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26493A - 스마트 웨어 시스템 및 이 시스템을 이용한 골프 스윙 자세 교정 방법 - Google Patents

스마트 웨어 시스템 및 이 시스템을 이용한 골프 스윙 자세 교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26493A
KR20160026493A KR1020140115500A KR20140115500A KR20160026493A KR 20160026493 A KR20160026493 A KR 20160026493A KR 1020140115500 A KR1020140115500 A KR 1020140115500A KR 20140115500 A KR20140115500 A KR 20140115500A KR 20160026493 A KR20160026493 A KR 201600264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sture
value
motion
standard
golf sw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55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86576B1 (ko
Inventor
최병건
강성원
김정범
박형일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401155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6576B1/ko
Publication of KR201600264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64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65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65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03Analysing the course of a movement or motion sequences during an exercise or trainings sequence, e.g. swing for golf or tennis
    • A63B24/0006Computerised comparison for qualitative assessment of motion sequences or the course of a movemen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03Analysing the course of a movement or motion sequences during an exercise or trainings sequence, e.g. swing for golf or tennis
    • A63B24/0006Computerised comparison for qualitative assessment of motion sequences or the course of a movement
    • A63B2024/0012Comparing movements or motion sequences with a registered reference
    • A63B2024/0015Comparing movements or motion sequences with computerised simulations of movements or motion sequences, e.g. for generating an ideal template as reference to be achieved by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2071/0655Tactile feedback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80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 A63B2220/803Motion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50Wireless data transmission, e.g. by radio transmitters or telemetry

Abstract

스마트 웨어 시스템이 제공된다. 이 시스템은 학습자의 신체 부위별로 스마트 웨어 상에 부착되어, 상기 학습자의 골프 스윙 자세에 대응하는 모션 값을 신체 부위별로 검출하는 다수의 모션 센서와, 상기 검출된 모션 값과 상기 학습자의 골프 스윙 자세를 교정하기 위해 신체 부위별로 정의된 표준 모션 값을 비교하여 차이 값을 계산하고, 계산된 차이 값에 따라 자세 교정 신호를 출력하는 휴대용 단말 및 상기 스마트 웨어 상에 부착된 각 모션 센서에 근접한 위치에 부착되고, 상기 자세 교정 신호에 응답하여 진동 자극을 신체 부위 별로 인가하여, 상기 골프 스윙 자세의 교정을 유도하는 다수의 액츄에이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스마트 웨어 시스템 및 이 시스템을 이용한 골프 스윙 자세 교정 방법{SMART WEAR SYSTEM AND METHOD FOR CORRECTING A POSTURE OF GOLF-SWING USING THE SYSTEM}
본 발명은 스마트 웨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코치의 도움이 없이 학습자의 골프 스윙 자세를 교정할 수 있는 스마트 웨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골프 스윙 분석 기술에는 학습자의 골프 스윙 동작을 카메라와 같은 영상 촬영 수단으로 녹화 후, 녹화된 영상을 통해 학습자의 골프 스윙 동작을 분석하는 비디오 스윙 분석 기법과, 광학 방식, 전자기 방식, 관성 센서 등과 같은 3D 스윙 분석(3D Swing Analysis) 장비를 이용하여 학습자의 골프 스윙 동작을 분석하는 3차원 분석 기법이 있다.
특히, 관성 센서를 이용한 기존의 3D 스윙 분석 장비는 조끼와 바지에 관성센서를 부착하고, 상하체의 각도를 분석하여 모니터를 통하여 실시간으로 잘못된 자세인지 바른 자세인지 피드백을 제공하는 방식이다.
이러한 3차원 분석을 위해서는 카메라를 통해 센서의 움직임을 캡쳐하고, 모니터를 통해 피드백을 제공해야 하기 때문에, 골퍼가 필드에서 이용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기존의 3D 스윙 분석 장비는 주로 학술용이나 3D 분석 장비가 구비된 장소에서만 사용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장소에 관계없이, 언제 어디서는 골프 스윙 자세를 교정할 수 있는 스마트 웨어 시스템 및 이 시스템을 이용한 골프 스윙 자세 교정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스마트 웨어 시스템은, 학습자의 신체 부위별로 스마트 웨어 상에 부착되어, 상기 학습자의 골프 스윙 자세에 대응하는 모션 값을 신체 부위별로 검출하는 다수의 모션 센서와, 상기 검출된 모션 값과 상기 학습자의 골프 스윙 자세를 교정하기 위해 신체 부위별로 정의된 표준 모션 값을 비교하여 차이 값을 계산하고, 계산된 차이 값에 따라 자세 교정 신호를 출력하는 휴대용 단말 및 상기 스마트 웨어 상에 부착된 각 모션 센서에 근접한 위치에 부착되고, 상기 자세 교정 신호에 응답하여 진동 자극을 신체 부위 별로 인가하여, 상기 골프 스윙 자세의 교정을 유도하는 다수의 액츄에이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따른 학습자의 신체 부위별로 스마트 웨어 상에 부착된 다수의 모션 센서에서, 상기 학습자의 골프 스윙 자세에 대응하는 모션 값을 신체 부위별로 검출하는 과정과, 휴대용 단말에서, 상기 검출된 모션 값과 신체 부위별로 정의된 표준 모션 값을 비교하여 차이 값을 계산하고, 상기 계산된 차이 값에 따라 자세 교정 신호를 출력하는 과정 및 상기 스마트 웨어 상에 부착된 각 모션 센서의 근접한 위치에 부착된 다수의 액츄에이터에서, 상기 자세 교정 신호에 응답하여 진동 자극을 신체 부위 별로 인가하여, 상기 골프 스윙 자세의 교정을 유도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스윙 자세 별로 학습자의 모션을 실시간으로 캡쳐하고, 캡쳐된 모션을 기반으로 잘못된 스윙 자세가 판단되면, 학습자가 자신의 신체 부위별로 부착된 액츄에이터를 통해 진동 자극을 실시간으로 피드백을 받음으로써, 코치의 도움 없이 스윙 자세에 대한 피드백을 받을 수 있다.
도 1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골프 스윙 자세를 교정하기 위한 스마트 웨어 시스템을 적용한 스마트 웨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웨어 시스템을 착용한 상태에서 셋-업 자세를 취하면서 자세 교정 및 학습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웨어 시스템을 착용한 상태에서 백 스윙 자세를 취하면서 자세 교정 및 학습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웨어 시스템을 착용한 상태에서 임팩트 자세를 취하면서 자세 교정 및 학습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SOT 스마트웨어 시스템을 착용한 상태에서 팔로쓰루 자세를 취하면서 자세 교정 및 학습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골프 스윙 자세 교정 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본 발명은 골프 스윙 연습 과정에서 코치의 도움 없이 학습자가 자신의 자세를 모니터링 하여 실시간으로 잘못된 자세에 대한 피드백을 받을 수 있는 SOT(System on Textile) 스마트 웨어 시스템(이하, 스마트 웨어 시스템이라 함)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스마트 웨어 시스템은 스마트 웨어에 부착된 모션 센서를 통하여 획득한 사용자의 스윙 자세 정보를 획득하고, 표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표준화된 스윙 자세 정보와 상기 획득된 학습자의 스윙 자세 정보를 비교하여, 허용된 오차 범위를 벗어는 경우, 액츄에이터를 통해 학습자의 신체 부위에 진동을 인가함으로써, 학습자의 스윙 자세 교정을 유도한다.
또한 본 발명의 스마트 웨어 시스템은 표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표준화된 스윙 자세 정보와 획득된 사용자의 스윙 자세 정보 간의 비교 처리, 센싱 정보 처리, 액츄에이터 구동은 사용자가 휴대하고 있는 스마트 폰 등과 같은 코디네이터(이하, 휴대용 단말이라 한다.)에서 수행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스마트 웨어 시스템에서 모터 센서 및 액츄에이터 간의 통신 연결은 전도성 섬유와 같은 통신 라인을 이용함으로써, 학습자가 본 발명의 스마트 웨어 시스템을 적용한 스마트 웨어를 착용하는 경우, 착용감과 휴대 용이성을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해 상세히 기술한다. 아래의 실시 예에서는 골프 웨어 적용된 스마트 웨어 시스템을 기술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스마트 웨어 시스템이 골프 웨어에만 한정됨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스포츠 웨어에 적용될 수 있음은 아래의 설명을 통해 당업자라면 충분히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골프 스윙 자세를 교정하기 위한 스마트 웨어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구체적으로, 도 1A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웨어 시스템이 부착된 골프 웨어의 전면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2B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웨어 시스템이 부착된 골프 웨어의 후면을 보여주는 것이다.
도 1A 및 도 2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웨어 시스템은 골프 웨어에 부착된 다수의 모션 센서(S1 ~ S11) 및 다수의 액츄에이터(A1 ~ A16)와, 상기 골프 웨어를 착용한 학습자가 소지한 휴대용 단말(C1)을 포함한다.
다수의 모션 센서들( S1 ~ S11 )
다수의 모션 센서(S1~S11)는 스마트 웨어 상에 부착되어, 상기 학습자의 골프 스윙 자세에 대한 자세 정보(이하, 모션 값이라 한다)를 검출한다.
각 모션 센서(S1~S11)는 학습자의 스윙 동작 시, 최적의 모션 값을 검출하기 위해, 학습자의 신체 부위별로 부착되며, 3축 지자기 센서, 3축 가속도 센서, 3축 자이로 센서 및 이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르면, 도 1A에서 상기 골프 웨어의 전면 상에는 제1 내지 제9 모션 센서들(S1~S9)이 부착된 예가 도시되고, 도 1B에서, 상기 골프 웨어의 후면 상에 제10 및 제11 모션 센서들(S10, S11)이 부착된 예가 도시된다.
상기 전면에 부착된 각 모션 센서들(S1~S9)의 부착 위치를 살펴보면, 제1 모션 센서(S1)는 목 부위에, 제2 모션 센서(S2)는 가슴 부위에, 제3 모션 센서(S3)는 배 부위에, 제4 및 제7 모션 센서(S4, S7)은 각각 양쪽 어깨 부위에, 제5 및 제8 모션 센서(S5, S8)는 각각 양쪽 팔꿈치 부위에 부착된다. 그리고 제6 및 제9 모션 센서(S6, S9)는 각각 양쪽 팔목 부위에 부착된다.
상기 골프 웨어의 후면에 부착된 제10 및 제11 모션 센서들(S10~S11)의 부착 위치를 살펴보면, 제10 모션 센서(S10)의 부착 위치는 학습자의 등 상단 부위에 부착되고, 제11 모션 센서(S11)는 학습자의 등 하단 부위에 부착된다.
이와 같이, 다수의 모션 센서들(S1~S11)은 최적의 모션 값을 검출하기 위해, 학습자의 신체 부위별로 부착된다.
각 모션 센서들(S1~S11)에 의해 검출되는 모션 값은 학습자의 스윙 동작 이후, 해당 신체 부위의 이전 위치 값에서 스윙 동작 이후에 변동된 현재 위치 값(또는 이전 위치 값에 대한 상대 위치 값), 해당 신체 부위의 이전 위치와 현재 위치 사이의 각도 값 및 해당 신체 부위의 이전 위치에서 현재 위치로의 이동 경로를 트랙킹 한 궤적 값 중 적어도 하나의 값을 포함할 수 있다.
골프 스윙 자세를 셋업 자세, 백스윙 자세, 백스윙 탑 자세, 임팩트 자세, 팔로쓰루 자세, 퍼팅 자세의 6가지의 정지 자세로 구분할 때, 상기 현재 위치 값은 각 정지 자세 별 학습자의 모션 값으로 이용되고, 상기 각도 값과 상기 궤적 값은 상기 자세들의 연속 동작에 대한 자세 변화를 나타내는 모션 값으로 이용될 수 있다.
휴대용 단말( C1 )
휴대용 단말(C1)은 각 모션 센서(S1~S11)에 의해 신체 부위별로 검출된 모션 값을 전달받고, 전달받은 모션 값과 상기 학습자의 골프 스윙 자세를 교정하기 위해 신체 부위별로 데이터베이스화 된 표준 모션 값을 비교하여 차이 값을 계산하고, 계산된 차이 값에 따라 자세 교정 신호를 출력한다.
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데이터베이스화된 표준 모션 값은 상기 골프 스윙 자세를 교정하기 위해 신체 부위별로 데이터베이스화된 표준 위치 값, 표준 각도 값 및 표준 궤적 값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표준 모션 값은 6가지의 정지 자세 별로 표준화된 모션 값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드라이버, 우드, 아이언, 퍼터 등 클럽의 종류에 따른 6가지의 정지 자세 별로 표준화된 모션 값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표준 모션 값은 휴대용 단말(C1)에 설치된 앱을 통해 접속된 서버로부터 실시간으로 다운로딩 받을 수 있다.
휴대용 단말(C1)은 서버로부터 다운로딩 된 표준 모션 값과 각 모션 센서(S1~S11)에 의해 신체 부위별로 검출된 모션 값을 비교하여 각 정지 자세 별로 학습자의 스윙 자세를 평가한다.
구체적으로, 휴대용 단말(C1)은 표준 모션 값과 신체 부위별로 검출된 모션 값을 비교하여 그 차이 값을 계산하고, 계산된 차이 값이 기 설정된 오차 범위를 벗어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예컨대, 휴대용 단말(C1)은 상기 위치 값과 상기 표준 위치 값을 비교하는 제1 비교 연산, 상기 각도 값과 상기 표준 각도 값을 비교하는 제2 비교 연산 및 상기 궤적 값과 상기 표준 궤적 값을 비교하는 제3 비교 연산 중 적어도 하나의 비교 연산을 통해 학습자의 정지 자세 및 연속 동작 별로 상기 차이 값을 계산한다.
휴대용 단말(C1)은 계산된 차이 값이 상기 오차 범위를 벗어나면, 학습자의 스윙 자세를 잘못된 자세로 판단하고, 계산된 차이 값이 상기 오차 범위 이내에 존재하면, 학습자의 스윙 자세를 바른 자세로 판단한다.
휴대용 단말(C1)이 학습자의 스윙 자세를 잘못된 자세로 판단하면, 자세 교정 신호를 생성하고, 이를 아래에서 설명되는 다수의 액츄에이터(A1 ~ A16)로 실시간으로 전달한다.
자세 교정 신호는 상기 다수의 액츄에이터(A1 ~ A16)를 구동시키는 신호로서, 상기 계산된 차이 값의 크기에 따라 진동 세기, 진동 주기 및 진동 회수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수의 액츄에이터 (A1 ~ A16)
다수의 액츄에이터(A1~A16)는 상기 골프 웨어 상에 부착된 각 모션 센서의 부착 위치에 근접한 위치에 부착되어, 상기 자세 교정 신호에 응답하여 진동 자극(또는 기계적 진동)을 해당 신체 부위에 인가한다.
본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및 제2 액츄에이터(A1 및 A2)는 제4 및 제7 모션 센서(S4, S7)의 부착 위치에 근접한 양쪽 어깨 부위에 부착되고, 제3 및 제4 액츄에이터(A3 및 A4)는 배 부위에 부착된 제3 모션 센서(S3)를 사이에 두고, 상기 배의 양쪽 부위에 부착된다.
제5 및 제6 액츄에이터(A5 및 A6)는 한쪽 팔꿈치 부위에 부착된 제5 모션 센서(S5)에 근접한 위치에 부착되고, 제9 및 제10 액츄에이터(A9 및 A10)는 다른 쪽 팔꿈치 부위에 부착된 제8 모션 센서(S8)에 근접한 위치에 부착된다.
제7 및 제8 액츄에이터(A7, A8)는 한쪽 팔목 부위에 부착된 제6 모션 센서(S6)에 근접한 위치에 부착되고, 제11 및 제12 액츄에이터(A11 및 A12)는 제9 모션 센서(S9)에 근접한 위치에 부착된다.
제13 및 제14 액츄에이터(A13 및 A14)는 등의 상단 부위에 부착된 제10 모션 센서(S10)를 사이에 두고, 골프 웨어 후면의 상단 부위 양쪽에 부착되고, 제15 및 제16 액츄에이터(A15 및 A16)는 제11 모션 센서(S11)를 사이에 두고, 골프 웨어 후면의 하단 부위 양쪽에 부착된다.
이와 같이, 신체 부위별로 부착된 모션 센서들에 근접하게 부착된 액츄에이터들(A1~A16) 각각은 상기 휴대용 단말(C1)로부터의 상기 자세 교정 신호에 따라 교정이 필요한 신체 부위에 진동 자극을 인가한다.
학습자는 진동 자극이 인가된 신체 부위를 인지하고, 인지된 신체 부위의 스윙 자세가 잘못된 자세임을 인지함으로써, 학습자로 하여금 스윙 자세의 교정을 유도한다.
학습자는 진동 자극에 따라 해당 신체 부위의 자세를 교정한다. 이러한 교정 과정에서 모션 센서들(S1~S11)은 해당 신체 부위의 모션 값을 실시간으로 검출하고, 이를 휴대용 단말로 전달한다.
휴대용 단말(C1)은 실시간을 전달받은 모션 값과 표준 모션 값과의 차이 값이 오차 범위 내로 진입할 때까지 자세 교정 신호를 해당 액츄에이터들로 지속적으로 전달한다.
이후, 휴대용 단말(C1)은 상기 차이 값이 상기 오차 범위 내로 진입하면, 해당 액츄에이터들로의 자세 교정 신호의 출력을 중단한다.
자세 교정 신호의 출력이 중단되면, 해당 액츄에이터들은 해당 신체 부위에 대한 진동 자극의 인가를 중단함으로써, 학습자는 자신의 스윙 자세가 교정되었음을 인지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휴대용 단말(C1)과, 다수의 모션센서들(S1~S11) 및 다수의 액츄에이터는 금속 재질의 선로로 연결될 수 있으나, 인체 밀착성과 편의성 측면을 고려하여, 착용에 불편함이 없도록 전도성 섬유(W1)가 이용된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는 11개의 모션 센서들과 16개의 액츄에이터들이 부착된 골프 웨어를 예시하고 있으나, 최적의 자세 교정을 그 개수 및 부착 위치는 다양한 변경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윙 자세들을 보여주는 도면들로서, 각각 셋업 자세, 백스윙 자세, 임팩트 자세, 팔로쓰루 자세를 나타낸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학습자의 스윙 자세가 셋업 자세인 경우, 휴대용 단말(C1)에서는 표준화된 표준 모션 값의 셋업 자세 정보와 각 모션 센서로부터 획득한 자세 정보를 비교하여 잘못된 자세인지 바른 자세인지를 판단한다.
판단 결과, 특정 신체 부위에 오차가 있는 경우, 휴대용 단말(C1)은 오차가 발생한 신체 부위에 부착된 액츄에이터로 자세 교정 신호를 전달하여, 액츄에이터를 구동시킨다.
이때, 구동을 시작한 해당 액츄에이터는 상기 오차의 크기에 따라 결정된 진동 세기, 진동 주기 및 진동 회수로 해당 신체 부위에 진동 자극을 인가함으로써, 교정 강도를 조절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진동 세기, 진동 주기, 진동 회수 및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교정 강도에 따라 학습자는 자신의 스윙 자세가 얼마나 잘못되는지 정도를 인지하게 됨으로써, 학습자의 스윙 자세 교정을 유도한다.
한편, 도 3 내지 도 5에서 각각 예시된 백 스윙 자세, 임팩트 자세, 팔로쓰루 자세에서 이루어지는 교정 과정 또한 위의 도 2에서 설명한 교정 과정과 유사한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이들 자세에 대한 교정 과정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골프 스윙 자세 교정 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먼저, S610에서, 학습자의 신체 부위별로 스마트 웨어 상에 부착된 다수의 모션 센서에서, 학습자의 신체 부위별 스윙 자세 정보(또는 모션 값)를 검출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여기서, 모션 값은, 신체 부위의 이전 위치 값에서 변동된 현재 위치 값, 신체 부위의 이전 위치와 현재 위치 사이의 각도 값 및 신체부위의 이전 위치에서 현재 위치로의 이동 경로를 트랙킹 한 궤적 값을 포함한다.
이어, S620에서, 휴대용 단말에서, 상기 다수의 모션 센서에서 검출된 모션 값과 상기 학습자의 골프 스윙 자세를 교정하기 위해 신체 부위별로 표준화된 표준 모션 값을 비교하여 차이 값을 계산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여기서, 상기 표준화된 표준 모션 값은 휴대용 단말에 설치된 앱을 통해 서버로부터 다운로딩 될 수 있으며, 이러한 다운 로딩과정은 S610 이전에 수행될 수 있으며, 상기 표준 모션 값은 신체 부위별로 표준화된 표준 위치 값, 표준 각도 값, 표준 궤적 값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S620에서는, 상기 위치 값과 상기 표준 위치 값을 비교하는 제1 비교 연산, 상기 각도 값과 상기 표준 각도 값을 비교하는 제2 비교 연산 및 상기 궤적 값과 상기 표준 궤적 값을 비교하는 제3 비교 연산 중 적어도 하나의 비교 연산을 통해 상기 차이 값을 계산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이어, S630에서, 휴대용 단말이 상기 계산된 차이 값에 따라 자세 교정 신호를 출력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여기서, 자세 교정 신호는 상기 차이 값의 크기에 따라 결정되는 진동 자극의 세기, 진동 자극의 인가 주기 및 진동 자극의 인가 횟수를 포함한다.
이어, S640에서, 다수의 액츄에이터는 상기 자세 교정 신호에 따라 진동 자극을 신체 부위별로 인가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진동 세기, 진동 주기, 진동 회수 및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교정 강도에 따라 학습자는 자신의 스윙 자세가 얼마나 잘못되는지 정도를 인지하게 됨으로써, 학습자의 스윙 자세 교정을 유도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력 소비를 제어하는 스마트 에너지 관리 장치 및 그 방법은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Claims (15)

  1. 스마트 웨어 시스템에 있어서,
    학습자의 신체 부위별로 스마트 웨어 상에 부착되어, 상기 학습자의 골프 스윙 자세에 대응하는 모션 값을 신체 부위별로 검출하는 다수의 모션 센서;
    상기 검출된 모션 값과 상기 학습자의 골프 스윙 자세를 교정하기 위해 신체 부위별로 정의된 표준 모션 값을 비교하여 차이 값을 계산하고, 계산된 차이 값에 따라 자세 교정 신호를 출력하는 휴대용 단말; 및
    상기 스마트 웨어 상에 부착된 각 모션 센서에 근접한 위치에 부착되고, 상기 자세 교정 신호에 응답하여 진동 자극을 신체 부위 별로 인가하여, 상기 골프 스윙 자세의 교정을 유도하는 다수의 액츄에이터
    를 포함하는 스마트 웨어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은,
    상기 모션 값과 상기 표준 모션 값 간의 차이 값이 기 설정된 오차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자세 교정 신호를 출력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웨어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은,
    상기 오차 범위를 벗어난 차이 값이 오차 범위 이내로 진입하면, 상기 자세 교정 신호의 출력을 중단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웨어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션 값은 신체 부위의 이전 위치 값에서 변동된 현재 위치 값, 신체 부위의 이전 위치와 현재 위치 사이의 각도 값 및 신체부위의 이전 위치에서 현재 위치로의 이동 경로를 트랙킹 한 궤적 값을 포함하고, 상기 표준 모션 값은 상기 골프 스윙 자세를 교정하기 위해 신체 부위별로 정의된 표준 위치 값, 표준 각도 값 및 표준 궤적 값을 포함하고,
    상기 휴대용 단말은,
    상기 현재 위치 값과 상기 표준 위치 값을 비교하는 제1 비교 연산, 상기 각도 값과 상기 표준 각도 값을 비교하는 제2 비교 연산 및 상기 궤적 값과 상기 표준 궤적 값을 비교하는 제3 비교 연산 중 적어도 하나의 비교 연산을 통해 상기 차이 값을 계산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웨어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은,
    상기 차이 값의 크기에 따라 결정되는 상기 진동 자극의 세기, 상기 진동 자극의 인가 주기 및 상기 진동 자극의 인가 횟수를 포함하는 상기 자세 교정 신호를 출력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웨어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모션 센서, 상기 휴대용 단말 및 상기 다수의 액츄에이터는 전도성 섬유로 이루어진 통신 라인을 통해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웨어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은,
    상기 서버 접속 기능을 갖는 응용 프로그램을 탑재하며, 상기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에 따라 상기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접속된 서버로부터 상기 표준 모션 값을 다운로딩 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웨어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다운로딩 된 표준 모션 값은,
    셋업 자세에서의 표준 모션 값, 백스윙 자세에서의 표준 모션 값, 백스윙 탑 자세에서의 표준 모션 값, 임팩트 자세에서의 표준 모션 값, 팔로쓰루 자세에서의 표준 모션 값 및 퍼팅 자세에서의 표준 모션 값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웨어 시스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다운로딩 된 표준 모션 값은,
    클럽의 종류에 따라 정의된 셋업 자세에서의 표준 모션 값, 백스윙 자세에서의 표준 모션 값, 백스윙 탑 자세에서의 표준 모션 값, 임팩트 자세에서의 표준 모션 값, 팔로쓰루 자세에서의 표준 모션 값 및 퍼팅 자세에서의 표준 모션 값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웨어 시스템.
  10. 스마트 웨어 시스템을 이용한 골프 스윙 자세 교정 방법에 있어서,
    학습자의 신체 부위별로 스마트 웨어 상에 부착된 다수의 모션 센서에서, 상기 학습자의 골프 스윙 자세에 대응하는 모션 값을 신체 부위별로 검출하는 과정;
    휴대용 단말에서, 상기 검출된 모션 값과 신체 부위별로 정의된 표준 모션 값을 비교하여 차이 값을 계산하고, 상기 계산된 차이 값에 따라 자세 교정 신호를 출력하는 과정; 및
    상기 스마트 웨어 상에 부착된 각 모션 센서의 근접한 위치에 부착된 다수의 액츄에이터에서, 상기 자세 교정 신호에 응답하여 진동 자극을 신체 부위 별로 인가하여, 상기 골프 스윙 자세의 교정을 유도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스마트 웨어 시스템을 이용한 골프 스윙 자세 교정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자세 교정 신호를 출력하는 과정은,
    상기 표준 모션 값을 외부 서로부터 다운로딩 하는 과정; 및
    상기 검출된 모션 값과 상기 표준 모션 값 간의 차이 값이 기 설정된 오차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자세 교정 신호를 출력하는 과정
    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웨어 시스템을 이용한 골프 스윙 자세 교정 방법.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자세 교정 신호를 출력하는 과정은,
    상기 계산된 차이 값의 크기에 따라 결정된 상기 진동 자극의 세기, 주기 및 회수를 포함하는 상기 자세 교정 신호를 출력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웨어 시스템을 이용한 스마트 웨어 시스템을 이용한 골프 스윙 자세 교정 방법.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자의 골프 스윙 자세는 셋업 자세, 백스윙 자세, 백스윙 탑 자세, 임팩트 자세, 팔로쓰루 자세 및 퍼팅 자세로 이루어진 다수의 정지 자세를 포함하고,
    상기 학습자의 골프 스윙 자세에 대응하는 모션 값을 신체 부위별로 검출하는 과정은,
    상기 다수의 정지 자세 별로 상기 모션 값을 검출하는 과정; 및
    상기 다수의 정지 자세에 대한 연속 동작에 대응하는 상기 모션 값을 검출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웨어 시스템을 이용한 골프 스윙 자세 교정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자세 교정 신호를 출력하는 과정은,
    상기 검출된 정지 자세 별 모션 값과 상기 정지 자세별로 정의된 표준 모션 값을 비교하여 차이 값을 계산하고, 상기 계산된 차이 값에 따라 자세 교정 신호를 출력하는 과정; 및
    상기 검출된 다수의 정지 자세에 대한 연속 동작에 대한 모션 값과 상기 연속 동작에 대해 정의된 표준 모션 값을 비교하여 차이 값을 계산하고, 상기 계산된 차이 값에 따라 자세 교정 신호를 출력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스마트 웨어 시스템을 이용한 골프 스윙 자세 교정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된 정지 자세 별 모션 값은,
    상기 신체 부위의 이전 위치 값에서 변동된 현재 위치 값이고,
    상기 검출된 다수의 정지 자세에 대한 연속 동작에 대한 모션 값은,
    상기 신체 부위의 이전 위치와 현재 위치 사이의 각도 값 및 상기 신체 부위의 이전 위치에서 현재 위치로의 이동 경로를 추적한 궤적 값임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웨어 시스템을 이용한 골프 스윙 자세 교정 방법.
KR1020140115500A 2014-09-01 2014-09-01 스마트 웨어 시스템 및 이 시스템을 이용한 골프 스윙 자세 교정 방법 KR1022865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5500A KR102286576B1 (ko) 2014-09-01 2014-09-01 스마트 웨어 시스템 및 이 시스템을 이용한 골프 스윙 자세 교정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5500A KR102286576B1 (ko) 2014-09-01 2014-09-01 스마트 웨어 시스템 및 이 시스템을 이용한 골프 스윙 자세 교정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6493A true KR20160026493A (ko) 2016-03-09
KR102286576B1 KR102286576B1 (ko) 2021-08-06

Family

ID=555368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5500A KR102286576B1 (ko) 2014-09-01 2014-09-01 스마트 웨어 시스템 및 이 시스템을 이용한 골프 스윙 자세 교정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6576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5060A (ko) * 2016-12-26 2018-07-04 대구대학교 산학협력단 둥근 어깨 자세를 교정하는 자세교정시스템
KR102015791B1 (ko) * 2019-02-25 2019-10-21 이민영 스마트 디바이스를 이용한 골프 코칭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20023522A1 (en) * 2018-07-23 2020-01-30 Golf Cloud, Inc. System for analyzing golf swing and/or golf ball flight path
KR20210041968A (ko) * 2019-10-08 2021-04-16 현바오로 스포츠 전문가 코칭 장치 및 방법
GB2589058A (en) * 2019-09-16 2021-05-26 Gross Maciej System for body position improvement
KR102503753B1 (ko) * 2022-09-27 2023-02-24 플레이스비 주식회사 신체 부위의 움직임에 따른 촉각 효과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 촉각 효과를 제공하는 햅틱 컨트롤러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25447A (ko) * 2005-06-02 2006-12-06 인피닉스 주식회사 골프 스윙 진단장치
KR20060134645A (ko) * 2005-06-23 2006-12-28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 의류용 직물 신호선구조
KR20080001768A (ko) * 2006-06-30 2008-01-04 삼성전자주식회사 동작 인식을 이용한 자세교정 단말 장치 및 방법
US20090023122A1 (en) * 2007-07-19 2009-01-22 Jeff Lieberman Motor Learning And Rehabilitation Using Tactile Feedback
KR20140000378A (ko) * 2012-06-22 2014-01-03 노아테크놀로지(주) 골프 자세 교정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25447A (ko) * 2005-06-02 2006-12-06 인피닉스 주식회사 골프 스윙 진단장치
KR20060134645A (ko) * 2005-06-23 2006-12-28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 의류용 직물 신호선구조
KR20080001768A (ko) * 2006-06-30 2008-01-04 삼성전자주식회사 동작 인식을 이용한 자세교정 단말 장치 및 방법
US20090023122A1 (en) * 2007-07-19 2009-01-22 Jeff Lieberman Motor Learning And Rehabilitation Using Tactile Feedback
KR20140000378A (ko) * 2012-06-22 2014-01-03 노아테크놀로지(주) 골프 자세 교정 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5060A (ko) * 2016-12-26 2018-07-04 대구대학교 산학협력단 둥근 어깨 자세를 교정하는 자세교정시스템
WO2020023522A1 (en) * 2018-07-23 2020-01-30 Golf Cloud, Inc. System for analyzing golf swing and/or golf ball flight path
US10932697B2 (en) 2018-07-23 2021-03-02 Golf Cloud, Inc. System for analyzing a golf swing and/or golf ball flight path
KR102015791B1 (ko) * 2019-02-25 2019-10-21 이민영 스마트 디바이스를 이용한 골프 코칭 시스템 및 그 방법
GB2589058A (en) * 2019-09-16 2021-05-26 Gross Maciej System for body position improvement
KR20210041968A (ko) * 2019-10-08 2021-04-16 현바오로 스포츠 전문가 코칭 장치 및 방법
KR102503753B1 (ko) * 2022-09-27 2023-02-24 플레이스비 주식회사 신체 부위의 움직임에 따른 촉각 효과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 촉각 효과를 제공하는 햅틱 컨트롤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86576B1 (ko) 2021-08-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26493A (ko) 스마트 웨어 시스템 및 이 시스템을 이용한 골프 스윙 자세 교정 방법
US7383728B2 (en) Orientation and motion sensing in athletic training systems, physical rehabilitation and evaluation systems, and hand-held devices
US20170136296A1 (en) System and method for physical rehabilitation and motion training
KR200417280Y1 (ko) 스윙자세 교정 장치
KR101282953B1 (ko) 스포츠 동작 코칭 시스템 및 방법
JP7232874B2 (ja) 運動訓練補助具
JP2010273746A (ja) リハビリ動作の判定装置
JP7377225B2 (ja) 動作検出器を備えるスポーツ訓練補助具
US11875697B2 (en) Real time sports motion training aid
US10894186B2 (en) Real time golf swing training aid
JP2011502691A (ja) ゴルフスイング練習装置
KR101860132B1 (ko) 웨어러블 디바이스 기반 수영자세 분석교정 시스템
KR100749383B1 (ko) 골프 스윙 진단장치
KR101982679B1 (ko) 골프클럽의 기울기를 이용한 사용자의 관절 각도 추정 방법
KR20150078942A (ko) 골프 자세 감지 장치
US11273354B2 (en) Real time sports motion training aid
KR20150085896A (ko) 골프스윙 자동분석기
KR102485494B1 (ko) 이어폰 케이스를 이용한 골프경기 데이터 획득 시스템
US20240065630A1 (en) Orthopedic brace features including measuring pivot angle
WO2024068170A1 (en) Improved golf swing detector
US10286278B1 (en) Wearable athletic performance monitoring device
KR20230163756A (ko) 골프 스윙 분석 장치, 골프 스윙 분석 방법 및 기록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
KR100843293B1 (ko) 골프 연습장치
KR20180089584A (ko) 골프 스윙 자세의 교정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