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28289A - 섬유형 이차전지 - Google Patents

섬유형 이차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28289A
KR20160028289A KR1020140117206A KR20140117206A KR20160028289A KR 20160028289 A KR20160028289 A KR 20160028289A KR 1020140117206 A KR1020140117206 A KR 1020140117206A KR 20140117206 A KR20140117206 A KR 20140117206A KR 20160028289 A KR20160028289 A KR 201600282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body
lead tab
fibrous electrode
fibrous
ya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72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29261B1 (ko
Inventor
김경준
김인중
최승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루트제이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루트제이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루트제이드
Priority to KR10201401172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9261B1/ko
Priority to EP14859285.0A priority patent/EP3190644B1/en
Priority to PCT/KR2014/010558 priority patent/WO2016035928A1/ko
Publication of KR201600282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82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92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92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31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34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leads or tab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4Carriers or collectors
    • H01M4/66Selection of materi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31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전사에 의해 형성되는 섬유형 전극체; 및 상기 섬유형 전극체와 연결되는 리드 탭;을 포함하며, 상기 리드 탭은 상기 섬유형 전극체를 형성하는 도전사와 동일 재질을 갖는 연결사에 의해 상기 섬유형 전극체와 연결되거나, 또는 상기 섬유형 전극체를 형성하는 도전사에 의해 상기 섬유형 전극체와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리드 탭은, 상기 섬유형 전극체와 연결되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에서 돌출형성되며 전자기기의 외부단자와 접속되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리드 탭의 연결부는 상기 연결사 또는 상기 섬유형 전극체를 형성하는 도전사에 감기어진 상태로 상기 섬유형 전극체와 연결될 수 있다.

Description

섬유형 이차전지의 리드 탭{Lead tab structure of flexible battery}
본 발명은 섬유형 이차전지의 리드 탭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도전사 등의 섬유로 직조되어 형성되는 섬유형 전극체 구조를 갖는 섬유형 이차전지의 리드 탭에 관한 것이다.
휴대전화, 캠코더, 노트북 컴퓨터 등의 휴대용 전자기기 시장이 확대되고 다양화됨에 따라 재충전이 가능한 전원공급용 이차 전지에 대한 수요도 확대되고 있다. 휴대용 전자기기의 소형화, 경량화, 고성능화 및 다기능화는 전력원으로 사용되는 이차 전지의 에너지 저장밀도의 계속적인 향상을 요구하고 있다.
그리고, 전자기기의 급속한 박형화와 소형화는 얇은 두께의 박형 이차 전지에 대한 수요를 급속히 확대시키고 있는 반면, 기존의 원통형이나 각형 이차 전지의 조립방법을 그대로 채용하는 경우, 박형화에 따르는 부피당 에너지 밀도의 하락이 지나치게 큰 편이다. 따라서, 부피당 에너지 밀도가 높은 이차 전지의 개발은 다양한 휴대용 전자기기의 소형화, 경량화, 박형화를 이룩하는 데 필수적이다.
특히, 근래에는, 곡면형 형상을 갖는 휴대용 전자기기들이 많이 출시되고 있는 실정이고, 또한, 곡면형으로 변형 가능한 유연성을 갖는 휴대용 전자기기들이 개발되고 있기 때문에, 이에 상응하여 곡면형 형상 또는 곡면형으로 변형 가능한 이차전지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도전사 등 전기가 흐르는 섬유를 이용하여 제작된 섬유형 이차전지의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상기 섬유형 이차전지는, 금속판으로 제작된 이차전지와는 달리 형상 또는 모양에 있어서 높은 유연성을 갖기 때문에, 형상 변경이 용이하여 곡면형 형상 또는 복잡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한 휴대용 전자기기 등에 적용되기에 매우 적합하다.
그러나, 섬유형 이차전지의 리드 탭 또한 얇은 도전사로 제작되기 때문에, 상기 리드 탭과 상기 외부단자 간의 결합력이 떨어져 섬유형 이차전지가 상기 외부단자 측으로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전달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즉, 전자기기의 외부단자와 연결되는 이차 전지의 리드 탭은 일정한 강성을 가진 채로 상기 외부단자와 연결되어야 결합성 측면에서 바람직하나, 상기 섬유형 이차전지의 리드 탭은 형상 변경이 용이하게 얇은 도전사로 제작된 만큼 그 강성이 낮기 때문에 외부단자와의 결합력이 떨어질 수밖에 없다.
따라서, 본 출원인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을 개발하게 되었으며, 이와 관련된 선행기술문헌으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10-2013-0081501호의 '섬유형 태양전지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되는 섬유형 태양전지'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섬유형 전극체를 형성하는 도전사와 동일재질을 갖는 연결사 또는 상기 도전사에 의해 상기 섬유형 전극체와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리드 탭을 제공하여, 전자기기의 외부단자와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고, 또한, 에너지 전달효율을 하락시키지 않는 섬유형 이차전지의 리드 탭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섬유형 이차전지의 리드 탭은, 도전사에 의해 형성되는 섬유형 전극체; 및 상기 섬유형 전극체와 연결되는 리드 탭;을 포함하며, 상기 리드 탭은 상기 섬유형 전극체를 형성하는 도전사와 동일 재질을 갖는 연결사에 의해 상기 섬유형 전극체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도전사에 의해 형성되는 섬유형 전극체; 및 상기 섬유형 전극체와 연결되는 리드 탭;을 포함하며, 상기 리드 탭은 상기 섬유형 전극체를 형성하는 도전사에 의해 상기 섬유형 전극체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리드 탭은, 상기 섬유형 전극체와 연결되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에서 돌출형성되며 전자기기의 외부단자와 접속되는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리드 탭의 연결부는 상기 연결사 또는 상기 섬유형 전극체를 형성하는 도전사에 감기어진 상태로 상기 섬유형 전극체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에는 상기 연결사 또는 상기 섬유형 전극체의 도전사가 삽입되는 복수개의 체결공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에는, 상기 연결사가 상기 연결부의 폭방향 중앙에 감기어질 수 있도록 하는 한 쌍의 가이드홈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홈은 상기 연결부의 양측부에서 상기 연결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ㄷ'자 형상의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섬유형 전극체에는, 상기 리드 탭의 연결부가 삽입되는 수용부; 및 상기 수용부와 연통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리드 탭의 돌출부가 삽입되는 간격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리드 탭의 연결부는 상기 수용부가 형성하는 공간에 배치된 도전사에 의해 감기어져 상기 섬유형 전극체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섬유형 전극체와 상기 리드 탭의 연결부에는 상기 섬유형 전극체의 도전사와 동일 재질로 형성된 커버부가 마련되며, 상기 커버부는, 상기 섬유형 전극체의 도전사와 연결되어 상기 리드 탭의 연결부를 덮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리드 탭과 상기 섬유형 전극체의 연결 부위에 도포되거나 칠해지는 고분자 또는 접착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섬유형 이차전지의 리드 탭은, 일정강도를 가지는 리드 탭이 도전성의 연결사 또는 섬유형 전극체를 형성하는 도전사에 의해 상기 섬유형 전극체와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므로, 전자기기의 외부단자와 섬유형 전극체 사이의 결합력이 상기 리드 탭에 의해 견고해져 에너지 전달효율을 하락시키지 않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섬유형 이차전지의 리드 탭은, 정형화된 형상의 이차전지와 비교해서 부피당 높은 전류 밀도와 에너지 밀도를 가질 수 있으므로, 곡면형 형상 또는 곡면형으로 변형 가능한 전자기기에 적용되기에 매우 적합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섬유형 이차전지의 리드 탭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섬유형 이차전지의 평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체결공에 연결사가 다른 실시예로 삽입된 모습을 보여주는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섬유형 이차전지의 리드 탭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섬유형 이차전지의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섬유형 이차전지의 리드 탭을 보여주는 평면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A-A'를 화살표 방향에서 바라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버부가 리드 탭을 덮은 상태로 섬유형 전극체에 연결된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섬유형 이차전지의 리드 탭 구조가 상세하게 설명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된다.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섬유형 이차전지(100)의 리드 탭(20)은, 도전사(導電絲)에 의해 형성되는 섬유형 전극체(10)와, 상기 섬유형 전극체(10)와 연결되는 리드 탭(2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섬유형 이차전지(100)는 도전성을 가지는 섬유를 직조하여 만들어진 형태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전지의 형태에 대한 제약이 거의 없는 플렉시블 전지(flexible battery)도 포함하는 개념이다.
상기 섬유형 전극체(10)는, 스테인리스강, 알루미늄, 니켈, 티타늄, 구리 또는 이들의 합금으로 제작된 도전사를 직조함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도전사(導電絲)는 전기가 흐를 수 있는 섬유(纖維, fiber) 또는 실을 의미하는 용어이다. 예를 들면, 도전사는 직조된 원단에 금속 코팅을 한 재료도 포함하는 의미이다. 즉,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전사"라는 표현을 사용하겠지만, 도전사는 섬유를 포함하는 개념임을 밝혀둔다.
상기 도전사는, 균일한 두께를 가지고 연속적으로 연장되어 섬유형 전극체(10)를 형성하며, 금속이 갖는 내열성, 가소성 및 전기 전도성을 가지기 때문에 섬유 특유의 직조 및 부직포 가공 공정이 가능한 이점을 가질 수 있다. 참고로, 상기 도전사를 이용하여 섬유형 전극체를 제작하는 방법은 해당분야의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공지의 기술이므로, 본 발명의 명세서상에서는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된다.
그리고, 상기 섬유형 전극체(10)는, 전기적 활물질이 도포 또는 함침되어 있으며, 이차전지의 크기 및 용량에 대응되어 그 크기 및 형상이 다양하게 선택될 수 있다.
한편, 섬유형 전극체(10)를 형성하는 섬유 중에는 전기적 활물질이 도포 또는 함침되어서 도전사로 기능하는 부분이 있는가 하면 전기적 활물질 도포되어 있지 않은 부분도 있다. 즉, 섬유형 전극체(10)는 전극소재를 함유하는 부분과 전극소재를 함유하지 않은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리드 탭(20)은 섬유형 전극체(10) 중에서 전극소재를 함유하는 부분과 연결되어야 한다.
상기 리드 탭(20)은, 도전성을 갖는 금속 재질로 제작되며,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섬유형 전극체(10)를 구성하는 도전사와 동일 재질 또는 동일한 형태를 가지는 연결사(50, 連結絲)를 매개로 상기 섬유형 전극체(10)와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참고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리드 탭(20)이 섬유형 전극체(10) 중에서 전기적 활물질이 도포되어 있지 않은 부분(10a)에 상기 연결사(50)를 매개로 하여 연결되는 것으로 도면상에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상기 리디 탭(20)은 상기 섬유형 전극체(10)의 전기절 활물질이 도포된 영역에 상기 연결사(50)를 매개로 하여 연결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리드 탭(20)은, 상기 섬유형 전극체(10)와 연결되는 연결부(21)와, 상기 연결부(21)에서 돌출 내지 연장 형성되어 섬유형 이차전지(100)로부터 전원을 전달 받는 전자기기의 외부단자와 접속되는 돌출부(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21)의 폭은 상기 돌출부(22)의 폭과 동일하거나 큰 폭을 가질 수 있다. 참고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연결부(21)의 폭이 상기 돌출부(22)의 폭보다 큰 것으로 도면에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21)에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사(50)가 상기 연결부(21)의 폭방향 양단부를 상기 섬유형 전극체(10)와 체결할 수 있도록 하는 한 쌍의 체결공(21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체결공(21a)은, 상기 연결사(50)가 상기 리드 탭(20)의 연결부(21) 중 일부에 권취될 수 있도록 하는 공간을 형성한다. 즉, 상기 연결사(50)의 일단은 상기 섬유형 전극체(10)의 도전사와 연결되고, 상기 연결사(50)의 타단은 상기 체결공(21a)을 구획하는 상기 연결부(21) 부위를 감싼 상태에서 상기 섬유형 전극체(10)의 도전사와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리드 탭(50)은 상기 연결사(50)와 체결공(21a)에 의해 상기 섬유형 전극체(10)와 견고히 결합될 수 있다.
연결사(50)는 리드 탭(20)을 섬유형 전극체(10)에 봉제(縫製) 또는 바느질(sewing)에 의해 연결될 수 있고, 이 때 연결사(50)는 바느질에 사용되는 실 또는 봉제사라고 할 수 있다.
참고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사각형의 형상을 갖는 한 쌍의 체결공(21a)이 서로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상기 연결부(21)에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 및 도면에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상기 체결공(21a)은 원형 및 다각형의 형상을 가질 수도 있으며, 그의 형성 위치 및 개수 또한 다양한 실시예로 구현되어 상기 연결부(21)에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연결사(50)의 일단이 상기 체결공(21a)의 외측에 배치된 상기 섬유형 전극체(10)의 도전사와 연결되고, 상기 연결사(50)의 타단은 상기 체결공(21a)이 형성하는 공간 내에 배치된 상기 섬유형 전극체(10)의 도전사와 연결되는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한 쌍의 체결공(21a)이 형성하는 공간에 상기 연결사(50)의 양단이 각각 삽입되어 상기 섬유형 전극체(10)의 도전사와 리드 탭(20)이 연결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연결사(50)의 일단이 상기 체결공(21a)의 외측에 배치된 상기 섬유형 전극체(10)의 도전사와 연결되고, 그리고 상기 연결사(50)의 타단이 상기 체결공(21a)이 형성하는 공간 내에 배치된 상기 섬유형 전극체(10)의 도전사와 연결될 때에는, 상기 연결부(21)의 폭방향 양단부가 상기 섬유형 전극체(10)와 체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사(50)의 양단이 상기 한 쌍의 체결공(21a)이 형성하는 공간에 각각 삽입되어 상기 섬유형 전극체(10)의 도전사와 연결될 때에는, 상기 연결부(21)의 폭방향 중단부가 상기 섬유형 전극체(10)와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체결공(21a)과 상기 연결사(50)를 이용한 상기 섬유형 전극체(10)에 대한 연결부(21)의 체결방식은, 상기 섬유형 전극체(10)와 상기 리드 탭(10)의 형상 또는 크기 등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나, 상기 리드 탭(20)의 연결부(21)를 상기 섬유형 전극체(10)에 안정적으로 체결하기 위한 관점에서는 상기 두 가지 경우의 실시예가 함께 적용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21)에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드 탭(20)에 상기 연결사(50)가 상기 연결부(21)의 폭방향의 중앙에 감기어질 수 있도록 하는 한 쌍의 가이드홈(21b)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가이드홈(21b)은 상기 연결부(21)의 폭방향 양측부에서 상기 연결부(21)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연결사(50)의 양단이 각각 삽입될 수 있는 'ㄷ'자 형상의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홈(21b)은, 상기 섬유형 전극체(10)의 도전사와 연결되는 상기 연결사(50)의 양단이 각각 외부로 노출될 수 있는 형상을 가지기 때문에, 작업자가 상기 연결사(50)의 양단을 상기 섬유형 전극체(10)의 도전사에 연결하는 작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가이드홈(21b)은, 상기 연결부(21)의 폭방향 외측으로 개방된 형상을 가지기 때문에, 상기 연결사(50)의 양단과 상기 섬유형 전극체(10)의 도전사를 서로 접합하는 작업이 작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다.
위와 같은 구성에 의해, 상기 리드 탭(20)은 상기 연결사(50)를 매개로 상기 섬유형 전극체(10)와 견고히 체결될 수 있고, 또한, 상기 연결사(50)를 통하여 상기 섬유형 전극체(10)에서 방출하는 전극이온을 안정적으로 흡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섬유형 전극체(10)에는,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리드 탭(20)의 연결부(21)가 삽입되는 수용부(11)와, 상기 수용부(11)와 연통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리드 탭(20)의 돌출부(22)가 삽입되는 간격부(1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용부(11) 및 상기 간격부(12)는 상기 연결부(21) 및 돌출부(22)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며, 그 면적은 상기 연결부(21) 및 돌출부(22)가 형성하는 면적보다 크다.
여기서, 상기 수용부(11)에 삽입되는 상기 리드 탭(20)의 연결부(21)는,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용부(11)가 형성하는 공간으로 돌출된 한 쌍의 도전사(10a, 10b)를 매개로 상기 섬유형 전극체(10)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리드 탭(20)에는 상기 한 쌍의 도전사(10a, 10b)가 각각 삽입될 수 있는 한 쌍의 체결공(21a)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한 쌍의 도전사(10a, 10b)의 일단은 상기 수용부(11)를 형성하는 상기 섬유형 전극체(10)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체결공(21a)에 통과되어 상기 섬유형 전극체(10)의 저면과 연결될 수 있다.
위와 같은 상태가 되면, 상기 리드 탭(20)의 연결부(21)는 상기 섬유형 전극체(10)를 형성하는 도전사에 의해 상기 섬유형 전극체와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수용부(11)에 삽입된 연결부(21)를 상기 섬유형 전극체(10)를 형성하는 도전사로 연결하기 위해서는, 상기 수용부(11)를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섬유형 전극체(10)의 일부를 절개할 시에 상기 연결부(21)의 체결공(21a)에 삽입될 수 있는 한 쌍의 도전사(10a)를 상기 수용부(11)가 형성하는 공간 내에 배치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은, 별도의 연결사(50)를 사용하지 않고도 상기 섬유형 전극체(10)와 리드 탭(20)를 서로 체결할 수 있어서, 제품생산의 제조단가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상기 리드 탭(20)이 상기 섬유형 전극체에서 방출하는 전극이온을 직접적으로 흡수할 수 있어서 에너지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섬유형 전극체(10)와 연결된 상기 리드 탭(20)의 연결부(21)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부(30)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커버부(30)는, 상기 섬유형 전극체의 도전사와 동일한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리드 탭(20)의 연결부(21)를 덮을 수 있는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커버부(30)는, 상기 연결사(50) 또는 도전사(10a, 10b)에 의해 상기 섬유형 전극체(10)와 연결된 상기 연결부(21)를 덮은 상태로 상기 섬유형 전극체(10)를 형성하는 도전사와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연결부(21)는 상기 커버부(30)에 의해 상기 섬유형 전극체(10)와 견고히 체결될 수 있고, 또한, 상기 섬유형 전극체(10)로부터 발생되는 전극이온을 안정적으로 흡수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섬유형 이차전지의 리드 탭(20)은 섬유형 전극체(10)에 연결사(50)에 의해 봉제 또는 바느질 방식으로 체결된 상태에서 본드(bond) 등의 고분자 내지 접착제가 봉제 부위에 칠해지거나 도포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리드 탭(20), 섬유형 전극체(10) 및 연결사(50)의 봉제 부위 또는 리드 탭(20)과 섬유형 전극체(10)의 연결 부위에 고분자 또는 접착제를 칠하거나 도포함으로써 리드 탭(20)과 섬유형 전극체(10)의 체결상태를 보강할 수 있다. 고분자 또는 접착제를 칠하거나 도포함으로써 봉제 부위에 있는 연결사(50)가 끊어지거나 섬유형 전극체(10)가 찢어지더라도 리드 탭(20)과 섬유형 전극체(10)의 연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 청구의 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 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 : 섬유형 전극체 11 : 수용부
12 : 간격부 20 : 리드 탭
21 : 연결부 21a : 체결공
21b : 가이드홈 22 : 돌출부
30 : 커버부 50 : 연결사
100 : 섬유형 이차전지

Claims (10)

  1. 도전사에 의해 형성되는 섬유형 전극체; 및
    상기 섬유형 전극체와 연결되는 리드 탭;을 포함하며,
    상기 리드 탭은 상기 섬유형 전극체를 형성하는 도전사와 동일 재질을 갖는 연결사에 의해 상기 섬유형 전극체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형 이차전지의 리드 탭.
  2. 도전사에 의해 형성되는 섬유형 전극체; 및
    상기 섬유형 전극체와 연결되는 리드 탭;을 포함하며,
    상기 리드 탭은 상기 섬유형 전극체를 형성하는 도전사에 의해 상기 섬유형 전극체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형 이차전지의 리드 탭.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 탭은,
    상기 섬유형 전극체와 연결되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에서 돌출형성되며 전자기기의 외부단자와 접속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형 이차전지의 리드 탭.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 탭의 연결부는 상기 연결사 또는 상기 섬유형 전극체를 형성하는 도전사에 감기어진 상태로 상기 섬유형 전극체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형 이차전지의 리드 탭.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에는 상기 연결사 또는 상기 섬유형 전극체의 도전사가 삽입되는 복수개의 체결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형 이차전지의 리드 탭.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에는, 상기 연결사가 상기 연결부의 폭방향 중앙에 감기어질 수 있도록 하는 한 쌍의 가이드홈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홈은 상기 연결부의 양측부에서 상기 연결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ㄷ'자 형상의 공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형 이차전지의 리드 탭.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형 전극체에는,
    상기 리드 탭의 연결부가 삽입되는 수용부; 및
    상기 수용부와 연통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리드 탭의 돌출부가 삽입되는 간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형 이차전지의 리드 탭.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 탭의 연결부는 상기 수용부가 형성하는 공간에 배치된 도전사에 의해 감기어져 상기 섬유형 전극체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형 이차전지의 리드 탭.
  9.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형 전극체와 상기 리드 탭의 연결부에는 상기 섬유형 전극체의 도전사와 동일 재질로 형성된 커버부가 마련되며,
    상기 커버부는, 상기 섬유형 전극체의 도전사와 연결되어 상기 리드 탭의 연결부를 덮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형 이차전지의 리드 탭.
  10. 제 1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 탭과 상기 섬유형 전극체의 연결 부위에 도포되거나 칠해지는 고분자 또는 접착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형 이차전지의 리드 탭.
KR1020140117206A 2014-09-03 2014-09-03 섬유형 이차전지 KR1016292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7206A KR101629261B1 (ko) 2014-09-03 2014-09-03 섬유형 이차전지
EP14859285.0A EP3190644B1 (en) 2014-09-03 2014-11-05 Lead tab of fibrous secondary battery
PCT/KR2014/010558 WO2016035928A1 (ko) 2014-09-03 2014-11-05 섬유형 이차전지의 리드 탭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7206A KR101629261B1 (ko) 2014-09-03 2014-09-03 섬유형 이차전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8289A true KR20160028289A (ko) 2016-03-11
KR101629261B1 KR101629261B1 (ko) 2016-06-10

Family

ID=554399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7206A KR101629261B1 (ko) 2014-09-03 2014-09-03 섬유형 이차전지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EP (1) EP3190644B1 (ko)
KR (1) KR101629261B1 (ko)
WO (1) WO201603592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7438A (ko) 2019-01-11 2020-07-21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지의 전극탭 및 리드탭 접합방법 및 상기 접합방법에 의한 접합 구조를 갖는 리튬 이차 전지
KR20200127696A (ko) 2019-05-03 2020-11-11 주식회사 엘지화학 다수개의 홀이 형성된 리드탭과 전극탭의 결착 구조를 포함하는 전지 및 전지의 전극탭 및 리드탭의 접합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13300A (ja) * 1996-01-30 1997-08-15 Furukawa Battery Co Ltd:The 正極板へのタブ取付け方法
JPH11329451A (ja) * 1998-05-13 1999-11-30 Touyama Kosuke 電池電極基材の製造方法および電池電極
KR20100137496A (ko) * 2008-03-07 2010-12-30 레이덴 에너지 인코오포레이티드 탭을 갖는 전기화학 전지
JP2013004179A (ja) * 2011-06-11 2013-01-07 Asao Yamamura 電極用エレメントおよびそれを用いた二次電池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8630857D0 (en) * 1986-12-24 1987-02-04 Sylva Ind Ltd Electrical contact tab
US7291186B2 (en) * 2004-11-01 2007-11-06 Teck Cominco Metals Ltd. Solid porous zinc electrodes and methods of making same
ATE517445T1 (de) * 2005-03-31 2011-08-15 Firefly Energy Inc Stromträger für eine energiespeichervorrichtung
JP5822347B2 (ja) * 2011-10-18 2015-11-24 川崎重工業株式会社 一次電池用ファイバー状電極およびそれを用いた一次電池
KR101333714B1 (ko) 2012-01-09 2013-11-27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섬유형 태양전지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되는 섬유형 태양전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13300A (ja) * 1996-01-30 1997-08-15 Furukawa Battery Co Ltd:The 正極板へのタブ取付け方法
JPH11329451A (ja) * 1998-05-13 1999-11-30 Touyama Kosuke 電池電極基材の製造方法および電池電極
KR20100137496A (ko) * 2008-03-07 2010-12-30 레이덴 에너지 인코오포레이티드 탭을 갖는 전기화학 전지
JP2013004179A (ja) * 2011-06-11 2013-01-07 Asao Yamamura 電極用エレメントおよびそれを用いた二次電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190644A1 (en) 2017-07-12
WO2016035928A1 (ko) 2016-03-10
EP3190644A4 (en) 2018-04-11
KR101629261B1 (ko) 2016-06-10
EP3190644B1 (en) 2020-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03827B1 (ko) 다수의 전극조립체를 구비하는 복합전극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화학소자
US9537177B2 (en) Electrode assembly and secondary battery including the same
EP2639849B1 (en) Battery module case
KR102382525B1 (ko) 이차전지 및 이차전지 배열
KR101784743B1 (ko) 이차 전지
US11349182B2 (en) Electrode assembly
KR102066198B1 (ko) 배터리 팩
KR20130065290A (ko) 배터리 팩
EP2602842A1 (en) Battery Cell
KR20180032083A (ko) 이차전지
US9997809B2 (en) Battery module
JP6225928B2 (ja) 二次電池
EP3032614B1 (en) Battery module and battery cell
RU2669378C1 (ru) Многоярусный аккумулятор
KR20170047756A (ko) 이차 전지
JP7038955B2 (ja) 直並列変換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バッテリーモジュール
KR101629261B1 (ko) 섬유형 이차전지
CN114041232B (zh) 电芯组件、电池模组及手持式电器设备
US10665395B2 (en) Power storage device
CN109565070A (zh) 可再充电电池
CN105576190A (zh) 可再充电电池
KR20040059303A (ko) 전극조립체와 이를 이용한 이차전지
US20150072218A1 (en) Battery pack and battery module including the same
JP7041815B2 (ja) ケーブル型バッテリー
KR101477270B1 (ko) 케이블형 이차전지의 무선 충전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