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31078A - 차량에서의 결제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에서의 결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31078A
KR20160031078A KR1020140120060A KR20140120060A KR20160031078A KR 20160031078 A KR20160031078 A KR 20160031078A KR 1020140120060 A KR1020140120060 A KR 1020140120060A KR 20140120060 A KR20140120060 A KR 20140120060A KR 20160031078 A KR20160031078 A KR 201600310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information
access facility
payment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200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재호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200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31078A/ko
Publication of KR201600310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107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5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using wireless networ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Devices For Checking Fares Or Tickets At Control P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에서의 결제 방법에 관한 것으로, 제1제어부가 차량의 차량출입설비로의 진입에 기초하여 제1통신부를 통해 차량출입설비로부터 차량 정보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차량 정보 요청에 기초하여 차량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수집되는 차량 정보를 차량출입설비로 전송하는 단계, 차량출입설비로부터 자동 결제 의사가 있는지에 대한 문의를 수신하는 단계, 출력부를 통해 자동 결제 의사가 있는지를 문의하기 위한 안내 화면을 출력하는 단계 및 탑승자로부터 자동 결제 요청이 접수되면, 차량출입설비로 자동 결제를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에서의 결제 방법{PAYMENT METHOD AT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에서의 결제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에 탑재된 장치를 통해 차량의 고유번호와 위치 정보를 활용하여 특정 설비를 이용함에 따른 이용대금을 결제하는 차량에서의 결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자제어기술의 비약적인 발전에 따라 차량에서도 기계적인 방법에 의해 동작하던 각종 장치들이 운전자의 편리성 및 운행의 안전성 등의 이유로 전기적인 방법에 의해 구동되고 있으며, 차량의 시스템은 점차 고도화되고 최첨단화되어 가고 있다.
또한, 최근 들어 차량에 텔레매틱스 장치를 장착하여 차량위치정보 서비스, 차량도난 및 사고 감지, 원격 차량 진단, 긴급 구난, 교통정보 서비스와 더불어 무선인터넷을 이용한 모바일 오피스 구현, 전자 메일 서비스 등을 제공하도록 하고 있다.
텔레매틱스(Telematics)는 통신(Telecommunication)과 정보과학(Informa tion)의 합성어로 차량과 이동 통신 기술의 결합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동 통신과 인터넷 기술을 기반으로 차량에 필요한 위치정보 기반의 안전서비스, 사무환경 제공을 통한 생산성 향상 서비스 및 금융, 예약, 상품구입, 기타 개인화된 서비스 등을 제공하는 것을 말한다.
최근에는 텔레매틱스 기술의 발전으로, 차량에 장착된 네비게이션 또는 AVN(Audio Video Navigation) 등을 통해서 주유비를 결제하거나 인터넷에 접속하여 결제하는 등의 전자상거래 기능이 적용되고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2-0048929 호(2012.05.16.공개, 발명의 명칭 : 차량용 단말기를 이용한 전자 결제 시스템 및 그 방법)가 있다.
종래에 차량의 주차비를 자동으로 결제하기 위한 시스템에서는 게이트에서 카메라를 통해 차량 번호를 획득하고 주차카드 인식기를 통해 해당 차량의 주차카드를 인식하였다.
그러나 종래의 시스템을 이용하기 위해서 해당 차량은 별도의 주차카드를 소지하고 있어야 하고 게이트 통과에 소요시간이 과도할 수 있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별도의 구성을 추가하지 않고 차량에 탑재된 장치를 통해 차량의 고유번호와 위치 정보를 활용하여, 특정 설비를 이용함에 따른 이용대금을 결제하는 차량에서의 결제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차량에서의 결제 방법은 제1제어부가 차량의 차량출입설비로의 진입에 기초하여 제1통신부를 통해 상기 차량출입설비로부터 차량 정보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차량 정보 요청에 기초하여 차량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수집되는 차량 정보를 상기 차량출입설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차량출입설비로부터 자동 결제 의사가 있는지에 대한 문의를 수신하는 단계; 출력부를 통해 상기 자동 결제 의사가 있는지를 문의하기 위한 안내 화면을 출력하는 단계; 및 탑승자로부터 자동 결제 요청이 접수되면, 상기 차량출입설비로 자동 결제를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상기 차량 정보 요청에 기초하여 차량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1제어부는 차대번호 및 차량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차량 정보를 수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차량 정보 요청에 기초하여 차량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에서, 차량이 진입한 상기 차량출입설비가 주유소이면 상기 제1제어부는 차량에 필요한 유류 정보를 추가로 수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에서의 결제 방법은, 차량출입설비의 차량 감지부가 차량 진입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차량 진입의 감지에 응답하여 제2제어부가 제2통신부를 통해 상기 진입하는 차량으로 차량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차량 정보 요청에 기초하여 수신되는 차량 정보를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차량 정보에 대응하여 저장된 차량의 결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차량으로 자동 결제 의사가 있는지 문의하는 단계; 및 상기 차량으로부터 자동 결제 요청이 수신되면 결제부를 통해 상기 결제 정보에 기초하여 차량의 이용대금을 결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상기 차량 진입을 감지한 이후에, 상기 차량 감지부가 상기 차량 진입에 기초하여 슬립 모드 상태의 상기 제2통신부 및 제2제어부를 활성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차량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2제어부는 차대번호 및 차량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차량 정보를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차량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에서, 상기 차량출입설비가 주유소이면 상기 제2제어부는 상기 차량에 필요한 유류 정보를 추가로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차량으로 자동 결제 의사가 있는지 문의하기 전에, 상기 차량으로부터 수신된 차량 정보에 포함된 차량의 위치가 상기 차량출입설비로부터 기설정된 기준 거리 이내인지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의 위치가 상기 차량출입설비로부터 상기 기준 거리 이내인 경우에 상기 차량으로 자동 결제 의사가 있는지 문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차량의 위치가 상기 차량출입설비로부터 기설정된 기준 거리 이내인지 판단하는 단계에서, 상기 차량의 위치가 상기 차량출입설비로부터 상기 기준 거리를 벗어난 경우에 상기 제어부는 미리 설정된 기준 횟수만큼 차량의 위치 정보를 다시 수신하고 상기 차량의 위치가 상기 차량출입설비로부터 상기 기준 거리 이내인지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별도의 구성을 추가할 필요없이 기존에 차량에 탑재된 장치를 통해 차량의 고유번호와 위치 정보를 활용하여, 특정 설비를 이용함에 따른 이용대금을 간단하게 결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에서의 결제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결제 장치 및 차량출입설비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에서의 결제 방법의 구현 과정을 설명하는 절차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에서의 결제 방법을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에서의 결제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결제 장치 및 차량출입설비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에서의 결제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결제 장치는 제1통신부(110), 제1제어부(130), 위치 감지부(150) 및 출력부(170)를 포함한다.
제1통신부(110)는 차량 정보에 기초하여 차량출입설비(200)를 이용한 이용대금을 결제할 수 있도록 차량출입설비(200)와 통신하는 구성이다.
본 실시예에서 차량출입설비(200)란 주유소, 주차장 또는 정비소 등을 포함하여 차량의 출입에 따른 이용대금이 발생하는 설비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제1통신부(110)는 차량출입설비(200)로의 진입에 기초하여 차량출입설비(200)로부터 차량 정보에 대한 요청을 수신한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차량 탑승자가 현금이나 카드를 제시할 필요없이 이용대금을 자동으로 결제할 수 있도록 차량이 차량출입설비(200)로 진입하면 차량 정보를 요청한다.
제1제어부(130)는 제1통신부(110)를 통해 차량 정보 요청이 수신되면, 그에 기초하여 차량 정보를 수집한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수집하는 차량 정보는 차대번호(Vehicle Identification Number)와 차량의 위치 정보를 포함한다.
즉, 제1제어부(130)는 차량의 엔진이나 변속기 등을 제어하며 차량에 관한 상태를 전반적으로 관리하는 ECU(1)로부터 차대번호를 수집하거나, 차대번호가 미리 저장된 별도의 메모리부(미도시)로부터 차대번호를 수집할 수 있다.
또한 제1제어부(130)는 차량의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 감지부(150)로부터 차량의 위치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차대번호 및 차량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차량 정보를 제1통신부(110)를 통해서 차량출입설비(200)로 전송함으로써, 별도의 아이디나 인증서없이 차량 정보에 기초하여 이용대금을 결제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서 본 실시예에서는 차대번호에 대응하는 결제 정보가 미리 관리 서버(300)에 저장되어 있고, 차량출입설비(200)는 차대번호를 포함하는 차량 정보를 수신하고 그에 기초하여 결제에 필요한 정보를 관리 서버(300)로부터 수신하도록 동작한다.
위치 감지부(150)는 차량의 위치 정보를 수집하는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위치 감지부(150)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수신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고, 이 때 GPS 수신부는 GPS 위성(미도시) 및 GPS 기지국(미도시)과 신호를 주고 받음으로써 GPS 수신부가 장착된 차량의 위치를 감지한다.
GPS 수신부, GPS 위성 및 GPS 기지국 간의 통신을 통해 위치를 감지하는 기술은 이미 공지되었으므로, 구체적인 구현 방법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본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위치 감지부(150)가 직접 차량의 위치를 감지할 필요는 없고, 차량에 설치된 별도의 내비게이션(미도시)에서 감지한 차량의 위치를 수신하는 것도 가능하다.
출력부(170)는 차량 탑승자에게 차량출입설비(200)에서의 이용대금을 자동으로 결제할 의사가 있는지 문의하기 위한 안내 화면을 출력한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전술한 차량 정보를 전송함으로써 바로 차량출입설비(200)에서의 이용대금을 결제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자동으로 이용대금을 결제할 것인지에 대해 탑승자의 의사를 다시 한 번 확인할 수 있다.
즉, 차량출입설비(200)로부터 자동 결제 의사가 있는지에 대한 문의가 수신되면, 제1제어부(130)는 출력부(170)를 통해서 탑승자에게 자동 결제 의사가 있는지를 문의하는 안내 화면을 출력한다.
그리고 탑승자로부터 자동 결제 요청이 접수되면, 차량출입설비(200)로 자동 결제를 요청하는 방식으로 탑승자의 의사를 한 번 더 확인하여 결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차량에서의 결제 장치(1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별도의 아이디나 승인 번호 등을 이용하지 않고 차량 정보 자체를 가지고 이용대금을 결제하므로, 차량 정보를 차량출입설비(200)로 전송할 수 있도록 차량출입설비(200)와 통신이 가능한 구성이면 무엇이든 포함할 수 있으며, 일례로 차량의 AVN(Audio Video Navigation)이 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에서의 결제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차량출입설비(200)는 차량 감지부(210), 제2통신부(230), 제2제어부(250) 및 결제부(270)를 포함한다.
차량 감지부(210)는 차량출입설비(200)로 진입하는 차량을 감지하는 구성으로, 구체적으로 촬영부(미도시) 등을 포함하여 촬영된 영상에 차량이 존재하는지에 기초하여 차량 진입을 감지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다양한 방식으로 차량 진입을 감지하는 구성은 무엇이든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 차량 감지부(210)는 차량출입설비(200)로의 차량 진입이 감지되면, 슬립 모드 상태의 제2통신부(230) 및 제2제어부(250)를 활성화한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출입설비(200)에서 평상시에는 차량 감지부(210)를 제외한 구성은 슬립 모드로 대기하고 있고, 차량 진입이 감지되었을 때 제2통신부(230)와 제2제어부(250)를 활성화함으로써 불필요한 전력 낭비를 막을 수 있다.
제2통신부(230)는 차량 진입에 따라 차량출입설비(20)로 진입하는 차량으로 차량 정보를 요청하는 신호를 전송하고, 차량 정보 요청에 기초하여 수신되는 차량 정보를 관리 서버(300)로 전송한다.
이 때, 관리 서버(300)는 차대번호에 대응되는 은행 계좌를 미리 저장하고 있으며, 제2통신부(230)로부터 전송되는 차량 정보에 포함된 차대번호에 대응되는 은행 계좌를 포함하는 차량의 결제 정보를 차량출입설비(200)로 전송한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차량 정보는 차대번호 및 차량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기 때문에, 본 실시예에서 제2제어부(250)는 차대번호에 대응하여 미리 저장된 은행 계좌 정보를 수신함으로써 간단하게 결제를 수행한다.
이를 위해서 본 실시예에서는 신용카드를 통한 결제와 동일한 방식으로, 차대번호만 있으면 그에 대응되는 계좌에서 비용이 결제될 수 있도록 설정되며 구체적인 결제 방법은 이미 공지된 기술이므로 구체적인 구현 과정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 차량출입설비(200)가 주유소이면, 제2제어부(250)는 차대번호 및 차량의 위치 정보 뿐만 아니라 차량에 필요한 유류 정보를 추가로 요청한다.
즉, 어떠한 유류를 주유하는지에 따라서 차량의 이용대금이 달라지기 때문에 본 실시예에서 제2제어부(250)는 유류 정보를 추가로 요청하여 수신하고, 차량으로 주유한 유량에 기초하여 이용대금을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제2제어부(250)는 관리 서버(300)로부터 수신된 차량의 결제 정보에 기초하여 즉시 결제할 수 있지만, 전술한 바와 같이 탑승자의 의사를 한 번 더 확인하기 위해서 차량으로 자동 결제 의사가 있는지 문의한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 수신된 차량 정보가 조작되거나 해킹되어 차량출입설비(200)로 진입하는 차량의 차대번호를 취득한 부정한 이용자가 결제를 요청한 경우를 걸러내기 위해서, 제2제어부(250)는 차량으로 자동 결제 의사가 있는지 문의하기 전에, 차량으로부터 수신된 차량 정보에 포함된 차량의 위치가 차량출입설비(200)로부터 기설정된 기준 거리 이내인지 판단한다.
그리고 제2제어부(250)는 차량의 위치가 차량출입설비(200)로부터 기준 거리 이내인 경우에 차량으로 자동 결제 의사가 있는지 문의한다.
이 때, 기준 거리는 차량이 차량출입설비(200)로 진입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는 차량과 차량출입설비(200) 간의 거리를 의미하는 것으로, 차량출입설비(200)의 규모 등을 반영하여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제2제어부(250)는 통신상의 장애 등으로 차량의 위치 정보가 정상적으로 수신되지 않는 경우 등을 감안하기 위해서, 차량의 위치가 차량출입설비(200)로부터 기준 거리 이내가 아닌 경우에는 미리 설정된 기준 횟수만큼 차량으로부터 차량의 위치 정보를 다시 수신하여 차량의 위치가 차량출입설비(200)로부터 기준 거리 이내인지 판단할 수 있다.
이 때, 차량의 위치 정보를 다시 수신하는 횟수는 3번 정도가 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차량출입설비(200)가 위치한 지점의 통신 상태 등을 반영하여 설정될 수 있다.
결제부(270)는 관리 서버(300)로부터 수신된 차량의 결제 정보에 기초하여 차량의 이용대금을 결제하는 구성이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차대번호에 대응하여 미리 저장된 계좌 번호를 포함하는 결제에 필요한 정보를 수신함으로써 차대번호만으로 간단하게 차량의 이용대금을 결제할 수 있으며, 차량으로부터 자동 결제 요청이 수신되면 결제부(270)는 결제 서버(미도시)와의 통신을 통해서 이용대금을 결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에서의 결제 방법의 구현 과정을 설명하는 절차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에서의 결제 방법의 구현 과정을 살펴보면, 먼저 차량출입설비(200)의 차량 감지부(210)는 차량 진입을 감지하고(S10), 차량 진입에 기초하여 슬립 모드 상태의 제2통신부(230) 및 제2제어부(250)를 활성화한다(S20).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출입설비(200)에서 평상시에는 차량 감지부(210)를 제외한 구성은 슬립 모드로 대기하고 있고, 차량 진입이 감지되었을 때 제2통신부(230)와 제2제어부(250)를 활성화함으로써 불필요한 전력 낭비를 막을 수 있다.
활성화 된 제2제어부(250)는 차량출입설비(200)로 진입하는 차량으로 차대번호 및 차량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차량 정보를 요청한다(S30).
그리고 이러한 차량 정보 요청에 기초하여 차량에서의 결제 장치(100)의 제1제어부(130)는 차대번호 및 차량의 위치 정보를 수집한다(S40, S50).
구체적으로 제1제어부(130)는 차량의 엔진이나 변속기 등을 제어하며 차량에 관한 상태를 전반적으로 관리하는 ECU(1)로부터 차대번호를 수집하거나, 차대번호가 미리 저장된 별도의 메모리부(미도시)로부터 차대번호를 수집할 수 있다.
또한 제1제어부(130)는 차량의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 감지부(150)로부터 차량의 위치 정보를 수집한다.
이어서 제1통신부(110)는 수집된 차량 정보를 차량출입설비(200)로 전송하고(S60), 차량출입설비(200)의 제2제어부(250)는 수신되는 차량 정보를 관리 서버(300)로 전송하고(S70), 관리 서버(300)로부터 차량 정보에 대응하여 미리 저장된 차량의 결제 정보를 수신한다(S80).
즉, 본 실시예에서 관리 서버(300)는 차대번호에 대응되는 은행 계좌를 포함하는 결제 관련 정보를 미리 저장하고 있기 때문에, 제2제어부(250)는 이러한 결제 정보를 수신함으로써 차량의 이용대금을 간단하게 결제할 수 있다.
그리고 제2제어부(250)는 차량으로부터 수신된 차량 정보에 포함된 차량의 위치가 차량출입설비(200)로부터 기설정된 기준 거리 이내인지 판단한다(S90).
즉, 본 실시예에서 수신된 차량 정보가 조작되거나 해킹되어 차량출입설비(200)로 진입하는 차량의 차대번호를 취득한 부정한 이용자가 결제를 요청한 경우를 걸러내기 위해서, 차량의 위치가 차량출입설비(200)로부터 기준 거리 이내인 경우에만 차량으로 자동 결제 의사가 있는지 문의한다(S100).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전술한 차량 정보를 전송함으로써 바로 차량출입설비(200)에서의 이용대금을 결제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자동으로 이용대금을 결제할 것인지에 대해 탑승자의 의사를 다시 한 번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차량출입설비(200)로부터 자동 결제 의사가 있는지에 대한 문의가 수신되면, 제1제어부(130)는 출력부(170)를 통해서 탑승자에게 자동 결제 의사가 있는지를 문의하는 안내 화면을 출력하고(S110), 탑승자로부터 자동 결제 요청이 접수되면 차량출입설비(200)로 자동 결제를 요청한다(S120).
다음으로 결제부(270)는 전술한 단계(S80)에서 수신된 차량의 결제 정보에 기초하여 차량의 이용대금을 결제한다(S130).
본 실시예에 따르면, 별도의 구성을 추가할 필요없이 기존에 차량에 탑재된 장치를 통해 차량의 고유번호와 위치 정보를 활용하여, 특정 설비를 이용함에 따른 이용대금을 간단하게 결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ECU
100: 차량에서의 결제 장치
110: 제1통신부
130: 제1제어부
150: 위치 감지부
170: 출력부
200: 차량출입설비
210: 차량 감지부
230: 제2통신부
250: 제2제어부
270: 결제부
300: 관리 서버

Claims (9)

  1. 제1제어부가 차량의 차량출입설비로의 진입에 기초하여 제1통신부를 통해 상기 차량출입설비로부터 차량 정보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차량 정보 요청에 기초하여 차량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수집되는 차량 정보를 상기 차량출입설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차량출입설비로부터 자동 결제 의사가 있는지에 대한 문의를 수신하는 단계;
    출력부를 통해 상기 자동 결제 의사가 있는지를 문의하기 위한 안내 화면을 출력하는 단계; 및
    탑승자로부터 자동 결제 요청이 접수되면, 상기 차량출입설비로 자동 결제를 요청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차량에서의 결제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정보 요청에 기초하여 차량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1제어부는 차대번호 및 차량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차량 정보를 수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에서의 결제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정보 요청에 기초하여 차량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에서, 차량이 진입한 상기 차량출입설비가 주유소이면 상기 제1제어부는 차량에 필요한 유류 정보를 추가로 수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에서의 결제 방법.
  4. 차량출입설비의 차량 감지부가 차량 진입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차량 진입의 감지에 응답하여 제2제어부가 제2통신부를 통해 상기 진입하는 차량으로 차량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차량 정보 요청에 기초하여 수신되는 차량 정보를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차량 정보에 대응하여 저장된 차량의 결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차량으로 자동 결제 의사가 있는지 문의하는 단계; 및
    상기 차량으로부터 자동 결제 요청이 수신되면 결제부를 통해 상기 결제 정보에 기초하여 차량의 이용대금을 결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차량에서의 결제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진입을 감지한 이후에, 상기 차량 감지부가 상기 차량 진입에 기초하여 슬립 모드 상태의 상기 제2통신부 및 제2제어부를 활성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에서의 결제 방법.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2제어부는 차대번호 및 차량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차량 정보를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에서의 결제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에서, 상기 차량출입설비가 주유소이면 상기 제2제어부는 상기 차량에 필요한 유류 정보를 추가로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에서의 결제 방법.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으로 자동 결제 의사가 있는지 문의하기 전에, 상기 차량으로부터 수신된 차량 정보에 포함된 차량의 위치가 상기 차량출입설비로부터 기설정된 기준 거리 이내인지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의 위치가 상기 차량출입설비로부터 상기 기준 거리 이내인 경우에 상기 차량으로 자동 결제 의사가 있는지 문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에서의 결제 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위치가 상기 차량출입설비로부터 기설정된 기준 거리 이내인지 판단하는 단계에서, 상기 차량의 위치가 상기 차량출입설비로부터 상기 기준 거리를 벗어난 경우에 상기 제어부는 미리 설정된 기준 횟수만큼 차량의 위치 정보를 다시 수신하고 상기 차량의 위치가 상기 차량출입설비로부터 상기 기준 거리 이내인지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에서의 결제 방법.
KR1020140120060A 2014-09-11 2014-09-11 차량에서의 결제 방법 KR2016003107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0060A KR20160031078A (ko) 2014-09-11 2014-09-11 차량에서의 결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0060A KR20160031078A (ko) 2014-09-11 2014-09-11 차량에서의 결제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1078A true KR20160031078A (ko) 2016-03-22

Family

ID=556445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0060A KR20160031078A (ko) 2014-09-11 2014-09-11 차량에서의 결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3107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80116B2 (en) Vehicle dispatch management system and vehicle dispatch management server
TWI711551B (zh) 車輛遠距控制系統、通信模組、車輛、伺服器、車輛遠距控制方法、車輛遠距控制程式及記憶媒體
US20040230480A1 (en) Vehicle-installed terminal apparatus and communication payment method and payment management system thereof
KR100527016B1 (ko) 통행료 징수 시스템 및 통행료 징수 방법
KR101857421B1 (ko) 스마트 카-스토퍼를 이용한 주차정보 처리장치
US8138949B2 (en) Electronic toll collection system, on-board unit, and terminal unit
US20170127230A1 (en) In-vehicle access application
KR102121697B1 (ko) 세차장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101268903B1 (ko) 스마트 폰을 이용한 주차장 공유 시스템
JP7123815B2 (ja) 車両貸出管理装置
US20220005017A1 (en) Electronic device and system for payment in vehicle
KR101268904B1 (ko) 차량 단말기를 이용한 주차장 공유 시스템
KR20170132013A (ko) 사전 예약에 의한 주차장 관리 시스템
KR101556934B1 (ko) 휴대폰을 이용한 스마트 주차시스템
KR20180073509A (ko) 통행료 결제 시스템 및 그 방법
EP3933804A1 (en) Parking location checking system
CN110766814A (zh) 车辆支付方法、装置及车辆钥匙
KR101740475B1 (ko) 위치 정보를 이용한 주차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20130041754A (ko) 자동차 사고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555993B1 (ko) 차량탑재 단말을 이용한 차량의 주차 요금 정산 시스템
KR20160031078A (ko) 차량에서의 결제 방법
CN112802213B (zh) 一种不停车电子收费中车载控制器的激活方法及激活系统
KR20220002840A (ko) 차량 내부에서의 결제를 위한 전자 장치 및 시스템
KR101773970B1 (ko) 스마트 단말기와 obd 단말기를 이용한 모바일 하이패스 시스템
KR20160049768A (ko) 차량용 단말기와 이를 이용한 하이패스 시스템 및 그 결제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