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28799A - 옷걸이 이송 장치 - Google Patents

옷걸이 이송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28799A
KR20160028799A KR1020140117813A KR20140117813A KR20160028799A KR 20160028799 A KR20160028799 A KR 20160028799A KR 1020140117813 A KR1020140117813 A KR 1020140117813A KR 20140117813 A KR20140117813 A KR 20140117813A KR 20160028799 A KR20160028799 A KR 201600287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lley
unit
transfer
hanger
sl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78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12912B1 (ko
Inventor
배상훈
홍춘희
권기선
황택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178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2912B1/ko
Publication of KR201600287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87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29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29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5/00Mechanical convey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G35/06Mechanical convey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prising a load-carrier moving along a path, e.g. a closed path, and adapted to be engaged by any one of a series of traction elements spaced along the pa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29Clothes, clothes hang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in Conve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옷걸이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옷걸이를 수용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지부, 상기 지지부에 거치된 옷걸이를 이송시키는 커플러, 상기 커플러를 좌우로 이송시키는 좌우이송부, 상기 커플러를 상하로 이송시키는 상하이송부 및 상기 지지부 중 일부를 진동시키는 진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옷걸이 이송장치이다.

Description

옷걸이 이송 장치{Hanger transfer Apparatus}
본 발명은 옷걸이 이송 장치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의류처리장치는 의류가 수용되는 수용공간 내에 구비된 옷걸이에 의류를 수용시킨 후에 스팀, 건조등의 처리를 하였다.
의류가 수용되는 수용공간 내에 의류를 수용시킨 후 전술한 스팀, 건조등의 처리를 함에 있어서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었다.
즉, 불연속 적인 스팀, 건조등의 행정에 있어 사용자는 일단 의류를 의류처리장치에 수용시킨후 적어도 40분 내외의 시간을 기다려야 했었다.
본 발명은 연속적인 의류처리장치에 구비되는 옷걸이 이송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자동으로 제어되는 옷걸이 이송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옷걸이를 수용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지부, 상기 지지부에 거치된 옷걸이를 이송시키는 착탈부, 상기 커플러를 좌우로 이송시키는 제1이송부,
상기 커플러를 상하로 이송시키는 제2이송부 및 상기 지지부 중 일부를 진동시키는 가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착탈부는 상기 제1이송부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일체로서 좌우이동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착탈부는 상기 지지부에 거치된 상기 옷걸이를 파지하는 커플러, 상기 제2이송부와 상기 착탈부를 체결하여 상기 착탈부를 상하이동시키는 바디 및 상기 커플러와 상기 바디을 연결하는 연결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커플러는 내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옷걸이가 파지될 수 있게 구비되는 돌출부 및 상기 돌출부와 상기 연결바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제1이송부는 동력을 제공하는 제1모터,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풀리, 상기 제1모터의 동력을 상기 제1풀리에 전달하는 제1동력전달부, 상기 제1동력전달부에 고정되어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이송바디 및 상기 제1이송바디를 상기 제1동력전달부에 고정시키는 고정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제1이송바디는 상기 착탈부에 구비된 연결바가 삽입 가능하게 구비되는 관통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제2이송부는 동력을 제공하는 제2모터,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풀리, 상기 제2모터 및 상기 제2풀리가 지지되게 구비되는 지지프레임, 상기 제2모터의 동력을 상기 제2풀리에 전달하는 제2동력전달부, 상기 제2풀리에 전달된 회전운동을 상하운동으로 변환시키는 변환부, 상기 변환부에 의해 상하 운동되는 제2이송바디 및 상기 제2이송바디의 상하 운동을 보조하는 이송바디 가이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제2풀리는 상기 변환부방향으로 돌출되게 구비된 제2풀리 회전축을 포함하고, 상기 변환부는 상기 제2풀리 회전축에 결합되는 축결합부, 상기 제2이송바디에 구비된 바디 슬롯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바디 슬롯에 삽입되게 구비되는 슬롯결합부 및 상기 축결합부 및 상기 슬롯결합부를 연결시키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슬롯결합부는 상기 축결합부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지지프레임은 상기 제2풀리 회전축이 관통되어 구비될 수 있도록 프레임 관통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제2이송바디는 상기 착탈부를 좌우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바디지지부, 상기 바디가이더가 상기 제2이송바디를 관통 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가이더관통홀 및 상기 슬롯 결합부가 회전 가능하게 삽입 설치되어 상기 제2풀리 회전축의 회전운동을 상하운동으로 변환시키는 바디 슬롯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바디 슬롯의 길이방향의 길이는 상기 제2풀리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운동 하는 상기 슬롯 결합부 자취의 지름보다 길 긴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이송바디 가이더는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측에 구비되는 상부 플랜지, 상기 지지프레임의 하측에 구비되는 하부 플랜지, 상기 제2이송바디가 상하 운동을 할 수 있도록 상기 상부 플랜지와 상기 하부 플랜지를 연결시키도록 구비되는 가이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가진부는 동력을 제공하는 제3모터,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3풀리, 상기 제3모터의 동력을 상기 제3풀리에 전달하는 동력전달부, 상기 제3풀리에 전달된 회전운동을 좌우운동으로 변환시키는 동력변환부 및 상기 동력변환부에 의해 베이스 가이더에 대하여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되는 베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지지부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상기 베이스에 고정되게 구비되고, 상기 베이스 가이더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지지부 인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제3풀리는 상기 동력변환부방향으로 돌출되게 구비된 제3풀리 회전축을 포함하고, 상기 동력변환부는 상기 제3풀리 회전축에 결합되는 제1결합부, 상기 베이스에 구비된 베이스 슬롯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베이스 슬롯에 삽입되게 구비되는 제2결합부 및 상기 제1결합부 및 상기 제2결합부를 연결시키는 제3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결합부는 상기 제2결합부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베이스 슬롯의 길이방향의 길이는 상기 제3풀리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운동 하는 상기 제2결합부 자취의 지름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지지부는 상기 지지부를 상기 옷걸이 이송장치에 결합시키는 제1바디, 상기 옷걸이가 거치되는 제2바디 및 상기 제1바디와 상기 제2바디를 연결하는 연결바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제2바디는 상기 옷걸이가 수용될 수 있도록 오목한 형태로 구비된 수용홈 및 상기 수용홈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구비되어 상기 옷걸이가 용이하게 수용될 수 있도록 보조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경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연속적인 의류처리장치에 구비되는 옷걸이 이송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자동으로 제어되는 옷걸이 이송장치를 제공한다.
도 1은 의류처리장치 내에 옷걸이 이송부가 구비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상면부에 구비된 옷걸이 이송부(M)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제1이송부(400)와 제2이송부(500)가 착탈부(300)에 의해 결합되는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제1이송부(400)의 분해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제1이송부와 착탈부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제2이송부와 착탈부의 연결관계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이다.
도 7의 (a)는 변환부의 측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의 (b)는 변환부의 배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가진부(excitation Device)의 분해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9의 (a)는 상기 옷걸이 이송부의 이송모션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의 (b)는 지지부에 옷걸이가 거치된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의 실시 예들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 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 과장되었다.
의류처리장치 내에 구비되는 옷걸이 이송장치는 이하 옷걸이 이송부라 한다.
도 1은 의류처리장치 내에 옷걸이 이송부가 구비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에서는 옷걸이 이송부(M)가 의류처리장치의 상면부에 구비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 하였으나 본 발명인 옷걸이 이송부(M)는 의류처리장치의 상면부외에 다른곳에도 구비될 수 있다.
이하 편의상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옷걸이 이송부(M)가 의류처리장치의 상면부에 구비된 실시예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옷걸이 이송부(M)는 수용공간의 상면부에 제1이송부(400), 제2이송부(500) 및 가진부(600, excitation Device)가 구비된다.
상기 옷걸이 이송부(M)가 설치된 하면부에는 지지부(200)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지지부(200)에는 옷걸이가 거치되어 있다.
도 2는 상면부에 구비된 옷걸이 이송부(M)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에서는 지지부(200)가 공급룸지지부(201), 제1지지부(202) 및 제2 지지부(203), 즉 총 3개의 지지부(200)가 도시되어 있으나 지지부(200)의 개수는 필요에 따라 변경될 수 있으며 본 도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다만, 편의상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급룸지지부(201), 제1지지부(202) 및 제2지지부(203), 즉 총 3개의 지지부(200)로 이루어진 옷걸이 이송부(M)를 기준으로 이하 설명한다.
상기 가진부(600, excitation Device)에는 별도로 제2지지부(203)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수용공간의 상면부에는 삽입구(미도시)가 구비된다.
즉, 가진부(600, excitation Device)에 구비된 제2지지부(203)는 상기 삽입구(미도시)에 투입되어 설치된다.
또한 상기 수용공간의 하면부에는 전술한 제2지지부(203)와는 달리 고정되어 설치되는 공급룸 지지부(201) 및 제1지지부(202)가 설치되어 옷걸이가 거치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용공간의 중앙을 가로지르게 설치된 제1이송부(400)는 착탈부(300)를 좌우로 이송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제1이송부(400)의 상부면에 도시된 제2이송부(500)는 상기 착탈부(300)를 상하로 이송시키는 역할을 한다.
가진부(600, excitation Device), 제1이송부(400), 제2이송부(500)의 운동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뒤에서 설명한다.
본 옷걸이 이송부(M)는 상기 공급룸 지지부(201) 및 제1지지부(202)에 거치된 옷걸이를 상기 제1이송부(400) 및 제2이송부(500)를 이용하여 착탈부(300)를 상하, 좌우 이송시켜 공급룸 지지부(201), 제1지지부(202), 제2 지지부(203)로 이송시킨다.
도 3은 제1이송부(400)와 제2이송부(500)가 착탈부(300)에 의해 결합되는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제1이송부(400)는 착탈부(300)를 좌우로 이송시키는 장치이고, 제2이송부는 상기 착탈부(300)를 상하로 이송시키는 장치이다.
후술하겠지만 본 발명의 착탈부(300)는 제1이송부(400) 및 제2이송부(500)와 결합되어 상하, 좌우 운동을 모두 할 수 있다.
도 4는 제1이송부(400)의 분해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4에서는 좌우 운동시킬 수 있는 일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며 본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한정되지 아니하며 각 구성의 위치는 변경될 수 있다.
제1이송부(400)는 동력을 발생시키는 제1모터(410), 상기 제1모터(41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운동을 하는 제1풀리(430)가 양 끝에 구비된다. 상기 제1모터(410) 및 상기 제1풀리(430)는 제1동력전달부(420)에 의해 연결된다.
상기 제1동력전달부(420)는 상기 제1모터(410)에서 발생되는 회전력을 상기 제1풀리(430)로 전달시키는 역할을 한다. 바람직하게는 벨트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모터(410)가 회전하면, 상기 제1풀리(430)역시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있으므로 회전운동을 하게되며, 상기 제1동력전달부(420)는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된다.
상기 제1모터(410)에 입력되는 전류를 제어하면 상기 제1동력전달부(420)의 이동 방향이 반대로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제1이송바디(440)는 상기 제1동력전달부(420)와 결합되게 구비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이송바디(440)위에 상기 제1동력전달부(420)가 위치하게 되며 상기 제1동력전달부(420) 상면에 고정판(45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동력전달부(420) 상면에 구비된 고정판(450)의 모서리에는 볼트가 삽입될 수 있는 관통홀(441)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관통홀(441)에 볼트를 체결하여 상기 고정판(450), 상기 제1동력전달부(420) 및 상기 제1이송바디(440)를 일체로 체결할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관통홀(441)의 4개의 모서리에 볼트를 체결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체결수단 및 체결위치는 필요에 따라 변경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
도 5는 제1이송부와 착탈부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착탈부(300)는 상기 옷걸이가 거치되는 제1커플러(310a), 상기 제1이송부(400)와 체결되어 좌우 운동을 하게 하는 바디(320), 상기 제1커플러(310a)와 상기 바디(320)를 연결하는 연결바(330a, 330b)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커플러(310a)에 옷걸이가 거치된 후에 상기 바디(320)에 의해 제1이송부(400)와 결합되어 좌우로 이송 가능하게 된다.
상기 제1이송부(400)에는 옷걸이가 거치되는 착탈부(300)가 상기 제1동력전달부(420)와 좌우이동을 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에 착탈부(300)와 결합되는 제1이송바디(440)가 구비될 수 있다.
제1이송바디(440)와 착탈부(300)의 결합 방식은 달라질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다만 편의를 위해 본 도면을 참고하여 이하 설명한다.
상기 제1이송바디(440)와 상기 착탈부(300)의 상기 연결바(330a,330b)가 결합되기 위해서는 상기 제1이송바디(440)는 관통홀(441)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관통홀(441)에 상기 착탈부(300)의 상기 연결바(330a,330b)가 삽입 되게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이송바디(440)와 상기 착탈부(300)는 결합되어 일체로서 같은 운동을 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제1모터(410)의 회전력이 상기 제1동력전달부(420)로 전달된 후에, 상기 제1동력전달부(420)와 상기 제1이송바디(440)는 상기 고정판(450)에 의해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일체로 좌우 운동하게 된다.
나아가 상기 제1이송바디(440)와 상기 착탈부(300)는 결합되어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상기 제1동력전달부(420)의 좌우 운동에 의해 상기 착탈부(300)가 좌우 운동을 할 수 있게 된다.
도 6은 제2이송부와 착탈부의 연결관계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착탈부(300)는 제1이송부(400)와 결합되어 좌우 운동을 할 수 있게 구비된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 원하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좌우 운동 뿐만 아니라 상하 운동이 동시에 가능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상기 착탈부(300)는 상기 제1이송부(400) 뿐만 아니라 상기 제2이송부(500)에도 동시에 결합되어 상하, 좌우 운동이 모두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상하이송부는 동력을 전달하는 제2모터(510),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풀리(520), 상기 제2모터(510)의 회전력을 상기 제2풀리(520)에 전달하는 제2동력전달부(540)를 구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동력전달부는 벨트로 구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아니한다.
상기 제2모터(510) 및 상기 제2풀리(520)는 지지될 수 있도록 지지프레임(550)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풀리(520)는 제2풀리 회전축(521)을 구비하여 회전력을 후술할 변환부(530)로 전달해야 하기 때문에 지지프레임(55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된 제2풀리 회전축(521)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2풀리 회전축(521)은 상기 지지프레임(55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내측면으로 돌출 되어 있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풀리(520)는 상기 지지프레임(550)의 외측면에 구비되어 있다. 이는 상기 제2모터(510) 및 상기 제2풀리(520)와 상기 제2풀리 회전축(521)과의 간섭을 피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상기 지지프레임(550)는 상기 제2풀리 회전축이 관통되게 구비될 수 있도록 풀리 회전축 관통홀(미도시)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이송부(5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로 운동 가능한 제2이송바디(560)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풀리 회전축(521)의 회전운동을 상기 제2이송바디(560)의 상하운동으로 변환시켜 주는 변환부(53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2이송바디(560)는 상기 착탈부(300)를 지지하는 바디지지부(561), 상기 제2이송바디(560)가 상하 운동을 할 수 있도록 보조하는 가이더(573)가 관통되게 구비될 수 있도록 하는 가이더관통홀(562) 및 상기 도 7에서 자세히 후술할 변환부(530)와 결합되는 바디 슬롯(563)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바디지지부(561)는 바람직하게는 롤러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다만 필요에 따라 롤러뿐만 아니라 같은 역할을 하는 베어링 등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본 도면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상기 제2이송바디(560)의 상하 운동을 보조하는 이송바디 가이더(570)는 상기 지지프레임(550)의 상측에 구비된 상부플랜지(571), 상기 지지프레임(550)의 하측에 구비된 하부플랜지(572) 및 상기 상부플랜지(571)에서부터 상기 제2이송바디(560)의 가이더관통홀(562)을 지나 상기 하부플랜지(572)까지 이어지는 바 형상의 가이더(573)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이송바디 가이더(570)의 형상 역시 필요에 따라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도면에 나타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이하 상기 구성요소를 구비한 상기 제2이송부(500)의 운동방식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제2모터(510)가 동력을 발생 시키면 상기 제2동력전달부(540)에 의하여 상기 제2풀리(520)에 동력이 전달된다. 상기 제2풀리(520)는 회전 운동을 하게되고 상기 제2풀리(520)의 회전운동은 도 7에서 자세히 후술할 변환부(530)에 의해 상기 제2이송바디(560)의 상하운동으로 변환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이송바디 가이더(570)가 구비되는데, 상기 상부플랜지(571) 및 상기 하부플랜지(572) 사이에 구비된 가이더(573)가 상기 제2이송바디(560)에 구비된 가이더관통홀(562)을 관통하게 구비되어 상기 제2이송바디(560)의 상하운동을 보조한다.
상기 착탈부(300)는 상기 제2이송바디(560)에 구비된 상기 바디지지부(561)에 결합 될 수 있도록 절곡홈(322)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전술한 상기 절곡홈(322)이 상기 바디지지부(561)를 둘러싸게 구비될 수 있다.
결론적으로 상기 착탈부(300)는 상기 제2이송부(500)의 상기 바디지지부(561)에 의해 상하 운동 할 수 있게 구비되며, 동시에 상기 제1이송부(400)에 의해 좌우 이동을 할 수 있게 구비될 수 있다.
도 7의 (a)는 변환부의 측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변환부(530)는 상기 제2풀리(520)의 회전운동을 상기 제2이송바디(560)의 상하 운동으로 변환시켜 주는 구성이다.
상기 도 7의 (a)를 참고하면 상기 변환부(530)는 상기 제2풀리(520)와 결합되어 상기 제2풀리(520)와 함께 회전운동을 하는 축결합부(531), 상기 제2이송바디(560)의 후면부에 형성되며 상기 바디 슬롯(563)에 삽입되게 설치되는 슬롯결합부(532) 및 상기 축결합부(531)와 상기 슬롯 결합부(532)를 연결하는 연결부(533)을 구비할 수 있다.
도 7의 (b)는 변환부의 배면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도 7의 (b)를 참고하면, 상기 제2풀리 회전축(521)과 결합된 상기 축결합부(531)는 회전운동을 하게 되며, 상기 슬롯 결합부(532)는 상기 제2풀리 회전축(521)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게 구비되어 L3를 지름으로 하는 원궤적을 그리며 원운동을 하게 된다.
상기 제2이송바디(560)의 후면에 구비된 바디 슬롯(563)은 길이방향으로 L4의 길이를 가지고 있다.
여기에서 상기 변환부(530)에 의해 회전운동을 상하운동으로 변환시키기 위해서 L4의 길이는 L3의 길이보다 길게 구비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이송부(400), 제2이송부(500), 가진부(600, excitation Device)는 모터와 풀리로 이루어지는 간접구동방식으로 구비된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필요에 따라 직접구동(Direct Driving)방식으로 구비될 수 도 있으며 본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 8은 가진부(excitation Device)의 분해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가진부(600, excitation Device)는 동력을 제공하는 제3모터(610),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3풀리(620), 상기 제3풀리(620)의 회전중심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되게 구비되는 제3풀리 회전축(621), 상기 제3모터(610)의 동력을 상기 제3풀리(620)로 전달하는 동력전달부(640) 및 상기 제3풀리 회전축(621)에 구비되며 회전운동을 좌우운동으로 변환시켜주는 동력변환부(63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동력변환부(630)에 의해 좌우운동으로 변환된 동력을 전달받는 베이스(24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240)는 상기 동력변환부(630)와 결합되는 베이스 슬롯(250)이 더 구비될 수있으며, 상기 베이스(240)의 좌우운동을 보조하는 베이스 가이더(260)가 상기 베이스(240)의 하부면에 구비될 수 있다.
나아가 베이스(240)에 제2지지부(203)가 일체적으로 결합되어 상기 베이스(240)와 상기 제2지지부(203)가 일체적으로 좌우운동 할 수 있게 구비된다.
상기 베이스(240)는 상기 베이스 가이더(260)와 결합되는 부분에 돌기수용부(241)를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베이스 가이더(260)는 상기 베이스(240)의 하부면에 구비된 돌기수용부(241)에 대응되는 되는 형상으로 돌기(261)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돌기(261)와 돌기수용부(241)의 형상은 필요에 따라 다르게 구비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상기 베이스(240)와 상기 베이스 가이더(260)의 응력을 최적으로 분해하여 안정성 있게 좌우 진동 모션을 하기 위하여 상기 돌기(261) 및 상기 돌기수용부(241)의 형상이 결정될 수 있다.
여기에서 제2지지부(203)는 전술한 공급룸 지지부(201) 및 제1지지부(202)와 달리 상기 베이스(240)에 고정되게 구비되며 좌우운동을 하여 상기 제2지지부(203)에 거치된 의류를 진동시켜 리프레쉬 효율을 높여주는 효과가 있다.
자세하게 가진부(600, excitation Device)의 동력변환에 대하여 설명하자면, 제3모터(610)에 의해 발생된 동력은 상기 제3풀리(620)를 회전운동 시킨다.
전술한 제2이송부(500)와 같은 원리로 상기 가진부(600, excitation Device)에 구비된 동력변환부(630)는 상기 제3풀리(620)의 회전운동을 상기 베이스(240)의 좌우진동운동으로 변환 시킬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동력변환부(630)는 상기 제3풀리 회전축(621)에 결합되며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결합부(631), 상기 베이스(240)에 구비된 베이스 슬롯(250)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어 구비되는 제2결합부(632), 상기 제1결합부(631) 및 상기 제2결합부(632)를 연결하는 제3결합부(633)를 구비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상기 동력변환부(630)의 상기 제2결합부(632)는 상기 제1결합부(631)를 원의 중심으로 하여 지름이 L1인 원의 궤적을 그리며 원운동을 하게 된다.
상기 베이스 슬롯(250)에 결합된 제2결합부(632)가 상기 베이스 슬롯(250)내에서 슬라이딩 모션을 하여 상기 베이스(240)를 좌우진동시키는 운동을 하게 된다.
이를 위해서는 상기 제2결합부(632)의 원궤적의 지름인 L1 보다, 상기 베이스 슬롯(250)의 길이방향의 길이인 L2가 더 길어야 한다.
따라서 상기 가진부(600, excitation Device)에 거치된 옷걸이는 상기 베이스(240)와 결합되어 있어 상기 베이스(240)와 같은 운동을 하기 때문에 상기 베이스(240)의 진동모션이 그대로 전달된다.
상기 제2지지부(203)는 상기 수용공간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구비되는 제1바디(210), 상기 옷걸이가 거치되며 상기 수용공간을 향하여 돌출되게 구비되는 제2바디(220) 및 상기 제1바디(210)와 상기 제2바디(220)를 연결하는 연결바디(230)를 구비할 수 있다.
이하 설명할 가진부(600, excitation Device)의 구성은 상기 제2지지부(203) 뿐만 아니라 고정되게 구비되는 상기 공급룸 지지부(201) 및 제1지지부(202)에도 적용 가능하다.
상기 제2바디(220)는 옷걸이가 거치될 수 있도록 오목하게 형성된 수용홈(221) 및 옷걸이가 상기 수용홈으로 용이하게 거치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제1경사부(222) 및 제2경사부(223)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경사부(222) 및 상기 제2경사부(223)는 상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용홈(221)을 향하여 기울어지며 대칭을 이루게 구비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지지부(200)의 형상은 필요에 따라 달리 적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아니한다.
도 9의 (a)는 상기 옷걸이 이송부의 이송모션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옷걸이 이송장치는 전술한 바와 같이 연속적으로 의류를 스타일링 하기 위한 장치이다.
상기 수용공간의 상면에서 아래방향으로 돌출되게 구비된 공급룸 지지부(201), 제1지지부(202), 제2지지부(203)가 구비된다.
상기 공급룸 지지부(201), 제1지지부(202), 제2지지부(203)는 의류가 걸린 옷걸이가 거치될 수 있다.
처음에 사용자가 공급룸 지지부(201) 및 제1지지부(202)에 의류가 걸린 옷걸이를 거치한다. 이 경우 제1커플러(310a) 및 제2커플러(310b)는 각각 A, G 영역에 위치된다. 이 위치를 이하 초기위치라고 한다.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상기 제1커플러(301a) 및 제2커플러(310b)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는 광센서로 구비될 수도 있으나, 상기 센서의 위치 및 종류는 한정되지 아니하고 필요에 따라 적당한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커플러(310a) 및 제2커플러(310b)는 상기 착탈부(300)에 일정간격 이격되게 일체로 구비되어 있는바 편의상 상기 제1커플러(310a)의 모션만 이하 설명한다.
사용자가 의류를 상기 지지부(200)에 거치한 후 작동을 시작하면, 상기 제1커플러(310a)는 초기위치에서 B->C->D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제1커플러(310a)가 상기 D위치에 위치할 때, 상기 옷걸이가 상기 공급룸 지지부(201)로부터 분리된다.
이후 상기 제1커플러(310a)는 E위치로 이동한 후 F위치로 내려가면서 상기 제1지지부(202)에 상기 공급룸 지지부(201)에 거치되어 있던 옷걸이를 거치시킨다.
이후 상기 제1커플러(310a)는 B를 거쳐 A로 다시 이동하게 되어 초기위치로 돌아오게 된다.
상기 제2커플러(310b) 역시 전술한 상기 제1커플러(310a)와 같은 모션을 취한다.
요약하건대, 상기 제1커플러(310a)는 항상 상기 공급룸 지지부(201)에 거치된 옷걸이를 상기 제1지지부(202)로 이송시키는 역할을 하고, 상기 제2커플러(310b)는 항상 상기 제1지지부(202)에 거치된 옷걸이를 상기 제2지지부(203)로 이송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도 9의 (b)는 지지부에 옷걸이가 거치된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옷걸이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커플러(310a) 및 상기 제2커플러(310b)에 의해 상하, 좌우이송 되는바 커플러(310a, 310b)에 걸릴 수 있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커플러(310a, 310b)는 내측으로 돌출되게 구비된 한 쌍의 돌출부(313)가 있으며, 상기 옷걸이 역시 돌출부(313)에 거치될 수 있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다만, 도 9의 (b)및 전술한 상기 옷걸이 및 상기 커플러의 형상은 필요에 따라 변형될 수 있으며 이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한정되지 아니한다.
지지부: 200 착탈부: 300 제1이송부: 400
제2이송부: 500 가진부: 600 공급룸지지부: 201
제1지지부: 202 제2지지부: 203 제1커플러: 310a
제2커플러: 310b

Claims (17)

  1. 옷걸이를 수용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지부;
    상기 지지부에 거치된 옷걸이를 이송시키는 착탈부;
    상기 커플러를 좌우로 이송시키는 제1이송부;
    상기 커플러를 상하로 이송시키는 제2이송부; 및
    상기 지지부 중 일부를 진동시키는 가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옷걸이 이송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부는 상기 제1이송부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일체로서 좌우이동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옷걸이 이송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부는,
    상기 지지부에 거치된 상기 옷걸이를 파지하는 커플러;
    상기 제2이송부와 상기 착탈부를 체결하여 상기 착탈부를 상하이동시키는 바디; 및
    상기 커플러와 상기 바디을 연결하는 연결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옷걸이 이송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러는,
    내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옷걸이가 파지될 수 있게 구비되는 돌출부; 및 상기 돌출부와 상기 연결바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옷걸이 이송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이송부는,
    동력을 제공하는 제1모터;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풀리;
    상기 제1모터의 동력을 상기 제1풀리에 전달하는 제1동력전달부;
    상기 제1동력전달부에 고정되어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이송바디;및 상기 제1이송바디를 상기 제1동력전달부에 고정시키는 고정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옷걸이 이송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이송바디는 상기 착탈부에 구비된 연결바가 삽입 가능하게 구비되는 관통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옷걸이 이송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이동부는,
    동력을 제공하는 제2모터;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풀리;
    상기 제2모터 및 상기 제2풀리가 지지되게 구비되는 지지프레임;
    상기 제2모터의 동력을 상기 제2풀리에 전달하는 제2동력전달부;
    상기 제2풀리에 전달된 회전운동을 상하운동으로 변환시키는 변환부;
    상기 변환부에 의해 상하 운동되는 제2이송바디; 및
    상기 제2이송바디의 상하 운동을 보조하는 이송바디 가이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옷걸이 이송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풀리는 상기 변환부방향으로 돌출되게 구비된 제2풀리 회전축을 포함하고,
    상기 변환부는,
    상기 제2풀리 회전축에 결합되는 축결합부;
    상기 제2이송바디에 구비된 바디 슬롯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바디 슬롯에 삽입되게 구비되는 슬롯결합부; 및
    상기 축결합부 및 상기 슬롯결합부를 연결시키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슬롯결합부는 상기 축결합부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옷걸이 이송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은 상기 제2풀리 회전축이 관통되어 구비될 수 있도록 프레임 관통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옷걸이 이송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이송바디는,
    상기 착탈부를 좌우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바디지지부;
    상기 바디가이더가 상기 제2이송바디를 관통 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가이더관통홀; 및 상기 슬롯 결합부가 회전 가능하게 삽입 설치되어 상기 제2풀리 회전축의 회전운동을 상하운동으로 변환시키는 바디 슬롯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옷걸이 이송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 슬롯의 길이방향의 길이는 상기 제2풀리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운동 하는 상기 슬롯 결합부 자취의 지름보다 길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옷걸이 이송장치.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바디 가이더는,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측에 구비되는 상부 플랜지;
    상기 지지프레임의 하측에 구비되는 하부 플랜지;
    상기 제2이송바디가 상하 운동을 할 수 있도록 상기 상부 플랜지와 상기 하부 플랜지를 연결시키도록 구비되는 가이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옷걸이 이송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진부는,
    동력을 제공하는 제3모터;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3풀리;
    상기 제3모터의 동력을 상기 제3풀리에 전달하는 동력전달부;
    상기 제3풀리에 전달된 회전운동을 좌우운동으로 변환시키는 동력변환부; 및
    상기 동력변환부에 의해 베이스 가이더에 대하여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되는 베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지지부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상기 베이스에 고정되게 구비되고, 상기 베이스 가이더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지지부 인것을 특징으로 하는 옷걸이 이송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3풀리는 상기 동력변환부방향으로 돌출되게 구비된 제3풀리 회전축을 포함하고,
    상기 동력변환부는,
    상기 제3풀리 회전축에 결합되는 제1결합부;
    상기 베이스에 구비된 베이스 슬롯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베이스 슬롯에 삽입되게 구비되는 제2결합부; 및
    상기 제1결합부 및 상기 제2결합부를 연결시키는 제3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결합부는 상기 제2결합부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옷걸이 이송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슬롯의 길이방향의 길이는 상기 제3풀리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운동 하는 상기 제2결합부 자취의 지름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옷걸이 이송장치.
  16. 제1항 내지 15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지지부를 상기 옷걸이 이송장치에 결합시키는 제1바디;
    상기 옷걸이가 거치되는 제2바디; 및
    상기 제1바디와 상기 제2바디를 연결하는 연결바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옷걸이 이송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바디는,
    상기 옷걸이가 수용될 수 있도록 오목한 형태로 구비된 수용홈; 및
    상기 수용홈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구비되어 상기 옷걸이가 용이하게 수용될 수 있도록 보조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경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옷걸이 이송장치.
KR1020140117813A 2014-09-04 2014-09-04 옷걸이 이송 장치 KR1017129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7813A KR101712912B1 (ko) 2014-09-04 2014-09-04 옷걸이 이송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7813A KR101712912B1 (ko) 2014-09-04 2014-09-04 옷걸이 이송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8799A true KR20160028799A (ko) 2016-03-14
KR101712912B1 KR101712912B1 (ko) 2017-03-07

Family

ID=555415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7813A KR101712912B1 (ko) 2014-09-04 2014-09-04 옷걸이 이송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291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8962A (ko) * 2018-11-20 2020-05-28 송현승 의류 관리기
WO2021235628A1 (ko) * 2020-05-21 2021-11-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WO2023101405A1 (en) * 2021-11-30 2023-06-08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ment apparatu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22400A (ja) * 1995-11-02 1997-05-13 Fuji Car Mfg Co Ltd ハンガ供給装置
KR0137639B1 (ko) * 1992-06-04 1998-06-15 코오노 미찌아끼 린네르 반송용 컨베이어
JP2006136526A (ja) * 2004-11-12 2006-06-01 Akiyama Techno:Kk 自動クリーニング装置
JP2011115554A (ja) * 2010-07-27 2011-06-16 Akiyama Techno:Kk クリーニング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7639B1 (ko) * 1992-06-04 1998-06-15 코오노 미찌아끼 린네르 반송용 컨베이어
JPH09122400A (ja) * 1995-11-02 1997-05-13 Fuji Car Mfg Co Ltd ハンガ供給装置
JP2006136526A (ja) * 2004-11-12 2006-06-01 Akiyama Techno:Kk 自動クリーニング装置
JP2011115554A (ja) * 2010-07-27 2011-06-16 Akiyama Techno:Kk クリーニング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8962A (ko) * 2018-11-20 2020-05-28 송현승 의류 관리기
WO2021235628A1 (ko) * 2020-05-21 2021-11-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WO2023101405A1 (en) * 2021-11-30 2023-06-08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12912B1 (ko) 2017-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12912B1 (ko) 옷걸이 이송 장치
KR101014346B1 (ko) 뱀형 로봇
JP3833972B2 (ja) ワイヤハーネスの組立システム
KR101230433B1 (ko) 전기도금설비의 지그 스윙장치
JP2017503666A5 (ko)
KR20130002131U (ko) 필름 권취 및 권출 장치
KR20160028798A (ko)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CN205367280U (zh) 展布机送布机械手装置
CN106702657B (zh) 滚筒洗衣机
CN103316549B (zh) 除尘装置
CN105540161A (zh) 一种高效物料振动装置
KR101913756B1 (ko) 레일에의 탈부착이 용이한 레일 주행 장치
KR100779710B1 (ko) 편차 자동 보상장치를 구비하는 폭가변식 통스 크레인 및그 편차 자동 보상장치
KR101247765B1 (ko) 이동 장치
EP2722139A2 (en) Apparatus equipped with phase maintenance means
JP6377969B2 (ja) 織機の筬打ち装置
JP2018047496A (ja) 板材送り装置
JP4746589B2 (ja) コンテナ用混合機
JP6294059B2 (ja) ウインチの遠隔操作構造
KR20180008011A (ko) 옷 정렬기를 갖는 옷걸이 대
JP5126053B2 (ja) 振動溶着装置
CN211026097U (zh) 一种实验室用试剂摇晃装置
KR20160049403A (ko) 자동이송용 세탁물 공급장치
JP2012187684A (ja) 止めねじ供給装置、及び止めねじ締結装置
KR101593478B1 (ko) 드럼 세탁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