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26182A - 단말기 거치대 - Google Patents

단말기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26182A
KR20160026182A KR1020140114224A KR20140114224A KR20160026182A KR 20160026182 A KR20160026182 A KR 20160026182A KR 1020140114224 A KR1020140114224 A KR 1020140114224A KR 20140114224 A KR20140114224 A KR 20140114224A KR 20160026182 A KR20160026182 A KR 201600261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holder
information
plat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42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65856B1 (ko
Inventor
김종곤
Original Assignee
현대엠엔소프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엠엔소프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엠엔소프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142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5856B1/ko
Priority to PCT/KR2014/010710 priority patent/WO2016032056A1/ko
Publication of KR201600261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61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58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58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62Details related to the integrated keyboard
    • G06F1/1667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tilt angle of the integrated keyboard independently from the main bod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Navig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말기를 거치하는 단말기 거치대로서, 길 안내 및 GPS 안내를 수행하는 단말기를 거치하는 단말기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네비게이션 정보가 출력되는 단말기가 거치될 수 있는 거치부; 상기 거치부에 결합되어, 상기 단말기에서 출력되는 네비게이션 정보와 다른 네비게이션 정보가 출력되는 정보 출력부; 흡착 패드를 가져 사물체의 벽면에 흡착 가능한 흡착부; 및 상기 거치부와 흡착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단말기 거치대{Terminal cradle}
본 발명은 단말기를 거치하는 단말기 거치대로서, 길 안내 및 GPS 안내를 수행하는 단말기를 거치하는 단말기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차량에 설치하여 차량의 현재 위치를 나타내는 좌표 신호를 GPS로부터 수신받아 맵 데이터를 적용하여 목적지까지의 경로 정보를 안내하는 네비게이션 시스템(navigation system)의 보급이 대중화되고 있다. 이러한 네비게이션 장치에는 그 활용 가능 범위에 따라 차량 전용 네비게이션과, 스마트폰에서 구동되는 네비게이션으로 구분될 수 있다.
차량 전용 네비게이션은 화면이 크기 때문에 시인성이 좋고 접속 케이블이 별도로 요구되지 않기 때문에 설치 후 차량 내부가 깔끔하게 정리가 된다는 장점이 있지만, 전용의 네비게이션만의 기능을 사용하기에 성능 대비 가격이 비싸고 사용 빈도나 낮으며 맵 데이터의 업그레이드도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반면에, 스마트폰과 같은 이동통신단말기에 설치된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구동되는 스마트폰 네비게이션은, 별도의 네비게이션 장치를 필요로 하지 않고 개인이 휴대하고 있는 스마트폰을 활용하는 점에서 설치 비용이 거의 들지 않는 장점이 있다. 스마트폰 네비게이션의 경우에는, 차량의 전방에 부착한 단말기 거치대에 스마트폰을 거치시켜야 한다.
그런데 단말기 거치대의 경우, 스마트폰과 같은 단말기를 거치시키는 용도로만 사용될 뿐 네비게이션 정보를 직접 제공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
한국공개특허 10-2014-0035209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운전자가 손쉽게 주행 경로를 알아볼 수 있도록 하는 단말기 거치대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단말기 거치대에 단말기 이외에 네비게이션 정보 출력 수단을 별도로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네비게이션 정보가 출력되는 단말기가 거치될 수 있는 거치부; 상기 거치부에 결합되어, 상기 단말기에서 출력되는 네비게이션 정보와 다른 네비게이션 정보가 출력되는 정보 출력부; 흡착 패드를 가져 사물체의 벽면에 흡착 가능한 흡착부; 및 상기 거치부와 흡착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거치부는, 상기 연결부와 결합되는 후면을 가지는 거치 하우징; 상기 거치 하우징의 전면에 위치하며, 단말기의 후면이 거치되는 거치 플레이트판; 상기 거치 플레이트판의 양측면에서 각각 돌출된 복수의 탄성체; 및 상기 탄성체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단말기의 양측면을 탄성 복원력으로 파지하는 단말기 홀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말기 홀더는, 상기 탄성체의 돌출 방향으로 확장되어, 상기 탄성체에 연결된 홀더 후면판; 상기 홀더 후면판과 마주보며 이격 대향된 홀더 전면판; 및 상기 홀더 전면판과 홀더 후면판을 연결하는 홀더 연결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거치부는, 상기 홀더 연결판의 전면에 위치하며, 네비게이션 안내 모드에 따라서 점등 형태를 다르게 하여 점등하는 알람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홀더 연결판의 전면에 일체형으로 결합된 디스플레이 표시판임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정보 출력부는, 상기 홀더 연결판의 전면에 결합된 플레이트판인 홀딩판; 상기 홀딩판의 전면에 홈이 상기 네비게이션 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분리형 와치 모듈이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홀딩판의 전면에 파여진 삽입홈; 및 상기 삽입홈에 삽입된 분리형 와치 모듈을 착탈할 수 있는 착탈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리형 와치 모듈은, 상기 단말기로부터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하여 네비게이션 정보를 수신하여 출력하거나, 상기 단말기 거치대로부터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하여 네비게이션 정보를 수신하여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는, 복수개의 연결암이 힌지 결합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는, 신축 변형 가능한 플렉서블 재질임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르면 단말기 거치대에 마련된 정보 출력 수단에서 길 안내 정보 및 GPS 안내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운전자가 손쉽게 주행 경로 안내를 인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거치대를 상측에서 바라본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거치대를 정면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와 분리형 와치 모듈이 단말기 거치대에 거치된 모습을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분리형 와치 모듈을 도시한 그림.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거치대의 구성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길 안내 모드로서 단말기 거치대의 정보 출력부에 길 안내 정보가 표시되는 모습을 도시한 그림.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GPS 안내 모드로서 단말기 거치대의 정보 출력부에 GPS 안내 정보가 표시되는 모습을 도시한 그림.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거치대를 상측에서 바라본 측면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거치대를 정면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와 분리형 와치 모듈이 단말기 거치대에 거치된 모습을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4는 분리형 와치 모듈을 도시한 그림이다.
본 발명의 단말기 거치대(200)는, 흡착부(210), 연결부(220), 거치부(230), 정보 출력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밖에 알람등(250)을 포함할 수 있다.
흡착부(210)는 흡착 패드를 가져 사물체의 벽면에 흡착될 수 있도록 한다. 흡착 패드는 고정하고자 하는 부분, 즉, 차량의 전면 유리, 차량 대쉬 보드 상면 등에 흡착력으로 부착될 수 있다. 흡착부(210)는 흡착 패드 대신에 양면 테이프 또는 벨크로(소위, 찍찍이) 등으로 구현되어, 차량의 전면 유리, 차량 대쉬 보드 상면 등에 부착되도록 구현할 수 있다.
연결부(220)는 거치부(230)의 거치 하우징(233)과 흡착부(210)를 연결하는 연결체로서, 거치부(230)를 운전자의 시선 방향으로 향하도록 할 수 있다. 연결부(220)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 가능한데,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개의 연결암(connection arm)이 힌지 결합시되도록 구현할 수 있다. 연결암을 상술하면, 다수의 연결암(221,222)은 흡착부(210)와 거치부(230) 사이에서 상호 간에 상대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부분이다. 이러한 연결암들(221,222)로 인해 거치부(230)가 운전자 쪽으로 좀 더 돌출되게 접근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편의를 위해 2개의 제1연결암(221) 및 제2연결암(222)을 개시하였지만 도시된 것을 벗어나 연결부(220)의 개수는 3개 이상일 수도 있다.
제1연결암(221)은 흡착부(210)와 제1힌지(H1)로 연결된다. 따라서 흡착부(210)에 대해 제1연결암(221)의 틸팅(tilting) 각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제1힌지(H1)로서 통상의 스텝 힌지가 적용될 수 있다. 암 연결부는 제1연결암(221) 및 제2연결암(222)에 결합되며, 이러한 암 연결부는 제2힌지(H2)로 연결되며, 통상의 스텝 힌지가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제1연결암(221)에 대해 제2연결암(222)이 단계별로 회동하여 접혀져 길이가 축소되거나 또는 펼쳐져서 확장될 수 있다.
이밖에 연결부(220)는 복수개의 연결암의 힌지 결합 구조가 아닌 플렉서블 재질 형태로 구현할 수 있다. 신축 변형 가능한 플렉서블 재질로 연결부(220)를 구현함으로써, 연결부(220)를 구부리게 휘어서 운전자의 시선 방향과 거치부(230)가 일치하도록 할 수 있다.
거치부(230)는, 네비게이션 정보가 출력되는 단말기가 거치될 수 있다. 단말기는 스마트폰과 같은 이동통신단말기(100), 네비게이션 단말기, 다양한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edia player) 등과 같이 네비게이션이 구동되어 길 안내를 수행할 수 있는 모든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통신단말기(100)의 경우,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어, 목적지까지 경로 정보인 네비게이션 정보를 출력하여 길 안내를 수행할 수 있다.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은 네비게이션이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으로서, 사용자로부터 목적지를 입력받아 현재 위치에서 목적지까지의 길 안내를 수행하는 어플리케이션이다. 이러한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은 이동통신단말기(100)의 출고 당시에 프로그램이 탑재될 수 있으며, 또는 구글 마켓 등에서 다운로드 받아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단말기 근거리 무선 통신부 역시 자동적으로 실행되어, 단말기 거치대(200)와 근거리 무선 통신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후술할 분리형 와치 모듈(300)과 근거리 무선 통신 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다.
거치부(230)가 단말기를 거치하는 방식은 본 발명의 실시예는 탄성 복원력에 의하여 단말기를 거치하는 예시를 설명한다. 그러나 이러한 거치부(230)는 하나의 실시 예일 뿐이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제한될 수 없다. 예컨대, 자석식이 사용되어도 무방할 것이다.
탄성 복원력에 의하여 단말기를 거치하는 본 실시예에서의 거치부(230)는, 한 쌍의 단말기 홀더(231)가 단말기를 파지하게 된다. 즉, 거치 플레이트판(234)의 양측에 배치된 한 쌍의 단말기 홀더(231)가 상호간 좁혀지는 방향으로 탄성 동작될 수 있다. 때문에 사용자는 한 쌍의 단말기 홀더(231)를 벌려 그 사이에 단말기를 배치한 후에, 벌린 한 쌍의 단말기 홀더(231)를 놓으면 한 쌍의 단말기 홀더(231)가 탄성적으로 접근되면서 단말기를 집어 고정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하여 거치부(230)는, 연결부(220)와 결합되는 후면을 가지는 거치 하우징(233)과, 거치 하우징(233)의 전면에 위치하며 단말기의 후면이 거치되는 거치 플레이트판(234)과, 거치 플레이트판(234)의 양측면에서 형성되어 단말기의 양측면을 파지할 수 있는 단말기 홀더(23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거치부(230)는 거치 플레이트판(234)의 양측면과 홀더 후면판(231a) 사이에 형성되는 탄성체(232)를 포함할 수 있다. 즉, 탄성체(232)는 스프링과 같은 탄성 복원력을 가지며 거치 플레이트판(234)의 양측면에서 각각 돌출된 복수개로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단말기 홀더가 단말기의 양측면을 탄성 복원력으로 파지할 수 있게 된다. 거치 하우징(233)은 연결부(220)와 결합될 때, 연결부(220)와 회전 가능하도록 볼(ball) 타입 또는 톱니 결합 타입으로 결합될 수 있다.
단말기 홀더(231)는, 탄성체(232)의 돌출 방향으로 확장되어 탄성체(232)에 연결된 홀더 후면판(231a)과, 홀더 후면판(231a)과 마주보며 이격 대향된 홀더 전면판(231c)과, 홀더 전면판(231c)과 홀더 후면판(231a)을 연결하는 홀더 연결판(231b)을 포함할 수 있다. 홀더 후면판(231a)과 홀더 전면판(231c) 사이에 단말기가 놓이며, 거치 플레이트판(234)의 양측에 배치된 한 쌍의 홀더 연결판(231b)이 상호간 좁혀지는 방향으로 탄성 동작될 수 있다.
홀더 전면판(231c)의 전면에는 알람등(250)이 위치할 수 있다. 알람등(250)은 네비게이션 안내 모드에 따라서 점등 형태를 다르게 하여 점등 및 점멸한다. 예를 들어, 이동통신단말기(100)와 단말기 거치대(200)가 서로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드로 연동된 경우에는 파란색으로 점등하며, 이동통신단말기(100)와 단말기 거치대(200)가 무선 연동되지 않은 경우 빨간색의 점등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알람등(250)은 차량 속도가 제한 속도를 초과하는 경우 점등 온/오프의 점멸을 수행하여 사용자에게 경고할 수 있다. GPS 위치 정보로부터 차량 속도를 계산하여, 차량 속도가 현재 도로에서의 제한 속도를 초과하는 경우 점멸 동작을 하여 사용자에게 경고하는 것이다. 따라서 차량 현재 속도를 색상 구분을 통하여 정속/과속 여부를 시각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 현재 속도가 제한 속도를 초과하지 않는 정속인 경우에는 알람등(250)을 초록색으로 표시하며, 반대로 차량 현재 속도가 제한 속도를 초과한 과속인 경우에는 알람등(250)을 빨간색으로 점멸 동작되도록 할 수 있다.
정보 출력부(240)는, 거치부(230)에 결합되어 네비게이션 정보가 출력된다. 정보 출력부(240)에서 출력되는 네비게이션 정보는, 단말기(100)에서 출력되는 네비게이션 정보(제1네비게이션 정보)와 다른 네비게이션 정보(제2네비게이션 정보)가 출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100)에서 출력되는 정보는 길 안내 정보이며, 정보 출력부(240)에서 출력되는 정보는 GPS 정보가 해당될 수 있다.
정보 출력부(240)에서 출력되는 네비게이션 정보는, 길 안내 정보, GPS 안내 정보를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길 안내 정보는, 목적지까지의 주행 경로 안내 정보, 목적지까지의 주행 중에 휴게소 안내 등을 포함하는 안내 정보이다. 즉, 길 안내 정보라 함은 단말기(100)의 네비게이션에서 생성되어 수신한 정보로서, 목적지까지의 경로 안내 정보, 휴게소 안내 정보 등이 해당될 수 있다. 이 밖에 길 안내 정보는 차선 안내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방 100m 앞에서 우회전 또는 좌회전을 해야 하는 경우, 1,2차선을 이용하라는 차선 정보 안내가 해당될 수 있다.
GPS 안내 정보는 현재 위치에서 시설물(예컨대, 단속 카메라 등)까지의 거리, 현재 속도, 시간 등을 포함하는 안내 정보이다. 즉, GPS 안내 정보라 함은, GPS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생성할 수 있는 정보를 말하는 것으로서, 이동통신단말기(100)가 거치된 차량의 단속 카메라 등의 위치가 차량 현재 위치로부터 얼마나 떨어져 있는가를 나타내는 시설물 거리 안내 정보, GPS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산출한 현재 속도, 현재 시간, 현재 위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참고로, GPS 안내 정보 중에서 단속 카메라까지의 거리를 안내하기 위하여, 단말기 거치대(200)는 단속 카메라의 위치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 이러한 단속 카메라의 위치 정보는 이동통신단말기와 연동될 시에 업데이트될 수 있다.
정보 출력부(240)는 두 가지 형태로 구현할 수 있는데, 하나의 방식은, 홀더 전면판(231c)의 전면에 일체형으로 결합된 디스플레이 표시판으로 구현할 수 있다. LCD, LED 등의 정보 출력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표시판을 홀더 전면판(231c)의 전면에 일체형으로 마련하여, 디스플레이 표시판을 통하여 길 안내 정보, GPS 안내 정보 등의 네비게이션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이밖에 네비게이션 정보를 출력하는 정보 출력부(240)의 다른 하나의 방식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홀더 전면판(231c)의 전면에 삽입홈(242)이 형성된 홀딩판(241)을 두어서 홀딩판(241)의 삽입홈(242)에 분리형 와치 모듈(300)을 삽입시키는 방식으로 구현할 수 있다. 분리형 와치 모듈(300)은 삽입홈(242)에서 분리되어 제거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정보 출력부(240)는, 홀더 전면판(231c)의 전면에 결합된 플레이트판인 홀딩판(241)과, 네비게이션 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분리형 와치 모듈(300)이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홀딩판(241)의 전면에 파여진 삽입홈(242)과, 삽입홈(242)에 삽입된 분리형 와치 모듈(300)을 착탈할 수 있는 착탈 수단(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착탈 수단은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데, 예컨대, 분리형 와치가 삽입 홈에 삽입된 후 별도의 체결체로 고정시킬 수 있다. 분리시에는 체결체를 해제하여 분리형 와치를 삽입 홈에서 이탈시켜 분리시킬 수 있다. 또한 착탈 수단의 다른 실시 구현예로서, 홀딩판(241)의 삽입홈(242)의 상면을 제1극성(N극)을 가지는 자성체로 구현하며, 분리형 와치 모듈(300)의 바닥면을 제2극성(S극)을 가지는 자성체로 구현하여, 분리형 와치 모듈(300)의 바닥면이 삽입 홈의 상면에 자력에 의하여 결합되도록 구현할 수 있다.
여기서 분리형 와치 모듈(300)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계 타입으로 구현되어, 시계줄(310)에 결합된 안착판(320)에서 분리시킨 분리형 와치 모듈(300)이 단말기 거치대(200)의 홀딩판(241)의 삽입홈(242)에 삽입되도록 할 수 있다. 시계 타입의 분리형 와치 모듈(300)은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예컨대, 블루투스 통신 모듈)을 구비하여, 단말기 거치대(200)로부터 GPS 안내 정보와 같은 네비게이션 정보를 무선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밖에 분리형 와치 모듈(300)은, 이동통신단말기(100)와 근거리 무선 통신되는 안드로이드 웨어(Android wear)와 같은 웨어러블(wearable) 장치인 스마트 와치(smart watch)로서 구현될 수 있다. 이동통신단말기(100)의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에서 제공하는 길 안내 정보 등이 근거리 무선 통신(블루투스 통신)을 통하여 스마트 와치로 제공되며, 단말기 거치대(200)의 삽입홈(242)에 삽입된 스마트 와치에서 디스플레이 또는 음성 안내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거치대의 내부 구성 블록도이다.
단말기 거치대(200)는, 거치대 근거리 무선 통신부(291), 거치대 GPS 모듈(292), 거치대 제어부(295), 전력 제공부(293), 충전 단자부(294)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거치대 근거리 무선 통신부(291), 거치대 GPS 모듈(292), 거치대 제어부(295), 전력 제공부(293), 충전 단자부(294)는 거치부(230)의 하우징에 매립 또는 돌출되어 구비될 수 있다.
거치대 근거리 무선 통신부(291)는 이동통신단말기(100)의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과 근거리 무선 통신하여, 이동통신단말기(100)로부터 길 안내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거치대 근거리 무선 통신부(291)는 블루투스(bluetooth) 통신 모듈, NFC 모듈과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로 이루어져,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정보 출력부(240)가 일체형 디스플레이 표지판이 아닌 분리형 와치 모듈(300)로 구현되는 경우, 거치대 근거리 무선 통신부(291)는, 분리형 와치 모듈(300)내의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과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여, 이동통신단말기(100)로부터 수신한 길 안내 정보를 분리형 와치 모듈(300)에 무선 중계할 수 있으며, 또는 단말기 거치대(200)에서 자체적으로 생성한 GPS 안내 정보를 분리형 와치 모듈(300)에 무선 전송할 수 있다.
거치대 GPS 모듈(292)은, 적어도 세 개 이상의 GPS 위성으로부터 GPS 데이터를 수신하여 이를 이용하여 GPS 위치 정보를 산출한다. 이하에서는, 단말기 거치대(200)에 마련된 거치대 GPS 모듈(292)에서 산출한 GPS 위치 정보를 거치대 산출 GPS 위치 정보라 칭하기로 한다.
거치대 제어부(295)는, 단말기 연동 모드, 단말기 미연동 모드 중 어느 하나의 안내 모드로서 정보 출력부(240)인 디스플레이 표시판 또는 분리형 와치 모듈(300)을 통하여 출력하는데, 근거리 무선 통신 연결(블루투스 연결) 여부에 따라서 다음 두 가지 형태로서 동작될 수 있다. 즉, 이동통신단말기(100)와 단말기 거치대(200)간의 근거리 무선 연동 여부에 따라 정보 출력부(240)에서 출력되는 정보 출력 형태가 단말기 연동 모드 또는 단말기 미연동 모드로 결정될 수 있다. 상술하면, 거치대 제어부(295)는, 이동통신단말기(100)와 거치대 근거리 무선 통신부(291)를 통하여 무선 연동된 경우 거치대 근거리 무선 통신부(291)를 통하여 수신한 길 안내 정보 또는 거치대 GPS 모듈(292)에서 자체적으로 산출한 GPS 안내 정보를 정보 출력부(240)를 통하여 출력하는 단말기 연동 모드, 이동통신단말기(100)와 거치대 근거리 무선 통신부(291)간에 무선 연동되지 않은 경우 단말기 거치대의 거치대 GPS 모듈(292)에서 자체적으로 산출한 GPS 안내 정보를 정보 출력부(240)를 통하여 출력하는 단말기 미연동 모드 중에서 어느 하나의 모드로서 동작할 수 있다.
단말기 연동 모드란, 이동통신단말기(100)의 단말기 근거리 무선 통신부(160)와 단말기 거치대(200)의 거치대 근거리 무선 통신부(291)간에 근거리 무선 링크가 연결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상태를 말한다. 단말기 연동 모드 상태에서, 이동통신단말기(100)의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180)은 단말기 근거리 무선 통신부(160)에 연동된 거치대 근거리 무선 통신부(291)를 통하여 길 안내 정보를 전송하며, 단말기 거치대(200)의 거치대 제어부(295)는 정보 출력부(240)를 통하여 출력할 수 있다. 도 6은 단말기 연동 모드로서 정보 출력부(240)의 분리형 와치 모듈(300)에 길 안내 정보가 표시되는 예시를 도시한 그림이다. 단말기 연동 모드로 동작시에 분리형 와치 모듈(300)에는 목적지까지의 주행 경로 방향을 간략하게 표시하여, 운전자가 직관적으로 주행 경로를 알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동통신단말기(100)와 단말기 거치대(200)간의 근거리 무선 연동이 이루어지는 단말기 연동 모드에는, 거치대 제어부(295)는 수신한 길 안내 정보 또는 자체적으로 생성한 GPS 안내 정보를 출력하는 단말기 연동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로 주행하는 경우에는 목적지 설정이 있는 경우 주행 경로를 안내하거나 휴게소 등을 안내하거나 차선 정보를 안내하는 길 안내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현재 속도, 현재 위치, 현재 시간 등을 표시하거나 단속 카메라가 근접하는 경우에 단속 카메라 경고 표시하는 GPS 안내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참고로, GPS 안내 정보는 거치대 GPS 모듈(292)에서 자체적으로 산출한 GPS 안내 정보가 해당될 수 있으며, 또는 이동통신단말기(100)로부터 수신한 GPS 안내 정보가 해당될 수 있다. 또한 단말기 연동 모드로 동작시에 길 안내 정보가 아닌 GPS 안내 정보가 표시되는 경우는, 이동통신단말기(100)의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180)에서 보내주는 표시 명령 정보에 의하여 결정될 수 있다.
결국, 단말기 연동 모드로 동작하게 되면, 이동통신단말기(100)에 표시되는 길 안내 정보를 분배하여 단말기 거치대(200)의 정보 출력부(240)의 디스플레이 표시판이나 분리형 와치 모듈(300)을 통해 출력할 수 있게 되어, 화면 영역의 최적화 및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통신단말기(100)의 좁은 화면에 표시되는 여러 정보 중에서 시인성이 필요한 중요한 길 안내 정보(방향, 거리 등)는 단말기 거치대(200)의 정보 출력부(240)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따라서 단말기 거치대(200)의 정보 출력부(240)에 표시되는 길 안내 정보는 이동통신단말기(100)의 화면에 표시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이동통신단말기(100)의 화면 영역이 최적화될 수 있다.
한편, 근거리 무선 통신 연결(블루투스 연결) 여부에 따른 두 번째 형태는, 이동통신단말기(100)와 근거리 무선 통신 연결되지 않아 이동통신단말기(100)로부터 길 안내 정보가 수신되지 않는 단말기 미연동 모드의 동작 형태이다.
단말기 미연동 모드란, 이동통신단말기(100)의 단말기 근거리 무선 통신부(160)와 단말기 거치대(200)의 거치대 근거리 무선 통신부(291)간에 근거리 무선 링크가 연결되어 있지 않아 데이터 통신이 단절된 상태이다. 단말기 미연동 모드에서는, 거치대 제어부(295)는 거치대 GPS 모듈(292)에서 자체적으로 산출한 GPS 안내 정보를 정보 출력부(240)를 통하여 출력할 수 있다. 도 7은 단말기 미연동 모드로서 정보 출력부(240)의 분리형 와치 모듈(300)에 GPS 안내 정보가 표시되는 모습을 도시한 그림이다. GPS 안내 정보는, 도 7(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현재 위치에서 단속 카메라까지의 거리가 해당될 수 있다. 여기서 단속 카메라는 차량 등의 주행 속도가 제한 속도를 초과하는지를 단속하는 카메라이다. 또한 GPS 안내 정보는, 도 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현재 속도, 현재 시간, 현재 위치를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단말기 미연동 모드인 경우에는, 이동통신단말기의 거치 여부와 관계없이, 거치대 제어부(295)는, 정보 출력부(240)를 통하여 자체적으로 생성한 GPS 안내 정보만을 출력할 수 있다. 즉, 근거리 무선 통신이 연결되지 않은 단말기 미연동 모드인 경우에는, 단말기 거치대(200)에서 자체적으로 생성한 GPS 안내 정보만을 분리형 와치 모듈(3000을 통해 출력하는 단말기 미연동 모드로서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단말기 미연동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거치대 제어부(295)는, 단말기 거치대(200)에서 산출한 거치대 산출 GPS 위치 정보 또는 이동통신단말기(100)에서 수신한 단말기 산출 GPS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GPS 안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동통신단말기(100)로부터 단말기 산출 GPS 위치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단말기 산출 GPS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GPS 안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제작 단가를 낮추기 위하여 거치대의 GPS 모듈을 저가의 제품으로 구현할 경우, 단말기 산출 GPS 위치 정보가 거치대 산출 GPS 위치 정보보다 더 정확하기 때문에, 거치대 산출 GPS 위치 정보가 아닌 단말기 산출 GPS 위치 정보를 활용하여 GPS 안내 정보를 생성하는 것이다. 그러나, 만약, 이동통신단말기(100)로부터 단말기 산출 GPS 위치 정보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거치대 산출 GPS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GPS 안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동통신단말기(100)와 근거리 무선 통신 연결이 안 된 경우에는, 거치대에서 자체적으로 산출한 거치대 산출 GPS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GPS 안내 정보를 생성하는 것이다. 참고로, GPS 안내 정보를 생성할 시에는, 시설물 위치 지점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한 시설물 위치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여,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특정 시설물까지의 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 참고로, GPS 안내 정보를 생성할 시에는, 단속 카메라와 같은 시설물의 위치 지점에 대한 정보를 저장한 시설물 위치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여,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특정 시설물까지의 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
전력 제공부(293)는, 외부 전력을 제공받아 구동 전력으로 변환하여 거치대 근거리 무선 통신부(291), 거치대 GPS 모듈(292), 거치대 제어부(295)에 각각 제공한다. 또한 단말기 거치대(200)는, 분리형 와치 모듈(300)을 유선 또는 무선 충전하기 위한 충전 단자부(294)를 구비한다. 충전 단자부(294)는, 단말기 홀더(231)의 전면에 마련되어, 마련되어, 전력 제공부(293)의 구동 전력으로 단말기 홀더(231)에 거치된 분리형 와치 모듈(300)의 배터리에 무선 충전 또는 유선 충전을 수행한다. 참고로, 무선 충전의 경우에는 무선충전 패드를 통한 전자파 에너지를 이용하여 무선 충전하는 방식이며, 유선 충전의 경우에는 단자핀 접촉을 통하여 충전하는 방식으로 구현할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의 실시예인 단말기 거치대(20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거치부(230)에 거치된 이동통신단말기(100)를 통하여 표시되는 전자 지도상에 길 안내 정보를 상세하게 디스플레이하며, 속도 위반, 휴게소 안내 등의 간단한 GPS 안내 정보를 정보 출력부(240)의 일체형으로 된 디스플레이 표시판이나 분리형으로 된 분리형 와치 모듈(300)을 통하여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운전자의 주행을 도울 수 있다. 또한 이동통신단말기(100)의 네비게이션이 동작되지 않더라도 정보 출력부(240)를 통하여 GPS 안내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어, 운전자가 통화나 다른 용도로 이동통신단말기(100)를 사용하더라도 정보 출력부(240)를 통하여 지속적으로 GPS 안내 정보 등의 네비게이션 정보를 제공해 줄 수 있다.
본 발명을 첨부 도면과 전술된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에 한정되지 않으며,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된다. 따라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다.
100:이동통신단말기 200:단말기 거치대
210:흡착부 220:연결부
230:거치부 240:정보 출력부
300:분리형 와치 모듈

Claims (8)

  1. 네비게이션 정보가 출력되는 단말기가 거치될 수 있는 거치부;
    상기 거치부에 결합되어, 상기 단말기에서 출력되는 네비게이션 정보와 다른 네비게이션 정보가 출력되는 정보 출력부;
    흡착 패드를 가져 사물체의 벽면에 흡착 가능한 흡착부; 및
    상기 거치부와 흡착부를 연결하는 연결부;
    을 포함하는 단말기 거치대.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는,
    상기 단말기의 후면이 거치되는 거치 플레이트판; 및
    상기 거치 플레이트판의 양측면에서 형성되어 상기 단말기의 양측면을 파지할 수 있는 단말기 홀더;
    를 포함하는 단말기 거치대.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거치 플레이트판의 양측면과 상기 단말기 홀더 사이에 형성되는 탄성체;를 포함하며,
    상기 단말기 홀더가 상기 단말기의 양측면을 탄성 복원력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거치대;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홀더는,
    홀더 후면판;
    상기 홀더 후면판과 마주보며 이격 대향된 홀더 전면판; 및
    상기 홀더 전면판과 상기 홀더 후면판을 연결하는 홀더 연결판;
    을 포함하는 단말기 거치대.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홀더 전면판에 위치하여 네비게이션 안내 모드에 따라서 점등 형태를 다르게 하여 점등하는 알람등;을 포함하는 단말기 거치대.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정보 출력부는,
    상기 홀더 전면판에 일체형으로 결합된 디스플레이 표시판임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거치대.
  7.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정보 출력부는,
    상기 홀더 전면판에 결합된 플레이트판인 홀딩판;
    상기 네비게이션 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분리형 와치 모듈이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홀딩판의 전면에 파여진 삽입홈; 및
    상기 삽입홈에 삽입된 분리형 와치 모듈을 착탈할 수 있는 착탈 수단;
    를 포함하는 단말기 거치대.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분리형 와치 모듈은,
    상기 단말기로부터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하여 네비게이션 정보를 수신하여 출력하거나, 상기 단말기 거치대로부터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하여 네비게이션 정보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단말기 거치대.
KR1020140114224A 2014-08-29 2014-08-29 단말기 거치대 KR1022658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4224A KR102265856B1 (ko) 2014-08-29 2014-08-29 단말기 거치대
PCT/KR2014/010710 WO2016032056A1 (ko) 2014-08-29 2014-11-07 단말기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4224A KR102265856B1 (ko) 2014-08-29 2014-08-29 단말기 거치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6182A true KR20160026182A (ko) 2016-03-09
KR102265856B1 KR102265856B1 (ko) 2021-06-16

Family

ID=553999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4224A KR102265856B1 (ko) 2014-08-29 2014-08-29 단말기 거치대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265856B1 (ko)
WO (1) WO201603205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6120B1 (ko) * 2018-02-27 2019-06-05 유영상 휴대 단말기 거치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7445Y1 (ko) 2023-02-15 2023-11-09 주식회사 엠피지오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34986A (ko) * 2010-10-04 2012-04-13 임재중 방향표시수단이 구비된 이동단말기용 거치대
KR20140035209A (ko) 2012-09-13 2014-03-21 (주)애니토이 디스플레이 기기 거치대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105465A (ko) * 2007-05-31 2008-12-04 주식회사 엑스로드 방향 지시기를 구비한 네비게이션 장치
KR200448942Y1 (ko) * 2008-04-25 2010-06-09 (주)디코인 내장형 안테나가 구비된 네비게이션 거치대
KR20110012104A (ko) * 2009-07-29 2011-02-09 박승복 네비게이션과 연동하는 방향지시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30049860A (ko) * 2011-11-07 2013-05-15 김성훈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34986A (ko) * 2010-10-04 2012-04-13 임재중 방향표시수단이 구비된 이동단말기용 거치대
KR20140035209A (ko) 2012-09-13 2014-03-21 (주)애니토이 디스플레이 기기 거치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6120B1 (ko) * 2018-02-27 2019-06-05 유영상 휴대 단말기 거치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032056A1 (ko) 2016-03-03
KR102265856B1 (ko) 2021-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1156895A (ja) ミラー装置、および、ミラーシステム
US7309075B2 (en) Trailer alignment device
JP2007523354A (ja) 方向指示ランプを備えたナビゲーション装置
WO2015124994A1 (en) Mounting for a mobile device
CN210310680U (zh) 动力运输工具用显示装置及其系统
KR20130068357A (ko) 차량용 전면유리 디스플레이 시스템
KR20160026182A (ko) 단말기 거치대
CN104779707A (zh) 一种车载无线充电器及车载导航方法
JP6706406B2 (ja) 携帯機器、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JP4829387B1 (ja) 端末保持装置及び制御方法
WO2014192262A1 (ja) 乗り物用オーディオ装置
CN203707881U (zh) 一种车载无线充电器
KR20110024945A (ko) Gps 기능을 갖는 휴대기기용 크래들
KR102174799B1 (ko) 네비게이션 안내 장치
WO2008146964A1 (en) Navigation device having direction indicator
JP5651898B2 (ja) 電子機器及びプログラム
KR102231777B1 (ko) 단말기 거치대
WO2017208056A1 (en) Traffic information system
KR101654557B1 (ko) 버스 안내 표지판
CN105635443A (zh) 一种车载手机控制装置及导航提醒方法
KR20160021474A (ko) 무선 충전 장치
KR101712272B1 (ko) 비콘을 이용한 차량사고 중계용 교통안전표지판
JP7422419B2 (ja) 携帯機器、遠隔制御装置、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RU64807U1 (ru) Система для обмена информацией между участниками дорожного движения
KR102498380B1 (ko) 유무선 충전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