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34150A - 수영 보조 기구 - Google Patents

수영 보조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34150A
KR20160034150A KR1020140141431A KR20140141431A KR20160034150A KR 20160034150 A KR20160034150 A KR 20160034150A KR 1020140141431 A KR1020140141431 A KR 1020140141431A KR 20140141431 A KR20140141431 A KR 20140141431A KR 20160034150 A KR20160034150 A KR 201600341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g portion
buoyancy body
swimming
user
longitudinal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14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32497B1 (ko
Inventor
김정훈
Original Assignee
김정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훈 filed Critical 김정훈
Publication of KR201600341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41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24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24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31/00Swimming aids
    • A63B31/08Swim fins, flippers or other swimming aids held by, or attachable to, the hands, arms, feet or legs
    • A63B31/12Swim fins, flippers or other swimming aids held by, or attachable to, the hands, arms, feet or legs held by, or attachable to, the arms or le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31/00Swimming aids
    • A63B31/08Swim fins, flippers or other swimming aids held by, or attachable to, the hands, arms, feet or legs
    • A63B31/10Swim fins, flippers or other swimming aids held by, or attachable to, the hands, arms, feet or legs held by, or attachable to, the hands or fee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영 보조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고 양측에 사용자의 하지에 대응되는 싱크부가 형성되는 부력 몸체 및 상기 부력 몸체의 일단에서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날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풀부이의 성능을 보다 극대화함과 아울러 풀부이와 키판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어 많은 사용자의 구매를 유도함으로써 수영 보조기구의 시장 확대에 기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수영 보조 기구{SWIMMING AID APPARATUS}
본 발명은 하지에 장착하여 유영 시에 하반신에 부력을 제공하는 수영 보조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암 스트로크 연습 시에 하체를 부상시키는 풀부이의 기능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풀부이와 발차기 연습을 위한 키판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수영 보조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영은 폐활량이나 지구력 등을 강화해 주고 신체 전부분에 걸쳐 골고루 운동을 시켜주는 전신운동의 하나로서 대다수의 국민으로부터 크게 각광을 받고 있으며, 특히 여름철에는 무더운 더위를 피하고 수영을 즐기기 위하여 많은 인원이 수영장이나 해수욕장을 찾게 된다.
수영을 배우기 위해서는 발차기 연습과 암 스트로크 연습이 중요하며, 수영 연습 시에 이들 동작을 각각 연습한 후에 2가지 동작을 동시에 연습하는 방식으로 훈련이 이루어지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키판을 이용한 발차기 연습은 사용자가 양손으로 키판을 잡은 상태에서 양팔과 신체를 곧게 뻗은 후 발차기 동작에 의해 앞으로 전진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발차기동작에 의한 하체근육은 발달할 수 있으나 사용자의 양 발을 제외한 나머지 근육단련은 전혀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키판은 초보자 단계에서만 주로 사용되는 것이므로 사용자가 개인적으로 키판을 구매하는 경우가 거의 없고 수영장에서 초보자 연습용으로 일정 수량의 키판을 비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제조사의 입장에서 판매시장이 제한적인 단점이 있다.
한편, 암 스트로크 연습을 위해 일명 "땅콩"으로 불리우는 풀부이(Pull Buoy)가 사용되고 있는데, 미국등록특허 제4379704호에는 이러한 전형적인 풀부이의 형상이 개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풀부이(10)는 발포체로 형성되는 부력체(11)가 한 쌍의 원통부(14,15)와 이들을 연결하고 원통부(14,15)보다 폭이 작은 싱크부(25)로 이루어진다. 사용자는 양다리를 싱크부(25)에 위치시켜 양다리 사이에 풀부이(10)를 끼운 상태에서 입수하면 사용자의 하체가 부력에 의해 물에 뜨게 되므로 암 스트로크 연습에 집중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풀부이는 단면이 땅콩 형상으로서 암 스트로크시 추진력을 저하시키고 유영시 방향성이 좋지 않은 단점이 있다.
또한, 풀부이는 굴곡이 많고 도톰한 형상으로서 키판으로는 사용하기 어려워 암 스트로크 연습용으로만 사용되므로 풀부이의 활성화에 장애 요인이 되고 있다.
이와 같이 종래 수용 보조기구로 사용되고 있는 키판이나 풀부이 등의 수영 보조기구는 사용상의 문제나 활용의 제한성으로 인해 그 시장이 제한적인 상황으로서 사용상의 기능을 보다 향상시킴과 아울러 활용성을 넓힘으로써, 많은 사용자가 소지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수영 보조기구 시장을 확장시킬 수 있는 수영 보조기구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미국등록특허 제4379704호 " Leg buoy for training swimmers "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단순한 구조의 변경을 통해 종래 암 스트로크 연습용으로 사용되는 풀부이의 성능을 보다 극대화함과 아울러 풀부이와 키판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수영 보조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고 양측에 사용자의 하지에 대응되는 싱크부가 형성되는 부력 몸체 및 상기 부력 몸체의 일단에서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날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영 보조기구가 제공된다.
상기 날개부는 부력 몸체의 일방 또는 양방으로 연장형성될 수 있고, 연장되는 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감소하도록 형성되며, 지느러미 형상일 수 있다.
상기 부력 몸체의 일측에는 상기 부력 몸체를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날개부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파지 장공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는 상기 날개부의 일측에는 상기 부력 몸체의 너비 방향으로 함몰형성되는 파지 함몰부가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는 상기 날개부에는 상기 부력 몸체의 너비 방향으로 가이드 홈이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날개부는 너비 방향 길이가 상기 부력 몸체의 너비 방향 길이보다 크게 형성되어 풀부이와 키판이 일체형으로 형성된 구조를 갖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부력 몸체의 너비방향으로 상하대칭구조의 유선형 돌부가 연장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날개부와 상기 유선형 돌부를 연결하는 윤곽선이 원호 또는 포물선을 이루도록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수용 보조기구가 전체적으로 열대어 형상을 갖도록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고 양측에 사용자의 하지에 대응되는 싱크부가 형성되는 부력 몸체 및 상기 부력 몸체의 하단에서 양측방향으로 연장형성되고, 상면에 사용자의 하지를 지지하는 안착홈이 형성되는 안착부를 갖는 날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영 보조기구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싱크부와 안착부는 일체로 연결되어 곡면 형상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날개부의 종단에서 상방으로 하지 이탈방지 돌기가 형성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풀부이의 성능을 보다 극대화함과 아울러 풀부이와 키판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어 많은 사용자의 구매를 유도함으로써 수영 보조기구의 시장 확대에 기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미국등록특허 제4379704호에 따른 수영 연습용 풀부이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수영 보조기구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제 1 실시예의 변형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수영 보조기구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 내지 도 8은 제 2 실시예에 대한 제 1 ~ 4 변형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a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수영 보조기구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9b는 제 3 실시예에 따른 수영 보조기구의 정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수영 보조기구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수영 보조기구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수영 보조기구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수영 보조기구의 사용 상태도이다.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수영 보조기구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제 1 실시예의 변형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수영 보조기구(100)는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고 양측에 사용자의 하지에 대응되는 싱크부(113)가 형성되는 부력 몸체(110) 및 부력 몸체(110)의 일단에서 연장 형성되는 날개부(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부력 몸체(110)와 날개부(120)는 한 몸체를 이루도록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력 몸체(110)와 날개부(120)는 발포성 수지의 일종인 EVA 폼(Ethylene-Vinyl Acetate Foam)가 사용될 수 있다. EVA 폼은 EVA 수지를 5배에서 30배까지 가교시킨 독립기포형 발포제로서, 낮은 흡수성 및 높은 부력, 가볍고 간편한 가공성, 아름다운 외관 및 다양한 색상 구현 용이, 뛰어난 완충성 등의 장점이 있어 부력 제공을 위한 수영 보조기구에 적합한 소재이다.
부력 몸체(110)는 일반적인 풀부이와 유사하게 한 쌍의 원통부(111, 112)와 이들을 연결하는 싱크부(113)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 쌍의 원통부(111,112)는 같은 크기를 갖도록 형성할 수도 있고, 상부의 원통부(111)가 하부의 원통부(112)보다 약간 크게 형성되도록 할 수도 있다.
날개부(120)는 부력 몸체(110)의 일단에서 상방 또는 하방으로 연장형성되고, 유체의 저항을 최소화하기 위해 연장방향으로 갈수록 날개부의 높이가 작아지는 상어 지느러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날개부(120)는 연장되는 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감소하도록 형성되어 유체의 저항을 최소화함과 아울러 유영시 방향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날개부(120)는 부력 몸체(110)에 의한 부력 외에 추가적인 부력을 제공함으로써 전체적인 부력을 상승시킬 수 있는 효과도 있다.
수영 보조기구(100)는 1개의 부력체를 가공하여 전체를 1 몸체로 형성할 수도 있으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위 부력체(114)들을 접착 또는 접합하여 전체적으로 한 몸체를 이루도록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단위 부력체(114)들이 각각 다른 색상을 갖도록 함으로써 디자인적으로 심미감을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영 보조기구(100)가 1개의 부력체를 가공하여 전체가 1 몸체로 형성되는 경우에도 도 2에 도시된 것과 유사한 형태로 너비방향으로 면을 분할하여 각 면이 다른 색상을 갖도록 함으로써 디자인적인 요소를 부여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3의 변형례는 부력 몸체(110)의 일측에 부력 몸체(110)를 관통하는 관통홀(115)을 형성한 것으로서, 관통홀(115)은 복수 개의 수영 보조기구(100)를 로프에 걸어 보관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수영 보조기구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 내지 도 8은 제 2 실시예에 대한 제 1 ~ 4 변형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부력 몸체(110)의 양단에 한 쌍의 날개부(120)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으로서, 날개부(120)가 부력 몸체(110)의 양단에 형성됨으로써 보다 큰 부력 제공과 함께 보다 높은 추진력 제공 및 방향성 향상의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날개부(120)의 대칭적 구조를 통해 대칭 형상의 안정감을 줄 수 있고, 전체적으로 열대어 형상과 유사한 심미감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날개부(120)는 판형에 가까운 형태로 형성되므로 사용자가 양손으로 날개부(120)를 파지할 수 있어 키판으로 사용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도 5의 변형례는 날개부(120)의 앞쪽에 부력 몸체(110)의 너비 방향으로 함몰형성되는 파지 함몰부(121)가 형성되도록 한 것으로서, 사용자가 파지 함몰부(121)에 손을 위치시킴으로써 날개부(120)의 파지가 보다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도 6과 도7의 변형례는 날개부(120)에 길이 방향으로 파지 장공(122)을 형성한 것으로서, 도 6과 같이 날개부(120)에 1 개의 파지 장공(122)을 형성할 수도 있고, 도 7과 같이 날개부(120)에 복수의 파지 장공(122)을 형성할 수도 있다. 본 변형례의 경우 사용자는 손가락을 파지 장공(122)에 삽입한 상태에서 날개부(120)를 파지한다. 복수의 파지 장공(122)은 길이 방향이 아닌 대각선 방향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8의 변형례는 도 7의 제 3 변형례의 구조에서 부력 몸체(110)의 너비 방향으로 가이드 홈(123)을 형성하여 사용자가 손목 또는 팔을 가이드 홈(123)에 위치시켜 보다 편안하게 날개부(120)를 파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8의 변형례에는 복수개의 파지 장공(122)과 가이드홈(123)이 동시에 형성된 경우를 예시하고 있으나, 날개부(120)에 가이드홈(123)만을 형성하여 사용자가 팔을 가이드 홈(123)에 올려놓은 상태에서 손가락으로 날개부(120)의 선단을 파지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9a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수영 보조기구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9b는 제 3 실시예에 따른 수영 보조기구의 정면도이다.
제 3 실시예에 따른 수용 보조기구는 기본적인 형상은 제 2 실시예와 동일하나, 부력 몸체의 너비방향 즉, 전방방향으로 유선형 돌부(130)가 연장형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유선형 돌부(130)는 유선형 구조에 의해 유체 저항을 감소시켜 유영시 보다 높은 추진력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유선형 돌부(130)는 상하대칭구조로 형성되어 수용 보조기구(100)의 전체적인 형상이 열대어를 연상시키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로프의 관통을 위한 관통홀(131)을 유선형 돌부(130)의 선단측에 형성하여 관통홀(131)이 열대어의 눈의 형상을 연상시키도록 함으로써 기능성과 심미성을 동시에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날개부(120)의 후단에는 파지 함몰부(124)를 곡선형태로 형성하여 사용자가 날개부(120)를 용이하게 파지하기 위한 후방 파지영역을 제공함과 아울러 날개부(120)가 열대어 지느러미 형상을 갖도록 함으로써 이 또한 기능성과 심미성을 동시에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날개부(120)와 상기 유선형 돌부(130)를 연결하는 윤곽선이 원호 또는 포물선을 이루도록 형성되도록 하여 수영 보조기구(100)의 전체 형상이 열대어 형상을 갖도록 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수영 보조기구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제 4 실시예는 풀부이와 키판이 일체로 구현된 예로서,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고 양측에 사용자의 하지에 대응되는 싱크부(212)가 형성되는 부력 몸체(210)와 부력 몸체(210)의 일단에서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날개부(220)로 구성되되, 싱크부(212) 하단에 원통부가 형성되지 않고 날개부(220)가 싱크부(212)로부터 바로 연장형성되는 구조를 갖고, 날개부(220)가 키판의 형상을 갖는 것이 특징이다.
이를 위해, 날개부(220)는 너비 방향 길이가 부력 몸체(210)의 너비 방향 길이보다 크게 형성된다. 날개부(220)는 유체 저항 감소 및 방향성 향상을 위해 그 폭이 연장방향으로 갈수록 작아지도록 형성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수영 보조기구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하지를 싱크부(113)에 끼워넣은 상태에서 수영을 하면 부력 몸체(110)와 하단 날개부(120)는 물속에 완전히 잠기고 상단 날개부(120)는 일부가 수면 위로 노출된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부력 몸체(110) 상하단의 날개부(120)는 추가적인 부력을 제공하여 사용자의 하지를 부상시킬 수 있다.
또한, 부력 몸체(110) 상하단의 날개부(120)의 지느러미 형상에 의해 유영시 추진력과 방향성이 향상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수영 보조기구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수영 보조기구의 사용 상태도이다.
제 5 실시예에 따른 수영 보조기구는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고 양측에 사용자의 하지에 대응되는 싱크부(312)가 형성되는 부력 몸체(310) 및 부력 몸체(310)의 하단에서 양측방향으로 연장형성되고, 상면에 사용자의 하지를 지지하는 안착홈(321)이 형성되는 안착부(322)를 갖는 날개부(3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싱크부(312)와 안착부(322)는 일체로 연결되어 곡면 형상을 이루도록 하여 사용자의 하지가 편안하게 안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날개부의 종단에서 상방으로 하지 이탈방지 돌기(323)가 형성되어 사용자의 하지가 측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제 5 실시예에 따른 수영 보조기구(300) 또한, 1개의 부력체를 가공하여 전체를 1 몸체로 형성할 수도 있으나,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위 부력체(314)들을 접착 또는 접합하여 전체적으로 한 몸체를 이루도록 하고, 단위 부력체(314)들이 각각 다른 색상을 갖도록 하여 심미감을 부여할 수 있다.
수영 보조기구(300)가 1개의 부력체를 가공하여 전체가 1 몸체로 형성되는 경우에도 도 12에 도시된 것과 유사한 형태로 너비방향으로 면을 분할하여 각 면이 다른 색상을 갖도록 함으로써 디자인적인 요소를 부여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3과 같이 수영장에서 본 발명에 따른 수영 보조기구(300)가 사용되는 경우 사용자의 하지가 싱크부(312)와 안착부(322)에 의해 형성되는 곡면에 안착되며, 부력에 의해 상기 곡면이 사용자의 하지를 밀어올리는 방향으로 힘이 발생되므로 수직방향에서의 하지와 수영 보조기구의 이탈이 방지된다.
또한, 사용자의 하지 간에 수영 보조기구(300)를 장착하고 수영을 하는 경우 사용자의 하지가 내측으로 향하려고 하는 경향이 있으므로 사용자의 하지가 싱크부(312)에 강하게 밀착결합되며 날개부(320)의 하지 이탈방지 돌기(323)에 의해 어느 정도의 외측방향의 하지 이탈을 저지하므로 수평방향에서의 하지와 수영보조기구의 이탈이 방지된다.

Claims (16)

  1.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고 양측에 사용자의 하지에 대응되는 싱크부가 형성되는 부력 몸체; 및
    상기 부력 몸체의 일단에서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날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영 보조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부는 연장되는 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감소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영 보조기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력 몸체의 일측에는 상기 부력 몸체를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영 보조기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부는 상기 부력 몸체의 양단에서 상기 길이 방향으로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영 보조기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부는 지느러미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영 보조기구.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부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파지 장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영 보조기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 장공은 상기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영 보조기구.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부의 일측에는 상기 부력 몸체의 너비 방향으로 함몰형성되는 파지 함몰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영 보조기구.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부에는 상기 부력 몸체의 너비 방향으로 가이드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영 보조기구.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부는 너비 방향 길이가 상기 부력 몸체의 너비 방향 길이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영 보조기구.
  11.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부력 몸체의 너비방향으로 유선형 돌부가 연장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영 보조기구.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유선형 돌부는 상하대칭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영 보조기구.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날개부와 상기 유선형 돌부를 연결하는 윤곽선이 원호 또는 포물선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영 보조기구.
  14.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고 양측에 사용자의 하지에 대응되는 싱크부가 형성되는 부력 몸체; 및
    상기 부력 몸체의 하단에서 양측방향으로 연장형성되고, 상면에 사용자의 하지를 지지하는 안착홈이 형성되는 안착부를 갖는 날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영 보조기구.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싱크부와 안착부는 일체로 연결되어 곡면 형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영 보조기구.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부의 종단에서 상방으로 하지 이탈방지 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영 보조기구.
KR1020140141431A 2014-09-19 2014-10-20 수영 보조 기구 KR10163249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4909 2014-09-19
KR20140124909 2014-09-19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2284A Division KR101682853B1 (ko) 2016-04-06 2016-04-06 수영 보조 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4150A true KR20160034150A (ko) 2016-03-29
KR101632497B1 KR101632497B1 (ko) 2016-06-21

Family

ID=556619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1431A KR101632497B1 (ko) 2014-09-19 2014-10-20 수영 보조 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249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209146A (ja) * 2018-05-30 2019-12-12 株式会社アクアティック 水泳練習用具
EP3481515A4 (en) * 2016-07-11 2020-03-04 Jordan Frank DRAWBOYE
USD891555S1 (en) 2017-12-19 2020-07-28 Jordan Frank Pull buoy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323A (zh) * 1993-11-27 1995-06-07 费尔南多·加力多·萨尔瓦多里斯 水下游泳及水面乘行用组合舵
US6083067A (en) * 1996-08-19 2000-07-04 Hydro Surfing Products Pty Ltd Swimming aid
JP2004000382A (ja) * 2002-04-25 2004-01-08 Kenkichi Kobashigawa 浮板連結筏浮具
KR101323112B1 (ko) * 2013-07-04 2013-11-07 김정훈 수영보조기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323A (zh) * 1993-11-27 1995-06-07 费尔南多·加力多·萨尔瓦多里斯 水下游泳及水面乘行用组合舵
US6083067A (en) * 1996-08-19 2000-07-04 Hydro Surfing Products Pty Ltd Swimming aid
JP2004000382A (ja) * 2002-04-25 2004-01-08 Kenkichi Kobashigawa 浮板連結筏浮具
KR101323112B1 (ko) * 2013-07-04 2013-11-07 김정훈 수영보조기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481515A4 (en) * 2016-07-11 2020-03-04 Jordan Frank DRAWBOYE
USD891555S1 (en) 2017-12-19 2020-07-28 Jordan Frank Pull buoy
JP2019209146A (ja) * 2018-05-30 2019-12-12 株式会社アクアティック 水泳練習用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32497B1 (ko) 2016-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3112B1 (ko) 수영보조기구
US7488282B2 (en) Exercise device
US20130059701A1 (en) Multi-functional hand held exercise device
KR101212467B1 (ko) 수영용 보조 기구
KR101632497B1 (ko) 수영 보조 기구
US6887186B2 (en) Water aerobic exercise float
US7867050B2 (en) Paddle assist to pop-up device
JP6374877B2 (ja) 特にうねり運動を必要とする泳法を成し遂げるための水泳補助アクセサリ
US20090270001A1 (en) Paddle to Pop-up Device
KR20160084350A (ko) 수영보조장치
KR101682853B1 (ko) 수영 보조 기구
US7153247B1 (en) Underwater exerciser apparatus
CN106621230B (zh) 一种逍遥游泳穿戴套装
KR101643852B1 (ko) 수영보조장치
WO2007000394A1 (en) Swim fin
US6986690B2 (en) Propulsion structure for a water craft
CN208302123U (zh) 一种辅助换气游泳浮板
US20170312583A1 (en) Cavitated Water Training/Exercise Ball
JP3237281U (ja) 水面及び水中で使用するスイミングボード
CN220778965U (zh) 一种蛙鞋结构
KR200464187Y1 (ko) 수영 보조구
JP3609759B2 (ja) プール
US20220176220A1 (en) Bilateral kicking boards for non-swimmers to the elite level swimmer
AU2009100357B4 (en) Body Board
CN203946252U (zh) 助游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