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28286A -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28286A
KR20160028286A KR1020140117199A KR20140117199A KR20160028286A KR 20160028286 A KR20160028286 A KR 20160028286A KR 1020140117199 A KR1020140117199 A KR 1020140117199A KR 20140117199 A KR20140117199 A KR 20140117199A KR 20160028286 A KR20160028286 A KR 201600282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ea
ratio
image
scaling
reg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71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67871B1 (ko
Inventor
임보라
김선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171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7871B1/ko
Priority to US14/744,719 priority patent/US9904980B2/en
Publication of KR201600282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82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78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78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3/00Geometric image transformations in the plane of the image
    • G06T3/40Scaling of whole images or parts thereof, e.g. expanding or contracting
    • G06T3/4007Scaling of whole images or parts thereof, e.g. expanding or contracting based on interpolation, e.g. bilinear interpol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입력되는 영상에서 오브젝트를 검출하고, 영상을 검출된 오브젝트가 속한 제1영역과, 제1영역을 제외한 제2 영역으로 구분하고, 제1영역과 제2 영역을 서로 다른 스케일링 비율로 조정하는 제어부; 스케일링이 조정된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영상 내 오브젝트의 움직임 방향 및 스카이 라인에 기초하여 스케일링 비율을 조정함으로써 임장감 및 거리감 등을 실제와 같이 느낄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곡면 디스플레이(Curved Display)와 유사한 느낌을 줄 수 있다.
또한 영상 내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를 업 스케일링함으로써 안경과 같은 추가적인 장치없이 입체감을 향상시킬 수 있고, 3차원 영상을 시청하는 것과 같은 착시를 일으키도록 할 수 있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Display apparatus, mobi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본 발명은 임장감과 현실감을 향상시키기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시각적이면서 입체적인 영상 정보를 표시하는 장치이다.
최근에는 음극선관(Cathode Ray Tube)의 단점인 무게와 부피가 줄어 설치 공간의 제약을 덜 받고 대화면의 영상 구현 및 평판화가 용이하며, 고화질 등 여러 가지로 성능이 우수한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Flat Display Device)들이 개발되고 있다.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의 대표적인 예로,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 LCD), 일렉트로 루미네센스 디스플레이 장치(Electro-Luminescence Display Device : ELD), 전계 방출 디스플레이 장치(Field Emission Display Device : FED) 및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Plasma Display Panel : 이하 "PDP"라 함), 박막액정디스플레이(TFT-LC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 등이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장치는 입력되는 영상의 해상도 등을 조절함으로써 영상의 포맷을 디스플레이장치에서 표시 가능한 포맷으로 변환한다.
즉 디스플레이장치는 자체 고유의 해상도에 맞추어 영상의 해상도 및 영상의 크기를 조절한다.
만약, 표시하고자 하는 영상의 종횡비가 디스플레이장치의 종횡비와 일치하지 않을 경우, 영상은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특정 방향으로 더 축소되거나 더 확대되어 표시될 수 있다. 즉 표시하고자 하는 영상의 종횡비가 디스플레이장치의 종횡비와 일치하지 않을 경우, 원래의 영상이 왜곡될 수도 있다.
한편, 휴대용 디스플레이장치 또는 소형 디스플레이장치의 경우, 디스플레이장치의 해상도보다 큰 영상을 표시하는 데 제약이 따르기도 한다.
이를 위해 스케일러블 비디오 코딩 방법이 제안되었다.
스케일러블 비디오 코딩(Scalable Video Coding)이란, 압축된 비트스트림에 대하여 전송 비트율, 전송 에러율, 시스템 자원 등의 주변 조건에 따라 비트스트림의 일부를 잘라내어 영상 해상도, 프레임율 및 SNR(signal-to-noise ratio) 등을 조절할 수 있게 해주는 부호화 방식을 의미한다.
이러한 스케일러블 비디오 코딩 방법의 영상 해상도 조절은, 영상을 일정 사이즈 또는 등 간격으로 업 스케일링(Up-scaling)하거나 다운 스케일링(Down-Scaling)하는 방법으로 한정되어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강조(Highlight) 하고자 하는 영역이나 오브젝트가 있을 때, 해당 영역이나 오브젝트만을 밝게 처리하거나 선명하게 처리할 뿐이었다.
일 측면은 영상의 구도에 적응적인 스케일링을 적용하여 사실감을 부여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다른 측면은 영상 내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를 업 스케일링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일 측면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입력되는 영상에서 오브젝트를 검출하고, 영상을 검출된 오브젝트가 속한 제1영역과, 제1영역을 제외한 제2 영역으로 구분하고, 제1영역과 제2 영역을 서로 다른 스케일링 비율로 조정하는 제어부; 스케일링이 조정된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한다.
입력되는 영상의 프레임은 동일 크기로 분할된 복수 영역을 포함하고, 복수 영역 중 제 1영역은, 1보다 작은 비율로 스케일링 되고, 복수 영역 중 제2영역은, 제1영역의 비율보다 큰 비율로 스케일링된다.
제어부는, 제2영역 스케일링 시, 제1영역에 인접한 영역에서 먼 영역일수록 더 큰 스케일링 비율로 조정한다.
제어부는, 입력되는 영상의 제1프레임과 제2프레임을 비교하여 모션 벡터를 검출하고, 모션 벡터에 기초하여 검출된 모션이 수렴하는 소실점을 검출하고, 검출된 소실점이 위치하는 영역을 확인하고 확인된 영역을 제1영역으로 설정한다.
제어부는, 영상의 구도를 검출하고 검출된 구도에 기초하여 소실점을 검출하고, 검출된 소실점이 위치하는 영역을 확인하고 확인된 영역을 제1영역으로 설정한다.
제어부는, 입력되는 영상 내 스카이 라인이 존재하는지 확인하고, 스카이 라인이 존재하면 미리 설정된 영역을 제1 영역으로 설정한다.
제어부는, 검출된 오브젝트가 속한 제1영역을 미리 설정된 비율로 업 스케일링하고, 미리 설정된 비율에 기초하여 제2영역을 다운 스케일링한다.
미리 설정된 비율은, 가우시안 분포에 대응하는 비율이다.
일 측면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영상을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한다.
다른 측면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입력되는 영상의 모션을 검출하고, 검출된 모션이 수렴하는 제1 영역을 확인하고, 제1영역과 제1영역을 제외한 제2영역을 서로 다른 스케일링 비율로 조정하는 제어부; 스케일링이 조정된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한다.
입력되는 영상의 프레임은 동일 크기로 분할된 복수 영역을 포함하고, 복수 영역 중 제 1영역은, 1보다 작은 비율로 스케일링 되고, 복수 영역 중 제2영역은, 제1영역의 비율보다 큰 비율로 스케일링된다.
제어부는, 제2영역 스케일링 시, 제1영역에 인접한 영역에서 먼 영역일수록 더 큰 스케일링 비율로 조정한다.
제어부는, 입력되는 영상을 이루는 제1프레임과 제2프레임을 비교하여 모션 벡터를 검출하고, 모션 벡터에 기초하여 소실점을 검출하고, 검출된 소실점이 위치하는 영역을 판단하고 판단된 영역을 제1영역으로 설정한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입력되는 영상 내 스카이 라인이 존재하는지 확인하고, 스카이 라인이 존재하면 미리 설정된 제1 영역과 제1영역을 제외한 제2영역을 서로 다른 스케일링 비율로 조정하고, 스카이 라인이 존재하지 않으면 제1영역과 제2영역을 동일한 스케일링 비율로 조정하는 제어부; 스케일링이 조정된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한다.
입력되는 영상의 프레임은 동일 크기로 분할된 복수 영역을 포함하고, 복수 영역 중 제 1영역은, 1보다 작은 비율로 스케일링 되고, 복수 영역 중 제2영역은, 제1영역의 비율보다 큰 비율로 스케일링된다.
제어부는, 제2영역 스케일링 시, 제1영역에 인접한 영역에서 먼 영역일수록 더 큰 스케일링 비율로 조정한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입력되는 영상에서 오브젝트를 추출하고, 오브젝트가 속한 제1영역을 미리 설정된 비율로 상승시켜 조정하고, 미리 설정된 비율에 기초하여 제1영역을 제외한 제2영역의 스케일링을 조정하는 제어부; 스케일링이 조정된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한다.
미리 설정된 비율은, 가우시안 분포에 대응하는 비율이다.
제어부는, 오브젝트를 추출하는 오브젝트 추출부; 오브젝트가 속한 제1영역을 미리 설정된 비율로 스케일링하는 스케일링부; 입력된 영상의 크기와 스케일링된 제1영역의 크기의 차이에 대응하는 오프셋 값을 산출하고, 산출된 오프셋 값에 기초하여 제2영역을 스케일링 하는 오프셋 조정부를 포함한다.
제어부는, 표시부의 종횡비와 입력되는 영상의 종횡비가 상이하면 스케일링된 제1영역과 제2영역을 일정 비율로 재스케일링한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은, 영상이 입력되면 입력되는 영상에서 오브젝트를 추출하고, 영상을 추출된 오브젝트가 속한 제1영역과, 제1영역을 제외한 제2 영역으로 구분하고, 제1영역과 제2 영역을 서로 다른 스케일링 비율로 조정하고, 스케일링이 조정된 영상을 출력한다.
제1영역과 제2 영역을 서로 다른 스케일링 비율로 조정하는 것은, 제 1영역을 1보다 작은 비율로 스케일링하고, 제2영역을 제1영역의 비율보다 큰 비율로 스케일링하는 것을 포함한다.
제2영역을 스케일링하는 것은, 제1영역에 인접한 영역보다 먼 영역일 수록 더 큰 비율로 스케일링하는 것을 포함한다.
제1영역을 구분하는 것은, 입력되는 영상의 모션을 검출하고, 검출된 모션이 수렴하는 영역을 확인하고, 확인된 영역을 제1 영역으로 설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제1영역을 구분하는 것은, 입력되는 영상을 이루는 제1프레임과 제2프레임을 비교하여 모션 벡터를 검출하고, 모션 벡터에 기초하여 소실점을 검출하고, 검출된 소실점이 위치하는 영역을 확인하고, 확인된 영역을 제1영역으로 설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제1영역을 구분하는 것은, 오브젝트에 기초하여 영상의 구도를 검출하고, 검출된 구도에 기초하여 소실점을 검출하고, 검출된 소실점이 위치하는 영역을 확인하고, 확인된 영역을 제1영역으로 설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제1영역을 구분하는 것은, 입력되는 영상 내 오브젝트의 에지에 기초하여 스카이 라인이 존재하는지 확인하고, 스카이 라인이 존재하면 미리 설정된 영역을 제1 영역으로 설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제1영역과 제2 영역을 서로 다른 스케일링 비율로 조정하는 것은, 제1영역을 미리 설정된 비율로 업 스케일링하고, 미리 설정된 비율에 기초하여 제2영역을 다운 스케일링하는 것을 포함한다.
미리 설정된 비율은, 가우시안 분포에 대응하는 비율이다.
본 발명은 영상 내 오브젝트의 움직임 방향 및 스카이 라인에 기초하여 스케일링 비율을 조정함으로써 임장감 및 거리감 등을 실제와 같이 느낄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곡면 디스플레이(Curved Display)와 유사한 느낌을 줄 수 있다.
또한 영상 내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를 업 스케일링함으로써 안경과 같은 추가적인 장치없이 입체감을 향상시킬 수 있고, 3차원 영상을 시청하는 것과 같은 착시를 일으키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예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구성도이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순서도이다.
도 4, 도 5 및 도 6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될 오브젝트가 줌 인 될 때의 영상 스케일링 순서도이다.
도 7 도 8 및 도 9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될 오브젝트가 줌 아웃 될 때의 영상 스케일링 순서도이다.
도 10, 도 11 및 도 1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될 오브젝트의 위치가 이동했을 때의 영상 스케일링 순서도이다.
도 13 및 도 1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될 오브젝트의 구도가 사선 구도일 때 영상 스케일링 순서도이다.
도 15 및 도 16은 영상 내에 스카이 라인이 존재할 때의 영상 스케일링 순서도이다.
도 17은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18은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순서도이다.
도 19 및 도 20은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될 영상 내 오브젝트를 업 스케일링 하는 순서도이다.
도 21 및 도 22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될 영상을 재 스케일링 하는 예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예시도이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텔레비전와, 모니터와, 노트북, 스마트 폰, 태블릿과 같은 이동 통신 단말기의 표시부 등과 같이 영상을 표시하는 장치로, 도 1에서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예로 텔레비전을 도시하였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리모컨(미도시)과 원격 통신을 수행하여 리모컨으로부터 조작된 조작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조작 신호에 기초하여 동작을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영상이 비표시되는 영역을 커버하는 베젤(110)과, 베젤(110)의 하단에 장착된 스탠드(120)를 포함한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브라켓 등에 의해 벽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베젤(110)에 마련되고 사용자의 동작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입력부(130)와, 배젤(110) 내부에 장착되되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면이 노출되도록 장착되고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부(140)를 포함한다.
베젤(110)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외관을 형성하는 것으로, 표시부(140)의 후면을 커버하는 커버(미도시)와 결합된다.
입력부(130)는 베젤(110)에 배치 가능하고, 복수의 버튼을 포함한다.
여기서 복수 버튼은, 전원 버튼, 채널/볼륨 버튼, 화면 조정 버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부(140)는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LCD), 일렉트로 루미네센스 디스플레이 패널(ELD), 전계 방출 디스플레이 패널(FED) 및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DP), 박막액정디스플레이(TFT-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 디스플레이 패널(OLED) 중 어느 하나의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에는 영상과 관련된 사운드를 출력하는 사운드 출력부(미도시)가 마련되는 것도 가능하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입력부(130)나 리모컨(미도시)에 입력된 동작 명령에 대응하여 표시부(140)를 동작시키는 구동 모듈(150)을 더 포함한다. 이를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구성도이다.
입력부(130)는 사용자의 동작 명령을 입력받고 입력된 동작 명령에 대응하는 신호를 제어부(153)에 전송한다.
아울러 입력부(130)는 일반모드 또는 스케일링을 통한 입체 모드를 선택받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일반 모드는 영상을 이루는 일정 크기의 복수 영역을 동일한 비율로 스케일링하여 표시하는 모드이고, 입체 모드는 영상을 이루는 복수 영역을 서로 다른 비율로 스케일링 하여 표시하는 모드이다.
표시부(140)는 방송 신호 내에 포함된 비디오 신호를 영상으로 표시한다.
표시부(140)는 방송 신호의 영상 표시 중에 채널 변경 명령이 입력되면 현재 표시 중인 채널이 아닌 다른 채널의 영상을 표시하되, 복수 채널의 영상을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표시부(140)는 저장부(154)에 저장된 영상이나, 인터페이스부(152)에 연결된 외부 장치의 영상을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표시부(140)는 영상을 표시하되, 영상 구도나 영상의 모션에 기초하여 복수 영역을 서로 다른 비율로 스케일링하여 표시한다.
여기서 영상은 복수 영역을 포함하고, 이 복수 영역은 서로 동일한 크기를 갖는다. 여기서 각 영역을 블록이라고도 한다.
또한 표시부(140)는 영상 내에 스카이 라인이 존재하면 미리 설정된 영역과, 나머지 영역을 서로 다른 비율로 스케일링하여 표시한다.
이를 통해 표시부(140)는 곡면 디스플레이와 같은 시각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구동 모듈(150)은 튜너부(151), 인터페이스부(152), 제어부(153), 저장부(154), 구동부(155) 및 통신부(156)를 포함한다.
튜너부(151)는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 대역을 선택하여 복수의 방송국 중 어느 하나의 방송국에서 송신되는 방송 신호를 수신한다.
즉 튜너부(151)는 적어도 하나의 튜너를 갖고, 적어도 하나의 튜너를 이용하여 어느 하나의 방송 신호를 선국한다.
튜너부(151)에 의해 선국된 방송 신호는, 디지털 방송 신호 또는 아날로그 방송 신호일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52)는 USB 포트, 비디오/오디오 포트, HDMI 포트 등을 포함하고, 이 포트에 연결된 외부 기기로부터 영상을 전달받고, 전달된 영상을 제어부(153)에 전송한다.
제어부(153)는 튜너부(151)에 수신된 방송 신호 중 비디오 신호와 오디오 신호를 분리하고 분리된 비디오 신호와 오디오 신호를 신호 처리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제어부(153)는 튜너부(151)에서 선국된 방송 신호를 복조하고, 비디오 신호와 오디오 신호를 분리하여 복호시킨 후에, 각 신호들을 신호 처리 규격에 맞게 변환시켜 출력한다.
제어부(153)는 입력부(130)나 통신부(156)에 입력된 신호에 기초하여 영상 및 사운드의 출력을 제어한다.
제어부(153)는 입력부(130)에 입력된 전원 온 버튼의 신호가 수신되면 튜너부(151), 표시부(140) 및 사운드부(미도시)의 동작을 제어하고, 입력부(130)에 입력된 채널 버튼의 신호가 수신되면 튜너부(131) 및 표시부(140)의 동작을 제어하고, 입력부(130)에 입력된 볼륨 버튼의 신호가 수신되면 사운드부(미도시)의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53)는 리모컨에 입력된 채널 버튼의 신호가 수신되면 튜너부(151), 표시부(140)의 동작을 제어하고, 리모컨에 입력된 볼륨 버튼의 신호가 수신되면 사운드부(미도시)의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53)는 리모컨에 입력된 방송 시청 명령이 수신되면 튜너부(151), 표시부(140) 및 사운드부(미도시)의 동작을 제어하고, 컨텐츠 재생 명령이 입력되면 컨텐츠 제공 서버에서 제공된 컨텐츠나, 외부 기기에서 전송된 컨텐츠 또는 저장부(154)에 저장된 컨텐츠의 실행을 제어한다.
제어부(153)는 튜너부(151), 인터페이스부(152) 및 저장부(154) 중 적어도 하나에서 전송된 영상의 표시 제어 시, 표시하고자 하는 영상에서 오브젝트를 추출하고, 추출된 오브젝트가 속하는 영역을 확인하며, 오브젝트가 속하는 영역과 나머지 영역을 서로 다른 비율로 스케일링한다.
여기서 영상은 일정 크기의 복수 영역을 포함한다.
즉 제어부(153)는 영상이 이루는 복수 영역 중 오브젝트가 속하는 영역을 제1영역으로 설정하고, 제1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을 제2영역으로 설정한 후, 제1영역과 제2영역을 서로 다른 비율로 스케일링한다.
아울러 제어부(153)는 입체 모드가 선택된 경우에만, 영상의 스케일링을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제어부(154)는 일반 모드가 선택되면 영상을 이루는 복수 영역을 동일한 비율로 스케일링하고, 입체 모드가 선택되면 제 1영역과 제2영역을 서로 다른 비율로 스케일링할 수 있다.
여기서 제1영역을 스케일링하는 비율은 1보다 작은 비율로, 제2영역을 스케일링하는 비율보다 작다.
또한 제어부(153)는 제2영역 스케일링 시, 제2영역 중 제1영역과 인접한 영역과, 제1영역과 이격된 영역을 서로 다른 비율로 스케일링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53)는 인접한 영역을 이격된 영역보다 더 작은 비율로 스케일링한다.
제어부(153)는 오브젝트에 기초하여 모션 벡터, 영상의 구도 또는 스카이 라인을 검출하고,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제1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
제1영역을 설정하는 구성을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일 예로, 제어부(153)는 입력되는 영상의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을 추출하고, 추출된 제1프레임과 제2프레임을 비교하여 모션 벡터를 검출하고 검출된 모션 벡터가 수렴되는 영역을 확인하고 확인된 영역을 제1영역으로 설정한다.
여기서 모션 벡터가 수렴되는 영역은 모션 벡터가 만나는 소실점을 갖을 수 있다.
아울러 제어부(153)는 소실점이 위치하는 소실점 영역과, 소실점 영역의 주변 영역을 제1영역으로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제1프레임은 제2프레임보다 먼저 표시되는 프레임이다.
다른 예로, 제어부(153)는 영상 내 오브젝트에 기초하여 영상의 구도를 확인하고 확인된 구도가 사선 구도이면 오브젝트의 에지가 수렴되는 영역을 확인하고, 확인된 영역을 제1영역으로 설정한다.
여기서 오브젝트의 에지가 수렴되는 영역은, 오브젝트의 에지가 만나는 소실점을 갖을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제어부(153)는 입력되는 영상 내 스카이 라인이 존재하는지 확인하고, 스카이 라인이 존재한다고 판단되면 미리 설정된 영역을 제1 영역으로 설정한다.
여기서 미리 설정된 영역은 영상의 복수 영역 중의 중앙 영역을 포함한다.
또한 미리 설정된 영역은 중앙 영역과, 그 중앙 영역의 주변 영역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아울러 스카이 라인이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것은, 오브젝트와 하늘이 만나는 지점을 연결하였을 때 연결된 선이 일정 길이 이상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것을 포함한다.
저장부(154)는 제1영역 및 제2영역을 스케일링하기 위한 비율을 저장한다.
또한 저장부(154)는 영상을 갖는 컨텐츠 등을 저장할 수 있다.
구동부(155)는 제어부(153)의 명령에 기초하여 표시부(140)을 구동시킨다.
통신부(156)는 리모컨(미도시)에서 전송된 버튼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버튼 신호를 제어부(153)에 전송한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순서도이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입력부(130)나 통신부(156)에 전원 온 신호가 입력되면 전원을 온 시키고, 대기 화면을 표시하고 사용자에 의해 컨텐츠 재생 명령이 입력되면 입력된 컨텐츠의 영상을 표시한다.
아울러 디스플레이 장치는 텔레비전의 경우 이전에 선국된 채널의 방송 신호 중 비디오 신호를 영상으로 표시한다.
즉 디스플레이 장치는 튜너부, 인터페이스부나 저장부에서 영상을 입력(161)받고, 입력된 영상의 신호 처리를 수행(162)한다.
여기서 신호 처리는 영상 신호와 사운드 신호를 분리하는 것을 포함하고, 아날로그의 영상 신호를 디지털의 영상 신호로 변환하는 것도 포함할 수 있다.
다음 디스플레이 장치는 신호 처리된 영상을 분석(163)하고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오브젝트를 추출(164)한다.
영상 분석은 입력된 영상의 출력 순서에 기초하여 복수 개의 프레임을 추출하고, 추출된 복수 개의 프레임 중 적어도 두 개의 프레임을 비교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두 개의 프레임은 제1프레임과 제2프레임이며, 제1프레임이 표시된 후 제2프레임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오브젝트를 추출하는 것은, 복수 프레임의 영상의 밝기, 적어도 하나의 물체의 속도, 크기, 높이, 조밀도, 색조를 분석 및 비교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다음 디스플레이 장치는 영상의 복수 영역 중 오브젝트가 속하는 영역을 제1영역으로 설정하고, 제1영역을 제외한 영역을 제2영역으로 설정한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1영역을 1보다 작은 제1비율로 스케일링하고, 제2영역을 제1비율보다 큰 제2비율로 스케일링함으로써 영상의 스케일링을 조정(165)하고, 스케일링이 조정된 영상을 출력(166)한다.
여기서 영상의 스케일링을 조정하는 구성을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 도 5 및 도 6는 오브젝트가 줌 인 될 때의 영상 스케일링 순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a)의 제1프레임은 오브젝트 A를 갖고, (b)의 제2프레임은 제1프레임의 오브젝트가 줌 인된 오브젝트(A)를 갖는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1프레임을 표시한 후 제2프레임을 표시하는 데, 이때 오브젝트는 확대되어 표시된다.
여기서 제2프레임은 제1프레임을 스케일링하기 위한 참조 프레임으로,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1프레임 표시 시 제2프레임을 참조하여 제1프레임의 스케일링을 조정한 후 제1프레임을 표시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1프레임의 오브젝트와 제2프레임에서 오브젝트를 각각 검출하되 동일한 오브젝트를 적어도 하나 이상 검출하고, 검출된 제1프레임의 오브젝트와 제2프레임의 오브젝트의 위치 및 크기를 비교하여 모션 벡터를 검출하며, 검출된 모션 벡터가 수렴되는 소실점(p)을 검출한 후 소실점이 위치하는 영역을 확인한다.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의 제1프레임은 복수의 영역(a1-a7, b1-b7, c1-c7, d1-d7, e1-e7)을 포함하며, 이 복수의 영역은 동일한 비율(예를 들어, 1)로 스케일링된 일정 크기의 블록으로 형성된다.
즉, 복수의 영역의 각 블록은 모두 가로 w0, 세로 h0의 크기를 갖는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소실점의 위치에 기초하여 복수 영역을 서로 다른 비율로 각각 스케일링함으로써 복수 영역이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지도록 한다.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는 소실점의 위치를 확인하고, 소실점의 위치가 속하는 영역(c4)을 확인하고, 소실점이 속하는 영역인 제1영역(c행, 4열)을 1보다 작은 비율로 다운 스케일링 한다.
그리고 복수 영역 중 제1영역을 제외한 제2영역(c행, 4열을 제외한 영역)을 제1영역의 스케일링 비율보다 큰 비율로 스케일링한다.
이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도 6의 (a)의 각 영역은 가로(w0) 비율 1, 세로(h0) 비율 1로 미리 스케일링 되었다고 가정하고 설명한다.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1영역(c4)이 속하는 c행과 제4열을 1보다 작은 비율로 스케일링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1영역이 속하는 제4열의 가로(w1)를 비율 0.9로, c행의 세로(h1)를 비율 0.9로 스케일링한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2영역을 제1영역의 비율보다 큰 비율로 스케일링하되, 제1영역(c4)에서 먼 영역일 수록 더 큰 비율로 스케일링한다.
예를 들어, 제2영역의 제3열과 제5열의 가로(w2)는 비율 0.95로, 제2열과 제6열의 가로(w3)는 비율 1로, 제1열과 제7열의 가로(w4)는 비율 1.1로 스케일링하고, b행과 d행의 세로(h2)는 비율 1로, a행과 e행의 세로(h3)는 비율 1.05로 스케일링한다.
본 실시 예는 복수 영역의 가로 비율과 세로의 비율을 모두 조정하였지만, 복수 영역의 행의 가로 비율만을 조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는 소실점이 속하는 제1영역의 비율을 제2영역의 비율보다 작게 조정함으로써 곡면 디스플레이와 같은 효과를 줄 수 있다.
도 7, 도 8 및 도 9는 오브젝트가 줌 아웃 될 때의 영상 스케일링 순서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a)의 제1프레임은 오브젝트 A를 갖고, (b)의 제2프레임은 제1프레임의 오브젝트가 줌 아웃된 오브젝트 A를 갖는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1프레임을 표시한 후 제2프레임을 표시하는 데, 이때 오브젝트는 축소되어 표시된다.
여기서 제2프레임은 제1프레임을 스케일링하기 위한 참조 프레임으로,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1프레임 표시 시 제2프레임을 참조하여 제1프레임의 스케일링을 조정한 후 제1프레임을 표시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1프레임의 오브젝트와 제2프레임에서 오브젝트를 각각 검출하되 동일한 오브젝트를 적어도 하나 이상 검출하고, 검출된 제1프레임의 오브젝트와 제2프레임의 오브젝트의 위치 및 크기를 비교하여 모션 벡터를 검출하며, 검출된 모션 벡터가 수렴되는 소실점(p)을 검출한 후 소실점이 위치하는 영역을 확인한다.
도 9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의 제1프레임은 복수의 영역(a1-a7, b1-b7, c1-c7, d1-d7, e1-e7)을 포함하며, 이 복수의 영역은 동일한 비율로 스케일링된 일정 크기의 블록으로 형성된다.
즉, 복수의 영역의 각 블록은 모두 가로 w0, 세로 h0의 크기를 갖는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소실점의 위치에 기초하여 복수 영역을 서로 다른 비율로 각각 스케일링함으로써 복수 영역이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지도록 한다.
도 9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는 소실점의 위치를 확인하고, 소실점의 위치가 속하는 영역(c4)을 확인하고, 소실점이 속하는 영역인 제1영역(c행, 4열)을 1보다 작은 비율로 다운 스케일링 한다.
그리고 복수 영역 중 제1영역이 속하는 영역(c행, 제4열)을 제외한 제2영역을 제1영역의 스케일링 비율보다 큰 비율로 스케일링한다.
이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도 9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영역은 미리 설정된 비율, 즉 가로(w0) 비율 1, 세로(h0) 비율 1로 스케일링 되어 있다.
도 9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1영역이 속하는 c행과 제4열을 미리 설정된 비율인 1보다 작은 비율로 스케일링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1영역이 속하는 제4열의 가로(w1)를 비율 0.9로, c행의 세로(h1)를 비율 0.9로 스케일링한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2영역의 제3열과 제5열의 가로(w2) 비율을 0.95로, 제2열과 제6열의 가로(w3) 비율을 1로, 제1열과 제7열의 가로(w4) 비율을 1.1로 스케일링하고, b행과 d행의 세로(h2) 비율을 1로, a행과 e행의 세로(h3) 비율을 1.05로 스케일링한다.
여기서 제1열과 제7열과, a행과 e행이 속하는 영역은 업 스케일링된다고 볼 수 있다.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는 소실점이 위치한 제1영역이 속하는 영역의 비율을 제2영역의 비율보다 작게 함으로써 곡면 디스플레이와 같은 효과를 줄 수 있다.
도 10, 도 11 및 도 12는 오브젝트의 위치가 이동했을 때의 영상 스케일링 순서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a)의 제1프레임은 오브젝트 A를 갖고, (b)의 제2프레임은 제1프레임의 오브젝트가 줌 아웃된 상태에서 위치가 이동된 오브젝트A를 갖는다.
즉,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1프레임을 표시한 후 제2프레임을 표시하는데 이때, 오브젝트는 축소 표시되되 위치가 이동되어 표시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1프레임의 오브젝트와 제2프레임에서 오브젝트를 각각 검출하되 동일한 오브젝트를 적어도 하나 이상 검출하고, 검출된 제1프레임의 오브젝트와 제2프레임의 오브젝트의 위치 및 크기를 비교하여 모션 벡터를 검출하며, 검출된 모션 벡터가 수렴되는 소실점(p)을 검출한 후 소실점이 위치하는 영역을 확인한다.
도 1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의 제1프레임은 복수의 영역(a1-a7, b1-b7, c1-c7, d1-d7, e1-e7)을 포함하며, 이 복수의 영역은 동일한 비율로 스케일링된 일정 크기의 블록으로 형성된다.
즉, 복수 영역의 각 블록은 모두 가로 w0, 세로 h0의 크기를 갖는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소실점의 검출 결과에 따라 일정 크기의 복수 영역을 서로 다른 비율로 각각 스케일링함으로써 서로 다른 크기의 복수 영역을 갖도록 한다.
도 1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는 소실점의 위치를 확인하고, 소실점의 위치가 속하는 영역(a6)을 확인하고, 소실점이 속하는 영역인 제1영역(a행, 6열)을 1보다 작은 비율로 다운 스케일링 한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장치는 복수 영역 중 제1영역을 제외한 제2영역(a행, 6열을 제외한 영역)을 제1영역의 스케일링 비율보다 큰 비율로 스케일링한다.
이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도 1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영역은 미리 설정된 비율, 즉 가로(w0) 비율 1, 세로(h0) 비율 1로 스케일링 되어 있다.
도 1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1영역이 속하는 a행과 제6열을 미리 설정된 비율인 1보다 작은 비율로 스케일링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1영역이 속하는 제6열의 가로(w1) 비율을 0.9로, c행의 세로(h1) 비율을 0.9로 다운 스케일링한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2영역의 제5열과 제7열의 가로(w2) 비율을 0.95로, 제3열과 제4열의 가로(w3) 비율을 1로, 제1열과 제2열의 가로(w4) 비율을 1.1로, b행과 c행의 세로(h2) 비율을 1로, d행과 e행의 세로(h3) 비율을 1.05로 스케일링한다.
여기서 제1열과 제2열과, d행과 e행이 속하는 영역은 업 스케일링된다고 볼 수 있다.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는 소실점이 속하는 제1영역의 비율을 제2영역의 비율보다 작게 조정함으로써 곡면 디스플레이의 효과를 줄 수 있다.
도 13 및 도 14는 영상 내 오브젝트의 구도가 사선 구도로, 한 방향으로 기울 때 영상 스케일링 순서도이다.
도 1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은 사선 구도를 갖는 오브젝트를 갖는다.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는 표시하고자 하는 프레임의 영상이 사선 구도를 갖는 영상이라고 판단되면 사선 구도에서의 소실점을 확인한다.
도 1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는 오브젝트의 에지가 수렴되는 소실점(p)을 검출한 후 소실점이 위치하는 영역을 확인한다.
도 1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은 복수의 영역(a1-a7, b1-b7, c1-c7, d1-d7, e1-e7)을 포함하며, 이 복수의 영역은 동일한 비율로 스케일링된 일정 크기의 블록으로 형성된다.
즉, 복수 영역의 각 블록은 모두 가로 w0, 세로 h0의 크기를 갖는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소실점의 검출 결과에 따라 일정 크기의 복수 영역을 서로 다른 비율로 각각 스케일링함으로써 서로 다른 크기의 복수 영역을 갖도록 한다.
도 1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는 소실점의 위치를 확인하고, 소실점의 위치가 속하는 영역(c7)을 확인하고, 소실점이 속하는 영역인 제1영역(c행, 제7열)을 1보다 작은 비율로 다운 스케일링 한다.
그리고 복수 영역 중 제1영역을 제외한 제2영역(c행, 제7열)을 제외한 영역)을 제1영역의 스케일링 비율보다 큰 비율로 스케일링한다.
이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도 1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영역은 미리 설정된 비율, 즉 가로(w0) 비율 1, 세로(h0) 비율 1로 스케일링 되어 있다.
도 1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1영역이 속하는 c행과 제7열을 1보다 작은 비율로 다운 스케일링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1영역이 속하는 제7열의 가로(w1) 비율을 0.9로, c행의 세로(h1) 비율을 0.9로 스케일링한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2영역의 제5열과 제6열의 가로(w2) 비율을 0.95로, 제4열의 가로(w3) 비율을 1로, 제2열과 제3열의 가로(w4) 비율을 1.05로, 제1열의 가로(w5) 비율을 1.1로 스케일링하고, b행과 c행의 세로(h2) 비율을 0.95로, d행과 e행의 세로(h3) 비율을 1.1로 스케일링한다.
여기서 제1열, 제2열, 제3열, d행, e행이 속하는 영역은 업 스케일링된다고 볼 수 있다.
아울러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1열의 세로(h0)의 비율을 유지시킨 후 제7열의 세로(h2=0.95, h3=1.1)의 비율만을 조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제2열 내지 제5열의 세로의 비율은 제1열과 제7열의 기울기에 기초하여 조정 가능하다.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는 오브젝트의 구도에 기초하여 스케일링 비율을 달리함으로써 오브젝트의 구도감을 향상시킬 수 있디.
도 15 및 도 16은 영상 내에 스카이 라인이 존재할 때의 영상 스케일링 순서도이다.
도 1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은 오브젝트와 하늘을 포함한다.
도 1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는 오브젝트와 하늘이 만나는 지점을 연결하여 스카이 라인을 검출한다.
아울러 오브젝트의 에지를 연결하여 스카이 라인을 검출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은 복수의 영역(a1-a7, b1-b7, c1-c7, d1-d7, e1-e7)을 포함하며, 이 복수의 영역은 동일한 비율로 스케일링된 일정 크기의 블록으로 형성된다. 즉, 복수 영역의 각 블록은 모두 가로 w0, 세로 h0의 크기를 갖는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스카이 라인이 검출되면 일정 크기의 복수 영역을 서로 다른 비율로 각각 스케일링함으로써 서로 다른 크기의 복수 영역을 갖도록 한다.
도 1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는 미리 설정된 영역을 제1영역으로 설정하고, 설정된 제1영역(c행, 제4열)을 1보다 작은 비율로 다운 스케일링 한다.
그리고 복수 영역 중 제1영역을 제외한 제2영역(c행, 제4열을 제외한 영역)을 제1영역의 스케일링 비율보다 큰 비율로 스케일링한다.
이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도 1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영역은 미리 설정된 비율, 즉 가로(w0) 비율 1, 세로(h0) 비율 1로 스케일링 되어 있다.
도 1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1영역이 속하는 c행과 제4열을 1보다 작은 비율로 다운 스케일링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1영역의 제4열의 가로(w1) 비율을 0.9로, c행의 세로(h1) 비율을 0.9로 다운 스케일링한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2영역의 제3열과 제5열의 가로(w2) 비율을 0.95로, 제2열과 제6열의 가로(w3) 비율을 1로, 제1열과 제7열의 가로(w4) 비율을 1.1로, b행과 d행의 세로(h2) 비율을 1로, a행과 e행의 세로(h3) 비율을 1.05로 스케일링한다.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는 소실점이 위치한 제1영역의 비율을 제2영역의 비율보다 작게 함으로써 곡면 디스플레이의 효과를 줄 수 있다.
도 17은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도이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부는, 일 실시 예와 달리 오브젝트 추출부(171), 스케일링부(172), 오프셋 조정부(173) 및 합성부(174)를 포함한다.
오브젝트 추출부(171)는 영상을 분석하여 오브젝트를 추출한다.
여기서 영상을 분석하는 것은, 강조하고자 하는 오브젝트를 추출하는 것으로, 영상의 밝기, 선명도, 적어도 하나의 물체의 속도, 크기, 높이, 조밀도, 중첩, 색조를 분석하여 오브젝트를 찾는 것을 포함한다.
스케일링부(172)는 오브젝트가 속한 영역이나, 또는 그 주변 영역을 더 포함시켜 제1영역으로 설정하고 설정된 제1영역에 가우시안 분포에 기초한 스케일링 게인을 곱하여 제1영역을 업 스케일링 한다.
오프셋 조정부(173)는 원본 영상 내 복수 영역의 크기와 스케일링된 제1영역의 크기의 차이를 산출하고 산출된 차이에 기초하여 나머지 영역인 제2영역을 스케일링한다.
합성부(174)는 스케일링된 제1영역과 제2영역을 합성하여 오브젝트가 업 스케일링된 영상을 출력한다.
아울러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는 표시부의 종횡비와 영상의 종횡비를 각각 확인하고, 표시부의 종횡비와 영상의 종횡비가 다르다고 판단되면 스케일링부와 오프셋 조정부를 제어하여 스케일링된 제1영역과 제2영역을 일정 비율로 재 스케일링하되 업 스케일링함으로써 표시부의 좌우 측면의 블랭크(Black)가 최소화 되도록 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종횡비가 21: 9이고 영상의 종횡비가 16:9라고 판단되면 스케일링부와 오프셋 조정부를 제어하여 스케일링된 제1영역과 제2영역을 일정 비율로 재 스케일링할 수 있다.
도 18은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순서도이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입력부(130)나 통신부(156)에 전원 온 신호가 입력되면 전원을 온 시키고, 대기 화면을 표시하거나, 텔레비전의 경우 이전에 선국된 채널의 방송 신호 중 영상을 표시하거나, 또는 사용자에 의해 컨텐츠 재생 명령이 입력되면 입력된 컨텐츠의 영상을 표시한다.
즉 디스플레이 장치는 튜너부, 인터페이스부나 저장부에서 영상을 입력(181)받고, 입력된 영상의 신호 처리를 수행(182)한다.
여기서 신호 처리는 영상 신호와 사운드 신호를 분리하는 것을 포함하고, 아날로그의 영상 신호를 디지털의 영상 신호로 변환하는 것도 포함할 수 있다.
다음 디스플레이 장치는 신호 처리된 영상을 분석하고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오브젝트를 추출(183)한다.
여기서 오브젝트를 추출하는 것은, 복수 프레임의 영상의 밝기, 적어도 하나의 물체의 속도, 크기, 높이, 조밀도, 색조를 분석 및 비교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다음 디스플레이 장치는 영상의 복수 영역 중 오브젝트가 속하는 영역을 제1영역으로 설정하고, 제1영역을 제외한 영역을 제2영역으로 설정한다.
아울러 오브젝트가 속하는 영역의 주변 영역도 제1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1영역을 미리 설정된 비율로 업 스케일링(184)하고, 미리 설정된 비율에 기초하여 제 2영역을 다운 스케일링(185)함으로써 영상의 스케일링을 조정하고, 스케일링이 조정된 영상을 출력(186)한다.
여기서 미리 설정된 비율은 가우시안 분포에 기초하여 설정된 비율로, 1보다 큰 비율이다.
오브젝트의 스케일링을 조정하는 구성을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9 및 도 20은 영상 내 오브젝트를 업 스케일링 하는 순서도이다.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는 영상 내 오브젝트(ob)를 검출한다.
도 20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은 복수의 영역(a1-a7, b1-b7, c1-c7, d1-d7, e1-e7)을 포함하며, 이 복수의 영역은 동일한 비율로 스케일링된 일정 크기의 블록으로 형성된다. 즉, 복수 영역의 각 블록은 모두 가로 w0, 세로 h0의 크기를 갖는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오브젝트의 검출 결과에 따라 일정 크기의 복수 영역을 서로 다른 비율로 각각 스케일링함으로써 서로 다른 크기의 복수 영역을 갖도록 한다.
도 20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는 오브젝트의 위치를 확인하고, 오브젝트가 속하는 영역(b3, b4, b5, c3, c4, c5, d4)을 확인하고, 오브젝트가 속하는 영역인 제1영역(b3, b4, b5, c3, c4, c5, d4)을 1보다 큰 비율로 업 스케일링 한다.
여기서 제1영역을 업 스케일링하는 것은, 오브젝트의 중앙 영역(c4)을 가장 큰 비율로 스케일링하고, 중앙 영역(c4)의 주변 영역(b3, b4, b5, c3, c5, d4)을 중앙 영역보다 작은 비율로 스케일링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장치는 복수 영역 중 제1영역을 제외한 제2영역을 제1영역의 스케일링 비율보다 작은 비율로 스케일링한다.
여기서 제2영역을 스케일링하는 것은, 업 스케일링된 제1영역의 크기를 고려하여 제2영역의 크기를 줄이는 것으로, 제1영역의 크기의 조정 정도를 고려하여 제2영역의 크기를 줄임으로써 오브젝트를 강조한 영상을 생성한 후에도 원본 영상과 같은 크기의 영상을 얻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즉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2영역을 다운 스케일링한다.
아울러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2영역 스케일링 시, 제1영역에 인접한 제2영역의 스케일링 비율을, 제1영역에서 이격된 제2영역의 스케일링 비율 보다 낮은 비율로 스케일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1영역에 인접한 제2영역(a2, a3, a4, a5, a6, b2, b6, c2, c6, d2, d6, e2, e3, e4, e5, e6)을 1보다 작은 비율로 스케일링하고, 나머지 제2영역(1열, 7열)을 비율 1로 유지시킨다.
여기서 제1영역에 인접한 제2영역(a2, a3, a4, a5, a6, b2, b6, c2, c6, d2, d6, e2, e3, e4, e5, e6)을 다운 스케일링 시의 비율은 제1영역의 비율에 기초하여 정해질 수 있다.
아울러 나머지 제2영역(제1열, 제7열)을 제1영역에 인접한 제2영역의 비율보다 높은 비율로 스케일링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는 오브젝트의 영역을 업 스케일링함으로써, 영상 내 오브젝트를 강조하여 표시할 수 있다.
도 21 및 도 22는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영상 스케일링 예시도이다.
도 21의 (a)는 표시부의 종횡비가 16:9인 디스플레이 장치이고, (b)는 표시부의 종횡비가 21:9인 디스플레이 장치이다.
도 2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의 종횡비와 표시부의 종횡비가 16:9로 일치하면 표시부에 꽉 찬 영상이 표시되도록 수 있다.
하지만 도 2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의 종횡비가 16:9이고, 표시부의 종횡비가 21:9이면 영상의 종횡비와 표시부의 종횡비가 일치하지 않아 표시부의 양 측면에 블랭크가 발생된다.
본 실시 예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영상의 종횡비와 표시부의 종횡비가 일치하지 않으면 영상을 스케일링 하고 스케일링된 영상이 표시부에 표시되도록 함으로써 표시부의 양측면에 생기는 블랭크의 크기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이를 도 2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은 복수의 영역(a1-a10, b1-b10, c1-c10, d1-d10, e1-e10)을 포함하며, 이 복수의 영역은 동일한 비율로 스케일링된 일정 크기의 블록으로 형성된다.
즉, 복수의 영역은 모두 가로 w0, 세로 h1의 크기를 갖는다.
이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는 종횡비가 일치되지 않은 영상 표시 시, 표시부의 양 측면에 블랭크(wb)가 발생된다.
도 2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는 오브젝트를 추출하고 추출된 오브젝트가 속한 제1영역을 확인하고, 확인된 제1영역(제5열, 제6열)을 업 스케일링한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1영역이 속하는 제5열과 제6열의 가로(w1)를 비율 1.3으로 스케일링한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2영역인 제4열과 제7열의 가로(w2) 비율을 1로 스케일링하며, 제3열과 제8열의 가로(w3) 비율을 0.9로 스케일링하며, 제2열과 제9열의 가로(w4) 비율을 0.8로 스케일링하고, 제1열과 제10열의 가로(w5) 비율을 0.7로 스케일링한다.
아울러, 디스플레이 장치는 b행, c행, d행도 업 스케일링 하고 a행과 e행을 다운 스케일링 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1영역 및 제2영역의 가로 비율에 미리 설정된 일정 비율(예를 들어, 비율 1.4)을 추가적으로 반영하여 재 스케일링한다.
이에 따라 본 실시 예는 종횡비가 21:9인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하여 오브젝트를 강조 표시하면서 양 측면의 블랭크의 폭(w6)을 최소화할 수 있다.
100: 디스플레이 장치 110: 베젤
120: 스탠드 130: 입력부
140: 표시부 150: 구동 모듈

Claims (29)

  1. 입력되는 영상에서 오브젝트를 검출하고, 상기 영상을 상기 검출된 오브젝트가 속한 제1영역과, 상기 제1영역을 제외한 제2 영역으로 구분하고, 상기 제1영역과 제2 영역을 서로 다른 스케일링 비율로 조정하는 제어부;
    상기 스케일링이 조정된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되는 영상의 프레임은 동일 크기로 분할된 복수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 영역 중 제 1영역은, 1보다 작은 비율로 스케일링 되고,
    상기 복수 영역 중 제2영역은, 상기 제1영역의 비율보다 큰 비율로 스케일링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영역 스케일링 시, 상기 제1영역에 인접한 영역에서 먼 영역일수록 더 큰 스케일링 비율로 조정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되는 영상의 제1프레임과 제2프레임을 비교하여 모션 벡터를 검출하고, 상기 모션 벡터에 기초하여 상기 검출된 모션이 수렴하는 소실점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소실점이 위치하는 영역을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영역을 제1영역으로 설정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의 구도를 검출하고 검출된 구도에 기초하여 소실점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소실점이 위치하는 영역을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영역을 제1영역으로 설정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되는 영상 내 스카이 라인이 존재하는지 확인하고, 상기 스카이 라인이 존재하면 미리 설정된 영역을 제1 영역으로 설정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출된 오브젝트가 속한 제1영역을 미리 설정된 비율로 업 스케일링하고, 상기 미리 설정된 비율에 기초하여 상기 제2영역을 다운 스케일링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설정된 비율은,
    가우시안 분포에 대응하는 비율인 디스플레이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영상을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0. 입력되는 영상의 모션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모션이 수렴하는 제1 영역을 확인하고, 상기 제1영역과 상기 제1영역을 제외한 제2영역을 서로 다른 스케일링 비율로 조정하는 제어부;
    상기 스케일링이 조정된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되는 영상의 프레임은 동일 크기로 분할된 복수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 영역 중 제 1영역은, 1보다 작은 비율로 스케일링 되고,
    상기 복수 영역 중 제2영역은, 상기 제1영역의 비율보다 큰 비율로 스케일링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영역 스케일링 시, 상기 제1영역에 인접한 영역에서 먼 영역일수록 더 큰 스케일링 비율로 조정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되는 영상을 이루는 제1프레임과 제2프레임을 비교하여 모션 벡터를 검출하고, 상기 모션 벡터에 기초하여 소실점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소실점이 위치하는 영역을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영역을 제1영역으로 설정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4. 입력되는 영상 내 스카이 라인이 존재하는지 확인하고, 상기 스카이 라인이 존재하면 미리 설정된 제1 영역과 상기 제1영역을 제외한 제2영역을 서로 다른 스케일링 비율로 조정하고, 상기 스카이 라인이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제1영역과 제2영역을 동일한 스케일링 비율로 조정하는 제어부;
    상기 스케일링이 조정된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되는 영상의 프레임은 동일 크기로 분할된 복수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 영역 중 제 1영역은, 1보다 작은 비율로 스케일링 되고,
    상기 복수 영역 중 제2영역은, 상기 제1영역의 비율보다 큰 비율로 스케일링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영역 스케일링 시, 상기 제1영역에 인접한 영역에서 먼 영역일수록 더 큰 스케일링 비율로 조정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7. 입력되는 영상에서 오브젝트를 추출하고, 상기 오브젝트가 속한 제1영역을 미리 설정된 비율로 상승시켜 조정하고, 상기 미리 설정된 비율에 기초하여 상기 제1영역을 제외한 제2영역의 스케일링을 조정하는 제어부;
    상기 스케일링이 조정된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설정된 비율은,
    가우시안 분포에 대응하는 비율인 디스플레이 장치.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오브젝트를 추출하는 오브젝트 추출부;
    상기 오브젝트가 속한 제1영역을 미리 설정된 비율로 스케일링하는 스케일링부;
    상기 입력된 영상의 크기와 상기 스케일링된 제1영역의 크기의 차이에 대응하는 오프셋 값을 산출하고, 산출된 오프셋 값에 기초하여 상기 제2영역을 스케일링 하는 오프셋 조정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0.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표시부의 종횡비와 상기 입력되는 영상의 종횡비가 상이하면 상기 스케일링된 제1영역과 제2영역을 일정 비율로 재스케일링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1. 영상이 입력되면 입력되는 영상에서 오브젝트를 추출하고,
    상기 영상을 상기 추출된 오브젝트가 속한 제1영역과, 상기 제1영역을 제외한 제2 영역으로 구분하고,
    상기 제1영역과 제2 영역을 서로 다른 스케일링 비율로 조정하고,
    상기 스케일링이 조정된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영역과 제2 영역을 서로 다른 스케일링 비율로 조정하는 것은,
    상기 제 1영역을 1보다 작은 비율로 스케일링하고,
    상기 제2영역을 상기 제1영역의 비율보다 큰 비율로 스케일링하는 것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23.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영역을 스케일링하는 것은,
    상기 제1영역에 인접한 영역보다 먼 영역일 수록 더 큰 비율로 스케일링하는 것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24.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영역을 구분하는 것은,
    상기 입력되는 영상의 모션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모션이 수렴하는 영역을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영역을 제1 영역으로 설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25.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영역을 구분하는 것은,
    상기 입력되는 영상을 이루는 제1프레임과 제2프레임을 비교하여 모션 벡터를 검출하고,
    상기 모션 벡터에 기초하여 소실점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소실점이 위치하는 영역을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영역을 제1영역으로 설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26.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영역을 구분하는 것은,
    상기 오브젝트에 기초하여 영상의 구도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구도에 기초하여 소실점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소실점이 위치하는 영역을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영역을 제1영역으로 설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27.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영역을 구분하는 것은,
    상기 입력되는 영상 내 오브젝트의 에지에 기초하여 스카이 라인이 존재하는지 확인하고,
    상기 스카이 라인이 존재하면 미리 설정된 영역을 제1 영역으로 설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28.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영역과 제2 영역을 서로 다른 스케일링 비율로 조정하는 것은,
    상기 제1영역을 미리 설정된 비율로 업 스케일링하고,
    상기 미리 설정된 비율에 기초하여 상기 제2영역을 다운 스케일링하는 것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29.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설정된 비율은,
    가우시안 분포에 대응하는 비율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KR1020140117199A 2014-09-03 2014-09-03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2678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7199A KR102267871B1 (ko) 2014-09-03 2014-09-03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4/744,719 US9904980B2 (en) 2014-09-03 2015-06-19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le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7199A KR102267871B1 (ko) 2014-09-03 2014-09-03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8286A true KR20160028286A (ko) 2016-03-11
KR102267871B1 KR102267871B1 (ko) 2021-06-23

Family

ID=554030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7199A KR102267871B1 (ko) 2014-09-03 2014-09-03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904980B2 (ko)
KR (1) KR10226787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03951B2 (en) 2018-12-26 2021-05-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method thereof
CN113538431A (zh) * 2021-09-16 2021-10-22 深圳市鑫信腾科技股份有限公司 显示屏瑕疵定位方法、装置、终端设备及系统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82947B (zh) * 2018-12-29 2022-08-19 努比亚技术有限公司 一种柔性屏显示控制方法、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1831243A (zh) * 2019-04-18 2020-10-27 三星电子株式会社 显示装置、用户终端装置、以及装置的控制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90028A (en) * 1986-09-12 1988-12-06 Westinghouse Electric Corp.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variably scaled displays
US6421463B1 (en) * 1998-04-01 2002-07-16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Trainable system to search for objects in images
US7158158B1 (en) * 2003-03-12 2007-01-02 Apple Computer,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nonlinear anamorphic scaling of video images
WO2014041860A1 (ja) * 2012-09-14 2014-03-20 ソニー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16033B2 (ja) * 1997-07-02 2000-12-11 一成 江良 動画データ作成方法および動画データ表示方法
JP2001188639A (ja) * 1999-12-28 2001-07-10 Internatl Business Mach Corp <Ibm> 拡大および縮小領域を表示する方法および装置
US6654067B1 (en) * 1999-12-30 2003-11-25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Finding hidden images in video based on detected proximity of cuts
US8416266B2 (en) * 2001-05-03 2013-04-09 Noregin Assetts N.V., L.L.C. Interacting with detail-in-context presentations
US6965379B2 (en) * 2001-05-08 2005-11-15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N-view synthesis from monocular video of certain broadcast and stored mass media content
EP1393296A4 (en) * 2001-06-08 2008-09-03 Univ Southern California PICTURE EDITING WITH BIG DYNAMIC CIRCUMFERENCE
CA2370752A1 (en) * 2002-02-05 2003-08-05 Idelix Software Inc. Fast rendering of pyramid lens distorted raster images
CA2406131A1 (en) * 2002-09-30 2004-03-30 Idelix Software Inc. A graphical user interface using detail-in-context folding
CA2449888A1 (en) * 2003-11-17 2005-05-17 Idelix Software Inc. Navigating large images using detail-in-context fisheye rendering techniques
TW594184B (en) * 2003-10-01 2004-06-21 Display Optronics Corp M Multi-display monitor
US8106927B2 (en) * 2004-05-28 2012-01-31 Noregin Assets N.V., L.L.C. Graphical user interfaces and occlusion prevention for fisheye lenses with line segment foci
US7714859B2 (en) * 2004-09-03 2010-05-11 Shoemaker Garth B D Occlusion reduction and magnification for multidimensional data presentations
US7715656B2 (en) * 2004-09-28 2010-05-11 Qualcomm Incorporated Magnification and pinching of two-dimensional images
US7995078B2 (en) * 2004-09-29 2011-08-09 Noregin Assets, N.V., L.L.C. Compound lenses for multi-source data presentation
US7900158B2 (en) * 2005-08-04 2011-03-01 Microsoft Corporation Virtual magnifying glass with intuitive use enhancements
JP4825561B2 (ja) * 2006-03-29 2011-11-30 株式会社東芝 画像表示装置
US7574131B2 (en) * 2006-03-29 2009-08-11 Sunvision Scientific Inc. Object detection system and method
JP4724890B2 (ja) * 2006-04-24 2011-07-13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画像再生装置、画像再生方法、画像再生プログラム及び撮像装置
US20070273926A1 (en) * 2006-05-25 2007-11-29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Device and method for switching between image data objects
US7889212B2 (en) * 2006-09-07 2011-02-15 Apple Inc. Magnifying visual information using a center-based loupe
KR101472021B1 (ko) * 2008-09-02 2014-12-24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JP5525757B2 (ja) * 2009-05-18 2014-06-18 オリンパス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電子機器、及びプログラム
US9501837B2 (en) * 2014-10-01 2016-11-22 Lyrical Labs Video Compression Technology, LLC Method and system for unsupervised image segmentation using a trained quality metric
KR101290145B1 (ko) * 2011-05-31 2013-07-26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제어 방법 및 장치, 컴퓨터에 의해 독출될 수 있는 기록 매체, 그리고 단말장치
WO2014046038A1 (ja) * 2012-09-19 2014-03-27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撮像装置及び合焦確認表示方法
KR101618814B1 (ko) * 2012-10-09 2016-05-09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단일객체에 대한 기울기를 추정하는 영상을 감시하는 장치 및 방법
US20140300758A1 (en) * 2013-04-04 2014-10-09 Bao Tran Video processing systems and methods
US9129161B2 (en) * 2013-05-31 2015-09-08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Computationally efficient scene classification
JP6186184B2 (ja) * 2013-06-21 2017-08-23 株式会社ソニー・インタラクティブエンタテインメント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システム、および画像処理方法
CN104424649B (zh) * 2013-08-21 2017-09-26 株式会社理光 检测运动物体的方法和系统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90028A (en) * 1986-09-12 1988-12-06 Westinghouse Electric Corp.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variably scaled displays
US6421463B1 (en) * 1998-04-01 2002-07-16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Trainable system to search for objects in images
US7158158B1 (en) * 2003-03-12 2007-01-02 Apple Computer,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nonlinear anamorphic scaling of video images
WO2014041860A1 (ja) * 2012-09-14 2014-03-20 ソニー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03951B2 (en) 2018-12-26 2021-05-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method thereof
CN113538431A (zh) * 2021-09-16 2021-10-22 深圳市鑫信腾科技股份有限公司 显示屏瑕疵定位方法、装置、终端设备及系统
CN113538431B (zh) * 2021-09-16 2022-01-04 深圳市鑫信腾科技股份有限公司 显示屏瑕疵定位方法、装置、终端设备及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7871B1 (ko) 2021-06-23
US9904980B2 (en) 2018-02-27
US20160063673A1 (en) 2016-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57504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EP3291540B1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US8593510B2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US8605136B2 (en) 2D to 3D user interface content data conversion
US10698478B2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120327200A1 (en) Three-dimensional image correction device, three-dimensional image correction method, three-dimensional image display device, three-dimensional image reproduction device, three-dimensional image provision system,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US20140253694A1 (en) Processing video signals based on user focus on a particular portion of a video display
EP2405664A2 (en) Stereoscopic Glasses and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US20150036050A1 (en) Television control apparatus and associated method
KR20170065926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02598677A (zh) 图像显示设备及其图像显示方法
WO2011081036A1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KR102525575B1 (ko)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180028782A (ko)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267871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20160170597A1 (en)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method
KR102511363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방법
US20160300595A1 (en) Playback device for playing video content and operating method of the same
KR102147214B1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US11431909B2 (en) Electronic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WO2014050211A1 (ja) プログラム、表示装置、テレビジョン受信機、表示方法及び表示システム
JP5683550B2 (ja) 表示方法及び表示システム
JP5683551B2 (ja) プログラム、表示装置及びテレビジョン受信機
JP2014071163A (ja) プログラム、表示装置及びテレビジョン受信機
US20120069155A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image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