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32059A - 밀폐용기용 커버 - Google Patents

밀폐용기용 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32059A
KR20160032059A KR1020160025665A KR20160025665A KR20160032059A KR 20160032059 A KR20160032059 A KR 20160032059A KR 1020160025665 A KR1020160025665 A KR 1020160025665A KR 20160025665 A KR20160025665 A KR 20160025665A KR 20160032059 A KR20160032059 A KR 201600320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cking
cover
air passage
container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56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홍식
Original Assignee
쓰리웨이테크놀러지(주)
구홍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쓰리웨이테크놀러지(주), 구홍식 filed Critical 쓰리웨이테크놀러지(주)
Priority to KR10201600256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32059A/ko
Publication of KR201600320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2059A/ko
Priority to KR1020160053732A priority patent/KR2017010358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6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 B65D51/1605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whereby the interior of the container is maintained in permanent gaseous communication with the exterior
    • B65D51/1611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whereby the interior of the container is maintained in permanent gaseous communication with the exterior by means of an orifice, capillary or labyrinth pass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0202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3/00Sealing or packing elements; Sealings formed by liquid or plastics material
    • B65D53/02Collars or 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4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foodstuffs or other articles intended to be cooked or heated within the package
    • B65D81/3446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foodstuffs or other articles intended to be cooked or heated within the package specially adapted to be heated by microwaves
    • B65D81/3453Rigid containers, e.g. trays, bottles, boxes, cu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02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 F16J15/021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elastic packing
    • F16J15/022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elastic packing characterised by structure or materi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02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 F16J15/06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solid packing compressed between sealing surfaces
    • F16J15/062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solid packing compressed between sealing surfaces characterised by the geometry of the se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51/00Details relating to container closures
    • B65D2251/20Sealing means
    • B65D2251/205Inser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018Overall construction of the l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953Sealing means
    • B65D2543/00962Sealing means inserted
    • B65D2543/00972Collars or 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me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밀폐용기의 커버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밀폐용기의 커버는, 패킹과, 패킹이 삽입되는 패킹홈과, 패킹홈에 음각으로 형성되어 공기의 유입 및 유출을 가능하게 하는 공기통로와, 공기통로에서 형성되어 패킹과 접촉하는 조절돌기를 포함하고, 커버가 용기본체에 결합되어 밀폐상태가 유지되는 상태에서, 조절돌기와 패킹의 접촉이 밀폐용기 내부 및 외부의 압력차에 의해서 일시적으로 해제됨으로써 공기의 유입 또는 유출이 허용된다.

Description

밀폐용기용 커버{COVER FOR AIRTIGHT CONTAINER}
본 발명은 밀폐용기용 커버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밀폐용기 내부와 외부에서 발생하는 압력차에 의해서 일시적으로 밀폐 상태가 해제되어 공기가 유동할 수 있는 밀폐용기용 커버에 관한 것이다.
음식물과 같은 내용물을 저장하기 위한 밀폐용기는 일반적으로 커버와 내용물이 수납되는 용기본체로 구성된다. 그리고 내용물을 장시간 보관하기 위해서 밀폐용기는 패킹을 구비하여 공기의 유입 및 유출을 차단하는 구조를 이용한다. 밀폐용기는 커버와 용기본체의 결합 부분에 탄성 재질의 패킹을 개재한 것으로, 패킹에 의해서 공기의 유입 및 유출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밀폐용기에서 그 내부 및 외부에 압력차가 발생하는 경우 공기의 유입 및 유출이 차단되어 있기 때문에 밀폐용기가 수축하거나 또는 팽창하게 된다. 예를 들면, 내용물을 포함하는 밀폐용기를 전자 레인지에 넣고 가열을 할 경우, 밀폐용기 내부의 압력이 외부에 비해서 더욱 높게 나타나는데, 패킹 등에 의해서 공기의 유출이 차단되어 있기 때문에, 커버가 변형 분리되거나 또는 심한 경우 밀폐용기가 손상되는 문제점이 유발된다. 따라서 종래의 밀폐용기의 경우 전자 레인지를 이용하여 가열할 경우 커버를 용기본체에서 분리하여 사용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0894726호 등에는 밀폐용기 커버에 밸브를 구비하여 밀폐용기 내부의 공기를 선택적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커버에 별도의 밸브를 구비함으로써 커버의 구성이 복잡해지고 제조 비용이 상승하는 문제점이 유발된다. 또한, 밸브를 구비하는 종래의 밀폐용기는 밸브를 수작업에 의해서 개방 또는 폐쇄해야 하기 때문에 사용의 불편함을 초래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서, 간단한 구성에 의해서 일시적으로 공기가 유입 및 유출되도록 할 수 있는 밀폐용기용 커버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에 서술되는 실시예를 통하여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밀폐용기의 커버는, 패킹과, 패킹이 삽입되는 패킹홈과, 패킹홈에 음각으로 형성되어 공기의 유입 및 유출을 가능하게 하는 공기통로와, 공기통로에서 형성되어 패킹과 접촉하는 조절돌기를 포함하고, 커버가 용기본체에 결합되어 밀폐상태가 유지되는 상태에서, 조절돌기와 패킹의 접촉이 밀폐용기 내부 및 외부의 압력차에 의해서 일시적으로 해제됨으로써 공기의 유입 또는 유출이 허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밀폐용기의 커버는 다음과 같은 실시예들을 하나 또는 그 이상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조절돌기의 폭은 공기통로의 폭과 동일하고, 조절돌기의 두께는 패킹홈의 폭에 비해서 작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조절돌기의 단부는 곡선으로 형성될 수 있다.
조절돌기의 높이는 공기통로의 깊이에 비해서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밀폐용기의 커버는, 패킹과, 패킹이 삽입되고 바닥면을 구비하는 패킹홈과, 바닥면에서 돌출 형성되어 바닥면과 패킹과의 사이에 공기의 유입 및 유출을 가능하게 하는 공기통로를 형성하는 내부돌기와, 내부돌기의 일측에 형성되고 패킹과 접촉하면서 공기통로를 폐쇄하는 조절돌기를 구비하고, 커버가 용기본체에 결합되어 밀폐상태가 유지되는 상태에서, 조절돌기와 패킹과의 접촉이 밀폐용기 내부 및 외부의 압력차에 의해서 일시적으로 해제됨으로써 공기통로를 통해서 공기의 유입 또는 유출이 허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밀폐용기의 커버는 다음과 같은 실시예들을 하나 또는 그 이상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조절돌기는 패킹과 접촉할 수 있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패킹은 중공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간단한 구성에 의해서 일시적으로 공기가 유입 및 유출되도록 할 수 있는 밀폐용기용 커버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밀폐용기를 예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예시된 밀폐용기의 커버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A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4는 커버와 용기본체에 대한 단면도로서 패킹이 제거된 상태를 예시한다.
도 5는 커버와 용기본체에 대한 단면도로서 패킹이 결합된 상태를 예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밀폐용기의 커버의 일부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6에서 AA선에 따른 단면도로서 패킹이 삽입된 상태를 예시한다.
도 8는 도 6에서 BB선에 따른 단면도로서 패킹이 삽입된 상태를 예시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상관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밀폐용기(100)를 예시하는 사시도로서, 용기본체(140)와 커버(110)가 분리된 상태를 예시한다. 도 2는 도 1에 예시된 밀폐용기(100)의 커버(110)의 내부 구조를 예시하는 도면이고, 도 3은 도 2의 A 부분을 확대한 도면으로서 패킹홈(123)에 공기통로(124) 및 조절돌기(128)가 형성된 상태를 예시한다. 도 4는 커버(110)와 용기본체(140)에 대한 단면도로서 패킹(160)이 제거된 상태를 예시한다. 그리고 도 5는 커버(110)와 용기본체(140)에 대한 단면도로서 패킹(160)이 결합된 상태를 예시한다. 참고로, 도 5에서 점선은 공기통로(124) 및 조절돌기(128)에 해당한다.
도 1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밀폐용기(100)는 커버(110)와 용기본체(140)를 포함한다. 용기본체(140)는 일정 체적의 내부공간을 구비하여 그 내부공간에 내용물(도시하지 않음)을 수납할 수 있다. 용기본체(140)의 상부에는 커버(110)가 결합 및 분리될 수 있다. 커버(110)가 용기본체(140)에 결합하는 경우, 커버(110)에 결합되어 있는 패킹(160)에 의해서 용기본체(140)의 내부공간은 밀폐 상태가 유지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110)를 설명하기 이전에 밀폐용기(100)의 용기본체(140)에 대해서 우선 설명하기로 한다.
용기본체(140)는 사각 형상의 횡단면을 갖고 일정한 높이를 가져서 내부공간(도면부호 없음)을 구비한다. 용기본체(140의 상부는 개방되어 있고, 둘레면(141)의 상단부에는 커버(110)와의 결합을 위한 상부테두리(142)가 구비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밀폐용기(100)의 용기본체(140)는 네 개의 둘레면(141)을 구비하고, 각각의 둘레면(141)의 상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상부테두리(142)는 모두 동일한 형상 및 크기를 갖는다.
상부테두리(142)는 용기본체(140)의 둘레면(141)의 상단부에서 수평 방향으로 외향 돌출된 부분으로, 커버(110)와의 결합을 위해서 가압홈(144), 측면걸림홈(146) 및 결합돌기(148)를 구비한다.
가압홈(144)은 상부테두리(142)의 중앙에 형성된 홈이다. 용기본체(140)에서 커버(110)가 분리될 때, 커버(110)의 잠금날개(132)에 구비되어 있는 가압돌기(134)는 가압홈(144)에 삽입되어 걸리게 된다. 이로 인해, 잠금날개(132)가 회전하면서 커버(110)를 상부 측방향으로 들어 올리면서 커버(110)가 용기본체(140)로부터 분리된다.
측면걸림홈(146)은 가압홈(144)의 좌우측에 각각 대칭적으로 형성된 것으로, 상부테두리(142)의 일부가 절개되어 개방된 형상을 갖는다. 커버(110)가 용기본체(140)에 올려질 때, 커버(110)의 내측면에 구비되어 있는 측면걸림돌기(116)는 측면걸림홈(146)을 통과한다. 그리고 잠금날개(132)의 회전에 의해서 커버(110)가 측방향으로 이동할 때, 커버(110)의 측면걸림돌기(116)는 상부테두리(142)의 하부에 걸리게 됨으로써, 커버(110)의 양 측면이 용기본체(110)에 결합되는 것이다.
결합돌기(148)는 상부테두리(142)의 중앙에서 하향 돌출 형성된다. 결합돌기(148)에는 잠금날개(132)의 결합돌기(136)가 결합하게 되는데, 이로 인해 잠금날개(132)가 용기본체(140)에 결합하게 된다.
커버(110)는 용기본체(140)에 결합하여 그 개방된 상부를 밀폐한다. 커버(110)는 사각 형상을 갖는 상면(112)과, 상면(112)의 가장자리에서 하향 돌출된 둘레면(114)을 구비한다. 둘레면(114)의 내부에는 측면걸림돌기(116) 및 후면걸림돌기(118)가 구비되어 있다.
측면결림돌기(116)는 용기본체(140)의 상부테두리(142)에 형성된 측면걸림홈(146)을 통과한 후, 커버(110)의 측방향 이동에 의해서 상부테두리(142)의 하부에 걸리게 된다.
후면걸림돌기(118)는 커버(110)의 둘레면(114) 중에서 잠금날개(132)에 대향하는 측면에 형성된 돌기에 해당한다. 후면걸림돌기(118)는 커버(110)가 용기본체(140)에 결합할 때 상부테두리(142)에 걸리게 되는데, 이로 인해 커버(110)의 후면(커버(110)의 둘레면 중에서 잠금날개(132)에 대향하는 둘레면이 용기본체(140)에 결합된다.
커버(110)의 둘레면(114)의 내부에는 제1 내부테두리(120) 및 제2 내부테두리(122)가 일정한 간격을 가지고 형성되어 있다. 제1 내부테두리(120) 및 제2 내부테두리(122)는 커버(110)의 전체 둘레면(114)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으며 일정한 높이를 갖는다. 제1 내부테두리(120) 및 제2 내부테두리(122)는 일정한 간격을 갖는데, 그 간격은 패킹(160)이 삽입되는 패킹홈(123)에 해당한다.
커버(110)의 둘레면(114) 중 하나에는 잠금날개(132)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잠금날개(132)는 커버(110)가 용기본체(140)에 용이하게 결합 및 분리되도록 한다. 잠금날개(132)는 가압돌기(134), 결합돌기(136) 및 내측면(138)을 구비한다.
가압돌기(134)는 잠금날개(132)의 상단부에 형성된 ㄱ 형상을 돌기이다. 가압돌기(134)는, 커버(110)가 용기본체(140)에서 분리되는 경우 측면테두리(142)에 형성된 가압홈(144)에 삽입되는데, 이로 인해 잠금날개(132)가 상향 회전(도 4 및 도 5에서는 잠금날개(132)가 반시계 방향 회전)하는 경우 잠금날개(132)의 회전으로 인해서 커버(110)가상부 측방향으로 밀려 올려지게 된다.
결합돌기(136)는 가압돌기(134)의 양측에 대칭적으로 형성된 것으로, 용기본체(140)의 측면에 형성된 결합돌기(148)와 결합하게 된다.
잠금날개(132)의 내측면(138)은 커버(110)가 용기본체(140)에 결합할 때 상부테두리(142)를 가압하는데, 이로 인해서 커버(110)가 잠금날개(132)의 회전에 의해서 측방향으로 당겨지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밀폐용기(100)의 커버(110) 및 용기본체(140) 각각의 구조 그리고 그 결합 및 분리에 대해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5-0030128호의 저장용기 그리고 국제공개번호 WO 2013/109103호에 기재된 저장용기와 동일하거나 유사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를 참고하면, 패킹홈(123)은 커버(110)에 대응하여 전체적으로 사각 형상을 갖는다. 패킹홈(123)은 제1 내부테두리(120) 및 제2 내부테두리(122)에 의해서 형성되는 것으로, 전체적으로 동일한 폭 및 깊이를 갖는다. 패킹홈(123)에는 패킹(160)이 삽입된다. 패킹(160)은 커버(110)가 용기본체(140)에 결합할 때 용기본체(140)의 둘레면(141) 상단부에 의해서 가압됨으로써 밀폐력을 제공한다.
패킹홈(123) 중에서 잠금날개(132)와 인접한 부분에는 공기통로(124)가 형성되어 있다(도 5에서는 점선 표시). 공기통로(124)는 패킹홈(123)을 형성하는 제1 내부테두리(120)의 내측면, 패킹홈(123)의 바닥면(127) 그리고 제2 내부테두리(122)의 외측면에서 일정한 깊이를 갖고 연속적으로 형성된 홈에 해당한다. 따라서 공기통로(124)는 전체적으로 ㄷ 형상을 갖는다. 공기통로(124)는 패킹(160)이 밀폐력을 제공함에도 불구하고 용기본체(140)의 내부로 공기가 유출입 될 수 있게 하는 작은 통로에 해당한다. 공기통로(124)의 폭과 깊이는 작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패킹홈(123)에 삽입된 패킹(160)에 의해서 막히지 않는다.
공기통로(124)의 위치 및 개수는 커버(110)의 형상 및 크기에 따라서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커버(110)의 크기가 큰 경우에는 공기통로(124)를 잠금날개(132)에 대해서 상호 대향 되도록 2개 또는 4개를 대칭적으로 형성할 수 있을 것이다.
공기통로(124) 중에서 바닥면(126)에 형성된 부분에는 조절돌기(128)가 형성되어 있다. 조절돌기(128)는 공기통로(124)의 폭 전체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는 작은 돌기에 해당한다. 도 2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조절돌기(128)는 공기통로(124)의 길이 방향에 수직하게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도 4 및 도 5를 참고하면, 조절돌기(128)의 단부는 곡선으로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조절돌기(128)의 두께는 패킹홈(123)의 폭에 비해 매우 작게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5를 참고하면, 조절돌기(128)는 패킹(160)과 접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밀폐용기(100)는 공기통로(124)의 존재에도 불구하고 조절돌기(128)에 의해서 공기통로(124)가 막혀서 용기본체(140)의 내부로 공기가 유출입되지 않을 수 있다. 다만, 조절돌기(128)의 폭과 두께가 매우 작기 때문에 용기본체(140) 내부의 압력이 외부의 압력에 비해 크거나 또는 그 반대의 경우에는 조절돌기(128)에도 불구하고 공기통로(124)를 통해서 공기가 유출입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커버(110)를 결합한 상태에서 밀폐용기(100)를 전자레인지를 이용하여 가열하는 경우 밀폐용기(100) 내부의 압력이 외부의 압력에 비해서 크게 된다. 이때, 밀폐용기(100) 내부와 외부의 압력차에 의해서 밀폐력이 가장 약한 부분에 해당하는 공기통로(124)의 조절돌기(128)가 개방될 수 있다. 즉, 조절돌기(128)는 패킹(160)과 아주 미세한 부분만 접하고 있기 때문에 밀폐용기(100) 내부와 외부의 압력차에 의해서 패킹(160)의 패킹벽(164)이 수축하여 조절돌기(128)와 패킹(160)과의 사이에 미세한 간격(도시하지 않음)이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간격에 의해서 용기본체(140) 내부의 공기가 공기통로(124)를 통해서 외부로 유출될 수 있다. 그리고 밀폐용기(100) 내부의 공기가 어느 정도 외부로 유출되어 압력차가 감소한 경우에는 수축된 패킹벽(164)이 원상 복귀하여 조절돌기(128)와 다시 접하게 됨으로써 공기통로(124)가 폐쇄될 수 있다.
커버(110)를 결합한 상태에서 밀폐용기(100)를 냉장고의 냉동실에 넣어서 냉동하는 경우, 밀폐용기(100) 내부의 공기가 냉동실의 냉기에 의해서 수축됨으로써 밀폐용기(100) 외부의 압력이 내부의 압력에 비해서 크게 된다. 이때, 밀폐용기(100) 외부와 내부의 압력차에 의해서 밀폐력이 가장 약한 부분에 해당하는 공기통로(124)의 조절돌기(128)가 개방될 수 있다. 즉, 밀폐용기(100) 외부와 내부의 압력차에 의해서 조절돌기(128)와 접하고 있는 부분의 패킹벽(164)이 다소 수축하여 조절돌기(128)와 패킹(160)과의 사이에 미세한 간격(도시하지 않음)이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간격에 의해서 용기본체(140) 외부의 공기가 공기통로(124)를 통해서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그리고 밀폐용기(100) 외부의 공기가 어느 정도 유입되어 압력차가 감소한 경우에는 수축된 패킹벽(164)이 원상 복귀하여 조절돌기(128)와 다시 접하게 됨으로써 공기통로(124)가 폐쇄될 수 있다.
패킹(160)의 내부에는 빈 공간에 해당하는 중공(162)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조절돌기(128)와 접촉하는 부분이 상대적으로 용이하게 수축될 수 있다. 즉, 중공(162)에 의해서 두께가 축소된 패킹벽(164)이 형성되었기 때문에 용기본체(140)의 내부와 외부의 압력차에 의해서 패킹(160)의 수축이 더욱 용이하게 되는 것이다.
밀폐용기(100) 내부와 외부의 압력차에 의해서 조절돌기(128)와 접하는 부분의 패킹벽(164)이 수축하는 정도는, 패킹(160)의 재질, 패킹(160)의 단면 크기 및 패킹벽(164)의 두께, 중공(162)의 크기 및 형상, 조절돌기(128)의 높이 및 폭, 조절돌기(128)의 단면 형상 등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조절돌기(128)가 공기통로(124)의 바닥면(126)으로부터 돌출된 길이가 클수록 패킹벽(164)을 더욱 강하게 가압하기 때문에, 패킹벽(164)의 수축이 어려워지고 이로 인해 패킹(140)과 조절돌기(128) 사이에 간격이 발생하는 것이 어렵게 된다. 또한, 패킹(160)에 형성된 중공(162)의 크기가 작아서 패킹벽(164)이 두꺼워진 경우 패킹벽(164)이 수축하기 어렵게 되어서 압력차에 의해서 공기통로(124)가 개방되는 것이 어렵게 된다.
도 4 및 도 5에 예시된 바와 같이, 조절돌기(128)의 높이는 공기통로(124)의 깊이에 비해서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조절돌기(128)는 공기통로(124)의 외부로 돌출되지 않는다. 이때, 커버(110)가 용기본체(140)에 결합되는 경우, 패킹(160)은 공기통로(124) 방향으로 가압되어서 조절돌기(128)와 접할 수 있다.
물론, 조절돌기(128)의 높이는 공기통로(124)의 깊이에 비해서 크게 형성될 수도 있는데, 이때 조절돌기(128)는 공기통로(124)의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또한, 조절돌기(128)의 높이는 공기통로(124)의 깊이와 동일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밀폐용기(100)는 하나의 공기통로(124) 및 하나의 조절돌기(128)를 구비하는 것으로 예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공기통로(124) 및 조절돌기(128)의 개수 및 배치 위치에 의해서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밀폐용기(100)는 두 개 이상의 공기통로(124)를 구비할 수 있고, 각각의 공기통로(124)에는 하나 또는 두 개 이상의 조절돌기(128)가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6 내지 도 8을 참고하면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밀폐용기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밀폐용기의 커버의 일부를 예시하는 도면으로서 도 2의 A 부분에 대응한다. 참고로, 도 6에서 패킹홈(223)에는 패킹(160)이 제거되어 있다. 그리고 도 7 및 도 8은 각각 도 6의 AA선 및 BB선에 따른 단면도로서, 패킹(160)이 삽입된 상태를 예시한다. 참고로, 도 7 및 도 8에서 패킹(160)은 중공(162)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6 내지 도 8을 참고하면, 제2 실시예에 따른 밀폐용기는 제1 내부테두리(220) 및 제2 내부테두리(222)에 의해서 패킹홈(223)이 형성되고, 패킹홈(223) 중에서 잠금날개(도시하지 않음)가 형성된 부분에 인접해서 내부돌기(224)가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내부돌기(224)는 패킹홈(223)의 바닥면에서 일정한 높이를 갖고 돌출 형성된 것으로 패킹홈(223)의 전체 폭에 걸쳐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내부돌기(224)의 높이는 패킹홈(223)의 깊이에 비해서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내부돌기(224)의 각 모서리는 라운드(round) 처리될 수 있는데, 이로 인해 패킹(160)이 내부돌기(224)의 상면에 밀착될 수 있다.
제1 내부테두리(220)의 내측면 및 제2 내부테두리(222)의 외측면에는 공기통로에 해당하는 홈(도면부호 없음)이 형성되어 있다.
도 7에 예시된 바와 같이, 내부돌기(224)에 의해서 패킹홈(223)에 삽입된 패킹(160)이 볼록하게 돌출되는데, 이로 인해 내부돌기(224)의 측면에 공기통로(221)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내부돌기(224)는 양각으로 형성되어 패킹(160)의 일부를 상승시켜서 패킹홈(223)의 바닥면과의 사이에 공기통로(221)에 해당하는 일정한 간격이 발생되도록 한다.
내부돌기(224)의 양 측면에는 작은 폭과 길이를 갖는 조절돌기(228)가 형성되어 있다. 조절돌기(228)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조절돌기(128)와 같이 패킹(160)과 접하는 부분의 면적을 작게 해서 공기통로(221)가 개방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조절돌기(228)는 도 8에 예시된 바와 같이 경사지게 형성되어서 패킹(160)과 밀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조절돌기(228)는 내부돌기(224)에 의해 형성된 공기통로(221)를 차폐하는 역할을 한다.
조절돌기(228)의 폭은 패킹홈(223)의 폭에 비해서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조절돌기(228)의 길이도 패킹홈(223)의 길이 및 내부돌기(224)의 길이에 비해서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조절돌기(228)의 길이 및 폭을 작게 함으로써, 조절돌기(228)와 패킹(160)이 접촉하는 면적을 줄일 수 있게 되고, 이로 인해 밀폐용기(100) 내부 및 외부의 압력차가 발생하는 경우 공기가 밀폐용기(100)의 내부로 유입되거나 또는 외부로 유출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는 밀폐용기가 커버의 슬라이드에 의해서 용기본체에 결합하는 것으로 예시하였지만, 공기통로(124, 221) 및 조절돌기(128, 228)의 구성은 네 개의 잠금날개를 구비하는 일반적인 밀폐용기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밀폐용기는 사각 형상을 갖는 것으로 예시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밀폐용기의 결합 구조는 물론 그 형상에 의해서도 제한되지 않는다. 따라서 공기통로 및 조절돌기에 대한 구성은 원형, 직사각형 또는 다각형 등 다양한 형상을 갖는 밀폐용기에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밀폐용기
110: 커버
123, 223: 패킹홈
124, 221: 공기통로
128, 228: 조절돌기
140: 용기본체
160: 패킹

Claims (8)

  1. 밀폐용기의 용기본체와 결합하는 커버로서,
    패킹;
    상기 패킹이 삽입되는 패킹홈;
    상기 패킹홈에 음각으로 형성되어 공기의 유입 및 유출을 가능하게 하는 공기통로; 및
    상기 공기통로에서 형성되어 상기 패킹과 접촉하는 조절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가 상기 용기본체에 결합되어 밀폐상태가 유지되는 상태에서, 상기 조절돌기와 상기 패킹의 접촉이 밀폐용기 내부 및 외부의 압력차에 의해서 일시적으로 해제됨으로써 공기의 유입 또는 유출이 허용되는 밀폐용기의 커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돌기의 폭은 상기 공기통로의 폭과 동일하거나 작고, 상기 조절돌기의 두께는 상기 패킹홈의 폭에 비해서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용기의 커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돌기의 단부는 곡선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용기의 커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돌기의 높이는 상기 공기통로의 깊이에 비해서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용기의 커버.
  5. 밀폐용기의 용기본체와 결합하는 커버로서,
    패킹;
    상기 패킹이 삽입되고 바닥면을 구비하는 패킹홈;
    상기 바닥면에서 돌출 형성되어 상기 바닥면과 상기 패킹과의 사이에 공기의 유입 및 유출을 가능하게 하는 공기통로를 형성하는 내부돌기; 및
    상기 내부돌기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패킹과 접촉하면서 상기 공기통로를 폐쇄하는 조절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커버가 상기 용기본체에 결합되어 밀폐상태가 유지되는 상태에서, 상기 조절돌기와 상기 패킹과의 접촉이 밀폐용기 내부 및 외부의 압력차에 의해서 일시적으로 해제됨으로써 상기 공기통로를 통해서 공기의 유입 또는 유출이 허용되는 밀폐용기의 커버.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돌기는 상기 패킹과 접촉할 수 있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용기의 커버.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패킹은 중공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용기의 커버.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돌기는, 상기 패킹이 상기 패킹홈에 삽입될 때 상기 중공의 길이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용기의 커버.
KR1020160025665A 2016-03-03 2016-03-03 밀폐용기용 커버 KR20160032059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5665A KR20160032059A (ko) 2016-03-03 2016-03-03 밀폐용기용 커버
KR1020160053732A KR20170103589A (ko) 2016-03-03 2016-05-02 밀폐용기용 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5665A KR20160032059A (ko) 2016-03-03 2016-03-03 밀폐용기용 커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2059A true KR20160032059A (ko) 2016-03-23

Family

ID=5564530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5665A KR20160032059A (ko) 2016-03-03 2016-03-03 밀폐용기용 커버
KR1020160053732A KR20170103589A (ko) 2016-03-03 2016-05-02 밀폐용기용 커버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3732A KR20170103589A (ko) 2016-03-03 2016-05-02 밀폐용기용 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16003205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25197A (ko) 2022-08-23 2022-09-14 구홍식 밀폐용기용 패킹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3757B1 (ko) * 2019-09-06 2021-04-23 클린큐트 주식회사 보관용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25197A (ko) 2022-08-23 2022-09-14 구홍식 밀폐용기용 패킹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3589A (ko) 2017-09-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94904B1 (ko) 정밀기판 수납용기의 개스킷
EP1786698B1 (en) Dispensing closure
US11358762B2 (en) Container lid
US11639252B2 (en) Container with venting or multiple sealing feature
AU2018203311B2 (en) Airtight container
KR20160032059A (ko) 밀폐용기용 커버
KR101627227B1 (ko) 크림타입 화장품 용기의 씰링구조
KR20140062397A (ko) 밀폐용기
KR20070120007A (ko) 원터치식 밀폐용기
KR101395878B1 (ko) 2중 플라스틱용기 캡조립체
US20180118417A1 (en) Leak-Proof Push Button Lid
US20190047753A1 (en) Storage container
KR20140115535A (ko) 커버 및 이를 구비하는 저장용기
KR20140036578A (ko) 저장용기
KR101858092B1 (ko) 화장품용기
KR102015281B1 (ko) 휴대용 진공보관용기
KR200392793Y1 (ko) 진공해제레버 개폐장치를 구비한 식품진공보존용기 덮개
KR102535045B1 (ko) 주방용품
JP6903936B2 (ja) 口栓
KR200487553Y1 (ko) 음식물 저장용기의 누름판
KR200253340Y1 (ko) 진공용기
TWI697627B (zh) 吸盤
KR20180012517A (ko) 크림타입 화장품 용기의 씰링구조
KR200248959Y1 (ko) 식품보관용 밀폐용기
KR200195604Y1 (ko) 반찬통 뚜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