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31618A - 도광판의 제조 방법 및 이 도광판을 갖는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도광판의 제조 방법 및 이 도광판을 갖는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31618A
KR20160031618A KR1020140121130A KR20140121130A KR20160031618A KR 20160031618 A KR20160031618 A KR 20160031618A KR 1020140121130 A KR1020140121130 A KR 1020140121130A KR 20140121130 A KR20140121130 A KR 20140121130A KR 20160031618 A KR20160031618 A KR 201600316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light guiding
guiding portion
light guide
guid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211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래영
신택선
오선희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211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31618A/ko
Priority to US14/788,339 priority patent/US10175416B2/en
Publication of KR201600316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161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65Manufacturing aspects; Material aspec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1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in of light from the light source into the light guide
    • G02B6/001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in of light from the light source into the light guide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light guide or in the bulk of it
    • G02B6/0018Redirecting means on the surface of the light guid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1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in of light from the light source into the light guide
    • G02B6/002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in of light from the light source into the light guide provided by one optical element, or plurality thereof, placed between the light guide and the light source, or around the light source
    • G02B6/0028Light guide, e.g. tap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 광원, 도광판, 및 수납부를 포함한다. 상기 표시 패널은 광을 제공받아 영상을 표시한다. 상기 광원은 상기 광을 발생한다. 상기 도광판은 상기 광을 수광하여 상기 표시 패널로 상기 광을 제공한다. 상기 수납부는 상기 광원과 상기 도광판을 수납한다. 상기 도광판은 제1 도광부 및 제2 도광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도광부는 제1 물질을 포함한다. 상기 제2 도광부는 상기 제1 물질과 상이한 제2 물질을 포함하며 테이퍼진 형상을 갖고, 상기 제1 도광부와 결합된다.

Description

도광판의 제조 방법 및 이 도광판을 갖는 표시장치 {METHOD OF MANUFACTURING LIGHT GUIDE PLATE AND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LIGHT GUIDE PLATE}
본 발명은 도광판의 제조 방법 및 이 도광판을 갖는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도광판을 용이하게 제조하는 방법 및 상기 도광판을 포함하여 표시품질 및 광 이용 효율이 향상된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액정 표시장치, 전기영동 표시장치, 및 전기습윤 표시장치와 같은 비발광형 표시장치는 광을 조사하기 위한 별도의 백라이트 유닛이 필요하다. 백라이트 유닛은 영상이 표시되는 표시면에 대한 발광 다이오드의 위치에 따라 엣지형과 직하형으로 구분된다.
엣지형 백라이트 유닛은 직하형 백라이트 유닛에 비해 얇은 두께를 갖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휴대형 표시장치의 경우 엣지형 백라이트 유닛을 많이 채용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향상된 제조 수율 및 향상된 표시품질을 갖는 표시장치를 제공하는데 있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제조가 용이한 도광판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 광원, 도광판, 및 수납부를 포함한다. 상기 표시 패널은 광을 제공받아 영상을 표시한다. 상기 광원은 상기 광을 발생한다. 상기 도광판은 상기 광을 수광하여 상기 표시 패널로 상기 광을 제공한다. 상기 수납부는 상기 광원과 상기 도광판을 수납한다. 상기 도광판은 제1 도광부 및 제2 도광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도광부는 제1 물질을 포함한다. 상기 제2 도광부는 상기 제1 물질과 상이한 제2 물질을 포함하며 테이퍼진 형상을 갖고, 상기 제1 도광부와 결합된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광판의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다. 제1 도광부를 제공한다. 상기 제1 도광부에 테이퍼진 형상을 갖는 제2 도광부를 제공한다. 상기 제1 도광부를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제2 도광부를 제공하는 단계는 별도의 단계에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도광판은 제1 물질을 포함하는 제1 도광부 및 제1 물질과 상이한 제2 물질을 포함하는 제2 도광부로 구성되어 있다.
일 실시예에서는 제2 도광부의 경도가 제1 도광부의 경도보다 클 수 있고, 그 결과 도광판을 수납부에 수납할 때, 도광판이 갈려 이물질이 발생되는 현상이 최소화되어 표시장치의 제조 수율이 향상 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서는 제2 도광부의 굴절율이 제1 도광부의 굴절율보다 클 수 있고, 그 결과 테이퍼진 도광판의 경사면에서 광이 새는 현상이 최소화되어 표시장치의 표시품질이 향상 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플레이트 형상을 갖는 제1 도광부를 형성한 후, 테이퍼진 형상을 갖는 제2 도광부를 형성한다. 따라서 별개의 공정으로 제1 도광부와 제2 도광부를 형성하므로, 테이퍼 형상을 갖는 도광판을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표시장치를 분해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도광판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광판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I-I`을 따라 절단한 표시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7a, 도 7b 및 도 7c는 도 4의 도광판을 제조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8a 및 도 8b는 도 3의 도광판을 제조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9a, 도 9b 및 도 9c는 도 3의 도광판을 제조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0a, 도 10b 및 도 10c는 도 3의 도광판을 제조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한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효과는 도면과 관련된 실시예들을 통해서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응용되어 변형될 수도 있다. 오히려 후술될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에 의해 개시된 기술 사상을 보다 명확히 하고, 나아가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가 후술될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한편, 하기 실시예와 도면 상에 동일한 참조 번호들은 동일한 구성 요소를 나타낸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또한,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또는 `상에` 있다고 할 때,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이 개재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표시장치를 분해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표시장치(100)는 표시 패널(110), 백라이트 유닛(120), 몰드 프레임(180) 및 탑 샤시(130)를 포함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표시장치(100)에서 영상이 제공되는 방향은 상부 방향으로 정의되고, 상부 방향의 반대 방향은 하부 방향으로 정의된다.
표시 패널(110)은 영상을 표시한다. 표시 패널(110)은 액정 표시 패널(liquid crystal display panel), 전기습윤 표시 패널(electro wetting display panel), 전기영동 표시 패널 (electrophoretic display panel) 및 MEMS 표시 패널(micro electro mechanical system display panel)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액정 표시 패널을 예로서 설명한다.
표시 패널(110)은 두 쌍의 변들을 가지는 사각형의 판상일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표시 패널(110)은 한 쌍의 장변과 한 쌍의 단변을 가지는 직사각형일 수 있다. 표시 패널(110)은 표시 기판(111), 표시 기판(111)에 대향하는 대향 기판(112), 및 표시 기판(111)과 대향 기판(112) 사이에 개재된 액정층(미도시)을 포함한다. 표시 패널(110)은 평면상에서 볼 때 영상이 표시되는 표시 영역과, 표시 영역을 둘러싸며 영상이 표시되지 않는 비표시 영역을 가질 수 있다.
백라이트 유닛(120)은 표시 패널(110)에 광을 제공하고, 백라이트 유닛(120)은 표시 패널(110)의 하부에 배치된다. 백라이트 유닛(120)은 수납부(140), 광원(150), 도광판(160), 광학시트들(170), 및 반사시트(190)를 포함할 수 있다.
수납부(140)는 바닥부(141), 바닥부(141)로부터 연장된 측벽(142), 및 측벽(142)으로부터 바닥부(141)와 평행하게 연장되어 광원(150)을 커버하는 커버부(143)를 포함할 수 있다. 측벽(142)은 바닥부(141)로부터 상부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수납부(140)는 광원(150) 및 도광판(160)을 수납하며, 바닥부(141)에는 광원(150)과 도광판(160)이 안착될 수 있다.
광원(150)은 도광판(160)의 적어도 하나의 측면으로 광을 제공할 수 있다. 광원(150)과 바닥부(141) 사이에는 인쇄회로기판(151)이 배치될 수 있다. 광원(150)은 인쇄회로기판(151) 위에 실장되어, 인쇄회로기판(151)으로부터 구동 전압을 제공받을 수 있다.
도광판(160)은 광원(150)으로부터 광을 제공받아, 제공받은 광을 표시 패널(110) 측으로 가이드할 수 있다. 도광판(160)은 제1 도광부(161) 및 제2 도광부(16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도광부(161)는 제1 물질을 포함하고, 제2 도광부(162)는 제1 물질과 상이한 제2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도광판(160)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도 3, 및 도5에서 설명된다.
광학시트들(170)은 도광판(160)과 표시 패널(11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광학시트들(170)은 도광판(160)으로부터 가이드 된 광의 경로를 제어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광학시트들(170)은 확산 시트(171), 프리즘 시트(172), 및 보호 시트(173)를 포함할 수 있다.
확산 시트(171)는 광을 확산시키고, 프리즘 시트(172)는 확산 시트(171)에서 확산된 광의 진행방향이 표시 패널(110)의 법선 방향과 가까워지도록 광을 집광한다. 보호 시트(173)는 프리즘 시트(172)를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광학시트들(170)이 확산 시트(171), 프리즘 시트(172) 및 보호 시트(173)를 한 매씩 구비한 것을 예로 들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광학시트들(170)은 확산 시트(171), 프리즘 시트(172), 및 보호 시트(173)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복수 매 겹쳐서 사용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어느 하나 이상의 시트가 생략될 수 도 있다.
반사시트(190)는 도광판(160)과 바닥부(14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반사시트(190)는 도광판(160)으로부터 누설된 광을 반사하여 누설된 광을 도광판(160) 측으로 재입사시킬 수 있다.
몰드 프레임(180)은 표시 패널(110) 및 백라이트 유닛(12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몰드 프레임(180)은 지지부(181) 및 지지부(181)로부터 연장된 프레임측벽(182)을 포함할 수 있다. 몰드 프레임(180)의 지지부(181) 위에 표시 패널(110)이 배치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표시 패널(110)을 지지하기 위한 부재로 몰드 프레임(180)이 도시되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몰드 프레임(180)이 생략될 수 있다. 이 경우, 표시 패널(110)은 수납부(140)에 의해 지지되며, 수납부(140)와 표시 패널(110)이 접착부재(미도시)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탑 샤시(130)는 표시 패널(110)의 상부에 배치되어 표시 패널(110)의 비표시 영역을 커버할 수 있다. 탑 샤시(130)는 수납부(140)와 결합하여 표시 패널(110)의 가장자리를 지지하고, 탑 샤시(130)에는 표시 패널(110)의 표시 영역을 노출시키는 표시창이 정의될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도광판의 측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도광판(160)은 제1 도광부(161) 및 제2 도광부(162)를 포함한다.
제1 도광부(161)는 플레이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도광부(161)는 제1 측면(161a), 제1 측면(161a)과 마주하는 제2 측면(161b) 및 제1 측면(161a)을 제2 측면(161b)에 연결하는 상면(161c)을 포함한다.
제2 도광부(162)는 테이퍼진(tapered) 향상을 가지며, 제1 도광부(161)와 결합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제2 도광부(162)는 제1 도광부(161)의 상면(161c)과 결합될 수 있다. 제2 도광부(162)는 제2 측면(161b)과 가까워질수록 감소되는 두께(TN1)를 가질 수 있다.
제1 도광부(161)의 두께(TN0)는 0.2mm 내지 0.5mm일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박형의 테이퍼진 도광판(160) 구현을 위해, 제2 도광부(162)를 제1 도광부(161)와 별도의 공정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제2 도광부(162)는 사출 성형(injection molding), 임프린팅 공정, 잉크젯 공정 또는 그라비아 인쇄 공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설명은 추후 설명된다.
도광판(160)에는 광(LT)을 수광하는 입사면(170a)이 정의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입사면(170a)은 제2 도광부(162)의 일면(162a) 및 제1 도광부(161)의 제1 측면(161a)으로 정의될 수 있다. 도광판(160)이 테이퍼진 형상을 가져 입사면(170a)의 높이가 제1 도광부(161)의 두께(TN0)보다 크기 때문에, 광원(도 2의 150)에서 발생된 광이 도광판(160)으로 입사할 때 누설되는 광의 양이 감소될 수 있다.
도 4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광판의 측면도이다. 도 4를 설명함에 있어서, 도 3의 도면 부호를 병기하고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된다.
도 4를 참조하면, 도광판(160a)은 제1 도광부(161), 및 제2 도광부(163)를 포함한다.
제2 도광부(163)는 제1 도광부(161)의 제1 측면(161a)과 결합될 수 있다. 제2 도광부(163)는 제2 측면(161b)과 가까워질수록 감소되는 두께(TN2)를 가질 수 있다.
도광판(160a)의 광(LT)을 수광하는 입사면(170b)은 제2 도광부(163)의 일면(163a)으로 정의될 수 있다. 따라서, 광원(도 2의 150)에서 발생한 광은 제2 도광부(163)의 일면(163a)으로 입사되어 표시 패널(도 2의 110)을 향해 가이드 될 수 있다.
도 5는 도 1의 I-I`을 따라 절단한 표시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5를 설명함에 있어서 도 2 및 도 3의 도면 부호를 병기하고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수납부(140)는 바닥부(141), 측벽(142), 및 커버부(143)를 포함한다.
도광판(160)을 수납부(140)에 수납할 때, 도광판(160)은 커버부(143)와 바닥부(141) 사이의 공간으로 삽입된다.
이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도광부(161)는 제1 물질(MA1)을 포함하고, 제2 도광부(162)는 제1 물질(MA1)과 상이한 제2 물질(MA2)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도광부(162)의 경도는 제1 도광부(161)의 경도보다 클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물질(MA1)은 폴리아미드(Polyamide, PA)계 수지일 수 있고, 제2 물질(MA2)은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Polymethyl methacrylate, PMMA)계 수지 또는 메틸 메타크릴레이트-스티렌(Methyl methacrylate-styrene, MS)계 수지일 수 있다.
제1 도광부(161)보다 경도가 큰 제2 도광부(162)가 커버부(143) 아래로 삽입되기 때문에, 도광판(160)을 수납부(140)에 수납할 때 커버부(143)에 의해 도광판(160)이 갈리는 문제점이 최소화될 수 있다. 따라서 도광판(160)이 갈려 이물질이 발생되는 현상이 최소화되고, 표시장치(100)의 제조 수율이 향상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광원(150)과 커버부(143) 사이에 반사시트(190)가 더 배치될 수 있다. 반사시트(190)는 표시 패널(110)의 비표시 영역에서 광이 새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표시장치(100)가 도 3의 도광판(160)을 포함하는 것을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표시장치(100)가 도 4의 도광판(도 4의 160a)을 포함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6의 단면도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101)에서 도 1의 표시장치(도 1의 100)의 I-I`과 대응되는 위치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6을 설명함에 있어, 도 2 및 도 5의 도면 부호를 병기하고,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된다.
도 6을 참조하면, 표시장치(101)의 수납부(140a)는 바닥부(141) 및 바닥부(141)로부터 연장된 측벽(142)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 따르면, 수납부(140a)에는 광원(150)을 커버하는 커버부(도 5의 143)가 생략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도광부(161d)는 제1 물질(MA3)을 포함하고, 제2 도광부(162d)는 제1 물질(MA3)과 상이한 제2 물질(MA4)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물질(MA4)의 굴절율은 제1 물질(MA3)의 굴절율보다 클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물질(MA3)은 1.49의 굴절율을 갖는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Polymethyl methacrylate, PMMA)계 수지일 수 있고, 제2 물질(MA4)은 1.58의 굴절율을 갖는 폴리아미드(Polyamide, PA)계 수지일 수 있다.
제2 도광부(162d)의 굴절율이 제1 도광부(161d)의 굴절율보다 크기 때문에, 스넬의 법칙(Snell's law)에 의해 제2 도광부(162d)에서 제1 도광부(161d)로 진행하는 광의 입사각(A1)은 굴절각(A2)보다 작을 수 있다.
이 실시예에 따르면, 굴절각(A2)이 입사각(A1)보다 크기 때문에 제1 도광부(161d)의 굴절율과 제2 도광부(162d)의 굴절율이 동일한 경우보다, 광이 도광판(160b)의 경사면(IP)으로 입사되는 확률이 감소되어, 경사면(IP)을 통해 도광판(160b)의 외부로 누설되는 확률이 감소될 수 있다. 그 결과, 누설되는 광이 줄어 빛 샘 현상이 최소화되어 균일한 휘도의 광을 표시패널(110)로 제공하여 표시장치(101)의 표시품질이 향상될 수 있고, 또한, 누설되는 광이 감소되어 표시장치(101)의 광 이용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도 7a, 도 7b 및 도 7c는 도 4의 도광판을 제조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7a, 도 7b 및 도 7c를 설명함에 있어서, 도 4의 도면 부호를 병기하고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된다.
도 7a를 참조하면, 제1 도광부(161)를 형성한다. 제1 도광부(161)는 압출성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도광부(161)는 제1 물질(MAa)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도광부(161)의 제1 측면(161a)에 게이트부(201), 및 성형부(202)를 포함하는 금형(200)을 배치한다. 게이트부(201)를 통해 제2 물질(MAb)을 포함하는 수지(resin, RE)를 주입하여, 성형부(202)에 수지(RE)를 충진한다. 예컨대, 제1 물질(MAa)과 제2 물질(MAb)은 경도가 상이하거나, 굴절율이 상이할 수 있다.
성형부(202)에 수지(RE)를 충진한 이후에, 수지(RE)를 경화한다. 수지(RE)를 경화하는 방법으로 냉각 또는 자외선 경화가 사용될 수 있다.
도 7b를 참조하면, 금형(200)을 제1 도광부(161)에서 분리한다. 금형(200)이 분리되면, 게이트부(201)의 형상과 대응되는 게이트(GE) 및 성형부(202)의 형상과 대응되는 제2 도광부(163)가 형성되고, 게이트(GE)는 절삭(CUT)되어 제거된다.
도 7c를 참조하면, 제1 물질(MAa)을 포함하는 제1 도광부(161) 및 제2 물질(MAb)을 포함하는 제2 도광부(163)를 포함하는 도광판(160a)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와 달리 제1 도광부(161)와 제2 도광부(163)를 1 회의 사출 공정으로 형성할 때, 0.5mm 이하의 두께를 갖는 도광판을 성형하기 위한 금형의 폭이 좁다. 따라서, 수지가 고압 및 고속으로 금형에 제공되어야 하기 때문에, 도광판을 성형하는 공정이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 하지만 이 실시예에 따르면, 0.5mm 이하의 두께와 박형의 플레이트 형상을 갖는 제1 도광부(161)를 압출 공정을 이용하여 형성한 후, 제2 도광부(162)를 별도의 사출 공정을 이용하여 형성하기 때문에, 도광판(160a)을 보다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도 4의 도광판(160a)을 제조하는 방법만을 도시하였으나, 도 3의 도광판(도 3의 160)도 도 7a 내지 도 7c의 방법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도 8a 및 도 8b는 도 3의 도광판을 제조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면, 제2 도광부(162)는 잉크젯 공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잉크젯 장치는 수지를 저장하는 저장부(301), 수지를 분출하는 노즐(300), 및 저장부(301)를 노즐(300)에 연결하며, 수지가 이동하는 연결관(302)을 포함한다.
잉크젯 장치에 제1 도광부(161)가 제공된다. 제1 도광부(161)는 압출성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도광부(161)는 제1 물질(MAa)을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301)에 저장된 수지는 제1 물질(MAa)과 상이한 제2 물질(MAb)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물질(MAa)과 제2 물질(MAb)은 경도가 상이하거나, 굴절율이 상이할 수 있다.
제1 도광부(161)의 상면(161c)에 노즐(300)을 이용하여 수지를 공급한다. 제1 측면(161a)에서 제2 측면(161b)로 갈수록 두께가 감소되도록 제2 도광부(162)를 형성할 수 있다. 제2 도광부(162)가 제2 측면(161b)로 가까워질수록 감소되는 두께를 가지도록 하기 위해, 수지의 공급량, 노즐(300)의 이동 속도, 또는 제1 도광부(161)의 이동 속도 등을 조절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 따르면, 제2 도광부(162)는 잉크젯 공정에 의해 제1 도광부(161)와 별도의 공정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제1 도광부(161)와 제2 도광부(162)를 1 회의 사출 공정으로 형성하는 경우와 달리 수지를 고압 및 고속으로 제공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도광판(160c)을 보다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도 9a, 도 9b 및 도 9c는 도 3의 도광판을 제조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9a, 도 9b 및 도 9c를 참조하면, 지지부(401) 위에 제1 물질(MAa)을 포함하는 제1 도광부(161)가 배치된다. 제1 도광부(161) 위에 제1 물질(MAa)과 상이한 제2 물질(MAb)을 포함하는 레지스트(164)를 도포한다. 제1 물질(MAa)과 제2 물질(MAb)은 경도가 상이하거나, 굴절율이 상이할 수 있다. 레지스트(164) 상부에 테이퍼 형상이 형성된 스탬프(400)가 배치된다. 스탬프(400)를 레지스트(164)에 물리적으로 접촉시킨 후, 자외선(UV)을 조사한다. 자외선(UV)을 조사받은 레지스트(164)는 스탬프(400)의 모양을 따라 경화될 수 있다. 스탬프(400)를 제1 도광부(161)로부터 분리하면 제1 도광부(161) 위에 제2 도광부(165)가 형성된다.
이 실시예에 따르면, 제2 도광부(165)는 임프린팅 공정에 의해 제1 도광부(161)와 별도의 공정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제1 도광부(161)와 제2 도광부(165)를 1 회의 사출 공정으로 형성하는 경우와 달리 수지를 고압 및 고속으로 제공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도광판(160d)을 보다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도 10a, 도 10b 및 도 10c는 도 3의 도광판을 제조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0a, 도 10b 및 도 10c를 참조하면, 제2 도광부(162)는 그라비아 인쇄 공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500) 위에 제1 물질(MAa)을 포함하는 제1 도광부(161)가 배치된다. 제1 도광부(161)의 상부에 그라비아롤(501)이 배치되고, 그라비아롤(501)에는 제2 도광부(166)의 형상과 대응되는 오목홈(502)이 정의된다.
오목홈(502)에 제1 물질(MAa)과 상이한 제2 물질(MAb)을 포함하는 수지가 공급되고, 그라비아롤(501)이 회전하며 제1 도광부(161)를 롤링함에 따라 오목홈(502)에 공급된 수지가 제1 도광부(161)로 전사될 수 있다. 그 결과, 제1 도광부(161)에 전사된 수지에 의해 제2 도광부(166)가 형성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 따르면, 제2 도광부(166)는 잉크젯 공정에 의해 제1 도광부(161)와 별도의 공정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제1 도광부(161)와 제2 도광부(166)를 1 회의 사출 공정으로 형성하는 경우와 달리 수지를 고압 및 고속으로 제공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도광판(160e)을 보다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100: 표시 장치 110: 표시 패널
120: 백라이트 유닛 130: 탑 샤시
140: 수납부 141: 바닥부
142: 측벽 143: 커버부
150: 광원 151: 인쇄회로기판
160: 도광판 161: 제1 도광부
162: 제2 도광부 170: 광학시트들
180: 몰드 프레임 190: 반사시트
MA1: 제1 물질 MA2: 제2 물질

Claims (18)

  1. 광을 제공받아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
    상기 광을 발생하는 광원;
    상기 광을 수광하여 상기 표시 패널로 상기 광을 제공하는 도광판; 및
    상기 광원과 상기 도광판을 수납하는 수납부를 포함하며,
    상기 도광판은
    제1 물질을 포함하는 제1 도광부; 및
    상기 제1 물질과 상이한 제2 물질을 포함하며 테이퍼진(tapered) 형상을 갖고, 상기 제1 도광부와 결합되는 제2 도광부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광부는 플레이트 형상을 갖고,
    상기 제1 도광부는
    제1 측면;
    상기 제1 측면과 마주하는 제2 측면; 및
    상기 제1 측면과 상기 제2 측면을 연결하는 상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도광부는 상기 제2 측면과 가까워질수록 감소되는 두께를 가져 상기 테이퍼진 형상을 갖는 표시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도광부는 상기 제1 측면과 결합되고,
    상기 광을 수광하는 상기 도광판의 입사면은 상기 제2 도광부의 일면으로 정의되는 표시장치.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도광부는 상기 상면과 결합되고,
    상기 광을 수광하는 상기 도광판의 입사면은 상기 제1 측면 및 상기 제2 도광부의 일면으로 정의되는 표시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는
    상기 도광판이 안착되는 바닥부; 및
    상기 바닥부로부터 연장된 측벽을 포함하는 표시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물질의 굴절율은 상기 제1 물질의 굴절율보다 큰 표시장치.
  7.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는 상기 측벽으로부터 상기 바닥부와 평행하게 연장되어 상기 광원을 커버하는 커버부를 더 포함하는 표시장치.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물질의 경도는 상기 제1 물질의 경도보다 큰 표시장치.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물질은 폴리아미드(Polyamide, PA)계 수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물질은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Polymethyl methacrylate, PMMA)계 수지 또는 메틸 메타크릴레이트-스티렌(Methyl methacrylate-styrene, MS)계 수지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10. 제1 도광부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도광부에 테이퍼진 형상을 갖는 제2 도광부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도광부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도광부를 제공하는 단계와 별도의 단계로 수행되는 도광판 제조 방법.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광부는 제1 물질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도광부는 상기 제1 물질과 상이한 제2 물질을 포함하는 도광판 제조 방법.
  12.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광부는 플레이트 형상을 갖고,
    상기 제1 도광부는 제1 측면, 상기 제1 측면과 마주하는 제2 측면, 및 상기 제1 측면과 상기 제2 측면을 연결하는 상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도광부는 상기 제2 측면과 가까워질수록 감소되는 두께를 가져 상기 테이퍼진 형상으로 형성되는 도광판 제조 방법.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도광부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도광부의 일면에 게이트부 및 성형부를 갖는 금형을 배치하는 단계;
    상기 게이트부를 통해 수지를 주입하여, 상기 성형부에 상기 수지를 충진하는 단계;
    상기 수지를 경화하는 단계; 및
    상기 금형을 상기 제1 도광부에서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도광판 제조 방법.
  14.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도광부는 상기 제1 측면과 결합되는 도광판 제조 방법.
  15.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도광부는 상기 상면과 결합되는 도광판 제조 방법.
  16.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도광부는 임프린팅 공정으로 형성되는 도광판 제조방법.
  17.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도광부는 잉크젯 공정으로 형성되는 도광판 제조 방법.
  18.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도광부는 그라비아 인쇄 공정으로 형성되는 도광판 제조 방법.
KR1020140121130A 2014-09-12 2014-09-12 도광판의 제조 방법 및 이 도광판을 갖는 표시장치 KR20160031618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1130A KR20160031618A (ko) 2014-09-12 2014-09-12 도광판의 제조 방법 및 이 도광판을 갖는 표시장치
US14/788,339 US10175416B2 (en) 2014-09-12 2015-06-30 Method of manufacturing a light guide plate and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1130A KR20160031618A (ko) 2014-09-12 2014-09-12 도광판의 제조 방법 및 이 도광판을 갖는 표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1618A true KR20160031618A (ko) 2016-03-23

Family

ID=554545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1130A KR20160031618A (ko) 2014-09-12 2014-09-12 도광판의 제조 방법 및 이 도광판을 갖는 표시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0175416B2 (ko)
KR (1) KR20160031618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230905A (zh) * 2018-01-02 2018-06-29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屏及显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5513U (ko) 1996-11-04 1998-08-05 박병재 트랜스미션 오일 부족시 주행 저지장치
KR20000051213A (ko) 1999-01-19 2000-08-16 윤종용 도광판 및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
TW200512515A (en) * 2003-09-26 2005-04-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Backlight assembly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KR20070081973A (ko) 2006-02-14 2007-08-20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액정 표시장치
KR20080045471A (ko) 2006-11-20 2008-05-2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도광판 및 이를 포함한 백라이트 어셈블리
WO2009116011A1 (en) * 2008-03-19 2009-09-24 I2Ic Corporation Apparatus for efficiently coupling light from a light source into a thin object
US8131120B2 (en) 2008-08-19 2012-03-06 Alcatel Lucent Planar polarization splitter
KR101597335B1 (ko) * 2008-11-17 2016-02-2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가요성 도광필름을 이용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모듈
KR101708479B1 (ko) 2009-12-31 2017-03-0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도광판과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도광판 제조 방법
KR101839497B1 (ko) 2011-04-29 2018-03-1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백라이트 유닛 및 액정표시장치
KR101712033B1 (ko) * 2011-12-29 2017-03-06 삼성전자 주식회사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US9052431B2 (en) * 2012-09-04 2015-06-09 Shenzhen China Star Optoelectronics Technology Co., Ltd. Backlight module and liquid display devices with the same
TWI499845B (zh) * 2013-08-20 2015-09-11 Au Optronics Corp 薄型顯示模組
JP5784769B2 (ja) * 2014-02-12 2015-09-24 ミネベア株式会社 面状照明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175416B2 (en) 2019-01-08
US20160077268A1 (en) 2016-03-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59853B2 (en) Backlight unit and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KR101614898B1 (ko) 광학 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타일드 표시 장치
KR102501102B1 (ko) 곡면형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US20160216435A1 (en) Curved display device
KR20150074275A (ko) 액정표시장치
JP2007011174A (ja) 光学基板、光学基板の製造方法、面状照明装置、電気光学装置
JP2007025150A (ja) 光学シート、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電気光学装置、電子機器、および光学シートの製造方法
JP2009086188A (ja) 液晶表示装置
EP3062145B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1630342B1 (ko) 액정 표시장치 및 그 조립방법
US8696182B2 (en) Display device and backlight unit for improving uniformity of brightness
KR102276416B1 (ko) 표시 장치
US8425104B2 (en) Backlight assembly and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US9453957B2 (en) Bottom chassis,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KR20160031618A (ko) 도광판의 제조 방법 및 이 도광판을 갖는 표시장치
US20170115445A1 (en) Light guide film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light guide plate and manufacturing and recycling methods thereof
KR20120008706A (ko) 액정표시장치
JP6693139B2 (ja) 筐体、面光源装置、表示装置、及び電子機器
KR102073649B1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표시 장치
KR101688991B1 (ko) 반사시트 및 이를 구비하는 백라이트 장치
KR101519918B1 (ko) 액정 표시 장치 및 그의 조립 방법
CN210270453U (zh) 背光源装置和液晶显示装置
KR101743291B1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KR20140095920A (ko) 액정표시 장치
JP4866230B2 (ja) 両面発光面光源素子およびそれを用いた液晶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