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28666A - 차량의 김서림 방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김서림 방지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의 김서림 방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김서림 방지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28666A
KR20160028666A KR1020140117429A KR20140117429A KR20160028666A KR 20160028666 A KR20160028666 A KR 20160028666A KR 1020140117429 A KR1020140117429 A KR 1020140117429A KR 20140117429 A KR20140117429 A KR 20140117429A KR 20160028666 A KR20160028666 A KR 201600286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umidity
outdoor
temperature
reference value
in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74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도현
Original Assignee
유도현
신안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도현, 신안산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유도현
Priority to KR10201401174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28666A/ko
Publication of KR201600286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866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1/3204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 B60H1/3205Control means therefor
    • B60H1/3207Control means therefor for minimizing the humidity of the 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735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 B60H1/00785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by the detection of humidity or fros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735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 B60H1/00807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the input being a specific way of measuring or calculating an air or coolant tempera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54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using gas, e.g. hot ai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유리창의 김서림 방지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김서림 방지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자동차의 실내 및 실외온도와 실내 및 실외의 습도를 각각 측정하기 위한 센서유니트와; 상기 센서유니트에 의해 측정된 실내외의 온도 및 실내외의 습도를 비교하고, 외기온도기준의 내기상대습도 및 내기온도기준의 외기상대습도를 산출하는 비교모듈과 상기 비교모듈에 연결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는 제어유니트; 그리고 상기 제어유니트에 의해 제어되고 히터, 에어컨, 와이퍼 또는 댐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작동시키기 위한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구동유니트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어유니트는, 실내외온 온도의 비교값 그리고 산출된 내기상대습도 및 외기상대습도를 기준으로 컨트롤러를 구동시켜 차량의 김서림을 방지 또는 제거한다.

Description

차량의 김서림 방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김서림 방지방법{Anti-fogging system for wind-shield glass of automobile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자동차 유리창의 김서림 방지시스템 및 방지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공조장치를 이용하여 자동차 유리창의 김서림을 자동으로 방지 또는 제거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절기나 동절기에 차량의 실내외의 온도차가 큰 경우에 자동차의 유리창에 김서림이 발생하게 된다. 이는 상대적으로 온도가 높은 곳의 공기(차량의 내부(겨울철) 또는 차량의 외부(여름철))가 상대적으로 온도가 낮은 유리창의 표면에 닿는 순간 이슬점에 도달하여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김서림은 운전자의 시야를 방해하여 운전시 매우 위함할 뿐 아니라, 차량의 시동 후에 이러한 김서림을 제거하기 위한 시간이 필요하게 되는 등 불편함을 유발하게 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한국공개특허 제10-2013-0120140호에서는 온도차이를 감지하여 자동으로 공조기를 운용하여 김서림을 방지하는 기술이 개시된 바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선행기술에서는, 측정된 온도차이에 따라 김서림 발생유무를 판단하므로 김서림 발생에 대한 정확한 측정 및 제거가 이루어지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3-0120140호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자동제어를 통해 자동차 유리창의 김서림이 방지 또는 제거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대습도값을 이용하여 김서림 방생의 유무의 측정이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자동차의 실내 및 실외온도와 실내 및 실외의 습도를 각각 측정하기 위한 센서유니트와; 상기 센서유니트에 의해 측정된 실내외의 온도 및 실내외의 습도를 비교하고, 외기온도기준의 내기상대습도 및 내기온도기준의 외기상대습도를 산출하는 비교모듈과 상기 비교모듈에 연결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는 제어유니트; 그리고 상기 제어유니트에 의해 제어되고 히터, 에어컨, 와이퍼 또는 댐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작동시키기 위한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구동유니트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어유니트는, 실내외온 온도의 비교값 그리고 산출된 내기상대습도 및 외기상대습도를 기준으로 컨트롤러를 구동시켜 차량의 김서림을 방지 또는 제거한다.
그리고 상기 센서유니트는, 실내온도센서와 실내습도센서가 포함되어 구성되고, 상기 실내온도센서와 실내습도센서는 자동차 전면유리창의 좌측하단에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어유니트는, 상기 비교모듈에 의해 산출된 실내온도가 실외온도보다 높고, 상기 내기상대습도가 기준치 이상으로 높으며, 차량 내부의 습도가 기준치 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컨트롤러에 의해 에어컨이 구동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비교모듈에 의해 산출된 실외온도가 실내온도보다 높고, 상기 외기상대습도가 기준치 이상으로 높으며, 차량 외부의 습도가 기준치 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컨트롤러에 의해 와이퍼가 구동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유니트는, 상기 비교모듈에 의해 산출된 실내온도가 실외온도보다 높고, 상기 내기상대습도가 기준치 이상으로 높으며, 차량 내부의 습도가 기준치 이하인 경우에는 상기 컨트롤러에 의해 히터 또는 블로워가 구동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비교모듈에 의해 산출된 실외온도가 실내온도보다 높고, 상기 외기상대습도가 기준치 이상으로 높으며, 차량 외부의 습도가 기준치 이하인 경우에는 상기 컨트롤러에 의해 에어컨 또는 블로워가 구동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어유니트는, 상기 비교모듈에 의해 외기상대습도 또는 내기상대습도가 각각 설정된 기준치 이하인 경우, 상기 구동유니트의 댐퍼구동모듈을 통해 외기 또는 내기를 차량 내부로 토출시키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유니트에는 데이터저장부가 구비되어 제어유니트의 제어모듈에 의해 제어된 기록이 저장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어유니트에는 댐핑모듈이 구비되고, 상기 댐핑모듈은 상기 에어컨의 온오프가 일정시간 내에 반복될 경우에 상기 에어컨구동모듈의 압축기의 구동시간이 설정시간 이상이 될 때까지 구동시킨 후에 정지시킬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차량의 김서림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자동차의 실내 및 실외온도와 실내 및 실외의 습도를 각각 측정하는 측정단계와; 상기 측정된 실내외의 온도를 비교하고, 외기온도기준의 내기상대습도 및 내기온도기준의 외기상대습도를 산출하는 비교단계와; 상기 비교모듈에 의해 산출된 실내온도가 실외온도보다 높고, 상기 내기상대습도가 기준치 이상으로 높으며, 차량 내부의 습도가 기준치 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컨트롤러에 의해 에어컨이 구동되도록 제어하는 단계와; 상기 비교모듈에 의해 산출된 실내온도가 실외온도보다 높고, 상기 내기상대습도가 기준치 이상으로 높으며, 차량 내부의 습도가 기준치 이하인 경우에는 상기 컨트롤러에 의해 히터 또는 블로워가 구동되도록 제어하는 단계와; 상기 비교모듈에 의해 산출된 실외온도가 실내온도보다 높고, 상기 외기상대습도가 기준치 이상으로 높으며, 차량 외부의 습도가 기준치 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컨트롤러에 의해 와이퍼가 구동되도록 제어하는 단계와; 상기 비교모듈에 의해 산출된 실외온도가 실내온도보다 높고, 상기 외기상대습도가 기준치 이상으로 높으며, 차량 외부의 습도가 기준치 이하인 경우에는 상기 컨트롤러에 의해 에어컨 또는 블로워가 구동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비교모듈에 의해 외기상대습도 또는 내기상대습도가 각각 설정된 기준치 이하인 경우, 상기 구동유니트의 댐퍼구동모듈을 통해 외기 또는 내기를 차량 내부로 토출시키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수행되는 차량 김서림 방지방법을 포함한다.
그리고 에어컨이 작동되면 상기 에어컨의 온오프가 일정시간 내에 반복될 경우에 상기 에어컨에 연결되는 압축기의 구동시간이 설정시간 이상이 될 때까지 구동시킨 후에 정지시키는 댐핑단계가 추가될 수도 있다.
위에서 살핀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 유리창의 김서림 방지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김서림 방지방법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운전자가 수작업으로 에어컨이나 히터를 작동시킬 필요없이 자동제어에 의해 유리창의 김서림이 방지 또는 제거되므로, 차량운전에 있어 안정성이 향상되고 운전자 편의성이 좋아지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다양한 환경에서 에어컨이나 히터, 또는 와이퍼 작동과 같은 가장 적절한 방식으로 김서림을 방지하게 되므로, 김서림 방지 또는 제거 효과가 좋아지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습도 및 온도센서가 실험에 의한 최적의 위치에 설치됨으로써 습도 및 온도의 측정이 정확하게 이루어지게 되고, 이는 효과적인 김서림 방지/제거로 이어져 효율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댐핑모듈이 구비되어, 잦은 에어컨의 온오프에 따른 압축기 구동 및 정지의 빠른 변화에 의해 발생되는 차량 토크의 불안정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자동차 실내외의 온도차 및 습도를 파악하여, 자동차 유리창의 김서림 확률이 낮은 경우에는 냉방 및 난방이 적절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차량 내부의 쾌적성이 향상되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차량 김서림 방지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센서유니트가 설치될 차량의 앞유리의 모습을 보인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차량 김서림 방지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순서도.
도 4는 도 3의 실시예에 추가되는 비교단계의 구성을 보인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댐핑단계의 구성을 보인 순서도.
이하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차량의 김서림 방지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김서림 방지방법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는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차량 김서림 방지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인 블록도이다.
이에 보듯이, 자동차 유리창의 김서림 방지시스템는 크게 센서유니트(100)와 제어유니트(200) 그리고 구동유니트(300)로 구성되는데, 이하에서 순서대로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센서유니트(100)는 자동차 실내외의 온도 및 습도를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 실내온도센서(110)와 실외온도센서(120) 그리고 실내습도센서(130)를 포함한다. 물론,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실외습도센서도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실내온도센서(110)와 실외온도센서(120)는 각각 자동차의 실내외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전자식 온도계로 구성된다.
상기 실내습도센서(130)는 상기 자동차의 실내습도를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실내온도센서(110)와 함께 자동차 실내의 상태를 측정하여 아래에서 설명될 제어유니트(200)에 이를 전달함으로써, 구동유니트(300)가 적절하게 작동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실내습도센서(130)는 출력전압값을 측정하는 전자식으로 구성된다.
상기 실내습도센서(130)는 그 설치위치가 적절하게 결정되어야 하는데, 이는 상기 실내습도센서(130)의 설치위치에 따라 측정되는 습도가 달라지게 되어 제어유니트(200)의 제어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실내습도센서(130)는 유리창에 인접한 위치에 설치된다. 이는 김서림이 발생되는 유리창에 인접하게 설치됨으로써, 유리창 주변의 습도가 보다 직접적으로 측정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하에서는 실험을 통하여 이러한 실내습도센서(130)의 적절한 설치위치를 결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2에는 차량 앞유리창에서 실내습도센서(130)가 설치될 위치가 부호 ①~⑥으로 도시되어 있다. 즉, 도 2에는 앞유리창의 상단 좌측, 중앙, 우측, 하단 좌측, 중앙 및 우측이 각각 도면부호 ①~⑥으로 표시되어 있다.
이때, 실험은 각각의 위치에 실내습도센서(130)를 부착한 상태에서, 김서림을 임의로 발생시킨 후에 구동유니트(300)를 작동시켜 시간 경과에 따른 습도를 측정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아래 그래프 1은 앞유리창의 상단 좌측, 즉 도 2의 ①위치에 실내습도센서(130)가 설치된 경우를 나타낸다. 이때, 1~1', 2~2' 등은 각각 다른 조건으로 구동유니트(300)를 작동시켜 김서림을 제거하는 과정을 나타내는데, 여기서 다른 조건이란 에어컨이나 히터 등의 작동온도나 풍량을 달리한 것을 의미한다.
Figure pat00001
그리고, 아래 그래프 4는 앞유리창의 하단 중앙, 즉 도 2의 ④위치에 실내습도센서(130)가 설치된 경우를 나타낸다. 이때 실험방식은 상기한 그래프 1의 경우와 동일하게 이루어졌다.
아래 표 1은 앞유리창의 각 위치에서 실험을 실시한 결과를 취합한 것이다. 보다 정확하게는, 표 1의 각 수치는 실내습도센서(130)로부터 측정된 구동유니트(300)의 작동 전후의 상대습도값의 차이를 나타내고 있다. 이는 수치가 클수록 김서림이 상대적으로 많이 제거되었음을 의미한다. (단위: %RH )
측정시점 11-1 22-1 33-1 44-1
상대습도값
차이
아래-왼쪽 23 25 26 28
아래-가운데 27 27 15 17
아래-오른쪽 13 21 15 20
아래 평균 21 24 18 21
위-왼쪽 10 14 5 12
위-가운데 18 21 15 18
위-오른쪽 15 21 15 17
위 평균 14 18 11 15
백미러 뒤 17 21 18 22
전체 평균 17 21 15 19
표 1에서 보듯이, 평균적으로 앞유리창의 좌측 아래에 실내습도센서(130)가 설치된 경우에 습도차이가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앞유리창의 좌측 아래에서 습도변화가 심한 것을 의미하고, 이는 앞유리창의 좌측 아래 부분에서 김서림이 보다 많이 발생됨을 나타낸다. 이는 운전자의 체온 등이 앞유리창의 습도에 영향을 준 것으로 예상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실내습도센서(130)는 앞유리창의 하단 좌측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실내온도 역시 습도와 같은 위치에서 측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본 실시예에서는 실내온도센서(110) 역시 차량의 하단 좌측에 설치된다.
다음으로, 제어유니트(200)에 대해 설명하면, 제어유니트(200)는 자동차의 김서림 방지시스템가 적절하게 구동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제어모듈(220)과 비교모듈(210) 그리고 데이터저장부(230)로 구성된다.
상기 비교모듈(210)은 상기 센서유니트(100)와 연결되어, 센서유니트(100)의 신호를 받아 이를 비교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비교모듈(210)은 실내외의 온도차 및 실내외의 습도차를 계산하고, 이를 제어모듈(220)에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어모듈(220)은 이러한 온도차 및 습도차를 통하여 가장 적절한 구동유니트(300)의 구동방식을 결정하여, 이를 통해 구동유니트(300)를 제어하게 된다. 상기 제어모듈(220)에 의한 제어는 아래에서 다시 자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한편, 상기 데이터저장부(230)는 상기 비교모듈(210)의 비교값과 이에 따른 제어모듈(220)에 의한 제어를 저장하고, 운전자의 선택이나 자동선택을 통해 동일한 방식의 구동유니트(300) 제어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즉, 운전자는 가장 효율적이었다고 생각되는 경우에 이를 저장하여, 차후에 이를 불러내어 동일한 제어를 할 수 있는 것이다.
다음으로 구동유니트(300)에 대해 설명하면, 상기 구동유니트(300)는 실질적으로 김서림을 방지/제거하는 역할을 하는 부분으로, 입력부(310)가 구비되어 상기 제어유니트(200)의 신호를 받게 된다.
상기 입력부(310)에는 컨트롤러(320)가 연결되는데, 상기 컨트롤러(320)는 후술할 히터구동모듈(330), 에어컨구동모듈(340), 와이퍼구동모듈(350) 및 댐퍼구동모듈(360) 등을 조작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히터구동모듈(330)과 에어컨구동모듈(340)은 모두 자동차의 공조장치에 포함되는 것으로, 각각 상황에 맞도록 작동하여 김서림을 방지/제거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와이퍼구동모듈(350)은 유리창의 외면에 김서림이 발생된 경우에 이를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 이는 차량 외부의 온도가 내부의 온도보다 높은 경우에 작동하게 된다.
상기 댐퍼구동모듈(360)은 실내외의 온도차가 심하지 않은 경우에 자동차의 내기 또는 외기를 디프로스트 벤트를 통해 실내로 토출시켜 김서림을 방지/제거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공조장치 내부에서 내기 또는 외기의 흐름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차량 김서림 방지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3에서 보듯이, 센서유니트(100)에 의해 실내외의 온도 및 습도가 측정된다.(측정단계,P1) 그리고 이와 같이 측정된 값은 제어유니트(200)의 비교모듈(210)로 전달된다.
상기 비교모듈(210)에 의해 실내온도와 실외온도가 비교되고(비교단계, P2), 그 결과 실내온도가 더 높다면(예를 들어 겨울철), 유리창의 내면에 김서림이 발생될 확률이 높다.
이 경우에는 내기상대습도를 계산하여, 그 값이 기준치(A1)보다 높은지를 판단한다(P3). 이때, 상기 내기상대습도란 외기온도를 기준으로하는 내기습도의 상대습도를 말하는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외기온도에서의 포화습도대비 내기의 절대습도를 의미한다. 그 결과 내기상대습도가 기준치보다 높다면, 다시 실내습도가 기준치(B1)보다 높은지를 판단(P4)하여 높다면 이를 컨트롤러(320)에 전달하여 에어컨이 구동되도록 한다.
즉, 내기상대습도 및 내기의 절대습도가 모두 일정 이상일 경우에는 김서림이 발생될 확률이 높으므로, 에어컨을 구동하여 실내외의 온도차를 줄여 김서림을 줄여주게 되는 것이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 내기상대습되의 기준치는 100~120% 내외에서 설정되고, 실내습도는 70% 내외에서 설정된다(제1구동단계).
한편, 내기상대습도는 기준치 이상(최저치 이상)이나 실내습도는 기준치 이하인 경우에는 히터를 구동할 수도 있는데, 이 경우에는 김서림이 발생될 확률이 있으나 그 가능성이 낮고, 발생하여도 심하지 않으므로, 자동차 실내의 난방을 위해 히터구동모듈(330)을 작동시키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내기상대습도가 기준치 이하(최저치 이상)인 경우에는, 블로워와 댐퍼구동모듈(360)을 작동시켜, 외기를 흡입한다. 이는 실내외의 온도차가 심하지 않은 경우에는 실내의 난방이나 냉방의 필요성이 작으므로, 에어컨이나 히터의 작동없이 실외의 공기를 흡입하여 실내의 온도가 실외와 비슷해지도록 하여 김서림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제2구동단계) 한편, 내기 및 외기의 온도차가 최저치 이하인 경우에는 별도의 히터구동없이 종료될 수 있다.
다시 실내외의 온도비교로 돌아가면, 만약 실외의 온도가 더 높은 경우(예를 들어 여름철)에는 역시 외기상대습도를 계산하여, 그 값이 기준치(A2)보다 높은지를 판단한다(P5). 이때, 상기 외기상대습도란 내기온도를 기준으로하는 외기습도의 상대습도를 말하는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내기온도에서의 포화습도대비 외기의 절대습도를 의미한다. 그 결과 외기상대습도가 기준치보다 높다면, 다시 외부습도를 외부습도센서로 측정하여 그 값이 기준치(B2) 이상인지 비교한다(P6).
만약, 상기 외부습도가 기준치 이상이라면, 유리창의 외면에 김서림이 발생될 확률이 높으므로, 컨트롤러(320)는 와이퍼구동모듈(350)을 작동시킨다. 이렇게 되면 유리창 외면의 김서림이 방지/제거될 수 있다.
그리고, 외부습도가 기준치 이하라면, 김서림이 발생될 확률이 낮으므로, 에어컨구동모듈(340)을 통해 에어컨을 작동시킨다. 이는 김서림 확률이 낮으므로 실내의 쾌적성을 위해 냉방 기능을 활성화함을 의미한다.
한편, 실내외의 외기상대습도가 기준치(A2) 이하(최저치 이상)라면, 이 경우 역시 김서림 발생확률이 낮고, 또한 이 경우에는 냉방의 필요성이 적으므로 블로워와 댐퍼구동모듈(360)을 작동시켜 내기를 흡입하도록 한다. 이는 내기온도 흡입을 통해 내기와 외기의 차이가 줄어들도록 하면서 자연스럽게 김서림이 방지/제거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물론, 외기온도와 내기온도의 온도차가 최저치 이하인 경우에는 별도의 구동없이 종료될 수 있음은 전술한 바와 같다.
다음으로, 도 4를 참조하여 자동차 유리창의 김서림 방지방법에 대해 설명하면, 상기 과정을 거쳐 김서림을 방지/제거한 후에는 다시 실내외 습도 및 온도를 측정한다(P7). 그리고 내기상대습도가 기준치(A1)이상이라면(P8) 다시 상기한 과정을 반복하여 김서림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내기상대습도가 기준치(A1) 이하라면, 외기상대습도를 판단한다.
만약, 상기 외가상대습도가 기준치(A2)이상이라면(P9) 역시 상기한 과정을 반복한다. 이러한 반복을 통해 자동차 유리창의 김서림은 확실하게 방지/제거될 수 있다.
도 5에는 댐핑모듈을 통해 압축기에 가해지는 부담을 줄이는 프로세스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상기 도 3에 도시된 과정에서 에어컨이 작동되는 경우에는 에어컨구동모듈(340)에 포함되는 압축기 역시 작동하게 된다.
이때, 댐핑모듈은 압축기의 작동 지속시간을 카운트하게 된다. 그리고, 그 사이에 에어컨의 오프신호가 입력되면(P10), 상기 카운트한 지속시간이 설정시간 이상인지 판단한다.(P11)
그리고, 압축기의 작동 지속시간이 설정시간 미만이라면, 오프신호에도 불구하고 바로 압축기 구동을 정지하지 않고, 지속시간이 설정시간 이상이 될 때까지 보류하여 압축기의 구동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는 일정 시간 내에 압축기의 작동/멈춤이 반복되면 자동차의 진동을 유발하게 되고, 차량 토크의 불안정이 야기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자동차의 전면유리창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고, 자동차의 후면유리창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열선이 히터구동모듈(330)을 대신하여 열선이 구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자동차 유리창의 김서림 방지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김서림 방지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하면, 운전자가 수작업으로 에어컨이나 히터를 작동시킬 필요없이 자동제어에 의해 유리창의 김서림이 방지 또는 제거되므로, 차량운전에 있어 안정성이 향상되고 운전자 편의성이 좋아지는 효과가 있다.
100: 센서유니트 110: 실내온도센서
120: 실외온도센서 130: 실내습도센서
200: 제어유니트 210: 비교모듈
220: 제어모듈 230: 데이터저장부
300: 구동유니트 310: 입력부
320: 컨트롤러 330: 히터구동모듈
340: 에어컨구동모듈 350: 와이퍼구동모듈
360: 댐퍼구동모듈

Claims (9)

  1. 자동차의 실내 및 실외온도와 실내 및 실외의 습도를 각각 측정하기 위한 센서유니트와;
    상기 센서유니트에 의해 측정된 실내외의 온도 및 실내외의 습도를 비교하고, 외기온도기준의 내기상대습도 및 내기온도기준의 외기상대습도를 산출하는 비교모듈과 상기 비교모듈에 연결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는 제어유니트; 그리고
    상기 제어유니트에 의해 제어되고 히터, 에어컨, 와이퍼 또는 댐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작동시키기 위한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구동유니트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어유니트는,
    실내외온 온도의 비교값 그리고 산출된 내기상대습도 및 외기상대습도를 기준으로 컨트롤러를 구동시켜 차량의 김서림을 방지 또는 제거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김서림 방지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유니트는,
    실내온도센서와 실내습도센서가 포함되어 구성되고, 상기 실내온도센서와 실내습도센서는 자동차 전면유리창의 좌측하단에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김서림 방지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니트는,
    상기 비교모듈에 의해 산출된 실내온도가 실외온도보다 높고, 상기 내기상대습도가 기준치 이상으로 높으며, 차량 내부의 습도가 기준치 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컨트롤러에 의해 에어컨이 구동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비교모듈에 의해 산출된 실외온도가 실내온도보다 높고, 상기 외기상대습도가 기준치 이상으로 높으며, 차량 외부의 습도가 기준치 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컨트롤러에 의해 와이퍼가 구동되도록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김서림 방지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니트는,
    상기 비교모듈에 의해 산출된 실내온도가 실외온도보다 높고, 상기 내기상대습도가 기준치 이상으로 높으며, 차량 내부의 습도가 기준치 이하인 경우에는 상기 컨트롤러에 의해 히터 또는 블로워가 구동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비교모듈에 의해 산출된 실외온도가 실내온도보다 높고, 상기 외기상대습도가 기준치 이상으로 높으며, 차량 외부의 습도가 기준치 이하인 경우에는 상기 컨트롤러에 의해 에어컨 또는 블로워가 구동되도록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김서림 방지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니트는,
    상기 비교모듈에 의해 외기상대습도 또는 내기상대습도가 각각 설정된 기준치 이하인 경우, 상기 구동유니트의 댐퍼구동모듈을 통해 외기 또는 내기를 차량 내부로 토출시키도록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김서림 방지 시스템.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니트에는 데이터저장부가 구비되어 제어유니트의 제어모듈에 의해 제어된 기록이 저장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김서림 방지시스템.
  7.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니트에는 댐핑모듈이 구비되고, 상기 댐핑모듈은 상기 에어컨의 온오프가 일정시간 내에 반복될 경우에 상기 에어컨구동모듈의 압축기의 구동시간이 설정시간 이상이 될 때까지 구동시킨 후에 정지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김서림 방지시스템.
  8. 차량의 김서림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자동차의 실내 및 실외온도와 실내 및 실외의 습도를 각각 측정하는 측정단계와;
    상기 측정된 실내외의 온도를 비교하고, 외기온도기준의 내기상대습도 및 내기온도기준의 외기상대습도를 산출하는 비교단계와;
    상기 비교모듈에 의해 산출된 실내온도가 실외온도보다 높고, 상기 내기상대습도가 기준치 이상으로 높으며, 차량 내부의 습도가 기준치 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컨트롤러에 의해 에어컨이 구동되도록 제어하는 단계와;
    상기 비교모듈에 의해 산출된 실내온도가 실외온도보다 높고, 상기 내기상대습도가 기준치 이상으로 높으며, 차량 내부의 습도가 기준치 이하인 경우에는 상기 컨트롤러에 의해 히터 또는 블로워가 구동되도록 제어하는 단계와;
    상기 비교모듈에 의해 산출된 실외온도가 실내온도보다 높고, 상기 외기상대습도가 기준치 이상으로 높으며, 차량 외부의 습도가 기준치 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컨트롤러에 의해 와이퍼가 구동되도록 제어하는 단계와;
    상기 비교모듈에 의해 산출된 실외온도가 실내온도보다 높고, 상기 외기상대습도가 기준치 이상으로 높으며, 차량 외부의 습도가 기준치 이하인 경우에는 상기 컨트롤러에 의해 에어컨 또는 블로워가 구동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비교모듈에 의해 외기상대습도 또는 내기상대습도가 각각 설정된 기준치 이하인 경우, 상기 구동유니트의 댐퍼구동모듈을 통해 외기 또는 내기를 차량 내부로 토출시키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김서림 방지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에어컨이 작동되면 상기 에어컨의 온오프가 일정시간 내에 반복될 경우에 상기 에어컨에 연결되는 압축기의 구동시간이 설정시간 이상이 될 때까지 구동시킨 후에 정지시키는 댐핑단계가 추가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김서림 방지방법.
KR1020140117429A 2014-09-04 2014-09-04 차량의 김서림 방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김서림 방지방법 KR2016002866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7429A KR20160028666A (ko) 2014-09-04 2014-09-04 차량의 김서림 방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김서림 방지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7429A KR20160028666A (ko) 2014-09-04 2014-09-04 차량의 김서림 방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김서림 방지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8666A true KR20160028666A (ko) 2016-03-14

Family

ID=555414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7429A KR20160028666A (ko) 2014-09-04 2014-09-04 차량의 김서림 방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김서림 방지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2866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919498B2 (en) 2017-05-02 2021-02-16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Fog removing devic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20140A (ko) 2012-04-25 2013-11-04 곽현환 자동온도조절시스템을 이용한 차량 김서림 방지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20140A (ko) 2012-04-25 2013-11-04 곽현환 자동온도조절시스템을 이용한 차량 김서림 방지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919498B2 (en) 2017-05-02 2021-02-16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Fog removing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9378B1 (ko) 자동차 유리창의 김서림 방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김서림 방지방법
RU2680053C2 (ru)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устранения запотевания ветрового стекла
US8701427B2 (en) Fog detection error protection for window fog control
US7866169B2 (en) System and method for vehicle defogging condition calculation and control
US20100297925A1 (en) Low humidity detection system and method thereof
KR100821777B1 (ko) 윈드실드의 포그방지를 위한 공조시스템의 제어방법
US7845182B2 (en) Fan control limitation logic in auto defog system
KR20070101164A (ko) 유리 온도 검출 시스템, 윈도우 포그 검출 시스템, 차량용공기 조절 시스템, 및 윈도우 포그 검출 방법
CN103847463A (zh) 一种自动防止汽车起雾的控制方法
US20060004494A1 (en) System and method for vehicle defogging condition calculation and control
US10828958B2 (en) Method of using a glass-mounted humidity/temperature sensor in a vehicle to obtain sun load and control of HVAC system using sun load
EP1112871B1 (en) Method of preventing windshield fogging by determining windshield fog boundary humidity
JP2006525901A (ja) 空調装置及び方法
KR20160028666A (ko) 차량의 김서림 방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김서림 방지방법
KR101610962B1 (ko) 차량의 습기 제거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KR20090059974A (ko) 차량용 습도 제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0811994B1 (ko) 차량의 제습제어방법
KR20130120140A (ko) 자동온도조절시스템을 이용한 차량 김서림 방지 시스템
KR102337955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170100348A (ko) 엑티브 인카 센서의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427231B1 (ko) 차량용 공조시스템의 디포깅장치
KR20190079872A (ko) 차량의 뒷유리 열선 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101439647B1 (ko) 자동차의 결로방지 냉방 장치 및 그 방법
KR100932076B1 (ko) 차량 유리창의 습기 제거 장치
KR100778573B1 (ko) 습공기 선도를 이용한 자동 습기 제거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