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30810A - Game type travel information guide system - Google Patents

Game type travel information guide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30810A
KR20160030810A KR1020140120474A KR20140120474A KR20160030810A KR 20160030810 A KR20160030810 A KR 20160030810A KR 1020140120474 A KR1020140120474 A KR 1020140120474A KR 20140120474 A KR20140120474 A KR 20140120474A KR 20160030810 A KR20160030810 A KR 201600308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quest
travel
game
unit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2047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정성우
Original Assignee
정성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성우 filed Critical 정성우
Priority to KR10201401204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30810A/en
Publication of KR201600308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0810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4Travel agenc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06Q30/0209Incentive being awarded or redeemed in connection with the playing of a video gam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1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user lo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arketing (AREA)
  • Fina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ame type travel guide system, comprising: a mobile device for transmitting location information through GPS; and a game type travel guide part for providing the mobile device with the information related to travel in the form of a plurality of quests. The mobile device comprises an input part for inputting a desired travel condition from a user, and a display part for displaying the quest. The game type travel guide part comprises a storage part for storing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quest, a quest generation part for generating the quest corresponding to the travel condition input from a user through the input part based on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storage part, and a control part to control the storage part and the quest generation part in order to display the quest generated by the quest generation part in the display part. The present invention is designed to provide a game type travel guide system configured such that the user is provided with the information about a travel designation by desired travel themes so that the user can enjoy traveling.

Description

게임방식 여행안내시스템{GAME TYPE TRAVEL INFORMATION GUIDE SYSTEM}GAME TYPE TRAVEL INFORMATION GUIDE SYSTEM

본 발명은 여행안내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히는 모바일기기에 어플의 형태로 설치되어 게임방식으로 여행과 관련된 정보를 안내하는 게임방식 어행안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avel guide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game guide navigation system that is installed in an application form on a mobile device and guides information related to travel in a game format.

최근 국경을 넘는 경제적, 문화적 교류가 활발해짐에 따라, 각국의 청소년 교류활동 또한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각종 청소년 문화교류 네트워크 뿐 아니라, 지방자치단체 및 학교차원에서도 다른 나라의 청소년 네트워크 또는 단체와 캠프, 방문이벤트 등을 개최하여 서로 깊이 이해할 수 있는 기회가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As economic and cultural exchanges crossing the border have become more active in recent years, youth exchanges in various countries are actively being carried out. In addition to various youth cultural exchange networks, there are increasing opportunities to deepen mutual understanding by holding camps and visiting events with youth networks or organizations of other countries in local governments and schools.

그러나, 한국에 방문한 외국 청소년들은, 기존에 정해진 프로그램에 따라 한국의 고적/유물, 문화시설, 맛집 등을 탐방하고 천편일률적인 경험을 할 뿐이거나, 한정된 시간 안에 다양한 경험을 하는 데 한계가 있고, 살아있는 체험을 제공하지 못해 흥미 또한 반감되는 단점이 있다.However, foreign adolescents visiting Korea visit the history / artifacts, culture facilities, restaurants, etc. of Korea in accordance with the existing programs, or they have limited experience to have various experiences within a limited time, It has the disadvantage of not being able to provide experience, which is also of interest.

그렇다고, 외국 청소년 본인이 직접 자유여행을 계획하기에는 방문 사이트와 교통편에 관한 정보를 얻기가 용이하지 않아, 어느 곳을 방문하는 것이 적합할지, 어떠한 코스로 방문할 것인지에 대한 계획을 세우기가 쉽지 않다. However, it is not easy for foreign youths to plan their own free travel, so it is not easy to get information about the site and transportation, and it is not easy to plan where to visit and which course to visit.

그 계획을 당사자가 스스로 인터넷을 통해 정보를 얻어 정하거나, 여행사에 의뢰 할 수도 있겠지만, 여행사에 의뢰하는 경우, 전적으로 여행사의 일정에 맞춰야 하므로 자유시간이 많지 않고 여러 가지 불합리한 상황이 있어 꺼려지는 경우가 있다.It is possible for a party to set up the plan on its own to obtain information through the Internet or to refer to a travel agency, but if the travel agency requests it, have.

이에 등록특허 제10-0743966호 "미션트래블 제공방법"과 같은 모바일 기기를 이용하는 방식이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개시된 바와 같이 모바일 기기와 RFID를 이용한 방식의 경우 여행지를 소개하고, 방문했는지만을 확인하는 방식이므로 여행안내시 정보제공의 기능만 할 뿐 재미와 흥미 및 동기유발의 기능은 약한 한계가 있다. Accordingly, a method of using a mobile device such as registered patent No. 10-0743966 "Mission Travel Providing Method" is being developed. However, in the case of the method using the mobile device and the RFID as described above, since it is a method of introducing the travel destination and confirming only the visit, the function of providing information in the case of travel guidance is merely a function of providing information, and the functions of fun, interest and incentive are weak.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가 희망하는 여행테마별로 여행지에 관한 정보를 게임방식으로 제공하여 사용자가 여행을 하는 재미를 느낄 수 있는 게임방식 여행안내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game-type travel guide system in which users can feel the fun of traveling by providing information on a travel destination according to a travel theme desired by a user in a game manner .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각 퀘스트를 완료할 경우 보상을 제공하여, 여행에 따른 재미와 함께 게임을 수행하는 재미를 함께 제공하여 여행에 대한 흥미와 동기를 유발할 수 있는 게임방식 여행안내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game-type travel guide system capable of providing rewards when completing each quest and providing fun along with traveling and fun to perform games, will be.

본 발명의 상기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The above objects and various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by those skilled in the art.

본 발명의 목적은 게임방식 여행안내시스템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게임방식 여행안내시스템은, GPS를 통해 위치 정보를 전송하는 모바일기기와; 상기 모바일기기에 여행과 관련된 정보를 복수개의 퀘스트로 제공하는 게임방식 여행안내부를 포함하며, 상기 모바일기기는, 사용자로부터 희망하는 여행조건을 입력받는 입력부와; 상기 퀘스트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게임방식 여행안내부는, 퀘스트와 관련된 정보가 저장되는 저장부와; 상기 입력부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여행조건에 대응되는 퀘스트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정보를 기초로 생성하는 퀘스트생성부와; 상기 퀘스트생성부에서 생성된 퀘스트가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도록 상기 저장부와 상기 퀘스트생성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chieved by a game-based travel guide system. The game-type travel guid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mobile device for transmitting position information via GPS; And a game-type travel guide unit for providing information related to travel to the mobile device in a plurality of quests, the mobile device comprising: an input unit for inputting a desired travel condition from a user; And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quest, wherein the game-type travel guide unit comprises: a storage unit for storing information related to the quest; A quest generator for generating a quest corresponding to a travel condition input from a user through the input unit based on information stored in the storage unit;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storage unit and the quest generator so that the quest generated by the quest generator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저장부는 여행지역, 여행테마 별로 복수개의 퀘스트가 저장되고, 상기 퀘스트생성부는 사용자가 선택한 여행지역과 여행테마에 맞는 퀘스트를 선택하고, 상기 퀘스트를 수행하기 위한 교통정보, 소요시간, 소요비용, 퀘스트 완료를 위한 조건을 게임형식으로 안내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orage unit stores a plurality of quests for each travel area and travel theme, the quest creator selects a quest corresponding to the travel area and the travel theme selected by the user, The time required, the cost involved, and the conditions for completing the quest are shown in game format.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게임방식 여행안내부는, 상기 단말기의 GPS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단말기의 현재 위치에서 수행할 수 있는 퀘스트를 상기 단말기에 생성하는 퀘스트알림부를 더 포함한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game-type tour guide further includes a quest notification unit for receiving the GPS information of the terminal and generating a quest in the terminal, which can be performed at the current location of the terminal.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단말기의 GPS 위치가 해당 퀘스트를 완료할 수 있는 위치에 있는 경우, 상기 퀘스트에 해당하는 보상을 처리하는 보상처리부를 더 포함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when the GPS position of the terminal is at a position where the corresponding quest can be completed, the terminal further includes a compensation processor for processing compensation corresponding to the quest.

본 발명에 따른 게임방식 여행안내시스템은 단순히 여행지만 안내하는 것이 아니라, 여행과 관련된 정보를 퀘스트 형태로 제공하여 사용자가 게임속 주인공처름 직접 게임을 하듯이 여행을 즐기게 된다. 이에 따라 여행지에서 얻는 정보와 즐거움과 함께 게임을 하면서 얻은 흥미와 재미도 누릴 수 있다. The game-type travel guid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guides travelers but also provides travel-related information in the form of a quest, so that the user enjoys traveling as if playing the game directly in the game. As a result, you can enjoy the fun and excitement gained while playing games along with the information and fun you get from travel destinations.

또한, 퀘스트 완료를 통해 다양한 보상을 받게 되고, 이러한 보상들은 나중에 집으로 돌아간 후 여행을 추억할 수 있는 증거로 남게 된다.
In addition, you will receive various rewards through the completion of the quest, and these rewards will remain as proof that you can remember the trip after you return hom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게임방식 여행안내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게임방식 여행안내시스템의 저장부에 저장된 정보의 일례를 도시한 예시도,
도 3a와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게임방식 여행안내시스템의 퀘스트의 일례를 도시한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게임방식 여행안내시스템의 다른 분류의 퀘스트의 일례를 도시한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게임방식 여행안내시스템의 퀘스트알림부를 통해 생성된 메시지를 표시한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게임방식 여행안내시스템의 보상처리부를 통해 생성된 메시지를 표시한 예시도이다.
1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game-type travel guid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 example of information stored in a storage unit of the game-type travel guid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A and 3B illustrate an example of a quest of the game-type travel guid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quest of another classification of the game-type travel guid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llustrates an example of a message generated through a quest notification unit of the game-type travel guid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message generated through the compensation processing unit of the game-based travel guid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For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odified into various form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The present embodiments are provided to enable those skilled in the art to more fully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shapes and the like of the elements in the drawings can be exaggeratedly expressed to emphasize a clearer description. It should be noted that in the drawings, the same member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Detailed descriptions of well-known functions and constructions which may be unnecessarily obscured by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게임방식 여행안내시스템(1)의 구성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게임방식 여행안내시스템(1)은 사용자가 휴대하며 사용하는 모바일기기(100)와, 모바일기기(100)에 어플(application)의 형태로 설치되어 구현되는 게임방식 여행안내부(200)를 포함한다. 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game-type travel guide system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the figure, the game-type travel guide system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obile device 100 that a user carries and uses, a game-type travel guide 100 installed and implemented in an application form in the mobile device 100, And a guiding part 200.

모바일기기(100)는 사용자로부터 여행관련 정보를 입력받는 입력부(110)와, 게임방식 여행안내부(200)에서 생성된 퀘스트와 여행관련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120)와, 모바일기기(100)의 현재 위치정보를 게임방식 여행안내부(200)로 전송하는 GPS(130)를 포함한다. The mobile device 100 includes an input unit 110 for receiving travel related information from a user, a display unit 120 for displaying the quest and travel related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game type travel guide unit 200, And a GPS 130 for transmitting the current position information of the game system to the game guide travel guide unit 200.

입력부(110)는 게임방식 여행안내부(200)를 통해 본인이 받고 싶은 여행정보를 입력받는다. 입력부(110)를 통해 사용자는 여행하고 싶은 여행지, 여행테마, 안내언어를 입력받는다. The input unit 110 receives the travel information that the user desires to receive through the game guide travel guide unit 200. Through the input unit 110, the user receives a travel destination, a travel theme, and a guidance language to be traveled.

표시부(120)는 여행안내부(200)를 통해 생성된 다양한 퀘스트와 이와 관련된 정보를 표시한다. The display unit 120 displays various quests generated through the travel guide unit 200 and related information.

GPS(130)는 모바일기기(100)의 위치정보를 전송한다. GPS(130)에 의한 모바일기기(100)의 위치정보는 제어부(250)로 전송되어 퀘스트 완료 여부를 체크하게 한다. The GPS 130 transmits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device 100. [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device 100 by the GPS 130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ler 250 to check whether or not the quest is completed.

통신부(140)는 무선으로 인터넷에 접속하여, 퀘스트 수행에 필요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도록 한다. The communication unit 140 wirelessly connects to the Internet so as to collect information necessary for performing a quest.

본 발명에 다른 모바일기기(100)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The mobile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as a smart phone, a tablet PC, or the like.

게임방식 여행안내부(200)는 모바일기기(100)에 설치되어 사용자에게 여행과 관련된 정보를 게임방식, 즉 복수개의 퀘스트로 전달한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단순히 여행을 하는 것이 아니라, 정확한 정보를 제공받음과 동시에 직접 롤플레잉 게임의 주인공이 된 것과 같은 흥미로움을 느끼며 여행을 즐길 수 있다. The game-type travel guide unit 200 is installed in the mobile device 100 and transmits information related to travel to a user in a game manner, that is, a plurality of quests. As a result, the user can enjoy the trip, not just traveling but receiving the accurate information and feeling the interest of being the protagonist of the role playing game directly.

게임방식 여행안내부(200)는 사용자가 모바일기기(100)의 통신부(140)를 통해 게임방식 여행안내부 서버(미도시)로부터 다운한 후, 모바일기기(100)에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The game-type travel guide unit 200 can be installed in the mobile device 100 after the user has downloaded the game-type travel guide server (not shown)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40 of the mobile device 100.

게임방식 여행안내부(200)는 퀘스트와 관련된 다양한 정보와 지도가 저장되는 저장부(210)와, 입력부(110)를 통해 사용자가 입력한 여행조건에 대응되는 퀘스트를 생성하는 퀘스트생성부(220)와, 현재 모바일기기(100)의 위치에서 수행할 수 있는 퀘스트를 표시하는 퀘스트알림부(230)와, 퀘스트의 완료 후 해당 퀘스트에 대한 보상을 산정한 후 합산하는 퀘스트보상부(240)와, 모바일기기(100)의 현재 위치를 추적한 후 퀘스트알림부(230)와 퀘스트생성부(220) 및 퀘스트보상부(240)를 제어하는 제어부(250)를 포함한다. The game system tour guide 200 includes a storage unit 210 for storing various information related to a quest and a map and a quest generator 220 for generating a quest corresponding to a travel condition input by the user through the input unit 110 A quest notification unit 230 for displaying a quest that can be performed at the current position of the mobile device 100, a quest reward unit 240 for estimating a reward for the quest after completion of the quest, And a control unit 250 for controlling the quest notification unit 230, the quest generation unit 220 and the quest compensation unit 240 after tracking the current position of the mobile device 100.

저장부(210)는 게임방식 여행안내부(200)에서 안내하는 다양한 퀘스트의 수행에 요구되는 다양한 정보가 데이터베이스형태로 저장된다. 도 2는 저장부(210)에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DB)의 일례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The storage unit 210 stores various information required for performing various quests guided by the game-type travel guide unit 200 in the form of a database. 2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database (DB) stored in the storage unit 210. As shown in FIG.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베이스(DB)에는 여행지, 안내언어, 퀘스트대분류, 각 퀘스트대분류에 대한 세부분류, 그리고 각 세부분류에 대응되는 퀘스트들이 저장된다. 일례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행지가 서울인 경우, 퀘스트대분류는 역사, 맛집탐방, 쇼핑, 추천으로 나뉘어 질 수 있다. 역사분류의 경우, 고려시대, 조선시대, 일제시대로 분류될 수 있다. 맛집탐방의 경우 서울에서 유명한 신당동떡볶이, 남대문시장 칼국수, 장충동 족발, 무교동 낙지 등이 퀘스트로 포함될 수 있다. As shown, the database (DB) stores travel destinations, a guidance language, a quest major classification, a detailed classification of each quest major classification, and quests corresponding to each detailed classification. For example, if the travel destination is Seoul as shown in FIG. 2, the major category of the quest can be divided into history, restaurant visit, shopping, and recommendation. In the case of the history classification, it can be classified into the Goryeo period, the Chosun period, and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In case of visiting restaurants, you can include the famous Sindangdong Dongbokki in Seoul, Kalguksu in Namdaemun Market, the foot of Jangchungdong, and the octopus of Ungyo-dong.

쇼핑분류의 경우 명동, 동대문, 삼청동, 인사동, 신사동가로수길, 이태원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추천의 경우 사용자가 여행지에 대한 정보가 전혀 없는 경우 추천할 수 있는 테마이다. 서울의 경우 남산, 청계천 등이 추천될 수 있다. Shopping categories may include Myungdong, Dongdaemun, Samcheong-dong, Insa-dong, Shinsa-dong, and Itaewon. This is a recommended theme if the user does not have any information about the destination. For Seoul, Namsan and Cheonggyecheon can be recommended.

데이터베이스(DB)에 저장되는 정보는 일례일 뿐이며 다양한 분야에 대해 세부적인 퀘스트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database (DB) is only an example, and detailed quest information can be stored in various fields.

퀘스트생성부(220)는 사용자가 선택한 여행정보에 적합한 퀘스트를 생성한다. 퀘스트생성부(220)에서 생성된 퀘스트는 제어부(250)의 제어에 의해 표시부(120)에 표시된다. 여기서, 퀘스트생성부(220)를 통해 표시부(120)에 표시되는 퀘스트들은 별도의 퀘스트 명칭으로 표시된다. 일례로, "조선시대를 경험하라","일제시대를 경험하라", "최근 아이돌 문화를 경험하라", "가장 핫한 매운맛을 경험하라" 등으로 표기되어 사용자의 호기심을 자극할 수 있도록 한다. The quest creator 220 generates a quest suitable for the travel information selected by the user. The quest generated by the quest generation unit 220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20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250. [ Here, the quest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20 through the quest generating unit 220 are displayed as separate quest names. For example, it is displayed as "Experience the Chosun Dynasty", "Experience the Japanese Dynasty", "Experience the idol culture recently" and "Experience the hottest spicy taste" to stimulate user's curiosity.

사용자가 선택한 대분류에 대응되는 복수개의 퀘스트 명칭이 표시부(120)에 표시되고, 사용자는 본인의 호기심을 자극하는 명칭의 퀘스트를 선택한다. A plurality of quest names corresponding to the user's selected major classification ar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20, and the user selects the quest of the name that stimulates his or her curiosity.

도 3의 (a)와 (b)는 퀘스트(Q1)의 일례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3의 (a)는 사용자가 입력부(110)를 통해 희망 퀘스트 분류로 쇼핑을 선택하고, 현재 위치를 강남역으로 입력한 경우에 퀘스트생성부(220)에서 생성된 퀘스트(Q1)이다. 퀘스트내용은 강남역에서 신사동가로수길로 이동하여, 최근 가장 유명한 쇼핑플레이스 들을 방문하는 내용이다. 이 퀘스트를 수행하기 위해 퀘스트생성부(220)는 구체적으로 현재위치인 강남역에서 이동위치인 신사동가로수길 까지 이동할 수 있는 교통정보를 제공한다. 즉, 도보로 신논현역으로 이동한 후, 신논현역에서 간선 441번 버스를 탑승하고 가로수길 정류장에서 하차하길 안내한다. 3 (a) and 3 (b) are illustrations showing an example of the quest Q1. 3 (a) is a quest (Q1) generated by the quest generating unit 220 when the user selects shopping by the desired quest classification through the input unit 110 and inputs the current position to the Gangnam station. The contents of the quest will go from Gangnam Station to Sinsa-dong Road and visit the most famous shopping places recently. In order to perform this quest, the quest generator 220 provides traffic information that can move from the present location Gangnam Station to the Sinsa-dong road. In other words, after walking to Sinnonhyun Station on foot, take bus number 441 from Sinnonhyun Station and get off at Byeongsu-Gil stop.

여기서, 도 3의 (a)에는 한가지의 교통정보가 기재되어 있으나, 이는 일례일 뿐이며, 택시, 지하철, 도보 등 다양한 교통루트를 제공하고, 이와 동시에 버스비, 택시비 등도 함께 제공한다. Here, one type of traffic information is shown in FIG. 3 (a), but this is merely an example, and various types of traffic routes such as taxi, subway, and foot are provided. At the same time, bus and taxi fare are also provided.

그리고, 퀘스트(Q1)에는 퀘스트를 완료하기 위해 필요한 조건, 즉 인증샷을 촬영하는 조건이 안내된다. 동시에 퀘스트를 수행했을 때 받게 되는 보상점수도 기재되어 있다. 여기서, 보상은 점수로 수행될 수도 있으며, 경우에 따라 할인쿠폰, 무료쿠폰, 무료입장권 등이 주어질 수도 있다.
The quest Q1 is provided with a condition necessary for completing the quest, that is, a condition for shooting the authentication shot. At the same time, you will receive the reward points you receive when you complete the quest. Here, the reward may be performed by a score, and in some cases, a discount coupon, a free coupon, a free admission ticket, or the like may be given.

도 3의 (b)는 강남역에서 신사동 가로수길까지 이동하는 경로를 나타내는 지도이다. 퀘스트생성부(220)는 단순히 퀘스트만 나열하지 않고 이동하는 경로와, 네비게이션을 함께 표시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외국인도 각 퀘스트를 어렵지 않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3 (b) is a map showing a route from the Gangnam Station to the Sinsa-dong road. The quest generating unit 220 may display the navigation path together with the moving path without simply listing the quests. As a result, foreigners can perform each quest without difficulty.

한편, 도 4는 맛집탐방과 역사탐방을 사용자가 선택했을 때 퀘스트생성부(220)에서 생성되는 퀘스트의 일례(Q2,Q3)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퀘스트생성부(220)는 맛집탐방을 위해 현재 위치에서 가장 유명한 음식점을 선정하여, 사용자가 이동할 수 있는 교통정보를 제공하고, 그에 대응되는 보상점수를 표시한다. 또한, 퀘스트생성부(220)는 역사탐방을 위해 이동경로를 고려해 다양한 유명 장소를 관람할 수 있도록 정보를 제공한다. Meanwhile, FIG. 4 is an example of an example (Q2, Q3) of a quest generated by the quest generation unit 220 when a user selects a restaurant tour and a history tour. As shown in FIG. 4, the quest generator 220 selects the most famous restaurants in the current location for a restaurant visit, provides traffic information that the user can move, and displays a corresponding compensation score. In addition, the quest creator 220 provides information for visiting various famous places in consideration of a route for a historical tour.

이러한 퀘스트를 따라 이동하며 사용자는 본인이 직업 해당 장소를 검색하지 않아도 되고, 교통정보를 알아보기 위해 노력할 수고로움을 덜 수 있다. As you follow these quests, you do not have to search for a place for your job, and you can save yourself a lot of trouble trying to find traffic information.

한편, 퀘스트생성부(220)는 한 개의 퀘스트를 사용자가 완료하고 나면, 이와 연계되는 퀘스트, 또는 사용자가 선택한 다른 분류의 퀘스트를 연속하여 생성하여 안내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user completes one quest, the quest generating unit 220 continuously generates and guides the quests associated with the quest, or the other quests selected by the user.

여기서, 도면에는 한글로 표기되어 있으나, 안내 메시지는 사용자가 선택한 언어로 표시된다. 또한, 도면에는 텍스트만 나타나 있으나, 방문 장소의 사진, 먹어야 할 음식의 사진, 쇼핑몰 사진 등을 이미지, 동영상으로 제공할 수 있다.
Here, although the figure is shown in Korean, the guidance message is displayed in the language selected by the user. In addition, although only text is shown in the drawing, it is possible to provide a photograph of a place to visit, a photograph of a food to be eaten, and a photograph of a shopping mall as images and moving images.

퀘스트알림부(230)는 사용자가 퀘스트를 선택하지 않은 상태에서 이동하는 경우, 이동하는 장소에서 수행할 수 있는 퀘스트를 팝업 형태로 표시부(120)에 생성하여 표시한다. The quest notification unit 230 generates and displays a quest on the display unit 120 in the form of a pop-up, which can be performed in a place where the user moves when the user does not select a quest.

도 5는 퀘스트알림부(230)에서 생성한 퀘스트알림메시지(M)의 일례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현재위치가 동대문인 경우, 수행가능한 퀘스트를 각 분류, 쇼핑, 맛집, 역사에 따라 표시한다. 5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quest notification message (M) generated by the quest notification unit 230. As shown in FIG. As shown in the figure, when the current location is the Dongdaemoon, the quests that can be performed are displayed according to each classification, shopping, restaurant, and history.

사용자는 퀘스트알림부(230)를 통해 표시부(120)에 표시된 메시지를 보고, 본인이 희망하는 퀘스트를 선택하여 수행할 수 있다. The user can view the messag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20 through the quest notification unit 230, and can select and execute the desired quest.

이러한 퀘스트들은 강제적인 것이 아니므로, 사용자가 본인의 여행의 재미를 위해 임의로 수행할 수 있다.
Since these quests are not mandatory, the user may optionally perform them for the sake of their travels.

퀘스트보상부(240)는 사용자가 퀘스트를 완료할 때마다, 해당 퀘스트에 부여된 보상점수 또는 보상수단을 산정하여 제공한다. 도 6은 퀘스트보상부(240)에서 생성한 보상 메시지(R)이다. Each time the user completes the quest, the quest reward unit 240 estimates and provides the reward score or the reward means assigned to the quest. 6 is a reward message (R) generated by the quest reward unit 240. FIG.

도시된 바와 같이 퀘스트1에 대한 보상점수와, 연속되는 퀘스트2의 수행여부에 관해 표시된다.
As shown in the figure, a reward score for the quest 1 and whether to perform the successive quest 2 are displayed.

제어부(250)는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된 여행조건으로 퀘스트생성부(220)에서 퀘스트를 생성하고, GPS(130)를 통해 현재 모바일기기(100)의 위치를 추적하여 퀘스트의 완료여부를 판단한다. 그리고, 퀘스트가 완료되면 퀘스트보상부(240)를 실행시켜 퀘스트 보상을 수행하고, 추가 퀘스트를 생성하도록 퀘스트생성부(220)를 제어한다. The control unit 250 generates a quest in the quest generating unit 220 based on the travel condition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110 and tracks the current position of the mobile device 100 through the GPS 130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quest is completed . When the quest is completed, the quest reward unit 240 executes the quest reward, and controls the quest creator 220 to generate the additional quest.

또한, 사용자가 퀘스트를 수행하고 있지 않은 경우, 현재 위치를 기초로 수행할 수 있는 퀘스트를 표시하도록 퀘스트알림부(230)를 제어한다.
In addition, if the user is not performing the quest, the quest notification unit 230 is controlled to display a quest that can be performed based on the current position.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게임방식 여행안내시스템(1)의 동작과정을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The operation of the game-type travel guide system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6. FIG.

사용자는 서버(미도시)를 통해 게임방식 여행안내부(200)를 모바일기기(100)에 설치한다. 게임방식 여행안내부(200)를 실행하면, 제어부(250)는 입력부(110)를 통해 희망하는 여행지와 여행테마를 입력받는다.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받은 정보를 기초로 퀘스트생성부(220)에서 퀘스트를 생성한다. The user installs the game-type travel guide unit 200 on the mobile device 100 through a server (not shown). When the game-type travel guide unit 200 is executed, the control unit 250 receives a desired travel destination and a travel theme through the input unit 110. The quest generating unit 220 generates a quest based on the information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110.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선택한 테마에 대응되는 다양한 퀘스트가 표시된다. 사용자는 표시된 퀘스트를 게임을 하듯이 수행한다. 퀘스트 완료 시각을 맞추기 위해 바쁘게 이동하며 여행의 즐거움과 게임의 즐거움을 동시에 얻을 수 있다. 3 to 4, various quests corresponding to the theme selected by the user are displayed. The user performs the displayed quest like a game. You can get busy enjoyment of travel and pleasure of game while moving to meet quest completion time.

퀘스트 장소에 도착해서 퀘스트 완료를 위한 사진을 촬영한다. 이렇게 촬영된 사진들은 퀘스트 완료에도 요구되지만 이후 여행이 끝난뒤 집으로 돌아가서 여행을 추억할 수 있는 증거로 남을 수 있다. When you arrive at the quest location, take a photo to complete the quest. These pictures are required to complete the quest, but they can be left as proof that they can go back home after the trip and memorize the trip.

제어부(250)는 GPS(130)를 통해 모바일기기(100)의 위치를 추적하고, 현재 진행중인 퀘스트의 완료지점에 도착했는지를 판단한다. 그리고, 완료지점에 도착한 경우 퀘스트보상부(240)를 실행시켜 보상을 수행하도록 한다. The control unit 250 tracks the position of the mobile device 100 via the GPS 130 and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completion of the ongoing quest is reached. When the completion point is reached, the quest compensating unit 240 is executed to perform compensation.

그리고, 퀘스트생성부(220)와 퀘스트알림부(230)를 통해 새로운 퀘스트를 안내하도록 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사용자는 연속하여 본인이 희망하는 테마에 대응되는 퀘스트를 수행하며 다양한 여행지의 정보를 습득할 수 있게 된다.
Then, a new quest is guided through the quest generation unit 220 and the quest notification unit 230. In this way, the user can successively acquire information on various destinations by performing quests corresponding to the theme desired by the user.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게임방식 여행안내시스템은 단순히 여행지만 안내하는 것이 아니라, 여행과 관련된 정보를 퀘스트 형태로 제공하여 사용자가 게임속 주인공처름 직접 게임을 하듯이 여행을 즐기게 된다. 이에 따라 여행지에서 얻는 정보와 즐거움과 함께 게임을 하면서 얻은 흥미와 재미도 누릴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game-based travel guid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guides travelers but also provides travel-related information in the form of a quest, so that the user enjoys traveling as if playing the game directly in the game. As a result, you can enjoy the fun and excitement gained while playing games along with the information and fun you get from travel destinations.

또한, 퀘스트 완료를 통해 다양한 보상을 받게 되고, 이러한 보상들은 나중에 집으로 돌아간 후 여행을 추억할 수 있는 증거로 남게 된다. In addition, you will receive various rewards through the completion of the quest, and these rewards will remain as proof that you can remember the trip after you return home.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게임방식 여행안내시스템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The embodiments of the game-based travel guid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re merely illustrative,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embodiments may b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You will know very well. Therefore,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appended claims. It is also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1 : 게임방식 여행안내시스템 100 : 모바일기기
110 : 입력부 120 : 표시부
130 : GPS 140 : 통신부
200 : 게임방식 여행안내부 210 : 저장부
220 : 퀘스트생성부 230 : 퀘스트알림부
240 : 보상처리부 250 : 제어부
1: Game-type travel guide system 100: Mobile device
110: input unit 120:
130: GPS 140:
200: game-type travel guide unit 210: storage unit
220: Quest generation unit 230: Quest notification unit
240: compensation processing unit 250:

Claims (4)

GPS를 통해 위치 정보를 전송하는 모바일기기와;
상기 모바일기기에 여행과 관련된 정보를 복수개의 퀘스트로 제공하는 게임방식 여행안내부를 포함하며,
상기 모바일기기는,
사용자로부터 희망하는 여행조건을 입력받는 입력부와;
상기 퀘스트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게임방식 여행안내부는,
퀘스트와 관련된 정보가 저장되는 저장부와;
상기 입력부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여행조건에 대응되는 퀘스트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정보를 기초로 생성하는 퀘스트생성부와;
상기 퀘스트생성부에서 생성된 퀘스트가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도록 상기 저장부와 상기 퀘스트생성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방식 여행안내시스템.
A mobile device for transmitting location information via GPS;
And a game-type travel guide unit for providing the mobile device with information related to travel in a plurality of quests,
The mobile device includes:
An input unit for receiving a desired travel condition from a user;
And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quest,
The game-
A storage unit for storing information related to the quest;
A quest generator for generating a quest corresponding to a travel condition input from a user through the input unit based on information stored in the storage unit;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storage unit and the quest generator so that the quest generated by the quest generator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여행지역, 여행테마 별로 복수개의 퀘스트가 저장되고,
상기 퀘스트생성부는 사용자가 선택한 여행지역과 여행테마에 맞는 퀘스트를 선택하고, 상기 퀘스트를 수행하기 위한 교통정보, 소요시간, 소요비용, 퀘스트 완료를 위한 조건을 게임형식으로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방식 여행안내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torage unit stores a plurality of quests for each travel area and travel theme,
Wherein the quest generator selects a quest according to a travel area and a travel theme selected by the user and guides traffic information for performing the quest, a time required, a cost, and a condition for completing the quest in a game format Travel guide system.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게임방식 여행안내부는,
상기 단말기의 GPS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단말기의 현재 위치에서 수행할 수 있는 퀘스트를 상기 단말기에 생성하는 퀘스트알림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방식 여행안내시스템.
3. The method of claim 2,
The game-
Further comprising a quest notification unit for receiving the GPS information of the terminal and generating a quest in the terminal that can be performed at a current location of the terminal.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의 GPS 위치가 해당 퀘스트를 완료할 수 있는 위치에 있는 경우, 상기 퀘스트에 해당하는 보상을 처리하는 보상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방식 여행안내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3,
Further comprising a compensation processing unit for processing compensation corresponding to the quest when the GPS position of the terminal is at a position where the corresponding quest can be completed.
KR1020140120474A 2014-09-11 2014-09-11 Game type travel information guide system KR20160030810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0474A KR20160030810A (en) 2014-09-11 2014-09-11 Game type travel information guide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0474A KR20160030810A (en) 2014-09-11 2014-09-11 Game type travel information guide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0810A true KR20160030810A (en) 2016-03-21

Family

ID=556509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0474A KR20160030810A (en) 2014-09-11 2014-09-11 Game type travel information guide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30810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7652A (en) * 2018-09-05 2020-03-13 안경찬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providing service of sending advertisement message based on user locatio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7652A (en) * 2018-09-05 2020-03-13 안경찬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providing service of sending advertisement message based on user loc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547359B (en) Tourist attraction information service system based on LBS and AR technology
US8618935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enhancing a user visit to a site premises
KR101996441B1 (en) Method of tour guiding service based on mobile augmented reality
KR101814299B1 (en) Advertising promotion system for vitalizing treasure hunting zone and leading increase of visitor number using mission performance, and Drive Method of the Same
KR102094792B1 (en) Augmented Reality Based Areas of Specialization Information Service Providing System
KR101724211B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smart travel services
KR20120019132A (en) Internet telematics service providing system and internet telematics service providing method for providing personalized and socialized information
KR101533606B1 (en) Server and system for travelling service base on the position
CN106603595A (en) Smart travel platform
KR20070036219A (en) System and method for mobile historical tour game using lbs
KR20160032479A (en) System and method of seeking treasures games
KR101011985B1 (en) Method and system of offering various service with map using virtual point of interest
KR20150101433A (en) Travel route registration and guide service system and thereof method using smart terminal
KR101573599B1 (en) Travel route registration and guide service system and thereof method using smart terminal
KR20120127290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trip information
KR2021012306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service of a smart tour guide
KR20160030810A (en) Game type travel information guide system
KR20160031583A (en) Local food tour service providing system based on story telling
Holm et al. Designing ActionTrack: A state-of-the-art authoring tool for location-based games and other activities
JP2014045957A (en) Method for providing geographic discovery game, program for providing geographic discovery game, and device provided with program for providing geographic discovery game
JP2010003158A (en) System and method for creating travel plan
KR20190013357A (en) Gamified Tourtainment Service Platform
KR10189403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Travel Information
US20170080330A1 (en) Location-based activity
JP2013068999A (en) Spot information provider, spot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and spot information providing progra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