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13357A - Gamified Tourtainment Service Platform - Google Patents

Gamified Tourtainment Service Platfor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13357A
KR20190013357A KR1020170097844A KR20170097844A KR20190013357A KR 20190013357 A KR20190013357 A KR 20190013357A KR 1020170097844 A KR1020170097844 A KR 1020170097844A KR 20170097844 A KR20170097844 A KR 20170097844A KR 20190013357 A KR20190013357 A KR 201900133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service
server
map
platfo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784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득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비스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비스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비스티
Priority to KR10201700978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13357A/en
Priority to PCT/KR2017/008504 priority patent/WO2019027075A1/en
Publication of KR201900133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3357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30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servers and game devices; 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devices; 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serv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20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 A63F13/21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sensors, purposes or types
    • A63F13/216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sensors, purposes or types using geographical information, e.g. location of the game device or player using GP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45Controlling the progress of the video gam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70Game security or game management aspe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6Real estat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300/0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 A63F2300/4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characterised by details of platform net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Naviga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amified tourtainment service platform capable of creating, managing, and providing various gamified tourtainment servic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gamified tourtainment service platform comprises: an open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API) server (120) linking with a Google firebase cloud messaging (FCM) (200) to provide information to a 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 API (RestAPI) (300); a service server (130) linking with the open API server (120) to provide service information to a service application (500) for managing the service information; and a platform SDK (400) supporting a user to decorate a space with a character and an item and supporting location information to be shared with a plurality of users. Accordingly, a Java-based platform is configured, thereby providing effects of supporting production of a mobile application linked with the platform, and enabling a developer to use a mobile SDK or HTTP RESTful API provided from the platform to easily produce and provide a gamified tourtainment service without specialized knowledge related to character rendering or a database.

Description

게임화 투어테인먼트 서비스 플랫폼{Gamified Tourtainment Service Platform}Gamified Tournament Service Platform

본 발명은 게임화 투어테인먼트 서비스 플랫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여러 유형의 게임화 투어테인먼트 서비스를 창출하고 관리하며 제공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게임화 투어테인먼트 서비스 플랫폼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aming touring service platform, and more particularly, to a gaming touring service platform that supports creating, managing, and providing various types of gaming touring services.

여행에 관련하여 무선 인터넷 및 스마트 폰을 중심으로 여행자가 생산하는 콘텐츠 및 관광정보에 대해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 : Social Network Service)와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스마트 관광(Smart Tourism) 기술이 발전하고 그 영역을 확대해 가고 있으나, 여행정보 제공을 벗어나 관광객에게 또 다른 형태의 동기부여, 즐거움 및 이를 통한 지역 상권과의 연계 수단이 없다.Smart Tourism, which provides customized services based on social network service (SNS) and location information for contents and tourist information produced by travelers around wireless Internet and smart phone related to travel, Technology is developing and expanding, but there is no other form of motivation, enjoyment, and the means to connect with local merchants through the provision of travel information to tourists.

또한, 지역 방문객에게 보다 적극적 동기부여를 위해 체크인(check-in)과 같은 위치기반 게임(Location Based Game) 기술이 발전하고 있으나, 단순 형태의 게임화 모델로서 투어 가이던스(Tour Guidance)와 게임화를 통한 즐거움을 제공하는 플랫폼으로는 발전되지 못한 실정이다.In addition, location-based game technology such as check-in has been developed for more active motivation for local visitors. However, as a simple form of game model, the tour guidance and game It has not been developed as a platform for providing pleasure.

따라서 공간정보, 관광 콘텐츠, 위치정보, 미니게임, 게임화 시나리오, 스마트 폰, 향토 스토리텔링 등 다양한 산업 요소의 ICT 기술을 융합하여, 지역 방문 개개인에 적합한 정보제공, 일정수립 및 도보길 안내 등 맞춤형 투어 가이던스 정보를 제공하며, 여행 길의 아웃도어 환경에 지역 향토 스토리를 배경으로 한 게임화 시나리오, 아웃도어 RPG, 퀘스트 등과 같은 게임화 요소를 융합시켜 여행자에게 동기부여, 재미, 경쟁, 보상에 대한 다양한 ‘게임화 투어테인먼트 서비스’를 창출, 제공 및 관리할 수 있는 서비스 플랫폼을 만들고자 한다.Therefore, by integrating ICT technologies of various industrial elements such as spatial information, tourist contents, location information, mini game, game scenario, smart phone, and local storytelling, it is possible to provide information suitable for each individual visit, Provides information on tour guidance, and fuses game elements such as game scenarios, outdoor RPG, and quests in the outdoor environment on the road to motivate travelers, fun, competition, and rewards We want to create a service platform that can create, provide and manage various 'game touring services'.

[특허문헌]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1572502 호[Patent Literature] Korean Patent No. 10-1572502

본 발명은 여러 형태의 게임화 투어테인먼트 서비스 모델을 창출, 제공 및 관리하는데 필요한 기반 기술로 구성된 환경인 게임화 투어테인먼트 서비스 플랫폼 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game touring service platform, which is an environment constituted by an underlying technology necessary for creating, providing and managing various types of game touring service models.

또한, 본 발명은 지역 현실 공간 특히 도보 여행길을 대상으로 지역단위에 특화된 관광정보 및 공간정보를 융합하여 사용자 맞춤형 여행장소 및 놀이코스 추천, 여행계획수립, 여행기록생성 및 공유, 도보길 안내 및 다자간 위치 및 지도 공유와 같은 스마트 투어 가이던스를 제공하며, 도보 길 구성요소에 지역 향토스토리를 배경으로 한 게임화 시나리오, 아웃도어 RPG(Role Playing Game), 퀘스트(Quest) 등과 같은 게임요소를 융합시켜 다양한 게임화 투어테인먼트 서비스를 창출, 관리 및 제공할 수 있는 게임화 투어테인먼트 서비스 플랫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fuses tourist information and spatial information specific to a local area to a local reality space, particularly a walking route, to recommend a customized travel place and a play course, establish a travel plan, create and share a travel record, Provide smart tour guidance such as multi-location and map sharing, and combine game elements such as game scenarios, outdoor RPG (Role Playing Game), and Quest (Quest) It is intended to provide a game touring service platform capable of creating, managing and providing various game touring services.

또한, 본 발명은 지역 관광지를 대상으로 한 게임 요소를 해당 지역 상권과 연계시켜, 관광객에게는 여행에 즐거움과 보상을 제공하며, 지역 상권에는 경제 활성화를 도모할 수 있는 게임화 투어테인먼트 서비스 플랫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game touring service platform in which a game element for a local tourist spot is linked with a local commercial area, providing a pleasure and a reward for a tourist to a tourist, It has its purpos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게임화 투어테인먼트 서비스 플랫폼은, 구글 FCM(Google Firebase Cloud Messaging, 200)과 연동하면서 RestAPI(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300)로 정보를 제공하는 오픈(Open)API 서버(120); 오픈API 서버(120)와 연동하면서 서비스정보를 관리하는 서비스 서버(130); 및 캐릭터와 아이템을 활용하여 나만의 공간을 꾸밀 수 있도록 하며, 여러 사람이 동일 접속자 단말기에서 상호 위치 공유 및 상대방 접속자 단말기에 표출된 지도를 원격으로 조작하는 다자간 위치 및 지도 공유하는 플랫폼 SDK(400)를 포함할 수 있다.The gaming touring service platfor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Open API server 300 for providing information to a 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300 in cooperation with a Google FCM (Google Fireware Cloud Messaging) (120); A service server 130 for managing service information in cooperation with the open API server 120; And a platform SDK 400 for allowing a plurality of people to share a location and a map displayed on the other-end user's terminal remotely by using the characters and items, . ≪ / RTI >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로서, 오픈API 서버(120)는, 전자정부 프레임워크 기반으로 공간연산과 좌표변환을 활용하여 위치 정보를 변환하고 위치 정보를 추출하는 서버일 수 있다.As an embodiment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n API server 120 may be a server for converting location information and extracting location information by utilizing spatial computation and coordinate transformation based on an electronic government framework.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로서, 오픈API 서버(120)는, HTTP 통신의 GET 방식과 POST 방식을 활용하여 외부 단말에게 투어테인먼트 정보를 제공하고 Oauth를 활용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서버일 수 있다.As an embodiment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n API server 120 may be a server that provides touring information to an external terminal using a GET method and POST method of HTTP communication, and performs user authentication using Oauth.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로서, 서비스 서버(130)는, 전자정부 프레임워크 기반으로 게임화 투어테인먼트 서비스 플랫폼을 사용하는 하위 서비스들의 정보를 관리하는 서버일 수 있다.As an embodiment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ervice server 130 may be a server that manages information of the subservices using the gaming touring service platform on the basis of the e-government framework.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로서, 플랫폼 SDK(400)는, 마이룸 SDK(410) 및 다자간 위치 및 지도공유 SDK(420)로 이루어지며, 마이룸 SDK(410)는, 안드로이드 또는 IOS 기반의 라이브러리 형태로 제공되며, HTML5의 WebSocket을 활용하여 2명 이상의 사용자 간 위치 정보를 공유하여 지도상에 표현하고 선이나 마커를 지도 기반으로 공유할 수 있도록 서비스할 수 있다.The platform SDK 400 includes a My Room SDK 410 and a Multipurpose Location and Map Sharing SDK 420. The My Room SDK 410 includes an Android or IOS based library format . It can be used to share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two or more users by using WebSocket of HTML5, to display on a map, and to share a line or marker on a map basis.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로서, 다자간 위치 및 지도 공유 SDK(420)는,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접속자에 의해 다자간 위치정보 및 지도화면 공유 메뉴항목이 선택되었는지를 판단하고, 접속자가 다자간 위치정보 및 지도화면 공유 모드에서 복수의 타 접속자들을 대상으로 공유 모드로 콜 요청을 할 수 있도록 하며, 다자간 위치정보 및 지도화면 공유 모드 선택 접속자, 콜 수락 접속자들 및 콜 수락 접속자들의 식별정보를 제공하고, 다자간 위치정보 및 지도화면 공유 모드에 콜 수락된 접속자들 상호에 자신들의 현 위치 및 자신들의 경로가 동시에 표시된 지도를 해당 접속자 단말기들로 제공하며, 관심지를 중심으로 위치 설명을 위한 메시지 교환, 상대방 단말 내 표시된 지도 화면을 원격 조작할 수 있도록 하고, 콜 수락한 접속자를 대상으로 다자간 위치정보 및 지도화면 공유 모드 종료 요청이 이루어지는지를 판단하며, 다자간 위치정보 및 지도화면 공유 모드 종료요청이 이루어진 경우 다자간 위치정보 및 지도화면 공유 모드를 종료시키는 다자간 위치정보 및 지도화면 공유루틴을 제공할 수 있다.As an embodiment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ulti-user location and map sharing SDK 420 determines whether the multi-user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map screen sharing menu item are selected by the service application accessor, The mobile terminal can provide a call request in a shared mode to a plurality of other contacts, provides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multi-user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map screen sharing mode selection contact, the call acceptance users, and the call acceptance users, In the screen sharing mod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map showing the current position and the route of the user who are accepted to the call at the same time to the corresponding access terminals, exchange a message for describing the position, Remote operation is enabled, and a multi-party loca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the multi-location information and the map screen sharing routine to end the multi-location information and the map screen sharing mode when the multi-location information and the map screen sharing mode termination request are made have.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로서, 오픈API 서버(120)는,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접속자의 현 위치로부터 관심지까지의 도보길 경로 정보 제공 요청이 선택되었는지를 판단하고,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접속자에 의해 현 위치로부터 관심지 까지의 도보길 경로 정보 제공 요청 시 접속자의 관심 성향 기반 도보길에 대한 경로 정보를 생성하여 접속자 단말기의 화면상에 표시되도록 제공하며 접속자의 위치 이동 시 관심지까지의 도보길 경로 안내를 수행하고,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접속자가 관심지까지의 도보길 경로 안내를 받는 도중, 관심지에 도착하였는지를 판단하며, 관심지에 도착한 경우 관심지 체크인 미션 게임이 종료됨을 인지하여 도보길 안내를 종료시키는 도보길 경로 정보 제공 루틴을 제공할 수 있다.As an embodiment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n API server 120 determines whether a request for providing a route information from a current position of a service application accessor to a point of interest is selected, The route information for the user's interest-based walking route is generated and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visitor terminal, and the walking route guidance to the point of interest is performed when moving the location of the visitor, When the service application accessor arrives at the point of interest while receiving the route guidance to the point of interest, the controller determines whether the point-of-interest check-in mission game is terminated and terminates the walking route information providing routine .

본 발명은 지역 거주민 및 방문객, 관광객을 대상으로 게임화 투어테인먼트 서비스를 관리하고 제공하는 플랫폼 기술로서 이용자들이 아웃도어(Outdoor) 놀이문화를 즐길 수 있는 다양한 콘텐츠를 제공하며 이들 아웃도어 놀이문화 콘텐츠와 사용자, 지역상권을 종합적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latform technology for managing and providing game touring services for local residents, visitors, and tourists, and provides a variety of contents for users to enjoy an outdoor play culture. Users, and local commercial areas in a comprehensive and systematic manner.

또한, 본 발명은 다양한 개발자들로 하여금 플랫폼이 제공하는 RestAPI와 SDK를 활용하여 특별한 캐릭터 및 아이템 기술을 습득하지 않아도 아웃도어(Outdoor) 놀이문화를 만들 수 있도록 하고, 다양한 개발자의 기획에 따라 지역 주변 환경과 어울리는 디자인 개발이나 이용자 성향에 적합한 스마트한 디자인 개발, 거점 및 도시 미관에 기여하는 디자인 요소 개발 등 산뜻한 디자인 인터페이스를 서비스할 수 있는 Outdoor 놀이 문화를 만들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즉, 자바 기반의 플랫폼을 구성함으로써 플랫폼과 연동된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생산을 지원할 수 있으며, 개발자가 플랫폼에서 제공하는 모바일 SDK나 HTTP RESTful API를 활용하여 캐릭터 렌더링이나 데이터베이스와 관련된 전문적인 지식이 없어도 게임화 투어테인먼트 서비스를 쉽게 생산하고 제공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various developers to create an outdoor play culture without acquiring special character and item skills by utilizing the RestAPI and SDK provided by the platform, It is possible to create an outdoor play culture that can provide a neat design interface such as smart design development suitable for environment development and user tendency, development of design elements contributing to base and city aesthetics. In other words, by constructing a Java-based platform, it is possible to support the production of a mobile application linked to the platform, and developers can utilize the mobile SDK or HTTP RESTful API provided by the platform, So that it is possible to easily produce and provide the service.

또한, 본 발명은 지역 정보와 매쉬업하여 지역 거점에 특화되며 기술, 환경, 이용자, 디자인 등을 고려한 목적성 시나리오를 제작할 수 있고 거점에 특성을 반영한 향토적인 이야기를 기반으로 한 재미 기반 아웃도어 놀이 시나리오나 놀이 콘텐츠 개발과 관광 상품화 또한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 fun-based outdoor play scenario based on a local story that can produce objective scenarios considering technology, environment, user, design, etc., It also has the effect of enabling the development of play contents and the commercialization of tourism product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게임화 투어테인먼트 서비스 플랫폼의 구성과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도 1의 오픈API 서버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플랫폼 구성 요소 중 다자간 위치 및 지도 공유 SDK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기능 동작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도 2의 오픈API 서버 구성 중 경로제공 컴포넌트에서 제공하는 도보길 경로 정보 제공 루틴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흐름도이다.
FIG. 1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the construction and operation of a game touring service platfor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the open API server of FIG. 1. FIG.
FIG. 3 is a functional operation flowchart for explaining the functions of the multi-site location and map sharing SDK among the platform compon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providing a walking route information providing routine provided by a route providing component in the open API server configuration of FIG. 2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발명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인 용어가 본 발명의 사상을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잘못된 기술적 용어일 때에는, 당업자가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기술적 용어로 대체되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바에 따라, 또는 전후 문맥상에 따라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It is noted that the technical term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used only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he technical term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in a sense generally understood by a person having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unless otherwise defined in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to mean, or be interpreted in an excessively reduced sense. In addition, when a technical term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an erroneous technical term that does not accurately express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echnical terms can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In addition, the general term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according to a predefined or prior context,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excessively reduced.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발명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를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Furthermore, the singular expression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comprising" or "comprising" and the like should not be construed as encompassing various elements or various steps of the invention, Or may further include additional components or step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erein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or similar elements throughout the several views, and redundant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발명을 상세하게 기술하기 이전에 본 발명에 사용되고 있는 용어를 정의하면, 접속자는 접속자 단말기를 통하여 투어테인먼트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접속자를 통칭하는 용어이며, 관심지는 현장방문 인증이 가능한 장소를 의미하는 용어로서 현재 전체 POI(관심지역)가 모두 대상이며 장소 포인트에 따라서 레벨화되어 제시되고, 접속자가 관심지를 방문하는 경우 현장방문 인증정보를 제공받게 된다.Before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the terminology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as a term collectively referred to as a service application user for receiving a touring service through an access terminal. Meaning all of the current POIs (points of interest) are all targeted and leveled according to the point of the place, and when the visitor visits the point of interest, the site visit authentication information is provid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게임화 투어테인먼트 서비스 플랫폼의 구성과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도 1의 오픈API 서버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 1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the construction and operation of a game touring service platfor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the open API server of FIG. 1. FIG.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게임화 투어테인먼트 서비스 플랫폼은, 오픈API 서버(120), 서비스 서버(130) 및 데이터베이스(DB, 110)로 구성된 플랫폼 서버(100)와 Native 앱의 수행을 지원하는 플랫폼 SDK(400)로 구성되어진다. 또한 플랫폼과 관련하여 구글 FCM(200), Rest API(300) 및 서비스 어플리케이션(500), 접속자 단말기(600) 및 데이터통신망(700)과 관련되어 이루어진다.1, the game touring service platform includes a platform server 100 composed of an open API server 120, a service server 130 and a database (DB) 110, and a platform And an SDK 400. It also relates to the Google FCM 200, the Rest API 300 and the service application 500, the access terminal 600 and the data communication network 700 in relation to the platform.

오픈API 서버(120)와 서비스 서버(130)는 Java VM 기반으로 구축되어 있고 Tomcat으로 웹 어플리케이션 서버를 구동시킨다.The open API server 120 and the service server 130 are built on a Java VM basis and run a web application server with Tomcat.

오픈API 서버(120)는 구글 FCM(200)과 연동하면서 RestAPI(300)로 정보를 제공한다.The open API server 120 provides information to the Rest API 300 in cooperation with the Google FCM 200.

오픈API 서버(120)는 전자정부 프레임워크 기반으로 공간연산과 좌표변환을 활용하여 위치 정보를 변환하고 위치 정보를 추출하는 서버이다.The open API server 120 is a server that converts location information and extracts location information based on an electronic government framework using spatial operations and coordinate transformation.

오픈API 서버(120)는 HTTP 통신의 GET 방식과 POST 방식을 활용하여 외부 단말에게 투어테인먼트 정보를 제공하고 Oauth를 활용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서버이다.The open API server 120 is a server that provides touring information to an external terminal using the GET and POST methods of HTTP communication and performs user authentication using Oauth.

오픈API 서버(120)는 전자정부프레임워크를 기반으로 MVC 모델을 활용하며 MyBatis를 통하여 데이터베이스(DB, 110)와 통신하고, GPS를 활용하여 LBS(Location Based Service)를 제공하기 때문에 공간연산 기술을 활용하여 공간 데이터를 추출해 제공하고 좌표변환 기술을 활용하여 좌표가 다른 데이터를 일관된 좌표로 처리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The open API server 120 utilizes the MVC model based on the e-government framework, communicates with the database (DB, 110) through MyBatis, and provides LBS (Location Based Service) using GPS. And extracts and provides spatial data, and supports coordinate data conversion to coherent coordinate data.

오픈API 서버(120)가 제공하는 데이터는 여행 정보, 다이어리 정보, 미션 정보, 아이템 정보, 캐릭터 정보, 장소 정보, 체크인 정보, 경로 정보, 사용자 정보, 알림 정보, 공지사항 정보로 이루어지며, 오픈API 서버(120)에서 이루어지는 동일 서비스 내에서 단말기기 간 푸쉬 서비스는 구글FCM(Google Firebase Cloud Messaging)을 활용하여 제공한다.The data provided by the open API server 120 is composed of travel information, diary information, mission information, item information, character information, place information, check-in information, route information, user information, notification information, The terminal push service in the same service provided by the server 120 is provided by utilizing Google's FCM (Google Fireware Cloud Messaging).

오픈API 서버(1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어 가이드 컴포넌트(121), 게임화 놀이 컴포넌트(122), 경로 제공 컴포넌트(123), 정보 공유 컴포넌트(124), 투어 히스토리 컴포넌트(125)로 이루어진다.The open API server 120 includes a tour guide component 121, a game play component 122, a path providing component 123, an information sharing component 124, a tour history component 125, .

투어 가이드 컴포넌트(121)는 장소와 관련된 서비스에 대한 각종 기능, 여행 일정 생성 및 제공에 대한 각종 기능, 여행을 위한 추천 정보, 여행을 위한 검색 정보를 제공한다. 이때, 투어 가이드 컴포넌트(121)가 사용자 맞춤형 투어 가이던스 기능 블록을 제공하게 되면, 사용자 맞춤형 투어 가이던스 기능 블록은 여행자의 연령, 성별 방문시간, 날씨 정보를 수집하여 상황에 맞게 여행 장소 추천 및 상세 정보를 제공하고, 여행자가 자신의 여행 계획을 세울 수 있도록 서비스하며 도보 여행길에 대한 길 찾기 및 안내와, 자신의 여행 이력을 관리하는 기능으로 구성되어 있다.The tour guide component 121 provides various functions for a service related to a place, various functions for providing and creating a travel schedule, recommendation information for traveling, and search information for traveling. At this time, if the tour guide component 121 provides the user-customized tour guidance function block, the user-customized tour guidance function block collects the age, sex visiting time and weather information of the traveler, It provides services for the traveler to plan his / her travel plans. It also provides directions and guidance for walking trips, and manages his / her travel history.

게임화 놀이 컴포넌트(122)는 게임화 기능인 미션 관련 서비스를 제공하고 사용자의 캐릭터의 정보를 제공하고 변경할 수 있도록 하고 아이템에 대한 목록 및 상세 정보를 제공한다. The game play component 122 provides a mission-related service, a game-changing function, and provides and changes the information of the user's character, and provides a list and detailed information about the item.

게임화 놀이 컴포넌트(122)는 스토리텔링 연동 게임화 놀이 추천 기능 블록을 가지고 있으며, 스토리텔링 연동 게임화 놀이 추천 기능 블록은 지역 향토 스토리를 소재로 게임화 놀이와 연결된 코스들을 사용자의 관심, 취향 및 특성에 맞게 위치 및 경로와 함께 추천하는 기능으로 구성되어 있다. The game play component 122 has a storytelling-linked game play recommendation function block, and the storytelling-linked game play recommendation function block is a program for recommending a game, It is composed of functions to recommend along with location and route according to characteristics.

경로 제공 컴포넌트(123)는 경로 검색 요청 및 검색 결과를 제공한다. 경로 제공 컴포넌트(123)는 감성형 경로계획 생성 및 제공 기능 블록과 다자간 위치·지도·경로 정보 공유 기능 블록을 가지고 있다.The path providing component 123 provides a path search request and a search result. The path providing component 123 has a functional block for generating and providing emotional path planning and a functional block for multipoint location / map / route information sharing.

감성형 경로계획 생성 및 제공 기능 블록은 노드 및 링크로 구성된 여행지 도보 네트워크와 도보 길에 대한 물리적·감성적 속성을 모델링하고 이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현 위치로부터 목적지까지의 도보 이동 경로에 대한 경로 및 경로 안내 역할을 수행하는 기능으로 구성되어 있다. Generating and Providing Emotional Route Plan The functional block models the physical and emotional attributes of the walking network and the walking route composed of nodes and links, and based on this model, the route and route guidance for the walking route from the user's current position to the destination And a function to perform a role.

다자간 위치·지도·경로 정보 공유 기능 블록은 서로 다른 지역에 위치하고 있는 다수의 여행자들 간에 공유 허락 시, 상호 자신들의 이동 위치를 실시간으로 자신들의 한 화면에 표출시키고, 자신의 위치를 알리기 위해 타인의 지도 화면을 원격으로 조작 할 수 있는 기능으로 구성되어 있다. The multi-party location, map, and route information sharing function block allows multiple travelers located in different regions to share their moving positions in real time on their own screens, And a function to remotely operate the map screen.

경로 제공 컴포넌트(123)는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접속자의 현 위치로부터 관심지까지의 도보길 경로 정보 제공 요청이 선택되었는지를 판단하고,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접속자에 의해 현 위치로부터 관심지 까지의 도보길 경로 정보 제공 요청 시 접속자의 관심 성향 기반 도보길에 대한 경로 정보를 생성하여 접속자 단말기의 화면상에 표시되도록 제공하며 접속자의 위치 이동 시 관심지까지의 도보길 경로 안내를 수행하고,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접속자가 관심지까지의 도보길 경로 안내를 받는 도중, 관심지에 도착하였는지를 판단하며, 관심지에 도착한 경우 관심지 체크인 미션 게임이 종료됨을 인지하여 도보길 안내를 종료시키는 도보길 경로 정보 제공 루틴을 제공한다.The path providing component 123 determines whether a request for providing a route information from a current location of a service application accessor to a point of interest is selected and requests a service application user to provide a route information The path information of the visitor's interest-based walking path is generated and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visitor terminal, the walk route guidance to the point of interest is performed when the location of the visitor is moved, And provides a walking route information providing routine for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user arrives at the point of interest while receiving the guide route guidance, and terminating the walking guidance when the user arrives at the point of interest.

정보 공유 컴포넌트(124)는 WebSocket서버로 Connection 연결 기반 메시지를 처리한다.The information sharing component 124 processes the connection connection-based message to the WebSocket server.

투어 히스토리 컴포넌트(125)는 여행 일정의 장소에 대한 기록 및 이를 활용한 여행 다이어리를 생성하고 여행 다이어리를 활용하여 HTML기반 웹 문서 형태의 여행 기록물을 생성한다.The tour history component 125 generates a record of the place of the itinerary and a travel diary using the travel diary, and generates a travel document in the form of an HTML-based web document using the travel diary.

오픈API 서버(120)를 구성하고 있는 5개의 컴포넌트(121~125)들은 전자정부프레임워크에서 지원하는 Mybatis를 통하여 데이터베이스(DB, 110)에서 필요한 정보를 가져오고 모든 입력/수정하는 프로세스는 트랜젝션 단위로 처리한다. The five components 121 to 125 constituting the open API server 120 fetch necessary information from the database (DB) 110 through Mybatis supported by the e-government framework, and all input / Lt; / RTI >

그리고 5개의 컴포넌트(121~125)들은 GPS를 활용하여 사용자 정보를 저장할 때 한국인터넷진흥원에서 제공하는 SEED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좌표정보를 암호화한다. 동일 서비스 내에서 단말기 간 푸쉬 서비스는 구글FCM(Google Firebase Cloud Messaging, 200)을 활용하여 제공한다.Then, the five components 121 to 125 encrypt the coordinate information using the SEED algorithm provided by the Korea National Internet Development Agency (KISA) when the user information is stored using the GPS. Within the same service, push-to-terminal services are provided using Google's Firebird Cloud Messaging (FCM).

서비스 서버(130)는 오픈API 서버(120)와 연동하면서 서비스정보를 관리하는 서비스 어플리케이션(500)으로 서비스정보를 제공한다.The service server 130 provides service information to the service application 500 that manages service information in cooperation with the open API server 120.

서비스 서버(130)는 투어테인먼트를 활용하기 위한 사용자를 관리하기 때문에 각각 별도의 Container로 구성되어 있다.Since the service server 130 manages a user to utilize the touring, the service server 130 is configured as a separate container.

서비스 서버(130)는 전자정부 프레임워크 기반으로 게임화 투어테인먼트 서비스 플랫폼을 사용하는 하위 서비스들의 정보를 관리하는 서버이다.The service server 130 is a server that manages information of sub-services using the gaming touring service platform on the basis of the e-government framework.

서비스 서버(130)는 투어테인먼트 정보 관리 컴포넌트를 가지며, 투어테인먼트 서비스에 필요한 기본 정보인 공간정보, 투어가이던스 정보, 게임화 놀이 콘텐츠 정보 관리로 구성되어 있다.The service server 130 has a touring information management component and is configured of basic information necessary for the touring service, such as spatial information, tour guidance information, and game play information.

서비스 서버(130)는 전술한 정보들을 콘텐츠로 정의하여 콘텐츠 관리시스템(Contents Management System)의 역할을 수행하는 기능을 가진다. The service server 130 has a function of defining the above-described information as contents and performing a role of a contents management system (Contents Management System).

서비스 서버(130)는 자연물, 명승지, 유적지 공공문화재와 같은 관광명소와 민간업체에서 운영하는 음식점, 숙박업소에 대한 POI를 권한이 부여된 사용자에 의한 관리 기능을 제공하고 도보 길에 대한 노드-링크 네트워크 구성과 링크를 구성하고 있는 길에 대한 속성 정보 및 길안내를 위한 가이던스 정보를 구성 관리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The service server 130 provides management functions by authorized users of POIs for tourist attractions such as natural objects, scenic spots, historic sites, public cultural properties, restaurants operated by private companies, and hotels, and a node- Provides a function to configure and manage the network configuration and the attribute information about the road constituting the link and the guidance information for guiding the route.

투어테인먼트 정보 관리 컴포넌트는 전자정부프레임워크에서 지원하는 Mybatis를 통하여 데이터베이스(DB, 110)에서 필요한 정보를 가져오고 모든 입력/수정하는 프로세스는 트랜젝션 단위로 처리한다.The tour management information management component retrieves the necessary information from the database (DB, 110) through Mybatis supported by the e-government framework and processes all the input / modification processes in transaction units.

플랫폼 SDK(400)는 캐릭터와 아이템을 활용하여 공간을 꾸밀 수 있도록 지원하고, 다자간 위치정보를 공유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The platform SDK (400) supports a space by using characters and items, and supports the sharing of multi-location information.

플랫폼 SDK(400)는 마이룸 SDK(410) 및 다자간 위치 및 지도공유 SDK(420)로 이루어지며, 마이룸 SDK(410) 및 다자간 위치 및 지도공유 SDK(420) 모두 Native 앱에 기반한 라이브러리 형태로 구성되어 Native 앱을 구성할 때 포함되어 개발 되어진다.The platform SDK 400 includes a My Room SDK 410 and a Multipurpose Location and Map Sharing SDK 420. Both the My Room SDK 410 and the Multipoint Location and Map Sharing SDK 420 are in the form of libraries based on native applications. It is included and developed when configuring a Native app.

마이룸 SDK(410)는 안드로이드 또는 IOS 기반의 라이브러리 형태로 제공되며, HTML5의 WebSocket을 활용하여 2명 이상의 사용자 간 위치 정보를 공유하여 지도상에 표현하고 선이나 마커를 지도 기반으로 공유할 수 있도록 서비스한다.The My Room SDK (410) is provided as an Android or IOS-based library. By using HTML5's WebSocket, users can share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two or more users and display them on the map. Service.

마이룸 SDK(410)는 Native 앱에 기반한 라이브러리 형태로 구성되며, Native 앱이 구성될 때 포함되어 개발되어진다. The My Room SDK (410) is configured in the form of a library based on the Native App, and is included when the Native App is configured.

마이룸 SDK(410)는 오픈API 서버(120)와 통신하여 사용자정보, 캐릭터 정보, 아이템 정보를 사용하며 단말기기의 특정 영역에 캐릭터와 아이템을 조합하여 꾸미기 기능을 활용할 수 있다. The My Room SDK 410 uses user information, character information, and item information by communicating with the open API server 120, and can utilize the decorating function by combining characters and items in a specific area of the terminal.

기본적으로 마이룸 SDK(410)는 이미지 렌더링 기술을 구현하여 캐릭터 및 아이템을 시각화하여 처리하고 캐릭터의 연속된 이미지 처리로 모션 기능을 구현한다.Basically, the My Room SDK 410 implements an image rendering technology to visualize and process characters and items, and implements the motion function by processing a series of images of characters.

다자간 위치 및 지도공유 SDK(420)는 Native 앱에 기반한 라이브러리 형태로 구성되어 Native 앱이 구성될 때 포함되어 개발되어진다. The Multipoint Location and Map Sharing SDK 420 is configured in the form of a library based on the Native App and is included when the Native App is configured.

다자간 위치 및 지도공유 SDK(420)는 HTML5의 표준 WebSocket을 활용하여 실시간 정보 공유가 가능하고 구글맵을 활용하여 서로 간의 위치 정보를 지도기반으로 공유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The Multipoint Location and Map Sharing SDK 420 enables real-time information sharing using the standard WebSocket of HTML5 and supports sharing of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maps using the Google Map.

다자간 위치 및 지도공유 SDK(420)는 실시간으로 텍스트를 공유하여 텍스트 기반에서 채팅 기능이 구현되도록 지원한다.The Multipoint Location and Map Sharing SDK 420 supports real-time text sharing to implement a text-based chat feature.

다자간 위치 및 지도 공유 SDK(420)는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접속자에 의해 다자간 위치정보 및 지도화면 공유 메뉴항목이 선택되었는지를 판단하고, 접속자가 다자간 위치정보 및 지도화면 공유 모드에서 복수의 타 접속자들을 대상으로 공유 모드로 콜 요청을 할 수 있도록 하며, 다자간 위치정보 및 지도화면 공유 모드 선택 접속자, 콜 수락 접속자들 및 콜 수락 접속자들의 식별정보를 제공하고, 다자간 위치정보 및 지도화면 공유 모드에 콜 수락된 접속자들 상호에 자신들의 현 위치 및 자신들의 경로가 동시에 표시된 지도를 해당 접속자 단말기들로 제공하며, 관심지를 중심으로 위치 설명을 위한 메시지 교환, 상대방 단말 내 표시된 지도 화면을 원격 조작할 수 있도록 하고, 콜 수락한 접속자를 대상으로 다자간 위치정보 및 지도화면 공유 모드 종료 요청이 이루어지는지를 판단하며, 다자간 위치정보 및 지도화면 공유 모드 종료요청이 이루어지면 다자간 위치정보 및 지도화면 공유 모드를 종료시키는 다자간 위치정보 및 지도화면 공유루틴을 제공한다.The multi-user location and map sharing SDK 420 determines whether the multi-user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map screen sharing menu item have been selected by the service application accessor, and allows the connected user to share the plurality of other users in the multi- Mode, and provides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multi-user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map screen sharing mode selection accessors, the call acceptance users, and the call accepting users, and provides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multi-user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map screen sharing mode A map showing their current location and their route at the same time is provided to the corresponding access terminals, a message exchange for describing the location can be performed centering the area of interest, a map screen displayed in the other terminal can be remotely operated, Multipoint location information and map screen sharing mode for a single user And determining if the request is made, multi-party location information and place on the map screen sharing mode exit request is to provide a multi-party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map screen sharing routine to end a conference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map screen sharing mode.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라 게임화 투어테인먼트 서비스 플랫폼과 연동된 다자간 위치 및 지도 공유 SDK에 구성된 기능 루틴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function routine configured in the multi-location and map sharing SDK interworking with the gaming touring service platfor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다자간 위치정보 및 지도화면 공유 루틴][Multipoint location information and map screen sharing routine]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투어테인먼트 서비스 방법 중 다자간 위치정보 및 지도화면 공유 루틴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FIG. 3 is an operation flowchart for explaining the multipoint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map screen sharing routine in the touring servic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비스 서버(130)는 서비스 어플리케이션(500) 접속자에 의해 다자간 위치정보 및 지도화면 공유 메뉴항목이 선택되었는지를 판단(S110)한다.As shown in FIG. 3, the service server 130 determines whether the multiparty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map screen sharing menu items have been selected by the accessor of the service application 500 (S110).

S110 단계의 판단 결과, 다자간 위치정보 및 지도화면 공유 메뉴항목이 선택된 경우 서비스 서버(130)는 접속자가 다자간 위치정보 및 지도화면 공유 모드에서 복수의 타 접속자들을 대상으로 공유 모드로 콜 요청을 할 수 있도록 하며, 다자간 위치정보 및 지도화면 공유 모드 선택 접속자, 콜 수락 접속자들 및 콜 수락 접속자들의 식별정보를 제공(S120)하고, 다자간 위치정보 및 지도화면 공유 모드가 선택되지 않는 경우 서비스 서버(130)는 선택된 메뉴항목과 관련된 콘텐츠로 이루어진 활동페이지를 제공한다(S150).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S110, when the multi-user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map screen sharing menu item are selected, the service server 130 can make a call request in a shared mode to a plurality of other users in the multi- (S120). If the multi-user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map screen sharing mode are not selected, the service server 130 provide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multi-user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map screen sharing mode selection contact, the call acceptance users, And provides an activity page composed of contents related to the selected menu item (S150).

서비스 서버(130)는 다자간 위치정보 및 지도화면 공유 모드에 콜 수락된 접속자들 상호에 자신들의 현 위치 및 자신들의 경로가 동시에 표시된 지도를 해당 접속자 단말기(600)들로 제공하며, 관심지를 중심으로 위치 설명을 위한 메시지 교환, 상대방 단말 내 표시된 지도 화면을 원격 조작할 수 있도록 한다(S130).The service server 130 provides the corresponding visitor terminal 600 with a map showing the current location and the route of the current visitor in the multi-user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map screen sharing mode, A message exchange for location description, and a map screen displayed in the other terminal (step S130).

서비스 서버(130)는 콜 수락한 접속자를 대상으로 다자간 위치정보 및 지도화면 공유 모드 종료 요청이 이루어지는지를 판단(S140)하고, 서비스 서버(130)는 다자간 위치정보 및 지도화면 공유 모드 종료요청이 이루어진 경우 다자간 위치정보 및 지도화면 공유 모드를 종료시키고, 다자간 위치정보 및 지도화면 공유 모드 종료요청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단계(S130)를 반복수행한다.The service server 130 determines whether the request for ending the multi-user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map screen sharing mode is made with respect to the contact admitted to the call (S140), and the service server 130 issues a request for ending the multi- The multi-user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map screen sharing mode are terminated, and if the multi-user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map screen sharing mode termination request are not made, step S130 is repeated.

여기서, 서비스 서버(130)는 오픈API 서버(120)와 연동하여,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접속자 단말기(600)에서 요청하는 서비스가 원할하게 제공되도록 한다.Here, the service server 130 interlocks with the open API server 120 to provide a service requested by the visitor terminal 600 as described above.

[도보길 경로 정보 제공 루틴][Walking Route Information Routing Routine]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도 2의 오픈API 서버 구성 중 경로제공 컴포넌트에서 제공하는 도보길 경로 정보 제공 루틴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흐름도이다.FIG.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providing a walking route information providing routine provided by a route providing component in the open API server configuration of FIG. 2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비스 서버(130)는 서비스 어플리케이션(500) 접속자의 현 위치로부터 관심지까지의 도보길 경로 정보 제공 요청이 선택되었는지를 판단(S210)하고, 판단 결과 관심지까지의 도보길 경로 정보 제공 요청이 선택된 경우 서비스 서버(130)는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접속자에 의해 현 위치로부터 관심지 까지의 도보길 경로 정보 제공 요청 시 접속자의 관심 성향 기반 도보길에 대한 경로 정보를 생성하여 접속자 단말기(600)의 화면상에 표시되도록 제공하며 접속자의 위치 이동 시 관심지까지의 도보길 경로 안내를 수행(S220)한다.As shown in FIG. 4, the service server 130 determines whether a request for providing a walking route information from the current location of the service application 500 to the interested location is selected (S210) When the route information providing request for walking route is selected, the service server 130 generates route information on the route of interest interest-based walking route of the visitor when requesting the route information of the route from the current location to the destination of interest by the service application user, (Step S220). In step S220, the route guidance is performed to the point of interest.

서비스 서버(130)는 서비스 어플리케이션(500) 접속자가 관심지까지의 도보길 경로 안내를 받는 도중, 관심지에 도착하였는지를 판단(S230)하고, 관심지에 도착한 경우 서비스 서버(130)는 관심지 체크인 미션 게임이 종료됨을 인지하여 도보길 안내를 종료(S240)시킨다.The service server 130 determines whether the user of the service application 500 has arrived at the point of interest during the walking route guidance to the point of interest (S230). If the service server 130 arrives at the point of interest, the service server 130 determines And terminates the walking guidance (S240).

전술한 내용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thereof.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intended to illustrate rather than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플랫폼 서버
110 : 데이터 베이스(DB)
120 : 오픈API 서버
121 : 투어 가이드 컴포넌트
122 : 게임화 놀이 컴포넌트
123 : 경로 제공 컴포넌트
124 : 정보 공유 컴포넌트
125 : 투어 히스토리 컴포넌트
130: 서비스 서버
200 : 구글 FCM(Google Firebase Cloud Messaging)
300 : Rest API((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API)
400 : 플랫폼 SDK
410 : 마이룸 SDK
420 : 다자간 위치 및 지도공유 SDK
500 :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100: platform server
110: Database (DB)
120: Open API server
121: Tour guide component
122: game play component
123: path providing component
124: Information sharing component
125: Tour History component
130: service server
200: Google Firebase Cloud Messaging (FCM)
300: Rest API (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400: Platform SDK
410: My Room SDK
420: Multipoint Location and Map Sharing SDK
500: service application

Claims (7)

구글 FCM(200)과 연동하면서 RestAPI(300)로 정보를 제공하는 오픈(Open)API 서버(120);
상기 오픈API 서버(120)와 연동하면서 서비스정보를 관리하는 서비스 서버(130); 및
캐릭터와 아이템을 활용하여 나만의 공간을 꾸밀 수 있도록 하며, 여러 사람이 동일 접속자 단말기에서 상호 위치 공유 및 상대방 접속자 단말기에 표출된 지도를 원격으로 조작하는 다자간 위치 및 지도 공유하는 플랫폼 SDK(400);
를 포함하는 게임화 투어테인먼트 서비스 플랫폼.
An Open API server 120 for providing information to the Rest API 300 in conjunction with the Google FCM 200;
A service server 130 for managing service information in cooperation with the open API server 120; And
A platform SDK 400 for allowing a plurality of people to designate a space by utilizing characters and items, and to share a location and a map by remotely manipulating a map displayed on the opposite-end user terminal and a mutual position sharing on the same visitor terminal;
A gaming touring service platform that include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픈API 서버(120)는,
전자정부 프레임워크 기반으로 공간연산과 좌표변환을 활용하여 위치 정보를 변환하고 위치 정보를 추출하는 서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화 투어테인먼트 서비스 플랫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open API server (120)
Wherein the server is a server for converting location information and extracting location information by utilizing spatial computation and coordinate transformation based on an e-government framework.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픈API 서버(120)는,
HTTP 통신의 GET 방식과 POST 방식을 활용하여 외부 단말에게 투어테인먼트 정보를 제공하고 Oauth를 활용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서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화 투어테인먼트 서비스 플랫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open API server (120)
Wherein the server is a server for providing touring information to an external terminal using the GET method and POST method of HTTP communication, and performing user authentication using Oauth.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서버(130)는,
전자정부 프레임워크 기반으로 게임화 투어테인먼트 서비스 플랫폼을 사용하는 하위 서비스들의 정보를 관리하는 서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화 투어테인먼트 서비스 플랫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ervice server (130)
Wherein the server is a server for managing information of sub-services using a gaming touring service platform based on an e-government framework.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랫폼 SDK(400)는,
마이룸 SDK(410) 및 다자간 위치 및 지도공유 SDK(420)로 이루어지며,
상기 마이룸 SDK(410)는, 안드로이드 또는 IOS 기반의 라이브러리 형태로 제공되며, HTML5의 WebSocket을 활용하여 2명 이상의 사용자 간 위치 정보를 공유하여 지도상에 표현하고 선이나 마커를 지도 기반으로 공유할 수 있도록 서비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화 투어테인먼트 서비스 플랫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latform SDK (400)
A My Room SDK 410 and a Multipoint Location and Map Sharing SDK 420,
The My Room SDK 410 is provided in the form of an Android or IOS-based library. It uses the HTML5 WebSocket to share position information between two or more users and displays them on a map, and shares lines or markers on a map basis A game touring service platform, which is provided to allow the user to enjoy the game.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다자간 위치 및 지도 공유 SDK(420)는,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접속자에 의해 다자간 위치정보 및 지도화면 공유 메뉴항목이 선택되었는지를 판단하고, 접속자가 다자간 위치정보 및 지도화면 공유 모드에서 복수의 타 접속자들을 대상으로 공유 모드로 콜 요청을 할 수 있도록 하며, 다자간 위치정보 및 지도화면 공유 모드 선택 접속자, 콜 수락 접속자들 및 콜 수락 접속자들의 식별정보를 제공하고, 다자간 위치정보 및 지도화면 공유 모드에 콜 수락된 접속자들 상호에 자신들의 현 위치 및 자신들의 경로가 동시에 표시된 지도를 해당 접속자 단말기들로 제공하며, 관심지를 중심으로 위치 설명을 위한 메시지 교환, 상대방 단말 내 표시된 지도 화면을 원격 조작할 수 있도록 하고, 콜 수락한 접속자를 대상으로 다자간 위치정보 및 지도화면 공유 모드 종료 요청이 이루어지는지를 판단하며, 다자간 위치정보 및 지도화면 공유 모드 종료요청이 이루어지면 다자간 위치정보 및 지도화면 공유 모드를 종료시키는 다자간 위치정보 및 지도화면 공유 루틴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화 투어테인먼트 서비스 플랫폼.
6. The method of claim 5,
The Multipoint Location and Map Sharing SDK 420,
The service application accessor determines whether the multiparty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map screen sharing menu item are selected by the service application accessor so that the visitor can make a call request in a shared mode to a plurality of other users in the multi-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multi-user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map screen sharing mode selection accessors, the call accepting users and the call accepting users, and provide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current location and their route A message display for describing a location, and a map screen displayed in a counterpart terminal can be remotely operated with respect to a point of interest, and a multi-user location information and a map It is judged whether or not a screen sharing mode end request is made And provides the multi-place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map screen sharing routine to end the multi-location information and the map screen sharing mode when the request for ending the multi-location information and the map screen sharing mode is mad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픈API 서버(120)는,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접속자의 현 위치로부터 관심지까지의 도보길 경로 정보 제공 요청이 선택되었는지를 판단하고,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접속자에 의해 현 위치로부터 관심지 까지의 도보길 경로 정보 제공 요청 시 접속자의 관심 성향 기반 도보길에 대한 경로 정보를 생성하여 접속자 단말기의 화면상에 표시되도록 제공하며 접속자의 위치 이동 시 관심지까지의 도보길 경로 안내를 수행하고,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접속자가 관심지까지의 도보길 경로 안내를 받는 도중, 관심지에 도착하였는지를 판단하며, 관심지에 도착한 경우 관심지 체크인 미션 게임이 종료됨을 인지하여 도보길 안내를 종료시키는 도보길 경로 정보 제공루틴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화 투어테인먼트 서비스 플랫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open API server (120)
The service application application judges whether or not the route information providing request is selected from the current position of the service application user to the interest point, and the walking route from the current position to the interest point by the service application contact person. And provides the route information to be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access terminal. When the service application user receives the walking route guidance to the point of interest, And when the player arrives at the point of interest, recognizes that the game of interest in check-in mission is terminated, and terminates the guidance of the walking route.
KR1020170097844A 2017-08-01 2017-08-01 Gamified Tourtainment Service Platform KR20190013357A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7844A KR20190013357A (en) 2017-08-01 2017-08-01 Gamified Tourtainment Service Platform
PCT/KR2017/008504 WO2019027075A1 (en) 2017-08-01 2017-08-07 Gaming tourtainment service platfor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7844A KR20190013357A (en) 2017-08-01 2017-08-01 Gamified Tourtainment Service Platfor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3357A true KR20190013357A (en) 2019-02-11

Family

ID=652338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7844A KR20190013357A (en) 2017-08-01 2017-08-01 Gamified Tourtainment Service Platform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90013357A (en)
WO (1) WO2019027075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036753A (en) * 2020-09-02 2020-12-04 杭州晶瞳文化科技有限公司 Management system and terminal of wisdom tourism
CN111966275B (en) * 2020-09-15 2021-07-30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Program trial method, system, device, equipment and medium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28908A (en) * 2013-09-06 2015-03-17 에스피테크놀러지 주식회사 Remote Controllable social network game management server
KR101560200B1 (en) * 2014-09-05 2015-10-15 (주)스파코사 System for Positioning Device using Crowd network
JP6119709B2 (en) * 2014-09-29 2017-04-26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Service provider apparatus, program, and service providing method
KR101744104B1 (en) * 2015-06-09 2017-06-07 이원찬 Method for location based social networking using beacon
KR101728160B1 (en) * 2015-11-05 2017-04-18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A cultural assets tour guide system based on mobile mashups using open API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027075A1 (en) 2019-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ilson Location-based services, conspicuous mobility, and the location-aware future
US9605969B2 (en) Meeting coordination utilizing profile and proximity information of primary parties and affiliated secondary parties
EP3195631A1 (en) Geographical location based application
García-Crespo et al. CESARSC: Framework for creating cultural entertainment systems with augmented reality in smart cities
JP5313409B1 (en) GAME CONTROL METHOD, WEB SERVER DEVICE, GAME CONTROL PROGRAM, AND STORAGE MEDIUM
CN110796508B (en) Travel journey processing method, device, storage medium and processor
Shinde et al. Internet of things integrated augmented reality
Batuwanthudawa et al. Real-time location based augmented reality advertising platform
KR20190013357A (en) Gamified Tourtainment Service Platform
KR20190073032A (en) Method and system for crowdsourcing content based on geofencing
Robinson et al. Navigation your way: from spontaneous independent exploration to dynamic social journeys
Samsel et al. Cascading information for public transport assistance
Celino et al. Towards Talkin'Piazza: Engaging citizens through playful interaction with urban objects
KR2021012306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service of a smart tour guide
KR20200070464A (en) A user-participating travel information system
JP6778344B1 (en) User participation type game system
JP2009259135A (en) Network type real-time communication system
Sezen et al. Interactive Narrative Design for Geographically Dispersed Points of Interest
Pereira et al. Augmented reality mobile tourism application
Georgescu Paquin et al. Contributions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to cultural tourism experiences: Toward a smart destination
Cobanoglu et al. Advances in hospitality and tourism information technology
KR102127095B1 (en) The method of providing a telepathic game service
JP7484676B2 (en) Information provision system
Ho et al. BeaconPass: A Location Based APP Game for Traveler
Zhang et al. Engaging New Residents’ City Exploration Using a Gamified Location-Based Information Interactive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