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32499A - 정렬상태 측정장치 및 측정방법 - Google Patents

정렬상태 측정장치 및 측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32499A
KR20160032499A KR1020140122708A KR20140122708A KR20160032499A KR 20160032499 A KR20160032499 A KR 20160032499A KR 1020140122708 A KR1020140122708 A KR 1020140122708A KR 20140122708 A KR20140122708 A KR 20140122708A KR 20160032499 A KR20160032499 A KR 201600324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measuring
roll
alignment state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227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51984B1 (ko
Inventor
이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401227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1984B1/ko
Publication of KR201600324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24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19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19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8/00Methods or devices for measuring, detecting or monitoring specially adapted for metal-rolling mills, e.g. position detection, inspection of the produ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 Measuring Device Byusing Mechanical Metho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형의 하측에 위치하는 롤의 정렬상태를 측정하는 측정장치로서, 상기 주형 내부로 투입가능하고, 앞면이 상기 주형의 내측벽과 접촉가능한 밀착부, 상기 주형의 외부에 배치되고, 상기 밀착부에 연결되어 상기 밀착부를 지지하며, 상기 밀착부를 상기 주형의 내측벽에 밀착시키는 지지부, 및 상기 밀착부에 연결되고 상기 롤의 정렬상태를 측정하는 측정부를 포함하여 롤의 정렬상태를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다.

Description

정렬상태 측정장치 및 측정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alignment of roll}
본 발명은 정렬상태 측정장치 및 측정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주형의 하측에 위치하는 롤의 정렬상태를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는 정렬상태 측정장치 및 측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생산되는 주편의 두께와 폭을 결정하기 위해 연속주조작업에서는 주형과 세그먼트 설비를 이용한다. 주형에 주입되어 간접냉각을 통해 일정한 형상으로 만들어진 주편은 복수의 풋롤(Foot Roll)의 지지를 통해 연속적으로 인발되며, 세그먼트 롤들 사이를 통과하면서 수요자가 원하는 폭과 두께로 생산된다.
그런데, 액체상태의 용강이 주형 내에서 응고하면서 수축되는 현상이 발생할 있다. 이러한, 용강의 수축량은 강종의 카본과 망간 등 기타성분의 함량에 따라 결정되며 그에 따른 수축량은 정량화되어 있다. 따라서, 용강의 수축량을 반영하여 사전에 풋롤의 정렬상태를 조절해야 한다.
그러나, 풋롤이 올바로 정렬되지 못하면, 풋롤이 주형 내부에서 연속적으로 인발되는 주편을 정확하게 지지기가 어려워 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즉, 주형을 통과한 주편 응고셀 속의 용강이 잘못 배치된 풋롤에 의해 터져 밖으로 흐르면서 설비와 주편을 덮어 주조중단은 물론 주편정체 사고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러한 설비사고는 생산중단으로 이어져 막대한 생산손실을 초래하고, 설비복구와 정체된 주편의 해체작업을 위해 많은 인력과 경비가 투입된다.
따라서, 종래에는 일자형 측정자에 생산되는 강종의 수축량 두께만큼 틈새게이지를 부착하고, 측정자 상부에 끈을 걸어 주형 동판에 측정자를 밀착시킨 상태에서 풋롤의 정렬상태를 측정하였다. 그러나, 풋롤에 대한 정렬상태 측정의 정확도가 낮고 정렬상태를 측정하면서 풋롤의 정렬상태를 조절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작업시간이 증가하고 정렬상태의 조정오차가 빈번하게 발생할 수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01-0027510호
본 발명은 주형의 하측에 위치하는 롤의 정렬상태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정렬상태 측정장치 및 측정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설비의 작업의 효율성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정렬상태 측정장치 및 측정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주형의 하측에 위치하는 롤의 정렬상태를 측정하는 측정장치로서, 상기 주형 내부로 투입가능하고, 일면이 상기 주형의 내측벽과 접촉가능한 밀착부, 상기 주형의 외부에 배치되고, 상기 밀착부에 연결되어 상기 밀착부를 지지하며, 상기 밀착부를 상기 주형의 내측벽에 밀착시키는 지지부, 및 상기 밀착부에 연결되고 상기 롤의 정렬상태를 측정하는 측정부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부는, 높이방향으로 연장형성되고 상기 밀착부와 상기 주형의 벽 두께 이상으로 이격배치되는 바디, 및 폭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일단이 상기 밀착부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바디에 연결되며, 하부가 상기 주형의 상부에 안착가능한 연결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부는, 폭방향으로 상기 바디를 관통하여 체결되고, 일단이 상기 주형의 외측벽과 접촉가능하며, 상기 바디를 관통하는 정도를 조절가능한 조절볼트를 포함한다.
상기 측정부는 일단이 상기 롤에 탄성 밀착 가능한 측정핀을 포함하고, 상기 측정핀의 일단은 상기 밀착부와 상기 주형이 접촉하는 면과 동일선상에 배치되고 상기 롤의 폭방향 위치를 측정한다.
상기 측정부는 길이방향으로 복수개가 구비된다.
상기 롤은 높이방향으로 복수개가 구비되고, 상기 측정부는 높이방향으로 상기 롤들이 구비되는 개수만큼 구비된다.
상기 측정부는 상기 측정핀에서 측정된 값을 표시하는 표시기를 포함한다.
상기 밀착부 상부가 폭방향으로 상기 주형의 내측벽을 향하여 돌출형성되고, 상기 밀착부의 하부에 폭방향으로 상기 롤을 향하여 측정부가 설치된다.
상기 밀착부, 상기 지지부, 상기 측정부는 길이방향으로 복수개가 구비되고, 상기 복수의 지지부를 연결해주는 결합부가 구비된다.
상기 밀착부는, 상기 주형의 내측벽과 접촉가능한 면적을 가지는 플레이트, 높이방향으로 연장형성되고 상기 플레이트 하부에 연결되는 복수의 연결바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바에 상기 측정부가 폭방향으로 상기 롤을 향하여 설치된다.
본 발명은 주형의 하측에 위치하는 롤의 정렬상태를 측정하는 측정방법으로서, 주형의 내측벽에 접촉가능한 밀착부 및 일단이 롤에 탄성 접촉가능한 측정부를 구비하는 정렬상태 측정장치를 마련하는 과정, 상기 측정부의 일단을 상기 밀착부의 상기 주형에 접촉하는 면과 동일선상에 위치시키는 과정, 상기 밀착부를 상기 주형에 삽입하고 상기 주형의 내측벽에 밀착시키는 과정, 및 상기 롤의 정렬상태를 측정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 롤의 정렬상태를 측정하는 과정은, 상기 롤의 폭방향 위치를 측정하는 과정, 상기 롤의 길이방향 틀어짐을 측정하는 과정, 및 복수의 롤의 위치를 동시에 측정하는 과정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상기 롤의 정렬상태를 측정하고 상기 롤의 정렬상태가 불량인지 판단하는 과정, 상기 롤의 정렬상태가 불량이면 상기 롤의 정렬상태를 조절하는 과정, 및 상기 롤의 정렬상태를 조절한 후 상기 정렬상태 측정장치를 상기 주형으로부터 분리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 롤의 정렬상태를 조절하는 과정은, 상기 롤의 정렬상태를 확인하면서 상기 롤의 정렬상태를 조절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르면, 롤의 정렬상태를 간편하고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으며, 작업량 감소하여 생산성 향상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정렬상태 측정장치는 주형에 대해 별도로 수평을 맞추는 작업 없이 주형의 하측에 위치한 풋롤의 정렬상태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측정부가 높이방향으로 구비되어 복수의 롤을 동시에 측정할 수 있다. 따라서, 정렬상태 측정장치를 주형에 용이하게 장착하여 복수의 롤의 정렬상태를 동시에 측정할 수 있기 때문에 측정작업을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정렬상태 측정장치를 주형에 장착한 상태에서 롤들의 정렬상태를 측정할 수 있다. 이에, 롤에 대한 측정작업과 정렬상태 조절작업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의 효율성과 정확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연속주조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정렬상태 측정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정렬상태 측정장치가 주형에 장착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정렬상태 측정장치의 작동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정렬상태 측정장치의 작동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정렬상태 측정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본 발병의 실시 예에 따른 정렬상태 측정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 도면은 과장될 수 있고,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연속주조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정렬상태 측정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정렬상태 측정장치가 주형에 장착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정렬상태 측정장치의 작동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정렬상태 측정장치의 작동을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정렬상태 측정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병의 실시 예에 따른 정렬상태 측정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정렬상태 측정장치(100)는, 주형(20)의 하측에 위치하는 롤의 정렬상태를 측정하는 측정장치로서, 주형(20) 내부로 투입가능하고, 일면이 상기 주형(20)의 내측벽과 접촉가능한 밀착부(110), 상기 주형(20)의 외부에 배치되고, 상기 밀착부(110)에 연결되어 상기 밀착부(110)를 지지하며, 상기 밀착부(110)를 상기 주형(20)의 내측벽에 밀착시키는 지지부(120), 상기 밀착부(110)에 연결되고 상기 롤의 정렬상태를 측정하는 측정부(130)를 포함한다. 이때, 롤은 풋롤(30)일 수 있고, 주형(20)의 내측벽은 주형(20) 내부에 구비되는 동판(미도시)일 수 있다.
우선, 본 발명을 이해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연속주조공정에 대해 간단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용강이 턴디쉬(10)에서 주형(20)으로 공급되어 1차로 응고층이 형성된 후, 복수의 세그먼트 롤로 구성된 세그먼트(40)를 통과하면서 2차로 응고되고, 응고된 주편은 세그먼트 말단부에서 절단기(미도시)에 의해 일정한 길이로 절단된다.
이때, 주형(20)에 주입되어 간접냉각을 통해 일정한 형상으로 만들어진 주편은 복수의 풋롤(30)의 지지를 통해 연속적으로 인발되며, 세그먼트(40) 롤들 사이를 통과하면서 수요자가 원하는 폭과 두께로 생산된다.
그런데, 액체상태의 용강이 주형(20) 내에서 응고하면서 수축되는 현상이 발생할 있기 때문에, 용강의 수축량을 반영하여 사전에 풋롤(30)의 정렬상태를 조절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정렬상태 측정장치(100)가 주형(20)에 장착되어 풋롤(30)의 정렬상태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도 2 또는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정렬상태 측정장치(100)는, 밀착부(110), 지지부(120), 측정부(130)를 포함하고, 결합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주형(20)을 기준으로 주형(20)에 용강이 주입되고 주편이 인발되는 방향을 높이방향, 주형(20) 하측의 풋롤(30)이 연장형성되는 방향을 길이방향,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을 폭방향이라고 할 수 있다.
밀착부(110)는 높이방향으로 연장형성되고, 앞면이 상기 주형(20)의 내측벽과 접촉가능하다. 밀착부(110)의 길이는 주형(20)의 높이방향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어 밀착부(110)를 주형(20) 내부로 투입하면, 주형(20)과 주형(20) 하측에 위치하는 풋롤(30)을 마주볼 수 있다. 이때, 밀착부(110)의 주형(20) 내측벽과 마주보는 상부가 폭방향으로 상기 주형(20)의 내측벽을 향하여 돌출형성되고, 풋롤(30)과 마주보는 하부에는 폭방향으로 상기 풋롤(30)을 향하여 측정부(130)가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밀착부(110)의 단차로 인해 밀착부(110)와 주형(20) 내측벽이 밀착되는 면과 측정부(130)가 동일선상에 위치할 수 있다. 그러나, 밀착부(110)의 구조와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지지부(120)는 주형(20)의 외부에 배치되고, 상기 밀착부(110)에 연결되어 상기 밀착부(110)를 지지하며, 상기 밀착부(110)를 상기 주형(20)의 내측벽에 밀착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지지부(120)는, 바디(121)와, 연결부재(122)를 포함하고, 체결볼트(123)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121)는 높이방향으로 연장형성되고 상기 밀착부(110)와 폭방향으로 상기 주형(20)의 벽 두께 이상으로 이격배치된다. 또한, 바디(121)의 무게는 밀착부(110)와 측정부(120)의 무게의 합과 같을 수 있다. 이에, 정렬상태 측정장치(100)를 주형(20)에 장착하면, 주형(20)의 벽를 기준으로 밀착부(110)는 주형(20) 내부로 투입되고, 바디(121)는 주형(20) 외부에서 후술될 연결부재(122)를 통해 밀착부(110)와 균형을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정렬상태 측정장치(100)의 무게중심이 한쪽에 집중되어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바디(121)의 하부는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정렬상태 측정장치(100)를 주형(20)에 장착할 때, 바디(121)의 하부가 주형(20)의 상부와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바디(121)의 형상이나 무게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연결부재(122)는 폭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일단이 상기 밀착부(110)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바디(121)에 연결되며, 하부가 상기 주형(20)의 상부에 안착가능하다. 즉, 연결부재(122)는 폭방향으로 밀착부(110)와 바디(121)가 이격되는 거리만큼 연장형성되어 밀착부(110)와 바디(121)에 연결된다.
또한, 정렬상태 측정장치(100)를 주형(20)에 장착할 때, 연결부재(122)가 주형(20)의 상부에 안착되면서 정렬상태 측정장치(100)의 수평이 맞춰질 수 있다. 따라서, 정렬상태 측정장치(100)를 사용하기 위해 수평을 맞추기 위한 별도의 작업이 필요하지 않아 정렬상태 측정장치(100)를 주형(20)에 신속하게 장착하여 풋롤(30)의 정렬상태를 측정할 수 있다. 그러나, 연결부재(122)의 형상과 구조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또한, 밀착부(110)와 바디(121) 및 연결부재(122)는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체결볼트(123)는, 폭방향으로 상기 바디(121)를 관통하여 체결되고, 일단이 상기 주형(20)의 외측벽과 접촉가능하며, 상기 바디(121)를 관통하는 정도를 조절가능하다. 예를 들어, 밀찰부(110)와 바디(121)의 이격거리가 주형(20) 벽 두께보다 더 큰 경우, 정렬상태 측정장치(100)와 주형(20)의 벽 사이에 유격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정렬상태 측정장치(100)가 주형(20)에 장착되더라도 유격으로 인해 기울어지거나 흔들려 풋롤(30) 정렬상태에 대한 측정값의 정확도가 감소할 수 있다.
따라서, 바디(121)에 조절볼트(123)를 구비하여 밀착부(110)와 조절볼트(123) 사이의 이격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즉, 조절볼트(123)를 감아주면 주형(20)을 사이에 두고 밀착부(110)와 조절볼트(123)의 이격거리가 좁아져 밀착부(110)가 주형(20)의 내측벽에 밀착되고, 정렬상태 측정장치(100)를 고정시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반대로, 조절볼트(123)를 풀어주면 밀착부(110)와 조절볼트(123) 사이의 이격거리가 증가하여 정렬상태 측정장치(100)와 주형(20) 사이에 유격이 발생하기 때문에, 정렬상태 측정장치(100)를 주형(20)에서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그러나, 체결볼트(123)의 구조와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또한, 밀착부(110)를 주형(20)에 밀착시키거나 분리시키는 방법도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측정부(130)는 밀착부(110)의 하부에 연결되고 풋롤(30)의 정렬상태를 측정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측정부(130)는 측정핀(131)과 표시기(132)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측정부(130)는 디지털 방식의 다이얼 게이지일 수 있다.
측정핀(131)은 폭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일단이 풋롤(30)에 탄성 밀착 가능하다. 측정핀(131)의 일단은 밀착부(110)와 주형(20)이 접촉하는 면과 동일선상에 배치되어 풋롤(30)의 폭방향 위치를 측정할 수 있다. 즉, 밀착부(110)와 주형(20)이 접촉하는 면을 기준으로 형성되는 기준선을 통해 풋롤(30)의 폭방향 위치를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풋롤(30)이 폭방향으로 기준선보다 전진된 상태이면 측정핀(131)을 누르게 되고, 풋롤(30)이 폭방향으로 기준선보다 후진된 상태이면 측정핀(131)을 누르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밀착부(110)를 주형(20) 내측벽에 밀착시키면서 풋롤(30)에 의해 측정핀(131)이 눌리는 양에 따라 풋롤(30)이 기준선을 초과했는지, 기준선에 도달하지 못했는지 또는 풋롤(30)이 기준선과 동일선상에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
표시기(132)는 측정부(130)에 구비되어 측정핀(131)에 의해 측정되는 값을 표시할 수 있다. 이에, 작업자는 측정핀(131)에서 측정된 값을 시각적으로 확인하여 풋롤(30)이 폭방향으로 올바로 정렬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측정부(130)의 구조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고, 풋롤(30)의 폭방향 위치를 측정하는 방법도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밀착부(110)와 지지부(120) 및 측정부(130)는 길이방향으로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 또는 도 3과 같이, 한 쌍의 밀착부(110)와, 한쌍의 지지부(120), 및 복수개의 측정부(13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길이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결합부(140)가 구비되어 일단이 일측 지지부에 연결되고 타단이 타측 지지부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지지부들이 서로 연결되어 하나의 정렬상태 측정장치(100)가 될 수 있다. 그러나, 정렬상태 측정장치(100)의 구조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풋롤(30)은 높이방향으로 복수개가 구비된다. 이에, 측정부(130)는 높이방향으로 풋롤(30)들이 구비되는 개수만큼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를 참조하면, 풋롤(30)은 3단으로 구비되고 측정부(130)도 각각의 풋롤(30)의 정렬상태를 측정하기 위해 3단으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정렬상태 측정장치(100)를 주형(20)에 끼운 후 조절볼트(123)를 감아주어 밀착부재(110)를 주형(20)의 내측벽에 밀착시킬 수 있다. 그러면, 측정부(130)는 기준면을 기준으로 3개의 풋롤(30)의 폭방향 위치를 동시에 측정할 수 있다. 따라서, 각각의 풋롤(30)을 하나씩 측정할 때보다 신속하게 폿롤(30)의 위치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측정부(130)는 길이방향으로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즉, 도 5와 같이 두 개의 측정부(130)가 길이방향으로 이격배치되어 하나의 풋롤(30)의 정렬상태를 측정할 수 있다. 즉, 풋롤(30)의 길이방향 틀어짐을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풋롤(30)이 길이방향으로 틀어지면, 풋롤(30)의 일측은 측정핀(131)을 누르게 되고 타측은 측정핀(131)을 누르지 못하거나 일측 측정핀(131)보다 덜 누룰 수 있기 때문에, 양측 측정부(130)에서 측정되는 측정값에 차이가 있으면, 풋롤(30)이 길이방향으로 틀어진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반대로, 풋롤(30)이 길이방향으로 정위치에 있으면, 양측 측정핀(131)을 누르는 양이 같아 양측 측정부(130)의 측정값이 같을 수 있다. 따라서, 양측 측정부(130)의 측정값을 비교하면 풋롤(30)의 정렬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구비되는 측정부(130)의 개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이렇게 풋롤(30)의 정렬상태를 간편하고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량 감소하여 생산성 향상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렬상태 측정장치(100)를 사용하기 위해 주형(20)에 장착한 후 별도로 수평을 맞추는 작업 없이 풋롤(30)의 정렬상태를 신속하게 측정할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측정부(130)가 높이방향으로 구비되어 복수의 풋롤(130)을 동시에 측정하여 측정작업을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다.
하기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정렬상태 측정장치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정렬상태 측정장치는 밀착부(150), 지지부(120), 측정부(13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밀착부(150)는, 주형(20)의 내측벽과 접촉가능한 면적을 가지는 플레이트(151), 높이방향으로 연장형성되고 플레이트(151) 하부에 연결되는 복수의 연결바(152)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연결바(152)는 플레이트의 하부에 한 쌍이 길이방향으로 이격되어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연결바(152)에는 측정부(130)가 폭방향으로 풋롤(30)을 향하여 설치된다.
지지부(120)는 플레이트(151)와 폭방향으로 이격배치되는 바디(121)와, 플레이트(151)와 바디(121)를 연결해주는 연결부재(122), 및 바디(121)에 폭방향으로 체결되는 조절볼트(123)를 포함한다. 연결부재(122)는 플레이트(151)의 상부 중심부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지지부(120)로 밀착부(150)를 주형(20)의 내측벽에 밀착시켜줄 수 있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한쌍의 밀착부(110), 한쌍의 지지부(120)를 구비할 때보다 구조가 간단해질 수 있다. 그러나, 정렬상태 측정장치의 구조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하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정렬상태 측정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정렬상태 측정방법은 주형의 하측에 위치하는 롤의 정렬상태를 측정하는 측정방법으로서, 주형의 내측벽에 접촉가능한 밀착부 및 일단이 롤에 탄성 접촉가능한 측정부를 구비하는 정렬상태 측정장치를 마련하는 과정(S100), 상기 측정부의 일단을 상기 밀착부의 상기 주형에 접촉하는 면과 동일선상에 위치시키는 과정(S200), 상기 밀착부를 상기 주형에 삽입하고 상기 주형의 내측벽에 밀착시키는 과정(S300), 및 상기 롤의 정렬상태를 측정하는 과정(S400)을 포함한다.
연속주고공정 중 액체상태의 용강이 주형 내에서 응고하면서 수축되는 현상이 발생할 있다. 이러한, 용강의 수축량은 강종의 카본과 망간 등 기타성분의 함량에 따라 결정되며 그에 따른 수축량은 정량화되어 있다. 따라서, 용강의 수축량을 반영하여 연속주조공정을 시작하기 전에 주형(20) 하측에 위치한 풋롤(30)의 정렬상태를 조절해야 한다.
우선, 밀착부(110), 지지부(120), 및 측정부(130)를 구비하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정렬상태 측정장치(100)를 마련한다. 풋롤(30)의 정렬상태를 측정하기 위해 정렬상태 측정장치(100)를 주형(20)의 상부에 장착한다. 즉, 밀착부(110)를 주형(20) 내부로 투입하여 측정부(130)가 주형(20) 하측의 풋롤(30)을 마주보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지지부(120)는 'ㄱ'자 형태로 형성되어 폭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부분의 하부가 주형(20)의 상부에 안착되고, 높이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부분이 주형(20)의 외측벽을 마주보게 된다. 지지부(120)가 주형(20)의 상부에 안착되면서 정렬상태 측정장치(100)의 수평이 맞춰질 수 있다. 따라서, 정렬상태 측정장치(100)를 사용하기 위해 수평을 맞추기 위한 별도의 작업이 필요하지 않아 정렬상태 측정장치(100)를 주형(20)에 신속하게 장착하여 풋롤(30)의 정렬상태를 측정할 수 있다.
지지부(120)에는 폭방향으로 밀착부(110)와의 이격거리를 조절할 수 있는 체결볼트(123)가 구비된다. 따라서, 체결볼트(123)를 감아주면 체결볼트(123)가 폭방향으로 전진하여 주형(20)의 외측벽과 접촉하고 밀착부(110)와 체결볼트(123) 사이의 이격거리가 감소한다. 이에, 주형(20)이 밀착부(110)와 체결볼트(123) 사이에 끼이게 되고, 밀착부(110)의 앞면이 주형(20) 내측벽에 밀착된다.
이때, 측정부(130)에 구비되어 주형(20) 내측벽과 탄성 접촉가능한 측정핀(131)의 일단이 밀착부(110)와 주형(20) 내측벽이 접촉하는 면과 동일선(기준선)상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측정부(130)가 밀착부(110)와 주형(20) 내측벽이 접촉하는 면을 기준으로 풋롤(30)의 폭방향 위치를 측정하여 풋롤(30)이 폭방향으로 정위치에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이에, 풋롤(30)이 기준선보다 전진 또는 후진한 상태이면 정렬상태 측정장치(100) 풋롤(30)의 위치를 확인하면서 풋롤(30)을 기준선과 동일선상에 위치하도록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측정부(130)는 길이방향으로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두 점 이상에서 측정되는 측정값을 통해 롤의 길이방향 틀어짐을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풋롤(30)이 길이방향으로 틀어지면, 풋롤(30)의 일측은 측정핀(131)을 누르게 되고 타측은 측정핀(131)을 누르지 못하거나 일측 측정핀(131)보다 덜 누룰 수 있기 때문에, 양측 측정부(130)에서 측정되는 측정값에 차이가 있으면, 풋롤(30)이 길이방향으로 틀어진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반대로, 풋롤(30)이 길이방향으로 정위치에 있으면, 양측 측정핀(131)을 누르는 양이 같아 양측 측정부(130)의 측정값이 같을 수 있다. 따라서, 양측 측정부(130)의 측정값을 비교하면 풋롤(30)의 정렬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풋롤(30)은 높이방향으로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풋롤(30)은 3단으로 구비되고 측정부(130)도 각각의 풋롤(30)의 정렬상태를 측정하기 위해 3단으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정렬상태 측정장치(100)를 주형(20)에 끼운 후 조절볼트(123)를 감아주어 밀착부재(110)를 주형(20)의 내측벽에 밀착시킬 수 있다. 그러면, 3개의 측정부(130)는 기준선을 기준으로 3개의 풋롤(30)의 폭방향 위치를 동시에 측정할 수 있다. 따라서, 각각의 풋롤(30)을 하나씩 측정할 때보다 신속하게 폿롤(30)의 위치를 측정할 수 있다.
즉, 하나의 정렬상태 측정장치(100)로 하나 이상의 풋롤(30)의 폭방향 위치를 동시에 측정할 수 있고, 풋롤(30)의 길이방향 틀어짐도 측정할 수 있다. 이에, 기준선을 기준으로 풋롤(30)의 폭방향 위치가 불량이거나 두 점 이상에서 측정된 풋롤(30)의 길이방향 위치 측정값에 차이가 있으면, 풋롤(30)의 위치를 정위치로 정렬해줄 필요가 있다.
따라서, 풋롤(30)의 위치가 불량이라고 판단되면, 정렬상태 측정장치(100)를 주형(20)에 장착한 상태에서 풋롤(30)의 위치를 확인하면서 풋롤(30)에 구비되는 조절유닛(32)을 감거나 풀어주어 풋롤(30)을 기준상에 위치하도록 또는 길이방향 틀어짐이 올바로 되도록 전후진시킬 수 있다. 이에, 풋롤(30)에 대한 측정작업과 정렬상태 조절작업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의 효율성과 정확성이 향상될 수 있다.
그런 다음, 정렬상태 측정장치(100)를 통해 풋롤(30)이 정위치로 조절된 것을 확인한 후 정렬상태 측정장치(100)를 주형(20)에서 분리할 수 있다. 그리고, 연속주조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풋롤(30)의 정렬상태를 간편하고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량 감소하고 풋롤(30) 정렬상태 불량으로 인한 사고를 방지하여 생산성 향상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정렬상태 측정장치 110: 밀착부
120: 지지부 121: 바디
122: 연결부재 123: 조절볼트
130: 측정부 131: 측정핀
132: 표시기

Claims (14)

  1. 주형의 하측에 위치하는 롤의 정렬상태를 측정하는 측정장치로서,
    상기 주형 내부로 투입가능하고, 일면이 상기 주형의 내측벽과 접촉가능한 밀착부;
    상기 주형의 외부에 배치되고, 상기 밀착부에 연결되어 상기 밀착부를 지지하며, 상기 밀착부를 상기 주형의 내측벽에 밀착시키는 지지부; 및
    상기 밀착부에 연결되고 상기 롤의 정렬상태를 측정하는 측정부를 포함하는 정렬상태 측정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높이방향으로 연장형성되고 상기 밀착부와 상기 주형의 벽 두께 이상으로 이격배치되는 바디; 및 폭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일단이 상기 밀착부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바디에 연결되며, 하부가 상기 주형의 상부에 안착가능한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정렬상태 측정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폭방향으로 상기 바디를 관통하여 체결되고, 일단이 상기 주형의 외측벽과 접촉가능하며, 상기 바디를 관통하는 정도를 조절가능한 조절볼트를 포함하는 정렬상태 측정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측정부는 일단이 상기 롤에 탄성 밀착 가능한 측정핀을 포함하고,
    상기 측정핀의 일단은 상기 밀착부와 상기 주형이 접촉하는 면과 동일선상에 배치되고 상기 롤의 폭방향 위치를 측정하는 정렬상태 측정장치.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부는 길이방향으로 복수개가 구비되는 정렬상태 측정장치.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롤은 높이방향으로 복수개가 구비되고,
    상기 측정부는 높이방향으로 상기 롤들이 구비되는 개수만큼 구비되는 정렬상태 측정장치.
  7.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측정부는 상기 측정핀에서 측정된 값을 표시하는 표시기를 포함하는 정렬상태 측정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밀착부 상부가 폭방향으로 상기 주형의 내측벽을 향하여 돌출형성되고, 상기 밀착부의 하부에 폭방향으로 상기 롤을 향하여 측정부가 설치되는 정렬상태 측정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밀착부, 상기 지지부, 상기 측정부는 길이방향으로 복수개가 구비되고, 상기 복수의 지지부를 연결해주는 결합부가 구비되는 정렬상태 측정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밀착부는, 상기 주형의 내측벽과 접촉가능한 면적을 가지는 플레이트; 높이방향으로 연장형성되고 상기 플레이트 하부에 연결되는 복수의 연결바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바에 상기 측정부가 폭방향으로 상기 롤을 향하여 설치되는 정렬상태 측정장치.
  11. 주형의 하측에 위치하는 롤의 정렬상태를 측정하는 측정방법으로서,
    주형의 내측벽에 접촉가능한 밀착부 및 일단이 롤에 탄성 접촉가능한 측정부를 구비하는 정렬상태 측정장치를 마련하는 과정;
    상기 측정부의 일단을 상기 밀착부의 상기 주형에 접촉하는 면과 동일선상에 위치시키는 과정;
    상기 밀착부를 상기 주형에 삽입하고 상기 주형의 내측벽에 밀착시키는 과정; 및
    상기 롤의 정렬상태를 측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정렬상태 측정방법.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롤의 정렬상태를 측정하는 과정은, 상기 롤의 폭방향 위치를 측정하는 과정; 상기 롤의 길이방향 틀어짐을 측정하는 과정; 및 복수의 롤의 위치를 동시에 측정하는 과정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정렬상태 측정방법.
  13.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롤의 정렬상태를 측정하고 상기 롤의 정렬상태가 불량인지 판단하는 과정; 상기 롤의 정렬상태가 불량이면 상기 롤의 정렬상태를 조절하는 과정; 및 상기 롤의 정렬상태를 조절한 후 상기 정렬상태 측정장치를 상기 주형으로부터 분리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측정방법.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롤의 정렬상태를 조절하는 과정은, 상기 롤의 정렬상태를 확인하면서 상기 롤의 정렬상태를 조절하는 측정방법.
KR1020140122708A 2014-09-16 2014-09-16 정렬상태 측정장치 및 측정방법 KR1016519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2708A KR101651984B1 (ko) 2014-09-16 2014-09-16 정렬상태 측정장치 및 측정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2708A KR101651984B1 (ko) 2014-09-16 2014-09-16 정렬상태 측정장치 및 측정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2499A true KR20160032499A (ko) 2016-03-24
KR101651984B1 KR101651984B1 (ko) 2016-08-29

Family

ID=556513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2708A KR101651984B1 (ko) 2014-09-16 2014-09-16 정렬상태 측정장치 및 측정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198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27510A (ko) 1999-09-14 2001-04-06 이구택 연속주조설비의 롤 갭 측정기구
KR20130009156A (ko) * 2011-07-14 2013-01-23 주식회사 포스코 가이드 롤러 정렬상태 측정장치
KR20130019665A (ko) * 2011-08-17 2013-02-27 주식회사 포스코 스트립 평탄도 측정 장치
KR101262053B1 (ko) * 2011-12-14 2013-05-08 주식회사 포스코 연속주조설비의 가이드롤 정렬상태 측정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27510A (ko) 1999-09-14 2001-04-06 이구택 연속주조설비의 롤 갭 측정기구
KR20130009156A (ko) * 2011-07-14 2013-01-23 주식회사 포스코 가이드 롤러 정렬상태 측정장치
KR20130019665A (ko) * 2011-08-17 2013-02-27 주식회사 포스코 스트립 평탄도 측정 장치
KR101262053B1 (ko) * 2011-12-14 2013-05-08 주식회사 포스코 연속주조설비의 가이드롤 정렬상태 측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51984B1 (ko) 2016-08-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87784B2 (ja) プレス金型
CN104841897A (zh) 保护渣熔融层厚度和钢水液面波动的测量方法及装置
CN106424161B (zh) 一种确定轧制中心线的方法及专用装置
KR101651984B1 (ko) 정렬상태 측정장치 및 측정방법
KR100936234B1 (ko) 경사 거푸집 설치용 경사부재 측정장치
KR101958973B1 (ko) 롤 정렬 검사장치
KR101262053B1 (ko) 연속주조설비의 가이드롤 정렬상태 측정장치
KR101367300B1 (ko) 가이드 롤러 정렬상태 측정장치
JP4768055B2 (ja) ホットスカーフ溶削量測定方法及び測定装置
JP4904548B2 (ja) プレス素材の位置決めゲージ
KR101701325B1 (ko) 주조 방법 및 주조 장치
JP6863449B2 (ja) 鋳造設備の作動方法及び作動装置
KR20110124767A (ko) 기준 위치 조정 감시 장치
KR101203632B1 (ko) 투윈롤 스트립 캐스터의 롤갭 측정방법
JPH09225608A (ja) 連続鋳造機のロールアライメント調整装置
CN217786708U (zh) 一种装饰材料抗折测试用多功能支座
CN106247906B (zh) 一种型材轮廓尺寸测量工装及测量方法
JP5734054B2 (ja) 組立品検査装置および方法
KR101862576B1 (ko) 주편 절단 장치의 단차 조정 장치
CN113426966B (zh) 一种调节连铸结晶器锥度的器具和方法
KR102626307B1 (ko) 세그먼트 롤 레벨 측정장치
KR100821132B1 (ko) 연주기 몰드 테이퍼 측정기 영점교정장치
KR200192980Y1 (ko) 연주공정의 프레임 및 롤 위치조정장치
JP2007069223A (ja) ホットスカーフ溶削量測定方法及び測定装置
US4150715A (en) Supporting and guiding means for cast stran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