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32972A -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32972A
KR20160032972A KR1020140123812A KR20140123812A KR20160032972A KR 20160032972 A KR20160032972 A KR 20160032972A KR 1020140123812 A KR1020140123812 A KR 1020140123812A KR 20140123812 A KR20140123812 A KR 20140123812A KR 20160032972 A KR20160032972 A KR 201600329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panel
shielding
display
driving unit
module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238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성재현
강기태
허진하
류인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238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32972A/ko
Priority to US15/037,823 priority patent/US9839145B2/en
Priority to PCT/KR2015/000554 priority patent/WO2015111890A1/ko
Publication of KR201600329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297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45Mounting of picture tube on chassis or in hou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7Mechanical details of cas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디스플레이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후면에 결합된 모듈 커버, 및 상기 모듈 커버에 결합되며, 상기 모듈 커버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이 플랫(flat)한 제1 상태와 만곡(彎曲, curved)된 제2 상태 중 적어도 하나의 상태에 있도록 상기 모듈 커버의 적어도 일부에 힘을 가하는 구동부, 상기 제2 상태에 있을 때, 상기 구동부와 상기 모듈 커버 사이의 영역을 가리기(cover) 위하여, 상기 구동부의 외주(outer circumference) 중 적어도 일부 영역에 위치한 차폐부(shielding unit)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디스플레이 패널을 곡면화 하였을 때, 구동부를 차폐하게 됨으로써 디스플레이 장치의 패턴 또는 단자부가 사용자에게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DISPLAY APPARATUS}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디스플레이 패널이 일정 곡률을 가지도록 휘어질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정보화 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요구도 다양한 형태로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부응하여 근래에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PDP(Plasma Display Panel), ELD(Electro luminescent Display), VFD(Vacuum Fluorescent Display) 등 다양한 디스플레이 장치가 연구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 중에서, 유기 발광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에 비하여 휘도 특성 및 시야각 특성이 우수하고 백라이트 유닛을 필요로 하지 않아 초박형으로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 및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다른 목적은 디스플레이 패널을 곡면화하였을 때, 구동부를 차폐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후면에 결합된 모듈 커버, 및 상기 모듈 커버에 결합되며, 상기 모듈 커버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이 플랫(flat)한 제1 상태와 만곡(彎曲, curved)된 제2 상태 중 적어도 하나의 상태에 있도록 상기 모듈 커버의 적어도 일부에 힘을 가하는 구동부, 상기 제2 상태에 있을 때, 상기 구동부와 상기 모듈 커버 사이의 영역을 가리기(cover) 위하여, 상기 구동부의 외주(outer circumference) 중 적어도 일부 영역에 위치한 차폐부(shielding unit)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차폐부는 복수회 폴딩(folding)된 아코디언 형상일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상기 힘에 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방측으로 만곡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이 만곡될때 제 1 차폐면과 제 2 차폐면의 간격은 제 1 간격에서 상기 제 1 간격보다 큰 제 2 간격으로 변화할 수 있다.
상기 차폐부와 상기 구동부를 상호 결합하는 제 1 고정부와, 상기 차폐부와 상기 모듈커버의 후면을 상호 결합하는 제 2 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면 상에 제공되는 제 1 극성을 가지는 결합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 2 고정부는 제 1 극성과 반대되는 제 2 극성을 가질 수 있다.
제1 고정부는 상기 구동부와 나사결합 될 수 있다.
상기 모듈 커버에 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래치(latch)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고정부의 끝단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래치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차폐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두께 방향과 실질적으로 나란하게 복수회 폴딩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상기 힘에 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방측으로 만곡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이 만곡될 때, 상기 차폐부는 펼쳐지며(unfolding) 상기 구동부의 외주를 차폐할 수 있다.
상기 차폐부는 구동부의 좌우 영역과 상하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는 상기 모듈 커버의 후면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결합된 하우징(housing)일 수 있다.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제1 상태에 있을 때,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실질적으로 나란하도록 상기 구동부의 외측으로 연장된 제1 영역과, 상기 제1 영역의 끝단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방향으로 연장된 제2 영역을 포함하여 상기 차폐부를 가리는 연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폐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두께 방향과 실질적으로 나란하게 배치된 복수의 차폐판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차폐판은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제2 상태로 변화하는 과정에 상호 슬라이딩되며 펼쳐질(starch-out)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차폐판에는 상기 복수의 차폐판을 관통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두께방향으로 형성된 제1 결합가이드와 상기 제1 결합가이드에 삽입되어 상기 복수의 차폐판 중 적어도 두 개의 차폐판이 상호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하는 제1 결합핀이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디스플레이 패널을 곡면화 하였을 때, 구동부를 차폐하게 됨으로써 디스플레이 장치의 패턴 또는 단자부가 사용자에게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은 특정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내지 도 3은 본 발명과 관련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도면이다.
도 4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다른 구성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내지 도 14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또 다른 구성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 내지 도 16 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또 다른 구성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7내지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또 다른 구성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9 내지 도 26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또 다른 구성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내지 도 3은 본 발명과 관련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는 디스플레이 부(20)와 구동부(30)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0)는 디스플레이 패널(10)과 모듈 커버(15)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0)은 디스플레이 장치(1)의 전면에 제공되며 영상이 표시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0)은 영상을 복수개의 픽셀로 나누어 각 픽셀당 색상, 명도, 채도를 맞추어 발광하도록 제어하여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0)은 영상이 표시되는 활성 영역과 영상이 표시되지 않는 비활성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0)은 직사각형 형상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디스플레이 패널(10)은 모서리에 소정의 곡률을 가지는 형상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0)은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디스플레이 패널(10)은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일 수 있다.
모듈 커버(15)는 디스플레이 패널(10)의 후면에 제공될 수 있다. 모듈 커버(15)는 브라켓(미도시)에 의해 디스플레이 패널(10)에 직접 부착될 수 있다. 모듈 커버(15)는 디스플레이 패널(10)의 크기와 같거나 디스플레이 패널(10)보다 클 수 있다.
모듈 커버(15)는 디스플레이 패널(10)의 후면을 지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모듈 커버(15)는 가벼우면서 높은 강도를 가진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구동부(30)는 디스플레이부(20)의 후면에 제공될 수 있다. 즉, 구동부(30)는 모듈 커버(15)의 후면에 제공될 수 있다. 구동부(30)는 모듈 커버(15)의 후면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결합된 하우징일 수 있다. 구동부(30)는 외부전원을 디스플레이 패널(10)의 구동을 위한 구동전원으로 변환할 수 있다. 구동부(30)는 디스플레이 패널(10)의 구동을 위해 영상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구동부(30)는 스피커 및 신호 입출력 단자 등을 포함하는 AV 박스의 기능을 할 수 있다.
도 2를 살펴보면, 구동부(30)는 디스플레이부(20)의 후면에 제공될 수 있다. 상세하게, 구동부(30)는 디스플레이부(20)의 후면 하단부에 제공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구동부(30)는 디스플레이부(20)의 후면 상단부에 제공될 수도 있다. 구동부(30)는 디스플레이부(20)의 크기와 같거나 디스플레이부(20)보다 작을 수 있다.
도 3을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는 일정 곡률을 가지는 곡면형상일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장치(1)는 디스플레이 장치(1)의 전면 방향으로 휠 수 있다. 상세하게, 디스플레이 장치(1)는 디스플레이부(20)가 전방측으로 만곡될 수 있다. 구동부(30) 내부에 포함되어 있는 복수의 링크(50)가 디스플레이부(20)의 좌우측을 밀어주어 디스플레이부(20)의 좌우 모서리가 전면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는 좌우측이 변형되지만, 상하측은 변형되지 않거나 변형량이 아주 작아야 한다. 따라서 좌우측의 강성이 상하측의 강성과 비교하여 작을 수 잇다.
디스플레이 장치(1)는 사용자의 위치(P)와 디스플레이부(20)의 거리(d)가 모든 지점에서 동일 또는 유사한 곡률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에서 표시되는 영상을 시청할 경우 사용자의 몰입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4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살펴보면, 디스플레이 장치(1)는 디스플레이부(20)가 전방측으로 만곡되어도 구동부(30)는 평면의 형상을 유지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구동부(30)의 좌우측과 디스플레이부(20)의 좌우측 사이가 이격되어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구동부(30)는 측면에서 봤을 때 사용자에게 패턴이나 단자부가 노출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을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는 구동부(30)의 측면에 차폐부(40), 제 1 고정부(37), 및 제 2 고정부(35)를 포함할 수 있다. 차폐부(40), 제 1 고정부(37), 및 제 2 고정부(35)는 구동부(30)의 좌우측면 가장자리 부분에만 제공되며 상하측 부분은 제공되지 않을 수 있다.
구동부(30)는 좌우측 가장자리 부분의 상부면이 돌출될 수 있다. 구동부(30)의 돌출된 부분은 후술할 차폐부(40)와 제 1 고정부(37)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차폐부(40)는 x축 방향으로 복수회 폴딩(folding)되어 있는 아코디언(accordion) 형상일 수 있다. 차폐부(40)는 제 1 방향(z축)으로 연장되어 있는 아코디언 형상일 수 있다. 차폐부(40)는 디스플레이부(20)가 평면의 형상일 경우 제 1 차폐면(53)와 제 2 차폐면(55)간에 제 1 간격(d1)을 가질 수 있다. 차폐부(40)는 제 1 차폐면(53)과 제 2 차폐면(55)의 간격이 변할 수 있다. 차페부(40)는 제 1 고정부(37) 및 제 2 고정부(35)를 통하여 디스플레이부(20)와 구동부(30)의 좌우측 가장자리를 연결할 수 있다. 차폐부(40)와 디스플레이부(20) 또는 구동부(30)를 연결하는 방법은 후술한다. 차폐부(40)는 구동부(30) 좌우측의 돌출된 상부면과 연결되어 구동부(30)의 좌우측 바디 부분을 차폐할 수 있다.
제 1 고정부(37)는 구동부(30)와 차폐부(40)를 연결할 수 있다. 제 1 고정부(37)는 차폐부(40)의 상부면과 대응하는 판 형상일 수 있다. 제 1 고정부(37)는 도 5의 제 1 방향(z축)으로 연장되는 판 형상일 수 있다.
제 2 고정부(35)는 디스플레이부(20)와 구동부(30)를 연결할 수 있다. 제 2 고정부(35)는 차폐부(40)의 하부면과 대응하는 판 형상일 수 있다. 제 2 고정부(35)는 제 1 방향(z축)으로 연장되는 판 형상일 수 있다.
도 7을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는 디스플레이부(20)가 전방측으로 만곡될 ? 제 1 차폐면(53)과 제 2 차폐면(55)간에 제 2 간격(d2)을 가질 수 있다. 제 2 간격(d2)은 디스플레이부(20)가 평면 형상일 때의 제 1 간격(d1)보다 클 수 있다.
차페부(40) 전체의 제 2 방향(y축)으로의 길이는 구동부(30)의 좌우측과 디스플레이부(20)의 좌우측간 간격만큼 길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구동부(30)의 측면은 구동부(30)의 좌우측과 디스플레이부(20)의 좌우측 사이가 이격 되어도 차폐부(40)에 의해 가려질 수 있다.
도 8을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는 디스플레이부(20)의 후면에 결합부(23)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부(23)는 디스플레이부(20) 후면의 표면에 얇게 제공될 수 있다.
결합부(23)는 제 1 극성을 가진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 2 고정부(35)는 제 1 극성과 반대되는 제 2 극성을 가진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서로 반대되는 극성의 물질이 접할 경우 자력에 의해 두 물질은 임계력 이상의 힘을 가하지 않으면 분리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결합부(23)와 제 2 고정부(35)는 결합할 수 있다. 제 2 고정부(35)와 차폐부(40)는 결합되어 있으므로, 차폐부(40)와 결합부(23)는 서로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제 2 고정부(35)를 고정시키기 위해 제 2 고정부(35)의 제 1 방향(z축)의 양 끝에 래치(25, latch)가 제공될 수 있다. 래치(25)는 제 2 고정부(35)를 향하는 방향으로 밴딩될 수 있다. 래치(25)의 밴딩된 부분과 제 2 고정부(35)의 제 1 방향(z축)의 양 끝은 서로 맞물릴 수 있다. 따라서 제 2 고정부(35)는 임계력 이상의 힘을 받아도 쉽게 분리되지 않을 수 있다.
도 9및 도 10을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는 구동부(30)의 돌출된 부분 상에 체결부(42)가 제공될 수 있다. 체결부(42)는 구동부(30)의 제 3 방향(x축) 양 끝에 제공될 수 있다. 상세하게, 체결부(42)는 구동부(30)의 제 3 방향(x축) 양 끝의 상부, 중심부, 및 하부에 제공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체결부(42)는 구동부(30)의 제 3 방향(x축) 양 끝 다른 부분에도 제공될 수 있다.
체결부(42)는 체결장치(45)에 의해 제 1 고정부(37) 및 차폐부(40)와 체결될 수 있다. 일 예로, 체결부(42)는 너트의 형상을 가지고 체결장치(45)는 볼트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구동부(30), 제 1 고정부(37), 및 차폐부(40)는 체결장치(45)에 의해 체결되기 때문에 서로 분리되지 않을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다른 구성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을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는 구동부(30)의 좌우측 가장자리 상부면이 돌출되지 않을 수 있다. 차폐부(40) 및 제 1 고정부(37)는 구동부(30)의 제 3 방향(x축) 양 끝 측면에 직접 체결될 수 있다.
차폐부(40)는 상부면이 구동부(30)의 측면에 대향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차페부(40)의 상부면은 제 2 방향(y축)과 평행하게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차폐부(40)의 상부면은 완전히 밴딩되지 않을 수 있다.
체결부(42)가 구동부(30)가 아닌 차폐부(40)에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체결장치(45)는 차폐부(40) 내의 체결부(42)에 결합될 수 있다. 차폐부(40), 제 1 고정부(37), 및 구동부(30)는 체결장치(45)에 의해 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는 구동부(30)의 좌우측 가장자리 상부면이 돌출되지 않기 때문에, 공정이 단순해질 수 있으며, 비용이 절약될 수 있다.
도 12 내지 도 14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또 다른 구성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 및 도 13을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는 차폐부(40)가 구동부(30)의 좌우측뿐만 아니라 상하측에도 제공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구동부(30)는 제 3 방향(x축) 양 끝에 돌출될 뿐만 아니라 제 1 방향(z축) 양 끝에도 돌출될 수 있다.
체결부(42)는, 도 13에서 보는 것과 같이, 제 3 방향(x 축) 양 끝의 상부, 중심부, 및 하부에 제공될 뿐만 아니라 제 1 방향(z축) 양 끝의 중심부에도 제공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체결부(42)는 구동부(30)의 끝단 어느 부분에도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는 디스플레이 장치(1)의 상부면 및 하부면에서 바라보아도 구동부(30)의 상측 바디 및 하측 바디를 차폐할 수 있다.
도 14를 살펴보면, 차폐부(40)는 디스플레이부(20)가 평면의 형상을 유지할 경우 제 2 방향(y축)으로 동일한 제 1 높이(h1)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반해, 차폐부(40)는 디스플레이부(20)가 전방측으로 만곡되는 때 차폐부(40)의 중심부는 제 1 높이(h1)를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차폐부(40)는 제 2 방향(y축)의 양 끝이 제 2 높이(h2)를 가질 수 있다. 제 2 높이(h2)는 제 1 높이(h1)보다 더 높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는 차폐부(40)가 아코디언 형상이기 때문에, 차폐부(40)의 중심부와 양 끝의 높이가 달라도 아코디언의 밴딩 정도를 조정하여 구동부(30)의 측면을 모두 차폐할 수 있다.
도 15 내지 도 16 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또 다른 구성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를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는 구동부(30)의 x측 양 끝의 돌출된 부분에 연장부(39)를 포함할 수 있다. 연장부(39)는 구동부(30)의 돌출된 부분으로부터 디스플레이부(20)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다시말해, 연장부(39)는 디스플레이부(20)와 나란하도록 구동부(30)의 외측으로 연장된 제 1 영역과 제 1 영역의 끝단에서 디스플레이부방향으로 연장된 제 2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영역 및 제 2 영역은 차폐부를 가릴 수 있다.
연장부(39)는 구동부(30)의 x축 양 끝에 제공된 차폐부(40)를 차폐할 수 있다. 연장부(39)의 y축 방향으로의 길이는 구동부(30)의 제 1 방향(y축)으로의 길이와 같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연장부(39)는 차폐부(40)의 제 3 방향(x축) 양 끝을 구동부(30)와 같이 차폐할 수 있다.
도 16을 살펴보면, 차폐부(40)의 제 2 방향(y축)으로의 높이는 디스플레이부(20)가 전방측으로 만곡되는 때 연장부(39)의 제 2 방향(y축)으로의 높이보다 높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차폐부(40)는 디스플레이부(20)가 좌우측으로 돌출되는 경우 측면에서 노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는 디스플레이부(20)가 평면의 형상을 유지할 때 차폐부(40)가 측면에서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차폐부(40)의 복수 회 벤딩되어 있는 형상이 아닌 연장부(39)의 평평한 형상을 보게 됨으로써, 디자인적으로 자연스럽게 느낄 수 있다.
도 17내지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또 다른 구성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7을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는 차폐부(40)가 디스플레이부(20)의 중심 방향으로 90도 경사지게 누워있을 수 있다. 즉, 차폐부(40)는 디스플레이부(20)의 두께 방향과 실질적으로 나란하게 복수회 폴딩될 수 있다. 차폐부(40)는 제 3 방향(x축)으로 누워있을 수 있다. 다시 말해, 차폐부(40)는 제 2 방향(y축) 방향으로 복수회 밴딩되며, 디스플레이부(20)와 구동부(3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차폐부(40)는 상부면이 구동부(30)의 전면에 대향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차폐부(40)의 상부면은 제 3 방향(x축)과 평행하게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차폐부(40)의 상부면은 완전히 밴딩되지 않을 수 있다.
차폐부(40)는 하부면이 디스플레이부(20)의 후면에 대향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차폐부(40)의 하부면은 제 3 방향(x축)과 평행하게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차폐부(40)의 하부면은 완전히 밴딩되지 않을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0)가 평면 상태일 때 차폐부(40)를 디스플레이부(20)와 차폐부(3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구동부(30)는 디스플레이부(20)와 차폐부(40)의 제 2 방향(y축)의 폭만큼 이격될 수 있다.
도 18을 살펴보면, 차폐부(40)는 디스플레이부(20)가 전방측으로 만곡되는 때 제 2 방향(y축)으로 확장될 수 있다. 차폐부(40)는 디스플레이부(20)가 전방측으로 만곡되면서 제 3 방향(x축)으로 누워있던 상태에서 제 2 방향(y축)으로 점진적으로 회전할 수 있다. 즉, 차폐부(40)는 디스플레이부(20)가 전방측으로 만곡되면서 펼쳐지며 구동부(30)의 외주를 차폐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는 디스플레이부(20)가 평면의 형상을 유지할 때 차폐부(40)가 옆으로 누워있어 구동부(30)의 제 2 방향(y축)으로의 높이에 영향을 적게 줄 수 있다. 이에 따라, 구동부(30)의 제 2 방향(y축)으로의 높이가 낮을 수 있다.
도 19 내지 도 26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또 다른 구성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9를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는 디스플레이부(20)와 구동부(30) 사이에 차폐박스(70)가 제공될 수 있다. 차폐판(70)은 직육면체의 형상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차폐판(70)은 정육면체, 원기둥 또는 삼각기둥의 형상일 수 있다.
차폐판(70)의 높이(t2)는 구동부(30)의 높이(t1)에 비하여 상당히 낮을 수 있다. 차폐판(70)은 구동부(30)보다 한 변의 길이가 작을 수 있다. 즉, 차폐판(70)은 구동부(30)의 가장자리 부분을 제외한 디스플레이부(20)와 구동부(30) 사이에 제공될 수 있다.
도 20 및 도 21을 참조하면, 차폐판(70)은 복수개의 차폐판(70a, 70b, 70c)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도면에는 3개의 차폐판을 도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차폐판(70)은 4개 이상의 차폐판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차폐판(70a)은 제 2 및 제 3 차폐판(70b, 70c)보다 한 변의 길이가 길 수 있다. 또한, 제 1 차폐판(70a)은 제 2 및 제 3 차폐판(70b, 70c)보다 높이가 높을 수 있다. 다시 말해, 제 1 차폐판(70a)은 제 2 및 제 3 차폐판(70b, 70c)을 감싸는 형상일 수 있다.
제 2 차폐판(70b)은 제 3 차폐판(70c)보다 한 변의 길이가 길 수 있다. 또한, 제 2 차폐판(70b)은 제 3 차폐판(70c)보다 높이가 높을 수 있다. 다시 말해, 제 2 차폐판(70b)은 제 3 차폐판(70c)을 감싸는 형상일 수 있다.
도 2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는 디스플레이부(20)가 좌우측으로 돌출되는 경우 차폐판(70)이 제 2 방향(y축)으로 하나씩 상승할 수 있다. 즉, 차폐판(70)은 디스플레이부(20)가 돌출되면서 제 1 차폐판(70a)이 우선적으로 제 2 방향(y축)으로 상승할 수 있다. 그 다음에, 제 2 차폐판(70b) 및 제 3 차폐판(70c)이 차례대로 제 2 방향(y축)으로 상승할 수 있다. 제 1 내지 제 3 차폐판(70a - 70c)은 제 2 방향(y축)으로 상승하여도 분리되지 않도록 서로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제 1 내지 제 3 차폐판(70a - 70c)의 결합관계는 후술한다.
도 23 내지 도 24를 참조하면, 제 1 차폐판(70a)과 제 2 차폐판(70b)은 서로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제 1 차폐판(70a)과 제 2 차폐판(70b)은 측면이 제 1 결합핀(72)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제 1 결합핀(72)은 제 1 결합가이드(74)를 통과하여 제 1 및 제 2 차폐판(70a, 70b)을 결합할 수 있다. 제 2 차폐판(70b)과 제 3 차폐판(70c)은 서로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제 2 차폐판(70b)과 제 3 차폐판(70c)은 측면이 제 1 결합핀(72)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제 1 결합핀(72)은 제 1 결합가이드(74)를 통과하여 제 2 및 제 3 차폐판(70b, 70c)을 결합할 수 있다. 제 1 결합 가이드(74)는 차폐판(70)을 관통하여 디스플레이부(20)의 두께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결합핀(72)은 제 1 결합가이드(74)에 삽입되어 제 1 내지 제 3 차폐판(70a - 70c) 중 적어도 두개의 차폐판이 상호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할 수 있다.
도 23을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는 디스플레이부(20)가 평면의 형상을 유지할 경우 제 1 차폐판(70a)만이 밖에서 보여질 수 있다. 제 1 차폐판(70a)은 결합볼트(72)에 의해 밖에서 보이지 않는 제 2 차폐판과 결합될 수 있다. 제 1 결합 가이드(74)는 차폐판(70)이 상승할 때 제 1 결합핀(72)을 가이드할 수 있다. 제 1 결합 가이드(74)의 단축은 제 1 결합핀(72)의 직경보다 작을 수 있다. 제 1 결합핀(72)은 디스플레이부(20)가 평면의 형상을 유지할 경우 제 1 결합 가이드(74)의 상부에 제공될 수 있다.
도 24를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는 디스플레이부(20)가 전방측으로 만곡되는 때 제 1 및 제 2 차폐판(70a, 70b)이 상승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2 및 제 3 차폐판(70b, 70c)이 노출될 수 있다. 제 1 결합핀(72)은 디스플레이부(20)가 전방측으로 만곡되는 때 제 1 결합 가이드(74)의 하부에 제공될 수 있다.
도 25를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는 디스플레이부(20)가 평면 형상을 유지할 때 차폐판(70)의 모서리가 구동부(30)에 대하여 수직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2 결합볼트(82)는 구동부(30)와 차폐판(70)을 일직선으로 연결할 수 있다.
이에 반해, 차폐판(70)의 모서리는 디스플레이부(20)가 전방측으로 만곡되는 때 디스플레이부(20)와 같이 휠 수 있다. 이에 따라, 차폐판(70)의 모서리는 구동부(30)에 대하여 수직에서 벗어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2 결합핀(82)가 구동부(30)의 바깥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구동부(30)는 제 2 결합핀(82) 주변 부분이 파손이 생길 수 있다.
도 26을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는 제 2 결합 볼트(82)가 제 2 결합 가이드(84)를 통해 차폐판(70)과 구동부(30)를 연결할 수 있다. 제 2 결합 가이드(84)는 차폐판(70)의 모서리가 구동부(30)에 대하여 수직에서 벗어나는 경우 제 2 결합핀(82)을 가이드할 수 있다. 제 2 결합 가이드(84)의 장축은 x축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즉, 제 2 결합가이드(84)는 구동부(30)를 관통하여 디스플레이부(20)의 장축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 2 결합 가이드(84)의 단축은 제 2 결합핀(82)의 직경보다 작을 수 있다. 제 2 결합가이드(84)는 차폐판(70)이 디스플레이부(20)의 두께방향과 실질적으로 나란하게 할 수 있다. 제 2 결합 가이드(84)는 제 2 결합핀(82)이 구동부(30)의 바깥측으로 이동하더라도 제 2 결합핀(82) 주변 부분이 파손이 생기지 않을 수 있다.
제 2 결합 가이드(84)는 구동부(30) 측면의 제 2 결합핀(82) 부분에만 제공될 수 있다. 구동부(30)의 중앙 부분에 있는 제 2 결합핀(82)은 디스플레이부(20)가 좌우측으로 돌출되어도 구동부(30)와 수직이 유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구동부(30)의 중앙 부분에 제공된 제 2 결합핀(82)은 제 2 결합 가이드(84)가 필요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는 구동부(30)의 측면이 차폐부(40)가 아닌 차폐판(70)에 의하여 차폐되기 때문에 폴딩을 하지 않아도 되므로, 공정이 단순해질 수 있다.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 디스플레이 장치 10:디스플레이 패널
15:모듈 커버 30: 구동부
40: 차폐부 50:

Claims (15)

  1.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후면에 결합된 모듈 커버; 및
    상기 모듈 커버에 결합되며, 상기 모듈 커버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이 플랫(flat)한 제1 상태와 만곡(彎曲, curved)된 제2 상태 중 적어도 하나의 상태에 있도록 상기 모듈 커버의 적어도 일부에 힘을 가하는 구동부;
    상기 제2 상태에 있을 때, 상기 구동부와 상기 모듈 커버 사이의 영역을 가리기(cover) 위하여, 상기 구동부의 외주(outer circumference) 중 적어도 일부 영역에 위치한 차폐부(shielding unit)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부는,
    복수회 폴딩(folding)된 아코디언 형상인 디스플레이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상기 힘에 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방측으로 만곡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이 만곡될때 제 1 차폐면과 제 2 차폐면의 간격은 제 1 간격에서 상기 제 1 간격보다 큰 제 2 간격으로 변화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부와 상기 구동부를 상호 결합하는 제 1 고정부와,
    상기 차폐부와 상기 모듈커버의 후면을 상호 결합하는 제 2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 커버의 후면 상에 제공되는 제 1 극성을 가지는 결합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 2 고정부는 제 1 극성과 반대되는 제 2 극성을 가지는 디스플레이 장치.
  6. 제4 항에 있어서,
    제1 고정부는,
    상기 구동부와 나사결합 된 디스플레이 장치.
  7.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 커버에 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래치(latch)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고정부의 끝단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래치에 결합된 디스플레이 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두께 방향과 실질적으로 나란하게 복수회 폴딩된 디스플레이 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상기 힘에 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방측으로 만곡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이 만곡될 때, 상기 차폐부는 펼쳐지며(unfolding) 상기 구동부의 외주를 차폐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부는,
    구동부의 좌우 영역과 상하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마련된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모듈 커버의 후면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결합된 하우징(housing)인 디스플레이 장치.
  1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제1 상태에 있을 때,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실질적으로 나란하도록 상기 구동부의 외측으로 연장된 제1 영역과, 상기 제1 영역의 끝단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방향으로 연장된 제2 영역을 포함하여 상기 차폐부를 가리는 연장부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두께 방향과 실질적으로 나란하게 배치된 복수의 차폐판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차폐판은,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제2 상태로 변화하는 과정에 상호 슬라이딩되며 펼쳐지는(starch-out) 디스플레이 장치.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차폐판에는,
    상기 복수의 차폐판을 관통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두께방향으로 형성된 제1 결합가이드와,
    상기 제1 결합가이드에 삽입되어 상기 복수의 차폐판 중 적어도 두 개의 차폐판이 상호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하는 제1 결합핀이 마련된 디스플레이 장치.
  15.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에는,
    상기 구동부를 관통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장축 방향으로 형성된 제2 결합가이드와,
    상기 제2 결합가이드에 삽입되어 상기 차폐판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두께방향과 실질적으로 나란하도록 상기 제2 결합가이드를 따라 이동하는 제2 결합핀이 마련된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40123812A 2014-01-24 2014-09-17 디스플레이 장치 KR20160032972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3812A KR20160032972A (ko) 2014-09-17 2014-09-17 디스플레이 장치
US15/037,823 US9839145B2 (en) 2014-01-24 2015-01-20 Display device
PCT/KR2015/000554 WO2015111890A1 (ko) 2014-01-24 2015-01-20 디스플레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3812A KR20160032972A (ko) 2014-09-17 2014-09-17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2972A true KR20160032972A (ko) 2016-03-25

Family

ID=556455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3812A KR20160032972A (ko) 2014-01-24 2014-09-17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3297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20138B2 (en) Display apparatus
US8767142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N106920478B (zh) 显示设备
US9292042B2 (en) Display device
US8582049B2 (en) Foldable display apparatus
US20150189768A1 (en) Curved Display
US11178779B2 (en) Display device
US10512178B2 (en) Display Device
CN103197445A (zh) 液晶显示器和电子设备
US10356917B2 (en) Display device
US9007756B2 (en) Display device
US9877403B2 (en) Display device
KR102227016B1 (ko) 표시장치
JP2013164498A (ja) 表示装置
CN107437379B (zh) 显示装置
KR20160032972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170134153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2492451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2455465B1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1943056B1 (ko) 커버쉴드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KR101549967B1 (ko) 모니터용 케이스 구조물
CN105093625A (zh) 液晶面板及液晶显示器
WO2012023320A1 (ja) 液晶表示装置およびテレビジョン受信機
KR20170055706A (ko) 디스플레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