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33605A - 콘텐트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콘텐트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33605A
KR20160033605A KR1020150126452A KR20150126452A KR20160033605A KR 20160033605 A KR20160033605 A KR 20160033605A KR 1020150126452 A KR1020150126452 A KR 1020150126452A KR 20150126452 A KR20150126452 A KR 20150126452A KR 20160033605 A KR20160033605 A KR 201600336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pixels
display
electronic device
display lumin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64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샤오휘 찌아오
하이닝 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EP15841148.8A priority Critical patent/EP3196867A4/en
Priority to PCT/KR2015/009520 priority patent/WO2016043472A2/ko
Priority to US15/512,280 priority patent/US20170309216A1/en
Publication of KR201600336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360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007Display of intermediate ton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06F3/013Eye tracking input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10Intensity circu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61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in the context of movement of objects on the screen or movement of the observer relative to the scree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71Adjustment of the gradation levels within the range of the gradation scale, e.g. by redistribution or clipp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4Maintain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13The adjustment depending on the type of the information to be display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13The adjustment depending on the type of the information to be displayed
    • G09G2320/062Adjustment of illumination source paramet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for control of contras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8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with two or more screen areas displaying information with different brightness or colou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2Details of power systems and of start or stop of display operation
    • G09G2330/021Power management, e.g. power sav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2Details of power systems and of start or stop of display operation
    • G09G2330/021Power management, e.g. power saving
    • G09G2330/023Power management, e.g. power saving using energy recovery or conserv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12Overlay of images, i.e. displayed pixel being the result of switching between the corresponding input pixe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54/00Aspects of interface with display use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60/00Aspects of the architecture of display systems
    • G09G2360/14Detecting light within display terminals, e.g. using a single or a plurality of photosensors
    • G09G2360/144Detecting light within display terminals, e.g. using a single or a plurality of photosensors the light being ambient ligh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60/00Aspects of the architecture of display systems
    • G09G2360/16Calculation or use of calculated indices related to luminance levels in display data

Abstract

콘텐트를 구성하는 픽셀들에 대한 픽셀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픽셀들 중 일부 픽셀들의 디스플레이 휘도를 감소키기고, 감소된 디스플레이 휘도에 기초하여 상기 콘텐트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및 전자 디바이스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콘텐트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YING CONTENT}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콘텐트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전력을 절약하여 콘텐트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기술의 제1세대로 일컬어지는 CRT (Cathode Ray Tube), 디스플레이 기술의 제2세대로 일컬어지는 LCD (Liquid Crystal Display) 및 디스플레이 기술의 제3세대로 일컬어지는 OLED (Organic Light-Emitting Diode) 를 거쳐 발전을 거듭하고 있다.
스마트폰, 휴대폰, 태블릿 컴퓨터, 전자책 리더기 등과 같이 기본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한 전자 디바이스는, 대부분의 전력을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동하기 위해 사용한다. 따라서, 전자 디바이스의 휴대성을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소비 전력을 감소시킬 필요가 있다. 즉, 디스플레이 장치가 소비하는 전력과 전자 디바이스의 배터리 가용 시간은 서로 반비례한다.
특히 베터리 기술의 발전 속도가 느리고, 스크린의 크기는 갈수록 커지고 있는 상황에서, 디스플레이 장치가 소비하는 전력을 감소시키는 것은 전자 디바이스 제조업자들의 중요한 과제가 되었다.
전자 디바이스의 소비 전력이 감소되어, 전자 디바이스의 배터리 가용 시간이 증가하면, 사용자가 전자 디바이스를 휴대 시, 더 오랜 시간 동안 전자 디바이스를 이용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의 소비 전력에 대한 연구 결과, 전자 디바이스에 탑재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소비 전력은 전자 디바이스의 소비 전력의 38%-50% 에 달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F.Shearer, Power management in mobile devices, Newnes, 2007). 따라서, 전자 디바이스에 탑재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소비 전력을 감소시킴으로써, 효과적으로 전자 디바이스의 소비 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에 탑재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소비 전력을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 중 하나로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체 휘도를 감소시키는 방법이 이용될 수 있다. 그러나, 디스플레이 장치의 휘도를 전체적으로 감소시키면,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콘텐트들의 시인성 (visibility) 또한 감소하게 되어, 사용자의 불편을 야기한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콘텐트의 시인성 저하를 억제하면서, 디스플레이 장치의 소비 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소비 전력을 감소시키고자 한다.
나아가,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콘텐트의 시인성 (visibility) 저하를 억제하면서, 디스플레이 장치의 소비 전력을 감소시키고자 한다.
더 나아가,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콘텐트의 시인성을 향상시키면서, 디스플레이 장치의 소비 전력을 감소시키고자 한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개시의 제 1 측면은, 콘텐트를 구성하는 픽셀들에 대한 픽셀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픽셀들 중 일부 픽셀들의 디스플레이 휘도를 감소시키는 제어부 및 상기 감소된 디스플레이 휘도에 기초하여 상기 콘텐트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디바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일부 픽셀들은 제1 픽셀그룹에 속하는 복수의 픽셀 및 제2 픽셀그룹에 속하는 복수의 픽셀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픽셀그룹 및 상기 제2 픽셀그룹에 대한 픽셀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픽셀그룹의 디스플레이 휘도는 상기 제2 픽셀그룹의 디스플레이 휘도보다 더 감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디바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픽셀정보는 상기 픽셀들의 현저도 (saliency)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픽셀그룹의 현저도는 상기 제2 픽셀그룹의 현저도보다 더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디바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콘텐트의 콘텐트 타입은 이미지 또는 비디오이고, 상기 픽셀들의 상기 현저도 정보는 상기 픽셀들에 대해 양방향 필터링을 수행하여 획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디바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양방향 필터링은 아래의 수학식에 기초하여 수행되며,
Figure pat00001
, 여기서, B(I)p 는 상기 픽셀들 중 픽셀p가 양방향 필터링된 그래이값이고, N(p) 는 상기 픽셀p의 주변 픽셀들의 집합이고, 픽셀q는 상기 픽셀p의 상기 주변 픽셀들 중 하나이고, Wp는 상기 픽셀p의 상기 주변 픽셀들의 표준화 가중치 (normalization weight) 로서,
Figure pat00002
이고,
Figure pat00003
Figure pat00004
는 표준 편차가
Figure pat00005
Figure pat00006
이고, 평균 값이 0인 가우시안 함수이고,
Figure pat00007
는 상기 픽셀p 및 상기 픽셀q 사이의 유클리드 거리이고, Ip 및 Iq는 상기 픽셀p 및 상기 픽셀q의 그래이값이고,
Figure pat00008
는 상기 픽셀p 및 상기 픽셀q 간의 그래이값 차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디바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픽셀정보는 상기 픽셀들의 수정 그래이값을 포함하고, 상기 픽셀들의 상기 수정 그래이값은, 상기 픽셀들의 현저도 (saliency) 정보, 디테일 디스플레이 수준 (detail display level), 상기 전자 디바이스의 잔여 전력 및 상기 전자 디바이스의 주변광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획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디바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픽셀들의 상기 수정 그래이값은 아래의 수학식에 기초하여 획득되며,
Figure pat00009
, 여기서,
Figure pat00010
는 상기 픽셀들 중 상기 픽셀p의 수정 그래이값이고,
Figure pat00011
는 상기 픽셀p에 대한 파라미터로서,
Figure pat00012
이고,
Figure pat00013
는 상기 디테일 디스플레이 수준에 대한 파라미터로서,
Figure pat00014
이고,
Figure pat00015
인 경우 상기 디테일 디스플레이 수준이 가장 높고,
Figure pat00016
인 경우 상기 디테일 디스플레이 수준이 가장 낮고,
Figure pat00017
는 상기 잔여 전력 및 상기 주변광에 의해 결정된 휘도 수준에 대한 파라미터로서,
Figure pat00018
이고,
Figure pat00019
는 표시 함수 (indication function) 로서,
Figure pat00020
가 [0,1) 범위 내인 경우
Figure pat00021
이고,
Figure pat00022
가 [0,1) 범위 외인 경우
Figure pat00023
이고, 상기 S(p) 는 상기 픽셀p의 현저도이고,
Figure pat00024
은 표시 함수 (indication function) 로서,
Figure pat00025
이 [0,1) 범위 내인 경우
Figure pat00026
이고,
Figure pat00027
이 [0,1) 범위 외인 경우
Figure pat00028
이고, I(p) 는 상기 픽셀p의 그래이값이고,
Figure pat00029
는 상기 픽셀p가 필터링된 그래이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디바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콘텐트의 콘텐트 타입은 텍스트이고, 상기 콘텐트는 텍스트와 상기 텍스트의 배경 (background) 을 포함하고, 상기 일부 픽셀들은 상기 배경에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디바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픽셀정보는 상기 픽셀들의 현저도 (saliency)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배경에 대응되는 상기 일부 픽셀들의 현저도는 미리 결정된 값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디바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픽셀정보는 상기 픽셀들 중 나머지 픽셀들의 현저도 (saliency)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배경에 대응되는 상기 일부 픽셀들에 대한 현저도 정보는 존재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디바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콘텐트의 콘텐트 타입에 따라 상기 콘텐트의 디스플레이 휘도를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디바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콘텐트 타입은 상기 콘텐트 대한 이미지 분석, 또는 상기 콘텐트의 전송 플로우에 기초하여 식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디바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콘텐트의 상기 콘텐트 타입은 텍스트이고, 상기 콘텐트의 디스플레이 휘도는 상기 콘텐트의 상기 콘텐트 타입이 이미지인 경우보다 더 감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디바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콘텐트는 제1 콘텐트이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제1 콘텐트의 적어도 일부와 겹치는 제2 콘텐트를 상기 제1 콘텐트 상에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콘텐트의 디스플레이 휘도를 상기 제2 콘텐트의 디스플레이 휘도보다 더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디바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콘텐트는 제1 콘텐트이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제2 콘텐트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시선 (eye-gaze) 에 기초하여 획득된 사용자 포커스의 위치에 따라, 상기 제1 콘텐트 및 상기 제2 콘텐트 중 하나의 디스플레이 휘도를 다른 하나의 디스플레이 휘도보다 더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디바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콘텐트는 제1 콘텐트이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제2 콘텐트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터치 스크린인 경우, 상기 수신된 터치 입력의 위치에 따라 상기 제1 콘텐트 및 상기 제2 콘텐트 중 하나의 디스플레이 휘도를 다른 하나의 디스플레이 휘도보다 더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디바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제 2 측면은, 전자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콘텐트에 대응되는 픽셀들에 대한 픽셀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픽셀들 중 일부 픽셀들의 디스플레이 휘도를 감소시키는 단계 및 상기 감소된 디스플레이 휘도에 기초하여 상기 콘텐트를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일부 픽셀들은 제1 픽셀그룹에 속하는 복수의 픽셀 및 제2 픽셀그룹에 속하는 복수의 픽셀을 포함하고, 상기 픽셀정보는 상기 픽셀들의 현저도 (saliency)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픽셀그룹 및 상기 제2 픽셀그룹에 대한 현저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픽셀그룹의 디스플레이 휘도는 상기 제2 픽셀그룹의 디스플레이 휘도보다 더 감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픽셀정보는 상기 픽셀들의 수정 그래이값을 포함하고, 상기 픽셀들의 상기 수정 그래이값은, 상기 픽셀들의 현저도 정보, 디테일 디스플레이 수준 (detail display level), 상기 전자 디바이스의 잔여 전력 및 상기 전자 디바이스의 주변광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획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제3 측면은 제1 측면의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a는 종래 방법에 따라, 전자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휘도를 감소시키는 일 예를 도시한다.
도 1b는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휘도를 감소시키는 일 예를 도시한다.
도 2 및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의 블록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라, 픽셀들의 현저도 정보를 이용하여 콘텐트의 디스플레이 휘도를 감소시키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a는 종래 방법에 따라, 디스플레이 휘도가 감소된 콘텐트를 도시한다.
도 5b는 일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휘도가 감소된 콘텐트를 도시한다.
도 6a는 종래 방법에 따라, 디스플레이 휘도가 감소된 콘텐트를 도시한다.
도 6b는 일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휘도가 감소된 콘텐트를 도시한다.
도 7a는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 디바이스에서 콘텐트의 디스플레이 휘도를 감소시키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7b는 일 실시예에 따라, 콘텐트의 콘텐트 타입 및 기타 파라미터에 따라 콘텐트의 디스플레이 휘도를 감소시키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라, 콘텐트의 콘텐트 타입에 따라 콘텐트 간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라, 콘텐트의 겹침 관계에 따라 콘텐트 간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의 포커스 위치에 따라 콘텐트 간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라, 콘텐트의 콘텐트 타입에 따라 디스플레이 휘도를 감소시키는 일 예를 도시한다.
도 12a는 일 실시예에 따라, 콘텐트들 간의 우선순위에 따라 콘텐트의 디스플레이 휘도를 감소시키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2b는 일 실시예에 따라, 콘텐트들 간의 우선순위 및 콘텐트를 구성하는 픽셀들의 픽셀정보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휘도를 감소시키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3a, 도 13b, 및 도 13c는 일 실시예에 따라, 콘텐트들 간의 우선순위 및 콘텐트를 구성하는 픽셀들의 픽셀정보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휘도를 감소시키는 예들을 도시한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실시예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개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특히, 명세서상에 기재된 숫자들은 이해를 돕기 위한 예로서, 본 발명은 명세서상에 기재된 숫자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한다. "…부", "모듈" 등의 구성은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되어, 프로세서 또는 회로와 같은 하드웨어 구성 (hardware component), 및/또는 프로세서와 같은 하드웨어 구성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구성 (software component) 일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실시예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전자 디바이스는 스마트폰, 태블릿, 휴대폰,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미디어 플레이어, PMP (Portable Multimedia Player), 전자책 단말기,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전자 칠판, PC (Personal Computer), 노트북 (laptop), 마이크로 서버,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장치, 네비게이션, 키오스크, MP3 플레이어, 아날로그 TV, 디지털 TV, 3D-TV, 스마트 TV, LED TV, OLED TV, 플라즈마 TV, 모니터, 고정 곡률 (curvature) 인 화면을 가지는 커브드 (curved) TV, 고정 곡률인 화면을 가지는 플렉시블 (flexible) TV, 고정 곡률인 화면을 가지는 벤디드 (bended) TV, 및/또는 수신되는 사용자 입력에 의해 현재 화면의 곡률을 변경가능한 곡률 가변형 TV, 디지털 카메라,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기타 모바일, 또는, 비모바일 컴퓨팅 장치와 같은 전자 장치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서 웨어러블 디바이스라 함은, 통신 기능 및 데이터 프로세싱 기능을 구비한 시계, 팔찌, 반지, 안경, 또는, 헤어 밴드 등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서 콘텐트는 정보처리 시스템에 의하여 전자적 형태로 작성되어 송신, 수신, 또는 저장되는 데이터 자체, 또는 해당 데이터가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시각화된 (visualized) 객체를 의미한다. 콘텐트는 텍스트, 이미지, 비디오, 및, 배경을 포함할 수 있다. 콘텐트는 전자적인 형태로 네트워크 등을 통해 유통 (distribute) 되거나, 공유 (share) 될 수 있다. 콘텐트는 웹기반 (web-based) 으로 제작되어, 인터넷 브라우저 등을 통해 디스플레이되거나, 애플리케이션 기반 (application-based) 으로 제작되어,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디스플레이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한 형식으로 제작되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설명의 편의상 본 명세서에서 전자 디바이스는 스마트폰인 것으로 가정한다.
도 1a는 종래 방법에 따라, 전자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휘도 (display brightness) 를 감소시키는 일 예를 도시한다.
전자 디바이스 (1000) 는 다양한 콘텐트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디바이스 (1000) 에서 지도 이미지 (10) 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 (1000) 의 전력을 절약하기 위해, 전자 디바이스 (1000) 자체 디스플레이 휘도, 또는 전자 디바이스 (1000) 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콘텐트의 디스플레이 휘도가 낮게 설정될 수 있다. 또는, 사용자 설정, 전자 디바이스 (1000) 의 잔여 전력량, 외부의 광량 등에 따라 전자 디바이스 (1000) 자체 디스플레이 휘도, 또는 전자 디바이스 (1000) 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콘텐트의 디스플레이 휘도가 적응적으로 감소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전자 디바이스 (1000) 의 전력을 절약하기 위해, 사용자는 전자 디바이스 (1000) 를 '절전 모드'에서 이용할 수 있고, '절전 모드'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콘텐트들의 디스플레이 휘도는 '정상 모드'에 비해 감소된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디바이스 (1000) 에서 종래 방법에 따라 디스플레이 휘도가 감소되면, 전자 디바이스 (1000) 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디밍된 (dimmed) 지도 이미지 (14a) 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디밍된 지도 이미지 (14a) 의 디스플레이 휘도는 이미지 (14a) 전체적으로 감소했기 때문에,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인성 (visibility) 또한 함께 감소하는 문제가 있다.
도 1b는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휘도를 감소시키는 일 예를 도시한다.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디바이스 (1000) 에서 일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휘도가 감소되면, 전자 디바이스 (1000) 를 통해 디밍된 지도 이미지 (14b) 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디밍된 지도 이미지 (14b) 의 디스플레이 휘도는, 디밍된 지도 이미지 (14b) 내에서 표현된 객체들에 따라 다르게 감소했기 때문에,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a의 종래 방법에 따라 디밍된 지도 이미지 (14a) 보다 시인성 (visibility) 이 더 향상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디바이스 (1000) 의 소비 전력을 절약하면서, 디스플레이 휘도가 감소되더라도, 콘텐트의 시인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의 블록도이다.
전자 디바이스 (1000) 는 콘텐트의 디스플레이 휘도를 감소시키고, 감소된 디스플레이 휘도에 기초하여 콘텐트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 (1000) 는 콘텐트를 구성하는 픽셀들 중 일부 픽셀들의 디스플레이 휘도를 감소시키고, 감소된 디스플레이 휘도에 기초하여 콘텐트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2을 참조하면, 전자 디바이스 (1000) 는 제어부 (1100), 및 디스플레이부 (1900) 를 포함한다.
제어부 (1100) 는 전자 디바이스 (1000) 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 (1100) 는, 콘텐트를 구성하는 픽셀들에 대한 픽셀정보에 기초하여, 콘텐트를 구성하는 픽셀들 중 일부 픽셀들의 디스플레이 휘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픽셀정보는 콘텐트를 구성하는 픽셀들의 RGB값, 그래이값 (gray value), 현저도 (saliency), 수정 그래이값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 (1100) 는, 콘텐트를 구성하는 픽셀들에 대한 그래이값 (gray value) 에 기초하여, 콘텐트를 구성하는 픽셀들 중 일부 픽셀들의 디스플레이 휘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 (1100) 는, 미리 결정된 값 이하의 그래이값을 갖는 픽셀의 디스플레이 휘도를 감소시키거나, 미리 결정된 범위의 그래이값을 갖는 픽셀의 디스플레이 휘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픽셀들에 대한 픽셀정보는, 복수의 픽셀을 포함하는 픽셀그룹에 대한 픽셀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예컨대, 콘텐트를 복수의 블록으로 구획하여, 일 블록 내의 복수의 픽셀을 일 픽셀그룹으로 그룹핑 (grouping) 할 수 있다. 제어부 (1100) 는 제1 픽셀그룹에 속한 복수의 픽셀의 디스플레이 휘도를, 제2 픽셀그룹에 속한 복수의 픽셀의 디스플레이 휘도보다 더 감소시킬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픽셀그룹에 대한 픽셀정보는, 픽셀그룹에 속한 픽셀들의 픽셀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픽셀그룹에 대한 그래이값은 픽셀그룹에 속한 복수의 픽셀들의 그래이값의 평균값이거나, 픽셀그룹에 속한 일 픽셀의 그래이값으로 결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 (1100) 는 콘텐트를 구성하는 픽셀들에 대해 양방향 필터링을 수행하여, 픽셀들의 현저도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현저도 정보에 기초하여, 픽셀들 중 일부 픽셀들의 디스플레이 휘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 (1100) 는 현저도가 미리 결정된 값 이하인 픽셀들의 디스플레이 휘도를 감소시키거나, 현저도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픽셀들의 디스플레이 휘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 (1100) 는 픽셀그룹에 대해 양방향 필터링을 수행하여, 픽셀그룹에 대한 현저도 정보를 획득하고, 픽셀그룹에 속한 복수의 픽셀의 디스플레이 휘도를 감소시킬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 (1100) 는 픽셀들의 현저도 정보, 디테일 디스플레이 수준 (detail display level), 전자 디바이스 (1000) 의 잔여 전력, 및 전자 디바이스 (1000) 의 주변광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픽셀들의 수정 그래이값을 획득할 수 있다. 제어부 (1100) 는 획득된 수정 그래이값에 기초하여, 콘텐트를 구성하는 픽셀들 중 일부 픽셀들의 디스플레이 휘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 (1100) 는 수정 그래이값이 낮은 픽셀일수록 디스플레이 휘도를 더 감소시키거나, 수정 그래이값이 높은 픽셀일수록 디스플레이 휘도를 덜 감소시킬 수 있다. 제어부 (1100) 는 미리 결정된 값 이하의 수정 그래이값을 갖는 픽셀의 디스플레이 휘도를 감소시키거나, 미리 결정된 범위의 수정 그래이값을 갖는 픽셀의 디스플레이 휘도를 감소시킬 수도 있다.
나아가, 제어부 (1100) 는 제1 픽셀그룹에 속한 복수의 픽셀의 디스플레이 휘도를, 제2 픽셀그룹에 속한 복수의 픽셀의 디스플레이 휘도보다 더 감소시킬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 (1100) 는 콘텐트의 콘텐트 타입에 따라 콘텐트의 디스플레이 휘도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 (1100) 는 콘텐트 타입이 이미지인 경우보다 콘텐트의 콘텐트 타입이 텍스트인 경우에 해당 콘텐트의 디스플레이 휘도를 더 감소시키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부 (1900) 를 통해 복수의 콘텐트가 디스플레이되는 경우, 제어부 (1100) 는 콘텐트 타입에 따라 복수의 콘텐트 간 우선순위를 결정하여, 복수의 콘텐트의 디스플레이 휘도를 결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 (1100) 는, 복수의 콘텐트 중에서 콘텐트 타입이 배경인 콘텐트의 디스플레이 휘도를 가장 많이 감소시키고, 콘텐트 타입이 비디오인 콘텐트의 디스플레이 휘도를 가장 덜 감소시키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 (1100) 는 콘텐트에 대한 이미지 분석, 또는 콘텐트의 전송 플로우에 기초하여, 콘텐트 타입을 식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 (1100) 는 콘텐트들 간의 겹침 관계에 따라 콘텐트들의 디스플레이 휘도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 (1100) 는, 제1 콘텐트와, 제1 콘텐트의 적어도 일부와 겹치는 제2 콘텐트가 제1 콘텐트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경우, 제1 콘텐트의 디스플레이 휘도를 제2 콘텐트의 디스플레이 휘도보다 더 감소시키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카메라 (1500) 가 사용자의 안면을 촬영하고, 제어부 (1100) 가 촬영된 이미지를 통해 디스플레이부 (1900) 에서 사용자의 시선 (eye-gaze) 이 향하는 위치를 분석하여, 사용자 포커스의 위치가 획득될 수 있다. 제어부 (1100) 는 획득된 사용자 포커스의 위치에 따라 콘텐트들의 디스플레이 휘도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 (1100) 는, 복수의 콘텐트가 디스플레이부 (1900) 상에서 디스플레이되는 경우, 획득된 사용자 포커스의 위치로부터 먼 콘텐트일수록, 해당 콘텐트의 디스플레이 휘도를 더 감소시키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부 (1900) 가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터치 스크린인 경우, 제어부 (1100) 는, 수신된 터치 입력의 위치에 따라 콘텐트들의 디스플레이 휘도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 (1100) 는, 복수의 콘텐트가 디스플레이부 (1900) 상에서 디스플레이되는 경우, 수신된 터치 입력의 위치로부터 먼 콘텐트일수록, 해당 콘텐트의 디스플레이 휘도를 더 감소시키도록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 (1900) 는 제어부 (1100) 에 의해 처리되는 정보가 디스플레이된다.
디스플레이부 (1900) 는 콘텐트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 (1900) 는, 제어부 (1100) 에 의해 감소된 디스플레이 휘도에 기초하여 콘텐트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구성 요소 모두가 전자 디바이스 (1000) 의 필수 구성 요소인 것은 아니다. 도 2에 도시된 구성 요소보다 더 적은 구성 요소에 의해 전자 디바이스 (1000) 가 구현될 수 있고, 도 2에 도시된 구성 요소보다 더 많은 구성 요소에 의해 전자 디바이스 (1000) 가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 (1000) 는 전술된 제어부 (1100), 및 디스플레이부 (1900) 이외에, 통신부 (1300), 멀티미디어부 (1400), 카메라 (1500), 입/출력부 (1600), 센싱부 (1700), 저장부 (1750)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 (1000) 의 각 구성 요소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제어부 (1100) 는 통상적으로 전자 디바이스 (1000) 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전자 디바이스 (1000) 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 (1100) 는, 저장부 (1750) 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통신부 (1300), 멀티미디어부 (1400), 카메라 (1500), 입/출력부 (1600), 센싱부 (1700), 저장부 (1750), 및 디스플레이부 (1900) 를 전반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 (1100) 는 프로세서 (Processor, 1110) 를 포함한다. 제어부 (1100) 는 전자 디바이스 (1000) 의 제어를 위한 제어 프로그램이 저장된 롬 (ROM, 1120) 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 (1100) 는 전자 디바이스 (1000) 의 외부, 예컨대, 서버 (3000) 로부터 입력되는 신호 또는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전자 디바이스 (1000) 에서 수행되는 다양한 작업에 대한 저장 영역으로 사용되는 램 (RAM, 1130) 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 (1110) 는 그래픽 처리를 위한 GPU (Graphic Processing Unit, 미도시) 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 (1110) 는 코어 (core, 미도시) 와 GPU (미도시) 를 포함하는 SoC (System On Chip)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 (1110) 는 싱글 코어, 듀얼 코어, 트리플 코어, 쿼드 코어, 또는 그 배수의 코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 (1110), 롬 (1120) 및 램 (1130) 은 버스 (bus) 로 상호 연결될 수 있다.
통신부 (1300) 를 통해, 전자 디바이스 (1000) 와 외부 장치, 예컨대, 서버 (3000) 가 서로 통신할 수 있다.
통신부 (1300) 는 무선랜 (1310), 근거리 통신부 (1320) 및 이동 통신부 (134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랜 (1310), 근거리 통신부 (1320) 및 이동 통신부 (1340) 중 하나만 포함하거나 또는 무선랜 (1310), 근거리 통신부 (1320) 및 이동 통신부 (1340) 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랜 (1310) 을 통해, AP (access point) 가 설치된 장소에서 전자 디바이스 (1000) 가 무선으로 AP와 연결될 수 있다. 무선랜 (1310) 은 예를 들어, 와이파이 (Wi-Fi) 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랜 (1310) 은 미국전기전자학회 (IEEE) 의 무선랜 규격 (IEEE802.11x) 을 지원한다. 근거리 통신부 (1320) 는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AP없이 무선으로 외부 디바이스와 근거리 통신을 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부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320) 는 블루투스 통신부, BLE (Bluetooth Low Energy) 통신부, 근거리 무선 통신부 (Near Field Communication unit), WLAN (와이파이) 통신부, 지그비 (Zigbee) 통신부, 적외선 (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통신부, WFD (Wi-Fi Direct) 통신부, UWB (ultra wideband) 통신부, Ant+ 통신부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동 통신부 (1340) 를 통해,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3000)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무선 신호가 송수신된다. 이동 통신부 (1340) 는 연결가능한 전화 번호를 가지는 휴대폰 (미도시), 스마트폰 (미도시), 태블릿PC (미도시) 와 같은 외부 디바이스와 음성 통화, 화상 통화, 문자메시지 (SMS), 멀티미디어 메시지 (MMS) 및 데이터 통신을 위한 무선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여기에서, 무선 신호는, 음성 신호, 화상 통화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부 (1400) 는 방송 수신부 (1410), 오디오 재생부 (1420), 비디오 재생부 (143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부 (1410) 는 안테나 (미도시) 를 통해 외부의 방송국로부터 송출되는 방송 신호 (예를 들어,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또는 데이터 방송 신호) 및 방송 부가 정보 (예를 들어, EPS (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ESG (Electronic Service Guide) ) 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 (1100) 는 비디오 코덱 (video code, 미도시) 및 오디오 코덱 (audio codec, 미도시) 을 이용하여, 수신된 방송 신호 및 방송 부가 정보를 재생할 수 있다.
오디오 재생부 (1420) 에 의해, 저장부 (1750) 에 기 저장되거나 또는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오디오 데이터 (예를 들어, 파일 확장자가 mp3, wma, ogg 또는 wav인 오디오 파일) 가 오디오 코덱을 이용하여 재생될 수 있다.
오디오 재생부 (1420) 에 의해, 입/출력부 (1600) 에서 수신되는 입력에 대응되는 청각 피드백 (예를 들어, 저장부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의 출력 등) 이 재생될 수 있다.
비디오 재생부 (1430) 에 의해, 전자 디바이스 (1000) 의 저장부 (1750) 에 기 저장되거나 또는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비디오 데이터 (예를 들어, 파일 확장자가 mpeg, mpg, mp4, avi, mov, 또는 mkv인 비디오 파일) 가 비디오 코덱을 이용하여 재생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 (1000) 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은 오디오 코덱 및/또는 비디오 코덱을 이용하여 오디오 데이터 및/또는 비디오 데이터를 재생할 수 있다. 또한, 전자 디바이스 (1000) 에 실행되는 멀티미디어 어플리케이션은 하드웨어 코덱 (미도시) 및/또는 소프트웨어 코덱 (미도시) 을 이용하여 오디오 데이터 및/또는 비디오 데이터를 재생할 수 있다.
오디오/비디오 파일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비디오 코덱 및 오디오 코덱이 생산 및 판매되고 있다는 것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카메라 (1500) 를 통해, 정지 이미지 또는 비디오가 촬영될 수 있다. 카메라 (1500) 는 이미지 센서 (미도시) 를 통해 정지 이미지 또는 비디오 등의 화상 프레임을 얻을 수 있다. 이미지 센서 (미도시) 를 통해 촬상된 화상 프레임은 제어부 (1100) 또는 별도의 이미지 프로세서 (미도시) 를 통해 처리될 수 있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저장부 (1750) 에 저장되거나, 통신부 (1300) 를 통해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카메라 (1500) 가 사용자의 안면을 촬영하고, 제어부 (1100) 가 촬영된 이미지를 통해 디스플레이부 (1900) 에서 사용자의 시선 (eye-gaze) 이 향하는 위치를 분석하여, 사용자 포커스의 위치가 획득될 수 있다. 제어부 (1100) 는 획득된 사용자 포커스의 위치에 따라 콘텐트들의 디스플레이 휘도를 결정할 수 있다. 복수의 콘텐트가 디스플레이부 (1900) 상에서 디스플레이되는 경우, 제어부 (1100) 는 획득된 사용자 포커스의 위치로부터 먼 콘텐트일수록, 해당 콘텐트의 디스플레이 휘도를 더 감소시킬 수 있다.
카메라 (1500) 는 전자 디바이스 (1000) 에서 서로 상이한 부분에 위치되는 제1 카메라 (1510) 및 제2 카메라 (1520) 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카메라 (1510) 는 전자 디바이스 (1000) 의 전면에 위치되고, 제2 카메라 (1520) 는 전자 디바이스 (1000) 의 후면에 위치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카메라 (1510) 및 제2 카메라 (1520) 가 전자 디바이스 (1000) 의 일면 상에서 인접하게 위치될 수도 있다. 만약 제1 카메라 (1510) 및 제2 카메라 (1520) 가 전자 디바이스 (1000) 의 일면 상에서 인접하게 위치되는 경우, 제1 카메라 (1510) 및 제2 카메라 (1520) 를 이용하여 3차원 정지 이미지 또는 3차원 비디오가 촬영될 수도 있다. 카메라 (1500) 는 제1 카메라 (1510) 및 제2 카메라 (1520) 외에 더 많은 카메라를 포함할 수도 있다.
카메라 (1500) 는 촬영에 필요한 광량을 제공하는 플래시 (1530) 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 (1500) 는 광각, 망원, 및/또는 접사 촬영을 위한, 별도의 어댑터 (미도시) 에 착탈가능한 추가 렌즈 (미도시) 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입/출력부 (1600) 를 통해, 입/출력부 (1600) 를 통해, 전자 디바이스 (1000) 로 데이터가 입력되고, 처리된 데이터가 출력된다.
입/출력부 (1600) 는 하나 이상의 버튼 (1610), 마이크 (1620), 스피커 (1630), 및 진동 모터 (164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한 입/출력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버튼 (1610) 은 전자 디바이스 (1000) 의 전면, 후면, 또는 측면에 위치될 수 있다. 예컨대, 버튼 (1610) 은 전자 디바이스 (1000) 의 전면 하부에 위치되는 홈 버튼, 메뉴 버튼, 돌아가기 버튼 등일 수 있다. 버튼 (1610) 은 전자 디바이스 (1000) 의 측면에 위치되는 전원잠금 버튼, 볼륨버튼 등일 수 있다.
버튼 (1610) 은 물리적 버튼뿐만 아니라 터치 스크린 (미도시) 외부의 베젤 상에서 터치 버튼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 (1000) 가 스마트 워치인 경우, 버튼 (1610) 은 스마트 워치의 용두일 수 있다.
마이크 (1620) 를 통해,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음향 신호에 기초하여, 전기적인 신호가 생성된다. 마이크 (1620) 에서 생성된 전기적인 신호는 오디오 코덱에서 변환되어 저장부 (1750) 에 저장되거나 또는 스피커 (1630) 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 (1620) 는 전자 디바이스 (1000) 의 전면, 측면, 또는 후면 어디에도 위치될 수 있고, 전자 디바이스 (1000) 는 복수의 마이크를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 (noise) 를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이용될 수 있다.
스피커 (1630) 를 통해, 통신부 (1300), 멀티미디어부 (1400), 카메라 (1500), 입/출력부 (1600), 또는 센싱부 (1700) 에 의해 수신된 다양한 신호 (예를 들어, 무선 신호, 방송 신호, 오디오 데이터, 비디오 데이터, 또는 사진 촬영 등) 및 저장부 (1750) 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나 비디오 데이터에 대응되는 사운드가 전자 디바이스 (1000) 의 외부로 출력될 수 있다.
스피커 (1630) 는 전자 디바이스 (1000) 에서 수행되는 기능에 대응되는 사운드 (예를 들어, 전화 번호 입력에 대응되는 터치 조작음, 또는 사진 촬영버튼 조작음) 를 출력할 수 있다. 스피커 (1630) 는 전자 디바이스 (1000) 의 전면, 측면, 또는 후면 어디에도 위치될 수 있고, 전자 디바이스 (1000) 는 복수의 스피커를 포함할 수도 있다.
진동 모터 (1640) 를 통해, 전기적 신호가 기계적 진동으로 변환될 수 있다. 진동 모터 (1640) 는 리니어 진동 모터, 바 타입 진동 모터, 코인 타입 진동 모터 또는 압전 소자 진동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진동 모터 (1640) 를 통해, 오디오 데이터 또는 비디오 데이터의 출력에 대응되는 진동이 발생할 수 있다. 진동 모터 (1640) 를 통해, 통신부 (1300), 멀티미디어부 (1400), 카메라 (1500), 입/출력부 (1600), 또는 센싱부 (1700) 에 의해 수신된 다양한 신호에 대응되는 진동이 발생할 수도 있다.
진동 모터 (1640) 는 전자 디바이스 (1000) 전체를 진동시키거나, 전자 디바이스 (1000) 의 일 부분만을 진동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전자 디바이스 (1000) 는 복수의 진동모터를 포함할 수도 있다.
입/출력부 (1600) 는 터치 패드 (미도시), 커넥터 (미도시), 키패드 (미도시), 조그 휠 (미도시), 조그 스위치 (미도시), 입력 펜 (미도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터치 패드 (미도시) 는, 접촉식 정전 용량 (capacitive) 방식, 압력식, 저항막 (resistive) 방식, 적외선 감지 방식, 표면 초음파 (acoustic wave) 전도 방식, 적분식 장력 측정 방식, 피에조 효과 방식, 전자기 공명 (EMR; electromagnetic resonance)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터치 패드 (미도시) 가 디스플레이부 (1900) 와 레이어 구조를 구성하거나, 디스플레이부 (1900) 자체에 직접 위치됨으로써, 터치 스크린이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부 (1900) 가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터치 스크린인 경우, 제어부 (1100) 는, 수신된 터치 입력의 위치에 따라 콘텐트들의 디스플레이 휘도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콘텐트가 디스플레이부 (1900) 상에서 디스플레이되는 경우, 제어부 (1100) 는 수신된 터치 입력의 위치로부터 먼 콘텐트일수록, 해당 콘텐트의 디스플레이 휘도를 더 감소시킬 수 있다.
터치 패드 (미도시) 는 직접 터치 (real-touch) 뿐만 아니라 근접 터치 (proximity touch) 도 검출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서 설명의 편의상 직접 터치 (real-touch) 및 근접 터치 (proximity touch) 는 모두 "터치"로 지칭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직접 터치 (real-touch)"는 터치 패드 (미도시) 에 포인터 (pointer) 가 물리적으로 터치된 상태에서 발생되는 입력을 의미하고, "근접 터치 (proximity-touch)"는 포인터 (pointer) 가 터치 패드 (미도시) 에 물리적으로 터치되지 않더라도, 해당 화면으로부터 소정 거리만큼 접근된 상태에서 발생되는 입력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인터 (pointer)"는 터치 패드 (미도시) 를 직접 터치하거나 근접 터치하기 위한 도구를 말한다. 예를 들어, 포인터는 스타일러스 펜, 손가락 등일 수 있다.
사용자의 터치를 더 정교하게 감지하기 위해, 전자 디바이스 (1000) 는 터치 패드 (미도시) 의 내부 또는 그 주변에 위치되는 촉각 센서 (Tactile Sensor, 미도시), 압력 감지 센서 (Force Touch Sensor, 미도시)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촉각 센서 (미도시)) 를 통해, 접촉면의 거칠기, 접촉 물체의 단단함, 접촉 지점의 온도 등의 다양한 정보가 감지될 수 있다.
압력 감지 센서 (미도시) 를 통해, 터치 패드 (미도시) 를 터치하는 압력의 크기가 감지될 수 있다. 터치 압력의 크기에 따라, 전자 디바이스 (1000) 에서 서로 다른 기능이 수행되도록 구현됨으로써, 제스처 (gesture) 입력이 더욱 다양화될 수 있다.
제스처 입력은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탭 (tap)"은, 터치 패드 (미도시) 상에서 포인터가 한 번 터치된 후 터치 패드 (미도시) 로부터 포인터가 떨어짐으로써, 인가되고, "더블 탭 (double tap)"은 소정 시간 내에 두 번, "멀티플 탭 (multiple tap)"은 세 번 이상 터치 패드 (미도시) 가 터치됨으로써, 인가된다. "롱 탭 (long tap)"은, 소정 시간 이상 또는 특정 이벤트가 발생할 때까지 터치 패드 (미도시) 에 터치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인가된다.
"드래그 (drag)"는, 터치 패드 (미도시) 와 포인터가 터치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포인터가 터치 패드 (미도시) 상에서 다른 위치로 이동함으로써, 인가된다. "스와이프 (swipe)"는 포인터의 이동 속도가 비교적 "드래그"보다 빠른 입력을 의미한다.
핀치 아웃 (pinch-out) 은, 터치 패드 (미도시) 상에서 두 손가락을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밀어 냄으로써, 인가되고, 핀치 인 (pinch-in) 은 반대로 두 손가락을 꼬집듯이 바깥쪽에서 안쪽으로 모음으로써 인가된다.
커넥터 (미도시) 는 전자 디바이스 (1000) 와 전원 소스가 연결되기 위한 인터페이스로 이용될 수 있다. 제어부 (1100) 의 제어에 의해 전자 디바이스 (1000) 는 커넥터 (미도시) 에 연결된 유선 케이블을 통해, 저장부 (1750) 에 저장된 데이터를 외부로 전송하거나 또는 외부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커넥터 (미도시) 에 연결된 유선 케이블을 통해 전원이 전자 디바이스 (1000) 에 입력되고, 전자 디바이스 (1000) 의 배터리 (미도시) 가 충전될 수 있다. 또한, 전자 디바이스 (1000) 는 커넥터 (미도시) 를 통해 외부의 액세서리 (예를 들어, 스피커 (미도시), 키보드 도크 (keyboard dock, 미도시) ) 와 연결될 수도 있다.
키패드 (미도시) 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키 입력이 수신될 수 있다. 키패드 (미도시) 는 터치 스크린 (미도시) 내에 디스플레이되는 가상 키패드 (미도시), 무선 또는 유선으로 연결가능한 물리적인 키패드 (미도시), 전자 디바이스 (1000) 에 전면에 형성되는 물리적인 키패드 (미도시) 등일 수 있다.
센싱부 (1700) 는 전자 디바이스 (1000) 의 상태를 검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센싱부 (1700) 는 사물체의 접근 여부를 검출하는 근접 센서 (Proximity Sensor, 1710), 주변의 빛의 양을 검출하는 조도 센서 (Illuminance Sensor, 1720), X, Y, 및 Z축에 대한 각 속도를 측정하여 변화한 각도를 측정하는 자이로 센서 (Gyro Sensor, 1730) 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센싱부 (1700) 은 전자 디바이스 (1000) 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해,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미도시)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외에서, GPS (미도시) 를 통해 전자 디바이스 (1000) 의 위치가 계산될 수 있다.
실내에서, 무선 AP (미도시) 를 이용하여 전자 디바이스 (1000) 의 위치가 계산될 수도 있다. 실내에서 전자 디바이스 (1000) 의 위치는, 무선 AP의 ID를 이용한 셀 아이디 (cell-ID) 방식, 무선 AP의 ID와 RSS (Received signal strength) 를 이용한 강화 셀 아이디 (enhanced cell-ID) 방식 또는 AP로부터 전송된 신호의 전자 디바이스 (1000) 에 수신되는 각도를 이용한 AoA (Angle of Arrival) 방식 등을 통해 계산될 수 있다. 또는, 무선 비컨 (beacon, 미도시) 을 이용하여 전자 디바이스 (1000) 의 위치가 계산될 수도 있다.
센싱부 (1700) 는 지구 자기장을 이용해 방위각을 탐지하는 지자기 센서 (Magnetic sensor, 미도시), X, Y, 및 Z 축 각각에 대한 가속도 (중력 가속도 및 운동 가속도) 를 측정하는 가속도 센서 (Acceleration sensor, 미도시), 중력의 작용 방향을 검출하는 중력 센서 (Gravity Sensor, 미도시), 빛의 RGB (Red, Green, Blue, 및 White) 색상의 농도를 측정하는 RGB 센서 (미도시), 자기장을 감지하는 홀 센서 (Hall Sensor, 미도시), 자계 (Magnetic Field) 의 세기를 측정하는 마그네토미터 (Magnetometer, 미도시), IR (적외선) 을 사용하여 사용자의 손 동작을 인식하는 적외선 센서 (IR Sensor, 미도시), 경사도를 인식하고 대기의 압력을 측정하여 고도를 검출하는 고도계 (Altimeter), 지문 인식 센서 (Finger scan Sensor, 미도시), 심박수 측정 센서 (Heart rate Sensor, 미도시), 압력 센서 (Pressure Sensor, 미도시), UV 센서 (미도시), 온도 습도 센서 (Temperature Humidity Sensor) 또는 물체의 움직임이나 위치를 인식하는 동작 인식 센서 (Motion Recognition Sensor, 미도시) 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저장부 (1750) 는 제어부 (1100) 의 제어에 의해 전자 디바이스 (1000) 를 구동하고 제어하기 위한 다양한 데이터, 제어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 (1750) 는 통신부 (1300), 입/출력부 (1600), 및 디스플레이부 (1900) 의 구동에 대응되는 입력/출력되는 신호 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예컨대, 저장부 (1750) 는 전자 디바이스 (1000) 의 제어를 위한 제어 프로그램과 제조사에서 제공되거나 외부로부터 다운로드 받은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GUI (graphical user interface), GUI를 제공하기 위한 이미지들, 사용자 정보, 문서, 데이터베이스들 또는 관련 데이터들을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 (1750) 는 비휘발성 메모리, 휘발성 메모리,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HDD)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 (SSD)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는 메모리로 지칭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 (1900) 는 다수의 픽셀들 (pixels) 을 구비하고, 픽셀들을 통해 전자 디바이스 (1000) 에서 처리되는 정보가 디스플레이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 (1900) 를 통해, 전자 디바이스 (1000) 에서 구동되는 운영 체제의 실행 화면과 운영 체제에서 구동되는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 등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제어부 (1100) 는 디스플레이부 (1900) 가 음성 통화, 영상 통화, 데이터 전송, 방송 수신, 사진 촬영, 비디오 보기, 또는 어플리케이션 실행과 같은 다양한 기능에 대응되는 GUI (Graphical User Interface) 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 (1900) 는 예를 들어, LCD (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 (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PDP (Plasma Display Panel),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 (3D display),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electrophoretic display), 및 VFD (Vacuum fluorescent display)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 (1000) 의 구현 형태에 따라 전자 디바이스 (1000) 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 (1900) 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복수의 디스플레이부 (1900) 는 힌지 (hinge) 를 이용하여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라, 픽셀들의 현저도 정보를 이용하여 콘텐트의 디스플레이 휘도를 감소시키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전자 디바이스 (1000) 는 콘텐트를 구성하는 픽셀들에 대한 픽셀정보에 기초하여, 픽셀들 중 일부 픽셀들의 디스플레이 휘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여기서, 픽셀정보는 픽셀들의 현저도 (saliency)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콘텐트를 구성하는 픽셀들의 현저도 정보는, 해당 콘텐트에서 인간의 시각이 집중되는 영역을 식별하기 위해 이용된다. 주변에 비해 밝기, 색상, 또는 그래이값 (gray value) 의 차이가 심한 영역이나, 윤곽선이 뚜렷하여 시선이 집중되는 점을 모델링함으로써 픽셀들의 현저도 정보가 획득될 수 있다.
콘텐트가 이미지인 경우, 전자 디바이스 (1000) 는 해당 콘텐트를 구성하는 픽셀들에 대해 양방향 필터링 (bilateral filtering) 을 수행하여 획득된 그래이값들을 픽셀들의 현저도 정보로서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양방향 필터링은 수학식 1에 기초하여 수행될 수 있다.
Figure pat00030
여기서, B(I)p 는 픽셀들 중 픽셀p가 양방향 필터링된 그래이값이고, N(p) 는 픽셀p의 주변 픽셀들의 집합이고, 픽셀q는 픽셀p의 주변 픽셀들 중 하나이고, Wp는 픽셀p의 주변 픽셀들의 표준화 가중치 (normalization weight) 로서, 양방향 필터링이 콘텐트의 이미지 에너지를 보존하는 경우
Figure pat00031
이고,
Figure pat00032
Figure pat00033
는 표준 편차가
Figure pat00034
Figure pat00035
이고, 평균 값이 0인 가우시안 함수이고,
Figure pat00036
는 픽셀p 및 픽셀q 사이의 유클리드 거리이고, Ip 및 Iq는 픽셀p 및 픽셀q의 그래이값이고,
Figure pat00037
는 픽셀p 및 픽셀q 간의 그래이값 차이이다.
양방향 필터링의 결과값은 그대로 현저도 정보로 이용되거나, 결과값의 반전 (inversion) 이 현저도 정보로 이용될 수 있다. 픽셀의 현저도 정보는 에지 특성을 보장하는 스무딩 필터링 알고리즘 (예를 들어, Guided filter proposed by Kaiming He, and Domain transform filter proposed by Eduardo S.L.Gastal) 에 의해 획득될 수도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텐트 (40) 를 구성하는 픽셀들의 현저도 정보는 현저도 맵 (42) 에 맵핑될 수 있다. 현저도 맵 (42) 은 그래이스케일 (grayscale) 로 표현될 수 있고, 현저도 맵 (42) 에서 백색에 가까운 색상의 픽셀일수록 현저도가 높고, 흑색에 가까운 색상의 픽셀일수록 현저도가 낮다. 현저도 정보의 맵핑 방식은 이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 (1000) 는 픽셀의 현저도에 따라, 해당 픽셀의 디스플레이 휘도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그래프 (46) 를 참조하면, 전자 디바이스 (1000) 는 현저도가 낮은 픽셀의 디스플레이 휘도를 현저도가 높은 픽셀의 디스플레이 휘도보다 더 감소시키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트 (40) 디스플레이 방법에 따르면, 현저도가 낮은 픽셀의 디스플레이 휘도가 현저도가 높은 픽셀의 디스플레이 휘도보다 더 감소됨으로써, 전자 디바이스 (1000) 의 전력을 절약하고, 디밍된 콘텐트 (44) 의 시인성 (visibility) 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5a는 종래 방법에 따라, 디스플레이 휘도가 감소된 콘텐트를 도시하고, 도 5b는 일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휘도가 감소된 콘텐트를 도시한다.
입력된 콘텐트 (50) 는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콘텐트 (50) 의 디스플레이 휘도가 종래 방법에 따라 감소되면, 디밍된 (dimmed) 콘텐트 (54a) 의 시인성 (visibility) 또한 함께 감소하는 문제가 있다. 구체적으로, 도 5a에서 디밍된 콘텐트 (54a) 의 확대된 부분 (56a) 에서 나무의 그림자가 명확히 시인되지 않는다.
반면, 입력된 콘텐트 (50) 의 디스플레이 휘도가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트 디스플레이 방법에 따라 감소되면, 디밍된 콘텐트 (54b) 의 시인성은 종래 방법만큼 하락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도 5b에서 디밍된 콘텐트 (54b) 의 확대된 부분 (56b) 에서 나무의 그림자는 명확히 시인될 수 있다.
나아가, 일 실시예에 따라 콘텐트 디스플레이 방법에 따르면, 전자 디바이스 (1000) 의 소비 전력이 절약될 수 있다.
디밍된 지도 이미지 (14a) 의 디스플레이 휘도는 이미지 (14a) 전체적으로 감소했기 때문에,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인성 또한 함께 감소하는 문제가 있다.
도 6a는 종래 방법에 따라, 디스플레이 휘도가 감소된 콘텐트를 도시하고, 도 6b는 일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휘도가 감소된 콘텐트를 도시한다.
입력된 콘텐트 (60) 는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콘텐트 (60) 의 디스플레이 휘도가 종래 방법에 따라 감소되면, 디밍된 (dimmed) 콘텐트 (64a) 의 확대된 부분 (66a) 에서 호수의 물결이 명확하게 시인되지 않는다.
반면, 입력된 콘텐트 (60) 의 디스플레이 휘도가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트 디스플레이 방법에 따라 감소되면, 디밍된 콘텐트 (64b) 의 확대된 부분 (66b) 에서 호수의 물결이 명확히 시인될 수 있다.
양방향 필터링은 사전 필터링 방식으로도 이용될 수 있다. 양방향 필터링의 처리 시간은 약 3ms 일 수 있다.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따른 콘텐트 디스플레이 과정에서, 이미지 처리 과정에서의 소비 전력은 총 소비 전력의 약 8% ~ 9%이다. 일반적인 스마트폰에 있어,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전력 소모는 스마트폰의 총 소비 전력의 약 38% ~ 50% 이다.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따른 콘텐트 디스플레이 방법에 의하면,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소비 전력은 현재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소비 전력보다 60% 감소하므로, 스마트폰의 총 소비 전력은 13%~22% 범위로 감소될 수 있다 ([38%~50%]x60%-[8%~9%]=[13.8%~22%]). 스마트폰의 총 소비 전력이 50%로 감소되는 경우, 도 5a 및 도 6a는 종래의 디밍 방법에 의해 디밍된 콘텐트 (54a, 64a) 를 도시하고, 도 5b 및 도 6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트 디스플레이 방법에 의해 디밍된 콘텐트 (54b, 64b) 를 도시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트 디스플레이 방법에 의해 디밍된 콘텐트 (54b, 64b) 는, 육안으로도 종래 디밍 방법에 의해 디밍된 콘텐트 (54a, 64a) 보다 전체적으로 더 밝고, 선명하게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즉, 동일한 전력을 소비할 때 더 나은 디스플레이 효과가 달성될 수 있다.
도 7a는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 디바이스 (1000) 에서 콘텐트의 디스플레이 휘도를 감소시키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단계 S700에서, 전자 디바이스 (1000) 는 콘텐트를 구성하는 픽셀들에 대한 픽셀정보에 기초하여 일부 픽셀들의 디스플레이 휘도를 감소시킨다.
여기서, 픽셀정보는 픽셀의 RGB값, 그래이값 (gray value), 현저도 (saliency), 수정 그래이값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 디바이스 (1000) 는 픽셀들의 현저도 정보에 기초하여 일부 픽셀들의 디스플레이 휘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 (1000) 는 일부 픽셀들 중에서 제1 픽셀들의 디스플레이 휘도는 제2 픽셀들의 디스플레이 휘도보다 더 감소시킬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 디바이스 (1000) 는 현저도가 미리 결정된 값 이하이거나, 현저도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픽셀들의 디스플레이 휘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콘텐트의 콘텐트 타입이 텍스트인 경우, 해당 콘텐트는 텍스트의 텍스트의 배경을 포함한다. 해당 콘텐트에서 일반적으로 사용자는 텍스트의 배경보다 텍스트에 더 많은 관심을 갖는다. 따라서, 텍스트에 대응되는 픽셀들의 현저도는 텍스트의 배경에 대응되는 픽셀들의 현저도보다 높은 값을 갖도록 구현될 수 있다. 또는, 텍스트의 배경에 대응되는 픽셀들의 현저도는 0의 값을 갖도록 구현되거나, 현저도 정보가 존재하지 않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텍스트의 배경에 대응되는 픽셀들의 현저도는 0의 값을 갖도록 구현되거나, 현저도 정보가 존재하지 않도록 구현된 경우, 전자 디바이스 (1000) 는 텍스트의 배경에 대응되는 픽셀들의 디스플레이 휘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는, 전자 디바이스 (1000) 는 텍스트의 배경에 대응되는 픽셀들의 디스플레이 휘도를 텍스트에 대응되는 픽셀들의 디스플레이 휘도보다 더 감소시킬 수도 있다. 텍스트와 텍스트 배경을 구별하여 디스플레이 휘도가 결정됨으로써, 전자 디바이스 (1000) 의 소비 전력을 절약하면서 텍스트의 시인성 (visibility) 저하를 억제하거나, 오히려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텍스트 콘텐트에서 텍스트는 텍스트 콘텐트의 전송 과정 동안 입력 정보에 따라 추출되거나, 텍스트 콘텐트가 디스플레이된 영역을 인식하여 추출될 수 있다.
단계 S710에서, 전자 디바이스 (1000) 는 단계 S700에서 감소된 디스플레이 휘도에 기초하여 콘텐트를 디스플레이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콘텐트의 콘텐트 타입 및 기타 파라미터에 따라 해당 콘텐트의 디스플레이 휘도의 감소율이 상이해지도록 구현될 수 있다. 콘텐트의 콘텐트 타입 및 기타 파라미터에 따라 해당 콘텐트의 디스플레이 휘도의 감소율이 상이한 실시예는 도 7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b는 일 실시예에 따라, 콘텐트의 콘텐트 타입 및 기타 파라미터에 따라 콘텐트의 디스플레이 휘도를 감소시키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단계 S700에서, 전자 디바이스 (1000) 는 콘텐트를 구성하는 픽셀들에 대한 픽셀정보에 기초하여 일부 픽셀들의 디스플레이 휘도를 감소시킨다.
구체적으로, 단계 S701에서 전자 디바이스 (1000) 는 콘텐트를 식별한다.
콘텐트 타입은 해당 콘텐트의 전송 플로우, 또는 해당 콘텐트에 대한 이미지 분석에 기초하여 식별될 수 있다.
콘텐트가 멀티-플로우 분할 콘텐트 전송 방식을 통해 디스플레이부로 전송될 때, 입력된 전송 플로우로부터 콘텐트 타입이 직접 식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멀티-플로우 분할 콘텐트 전송 기술은 MMT (MPEG Media Transport) 표준일 수 있다.
콘텐트가 디스플레이부로 단일-플로우 전송 방식을 통해 디스플레이부로 전송될 때, 해당 콘텐트에 대한 이미지 분석을 통해 콘텐트 타입이 식별될 수도 있다.
한편, 콘텐트는 복수의 서브 콘텐트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미지와 텍스트의 복합 콘텐트의 경우, 이미지 콘텐트와 텍스트 콘텐트를 포함한다. 서브 콘텐트 또한 콘텐트로 취급될 수 있고, 전자 디바이스 (1000) 는 서브 콘텐트를 구성하는 픽셀들에 대한 픽셀정보에 기초하여 픽셀들 중 일부 픽셀들의 디스플레이 휘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복합 콘텐트는 텍스트, 비디오, 이미지 등 다양한 서브 콘텐트를 포함할 수 있다. 복합 콘텐트는 MPEG 미디어 전송 표준에 따라 전송될 수 있고, MPEG 미디어 전송 표준은 콘텐트 타입에 따른 영역 분할 전송 방식을 포함한다. MPEG 미디어 전송 표준에 의하면, 전송되는 콘텐트의 콘텐트 타입에 따라 콘텐트의 전송 및 코딩이 수행될 수 있다.
단계 S700에서의 콘텐트 식별 결과에 따라, 콘텐트 타입이 이미지인 경우, 단계 S702에 따라 전자 디바이스 (1000) 는 해당 콘텐트에 대해 양방향 필터링을 수행하여 픽셀들의 현저도를 획득하고, 콘텐트 타입이 텍스트인 경우, 단계 S703에 따라 전자 디바이스 (1000) 는 콘텐트에서 배경을 제외한 텍스트로부터 현저도를 획득한다.
일 실시예에서 콘텐트가 복수의 콘텐트를 포함하는 복합 콘텐트인 경우, 전자 디바이스 (1000) 는 복합 콘텐트에 포함된 각각의 서브 콘텐트의 콘텐트 타입을 식별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콘텐트가 이미지와 텍스트의 복합 콘텐트인 경우, 전자 디바이스 (1000) 는 이미지 콘텐트에 대해 양방향 필터링을 수행하여 이미지 콘텐트를 구성하는 픽셀들의 현저도를 획득하고, 텍스트 콘텐트에서 배경을 제외한 텍스트로부터 현저도를 획득할 수 있다.
콘텐트가 이미지인 경우, 전자 디바이스 (1000) 는 해당 콘텐트를 구성하는 픽셀들에 대해 양방향 필터링 (bilateral filtering) 을 수행하여 획득된 그래이값들을 픽셀들의 현저도 정보로서 이용할 수 있다. 양방향 필터링의 결과값은 그대로 현저도 정보로 이용되거나, 결과값의 반전 (inversion) 이 현저도 정보로 이용될 수 있다.
콘텐트가 텍스트인 경우, 전자 디바이스 (1000) 는 텍스트에 대응되는 픽셀들에 대해서만 현저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텍스트의 배경에 대응되는 픽셀들에 대한 현저도 정보는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 또는, 텍스트에 대응되는 픽셀들의 현저도는 미리 결정된 값 이상을 갖고, 텍스트의 배경에 대응되는 픽셀들의 현저도는 미리 결정된 값 이하를 갖거나 0을 갖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단계 S704에서 전자 디바이스 (1000) 는 획득된 현저도 정보, 디테일 디스플레이 수준 (detail display level), 전자 디바이스 (1000) 의 잔여 전력, 및 전자 디바이스 (1000) 의 주변광에 기초하여 픽셀들의 수정 그래이값을 획득한다.
픽셀들의 수정 그래이값은 수학식 2에 기초하여 획득될 수 있다.
Figure pat00038
여기서,
Figure pat00039
는 픽셀들 중 픽셀p의 수정 그래이값이고,
Figure pat00040
는 픽셀p에 대한 파라미터로서,
Figure pat00041
이고,
Figure pat00042
는 디테일 디스플레이 수준에 대한 파라미터로서,
Figure pat00043
이고,
Figure pat00044
인 경우 디테일 디스플레이 수준이 가장 높고,
Figure pat00045
인 경우 디테일 디스플레이 수준이 가장 낮고,
Figure pat00046
는 잔여 전력 및 주변광에 의해 결정된 휘도 수준에 대한 파라미터로서,
Figure pat00047
이고,
Figure pat00048
는 표시 함수 (indication function) 로서,
Figure pat00049
가 [0,1) 범위 내인 경우
Figure pat00050
이고,
Figure pat00051
가 [0,1) 범위 외인 경우
Figure pat00052
이고, S(p) 는 상기 픽셀p의 현저도, 또는 현저도가 맵핑된 현저도 맵 (saliency) 이고,
Figure pat00053
은 표시 함수 (indication function) 로서,
Figure pat00054
이 [0,1) 범위 내인 경우
Figure pat00055
이고,
Figure pat00056
이 [0,1) 범위 외인 경우
Figure pat00057
이고, I(p) 는 픽셀p의 그래이값이고,
Figure pat00058
는 픽셀p가 양방향 필터링된 결과값일 수 있다.
디테일 디스플레이 수준 (
Figure pat00059
) 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에게 원본 이미지와 해당 원본 이미지의 디테일 디스플레이 수준에 따른 예시적인 이미지들을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가 제공된 이미지들 중 하나를 선택함으로써, 선택된 이미지에 대응되는 디테일 디스플레이 수준이 설정될 수도 있다.
디테일 디스플레이 수준 (
Figure pat00060
) 이 1인 경우, 즉, 콘텐트의 디테일이 모두 보존되는 경우,
Figure pat00061
Figure pat00062
는 픽셀들의 현저도와 관련이 없고, 오직 픽셀들의 그래이값 I(p), 및 픽셀들의 필터링된 그래이값
Figure pat00063
에 의해 결정된다.
디테일 디스플레이 수준 (
Figure pat00064
) 이 1이 아닌 경우, 즉, 콘텐트의 디테일의 일부가 보존만 보존되는 경우,
Figure pat00065
Figure pat00066
는 픽셀들의 현저도 S(p), 픽셀들의 그래이값 I(p), 및 픽셀들의 필터링된 그래이값
Figure pat00067
에 의해 결정된다.
단계 S705에서 전자 디바이스 (1000) 는, 단계 S704에서 획득된 수정 그래이값에 기초하여 픽셀들의 디스플레이 휘도를 감소시킨다.
단계 S710에서, 전자 디바이스 (1000) 는 단계 S705에서 감소된 디스플레이 휘도에 기초하여 콘텐트를 디스플레이한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라, 콘텐트의 콘텐트 타입에 따라 콘텐트 간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일반적으로 사용자는 복수의 콘텐트 중에서, 텍스트 콘텐트에 비해 비디오나 이미지 콘텐트에 대해 더 많은 관심을 가진다. 또한, 디스플레이 휘도가 동일하게 감소하더라도, 텍스트 콘텐트에 비해, 비디오나 이미지 콘텐트의 시인성 (visibility) 은 더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전자 디바이스 (1000) 는 콘텐트의 콘텐트 타입에 따라 콘텐트의 디스플레이 휘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디바이스 (1000) 는 콘텐트 타입이 이미지인 경우보다 콘텐트의 콘텐트 타입이 텍스트인 경우에 콘텐트의 디스플레이 휘도를 더 감소시키도록 구현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전자 디바이스 (1000) 의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통해 배경 콘텐트 (80), 비디오 콘텐트 (81), 이미지 콘텐트 (82), 및 텍스트 콘텐트 (83, 84) 와 같이 복수의 콘텐트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 (1000) 는 콘텐트 타입에 따라 우선순위를 결정하여, 우선순위가 낮은 콘텐트일수록 디스플레이 휘도를 더 감소시키도록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경 콘텐트 (80) 가 가장 낮은 우선순위를 갖고, 텍스트 콘텐트 (83, 84), 이미지 콘텐트 (82), 비디오 콘텐트 (81) 가 순서대로 높은 우선순위를 가질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 (1000) 는 우선순위에 따라, 배경 콘텐트 (80) 의 디스플레이 휘도를 가장 많이 감소시키고, 그 다음으로 텍스트 콘텐트 (83, 84) 의 디스플레이 휘도를 감소시키고, 그 다음으로 이미지 콘텐트 (82) 의 디스플레이 휘도를 감소시키고, 비디오 콘텐트 (81) 의 디스플레이 휘도를 가장 적게 감소시킬 수 있다.
콘텐트 타입에 따른 콘텐트들 간 우선순위는 타입 지수 (T factor) 로 표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디오 콘텐트 (81) 의 타입 지수는 T1, 이미지 콘텐트 (82) 의 타입 지수는 T2, 텍스트 콘텐트 (83, 84) 의 타입 지수는 T3, 배경 콘텐트 (80) 의 타입 지수는 Tn으로 표현될 수 있고, 타입 지수들은 T1 > T2 > T3 > Tn 의 관계를 가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컨대, 배경 콘텐트 (80) 의 타입 지수 (Tn) 보다 텍스트 콘텐트 (83, 84) 의 타입 지수 (T3) 가 더 낮을 수 있고, 비디오 콘텐트 (81) 의 타입 지수는 T1와 이미지 콘텐트 (82) 의 타입 지수는 T2가 동일할 수도 있다.
콘텐트 타입의 식별은 전술된 바와 같이 콘텐트에 대한 이미지 분석, 또는 콘텐트의 전송 플로우에 기초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트 디스플레이 방법에 의하면, 콘텐트의 콘텐트 타입에 따라 디스플레이 휘도 감소율이 조절될 수 있다. 콘텐트의 특성에 맞추어 효과적으로 전자 디바이스 (1000) 의 전력을 절약하면서, 종래의 디밍 (dimming) 방법에 비해 콘텐트의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라, 콘텐트의 겹침 관계에 따라 콘텐트 간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일반적으로 사용자는 복수의 콘텐트 중에서, 최상단 레이어 (layer factor) 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콘텐트에 대해 더 많은 관심을 가진다. 예를 들어, 제1 콘텐트가 디스플레이된 후, 제2 콘텐트가 디스플레이되면, 일반적으로 제2 콘텐트는 제1 콘텐트 상에서 제1 콘텐트의 적어도 일부를 가린다. 즉, 나중에 활성화된 콘텐트일수록, 더 위의 레이어에 디스플레이 됨으로써, 그 아래의 레이어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콘텐트를 커버 (cover) 하고, 더 아래의 레이어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콘텐트일수록 사용자의 관심을 덜 받는다. 따라서, 전자 디바이스 (1000) 는 콘텐트들 간의 겹침 관계에 따라 콘텐트들의 디스플레이 휘도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더 아래의 레이어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콘텐트일수록 디스플레이 휘도가 더 감소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전자 디바이스 (1000) 의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통해, 배경 레이어 (90) 에서 배경 콘텐트가 디스플레이되고, 배경 레이어 (90) 상에 복수의 레이어 (91, 92, 93, 94) 가 위치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 (1000) 는 콘텐트가 디스플레이되는 레이어에 따라 우선순위를 결정하여, 우선순위가 낮은 콘텐트일수록 디스플레이 휘도를 더 감소시키도록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상단 레이어 (91, 94) 에 위치된 콘텐트들이 가장 높은 우선 순위를 갖고, 배경 레이어 (90) 에서 디스플레이되는 배경 콘텐트가 가장 낮은 우선순위를 가질 수 있다.
콘텐트가 디스플레이되는 레이어에 따른 콘텐트들 간 우선순위는 레이어 지수 (L) 로 표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최상단 레이어 (91, 94) 에 위치된 콘텐트들의 레이어 지수는 L1, 최상단 레이어 (91, 94) 바로 아래의 레이어 (92) 에 위치된 콘텐트의 레이어 지수는 L2, 레이어 (92) 의 바로 아래의 레이어 (93) 에 위치된 콘텐트의 레이어 지수는 L3이고, 배경 레이어의 레이어 지수는 가장 하위 레이어인 Ln으로 표현될 수 있고, 레이어 지수들은 L1 > L2 > L3 > Ln 의 관계를 갖는다.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트 디스플레이 방법에 의하면, 콘텐트의 겹침 관계에 따라 디스플레이 휘도 감소율이 조절될 수 있다. 따라서, 다른 콘텐트에 의해 가려지는 콘텐트의 디스플레이 휘도를, 다른 콘텐트를 커버 (cover) 하는 콘텐트에 비해 더 감소시킴으로써, 효과적으로 전자 디바이스 (1000) 의 전력을 절약하고, 종래의 디밍 (dimming) 방법에 비해 콘텐트의 시인성 (visibility) 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의 포커스 위치에 따라 콘텐트 간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전자 디바이스 (1000) 의 디스플레이 화면 상에서, 사용자의 시선 (eye-gaze) 이 향하거나, 사용자가 터치 입력이 수신되는 위치는 다른 위치에 비해 사용자의 관심을 더 받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전자 디바이스 (1000) 는 사용자의 시선에 또는, 터치 입력에 기초하여 획득된 획득된 사용자 포커스의 위치에 따라, 콘텐트들의 디스플레이 휘도 감소율을 조절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전자 디바이스 (1000) 의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통해, 배경 콘텐트 (100) 가 디스플레이되고, 배경 콘텐트 (90) 상에서 다양한 콘텐트 (91, 92, 93, 94) 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 (1000) 는 사용자의 시선에 기초하여 획득된 사용자 포커스의 위치에 따라, 우선순위가 낮은 콘텐트일수록 디스플레이 휘도를 더 감소시키도록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시선에 기초하여 획득된 사용자 포커스 위치와 가장 가까운 콘텐트 (101) 는 가장 높은 우선순위를 갖고, 사용자 포커스 위치로부터 거리 (D) 가 멀어질수록 우선순위가 낮아질 수 있다.
사용자 포커스 위치에 따른 콘텐트들 간 우선순위는 포커스 지수 (F factor) 로 표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포커스 위치와 가장 가까운 콘텐트 (101) 의 포커스 지수는 F1, 그 다음으로 가까운 콘텐트 (102) 의 포커스 지수는 F2, 그 다음으로 가까운 콘텐트들 (103, 104) 의 포커스 지수는 F3일 수 있다. 배경 콘텐트 (100) 의 포커스 지수는, 배경 콘텐트 (100) 가 최하 우선순위를 갖도록 Fn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트 디스플레이 방법에 의하면, 사용자의 시선이 향하는 위치나 터치 입력이 수신된 위치에 따라 디스플레이 휘도 감소율이 조절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실제 관심을 더 갖는 콘텐트에 비해 사용자가 실제 관심을 덜 갖는 콘텐트의 디스플레이 휘도를 더 감소시킴으로써, 효과적으로 전자 디바이스 (1000) 의 전력을 절약하고, 종래의 디밍 (dimming) 방법에 비해 콘텐트의 시인성 (visibility) 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8, 도 9, 및 도 10에서 설명된 타입 지수 (T factor), 레이어 지수 (L factor), 및 포커스 지수 (F factor)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콘텐트의 디스플레이 휘도가 감소되고, 감소된 디스플레이 휘도에 기초하여 해당 콘텐트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타입 지수 (T factor), 레이어 지수 (L factor), 및 포커스 지수 (F factor) 에 기초하여 콘텐트의 디스플레이 휘도가 감소되는 경우, n콘텐트의 디스플레이 휘도 감소 지수는 로 표현될 수 있다. 따라서, n콘텐트의 감소된 디스플레이 휘도 (Lumn_result) 는 로 표현될 수 있다. 여기서 Lumn_initial은 감소되기 이전의 디스플레이 휘도를 가리킨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라, 콘텐트의 콘텐트 타입에 따라 디스플레이 휘도를 감소시키는 일 예를 도시한다.
전자 디바이스 (1000) 를 통해 배경 콘텐트 (110a), 이미지 콘텐트 (111a), 및 텍스트 콘텐트 (113a) 와 같이 복수의 콘텐트 (110a, 111a, 113a) 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 (1000) 는 콘텐트 (110a, 111a, 113a) 의 콘텐트 타입에 따라, 각 콘텐트 (110a, 111a, 113a) 의 디스플레이 휘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디바이스 (1000) 는 배경 콘텐트 (110a) 의 디스플레이 휘도를 35% 감소시키고, 이미지 콘텐트 (111a) 의 디스플레이 휘도는 40% 감소시키고, 텍스트 콘텐트 (113a) 의 디스플레이 휘도는 80% 감소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트 디스플레이 방법에 의해 디스플레이 휘도가 감소된, 디밍된 (dimmed) 콘텐트들 (110b, 111b, 113b) 은 휘도 감소 전의 콘텐트들 (110a, 111a, 113a) 에 비해 디스플레이 휘도가 감소되어, 전자 디바이스 (1000) 의 소비 전력을 절약할 수 있고, 시인성 (visibility) 또한 향상될 수 있다.
디밍된 텍스트 콘텐트 (113b) 의 텍스트에 대응되는 픽셀은 백색으로 디스플레이되고, 텍스트의 배경에 대응되는 픽셀은 흑색으로 디스플레이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디밍된 텍스트 콘텐트 (113b) 의 텍스트에 대응되는 픽셀 및 텍스트의 배경에 대응되는 픽셀은 서로 보색으로 디스플레이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도 12a는 일 실시예에 따라, 콘텐트들 간의 우선순위에 따라 콘텐트들의 디스플레이 휘도를 감소시키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단계 S1200에서 전자 디바이스 (1000) 는 콘텐트들 간의 우선순위를 결정한다.
콘텐트들 간의 우선순위는, 도 8, 도 9, 및 도 10에서 설명된 방법들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단계 S1210에서 전자 디바이스 (1000) 는, 단계 S1200에서 결정된 우선순위에 기초하여 콘텐트들의 디스플레이 휘도를 감소시킨다.
예를 들어, 전자 디바이스 (1000) 는 우선순위가 낮은 콘텐트일수록 디스플레이 휘도를 더 감소시킬 수 있다.
단계 S1220에서 전자 디바이스 (1000) 는, 단계 S1210에서 감소된 디스플레이 휘도에 기초하여 콘텐트들을 디스플레이한다.
도 12b는 일 실시예에 따라, 콘텐트들 간의 우선순위와 콘텐트를 구성하는 픽셀들의 픽셀정보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휘도를 감소시키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단계 S1200에서 전자 디바이스 (1000) 는 콘텐트들 간의 우선순위를 결정한다. 구체적으로, 전자 디바이스 (1000) 는 단계 S1201에서 콘텐트 타입에 따라 콘텐트들 간의 제1 우선순위를 결정하고, 단계 S1202에서 콘텐트들 간의 겹침 관계에 따라 콘텐트들 간의 제2 우선순위를 결정하고, 단계 S1203에서 사용자 포커스 위치에 따라 콘텐트들의 제3 우선순위를 결정한다. 콘텐트 타입에 따라 결정되는 콘텐트들 간의 제1 우선순위는 도 8에서 설명된 타입 지수 (T factor) 와 대응되고, 콘텐트들 간의 겹침 관계에 따라 결정되는 콘텐트들 간의 제2 우선순위는 도 9에서 설명된 레이어 지수 (L factor) 와 대응되고, 사용자 포커스의 위치에 따라 결정되는 콘텐트들 간의 제3 우선순위는 도 10에서 설명된 포커스 지수 (F factor) 와 대응된다.
단계 S1210에서 전자 디바이스 (1000) 는, 단계 S1200에서 결정된 우선순위에 기초하여 콘텐트들의 디스플레이 휘도를 감소시킨다. 구체적으로, 전자 디바이스 (1000) 는 단계 S1211에서 제1, 제2, 및 제3 우선순위에 따른 각 콘텐트의 평균 디스플레이 휘도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콘텐트의 콘텐트 타입이 비디오이고, 해당 콘텐트가 콘텐트들 중 사용자의 포커스 위치에 가장 가까우면서 최상위의 레이어에서 디스플레이되는 경우, 해당 콘텐트의 평균 디스플레이 휘도는 다른 콘텐트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값으로 결정될 수 있다. 즉, 다른 콘텐트의 콘텐트에 비해 해당 콘텐트의 디스플레이 휘도는 상대적으로 덜 감소될 수 있다.
단계 S1212에서 전자 디바이스 (1000) 는 각 콘텐트를 구성하는 픽셀들의 픽셀정보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휘도를 조정한다.
각 콘텐트를 구성하는 픽셀들의 픽셀정보에 기초하여 각 콘텐트의 디스플레이 휘도를 조정하는 방법은 도 4 내지 도 7b에서 설명된 바와 같다.
단계 S1220에서 전자 디바이스 (1000) 는 감소된 디스플레이 휘도에 기초하여 콘텐트들을 디스플레이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트 디스플레이 방법에 의하면, 전자 디바이스 (1000) 상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콘텐트들의 특성에 따라 평균 디스플레이 휘도가 먼저 결정되고, 콘텐트를 구성하는 픽셀들의 픽셀정보에 기초하여 콘텐트의 디스플레이 휘도가 조정됨으로써, 디스플레이 휘도가 단계적으로 감소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에게 사용자화된 절전 모드가 제공될 수 있다.
도 13a, 도 13b, 및 도 13c는 일 실시예에 따라, 콘텐트들 간의 우선순위 및 콘텐트를 구성하는 픽셀들의 픽셀정보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휘도를 감소시키는 예들을 도시한다.
도 13a, 도 13b, 및 도 1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디바이스 (1000) 에서 이미지 콘텐트 (130) 및 배경 콘텐트 (131) 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고, 콘텐트들 (130, 131) 은 전술된 실시예에 따른 콘텐트 디스플레이 방법에 의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 (1000) 는 콘텐트의 콘텐트 타입에 따라 콘텐트의 평균 디스플레이 휘도를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도 1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경 콘텐트 (131) 의 평균 디스플레이 휘도는 이미지 콘텐트 (130) 의 평균 디스플레이 휘도보다 더 감소될 수 있다.
나아가, 전자 디바이스 (1000) 는 콘텐트를 구성하는 픽셀들의 픽셀정보에 기초하여 콘텐트의 디스플레이 휘도를 조정할 수 있다. 예컨대, 도 1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디바이스 (1000) 는 이미지 콘텐트 (130) 에 대한 현저도 맵 (132) 을 획득하여, 현저도 맵 (132) 에 기초하여 이미지 콘텐트 (130) 의 디스플레이 휘도를 조정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전자 디바이스 (1000) 는 콘텐트를 구성하는 픽셀들의 현저도 정보, 디테일 디스플레이 수준 (detail display level), 전자 디바이스 (1000) (1000) 의 잔여 전력, 및 전자 디바이스 (1000) (1000) 의 주변광에 기초하여 콘텐트들 (130, 131) 의 디스플레이 휘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3b는 디테일 디스플레이 수준에 대한 파라미터 (
Figure pat00068
) 가 0.55이고, 잔여 전력 및 주변광에 의해 결정된 휘도 수준에 대한 파라미터 (
Figure pat00069
) 가 0.75인 경우, 디밍된 콘텐트들 (134b, 135b) 를 도시한다.
도 13c는 디테일 디스플레이 수준에 대한 파라미터 (
Figure pat00070
) 가 0.85이고, 잔여 전력 및 주변광에 의해 결정된 휘도 수준에 대한 파라미터 (
Figure pat00071
) 가 0.75인 경우, 디밍된 콘텐트들 (134b, 135b) 를 도시한다.
도 13b 및 도 1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트 디스플레이 방법에 의하면, 디테일 디스플레이 수준이 조절됨으로써, 전자 디바이스 (1000) 의 소비 전력을 절약하면서, 사용자가 선호하는 스타일로 콘텐트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인용하는 공개 문헌, 특허 출원, 특허 등을 포함하는 모든 문헌들은 각 인용 문헌이 개별적으로 및 구체적으로 병합하여 나타내는 것 또는 본 발명에서 전체적으로 병합하여 나타낸 것과 동일하게 본 명세서에에 병합될 수 있다.
실시예들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반송파와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의 기타 데이터,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실시예들은 기능적인 블록 구성들 및 다양한 처리 단계들로 나타내어질 수 있다. 이러한 기능 블록들은 특정 기능들을 실행하는 다양한 개수의 하드웨어 또는/및 소프트웨어 구성들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 따라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의 제어 또는 다른 제어 장치들에 의해서 다양한 기능들을 실행할 수 있는, 메모리, 프로세싱, 로직 (logic), 룩업 테이블 (look-up table) 등과 같은 직접 회로 구성들이 채용될 수 있다. 실시예들은 데이터 구조, 프로세스들, 루틴들 또는 다른 프로그래밍 구성들의 조합으로 구현되는 다양한 알고리즘, C, C++, 자바 (Java), 어셈블러 (assembler) 등과 같은 프로그래밍 또는 스크립팅 언어로 구현될 수 있다. 기능적인 측면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서 실행되는 알고리즘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실시예들은 전자적인 환경 설정, 신호 처리, 및/또는 데이터 처리 등을 위하여 종래 기술을 채용할 수 있다. '메커니즘', '요소', '수단', '구성'과 같은 용어는 넓게 사용될 수 있으며, 기계적이고 물리적인 구성들로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용어는 프로세서 등과 연계하여 소프트웨어의 일련의 처리들 (routines) 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의 간결함을 위하여, 종래 전자적인 구성들, 제어 시스템들, 소프트웨어, 상기 시스템들의 다른 기능적인 측면들의 기재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선들의 연결 또는 연결 부재들은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의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로서 나타내어질 수 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
본 명세서 (특히 특허청구범위에서) 에서 '상기'의 용어 및 이와 유사한 지시 용어의 사용은 단수 및 복수 모두에 해당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범위 (range) 를 기재한 경우 상기 범위에 속하는 개별적인 값을 적용한 발명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이에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상기 범위를 구성하는 각 개별적인 값을 기재한 것과 같다. 마지막으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을 구성하는 단계들에 대하여 명백하게 순서를 기재하거나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기 단계들은 적당한 순서로 행해질 수 있다. 반드시 상기 단계들의 기재 순서에 따라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모든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 (예들 들어, 등등) 의 사용은 단순히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이상 상기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로 인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당업자는 다양한 수정, 조합 및 변경이 부가된 특허청구범위 또는 그 균등물의 범주 내에서 설계 조건 및 팩터에 따라 구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Claims (20)

  1. 콘텐트를 구성하는 픽셀들에 대한 픽셀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픽셀들 중 일부 픽셀들의 디스플레이 휘도를 감소시키는 제어부; 및
    상기 감소된 디스플레이 휘도에 기초하여 상기 콘텐트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디바이스.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일부 픽셀들은 제1 픽셀그룹에 속하는 복수의 픽셀 및 제2 픽셀그룹에 속하는 복수의 픽셀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픽셀그룹 및 상기 제2 픽셀그룹에 대한 픽셀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픽셀그룹의 디스플레이 휘도는 상기 제2 픽셀그룹의 디스플레이 휘도보다 더 감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디바이스.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픽셀정보는 상기 픽셀들의 현저도 (saliency)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픽셀그룹의 현저도는 상기 제2 픽셀그룹의 현저도보다 더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디바이스.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트의 콘텐트 타입은 이미지 또는 비디오이고,
    상기 픽셀들의 상기 현저도 정보는 상기 픽셀들에 대해 양방향 필터링을 수행하여 획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디바이스.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픽셀정보는 상기 픽셀들의 수정 그래이값을 포함하고,
    상기 픽셀들의 상기 수정 그래이값은, 상기 픽셀들의 현저도 (saliency) 정보, 디테일 디스플레이 수준 (detail display level), 상기 전자 디바이스의 잔여 전력 및 상기 전자 디바이스의 주변광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획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디바이스.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트의 콘텐트 타입은 텍스트이고,
    상기 콘텐트는 텍스트와 상기 텍스트의 배경 (background) 을 포함하고,
    상기 일부 픽셀들은 상기 배경에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디바이스.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픽셀정보는 상기 픽셀들의 현저도 (saliency)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배경에 대응되는 상기 일부 픽셀들의 현저도는 미리 결정된 값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디바이스.
  8.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픽셀정보는 상기 픽셀들 중 상기 텍스트에 대응되는 픽셀들의 현저도 (saliency)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배경에 대응되는 상기 일부 픽셀들에 대한 현저도 정보는 존재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디바이스.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콘텐트의 콘텐트 타입에 따라 상기 콘텐트의 디스플레이 휘도를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디바이스.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트 타입은 상기 콘텐트 대한 이미지 분석, 또는 상기 콘텐트의 전송 플로우에 기초하여 식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디바이스.
  11.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트의 상기 콘텐트 타입은 텍스트이고,
    상기 콘텐트의 디스플레이 휘도는 상기 콘텐트의 상기 콘텐트 타입이 이미지인 경우보다 더 감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디바이스.
  1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트는 제1 콘텐트이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제1 콘텐트의 적어도 일부와 겹치는 제2 콘텐트를 상기 제1 콘텐트 상에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콘텐트의 디스플레이 휘도를 상기 제2 콘텐트의 디스플레이 휘도보다 더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디바이스.
  1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트는 제1 콘텐트이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제2 콘텐트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시선 (eye-gaze) 에 기초하여 획득된 사용자 포커스의 위치에 따라, 상기 제1 콘텐트 및 상기 제2 콘텐트 중 하나의 디스플레이 휘도를 다른 하나의 디스플레이 휘도보다 더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디바이스.
  1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트는 제1 콘텐트이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제2 콘텐트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터치 스크린인 경우, 상기 수신된 터치 입력의 위치에 따라 상기 제1 콘텐트 및 상기 제2 콘텐트 중 하나의 디스플레이 휘도를 다른 하나의 디스플레이 휘도보다 더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디바이스.
  15. 전자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콘텐트에 대응되는 픽셀들에 대한 픽셀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픽셀들 중 일부 픽셀들의 디스플레이 휘도를 감소시키는 단계; 및
    상기 감소된 디스플레이 휘도에 기초하여 상기 콘텐트를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방법.
  16.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일부 픽셀들은 제1 픽셀그룹에 속하는 복수의 픽셀 및 제2 픽셀그룹에 속하는 복수의 픽셀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픽셀그룹 및 상기 제2 픽셀그룹에 대한 픽셀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픽셀그룹의 디스플레이 휘도는 상기 제2 픽셀그룹의 디스플레이 휘도보다 더 감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방법.
  17.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픽셀정보는 상기 픽셀들의 현저도 (saliency)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픽셀그룹의 현저도는 상기 제2 픽셀그룹의 현저도보다 더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디스플레이 방법.
  18.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픽셀정보는 상기 픽셀들의 수정 그래이값을 포함하고,
    상기 픽셀들의 상기 수정 그래이값은, 상기 픽셀들의 현저도 정보, 디테일 디스플레이 수준 (detail display level), 상기 전자 디바이스의 잔여 전력 및 상기 전자 디바이스의 주변광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획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방법.
  19.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트의 콘텐트 타입은 텍스트이고,
    상기 콘텐트는 텍스트와 상기 텍스트의 배경 (background) 을 포함하고,
    상기 일부 픽셀들은 상기 배경에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방법.
  20. 제15 항 내지 제19 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
KR1020150126452A 2014-09-18 2015-09-07 콘텐트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160033605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5841148.8A EP3196867A4 (en) 2014-09-18 2015-09-10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content
PCT/KR2015/009520 WO2016043472A2 (ko) 2014-09-18 2015-09-10 콘텐트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15/512,280 US20170309216A1 (en) 2014-09-18 2015-09-10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cont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410479637.3 2014-09-18
CN201410479637.3A CN105489191A (zh) 2014-09-18 2014-09-18 一种显示设备及其显示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3605A true KR20160033605A (ko) 2016-03-28

Family

ID=556761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6452A KR20160033605A (ko) 2014-09-18 2015-09-07 콘텐트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70309216A1 (ko)
EP (1) EP3196867A4 (ko)
KR (1) KR20160033605A (ko)
CN (1) CN105489191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56454A1 (ko) * 2018-02-07 2019-08-15 삼성전자 주식회사 밝기 정보에 기반하여 콘텐트의 표시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200030186A (ko) * 2018-09-12 2020-03-20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그 제어방법 및 기록매체
KR20200078550A (ko) * 2017-11-09 2020-07-01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표시 장치, 그 동작 방법, 및 전자 기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531123A (zh) * 2016-11-16 2017-03-22 武汉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画面亮度调整方法及画面亮度调整装置
CN106598388A (zh) * 2016-12-08 2017-04-26 上海摩软通讯技术有限公司 移动终端及其屏幕显示方法和系统
CN106683614A (zh) * 2017-02-17 2017-05-17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有机发光二极管oled的显示控制方法及移动终端
CN106941625B (zh) * 2017-03-10 2019-08-02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的播放控制方法、装置及移动终端
CN109427317A (zh) * 2017-08-31 2019-03-05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屏幕亮度控制方法、装置、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TWI647690B (zh) * 2018-03-16 2019-01-11 香港商冠捷投資有限公司 顯示器的能源效率測試方法
KR102531676B1 (ko) * 2018-09-12 2023-05-11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그 제어방법 및 기록매체
CN110010062A (zh) * 2019-04-02 2019-07-12 福建华佳彩有限公司 一种降低oled显示画面功率的方法及终端
CN111783402B (zh) * 2019-04-02 2023-08-08 珠海金山办公软件有限公司 一种文档视觉效果的获取方法和装置
US10921130B1 (en) * 2019-09-18 2021-02-16 Here Global B.V.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n indoor pedestrian origin-destination matrix and flow analytics
CN111240628A (zh) * 2020-01-15 2020-06-05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内容显示方法、装置、移动终端及存储介质
CN111601058A (zh) * 2020-05-28 2020-08-28 深圳康佳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显示屏的保护方法、存储介质及智能电视
KR20220021506A (ko) * 2020-08-14 2022-02-2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와 그 휘도 제어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모바일 단말기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14011B2 (en) * 2004-10-21 2009-11-0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 power saving
US20070146344A1 (en) * 2005-12-22 2007-06-28 Research In Motion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in a display for an electronic device
US8358273B2 (en) * 2006-05-23 2013-01-22 Apple Inc. Portable media device with power-managed display
US20110069089A1 (en) * 2009-09-23 2011-03-24 Microsoft Corporation Power management for 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displays
JP2011095614A (ja) * 2009-10-30 2011-05-12 Aisin Aw Co Ltd 表示制御装置、ナビゲーション装置及び表示制御方法
US20110115815A1 (en) * 2009-11-18 2011-05-19 Xinyu Xu Methods and Systems for Image Enhancement
US8957886B2 (en) * 2010-01-27 2015-02-17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Power-saving and context-showing display information converting system and corresponding apparatus
TR201001776A2 (tr) * 2010-03-09 2011-09-21 Vestel Elektroni̇k Sanayi̇ Ve Ti̇caret A.Ş. Belirgin öznitelikler kullanılarak bölgesel ışik kontrolü yöntemi.
KR101221096B1 (ko) * 2010-09-17 2013-01-11 주식회사 다음커뮤니케이션 스팸 관리 장치 및 스팸 관리 방법
KR102070365B1 (ko) * 2012-07-10 2020-01-2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와 이의 구동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8550A (ko) * 2017-11-09 2020-07-01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표시 장치, 그 동작 방법, 및 전자 기기
WO2019156454A1 (ko) * 2018-02-07 2019-08-15 삼성전자 주식회사 밝기 정보에 기반하여 콘텐트의 표시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US11417267B2 (en) 2018-02-07 2022-08-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for controlling display of content on basis of brightness information and operation method therefor
KR20200030186A (ko) * 2018-09-12 2020-03-20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그 제어방법 및 기록매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70309216A1 (en) 2017-10-26
EP3196867A4 (en) 2017-10-04
EP3196867A2 (en) 2017-07-26
CN105489191A (zh) 2016-04-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33605A (ko) 콘텐트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N107111131B (zh) 可穿戴电子设备
CN107924216B (zh) 包括隐藏显示器的可折叠电子设备及其信息显示方法
KR102303115B1 (ko)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 의 증강 현실 정보 제공 방법
CN109683716B (zh) 基于眼睛跟踪的可见度提高方法和电子装置
US10564675B2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for
US9946393B2 (en) Method of controlling display of electronic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KR102304082B1 (ko) 복수의 디스플레이들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KR101634154B1 (ko) 눈 추적에 기초한 디스플레이의 선택적 백라이팅
US2015034845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images
US11604535B2 (en) Device and method for processing user input
US20180054611A1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20170055864A (ko) 와치형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50142282A (ko) 기능 제어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20150129423A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제스처 인식 방법 및 전자 장치
KR20150127989A (ko)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장치
CN104133632B (zh) 用于保护所显示的对象的便携式终端和方法
WO2023142915A1 (zh) 图像处理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US11308704B2 (en) Mobile terminal for controlling VR imag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EP3092613B1 (en) Image processing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implementing the same
KR20160035865A (ko) 오브젝트를 식별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KR102266191B1 (ko) 스크린을 제어하는 휴대 단말 및 방법
KR20170058173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60005862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622695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