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33895A - 더블 롯드를 구비한 지반 개량 보강용 천공기계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지반 개량 보강공법 - Google Patents

더블 롯드를 구비한 지반 개량 보강용 천공기계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지반 개량 보강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33895A
KR20160033895A KR1020140124687A KR20140124687A KR20160033895A KR 20160033895 A KR20160033895 A KR 20160033895A KR 1020140124687 A KR1020140124687 A KR 1020140124687A KR 20140124687 A KR20140124687 A KR 20140124687A KR 20160033895 A KR20160033895 A KR 201600338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box
rod
sliding
ground
control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246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식
Original Assignee
이영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영식 filed Critical 이영식
Priority to KR10201401246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33895A/ko
Publication of KR201600338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389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00Improving or preserving soil or rock, e.g. preserving permafrost soi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00Improving or preserving soil or rock, e.g. preserving permafrost soil
    • E02D3/02Improving by compacting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00Improving or preserving soil or rock, e.g. preserving permafrost soil
    • E02D3/12Consolidating by placing solidifying or pore-filling substances in the soi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00Improving or preserving soil or rock, e.g. preserving permafrost soil
    • E02D3/12Consolidating by placing solidifying or pore-filling substances in the soil
    • E02D3/123Consolidating by placing solidifying or pore-filling substances in the soil and compacting the soi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solidation Of Soil By Introduction Of Solidifying Substances Into Soi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반을 한 번에 두 개씩 동시에 천공함과 동시에 에어, 절삭수, 급결반응제 및 경화제 또는 몰탈을 주입함으로써 지반 개량 보강 시공작업을 단축할 수 있도록 하는 더블 롯드를 구비한 지반 개량 보강용 천공기계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지반 개량 보강공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제1가로지지대(1014)와 제2가로지지대(1016)의 상면에 설치된 가이드패널(1018)과; 상기 가이드패널(1018)의 정면 상부 일측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제어부(1004)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1004)의 제어신호에 따라 가이드패널(1018)을 타고 상 또는 하로 슬라이딩하는 슬라이딩부(1020)와; 상기 슬라이딩부(1020)의 내부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제어부(1004)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1004)의 제어신호에 따라 회전하는 제1기어박스(1022)와; 상기 제1기어박스(1022)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상기 슬라이딩부(1020)의 내부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제어부(1004)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1004)의 제어신호에 따라 회전하는 제2기어박스(1024)와; 상기 제1기어박스(1022)에 연결되어 회전됨과 아울러 상기 슬라이딩부(1020)의 슬라이딩에 따라 상 또는 하로 슬라이딩하는 제1롯드(1026) 등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더블 롯드를 구비한 지반 개량 보강용 천공기계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지반 개량 보강공법{Boring machine having Duble Rod rod it's method}
본 발명은 더블 롯드를 구비한 지반 개량 보강용 천공기계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지반 개량 보강공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지반을 한 번에 두 개씩 동시에 천공함과 동시에 에어, 절삭수, 급결반응제 및 경화제 또는 몰탈을 주입함으로써 지반 개량 보강 시공작업을 단축할 수 있도록 하는 더블 롯드를 구비한 지반 개량 보강용 천공기계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지반 개량 보강공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반 보강용 천공기계장치(10)는 도 1 내지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도시는 생략함)를 구비하고 있는 본체(12)와; 상기 본체(12)의 일측에 설치된 레일(14)과; 상기 레일(14)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제어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와이어(16)를 상, 하로 슬라이딩시켜 주는 와이어조절부(18)와; 상기 레일(14)의 일측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와이어(16)에 연결되어 상기 와이어(16)의 슬라이딩에 따라 레일(14)을 타고 상, 하로 슬라이딩하는 기어박스(20)와; 상기 기어박스(20)에 연결되고, 상기 기어박스(20)의 슬라이딩에 따라 상, 하로 슬라이딩하는 롯드(rod)(22)와; 상기 롯드(22)의 끝단부에 나사 결합 되어 지반을 천공하는 천공해머(2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롯드(22)의 내부에는 3개의 유로관(30)(32)(34)이 설치있되, 상기 유로관(30)은 몰탈유로관 또는 경화제유로관 이고, 상기 유로관(32)은 반응제유로관 이며, 상기 유로관(34)은 절삭수유로관이다.
상기 롯드(22)의 상단부에는 몰탈주입호스(도시는 생략함), 경화제호스(도시는 생략함), 반응제주입호스(도시는 생략함), 절삭수주입호스(도시는 생략함)가 설치된다.
한편, 종래의 다른 지반 보강용 천공기계장치는 2013년 06월 26일자 출원번호 제10-2013-0073433호(발명의 명칭 : 4중관과 그에 따른 선단장치를 구비한 지반 보강용 천공기계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지반 보강공법)로 특허청에 출원된바 있으며, 특허청구범위는 " 본체(102)와; 상기 본체(102)의 일측에 설치되어 기 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라 지반 보강용 천공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104)와; 상기 본체(102)의 일측에 설치된 수직지지대(106)와; 상기 수직지지대(106)의 정면 하부에 설치되고 가이드공(108)을 갖는 이탈방지부(110)와; 상기 수직지지대(106)의 정면 중앙에 설치된 가이드패널(500)과; 상기 가이드패널(500)의 정면 중앙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제어부(104)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104)의 제어신호에 따라 가이드패널(500)을 타고 상, 하로 슬라이딩하는 기어박스(934)와; 상기 기어박스(934)에 연결되고, 상기 기어박스(934)의 슬라이딩에 따라 상, 하로 슬라이딩하는 4중관의 롯드(900)와; 상기 4중관의 롯드(900)의 끝단부에 결합 되어 천공된 지반으로 에어 분사, 절삭수 분사, 급결반응제 분사 및 경화제 또는 몰탈 분사하는 4중관의 선단장치(600)와; 상기 본체(102)의 일측에 설치되되, 상기 제어부(104)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104)의 제어신호에 따라 사용자에게 경고음을 보내는 경고부(142)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4중관의 롯드(900)의 내부에는 4개의 유로관(200)(202)(204)(206)이 설치되어 있되, 상기 유로관(200)은 경화제 또는 몰탈유로관이며, 상기 유로관(202)은 급결반응제유로관이고, 상기 유로관(204)은 절삭수유로관이며, 상기 유로관(206)은 에어유로관이고, 상기 4중관의 선단장치(600)의 내부에는 상기 4중관의 롯드(900)의 유로관(200)(202)(204)(206)에 대응되도록 4개의 유로관(400)(402)(404)(406)이 설치되되, 상기 유로관(400)은 경화제 또는 몰탈유로관이며, 상기 유로관(402)은 급결반응제유로관이고, 상기 유로관(404)은 절삭수유로관이며, 상기 유로관(406)은 에어유로관이고. 상기 4중관의 선단장치(600)의 외면에는 상기 에어유로관(406)과 절삭수유로관(404)에 수평으로 연결되어 에어와 절삭수를 수평으로 분사하는 제1수평노즐(502)이 있고, 상기 제1수평노즐(502)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상기 에어유로관(406)과 절삭수유로관(404)에 하(下)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결되어 에어와 절삭수를 하측으로 분사하는 하방노즐(504)이 있으며, 상기 제1수평노즐(502)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상기 에어유로관(406)과 절삭수유로관(404)에 상(上)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결되어 에어와 절삭수를 상측으로 분사하는 상방노즐(506)이 있고, 상기 상방노즐(506)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상기 경화제 또는 몰탈유로관(400)과 급결반응제유로관(402)에 수평으로 연결되어 경화제 또는 몰탈과 급결반응제를 수평으로 분사하는 제2수평노즐(508)이 있고, 상기 제2수평노즐(508)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동일선상에 위치됨과 아울러 상기 경화제 또는 몰탈유로관(400)과 급결반응제유로관(402)에 연결되어 경화제 또는 몰탈과 급결반응제를 수평으로 분사하는 제3수평노즐(510)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4중관과 그에 따른 선단장치를 구비한 지반 보강용 천공기계장치. " 이다.
그러나, 상기한 4중관과 그에 따른 선단장치를 구비한 지반 보강용 천공기계장치는 전방에 하나의 롯드만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지반을 하나씩 천공한 후, 천공된 지반으로 에어, 절삭수, 급결반응제 및 경화제 또는 몰탈을 주입해야 하는바, 지반 보강 시공작업을 단축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로 인해, 장시간의 시공작업이 이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에 따른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량발명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지반을 한 번에 두 개씩 동시에 천공함과 동시에 에어, 절삭수, 급결반응제 및 경화제 또는 몰탈을 주입함으로써 지반 개량 보강 시공작업을 단축할 수 있도록 하는 더블 롯드를 구비한 지반 개량 보강용 천공기계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지반 개량 보강공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더블 롯드를 구비한 지반 개량 보강용 천공기계장치는,
본체(1002)와;
상기 본체(1002)의 일측에 설치되어 기 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라 지반 개량 보강용 천공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1004)와;
상기 본체(1002)의 일측에 설치된 수직지지대(1006)와;
상기 수직지지대(1006)의 정면 하부 일측에 설치되고 가이드공(1008)을 갖는 제1이탈방지부(1010)와;
상기 제1이탈방지부(1010)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상기 수직지지대(1006)의 정면 하부 일측에 설치되고 가이드공(1008)을 갖는 제2이탈방지부(1012)와;
상기 수직지지대(1006)의 정면 상부에 설치된 제1가로지지대(1014)와;
상기 제1가로지지대(1014)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상기 수직지지대(1006)의 정면 중부에 설치된 제2가로지지대(1016)와;
상기 제1가로지지대(1014)와 제2가로지지대(1016)의 상면에 설치된 가이드패널(1018)과;
상기 가이드패널(1018)의 정면 상부 일측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제어부(1004)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1004)의 제어신호에 따라 가이드패널(1018)을 타고 상 또는 하로 슬라이딩하는 슬라이딩부(1020)와;
상기 슬라이딩부(1020)의 내부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제어부(1004)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1004)의 제어신호에 따라 회전하는 제1기어박스(1022)와;
상기 제1기어박스(1022)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상기 슬라이딩부(1020)의 내부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제어부(1004)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1004)의 제어신호에 따라 회전하는 제2기어박스(1024)와;
상기 제1기어박스(1022)에 연결되어 회전됨과 아울러 상기 슬라이딩부(1020)의 슬라이딩에 따라 상 또는 하로 슬라이딩하는 제1롯드(1026)와;
상기 제1롯드(1026)의 끝단부에 결합 되어 천공된 지반으로 에어 분사, 절삭수 분사, 급결반응제 분사 및 경화제 또는 몰탈 분사하는 제1선단장치(1028)와;
상기 제1선단장치(1028)에 결합 되어 지반을 천공하는 제1천공비트(1030)와;
상기 제2기어박스(1024)에 연결되어 회전됨과 아울러 상기 슬라이딩부(1020)의 슬라이딩에 따라 상 또는 하로 슬라이딩하는 제2롯드(1032)와;
상기 제2롯드(1032)의 끝단부에 결합 되어 천공된 지반으로 에어 분사, 절삭수 분사, 급결반응제 분사 및 경화제 또는 몰탈 분사하는 제2선단장치(1034)와;
상기 제2선단장치(1034)에 결합 되어 지반을 천공하는 제2천공비트(1036)를 포함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더블 롯드를 구비한 지반 개량 보강용 천공기계장치를 이용한 지반 개량 보강공법은,
슬라이딩부(1020)로 제어신호를 보내는 제1단계와;
상기 제1단계 후, 슬라이딩부(1020)를 하측으로 슬라이딩시킨 후, 제1기어박스(1022) 및 제2기어박스(1024)로 제어신호를 보내는 제2단계와;
상기 제2단계 후, 제1기어박스(1022)에 연결된 제1롯드(1026)를 회전 그리고 제2기어박스(1024)에 연결된 제2롯드(1032)를 회전시켜 동시에 두 개씩 지반을 천공함과 아울러 지반으로 에어, 절삭수, 급결반응제, 경화제 또는 몰탈을 주입하는 제3단계를 포함한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더블 롯드를 구비한 지반 개량 보강용 천공기계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지반 개량 보강공법은 지반을 한 번에 두 개씩 동시에 천공함으로써 천공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천공된 두 개의 지반으로 동시에 에어, 절삭수, 급결반응제 및 경화제 또는 몰탈을 주입함으로써 주입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지반 개량 보강 시공작업을 단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지반 보강용 천공기계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2a는 도 1의 롯드의 끝단부에 나사 결합 되는 분사비트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b는 도 1의 롯드 및 분사비트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더블 롯드를 구비한 지반 개량 보강용 천공기계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3의 더블 롯드를 구비한 지반 개량 보강용 천공기계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더블 롯드를 구비한 지반 개량 보강용 천공기계장치의 사용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더블 롯드를 구비한 지반 개량 보강용 천공기계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도 6의 더블 롯드를 구비한 지반 개량 보강용 천공기계장치의 사용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더블 롯드를 구비한 지반 개량 보강용 천공기계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지반 개량 보강공법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더블 롯드를 구비한 지반 개량 보강용 천공기계장치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도 3의 더블 롯드를 구비한 지반 개량 보강용 천공기계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더블 롯드를 구비한 지반 개량 보강용 천공기계장치(1000)는,
본체(1002)와;
상기 본체(1002)의 일측에 설치되어 기 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라 지반 개량 보강용 천공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1004)와;
상기 본체(1002)의 일측에 설치된 수직지지대(1006)와;
상기 수직지지대(1006)의 정면 하부 일측에 설치되고 가이드공(1008)을 갖는 제1이탈방지부(1010)와;
상기 제1이탈방지부(1010)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상기 수직지지대(1006)의 정면 하부 일측에 설치되고 가이드공(1008)을 갖는 제2이탈방지부(1012)와;
상기 수직지지대(1006)의 정면 상부에 설치된 제1가로지지대(1014)와;
상기 제1가로지지대(1014)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상기 수직지지대(1006)의 정면 중부에 설치된 제2가로지지대(1016)와;
상기 제1가로지지대(1014)와 제2가로지지대(1016)의 상면에 설치된 가이드패널(1018)과;
상기 가이드패널(1018)의 정면 상부 일측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제어부(1004)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1004)의 제어신호에 따라 가이드패널(1018)을 타고 상 또는 하로 슬라이딩하는 슬라이딩부(1020)와;
상기 슬라이딩부(1020)의 내부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제어부(1004)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1004)의 제어신호에 따라 회전하는 제1기어박스(1022)와;
상기 제1기어박스(1022)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상기 슬라이딩부(1020)의 내부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제어부(1004)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1004)의 제어신호에 따라 회전하는 제2기어박스(1024)와;
상기 제1기어박스(1022)에 연결되어 회전됨과 아울러 상기 슬라이딩부(1020)의 슬라이딩에 따라 상 또는 하로 슬라이딩하는 제1롯드(1026)와;
상기 제1롯드(1026)의 끝단부에 결합 되어 천공된 지반으로 에어 분사, 절삭수 분사, 급결반응제 분사 및 경화제 또는 몰탈 분사하는 제1선단장치(1028)와;
상기 제1선단장치(1028)에 결합 되어 지반을 천공하는 제1천공비트(1030)와;
상기 제2기어박스(1024)에 연결되어 회전됨과 아울러 상기 슬라이딩부(1020)의 슬라이딩에 따라 상 또는 하로 슬라이딩하는 제2롯드(1032)와;
상기 제2롯드(1032)의 끝단부에 결합 되어 천공된 지반으로 에어 분사, 절삭수 분사, 급결반응제 분사 및 경화제 또는 몰탈 분사하는 제2선단장치(1034)와;
상기 제2선단장치(1034)에 결합 되어 지반을 천공하는 제2천공비트(1036)와;
상기 본체(1002)의 일측에 설치되되, 상기 제어부(1004)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1004)의 제어신호에 따라 사용자에게 경고음을 보내는 경고부(1038)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슬라이딩부(1020)와 제1기어박스(1022)와 제2기어박스(1024)는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더블 롯드를 구비한 지반 개량 보강용 천공기계장치의 조립과정 및 지반 개량 보강과정을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상기 본 발명에 따른 더블 롯드를 구비한 지반 개량 보강용 천공기계장치(1000)의 조립순서는 조립자에 얼마든지 변경될 수 있다.
먼저, 제어부(1004)와 경고부(1038)를 구비하고 있는 본체(1002)를 위치시킨 후, 상기 본체(1002)의 일측에 수직지지대(1006)를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수직지지대(1006)의 정면 하부 일측에 가이드공(1008)을 갖는 제1이탈방지부(1010)를 설치한 후, 상기 제1이탈방지부(1010)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상기 수직지지대(1006)의 정면 하부 일측에 가이드공(1008)을 갖는 제2이탈방지부(1012)를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수직지지대(1006)의 정면 상부에 제1가로지지대(1014)를 설치한 후, 상기 제1가로지지대(1014)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상기 수직지지대(1006)의 정면 중부에 제2가로지지대(1016)를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제1가로지지대(112)의 상면과 제2가로지지대(112)의 상면에 가이드패널(1018)을 설치한다.
그리고, 제1기어박스(1022)와 제2기어박스(1024)를 구비하고 있는 슬라이딩부(1020)를 위치시킨 후, 상기 슬라이딩부(1020)를 가이드패널(1018)의 정면 일측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제1기어박스(1022)에 회전 가능하게 제1롯드(1026)를 설치한 후, 상기 제1롯드(1026)의 끝단부에 천공된 지반으로 에어 분사, 절삭수 분사, 급결반응제 분사 및 경화제 또는 몰탈 분사하는 제1선단장치(1028)를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제1선단장치(1028)에 지반을 천공하는 제1천공비트(1030)를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제2기어박스(1024)에 회전 가능하게 제2롯드(1032)를 설치한 후, 상기 제2롯드(1032)의 끝단부에 천공된 지반으로 에어 분사, 절삭수 분사, 급결반응제 분사 및 경화제 또는 몰탈 분사하는 제2선단장치(1034)를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제2선단장치(1034)에 지반을 천공하는 제2천공비트(1036)를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004)에 경고부(1038), 슬라이딩부(1020), 제1기어박스(1022) 및 제2기어박스(1024)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그리고, 상기 제1롯드(1026) 및 제2롯드(1032)의 상단부에 에어주입호스(300), 반응제주입호스(302), 절삭수주입호스(304), 몰탈주입호스(306), 경화제주입호스(308)를 설치한다.
여기서, 상기 에어주입호스(300)는 에어공급탱크(도시는 생략함)에 연결되고, 반응제주입호스(302)는 반응제공급탱크(도시는 생략함)에 연결되며, 절삭수주입호스(304)는 절삭수공급탱크(도시는 생략함)에 연결되고, 몰탈주입호스(306)는 몰탈공급탱크(도시는 생략함)에 연결되며, 경화제주입호스(308)는 경화제공급탱크(도시는 생략함)에 연결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더블 롯드를 구비한 지반 개량 보강용 천공기계장치(1000)의 조립이 완료되고,
지반을 천공하고자 할 경우,
본체(1002)에 구비된 제어부(1004)는 슬라이딩부(1020)로 제어신호를 보낸다.
상기 제어부(1004)의 제어신호에 따라 슬라이딩부(1020)는 가이드패널(1018)을 타고 하측으로 슬라이딩한다. 이때, 제1기어박스(1022)에 연결된 제1롯드(1026)가 하측으로, 제2기어박스(1024)에 연결된 제2롯드(1032)가 하측으로 슬라이딩된다.
상기 제1롯드(1026)의 슬라이딩에 따라 제1천공비트(1030)가 제1이탈방지부(1010)의 가이드공(1006)을 관통하여 지반에 위치하고, 상기 제2롯드(1032)의 슬라이딩에 따라 제2천공비트(1036)가 제2이탈방지부(1012)의 가이드공(1006)을 관통하여 지반에 위치한다.
그리고 제어부(1004)는 제1기어박스(1022)와 제2기어박스(1024)로 제어신호를 보낸다.
상기 제어부(1004)의 제어신호에 따라 제1기어박스(1022)와 제2기어박스(1024)는 회전을 한다. 이때, 제1기어박스(1022)의 회전에 따라 제1천공비트(1030)가 지반을 천공하고, 제2기어박스(1024)의 회전에 따라 제2천공비트(1036)가 지반을 천공한다.
그리고, 지반의 천공이 완료되면, 상기 제어부(1004)는 공급장치(도시는 생략함)로 제어신호를 보낸다.
그리고, 상기 공급장치는 제1롯드(1026) 및 제2롯드(1032)로 에어, 절삭수, 급결반응제, 경화제 또는 몰탈을 공급한다.
따라서, 제1롯드(1026)에 설치된 제1선단장치(1028)와 제2롯드(1032)에 설치된 제1선단장치(1034)는 분사구를 통해 지반으로 에어, 절삭수, 급결반응제, 경화제 또는 몰탈을 주입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더블 롯드를 구비한 지반 개량 보강용 천공기계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도 6의 더블 롯드를 구비한 지반 개량 보강용 천공기계장치의 사용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롯드(1026)의 끝단부에 천공해머(2000)를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롯드는 단관 또는 2중관 또는 3중관 또는 4중관 등이 있으며, 지층에 따라 단관 또는 2중관 또는 3중관 또는 4중관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예시적인 것으로서,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더블 롯드를 구비한 지반 개량 보강용 천공기계장치
1002 : 본체 1004 : 제어부
1006 : 수직지지대 108 : 가이드공
1010 : 제1이탈방지부 1012 : 제2이탈방지부
1014 : 제1가로지지대 1016 : 제2가로지지대
1018 : 가이드패널 1020 : 슬라이딩부
1022 : 제1기어박스 1024 : 제2기어박스
1026 : 제1롯드 1028 : 제1선단장치
1030 : 제1천공비트 1032 : 제2롯드
1034 : 제2선단장치 1036 : 제2천공비트

Claims (5)

  1. 가이드패널(1018)과;
    상기 가이드패널(1018)의 정면 상부 일측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됨과 아울러 제어부(1004)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1004)의 제어신호에 따라 가이드패널(1018)을 타고 상 또는 하로 슬라이딩하는 슬라이딩부(1020)와;
    상기 슬라이딩부(1020)의 내부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됨과 아울러 제어부(1004)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1004)의 제어신호에 따라 회전하는 제1기어박스(1022)와;
    상기 제1기어박스(1022)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상기 슬라이딩부(1020)의 내부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됨과 아울러 제어부(1004)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1004)의 제어신호에 따라 회전하는 제2기어박스(1024)와;
    상기 제1기어박스(1022)에 연결되어 회전하여 지반을 천공한 후, 주입을 하는 제1롯드(1026)와;
    상기 제2기어박스(1024)에 연결되어 회전하여 지반을 천공한 후, 주입을 하는 제2롯드(1032)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 롯드를 구비한 지반 개량 보강용 천공기계장치.
  2. 본체(1002)와;
    상기 본체(1002)의 일측에 설치되어 기 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라 지반 개량 보강용 천공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1004)와;
    상기 본체(1002)의 일측에 설치된 수직지지대(1006)와;
    상기 수직지지대(1006)의 정면 하부 일측에 설치되고 가이드공(1008)을 갖는 제1이탈방지부(1010)와;
    상기 제1이탈방지부(1010)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상기 수직지지대(1006)의 정면 하부 일측에 설치되고 가이드공(1008)을 갖는 제2이탈방지부(1012)와;
    상기 수직지지대(1006)의 정면 상부에 설치된 제1가로지지대(1014)와;
    상기 제1가로지지대(1014)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상기 수직지지대(1006)의 정면 중부에 설치된 제2가로지지대(1016)와;
    상기 제1가로지지대(1014)와 제2가로지지대(1016)의 상면에 설치된 가이드패널(1018)과;
    상기 가이드패널(1018)의 정면 상부 일측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제어부(1004)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1004)의 제어신호에 따라 가이드패널(1018)을 타고 상 또는 하로 슬라이딩하는 슬라이딩부(1020)와;
    상기 슬라이딩부(1020)의 내부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제어부(1004)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1004)의 제어신호에 따라 회전하는 제1기어박스(1022)와;
    상기 제1기어박스(1022)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상기 슬라이딩부(1020)의 내부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제어부(1004)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1004)의 제어신호에 따라 회전하는 제2기어박스(1024)와;
    상기 제1기어박스(1022)에 연결되어 회전됨과 아울러 상기 슬라이딩부(1020)의 슬라이딩에 따라 상 또는 하로 슬라이딩하는 제1롯드(1026)와;
    상기 제1롯드(1026)의 끝단부에 결합 되어 천공된 지반으로 에어 분사, 절삭수 분사, 급결반응제 분사 및 경화제 또는 몰탈 분사하는 제1선단장치(1028)와;
    상기 제1선단장치(1028)에 결합 되어 지반을 천공하는 제1천공비트(1030)와;
    상기 제2기어박스(1024)에 연결되어 회전됨과 아울러 상기 슬라이딩부(1020)의 슬라이딩에 따라 상 또는 하로 슬라이딩하는 제2롯드(1032)와;
    상기 제2롯드(1032)의 끝단부에 결합 되어 천공된 지반으로 에어 분사, 절삭수 분사, 급결반응제 분사 및 경화제 또는 몰탈 분사하는 제2선단장치(1034)와;
    상기 제2선단장치(1034)에 결합 되어 지반을 천공하는 제2천공비트(1036)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 롯드를 구비한 지반 개량 보강용 천공기계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부(1020)와 제1기어박스(1022)와 제2기어박스(1024)는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 롯드를 구비한 지반 개량 보강용 천공기계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롯드(1026) 또는 제2롯드(1032)에 천공해머(2000)를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 롯드를 구비한 지반 개량 보강용 천공기계장치.
  5. 슬라이딩부(1020)로 제어신호를 보내는 제1단계와;
    상기 제1단계 후, 슬라이딩부(1020)를 하측으로 슬라이딩시킨 후, 제1기어박스(1022) 및 제2기어박스(1024)로 제어신호를 보내는 제2단계와;
    상기 제2단계 후, 제1기어박스(1022)에 연결된 제1롯드(1026)를 회전 그리고 제2기어박스(1024)에 연결된 제2롯드(1032)를 회전시켜 동시에 두 개씩 지반을 천공함과 아울러 지반으로 에어, 절삭수, 급결반응제, 경화제 또는 몰탈을 주입하는 제3단계를 포함한 더블 롯드를 구비한 지반 개량 보강용 천공기계장치를 이용한 지반 개량 보강공법.






KR1020140124687A 2014-09-19 2014-09-19 더블 롯드를 구비한 지반 개량 보강용 천공기계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지반 개량 보강공법 KR2016003389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4687A KR20160033895A (ko) 2014-09-19 2014-09-19 더블 롯드를 구비한 지반 개량 보강용 천공기계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지반 개량 보강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4687A KR20160033895A (ko) 2014-09-19 2014-09-19 더블 롯드를 구비한 지반 개량 보강용 천공기계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지반 개량 보강공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3895A true KR20160033895A (ko) 2016-03-29

Family

ID=556617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4687A KR20160033895A (ko) 2014-09-19 2014-09-19 더블 롯드를 구비한 지반 개량 보강용 천공기계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지반 개량 보강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33895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27703A (ko) * 2017-05-22 2018-11-30 이영식 두 개의 롯드를 동시에 장착할 수 있는 2축 일체형 헤드기어박스 천공기계장치
KR102080179B1 (ko) * 2018-11-29 2020-02-21 황은아 천공장치
IT202200004631A1 (it) * 2022-03-10 2023-09-10 Casagrande Spa Macchina perforatric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27703A (ko) * 2017-05-22 2018-11-30 이영식 두 개의 롯드를 동시에 장착할 수 있는 2축 일체형 헤드기어박스 천공기계장치
KR102080179B1 (ko) * 2018-11-29 2020-02-21 황은아 천공장치
IT202200004631A1 (it) * 2022-03-10 2023-09-10 Casagrande Spa Macchina perforatr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33895A (ko) 더블 롯드를 구비한 지반 개량 보강용 천공기계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지반 개량 보강공법
KR20140019861A (ko) 복합 파일을 형성하는 기초 공법
KR101960327B1 (ko) 지반 천공과 보강 공법 및 장치
KR20140019860A (ko) 천공장비
JP2009287326A (ja) 既存杭の引き抜き方法
JP2016075040A (ja) 地盤改良工法
JP5250730B2 (ja) 地中固結体造成工法およびその工法を用いて固結体を造成する地中固結体造成装置
KR101872327B1 (ko) 강관을 이용한 수직구 긴급 시공을 이용하여 수직구-수평구로 이루어진 지중 구조물의 시공방법, 및 이에 의해 구축된 수직구-수평구로 이루어진 지중구조물
KR101442822B1 (ko) 직천공 강관 보강 그라우팅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평 고압분사 터널 보강 그라우팅 방법
JP5558280B2 (ja) 高圧噴射攪拌工法
JP2008081942A (ja) 地中壁の通水部施工方法
JP2007284875A (ja) 高圧噴射攪拌による地盤改良工法
KR20180127703A (ko) 두 개의 롯드를 동시에 장착할 수 있는 2축 일체형 헤드기어박스 천공기계장치
KR101589531B1 (ko) 4중관의 선단장치와 3중관의 롯드가 구비된 지반 보강용 천공기계장치
KR101986265B1 (ko) 비원형 단면의 지중 고결체를 형성하기 위한 그라우팅 공법 및 장치
JP5250729B2 (ja) 地中固結体造成工法およびその工法を用いて固結体を造成する地中固結体造成装置
JP5573235B2 (ja) 噴射攪拌装置及び地盤改良方法
KR101551202B1 (ko) 천공기와 바스터를 이용한 강관 추진장치 및 그 방법
KR101350200B1 (ko) 4중관과 그에 따른 선단장치를 구비한 지반 보강용 천공기계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지반 보강공법
JP2017106265A (ja) 高圧噴射撹拌工法及びこれに用いる地盤改良装置
JP5755298B2 (ja) 薬液注入工法
EP1099799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ducing a high pressure grouted foundation pile
KR101387119B1 (ko) 관 삽입형 천공장치
KR101990875B1 (ko) 천공수 배출장치를 이용한 고압 분사 그라우팅 시스템 및 고압 분사 그라우팅 공법
KR102225882B1 (ko) 더블 케이싱을 이용한 압밀그라우팅 공법 및 이에 이용되는 더블 케이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