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2467B1 - 수영용 보조 기구 - Google Patents

수영용 보조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2467B1
KR101212467B1 KR1020100077602A KR20100077602A KR101212467B1 KR 101212467 B1 KR101212467 B1 KR 101212467B1 KR 1020100077602 A KR1020100077602 A KR 1020100077602A KR 20100077602 A KR20100077602 A KR 20100077602A KR 101212467 B1 KR101212467 B1 KR 1012124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center rod
swimming
string
alo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76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15471A (ko
Inventor
이병철
Original Assignee
이병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병철 filed Critical 이병철
Priority to KR10201000776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2467B1/ko
Publication of KR201200154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54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24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24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31/00Swimming aids
    • A63B31/08Swim fins, flippers or other swimming aids held by, or attachable to, the hands, arms, feet or legs
    • A63B31/12Swim fins, flippers or other swimming aids held by, or attachable to, the hands, arms, feet or legs held by, or attachable to, the arms or leg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60Apparatus used in water
    • A63B2225/605Floating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수영용 보조 기구는, 길이가 길도록 형성되되 탄성이 큰 재질로 이루어진 중심 봉과 상기 중심 봉의 일 단 부위에서 좌우측으로 수직 연장된 손잡이로 이루어진 메인 바디;와 상기 손잡이의 양 단 부위를 제외한 상기 메인 바디를 감싸도록 형성되되 부력을 가진 재질로 이루어진 보조 바디;를 포함하여, 사용자가 탑승한 상태에서 상기 손잡이에 가하는 힘이 상기 중심 봉을 따라 전달되어 상기 중심 봉의 타 단 부위가 좌우로 유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영용 보조 기구에 따르면, 초보 이용자라도 쉽게 수영을 즐길 수 있고, 신체 전반의 근육을 사용하도록 하여 근력 운동에 도움을 주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수영용 보조 기구{The Auxiliary Apparatus for Swimming}
본 발명은 수영용 보조 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히는 탄성이 큰 재질로 이루어진 중심 봉과 상기 중심 봉의 일 단 부위에서 좌우측으로 수직 연장된 손잡이로 이루어진 메인 바디;와, 상기 손잡이의 양 단 부위를 제외한 상기 메인 바디를 감싸도록 형성되되 부력을 가진 재질로 이루어진 보조 바디;를 포함하여, 사용자가 탑승한 상태에서 상기 손잡이에 가하는 힘이 상기 중심 봉을 따라 전달되어 상기 중심 봉의 타 단 부위가 좌우로 유동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수영용 보조 기구의 추진력을 얻도록 하는, 수영용 보조 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영은 수면을 헤엄치는 것을 뜻하는 것으로 사람이 더위를 피하거나 유희를 위해 하는 경우가 많으나 최근에는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건강 유지 또는 다이어트 등의 목적으로 수영을 즐기는 사람이 많아졌다.
이러한 수영은 신체의 모든 부위를 사용하는 전신 운동으로서 관절 건강에 좋은 영향을 주어 각종 재활 운동에 이용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전신 지구력, 심폐 지구력을 증진시키는 데에 탁월한 효과가 있다.
그러나 수영은 짧은 시간에 소비되는 에너지 량이 다른 운동, 즉 달리기나 줄넘기, 배드민턴 등의 운동에 비해 월등히 높아 어린 아이들의 경우나 여성, 노인의 경우에는 장기간 운동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물 위에 뜰 수 있도록 하는 훈련을 일정 기간 받아야 하기 때문에 초보자가 바로 수영을 즐기기에는 어렵다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어깨와 삼두, 가슴, 활배 부위 또는 허벅지와 발목의 운동에만 집중되어 수영만으로 각 신체 부위의 근력을 전체적으로 키우는 데에는 다소 부족한 부분이 있어 근력을 발달시키는 운동으로서는 모자란 감이 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한국 등록 특허 제 10-0699013호 '수영용 보조 기구'가 개시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상기 기술은 좌우 2개로 구성되되 내부에 공기가 주입된 봉부와, 상기 봉부에 연결되어 쌍을 이루는 날개부,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구성된 손잡이부, 발을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된 샌달 결합부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사용자가 수영을 함에 있어서 보다 용이하게 부력을 형성하여 물 위에 떠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물과의 마찰력을 감소시켜 원활하게 움직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수영용 보조 기구는 사용자가 상기 기구를 이용하는 데 있어서, 수면에 떠 있도록 하는 것에 그쳐 사용자가 전진하고자 할 때에는 기구를 사용하지 않는 때보다 더 번거로움과 동시에 전진을 위한 힘도 더 많이 사용되고, 신체 각 부위의 근력을 사용할 필요가 없어 근력 발달에 도움을 주지 않을 뿐만 아니라, 발이 상기 샌달 결합부의 샌달에 고정되어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기구가 전복되는 경우와 같이 급박한 상황에서 탈출이 어렵게 되어 때에 따라 매우 위험할 수 있다는 단점을 갖는다.
따라서 상술한 문제를 해결함과 동시에 사용자의 안전을 해치지 않을 수 있는 보다 신규하고 진보한 수영용 보조 기구를 제공할 필요성이 대두되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탄성이 큰 재질로 이루어진 중심 봉과, 상기 중심 봉의 일 측에서 좌우 측으로 수직 연장된 손잡이 및, 상기 중심 봉과 손잡이를 감싸도록 형성되되 부력을 가진 재질로 이루어진 보조 바디를 포함하여, 본 발명에 따른 수영용 보조 기구가 물에 뜬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에 좌우로 힘을 가함으로써 그 힘이 상기 중심 봉을 좌우로 유동시켜 전진할 수 있는 추진력을 갖도록 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보조 바디를 발포 폴리 스타이렌과 튜브 재질 및 고무판 등으로 분할하여 구비함으로써 내구성을 강화하고 저항력을 줄이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손잡이의 일 측과 상기 중심 봉의 일 측을 연결하는 스트링을 추가로 포함하여 상기 중심 봉이 더욱 탄력적으로 유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 목적은, 상기 스트링의 손잡이 측 단이 상기 손잡이에 형성된 관통 공을 따라 유동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스트링의 내구성을 증강시킬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보다 적은 힘을 들이면서도 상기 중심 봉이 탄력적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 목적은, 상기 중심 봉에 복수 개의 파트 또는 탄성 슬릿을 형성하여 상기 중심 봉이 보다 적은 힘으로도 탄성적으로 유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수영용 보조 기구는, 길이가 길도록 형성되되 탄성이 큰 재질로 이루어진 중심 봉과, 상기 중심 봉의 일 단 부위에서 좌우측으로 수직 연장된 손잡이로 이루어진 메인 바디;와, 상기 손잡이의 양 단 부위를 제외한 상기 메인 바디를 감싸도록 형성되되 부력을 가진 재질로 이루어진 보조 바디;를 포함하여, 사용자가 탑승한 상태에서 상기 손잡이에 가하는 힘이 상기 중심 봉을 따라 전달되어 상기 중심 봉의 타 단 부위가 좌우로 유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조 바디는 상기 손잡이가 형성된 부위는 발포 폴리 스타이렌으로 이루어지고, 길이 방향의 중앙 부위는 튜브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손잡이가 형성된 측의 대향측은 고무판으로 이루어지되 내 측에 상기 중심 봉을 감싼 상태에서 세로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불어, 상기 메인 바디에는 일 단이 상기 손잡이에서 상기 중심 봉과 일정 간격 이격된 양 부위와 각각 연결되고, 타 단이 상기 중심 봉의 일 측과 연결되되 탄성이 있는 고무 재질로 이루어진 한 쌍의 스트링;이 추가로 형성되어, 상기 손잡이에서 발생되는 힘이 상기 스트링을 매개로 상기 중심 봉에 탄성적으로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추가적으로, 상기 손잡이는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관통 공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스트링의 상기 손잡이 측 단에는, 상기 관통 공의 내측에 삽입되어 상기 관통 공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걸림 볼이 추가로 포함되어, 상기 스트링의 상기 손잡이 측 단이 상기 관통 공을 따라 좌우로 유동 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추가적으로, 상기 중심 봉은 길이 방향을 따라 각각 일정 길이를 갖도록 나뉜 복수 개의 파트를 형성하고, 상기 복수 개의 파트는 상기 손잡이가 형성된 부위 측 단에서 후단으로 갈수록 탄성이 큰 재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추가적으로, 상기 중심 봉은 상기 손잡이가 형성된 부위 측 단에서 후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좁아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추가적으로, 상기 중심 봉은 각 파트의 이음 부위에서 둘레를 따라 함입 형성된 탄성 슬릿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영용 보조 기구에 따르면,
1) 초보 이용자라도 쉽게 수면에 뜰 수 있도록 하여 보다 안전하게 수영을 즐길 수 있도록 하고,
2) 신체 전반의 근육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근력 운동에 도움을 주며,
3) 추가 구성들을 구비함으로써 적은 힘으로도 보다 탄력적으로 중심 봉이 유동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수영용 보조 기구의 추진력을 증강시킬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영용 보조 기구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영용 보조 기구에 보조 바디가 형성된 것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영용 보조 기구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중심 봉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면은 축척에 의하여 도시되지 않았으며, 각 도면의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영용 보조 기구는 수영 운동 시, 초보 사용자라도 보다 안정적으로 물 위에 뜬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상태에서 상체 및 하체를 유동적으로 움직이는 운동에 의한 힘으로써 수영용 보조 기구가 추진력을 갖도록 하여 사용자의 상체 및 하체의 근력을 보다 강화시키는 데에 도움을 주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영용 보조 기구의 기본적인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영용 보조 기구에 보조 바디가 형성된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를 보아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수영용 보조 기구는 기본적으로 중심 봉(11)과 손잡이(12)로 이루어진 메인 바디(10)와, 상기 메인 바디(10)를 감싸는 보조 바디(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메인 바디(10)의 기본을 이루는 중심 봉(11)은, 긴 파이프와 같은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일 측(머리 측)에서 가해지는 힘이 상기 중심 봉(11)을 따라 전달되어 타 단(꼬리 측)을 유동시킬 수 있을 정도의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즉, 꼬리 측이 좌우로 움직이며 추진력을 발생시킬 수 있어야 할 것이다.
상기 중심 봉(1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영용 보조 기구의 기본적인 틀을 이루며 상기 수영용 보조 기구를 지지하는 골격의 역할을 한다.
손잡이(12)는, 상기 중심 봉(11)의 일 단 부위(머리 측 부위)에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중심 봉(11)의 일 단에서 내측으로 소폭 이격된 부위에서 좌우 측으로 수직하게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손잡이(12)는 사용자가 파지하여 상기 중심 봉(11)에 힘을 전달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데, 상기 손잡이(12)는 탄성이 없는 금속 재질로 형성하여 그 내구성을 높이도록 하고, 좌우 측 손잡이(12) 각각을 파지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12)를 좌우 측으로 틀면(유동시키면) 그 힘이 상기 중심 봉(11)에 전달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삭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 바디(20)는 상기 메인 바디(10) 및 사용자가 물 위에서 뜰 수 있도록 부력을 제공하는 것으로, 상기 중심 봉(11) 전체와, 상기 손잡이(12)의 양 단 부위(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부위)를 제외한 부위를 감싸는 형태로 이루어지되 부력을 가지는 재질로 이루어져야 할 것인바, 상기 보조 바디(20)는 발포 폴리 스타이렌과 같이 물을 흡수하지 않고 가벼운 무게를 가지며 작은 공기 방울을 수백 개 함유하고 있는 재질이나, 내부에 일정 양의 공기를 주입 및 배출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 튜브 등과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보조 바디(20)는 전체적으로 부력을 가지는 재질로 이루어지되, 상기 중심 봉(11)을 기준으로 상기 손잡이(12)가 형성된 측을 감싸는 부위(선단부(21))는 발포 폴리 스타이렌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중심 봉(11)의 길이 방향의 중앙 부위를 감싸는 부위(중심부(22))는 튜브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중심 봉(11)에서 상기 손잡이(12)가 형성된 측의 대향 측, 즉 후단을 감싸는 부위(끝단부(23))는 세로로 배치된 고무, 즉 공지의 오리발을 세워놓은 것과 같은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술한 형상으로 이루어진 상기 보조 바디(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특정 어류의 형상과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어 사용자의 흥미와 재미를 배가시키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선단부(21)를 폴리 스타이렌으로 구성하는 이유는, 상기 선단부(21)가 구비되는 부위는 상기 중심 봉(11)의 탄성적 유동이 거의 없는 부분이기 때문에 발포 폴리 스타이렌으로 구성하여도 내구성에 하자가 없을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수영용 보조 기구를 사용하는 때에 상술한 부위가 진행 방향의 선단이기 때문에 비교적 큰 저항을 받게 된다는 점을 고려하여 그 내구성을 높이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중심부(22)는 탄성적 유동이 커지는 부분이므로 튜브로 구성하여 내부 공기의 유동에 따라 유연성을 가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끝단부(23)는 본 발명에 따른 수영용 보조 기구에 추진력을 부여하는 기능을 하는바, 물에 대한 보다 큰 저항력을 갖도록 하기 위하여 공지의 오리발과 같은 재질 및 형상을 갖도록 하는 것이다.
상술한 구성에, 발 안착부(25)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는바, 상기 발 안착부(25)는 상기 손잡이(12)가 형성된 부위에서 상기 중심 봉(11)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된 부위에서 상기 손잡이(12)와 같이 좌우로 수직 연장된 형상이거나, 혹은 상기 중심 봉(11)의 일정 부위에 발을 걸 수 있는 고리가 연결되어 있는 형상 등으로 구성할 수 있으나, 이 경우, 상기 손잡이(12)에서 전달되는 힘이 상기 발 안착부(25)에 안착된 사용자의 발에 의한 저항력에 의해 상기 중심 봉(11)의 타 단까지 전달되지 않을 수 있다는 점이 문제된다.
따라서 상기 발 안착부(25)는, 상기 보조 바디(20)의 일 측이 사용자의 발을 안착시킬 수 있는 형상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보조 바디(20)의 일 측에 형성되는 발 안착부(25)의 상세한 구성을 설명하면, 상기 수영용 보조 기구에 사용자가 엎드린 자세로 안착하여 상기 손잡이(12)를 파지한 자세에서 사용자의 발이 편안하게 안착될 수 있는 위치에 형성되는바, 상기 중심 봉(11)에서 상기 손잡이(12)가 형성된 단 부위를 기준으로 상기 중심 봉(11)의 길이의 50~70% 의 길이가 이격된 위치에서 돌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보조 바디(20)가 튜브 재질로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발 안착부(25)가 사용자의 발을 안정적으로 지탱할 지지력이 없을 수 있으므로, 상기 발 안착부(25)의 내부에 지지력을 보강할 수 있도록 하는 재질을 추가로 삽입하는 것이 가능하며, 상기 발 안착부(25)의 표면 재질 역시 강화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영용 보조 기구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상기 바디와 부력체로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수영용 보조 기구의 일 실시예를 도 3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12)를 바라보도록 앉은 자세로 탑승하여 상기 손잡이(12)를 파지한 상태에서 사용자의 상체 힘을 이용하여 상기 손잡이(12)를 좌우로 유동시키면(도 1,2 참조) 그 힘이 상기 중심 봉(11)에 전달되고, 다시 중심 봉(11)의 타단 측, 즉 상기 손잡이(12)가 형성된 측의 대향 측 단으로 힘이 전달되어 상기 중심 봉(11)의 타단 부위가 탄성에 의해 좌우로 유동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중심 봉(11)의 타단 부위가 좌우로 유동하게 되면 그 힘으로 물살을 가르게 됨으로써 앞으로 전진할 수 있는 추진력을 얻게 되어, 사용자는 보다 쉽고 재미있게 물놀이를 즐길 수 있는 것이다.
이 때 사용자는 허리, 어깨, 팔 등 상체의 근력을 이용하여 상기 손잡이(12)를 유동시키도록 함으로써 상체 근력 운동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발 안착부(25)에 사용자의 발을 안착시키며 사용자가 엎드리는 자세를 취한 상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수영용 보조 기구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전신을 이용하여 상기 손잡이(12)에 힘을 가하여야 하므로, 신체 전반에 걸친 근력 운동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상술한 구성으로도 본 발명에 따른 수영용 보조 기구의 일 목적은 달성할 수 있으나, 상기 중심 봉(11)에 보다 큰 탄성을 부여하여 더 큰 추진력을 얻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메인 바디(10)에는 스트링(13)이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고하면, 상기 스트링(13)은 한 쌍으로 이루어져 각 스트링(13)의 일단이 상기 손잡이(12)에서 상기 중심 봉(11)과 일정 간격 이격된 양 부위와 각각 연결된 상태에서, 타 단은 상기 중심 봉(11)의 일 측, 바람직하게는 상기 중심 봉(11)에 일정 수준의 탄력을 부여할 수 있도록 상기 손잡이(12)에서 일정 간격 이격된 부위에 연결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스트링(13)은 고무 등과 같은 재질로 이루어져 그 길이가 탄성적으로 변화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스트링(13)의 일실시예를 설명하면,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12)를 파지하고 상기 수영용 보조 기구에 탑승한 상태에서 마치 운전을 하는 것과 같이 상기 손잡이(12)에 좌우 방향의 힘을 가하면 상기 손잡이(12)와 상기 중심 봉(11)의 일 측과의 거리가 감소 또는 증가한다. 다시 말해, 도 3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상체를 이용하여 상기 손잡이(12)를 이동시키면 일 스트링(13)은 그 길이가 길어지고, 타 스트링(13)은 그 길이가 짧아지도록 변형되어, 상기 손잡이(12)가 원래 위치, 혹은 현재 위치의 반대 방향으로 유동되는 경우 상기 스트링(13) 각각에 가해진 힘의 크기와 방향 만큼 반대 방향으로 저항력 및 탄성력이 작용하여 그에 따라 상기 중심 봉(11)에 탄력을 부여하게 된다.
상술한 각 스트링(13)의 탄성 작용에 의해 상기 중심 봉(11)은 상기 손잡이(12)에서 직접 전달되는 힘에 더하여 상기 각 스트링(13)을 통해 전달되는 힘을 함께 받아 보다 탄성적으로 유동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각 스트링(13)의 상기 손잡이(12) 측 단에는, 걸림 볼(13a)이 추가로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손잡이(12)에는 상기 손잡이(12)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되 그 폭이 상기 걸림 볼(13a)의 직경보다 작도록 형성된 관통 공(12a)을 추가로 형성하여, 상기 각 걸림 볼(13a)이 상기 관통 공(12a)의 내측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관통 공(12a)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함으로써 상기 스트링(13)의 상기 손잡이(12) 측 단이 상기 관통 공(13a)의 길이 방향을 따라 유동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12)를 유동시킴으로써 상기 스트링(13)을 통해 상기 중심 봉(11)에 힘이 전달되는 과정에서, 상기 스트링(13)에 가해지는 힘이 여과 없이 상기 중심 봉(11)에 전달되는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수영용 보조 기구에 탑승한 사용자가 상기 중심 봉(11)이 좌우로 크게 유동됨에 따라 함께 좌우로 흔들리게 되어 불안한 탑승 상태를 가지게 되는 경우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즉, 상기 스트링(13)의 걸림 볼(13a)이 상기 손잡이(12)의 관통 공(12a)의 길이 방향을 따라 유동될 수 있는 여지를 마련하여,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12)에 가하는 힘이 비교적 큰 경우 상기 스트링(13)의 손잡이(12) 측 단의 위치가 이동됨으로써 상기 스트링(13)이 한계 수준 이상 길어지지 않도록 하여 상기 중심 봉(11)에 가해지는 힘을 일정 수준 감소시킬 수 있는 것이다.
특히, 상기 발 안착부(25)가 상기 중심 봉(11)의 일 측에서 연장 형성되어 구비된 경우, 상기 스트링(13)과 그 위치가 겹치도록 배치되어 상기 발 안착부(25)가 상기 스트링(13)의 기능을 방해할 수 있음을 감안하여, 상기 발 안착부(25)가 상기 중심 봉(11)에서 연장 형성되는 경우 상기 스트링(13)과 상기 발 안착부(25)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도록 한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발 안착부(25)는 상기 스트링(13)과 접촉하지 않도록 상기 스트링(13)이 구비된 높이와 다른 높이를 가진 상태에서 연장되도록 하여 상기 스트링(13)의 배면 혹은 정면 일 측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스트링(13)과 상기 발 안착부(25)가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는 경우, 사용자가 발을 상기 발 안착부(25)에 안착시킴으로 인해 상기 발 안착부(25)에 일정 수준의 압력이 가해지더라도 그 압력이 상기 스트링(13)의 탄성 작용에 저항을 주지 않도록 함으로써 상기 중심 봉(11)의 탄력적 유동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구성을 추가함으로써 사용자는 상체 및 허리 등에 무리가 가지 않는 상태를 유지하면서도 일정 수준의 추진력을 가질 수 있도록 하여 보다 안전하고 편안하게 수영을 즐길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상기 스트링(13)의 탄성 운동을 일정 수준에서 제어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스트링(13)을 장기간 사용하는 경우에도 그 내구성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중심 봉(11)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우선 상기 중심 봉(11)은 보다 큰 탄성을 가지도록 하기 위해 복수 개의 파트(11a)를 형성하도록 할 수 있는바, 상기 파트(11a)는 상기 중심 봉(11)을 길이 방향을 따라 각각 일정 길이를 갖도록 복수 개로 나뉘어 형성된 것으로, 외관은 변함이 없으나 그 재질은, 상기 중심 봉(11)에서 손잡이(12)가 형성된 부위 측 단의 재질은 비교적 탄성이 적고, 상기 손잡이(12)가 형성된 부위 측 단의 대향 측 단, 즉 후단으로 갈수록 탄성이 큰 재질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는, 꼬리 측으로 갈수록 탄성이 큰 재질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안착된 부위의 중심 봉(11)은 좌우로 덜 움직이도록 하여 사용자의 안전을 보장하고, 상기 중심 봉(11)의 꼬리는 보다 탄성적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하여 더 큰 추진력을 얻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중심 봉(11)은 원뿔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손잡이(12)가 형성된 측 단에서 그 후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좁아지도록, 즉 꼬리 측으로 갈수록 얇아지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이 역시 상기 파트(11a)를 구비한 것과 같은 목적을 이루기 위함으로, 상기 중심 봉(11)의 효율적인 탄성 운동을 도모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중심 봉(11)을 원뿔 형상으로 형성하는 경우 꼬리 측의 질량이 머리 측의 질량보다 가볍게 되어 보다 안정적으로 꼬리 측 단이 유동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상기 중심 봉(11)에는 탄성 슬릿(11b)을 하나 이상 포함하도록 할 수 있는바, 탄성 슬릿(11b)은 상기 중심 봉(11)의 일 측에서 둘레를 따라 함입 형성된 것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 바람직하게는 3~4개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탄성 슬릿(11b)은 상기 중심 봉(11)이 보다 부드럽게 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며, 그 위치는 필요에 따라 특정될 수 있을 것이나, 상기 각 파트(11a)의 이음부에 형성되도록 하여 탄성이 부드럽게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술한 각 실시예들은 모두 상기 중심 봉(11)이 보다 탄성적으로 유동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인데, 이는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12)를 잡고 유동시킴에 따라 그에 가해지는 힘이 상기 중심 봉(11)을 보다 탄력적으로 유동시킬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가 보다 편리하게 본 발명에 따른 수영용 보조 기구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영 보조 기구의 구성 및 작용을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표현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여 본 발명의 사상이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메인 바디 11: 중심 봉
11a: 파트 11b: 탄성 슬릿
12: 손잡이 12a: 관통 공
13: 스트링 13a: 걸림 볼
20: 보조 바디 21: 선단부
22: 중심부 23: 끝단부
25: 발 안착부

Claims (7)

  1. 수영용 보조 기구로서,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되 탄성이 큰 재질로 이루어진 중심 봉과,
    상기 중심 봉의 일 단 부위에서 좌우측으로 수직 연장된 손잡이로 이루어진 메인 바디;와,
    상기 손잡이의 양 단 부위를 제외한 상기 메인 바디를 감싸도록 형성되되 부력을 가진 재질로 이루어진 보조 바디;를 포함하여,
    사용자가 탑승한 상태에서 상기 손잡이에 가하는 힘이 상기 중심 봉을 따라 전달되어 상기 중심 봉의 타 단 부위가 좌우로 유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영용 보조 기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바디는,
    상기 손잡이 측을 감싸는 부위는 발포 폴리 스타이렌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중심 봉의 길이 방향의 중앙 부위를 감싸는 부위는 튜브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중심 봉의 후단을 감싸는 부위는 고무판으로 이루어지되 내 측에 상기 중심 봉을 감싼 상태에서 세로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영용 보조 기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바디에는,
    일 단이 상기 손잡이에서 상기 중심 봉과 일정 간격 이격된 양 부위와 각각 연결되고, 타 단이 상기 중심 봉의 일 측과 연결되되 탄성이 있는 고무 재질로 이루어진 한 쌍의 스트링;이 추가로 형성되어,
    상기 손잡이에서 발생되는 힘이 상기 스트링을 매개로 상기 중심 봉에 탄성적으로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영용 보조 기구.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는,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관통 공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스트링의 상기 손잡이 측 단에는,
    상기 관통 공의 내측에 삽입되어 상기 관통 공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걸림 볼이 추가로 포함되어,
    상기 스트링의 상기 손잡이 측 단이 상기 관통 공을 따라 좌우로 유동 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영용 보조 기구.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 봉은,
    길이 방향을 따라 각각 일정 길이를 갖도록 나뉜 복수 개의 파트를 형성하고,
    상기 복수 개의 파트는,
    상기 손잡이가 형성된 부위 측 단에서 후단으로 갈수록 탄성이 큰 재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영 보조용 기구.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 봉은,
    상기 손잡이가 형성된 부위 측 단에서 후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좁아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영 보조용 기구.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 봉은,
    각 파트의 이음 부위에서 둘레를 따라 함입 형성된 탄성 슬릿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영 보조용 기구.
KR1020100077602A 2010-08-12 2010-08-12 수영용 보조 기구 KR1012124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7602A KR101212467B1 (ko) 2010-08-12 2010-08-12 수영용 보조 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7602A KR101212467B1 (ko) 2010-08-12 2010-08-12 수영용 보조 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5471A KR20120015471A (ko) 2012-02-22
KR101212467B1 true KR101212467B1 (ko) 2012-12-14

Family

ID=458381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7602A KR101212467B1 (ko) 2010-08-12 2010-08-12 수영용 보조 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2467B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18067A (ko) 2015-09-30 2015-10-21 김정훈 수영보조장치
KR20160075427A (ko) 2016-06-09 2016-06-29 김정훈 수영보조장치
KR20160075426A (ko) 2016-06-09 2016-06-29 김정훈 수영보조장치
KR20160075425A (ko) 2016-06-09 2016-06-29 김정훈 수영보조장치
KR20160084350A (ko) 2016-07-02 2016-07-13 김정훈 수영보조장치
KR20180134822A (ko) 2018-12-11 2018-12-19 김정훈 수영보조장치
KR20200003775A (ko) 2019-12-31 2020-01-10 김정훈 수영보조장치
KR20200058369A (ko) 2020-05-21 2020-05-27 김정훈 수영보조장치
KR20200123063A (ko) 2020-10-21 2020-10-28 김정훈 수영보조장치
KR20210037648A (ko) 2020-10-21 2021-04-06 김정훈 수영보조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5490Y1 (ko) 2000-09-21 2001-03-15 선우찬 레져용 물놀이 기구
US6375530B1 (en) 2001-01-31 2002-04-23 Milan Dennis Earl Whaletail swimming device
JP2006149447A (ja) 2004-11-25 2006-06-15 Yamaha Motor Co Ltd 水泳補助具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5490Y1 (ko) 2000-09-21 2001-03-15 선우찬 레져용 물놀이 기구
US6375530B1 (en) 2001-01-31 2002-04-23 Milan Dennis Earl Whaletail swimming device
JP2006149447A (ja) 2004-11-25 2006-06-15 Yamaha Motor Co Ltd 水泳補助具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18067A (ko) 2015-09-30 2015-10-21 김정훈 수영보조장치
KR20160075427A (ko) 2016-06-09 2016-06-29 김정훈 수영보조장치
KR20160075426A (ko) 2016-06-09 2016-06-29 김정훈 수영보조장치
KR20160075425A (ko) 2016-06-09 2016-06-29 김정훈 수영보조장치
KR20160084350A (ko) 2016-07-02 2016-07-13 김정훈 수영보조장치
KR20180134822A (ko) 2018-12-11 2018-12-19 김정훈 수영보조장치
KR20200003775A (ko) 2019-12-31 2020-01-10 김정훈 수영보조장치
KR20200058369A (ko) 2020-05-21 2020-05-27 김정훈 수영보조장치
KR20200123063A (ko) 2020-10-21 2020-10-28 김정훈 수영보조장치
KR20210037648A (ko) 2020-10-21 2021-04-06 김정훈 수영보조장치
KR20210116396A (ko) 2021-03-28 2021-09-27 김정훈 수영보조장치
KR20220031886A (ko) 2021-03-28 2022-03-14 김정훈 수영보조장치
KR20220116418A (ko) 2021-03-28 2022-08-23 김정훈 수영보조장치
KR20230124528A (ko) 2021-03-28 2023-08-25 김정훈 수영보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5471A (ko) 2012-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2467B1 (ko) 수영용 보조 기구
US7648449B1 (en) Aquatic exercise device
JP6230080B2 (ja) 水泳補助具
AU2021200478B2 (en) Aqua exercise equipment
KR101559659B1 (ko) 수영보조장치
US6887186B2 (en) Water aerobic exercise float
US8622746B2 (en) Buoyant device for teaching and training
KR101809263B1 (ko) 수영보조장치
CN206315440U (zh) 一种帆船运动员核心稳定性训练装置
US6692322B1 (en) Flotation device for water activities
US3232608A (en) Water sports toys
US7153247B1 (en) Underwater exerciser apparatus
KR101632497B1 (ko) 수영 보조 기구
CN203954605U (zh) 一种瘦身跳跳球
KR101643852B1 (ko) 수영보조장치
US8057369B1 (en) Buoyant aquatic exercise chair
KR101637873B1 (ko) 수영보조장치
KR102658781B1 (ko) 수영보조장치
CN204395329U (zh) 臂力综合健身机
KR102116642B1 (ko) 수영보조장치
KR102171415B1 (ko) 수영보조장치
KR101930223B1 (ko) 수영보조장치
KR101900221B1 (ko) 수영보조장치
KR101847203B1 (ko) 수영보조장치
KR101860700B1 (ko) 수영보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