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27411A - 영상 분석을 통하여 환자의 낙상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영상 분석을 통하여 환자의 낙상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27411A
KR20160027411A KR1020140114076A KR20140114076A KR20160027411A KR 20160027411 A KR20160027411 A KR 20160027411A KR 1020140114076 A KR1020140114076 A KR 1020140114076A KR 20140114076 A KR20140114076 A KR 20140114076A KR 20160027411 A KR20160027411 A KR 201600274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patient
warning
bed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40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55969B1 (ko
Inventor
한수환
임판석
정수룡
이갑녀
윤대현
Original Assignee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1140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5969B1/ko
Publication of KR201600274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74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59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59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larm Systems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환자가 침상에서 낙상하는 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침대에 누워있는 환자를 촬영하는 촬영부와, 촬영부에서 촬영된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부와, 표시부에 표시된 영상에서 낙상의 위험을 판단할 기준이 되는 경고라인을 설정하는 설정부와, 설정부가 영상에 설정한 경고라인을 기반으로 촬영된 영상을 모니터링하고, 경고라인을 환자가 넘어서면 낙상의 위험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는 제어부와, 제어부가 낙상의 위험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면 외부로 경고상황을 알려주기 위한 경고부로 구성되어, 환자가 누워있는 침상을 촬영하고, 해당 촬영 영상에 낙상 가능성이 있는 위치를 사용자가 지정하여 환자가 해당 위치를 침범하면 낙상의 위험이 있음을 경고하는 방식을 통하여 환자의 낙상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영상 분석을 통하여 환자의 낙상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DEVICE AND METHOD OF PROTECTING PATIENT’S FALL AND HURT BY ANALYZING IMAGE}
본 발명은 환자가 침상에서 낙상하는 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환자가 침상에서 추락한 경우에는 이를 외부에 알려줄 뿐만 아니라 환자와 침상을 촬영하고 촬영한 영상을 분석하여 환자가 침상에서 추락할 수 있는 방향으로 이동하면 이를 일차적으로 경고하고, 환자의 낙상을 방지하는 장치를 구비하여 보호자(간병인) 없이 환자의 낙상을 적극적이고 효율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환자의 낙상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침상에서의 낙상은 병약한 환자에게 간병인이 없을 때 일어날 수 있는 가장 심각한 사고 중 하나로, 병노약자들은 낙상만으로도 심한 부상을 입을 수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방지 혹은 사후 빠른 조치가 필수적이다.
통상적으로 침상 측면에 낙상 사고 방지 위한 안전바를 설치하고 있으나, 이러한 안전바는 침상에 누워있는 환자들에게 답답함과 구속감 등의 불편을 줄 수 있으며, 오히려 환자 스스로 안전바를 내리고 침상에서 벗어나려다 낙상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위험이 있다.
이러한 기존의 낙상 감지 방법에 대한 취약점을 보완하고 보다 능동적인 낙상 방지를 구현하기 위한 낙상 감지 방지안을 살펴보면, 크게 영상 기반의 낙상 감지 방법, 센서가 장착된 특수 의복을 이용한 낙상 감지 방법, 환자의 낙상이 발생하는 지점에 설치된 센서의 조합으로 낙상을 감지하는 방법에 해당되는 세 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영상 기반의 낙상 감지 방법은, 영상 장치를 통한 이미지 데이터를 얻고 이를 신호 처리 기법으로 처리하여 환자의 낙상 여부를 알아내는 방법이나, 환자를 구속하는 장치가 없는 반면에 환자의 의복 색깔, 무늬 및 주변 조명에 민감하며, 이불 등의 외부 물질로 환자가 가려져 있을 때에는 환자의 정확한 위치를 파악하기 어려우며, 신호 처리를 통해 간접적인 방법으로 낙상 감지를 하기 때문에 정밀한 감지가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센서가 장착된 특수 의복을 이용한 낙상 감지의 경우, 가속도계 등이 환자에게 상시 부착되어 있어야 하므로, 센서가 장착된 특수 의복을 환자가 항상 착용하거나 환자의 특정 부위에 부착하여야 하므로, 이로 인해 이물감이나 불편함을 느낄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환자의 낙상이 발생하는 지점에 설치된 센서의 조합으로 환자의 낙상 여부를 감지하는 방법은, 침상 주변의 외부 물질과 같은 주변 요소에 취약하여 낙상 감지 여부의 정밀성을 구현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위와 같이, 기존의 낙상을 방지하기 위한 기술들은 환자가 침상에서 추락한 이후에 이를 외부로 경고를 하여 낙상을 사전에 방지하는 부분이 부족하거나, 물리적, 전기적 수단을 환자에게 구비하도록 강요하여 환자에게 불편을 줄 뿐만 아니라, 환자의 낙상 여부를 감지하여 외부로 알리기 위한 방법에만 초점을 맞추고 낙상에 물리적으로 대응하여 낙상 자체를 방지하기 위한 부분이 전혀 언급되어 있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114629호 : 영상 처리를 이용한 낙상 검출방법 및 이를 위한 영상 처리장치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사항을 고려하여 제안된 것으로, 환자가 누워있는 침상을 촬영하고, 해당 촬영 영상에 낙상 가능성이 있는 위치를 사용자가 지정하여 환자와 사용자가 지정한 위치를 영상 분석을 통하여 낙상의 위험이 있음을 경고함으로써 환자의 낙상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환자를 촬영한 영상 분석을 통하여 환자가 낙상의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된 경우에, 침상에 물리적 및 전기적 조치를 취하여 환자의 낙상 자체를 방지함으로써 환자의 낙상에 능동적이고 적극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환자의 낙상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상기 환자의 낙상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를 이용하여, 영상분석을 통한 환자의 낙상을 예방 및 경고하며, 나아가 환자의 낙상을 물리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환자의 낙상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영상 분석을 통하여 환자의 낙상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는 침대에 누워있는 환자를 촬영하는 촬영부와, 상기 촬영부가 촬영한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표시부 상에 표시된 영상에서 낙상 위험 판단의 기준이 되는 경고라인의 위치를 설정하는 설정부와, 상기 설정부가 설정한 경고라인을 기준으로 환자의 낙상 가능성을 판단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가 낙상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하면, 외부로 경고신호를 출력하는 경고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터치스크린이고, 상기 설정부는 상기 표시부를 터치하는 방식으로 경고라인을 설정하도록 구비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설정부는 설정된 상기 경고라인의 위치를 상시 재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경고라인은 상기 영상에 촬영된 침대 내측에 양측 가장자리와 인접하게 설정되는 두 개의 선이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경고라인 사이에 위치한 환자가 상기 경고라인 중 어느 하나만 넘어서더라도 낙상의 위험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경고부를 동작시킨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설정부는 상기 영상에 촬영된 침대의 양측 가장자리 또는 침대 외측에 양측 가장자리와 인접하게 위험라인을 더 설정할 수 있고, 상기 제어부는 환자가 상기 위험라인을 넘어가면 즉시 상기 경고부를 동작시킨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본 장치는 상기 침대의 양측에 결합되고, 상기 제어부가 상기 경고부를 동작시키면 상승 구동되어 상기 침대 양측에 벽을 형성하게 하는 사이드레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본 장치는 상기 촬영부가 촬영한 영상을 저장하는 저장부와, 유무선 통신망에 연결되어 상기 촬영부가 촬영한 영상 또는 상기 제어부가 판단한 환자의 낙상 위험 여부를 전달받아 외부 장치로 송출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본 장치는 상기 통신부와 무선통신 수단으로 연결되어, 환자의 낙상 위험 확인 및 상기 설정부를 대신하여 경고라인의 위치를 재조정 할 수 있는 호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촬영부는 어두운 환경 가운데서도 촬영을 하기 위한 적외선촬영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촬영부에서 촬영하던 영상 전체가 변위하거나, 침대의 위치가 변경되면 더 이상 환자의 낙상 위험을 판단할 수 없는 환경인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경고부를 동작 시킨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환자의 신체 중 사전에 설정된 비율에 해당하는 신체의 일부가 경고라인을 넘어서는 경우에 환자가 낙상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환자가 상기 경고라인을 넘어서는 방향에 따라 환자의 낙상 가능성을 다르게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영상 분석을 통하여 환자의 낙상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은, 표시부가 촬영부에서 촬영하는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 설정부가 상기 표시부에 표시된 영상 상에 환자가 넘어서게 되면 제어부가 낙상 위험이 있음을 판단하는 경고라인을 침대 내측에 상기 침대의 가장자리와 인접한 위치에 설정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영상에서 환자가 상기 경고라인을 넘는지 여부를 감시하는 단계, 영상에서 환자가 상기 경고라인을 넘으면 상기 제어부가 낙상 위험이 있음을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경고부를 구동시켜 경고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설정부가 상기 경고라인을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설정부가 침대의 양측 가장자리 또는 침대 외측에 상기 침대의 양측 가장자리와 인접하게 위험라인을 함께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설정부가 상기 경고라인의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설정부가 상기 영상 위에 설정된 경고라인 상에서 환자가 넘어서는 것을 감지하게 될 범위를 한정하는 유효라인을 함께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가 상기 촬영부에서 촬영하는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 다음에는, 저장부가 상기 촬영부가 촬영한 영상을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낙상 위험이 있음을 판단하는 단계 다음에는, 상기 제어부가 사이드레일을 구동시켜 침대 양측에 환자의 이동을 차단하기 위한 벽이 형성되게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낙상 위험이 있음을 판단하는 단계 다음에는, 상기 제어부가 통신부를 통해 호출부에 낙상 위험에 있는 환자의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영상 분석을 통하여 환자의 낙상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따르면 아래와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본 발명은 침대 위에 있는 환자를 모니터링하고, 만약 환자가 낙상의 위험이 있을 경우 이를 외부에 알리거나 환자에게 경고함으로써 낙상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둘째, 환자의 낙상 가능성에 대한 판단 기준이 되는 경고라인을 설정하고 해당 경고 라인을 기준으로 낙상 여부를 예비적으로 판단함으로써 환자의 낙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셋째, 경고라인의 외측에 위험라인이 추가로 설정되고, 환자가 위험라인을 넘어서게 되면 환자가 침대에서 추락한 것으로 판단하여 이를 외부로 알림으로써, 실제 환자의 낙상이 발생한 경우에 의료진이 신속한 조치를 취할 수 있다.
넷째, 환자의 낙상을 방지하기 위한 경고라인과 위험라인을 환자에게 부가적인 조치를 취하지 않고 사용자가 촬영한 영상 위에 직접 경고라인과 위험라인을 설정할 수 있으므로, 본 장치를 침대와 환자를 촬영할 수 있는 위치 어디에든 설치할 수 있다.
다섯째, 저장부가 환자를 촬영한 영상을 녹화하여 저장하고 필요 시 환자의 과거 모습이나 환자의 수면 습관을 분석하여, 환자마다 별도로 낙상 방지 프로그램 및 장치를 적용할 수 있다.
여섯째, 통신부가 환자를 촬영한 영상을 외부에 송출함으로써 원격으로 환자의 모습을 확인하고 조치를 취할 수 있다.
일곱째, 환자가 낙상 위험 상태일 때 통신부가 이를 의료진에게 보고함에 따라, 보호자가 환자 곁에 상주하지 않아도 환자를 보호할 수 있게 된다.
여덟째, 외부의 충격 등의 영향으로 촬영부의 촬영 각도가 변할 경우, 제어부가 이를 감지하여 촬영부의 촬영 각도를 사전에 설정된 상태로 조정함으로써, 촬영 상태가 불량하여 환자의 낙상을 판단하지 못하는 상황을 예방할 수 있다.
아홉째, 환자의 낙상이 일어날 가능성이 높을 경우에는 침대에 구비된 사이드레일 동작하여 침대의 바깥으로 환자가 떨어지는 것을 물리적으로 차단함으로써, 환자의 낙상을 능동적이고 적극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열 번째, 환자의 낙상을 예비적으로 판단하여 외부로 알리는 경우부터 환자의 낙상을 물리적으로 방지하는 경우까지 환자의 낙상이 발생할 대부분의 경우를 대비함으로써, 보호자(간병인)가 없는 병동을 제공하여 의료진의 부담과 환자의 의료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다.
열 한 번째, 환자의 낙상을 예방하고 이를 외부로 알치는 장치 및 방법을 통하여 낙상으로 발생하는 병원의 피해를 상당히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모니터링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설정부를 이용하여 경고라인 및 위험라인, 유효라인을 설정하고 환자의 낙상을 판단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통신부가 외부 장치와 통신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호출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사이드레일이 적용된 침대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침대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영상 분석을 통하여 환자의 낙상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이하,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모니터링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따른 장치는 침대에 누워있는 환자를 촬영하는 촬영부(110)와, 촬영부(110)가 촬영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표시부(120)와, 표시부(120) 상에 디스플레이된 영상에서 낙상 위험 판단의 기준이 되는 경고라인과 위험라인을 설정하기 위한 설정부(140)와, 설정부(140)가 설정한 상기 경고라인과 위험라인을 기준으로, 환자가 상기 경고라인을 넘어서면 환자가 낙상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예비적으로 판단하고 환자가 상기 위험라인을 환자가 넘어서면 낙상의 위험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는 제어부(130)와, 제어부(130)가 낙상의 위험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면 외부로 경고신호를 출력하는 경고부(160)를 포함한다.
촬영부(110)는 통상적으로 CCD(charge coupled device)와 같은 촬상소자를 이용하여 촬영부(110)가 향하는 방향의 장면을 디지털신호로 변환하여 촬영하는 장치이다.
그리고 표시부(120)는 촬영부(110)에서 촬영한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소자로서, LCD, LED, OLED를 포함한다. 다만, 표시부(120)는 특정 디스플레이 소자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촬영한 영상을 외부로 보여주기 위한 어떠한 것이든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사용자가 촬영부(110)를 침대(40)에 누워있는 환자를 향하게 배치한 후, 표시부(120)로 출력되는 영상을 보면서 환자와 침대가 표시부(120) 상에 모두 디스플레이 되도록 촬영부(110)의 방향, 위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설정부(140)는 사용자의 입력을 통하여 표시부(120)에 디스플레이 되는 촬영 영상에서 환자의 낙상 예방 및/또는 낙상 위험을 판단하기 위한 기준이 되는 경고라인과 위험라인을 설정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설정부(140)가 경고라인 및 위험라인을 설정하는 방법은 다양한 방식으로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부(120)가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사용자가 터치스크린을 터치하면서 표시부(120)에 디스플레이 되는 환자와 침대의 영상에서 경고라인을 조절할 경우, 설정부(140)가 표시부(120)에 조절된 경고라인을 생성하거나 기존의 경고라인을 조절한다.
환자를 촬영하고 모니터링 하던 중에도 설정부(140)는 이미 설정한 경고라인 및 위험라인에 대해서도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받아 경고라인과 위험라인의 위치, 길이, 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재조정할 수 있을 것이다.
설정부(140)가 설정하는 경고라인은 침대의 내측에 양측 가장자리와 인접하게 설정되고, 침대(40)의 양측 가장자리에 설정되기 위하여 환자의 좌우측으로 두 개가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설정부(140)가 설정하는 위험라인은 침대의 가장자리 또는 침대의 가장자리 외측에 인접한 위치에 설정되고, 위험라인은 경고라인과 마찬가지로 환자의 좌우측으로 두 개가 각각 구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설정부(140)는 경고라인을 침대의 가장자리보다 내측에 설정하고, 위험라인을 경고라인의 외측에 설정함으로써, 경고라인을 통하여 환자의 낙상을 일차적으로 예방할 수 있고, 위험라인을 통하여 환자의 낙상 위험을 사전 경고하거나 낙상 위험을 외부로 알릴 수 있다. 물론, 환자가 위험라인을 상당 부분 벗어난 경우에는 낙상 사실을 외부로 알릴 수도 있다.
설정부(140)는 사용자가 경고라인 및 위험라인의 위치를 설정하기 위해 직접 조작하는 컨트롤러에 의하여 설정 및 제어가 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설정부(140)가 자동으로 촬영 영상에 경고라인 및 위험라인의 위치를 설정하는 기능도 포함할 수 있다. 즉, 설정부(140)가 촬영부(110)로부터 영상을 전달받아 영상에서 자동으로 침대 영역을 인식하고, 인식한 침대 영역의 가장자리 인근에 경고라인과 위험라인을 설정하도록 할 수 있다.
촬영부(110)가 고정된 상태에서 침대를 촬영하는 경우, 설정부(140)는 촬영부(110)가 촬영한 영상 내에서 자동으로 침대의 위치를 인식하고, 인식한 침대의 양측 가장자리의 내측으로 경고라인 및 위험라인을 자동으로 설정할 수도 있다. 설정부(140)가 자동으로 경고라인 및 위험라인을 자동으로 설정한 이후에, 사용자는 표시부(120)를 통하여 설정부(140)가 자동으로 설정한 경고라인과 위험라인을 확인하고, 조정이 필요하다면 설정부(140)를 통하여 경고라인 및 위험라인을 재조정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환자가 경고라인 및 위험라인을 넘는지 여부를 촬영부(110)가 촬영한 영상을 통하여 판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제어부(130)는 촬영 영상에서 환자가 설정부(140)가 설정한 경고라인을 넘는 경우에는 일차적으로 낙상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환자가 위험라인을 넘는 경우에는 낙상 위험 상태 또는 낙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이다.
제어부(130)는 영상 상에서 물체가 움직이는 것을 인식하기 위한 동작인식(Gesture recognition) 알고리즘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동작인식(Gesture recognition) 알고리즘이란 영상감시(Visual surveillance), 사람-컴퓨터 상호작용(Human-computer interaction), 지능로봇(Intelligence robot) 등 다양한 요소기술로 이루어 질 수 있다.
동작인식에서 인식의 대상인 사람의 동작은 다양한 의미를 갖는데, 신체부위가 어떻게 배치되는가를 표현하는 ‘자세’, 혹은 특정한 의미를 가지는 신체의 움직임을 나타내는 ‘동작’ 등이 있다. 여기서, ‘자세’의 경우 비교적 변형되지 않는 신체부위의 위치와 그 신체부위들 사이의 연결정보를 기반으로 표현하는 스켈레톤(skeleton)이 대표적이며, 이는 어떠한 의미도 배제한 채 사람의 형태정보만을 추상적/효율적으로 전달하는 목적을 가진다. 또한‘동작’의 경우 일반적으로 신체부위의 동적인 움직임을 가정하나 정적인 자세(posture) 도 포함한다. 이러한 동작은 행위자가 의식적 혹은 무의식적으로 전달하고자 하는 특정한 의미를 갖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제어부(130)는 환자의 ‘자세’정보 및/또는 ‘동작’ 정보를 기반으로 환자가 경고라인과 위험라인을 넘어서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다.
제어부(130)가 환자가 낙상 가능성이 높거나 낙상의 위험에 있는 것으로 판단하면, 제어부(130)는 경고부(160)를 구동시켜 경고신호를 출력하게 한다.
즉, 경고부(130)는 제어부(130)와 연동되어 외부에 경고신호를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낙상 사고는 환자의 기력이 쇠하여지거나 신체가 자유롭지 못하여 발생하지만 환자 스스로 낙상 위험을 인지하지 못하여 사고를 당하는 경우도 흔하므로, 경고부(160)는 환자 스스로가 자신이 낙상의 위험에 있음을 인지하도록 환자에게 경고신호를 출력하고, 환자가 낙상 가능성이 높거나 낙상이 발생한 환자가 존재한다는 것을 주위 사람들이 인식하도록 주위 사람들에게 경고신호를 출력할 수 도 있다.
경고부(160)는 스피커를 포함하여 기 설정된 경고음을 출력하는 것이 될 수 있고, 램프를 포함하여 경고 시 램프의 점멸을 통하여 경고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경고부(160)의 구동 이후에, 환자가 침대(40) 양측에 설정된 경고라인 내측으로 위치하면 제어부(130)는 낙상 위험이 해소된 것으로 판단하고 경고부(160)의 동작을 정지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에들에 따른 환자의 낙상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는 촬영부(110)에서 촬영한 영상을 저장하는 저장부(135)와, 유무선 통신망에 연결되어 촬영부(110)가 촬영한 영상 또는 제어부(130)가 판단한 환자의 낙상 위험 여부를 전달받아 외부 장치(30)로 송출하는 통신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135)는 촬영부(110)가 촬영한 영상을 저장하는 장치로서 플래시 메모리 또는 하드디스크, SSD(Solid State Drive) 등의 디지털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장치 중 어느 것이든 될 수 있다. 환자를 집중 관찰해야할 특수한 경우 등에 환자의 과거 모습을 확인해야 하는 상황이 발생하면, 사용자는 저장부(135)에 녹화된 촬영 영상을 통하여 재 확인할 수 있다.
통신부(150)는 촬영부(110)가 촬영한 영상 또는 제어부(130)가 판단한 환자의 낙상 위험 및 낙상 발생 여부를 외부 장치(30)에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통신부(150)로부터 정보를 수신하는 외부 장치(30)란, 병원 내에 구성되어 환자의 상태를 총괄하여 관리하는 관리 시스템이 될 수도 있고, 환자를 돌보는 의료진이 가지고 있는 소형의 휴대기기가 될 수 있다.
통신부(150)는 촬영 영상 또는 낙상 위험 여부를 외부 장치(30) 송신하기 위해 망(Network)에 연결되는데, 그것에는 LAN(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등의 폐쇄형 네트워크가 될 수도 있고, 인터넷(Internet)과 같은 개방형 네트워크가 될 수도 있다. 인터넷은 TCP/IP 프로토콜 및 그 상위계층에 존재하는 여러 서비스, 즉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 Telnet, FTP(File Transfer Protocol), DNS(Domain Name System), SMTP(Simple Mail Transfer Protocol), SNMP(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 NFS(Network File Service), NIS(Network Information Service)를 제공하는 전 세계적인 개방형 컴퓨터 네트워크 구조를 의미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통신부(150)로 촬영 영상을 송신할 수 있음에 따라, 저장부(135)는 반드시 촬영부(110)와 결합된 하나의 장치로 구성되는 것이 아니라, 별도의 장소에 설치된 웹서버의 형태로 실시되어 통신부(150)에서 송신한 촬영 영상을 수신하여 저장하는 형태가 될 수도 있다.
웹서버는 일반적으로 인터넷과 같은 개방형 컴퓨터 네트워크를 통하여 불특정 다수 클라이언트 또는 다른 서버와 연결되어 있고, 클라이언트 또는 다른 웹서버의 작업수행 요청을 접수하고 그에 대한 작업 결과를 도출하여 제공하는 컴퓨터 시스템 및 그를 위하여 설치되어 있는 컴퓨터 소프트웨어(웹서버 프로그램)를 뜻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에들에 따른 환자의 낙상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는 통신부(150)와 무선통신 수단으로 연결되어, 환자의 상태를 확인하고 설정부(140)를 대신하여 경고라인 및 위험라인을 재조정 할 수 있는 호출부(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호출부(300)는 상술된 개방형 컴퓨터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통신부(150)와 무선통신을 할 수도 있다. 호출부(300)는 병원 내 의료진이 개별적으로 휴대하고 다닐 수 있는 호출기가 될 수 있고, 의료진이 대기하는 장소에 배치되는 컴퓨터가 될 수도 있다.
또한 호출부(300)는 환자의 낙상 위험 여부를 확인할 수 있음과 동시에 설정부(140)가 설정한 경고라인 및 위험라인을 재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호출부(140)를 통하여 경고라인 및 위험라인을 직접 재조정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병실까지 찾아오지 않아도 된다.
경고라인 및 위험라인을 재조정하기 위하여, 호출부(300)는 촬영부(110)에서 촬영한 영상 및 경고라인 및 위험라인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도시되지 않음)와 경고라인 및 경고라인 및 위험라인을 조정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진 컨트롤러(도시되지 않음)를 구비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촬영부(110)는 어두운 환경 가운데서도 촬영을 하기 위한 적외선촬영부(11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야간이 되면 환자의 취침을 위해 병실은 소등되는 것이 일반적인데, 일반적인 촬상소자는 조명이 없으면 촬영을 할 수가 없다. 따라서 어두운 환경에서도 환자를 관찰하기 위해 적외선 광으로 사물을 촬영하는 적외선촬영부(112)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적외선촬영부(112)의 포함과 더불어 적외선 광을 조사하는 적외선램프(도시되지 않음)도 함께 촬영부에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적외선은 일반적으로 사람의 눈에 보이지 않기 때문에 램프가 발광하더라도 환자는 수면을 취하는 데 거의 방해를 받지 않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장치를 감싸는 하우징(100)과, 하우징(100)의 일측에 결합되어 하우징(100)을 지면으로 부터 지지하여 공중에 고정하는 거치대(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0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성들을 감싸 보호하는 덮개 형태로 구성된다.
거치대(170)는 하우징(100)의 일측에 결합되어 본 장치를 공중에 떠 있을 수 있게 지면으로부터 지지하는 동시에 고정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장치는 영상에서 직접 환자의 낙상 가능성 및 낙상 발생을 인식하도록 하는 구성을 구비함으로써, 환자의 낙상을 예방하고 방지할 수 있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설정부를 이용하여 경고라인 및 위험라인, 유효라인을 설정하고 환자의 낙상을 판단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표시부(120)가 촬영 영상을 디스플레이 하면, 설정부(140)는 촬영 영상에서 경고라인((1),(2))의 위치를 설정한다. 경고라인((1),(2))은 표시부(120)에 표시되는 영상 중 침대(40)의 양측 가장자리에 인접하게 침대(40)의 내측에 설정된다.
또한, 설정부(140)는 경고라인((1),(2))의 위치를 재조정할 수 있는 기능도 갖는다. 만약 촬영부(110)가 설치된 장소에서 이동하거나 촬영하던 침대(40)가 이동하게 되면 제어부(130)가 올바로 환자의 낙상을 판단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설정부(14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받거나 스스로 촬영 대상의 이동을 인식하여 경고라인((1),(2))을 다시 조정할 수 있다.
설정부(140)로 영상에 경고라인((1),(2))을 설정하면 제어부(130)는 영상 내에서 특히 경고라인((1),(2)) 사이의 변위를 모니터링한다. 모니터링 중 해당 범위에서 변위하던 물체 즉, 환자의 신체가 경고라인((1),(2))을 넘어서게 되면 제어부(130)는 환자가 낙상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한다.
그리고 환자는 두 개로 구성된 경고라인((1),(2)) 사이에 위치하게 됨에 따라, 제어부(130)는 경고라인((1),(2)) 외측에서 이동하던 중 경고라인((1),(2)) 사이로 이동해오는 물체는 낙상 위험으로 판단하지 않는다. 즉, 제어부(130)는 환자의 오른쪽에 위치한 경고라인(1)을 기준으로, 환자의 신체 일부가 'a'방향으로 경고라인(1)을 넘어서는 경우에는 낙상이 발생할 것으로 판단하지 않고, 환자의 신체 일부가 ‘b'방향으로 경고라인(1)을 넘어서는 경우에 낙상이 발생하는 것으로 판단한다.
또한, 설정부(130)는 상기 영상에 촬영된 침대(40)의 양측 가장자리 또는 침대(40) 외측에 침대(40)의 양측 가장자리와 인접하게 위험라인((A),(B))을 더 설정할 수 있다.
위험라인((A),(B))은 침대(40)의 가장자리 또는 외측에 위치하게 됨에 따라 환자가 경고라인((1),(2))을 넘은 후 위험라인((A),(B))도 넘으면 경고라인((1),(2))을 넘었을 때 보다 낙상할 위험이 더 크거나 이미 낙상사고가 발생한 것을 의미한다. 위험라인((A),(B))도 경고라인과 마찬가지로 환자의 신체 일부가 ‘f' 방향이나 ’g'방향으로 위험라인((A),(B))을 넘어서는 경우에 낙상의 위험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위험라인((A),(B))을 넘기 전, 환자는 먼저 경고라인((1),(2))을 넘게 된다. 따라서 환자가 위험라인((A),(B))을 넘었을 때 경고부(160)는 경고신호를 출력하기 시작하는 것이 아니라, 이미 환자가 경고라인((1),(2))을 넘었다는 의미로 출력하던 경고신호를 변경해야 한다. 즉, 환자가 위험라인((A),(B))을 넘으면 경고부(160)가 경고라인((1),(2))을 넘었을 때와 다른 경고신호를 출력하는데, 예를 들어 스피커에 의해 경고신호가 출력될 경우 경고음 볼륨의 증가, 다른 패턴을 가진 경고음 출력 등이 될 수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위험라인((A),(B))은 경고라인((1),(2))보다 환자가 더 큰 낙상 위험에 있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설정부(140)가 위험라인((A),(B))을 설정할 때, 위험라인((A),(B))과 경고라인((1),(2))이 서로 겹치거나 두 개의 경고라인((1),(2)) 사이에 위험라인((A),(B))이 위치할 수 없도록 설정된다.
또한, 설정부(140)는 경고라인((1),(2)) 중 환자가 넘어서는 것을 감지할 범위만 한정할 수 있는 유효라인((가),(나))을 추가로 설정할 수 있다.
침대(40)와 촬영부(110)의 거리 및 상대 위치는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적용되는 환경마다 상이함에 따라, 경고라인((1),(2)) 상에서 환자가 활동해도 넘을 수 없는 범위가 있을 수 있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침대(40)의 상하 범위가 그에 해당한다. 즉, 제어부(130)는 유효라인((가),(나)) 사이에 존재하는 경고라인((1),(2))과 위험라인((A),(B))에 대해서만 환자의 낙상 여부를 판단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유효라인((가),(나))은 경고라인((1),(2))의 범위 중 제어부(130)가 감시하게 될 유효한 범위만을 설정함으로 제어부(130)의 연산에 의한 부하를 감소시키고, 환자 이외의 이동체에 의한 판단 오류를 보다 줄일 수 있게 한다.
또한, 제어부(130)는 촬영부(110)에서 촬영하던 영상 전체가 변위하거나, 침대(40)의 위치가 변경되면 더 이상 환자의 낙상 위험을 판단할 수 없는 환경인 것으로 판단하여 경고부(160)를 동작 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따르면, 촬영부(110)가 한 장소에 고정되어 침대(40)를 촬영하고, 촬영되는 침대(40)도 고정되어 촬영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제어부(130)는 영상 중 거의 변화가 없는 침대(40) 및 주위 배경을 환자와 함께 모니터링하다가 움직임 없이 고정되어 있던 침대(40) 또는 배경과 같은 주위 사물이 변화하는 등의 상당한 변위가 발생하면 더 이상 영상을 모니터링할 수 없는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고 경고부(160)를 동작시킨다. 이 때, 경고부(160)의 경고신호를 인지한 의료진은 정확한 환자 상태를 모니터링하기 위하여 촬영부(110)의 촬영 범위를 다시 조정하고, 설정부(140)는 경고라인((1),(2)) 및 위험라인((A),(B))을 재설정한다.
나아가, 제어부(130)는 낙상의 위험이 없는 환자의 신체 중 극히 일부가 경고라인((1),(2)) 및 위험라인((A),(B))을 넘어설 때 마다 경고부(160)를 동작시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어부(130)는 환자의 신체 중 특정 비율 이상이 경고라인((1),(2)) 및 위험라인((A),(B))을 넘어서는 경우에만 경고부(160)를 구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환자의 팔이나 다리와 같이 환자가 수면 중에 자유롭게 움직이는 부위들만 경고라인((1),(2)) 및 위험라인((A),(B))을 넘어서는 경우에는 환자의 낙상 가능성이 낮은 것으로 판단하도록, 제어부(130)는 환자의 신체 중 20% 이상이 경고라인((1),(2)) 및 위험라인((A),(B))을 넘어서는 경우에 경고부(160)를 구동시키도록 판단 기준을 정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통신부가 외부 장치와 통신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통신부(150)는 촬영된 영상 또는 환자의 낙상 위험 사실을 외부 장치(30)에 송신하기 위한 수단으로, 무선 통신 방식이나 유선 통신 방식으로 정보를 전달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외부 장치(30)란, 도시된 바와 같이 병원 내에 구성된 환자의 상태를 관리하는 시스템으로서 복수개의 촬영 영상을 수신하는 컴퓨터 장치이거나, 병원 안에 있는 의료진이 가지고 있는 휴대기기가 될 수 있다.
외부 장치(30)가 병원에서 환자의 상태를 관리하는 시스템일 경우, 상기 시스템은 여러 환자의 낙상 위험을 동시에 감시할 수 있게 구성되어 보호자가 없는 병실을 제공할 수 있게 됨으로, 가족과 의료진의 부담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호출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장치는 통신부(150)와 무선통신 수단으로 연결되어 환자의 상태 정보를 전달받는 호출부(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호출부(300)는 환자를 돌보는 의료진이 휴대할 수 있는 장치이다. 호출부(300)는 통신부(150)와 무선 통신을 할 수 있는 전용 휴대기기가 될 수 있지만, 현대에 널리 이용되는 스마트폰에 설치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으로 제작될 수도 있다.
제어부(130)가 환자의 낙상 위험을 판단하면 통신부(150)를 통하여 해당 정보를 호출부(300)로 송출하고, 송출된 신호를 호출부(300)가 수신하면 낙상 위험이 있는 환자 정보 등이 호출부(300)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다.
호출부(300)가 낙상 위험이 있는 환자의 정보를 수신하게 되면 해당 환자에게 의료진이 즉시 갈 수 있도록 호출부(300)에는 디스플레이부가 구비되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험한 상태의 환자가 있는 병실 위치 등의 정보가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다.
여기서, 호출부(300)는 설정부(140)를 대신하여 경고라인((1),(2)) 및 위험라인((A),(B))을 재설정 할 수 있다. 즉, 호출부(300)의 디스플레이부에는 촬영부(110)에서 촬영하여 표시부(120)에 표시되는 영상이 동일하게 출력되어 환자의 모습을 확인하는 동시에, 호출부(300)에 구성된 버튼 조작 또는 터치스크린으로 된 디스플레이를 터치하는 것으로 경고라인((1),(2)) 및 위험라인((A),(B))을 설정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사이드레일이 적용된 침대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장치는 침대(40)의 양측에 형성되고, 제어부(130)가 경고부(160)를 동작시키면 상승 구동되어 침대(40) 양측에 환자가 침대 밖으로 벗어날 수 없도록 벽을 형성하는 사이드레일(4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이드레일(400)은 물리적으로 환자가 침대(40) 밖으로 더 이상 이동할 수 없게 차단하는 구성으로, 의료진이 조치할 시간을 벌게 해 준다. 이를 위하여, 사이드레일(400)은 제어부(130)와 전기적으로 결합되어 제어부(130)에 의해 구동이 제어되는 레일구동부(410)와, 레일구동부(410)가 구동되면 상승하여 침대(40)의 양측에 벽이 되는 차단부(430)로 구성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구동부(410)에는 차단부(430)가 회전할 수 있게 결합되어 레일구동부(410)가 회전 구동하면 차단부(430)가 함께 회전함에 따라 침대(40)양측에 벽을 형성하게 된다. 레일구동부(410)의 구동은 제어부(130)에 의해 제어되는데, 레일구동부(410)와 제어부(130)는 유선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사이드레일(400)에도 무선 통신수단이 구비되어 통신부(150)와 무선통신을 통해 제어 신호가 전달되어 구동이 제어될 수도 있을 것이다.
레일구동부(410)가 구동되면 레일구동부(410)와 기계적으로 결합된 차단부(430)가 상승하게 되어 침대(40)의 양측에서 환자가 침대로부터 낙상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또한 환자가 두 개의 경고라인((1),(2)) 사이로 돌아가 낙상의 가능성이 낮은 경우에는, 의사나 간호사 같은 의료진이 낙상 사실 또는 낙상 위험을 확인 & 판단한 후, 상기 의료진이 레일구동부(410)를 직접 구동하여 차단부(430)를 차단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달리, 제어부(130)가 레일구동부(410)를 역방향으로 자동으로 차단부(430)를 하강시킬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침대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하우징(100)은 거치대(170)에 의해 공중에 고정되어 침대(40)를 모니터링하게 된다. 거치대(170)는 도 5와 같이 환자가 누워있는 침대(40)의에 물려 고정할 수 있는 클립이 일측 끝에 형성되거나, 병원에서 통상적으로 링거를 걸칠 때 사용하는 폴대에 거치할 수 있는 걸이가 될 수 있고, 직접 바닥 또는 천장, 벽면에 고정되어 본 발명을 지지하는 형태로 실시 될 수도 있다.
계속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분석을 통하여 환자의 낙상을 방지하기 위한 촬영장치의 구동 방법을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영상 분석을 통하여 환자의 낙상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표시부(120)가 촬영부(110)에서 촬영하는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S1)와, 설정부(140)가 표시부(120)에 표시된 영상 상에 환자가 넘어서게 되면 제어부(130)가 낙상 위험이 있음을 판단하는 경고라인((1),(2)의 위치를 설정하는 단계(S3), 제어부(130)가 상기 영상에서 환자가 경고라인((1),(2))을 넘는지 여부를 감시하는 단계(S4), 상기 영상에서 환자가 경고라인((1),(2))을 넘으면 제어부(130)가 낙상 위험이 있음을 일차적으로 판단하는 단계(S5), 제어부(130)가 경고부(160)를 구동시켜 경고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S6)를 포함한다.
설정부(140)에서의 경고라인((1),(2)) 설정(S3)은 본 발명의 사용자가 수동으로 하우징(100)의 일측에 구성된 버튼 조작 또는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된 표시부(120)를 터치하여 수동으로 설정할 수 있지만, 먼저 설정부(140) 스스로 영상에서 침대(40)를 탐지한 다음, 침대(40) 내측에 침대(40)의 가장자리와 인접하게 두 개의 경고라인((1),(2))을 자동으로 설정할 수 있다.
경고라인((1),(2))이 설정되면, 제어부(130)는 경고라인((1),(2))이 설정된 영상을 모니터링(S4)한다. 모니터링을 위해 제어부(130)는 영상 내에서 이동하는 물체를 추적하는 영상 분석 알고리즘을 포함한다.
또한, 설정부(140)가 경고라인((1),(2))을 설정하는 단계(S3)는, 설정부(140)가 침대(40)의 양측 가장자리 또는 침대(40) 외측에 침대(40)의 양측 가장자리와 인접하게 위험라인((A),(B))을 함께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경고라인((1),(2)) 또는 위험라인((A),(B))을 환자가 넘을 경우, 경고부(160)는 서로 다른 경고 신호를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경고부(160)가 스피커인 경우, 환자가 경고라인((1),(2))을 먼저 넘었을 때 상기 스피커는 규칙적으로 끊기는 소리를 출력하고, 위험라인((A),(B))을 넘었을 때에는 더 높은 볼륨으로 연속되는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설정부(140)가 경고라인((1),(2))을 설정하는 단계(S3)는, 설정부(140)가 상기 영상 위에 설정된 경고라인((1),(2)) 상에서 환자가 넘어서는 것을 감지하게 될 범위를 한정하는 유효라인((가),(나))을 함께 설정할 수도 있다.
또한, 표시부(120)가 촬영부(110)에서 촬영하는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S1) 다음에는, 저장부(135)가 촬영부(110)가 촬영한 영상을 저장하는 단계(S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저장부(135)는 설정부(140)가 촬영 영상에 경고라인((1),(2)) 및 위험라인((A),(B))을 설정한 이후의 영상을 저장할 수도 있다. 저장부(135)는 일종의 블랙박스와 같이 촬영부(110)로 촬영된 영상을 저장함으로 필요시 환자의 과거 모습을 다시 볼 수 있게 해 준다.
또한, 제어부(130)가 낙상 위험이 있음을 판단하는 단계(S5) 다음에는, 제어부(130)가 사이드레일(400)을 구동시켜 침대(40) 양측에 환자의 이동을 물리적으로 차단하기 위한 벽이 형성되게 하는 단계(S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가 낙상 위험이 있음을 판단하는 단계(S5) 다음에는, 제어부(130)가 통신부(150)를 통해 호출부(300)에 낙상 위험에 있는 환자의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S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50)는 환자의 낙상 위험 여부를 보호자 또는 의료진이 원격으로 확인할 수 있게 영상 또는 낙상 위험 여부를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송출하는 것이다. 제어부(130)가 환자의 낙상 위험을 판단하면 통신부(150)를 통해 해당 정보를 송출하게 되고, 무선통신이 가능한 범위에 있는 호출부(300)는 해당 정보를 수신 받아 표시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에들에 따른 환자의 낙상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을 통하여, 환자를 촬영한 영상을 분석 함으로써 환자의 낙상 가능성 및 낙상 위험 여부 등을 판단하고 나아가 사이드레일을 동작시켜 환자의 낙상을 물리적으로 차단하는 것으로 대응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술된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100 : 하우징 110 : 촬영부
112 : 적외선촬영부 120 : 표시부
130 : 제어부 135 : 저장부
140 : 설정부 150 : 통신부
160 : 경고부 170 : 거치대
300 : 호출부 400 : 사이드레일
410 : 레일구동부 430 : 차단부
30 : 외부 장치 40 : 침대
(1),(2) : 경고라인
(A),(B) : 위험라인
(가),(나) : 유효라인

Claims (18)

  1. 침대에 누워있는 환자를 촬영하는 촬영부와,
    상기 촬영부가 촬영한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표시부 상에 표시된 영상에서 낙상 위험 판단의 기준이 되는 경고라인의 위치를 설정하는 설정부와,
    상기 설정부가 설정한 경고라인을 기준으로 환자의 낙상 가능성을 판단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가 낙상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하면, 외부로 경고신호를 출력하는 경고부를 포함하는 영상 분석을 통하여 환자의 낙상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터치스크린이고,
    상기 설정부는 상기 표시부를 터치하는 방식으로 경고라인을 설정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분석을 통하여 환자의 낙상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부는 설정된 상기 경고라인의 위치를 상시 재조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분석을 통하여 환자의 낙상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
  4.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경고라인은 상기 영상에 촬영된 침대 내측에 양측 가장자리와 인접하게 설정되는 두 개의 선이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경고라인 사이에 위치한 환자가 상기 경고라인 중 어느 하나만 넘어서더라도 낙상의 위험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경고부를 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분석을 통하여 환자의 낙상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부는 상기 영상에 촬영된 침대의 양측 가장자리 또는 침대 외측에 양측 가장자리와 인접하게 위험라인을 더 설정할 수 있고,
    상기 제어부는 환자가 상기 위험라인을 넘어가면 상기 경고부를 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분석을 통하여 환자의 낙상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침대의 양측에 결합되고, 상기 제어부가 상기 경고부를 동작시키면 상승 구동되어 상기 침대 양측에 벽을 형성하는 사이드레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분석을 통하여 환자의 낙상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부가 촬영한 영상을 저장하는 저장부와,
    유무선 통신망에 연결되어 상기 촬영부가 촬영한 영상 또는 상기 제어부가 판단한 환자의 낙상 위험 여부를 전달받아 외부 장치로 송출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분석을 통하여 환자의 낙상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와 무선통신 수단으로 연결되어, 환자의 상태를 확인하고 상기 설정부를 대신하여 경고라인 및 위험라인 중 적어도 하나를 재조정 할 수 있는 호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분석을 통하여 환자의 낙상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부는 어두운 환경 가운데서도 촬영을 하기 위한 적외선촬영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분석을 통하여 환자의 낙상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촬영부에서 촬영하던 영상 전체가 변위하거나, 침대의 위치가 변경되면 더 이상 환자의 낙상 위험을 판단할 수 없는 환경인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경고부를 동작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분석을 통하여 환자의 낙상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환자의 신체 중 사전에 설정된 비율에 해당하는 신체의 일부가 경고라인을 넘어서는 경우에 환자가 낙상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분석을 통하여 환자의 낙상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환자가 상기 경고라인을 넘어서는 방향에 따라 환자의 낙상 가능성을 다르게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분석을 통하여 환자의 낙상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
  13. 표시부가 촬영부에서 촬영하는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
    설정부가 상기 표시부에 표시된 영상 상에 환자가 넘어서게 되면 제어부가 낙상 위험이 있음을 판단하는 경고라인을 침대 내측에 상기 침대의 가장자리와 인접한 위치에 설정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영상에서 환자가 상기 경고라인을 넘는지 여부를 감시하는 단계,
    상기 촬영 영상에서 환자가 상기 경고라인을 넘으면 상기 제어부가 낙상 위험이 있음을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경고부를 구동시켜 경고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분석을 통하여 환자의 낙상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부가 상기 경고라인을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설정부가 침대의 양측 가장자리 또는 침대 외측에 상기 침대의 양측 가장자리와 인접하게 위험라인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분석을 통하여 환자의 낙상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부가 상기 경고라인의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설정부가 상기 영상 위에 설정된 경고라인 상에서 환자가 넘어서는 것을 감지하게 될 범위를 한정하는 유효라인을 함께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분석을 통하여 환자의 낙상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
  16.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가 상기 촬영부에서 촬영하는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 다음에는, 저장부가 상기 촬영부가 촬영한 영상을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분석을 통하여 환자의 낙상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
  17.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낙상 위험이 있음을 판단하는 단계 다음에는, 상기 제어부가 사이드레일을 구동시켜 침대 양측에 환자의 이동을 차단하기 위한 벽이 형성되게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분석을 통하여 환자의 낙상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
  18.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낙상 위험이 있음을 판단하는 단계 다음에는, 상기 제어부가 통신부를 통해 호출부에 낙상 위험에 있는 환자의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분석을 통하여 환자의 낙상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
KR1020140114076A 2014-08-29 2014-08-29 영상 분석을 통하여 환자의 낙상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16559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4076A KR101655969B1 (ko) 2014-08-29 2014-08-29 영상 분석을 통하여 환자의 낙상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4076A KR101655969B1 (ko) 2014-08-29 2014-08-29 영상 분석을 통하여 환자의 낙상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7411A true KR20160027411A (ko) 2016-03-10
KR101655969B1 KR101655969B1 (ko) 2016-09-09

Family

ID=555387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4076A KR101655969B1 (ko) 2014-08-29 2014-08-29 영상 분석을 통하여 환자의 낙상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596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6080B1 (ko) * 2022-03-10 2023-01-09 최재국 치매 환자용 낙상방지 침대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50966A1 (en) * 2019-09-13 2021-03-18 Resmed Sensor Technologies Limited Systems and methods for detecting movem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83076A (ko) * 2005-01-15 2006-07-20 박상래 건설공사 위험지역 및 건설구조물의 실시간 감시시스템
KR20100097900A (ko) * 2009-02-27 2010-09-06 한국공항공사 공항 내 보호구역 출입 통제 시스템 및 방법
KR20120095053A (ko) * 2011-02-18 2012-08-28 이기훈 유아용 침대
KR20120114629A (ko) 2011-04-07 2012-10-17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영상 처리를 이용한 낙상 검출방법 및 이를 위한 영상 처리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83076A (ko) * 2005-01-15 2006-07-20 박상래 건설공사 위험지역 및 건설구조물의 실시간 감시시스템
KR20100097900A (ko) * 2009-02-27 2010-09-06 한국공항공사 공항 내 보호구역 출입 통제 시스템 및 방법
KR20120095053A (ko) * 2011-02-18 2012-08-28 이기훈 유아용 침대
KR20120114629A (ko) 2011-04-07 2012-10-17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영상 처리를 이용한 낙상 검출방법 및 이를 위한 영상 처리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6080B1 (ko) * 2022-03-10 2023-01-09 최재국 치매 환자용 낙상방지 침대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55969B1 (ko) 2016-09-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15218B1 (ko) 영상 분석을 통하여 환자의 낙상 위험을 판단하는 시스템 및 방법
US10147297B2 (en) Method for determining whether an individual enters a prescribed virtual zone using skeletal tracking and 3D blob detection
EP3170125B1 (en) Occupancy detection
US10091463B1 (en) Method for determining whether an individual enters a prescribed virtual zone using 3D blob detection
KR101999934B1 (ko) 표시 제어 장치, 표시 제어 시스템, 표시 제어 방법, 표시 제어 프로그램, 기록 매체
US20180174320A1 (en) Posture Detection Device and Posture Detection Method
KR101438002B1 (ko) 낙상 방지 장치
KR101702574B1 (ko) 영상 분석을 통하여 환자의 낙상 위험을 판단하는 장치가 포함된 침대
EP2398003A1 (en) Method and system for fall detection
JP6984712B2 (ja) 被監視者監視システムおよび被監視者監視システムのプログラム
JP2017523402A (ja) モニタされる対象の運動及び/又は位置を検出すること
KR20180127255A (ko) 열화상 카메라를 이용한 낙상 예측 시스템 및 열화상 카메라를 이용한 낙상 예측 방법
KR101712191B1 (ko) 환자 낙상예방 모니터링 장치
KR101655969B1 (ko) 영상 분석을 통하여 환자의 낙상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JP2005151540A (ja) ナースコールシステム
US10509967B2 (en) Occupancy detection
JP2007072964A (ja) 離床予測自動感知通報方法と同自動感知通報システム
KR101916631B1 (ko) 열화상카메라를 포함하는 낙상 감지장치
JP6870465B2 (ja) 被監視者監視装置および該方法ならびに被監視者監視システム
JP2008224396A (ja) 移動体検出装置及び移動体検知システム
KR102404971B1 (ko) 환자의 낙상 감시시스템 및 그 감시방법
KR102604548B1 (ko) 낙상 모니터링 시스템
CN115781668A (zh) 看护机器人的控制方法、看护机器人和存储介质
JP7044217B1 (ja) 見守りシステム及び見守り方法
KR102392801B1 (ko) 라이다 센서를 이용한 환자의 안전 관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