내측에 전원공급단자(11)가 설치된다. 전원공급단자(11)는 외부의 전원공급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 전기가 공급되도록 구성된다.
레일콘센트(10)는 천장의 보드에 매입되는 구조로 설치되거나, 상단부가 천장의 보드의 하부면에 부착되는 구조로 설치될 수 있다. 또는 콘크리트 슬래브에 고정되는 앵커(20)에 고정되게 설치될 수도 있다.
막대형 조명기구(100)의 베이스프레임(110)은 알루미늄이나 철, 스테인레스스틸 등의 금속 재질 또는 FRP 등의 고강도 수지 재질로 된 기다란 프레임 또는 함체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레일콘센트(10)의 개방된 하부면을 통해 레일콘센트(10)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설치된다. 이 실시예에서 베이스프레임(110)은, 하부면에 광원(130)이 설치되는 수평판(111)과, 상기 수평판(111)의 양측에 상하로 연장되게 설치되는 2개의 측면판(112)을 포함하는 대략 'H'형 프레임 구조를 갖는다.
베이스프레임(110)의 측면판(112)은 하부가 연직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될 수도 있지만, 일정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베이스프레임(110)의 하단부는 상기 측면판(112)의 하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광투과성 재질의 조명커버(150)에 의해 폐쇄될 수 있다.
수평판(111)의 길이방향 양측 끝단부에는 소정의 직경을 갖는 원형의 관통공(115)이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되어 있다. 수평판(111)의 하부면에는 광원(130)이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며, 수평판(111)의 상부면에는 전원공급유닛을 구성하는 전원공급기(141)와 접속유닛(120)이 설치된다. 또한 수평판(111)은 상부면에는 복수의 방열핀(13)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광원(130)에서 발생하는 열을 방열핀(13)을 통해 외부로 원활하게 발산할 수 있다.
상기 광원(130)은 복수의 LED(131)가 기판(132)에 길이방향을 따라 일렬로 배열되거나 지그재그로 배열된 LED 모듈을 적용할 수 있지만, 이외에도 형광등, 할로겐램프, 냉음극형광램프 등 공지의 광원을 적용하여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광원(130)은 복수개가 관통공(115)의 양측에 나란하게 배치될 수도 있지만, 이와 다르게 광원(130)이 베이스프레임(110)의 수평판(111)의 중앙 또는 일측에 일렬로 설치될 수도 있을 것이다.
수평판(111)의 양측 끝단부에 형성된 관통공(115)의 상측에는 막대형 조명기구(100)와 레일콘센트(10)와의 기계적 결합 및/또는 전기적 연결을 위한 2개의 접속유닛(120)이 서로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으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접속유닛(120)은 관통공(115)의 바로 상측에서 수평판(111)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마운트부재(121), 상기 마운트부재(121)에 지면(地面)에 대한 연직한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회전축부재(122), 회전축부재(122)의 상부에 양측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회전축부재(122)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레일콘센트(10)의 전원공급단자(11)와 접촉하거나 분리되는 2개 한 쌍의 접속단자(123), 및 회전축부재(122)에 상기 접속단자(123)와 나란하게 형성되어 레일콘센트(10)의 양측에 형성된 고정날개부(13)에 걸려서 결합되는 2개 한 쌍으로 된 결합편(12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운트부재(121)는 수평판(111) 상에서 회전축부재(122)를 지지하는 구성요소로, 일측면은 개방된 원통체 또는 다각형 함체, 또는 전면(全面)이 막힌 원통체나 다각형 함체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나사와 같은 체결수단에 의해 수평판(111)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회전축부재(122)는 마운트부재(12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베이스프레임(110)의 관통공(115)과 동축상으로 배치되어, 베이스프레임(110)의 하측에서 관통공(115)을 통해 삽입되는 공구 또는 손가락에 의해 회전한다. 회전축부재(122)를 일자형 드라이버 등의 공구 등으로 용이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회전축부재(122)의 하단부에 공구의 선단부가 삽입될 수 있는 공구결합홈(125)이 형성될 수 있다.
회전축부재(122)의 최하단부가 관통공(115)의 상측 또는 관통공(115)와 대체로 일치하는 높이에 위치할 경우에는 작업자가 공구로 회전축부재(122)를 회전시키는 것이 용이하다. 하지만, 작업자가 손으로 회전축부재(122)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도 5에 도시한 실시예와 같이 회전축부재(122)의 하단부에 회전조작레버(126)를 하측으로 연장되게 형성하여 회전조작레버(126)가 관통공(115)을 통해서 베이스프레임(110)의 수평판(111)의 하측으로 돌출되게 구성할 수 있다. 회전조작레버(126)는 회전축부재(122)의 중심부에 동축상으로 배치되며, 회전축부재(122)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지만, 회전조작레버(126)를 회전축부재(122)와 개별체로 제작한 후 회전축부재(122)에 나사 등으로 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는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실시예와 같이 베이스프레임(110)의 수평판(111)에 원호 형태로 된 복수의 관통공(115)을 대향되게 형성하고, 회전축부재(122)의 하단부에 2개의 회전조작레버(126)를 'L' 형태로 형성하여 회전조작레버(126)가 상기 관통공(115)을 통해 삽입된 후 관통공(115)을 따라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2개의 관통공(115)은 상기 베이스프레임(110)에 회전축부재(122)에 대해 편심된 위치에 배치되며, 회전조작레버(126)의 회전 궤적과 일치하는 원호 형태로 형성된다.
따라서 작업자가 관통공(115)의 하측으로 돌출된 2개의 회전조작레버(126)를 손가락으로 잡고 회전시키면, 회전조작레버(126)가 관통공(115)의 안내를 받으면서 회전하여 회전축부재(122)에 회전력을 전달하게 된다.
접속단자(123)는 전기전도성이 우수한 구리 등으로 이루어져 회전축부재(122)의 중심부를 관통하도록 설치되며, 상단부가 양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회전축부재(122)의 회전 방향에 따라 레일콘센트(10)의 전원공급단자(11)와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거나 분리되어 전기적 연결이 해제된다. 접속단자(123)의 하단부는 전원공급유닛의 전선(142)을 통해 전원공급기(141)에 연결된다.
회전축부재(122)의 외면에는 레일콘센트(10)와의 기계적 결합을 통해 막대형 조명기구(100)를 레일콘센트(10)에 고정시킬 수 있는 2개의 결합편(124)이 상기 접속단자(123)와 나란하게 구성된다. 상기 결합편(124)은 접속단자(123)의 하측에 접속단자(123)와 소정의 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설치되어, 회전축부재(122)가 회전함에 따라 레일콘센트(10) 하단의 고정날개부(13) 상에 걸려서 막대형 조명기구(100)가 레일콘센트(10)의 하측으로 분리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결합편(124)은 회전축부재(122)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지만, 이와 다르게 회전축부재(122)와 개별체로 제작된 후 나사 등의 체결수단에 의해 회전축부재(122)에 결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한편 접속유닛(120)은 2개 이상의 복수개로 구성될 수 있지만, 이와 다르게 접속유닛(120)이 단일하게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이 실시예와 같이 2개의 접속유닛(120)이 구성되는 경우에도 어느 한 접속유닛(120)에만 접속단자(123)가 구성되어 하나의 접속유닛(120)은 레일콘센트(10)와 기계적으로 결합됨과 더불어 전기적으로도 연결되지만, 다른 한 접속유닛(120)은 레일콘센트(10)와 전기적으로는 연결되지 않고 기계적으로만 결합될 수도 있다.
상기 전원공급유닛은 베이스프레임(110)의 수평판(111)에 설치되는 SMPS(Switching Mode Power Supply)와 같은 전원공급기(141)와, 상기 전원공급기(141)를 접속단자(123) 및 광원(130)과 연결하는 복수의 전선(142)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막대형 조명기구(100)는 다음과 같이 레일콘센트(10)에 결합되거나 분리되어 사용될 수 있다.
막대형 조명기구(100)가 레일콘센트(10)와 분리된 상태에서 막대형 조명기구(100)의 접속유닛(120) 상부를 레일콘센트(10) 하단의 고정날개부(13) 사이의 공간에 일치시켜 삽입한다. 이 때 접속유닛(120)의 접속단자(123) 및 결합편(124)은 베이스프레임(110) 및 레일콘센트(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정렬되어, 접속유닛(120)의 접속단자(123)와 결합편(124)이 레일콘센트(10) 하단의 2개의 고정날개부(13) 사이를 통해 삽입된다. 물론, 일측 접속유닛(120)에는 접속단자(123)가 구비되지 않고 결합편(124)만 구비될 경우, 일측 접속유닛(120)은 결합편(124)만 레일콘센트(10) 하단의 2개의 고정날개부(13) 사이를 통해 삽입될 것이다.
막대형 조명기구(100)의 접속단자(123) 및/또는 결합편(124)이 레일콘센트(10) 내측 공간으로 삽입되고, 접속단자(123)가 레일콘센트(10)의 양측 전원공급단자(11)와 정렬되면, 막대형 조명기구(100)의 하측에서 베이스프레임(110)의 관통공(115)을 통해 공구를 삽입하여 회전축부재(122)의 하단에 형성된 공구결합홈(125)에 공구 끝단을 삽입한 다음, 공구를 일방향으로 회전시켜 회전축부재(122)를 90°로 회전시킨다.
물론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것과 같이 회전축부재(122)의 하단부에 회전조작레버(126)를 형성하여 회전조작레버(126)가 관통공(115)의 하측으로 돌출되게 구성한 경우에는 작업자가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 손으로 직접 회전조작레버(126)를 돌려서 회전축부재(122)를 회전시킬 수 있다.
사용자가 공구 또는 손으로 회전축부재(122)를 90°로 회전시키면, 2개의 결합편(124)이 레일콘센트(10)의 양측 고정날개부(13) 상부면에 걸림 결합됨과 동시에 2개의 접속단자(123)가 각각 레일콘센트(10) 양측의 전원공급단자(11)와 접촉하면서 전기적으로도 연결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막대형 조명기구(100)는 광원(130)이 설치된 베이스프레임(110)의 수평판(111)에 형성된 관통공(115)을 통해서 회전축부재(122)에 회전력을 전달함으로써 회전축부재(122)에 구비된 접속단자(123)를 레일콘센트(10)의 전원공급단자(11)와 접촉시켜 통전이 발생하게 하거나, 결합편(124)을 레일콘센트(10)의 고정날개부(13) 상에 걸림 결합시켜 기계적인 결합이 발생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레일콘센트(10)와 막대형 조명기구(100) 사이에 틈새가 거의 발생하지 않는 경우에도 막대형 조명기구(100)를 레일콘센트(10)에 용이하게 착탈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막대형 조명기구를 나타낸 것으로, 이 실시예의 막대형 조명기구는 접속유닛(120)이 베이스프레임(110)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결합되거나 분리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베이스프레임(110)의 수평판(111)의 관통공(115) 주변부 양측에 대략 'ㄱ' 형태로 된 한 쌍의 클램핑레일(117)이 돌출되게 형성되고, 접속유닛(120)의 마운트부재(121) 하부면 양측에 상기 클램핑레일(117)에 삽입되면서 슬라이딩하여 결합되는 한 쌍의 클램핑리브(127)가 형성될 수 있다.
클램핑리브(127)는 클램핑레일(117)과 형합하도록 '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접속유닛(120)의 클램핑리브(127)의 끝단을 베이스프레임(110)의 클램핑레일(117)의 끝단에 맞추고 수평하게 슬라이딩시키면, 클램핑리브(127)가 클램핑레일(117)의 안내를 받으면서 삽입되어 접속유닛(120)이 베이스프레임(110)의 수평판(111)에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다. 물론 접속유닛(120)을 베이스프레임(110)에서 분리할 때는 이전과는 반대방향으로 접속유닛(120)의 마운트부재(121)를 수평하게 이동시키면 클램핑리브(127)가 클램핑레일(117)의 안내를 받으면서 클램핑레일(117)의 외측으로 이탈하여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다.
상기 접속유닛(120)의 클램핑리브(127)를 베이스프레임(110)의 클램핑레일(117) 내측으로 삽입하여 결합할 때, 회전축부재(122)가 관통공(115)과 동축상으로 정렬되도록 하기 위하여 클램핑레일(117)에 클램핑리브(127)의 끝단이 걸리면서 정지되는 스톱퍼(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막대형 조명기구를 나타낸 것으로, 이 실시예의 막대형 조명기구는 베이스프레임(110)이 단순한 평면 형태로 이루어진다.
베이스프레임(110)의 양측 단부는 하향 경사진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베이스프레임(110)의 상부면에는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게 접속유닛(120)을 슬라이딩시켜 착탈시킬 수 있도록 'ㄱ' 형태로 절곡된 클램핑레일(117)이 형성되고, 접속유닛(120)의 마운트부재(121) 하단부에 클램핑레일(117)에 삽입되면서 슬라이딩 결합하는 클램핑리브(127)가 형성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레일콘센트 11 : 전원공급단자
12 : 절연체 13 : 고정날개부
100 : 막대형 조명기구 110 : 베이스프레임
111 : 수평판 112 : 측면판
115 : 관통공 117 : 클램핑레일
120 : 접속유닛 121 : 마운트부재
122 : 회전축부재 123 : 접속단자
124 : 결합편 125 : 공구결합홈
126 : 회전조작레버 127 : 클램핑리브
130 : 광원 131 : LED
132 : 기판 141 : 전원공급기
142 : 전선 150 : 조명커버

Claims (8)

  1. 외부 전원공급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한 쌍의 전원공급단자가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대향되게 설치되어 있는 레일콘센트에 결합되는 베이스프레임;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설치되는 광원;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되는 관통공의 상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관통공을 통해서 전달되는 외력에 의해 회전축부재;
    상기 회전축부재에 양측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회전축부재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레일콘센트의 전원공급단자와 접촉하거나 분리되는 2개 한 쌍의 접속단자; 및,
    상기 접속단자와 광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원공급유닛;
    을 포함하는 막대형 조명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부재는 상기 관통공의 하측에서 관통공을 통해 삽입되는 공구 또는 손가락에 의해 회전하는 막대형 조명기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부재의 하부에 상기 관통공을 통해 베이스프레임의 하부로 돌출되는 회전조작레버가 하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공구 또는 손가락으로 회전조작레버를 회전시키는 동작에 의해 회전축부재가 회전하는 막대형 조명기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공은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회전축부재에 대해 편심된 위치에서 원호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회전조작레버는 'L'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관통공의 안내를 받으면서 회전하여 회전축부재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막대형 조명기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공은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양측에 원호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회전조작레버는 2개가 상기 2개의 관통공을 통해 하측으로 돌출되어, 2개의 회전조작레버가 관통공의 안내를 받으면서 동시에 회전하는 막대형 조명기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부재에 상기 접속단자와 나란하게 형성되어, 회전축부재의 회전방향에 따라 레일프레임의 양측에 형성된 고정날개부에 걸려서 결합되거나 분리되는 2개 한 쌍으로 된 결합편을 더 포함하는 막대형 조명기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부재는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마운트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막대형 조명기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관통공의 주변부 양측에 상기 마운트부재를 수평하게 슬라이딩시켜 결합하기 위한 한 쌍의 클램핑레일이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마운트부재의 양측에 상기 클램핑레일에 삽입되면서 슬라이딩하여 결합되는 한 쌍의 클램핑리브가 형성된 막대형 조명기구.
KR1020220125308A 2022-09-30 2022-09-30 막대형 조명기구 KR2024004569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5308A KR20240045691A (ko) 2022-09-30 2022-09-30 막대형 조명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5308A KR20240045691A (ko) 2022-09-30 2022-09-30 막대형 조명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45691A true KR20240045691A (ko) 2024-04-08

Family

ID=907154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5308A KR20240045691A (ko) 2022-09-30 2022-09-30 막대형 조명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45691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3495B1 (ko) 2013-01-17 2014-07-28 양경호 레일콘센트용 막대형 조명기구
KR101634623B1 (ko) 2014-09-22 2016-06-29 (주)디케이라이텍 막대형 조명기구
KR101655270B1 (ko) 2015-01-28 2016-09-07 주식회사 유앤아이테크 가압 체결 방식의 조명 레일용 전원 플러그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3495B1 (ko) 2013-01-17 2014-07-28 양경호 레일콘센트용 막대형 조명기구
KR101634623B1 (ko) 2014-09-22 2016-06-29 (주)디케이라이텍 막대형 조명기구
KR101655270B1 (ko) 2015-01-28 2016-09-07 주식회사 유앤아이테크 가압 체결 방식의 조명 레일용 전원 플러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180418B (zh) 一种led灯
US1015634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hanging lighting fixtures
KR101903005B1 (ko) 조명레일용 라인 타입 조명장치
WO2016082300A1 (zh) 一种灯具固定座和灯具连接座以及一种灯具固定装置
KR101678108B1 (ko) 레일 콘센트용 플러그 및 이를 이용한 레일 콘센트용 조명기구
WO2011136166A1 (ja) 蛍光灯形発光素子ランプおよび照明器具
US9767972B2 (en) In-line slide switch
KR20150118329A (ko) 단락방지수단이 구비된 레일 조명등
WO2012174909A1 (zh) 防盗灯
JP6308467B2 (ja) 照明器具
KR20240045691A (ko) 막대형 조명기구
KR101634623B1 (ko) 막대형 조명기구
KR200465278Y1 (ko) 콘센트 결합형 천정 고정식의 등기구장치
US9897301B1 (en) E26 plastic lampholder
US20160369987A1 (en) LED Lighting Apparatus
JP5971579B2 (ja) 照明器具
US9793668B1 (en) E26 plastic lampholder
US8101878B2 (en) GU24 3-way dimmer knob-type switch lampholder
TWI619903B (zh) 燈具電源組裝結構及其組裝方法
KR101725867B1 (ko) 천장설치용 조명기구의 슬라이드타입 체결스위치
US9763312B2 (en) Dimming lampholder
JP2016091947A (ja) 照明器具
KR101511643B1 (ko) 착탈식 소켓이 구비된 등기구 장치
US10288228B2 (en) Lamp fixture and surface mounted tube lamp
TWM365434U (en) Improved type light emitting diode (LED) daylight lam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