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26698A - 의료 영상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의료 영상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26698A
KR20160026698A KR1020150113857A KR20150113857A KR20160026698A KR 20160026698 A KR20160026698 A KR 20160026698A KR 1020150113857 A KR1020150113857 A KR 1020150113857A KR 20150113857 A KR20150113857 A KR 20150113857A KR 20160026698 A KR20160026698 A KR 201600266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ray
aec
upper limit
lower lim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38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95605B1 (ko
Inventor
김승훈
박시원
김세희
황도형
박성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EP15835969.5A priority Critical patent/EP3185773B1/en
Priority to PCT/KR2015/009049 priority patent/WO2016032275A1/en
Priority to EP19215788.1A priority patent/EP3682803A1/en
Priority to CN201580059303.3A priority patent/CN107106097B/zh
Priority to US14/838,870 priority patent/US9814435B2/en
Publication of KR201600266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6698A/ko
Priority to US15/722,554 priority patent/US10966675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56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5605B1/ko
Priority to US17/180,065 priority patent/US11564647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e.g.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46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e.g.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with special arrangements for interfacing with the operator or the patient
    • A61B6/467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e.g.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with special arrangements for interfacing with the operator or the patient characterised by special input means
    • A61B6/469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e.g.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with special arrangements for interfacing with the operator or the patient characterised by special input means for selecting a region of interest [ROI]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e.g.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10Application or adaptation of safety means
    • A61B6/107Protection against radiation, e.g. shield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e.g.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46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e.g.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with special arrangements for interfacing with the operator or the patient
    • A61B6/461Displaying means of special interest
    • A61B6/465Displaying means of special interest adapted to display user selection data, e.g. graphical user interface, icons or men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e.g.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46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e.g.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with special arrangements for interfacing with the operator or the patient
    • A61B6/467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e.g.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with special arrangements for interfacing with the operator or the patient characterised by special input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e.g.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52Devices using data or image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 A61B6/5211Devices using data or image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involving processing of medical diagnostic data
    • A61B6/5229Devices using data or image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involving processing of medical diagnostic data combining image data of a patient, e.g. combining a functional image with an anatomical image
    • A61B6/5235Devices using data or image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involving processing of medical diagnostic data combining image data of a patient, e.g. combining a functional image with an anatomical image combining images from the same or different ionising radiation imaging techniques, e.g. PET and CT
    • A61B6/5241Devices using data or image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involving processing of medical diagnostic data combining image data of a patient, e.g. combining a functional image with an anatomical image combining images from the same or different ionising radiation imaging techniques, e.g. PET and CT combining overlapping images of the same imaging modality, e.g. by stitch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e.g.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52Devices using data or image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 A61B6/5294Devices using data or image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involving using additional data, e.g. patient information, image labeling, acquisition parame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e.g.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06Diaphrag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e.g.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42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e.g.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with arrangements for detecting radiation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 A61B6/4208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e.g.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with arrangements for detecting radiation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characterised by using a particular type of detector
    • A61B6/4233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e.g.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with arrangements for detecting radiation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characterised by using a particular type of detector using matrix detec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e.g.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44Constructional features of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 A61B6/4429Constructional features of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related to the mounting of source units and detector units
    • A61B6/4464Constructional features of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related to the mounting of source units and detector units the source unit or the detector unit being mounted to ceil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e.g.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54Control of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 A61B6/542Control of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involving control of exposure

Abstract

출력부 및 상기 출력부가 대상체를 촬영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영상 상에 엑스선 촬영될 영역의 상한을 설정하기 위한 상한 지시자, 그리고 상기 상한 지시자 및 분할 촬영 횟수에 따른 엑스선 촬영될 영역의 하한을 지시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라인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출력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의료 영상 장치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의료 영상 장치 및 그 동작 방법{MEDICAL IMAGE APPARATUS AND OPERATION METHOD OF THE SAME}
본 개시는 의료 영상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엑스선 과조사를 방지할 수 있는 의료 영상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의료 영상 장치는 대상체의 내부 구조에 대한 의료 영상을 획득하기 위한 장비이다. 의료 영상 장치는 비침습 검사 장치로서, 신체 내의 구조적 세부사항, 내부 조직 및 유체의 흐름 등을 촬영 및 처리하여 사용자에게 보여준다. 의사 등의 사용자는 의료 영상 장치에서 출력되는 의료 영상을 이용하여 환자의 건강 상태 및 질병을 진단할 수 있다.
대표적인 의료 영상 장치로 엑스선 장치가 있다. 엑스선(X-ray)이란, 일반적으로 0.01 ~ 100 옴스트롬(Å)의 파장을 갖는 전자기파로서, 물체를 투과하는 성질을 가지고 있어서 생체 내부를 촬영하는 의료장비나 일반산업의 비파괴검사장비 등에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될 수 있다.
엑스선을 이용하는 엑스선 장치는 엑스선 소스에서 방출된 엑스선을 대상체에 투과시키고, 투과된 엑스선의 강도 차이를 엑스선 디텍터에서 검출하여 대상체에 대한 엑스선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엑스선 영상으로 대상체의 내부 구조를 파악하고 대상체를 진단할 수 있다. 엑스선 장치는 대상체의 밀도, 대상체를 구성하는 원자의 원자번호에 따라 엑스선의 투과율이 달라지는 원리를 이용하여 대상체의 내부 구조를 손쉽게 파악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엑스선의 파장이 짧으면 투과율이 커지고 화면이 선명(Brightness)해진다.
본 개시의 목적은, 엑스선 과조사를 방지할 수 있는 의료 영상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부 실시예에 따른 의료 영상 장치는, 출력부 및 상기 출력부가 대상체를 촬영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영상 상에 엑스선 촬영될 영역의 상한을 설정하기 위한 상한 지시자, 그리고 상기 상한 지시자 및 분할 촬영 횟수에 따른 엑스선 촬영될 영역의 하한을 지시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라인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출력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의료 영상 장치는, 상기 영상에서 상기 상한 지시자의 위치를 조절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출력부는 위치 조절된 상기 상한 지시자에 따라 변경된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라인을 상기 영상 상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상기 입력부는 엑스선 촬영될 영역의 하한을 설정하는 사용자 입력을 더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하한에 기초해 분할 촬영 횟수를 결정하고, 상기 영상에서 상기 상한 지시자 및 상기 하한 사이의 영역을 결정된 분할 촬영 횟수에 따라 분할 촬영을 위한 영역들로 분할하고, 상기 출력부는 상기 영상 상에 상기 분할 촬영을 위한 영역들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상기 출력부는 상기 분할 촬영을 위한 영역들 사이에 중첩되는 부분을 하이라이트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출력부는 엑스선 촬영될 영역의 하한을 설정하기 위한 하한 지시자를 더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입력부가 수신하는 하한을 설정하는 사용자 입력은 상기 하한 지시자의 위치를 조절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상한 지시자 및 상기 하한 지시자 사이의 영역에 대한 분할 촬영 횟수를 결정하고, 상기 영상에서 상기 상한 지시자 및 상기 하한 지시자 사이의 영역을 결정된 분할 촬영 횟수에 따라 균등하게 분할하고, 상기 출력부가 분할된 영역마다의 하한을 지시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라인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출력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입력부가 상기 상한 지시자 및 상기 하한 지시자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를 조절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면, 상기 제어부는 위치 조절된 상기 상한 지시자 또는 위치 조절된 상기 하한 지시자에 따라 분할 촬영 횟수를 다시 결정하고, 상기 상한 지시자 및 상기 하한 사이의 영역을 다시 결정된 분할 촬영 횟수에 따라 다시 균등하게 분할하고, 상기 출력부가 변경된 분할된 영역마다의 하한을 지시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라인을 다시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출력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출력부는 상기 영상 상에 디스플레이된 상기 분할 촬영을 위한 영역들마다 복수의 AEC(Automatic Exposure Control) 마커들을 더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AEC 마커들은 상기 분할 촬영을 위한 영역들 각각에 대한 분할 촬영 시 엑스선 디텍터에 포함되는 복수의 AEC 챔버들의 위치를 지시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분할 촬영을 위한 영역들마다 상기 복수의 AEC 마커들 각각의 온-오프를 설정하고, 설정된 각 AEC 마커의 온-오프에 따라 분할 촬영 시 상기 엑스선 디텍터에 포함되는 대응하는 AEC 챔버를 온-오프시킬 수 있다.
상기 입력부는 상기 영상 상에 디스플레이된 복수의 AEC 마커들 중 선택된 AEC 마커의 온-오프를 설정하는 사용자 입력을 더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 상에 디스플레이된 복수의 AEC 마커들 중 대상체 밖에 위치한 AEC 마커를 검출하고, 검출된 상기 AEC 마커를 오프시킬 수 있다.
상기 대상체를 촬영하여 상기 영상을 획득하는 영상 획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의료 영상 장치는, 엑스선을 조사하도록 구성된 엑스선 조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하한에 기초해 분할 촬영 횟수를 결정하고, 상기 영상에서 상기 상한 지시자 및 상기 하한 사이의 영역을 결정된 분할 촬영 횟수에 따라 분할 촬영을 위한 영역들로 분할하고, 상기 엑스선 조사부를 제어하여 상기 분할 촬영을 위한 영역들을 분할 촬영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분할 촬영을 통해 복수의 엑스선 분할 영상들을 획득하고, 상기 복수의 엑스선 분할 영상들을 스티칭함으로써, 상기 상한 지시자 및 상기 하한 사이의 영역에 대한 엑스선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엑스선 조사부는 엑스선의 조사영역을 조절하는 콜리메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엑스선의 조사영역이 상기 분할 촬영을 위한 영역들에 대응하도록 상기 콜리메이터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의료 영상 장치는, 엑스선 장치로부터 상기 대상체를 촬영한 영상을 수신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하한에 기초해 분할 촬영 횟수를 결정하고, 상기 엑스선 장치가 상기 영상에서 상기 상한 지시자 및 상기 하한 사이의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대상체의 부분을 상기 결정된 분할 촬영 횟수로 분할 촬영하도록 상기 엑스선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분할 촬영을 통해 복수의 엑스선 분할 영상들을 획득하고, 상기 복수의 엑스선 분할 영상들을 스티칭함으로써, 상기 상한 지시자 및 상기 하한 사이의 영역에 대한 엑스선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의료 영상 장치는, 분할 촬영 모드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분할 촬영 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출력부는 상기 대상체를 촬영한 영상 상에 상기 상한 지시자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라인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따른 의료 영상 장치는, 출력부 및 상기 출력부가 대상체를 촬영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고, 엑스선 디텍터에 포함되는 복수의 AEC 챔버들의 위치를 지시하는 복수의 AEC 마커들을 상기 영상 상에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출력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AEC 마커들 각각의 온-오프를 설정하고, 설정된 각 AEC 마커의 온-오프에 따라 상기 엑스선 디텍터에 포함되는 대응하는 AEC 챔버를 온-오프시킬 수 있다.
상기 의료 영상 장치는, 상기 복수의 AEC 마커들 중 선택된 AEC 마커의 온-오프를 설정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AEC 마커들 중 대상체 밖에 위치한 AEC 마커를 검출하고, 검출된 상기 AEC 마커를 오프시킬 수 있다.
상기 출력부는 상기 영상 상에 엑스선 조사부의 엑스선 조사영역에 대응하는 콜리메이션 영역을 더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상기 의료 영상 장치는, 상기 영상 상에서 상기 콜리메이션 영역을 조절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조절된 상기 콜리메이션 영역에 따라 상기 엑스선 조사부에 포함되는 콜리메이터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의료 영상 장치는, 콜리메이터의 램프의 턴온을 명령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출력부는 상기 콜리메이터의 상기 램프가 턴온된 상태로 대상체를 촬영한 영상 상에 상기 복수의 AEC 마커들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상기 의료 영상 장치는, 상기 대상체를 촬영하여 상기 영상을 획득하는 영상 획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의료 영상 장치는, 엑스선 장치로부터 상기 대상체를 촬영한 영상을 수신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따른 의료 영상 장치의 동작 방법은, 대상체를 촬영한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영상 상에 엑스선 촬영될 영역의 상한을 설정하기 위한 상한 지시자, 그리고 상기 상한 지시자 및 분할 촬영 횟수에 따른 엑스선 촬영될 영역의 하한을 지시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라인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상기 영상에서 상기 상한 지시자의 위치를 조절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위치 조절된 상기 상한 지시자에 따라 변경된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라인을 상기 영상 상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엑스선 촬영될 영역의 하한을 설정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하한에 기초해 분할 촬영 횟수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영상에서 상기 상한 지시자 및 상기 하한 사이의 영역을 결정된 분할 촬영 횟수에 따라 분할 촬영을 위한 영역들로 분할하는 단계 및 상기 영상 상에 상기 분할 촬영을 위한 영역들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분할 촬영을 위한 영역들 사이에 중첩되는 부분을 하이라이트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엑스선 촬영될 영역의 하한을 설정하기 위한 하한 지시자를 더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하한을 설정하는 사용자 입력은 상기 하한 지시자의 위치를 조절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상한 지시자 및 상기 하한 지시자 사이의 영역에 대한 분할 촬영 횟수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영상에서 상기 상한 지시자 및 상기 하한 지시자 사이의 영역을 결정된 분할 촬영 횟수에 따라 균등하게 분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라인은 분할된 영역마다의 하한을 지시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상한 지시자 및 상기 하한 지시자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를 조절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면, 위치 조절된 상기 상한 지시자 또는 위치 조절된 상기 하한 지시자에 따라 분할 촬영 횟수를 다시 결정하는 단계, 상기 상한 지시자 및 상기 하한 사이의 영역을 다시 결정된 분할 촬영 횟수에 따라 다시 균등하게 분할하는 단계 및 변경된 분할된 영역마다의 하한을 지시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라인을 다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영상 상에 디스플레이된 상기 분할 촬영을 위한 영역들마다 복수의 AEC(Automatic Exposure Control) 마커들을 더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AEC 마커들은 상기 분할 촬영을 위한 영역들 각각에 대한 분할 촬영 시 엑스선 디텍터에 포함되는 복수의 AEC 챔버들의 위치를 지시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분할 촬영을 위한 영역들마다 상기 복수의 AEC 마커들 각각의 온-오프를 설정하는 단계 및 설정된 각 AEC 마커의 온-오프에 따라 분할 촬영 시 상기 엑스선 디텍터에 포함되는 대응하는 AEC 챔버를 온-오프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영상 상에 디스플레이된 복수의 AEC 마커들 중 선택된 AEC 마커의 온-오프를 설정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영상 상에 디스플레이된 복수의 AEC 마커들 중 대상체 밖에 위치한 AEC 마커를 검출하는 단계 및 검출된 상기 AEC 마커를 오프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대상체를 촬영하여 상기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하한에 기초해 분할 촬영 횟수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영상에서 상기 상한 지시자 및 상기 하한 사이의 영역을 결정된 분할 촬영 횟수에 따라 분할 촬영을 위한 영역들로 분할하는 단계 및 엑스선 조사부를 제어하여 상기 분할 촬영을 위한 영역들을 분할 촬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분할 촬영을 통해 복수의 엑스선 분할 영상들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엑스선 분할 영상들을 스티칭함으로써, 상기 상한 지시자 및 상기 하한 사이의 영역에 대한 엑스선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엑스선 조사부는 엑스선의 조사영역을 조절하는 콜리메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엑스선의 조사영역이 상기 분할 촬영을 위한 영역들에 대응하도록 상기 콜리메이터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엑스선 장치로부터 상기 대상체를 촬영한 영상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하한에 기초해 분할 촬영 횟수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엑스선 장치가 상기 영상에서 상기 상한 지시자 및 상기 하한 사이의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대상체의 부분을 상기 결정된 분할 촬영 횟수로 분할 촬영하도록 상기 엑스선 장치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분할 촬영을 통해 복수의 엑스선 분할 영상들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엑스선 분할 영상들을 스티칭함으로써, 상기 상한 지시자 및 상기 하한 사이의 영역에 대한 엑스선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분할 촬영 모드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분할 촬영 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대상체를 촬영한 영상 상에 상기 상한 지시자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라인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따른 의료 영상 장치의 동작 방법은, 대상체를 촬영한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 및 엑스선 디텍터에 포함되는 복수의 AEC 챔버들의 위치를 지시하는 복수의 AEC 마커들을 상기 영상 상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상기 복수의 AEC 마커들 각각의 온-오프를 설정하는 단계 및 설정된 각 AEC 마커의 온-오프에 따라 상기 엑스선 디텍터에 포함되는 대응하는 AEC 챔버를 온-오프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복수의 AEC 마커들 중 선택된 AEC 마커의 온-오프를 설정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복수의 AEC 마커들 중 대상체 밖에 위치한 AEC 마커를 검출하는 단계 및 검출된 상기 AEC 마커를 오프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영상 상에 엑스선 조사부의 엑스선 조사영역에 대응하는 콜리메이션 영역을 더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영상 상에서 상기 콜리메이션 영역을 조절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조절된 상기 콜리메이션 영역에 따라 상기 엑스선 조사부에 포함되는 콜리메이터를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콜리메이터의 램프의 턴온을 명령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콜리메이터의 상기 램프가 턴온된 상태로 대상체를 촬영한 영상 상에 상기 복수의 AEC 마커들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대상체를 촬영하여 상기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엑스선 장치로부터 상기 대상체를 촬영한 영상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엑스선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고정식 엑스선 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모바일 엑스선 장치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검출부의 세부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엑스선 장치가 대상체를 분할 촬영하는 경우의 예를 도시한다.
도 6은 도 5의 엑스선 장치가 3회 분할 촬영을 통해 획득한 엑스선 분할 영상들 및 스티칭된 영상의 예를 도시한다.
도 7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의료 영상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8은 도 7의 의료 영상 장치의 출력부가 대상체를 촬영한 영상 상에 상한 지시자 및 복수의 가이드라인들을 디스플레이하는 경우의 예시이다.
도 9는 도 7의 의료 영상 장치의 또 다른 구성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의료 영상 장치가 상한 지시자의 위치를 조절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의 예시이다.
도 11은 도 9의 의료 영상 장치가 도 10과 같이 상한 지시자의 위치를 조절한 후 상한 지시자의 위치를 재조절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의 예시이다.
도 12는 도 9의 의료 영상 장치가 엑스선 촬영될 영역의 하한을 설정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의 예시이다.
도 13은 도 9의 의료 영상 장치가 영상 상에 분할 촬영을 위한 영역들을 디스플레이하는 경우의 예시이다.
도 14는 도 9의 의료 영상 장치가 영상 상에 분할 촬영을 위한 영역들을 디스플레이하는 경우의 다른 예시이다.
도 15는 도 9의 의료 영상 장치가 대상체를 촬영한 영상 상에 상한 지시자 및 복수의 가이드라인들을 디스플레이하는 경우의 다른 예시이다.
도 16은 도 9의 의료 영상 장치가 대상체를 촬영한 영상 상에 상한 지시자 및 복수의 가이드라인들을 디스플레이하는 경우의 또 다른 예시이다.
도 17은 도 9의 의료 영상 장치가 엑스선 촬영될 영역의 하한을 설정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의 다른 예시이다.
도 18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장치를 도시한다.
도 19는 도 18의 엑스선 장치의 일부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20은 도 19의 엑스선 장치의 엑스선 조사부 및 조작부가 회전하는 경우의 예시이다.
도 21은 도 20과 같이 엑스선 조사부 및 조작부가 회전한 경우, 출력부 화면의 예시이다.
도 22는 엑스선 장치의 출력부가 대상체를 촬영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경우의 예시이다.
도 23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장치가 대상체를 촬영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예시이다.
도 24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장치가 엑스선 촬영될 영역의 상한을 설정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영상 상에 상한 지시자 및 복수의 가이드라인들을 디스플레이하는 예시이다.
도 25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장치가 엑스선 촬영될 영역의 하한을 설정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영상 상에 분할 촬영을 위한 영역들을 디스플레이하는 예시이다.
도 26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장치가 상한 지시자를 조절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영상 상에 조절된 상한 지시자 및 변경된 복수의 가이드라인들을 디스플레이하는 예시이다.
도 27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장치가 엑스선 촬영될 영역의 하한을 설정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영상 상에 분할 촬영을 위한 영역들을 디스플레이하는 다른 예시이다.
도 28은 도 18의 엑스선 장치에 포함되는 엑스선 조사부의 예시이다.
도 29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워크테이션의 구성도이다.
도 30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의료 영상 장치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1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의료 영상 장치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2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의료 영상 장치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3은 도 9의 의료 영상 장치가 동작 모드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의 예시이다.
도 34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검출부를 도시한다.
도 35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장치를 도시한다.
도 36은 도 9의 의료 영상 장치의 출력부가 대상체를 촬영한 영상 상에 AEC 마커를 디스플레이하는 경우의 예시이다.
도 37은 AEC 마커의 온-오프를 설정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의료 영상 장치의 예시이다.
도 38은 도 9의 의료 영상 장치가 영상 처리를 통해 AEC 마커의 온-오프를 설정하는 경우의 예시이다.
도 39는 도 9의 의료 영상 장치의 출력부가 대상체를 촬영한 영상 상에 AEC 마커 및 콜리메이션 영역(collimation area)을 디스플레이하는 경우의 예시이다.
도 40은 도 9의 의료 영상 장치가 콜리메이션 영역을 조절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예시이다.
도 41은 도 9의 의료 영상 장치에서 콜리메이터의 램프를 턴온시켜 콜리메이션 영역을 확인하는 경우의 예시이다.
도 42는 도 9의 의료 영상 장치의 출력부가 AEC 마커의 온-오프를 설정할 수 있는 UI를 더 디스플레이하는 예시이다.
도 43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의료 영상 장치의 출력부의 예시이다.
도 44는 도 9의 의료 영상 장치가 분할 촬영 모드인 경우 AEC 마커들을 디스플레이하는 출력부 화면의 예시를 도시한다.
도 45는 도 9의 의료 영상 장치가 분할 촬영 모드인 경우 AEC 챔버의 온-오프를 설정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예시이다.
도 46은 도 9의 의료 영상 장치가 복수의 분할된 영역들 중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예시이다.
도 47은 제1 영역이 선택된 후 제1 영역의 AEC 마커들 중 마커를 선택하고, 선택된 마커의 온-오프를 설정하는 예시이다.
도 48은 제1 영역이 선택된 후 제1 UI를 통해 모든 AEC 마커들을 오프시키는 예시이다.
도 49는 도 48과 같이 제1 UI를 통해 모든 AEC 마커들을 오프시킨 후, 제1 UI를 통해 AEC 마커들의 온-오프 상태를 오프 이전 상태로 복구시키는 예시이다.
도 50은 사용자가 제2 영역을 선택된 후 제2 영역의 AEC 마커들 중 마커를 선택하고, 선택된 마커의 온-오프를 설정하는 예시이다.
도 51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의료 영상 장치의 출력부의 예시이다.
도 52는 엑스선 장치가 분할 촬영 모드인 경우 엑스선 장치의 출력부 화면의 예시를 도시한다.
도 53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54는 분할 촬영 모드의 워크스테이션의 조작부의 예를 도시한다.
도 55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의료 영상 장치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본 개시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개시는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개시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개시는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개시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개시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개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이미지"는 이산적인 이미지 요소들(예를 들어, 2차원 이미지에 있어서의 픽셀들 및 3차원 이미지에 있어서의 복셀들)로 구성된 다차원(multi-dimensional) 데이터를 의미할 수 있다. 이미지의 예로는 엑스선 장치, CT 장치, MRI 장치, 초음파 장치 및 다른 의료 영상 장치에 의해 획득된 대상체의 의료 이미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대상체(object)"는 사람 또는 동물, 또는 사람 또는 동물의 일부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대상체는 간, 심장, 자궁, 뇌, 유방, 복부 등의 장기, 및 혈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대상체"는 팬텀(phantom)일 수도 있다. 팬텀은 생물의 밀도와 실효 원자 번호에 아주 근사하고 또한 생물의 부피에 아주 근사한 물질을 의미하는 것으로, 신체와 유사한 성질을 갖는 구형(sphere)의 팬텀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자"는 의료 전문가로서 의사, 간호사, 임상 병리사, 의료 영상 전문가 등이 될 수 있으며, 의료 장치를 수리하는 기술자가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엑스선 장치는 엑스선을 인체에 투과시켜 인체의 내부 구조를 이미지로 획득하는 의료 영상 장치이다. 엑스선 장치는 MRI 장치, CT 장치 등을 포함하는 다른 의료 영상 장치에 비해 간편하고, 짧은 시간 내에 대상체의 의료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엑스선 장치는 단순 흉부 촬영, 단순 복부 촬영, 단순 골격 촬영, 단순 부비동 촬영, 단순 경부 연조직(neck soft tissue) 촬영 및 유방 촬영 등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
도 1은 엑스선 시스템(1000)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엑스선 시스템(1000)은 엑스선 장치(100) 및 워크스테이션(110)을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된 엑스선 장치(100)는 고정식 엑스선 장치 또는 이동식 엑스선 장치가 될 수 있다. 엑스선 장치(100)는 엑스선 조사부(120), 고전압 발생부(121), 검출부(130), 조작부(140) 및 제어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엑스선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고전압 발생부(121)는 엑스선의 발생을 위한 고전압을 발생시켜 엑스선 소스(122)에 인가한다.
엑스선 조사부(120)는 고전압 발생부(121)에서 발생된 고전압을 인가받아 엑스선을 발생시키고 조사하는 엑스선 소스(122) 및 엑스선 소스(122)에서 조사되는 엑스선의 경로를 안내하여 엑스선의 조사영역을 조절하는 콜리메이터(collimator)(123)를 포함할 수 있다.
엑스선 소스(122)는 엑스선관(X-ray tube)을 포함하며, 엑스선관은 양극과 음극으로 된 2극 진공관으로 구현될 수 있다. 엑스선관 내부를 약 10mmHg 정도의 고진공 상태로 만들고 음극의 필라멘트를 고온으로 가열하여 열전자를 발생시킨다. 필라멘트로는 텅스텐 필라멘트를 사용할 수 있고 필라멘트에 연결된 전기도선에 10V의 전압과 3-5A 정도의 전류를 가하여 필라멘트를 가열할 수 있다.
그리고 음극과 양극 사이에 10-300kVp 정도의 고전압을 걸어주면 열전자가 가속되어 양극의 타겟 물질에 충돌하면서 엑스선을 발생시킨다. 발생된 엑스선은 윈도우를 통해 외부로 조사되며, 윈도우의 재료로는 베륨 박막을 사용할 수 있다. 이 때, 타겟 물질에 충돌하는 전자의 에너지 중 대부분은 열로 소비되며 열로 소비되고 남은 나머지 에너지가 엑스선으로 변환된다.
양극은 주로 구리로 구성되고, 음극과 마주보는 쪽에 타겟 물질이 배치되며, 타겟 물질로는 Cr, Fe, Co, Ni, W, Mo 등의 고저항 재료들이 사용될 수 있다. 타겟 물질은 회전자계에 의해 회전할 수 있으며, 타겟 물질이 회전하게 되면 전자 충격 면적이 증대되고 고정된 경우에 비해 열 축적율이 단위 면적당 10배 이상 증대될 수 있다.
엑스선관의 음극과 양극 사이에 가해지는 전압을 관전압이라 하며, 이는 고전압 발생부(121)에서 인가되고, 그 크기는 파고치 kVp로 표시할 수 있다. 관전압이 증가하면 열전자의 속도가 증가되고 결과적으로 타겟 물질에 충돌하여 발생되는 엑스선의 에너지(광자의 에너지)가 증가된다. 엑스선관에 흐르는 전류는 관전류라 하며 평균치 mA로 표시할 수 있고, 관전류가 증가하면 필라멘트에서 방출되는 열전자의 수가 증가하고 결과적으로 타겟 물질에 충돌하여 발생되는 엑스선의 선량(엑스선 광자의 수)이 증가된다.
따라서, 관전압에 의해 엑스선의 에너지가 제어될 수 있고, 관전류 및 엑스선 노출 시간에 의해 엑스선의 세기 또는 선량이 제어될 수 있다.
검출부(130)는 엑스선 조사부(120)에서 조사되어 대상체를 투과한 엑스선을 검출한다. 검출부(130)는 디지털 검출부일 수 있다. 검출부(130)는 TFT를 사용하여 구현되거나, CCD를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도 1에서는 검출부(130)가 엑스선 장치(100)에 포함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검출부(130)는 엑스선 장치(100)에 연결 및 분리 가능한 별개의 장치인 엑스선 디텍터일 수도 있다.
또한, 엑스선 장치(100)는 엑스선 장치(100)의 조작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조작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조작부(140)는 출력부(141) 및 입력부(142)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42)는 사용자로부터 엑스선 장치(100)의 조작을 위한 명령 및 엑스선 촬영에 관한 각종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제어부(150)는 입력부(142)에 입력된 정보를 기반으로 엑스선 장치(100)를 제어하거나 조작할 수 있다. 출력부(141)는 제어부(150)의 제어 하에 엑스선의 조사 등 촬영 관련 정보를 나타내는 사운드를 출력할 수 있다.
워크스테이션(110) 및 엑스선 장치(100)는 서로 무선 또는 유선으로 연결될 수 있고, 무선으로 연결된 경우에는 서로 간의 클럭을 동기화하기 위한 장치(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워크스테이션(110)은 엑스선 장치(100)와 물리적으로 분리된 공간에 존재할 수도 있다.
워크스테이션(110)은 출력부(111), 입력부(112) 및 제어부(113)를 포함할 수 있다. 출력부(111) 및 입력부(112)는 사용자에게 워크스테이션(110) 및 엑스선 장치(100)의 조작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제어부(113)는 워크스테이션(110) 및 엑스선 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
엑스선 장치(100)는 워크스테이션(110)을 통해 제어될 수 있고, 엑스선 장치(100)에 포함되는 제어부(150)에 의해서도 제어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워크스테이션(110)을 통해 엑스선 장치(100)를 제어하거나, 엑스선 장치(100)에 포함되는 조작부(140) 및 제어부(150)를 통해 엑스선 장치(100)를 제어할 수도 있다. 다시 말해, 사용자는 워크스테이션(110)을 통해 원격으로 엑스선 장치(100)를 제어할 수도 있고, 엑스선 장치(100)를 직접 제어할 수도 있다.
도 1에서는 워크스테이션(110)의 제어부(113)과 엑스선 장치(100)의 제어부(150)를 별개로 도시하였으나, 도 1은 예시일 뿐이다. 다른 예로, 제어부들(113, 150)은 하나의 통합된 제어부로 구현될 수도 있고, 통합된 제어부는 워크스테이션(110) 및 엑스선 장치(100) 중 하나에만 포함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하, 제어부(113, 150)는 워크스테이션(110)의 제어부(113) 및 엑스선 장치(100)의 제어부(150) 중 적어도 하나를 의미한다.
워크스테이션(110)의 출력부(111) 및 입력부(112)와 엑스선 장치(100)의 출력부(141) 및 입력부(142)는 각각 사용자에게 엑스선 장치(100)의 조작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에서는 워크스테이션(110) 및 엑스선 장치(100) 각각이 출력부(111, 141) 및 입력부(112, 142)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출력부 또는 입력부는 워크스테이션(110) 및 엑스선 장치(100) 중 하나에만 구현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하, 입력부(112, 142)는 워크스테이션(110)의 입력부(112) 및 엑스선 장치(100)의 입력부(142) 중 적어도 하나를 의미하고, 출력부(111, 141)는 워크스테이션(110)의 출력부(111) 및 엑스선 장치(100)의 출력부(141) 중 적어도 하나를 의미한다.
입력부(112, 142)의 예로는 키보드, 마우스, 터치스크린, 음성 인식기, 지문 인식기, 홍채 인식기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기타 당업자에게 자명한 입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입력부(112, 142)를 통해 엑스선 조사를 위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는데, 입력부(112, 142)에는 이러한 명령 입력을 위한 스위치가 마련될 수 있다. 스위치는 두 번에 걸쳐 눌러야 엑스선 조사를 위한 조사명령이 입력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스위치를 누르면 스위치는 엑스선 조사를 위한 예열을 지시하는 준비명령이 입력되고, 그 상태에서 스위치를 더 깊게 누르면 실질적인 엑스선 조사를 위한 조사명령이 입력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스위치를 조작하면, 제어부(113, 150)는 스위치 조작을 통해 입력되는 명령에 대응하는 신호 즉, 준비신호를 생성하여 엑스선 발생을 위한 고전압을 생성하는 고전압 발생부(121)로 전달한다.
고전압 발생부(121)는 제어부(113, 150)로부터 전달되는 준비신호를 수신하여 예열을 시작하고, 예열이 완료되면, 준비완료신호를 제어부(113, 150)로 전달한다. 그리고, 엑스선 검출을 위해 검출부(130) 또한 엑스선 검출준비가 필요한데, 제어부(113, 150)는 고전압 발생부(121)의 예열과 함께 검출부(130)가 대상체를 투과한 엑스선을 검출하기 위한 준비를 할 수 있도록 검출부(130)로 준비신호를 전달한다. 검출부(130)는 준비신호를 수신하면 엑스선을 검출하기 위한 준비를 하고, 검출준비가 완료되면 검출준비완료신호를 제어부(113, 150)로 전달한다.
고전압 발생부(121)의 예열이 완료되고, 검출부(130)의 엑스선 검출준비가 완료되며, 제어부(113, 150)는 고전압 발생부(121)로 조사신호를 전달하고, 고전압 발생부(121)는 고전압을 생성하여 엑스선 소스(122)로 인가하고, 엑스선 소스(122)는 엑스선을 조사하게 된다.
제어부(113, 150)는 조사신호를 전달할 때, 엑스선 조사를 대상체가 알 수 있도록, 출력부(111, 141)로 사운드 출력신호를 전달하여 출력부(111, 141)에서 소정 사운드가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출력부(111, 141)에서는 엑스선 조사 이외에 다른 촬영 관련 정보를 나타내는 사운드를 출력할 수 있다. 도 1은 출력부(141)가 조작부(140)에 포함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출력부(141) 또는 출력부(141)의 일부는 조작부(140)가 위치하는 지점과 다른 지점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상체에 대한 엑스선 촬영이 수행되는 촬영실 벽에 위치할 수도 있다.
제어부(113, 150)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촬영 조건에 따라 엑스선 조사부(120)와 검출부(130)의 위치, 촬영 타이밍 및 촬영 조건 등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13, 150)는 입력부(112, 142)를 통해 입력되는 명령에 따라 고전압 발생부(121) 및 검출부(130)를 제어하여 엑스선의 조사 타이밍, 엑스선의 세기 및 엑스선의 조사 영역 등을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13, 150)는 소정의 촬영 조건에 따라 검출부(130)의 위치를 조절하고, 검출부(130)의 동작 타이밍을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13, 150)는 검출부(130)를 통해 수신되는 이미지 데이터를 이용하여 대상체에 대한 의료 이미지를 생성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13, 150)는 검출부(130)로부터 이미지 데이터를 수신하여, 이미지 데이터의 노이즈를 제거하고, 다이나믹 레인지(dynamic range) 및 인터리빙(interleaving)을 조절하여 대상체의 의료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출력부(111, 141)는 제어부(113, 150)에 의해 생성된 의료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 출력부(111, 141)는 UI(user interface), 사용자 정보 또는 대상체 정보 등 사용자가 엑스선 장치(100)를 조작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출력부(111, 141)의 예로서 스피커, 프린터, CRT 디스플레이, LCD 디스플레이, PDP 디스플레이, OLED 디스플레이, FED 디스플레이, LED 디스플레이, VFD 디스플레이, DLP 디스플레이, FPD 디스플레이, 3D 디스플레이, 투명 디스플레이 등을 포함할 수 있고, 기타 당업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출력 장치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워크스테이션(110)은 네트워크(15)를 통해 서버(162), 의료 장치(164) 및 휴대용 단말(166) 등과 연결될 수 있는 통신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네트워크(15)와 연결되어 서버(162), 의료 장치(164), 또는 휴대용 단말(166)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부는 네트워크(15)를 통해 대상체의 진단과 관련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으며, CT, MRI, 엑스선 장치 등 다른 의료 장치(164)에서 촬영한 의료 이미지 또한 송수신할 수 있다. 나아가, 통신부는 서버(162)로부터 환자의 진단 이력이나 치료 일정 등을 수신하여 대상체의 진단에 활용할 수도 있다. 또한, 통신부는 병원 내의 서버(162)나 의료 장치(164)뿐만 아니라, 의사나 고객의 휴대폰, PDA, 노트북 등의 휴대용 단말(166)과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도 있다.
통신부는 외부 장치와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근거리 통신 모듈, 유선 통신 모듈 및 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은 소정 거리 이내의 위치하는 장치와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모듈을 의미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근거리 통신 기술의 예로는 무선 랜(Wireless LAN),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 지그비(ZigBee), WFD(Wi-Fi Direct), UWB(ultra wideband),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BLE (Bluetooth Low Energy),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유선 통신 모듈은 전기적 신호 또는 광 신호를 이용한 통신을 위한 모듈을 의미하며, 유선 통신 기술의 예로는 페어 케이블(pair cable), 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등을 이용한 유선 통신 기술이 포함될 수 있고, 당업자에게 자명한 유선 통신 기술이 포함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의 기지국, 외부의 장치,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여기에서, 무선 신호의 예로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엑스선 장치(100)는, 다수의 디지털 신호 처리 장치(DSP), 초소형 연산 처리 장치 및 특수 용도용(예를 들면, 고속 A/D 변환, 고속 푸리에 변환, 어레이 처리용 등) 처리 회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워크스테이션(110)과 엑스선 장치(100) 사이의 통신은, LVDS(Low Voltage Differential Signaling) 등의 고속 디지털 인터페이스, UART(universal asynchronous receiver transmitter) 등의 비동기 시리얼 통신, 과오 동기 시리얼 통신 또는 CAN(Controller Area Network) 등의 저지연형의 네트워크 프로토콜이 이용될 수 있으며, 당업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통신 방법이 이용될 수 있다.
도 2는 고정식 엑스선 장치(200)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의 엑스선 장치(200)는 도 1의 엑스선 장치(100)의 실시예일 수 있다. 도 2의 엑스선 장치(200)에 포함되는 구성 요소들 중 도 1과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도 1과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엑스선 장치(200)는 엑스선 장치(200)의 조작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조작부(140), 대상체에 엑스선을 조사하는 엑스선 조사부(120), 대상체를 투과한 엑스선을 검출하는 검출부(130), 엑스선 조사부(120)를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1, 제2 및 제3 모터(211,212,213), 제1, 제2 및 제3 모터(211, 212, 213)의 구동력에 의해 엑스선 조사부(120)를 이동시키기 위하여 마련되는 가이드레일(220), 이동캐리지(230) 및 포스트 프레임(240)을 포함한다.
가이드레일(220)은 서로 소정의 각도를 이루도록 설치되는 제1가이드레일(221)과 제2가이드레일(222)을 포함한다. 제1가이드레일(221)과 제2가이드레일(222)은 서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가이드레일(221)은 엑스선 장치(200)가 배치되는 검사실의 천장에 설치된다.
제2가이드레일(222)은 제1가이드레일(221)의 하측에 위치되고, 제1가이드레일(221)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제1가이드레일(221)에는 제1가이드레일(221)을 따라 이동 가능한 롤러(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제2가이드레일(222)은 이 롤러(미도시)에 연결되어 제1가이드레일(221)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제1가이드레일(221)이 연장되는 방향으로 제1방향(D1)이 정의되고, 제2가이드레일(222)이 연장되는 방향으로 제2방향(D2)이 정의된다. 따라서, 제1방향(D1)과 제2방향(D2)은 서로 직교하고 검사실의 천장과 평행할 수 있다.
이동캐리지(230)는 제2가이드레일(222)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제2가이드레일(222)의 하측에 배치된다. 이동캐리지(230)에는 제2가이드레일(222)을 따라 이동하도록 마련되는 롤러(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이동캐리지(230)는 제2가이드레일(222)과 함께 제1방향(D1)으로 이동 가능하고, 제2가이드레일(222)을 따라 제2방향(D2)으로 이동 가능하다.
포스트프레임(240)은 이동캐리지(230)에 고정되어 이동캐리지(230)의 하측에 위치한다. 포스트프레임(240)은 복수 개의 포스트(241, 242, 243, 244, 245)를 구비할 수 있다.
복수 개의 포스트(241, 242, 243, 244, 245)는 서로 절첩 가능하게 연결되어 포스트프레임(240)은 이동캐리지(230)에 고정된 채로 검사실의 상하 방향으로 길이가 증가 또는 감소할 수 있다.
포스트프레임(240)의 길이가 증가 또는 감소하는 방향으로 제3방향(D3)이 정의된다. 따라서, 제3방향(D3)은 제1방향(D1) 및 제2방향(D2)과 서로 직교할 수 있다.
검출부(130)는 대상체를 투과한 엑스선을 검출하는데, 테이블 타입 리셉터(290)나 스탠드 타입 리셉터(280)에 결합될 수 있다.
엑스선 조사부(120)와 포스트프레임(240) 사이에는 회전조인트(250)가 배치된다. 회전조인트(250)는 엑스선 조사부(120)를 포스트프레임(240)에 결합시키고 엑스선 조사부(120)에 작용되는 하중을 지지한다.
회전조인트(250)에 연결된 엑스선 조사부(120)는 제3방향(D3)과 수직을 이루는 평면상에서 회전할 수 있다. 이때, 엑스선 조사부(120)의 회전방향을 제4방향(D4)으로 정의할 수 있다.
또한, 엑스선 조사부(120)는 검사실의 천장과 수직을 이루는 평면상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된다. 따라서, 엑스선 조사부(120)는 회전조인트(250)에 대해 제1방향(D1) 또는 제2방향(D2)과 평행한 축을 중심으로 한 회전방향인 제5방향(D5)으로 회전할 수 있다.
제1, 제2 및 제3 모터(211, 212, 213)는 엑스선 조사부(120)를 제1방향(D1) 내지 제3방향(D3)으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마련될 수 있다. 제1, 제2 및 제3 모터(211, 212, 213)는 전기적으로 구동되는 모터일 수 있고, 모터에는 엔코더가 포함될 수 있다.
제1, 제2 및 제3 모터(211,212,213)는 설계의 편의성을 고려하여 다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가이드레일(222)을 제1방향(D1)으로 이동시키는 제1모터(211)는 제1가이드레일(221) 주위에 배치되고, 이동캐리지(230)를 제2방향(D2)으로 이동시키는 제2모터(212)는 제2가이드레일(222) 주위에 배치되고, 포스트프레임(240)의 길이를 제3방향(D3)으로 증가 또는 감소시키는 제3모터(213)는 이동캐리지(230)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1, 제2 및 제3 모터(211,212,213)는 엑스선 조사부(120)를 제1방향(D1) 내지 제3방향(D3)으로 직선 이동시키도록 동력전달수단(미도시)과 연결될 수 있다. 동력전달수단(미도시)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벨트와 풀리, 체인과 스프라킷, 샤프트 등 일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엑스선 조사부(120)를 제4방향(D4) 및 제5방향(D5)으로 회전시키기 위해 회전조인트(250)와 포스트 프레임(240) 사이 및 회전조인트(250)와 엑스선 조사부(120) 사이에 모터가 마련될 수 있다.
엑스선 조사부(120)의 일 측면에는 조작부(140)가 마련될 수 있다.
도 2는 검사실의 천장에 연결된 고정식 엑스선 장치(200)에 대해 도시하고 있지만, 도 2에 도시된 엑스선 장치(200)는 단지 이해의 편의를 위함일 뿐이며,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장치는 도 2에 도시된 고정식 엑스선 장치(200)뿐만 아니라 C-암(arm) 타입 엑스선 장치, 혈관 조영(angiography) 엑스선 장치 등 당업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구조의 엑스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는 촬영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엑스선 촬영을 수행할 수 있는 모바일 엑스선 장치(300)가 도시되어 있다. 도 3의 엑스선 장치(300)는 도 1의 엑스선 장치(100)의 실시예일 수 있다. 도 3의 엑스선 장치(300)에 포함되는 구성 요소들 중 도 1과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도 1과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에 도시된 엑스선 장치(300)는 엑스선 장치(300)의 이동을 위한 휠이 마련되는 이동부(370)와, 엑스선 장치(300)의 조작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조작부(140), 엑스선 소스(122)에 인가되는 고전압을 발생시키는 고전압 발생부(121), 엑스선 장치(3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150)를 포함하는 메인부(305)와, 엑스선을 발생시키는 엑스선 소스(122), 엑스선 소스(122)에서 발생되어 조사되는 엑스선의 경로를 안내하여 엑스선의 조사영역을 조절하는 콜리메이터(123)를 포함하는 엑스선 조사부(120)와, 엑스선 조사부(120)에서 조사되어 대상체(10)를 투과한 엑스선을 검출하는 검출부(130)를 포함한다.
도 3에서의 검출부(130)는 어떤 리셉터에도 결합되지 않을 수 있고, 임의의 위치에 존재할 수 있는 포터블(portable) 검출부일 수 있다.
도 3에서는 조작부(140)가 메인부(305)에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 2에서와 같이, 엑스선 장치(300)의 조작부(140)는 엑스선 조사부(120)의 일 측면에 마련될 수도 있다.
도 4는 검출부(400)의 세부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의 검출부(400)는 도 1 내지 도 3의 검출부(130)의 실시예일 수 있다. 도 4의 검출부(400)는 간접 방식 검출부일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검출부(400)는 신틸레이터(미도시), 광검출 기판(410), 바이어스 구동부(430), 게이트 구동부(450) 및 신호 처리부(470)를 포함할 수 있다.
신틸레이터는 엑스선 소스(122)로부터 조사된 엑스선을 수신하여 엑스선을 광으로 변환한다.
광검출 기판(410)은 신틸레이터로부터 광을 수신하여 전기 신호로 변환한다. 광검출 기판(410)은 게이트 배선(GL)들, 데이터 배선(DL)들, 박막 트랜지스터(412)들, 광검출 다이오드(414)들 및 바이어스 배선(BL)들을 포함할 수 있다.
게이트 배선(GL)들은 제 1 방향(DR1)으로 형성될 수 있고, 데이터 배선(DL)들은 제 1 방향(DR1)과 교차하는 제 2 방향(DR2)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 1 방향(DR1) 및 제 2 방향(DR2)은 서로 수직하게 직교할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예로서, 4개의 게이트 배선(GL)들 및 4개의 데이터 배선(DL)들을 도시하고 있다.
박막 트랜지스터(412)들은 제 1 방향(DR1) 및 제 2 방향(DR2)을 따라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박막 트랜지스터(412)들 각각은 게이트 배선(GL)들 중 하나 및 데이터 배선(DL)들 중 하나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박막 트랜지스터(412)의 게이트 전극은 게이트 배선(GL)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박막 트랜지스터(412)의 소스 전극은 데이터 배선(DL)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예로서, 4행 4열로 배치된 16개의 박막 트랜지스터(412)들을 도시하고 있다.
광검출 다이오드(414)들은 박막 트랜지스터(412)들과 일대일로 대응되도록 제 1 방향(DR1) 및 제 2 방향(DR2)을 따라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광검출 다이오드(414)들 각각은 박막 트랜지스터(412)들 중 하나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광검출 다이오드(414)의 N측 전극은 박막 트랜지스터(412)의 드레인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예로서 4행 4열로 배치된 16개의 광검출 다이오드(414)들을 도시하고 있다.
바이어스 배선(BL)들은 광검출 다이오드(414)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바이어스 배선(BL)들 각각은 일 방향을 따라 배치된 광검출 다이오드(414)들의 P측 전극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바이어스 배선(BL)들은 제 2 방향(DR2)과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형성되어, 광검출 다이오드(414)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바이어스 배선(BL)들은 제 1 방향(DR1)과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형성되어, 광검출 다이오드(414)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도 4는, 일 실시예로서, 제 2 방향(DR2)을 따라 형성된 4개의 바이어스 배선(BL)들을 도시하고 있다.
바이어스 구동부(430)는 바이어스 배선(BL)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바이어스 배선(BL)들로 구동 전압을 인가한다. 바이어스 구동부(430)는 광검출 다이오드(414)에 리버스 바이어스(reverse bias) 전압 또는 포워드 바이어스(forward bias) 전압을 선택적으로 인가할 수 있다. 광검출 다이오드(414)의 N측 전극에는 기준 전압이 인가될 수 있다. 기준 전압은 신호 처리부(470)을 통해 인가될 수 있다. 바이어스 구동부(430)는 광검출 다이오드(414)에 리버스 바이어스 전압을 인가하기 위해, 광검출 다이오드(414)의 P측 전극에 상기 기준 전압보다 낮은 전압을 인가할 수 있다. 또한, 바이어스 구동부(430)는 광검출 다이오드(414)에 포워드 바이어스 전압을 인가하기 위해, 광검출 다이오드(414)의 P측 전극에 기준 전압보다 높은 전압을 인가할 수도 있다.
게이트 구동부(450)는 게이트 배선(GL)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어, 상기 게이트 배선(GL)들로 게이트 신호들을 인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게이트 신호들이 게이트 배선(GL)들로 인가되면, 게이트 신호들에 의해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412)들이 턴온(turn-on)될 수 있다. 반면, 게이트 신호들이 게이트 배선(GL)들로 인가되지 않으면, 박막 트랜지스터(412)들이 턴오프(turnoff)될 수 있다.
신호 처리부(470)는 데이터 배선(DL)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광검출 기판(410)에서 수신된 광이 전기 신호로 변환되면, 변환된 전기 신호는 데이터 배선(DL)을 통해 신호 처리부(470)로 리드 아웃(read out)될 수 있다.
이하, 검출부(400)의 동작을 설명한다. 설명되는 검출부(400)의 동작 동안 바이어스 구동부(430)는 광 검출 다이오드(414)에 리버스 바이어스 전압을 인가할 수 있다.
박막 트랜지스터(412)들이 턴오프되는 동안, 광검출 다이오드(414)들 각각은 신틸레이터로부터의 광을 수신하여, 전자-정공 쌍(electron-hole pair)을 발생시켜 전하를 축적할 수 있다. 광검출 다이오드(414)들 각각에 축적되는 전하량은 엑스선의 광량에 대응될 수 있다.
다음, 게이트 구동부(450)는 게이트 배선(GL)들로 제 2 방향(DR2)을 따라 게이트 신호들을 순차적으로 인가할 수 있다. 게이트 신호가 게이트 배선(GL)에 인가되어 박막 트랜지스터(412)가 턴온되면, 광검출 다이오드(414)에 축적되었던 전하에 의해 광전류가 데이터 배선(DL)을 통해 신호 처리부(470)로 흐를 수 있다.
신호 처리부(470)는 수신된 광전류들을 이미지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다. 신호 처리부(470)는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이미지 데이터는 광전류에 대응되는 아날로그 신호 또는 디지털 신호일 수 있다.
도 4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도 4에 도시된 검출부(400)가 무선 검출부인 경우, 검출부(400)는 배터리부 및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엑스선 장치가 대상체를 분할 촬영하는 경우의 예를 도시한다.
도 5를 참고하면, 엑스선 장치(100)는 엑스선 조사부(120), 검출부(130) 및 조작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조작부(140)는 출력부(141) 및 입력부(14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의 엑스선 장치(100)는 도 1의 엑스선 장치(100)의 예시이므로, 도 5에 도시되지 않은 도 1의 엑스선 장치(100)의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가 엑스선 영상으로 획득하고 싶은 대상체(10)의 관심 영역(region of interest, ROI)이 검출부(130)의 크기보다 큰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엑스선 장치(100)는 1회의 엑스선 촬영으로 관심 영역(683)에 대한 엑스선 영상을 획득할 수 없다.
엑스선 장치는 대상체(10)의 관심 영역(683)을 제1 부분(683-1), 제2 부분(683-2) 및 제3 부분(683-3)으로 구분하고, 각 부분(683-1~683-3)을 엑스선 촬영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엑스선 장치(100)가 관심 영역(683)을 분할한 각 부분들(683-1~683-3)을 엑스선 촬영하는 것을 "분할 촬영"이라 한다.
각 부분(683-1~683-3)을 분할 촬영하기 위해, 엑스선 장치(100)는 엑스선 조사부(120)를 회전시키거나,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엑스선 장치(100)는 각 부분(683-1~683-3)에 대응되는 위치로 검출부(130)를 이동시킬 수 있다. 엑스선 조사부(120)에 포함된 콜리메이터(123)는 각 부분(683-1~683-3)에 대응하도록 엑스선의 조사영역을 조절할 수 있다.
도 5의 경우, 엑스선 장치(100)는 3회 분할 촬영으로 대상체(10)의 제1 부분(683-1), 제2 부분(683-2) 및 제3 부분(683-3)을 합한 관심 영역(683)을 모두 엑스선 촬영할 수 있다. 도 5는 분할 촬영의 예시이며, 분할 촬영 횟수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엑스선 장치(100)는 분할 촬영을 통해 복수의 엑스선 영상들을 획득하고, 복수의 엑스선 영상들을 스티칭(stitching)하여 하나의 엑스선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이하, 명세서에서 분할 촬영으로 획득된 복수의 엑스선 영상들을 "복수의 엑스선 분할 영상들"이라 한다. "복수의 엑스선 분할 영상들"을 스티칭하여 획득된 하나의 엑스선 영상은 "스티칭된 영상(stitched image)"이라고도 한다.
도 6은 도 5의 엑스선 장치가 3회 분할 촬영을 통해 획득한 엑스선 분할 영상들 및 스티칭된 영상의 예를 도시한다.
도 6을 참고하면, 도 5에서 제1 부분(683-1), 제2 부분(683-2) 및 제3 부분(683-3)을 분할 촬영함에 의해, 엑스선 장치(100)는 각 엑스선 분할 영상들(783-1, 783-2, 783-2)을 획득할 수 있다. 엑스선 장치(100)는 엑스선 분할 영상들(783-1, 783-2, 783-2)을 스티칭함으로써 스티칭된 영상인 엑스선 영상(783)을 획득할 수 있다. 스티칭이란, 엑스선 분할 영상들(783-1, 783-2, 783-2)을 연결하여 하나의 엑스선 영상(783)을 획득하는 영상 처리이다. 스티칭은 각 분할 영상(783-1, 783-2, 783-2)에서 서로 중첩되는 부분(S1, S2)을 검출하여, 그 중첩되는 부분들을 연결하는 영상 처리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분할 촬영 및 스티칭을 통해 검출부(130)의 크기보다 큰 대상체(10)의 관심 영역(683)에 대한 엑스선 영상이 획득될 수 있다.
스티칭은 엑스선 장치(100)에 포함되는 제어부(150)에서 수행되거나, 엑스선 장치(100)에 연결되는 워크스테이션(110)에 포함되는 제어부(113)에서 수행될 수 있다. 분할 촬영을 위한 엑스선 장치(100)의 동작은 엑스선 장치(100)의 제어부(150) 또는 워크스테이션(110)의 제어부(113)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도 7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의료 영상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7을 참고하면, 의료 영상 장치(2000)는 출력부(2100) 및 제어부(2200)를 포함한다.
의료 영상 장치(2000)는 엑스선 장치에 포함되거나, 엑스선 장치를 제어하는 워크스테이션에 포함될 수 있다.
의료 영상 장치(2000)가 엑스선 장치에 포함되는 경우, 의료 영상 장치(2000)는 따로 언급하지 않더라도 전술한 엑스선 장치(100, 200, 300)에 대한 내용이 적용될 수 있다. 출력부(2100)는 엑스선 장치(100)의 출력부(141)에 대응하는 구성이고, 제어부(2200)는 엑스선 장치(100)의 제어부(150)에 대응하는 구성이다. 의료 영상 장치(2000)는 워크스테이션(도 1의 110)에 의해 제어될 수도 있다.
의료 영상 장치(2000)가 워크스테이션에 포함되는 경우, 의료 영상 장치(2000)는 따로 언급하지 않더라도 전술한 워크스테이션(110)에 대한 내용이 적용될 수 있다. 출력부(2100)는 워크스테이션(110)의 출력부(111)에 대응하는 구성이고, 제어부(2200)는 엑스선 장치(100)의 제어부(113)에 대응하는 구성이다. 의료 영상 장치(2000)는 엑스선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200)는 의료 영상 장치(20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200)는 의료 영상 장치(2000)의 동작에 필요한 데이터, 영상 등을 처리할 수 있다. 제어부(2200)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마이크로 프로세서, GPU(graphic processing unit)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어부(2200)는 출력부(2100)를 제어할 수 있다. 출력부(2100)는 제어부(2200)의 제어 하에 영상, 데이터 등을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2200)는 출력부(2100)가 출력하는 영상, 데이터 등을 영상 처리, 데이터 처리 등을 통해 획득할 수 있다.
일부 실시에에 따른 출력부(2100)는 대상체를 촬영한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출력부(2100)에 디스플레이되는 영상(11)은 카메라와 같은 영상 획득 장치를 통해 대상체를 촬영하여 획득된 것으로, 대상체를 엑스선 촬영하여 획득되는 엑스선 영상과 구별된다. 출력부(2100)에 디스플레이되는 영상(11)은 대상체의 정지 영상일 수 있고, 또는 대상체를 실시간으로 촬영 중인 영상일 수도 있다.
출력부(2100)는 대상체를 촬영한 영상 상에 엑스선 촬영될 영역의 상한을 설정하기 위한 상한 지시자 및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라인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라인은 상한 지시자 및 분할 촬영 횟수에 따른 엑스선 촬영될 영역의 하한을 지시한다. 즉, 출력부(2100)는 상한 지시자 및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라인을 대상체를 촬영한 영상 상에 중첩해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분할 촬영 횟수가 증가할수록 대상체에 조사되는 엑스선이 증가한다. 과조사를 방지하기 위해, 관심 영역에 대한 엑스선 영상은 가능한 최소의 분할 촬영 횟수로 획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자는 출력부(2100)를 보고, 상한 지시자 및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라인 사이의 영역에 대한 엑스선 영상을 획득하기 위해 필요한 분할 촬영 횟수를 직관적으로 알 수 있다. 즉, 의료 영상 장치(2000)는 사용자가 최적의 분할 촬영 횟수를 편리하고, 직관적으로 파악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의료 영상 장치(2000)는 과조사를 방지할 수 있다.
도 8은 도 7의 의료 영상 장치(2000)의 출력부(2100)가 대상체를 촬영한 영상 상에 상한 지시자 및 복수의 가이드라인들을 디스플레이하는 경우의 예시이다.
도 8을 참고하면, 출력부(2100)는 대상체를 촬영한 영상(11) 상에 엑스선 촬영될 영역의 상한을 설정하기 위한 상한 지시자(12S) 및 복수의 가이드라인들(12-1~12-5)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복수의 가이드라인들(12-1~12-5)은 상한 지시자(12S) 및 분할 촬영 횟수에 따른 엑스선 촬영될 영역의 하한을 지시한다.
각 가이드라인들(12-1~12-5)은 분할 촬영 횟수에 대응한다. 제1 가이드라인(12-1)은 분할 촬영 횟수 1회에 대응하고, 제2 가이드라인(12-2)은 분할 촬영 횟수 2회에 대응하고, 제3 가이드라인(12-3)은 분할 촬영 횟수 3회에 대응하고, 제4 가이드라인(12-4)은 분할 촬영 횟수 4회에 대응하고, 제5 가이드라인(12-5)은 분할 촬영 횟수 5회에 대응한다.
각 가이드라인들(12-1~12-5)은 상한 지시자(12S) 및 대응하는 분할 촬영 횟수에 따른 엑스선 촬영될 영역의 하한을 지시한다. 영상(11)에서 상한 지시자 및 제1 가이드라인(12-1) 사이의 영역에 대한 엑스선 영상은 1회의 분할 촬영으로 획득될 수 있다.
영상(11)에서 상한 지시자 및 제2 가이드라인(12-2) 사이의 영역에 대한 엑스선 영상은 2회의 분할 촬영으로 획득될 수 있다. 즉, 상한 지시자 및 제2 가이드라인(12-2) 사이의 영역은 2개의 영역으로 분할되고, 각 분할된 영역이 분할 촬영됨으로써 2개의 엑스선 분할 영상들이 획득될 수 있다. 2개의 엑스선 분할 영상들을 스티칭함으로써 상한 지시자 및 제2 가이드라인 사이의 영역에 대한 하나의 엑스선 영상이 획득될 수 있다.
영상(11)에서 상한 지시자 및 제3 가이드라인(12-3) 사이의 영역에 대한 엑스선 영상은 3회의 분할 촬영으로 획득될 수 있다. 영상(11)에서 상한 지시자 및 제4 가이드라인(12-4) 사이의 영역에 대한 엑스선 영상은 4회의 분할 촬영으로 획득될 수 있다. 영상(11)에서 상한 지시자 및 제5 가이드라인(12-5) 사이의 영역에 대한 엑스선 영상은 5회의 분할 촬영으로 획득될 수 있다.
출력부(2100)는 디스플레이된 상한 지시자(12S) 주위에 상한 지시자(12S)임을 식별할 수 있는 기호를 더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8에서는 문자 "TOP", 아래 방향의 화살표 기호 등으로 상한 지시자(12S)임을 식별할 수 있는 기호가 더 디스플레이되어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출력부(2100)는 디스플레이된 복수의 가이드라인들(12-1~12-5) 주위에 대응하는 분할 촬영 횟수를 식별할 수 있는 기호를 더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8에서는 숫자(1, 2, 3, 4, 5)가 더 디스플레이되어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8에서는 5개의 가이드라인들(12-1~12-5)이 영상(11) 상에 디스플레이되나, 도 8은 디스플레이되는 가이드라인의 개수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영상(11)에 대한 엑스선 영상이 1회의 촬영 횟수로 획득 가능하다면, 출력부(2100)는 영상(11) 상에 하나의 가이드라인만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하 도 8 외 다른 도면들에서도 출력부(2100)가 복수의 가이드라인들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으로 도시되더라도, 출력부(2100)가 하나의 가이드라인만을 디스플레이하는 경우를 제외하는 것은 아님을 유의할 필요가 있다.
도 7의 의료 영상 장치(2000)가 엑스선 장치에 포함되는 경우, 의료 영상 장치(2000)는 대상체를 촬영하여 영상(11)을 획득하는 영상 획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영상 획득부는 일반적인 영상 획득 장치인 카메라로 구현될 수 있다. 의료 영상 장치(2000)가 워크스테이션에 포함되는 경우, 의료 영상 장치(2000)는 엑스선 장치로부터 대상체를 촬영한 영상(11)을 전달받을 수 있다. 의료 영상 장치(2000)는 대상체를 촬영한 영상(11)을 수신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200)는 대상체를 촬영한 영상(11)을 기하학적 위치 등록(geometric registration)할 수 있다. 기하학적 위치 등록은 영상(11) 내 각 점을 실 세계의 위치와 매칭시키는 것이다.
제어부(2200)는 분할 촬영 횟수에 따른 엑스선 촬영될 실제 영역의 위치를 획득할 수 있고, 기하학적 위치 등록된 영상(11)에 분할 촬영 횟수에 따른 엑스선 촬영될 영역을 위치 정합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2200)는 대상체를 촬영한 영상(11) 상에 상한 지시자(12S) 및 복수의 가이드라인들(12-1~12-5)을 중첩시키는 영상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2200)는 출력부(2100)가 상한 지시자(12S) 및 복수의 가이드라인들(12-1~12-5)이 중첩 표시된 영상(11)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출력부(2100)를 제어할 수 있다.
분할 촬영 횟수가 증가할수록 대상체에 조사되는 엑스선이 증가한다. 과조사를 방지하기 위해, 관심 영역에 대한 엑스선 영상은 가능한 최소의 분할 촬영 횟수로 획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자는 출력부(2100)를 보고, 상한 지시자(12S) 및 복수의 가이드라인들(12-1~12-5) 사이의 영역에 대한 엑스선 영상을 획득하기 위해 필요한 분할 촬영 횟수를 직관적으로 알 수 있다. 즉, 의료 영상 장치(2000)는 사용자가 최적의 분할 촬영 횟수를 편리하고, 직관적으로 파악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의료 영상 장치(2000)는 과조사를 방지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각 가이드라인들(12-1~12-5)은 상한 지시자(12S) 및 대응하는 분할 촬영 횟수에 따라 엑스선 영상으로 획득 가능한 최대 영역의 하한을 지시할 수 있다. 최대 영역은 엑스선 장치(도 1의 100)의 콜리메이터(123)로 엑스선의 조사영역을 최대로 조절함으로써 획득 가능한 영역이다. 즉, 각 가이드라인들(12-1~12-5)은 콜리메이터로 엑스선의 조사영역을 최대로 조절하여, 대응하는 분할 촬영 횟수에 따라 엑스선 영상으로 획득 가능한 영역의 하한을 지시할 수 있다.
제1 가이드라인(12-1)은 1회의 엑스선 촬영으로 획득 가능한 최대 영역의 하한이고, 제2 가이드라인(12-2)은 2회의 분할 촬영으로 획득 가능한 최대 영역의 하한이고, 제3 가이드라인(12-3)은 3회의 분할 촬영으로 획득 가능한 최대 영역의 하한이고, 제4 가이드라인(12-4)은 4회의 분할 촬영으로 획득 가능한 최대 영역의 하한이고, 제5 가이드라인(12-5)은 5회의 분할 촬영으로 획득 가능한 최대 영역의 하한일 수 있다.
도 9는 도 7의 의료 영상 장치(2000)의 또 다른 구성도이다.
도 9를 참고하면, 의료 영상 장치(2000)는 출력부(2100) 및 제어부(2200) 외에도 입력부(2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2300)는 의료 영상 장치(2000)의 조작을 위한 명령 및 각종 정보 등의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2200)는 입력부(2300)가 수신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해 의료 영상 장치(2000)를 제어하거나 조작할 수 있다. 도 9의 입력부(2300)는 도 1의 입력부(112, 142)에 대응하는 구성일 수 있다. 따라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전술하였듯이, 출력부(2100)는 대상체를 촬영한 영상 상에 엑스선 촬영될 영역의 상한을 설정하기 위한 상한 지시자 및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라인을 중첩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입력부(2300)는 영상 상에서 상한 지시자의 위치를 조절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2200)는 사용자 입력에 의해 조절된 상한 지시자에 따라 영상에서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라인의 위치를 변경시킬 수 있다.
출력부(2100)는 사용자 입력에 의해 조절된 상한 지시자에 따라 변경된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라인을 영상 상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10은 도 9의 의료 영상 장치(2000)가 상한 지시자의 위치를 조절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의 예시이다. 도 10에서 출력부(2100)는 터치스크린으로 구현된 의료 영상 장치(2000)의 입력부(2300)를 포함하는 것으로 가정하고, 도 10은 도시의 편의를 위해 출력부(2100)만을 도시한다. 이하 도 10 외 다른 도면들이 출력부(2100)만을 도시한 경우에도, 출력부(2100)는 터치스크린으로 구현된 입력부(2300)를 포함하는 것으로 가정할 수 있다.
도 10(a)를 참고하면, 사용자는 상한 지시자(12S)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즉, 입력부(2300)는 상한 지시자(12S)의 위치를 조절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도 10(a)에서는 사용자가 상한 지시자(12S)를 손가락으로 드래그(drag)하는 방식으로 영상(11) 상에서 상한 지시자(12S)의 위치를 조절 가능한 것으로 도시하였다. 그러나 도 10(a)는 예시이고, 상한 지시자(12S)의 위치를 조절하는 사용자 입력은 입력부(2300)의 구현 방식에 따라 다양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입력부(2300)가 마우스를 포함하면, 사용자는 마우스를 이용해 상한 지시자(12S)의 위치를 조절할 수도 있다.
도 10(a)와 같이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한 지시자(12S)의 위치가 조절되면, 도 10(b)와 같이 출력부(2100)는 조절된 상한 지시자(12S)에 따라 변경된 복수의 가이드라인들(12-1~12-4)을 영상(11) 상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출력부(2100)는 상한 지시자(12S)의 위치 조절에 따라 실시간으로 변경된 복수의 가이드라인들(12-1~12-4)을 영상(11) 상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10에서는 상한 지시자(12S)의 위치 조절에 의해, 5개의 가이드라인들(12-1~12-5)에서 4개의 가이드라인들(12-1~12-4)로 가이드라인들의 위치 및 개수가 변경되었다. 다만 도 10은 설명을 위한 예시일 뿐, 가이드라인의 원래 개수 또는 변경된 개수가 도 10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변경 전에는 복수의 가이드라인들이 디스플레이되었으나, 상한 지시자(12S)의 위치 조절로 인해 하나의 가이드라인만이 디스플레이될 수도 있다.
도 10(b)와 같이 출력부(2100)가 상한 지시자(12S)의 위치의 조절로 변경된 가이드라인들(12-1~12-4)를 디스플레이한 후에도, 입력부(2300)는 영상(11) 상에서 조절된 상한 지시자(12S)의 위치를 재조절하는 사용자 입력을 다시 수신할 수도 있다. 출력부(2100)는 영상(11) 상에 재조절된 상한 지시자(12S)에 따라 재변경된 복수의 가이드라인들(12-1~12-4)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에 의해 상한 지시자(12S)의 위치가 조절 가능하고, 조절된 상한 지시자(12S)에 따라 변경된 복수의 가이드라인들(12-1~12-4)이 영상(11) 상에 다시 디스플레이됨으로써, 사용자는 관심 영역에 대한 엑스선 영상을 획득하기 위해 필요한 분할 촬영 횟수를 직관적이고 편리하게 알 수 있다. 즉, 의료 영상 장치(2000)는 사용자가 최적의 분할 촬영 횟수를 편리하고, 직관적으로 파악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의료 영상 장치(2000)는 과조사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1은 도 9의 의료 영상 장치(2000)가 도 10과 같이 상한 지시자의 위치를 조절한 후 상한 지시자의 위치를 재조절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의 예시이다.
도 11(a)를 참고하면, 사용자가 엑스선 영상을 획득하고자 하는 관심 영역(ROI)은 상한 지시자(12S) 및 제3 가이드라인(12-3) 사이에 있을 수 있다. 따라서 관심 영역(ROI)에 대한 엑스선 영상은 3회의 분할 촬영을 통해 획득될 수 있다. 그런데, 사용자는 관심 영역(ROI)의 크기에 비해 분할 촬영 횟수가 많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상한 지시자(12S)의 위치를 재조절할 수 있다. 즉, 입력부(2300)는 영상(11) 상에서 상한 지시자(12S)의 위치를 재조절하는 사용자 입력을 다시 수신할 수 있다.
도 11(a)와 같이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한 지시자(12S)의 위치가 재조절되면, 도 11(b)와 같이 출력부(2100)는 재조절된 상한 지시자(12S)에 따라 재변경된 가이드라인들(12-1~12-4)을 영상(11) 상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재조절된 상한 지시자(12S) 및 재변경된 가이드라인들(12-1~12-4)에 따라, 관심 영역(ROI)은 상한 지시자(12S) 및 제2 가이드라인(12-2) 사이에 위치한다. 따라서 관심 영역(ROI)에 대한 엑스선 영상은 2회의 분할 촬영을 통해 획득될 수 있다.
도 11(a)에서 관심 영역(ROI)에 대한 엑스선 영상은 3회의 분할 촬영을 통해 획득될 수 있으나, 도 11(b)와 같이 상한 지시자(12S)의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관심 영역(ROI)에 대한 엑스선 영상을 획득하기 위한 분할 촬영 횟수가 감소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출력부(2100)는 대상체를 촬영한 영상(11)을 디스플레이하고, 영상(11) 상에 사용자에 의해 위치 조절이 가능한 상한 지시자(12S), 그리고 상한 지시자(12S) 및 분할 촬영 횟수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라인(12-1~12-4)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관심 영역(ROI) 대비 최적의 분할 촬영 횟수를 편리하게 파악할 수 있어, 관심 영역(ROI) 대비 분할 촬영 횟수가 불필요하게 증가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이를 통해, 의료 영상 장치(2000)는 대상체에 엑스선이 과조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사용자는 영상(11) 상에서 상한 지시자(12S)의 위치를 조절한 후, 엑스선 촬영될 영역의 하한을 설정할 수 있다. 즉, 입력부(2300)는 엑스선 촬영될 영역의 하한을 설정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도 12는 도 9의 의료 영상 장치(2000)가 엑스선 촬영될 영역의 하한을 설정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의 예시이다.
도 12를 참고하면, 출력부(2100)는 영상(11) 상에 상한 지시자(12S) 및 복수의 가이드라인들(12-1~12-4) 외에도 엑스선 촬영될 영역의 하한을 설정하기 위한 하한 지시자(12E)를 더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즉, 출력부(2100)는 상한 지시자(12S), 복수의 가이드라인들(12-1~12-4) 및 하한 지시자(12E)를 영상(11) 상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입력부(2300)는 하한 지시자(12E)의 위치를 조절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2200)는 하한 지시자(12E)의 위치를 엑스선 촬영될 영역의 하한으로 설정할 수 있다.
도 12에서는 사용자가 하한 지시자(12E)를 손가락으로 드래그하는 방식으로 영상(11) 상에서 하한 지시자(12E)의 위치를 조절하는 것으로 도시하였다. 그러나 도 12는 예시이고, 하한 지시자(12E)의 위치를 조절하는 사용자 입력은 입력부(2300)의 구현 방식에 따라 다양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입력부(2300)가 마우스를 포함하면, 사용자는 마우스를 이용해 하한 지시자(12E)의 위치를 조절할 수도 있다.
출력부(2100)는 디스플레이된 하한 지시자(12E) 주위에 하한 지시자(12E)임을 식별할 수 있는 기호를 더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12에서는 문자 "BOTTOM", 윗 방향의 화살표 기호 등으로 하한 지시자(12E)임을 식별할 수 있는 기호가 디스플레이되어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2에서는 사용자 입력에 의해 하한 지시자(12E)가 제2 가이드라인(12-2) 및 제3 가이드라인(12-3)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이 경우, 상한 지시자(12S) 및 하한 지시자(12E) 사이의 영역에 대한 엑스선 영상은 3회의 엑스선 촬영으로 획득될 수 있다. 출력부(2100)는 분할 촬영 횟수가 3회임을 강조하기 위해, 3회보다 큰 분할 촬영 횟수에 대응하는 가이드라인들, 즉 도 12에서는 제4 가이드라인(12-4)을 다른 가이드라인들(12-1~12-3)과 구별되게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12와 같이 제4 가이드라인(12-4)은 점선으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다만 도 12는 예시일 뿐, 제4 가이드라인(12-4)은 흐리게 디스플레이되거나, 다른 색상으로 디스플레이되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다른 가이드라인들(12-1~12-3)과 구별되게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도 12는 엑스선 촬영될 영역의 하한을 설정하는 사용자 입력의 예시일 뿐, 하한을 설정하는 방식을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엑스선 촬영될 영역의 하한은 사용자에 의해 다양한 방식으로 설정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사용자는 출력부(2100)의 영상(11) 상의 한 지점을 터치 또는 클릭하는 방식으로 엑스선 촬영될 영역의 하한을 설정할 수도 있다. 이때, 도 12와 달리 영상(11) 상에 하한 지시자(12E)가 디스플레이되지 않을 수도 있다.
설명한 것과 같이, 의료 영상 장치(2000)의 입력부(2300)는 상한 지시자(12S)의 위치를 조절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거나, 하한 지시자(12E)의 위치 조절 등을 통한 엑스선 촬영될 영역의 하한을 설정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2200)는 엑스선 촬영될 영역의 하한에 기초해 분할 촬영 횟수를 결정할 수 있다. 도 12와 같이 하한 지시자(12E)가 제2 가이드라인(12-2) 및 제3 가이드라인(12-3) 사이에 위치하면, 제어부(2200)는 분할 촬영 횟수를 3회로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2200)는 영상(11)에서 상한 지시자(12S) 및 하한 지시자(12E) 사이의 영역을 결정된 분할 촬영 횟수에 따라 분할 촬영을 위한 영역들로 분할할 수 있다. 도 12에서 제어부(2200)는 상한 지시자(12S) 및 하한 지시자(12E) 사이의 영역을 3개의 분할 촬영을 위한 영역들로 분할할 수 있다. 제어부(2200)는 상한 지시자(12S) 및 하한 지시자(12E) 사이의 영역을 균등하게 분할할 수 있고, 또는 균등하지 않게 분할할 수 있다.
출력부(2100)는 영상(11) 상에 분할 촬영을 위한 영역들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13은 도 9의 의료 영상 장치(2000)가 영상(11) 상에 분할 촬영을 위한 영역들을 디스플레이하는 경우의 예시이다.
도 13(a)를 참고하면, 사용자는 출력부(2100)에 디스플레이된 영상(11) 상에 상한 지시자(12S) 및 하한 지시자(12E)의 위치를 설정할 수 있다.
출력부(2100)는 상한 지시자(12S) 및 하한 지시자(12E)의 설정을 적용하는 UI(user interface, 13)를 더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입력부(2300)는 UI(13)를 통해 상한 지시자(12S) 및 하한 지시자(12E)의 설정을 적용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도 13(a)와 같이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한 지시자(12S) 및 하한 지시자(12E)의 설정이 적용되면, 도 13(b)와 같이 출력부(2100)는 상한 지시자(12S) 및 하한 지시자(12E) 사이의 엑스선 촬영될 영역이 3개로 분할된 영역들(A1, A2, A3)을 영상(11) 상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사용자는 출력부(2100)를 통해 분할된 영역들(A1, A2, A3)을 직관적이고 편리하게 확인할 수 있다. 사용자는 분할된 영역들(A1, A2, A3)이 적절하다고 판단되면, 엑스선 조사를 위한 조사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입력부(2300)는 사용자로부터 조사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조사명령이 수신되면, 제어부(2200)는 분할된 영역들(A1, A2, A3)이 분할 촬영되도록 엑스선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영상(11)은 기하학적 위치 등록되어 있어, 제어부(2200)는 영상(11)에서 분할된 영역들(A1, A2, A3)에 대응하는 실 세계에서의 위치를 획득할 수 있고, 그에 따라 분할된 영역들(A1, A2, A3)을 분할 촬영할 수 있다.
제어부(2200)는 엑스선 장치의 엑스선 조사영역이 각 분할된 영역들(A1, A2, A3)에 대응하도록 엑스선 장치의 콜리메이터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3(b)의 분할된 영역들(A1, A2, A3)은 도 5에서 설명한 대상체(10)의 부분들(683-1~683-3)에 대응할 수 있다. 도 5에서 대상체(10)의 제1 부분(683-1), 제2 부분(683-2) 및 제3 부분(683-3)을 합한 관심 영역(683)은 도 13(b)에서 상한 지시자(12S) 및 하한 지시자(12E) 사이의 엑스선 촬영될 영역에 대응될 수 있다.
각 분할된 영역들(A1, A2, A3)이 분할 촬영됨으로써, 제어부(2200)는 3개의 엑스선 분할 영상들을 획득할 수 있다. 제어부(2200)는 3개의 엑스선 분할 영상들을 스티칭함으로써 하나의 엑스선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즉, 최종적으로 상한 지시자(12S) 및 하한 지시자(12E) 사이의 영역에 대한 엑스선 영상이 획득될 수 있다. 복수의 엑스선 분할 영상들을 스티칭하는 예는 도 6에서 이미 설명하였다.
만일, 사용자는 도 13(b)와 같이 디스플레이된 출력부(2100)를 확인한 후 분할된 영역들(A1, A2, A3)이 적절하지 않다고 판단한다면, 사용자는 상한 지시자(12S) 또는 하한 지시자(12E)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즉, 입력부(2300)는 상한 지시자(12S) 또는 하한 지시자(12E)의 위치를 변경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13(b)에서 도 13(a)와 같이 출력부(2100)의 화면이 다시 전환될 수 있다. 화면 전환으로 분할 촬영을 위한 영역들(A1, A2, A3) 대신 가이드라인들(12-1~12-4)이 다시 디스플레이됨으로써, 사용자는 상한 지시자(12S)나 하한 지시자(12E)의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엑스선 촬영될 영역의 상한 및 하한을 재설정할 수 있다.
도 13(b)는 상한 지시자(12S) 및 하한 지시자(12E) 사이의 영역이 균등하게 영역들(A1, A2, A3)로 분할된 경우이다. 다른 예로, 제어부(2200)는 상한 지시자(12S) 및 하한 지시자(12E) 사이의 영역을 균등하지 않게 분할할 수도 있다. 도 13(a)와 같이 상한 지시자(12S) 및 하한 지시자(12E)가 설정되면, 제어부(2200)는 상한 지시자(12S) 및 제1 가이드라인(12-1) 사이를 제1 영역, 제1 가이드라인(12-1) 및 제2 가이드라인(12-2) 사이를 제2 영역, 그리고 제2 가이드라인(12-2) 및 하한 지시자(12E) 사이를 제3 영역으로 분할할 수도 있다. 제어부(2200)는 제1 영역을 분할 촬영 시 엑스선 조사 영역이 제1 영역에 대응하도록 콜리메이터를 조절하고, 제2 영역을 분할 촬영 시 엑스선 조사 영역이 제2 영역에 대응하도록 콜리메이터를 조절하고, 제3 영역을 분할 촬영 시 엑스선 조사 영역이 제3 영역에 대응하도록 콜리메이터를 조절할 수 있다.
도 14는 도 9의 의료 영상 장치(2000)가 영상(11) 상에 분할 촬영을 위한 영역들을 디스플레이하는 경우의 다른 예시이다.
도 14를 참고하면, 출력부(2100)는 대상체를 촬영한 영상(11)을 디스플레이하고, 상한 지시자(12S) 및 하한 지시자(12E) 사이의 엑스선 촬영될 영역을 분할 촬영을 위한 영역들(B1, B2, B3)로 분할하여 영상(11) 상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제1 영역(B1)은 제2 영역(B2)과 일부 중첩되고, 제2 영역(B2)은 제3 영역(B3)과 일부 중첩된다.
도 5에서 설명하였듯이, 엑스선 장치가 분할 촬영하는 대상체(10)의 부분(683-1~683-3)은 서로 중첩할 수 있다. 도 6에서 스티칭된 영상인 엑스선 영상(783)은 복수의 엑스선 분할 영상들(783-1, 783-2, 783-2)의 서로 중첩되는 부분(S1, S2)을 연결하여 획득되기 때문이다.
일부 실시예에 따른 출력부(2100)는 분할 촬영 시 일부 중첩되는 대상체(10)의 부분들(683-1~683-3)과 마찬가지로 영상(11) 상에 분할 촬영을 위한 영역들(B1, B2, B3)이 일부 중첩되도록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출력부(2100)는 영상(11) 상에 분할된 영역들(B1, B2, B3) 사이에서 중첩되는 부분(H1, H2)을 하이라이트 표시할 수 있다. 출력부(541)는 중첩되는 부분(H1, H2)을 색상 등 다양한 방식으로 하이라이트 표시할 수 있다.
분할 촬영 시 중첩되는 부분(H1, H2)은 2번 엑스선 조사가 되어 과조사될 것이다. 또한, 중첩되는 부분(H1, H2)은 각 분할된 영역들(B1, B2, B3)에 대한 엑스선 분할 영상들(예를 들어, 도 6의 783-1~783-3)에서 서로 중첩되는 부분(도 6의 S1, S2)에 대응한다. 엑스선 분할 영상들(783-1~783-3)에서 중첩되는 부분(S1, S2)은, 스티칭된 엑스선 영상(783)에서 왜곡될 수 있다. 따라서 엑스선 영상(783)에서 중첩되는 부분(S1, S2)의 화질은 열화될 수 있다. 즉, 영상(11) 상에 하이라이트 표시된 중첩되는 부분(H1, H2)에 대응하는, 엑스선 영상의 부분에서 화질이 열화될 수 있다.
사용자는 출력부(2100)를 통해 분할 촬영 시 중첩되는 부분(H1, H2)을 직관적이고 편리하게 확인할 수 있다. 사용자는 출력부(2100)를 보고, 중첩되는 부분(H1, H2)이 엑스선 영상에서 중요한 부분으로 화질 열화를 피해야 하는지 여부, 중첩되는 부분(H1, H2)이 유방, 생식기 등 약한 장기가 있는 부위인지 여부 등을 판단할 수 있다. 중첩되는 부분(H1, H2)이 엑스선 영상에서 중요한 부분이거나, 약한 장기가 있는 부분으로 판단되면, 사용자는 중첩되는 부분(H1, H2)이 변경되도록, 상한 지시자(12S) 또는 하한 지시자(12E)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즉, 입력부(2300)는 상한 지시자(12S) 또는 하한 지시자(12E)의 위치를 변경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2200)는 영상(11)을 분석하여 중첩되는 부분(H1, H2)이 약한 장기가 있는 부분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200)는 영상 처리를 통해 대상체를 촬영한 영상(11)에서 유방, 생식기 등 약한 장기가 있는 부분을 추정할 수 있다. 중첩되는 부분(H1, H2)이 약한 장기가 있는 부분이라 판단되면, 제어부(2200)는 출력부(541)가 알림 신호를 출력하도록 출력부(541)를 제어할 수도 있다. 출력부(541)는 화면에 경고 메시지를 출력하거나, 경고 사운드를 출력하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알림 신호로 출력할 수 있다.
도 14와 같이 출력부(2100)가 분할된 영역들(B1, B2, B3)을 영상(11) 상에 디스플레이하면, 입력부(2300)는 사용자로부터 조사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조사명령이 수신되면, 제어부(2200)는 분할된 영역들(B1, B2, B3)이 분할 촬영되도록 엑스선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다시 도 13을 참고하면, 분할 촬영을 위한 영역들(A1, A2, A3)에서 제1 영역(A1)의 하한 및 제2 영역(A2)의 하한은 각각 제1 가이드라인(12-1) 및 제2 가이드라인(12-2)과 일치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3에서 각 가이드라인들(12-1~12-4)은 분할 촬영 횟수에 따라 엑스선 영상으로 획득 가능한 최대 영역의 하한을 지시하기 때문이다. 그런데, 각 가이드라인들(12-1~12-4)이 최대 영역이 아닌 균등하게 분할된 영역의 하한을 지시하는 실시예도 가능할 것이다. 즉, 각 가이드라인들(12-1~12-4)의 하한과 분할 촬영을 위한 영역들(A1, A2, A3)의 하한을 일치시키는 실시예가 가능할 것이다. 이에 대해 도 15 내지 도 17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15는 도 9의 의료 영상 장치(2000)가 대상체를 촬영한 영상 상에 상한 지시자 및 복수의 가이드라인들을 디스플레이하는 경우의 다른 예시이다.
도 15(a)를 참고하면, 출력부(2100)는 대상체를 촬영한 영상(11) 상에 상한 지시자(12S) 및 복수의 가이드라인들(12-1~12-5)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출력부(2100)는 영상(11) 상에 하한 지시자(12E)를 더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하한 지시자(12E)는 복수의 가이드라인들(12-1~12-5) 중 마지막 가이드라인인 제5 가이드라인(12-5)과 동일할 수 있다.
각 가이드라인들(12-1~12-5)은 상한 지시자 및 분할 촬영 횟수에 따른 엑스선 촬영될 영역의 하한을 지시한다. 각 가이드라인들(12-1~12-5)은 상한 지시자(12S) 및 하한 지시자(12E) 사이의 엑스선 촬영될 영역에 대한 분할 촬영 횟수에 따라 엑스선 촬영될 영역을 균등하게 분할된 영역의 하한을 지시할 수 있다.
도 15(a)에서 상한 지시자(12S) 및 하한 지시자(12E) 사이의 영역에 대한 엑스선 영상은 5회의 분할 촬영 횟수로 획득 가능하다. 따라서, 상한 지시자(12S) 및 하한 지시자(12E) 사이의 영역은 5개의 영역으로 균등하게 분할되고, 각 가이드라인들(12-1~12-5)은 균등하게 분할된 각 영역의 하한을 지시할 수 있다.
입력부(2300)는 상한 지시자(12S)의 위치를 조절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도 15(a)와 같이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한 지시자(12S)의 위치가 조절되면, 도 15(b)와 같이 출력부(2100)는 조절된 상한 지시자(12S)에 따라 변경된 복수의 가이드라인들(12-1~12-5)을 영상(11) 상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출력부(2100)는 상한 지시자(12S)의 위치 조절에 따라 변경된 복수의 가이드라인들(12-1~12-5)을 영상(11) 상에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15(b)에서 변경된 상한 지시자(12S) 및 하한 지시자(12E) 사이의 영역에 대한 엑스선 영상은 여전히 5회의 분할 촬영 횟수로 획득 가능하다. 변경된 상한 지시자(12S) 및 하한 지시자(12E) 사이의 영역은 5개의 영역으로 균등하게 분할되고, 각 가이드라인들(12-1~12-5)은 균등하게 분할된 각 영역의 하한을 지시할 수 있다.
도 15와 같은 출력부(2100)의 동작을 위해, 제어부(2200)는 상한 지시자(12S) 및 하한 지시자(12E) 사이의 영역에 대한 분할 촬영 횟수를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2200)는 최소의 횟수를 분할 촬영 횟수로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2200)는 영상(11)에서 상한 지시자(12S) 및 하한 지시자(12E)사이의 영역을 결정된 분할 촬영 횟수에 따라 균등하게 분할할 수 있다. 제어부(2200)는 영상(11)에서 가이드라인들(12-1~12-5)이 균등하게 분할된 영역의 하한을 지시하도록 할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해 상한 지시자(12S) 또는 하한 지시자(12E)의 위치가 조절되면, 제어부(2200)는 조절된 상한 지시자(12S) 및 하한 지시자(12E)에 대해, 실시간으로 분할 촬영 횟수를 변경하고, 가이드라인들(12-1~12-5)을 변경할 수 있다.
도 16은 도 9의 의료 영상 장치(2000)가 대상체를 촬영한 영상 상에 상한 지시자 및 복수의 가이드라인들을 디스플레이하는 경우의 또 다른 예시이다.
도 16(a)와 같이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한 지시자(12S)의 위치가 조절되면, 도 16(b)와 같이 출력부(2100)는 조절된 상한 지시자(12S)에 따라 변경된 복수의 가이드라인들(12-1~12-4)을 영상(11) 상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출력부(2100)는 상한 지시자(12S)의 위치 조절에 따라 변경된 복수의 가이드라인들(12-1~12-4)을 영상(11) 상에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16(a)에서 상한 지시자(12S) 및 하한 지시자(12E) 사이의 영역에 대한 엑스선 영상은 5회의 분할 촬영 횟수로 획득 가능하나, 도 16(b)에서는 상한 지시자(12S)의 위치 변경으로 인해, 변경된 상한 지시자(12S) 및 하한 지시자(12E) 사이의 영역에 대한 엑스선 영상은 4회의 분할 촬영 횟수로 획득 가능하게 된다. 변경된 상한 지시자(12S) 및 하한 지시자(12E) 사이의 영역은 4개의 영역으로 균등하게 분할되고, 각 가이드라인들(12-1~12-4)은 균등하게 분할된 각 영역의 하한을 지시할 수 있다.
도 17은 도 9의 의료 영상 장치(2000)가 엑스선 촬영될 영역의 하한을 설정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의 다른 예시이다.
도 17(a)를 참고하면, 입력부(2300)는 하한 지시자(12E)의 위치를 조절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도 17(a)와 같이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하한 지시자(12E)의 위치가 조절되면, 도 17(b)와 같이 출력부(2100)는 상한 지시자(12S) 및 조절된 하한 지시자(12E)에 따라 변경된 복수의 가이드라인들(12-1~12-3)을 영상(11) 상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출력부(2100)는 하한 지시자(12E)의 위치 조절에 따라 변경된 복수의 가이드라인들(12-1~12-3)을 실시간으로 영상(11) 상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17(b)에서 상한 지시자(12S) 및 변경된 하한 지시자(12E) 사이의 영역에 대한 엑스선 영상은 3회의 분할 촬영 횟수로 획득 가능하게 된다. 상한 지시자(12S) 및 변경된 하한 지시자(12E) 사이의 영역은 3개의 영역으로 균등하게 분할되고, 각 가이드라인들(12-1~12-3)은 균등하게 분할된 각 영역의 하한을 지시할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의료 영상 장치(2000)는 엑스선 장치 또는 워크스테이션에 포함될 수 있다. 먼저, 의료 영상 장치(2000)가 엑스선 장치에 포함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도 18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장치를 도시한다.
도 18을 참고하면, 엑스선 장치(500)는 영상 획득부(510), 엑스선 조사부(520), 조작부(540) 및 제어부(550)를 포함할 수 있다. 엑스선 장치(500)는 검출부(5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는, 검출부(530)는 엑스선 장치(500)에 연결 및 분리 가능한 별개의 장치인 엑스선 디텍터일 수도 있다.
엑스선 조사부(520)는 엑스선 소스(522) 및 콜리메이터(523)을 포함할 수 있다. 조작부(540)는 출력부(541) 및 입력부(542)를 포함할 수 있다.
영상 획득부(510)는 대상체를 촬영하여 대상체에 대한 영상을 획득한다. 영상 획득부(510)는 일반적인 영상 획득 장치인 카메라로 구현될 수 있다.
영상 획득부(510)에서 획득된 영상은 대상체의 정지 영상일 수 있고, 또는 대상체를 실시간으로 촬영 중인 영상일 수도 있다.
영상 획득부(510)에서 획득된 영상은 대상체 전체를 촬영한 영상일 수 있다. 또는, 영상 획득부(510)에서 획득된 영상은 대상체의 일부를 촬영한 영상일 수도 있다. 촬영되는 대상체의 일부는 엑스선 영상을 획득하고자 하는 관심 영역에 대응하거나 관심 영역보다 조금 더 넓은 영역일 수 있다.
도 18의 영상 획득부(510)를 제외한 구성은 이하에서 따로 언급하지 않더라도 전술한 엑스선 장치(100, 200, 300)에 대한 내용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엑스선 장치(500)는 워크스테이션(도 1의 11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엑스선 장치(500)의 출력부(541), 제어부(550) 및 입력부(542)는 각각 전술한 의료 영상 장치(2000)의 출력부(2100), 제어부(2200) 및 입력부(2300)에 대응할 수 있다. 따라서 의료 영상 장치(2000)에 대해 전술한 내용 역시 따로 언급하지 않더라도 도 18의 엑스선 장치(500)에 적용될 수 있다.
제어부(550)는 출력부(541)가 대상체를 촬영한 영상 상에 엑스선 촬영될 영역의 상한을 설정하기 위한 상한 지시자 및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라인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출력부(541)를 제어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라인은 상한 지시자 및 분할 촬영 횟수에 따른 엑스선 촬영될 영역의 하한을 지시한다.
출력부(541)에는 전술한 도면들에서 설명한 의료 영상 장치(2000)의 출력부(2100)에 대한 내용이 모두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19는 도 18의 엑스선 장치의 일부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9를 참고하면, 영상 획득부(510)는 대상체(10)를 촬영하여 대상체(10)에 대한 영상을 획득한다. 도 19에서 영상 획득부(510)는 엑스선 조사부(520)의 일 부분에 마련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영상 획득부(510)는 대상체(10)를 촬영할 수 있는 위치이면 어느 곳이든 설치 가능할 것이다.
도 19에서 조작부(540)에 포함되는 출력부(541) 및 입력부(542)는 서로 분리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입력부(542) 또는 입력부(542)의 일부는 출력부(541)에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부(542)가 터치스크린을 포함하는 경우, 터치스크린은 출력부(541)에 구현될 수 있다.
도 20은 도 19의 엑스선 장치의 엑스선 조사부 및 조작부가 회전하는 경우의 예시이다.
도 20(a)을 참고하면, 엑스선 조사부(520)는 회전 가능하다. 엑스선 조사부(520)는 대상체의 위치에 따라 회전될 수 있다. 대상체가 테이블 위에 누워있는 경우, 엑스선 조사부(520)는 도 20(a)와 같이 아래를 향할 수 있다. 대상체가 서 있는 경우, 엑스선 조사부(520)는 도 20(b)와 같이 옆을 향할 수 있다.
도 20(a)와 같이 아래를 향한 엑스선 조사부(520)가 반시계 방향으로 90도 회전하면, 도 20(b)와 같이 조작부(540) 역시 엑스선 조사부(520)와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엑스선 장치(500)의 조작부(540)는 엑스선 조사부(520)에 부착되어 있어, 조작부(540)는 엑스선 조사부(520)와 함께 회전할 수 있다.
도 21은 도 20과 같이 엑스선 조사부 및 조작부가 회전한 경우, 출력부 화면의 예시이다.
도 21(a)에서 출력부(541)의 화면은 포트레이트(portrait)이나, 조작부(540)가 옆으로 회전되면, 도 20(b)와 같이 출력부(541)의 화면은 랜드스케이프(landscape)로 전환될 수 있다.
도 21과 같이 조작부(540)의 방향(orientation)에 따라 출력부(541)의 화면은 포트레이트 또는 랜드스케이프로 자동으로 전환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출력부(541)의 화면을 보는데 불편함이 없을 것이다.
도 22는 엑스선 장치의 출력부가 대상체를 촬영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경우의 예시이다.
도 22(a)를 참고하면, 출력부(541)는 대상체의 촬영을 위한 UI(14)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입력부(541)는 UI(14)를 통해 대상체의 촬영을 지시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도 22(a)와 같이 대상체 촬영을 지시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도 22(b)와 같이 출력부(541)는 대상체를 촬영한 영상(11)을 디스플레이하고, 영상(11) 상에 상한 지시자(12S) 및 가이드라인들(12-1~12-5)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입력부(541)는 상한 지시자(12S)의 위치를 조절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거나, 엑스선 촬영될 영역의 하한을 지시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는 영상(11) 상의 상한 지시자(12S) 및 가이드라인들(12-1~12-5)을 통해 과조사를 방지할 수 있는 최적의 분할 촬영 횟수를 고려하여 엑스선 촬영될 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 엑스선 촬영될 영역의 상한 및 하한이 설정되면, 엑스선 장치(500)는 대상체를 분할 촬영하여 엑스선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내용은 전술한 의료 영상 장치(2000)에 대한 내용이 적용될 수 있으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엑스선 장치(500)의 출력부(541)에 대한 내용은 도 7의 의료 영상 장치(2000)의 출력부(2100)에도 그대로 적용 가능할 것이다.
다음 도 23 내지 도 27을 참고하여, 도 18의 엑스선 장치(500)의 출력부(541)가 대상체를 촬영한 영상 상에 상한 지시자 및 가이드라인들을 디스플레이하는 일부 실시예에 대해 상술한다. 도 23 내지 도 27에 대한 내용은 도 7의 의료 영상 장치(2000)에도 그대로 적용 가능할 것이다.
도 23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장치가 대상체를 촬영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예시이다.
도 23을 참고하면, 출력부(541)는 영상 획득부(510)에서 획득된 대상체를 촬영한 영상(580)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24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장치가 엑스선 촬영될 영역의 상한을 설정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영상 상에 상한 지시자 및 복수의 가이드라인들을 디스플레이하는 예시이다.
도 24(a)를 참고하면, 입력부(542)는 디스플레이된 영상(580) 상에 엑스선 촬영될 영역의 상한(571)을 설정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입력부(542)는 터치스크린을 포함하고, 사용자(20)는 출력부(541)에 디스플레이된 영상(580) 상의 하나의 지점을 터치하는 방식으로 엑스선 촬영될 영역의 상한(571)을 설정할 수 있다. 도 24(a)는 엑스선 촬영될 영역의 상한(571)을 입력하는 방식의 예시이고, 상한(571)이 입력되는 방식은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도 24(a)와 같이 엑스선 촬영될 영역의 상한(571)을 설정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도24(a)에서 도 24(b)와 같이 출력부(541)의 화면이 전환될 수 잇다.
도 24(b)를 참고하면, 출력부(541)는 영상(580) 상에 엑스선 촬영될 영역의 상한을 설정하기 위한 상한 지시자(571S) 및 복수의 가이드라인들(581B~585B)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상한 지시자(571S)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엑스선 촬영될 영역의 상한(571)에 대응한다. 각 가이드라인들(581B~585B)은 상한 지시자(571S) 및 대응하는 분할 촬영 횟수에 따른 엑스선 촬영될 영역(581~585)의 하한을 지시한다.
출력부(541)는 디스플레이된 복수의 가이드라인들(12-1~12-5) 주위에 대응하는 분할 촬영 횟수를 식별할 수 있는 기호를 더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24에서는 기호(1회, 2회, 3회, 4회, 5회)가 더 디스플레이되어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각 엑스선 촬영될 영역(581~585)은 상한 지시자(571S) 및 대응하는 분할 촬영 횟수를 기반으로 결정된다. 각 엑스선 촬영될 영역(581~585)은 상한 지시자(571S) 및 대응하는 가이드라인(581B~585B) 사이의 영역이다.
상한 지시자(571S) 및 제1 가이드라인(581B) 사이의 엑스선 촬영될 영역(581)은 1회의 엑스선 촬영을 통해 획득 가능한 엑스선 영상에 대응되는 영역이다. 상한 지시자(571S) 및 제2 가이드라인(582B) 사이의 엑스선 촬영될 영역(582)은 2회의 분할 촬영을 통해 획득 가능한 엑스선 영상에 대응되는 영역이다. 상한 지시자(571S) 및 제3 가이드라인(582B) 사이의 엑스선 촬영될 영역(583)은 3회의 분할 촬영을 통해 획득 가능한 엑스선 영상에 대응되는 영역이다. 상한 지시자(571S) 및 제4 가이드라인(584B) 사이의 엑스선 촬영될 영역(584)은 4회의 분할 촬영을 통해 획득 가능한 엑스선 영상에 대응되는 영역이다. 상한 지시자(571S) 및 제5 가이드라인(584B) 사이의 엑스선 촬영될 영역(585)은 5회의 분할 촬영을 통해 획득 가능한 엑스선 영상에 대응되는 영역이다.
도 24(b)에는 복수의 가이드라인들(581B~585B)이 도시되었으나, 영상(580)에서 상한 지시자(571S) 아래 영역에 대한 엑스선 영상이 1회의 분할 촬영 횟수로 획득 가능하다면, 출력부(541)는 영상(580) 상에 하나의 가이드라인만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하 다른 도면들에서도 출력부(541)가 복수의 가이드라인들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으로 도시되더라도, 출력부(541)가 하나의 가이드라인만을 디스플레이하는 경우를 제외하는 것은 아님을 유의할 필요가 있다.
도 24(b)에서는 5개의 가이드라인들(581B~585B)이 영상(580) 상에 디스플레이되나, 도 24(b)는 디스플레이되는 가이드라인의 개수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도 24(b)는 예시일 뿐이고, 디스플레이되는 가이드라인들의 개수는 구현 방식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되는 가이드라인들의 개수는 영상(580)에 표현된 대상체와 실제 대상체의 대응 관계, 상한 지시자(571S)의 위치 등에 의해 달라질 수 있다. 또는 디스플레이되는 가이드라인들의 최대 개수는 디폴트(default)로 설정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설정 또는 재설정될 수도 있다.
도 24에서, 입력부(542)가 엑스선 촬영될 영역의 상한을 설정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면, 출력부(541)는 상한에 대응하는 상한 지시자(571S) 및 복수의 가이드라인들(581B~585B)을 영상(580) 상에 디스플레이한다. 도 8과의 비교를 위해, 다시 도 8을 참고하면, 의료 영상 장치(2000)는 엑스선 촬영될 영역의 상한을 설정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지 않더라도, 출력부(2100)는 바로 상한 지시자(12S)를 영상(11) 상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8에서 출력부(2100)는 상한 지시자(12S)를 영상(11)의 맨 윗부분에 먼저 자동적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25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장치가 엑스선 촬영될 영역의 하한을 설정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영상 상에 분할 촬영을 위한 영역들을 디스플레이하는 예시이다.
도 25(a)를 참고하면, 입력부(542)는 엑스선 촬영될 영역의 하한(572)을 설정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입력부(542)는 터치스크린을 포함하고, 사용자(20)는 출력부(541)에 디스플레이된 영상(580) 상의 하나의 지점(572)를 터치하는 방식으로 엑스선 촬영될 영역의 하한(572)을 설정할 수 있다. 도 25(a)에서 하한(572)은 제3 가이드라인(583B)의 한 점일 수 있다. 도 25(a)에서 영상(580)에서 상한 지시자(571S) 및 하한(572) 사이의 영역에 대한 엑스선 영상은 3회의 분할 촬영을 통해 획득 가능하다.
도 25(a)는 엑스선 촬영될 영역의 하한(572)을 설정하는 방식의 예시이고, 하한(572) 설정하는 방식은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다른 예로, 하한(572)은 가이드라인들(581B, 582B, 583B, 584B, 585B) 중 하나의 가이드라인을 선택하는 방식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는 분할 촬영 횟수를 선택하는 방식으로도 하한(572)이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분할 촬영 횟수를 2회로 선택하는 정보를 입력한다면, 하한(572)은 제2 가이드라인(582B)으로 선택될 것이다.
도 25(a)와 같이 엑스선 촬영될 영역의 하한(572)이 설정되면, 엑스선 장치(500)는 상한 지시자(571S) 및 하한(572) 사이의 영역을 3회에 걸쳐 분할 촬영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한 지시자(571S) 및 하한(572) 사이의 영역에 대한 엑스선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엑스선 장치(500)는 분할 촬영을 수행하기 전 사용자가 분할 촬영을 위한 영역들을 확인할 수 있도록, 도 25(a)에서 도 25(b)와 같이 출력부(541)의 화면을 전환할 수도 있다.
도 25(b)를 참고하면, 출력부(541)는 상한 지시자(571S) 및 하한(572) 사이의 영역(30)을 분할 촬영을 위한 영역들(31, 32, 33)로 분할하여 영상(580) 상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분할 촬영을 위한 영역들(31, 32, 33)은 각각 분할 촬영 시마다 촬영될 영역에 대응한다. 제1 영역(31)과 제2 영역(32)은 서로 중첩할 수 있고, 제2 영역(32)과 제3 영역(33)은 서로 중첩할 수 있다. 출력부(541)는 영상(580) 상에 분할 촬영을 위한 영역들(31, 32, 33)이 일부 중첩되도록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그런데 사용자가 도 24(b)와 같이 디스플레이된 출력부(541)를 확인한 후, 도 25에서와 같이 엑스선 촬영될 영역의 하한(582)을 설정하는 대신 상한 지시자(571S)의 위치를 조절할 수도 있다.
도 26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장치가 상한 지시자를 조절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영상 상에 조절된 상한 지시자 및 변경된 복수의 가이드라인들을 디스플레이하는 예시이다.
도 26(a)을 참고하면, 사용자가 엑스선 영상을 획득하고자 하는 관심 영역(ROI)이 상한 지시자(571S) 및 제3 가이드라인(583B) 사이에 있을 수 있다. 관심 영역(ROI)에 대한 엑스선 영상은 3회의 분할 촬영을 통해 획득될 수 있다. 그런데, 사용자는 관심 영역(ROI)의 크기에 비해 분할 촬영 횟수가 많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상한 지시자(571S)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즉, 입력부(542)는 상한 지시자(571S)의 위치를 조절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입력부(542)가 상한 지시자(571S)의 위치를 조절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방식은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부(542)는 상한 지시자(571S)를 드래그를 통해 이동시키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또는, 입력부(542)는 사용자에 의한 하나의 지점(571R)을 터치 받는 방식으로 상한 지시자(571S)의 위치를 조절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또는, 입력부(542)는 영상(580) 상에 디스플레이된 상한 지시자(571S) 및 가이드라인들(581B~585B)을 제거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엑스선 촬영될 영역의 상한을 다시 설정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도 있다(도 24 참고).
도 26(a)와 같이 입력부(542)가 상한 지시자(571S)의 위치를 조절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면, 도 26(a)에서 도 26(b)와 같이 출력부(541)는 화면을 전환할 수 있다.
도 26(b)를 참고하면, 출력부(541)는 조절된 상한 지시자(571SR)에 따라 변경된 복수의 가이드라인들(581BR~584BR)을 영상(580) 상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관심 영역(ROI)은 조절된 상한 지시자(571SR) 및 변경된 제2 가이드라인(582BR) 사이에 속한다. 분할 촬영 2회를 통해 관심 영역(ROI)에 대한 엑스선 영상이 획득될 수 있다. 도 26(a)와 비교할 때, 도 26(b)에서는 관심 영역(ROI)에 대한 엑스선 영상을 획득하기 위한 분할 촬영 횟수가 감소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엑스선 장치(500)는 엑스선 촬영될 영역을 설정하는 상한 지시자(571S)의 위치를 설정 또는 재설정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고, 상한 지시자(571S)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라인(581B~585B)이 디스플레이된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관심 영역(ROI) 대비 최적의 분할 촬영 횟수를 선택할 수 있다. 따라서 대상체에 엑스선이 과조사되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다.
도 27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장치가 엑스선 촬영될 영역의 하한을 설정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영상 상에 분할 촬영을 위한 영역들을 디스플레이하는 다른 예시이다.
도 27(a)를 참고하면, 입력부(542)는 엑스선 촬영될 영역의 하한(572)을 설정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도 27(a)에서 하한(572)은 제2 가이드라인(582B) 및 제3 가이드라인(583B) 사이의 한 점일 수 있다.
도 27(a)에서 영상(580)에서 상한 지시자(571S) 및 하한(572) 사이의 영역에 대한 엑스선 영상은 3회의 분할 촬영을 통해 획득 가능하다. 도 27(a)와 같이 사용자(20)가 하한(572)을 터치하는 방식으로 엑스선 촬영될 영역의 하한(572)을 설정하는 것은 하나의 예시이고, 하한(572)을 설정하는 방식은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도 27(a)와 같이 엑스선 촬영될 영역의 하한(572)이 설정되면, 엑스선 장치(500)는 상한 지시자(571S) 및 하한(572) 사이의 영역을 3회에 걸쳐 분할 촬영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한 지시자(571S) 및 하한(572) 사이의 영역에 대한 엑스선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엑스선 장치(500)는 분할 촬영을 수행하기 전 사용자가 분할 촬영을 위한 영역들을 확인할 수 있도록, 도 27(a)에서 도 27(b)와 같이 출력부(541)의 화면을 전환할 수도 있다.
도 27(b)를 참고하면, 출력부(541)는 상한 지시자(571S) 및 하한(572) 사이의 영역(40)을 분할 촬영을 위한 영역들(41, 42, 43)로 구분하여 영상(580) 상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분할 촬영을 위한 영역들(41, 42, 43)은 각각 분할 촬영 시마다 촬영될 영역에 대응한다. 제1 영역(41)과 제2 영역(42)은 서로 중첩할 수 있고, 제2 영역(42)과 제3 영역(43)은 서로 중첩할 수 있다. 출력부(541)는 영상(580) 상에 분할 촬영을 위한 영역들(41, 42, 43)이 일부 중첩되도록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엑스선 장치(500)는 엑스선 조사영역이 각 분할 촬영을 위한 영역들(41, 42, 43)에 대응하도록 콜리메이터(523)를 조절할 수 있다.
다음 도 28을 참고하여 엑스선 장치(500)의 콜리메이터(523)를 조절하는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28은 도 18의 엑스선 장치(500)에 포함되는 엑스선 조사부(520)의 예시이다.
도 28(a)를 참고하면, 엑스선 조사부(520)는 엑스선 소스(522) 및 콜리메이터(523)를 포함할 수 있다. 콜리메이터(523)는 적어도 하나의 블레이드(525)를 포함할 수 있다. 콜리메이터(523)는 블레이드(525)의 이동을 통해 콜리메이터(523)의 개구(aperture)의 위치 및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콜리메이터(523)의 개구에 따라 엑스선 소스(522)로부터 조사되는 엑스선의 조사영역을 조절할 수 있다.
콜리메이터(523)는 램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램프가 턴온되면, 콜리메이터(523)의 개구를 통해 빛이 조사된다. 사용자는 빛을 통해 엑스선의 조사영역을 확인할 수 있다.
도 28(b)는 콜레메이터(523)에 포함되는 복수의 블레이드들(525: 525-1~525-4)의 예시이다. 각 블레이드들(525-1~525-4)은 독립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 18의 엑스선 장치(500)의 출력부(541)는 대상체를 촬영한 영상 상에 상한 지시자 및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라인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제어부(550)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엑스선 촬영될 영역의 상한 및 하한을 설정할 수 있다. 다음, 제어부(550)는 분할 촬영 횟수를 결정하고, 엑스선 촬영될 영역을 분할 촬영 횟수에 따라 분할 촬영을 위한 영역들(도 13의 A1~A3, 도 14의 B1~B3)로 분할될 수 있다. 각 분할된 영역들을 분할 촬영 시, 제어부(550)는 엑스선 조사부(520)의 엑스선 조사영역이 각 분할된 영역들에 대응하도록 콜리메이터(523)의 블레이드(525)를 조절할 수 있다.
지금까지 일부 실시예에 따른 의료 영상 장치(2000)가 엑스선 장치(500)에 포함되는 경우를 설명하였다. 전술하였듯이, 의료 영상 장치(2000)는 워크스테이션에 포함될 수도 있다. 다음, 의료 영상 장치(2000)가 워크스테이션에 포함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도 29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워크테이션의 구성도이다.
도 29를 참고하면, 워크스테이션(3000)은 엑스선 장치(500)를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워크스테이션(3000)은 출력부(3100), 제어부(3200) 및 입력부(3300)를 포함한다. 워크스테이션(3000)은 통신부(3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워크스테이션(3000)의 출력부(3100), 제어부(3200) 및 입력부(3300)는 전술한 의료 영상 장치(2000)의 구성들에 대응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워크스테이션(3000)의 출력부(3100), 제어부(3200) 및 입력부(3300)는 전술한 엑스선 장치(500)의 구성들에도 대응하고, 엑스선 장치(500)에서 설명한 내용이 적용될 수 있다.
통신부(3400)는 엑스선 장치(500)와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통신부(3400)는 엑스선 장치(500) 외 서버 등 외부 기기와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엑스선 장치(500)는 대상체를 촬영함으로써 대상체를 촬영한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엑스선 장치(500)는 대상체를 촬영한 영상을 워크스테이션(3000)에 전달할 수 있다.
워크스테이션(3000)은 통신부(3400)를 통해 대상체를 촬영한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출력부(3100)는 대상체를 촬영한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출력부(3100)는 대상체를 촬영한 영상 상에 엑스선 촬영될 영역의 상한을 설정하기 위한 상한 지시자 및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라인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와 관련된 출력부(3100), 입력부(3300) 및 제어부(3200)의 동작은 전술한 내용이 적용될 수 있으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30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의료 영상 장치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0을 참고하면, 의료 영상 장치는 대상체를 촬영한 영상을 획득한다(S110). 의료 영상 장치가 엑스선 장치에 포함되는 경우, 엑스선 장치가 대상체를 촬영할 수 있다. 의료 영상 장치가 워크스테이션에 포함되는 경우, 워크스테이션은 엑스선 장치로부터 대상체를 촬영한 영상을 전달받을 수 있다.
의료 영상 장치는 영상 상에 엑스선 촬영될 영역의 상한을 설정하기 위한 상한 지시자 및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라인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S120).
도 31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의료 영상 장치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1을 참고하면, 의료 영상 장치는 대상체를 촬영한 영상을 획득한다(S210). 의료 영상 장치는 영상 상에 엑스선 촬영될 영역의 상한을 설정하기 위한 상한 지시자 및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라인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S220). 의료 영상 장치는 상한 지시자의 위치를 조절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S230). 의료 영상 장치는 조절된 상한 지시자에 따라 변경된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라인을 영상 상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S240).
의료 영상 장치는 엑스선 촬영될 영역의 하한을 설정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의료 영상 장치는 설정된 하한에 기초해 분할 촬영 횟수를 결정하고, 대상체를 촬영한 영상에서 상한 지시자 및 설정된 하한 사이의 영역을 결정된 분할 촬영 횟수에 따라 분할 촬영을 위한 영역들로 분할할 수 있다.
의료 영상 장치는 대상체를 촬영한 영상 상에 분할 촬영을 위한 영역들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의료 영상 장치는 분할 촬영을 위한 영역들 사이에 중첩되는 부분을 하이라이트 표시할 수 있다.
의료 영상 장치는 엑스선 장치가 분할 촬영을 위한 영역들을 분할 촬영하도록 엑스선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의료 영상 장치는 분할 촬영을 통해 북수의 분할 영상들을 획득하고, 복수의 분할 영상들을 스티칭함으로써 엑스선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도 30 및 도 31의 의료 영상 장치의 동작 방법들은 전술한 의료 영상 장치(2000), 엑스선 장치(500), 또는 워크스테이션(3000)에서 수행될 수 있다. 의료 영상 장치의 동작 방법의 각 단계는 앞서 설명된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지금까지 분할 촬영에 대해 상술하였으나, 의료 영상 장치는 대상체를 1회 엑스선 촬영하는 단일 촬영도 가능하다. 따라서 의료 영상 장치는 분할 촬영 모드 및 단일 촬영 모드 중 하나의 동작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도 32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의료 영상 장치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2를 참고하면, 의료 영상 장치는 동작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S310). 동작 모드는 분할 촬영 모드 및 단일 촬영 모드를 포함한다. 의료 영상 장치는 동작 모드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또는, 동작 모드는 디폴트로 미리 설정될 수 있고, 사용자에 의해 변경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의료 영상 장치의 디폴트로 설정된 동작 모드는 단일 촬영 모드일 수 있고, 의료 영상 장치는 동작 모드를 분할 촬영 모드로 변경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의료 영상 장치는 선택된 동작 모드에 따라 분할 촬영 모드(S320) 또는 단일 촬영 모드(S330)로 동작할 수 있다. 의료 영상 장치가 분할 촬영 모드(S320)로 동작하는 경우는 전술한 내용이 적용될 수 있으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단일 촬영 모드(S330)로 동작하는 경우, 의료 영상 장치는 대상체를 1회 엑스선 촬영하는 단일 촬영을 통해 엑스선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도 33은 도 9의 의료 영상 장치가 동작 모드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의 예시이다.
도 33을 참고하면, 의료 영상 장치(2000)의 출력부(2100)는 동작 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UI(16)를 출력할 수 있다. 의료 영상 장치(2000)의 입력부(2300)는 UI(16)를 통해 단일 촬영 모드 또는 분할 촬영 모드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도 33은 의료 영상 장치(2000)가 동작 모드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예시를 도시하였으나, 도 33은 일부 실시예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의료 영상 장치는 다양한 방식으로 동작 모드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을 것이다.
단일 촬영 모드가 선택된 의료 영상 장치는 일반적인 동작 방식으로 동작할 수 있다. 또는, 단일 촬영 모드인 경우 의료 영상 장치는 이하에 설명하는 일부 실시예에 따라 동작할 수도 있다.
도 34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검출부를 도시한다.
도 34를 참고하면, 검출부(630)는 적어도 하나의 AEC(Automatic Exposure Control) 챔버(631-1, 631-2, 631-3)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4에서는 검출부(630)에 3개의 AEC 챔버가 포함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도 34는 검출부(630) 내 AEC 챔버(631-1, 631-2, 631-3)의 개수나 AEC 챔버(631-1, 631-2, 631-3)의 위치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도 34의 검출부(630)는 이전 도면들에 도시된 각 엑스선 장치에 포함되거나, 엑스선 장치에 연결 및 분리 가능한 별개의 장치인 엑스선 디텍터일 수도 있다.
도 35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장치(600)를 도시한다.
도 35를 참고하면, 검출부(630)는 적어도 하나의 AEC 챔버(631)를 포함한다. 도 35에서, AEC 챔버(631)는 검출부(630)로부터 돌출된 것처럼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도시의 편의를 위해서일 뿐 실제로 AEC 챔버(631)가 검출부(630) 위로 돌출된 것은 아니다. 검출부(630)는 엑스선 장치(600)에 포함되거나, 엑스선 장치(600)에 연결 및 분리 가능한 별개의 장치인 엑스선 디텍터일 수도 있다.
엑스선 장치(600)는 영상 획득부(610), 엑스선 조사부(620) 및 조작부(640)를 포함한다. 조작부(640)는 출력부(641) 및 입력부(64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5의 엑스선 장치(600)는 이하에서 따로 언급하지 않더라도 전술한 엑스선 장치에 대한 내용이 적용될 수 있다.
엑스선 조사부(620)에 의해 엑스선이 조사되면, 검출부(630)의 AEC 챔버(631)는 대상체(10)를 통과하여 수신되는 엑스선의 수신량을 검출할 수 있다. 수신된 엑스선의 수신량이 기결정된 수신량을 초과하면, AEC 챔버(631)는 알림 신호를 엑스선 장치(600)의 제어부(미도시)에 전달할 수 있다. 알림 신호가 전달되면, 제어부는 엑스선 조사부(620)에 의한 엑스선 조사를 중단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AEC 챔버(631)를 통해 엑스선 조사량이 조절될 수 있어, 대상체(10)에 엑스선이 과다하게 노출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그런데 대상체(10)에 의해 검출부(630)가 가려지기 때문에, 엑스선 장치(600)의 사용자는 AEC 챔버(631)의 위치를 알 수 없다.
대상체(10)를 엑스선 촬영을 하기 전에, 엑스선 장치(600)의 영상 획득부(610)는 대상체(10)를 촬영하여 대상체(10)에 대한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출력부(641)는 대상체(10)를 촬영한 영상 상에 AEC 챔버(631)에 시각 연관(visual association)된 AEC 마커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영상에서 AEC 마커는 검출부(630)에 포함되는 AEC 챔버(631)의 위치를 지시한다.
제어부는 출력부(641)가 대상체(10)를 촬영한 영상 상에 AEC 마커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출력부(641)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는 이에 필요한 각종 영상 처리 및 데이터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는 대상체(10)를 촬영한 영상을 기하학적 위치 등록할 수 있다. 기하학적 위치 등록은 영상 내 각 점을 실 세계의 위치와 매칭시키는 것이다. 또한, 제어부는 검출부(630)의 위치에 따른 AEC 챔버(631)의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제어부는 대상체(10)를 촬영한 영상 상에 AEC 챔버(631)를 위치 정합시킬 수 있다. 제어부는 영상과 AEC 챔버(631)를 위치 정합시키고, AEC 챔버(631)에 대응하는 AEC 마커를 영상 상에 중첩시키는 영상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엑스선 장치(600)에 대한 내용은 도 9의 의료 영상 장치(2000)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하, 일부 실시예에 따른 의료 영상 장치(2000)의 출력부(2100)의 화면을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의료 영상 장치(2000)에 대한 내용 역시 엑스선 장치 또는 워크스테이션에 적용 가능할 것이다.
도 36은 도 9의 의료 영상 장치의 출력부가 대상체를 촬영한 영상 상에 AEC 마커를 디스플레이하는 경우의 예시이다.
도 36을 참고하면, 출력부(2100)는 대상체를 촬영한 영상(21)을 디스플레이하고, 영상(21) 상에 복수의 AEC 마커들(MK1, MK2, MK3)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36에 도시된 영상(21)은 대상체의 일부에 대한 영상으로, 엑스선 촬영될 영역에 대한 영상일 수 있다. 이때, 엑스선 촬영은 1회의 단일 촬영일 수 있다.
영상(21)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AEC 마커(MK1, MK2, MK3)는 AEC 챔버(도 35의 631)에 시각 연관된다. AEC 마커(MK1, MK2, MK3)는 대상체(10)를 촬영한 영상(21)과 위치 정합된 AEC 챔버(631)에 대응한다. 즉, AEC 마커(MK1, MK2, MK3)는 각각 검출부(630)의 AEC 챔버(631)에 대응된다. 예를 들어, 도 34 및 도 36을 함께 참고하면, AEC 마커들(MK1, MK2, MK3)은 각각 검출부(630)의 AEC 챔버들(631-1, 631-2, 631-3)에 대응된다.
영상(21) 상에서 AEC 마커(MK1, MK2, MK3)가 위치한 부분은 엑스선 촬영 시 대상체에 대한 검출부의 위치에 따라 검출부(630)의 AEC 챔버(631)의 위치와 대응할 것이다. 영상(21)상에서 AEC 마커(MK1)는 대상체 이미지의 턱과 목에 걸쳐 있다. 이는 대상체를 엑스선 촬영할 때, AEC 마커(MK1)에 대응하는 검출부의 AEC 챔버가 대상체의 턱과 목에 대응하는 위치에 있음을 의미한다.
도 35와 같이 엑스선 촬영 시 대상체(10)에 의해 검출부(630)가 가려지기 때문에, 사용자는 AEC 챔버(631)의 위치를 직접 확인할 수 없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도 36과 같이 출력부(2100)가 영상(21) 상에 AEC 마커(MK1, MK2, MK3)를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사용자는 실제 대상체와 AEC 챔버 사이의 위치 관계를 직관적이고 편리하게 알 수 있다.
의료 영상 장치(2000)의 제어부(2200)는 AEC 마커(MK1, MK2, MK3)의 온-오프를 설정할 수 있다. 제어부(2200)는 설정된 AEC 마커(MK1, MK2, MK3)의 온-오프에 따라 검출부에 포함되는 대응하는 AEC 챔버를 온-오프시킬 수 있다. 복수의 AEC 마커들(MK1, MK2, MK3)이 존재하는 경우, 제어부(2200)는 각 AEC 마커들(MK1, MK2, MK3)의 온-오프를 설정할 수 있다. 오프된 AEC 챔버는 엑스선의 수신량을 기결정된 수신량과 비교하는 등의 AEC 챔버의 동작을 수행하지 않는다.
제어부(2200)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AEC 마커들(MK1, MK2, MK3)의 온-오프를 설정할 수 있다.
사용자는 출력부(2100)를 통해 대상체와 AEC 마커(MK1, MK2, MK3) 사이의 위치 관계를 파악한 후, AEC 마커(MK1, MK2, MK3)의 온-오프를 설정할 수 있다. 즉, 의료 영상 장치(2000)의 입력부(2300)는 복수의 AEC 마커(MK1, MK2, MK3)들 중 선택된 AEC 마커의 온-오프를 설정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도 37은 AEC 마커의 온-오프를 설정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의료 영상 장치의 예시이다.
도 37을 참고하면, 의료 영상 장치(2000)의 출력부(2100)는 대상체를 촬영한 영상(21) 상에 AEC 마커들(MK1, MK2, MK3)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출력부(2100)는 AEC 마커들(MK1, MK2, MK3) 각각의 온-오프 여부가 구별되도록 AEC 마커들(MK1, MK2, MK3)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각 AEC 마커들(MK1, MK2, MK3)의 온-오프 여부는 대응하는 AEC 챔버의 온-오프와 연동된다. 즉, AEC 마커들(MK1, MK2, MK3) 중 오프로 디스플레이된 AEC 마커에 대응하는 AEC 챔버는 오프로 설정됨을 의미하고, AEC 마커들(MK1, MK2, MK3) 중 온으로 디스플레이된 AEC 마커에 대응하는 AEC 챔버는 온으로 설정됨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의 도면들에서는, 각 AEC 마커(MK1, MK2, MK3)가 점선으로 표시되면, 오프를 의미하고 실선으로 표시되면 온을 의미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다만, 이는 예시일 뿐이다. 다른 예로, 온-오프 여부에 따라, AEC 마커(MK1, MK2, MK3)를 표시하는 색상이 변경될 수도 있다.
도 37(a)에서 출력부(2100)는 온으로 표시된 AEC 마커들(MK1, MK2, MK3)을 디스플레이한다. 사용자는 제1 AEC 마커(MK1)를 터치하는 방식으로 제1 AEC 마커(MK1)를 온에서 오프로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의료 영상 장치(2000)의 제어부(2200)는 제1 AEC 마커(MK1)에 대응하는 AEC 챔버가 오프되도록 검출부(63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37(a)와 같이 제1 AEC 마커(MK1)가 온에서 오프로 변화되면, 도 37(b)와 같이 출력부(2100)는 디스플레이된 제1 AEC 마커(MK1)의 표시 상태를 온에서 오프로 변경할 수 있다.
도 37과 같이 사용자는 AEC 마커들(MK1, MK2, MK3) 중 온-오프 설정을 원하는 AEC 챔버에 대응하는 AEC 마커를 터치하는 방식으로 AEC 챔버의 온-오프를 설정할 수 있다. 온으로 표시된 AEC 마커를 터치하면, 터치된 AEC 마커에 대응하는 AEC 챔버가 온에서 오프로 설정될 수 있다. 오프로 표시된 AEC 마커를 터치하면, 터치된 AEC 마커에 대응하는 AEC 챔버가 오프에서 온으로 설정될 수 있다.
다만, 도 37은 입력부(2300)가 AEC 챔버의 온-오프를 설정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방식의 예시일 뿐, 사용자 입력의 수신 방식이 도 37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대상체를 촬영한 영상(21)에서 제1 AEC 마커(MK1)는 대상체의 턱과 목 부근에 위치한다. 즉, 제1 AEC 마커(MK1)에 대응하는 검출부 상의 실제 AEC 챔버는 실제 대상체의 턱과 목 부근에 위치할 것이다. 그런데, 제1 AEC 마커(MK1)에 대응하는 AEC 챔버에서 엑스선이 수신되는 경우, 턱의 두께로 인해 기결정된 수신량이 초과될 때까지 대상체에 조사되는 엑스선의 조사량은 다른 AEC 챔버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높을 수 있다. 그런데, 관심 영역이 대상체의 흉부(chest)라면, 턱과 목 부위는 관심 영역 밖에 있음에도 엑스선이 불필요하게 과조사될 수 있다. 이 경우, AEC 마커(MK1)에 대응하는 AEC 챔버를 오프시키면, 엑스선이 불필요하게 과조사되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와 같이, 영상(21)상에 검출부의 AEC 챔버의 위치를 지시하는 AEC 마커(MK1, MK2, MK3)가 디스플레이되면, 사용자는 관심 영역 밖에 있는 AEC 챔버를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사용자는 그 AEC 챔버를 오프시킴으로써 엑스선이 불필요하게 과조사되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된 AEC 마커(MK1, MK2, MK3)를 통해 AEC 챔버의 온-오프를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의료 영상 장치(2000)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AEC 마커(MK1, MK2, MK3)를 온-오프시킬 수 있다.
의료 영상 장치(2000)는 대상체를 촬영한 영상(21)을 분석함으로써 각 AEC 마커(MK1, MK2, MK3)의 온-오프를 설정할 수도 있다.
도 38은 도 9의 의료 영상 장치가 영상 처리를 통해 AEC 마커의 온-오프를 설정하는 경우의 예시이다.
도 38을 참고하면, 의료 영상 장치(2000)의 출력부(2100)는 대상체를 촬영한 영상(21) 상에 AEC 마커들(MK1, MK2, MK3)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출력부(2100)는 제1 AEC 마커(MK1)를 점선으로 표시함으로써 오프임을 나타낼 수 있고, 다른 AEC 마커들(MK2, MK3)은 실선으로 표시함으로써 온임을 나타낼 수 있다.
제1 AEC 마커(MK1)는 영상(21)에서 대상체 밖에 위치되어 있다. 즉, AEC 마커(MK1)에 대응되는 검출부 상의 실제 AEC 챔버는 실제 대상체 밖, 즉 관심 영역 밖에 위치할 것이다. 이 경우, 의료 영상 장치(2000)의 제어부(2200)는 AEC 마커(MK1)가 영상(21)에서 대상체 밖 또는 관심 영역 밖에 있음을 검출할 수 있다. 제어부(2200)는 영상(21)에서 윤곽(contour)을 검출하는 영상 처리를 통해, 영상(21)에서 대상체의 윤곽을 검출할 수 있다. 제어부(2200)는 검출된 대상체의 윤곽에 기초하여 AEC 마커들(MK1, MK2, MK3)의 위치가 대상체 밖에 있는지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도 38과 같은 경우 제어부(2200)는 AEC 마커들(MK1, MK2, MK3) 중 제1 AEC 마커(MK1)가 대상체 밖에 있음을 검출할 수 있다. 제어부(2200)는 출력부(2100)를 제어하여, 출력부(2100)가 AEC 마커들(MK1, MK2, MK3) 중 대상체 밖에 있는 것으로 검출된 제1 AEC 마커(MK1)가 오프임을 나타내도록 표시할 수 있다.
제1 AEC 마커(MK1)가 오프되지 않는 경우, 제1 AEC 마커(MK1)에 대응하는 AEC 챔버는 대상체를 통과하지 않은 엑스선을 바로 수신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AEC 마커(MK1)에 대응하는 AEC 챔버는 엑스선의 수신량이 기결정된 수신량을 빨리 초과하게 된다. 이 경우, 대상체에 조사되는 엑스선량이 부족해 엑스선 영상의 화질이 열화될 수 있다.
따라서 의료 영상 장치(2000)는 대상체 밖에 있는 AEC 마커를 오프시킴으로써, 엑스선 영상의 화질 열화를 방지할 수 있다.
도 39는 도 9의 의료 영상 장치의 출력부가 대상체를 촬영한 영상 상에 AEC 마커 및 콜리메이션 영역(collimation area)을 디스플레이하는 경우의 예시이다.
도 39를 참고하면, 의료 영상 장치(2000)의 출력부(2100)는 대상체를 촬영한 영상(21) 상에 AEC 마커들(MK1, MK2, MK3)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출력부(2100)는 영상(21) 상에 콜리메이션 영역(C1)을 더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콜리메이션 영역"이란 엑스선 장치(500)의 콜리메이터(523)에 의해 조절된 엑스선 조사영역에 따라 엑스선이 조사될 경우 대상체 위로 조사될 엑스선의 범위를 의미한다.
콜리메이션 영역(C1)은 대상체와 엑스선 조사부(520) 사이의 위치 관계 및 콜리메이터(523)의 개구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콜리메이터(523)의 개구는 콜리메이터(523)에 포함된 블레이드(525)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도 28 참고).
제어부(2200)는 대상체와 엑스선 조사부(520) 사이의 위치 관계 및 콜리메이터(523)의 개구에 따라 콜리메이션 영역(C1)을 영상(21)에 위치 정합시킬 수 있다. 제어부(2200)는 영상(21) 상에 콜리메이션 영역(C1)을 중첩시키는 영상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는 출력부(2100)를 통해 콜리메이션 영역(C1)을 파악한 후, 콜리메이션 영역(C1)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콜리메이션 영역(C1)의 위치 및 크기 중 적어도 하나가 조절될 수 있다. 즉, 의료 영상 장치(2000)의 입력부(2300)는 콜리메이션 영역(C1)을 조절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도 40은 도 9의 의료 영상 장치가 콜리메이션 영역을 조절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예시이다.
도 40(a)를 참고하면, 의료 영상 장치(2000)의 출력부(2100)는 대상체를 촬영한 영상(21) 상에 AEC 마커들(MK1, MK2, MK3) 및 콜리메이션 영역(C1)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사용자는 콜리메이션 영역(C1)을 나타내는 복수의 선(line)들 중 하나의 선을 손가락으로 드래그하는 방식으로 콜리메이션 영역(C1)을 조절할 수 있다. 도 40(a)는 예시일 뿐, 콜리메이션 영역(C1)을 조절하는 사용자 입력은 입력부(2300)의 구현 방식에 따라 다양할 수 있다.
도 40(a)와 같이 사용자 입력에 따라 콜리메이션 영역(C1)이 조절되면, 도 40(b)와 같이 출력부(2100)는 조절된 콜리메이션 영역(C1)을 영상(21) 상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의료 영상 장치(2000)의 제어부(2200)는 조절된 콜리메이션 영역(C1)에 따라 엑스선 장치(500)의 콜리메이터(523)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200)는 조절된 콜리메이션 영역(C1)이 엑스선 조사부(520)의 엑스선 조사영역에 대응하도록 콜리메이터(523)의 개구를 제어할 수 있다.
도 41은 도 9의 의료 영상 장치에서 콜리메이터의 램프를 턴온시켜 콜리메이션 영역을 확인하는 경우의 예시이다.
도 41을 참고하면, 출력부(2100)는 대상체를 촬영한 영상(21) 외에도 콜리메이터(523)의 램프의 턴온 또는 턴 오프를 설정할 수 있는 UI(22)를 더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41에 도시된 UI(22)는 예시일 뿐, UI(22)의 구현을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도 41(a)를 참고하면, 입력부(2300)는 UI(22)를 통해 콜리메이터(523)의 램프를 턴온시키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콜리메이터(523)의 램프가 턴온되면, 대상체 위로 빛이 조사되어 빛이 조사된 부분은 밝고, 조사되지 않는 부분은 어두울 것이다. 빛이 조사된 밝은 부분이 콜리메이션 영역이다.
도 41(b)는 콜리메이터(523)의 램프 턴온 후, 출력부(2100)가 디스플레이하는 대상체를 촬영한 영상(21)이다. 콜리메이터(523)의 램프가 턴온된 후 대상체를 촬영한 영상(21)에는 콜리메이터(523)의 램프의 턴온으로 인한 음영으로 인해 콜리메이션 영역(C2)이 나타날 수 있다. 도 41의 콜리메이션 영역(C2)은 의료 영상 장치(2000)가 영상 처리를 통해 영상(21) 상에 중첩시킨 것이 아니다. 콜리메이션 영역(C2)은 콜리메이터(523)의 램프의 턴온으로 인해 실제 대상체에 생긴 음영이 촬영된 것이다.
대상체를 촬영한 영상(21)에 표시된 AEC 마커의 온-오프에 대해서는 도 37 및 도 38에서 설명하였다. 다음 도면들을 참고하여 AEC 마커의 온-오프를 설정하는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42는 도 9의 의료 영상 장치의 출력부가 AEC 마커의 온-오프를 설정할 수 있는 UI를 더 디스플레이하는 예시이다.
도 42를 참고하면, 출력부(2100)는 AEC 마커들(MK1~MK3)이 중첩 표시된 대상체를 촬영한 영상(21) 외에도 AEC 마커들(MK1~MK3)의 온-오프를 설정할 수 있는 UI(51)를 더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UI(51)는 AEC 마커들(MK1~MK3) 모두를 한번에 오프시킬 수 있는 제1 UI(51a) 및 각 AEC 마커들(MK1~MK3)을 온-오프시킬 수 있는 제2 UI(51b)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제1 UI(51a)의 터치나 클릭 등과 같은 선택을 통해 AEC 마커들(MK1~MK3) 모두를 한번에 오프시킬 수 있다. AEC 마커들(MK1~MK3) 모두가 모두 오프된 후, 사용자가 다시 제1 UI(51a)를 선택하면, 오프되기 전 AEC 마커들(MK1~MK3)의 온-오프 상태로 복귀할 수 있다.
제2 UI(51b)는 AEC 마커들(MK1~MK3)의 배치에 따른 아이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해당 아이콘의 터치나 클릭 등과 같은 선택을 통해 대응하는 AEC 마커를 온-오프시킬 수 있다. 제2 UI(51b)의 아이콘들은 AEC 마커들(MK1~MK3) 각각의 온-오프 여부에 따라 아이콘들이 구별되게 표시될 수 있다.
도 42(a)를 참고하면, AEC 마커들(MK1~MK3) 중 제1 AEC 마커(MK1)만이 오프되어 있다. 제2 UI(51b)의 아이콘들 중 제1 AEC 마커(MK1)에 대응하는 아이콘은 다른 아이콘들과 구별되게 표시되어 있다.
입력부(2300)는 제2 UI(51b)에서 제2 AEC 마커(MK2)에 대응하는 아이콘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에 따라 의료 영상 장치(2000)의 제어부(2200)는 온 상태였던 제2 AEC 마커(MK2)를 오프 상태로 전환시킬 수 있다. 제어부(2200)는 출력부(2100)가 도 41(b)와 같이 제2 AEC 마커(MK2)가 오프로 표시되도록 출력부(2100)를 제어할 수 있다. 출력부(2100)는 또한 제2 UI(51b)의 아이콘들 중 제2 AEC 마커(MK2)에 대응하는 아이콘을 온 상태에서 오프 상태로 표시할 수 있다.
도 42는 출력부(2100)가 대상체를 촬영한 영상(21) 및 AEC 마커들(MK1~MK3)의 온-오프를 설정할 수 있는 UI(51)를 디스플레이하는 예시를 도시하였으나, 도 42는 출력부(2100)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출력부(2100)는 다른 UI나 엑스선 촬영에 필요한 정보들을 더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43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의료 영상 장치의 출력부의 예시이다.
도 43을 참고하면, 출력부(2100)는 대상체를 촬영한 영상(21) 및 AEC 마커들(MK1~MK3)의 온-오프를 설정할 수 있는 UI(51) 외에 엑스선 촬영에 필요한 다른 UI(60)를 더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43에서 UI(60)는 엑스선 소스의 조사 조건을 설정하거나, 대상체의 크기를 설정할 수 있는 UI이다. 다만 도 43은 예시일 뿐이고, 출력부(2100)가 디스플레이하는 화면을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지금까지 단일 촬영 모드인 경우, 출력부(2100)가 AEC 마커들(MK1~MK3)을 디스플레이하는 실시예들을 설명하였다. 도 37 내지 도 43에 설명한 AEC 마커들(MK1~MK3)에 대한 내용은 분할 촬영 모드인 경우에도 적용 가능하다.
도 44는 도 9의 의료 영상 장치가 분할 촬영 모드인 경우 AEC 마커들을 디스플레이하는 출력부 화면의 예시를 도시한다. 도 44는 도 13에 AEC 마커들이 적용되는 것을 제외하면, 기본적으로 도 13과 동일하다.
도 44(a)를 참고하면, 출력부(2100)는 대상체를 촬영한 영상(11) 상에 상한 지시자(12S) 및 복수의 가이드라인들(12-1~12-4)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상한 지시자(12S) 및 하한 지시자(12E)의 위치가 사용자에 의해 조절되면, 입력부(2300)는 UI(13)를 통해 상한 지시자(12S) 및 하한 지시자(12E)의 설정을 적용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상한 지시자(12S) 및 하한 지시자(12E)의 설정을 적용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도 44(a)에서 도 44(b)와 같이 출력부(2100)의 화면이 전환될 수 있다.
도 44(b)를 참고하면, 출력부(2100)는 적용된 상한 지시자(12S) 및 하한 지시자(12E) 사이의 엑스선 촬영될 영역을 분할 촬영을 위한 영역들(A1, A2, A3)로 분할하여 영상(11) 상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출력부(2100)는 각 분할된 영역들(A1, A2, A3)에 AEC 마커들(MK)을 더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영상(11) 상의 AEC 마커(MK)는 대상체 분할 촬영 시 검출부의 이동으로 인한 AEC 챔버의 위치 변화를 대상체와 시각 연관하여 디스플레이된 것이다. 즉, AEC 마커(MK)는 AEC 마커(MK)가 표시되는 시점에서 대상체에 대한 AEC 챔버의 위치를 표시하는 것이 아니라, 각 분할된 영역들(A1, A2, A3)을 분할 촬영 시 대상체와 AEC 챔버의 위치 관계를 표시한 것이다.
대상체를 촬영한 영상(11)은 기하학적 위치 등록될 수 있다. 따라서 의료 영상 장치(2000)의 제어부(2200)는 영상(11) 내 각 점의 실 세계에서의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200)는 대상체 분할 촬영 시 검출부의 이동으로 인한 변화될 AEC 챔버의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2200)는 영상(11)과 AEC 챔버를 위치 정합시키고, AEC 챔버에 대응하는 AEC 마커(MK)를 영상(11) 상에 중첩시키는 영상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의료 영상 장치(2000)의 제어부(2200)는 분할된 영역들(A1, A2, A3)마다 복수의 AEC 마커들(MK) 각각의 온-오프를 설정할 수 있고, 설정된 각 AEC 마커의 온-오프에 따라 분할 촬영 시 검출부에 포함되는 대응하는 AEC 챔버를 온-오프시킨다.
의료 영상 장치(2000)의 입력부(2300)는 AEC 챔버의 온-오프를 설정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입력부(2300)는 영상(11) 상에 디스플레이된 복수의 AEC 마커들(MK) 중 선택된 AEC 마커의 온-오프를 설정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도 45는 도 9의 의료 영상 장치가 분할 촬영 모드인 경우 AEC 챔버의 온-오프를 설정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예시이다.
도 45(a)를 참고하면, 디스플레이된 모든 AEC 마커들(MK)은 온 상태이다. 사용자는 오프시키길 원하는 AEC 마커를 선택하는 방식으로 선택된 AEC 마커를 오프시킬 수 있다.
사용자가 AEC 마커를 터치하면, 도 45(b)와 같이 출력부(2100)의 화면이 전환되어 선택된 AEC 마커가 오프로 디스플레이된다.
의료 영상 장치(2000)의 제어부(2200)는 분할된 영역들(A1, A2, A3)이 분할 촬영하도록 엑스선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제1 영역(A1) 촬영 시 의료 영상 장치(2000)는 검출부의 3개의 AEC 챔버들 중 오프된 AEC 마커에 대응하는 AEC 챔버를 오프시킨다. 제2, 제3 영역(A2, A3) 촬영 시 의료 영상 장치(2000)는 오프되었던 AEC 챔버를 다시 온 시킨다.
출력부(2100)는 AEC 마커들(MK)의 온-오프 설정을 위해 UI를 더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46 내지 도 50은 UI를 통해 AEC 마커들(MK)의 온-오프를 설정하는 예시이다.
도 46은 도 9의 의료 영상 장치가 복수의 분할된 영역들 중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예시이다.
도 46을 참고하면, 출력부(2100)는 대상체를 촬영한 영상(11) 상에 중첩 표시된 분할 촬영을 위한 영역들(A1, A2, A3)에 AEC 마커들(MK)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출력부(2100)는 분할된 영역들(A1, A2, A3)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탭 메뉴(50)를 더 출력할 수 있다.
탭 메뉴(50)에서 "#1"이 선택되면, 제1 영역(A1)이 선택된다. 탭 메뉴(50)에서 "#2"이 선택되면, 제2 영역(A2)이 선택된다. 탭 메뉴(50)에서 "#3"이 선택되면, 제2 영역(A3)이 선택된다. 도 46의 탭 메뉴(50)는 선택 가능한 영역들을 "#1~#5"와 같이 도시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탭 메뉴(50)를 통해 분할된 영역들(A1, A2, A3) 중 하나의 영역이 선택되면, 출력부(2100)는 선택된 영역의 AEC 마커들(MK)의 온-오프 설정을 위한 UI(51)를 더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46에서는 탭 메뉴(50)에서 "#1"이 선택되어, 제1 영역(A1)이 선택된다. 출력부(2100)는 선택된 제1 영역(A1)을 다른 영역들(A2, A3)과 구별되도록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는 영상(11) 상에 표시된 제1 영역(A1)을 터치하거나 클릭하는 방식으로 제1 영역(A1)을 직접 선택할 수도 있다. 입력부(2300)는 영상(11)에서 마커(MK)가 표시된 부분을 제외한 제1 영역(A1)을 터치하거나 클릭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출력부(2100)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선택된 제1 영역(A1) 영역(A1)을 다른 영역들(A2, A3)과 구별되도록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출력부(2100)는 탭 메뉴(5)에서 제1 영역(A1)에 대응하는 "#1" 탭이 선택된 것으로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출력부(2100)는 탭 메뉴(50)에서 선택된 "#1" 탭에 제1 영역(A1)의 AEC 마커들 모두를 한번에 오프시킬 수 있는 제1 UI(51a) 및 제1 영역(A1)의 각 AEC 마커들을 온-오프시킬 수 있는 제2 UI(51b)를 포함하는 UI(51)를 더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47은 제1 영역(A1)이 선택된 후 제1 영역(A1)의 AEC 마커들 중 마커를 선택하고, 선택된 마커의 온-오프를 설정하는 예시이다.
도 47을 참고하면, 사용자는 제2 UI(51b)를 통해 제1 영역(A1)의 AEC 마커들 중 오프시키고자 하는 AEC 마커에 대응하는 아이콘을 선택하는 방식으로 해당 AEC 마커를 오프시킬 수 있다.
도 48은 제1 영역(A1)이 선택된 후 제1 UI(51a)를 통해 모든 AEC 마커들을 오프시키는 예시이다.
도 48을 참고하면, 사용자는 영상(11) 상에 디스플레이된 모든 AEC 마커들(MK)의 오프를 원하는 경우, 제1 UI(51a)를 터치하거나 클릭하는 등의 선택을 통해 모든 AEC 마커들(MK)을 오프시킬 수 있다.
입력부(2300)가 제1 UI(51a)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면, 제어부(2200)는 영상(11) 상에 디스플레이된 모든 AEC 마커들(MK)을 오프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2200)는 출력부(2100)를 제어하여 출력부(2100)가 디스플레이된 모든 AEC 마커들(MK)을 오프 상태로 표시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출력부(2100)는 UI(51)에 포함된 아이콘들을 모두 오프 상태로 표시할 수 있다.
도 49는 도 48과 같이 제1 UI(51a)를 통해 모든 AEC 마커들을 오프시킨 후, 제1 UI(51a)를 통해 AEC 마커들의 온-오프 상태를 오프 이전 상태로 복구시키는 예시이다.
도 49를 참고하면, 모든 AEC 마커들(MK)이 오프된 후, 사용자가 다시 제1 UI(51a)를 선택하면, AEC 마커들의 온-오프 상태는 오프 이전 상태로 복구될 수 있다.
입력부(2300)가 제1 UI(51a)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면, 제어부(2200)는 영상(11) 상에 디스플레이된 AEC 마커들(MK)의 온-오프 상태를 오프 이전 상태로 복구시킨다. 또한, 제어부(2200)는 출력부(2100)를 제어하여 출력부(2100)가 디스플레이된 모든 AEC 마커들(MK)이 복구된 온-오프 상태를 표시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출력부(2100)는 UI(51)에 포함된 아이콘들 역시 복구된 온-오프 상태로 표시할 수 있다.
도 50은 사용자가 제2 영역(A2)을 선택된 후 제2 영역(A2)의 AEC 마커들 중 마커를 선택하고, 선택된 마커의 온-오프를 설정하는 예시이다.
도 50을 참고하면, 사용자는 탭 메뉴(50)에서 "#2" 탭을 선택함으로써 제2 영역(A2)을 선택할 수 있다. 출력부(2100)는 탭 메뉴(50)에서 선택된 "#2" 탭에 제2 영역(A2)의 AEC 마커들의 온-오프를 설정할 수 있는 UI(51)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제2 UI(51b)를 통해 제2 영역(A2)의 AEC 마커들 중 오프시키고자 하는 AEC 마커에 대응하는 아이콘을 선택하는 방식으로 해당 AEC 마커를 오프시킬 수 있다.
출력부(2100)는 탭 메뉴(50)에서 선택된 탭에 AEC 마커들의 온-오프를 설정하는 UI(51) 외에 다른 UI나 엑스선 촬영에 필요한 정보들을 더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도 51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의료 영상 장치의 출력부의 예시이다.
도 51을 참고하면, 사용자는 탭 메뉴(50)에서 "#2" 탭을 선택함으로써 제2 영역(A2)을 선택할 수 있다. 출력부(2100)는 탭 메뉴(50)에서 선택된 "#2" 탭에 제2 영역(A2)의 AEC 마커들을 온-오프시킬 수 있는 UI(51) 외에도 제2 영역(A2)의 엑스선 소스의 조사 조건을 설정하거나, 대상체의 크기를 설정할 수 있는 UI(60)를 더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다만 도 51은 예시일 뿐이고, 출력부(2100)가 디스플레이하는 화면을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도 51과 같이 AEC 마커들의 온-오프가 설정된 후, 의료 영상 장치(2000)의 제어부(2200)는 분할된 영역들(A1, A2, A3)이 분할 촬영하도록 엑스선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제1 영역(A1) 촬영 시 의료 영상 장치(2000)는 검출부의 3개의 AEC 챔버들 중 오른쪽 AEC 챔버 하나를 오프시킨다. 제2 영역(A2) 촬영 시 의료 영상 장치(2000)는 검출부의 3개의 AEC 챔버들 중 아래쪽 AEC 챔버 하나를 오프시킨다. 제3 영역(A3) 촬영 시 의료 영상 장치(2000)는 검출부의 3개의 AEC 챔버들 모두를 온 시킨다.
도 52는 엑스선 장치가 분할 촬영 모드인 경우 엑스선 장치의 출력부 화면의 예시를 도시한다. 도 52의 엑스선 장치는 도 18의 엑스선 장치(500)일 수 있다.
도 52(a)를 참고하면, 엑스선 장치(500)의 출력부(541)는 대상체를 촬영한 영상(580)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입력부(542)는 엑스선 촬영될 영역의 상한(571)을 설정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면, 도 52(b)와 같이 출력부(541)의 화면이 전환된다. 출력부(541)는 엑스선 촬영될 영역의 상한을 설정할 수 있는 상한 지시자 및 복수의 가이드라인들을 디스플레이한다. 또한 출력부(541)는 상한 지시자 및 복수의 가이드라인들로 구별된 영역들 각각에 AEC 마커들(MK)를 더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출력부(541)는 각 AEC 마커(MK)의 온-오프 상태를 더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영상(580) 상에서 대상체 밖에 있는 AEC 마커(MK)는 점선으로 디스플레이되어 오프 상태임을 의미한다. 엑스선 장치(500)는 영상(580)에서 대상체 밖에 있는 AEC 마커(MK)를 검출하여 오프시킬 수 있다. 사용자는 각 AEC 마커(MK)의 온-오프를 추가적으로 선택할 수도 있다.
입력부(542)는 엑스선 촬영될 영역의 하한을 설정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다음 엑스선 장치(500)의 동작은 이전에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므로 생략한다.
도 52의 엑스선 장치(500)의 출력부(541)의 화면은 의료 영상 장치(2000)의 출력부(2100) 또는 워크스테이션의 출력부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53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53을 참고하면, 엑스선 시스템(8000)은 엑스선 장치(800) 및 워크스테이션(860)을 포함한다.
엑스선 장치(800)는 영상 획득부(810) 및 엑스선 조사부(820)를 포함한다. 또한, 엑스선 장치(800)는 검출부(8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검출부(830)는 적어도 하나의 AEC 챔버(831-1, 831-2, 831-3)를 포함할 수 있다. 엑스선 장치(800)는 이전에 설명된 엑스선 장치에 대한 내용이 적용될 수 있다. 도 53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이전에 설명된 것과 같이 엑스선 장치(800) 역시 조작부나 제어부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워크스테이션(860)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조작부(840)를 포함한다. 워크스테이션(860)은 제어부(8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조작부(841)는 출력부(841) 및 입력부(842)를 포함할 수 있다. 워크스테이션(860)에는 이전에 설명된 의료 영상 장치에 대한 내용이 모두 적용될 수 있다. 워크스테이션(860)의 조작부(841)에 적용되는 UI는 엑스선 장치의 조작부에 적용되는 UI와 일치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간결하고 직관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어, 사용자가 엑스선 장치(800)를 직관적이고 편리하게 조작하거나 제어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엑스선 장치(800)의 영상 획득부(810)는 대상체를 촬영하여 대상체에 대한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워크스테이션(860)은 통신부(미도시)를 통해 대상체에 대한 영상을 수신할 수 있다. 워크스테이션(860)의 출력부(841)는 분할 촬영 모드인 경우 영상 상에 상한 지시자 및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라인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출력부(841)는 AEC 마커들을 더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출력부(841)가 단일 촬영 모드인 경우 영상 상에 AEC 마커들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출력부(841)에는 이전에 설명한 의료 영상 장치(2000)의 출력부(2100)에 대한 내용이 모두 적용될 수 있으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입력부(842)는 영상에서 상한 지시자의 위치를 조절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입력부(842)는 영상 상에 엑스선 촬영될 영역의 하한을 설정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도 54는 분할 촬영 모드의 워크스테이션의 조작부의 예를 도시한다. 도 54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엑스선 촬영될 영역의 분할 촬영 횟수가 3회로 결정된 경우 조작부의 예시이다. 예를 들어, 도 44(a)에서 설명한 과정을 통해 분할 촬영 횟수가 3회로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4(a)에서 도 44(b) 대신에 도 54와 같이 화면이 전환될 수 있다.
도 54를 참고하면, 조작부(840)는 입력부와 출력부가 함께 구현될 수 있다. 입력부가 터치스크린을 포함하여, 터치 스크린이 출력부에 구현될 수 있다.
조작부(840)의 화면은 제1 화면(851)과 제2 화면(85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화면(851)에는 대상체를 촬영한 영상에서 엑스선 촬영될 영역을 분할 촬영 횟수로 분할한 분할된 영역들(881, 882, 883)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각 분할된 영역들(881, 882, 883)에는 AEC 마커 또한 함께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분할된 영역들(881, 882, 883)은 도 44(b)의 분할된 영역들(A1, A2, A3)에 대응할 수 있다.
제2 화면(852)에는 제1 화면에 표시된 분할된 영역들(881, 882, 883) 중 선택된 분할된 영역(881)이 확대된 영상(881R)으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제2 화면(852)에는 각 분할된 영역들(881, 882, 883)이 순차적으로 확대되어 디스플레이되거나, 사용자로부터 선택 받은 분할된 영역이 확대되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확대된 영상(881R) 상에는 AEC 마커(MK1, MK2, MK3)가 디스플레이되어 있다. 사용자(20)는 AEC 마커(MK1, MK2, MK3) 중 온-오프 설정을 원하는 마커(MK2)를 선택하여, 선택된 마커(MK2)의 온-오프를 설정할 수 있다.
도 54에서 조작부(840)는 워크스테이션의 조작부인 것으로 설명하였다. 그러나 조작부(840)의 화면에 표시된 디스플레이 방식은 엑스선 장치의 조작부의 화면에도 적용될 수 있음이 자명하다.
도 55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의료 영상 장치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5를 참고하면, 의료 영상 장치는 대상체에 대한 영상을 획득한다(S410). 의료 영상 장치는 영상 상에 AEC 마커를 디스플레이한다(S420).
의료 영상 장치는 복수의 AEC 마커들 각각의 온-오프를 설정하고, 설정된 각 AEC 마커의 온-오프에 따라 엑스선 디텍터에 포함되는 대응하는 AEC 챔버를 온-오프시킬 수 있다. 의료 영상 장치는 복수의 AEC 마커들 중 선택된 AEC 마커의 온-오프를 설정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의료 영상 장치는 복수의 AEC 마커들 중 대상체 밖에 위치한 AEC 마커를 검출하고, 검출된 AEC 마커를 오프시킬 수 있다.
의료 영상 장치는 영상 상에 엑스선 조사부의 엑스선 조사영역에 대응하는 콜리메이션 영역을 더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의료 영상 장치는 영상 상에서 콜리메이션 영역을 조절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의료 영상 장치는 조절된 콜리메이션 영역에 따라 엑스선 조사부에 포함되는 콜리메이터를 조절할 수 있다.
의료 영상 장치는 콜리메이터의 램프의 턴온을 명령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의료 영상 장치는 콜리메이터의 램프가 턴온된 상태로 대상체를 촬영한 영상 상에 복수의 AEC 마커들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55의 의료 영상 장치의 동작 방법(S400)에는 이전 도면들에서 설명된 내용이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일부 실시예들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가능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를 들면,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디스크 등),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시디롬, 디브이디 등) 및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면, 인터넷을 통한 전송)와 같은 저장매체를 포함한다.
이상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61)

  1. 출력부; 및
    상기 출력부가 대상체를 촬영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영상 상에 엑스선 촬영될 영역의 상한을 설정하기 위한 상한 지시자, 그리고 상기 상한 지시자 및 분할 촬영 횟수에 따른 엑스선 촬영될 영역의 하한을 지시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라인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출력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의료 영상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에서 상기 상한 지시자의 위치를 조절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출력부는 위치 조절된 상기 상한 지시자에 따라 변경된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라인을 상기 영상 상에 디스플레이하는, 의료 영상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엑스선 촬영될 영역의 하한을 설정하는 사용자 입력을 더 수신하는, 의료 영상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하한에 기초해 분할 촬영 횟수를 결정하고, 상기 영상에서 상기 상한 지시자 및 상기 하한 사이의 영역을 결정된 분할 촬영 횟수에 따라 분할 촬영을 위한 영역들로 분할하고,
    상기 출력부는 상기 영상 상에 상기 분할 촬영을 위한 영역들을 디스플레이하는, 의료 영상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상기 분할 촬영을 위한 영역들 사이에 중첩되는 부분을 하이라이트 표시하는, 의료 영상 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엑스선 촬영될 영역의 하한을 설정하기 위한 하한 지시자를 더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입력부가 수신하는 하한을 설정하는 사용자 입력은 상기 하한 지시자의 위치를 조절하는 것인, 의료 영상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상한 지시자 및 상기 하한 지시자 사이의 영역에 대한 분할 촬영 횟수를 결정하고, 상기 영상에서 상기 상한 지시자 및 상기 하한 지시자 사이의 영역을 결정된 분할 촬영 횟수에 따라 균등하게 분할하고, 상기 출력부가 분할된 영역마다의 하한을 지시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라인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출력부를 제어하는, 의료 영상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가 상기 상한 지시자 및 상기 하한 지시자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를 조절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면, 상기 제어부는 위치 조절된 상기 상한 지시자 또는 위치 조절된 상기 하한 지시자에 따라 분할 촬영 횟수를 다시 결정하고, 상기 상한 지시자 및 상기 하한 사이의 영역을 다시 결정된 분할 촬영 횟수에 따라 다시 균등하게 분할하고, 상기 출력부가 변경된 분할된 영역마다의 하한을 지시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라인을 다시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출력부를 제어하는, 의료 영상 장치.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상기 영상 상에 디스플레이된 상기 분할 촬영을 위한 영역들마다 복수의 AEC(Automatic Exposure Control) 마커들을 더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AEC 마커들은 상기 분할 촬영을 위한 영역들 각각에 대한 분할 촬영 시 엑스선 디텍터에 포함되는 복수의 AEC 챔버들의 위치를 지시하는, 의료 영상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분할 촬영을 위한 영역들마다 상기 복수의 AEC 마커들 각각의 온-오프를 설정하고, 설정된 각 AEC 마커의 온-오프에 따라 분할 촬영 시 상기 엑스선 디텍터에 포함되는 대응하는 AEC 챔버를 온-오프시키는, 의료 영상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상기 영상 상에 디스플레이된 복수의 AEC 마커들 중 선택된 AEC 마커의 온-오프를 설정하는 사용자 입력을 더 수신하는, 의료 영상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 상에 디스플레이된 복수의 AEC 마커들 중 대상체 밖에 위치한 AEC 마커를 검출하고, 검출된 상기 AEC 마커를 오프시키는, 의료 영상 장치.
  13.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체를 촬영하여 상기 영상을 획득하는 영상 획득부를 더 포함하는 의료 영상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엑스선을 조사하도록 구성된 엑스선 조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하한에 기초해 분할 촬영 횟수를 결정하고, 상기 영상에서 상기 상한 지시자 및 상기 하한 사이의 영역을 결정된 분할 촬영 횟수에 따라 분할 촬영을 위한 영역들로 분할하고, 상기 엑스선 조사부를 제어하여 상기 분할 촬영을 위한 영역들을 분할 촬영하는, 의료 영상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분할 촬영을 통해 복수의 엑스선 분할 영상들을 획득하고, 상기 복수의 엑스선 분할 영상들을 스티칭함으로써, 상기 상한 지시자 및 상기 하한 사이의 영역에 대한 엑스선 영상을 획득하는, 의료 영상 장치.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엑스선 조사부는 엑스선의 조사영역을 조절하는 콜리메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엑스선의 조사영역이 상기 분할 촬영을 위한 영역들에 대응하도록 상기 콜리메이터를 제어하는, 의료 영상 장치.
  17. 제3항에 있어서,
    엑스선 장치로부터 상기 대상체를 촬영한 영상을 수신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의료 영상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하한에 기초해 분할 촬영 횟수를 결정하고, 상기 엑스선 장치가 상기 영상에서 상기 상한 지시자 및 상기 하한 사이의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대상체의 부분을 상기 결정된 분할 촬영 횟수로 분할 촬영하도록 상기 엑스선 장치를 제어하는, 의료 영상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분할 촬영을 통해 복수의 엑스선 분할 영상들을 획득하고, 상기 복수의 엑스선 분할 영상들을 스티칭함으로써, 상기 상한 지시자 및 상기 하한 사이의 영역에 대한 엑스선 영상을 획득하는, 의료 영상 장치.
  20. 제1항에 있어서,
    분할 촬영 모드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분할 촬영 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출력부는 상기 대상체를 촬영한 영상 상에 상기 상한 지시자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라인을 디스플레이하는, 의료 영상 장치.
  21. 출력부; 및
    상기 출력부가 대상체를 촬영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고, 엑스선 디텍터에 포함되는 복수의 AEC 챔버들의 위치를 지시하는 복수의 AEC 마커들을 상기 영상 상에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출력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의료 영상 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AEC 마커들 각각의 온-오프를 설정하고, 설정된 각 AEC 마커의 온-오프에 따라 상기 엑스선 디텍터에 포함되는 대응하는 AEC 챔버를 온-오프시키는, 의료 영상 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AEC 마커들 중 선택된 AEC 마커의 온-오프를 설정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는, 의료 영상 장치.
  24.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AEC 마커들 중 대상체 밖에 위치한 AEC 마커를 검출하고, 검출된 상기 AEC 마커를 오프시키는, 의료 영상 장치.
  25.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상기 영상 상에 엑스선 조사부의 엑스선 조사영역에 대응하는 콜리메이션 영역을 더 디스플레이하는, 의료 영상 장치.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상에서 상기 콜리메이션 영역을 조절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는 의료 영상 장치.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조절된 상기 콜리메이션 영역에 따라 상기 엑스선 조사부에 포함되는 콜리메이터를 조절하는, 의료 영상 장치.
  28. 제21항에 있어서,
    콜리메이터의 램프의 턴온을 명령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출력부는 상기 콜리메이터의 상기 램프가 턴온된 상태로 대상체를 촬영한 영상 상에 상기 복수의 AEC 마커들을 디스플레이하는, 의료 영상 장치.
  29.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체를 촬영하여 상기 영상을 획득하는 영상 획득부를 더 포함하는 의료 영상 장치.
  30. 제21항에 있어서,
    엑스선 장치로부터 상기 대상체를 촬영한 영상을 수신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의료 영상 장치.
  31. 대상체를 촬영한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영상 상에 엑스선 촬영될 영역의 상한을 설정하기 위한 상한 지시자, 그리고 상기 상한 지시자 및 분할 촬영 횟수에 따른 엑스선 촬영될 영역의 하한을 지시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라인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의료 영상 장치의 동작 방법.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에서 상기 상한 지시자의 위치를 조절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위치 조절된 상기 상한 지시자에 따라 변경된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라인을 상기 영상 상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의료 영상 장치의 동작 방법.
  33. 제32항에 있어서,
    엑스선 촬영될 영역의 하한을 설정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의료 영상 장치의 동작 방법.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하한에 기초해 분할 촬영 횟수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영상에서 상기 상한 지시자 및 상기 하한 사이의 영역을 결정된 분할 촬영 횟수에 따라 분할 촬영을 위한 영역들로 분할하는 단계; 및
    상기 영상 상에 상기 분할 촬영을 위한 영역들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의료 영상 장치의 동작 방법.
  35.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 촬영을 위한 영역들 사이에 중첩되는 부분을 하이라이트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의료 영상 장치의 동작 방법.
  36. 제33항에 있어서,
    엑스선 촬영될 영역의 하한을 설정하기 위한 하한 지시자를 더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하한을 설정하는 사용자 입력은 상기 하한 지시자의 위치를 조절하는 것인, 의료 영상 장치의 동작 방법.
  37.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상한 지시자 및 상기 하한 지시자 사이의 영역에 대한 분할 촬영 횟수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영상에서 상기 상한 지시자 및 상기 하한 지시자 사이의 영역을 결정된 분할 촬영 횟수에 따라 균등하게 분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라인은 분할된 영역마다의 하한을 지시하는 것인, 의료 영상 장치의 동작 방법.
  38.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상한 지시자 및 상기 하한 지시자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를 조절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면, 위치 조절된 상기 상한 지시자 또는 위치 조절된 상기 하한 지시자에 따라 분할 촬영 횟수를 다시 결정하는 단계;
    상기 상한 지시자 및 상기 하한 사이의 영역을 다시 결정된 분할 촬영 횟수에 따라 다시 균등하게 분할하는 단계; 및
    변경된 분할된 영역마다의 하한을 지시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라인을 다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의료 영상 장치의 동작 방법.
  39.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상에 디스플레이된 상기 분할 촬영을 위한 영역들마다 복수의 AEC(Automatic Exposure Control) 마커들을 더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AEC 마커들은 상기 분할 촬영을 위한 영역들 각각에 대한 분할 촬영 시 엑스선 디텍터에 포함되는 복수의 AEC 챔버들의 위치를 지시하는 것인, 의료 영상 장치의 동작 방법.
  40.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 촬영을 위한 영역들마다 상기 복수의 AEC 마커들 각각의 온-오프를 설정하는 단계; 및
    설정된 각 AEC 마커의 온-오프에 따라 분할 촬영 시 상기 엑스선 디텍터에 포함되는 대응하는 AEC 챔버를 온-오프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의료 영상 장치의 동작 방법.
  41.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상에 디스플레이된 복수의 AEC 마커들 중 선택된 AEC 마커의 온-오프를 설정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의료 영상 장치의 동작 방법.
  42.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상에 디스플레이된 복수의 AEC 마커들 중 대상체 밖에 위치한 AEC 마커를 검출하는 단계; 및
    검출된 상기 AEC 마커를 오프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의료 영상 장치의 동작 방법.
  43.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체를 촬영하여 상기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의료 영상 장치의 동작 방법.
  44.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하한에 기초해 분할 촬영 횟수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영상에서 상기 상한 지시자 및 상기 하한 사이의 영역을 결정된 분할 촬영 횟수에 따라 분할 촬영을 위한 영역들로 분할하는 단계; 및
    엑스선 조사부를 제어하여 상기 분할 촬영을 위한 영역들을 분할 촬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의료 영상 장치의 동작 방법.
  45. 제44항에 있어서,
    분할 촬영을 통해 복수의 엑스선 분할 영상들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엑스선 분할 영상들을 스티칭함으로써, 상기 상한 지시자 및 상기 하한 사이의 영역에 대한 엑스선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의료 영상 장치의 동작 방법.
  46. 제44항에 있어서,
    상기 엑스선 조사부는 엑스선의 조사영역을 조절하는 콜리메이터를 포함하고,
    엑스선의 조사영역이 상기 분할 촬영을 위한 영역들에 대응하도록 상기 콜리메이터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의료 영상 장치의 동작 방법.
  47. 제43항에 있어서,
    엑스선 장치로부터 상기 대상체를 촬영한 영상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의료 영상 장치의 동작 방법.
  48. 제47항에 있어서,
    상기 하한에 기초해 분할 촬영 횟수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엑스선 장치가 상기 영상에서 상기 상한 지시자 및 상기 하한 사이의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대상체의 부분을 상기 결정된 분할 촬영 횟수로 분할 촬영하도록 상기 엑스선 장치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의료 영상 장치의 동작 방법.
  49. 제48항에 있어서,
    분할 촬영을 통해 복수의 엑스선 분할 영상들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엑스선 분할 영상들을 스티칭함으로써, 상기 상한 지시자 및 상기 하한 사이의 영역에 대한 엑스선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의료 영상 장치의 동작 방법.
  50. 제31항에 있어서,
    분할 촬영 모드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분할 촬영 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대상체를 촬영한 영상 상에 상기 상한 지시자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라인을 디스플레이하는, 의료 영상 장치의 동작 방법.
  51. 대상체를 촬영한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 및
    엑스선 디텍터에 포함되는 복수의 AEC 챔버들의 위치를 지시하는 복수의 AEC 마커들을 상기 영상 상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의료 영상 장치의 동작 방법.
  52. 제5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AEC 마커들 각각의 온-오프를 설정하는 단계; 및
    설정된 각 AEC 마커의 온-오프에 따라 상기 엑스선 디텍터에 포함되는 대응하는 AEC 챔버를 온-오프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의료 영상 장치의 동작 방법.
  53. 제5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AEC 마커들 중 선택된 AEC 마커의 온-오프를 설정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의료 영상 장치의 동작 방법.
  54. 제5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AEC 마커들 중 대상체 밖에 위치한 AEC 마커를 검출하는 단계; 및
    검출된 상기 AEC 마커를 오프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의료 영상 장치의 동작 방법.
  55. 제5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상에 엑스선 조사부의 엑스선 조사영역에 대응하는 콜리메이션 영역을 더 디스플레이하는, 의료 영상 장치의 동작 방법.
  56. 제55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상에서 상기 콜리메이션 영역을 조절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의료 영상 장치의 동작 방법.
  57. 제56항에 있어서,
    조절된 상기 콜리메이션 영역에 따라 상기 엑스선 조사부에 포함되는 콜리메이터를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의료 영상 장치의 동작 방법.
  58. 제51항에 있어서,
    콜리메이터의 램프의 턴온을 명령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콜리메이터의 상기 램프가 턴온된 상태로 대상체를 촬영한 영상 상에 상기 복수의 AEC 마커들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의료 영상 장치의 동작 방법.
  59. 제51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체를 촬영하여 상기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의료 영상 장치의 동작 방법.
  60. 제51항에 있어서,
    엑스선 장치로부터 상기 대상체를 촬영한 영상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의료 영상 장치의 동작 방법.
  61. 제31항 내지 제60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150113857A 2014-08-28 2015-08-12 의료 영상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17956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5835969.5A EP3185773B1 (en) 2014-08-28 2015-08-28 Medical imaging apparatus and method of operating same
PCT/KR2015/009049 WO2016032275A1 (en) 2014-08-28 2015-08-28 Medical imaging apparatus and method of operating same
EP19215788.1A EP3682803A1 (en) 2014-08-28 2015-08-28 Medical imaging apparatus and method of operating same
CN201580059303.3A CN107106097B (zh) 2014-08-28 2015-08-28 医疗成像装置及其操作方法
US14/838,870 US9814435B2 (en) 2014-08-28 2015-08-28 Medical imaging apparatus and method of operating same
US15/722,554 US10966675B2 (en) 2014-08-28 2017-10-02 Medical imaging apparatus and method of operating same
US17/180,065 US11564647B2 (en) 2014-08-28 2021-02-19 Medical imaging apparatus and method of operat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13349 2014-08-28
KR1020140113349 2014-08-28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5381A Division KR102184213B1 (ko) 2014-08-28 2017-11-02 의료 영상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6698A true KR20160026698A (ko) 2016-03-09
KR101795605B1 KR101795605B1 (ko) 2017-11-08

Family

ID=55536988

Famil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3857A KR101795605B1 (ko) 2014-08-28 2015-08-12 의료 영상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20170145381A KR102184213B1 (ko) 2014-08-28 2017-11-02 의료 영상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20200154089A KR102263162B1 (ko) 2014-08-28 2020-11-17 의료 영상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20210072325A KR102312339B1 (ko) 2014-08-28 2021-06-03 의료 영상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20210132708A KR102483330B1 (ko) 2014-08-28 2021-10-06 의료 영상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5381A KR102184213B1 (ko) 2014-08-28 2017-11-02 의료 영상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20200154089A KR102263162B1 (ko) 2014-08-28 2020-11-17 의료 영상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20210072325A KR102312339B1 (ko) 2014-08-28 2021-06-03 의료 영상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20210132708A KR102483330B1 (ko) 2014-08-28 2021-10-06 의료 영상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EP (2) EP3185773B1 (ko)
KR (5) KR101795605B1 (ko)
CN (1) CN107106097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47541A1 (ko) * 2017-02-07 2018-08-16 한국원자력의학원 진단 방사선 기기용 가변형 콜리메이터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WO2019156351A1 (ko) * 2018-02-07 2019-08-15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이동형 전산화단층촬영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2390B1 (ko) * 2017-12-27 2019-07-23 주식회사 홍인터내셔날 다트 게임 시스템
EP3811866A1 (en) * 2019-10-22 2021-04-28 Koninklijke Philips N.V. Method for assessing a position of a patient to an automatic exposure control chamber
KR102444393B1 (ko) * 2020-09-25 2022-09-20 주식회사 올리브헬스케어 유방암 진단 시스템
US11617553B2 (en) * 2021-08-13 2023-04-04 GE Precision Healthcare LLC Local enhancement for a medical image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95076B2 (en) 2003-06-03 2005-05-17 Ge Medical Systems Global Technology Company, Llc Methods and apparatus for multiple image acquisition on a digital detector
US7494276B2 (en) * 2004-10-05 2009-02-24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Method and system for the planning of imaging parameters
DE102005029242B4 (de) * 2005-06-23 2012-10-25 Siemens Ag Verfahren zur Aufnahme und Auswertung von Bilddaten eines Untersuchungsobjekts und dazugehörige Einrichtung
JP4509971B2 (ja) * 2006-06-09 2010-07-21 ジーイー・メディカル・システムズ・グローバル・テクノロジー・カンパニー・エルエルシー X線ct装置
JP5390132B2 (ja) 2007-09-03 2014-01-15 株式会社東芝 X線ct装置
JP2010075245A (ja) * 2008-09-24 2010-04-08 Fujifilm Corp 放射線画像撮影装置
CN101884544B (zh) * 2009-05-12 2014-12-10 Ge医疗系统环球技术有限公司 图像获取方法及装置和x光拍片机
CN101897593B (zh) * 2009-05-26 2014-08-13 清华大学 一种计算机层析成像设备和方法
US8824634B2 (en) * 2010-04-13 2014-09-02 Carestream Health, Inc. Configurable AEC sensor for an X-ray system
US8705695B2 (en) * 2010-11-23 2014-04-22 General Electric Company Region of interest determination for X-ray imaging
JP2013039197A (ja) * 2011-08-12 2013-02-28 Canon Inc X線撮影システム
CN103906471B (zh) * 2012-04-11 2016-12-14 东芝医疗系统株式会社 X射线ct装置
KR101431781B1 (ko) * 2012-06-20 2014-08-20 삼성전자주식회사 엑스선 영상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40017339A (ko) 2012-07-31 2014-02-11 삼성전자주식회사 엑스선 촬영 장치 및 엑스선 촬영 장치의 촬영 영역 설정 방법
JP5978067B2 (ja) 2012-08-27 2016-08-24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放射線撮影システムおよびこれに用いられる規制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47541A1 (ko) * 2017-02-07 2018-08-16 한국원자력의학원 진단 방사선 기기용 가변형 콜리메이터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WO2019156351A1 (ko) * 2018-02-07 2019-08-15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이동형 전산화단층촬영장치
KR20190095658A (ko) * 2018-02-07 2019-08-16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이동형 전산화단층촬영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9613A (ko) 2021-06-11
KR20170125310A (ko) 2017-11-14
EP3185773B1 (en) 2020-01-15
EP3185773A1 (en) 2017-07-05
KR102483330B1 (ko) 2023-01-02
KR101795605B1 (ko) 2017-11-08
KR102263162B1 (ko) 2021-06-10
KR102312339B1 (ko) 2021-10-14
CN107106097A (zh) 2017-08-29
KR20200132808A (ko) 2020-11-25
KR102184213B1 (ko) 2020-11-27
EP3185773A4 (en) 2017-08-16
CN107106097B (zh) 2021-08-31
EP3682803A1 (en) 2020-07-22
KR20210124165A (ko) 2021-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64647B2 (en) Medical imaging apparatus and method of operating same
KR102263162B1 (ko) 의료 영상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US10206644B2 (en) X-ray imaging apparatus
KR102328117B1 (ko) 엑스선 장치 및 시스템
KR102126510B1 (ko) 엑스선 장치 및 시스템
KR20160103518A (ko) 의료 영상 처리 장치 및 의료 영상 처리 방법
KR20150065470A (ko) 디텍터 내에 미리 저장된 디텍터 정보에 기초하여 촬영 시스템에 등록된 디텍터의 동작 조건을 설정하는 방법 및 장치
US20160027182A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method
EP3182897B1 (en) X-ray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x-ray apparatus
KR102366255B1 (ko) 엑스선 장치 및 동작 방법
US11224391B2 (en) Radiography apparatus
KR102328118B1 (ko) 엑스선 장치 및 시스템
US10417763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x-ray imag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487533B1 (ko) 엑스선 장치 및 엑스선 촬영 방법
US20240057952A1 (en) Radiographic device and radiation flux control method
US20230200759A1 (en) Medical image diagnosis apparatus and scanning-range setting method
KR20170000337A (ko) 엑스선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