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78942A - 골프 자세 감지 장치 - Google Patents

골프 자세 감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78942A
KR20150078942A KR1020130168818A KR20130168818A KR20150078942A KR 20150078942 A KR20150078942 A KR 20150078942A KR 1020130168818 A KR1020130168818 A KR 1020130168818A KR 20130168818 A KR20130168818 A KR 20130168818A KR 20150078942 A KR20150078942 A KR 201500789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trajectory
golf club
posture
gol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688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소형
Original Assignee
조소형
임윤묵
조원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소형, 임윤묵, 조원득 filed Critical 조소형
Priority to KR10201301688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78942A/ko
Publication of KR201500789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894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67Golf stance aids, e.g. means for positioning a golfer's fee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03Analysing the course of a movement or motion sequences during an exercise or trainings sequence, e.g. swing for golf or tenni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80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 A63B2220/803Motion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8Body-protectors for players or sportsmen, i.e. body-protecting accessories affording protection of body parts against blows or collisions
    • A63B71/10Body-protectors for players or sportsmen, i.e. body-protecting accessories affording protection of body parts against blows or collisions for the hea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8Body-protectors for players or sportsmen, i.e. body-protecting accessories affording protection of body parts against blows or collisions
    • A63B71/12Body-protectors for players or sportsmen, i.e. body-protecting accessories affording protection of body parts against blows or collisions for the body or the legs, e.g. for the should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8Body-protectors for players or sportsmen, i.e. body-protecting accessories affording protection of body parts against blows or collisions
    • A63B71/14Body-protectors for players or sportsmen, i.e. body-protecting accessories affording protection of body parts against blows or collisions for the hands, e.g. baseball, boxing or golfing glov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ength Measuring Devices With Unspecified Measur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골프 자세 감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 신체와 골프 클럽에 부착되어 움직임을 감지하는 복수의 모션 센서 및 복수의 모션 센서로부터 감지되는 움직임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자세와 상기 골프 클럽의 궤적을 추출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골프 자세 감지 장치{APPARATUS FOR DETECTING GOLF POSTURE}
본 발명은 골프 자세 감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른 궤적을 분석하여 실시간으로 피드백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 혼자서도 자세 교정이 가능하도록 하는, 골프 자세 감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골프는 코스 위에 정지하여 있는 골프공을 골프 클럽으로 타격하여 정해진 홀에 넣고 그 때까지 소요된 타수로 우열을 겨루는 운동으로 골프 클럽으로 골프공을 타격할 때는 올바른 자세를 갖는 것이 중요하다.
즉, 골프는 다른 어느 운동보다도 사용자의 자세가 중요한 운동이고, 자세의 요소로는 골프 클럽의 스윙 각도, 궤도, 시간 및 스윙시의 체중 이동 등 다양한 요소가 있으며, 사용자는 이러한 요소를 반복 수행함으로써 올바른 자세를 몸에 익혀야 한다.
최근 들어 생활체육으로서 골프를 즐기는 인구가 늘어남에 따라 다양한 골프 연습 관련한 컨텐츠가 제공되고 있으며, 골프 클럽의 스윙 자세 등에 관한 프로그램이 방영되기도 하고, 실내의 한정된 공간에서도 골프를 즐기기 위한 실내 스크린 골프장도 운영되고 있다.
실내 스크린 골프장은 가상의 골프장을 디스플레이하는 스크린이 벽면에 설치되어 있고, 이 스크린을 향해 사용자가 골프 클럽으로 골프공을 타격하면 골프공의 속도나 방향 등을 센서로 감지하여 스크린 상에 가상으로 골프공의 진행을 표시하는 방식으로 구현된다.
더 나아가 별도의 레슨없이 사용자가 혼자서 올바른 자세를 익힐 수 있도록 스윙 자세를 돕는 다양한 장치들도 개발되고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기술로는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08-0021099호(2008.03.06.공개, 발명의 명칭 : 실내골프 스윙자세교정 및 스윙연습기)가 있다.
그러나 종래에 사용자의 스윙자세를 교정하기 위한 장치는 단순히 사용자의 스윙 장면을 촬영한 영상을 출력함으로써 운동이 끝난 후에 사용자가 해당 영상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에 불과하였다.
이러한 장치를 통해서 사용자는 스윙을 하고 나서 한참 후에 자세를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잘못된 자세를 바로 교정하는 것이 불가능하였다.
또한 사용자의 자세를 감지하여 출력하는 장치도 개발되고 있으나, 이러한 장치를 통해 스윙시의 자세를 확인하기 위해서 사용자는 무겁고 불편한 장비를 장착하고 스윙해야 한다는 불편이 있었다.
더불어 종래의 장치는 사용자의 자세를 단순하게 출력해 주는 것에 불과하여 골프에 입문한 사용자가 혼자서 자세를 교정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모션 센서를 통해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른 궤적을 분석하여 실시간으로 피드백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 혼자서도 자세 교정이 가능하도록 하는, 골프 자세 감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골프 자세 감지 장치는 사용자 신체와 골프 클럽에 부착되어 움직임을 감지하는 복수의 모션 센서; 및 상기 복수의 모션 센서로부터 감지되는 움직임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자세와 상기 골프 클럽의 궤적을 추출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기초하여 상기 추출된 사용자의 자세와 골프 클럽의 궤적을 출력하는 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추출된 사용자의 자세와 골프 클럽의 궤적을 미리 설정된 기준 자세 및 기준 궤적과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복수의 기준 자세 및 기준 궤적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른 기준 자세와 기준 궤적을, 상기 추출된 사용자의 자세 및 골프 클럽의 궤적과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복수의 모션 센서를 사용자 신체와 골프 클럽에 부착시키기 위한 패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패드는 접착식 또는 탈착식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복수의 모션 센서는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및 컴파스(Compass)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복수의 모션 센서는 머리, 어깨, 팔꿈치, 손목, 손, 허리 및 무릎을 포함하는 사용자 신체와, 골프 클럽 헤드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골프 클럽 헤드에 부착된 모션 센서로부터 감지되는 움직임에 기초하여 상기 골프 클럽 헤드의 방향 변화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어부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서 상기 복수의 모션 센서로부터 감지된 움직임을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추출된 사용자의 자세가 상기 기준 자세를 벗어나는 정도 또는 상기 추출된 골프 클럽의 궤적이 상기 기준 궤적을 벗어나는 정도에 기초하여 경고를 출력하도록 상기 출력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 단말기로 상기 추출된 사용자의 자세와 골프 클럽의 궤적, 또는 상기 사용자의 선택에 따른 기준 자세와 기준 궤적을, 상기 추출된 사용자의 자세 및 골프 클럽의 궤적과 비교한 결과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는 골프 클럽의 스윙시에 자신의 자세와 골프 클럽의 궤적을 확임함으로써 혼자서도 효과적으로 스윙 연습을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자세와 골프 클럽의 궤적을 전문 골퍼의 자세 및 궤적과 비교하여 출력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으로 사용자의 자세 교정을 도울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 자세 감지 장치를 나타내는 기능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 자세 감지 장치의 모션 센서가 부착된 위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 자세 감지 장치를 이용해서 골프 자세를 감지하는 방법의 구현 과정을 설명하는 절차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 자세 감지 장치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 자세 감지 장치를 나타내는 기능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 자세 감지 장치의 모션 센서가 부착된 위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 자세 감지 장치(100)는 패드(10), 모션 센서(30), 제어부(50) 및 출력부(70)를 포함한다.
패드(10)는 후술하는 모션 센서(30)를 사용자 신체에 부착시키기 위한 장치로, 접착식 또는 탈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패드(10)는 성분 자체가 신체 또는 의류에 대해서 접착력을 갖도록 구성되거나, 벨크로(Velcro) 등으로 착탈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모션 센서(30)는 패드(10)를 통해 사용자 신체와 골프 클럽에 부착되어 움직임을 감지하는 장치로서, 본 실시예에서 모션 센서(30)는 복수 개로 이루어짐으로써, 사용자의 골프 클럽 스윙에 따른 움직임을 다양한 위치에서 감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모션 센서(30)는 가속도 센서(Accelerometer)(32), 자이로 센서(Gyroscope)(34) 및 컴파스(Compass) 센서(36)를 포함함으로써, 모션 센서(30)가 부착된 특정 위치의 움직임을 실시간으로 감지할 수 있다.
이 때, 모션 센서(30)는 보다 자세한 움직임을 감지하기 위해서 3축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모션 센서(30)가 부착된 각 위치에서의 롤(Roll), 피치(Pitch) 및 요(Yaw) 각도와 가속도 등을 통해 해당 위치에서의 움직임을 감지한다.
가속도 센서(32), 자이로 센서(34) 및 컴파스 센서(36)의 구체적인 동작 원리는 이미 공지된 기술이므로 자세한 구현 방법은 생략하기로 하고, 모션 센서(30)는 전술한 가속도 센서(32), 자이로 센서(34) 및 컴파스 센서(36) 이외에도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는 다양한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 복수의 모션 센서(30)는 머리, 어깨, 팔꿈치, 손목, 손, 허리 및 무릎 등의 사용자 신체와, 골프 클럽 헤드에 부착될 수 있다.
즉, 복수의 모션 센서(30)는 골프 클럽 스윙시에 움직임이 발생하는 관절, 신체의 가장자리 및 골프 클럽의 가장자리 등에 부착될 수 있다.
도 2의 (A) 내지 (C)는 본 실시예에 따른 골프 자세 감지 장치(100)의 모션 센서(30)가 부착되는 다양한 위치를 나타낸다. 도 2의 (A)는 전술한 바와 같이 모션 센서(30)가 머리, 어깨, 팔꿈치, 손목, 손, 허리, 무릎 및 골프 클럽 헤드에 부착된 예를 나타낸 것이고, 도 2의 (B)는 모션 센서(30)가 목에서 허리까지 이어지는 척추 라인에 추가로 부착된 예를 나타낸 것이고, 도 2의 (C)는 퍼팅 연습시에 모션 센서(30)가 부착된 예를 나타낸 것이다.
다만, 본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모션 센서(30)는 전술한 위치에 한정되어 부착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므로, 골프 클럽 스윙시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는 위치 또는 사용자가 자세를 교정하고 싶은 위치 등 다양한 위치에 부착될 수 있다.
제어부(50)는 복수의 모션 센서(30)로부터 감지되는 움직임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자세와 골프 클럽의 궤적을 추출하고, 추출된 사용자의 자세와 골프 클럽의 궤적을 출력부(70)를 통해서 출력함으로써, 사용자가 골프 클럽 스윙시 자신의 자세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실시간으로 자신의 자세와 골프 클럽의 궤적을 육안으로 확인하고 자세 교정이 필요한지에 대해서 체크하고, 교정된 자세로 스윙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50)는 복수의 모션 센서(30)에 대응되는 사용자의 신체나 골프 클럽의 위치를 인지하고 있기 때문에, 복수의 모션 센서(30) 각각을 통한 3축 방향의 각도와 가속도의 변화량에 기초하여 복수의 모션 센서(30)에 대응되는 각각의 위치에서의 움직임과 사용자 신체 전체에 대한 자세 변화와 골프 클럽의 궤적을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50)는 추출된 사용자의 자세와 골프 클럽의 궤적을, 미리 설정된 기준 자세 및 기준 궤적과 비교하여 출력부(70)를 통해 출력할 수도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골프 클럽 스윙시 사용자의 자세와 골프 클럽의 궤적 을 출력할 뿐만 아니라, 미리 사용자가 기준으로 설정해 놓은 전문 골퍼 등의 기준 자세 및 골프 클럽의 기준 궤적과 비교하여 보여줌으로써, 사용자가 목표로 하는 자세와 어느 정도 차이가 나는지 보다 구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서 본 실시예는 기준으로 설정하기 위한 전문 골퍼의 기준 자세 및 기준 궤적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는 입력부(80)와 전문 골퍼에 따른 복수의 기준 자세 및 기준 궤적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부(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50)는 입력부(80)를 통해 사용자가 선택한 전문 골퍼의 기준 자세와 기준 궤적을 메모리부(90)로부터 추출하여, 사용자의 자세와 골프 클럽의 궤적과 비교한다.
또한 제어부(50)는 복수의 모션 센서(30) 중에서 골프 클럽 헤드에 부착된 모션 센서(30)로부터 감지되는 움직임에 기초하여 골프 클럽 헤드의 방향 변화를 추가로 추출할 수 있다.
즉, 사용자의 자세나 골프 클럽의 궤적이 동일한 경우에도 골프 클럽 헤드의 방향이 달라지면 스윙 후 골프공의 이동 방향 또한 달라지게 되므로, 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의 스윙에 따른 골프 클럽 헤드의 방향 변화를 추출하여 사용자에게 출력함으로써, 자세 교정에 참조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50)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서 복수의 모션 센서(30)로부터 감지된 움직임을 수신할 수 있으며, 무선 네트워크는 3G, 4G, Wi-fi, Wibro, Wimax, Bluetooth, Zigbee, NFC 등 다양한 방식이 이용될 수 있다.
더불어 제어부(50)는 복수의 모션 센서(30)로부터 감지되는 움직임에 기초하여 추출된 사용자의 자세가 기준 자세를 벗어나는 정도 또는 추출된 골프 클럽의 궤적이 기준 궤적을 벗어나는 정도에 기초하여 출력부(70)를 통해 경고를 출력할 수도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추출된 사용자의 자세와 골프 클럽의 궤적을 보여줄 뿐만 아니라 기준 자세 또는 기준 궤적으로부터 벗어나는 정도에 따라서 실시간으로 경고를 출력함으로써, 사용자의 자세 교정이 필요함을 즉시 알릴 수도 있다.
출력부(70)는 시각적인 결과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미도시)와 청각적인 결과를 출력하는 알람(미도시)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서 상기 제어부(50)에서 추출된 사용자의 자세와 골프 클럽의 궤적을 출력하고, 전술한 바와 같이 추출된 사용자의 자세와 골프 클럽의 궤적을, 기준 자세 및 기준 궤적과 비교하여 동시에 출력할 수도 있다.
그리고 알람은 추출된 사용자의 자세가 기준 자세로부터 제1설정치 이상 벗어나거나 골프 클럽의 궤적이 기준 궤적을 제2설정치 이상 벗어나는 경우에는 경고를 출력할 수 있다.
이 때, 제1설정치와 제2설정치는 자세 교정이 필요할 정도로 기준 자세나 기준 궤적으로부터 벗어났는지를 판단하기 위한 값으로서, 사용자의 설정 등에 따라서 다양한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별도의 출력부(70)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으며, 이 경우에 제어부(50)는 추출된 사용자의 자세와 골프 클럽의 궤적, 또는 사용자의 자세와 골프 클럽의 궤적을 기준 자세 및 기준 궤적과 비교한 결과 등을 사용자의 단말기(200)로 전송함으로써 단말기(200)를 통해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때, 단말기(200)는 PDA, 스마트폰, 휴대폰, 컴퓨터, 태블릿 PC, 노트북, 넷북 등 다양한 장치가 될 수 있다.
사용자는 본 실시예에 따른 골프 자세 감지 장치(100)를 이용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만을 단말기(200)에 설치하는 방식으로 간단하게 자신의 스윙 자세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 자세 감지 장치를 이용해서 골프 자세를 감지하는 방법의 구현 과정을 설명하는 절차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여 골프 자세 감지 장치를 이용해서 골프 자세를 감지하는 방법의 구현 과정을 살펴보면, 먼저 제어부(50)는 입력부(80)를 통해서 사용자가 목표로 삼는 전문 골퍼에 대한 기준 자세와 기준 궤적을 입력받는다(S10).
이 때, 기준 자세와 기준 궤적은 사용자로부터 직접 입력받을 수도 있고,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전문 골퍼에 기초하여 메모리부(90)로부터 추출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제어부(50)는 사용자 신체와 골프 클럽에 부착된 복수의 모션 센서(30)를 통해 움직임을 감지하고(S20), 복수의 모션 센서(30)로부터 감지되는 움직임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자세와 골프 클럽의 궤적을 추출한다(S30).
구체적으로 모션 센서(30)는 가속도 센서(Accelerometer)(32), 자이로 센서(Gyroscope)(34) 및 컴파스(Compass) 센서(36)를 포함함으로써, 모션 센서(30)가 부착된 특정 위치의 움직임을 실시간으로 감지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 복수의 모션 센서(30)는 머리, 어깨, 팔꿈치, 손목, 손, 허리 및 무릎 등의 사용자 신체와, 골프 클럽 헤드에 부착됨으로써 스윙에 따른 사용자와 골프 클럽의 전체적인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이어서 제어부(50)는 사용자의 자세와 골프 클럽의 궤적을 미리 설정된 기준 자세 및 기준 궤적과 비교하여 출력한다(S40).
즉, 본 실시예에서는 골프 클럽 스윙시 사용자의 자세와 골프 클럽의 궤적 을, 전술한 단계(S10)에서 사용자가 미리 기준으로 설정해 놓은 전문 골퍼의 기준 자세 및 기준 궤적과 비교하여 보여줌으로써, 사용자가 목표로 하는 자세와 어느 정도 차이가 나는지 보다 구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전술한 예에서는 골프 클럽의 스윙 전에 사용자로부터 기준 자세 및 기준 궤적에 대해 입력받는 것으로 기재하였으나, 본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골프 클럽의 스윙 후에 기준 자세 및 기준 궤적을 입력받고, 비교 결과를 출력하는 방식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골프 클럽의 스윙시에 자신의 자세와 골프 클럽의 궤적을 확임함으로써 혼자서도 효과적으로 스윙 연습을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사용자의 자세와 골프 클럽의 궤적을 전문 골퍼의 자세 및 궤적과 비교하여 출력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으로 사용자의 자세 교정을 도울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패드
30: 모션 센서
50: 제어부
70: 입력부
90: 메모리부
100: 골프 자세 감지 장치
200: 단말기

Claims (12)

  1. 사용자 신체와 골프 클럽에 부착되어 움직임을 감지하는 복수의 모션 센서; 및
    상기 복수의 모션 센서로부터 감지되는 움직임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자세와 상기 골프 클럽의 궤적을 추출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골프 자세 감지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기초하여 상기 추출된 사용자의 자세와 골프 클럽의 궤적을 출력하는 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자세 감지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추출된 사용자의 자세와 골프 클럽의 궤적을 미리 설정된 기준 자세 및 기준 궤적과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자세 감지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복수의 기준 자세 및 기준 궤적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른 기준 자세와 기준 궤적을, 상기 추출된 사용자의 자세 및 골프 클럽의 궤적과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자세 감지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모션 센서를 사용자 신체와 골프 클럽에 부착시키기 위한 패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자세 감지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는 접착식 또는 탈착식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자세 감지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모션 센서는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및 컴파스(Compass)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자세 감지 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모션 센서는 머리, 어깨, 팔꿈치, 손목, 손, 허리 및 무릎을 포함하는 사용자 신체와, 골프 클럽 헤드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자세 감지 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골프 클럽 헤드에 부착된 모션 센서로부터 감지되는 움직임에 기초하여 상기 골프 클럽 헤드의 방향 변화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자세 감지 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서 상기 복수의 모션 센서로부터 감지된 움직임을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자세 감지 장치.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추출된 사용자의 자세가 상기 기준 자세를 벗어나는 정도 또는 상기 추출된 골프 클럽의 궤적이 상기 기준 궤적을 벗어나는 정도에 기초하여 경고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자세 감지 장치.
  12. 제 1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 단말기로 상기 추출된 사용자의 자세와 골프 클럽의 궤적, 또는 상기 사용자의 선택에 따른 기준 자세와 기준 궤적을, 상기 추출된 사용자의 자세 및 골프 클럽의 궤적과 비교한 결과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자세 감지 장치.
KR1020130168818A 2013-12-31 2013-12-31 골프 자세 감지 장치 KR2015007894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8818A KR20150078942A (ko) 2013-12-31 2013-12-31 골프 자세 감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8818A KR20150078942A (ko) 2013-12-31 2013-12-31 골프 자세 감지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8942A true KR20150078942A (ko) 2015-07-08

Family

ID=537913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8818A KR20150078942A (ko) 2013-12-31 2013-12-31 골프 자세 감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78942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2963B1 (ko) * 2018-09-07 2019-08-21 주식회사우경정보기술 신축성 센서를 이용한 골프 스윙 코칭 시스템 및 골프 스윙 코칭 방법
WO2021210917A1 (ko) * 2020-04-14 2021-10-21 홍서준 골프 스윙을 평가할 수 있는 전자 장치
KR20210138851A (ko) * 2020-05-12 2021-11-22 서기원 몸동작 실시간 영상비교가 가능한 테니스 온라인 가상훈련 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2963B1 (ko) * 2018-09-07 2019-08-21 주식회사우경정보기술 신축성 센서를 이용한 골프 스윙 코칭 시스템 및 골프 스윙 코칭 방법
WO2021210917A1 (ko) * 2020-04-14 2021-10-21 홍서준 골프 스윙을 평가할 수 있는 전자 장치
KR20210127835A (ko) * 2020-04-14 2021-10-25 홍서준 골프 스윙을 평가할 수 있는 전자 장치
KR20210138851A (ko) * 2020-05-12 2021-11-22 서기원 몸동작 실시간 영상비교가 가능한 테니스 온라인 가상훈련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759739B (zh) 一种多节点运动测量与分析系统
US20150012240A1 (en) Motion analysis device
JP5641222B2 (ja) 演算処理装置、運動解析装置、表示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2424637B1 (ko) 움직임 훈련 보조물
TW201501752A (zh) 運動解析方法及運動解析裝置
JP2010273746A (ja) リハビリ動作の判定装置
US10894186B2 (en) Real time golf swing training aid
KR20140107062A (ko) 자세 훈련 시스템 및 자세 훈련 시스템의 동작방법
US11875697B2 (en) Real time sports motion training aid
US10249213B2 (en) Multi-node motion measurement and analysis system
US10307657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analyzing a motion in a sport
EP2720217A2 (en) Method for swing result deduction and posture correction and the apparatus of the same
US20200211412A1 (en) Sports training aid with motion detector
KR102286576B1 (ko) 스마트 웨어 시스템 및 이 시스템을 이용한 골프 스윙 자세 교정 방법
US20170024610A1 (en) Motion analysis apparatus, motion analysis system, motion analysis method, and display method and program of motion analysis information
KR20150078942A (ko) 골프 자세 감지 장치
US20220266091A1 (en) Integrated sports training
US11273354B2 (en) Real time sports motion training aid
KR20190015032A (ko) 스윙 교정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골프 스윙 궤도 측정 장치
KR20180074922A (ko) 운동정보 제공시스템
KR101628023B1 (ko) 골프 자세 보정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