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41754A - 자동차 사고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자동차 사고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41754A
KR20130041754A KR1020120115664A KR20120115664A KR20130041754A KR 20130041754 A KR20130041754 A KR 20130041754A KR 1020120115664 A KR1020120115664 A KR 1020120115664A KR 20120115664 A KR20120115664 A KR 20120115664A KR 20130041754 A KR20130041754 A KR 201300417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cident
management server
vehicle
data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56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13409B1 (ko
Inventor
이민혁
박주현
김은주
이동근
김준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부엔티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부엔티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부엔티에스
Publication of KR201300417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17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34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34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104Measuring and analyzing of parameters relative to traffic conditions
    • G08G1/0108Measuring and analyzing of parameters relative to traffic conditions based on the source of data
    • G08G1/0112Measuring and analyzing of parameters relative to traffic conditions based on the source of data from the vehicle, e.g. floating car data [FC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23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the position of vehicles, e.g. scheduled vehicles; Managing passenger vehicles circulating according to a fixed timetable, e.g. buses, trains, tra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6Anti-collision systems
    • G08G1/161Decentralised systems, e.g. inter-vehicle communication
    • G08G1/162Decentralised systems, e.g. inter-vehicle communication event-triggere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Alarm System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개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사고 관리 방법은, 사고 관리 서버가 사고 감지 장치가 구비된 자동차의 사고 유무를 판단 및 관리하는 자동차 사고 관리 방법에 있어서, a) 사고 감지 장치가 사고를 감지하는 단계, b) 사고를 감지한 사고 감지 장치가 사고 관리 서버에 사고 데이터와 GPS 정보를 주기적으로 전송하는 단계, c) 사고 관리 서버가 상기 수신된 사고 데이터와 GPS 정보를 분석하며, 상기 GPS 정보를 이용하여 일정시간 동안 차량 이동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d) 일정시간 동안 차량 이동이 있는 경우, 사고 관리 서버가 자동차에 탑승한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기와 통신을 수행하여 사고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e) 일정시간 동안 차량 이동이 없는 경우, 사고 관리 서버가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여 관련기관 서버에 사고를 접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자동차 사고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System for managing car accident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자동차 사고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에 설치된 사고감자징치로부터 사고감지 및 지속적인 GPS 정보를 수신하여 사고 발생을 판단하고 이에 대한 처리를 자동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 사고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운전자가 움직일 수 있는 경미한 자동차 사고에 대해서는 운전자가 보험회사에 직접 연락하여 사고상태와 사고위치를 알려줄 수 있지만, 중대형 사고에 대해서는 운전자가 움직일 수 없는 상태가 대부분이므로 보험회사에 사고상태와 사고위치를 연락할 수 없어 사고에 대한 처리 및 피드백을 빠르게 할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특히 심각한 인명 사고의 경우 신속한 응급 대응 여부에 따라 생명을 구할 수 있으므로 빠르게 사고 처리하고 피드백을 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문제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자동차에 각종 센서를 부착하여 사고를 감지하고 사고발생시 보험회사 등 관련기관에 자동으로 접수하는 시스템이 개시되었다. 한편, 최근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관련 기술이 발달하여 GPS 수신기능을 갖는 장치가 자동차에 많이 설치되어 있는데, 상기 사고 감지 센서와 GPS 수신기를 이용하여 사고를 자동으로 감지하고 접수하는 시스템 및 방법이 연구되고 있다. 즉, 사고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사고발생 여부를 감지 및 판단하고,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면 GPS 정보를 보험회사 등의 서버에 전송하여 사고 위치를 알려주어 자동으로 사고를 접수시키는 방법이다. 이러한 예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342222호(무선 주행 정보 장치가 내장된 자동차용 사고 기록 장치),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2-0080281호(개인 정보 단말기를 이용한 자동 원격 비상 연락장치),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9-0081505호(무선 주파수 인식 시스템과 다중 센서들을 이용한 교통사고정보 통보장치 및 통보방법) 등에 소개된다.
그런데 종래의 방법들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자동차의 충격 상태만을 감지하여 사고에 대한 접수 및 관리를 진행하게 되는데, 비사고 충격, 기기 오작동 등의 원인을 배제하지 않아 오접수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가지며, 오접수 처리에 따른 물적, 인적 낭비를 초래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오접수가 많이 발생할 경우 관리서버의 콜센터 등의 부하가 생겨 실제 발생한 사고에 빠르게 대응하지 못할 수 있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기의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써, 본 발명은 사고 접수 및 판단에 대해 오접수에 대한 필터링 기능을 수행하여 정확하고 빠른 사고 접수와 판단을 하고, 또한 발생한 사고에 대해 빠르게 관리 및 피드백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 사고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사고 관리 방법은, 사고 관리 서버가 사고 감지 장치가 구비된 자동차의 사고 유무를 판단 및 관리하는 자동차 사고 관리 방법에 있어서, a) 사고 감지 장치가 사고를 감지하는 단계; b) 사고를 감지한 사고 감지 장치가 사고 관리 서버에 사고 데이터와 GPS 정보를 주기적으로 전송하는 단계; c) 사고 관리 서버가 상기 수신된 사고 데이터와 GPS 정보를 분석하며, 상기 GPS 정보를 이용하여 일정시간 동안 차량 이동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d) 일정시간 동안 차량 이동이 있는 경우, 사고 관리 서버가 자동차에 탑승한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기와 통신을 수행하여 사고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e) 일정시간 동안 차량 이동이 없는 경우, 사고 관리 서버가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여 관련기관 서버에 사고를 접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d) 단계에서, 상기 사고 관리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사고발생 응답을 받은 경우 관련기간 서버에 사고를 접수하고, 사용자로부터 사고무발생 응답을 받은 경우 사고가 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여 상황을 종료한다.
또한 상기 d) 단계에서, 상기 사고 감지 서버가 일정횟수 동안 사용자 단말기와 통신을 수행하지 못하는 경우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여 관련기관 서버에 사고를 접수한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자동차 사고 관리 방법은, 사고 관리 서버가 사고 감지 장치가 구비된 자동차의 사고 유무를 판단 및 관리하는 자동차 사고 관리 방법에 있어서, a) 사고 감지 장치가 사고를 감지하는 단계; b) 사고를 감지한 사고 감지 장치가 사고 관리 서버에 사고 데이터와 GPS 정보를 주기적으로 전송하는 단계; c) 사고 관리 서버가 상기 수신된 사고 데이터와 GPS 정보를 분석하며, 상기 GPS 정보를 이용하여 일정시간 동안 차량 이동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d) 일정시간 동안 차량 이동이 있는 경우, 사고 관리 서버가 자동차에 탑승한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기와 통신을 수행하여 사고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e) 일정시간 동안 차량 이동이 없는 경우, 사고 관리 서버가 사고 감지 장치에 영상 데이터를 요청하여 수신하고 이 영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고발생 여부를 판단하며, 사고발생 판단시 관련기관 서버에 사고를 접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d) 단계에서, 상기 사고 관리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사고발생 응답을 받은 경우 관련기간 서버에 사고를 접수하고, 사용자로부터 사고무발생 응답을 받은 경우 사고가 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여 상황을 종료한다.
또한 상기 d) 단계에서, 상기 사고 관리 서버가 일정횟수 동안 사용자 단말기와 통신을 수행하지 못하는 경우, 사고 감지 장치에 영상 데이터를 요청하여 수신하고 이 수신된 영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고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사고발생 판단시 관련기관 서버에 사고를 접수한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사고 관리 시스템은, 사고 감지 장치와 사고 관리 서버를 포함한다. 사고 감지 장치는 센서를 통해 사고 여부를 감지하는 사고 감지부와, GPS 수신부와, 통신부 및 상기 사고 감지부를 통해 수신된 사고 데어터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사고 관리 서버에 송출하고 또한 사고 감지시 GPS 수신부를 통해 수신된 위치 정보를 저장하는 동시에 현재의 위치 정보를 주기적으로 사고 관리 서버에 송신하는 사고감지 제어부를 포함한다. 사고 관리 서버는 통신부와, 데이터베이스부 및 상기 사고 감지 장치로부터 수신된 사고 데이터 정보 및 주기적인 GPS 정보를 분석하여 사고감지 후 차량의 이동 여부에 따라 사고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사고 발생 판단시 관련기관 서버에 사고 접수를 수행하는 사고관리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사고 감지 장치의 사고 감지부는 영상촬영장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사고 관리 서버의 사고관리 제어부는 일정시간 차량의 위치 변화가 없는 경우 상기 사고 감지 장치에 영상촬영장치에 의한 영상데이터를 요청하여 수신하고, 이 수신된 영상데이터를 이용하여 사고발생 여부를 판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센서에 의한 정보만으로 사고여부를 판단하는 것이 아니라, GPS 정보를 주기적으로 수신 및 분석하여 차량의 위치이동 여부에 따라 사고발생 여부를 판단하게 되어 정확하고 빠른 사고 접수 및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콜 확인 또는/및 영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고 발생 여부에 대한 필터링을 수행함으로써 불필요한 사고 접수에 대한 서버의 부하를 막고 시간 및 인력 등의 낭비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사고 관리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사고 관리 방법의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사고 관리 방법의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은 목적, 특징 및 다른 장점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함으로써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사고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사고 관리 시스템은 사고 감지 장치(100), 사용자 단말기(200) 및 사고 관리 서버(300)를 포함한다.
사고 감지 장치(100)는 통신부(150)와, GPS 위성으로부터 현재 위치에 대한 위치 데이터를 수신하는 GPS 수신부(120)와, 각종 센서를 구비하여 센서로부터 사고 여부를 감지하는 사고 감지부(110), 및 사고감지 제어부(130)를 포함한다. 사고 감지 장치(100)는 차량 내부에 설치되는데, 위 구성요소를 포함하면 되고 반드시 단일의 기기 또는 장비 내에 설치되는 것을 한정하지 않는다. 한편, 사고 감지 장치는 별도의 장비가 될 수 있거나, 또는 스마트폰, 네비게이션 단말기, OBD 등이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단말기(200)는 사고 관리 서버(300)와 통신망을 이용하여 유무선으로 전화, SMS, 데이터 통신 등을 주고받을 수 있는 기기를 의미하는데, 상기 사고 감지 장치(100)가 일 예로 스마트폰인 경우 사고 감지 장치와 사용자 단말기는 하나의 기기에 모두 적용될 수 있다.
센서는 일상적인 운전중에 전달되는 노면과의 충격이 아닌 차체에 손상을 줄 정도의 충격에 의한 진동을 감지하는 충격 센서나 진동 센서, 또는 차체의 위치나 가속도 또는 변위 등을 감지하는 가속도 센서나 중력 센서 또는 자이로센서 등이 적용될 수 있으며, 사고 감지부(110)는 이러한 각종 센서로부터 수신된 정보가 설정된 어떤 기준 이상이었을 경우 사고가 난 것으로 감지하게 된다.
한편, 사고 감지부(110)는 카메라를 포함하는 영상촬영장치가 포함될 수 있어, 사고 관리 서버(300)로부터 영상 데이터 요청이 있는 경우 이를 송신하게 된다.
사고감지 제어부(130)는 사고 감지가 된 경우 GPS 수신부를 통해 수신된 현재 위치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하고 또한 통신부(150)를 통해 사고 관리 서버(300)에 현재 위치에 대한 정보를 주기적으로 전송한다. 그리고, 사고 감지부(110)로부터 사고 감지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사고 관리 서버(300)에 사고 데이터를 송출하게 된다.
사고 관리 서버(300)는 통신부(350)와, 사고관리 제어부(320) 및 데이터베이스부(340)를 포함한다.
사고관리 제어부(320)는 사고 감지 장치(100)로부터 지속적으로 수신되는 GPS 정보를 분석하여 차량의 위치 이동 여부를 판단하는 GPS 정보 분석부(322), 사고 감지 장치 및 사용자 단말기(200)와 통신하여 사고 접수 안내 및 콜 접수 등을 수행하는 콜 접수/확인부(328), GPS 정보 분석부를 통해 일정 시간 동안 차량의 위치 이동 여부에 대한 정보와 사고 데이터 정보 및 콜 접수/확인부를 통해 사용자와의 통신 수행 결과에 따라 사고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사고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 경우 보험회사 서버(400)나 응급센서 서버(500) 등의 관련기관 서버에 사고를 접수하는 사고발생 판단부(326)를 포함한다.
사고발생 판단부(326)는 또한 사고 감지 장치(100)에 영상 데이터를 요청하고 이 수신된 영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고발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콜 접수/확인부(328)는 자동 또는 일부 수동으로 운영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사고 판단 시 관련기관에 사고를 접수하거나 사용자와의 통신을 직접 수행하거나 또는 사고 관리 서버를 운영하는 업체의 콜상담원의 컴퓨터 또는 단말기에 관련 기관의 사고 접수 또는 사용자와의 통신을 수행 또는 유도하는 정보를 표시하고 이에 대한 결과를 서버가 입력받게 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부(340)는 유무선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회원정보를 저장하는 회원정보 DB(342), GPS 정보를 저장하는 GPS 정보 DB(344), 지도를 저장하는 지도 DB(346), 사고접수 및 처리 결과 등의 정보를 저장하는 사고접수 DB(348)를 포함한다.
이하 상기 구성을 포함하는 자동차 사고 관리 시스템을 이용한 자동차 사고 관리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사고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자동차 주행 중 사고 감지 장치(100)의 센서가 충격이나 위치변화 등을 감지하는 경우 사고 감지부(110)는 센서로부터 정보를 수신하여 충격 정도를 판단하고 사고 여부를 감지하게 되며, 사고감지인 경우 사고감지 제어부(130)는 현재의 GPS 위치 정보를 저장한다(S11). 그 후 사고 감지 장치(100)는 사고 감지를 사고 관리 서버(300)에 알리고, 사고 데이터와 GPS 정보를 주기적으로 전송하게 된다(S12).
사고 관리 서버(300)는 사고 감지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사고 데이터와 GPS 정보를 분석한다(S13). 여기서, 사고 관리 서버(300)는 주기적으로 전송되는 GPS 정보(위치 및 시간)를 분석하여(S15), 일정시간 동안(예를 들어 사고감시 신호 수신 후 15초 정도) 차량이 이동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S16).
여기서 일정시간 동안 차량이 이동되지 않는 경우, 중대 사고로 인해 차량은 움직이지 않고 사용자는 거동하지 못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사고 관리 서버(300)는 관련기관 서버에 사고를 접수한 후(S17), 이에 대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부(340)에 저장한다(S23).
한편, 일정시간 동안 차량이 이동하는 경우, 사고가 미약하여 운전자가 거동하여 차량을 이동하는 경우일 수도 있으나, 중대 사고인데 다른 차량에 따른 추가 추돌 등으로 이동하는 경우일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 사고발생에 대한 검증이 필요하므로, 사고 관리 서버(300)는 미리 저장된 사용자의 연락처로 사용자 단말기(200)에 콜 확인을 하도록 한다(S18).
운전자로부터 사고발생 또는 사고무발생에 대한 응답이 있는 경우, 즉 사고무발생에 대한 응답이 있는 경우(S20), 사고 관리 서버(300)는 상황을 종료하고(S21), 이에 대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부(340)에 저장한다(S23). 또한, 사용자로부터 사고발생에 대한 응답이 있는 경우(S19), 사고 관리 서버(300)는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여 보험회사 서버(400)나 응급센서 서버(500) 등의 관련기관 서버에 사고를 접수한 후(S17), 이에 대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부(340)에 저장한다(S23).
한편, 일정 횟수 동안 운전자로부터 콜에 대한 응답이 없는 경우 사고 관리 서버(300)는 사고가 난 것으로 판단하여 관련기관 서버에 사고를 접수한 후(S17), 이에 대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부(340)에 저장한다(S23).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사고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앞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비교하여 볼 때 영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고발생 여부를 판단 및 확정하는 점이 다른데, 이하 다른 점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하며 동일한 단계(동작)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단계 'S31' 내지 'S33'은 도 2의 'S11' 내지 'S13'과 동일하고, 단계 'S36' 역시 도 2의 'S16'과 동일하다.
한편 일정시간 동안 차량이 이동되지 않는 경우 앞선 실시예에서는 중대 사고로 판단하여 관련 기관에 사고 접수를 진행하였는데, 사용자가 중대 사고가 아니더라도 경황이 없거나 놀라서 움직이지 않을 경우 차량이 이동되지 않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또 한번의 검증을 위해 사고 관리 서버(300)는 사고 감지 장치에 사고감지 전후의 일정 시간대의 영상 데이터를 요청하고 이를 수신하고(S34), 이 영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고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S35). 사고 발생이라고 판단시 보험회사 서버(400)나 응급센서 서버(500) 등의 관련기관 서버에 사고를 접수한 후(S37), 이에 대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부(340)에 저장한다(S43). 여기서, 영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고 여부를 판단하는 것은 영상 데이터 분석부가 있어 영상 데이터를 분석하여 사고 여부를 판단하는 방식일 수 있거나, 또는 사고 관리 서버를 운영하는 업체의 담당자의 컴퓨터 또는 단말기에 영상 데이터를 표시하여 사고 여부를 판단하게 한 후 사고 여부에 대한 입력을 받는 방식으로 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어느 방식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정시간 동안 차량이 이동하는 경우, 콜확인을 하여 사용자로부터 사고발생 응답의 경우 관련기관에 사고접수를 하거나 또는 사고무발생 응답의 경우 상황종료 하는 단게 'S38' 내지 'S41'은 도 2의 단계 'S18' 내지 'S21'과 동일하다.
한편, 일정 횟수 동안 운전자로부터 콜에 대한 응답이 없는 경우 사고 관리 서버(300)는 또 한번의 검증을 위해 영상 데이터를 요청하여 수신하고 이를 이용하여 사고 여부를 판단하는 상술한 단계 'S34' 내지 'S37' 를 수행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센서에 의한 사고 감지부로부터의 정보만으로 사고여부를 판단하는 것이 아니라, GPS 정보를 주기적으로 수신 및 분석하여 차량의 위치이동 여부에 따라 사고발생 여부를 판단하게 되어 정확하고 빠른 사고 접수 및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콜 확인 또는/및 영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고 발생 여부에 대한 필터링을 수행함으로써 불필요한 사고 접수에 대한 서버의 부하를 막고 시간 및 인력 등의 낭비를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즉,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며,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의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100. 사고 감지 장치 110. 사고 감지부
120. GPS 수신부 130. 사고감지 제어부
200. 사용자 단말기 300. 사고 관리 서
320. 사고관리 제어부 322. GPS 정보 분석부
340. 데이터베이스부 150,350. 통신부

Claims (8)

  1. 사고 관리 서버가 사고 감지 장치가 구비된 자동차의 사고 유무를 판단 및 관리하는 자동차 사고 관리 방법에 있어서,
    a) 사고 감지 장치가 사고를 감지하는 단계;
    b) 사고를 감지한 사고 감지 장치가 사고 관리 서버에 사고 데이터와 GPS 정보를 주기적으로 전송하는 단계;
    c) 사고 관리 서버가 상기 수신된 사고 데이터와 GPS 정보를 분석하며, 상기 GPS 정보를 이용하여 일정시간 동안 차량 이동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d) 일정시간 동안 차량 이동이 있는 경우, 사고 관리 서버가 자동차에 탑승한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기와 통신을 수행하여 사고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e) 일정시간 동안 차량 이동이 없는 경우, 사고 관리 서버가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여 관련기관 서버에 사고를 접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사고 관리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에서,
    상기 사고 관리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사고발생 응답을 받은 경우 관련기간 서버에 사고를 접수하고, 사용자로부터 사고무발생 응답을 받은 경우 사고가 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여 상황을 종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사고 관리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에서,
    상기 사고 감지 서버가 일정횟수 동안 사용자 단말기와 통신을 수행하지 못하는 경우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여 관련기관 서버에 사고를 접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자동차 사고 관리 방법.
  4. 사고 관리 서버가 사고 감지 장치가 구비된 자동차의 사고 유무를 판단 및 관리하는 자동차 사고 관리 방법에 있어서,
    a) 사고 감지 장치가 사고를 감지하는 단계;
    b) 사고를 감지한 사고 감지 장치가 사고 관리 서버에 사고 데이터와 GPS 정보를 주기적으로 전송하는 단계;
    c) 사고 관리 서버가 상기 수신된 사고 데이터와 GPS 정보를 분석하며, 상기 GPS 정보를 이용하여 일정시간 동안 차량 이동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d) 일정시간 동안 차량 이동이 있는 경우, 사고 관리 서버가 자동차에 탑승한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기와 통신을 수행하여 사고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e) 일정시간 동안 차량 이동이 없는 경우, 사고 관리 서버가 사고 감지 장치에 영상 데이터를 요청하여 수신하고 이 영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고발생 여부를 판단하며, 사고발생 판단시 관련기관 서버에 사고를 접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사고 관리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에서,
    상기 사고 관리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사고발생 응답을 받은 경우 관련기간 서버에 사고를 접수하고, 사용자로부터 사고무발생 응답을 받은 경우 사고가 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여 상황을 종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사고 관리 방법.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에서,
    상기 사고 관리 서버가 일정횟수 동안 사용자 단말기와 통신을 수행하지 못하는 경우, 사고 감지 장치에 영상 데이터를 요청하여 수신하고 이 수신된 영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고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사고발생 판단시 관련기관 서버에 사고를 접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사고 관리 방법.
  7. 센서를 통해 사고 여부를 감지하는 사고 감지부와, GPS 수신부와, 통신부 및 상기 사고 감지부를 통해 수신된 사고 데어터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사고 관리 서버에 송출하고 또한 사고 감지시 GPS 수신부를 통해 수신된 위치 정보를 저장하는 동시에 현재의 위치 정보를 주기적으로 사고 관리 서버에 송신하는 사고감지 제어부를 포함하는 사고 감지 장치; 및,
    통신부와, 데이터베이스부 및 상기 사고 감지 장치로부터 수신된 사고 데이터 정보 및 주기적인 GPS 정보를 분석하여 사고감지 후 차량의 이동 여부에 따라 사고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사고 발생 판단시 관련기관 서버에 사고 접수를 수행하는 사고관리 제어부를 포함하는 사고 관리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사고 관리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사고 감지 장치의 사고 감지부는 영상촬영장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사고 관리 서버의 사고관리 제어부는 일정시간 차량의 위치 변화가 없는 경우 상기 사고 감지 장치에 영상촬영장치에 의한 영상 데이터를 요청하여 수신하고, 이 수신된 영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고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사고 관리 시스템.
KR1020120115664A 2011-10-17 2012-10-17 자동차 사고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41340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5709 2011-10-17
KR20110105709 2011-10-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1754A true KR20130041754A (ko) 2013-04-25
KR101413409B1 KR101413409B1 (ko) 2014-06-30

Family

ID=484408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5664A KR101413409B1 (ko) 2011-10-17 2012-10-17 자동차 사고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340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80031A1 (ko) * 2019-03-05 2020-09-10 박지홍 실시간 사고 감지 및 사고를 자동으로 전파하는 장치 및 방법
KR20200109285A (ko) * 2020-09-15 2020-09-22 박지홍 위치 정보 기반의 실시간 사고감지와 사고정보를 전파하는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6872B1 (ko) * 2014-10-01 2015-07-14 김영수 사고 감지 자동차 범퍼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2332527B1 (ko) * 2020-02-24 2021-11-29 삼성전자주식회사 차량 사고의 판단 방법, 그를 수행하는 서버 장치, 차량용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32027A (ja) * 2003-07-07 2005-02-03 Nec Fielding Ltd 交通事故早期解決システム、事故検知システム、及び事故分析サーバ
JP2008225777A (ja) * 2007-03-12 2008-09-25 Takashi Fujisawa 緊急通報システム及びカメラ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80031A1 (ko) * 2019-03-05 2020-09-10 박지홍 실시간 사고 감지 및 사고를 자동으로 전파하는 장치 및 방법
KR20200107022A (ko) * 2019-03-05 2020-09-16 박지홍 실시간 사고 감지 및 사고를 자동으로 전파하는 장치 및 방법
KR20200109285A (ko) * 2020-09-15 2020-09-22 박지홍 위치 정보 기반의 실시간 사고감지와 사고정보를 전파하는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13409B1 (ko) 2014-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36734B1 (en) Driver activity and vehicle operation logging and reporting
US11961340B2 (en) Method and system for accident detection using contextual data
US7646312B2 (en) Method and system for automated detection of mobile telephone usage by drivers of vehicles
US2017030050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video data, terminal, and server
US11216753B2 (en) Parking management system and parking management method
JP5659939B2 (ja) 車両検出システム、車載機およびセンター
EP1975884A1 (en) Mobile object charging system and mobile object charging method by mobile object charging system
WO2011035799A1 (en) Driver assistance device and system for vehicle accident detection and method for detecting a vehicle accident
KR102429017B1 (ko) 차량 검사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16179810A (ja) 自動走行制御装置及び自動走行制御システム
CN110660259A (zh) 一种停车提示方法、装置、电子设备和可读介质
KR101413409B1 (ko) 자동차 사고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JP4010316B2 (ja) 違法駐車取締り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2012198790A (ja) 移動体位置推定サーバ
KR20090021563A (ko) 무선네트워크를 이용한 차량충돌감시 시스템 및 그의제어방법
US11544971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terminal device
KR101740475B1 (ko) 위치 정보를 이용한 주차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20200079635A (ko) 차량사고 정보수집과 이벤트 분석 및 제공을 위한 시스템
RU135827U1 (ru) Моби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контроля оплаты стоянки транспортных средств в зонах платной парковки
KR101572478B1 (ko) 지능형 차량용 블랙박스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KR20090021581A (ko) 무선네트워크를 이용하는 차량충돌감시 단말기와 그의제어방법
CA2944593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operation of a vehicle
KR20200062025A (ko) 다중 로그 분석을 기반으로 차량 위험을 처리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50055630A (ko) 주차 요금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0982221B1 (ko) 영상도화처리를 위한 지리정보의 기준점 확인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